KR20230059768A -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 Google Patents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9768A
KR20230059768A KR1020230051442A KR20230051442A KR20230059768A KR 20230059768 A KR20230059768 A KR 20230059768A KR 1020230051442 A KR1020230051442 A KR 1020230051442A KR 20230051442 A KR20230051442 A KR 20230051442A KR 20230059768 A KR20230059768 A KR 20230059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object receiving
communication
discharg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1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5598B1 (ko
Inventor
안중근
안병현
안세희
김경순
Original Assignee
안중근
안병현
안세희
김경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중근, 안병현, 안세희, 김경순 filed Critical 안중근
Priority to KR1020230051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5598B1/ko
Publication of KR20230059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9768A/ko
Priority to KR1020240016714A priority patent/KR20240023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27Mixing bow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5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진공블렌더의 작동시 음식 미세물 또는 습기가 역류하여 진공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진공작업과 분쇄작업을 함께 하여 작동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는, 하단이 본체에 결합되고 상단이 용기커버의 상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용기커버의 배출공을 진공펌프와 상호 연통시키는 연통로가 형성된 연통부재와; 일단이 상기 배출공에 연통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연통부재의 연통로에 연통 가능하게 결합되며, 음식물의 분쇄시 발생하는 미세물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된 이물받이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일단과 타단이 각각 상기 배출공과 연통로에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진공펌프의 작동시 상기 믹싱공간의 공기는 상기 배출공, 이물받이부재, 연통로를 통해 상기 진공펌프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연통부재에는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물받이부재는 상기 연통부재의 장착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이물받이부재는 상기 용기커버에 대한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일단이 상기 배출공과 연통되거나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 VACUUM BLENDER }
본 발명은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진공블렌더의 작동시 음식 미세물 또는 습기가 역류하여 진공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진공작업과 분쇄작업을 함께 하여 작동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에 관한 것이다.
블렌더(믹서기)는 오늘날 가정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전기제품 중 하나로서, 믹서용기의 내부에 과일, 야채, 곡물 등의 음식물을 넣고, 저자용기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칼날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잘게 분쇄하여 섭취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일반적인 블렌더는 저장 용기 내에 분쇄 대상인 음식물을 넣은 후에 뚜껑을 닫고 고속으로 회전하는 모터에 의해 회전칼날을 회전시키는데, 이 과정에서 분쇄 용기 내의 공기와 분쇄된 음식물 알갱이가 고속으로 혼합되면서 많은 거품이 발생하였다.
예를 들어, 바나나, 토마토와 같은 과일을 블렌더에 넣고 분쇄시키면, 과일 주스의 상부에 많은 양의 기포가 발생하게 된다.
이는 과일 주스를 마실 때에 맛과 식감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과일섬유질이 분쇄 과정에서 이미 산화가 이루어져 영양소가 상당 부분 파괴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음식물을 분쇄한 후에 바로 섭취하지 아니하고 보관해야 하는 경우, 공기 중에 노출된 상태로 보관하게 되면 산화 과정이 더욱 빠르게 진행되어 섬유질 및 영양소의 파괴가 가속화되고, 색깔이 변색되어 신선도가 떨어지며, 공기와 음식물 사이의 층분리가 일어나게 된다.
이처럼 블렌더에 의해 분쇄된 음식물은 곧바로 먹지 아니하면 장기간 보관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다양한 구조의 진공 블렌더가 개발 및 출시되고 있다.
진공 블렌더는 분쇄용기의 내부에 액상의 음식물을 넣고 분쇄할 경우, 음식 미세물이 진공흡입력 등에 의해 진공펌프로 유입되어 진공펌프와 압력센서가 고장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대부분의 제품들은 압력센서 없이 분쇄용기 내부 압력을 미리 계산하여 시간으로 제어를 하도록 함으로서, 내용물의 양에 관계없이 진공시간이 일률적으로 동일하도록 설정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진공블렌더는 위와 같은 문제점 등에 의해 분쇄용기의 내부에 음식물(액체 등)을 가득 채우지 못하고, 분쇄용기 크기의 약 40%정도만 음식물을 넣고 분쇄하도록 되어 있어, 진공 블렌더의 효율성이 떨어졌다.
