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245141A1 -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 Google Patents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245141A1
WO2022245141A1 PCT/KR2022/007148 KR2022007148W WO2022245141A1 WO 2022245141 A1 WO2022245141 A1 WO 2022245141A1 KR 2022007148 W KR2022007148 W KR 2022007148W WO 2022245141 A1 WO2022245141 A1 WO 202224514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object receiving
communica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714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안중근
안병현
안세희
김경순
Original Assignee
안중근
안병현
안세희
김경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06511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371439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16558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507566B1/ko
Application filed by 안중근, 안병현, 안세희, 김경순 filed Critical 안중근
Priority to CN202280035441.8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7377417A/zh
Priority to EP22804994.6A priority patent/EP4338646A1/en
Publication of WO202224514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245141A1/ko
Priority to US18/510,615 priority patent/US2024009070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5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27Mixing bowl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blender equipped with a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and in particular, during operation of the vacuum blend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perating time by simultaneously performing vacuum work and grinding work while preventing the reverse flow of food fines or moisture from flowing into the vacuum pump. It relates to a vacuum blender equipped with a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capable of being used.
  • a blender is one of the most used electrical appliances at home today. Foods such as fruits, vegetables, grains, etc. are put inside the mixer container, and food is blended using a rotary blade rotatably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It is finely ground so that it can be consumed.
  • the conventional vacuum blender cannot fully fill the inside of the grinding vessel with food (liquid, etc.) due to the above problems, and only about 40% of the size of the grinding vessel is put and ground, so the efficiency of the vacuum blender is reduced. .
  • Korean Patent Publication 10-2019-0019690 etc. prevents backflow prevention means (foreign receiving member, etc.) a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cover to prevent food fines from flowing backwards and entering the vacuum pump. structure appears.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is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grinding container instead of the bottom of the container cover, so that assembly and cleaning are easy,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can be made large, and the inside of the grinding container can be easily cleaned. Even when vacuuming and grinding work are performed together when crushing food, it prevents failure of the vacuum pump or pressure sensor due to reverse flow of fine matters generated during grinding of foo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cuum blender equipped with a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that can be shortened to , and can easily clean a part communicating with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 a vacuum blender equipped with a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equipped with a motor and a vacuum pump; a grinding container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having a mixing space for accommodating food therein; a container cover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grinding container to cover an upper portion of the mixing space and having a discharge hole therethrough; a communication passage through which the vacuum pump and the discharge hole of the container cover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a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having one end communicatively coupled to the discharge hole and the other end communicatively coupled to the communication passage, and having an accommodating portion accommodating fines generated when food is pulverized.
  • the member is disposed outside the container cover, and when the vacuum pump is operated in a state in which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oreign object holder member are in communication with the discharge hole and the communication passage, air in the mixing space flows through the discharge hole and the foreign object holder member. ,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via the vacuum pump through the communication passage, and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disposed outside the container cover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is communicated with or blocked from the discharge hole by relative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cover. .
  • a communication membe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the other end disposed above the container cover, wherein the communication path is formed inside the communication member, and a mounting hole is formed in the communication member.
  •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ounting hole of the communication member.
  •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is coupl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communication member, and in a state in which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is coupled to the communication member, when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descends, one end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hole.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the other end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passage, and when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rises, one end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is separated from the discharge hole to block communica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passage. As it is separated from the communication is blocked.
  • the communication member is mounted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or rotat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and in a state in which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is coupled to the communication member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passage, the communication When the member descends, one end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communicates with the discharge hole, and when the communication member ascends, communication with the discharge hole is blocked at one end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 a hollow elastic member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cov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discharge hole, and when the foreign object holder member descends, the upper end of the elastic member comes into contact with one end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foreign object holder member to open the discharge hole. sealed from the outside.
  • a hollow elastic member is mounted on one end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foreign object holder member, and when the foreign object holder member descends, the lower end of the elastic membe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cover to seal the discharge hole from the outside.
  • the communication member is rotatably moun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and a hollow elastic member is mounted at the bottom of the other end of the communication member, and when the communication member is lowered, the lower end of the elastic member is of the container cover. In contact with the top, the discharge hole is sealed from the outside.
  • a first inclined surface inclined downward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communication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other end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inclined upwardly in contact with the first inclined surface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 a transparent window is formed in the communication member to which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is mounted, and fine objects accommodated in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are checked through the transparent window.
  • a locking member for detachably coupling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to the communication member is further included.
  • the communication member is made in the form of a cover covering the grinding container and the container cover to block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inding container from the outside, and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communication member made in the form of a cover.
  • a ball is formed, a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hole is formed in the mounting hole, and in a state in which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is mounted in the mounting hole, one end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communicates with the discharge hole through the through hole, The other end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passage formed inside the communication member.
  • the communication passage is formed through the crushing container and the container cover, and the vacuum pump and the discharge hole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and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cover from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cover. In a state where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cover, one end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communicates with the discharge hole and the other end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passage.
  • a hollow projection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hole protrudes upward from an inner lower surface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and an upper end of the upwardly protruding hollow projection is open to the accommodating portion.
  • a blocking plate protruding downward from an upper portion is formed inside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and a lower end of the blocking plate is positioned lower than an upper end of the hollow protrusion.
  • the communication member to which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is mounted is rotatably coupl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and a vertical rotation hinge module of the communication member is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passage. It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path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rection in which it was formed.
  • the vacuum blender equipped with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equipped with a motor and a vacuum pump; a grinding container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having a mixing space for accommodating food therein; a container cover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grinding container to cover an upper portion of the mixing space and having a discharge hole therethrough; a communication membe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the other end disposed above the container cover and having a mounting hole formed thereon; A receiving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mounting hole of the communication member and receiving fines generated when grinding food is receiv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is formed therein, and a first communication hole and a second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the inside to the outside are formed.
  • connection passage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ssage is exposed to the outside while being opened upward, and a flange portion protruding in an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and the flange portion is connected to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is mounted in the mounting hole.
  •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formed in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communicates with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ssage while covering the other end of the passage.
  •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may include a lower foreign object receiving portion having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formed therein; an upper foreign object receiver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foreign object receiver, wherein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through a gap between the lower foreign object receiver and the upper foreign object receiver, and the foreign object receiver is attached to the mounting hole When the flange portion covers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ssage,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ssage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 a movement gap is form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par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member,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ssage It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through a moving gap.
  • a moving groove concave upward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and the moving groove forms the moving gap in a state where the flange portion covers the other end of the communication member.
  •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through the sidewall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and when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is mounted in the mounting hole and the flange portion covers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ssage,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ssage is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It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penetrating the side wall of the.
  • a hollow protrusion protrudes upwar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inside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and fines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part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and the hollow protrusion are passed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by the hollow protrusion. It is prevented from leaking into the inside of the grinding vessel through the ball.
  • the communication member is rotatably moun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a hinge point,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formed in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is 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hinge point with respect to a vertical center line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 a blocking wall protruding downward from an upper portion is formed inside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and the blocking wall protrudes more downward than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when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 the vacuum blender equipped with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equipped with a motor and a vacuum pump; a grinding container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having a mixing space for accommodating food therein; a container cover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grinding container to cover an upper portion of the mixing space and having a discharge hole therethrough; a communication membe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the other end disposed above the container cover and having a mounting hole formed thereon; An accommodating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communication member mounting hole and accommodating fines generated when food is pulveriz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is formed therein, and a first communication hole and a second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the inside to the outside are respectively formed.
  • a connection passage formed in the communication member,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vacuum pump and the other end of which communicates with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in which the mounting hole is mounted, wherein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in a downward direction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and in a state in which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is attached to the mounting hole, there is an outer surfac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unting hole.
  • a sealed chamber flow path is formed therefrom,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es with the discharge hole disposed below,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es with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flow path through the chamber flow path.
  • a lower gasket disposed between a lower portion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and a lower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hole to seal a gap therebetween;
  • An upper gasket disposed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communication member or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hole to seal the gap therebetween;
  • connection passag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member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mounting hole,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ssage passes through the chamber passage in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covers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ssage. It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 connection passage is open toward the mounting hole and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through the chamber passage.
  • a blocking wall protruding downward from an upper portion is formed inside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and the blocking wall protrudes more downward than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when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may include a lower foreign object receiving portion having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formed therein; An upper foreign object receiver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foreign object receiver, wherein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through a gap between the lower foreign object receiver and the upper foreign object receiver when the lower foreign object receiver is coupled.
  •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communication member from the outside of the grinding vessel, not from the bottom of the container cover, assembly and cleaning are easy, and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can be made large, so that a lot of fines can be removed. Acceptable.
  • connection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since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is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upper part of the communication member, cleaning and the like are easy.
  • FIG. 1 is a cross-sectional structure diagram of a vacuum blend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artial structur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is lowered and raised in FIG. 1;
  • FIG. 3 is a cross-sectional structure diagram of a vacuum blend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partial structural diagram of a state in which the communication member is lowered and raised in FIG. 3;
  • FIG. 5 is a cross-sectional structure diagram of a vacuum blender according to a modified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cross-sectional structural diagram of a vacuum blend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cross-sectional structural view of a vacuum blender according to a modified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cross-sectional structural diagram of a vacuum blend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cross-sectional structure diagram of a vacuum blend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9;
  • FIG. 11 is a partial structur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is lowered and raised in FIG. 9;
  • FIG.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and a communication member of a vacuum blend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 cross-sectional structure diagram of a state in which a communication member of a vacuum blend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and a communication member of a vacuum blender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and a communication member of a vacuum blender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cross-sectional structural diagram of a vacuum blend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artial structural diagram of a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in FIG. 1 in a lowered and raised state.
  • the vacuum blender equipped with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a grinding container 20, a container cover 30, a communication member 40, and a foreign object receiver. It consists of a member 50.
  • the main body 10 is equipped with a motor 11 and a vacuum pump 12 .
  • the grinding container 2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0, and a mixing space in which food is accommodated is formed.
  • the container cover 30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grinding container 20 and covers the upper part of the mixing space.