미세물의 유입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공개특허 10-2019-0019690 등에서는 용기커버의 하부에 역류방지수단(이물받이부재 등)을 장착하여 음식 미세물이 역류하여 진공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가 나타나 있다.
그러나, 용기커버의 하부에 역류방지수단을 장착할 경우에는, 크기에 한계가 있어 미세물을 수용하는 양이 적고, 조립이 용이하지 않으며, 특히 내용물(미세물)이 역류하면 일반 가정에서는 세척이 용이하지 못하여 장시간 사용시 진공호스 안쪽에 곰팡이가 발생하여 위생상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분쇄용기 내부의 진공작업과 분쇄작업이 함께 이루어지게 되면, 분쇄된 미세물이 진공압에 의해 진공펌프와 압력센서로 습기 또는 미세한 알갱이가 유입되게 되어 진공펌프와 압력센서의 고장이 발생하게 되는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진공펌프에 의한 분쇄용기 내부의 진공작업을 먼저 수행하고, 진공작업 이후에 칼날에 의한 분쇄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따라서 종래에는 진공작업시간과 분쇄작업시간이 별개로 이루어져 있어 진공블렌더의 작동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소비자들로부터 진공블렌더의 작동시간이 길다는 불만이 많았다.
공개특허 10-2019-0019690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물받이부재를 용기커버의 하부가 아닌 분쇄용기의 외부에 장착하여 조립 및 청소가 용이하고, 이물받이부재를 크게 제작할 수 있으며, 분쇄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의 분쇄시 진공작업과 분쇄작업을 함께 하여도 음식물의 분쇄시 발생되는 미세물이 역류하여 진공펌프 또는 압력센서가 고장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진공작업과 분쇄작업이 함께 이루어져 작동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는, 모터와 진공펌프가 장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믹싱공간이 형성된 분쇄용기와; 상기 분쇄용기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믹싱공간의 상부를 덮고, 배출공이 관통 형성된 용기커버와; 내부에 상기 진공펌프와 상기 용기커버의 배출공을 상호 연통시키는 연통로와; 일단이 상기 배출공에 연통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연통로에 연통 가능하게 결합되며, 음식물의 분쇄시 발생하는 미세물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된 이물받이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이물받이부재는 상기 용기커버의 외부에서 배치되고,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일단과 타단이 각각 상기 배출공과 연통로에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진공펌프의 작동시 상기 믹싱공간의 공기는 상기 배출공, 이물받이부재, 연통로를 통해 상기 진공펌프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용기커버의 외부에 배치된 상기 이물받이부재는 상기 용기커버에 대한 상대적 이동에 의해 일단이 상기 배출공과 연통되거나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단이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용기커버의 상부에 배치된 연통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통로는 상기 연통부재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통부재에는 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이물받이부재는 상기 연통부재의 장착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이물받이부재는 상기 연통부재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이물받이부재가 상기 연통부재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하강시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일단은 상기 배출공에 연통되면서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타단은 상기 연통로에 연통되며,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상승시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일단은 상기 배출공과 분리되면서 연통이 차단되고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타단은 상기 연통로와 분리되면서 연통이 차단된다.
상기 연통부재는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또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이물받이부재가 상기 연통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타단이 상기 연통로에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연통부재의 하강시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일단은 상기 배출공에 연통되며, 상기 연통부재의 상승시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일단은 상기 배출공과의 연통이 차단된다.
상기 이물받이부재에는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진공해제밸브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용기커버의 상부에는 상기 배출공의 둘레를 따라 중공형상의 탄성부재가 장착되되,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하강시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은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하부에 형성된 일단과 접하여 상기 배출공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킨다.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하부에 형성된 일단에는 중공형상의 탄성부재가 장착되되,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하강시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은 상기 용기커버의 상단과 접하여 상기 배출공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킨다.
상기 연통부재는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연통부재의 타단의 하부에는 중공형상의 탄성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연통부재의 하강시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은 상기 용기커버의 상단과 접하여 상기 배출공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킨다.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타단과 연통되는 상기 연통로의 타단에는 하향 경사진 제1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타단에는 상기 제1경사면과 접하는 상향 경사진 제2경사면이 형성되되,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하강시 상기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이 접하여 상기 이물받이부재는 상기 연통로와 연통된다.