  • a discharge hole 31 communicating the mixing space to the outside is formed through the container cover 30 .
  • a check valve 32 is installed in the discharge hole 31 .
  • the communication member 40 has one end coupled to the main body 10 and the other end disposed above the container cover 30 .
  • the communication member 4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other than those shown in the drawings.
  • a communication passage 41 is formed inside the communication member 40 to communicate the discharge hole 31 of the container cover 30 with the vacuum pump 12 .
  • the communication member 40 is fixedly coupled to the main body 10 .
  •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50 is disposed outside the container cover 30, not inside.
  •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50 has one end communicatively coupled to the discharge hole 31 and the other end communicatively coupled to the communication passage 41 of the communication member 40 .
  •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50 has a receiving portion 51 formed therein to accommodate fines generated when food is crushed.
  • one end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hole 31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50, and the other end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passage 41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50. is formed in
  • a hollow protrusion 54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hole 31 is formed on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50 to protrude upward, and the upper end of the hollow protrusion 54 protruding upward is It is open to the accommodating part 51.
  • a blocking plate 55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top is formed inside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50, and the lower end of the blocking plate 55 is located lower than the upper end of the hollow protrusion 54. do.
  • the hollow protrusion 54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nes introduced into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50 from moving back to the discharge hole 31, and the blocking plate 55 Fines discharged from the hollow protrusion 54 may be prevented from moving directly to the communication passage 41 .
  • the discharge hole 31 and the communication passage 41 communicate with each other or are blocked through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50 .
  •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form a space for air to move, including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50, the discharge hole 31, and the communication passage 41, in order to prevent external air and internal air from flowing in and out of each other.
  • sealing members such as O-rings and gaskets should be installed in appropriate positions.
  • a mounting hole 42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communication member 40, and as shown in FIG. 2,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50 is mounted on the communication member 40 from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cover 30. I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all 42.
  • the size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50 is increased. Since it can be manufactured to increase the amount of fine substances accommodated, the vacuum blender can be used for a long time without frequently washing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50.
  •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50 is mounted on the communication member 40 instead of the bottom of the container cover 30, assembly and cleaning are easy.
  • the mounting hole 42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or may be formed in various other shapes.
  • One end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50 communicates with or separates from the discharge hole 31 and is blocked by movement in a vertical direction relative to the container cover 30 .
  •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50 is coupled to the communication member 40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50 is coupled to the mounting hole 42 formed in the communication member 40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in the vertical direction.
  • one end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50 is separated from the discharge hole 31 and the communication is blocked while being spaced apart, and the other end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50 is simultaneously raised. is separated from the communication passage 41 and communication is blocked.
  •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50 communicates with the discharge hole 31 and the communication passage 41, or the communication is blocked.
  •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50 communicates with the other end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50.
  • a first inclined surface 43 inclined downward is formed.
  • a second inclined surface 53 inclined upwardly in contact with the first inclined surface 43 is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50, that is, on the side surface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50 in this drawing.
  •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50 and the other end of the communication passage 41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or other shapes without an inclined surface.
  • a separate support plate (not shown)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50.
  •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50 may maintain a state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42 as it is without falling.
  • a locking member (not shown) is provided to prevent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50 from being arbitrarily separated from the mounting hole 42. may have been installed.
  • the locking member prevents separation and detachment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50 and pressurizes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50 to the discharge hole 31 and/or the communication passage 41. You can also make it stick to the .
  • a vacuum release valve 52 that communicates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50 is mounted on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50 .
  • the accommodating part 51 formed inside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50 is communicated with the outside by the vacuum release valve 52 so that the vacuum of the accommodating part 51 can be released.
  •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mmunication passage 41 may be controlled by mounting a solenoid valve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passage 41 without the vacuum release valve 52 .
  • a hollow elastic member 35 is mounted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cover 3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50, and the elastic member 35 is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cover 30.
  • the inner space is formed as a closed space.
  • the elastic member 35 may be made of various structures, for example, the elastic member 35 may be made of a structure such as a rubber bellows and elastically de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elastic member 35 made of a hollow shape is mount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discharge hole 31 at the top of the container cover 30 .
  • the lower part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5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elastic member 35 and the inside of the elastic member 35 is blocked from the outside.
  • the ball 31 communicates with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50 in a closed state without opening to the outside.
  • an upper end of the elastic member 35 may b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50 .
  • a transparent window 45 is formed in the communication member 40 to which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50 is mounted, and fine objects accommodated in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50 can be checked through the transparent window 45.
  •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50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communication member 40, washing and cleaning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50 is easy.
  •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structural diagram of a vacuum blend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partial structural diagram of a state in which the communication member is lowered and raised in Figure 3
  • Figure 5 is a modified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structure diagram of a vacuum blender according to
  • the second embodiment has a difference in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communication member 40, and this will be mainly described.
  • the communication member 40 is mounted movably or rotatably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 .
  • the whole or the other end of the communication member 40 is mount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 or the other end of the communication member 40 is mounted to be able to rotat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lower end. It can be.
  • the other end of the communication member 40 disposed above the discharge hole 31 and the discharge hole 31 communicate with each other. or can be separated.
  •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communication member 40 and the discharge hole 31 is communicated or blocked through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50 as in the first embodiment.
  •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50 may be simply detachably coupled to the communication member 40, or may be coupled to move up and down as in the first embodiment.
  • the other end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50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passage 41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passage 41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vertical rotation hinge module of the communication member 40 is disposed. do.
  • the elastic member 35 is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cover 30 or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cover 30. It may be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drip tray member 50, or may be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other end of the communication member 40 as shown in FIG.
  • FIG. 6 is a cross-sectional structure diagram of a vacuum blend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cross-sectional structure view of a vacuum blender according to a modified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hird embodiment has a difference in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communication member 40, and this will be mainly described.
  • the communication member 40 is formed in the form of a cover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0 .
  • the communication member 40 in the form of a cover covers the grinding container 20 and the container cover 30 to block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inding container 20 from the outside.
  • the communication path 41 formed in the communication member 40 is formed along the communication member 40 formed in the form of a cover, and its specific location may be formed in various conventionally known shapes and structures.
  • the communication member 40 formed in the form of a cover has the mounting hole 42 to which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50 is detachably mounted, and the mounting hole 42 communicates with the discharge hole 31.
  • a through hole 46 is formed.
  • the elastic member 35 is mounted on the top of the container cover 30 or the bottom of the mounting hole 42 and surrounds the discharge hole 31 and the through hole 46 .
  • one end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50 communicates with the discharge hole 31 through the through hole 46, and The other end of the drip tray member 50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passage 41 formed inside the communication member 40 .
  • the communication member 40 formed in the form of a cover may be completely detachable as shown in FIG. 6 or mounted rotatably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 as shown in FIG. 7 have.
  • FIG. 8 is a cross-sectional structural view of a vacuum blend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ourth embodiment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communication member 40 is not present.
  • the communication passage 41 is formed through the grinding container 20 and the key cover 30.
  • the communication passage 41 thus formed communicates the vacuum pump 12 and the discharge hole 31 formed in the container cover 30 to each other.
  •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5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cover 30 from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cover 30 .
  • a separate locking member may be required to allow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50 to be coupled to the container cover 30 .
  • FIG. 9 is a cross-sectional structural view of a vacuum blend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in FIG.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oreign matter receiving member and a communication member of a vacuum blend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acuum blend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communication member is rotated. is the structure
  • the vacuum blen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a grinding container 20, a container cover 30, a communication member 40, and a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150. And, it is made including a connection flow path (60).
  • the main body 10 is equipped with a motor 11, a vacuum pump 12, a pressure release valve, and the like.
  • the grinding container 2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0, and a mixing space in which food is accommodated is formed.
  • the container cover 30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grinding container 20 and covers the upper part of the mixing space.
  • a discharge hole 31 communicating the mixing space to the outside is formed through the container cover 30 .
  • a check valve is installed in the discharge hole 31.
  • the communication member 40 has one end coupled to the main body 10 and the other end disposed above the container cover 30 .
  • the communication member 4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other than those shown in the drawings.
  • the communication member 40 may be formed in a cover shape covering all or part of the grinding container 20 .
  • An upper portion of the communication member 40 is formed with a mounting hole 42.
  •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15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ounting hole 42 of the communication member 40 outside the container cover 30 instead of inside.
  •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150 has a receiving portion formed therein to accommodate fines generated when food is crush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31 .
  •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47 protrude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unting hole 42, and are detachably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150 to the coupling protrusions 47.
  • a first communication hole 154 and a second communication hole 155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re formed in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150, respectively.
  •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154 is formed in a downward direction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150
  •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155 is formed in a lateral direction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150 .
  •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150 includes a lower foreign object receiving portion 151 having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154 formed therein, and an upper foreign object receiving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foreign object receiving portion 151. It consists of part 152.
  •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154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lower foreign object receiver 151,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155 is formed at a junction between the lower foreign object receiver 151 and the upper foreign object receiver 152. It is formed through gaps or separate holes.
  • a gasket is installed at a joint between the lower foreign object receiver 151 and the upper foreign object receiver 152, and at least one of them is formed with a hole communicat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and this hole is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 155) is formed.
  • connection passage 60 is formed in the communication member 40,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vacuum pump 12, and the other end communicates with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150 mounted in the mounting hole 42.
  • connection passag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member 40 outside the mounting hole 42 .
  • connection passage 60 is open upwar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member 40 .
  • connection passage 60 may be made of only a tube or a combination of a tube and an injection-molded product.
  • connection passage 60 connects the vacuum pump 12 and the out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member 40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 a check valve or a lip seal is mounted on the other end 65 of the connection passage exposed to the outside to block the other end 65 of the connection passage in a state in which no external force acts, thereby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equipment can be installed
  •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154 communicates with the discharge hole 31 disposed below,
  •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155 communicates with the connection passage 60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upper part of the communication member 40 .
  • the inside of the grinding container 20 passes through the discharge hole 31,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154, the receiving part,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155, and the connection passage 60, and the vacuum pump 12 ) to communicate with.
  • connection passag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mmunication member 40 is exposed to the outside while being opened upward.