상기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되는 상기 연통부재에는 투명창이 형성되어, 상기 투명창을 통해 상기 이물받이부재에 수용된 미세물을 확인한다.
상기 이물받이부재를 상기 연통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상기 락킹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는, 상기 연통부재는 상기 분쇄용기 및 용기커버를 덮어 상기 분쇄용기의 외주면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커버 형태로 이루어지되, 커버 형태로 이루어진 상기 연통부재에는 상기 이물받이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기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배출공과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이물받이부재가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일단은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배출공과 연통되고,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타단은 상기 연통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연통로와 연통된다.
또는, 상기 연통로는 상기 분쇄용기와 용기커버를 통해 형성되어, 상기 진공펌프와 상기 배출공을 상호 연통시키되, 상기 이물받이부재는 상기 용기커버의 외부에서 상기 용기커버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이물받이부재가 상기 용기커버의 상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일단은 상기 배출공과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연통로와 연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음식물을 분쇄시 발생하는 미세물이 상기 이물받이부재에 수납되기 때문에 미세물이 진공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물받이부재가 용기커버의 하부가 아닌 분쇄용기의 외부에서 연통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 및 청소가 용이하고, 이물받이부재를 크게 제작할 수 있어 미세물을 많이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분쇄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의 분쇄시 진공작업과 분쇄작업을 함께 하여도 음식물의 분쇄시 발생되는 미세물이 역류하여 진공펌프 또는 압력센서가 고장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진공작업과 분쇄작업이 함께 이루어져 작동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진공 블렌더의 단면구조도,
도 2는 도 1에서 이물받이부재가 하강 및 상승한 상태의 일부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진공 블렌더의 단면구조도,
도 4는 도 3에서 연통부재가 하강 및 상승한 상태의 일부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된 제2실시예에 따른 진공 블렌더의 단면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진공 블렌더의 단면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된 제3실시예에 따른 진공 블렌더의 단면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진공 블렌더의 단면구조도.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진공 블렌더의 단면구조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이물받이부재가 하강 및 상승한 상태의 일부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와, 분쇄용기(20)와, 용기커버(30)와, 연통부재(40)와, 이물받이부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에는 모터(11)와 진공펌프(12)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분쇄용기(20)는 상기 본체(10)에 결합되고,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믹싱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용기커버(30)는 상기 분쇄용기(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믹싱공간의 상부를 덮는다.
상기 용기커버(30)에는 상기 믹싱공간을 외부로 연통시키는 배출공(31)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공(31)에는 체크밸브(32)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연통부재(40)는 일단이 상기 본체(10)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용기커버(30)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연통부재(40)는 도면에 도시된 형상 이외에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통부재(40)의 내부에는 상기 용기커버(30)의 배출공(31)을 상기 진공펌프(12)와 상호 연통시키는 연통로(41)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통부재(40)는 상기 본체(10)에 고정 결합되어 있다.
상기 이물받이부재(50)는 상기 용기커버(30)의 내부가 아닌 외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이물받이부재(50)는 일단이 상기 배출공(31)에 연통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연통부재(40)의 연통로(41)에 연통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이물받이부재(50)는 음식물의 분쇄시 발생하는 미세물이 수용되는 수용부(51)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물받이부재(50)가 유입되는 이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구조는 종래의 공지된 구조를 이용하면 충분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일단과 타단이 각각 상기 배출공(31)과 연통로(41)에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진공펌프(12)의 작동시 상기 믹싱공간의 공기는 상기 배출공(31), 이물받이부재(50), 연통로(41)를 통해 상기 진공펌프(12)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즉, 상기 이물받이부재(50)를 통해 상기 배출공(31)과 상기 연통로(41)는 상호 연통되거나 차단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은 이물받이부재(50), 배출공(31) 및 연통로(41)를 포함한 공기가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에는, 외부 공기와 내부 공기가 서로 유입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적당한 위치에 오링, 가스켓 등의 실링부재가 장착되어 있어야 함은 당연하다.
상기 연통부재(40)의 상부에는 장착부(42)가 형성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물받이부재(50)는 상기 용기커버(30)의 외부에서 상기 연통부재(40)의 장착부(4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위와 같이 상기 이물받이부재(50)를 상기 분쇄용기(20)의 외부에서 상기 연통부재(40)의 장착부(4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기 때문에,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크기를 크게 제작할 수 있어 미세물이 수용되는 양을 증가시킴으로서, 이물받이부재(50)를 자주 세척하지 않고도 진공블렌더를 장시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물받이부재(50)가 상기 용기커버(30)의 하부가 아닌 상기 연통부재(40)에 장착되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하고, 세척도 용이하다.