  • connection passage 60 is opened upward through the communication member 40 through the injection molding.
  • connection passage may be formed in a lateral direction from the top of the communication member 40, and any form that allows air to pass through may be used.
  • a flange portion 153 protruding in an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150 .
  • the flange portion 153 may protrude in only one direction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150, but as in this embodiment, the flange portion 153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150. It is preferable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entire circumference.
  • the flange portion 153 covers the other end 65 of the connection passage and is formed on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150.
  • the two communication holes 155 communicate with the other end 65 of the connection passage.
  • a lower gasket 71 is disposed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150 and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hole 42, and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150 is mounted on the mounting hole 42.
  • the lower gasket 71 seals the gap between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150 and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hole 42 from the outside.
  • the lower gasket 71 may further protrude downward and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grinding container 20 .
  • An upper gasket 72 is disposed in the gap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15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communication member 40, and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150 is mounted in the mounting hole 42. In this state, the upper gasket 72 seals the gap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15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communication member 40 from the outside.
  • the upper gasket 72 is disposed between the flange portion 153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communication member 4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member 40, and the other end 65 of the connection passage The inflow and outflow of outside air was blocked by blocking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outside and the outside.
  • the chamber flow path 75 changes the location and existence of the lower gasket 71 and the upper gasket 72,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150 and the mounting hole 42 are formed. It may be variously formed in a closed structure from the outside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 the chamber passage 75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155 and the other end 65 of the connection passage.
  • connection passage disposed below the flange part 153
  • the other end 65 of the passage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155 through the chamber passage 75 while being blocked from the outside.
  •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155 and the other end 65 of the connection passage may be directly contacted and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but in this case, the fines accommodated inside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150 155), there may be a problem of immediately moving to the other end 65 of the connection passage.
  •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155 and the other end 65 of the connection passage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re form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15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unting hole 42.
  • the sealed chamber passage 75 By being indirectly communicated through the sealed chamber passage 75, when the fine objects accommodated inside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150 pass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155, the chamber bent in various directions Since it moves through the flow path 75, it is possible to further block the movement of fine materials to the other end 65 of the connection flow path, and the fine materials introduced into the chamber flow path 75 stay in the chamber flow path 75 to prevent the fines from moving. It may be prevented from moving to the other end 65 of the connection passage.
  •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155 and the other end 65 of the connection passage are connected through the ring-shaped chamber passage 75,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155 and the connection passage Even if the other end 65 of the part does not exactly contact and fit, it can be communicated through the chamber passage 75, so that the manufacturing and assembling of the parts are easy.
  •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150 is mounted on the mounting hole 42 and the flange part 153 When covers the other end 65 of the connection passage, a movement gap is form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153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member 40.
  • connection passage is more easily communicated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155 through the movement gap.
  • a moving groove 156 concave upward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part 153, and the moving groove 156 is in a state where the flange part 153 covers the other end of the communication member 40. ) forms the moving gap.
  • the movable groove 156 is formed in a ring shape along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153 so that the movable groove 156 can communicate with the other end of the communication member 40 in any direction.
  •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153 of the moving groove 156 may be concave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member 40 .
  • a hollow protrusion 157 protrudes upwar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154 inside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150 .
  • the hollow protrusion 157 is formed of a tube or the like and may be detachably mounted inside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150 while varying its length.
  • the fines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154 and the hollow protrusion 157 depend on the height of the hollow protrusion 157 and the container cover 3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154. It is prevented from leaking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 or the inside of the grinding container 20.
  • the communication member 40 may be mounted to be lifte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 or may be mounted to be rotatabl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based on the hinge point.
  • the communication member 40 is mounted rotatably in the vertical direction based on the hinge point.
  •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155 formed in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150 is 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hinge point based on the vertical center line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150 .
  •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155 is formed not in a direction close to the hinge point but in a far position.
  •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155 is formed close to the hinge point, when the communication member 40 is rotated upward, the fine object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art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150 are released by gravity. and flows into the connection passage 60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155, which eventually flows into the vacuum pump 12 and causes the vacuum pump 12 to fail.
  •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155 is formed far from the hinge point, that i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hinge point based on the vertical center line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150, the communication member 40 ) is rotated upwar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block the inflow of the fine object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150 into the connection passage 60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155 .
  • the hollow protrusion 157 is formed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155 is formed at a position far from the hinge point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center line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150.
  • the communication member ( 40)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into the grinding container 20 even if the foreign matter receiving member 150 is rotated up and down several times.
  •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clean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150 every time even if different foods are crushed, it can be cleaned only when the fine objects are filled to a certain height, so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s cleaning and maintenance work.
  • fines accommodated in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150 are lower than the upper end of the hollow protrusion 157, the fines flow out into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even if the communication member 40 is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used several times. can prevent it from happening.
  •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150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user can easily see the amount of fine objects accommodated in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150.
  •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150 is used as the communication member.
  • the other end 65 of the connection passage is well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other end 65 of the connection passage can be cleaned more easily, and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150 and The movement of fine objects through the connection passage 60 can also be more easily grasped.
  •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150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communication member 40, washing and cleaning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150 is easy.
  • a blocking wall 158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top is formed inside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150 .
  • the blocking wall 158 protrudes downward from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upper foreign object receiver 152 .
  • the blocking wall 158 protrudes further dow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lower foreign object receiving portion 151, and is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155 in a downward direction than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155. is more protruding.
  • the blocking wall 158 By forming the blocking wall 158, it is possible to further prevent the fine objects accommodated inside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150 from passing into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155 by the vacuum suction force.
  •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foreign matter receiving member 150 and the communication member 40 of the vacuum blender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ixth embodiment has a difference in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155 compared to the fifth embodiment, and this will be mainly described.
  •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155 is formed through the sidewall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150 .
  • the other end 65 of the connection passage is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150.
  •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and a communication member of a vacuum blender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osition of the upper gasket 72 and the position of the other end 65 of the connection passage are different in the seventh embodiment compared to the fifth embodiment, and will be described centering on these positions.
  • the upper gasket 72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150 and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hole 42 to seal the gap therebetween.
  • the upper part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150 may be in various positions, and preferably, it is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part 153 as shown in the drawings of this embodiment.
  • the upper gasket 72 is dis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153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hole 42 to form the chamber passage 75 .
  • the upper part of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150 that is,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part 153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member 40,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part 153 and the communication member 40 occurs.
  • the upper gasket 7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upper surfaces.
  • connection passage is open toward the mounting hole 42 .
  •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155 communicates with the other end 65 of the connection passage formed laterally in the mounting hole 42 through the chamber passage 75 .
  • the vacuum blender equipped with the foreign object receiv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and used in a vacuum blender, it has industrial applic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블렌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진공블렌더의 작동시 음식 미세물 또는 습기 등이 역류하여 진공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진공작업과 분쇄작업을 함께 하여 작동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진공블렌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식물의 분쇄시 발생하는 미세물을 수용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용기커버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이물받이부재의 일단은 용기커버에 형성된 배출공에 연통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진공펌프와 용기커버를 연통시키는 연통로에 연통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일단과 타단이 각각 상기 배출공과 연통로에 연통된 상태에서 진공펌프의 작동시 분쇄요익 내부의 공기는 상기 배출공, 이물받이부재, 연통로를 통해 진공펌프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용기커버의 외부에 배치된 상기 이물받이부재는 상기 용기커버에 대한 상대적 이동에 의해 일단이 상기 배출공과 연통되거나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본 발명은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진공블렌더의 작동시 음식 미세물 또는 습기가 역류하여 진공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진공작업과 분쇄작업을 함께 하여 작동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에 관한 것이다.
블렌더(믹서기)는 오늘날 가정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전기제품 중 하나로서, 믹서용기의 내부에 과일, 야채, 곡물 등의 음식물을 넣고, 저자용기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칼날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잘게 분쇄하여 섭취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일반적인 블렌더는 저장 용기 내에 단순히 음식물을 넣고 분쇄하기 때문에, 분쇄과정에서 공기와 혼합되면서 거품, 기포가 발생되고, 이는 식감, 영양소의 파괴를 저하시키게 된다.
그리고, 음식물을 분쇄한 후에 바로 섭취하지 아니하고 보관해야 하는 경우, 공기 중에 노출된 상태로 보관하게 되면 산화 과정이 더욱 빠르게 진행되어 섬유질 및 영양소의 파괴가 가속화되고, 색깔이 변색되어 신선도가 떨어지며, 공기와 음식물 사이의 층분리가 일어나게 된다.
이처럼 블렌더에 의해 분쇄된 음식물은 곧바로 먹지 아니하면 장기간 보관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기존 일반 블렌더의 단점을 보완하게 위해, 최근에는 다양한 구조의 진공 블렌더가 개발 및 출시되고 있다.
진공 블렌더는 분쇄용기의 내부에 액상의 음식물을 넣고 분쇄할 경우, 음식 미세물이 진공흡입력 등에 의해 진공펌프로 유입되어 진공펌프와 압력센서가 고장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대부분의 제품들은 압력센서 없이 분쇄용기 내부 압력을 미리 계산하여 시간으로 제어를 하도록 함으로서, 내용물의 양에 관계없이 진공시간이 일률적으로 동일하도록 설정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진공블렌더는 위와 같은 문제점 등에 의해 분쇄용기의 내부에 음식물(액체 등)을 가득 채우지 못하고, 분쇄용기 크기의 약 40%정도만 음식물을 넣고 분쇄하도록 되어 있어, 진공 블렌더의 효율성이 떨어졌다.
미세물의 유입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9-0019690 등에서는 용기커버의 하부에 역류방지수단(이물받이부재 등)을 장착하여 음식 미세물이 역류하여 진공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가 나타나 있다.