상기 장착부(42)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그 외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물받이부재(50)는 상기 용기커버(30)에 대한 상대적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일단이 상기 배출공(31)과 연통되거나 분리되어 차단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물받이부재(50)는 상기 연통부재(4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이물받이부재(50)는 상기 연통부재(40)에 형성된 상기 장착부(42)에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이물받이부재(50)가 상기 연통부재(40)의 장착부(4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하강시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일단 즉 하단은 상기 배출공(31)의 상부에 접하여 상기 이물받이부재(50)와 상기 배출공(31)은 상호 연통되고, 동시에 하강된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타단은 상기 연통로(41)와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상승시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일단은 상기 배출공(31)으로부터 분리되어 이격되면서 연통이 차단되고, 동시에 상승된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타단은 상기 연통로(41)와 분리되어 연통이 차단된다.
위와 같이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승강 운동에 의해, 상기 이물받이부재(50)는 상기 배출공(31) 및 연통로(41)와 연통되거나, 연통이 차단되게 된다.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승강에 의해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타단이 상기 연통로(41)와 연통되거나 차단되도록 하기 위해, 일예로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타단과 연통되는 상기 연통로(41)의 타단에는 하향 경사진 제1경사면(4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타단 즉 본 도면에서는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측면에는 상기 제1경사면(43)과 접하는 상향 경사진 제2경사면(5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하강시 상부에 배치된 상기 제2경사면(53)이 하강하면서 상기 제1경사면(43)과 접하여, 자연스럽게 상기 이물받이부재(50)는 상기 연통로(41)와 연통되게 된다.
물론,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외주면과 상기 연통로(41)의 타단에 경사면이 없이 일직선 또는 그 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장착부(42)에 장착된 상기 이물받이부재(50)가 상기 장착부(42)에 삽입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하부에는 별도의 받침판(미도시)이 배치되어 상기 이물받이부재(50)가 낙하됨이 없이 상기 장착부(42)에 끼워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물받이부재(50)가 상기 장착부(42)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이물받이부재(50)가 상기 장착부(42)에서 임의로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락킹부재(미도시)가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락킹부재는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분리 이탈을 방지함과 더불어, 가압하여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일단과 타단이 상기 배출공(31) 및/또는 연통로(41)에 밀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락킹부재의 구체적인 구조 및 형상은 종래의 공지된 락킹구조를 이용하여 충분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이물받이부재(50)에는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진공해제밸브(52)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진공해제밸브(52)에 의해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수용부(51)는 외부와 연통되면서 상기 수용부(51)의 진공이 해제될 수 있게 된다.
경우에 따라 상기 진공해제밸브(52)없이 상기 연통로(41) 등과 연통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장착하여, 상기 연통로(41)의 개폐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용기커버(30)의 상부와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하부 사이에는 중공형상의 탄성부재(35)가 장착되어 있는데, 상기 탄성부재(35)는 상기 용기커버(30)의 상부와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하부에 접한 상태에서 그 내부 공간을 밀폐된 공간으로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탄성부재(35)는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일예로 상기 탄성부재(35)는 고무자바라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상하방향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탄성부재(35)는 상기 용기커버(30)의 상부에서 상기 배출공(31)의 둘레를 따라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하강시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하부는 상기 탄성부재(35)의 상단에 접하면서 상기 탄성부재(35)의 내부가 외부로부터 차단되며, 이로 인해 상기 배출공(31)은 외부로 개방됨이 없이 밀폐된 상태에서 상기 이물받이부재(50)와 연통되게 된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35)는 상단이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하강시 상기 탄성부재(35)는 상기 이물받이부재(50)와 함께 하강하면서 하단이 상기 용기커버(30)의 상단과 접하여 상기 배출공(31)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이물받이부재(50)가 장착되는 상기 연통부재(40)에는 투명창(45)이 형성되어, 상기 투명창(45)을 통해 상기 이물받이부재(50)에 수용된 미세물을 확인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은 음식물을 분쇄시 발생하는 미세물이 상기 이물받이부재(50)에 수납되기 때문에 미세물이 진공펌프(12)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진공작업과 분쇄작업을 동시에 하여도 상기 이물받이부재(50)에서 미세물을 수납하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되지 않으며, 이로 인해 진공블렌더의 작동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상기 이물받이부재(50)가 상기 연통부재(4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기 때문에,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세척 및 청소가 용이하다.