그러나, 용기커버의 하부에 역류방지수단을 장착할 경우에는, 크기에 한계가 있어 미세물을 수용하는 양이 적고, 조립이 용이하지 않으며, 특히 내용물(미세물)이 역류하면 일반 가정에서는 세척이 용이하지 못하여 장시간 사용시 진공호스 안쪽에 곰팡이가 발생하여 위생상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분쇄용기 내부의 진공작업과 분쇄작업이 함께 이루어지게 되면, 분쇄된 미세물이 진공압에 의해 진공펌프와 압력센서로 습기 또는 미세한 알갱이가 유입되게 되어 진공펌프와 압력센서의 고장이 발생하게 되는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진공펌프에 의한 분쇄용기 내부의 진공작업을 먼저 수행하고, 진공작업 이후에 칼날에 의한 분쇄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따라서 종래에는 진공작업시간과 분쇄작업시간이 별개로 이루어져 있어 진공블렌더의 작동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소비자들로부터 진공블렌더의 작동시간이 길다는 불만이 많았다.
또한, 이물받이부재를 장착한 종래기술에서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되는 장착공의 내주면에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내부와 연통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청소 등의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물받이부재를 용기커버의 하부가 아닌 분쇄용기의 외부에 장착하여 조립 및 청소가 용이하고, 이물받이부재를 크게 제작할 수 있으며, 분쇄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의 분쇄시 진공작업과 분쇄작업을 함께 하여도 음식물의 분쇄시 발생되는 미세물이 역류하여 진공펌프 또는 압력센서가 고장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진공작업과 분쇄작업이 함께 이루어져 작동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으며, 이물받이부재와 연통되는 부분을 쉽게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블렌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는, 모터와 진공펌프가 장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믹싱공간이 형성된 분쇄용기와; 상기 분쇄용기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믹싱공간의 상부를 덮고, 배출공이 관통 형성된 용기커버와; 상기 진공펌프와 상기 용기커버의 배출공을 상호 연통시키는 연통로와; 일단이 상기 배출공에 연통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연통로에 연통 가능하게 결합되며, 음식물의 분쇄시 발생하는 미세물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된 이물받이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이물받이부재는 상기 용기커버의 외부에서 배치되고,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일단과 타단이 각각 상기 배출공과 연통로에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진공펌프의 작동시 상기 믹싱공간의 공기는 상기 배출공, 이물받이부재, 연통로를 통해 상기 진공펌프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용기커버의 외부에 배치된 상기 이물받이부재는 상기 용기커버에 대한 상대적 이동에 의해 일단이 상기 배출공과 연통되거나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단이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용기커버의 상부에 배치된 연통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통로는 상기 연통부재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통부재에는 장착공이 형성되며, 상기 이물받이부재는 상기 연통부재의 장착공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이물받이부재는 상기 연통부재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이물받이부재가 상기 연통부재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하강시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일단은 상기 배출공에 연통되면서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타단은 상기 연통로에 연통되며,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상승시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일단은 상기 배출공과 분리되면서 연통이 차단되고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타단은 상기 연통로와 분리되면서 연통이 차단된다.
상기 연통부재는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또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이물받이부재가 상기 연통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타단이 상기 연통로에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연통부재의 하강시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일단은 상기 배출공에 연통되며, 상기 연통부재의 상승시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일단은 상기 배출공과의 연통이 차단된다.
상기 용기커버의 상부에는 상기 배출공의 둘레를 따라 중공형상의 탄성부재가 장착되되,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하강시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은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하부에 형성된 일단과 접하여 상기 배출공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킨다.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하부에 형성된 일단에는 중공형상의 탄성부재가 장착되되,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하강시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은 상기 용기커버의 상단과 접하여 상기 배출공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킨다.
상기 연통부재는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연통부재의 타단의 하부에는 중공형상의 탄성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연통부재의 하강시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은 상기 용기커버의 상단과 접하여 상기 배출공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킨다.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타단과 연통되는 상기 연통로의 타단에는 하향 경사진 제1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타단에는 상기 제1경사면과 접하는 상향 경사진 제2경사면이 형성되되,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하강시 상기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이 접하여 상기 이물받이부재는 상기 연통로와 연통된다.
상기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되는 상기 연통부재에는 투명창이 형성되어, 상기 투명창을 통해 상기 이물받이부재에 수용된 미세물을 확인한다.
상기 이물받이부재를 상기 연통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락킹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는, 상기 연통부재는 상기 분쇄용기 및 용기커버를 덮어 상기 분쇄용기의 외주면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커버 형태로 이루어지되, 커버 형태로 이루어진 상기 연통부재에는 상기 이물받이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기 장착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공에는 상기 배출공과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이물받이부재가 상기 장착공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일단은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배출공과 연통되고,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타단은 상기 연통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연통로와 연통된다.
또는, 상기 연통로는 상기 분쇄용기와 용기커버를 통해 형성되어, 상기 진공펌프와 상기 배출공을 상호 연통시키되, 상기 이물받이부재는 상기 용기커버의 외부에서 상기 용기커버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이물받이부재가 상기 용기커버의 상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일단은 상기 배출공과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연통로와 연통된다.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내부 하면에는 상기 배출공과 연통되는 중공돌기가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중공돌기의 상단은 상기 수용부에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내부에는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된 차단판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차단판의 하단은 상기 중공돌기의 상단보다 하부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상기 연통부재는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통로와 연통되는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타단은 상기 연통부재의 상하방향 회전힌지모듈이 배치된 방향의 반대방향에서 상기 연통로와 연통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블렌더는, 모터와 진공펌프가 장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믹싱공간이 형성된 분쇄용기와; 상기 분쇄용기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믹싱공간의 상부를 덮고, 배출공이 관통 형성된 용기커버와; 일단이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용기커버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부에 장착공이 형성된 연통부재와; 상기 연통부재의 장착공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음식물의 분쇄시 발생하는 미세물이 상기 배출공을 통해 수용되는 수용부가 내부에 형성되며,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1연통공과 제2연통공이 각각 형성된 이물받이부재와; 상기 연통부재에 형성되고, 일단이 진공펌프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장착공의 외곽에서 상기 연통부재의 상면 외부로 노출되는 연결유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연통공은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연통공은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측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이물받이부재를 상기 장착공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제1연통공은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배출공과 연통되고, 상기 제2연통공은 상기 연통부재의 상부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은 상방향으로 개방 형성되면서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이물받이부재에는 외주방향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되, 상기 이물받이부재를 상기 장착공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을 덮으면서 상기 이물받이부재에 형성된 상기 제2연통공이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과 연통된다.
상기 이물받이부재는, 하부에 상기 제1연통공이 형성된 하부이물받이부와; 상기 하부이물받이부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이물받이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연통공은 상기 하부이물받이부와 상부이물받이부의 결합부위의 간극을 통해 형성되고, 상기 이물받이부재가 상기 장착공에 장착되어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을 덮으면,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은 상기 제2연통공과 연통된다.
상기 이물받이부재가 상기 장착공에 장착되어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을 덮었을 때, 상기 플랜지부의 하면과 상기 연통부재의 상면 사이에는 이동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은 상기 이동간극을 통해 상기 제2연통공과 연통된다.
상기 플랜지부의 하면에는 상방향으로 오목한 이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연통부재의 타단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이동홈이 상기 이동간극을 형성한다.
상기 제2연통공은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측벽을 관통하여 형성되되, 상기 이물받이부재가 상기 장착공에 장착되어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을 덮으면,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은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측벽을 관통하는 상기 제2연통공과 연통된다.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제1연통공의 상방향으로 중공돌기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제1연통공 및 중공돌기를 통해 상기 수용부로 유입된 미세물은 상기 중공돌기에 의해 상기 제1연통공을 통해 상기 분쇄용기의 내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연통부재는 힌지점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이물받이부재에 형성된 상기 제2연통공은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수직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힌지점의 반대방향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물받이부재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내측에는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된 차단벽이 형성되되, 상기 차단벽은 상기 제2연통공에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연통공보다 하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블렌더는, 모터와 진공펌프가 장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믹싱공간이 형성된 분쇄용기와; 상기 분쇄용기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믹싱공간의 상부를 덮고, 배출공이 관통 형성된 용기커버와; 일단이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용기커버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부에 장착공이 형성된 연통부재; 상기 연통부재 장착공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음식물의 분쇄시 발생하는 미세물이 상기 배출공을 통해 수용되는 수용부가 내부에 형성되며,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1연통공과 제2연통공이 각각 형성된 이물받이부재와; 상기 연통부재에 형성되고, 일단이 진공펌프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장착공이 장착된 상기 이물받이부재와 연통되는 연결유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연통공은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연통공은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측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이물받이부재를 상기 장착공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외면과 상기 장착공의 내주면 사이에는 외부로부터 밀폐된 챔버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1연통공은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배출공과 연통되며, 상기 제2연통공은 상기 챔버유로를 통해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과 연통된다.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하부 부위와 상기 장착공의 하부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사이간극을 밀폐시키는 하부가스켓과;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상부 부위와 상기 연통부재의 상부 사이 또는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상부 부위와 상기 장착공의 상부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사이간극을 밀폐시키는 상부가스켓;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이물받이부재를 상기 장착공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하부가스켓과 상부가스켓에 의해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외면과 상기 장착공의 내주면 사이에는 외부로부터 밀폐된 상기 챔버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은 상기 장착공의 외곽에서 상기 연통부재의 상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일부가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은 상기 챔버유로를 통해 상기 제2연통공과 연통된다.
또는,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은 상기 장착공을 향해 개방 형성되어 상기 챔버유로를 통해 상기 제2연통공과 연통된다.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내측에는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된 차단벽이 형성되되, 상기 차단벽은 상기 제2연통공에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연통공보다 하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있다.
상기 이물받이부재는, 하부에 상기 제1연통공이 형성된 하부이물받이부와; 상기 하부이물받이부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이물받이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연통공은 상기 하부이물받이부와 상부이물받이부의 결합시 그 결합부위의 간극을 통해 형성된다.
본 발명은 음식물을 분쇄시 발생하는 미세물이 상기 이물받이부재에 수납되기 때문에 미세물이 진공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물받이부재가 용기커버의 하부가 아닌 분쇄용기의 외부에서 연통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 및 청소가 용이하고, 이물받이부재를 크게 제작할 수 있어 미세물을 많이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분쇄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의 분쇄시 진공작업과 분쇄작업을 함께 하여도 음식물의 분쇄시 발생되는 미세물이 역류하여 진공펌프 또는 압력센서가 고장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진공작업과 분쇄작업이 함께 이루어져 작동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이물받이부재의 제2연통공과 연통되는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이 상기 연통부재의 상부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청소 등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진공 블렌더의 단면구조도,
도 2는 도 1에서 이물받이부재가 하강 및 상승한 상태의 일부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진공 블렌더의 단면구조도,
도 4는 도 3에서 연통부재가 하강 및 상승한 상태의 일부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된 제2실시예에 따른 진공 블렌더의 단면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진공 블렌더의 단면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된 제3실시예에 따른 진공 블렌더의 단면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진공 블렌더의 단면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진공블렌더의 단면구조도,
도 10은 도 9의 A부분의 확대도,
도 11은 도 9에서 이물받이부재가 하강 및 상승한 상태의 일부 구조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진공블렌더의 이물받이부재와 연통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진공블렌더의 연통부재를 회전시킨 상태의 단면구조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진공블렌더의 이물받이부재와 연통부재의 주요 연결구조를 도시한 단면구조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진공블렌더의 이물받이부재와 연통부재의 주요 연결구조를 도시한 단면구조도.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진공 블렌더의 단면구조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이물받이부재가 하강 및 상승한 상태의 일부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와, 분쇄용기(20)와, 용기커버(30)와, 연통부재(40)와, 이물받이부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에는 모터(11)와 진공펌프(12)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분쇄용기(20)는 상기 본체(10)에 결합되고,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믹싱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용기커버(30)는 상기 분쇄용기(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믹싱공간의 상부를 덮는다.
상기 용기커버(30)에는 상기 믹싱공간을 외부로 연통시키는 배출공(31)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공(31)에는 체크밸브(32)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연통부재(40)는 일단이 상기 본체(10)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용기커버(30)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연통부재(40)는 도면에 도시된 형상 이외에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통부재(40)의 내부에는 상기 용기커버(30)의 배출공(31)을 상기 진공펌프(12)와 상호 연통시키는 연통로(41)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통부재(40)는 상기 본체(10)에 고정 결합되어 있다.
상기 이물받이부재(50)는 상기 용기커버(30)의 내부가 아닌 외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이물받이부재(50)는 일단이 상기 배출공(31)에 연통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연통부재(40)의 연통로(41)에 연통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이물받이부재(50)는 음식물의 분쇄시 발생하는 미세물이 수용되는 수용부(51)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상기 배출공(31)과 연통되는 일단은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통로(41)과 연통되는 타단은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내부 하면에는 상기 배출공(31)과 연통되는 중공돌기(54)가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중공돌기(54)의 상단은 상기 수용부(51)에 개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내부에는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된 차단판(5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차단판(55)의 하단은 상기 중공돌기(54)의 상단보다 하부에 위치한다.
위와 같은 상기 중공돌기(54)에 의해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내부로 유입된 미세물이 다시 상기 배출공(31)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차단판(55)에 의해 상기 중공돌기(54)에서 배출되는 미세물이 상기 연통로(41)로 곧바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이물받이부재(50)가 유입되는 이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구조는 종래의 공지된 구조를 이용하면 충분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일단과 타단이 각각 상기 배출공(31)과 연통로(41)에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진공펌프(12)의 작동시 상기 믹싱공간의 공기는 상기 배출공(31), 이물받이부재(50), 연통로(41)를 통해 상기 진공펌프(12)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즉, 상기 이물받이부재(50)를 통해 상기 배출공(31)과 상기 연통로(41)는 상호 연통되거나 차단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은 이물받이부재(50), 배출공(31) 및 연통로(41)를 포함한 공기가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에는, 외부 공기와 내부 공기가 서로 유입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적당한 위치에 오링, 가스켓 등의 실링부재가 장착되어 있어야 함은 당연하다.
상기 연통부재(40)의 상부에는 장착공(42)가 형성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물받이부재(50)는 상기 용기커버(30)의 외부에서 상기 연통부재(40)의 장착공(4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위와 같이 상기 이물받이부재(50)를 상기 분쇄용기(20)의 외부에서 상기 연통부재(40)의 장착공(4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기 때문에,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크기를 크게 제작할 수 있어 미세물이 수용되는 양을 증가시킴으로서, 이물받이부재(50)를 자주 세척하지 않고도 진공블렌더를 장시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물받이부재(50)가 상기 용기커버(30)의 하부가 아닌 상기 연통부재(40)에 장착되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하고, 세척도 용이하다.
상기 장착공(42)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그 외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물받이부재(50)는 상기 용기커버(30)에 대한 상대적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일단이 상기 배출공(31)과 연통되거나 분리되어 차단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물받이부재(50)는 상기 연통부재(4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이물받이부재(50)는 상기 연통부재(40)에 형성된 상기 장착공(42)에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이물받이부재(50)가 상기 연통부재(40)의 장착공(4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하강시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일단 즉 하단은 상기 배출공(31)의 상부에 접하여 상기 이물받이부재(50)와 상기 배출공(31)은 상호 연통되고, 동시에 하강된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타단은 상기 연통로(41)와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상승시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일단은 상기 배출공(31)으로부터 분리되어 이격되면서 연통이 차단되고, 동시에 상승된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타단은 상기 연통로(41)와 분리되어 연통이 차단된다.
위와 같이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승강 운동에 의해, 상기 이물받이부재(50)는 상기 배출공(31) 및 연통로(41)와 연통되거나, 연통이 차단되게 된다.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승강에 의해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타단이 상기 연통로(41)와 연통되거나 차단되도록 하기 위해, 일예로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타단과 연통되는 상기 연통로(41)의 타단에는 하향 경사진 제1경사면(4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타단 즉 본 도면에서는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측면에는 상기 제1경사면(43)과 접하는 상향 경사진 제2경사면(5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하강시 상부에 배치된 상기 제2경사면(53)이 하강하면서 상기 제1경사면(43)과 접하여, 자연스럽게 상기 이물받이부재(50)는 상기 연통로(41)와 연통되게 된다.
물론,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외주면과 상기 연통로(41)의 타단에 경사면이 없이 일직선 또는 그 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장착공(42)에 장착된 상기 이물받이부재(50)가 상기 장착공(42)에 삽입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하부에는 별도의 받침판(미도시)이 배치되어 상기 이물받이부재(50)가 낙하됨이 없이 상기 장착공(42)에 끼워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물받이부재(50)가 상기 장착공(42)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이물받이부재(50)가 상기 장착공(42)에서 임의로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락킹부재(미도시)가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락킹부재는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분리 이탈을 방지함과 더불어, 가압하여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일단과 타단이 상기 배출공(31) 및/또는 연통로(41)에 밀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락킹부재의 구체적인 구조 및 형상은 종래의 공지된 락킹구조를 이용하여 충분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이물받이부재(50)에는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진공해제밸브(52)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진공해제밸브(52)에 의해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수용부(51)는 외부와 연통되면서 상기 수용부(51)의 진공이 해제될 수 있게 된다.
경우에 따라 상기 진공해제밸브(52)없이 상기 연통로(41) 등과 연통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장착하여, 상기 연통로(41)의 개폐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용기커버(30)의 상부와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하부 사이에는 중공형상의 탄성부재(35)가 장착되어 있는데, 상기 탄성부재(35)는 상기 용기커버(30)의 상부와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하부에 접한 상태에서 그 내부 공간을 밀폐된 공간으로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탄성부재(35)는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일예로 상기 탄성부재(35)는 고무자바라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상하방향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탄성부재(35)는 상기 용기커버(30)의 상부에서 상기 배출공(31)의 둘레를 따라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하강시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하부는 상기 탄성부재(35)의 상단에 접하면서 상기 탄성부재(35)의 내부가 외부로부터 차단되며, 이로 인해 상기 배출공(31)은 외부로 개방됨이 없이 밀폐된 상태에서 상기 이물받이부재(50)와 연통되게 된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35)는 상단이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하강시 상기 탄성부재(35)는 상기 이물받이부재(50)와 함께 하강하면서 하단이 상기 용기커버(30)의 상단과 접하여 상기 배출공(31)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이물받이부재(50)가 장착되는 상기 연통부재(40)에는 투명창(45)이 형성되어, 상기 투명창(45)을 통해 상기 이물받이부재(50)에 수용된 미세물을 확인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은 음식물을 분쇄시 발생하는 미세물이 상기 이물받이부재(50)에 수납되기 때문에 미세물이 진공펌프(12)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진공작업과 분쇄작업을 동시에 하여도 상기 이물받이부재(50)에서 미세물을 수납하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되지 않으며, 이로 인해 진공블렌더의 작동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상기 이물받이부재(50)가 상기 연통부재(4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기 때문에,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세척 및 청소가 용이하다.
제2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진공 블렌더의 단면구조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연통부재가 하강 및 상승한 상태의 일부 구조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된 제2실시예에 따른 진공 블렌더의 단면구조도이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연통부재(40)의 장착구조에 차이가 있는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통부재(40)는 상기 본체(1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또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통부재(40)는 전체 또는 타단이 상기 본체(1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거나, 상기 연통부재(40)의 타단이 하단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상기 연통부재(40)의 타단이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도시하였다.
위와 같은 상기 연통부재(40)의 운동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공(31)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연통부재(40)의 타단과 상기 배출공(31)이 상호 연통되거나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통부재(40)의 타단과 상기 배출공(31)의 상호 연통은 상기 제1실시예와 같이 상기 이물받이부재(50)를 통해 상호 연통되거나 차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물받이부재(50)가 상기 연통부재(40)에 결합되어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타단이 상기 연통로(41)에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연통부재(40)의 하강시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일단은 상기 배출공(31)에 연통되며, 상기 연통부재(40)의 상승시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일단은 상기 배출공(31)과의 연통이 분리된다.