제2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진공 블렌더의 단면구조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연통부재가 하강 및 상승한 상태의 일부 구조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된 제2실시예에 따른 진공 블렌더의 단면구조도이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연통부재(40)의 장착구조에 차이가 있는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통부재(40)는 상기 본체(1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또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통부재(40)는 전체 또는 타단이 상기 본체(1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거나, 상기 연통부재(40)의 타단이 하단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상기 연통부재(40)의 타단이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도시하였다.
위와 같은 상기 연통부재(40)의 운동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공(31)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연통부재(40)의 타단과 상기 배출공(31)이 상호 연통되거나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통부재(40)의 타단과 상기 배출공(31)의 상호 연통은 상기 제1실시예와 같이 상기 이물받이부재(50)를 통해 상호 연통되거나 차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물받이부재(50)가 상기 연통부재(40)에 결합되어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타단이 상기 연통로(41)에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연통부재(40)의 하강시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일단은 상기 배출공(31)에 연통되며, 상기 연통부재(40)의 상승시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일단은 상기 배출공(31)과의 연통이 분리된다.
이때, 상기 이물받이부재(50)는 상기 연통부재(40)에 단순히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고, 제1실시예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연통로(41)와 연통되는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타단은 상기 연통부재(40)의 상하방향 회전힌지모듈이 배치된 방향의 반대방향에서 상기 연통로(41)와 연통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연통부재(40)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물받이부재(50)에 수용된 미세물 등이 상기 연통로(41)를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연통부재(40)가 상기 본체(1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경우에는, 상기 탄성부재(35)는 상기 용기커버(30)의 상부 또는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하단에 장착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통부재(40)의 타단 하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탄성부재(35)가 상기 연통부재(40)의 타단 하부에 장착된 경우, 상기 연통부재(40)의 하강시 상기 탄성부재(35)의 하단은 상기 용기커버(30)의 상단과 접하여 상기 배출공(31)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키게 된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진공 블렌더의 단면구조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된 제3실시예에 따른 진공 블렌더의 단면구조도이다.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연통부재(40)의 장착구조에 차이가 있는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통부재(40)는 커버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커버 형태의 상기 연통부재(40)는 상기 분쇄용기(20) 및 용기커버(30)를 덮어 상기 분쇄용기(20)의 외주면을 외부로부터 차단한다.
그리고, 상기 연통부재(40)에 형성된 상기 연통로(41)는 커버 형태로 이루어진 상기 연통부재(40)를 따라 형성되어 있고, 그 구체적인 위치는 종래의 공지된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 형태로 이루어진 상기 연통부재(40)에는 상기 이물받이부재(50)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기 장착부(4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착부(42)에는 상기 배출공(31)과 연통되는 관통공(4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35)는 상기 용기커버(30)의 상부 또는 상기 장착부(42)의 하부에 장착되면서, 상기 배출공(31)과 관통공(46)의 둘레를 감싸도록 한다.
상기 이물받이부재(50)가 상기 장착부(42)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일단은 상기 관통공(46)을 통해 상기 배출공(31)과 연통되고,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타단은 상기 연통부재(40)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연통로(41)와 연통된다.
커버 형태로 이루어진 상기 연통부재(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 탈착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4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진공 블렌더의 단면구조도이다.
제4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연통부재(40)가 없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통로(41)는 상기 분쇄용기(20)와 용키커버(30)를 통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형성된 상기 연통로(41)는 상기 진공펌프(12)와 상기 용기커버(30)에 형성된 배출공(31)을 상호 연통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통부재(40)가 없기 때문에, 상기 이물받이부재(50)는 상기 용기커버(30)의 외부에서 상기 용기커버(3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이물받이부재(50)가 상기 용기커버(30)에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별도의 락킹부재가 필요할 수도 있다.