이때, 상기 이물받이부재(50)는 상기 연통부재(40)에 단순히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고, 제1실시예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연통로(41)와 연통되는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타단은 상기 연통부재(40)의 상하방향 회전힌지모듈이 배치된 방향의 반대방향에서 상기 연통로(41)와 연통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연통부재(40)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물받이부재(50)에 수용된 미세물 등이 상기 연통로(41)를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연통부재(40)가 상기 본체(1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경우에는, 상기 탄성부재(35)는 상기 용기커버(30)의 상부 또는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하단에 장착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통부재(40)의 타단 하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탄성부재(35)가 상기 연통부재(40)의 타단 하부에 장착된 경우, 상기 연통부재(40)의 하강시 상기 탄성부재(35)의 하단은 상기 용기커버(30)의 상단과 접하여 상기 배출공(31)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키게 된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진공 블렌더의 단면구조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된 제3실시예에 따른 진공 블렌더의 단면구조도이다.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연통부재(40)의 장착구조에 차이가 있는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통부재(40)는 커버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커버 형태의 상기 연통부재(40)는 상기 분쇄용기(20) 및 용기커버(30)를 덮어 상기 분쇄용기(20)의 외주면을 외부로부터 차단한다.
그리고, 상기 연통부재(40)에 형성된 상기 연통로(41)는 커버 형태로 이루어진 상기 연통부재(40)를 따라 형성되어 있고, 그 구체적인 위치는 종래의 공지된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 형태로 이루어진 상기 연통부재(40)에는 상기 이물받이부재(50)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기 장착공(4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착공(42)에는 상기 배출공(31)과 연통되는 관통공(4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35)는 상기 용기커버(30)의 상부 또는 상기 장착공(42)의 하부에 장착되면서, 상기 배출공(31)과 관통공(46)의 둘레를 감싸도록 한다.
상기 이물받이부재(50)가 상기 장착공(42)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일단은 상기 관통공(46)을 통해 상기 배출공(31)과 연통되고,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타단은 상기 연통부재(40)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연통로(41)와 연통된다.
커버 형태로 이루어진 상기 연통부재(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 탈착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4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진공 블렌더의 단면구조도이다.
제4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연통부재(40)가 없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통로(41)는 상기 분쇄용기(20)와 용키커버(30)를 통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형성된 상기 연통로(41)는 상기 진공펌프(12)와 상기 용기커버(30)에 형성된 배출공(31)을 상호 연통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통부재(40)가 없기 때문에, 상기 이물받이부재(50)는 상기 용기커버(30)의 외부에서 상기 용기커버(3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이물받이부재(50)가 상기 용기커버(30)에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별도의 락킹부재가 필요할 수도 있다.
상기 이물받이부재(50)가 상기 용기커버(30)의 상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이물받이부재(50)의 일단은 상기 배출공(31)과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연통로(41)와 연통되게 된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5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진공블렌더의 단면구조도이고, 도 10은 도 9의 A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11은 도 9에서 이물받이부재가 하강 및 상승한 상태의 일부 구조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진공블렌더의 이물받이부재와 연통부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진공블렌더의 연통부재를 회전시킨 상태의 단면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진공블렌더는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와, 분쇄용기(20)와, 용기커버(30)와, 연통부재(40)와, 이물받이부재(150)와, 연결유로(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에는 모터(11)와 진공펌프(12)와 압력해제밸브 등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분쇄용기(20)는 상기 본체(10)에 결합되고,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믹싱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용기커버(30)는 상기 분쇄용기(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믹싱공간의 상부를 덮는다.
상기 용기커버(30)에는 상기 믹싱공간을 외부로 연통시키는 배출공(31)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공(31)에는 체크밸브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연통부재(40)는 일단이 상기 본체(10)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용기커버(30)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연통부재(40)는 도면에 도시된 형상 이외에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통부재(40)는 상기 분쇄용기(20)의 전부 또는 일부를 덮는 커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연통부재(40)의 상부에는 장착공(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물받이부재(15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커버(30)의 내부가 아닌 외부에서 상기 연통부재(40)의 장착공(42)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이물받이부재(150)는 음식물의 분쇄시 발생하는 미세물이 상기 배출공(31)을 통해 수용되는 수용부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공(42)의 내주면에는 다수개의 결합돌기(47)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돌기(47)에 상기 이물받이부재(150)의 외주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물받이부재(150)에는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1연통공(154)과 제2연통공(15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연통공(154)은 상기 이물받이부재(150)의 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연통공(155)은 상기 이물받이부재(150)의 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물받이부재(150)는, 하부에 상기 제1연통공(154)이 형성된 하부이물받이부(151)와, 상기 하부이물받이부(151)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이물받이부(15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연통공(154)은 상기 하부이물받이부(151)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연통공(155)은 상기 하부이물받이부(151)와 상부이물받이부(152)의 결합부위의 간극 또는 별도의 홀을 통해 형성된다.
상기 하부이물받이부(151)와 상부이물받이부(152)의 결합부위에는 가스켓이 장착되어 있으며, 둘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홀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홀이 상기 제2연통공(155)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연결유로(60)는 상기 연통부재(40)에 형성되고, 일단이 진공펌프(12)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장착공(42)에 장착된 상기 이물받이부재(150)와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65)은 상기 장착공(42)의 외곽에서 상기 연통부재(40)의 상면 외부로 노출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유로(60)은 타단은 상기 연통부재(40)의 상면을 통해 상방향으로 개방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연결유로(60)는 튜브만으로 이루어거나, 튜브와 사출물이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연결유로(60)는 상기 진공펌프(12)와 상기 연통부재(40)의 상면 외부를 서로 연결하여 연통시키는 것이면 충분하다.
이때,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65)에는 체크밸브 또는 립씰 등이 장착되어,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65)을 막아,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별도의 기구물을 설치 할 수도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물받이부재(150)를 상기 장착공(42)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제1연통공(154)은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배출공(31)과 연통되고, 상기 제2연통공(155)은 상기 연통부재(40)의 상부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연결유로(60)와 연통된다.
이로 인해, 상기 분쇄용기(20)의 내부는 상기 배출공(31), 제1연통공(154), 수용부, 제2연통공(155), 연결유로(60)를 통해 상기 진공펌프(12)와 연통되게 된다.
상기 연통부재(40)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65)은 상방향으로 개방 형성되면서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상기 연결유로(60의 타단은 사출물을 통해 상기 연통부재(40)의 상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65)은 상기 연통부재(40)의 상부에서 측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공기가 통하는 형태면 모두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이물받이부재(150)에는 외주방향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15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부(153)는 상기 이물받이부재(150)의 외측면에서 어느 일방향으로만 돌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플랜지부(153)는 상기 이물받이부재(150)의 외측면 전체의 둘레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이물받이부재(150)를 상기 장착공(42)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부(153)는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65)을 덮으면서 상기 이물받이부재(150)에 형성된 상기 제2연통공(155)이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65)과 연통되게 된다.
상기 이물받이부재(150)의 하부 부위와 상기 장착공(42)의 하부 내측면 사이에는 하부가스켓(71)이 배치되어, 상기 이물받이부재(150)가 상기 장착공(42)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가스켓(71)은 상기 이물받이부재(150)의 하부 외주면과 상기 장착공(42)의 하부 내측면 사이의 간극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킨다.