상기 이물받이부재(50)가 상기 용기커버(30)의 상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일단은 상기 배출공(31)과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연통로(41)와 연통되게 된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인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본체, 11 : 모터, 12 : 진공펌프,
20 : 분쇄용기,
30 : 용기커버, 31 : 배출공, 32 : 체크밸브, 35 : 탄성부재,
40 : 연통부재, 41 : 연통로, 42 : 장착부, 43 : 제1경사면, 45 : 투명창, 46 : 관통공,
50 : 이물받이부재, 51 : 수용부, 52 : 진공해제밸브, 53 : 제2경사면,

Claims (13)

  1. 모터와 진공펌프가 장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믹싱공간이 형성된 분쇄용기와;
    상기 분쇄용기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믹싱공간의 상부를 덮고, 배출공이 관통 형성된 용기커버와;
    내부에 상기 진공펌프와 상기 용기커버의 배출공을 상호 연통시키는 연통로와;
    일단이 상기 배출공에 연통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연통로에 연통 가능하게 결합되며, 음식물의 분쇄시 발생하는 미세물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된 이물받이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이물받이부재는 상기 용기커버의 외부에서 배치되고,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일단과 타단이 각각 상기 배출공과 연통로에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진공펌프의 작동시 상기 믹싱공간의 공기는 상기 배출공, 이물받이부재, 연통로를 통해 상기 진공펌프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용기커버의 외부에 배치된 상기 이물받이부재는 상기 용기커버에 대한 상대적 이동에 의해 일단이 상기 배출공과 연통되거나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2. 청구항1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용기커버의 상부에 배치된 연통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통로는 상기 연통부재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통부재에는 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이물받이부재는 상기 연통부재의 장착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3.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이물받이부재는 상기 연통부재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이물받이부재가 상기 연통부재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하강시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일단은 상기 배출공에 연통되면서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타단은 상기 연통로에 연통되며,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상승시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일단은 상기 배출공과 분리되면서 연통이 차단되고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타단은 상기 연통로와 분리되면서 연통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4.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재는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또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이물받이부재가 상기 연통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타단이 상기 연통로에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연통부재의 하강시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일단은 상기 배출공에 연통되며, 상기 연통부재의 상승시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일단은 상기 배출공과의 연통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5.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이물받이부재에는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진공해제밸브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6.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용기커버의 상부에는 상기 배출공의 둘레를 따라 중공형상의 탄성부재가 장착되되,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하강시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은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하부에 형성된 일단과 접하여 상기 배출공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7.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하부에 형성된 일단에는 중공형상의 탄성부재가 장착되되,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하강시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은 상기 용기커버의 상단과 접하여 상기 배출공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8.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재는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연통부재의 타단의 하부에는 중공형상의 탄성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연통부재의 하강시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은 상기 용기커버의 상단과 접하여 상기 배출공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9.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타단과 연통되는 상기 연통로의 타단에는 하향 경사진 제1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타단에는 상기 제1경사면과 접하는 상향 경사진 제2경사면이 형성되되,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하강시 상기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이 접하여 상기 이물받이부재는 상기 연통로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10.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되는 상기 연통부재에는 투명창이 형성되어, 상기 투명창을 통해 상기 이물받이부재에 수용된 미세물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11.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이물받이부재를 상기 연통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락킹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12.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재는 상기 분쇄용기 및 용기커버를 덮어 상기 분쇄용기의 외주면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커버 형태로 이루어지되,
    커버 형태로 이루어진 상기 연통부재에는 상기 이물받이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기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배출공과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이물받이부재가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일단은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배출공과 연통되고,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타단은 상기 연통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연통로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1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연통로는 상기 분쇄용기와 용기커버를 통해 형성되어, 상기 진공펌프와 상기 배출공을 상호 연통시키되,