상기 하부가스켓(71)은 하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상기 분쇄용기(20)의 상면과 접하여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물받이부재(150)의 상부 부위와 상기 연통부재(40)의 상부 사이의 간극에는 상부가스켓(72)이 배치되어, 상기 이물받이부재(150)가 상기 장착공(42)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가스켓(72)은 상기 이물받이부재(150)의 상부 외주면과 상기 연통부재(40)의 상부 사이의 간극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가스켓(72)은 상기 연통부재(40)의 상부를 덮는 상기 플랜지부(153)와 상기 연통부재(40)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65)과 외부의 연통을 차단하여 외부 공기의 유출입이 차단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상기 하부가스켓(71)과 상부가스켓(72)에 의해, 상기 이물받이부재(150)가 상기 장착공(42)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이물받이부재(150)의 외면과 상기 장착공(42)의 내주면 사이에는 외부로부터 밀폐된 챔버유로(75)가 형성되게 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챔버유로(75)는 상기 하부가스켓(71)과 상부가스켓(72)의 위치 및 존재여부 등을 변경하여, 상기 이물받이부재(150)의 외면과 상기 장착공(42)의 내주면 사이에서 외부로부터 밀폐된 구조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챔버유로(75)는 상기 제2연통공(155) 및 연결유로의 타단(65)과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이물받이부재(150)가 상기 장착공(42)에 장착되어 상기 플랜지부(153)가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65)을 덮으면, 상기 플랜지부(153)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65)은 외부와 차단되면서 상기 챔버유로(75)를 통해 상기 제2연통공(155)과 연통되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제2연통공(155)과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65)이 직접 접하여 연통될 수도 있으나, 이럴 경우에는 상기 이물받이부재(150)의 내부에 수용된 미세물이 상기 제2연통공(155)을 통과하였을 때 곧바로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65)으로 이동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상기 제2연통공(155)과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65)이 직접 접하여 연통되지 않고, 상기 이물받이부재(150)의 외주면과 상기 장착공(42)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밀폐된 상기 챔버유로(75)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통됨으로서, 상기 이물받이부재(150)의 내부에 수용된 미세물이 상기 제2연통공(155)을 통과하였을 때 여러방향으로 고불고불하게 꺽인 상기 챔버유로(75)를 통해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65)으로 미세물이 이동하는 것을 더욱 차단할 수 있고, 상기 챔버유로(75)로 유입된 미세물이 상기 챔버유로(75)에 머물러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65)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챔버유로(75)의 간극은 공기만 이동하면 충분하기 때문에, 그 간격을 아주 작게 하여도 무방하고, 이럴 경우 간극이 작은 상기 챔버유로(75)를 통해 유체 상태의 미세물이 이동하는 것을 더욱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제2연통공(155)과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65)이 링 형상의 상기 챔버유로(75)를 통해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제2연통공(155)과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65)이 정확하게 접촉하여 맞지 않아도 상기 챔버유로(75)를 통해 연통되도록 할 수 있어, 부품의 제조 및 조립이 용이하다.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65)과 상기 제2연통공(155)의 연통이 보다 잘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이물받이부재(150)가 상기 장착공(42)에 장착되어 상기 플랜지부(153)가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65)을 덮었을 때, 상기 플랜지부(153)의 하면과 상기 연통부재(40)의 상면 사이에는 이동간극이 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65)은 상기 이동간극을 통해 상기 제2연통공(155)과 보다 쉽게 연통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플랜지부(153)의 하면에는 상방향으로 오목한 이동홈(156)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153)가 상기 연통부재(40)의 타단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이동홈(156)이 상기 이동간극을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이동홈(156)은 상기 플랜지부(153)의 하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아무 방향에서나 상기 이동홈(156)이 상기 연통부재(40)의 타단과 연통될 수 있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 상기 이동홈(156)은 상기 플랜지부(153)의 하면이 상기 연통부재(40)의 상면에서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이물받이부재(150)의 내부에는 상기 제1연통공(154)의 상방향으로 중공돌기(157)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공돌기(157)는 튜브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이물받이부재(150)의 내부에 그 길이를 가변시키면서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연통공(154) 및 중공돌기(157)를 통해 상기 수용부로 유입된 미세물은 상기 중공돌기(157)의 높이에 의해, 상기 제1연통공(154)을 통해 상기 용기커버(30)의 상면 또는 상기 분쇄용기(20)의 내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연통부재(40)는 상기 본체(1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승강되게 장착될 수도 있고, 힌지점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의 도면에서 상기 연통부재(40)는 힌지점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이물받이부재(150)에 형성된 상기 제2연통공(155)은 상기 이물받이부재(150)의 수직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힌지점의 반대방향에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2연통공(155)은 상기 힌지점의 가까운 방향이 아닌 먼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통부재(40)를 상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상기 이물받이부재(150)의 수용부에 수용된 미세물이 상기 제2연통공(155)을 통해 상기 연결유로(60)로 곧바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연통공(155)이 상기 힌지점의 가까운 쪽에 형성되게 되면, 상기 연통부재(40)를 상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상기 이물받이부재(150)의 수용부에 수용된 미세물이 중력에 의해 상기 제2연통공(155)을 통해 상기 연결유로(60)로 유입되게 되고, 이는 결국 진공펌프(12)로 유입되어 진공펌프(12)의 고장을 유발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제2연통공(155)이 상기 힌지점의 먼 위치 즉 이물받이부재(150)의 수직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힌지점의 반대방향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연통부재(40)를 상방향으로 회전시키더라도 상기 이물받이부재(150)의 수용부에 수용된 미세물이 상기 제2연통공(155)을 통해 상기 연결유로(60)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물받이부재(150)의 내부에 상기 중공돌기(157)가 없는 경우 상기 이물받이부재(150)의 수용된 미세물이 상기 제1연통공(154)을 통해 상기 분쇄용기(20)의 상부 또는 내부로 낙하되는 구조의 경우에는, 서로 다른 음식물을 분쇄할 경우 이물받이부재(150)에 존재하는 음식물의 미세물(잔유물)이 분쇄용기(20)의 내부로 낙하되어 서로 혼합될 수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음식물을 분쇄하고자 할 경우에는 반드시 매번 상기 이물받이부재(150)를 청소한 후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중공돌기(157)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연통공(155)이 상기 이물받이부재(150)의 수직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힌지점으로부터 먼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음식물을 분쇄할 경우 상기 이물받이부재(150)에 존재하는 음식물의 미세물(잔유물)이 상기 중공돌기(157)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에 축적되어 있으면 서로 다른 음식물을 분쇄하기 위해 상기 연통부재(40)를 여러번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더라도 상기 이물받이부재(150)에 존재하는 미세물이 상기 분쇄용기(20)의 내부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원발명은 서로 다른 음식물을 분쇄하더라도 상기 이물받이부재(150)를 매번 청소하지 않고 미세물이 일정 높이만큼 채워졌을 때 청소하면 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청소, 관리 작업 등에 편의성을 줄 수 있다.
상기 이물받이부재(150)의 내부에 수용되는 미세물이 상기 중공돌기(157)의 상단보다 밑에 있으면 상기 연통부재(40)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여러번 사용하더라도 미세물이 상기 제2연통공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물받이부재(150)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이물받이부재(150)의 내부에 수용되는 미세물의 양을 사용자가 쉽게 눈으로 볼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연결유로의 타단(65)이 상기 장착공(42)의 내부가 아닌 상기 연통부재(40) 상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이물받이부재(150)를 상기 연통부재(40)의 장착공(42)에서 분리하였을 때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65)이 외부로 잘 노출되어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65)을 보다 쉽게 청소할 수 있고, 상기 이물받이부재(150) 및 연결유로(60)를 통해 미세물이 이동하는 것도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물받이부재(150)의 내부로 유입된 미세물이 상기 연결유로(60)를 통해 진공펌프(12)로 유입되는 것을 진공챔버(75)를 이용하여 더욱 더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은 음식물을 분쇄시 발생하는 미세물이 상기 이물받이부재(150)에 수납되기 때문에 미세물이 진공펌프(12)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진공작업과 분쇄작업을 동시에 하여도 상기 이물받이부재(150)에서 미세물을 수납하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되지 않으며, 이로 인해 진공블렌더의 작동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상기 이물받이부재(150)가 상기 연통부재(4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기 때문에, 상기 이물받이부재(150)의 세척 및 청소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이물받이부재(150)의 제2연통공(155)과 연통되는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65)이 상기 연통부재(40)의 상부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청소 등이 더욱 용이하다.
한편, 상기 이물받이부재(150)의 내측에는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된 차단벽(158)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상기 차단벽(158)은 상부이물받이부(152)의 내측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차단벽(158)은 상기 하부이물받이부(151)의 상단보다 하방향으로 더 돌출되고, 상기 제2연통공(155)에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연통공(155)보다 하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차단벽(158)을 형성함으로서, 진공흡입력에 의하여 상기 이물받이부재(150)의 내부에 수용된 미세물이 상기 제2연통공(155)으로 넘어가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다.
제6실시예
도 14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진공블렌더의 이물받이부재(150)와 연통부재(40)의 주요 연결구조를 도시한 단면구조도이다.
제6실시예는 제5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제2연통공(155)에 차이가 있는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2연통공(155)은 상기 이물받이부재(150)의 측벽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물받이부재(150)가 상기 장착공(42)에 장착되어 상기 플랜지부(153)가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65)을 덮으면,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65)은 상기 이물받이부재(150)의 측벽을 관통하는 상기 제2연통공(155)과 연통된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5실시예와 동일 유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7실시예
도 15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진공블렌더의 이물받이부재와 연통부재의 주요 연결구조를 도시한 단면구조도이다.
제7실시예는 제5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상부가스켓(72)의 위치 및 연결유로의 타단(65)의 위치가 상이한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가스켓(72)은 상기 이물받이부재(150)의 상부 부위와 상기 장착공(42)의 상부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사이간극을 밀폐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이물받이부재(150)의 상부 부위는 다양한 위치가 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부(153)의 하면이 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플랜지부(153)의 하면과 상기 장착공(42)의 상부 내측면 사이에 상기 상부가스켓(72)이 배치되어 밀폐됨으로서, 상기 챔버유로(75)를 형성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 상기 이물받이부재(150)의 상부 부위 즉 상기 플랜지부(153)의 하면은 상기 연통부재(40)의 상면을 덮으면서 상기 플랜지부(153)의 하면과 상기 연통부재(40)의 상면 사이에 상기 상부가스켓(72)이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65)은 상기 장착공(42)을 향해 개방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연통공(155)은 상기 챔버유로(75)를 통해 상기 장착공(42)에 측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65)과 연통되게 된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5실시예와 동일 유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인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진공 블렌더에 적용하여 이용될 수 있기 때문에,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Claims (32)

  1. 모터와 진공펌프가 장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믹싱공간이 형성된 분쇄용기와;
    상기 분쇄용기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믹싱공간의 상부를 덮고, 배출공이 관통 형성된 용기커버와;
    상기 진공펌프와 상기 용기커버의 배출공을 상호 연통시키는 연통로와;
    일단이 상기 배출공에 연통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연통로에 연통 가능하게 결합되며, 음식물의 분쇄시 발생하는 미세물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된 이물받이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이물받이부재는 상기 용기커버의 외부에서 배치되고,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일단과 타단이 각각 상기 배출공과 연통로에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진공펌프의 작동시 상기 믹싱공간의 공기는 상기 배출공, 이물받이부재, 연통로를 통해 상기 진공펌프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용기커버의 외부에 배치된 상기 이물받이부재는 상기 용기커버에 대한 상대적 이동에 의해 일단이 상기 배출공과 연통되거나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2. 청구항1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용기커버의 상부에 배치된 연통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통로는 상기 연통부재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통부재에는 장착공이 형성되며,
    상기 이물받이부재는 상기 연통부재의 장착공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3.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이물받이부재는 상기 연통부재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이물받이부재가 상기 연통부재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하강시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일단은 상기 배출공에 연통되면서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타단은 상기 연통로에 연통되며,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상승시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일단은 상기 배출공과 분리되면서 연통이 차단되고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타단은 상기 연통로와 분리되면서 연통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4.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재는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또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이물받이부재가 상기 연통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타단이 상기 연통로에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연통부재의 하강시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일단은 상기 배출공에 연통되며, 상기 연통부재의 상승시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일단은 상기 배출공과의 연통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5.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용기커버의 상부에는 상기 배출공의 둘레를 따라 중공형상의 탄성부재가 장착되되,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하강시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은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하부에 형성된 일단과 접하여 상기 배출공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6.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하부에 형성된 일단에는 중공형상의 탄성부재가 장착되되,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하강시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은 상기 용기커버의 상단과 접하여 상기 배출공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7.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재는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연통부재의 타단의 하부에는 중공형상의 탄성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연통부재의 하강시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은 상기 용기커버의 상단과 접하여 상기 배출공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8.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타단과 연통되는 상기 연통로의 타단에는 하향 경사진 제1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타단에는 상기 제1경사면과 접하는 상향 경사진 제2경사면이 형성되되,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하강시 상기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이 접하여 상기 이물받이부재는 상기 연통로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9.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되는 상기 연통부재에는 투명창이 형성되어, 상기 투명창을 통해 상기 이물받이부재에 수용된 미세물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10.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이물받이부재를 상기 연통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락킹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11.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재는 상기 분쇄용기 및 용기커버를 덮어 상기 분쇄용기의 외주면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커버 형태로 이루어지되,