    상기 이물받이부재는 상기 용기커버의 외부에서 상기 용기커버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이물받이부재가 상기 용기커버의 상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일단은 상기 배출공과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연통로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KR1020230051442A 2021-05-20 2023-04-19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및 진공 블렌더용 이물받이부재 KR102635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1442A KR102635598B1 (ko) 2021-05-20 2023-04-19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및 진공 블렌더용 이물받이부재
KR1020240016714A KR20240023550A (ko) 2021-05-20 2024-02-02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및 진공 블렌더용 이물받이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118A KR102371439B1 (ko) 2021-05-20 2021-05-20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KR1020220018072A KR102525571B1 (ko) 2021-05-20 2022-02-11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및 진공 블렌더용 이물받이부재
KR1020230051442A KR102635598B1 (ko) 2021-05-20 2023-04-19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및 진공 블렌더용 이물받이부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8072A Division KR102525571B1 (ko) 2021-05-20 2022-02-11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및 진공 블렌더용 이물받이부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16714A Division KR20240023550A (ko) 2021-05-20 2024-02-02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및 진공 블렌더용 이물받이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9768A true KR20230059768A (ko) 2023-05-03
KR102635598B1 KR102635598B1 (ko) 2024-02-13

Family

ID=80812238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5118A KR102371439B1 (ko) 2021-05-20 2021-05-20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KR1020220018072A KR102525571B1 (ko) 2021-05-20 2022-02-11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및 진공 블렌더용 이물받이부재
KR1020230051442A KR102635598B1 (ko) 2021-05-20 2023-04-19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및 진공 블렌더용 이물받이부재
KR1020240016714A KR20240023550A (ko) 2021-05-20 2024-02-02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및 진공 블렌더용 이물받이부재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5118A KR102371439B1 (ko) 2021-05-20 2021-05-20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KR1020220018072A KR102525571B1 (ko) 2021-05-20 2022-02-11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및 진공 블렌더용 이물받이부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16714A KR20240023550A (ko) 2021-05-20 2024-02-02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및 진공 블렌더용 이물받이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23714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45141A1 (ko) * 2021-05-20 2022-11-24 안중근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KR20240010863A (ko) 2022-07-18 2024-01-25 안중근 회전교반유닛이 장착된 진공블렌더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5163A (ko) * 2014-06-18 2015-12-29 씨티엠(주) 진공 믹서기 및 그 작동 방법
KR20180077123A (ko) * 2017-11-28 2018-07-06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블렌더
KR20190019690A (ko) 2017-08-18 2019-02-27 씨티엠(주) 역류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 믹서기용 저장 용기
KR102102978B1 (ko) * 2018-09-05 2020-04-21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이물질 트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
KR20210048914A (ko) * 2019-10-24 2021-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렌더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5163A (ko) * 2014-06-18 2015-12-29 씨티엠(주) 진공 믹서기 및 그 작동 방법
KR20190019690A (ko) 2017-08-18 2019-02-27 씨티엠(주) 역류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 믹서기용 저장 용기
KR20180077123A (ko) * 2017-11-28 2018-07-06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블렌더
KR102102978B1 (ko) * 2018-09-05 2020-04-21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이물질 트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
KR20210048914A (ko) * 2019-10-24 2021-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렌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5571B1 (ko) 2023-04-26
KR20220157288A (ko) 2022-11-29
KR102371439B1 (ko) 2022-03-08
KR20240023550A (ko) 2024-02-22
KR102635598B1 (ko) 2024-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6518B1 (ko) 역류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 믹서기용 저장 용기
KR20230059768A (ko)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KR101618729B1 (ko) 진공 믹서기 및 그 작동 방법
KR101674164B1 (ko) 진공 믹서기
KR101673246B1 (ko) 진공 믹서기
CN110997150B (zh) 真空破壁机
KR101695733B1 (ko) 진공 믹서기
KR101849160B1 (ko) 소음저감형 진공블렌더
KR102082394B1 (ko) 식재료 역류 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 믹서기
KR102489976B1 (ko) 진공블렌더
KR102507566B1 (ko)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블렌더
KR101908019B1 (ko) 소음저감형 진공블렌더
KR102489974B1 (ko) 이물받이부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KR101978810B1 (ko) 식재료 역류 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 믹서기
KR102349993B1 (ko) 음식물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진공블렌더
KR102467192B1 (ko) 작동시간 단축형 진공블렌더
KR20240010863A (ko) 회전교반유닛이 장착된 진공블렌더
KR20200092697A (ko) 커버부재 승강형 진공블렌더
KR200377611Y1 (ko) 추출구 잠금마개를 장착한 쥬서기
KR101562371B1 (ko) 과채류용 진공 분쇄기
KR200349323Y1 (ko) 믹서기의 혼합물 유출방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