    커버 형태로 이루어진 상기 연통부재에는 상기 이물받이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기 장착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공에는 상기 배출공과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이물받이부재가 상기 장착공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일단은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배출공과 연통되고,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타단은 상기 연통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연통로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1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연통로는 상기 분쇄용기와 용기커버를 통해 형성되어, 상기 진공펌프와 상기 배출공을 상호 연통시키되,
    상기 이물받이부재는 상기 용기커버의 외부에서 상기 용기커버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이물받이부재가 상기 용기커버의 상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일단은 상기 배출공과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연통로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1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내부 하면에는 상기 배출공과 연통되는 중공돌기가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중공돌기의 상단은 상기 수용부에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14. 청구항13에 있어서,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내부에는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된 차단판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차단판의 하단은 상기 중공돌기의 상단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15.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상기 연통부재는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통로와 연통되는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타단은 상기 연통부재의 상하방향 회전힌지모듈이 배치된 방향의 반대방향에서 상기 연통로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16. 모터와 진공펌프가 장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믹싱공간이 형성된 분쇄용기와;
    상기 분쇄용기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믹싱공간의 상부를 덮고, 배출공이 관통 형성된 용기커버와;
    일단이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용기커버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부에 장착공이 형성된 연통부재와;
    상기 연통부재 장착공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음식물의 분쇄시 발생하는 미세물이 상기 배출공을 통해 수용되는 수용부가 내부에 형성되며,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1연통공과 제2연통공이 각각 형성된 이물받이부재와;
    상기 연통부재에 형성되고, 일단이 진공펌프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장착공의 외곽에서 상기 연통부재의 상면 외부로 노출되는 연결유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연통공은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연통공은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측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이물받이부재를 상기 장착공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제1연통공은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배출공과 연통되고, 상기 제2연통공은 상기 연통부재 상부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블렌더.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은 상방향으로 개방 형성되면서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이물받이부재에는 외주방향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되,
    상기 이물받이부재를 상기 장착공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을 덮으면서 상기 이물받이부재에 형성된 상기 제2연통공이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블렌더.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이물받이부재는,
    하부에 상기 제1연통공이 형성된 하부이물받이부와;
    상기 하부이물받이부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이물받이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연통공은 상기 하부이물받이부와 상부이물받이부의 결합부위의 간극을 통해 형성되고,
    상기 이물받이부재가 상기 장착공에 장착되어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을 덮으면,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은 상기 제2연통공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블렌더.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이물받이부재가 상기 장착공에 장착되어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을 덮었을 때, 상기 플랜지부의 하면과 상기 연통부재 상면 사이에는 이동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은 상기 이동간극을 통해 상기 제2연통공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블렌더.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하면에는 상방향으로 오목한 이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연통부재 타단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이동홈이 상기 이동간극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블렌더.
  21.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2연통공은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측벽을 관통하여 형성되되,
    상기 이물받이부재가 상기 장착공에 장착되어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을 덮으면,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은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측벽을 관통하는 상기 제2연통공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블렌더.
  22.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제1연통공의 상방향으로 중공돌기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제1연통공 및 중공돌기를 통해 상기 수용부로 유입된 미세물은 상기 중공돌기에 의해 상기 제1연통공을 통해 상기 분쇄용기의 내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블렌더.
  23.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재는 힌지점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이물받이부재에 형성된 상기 제2연통공은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수직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힌지점의 반대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블렌더.
  24.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이물받이부재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블렌더.
  25.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내측에는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된 차단벽이 형성되되,
    상기 차단벽은 상기 제2연통공에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연통공보다 하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블렌더.
  26. 모터와 진공펌프가 장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믹싱공간이 형성된 분쇄용기와;
    상기 분쇄용기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믹싱공간의 상부를 덮고, 배출공이 관통 형성된 용기커버와;
    일단이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용기커버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부에 장착공이 형성된 연통부재;
    상기 연통부재 장착공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음식물의 분쇄시 발생하는 미세물이 상기 배출공을 통해 수용되는 수용부가 내부에 형성되며,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1연통공과 제2연통공이 각각 형성된 이물받이부재와;
    상기 연통부재에 형성되고, 일단이 진공펌프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장착공이 장착된 상기 이물받이부재와 연통되는 연결유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연통공은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연통공은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측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이물받이부재를 상기 장착공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외면과 상기 장착공의 내주면 사이에는 외부로부터 밀폐된 챔버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1연통공은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배출공과 연통되며, 상기 제2연통공은 상기 챔버유로를 통해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블렌더.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하부 부위와 상기 장착공의 하부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사이간극을 밀폐시키는 하부가스켓과;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상부 부위와 상기 연통부재의 상부 사이 또는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상부 부위와 상기 장착공의 상부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사이간극을 밀폐시키는 상부가스켓;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이물받이부재를 상기 장착공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하부가스켓과 상부가스켓에 의해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외면과 상기 장착공의 내주면 사이에는 외부로부터 밀폐된 상기 챔버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블렌더.
  28.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은 상기 장착공의 외곽에서 상기 연통부재의 상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일부가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은 상기 챔버유로를 통해 상기 제2연통공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블렌더.
  29.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은 상기 장착공을 향해 개방 형성되어 상기 챔버유로를 통해 상기 제2연통공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블렌더.
  30.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내측에는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된 차단벽이 형성되되,
    상기 차단벽은 상기 제2연통공에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연통공보다 하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블렌더.
  31.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이물받이부재는,
    하부에 상기 제1연통공이 형성된 하부이물받이부와;
    상기 하부이물받이부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이물받이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연통공은 상기 하부이물받이부와 상부이물받이부의 결합시 그 결합부위의 간극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블렌더.
  32.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재는 힌지점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이물받이부재에 형성된 상기 제2연통공은 상기 이물받이부재의 수직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힌지점의 반대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블렌더.
PCT/KR2022/007148 2021-05-20 2022-05-19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WO2022245141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280035441.8A CN117377417A (zh) 2021-05-20 2022-05-19 装配异物接收件的真空破壁机
EP22804994.6A EP4338646A1 (en) 2021-05-20 2022-05-19 Vacuum blender having foreign body catching member mounted thereon
US18/510,615 US20240090707A1 (en) 2021-05-20 2023-11-15 Vacuum blender having foreign body catching member mounted thereon and foreign body catching member for vacuum blen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118 2021-05-20
KR1020210065118A KR102371439B1 (ko) 2021-05-20 2021-05-20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KR10-2021-0165582 2021-11-26
KR1020210165582A KR102507566B1 (ko) 2021-11-26 2021-11-26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블렌더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8/510,615 Continuation US20240090707A1 (en) 2021-05-20 2023-11-15 Vacuum blender having foreign body catching member mounted thereon and foreign body catching member for vacuum blen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45141A1 true WO2022245141A1 (ko) 2022-11-24

Family

ID=84140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7148 WO2022245141A1 (ko) 2021-05-20 2022-05-19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090707A1 (ko)
EP (1) EP4338646A1 (ko)
WO (1) WO2022245141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5163A (ko) * 2014-06-18 2015-12-29 씨티엠(주) 진공 믹서기 및 그 작동 방법
KR101804162B1 (ko) * 2016-11-17 2017-12-04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블렌더
KR20190019690A (ko) 2017-08-18 2019-02-27 씨티엠(주) 역류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 믹서기용 저장 용기
KR102102978B1 (ko) * 2018-09-05 2020-04-21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이물질 트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
KR20210048914A (ko) * 2019-10-24 2021-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렌더
KR102371439B1 (ko) * 2021-05-20 2022-03-08 안중근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5163A (ko) * 2014-06-18 2015-12-29 씨티엠(주) 진공 믹서기 및 그 작동 방법
KR101804162B1 (ko) * 2016-11-17 2017-12-04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블렌더
KR20190019690A (ko) 2017-08-18 2019-02-27 씨티엠(주) 역류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 믹서기용 저장 용기
KR102102978B1 (ko) * 2018-09-05 2020-04-21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이물질 트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
KR20210048914A (ko) * 2019-10-24 2021-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렌더
KR102371439B1 (ko) * 2021-05-20 2022-03-08 안중근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38646A1 (en) 2024-03-20
US20240090707A1 (en) 2024-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204648A1 (ko) 진공블렌더
WO2016137172A1 (ko) 세탁기
WO2016114523A1 (en) Dust collecting apparatus
WO2017171500A1 (ko) 청소기
WO2017171501A1 (ko) 청소기
WO2018074852A1 (ko) 로봇 청소기
WO2021080166A1 (ko) 블렌더
WO2016126086A1 (en) Dish washer
WO2015008943A1 (ko) 전기밥솥
WO2019146923A1 (ko) 청소기
WO2019022398A1 (ko) 진공블렌더
WO2022245141A1 (ko)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WO2019088674A1 (ko) 착즙 드럼 및 이를 이용한 착즙기
WO2022065906A1 (ko) 청소기
WO2017074140A1 (ko) 가습청정장치
WO2019156353A1 (ko) 즙 배출 캡, 즙 배출 어셈블리 및 착즙기
WO2021010779A1 (ko)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
WO2020218878A1 (en) Dishwasher
WO2020122630A1 (en) Dishwasher
WO2021162407A1 (en) Dishwasher
WO2020226459A1 (ko) 블렌더
WO2021071103A1 (ko) 블렌더
WO2021071104A1 (ko) 블렌더
WO2022050765A1 (ko) 조리기
WO2019031897A1 (ko)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0499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80035441.8

Country of ref document: C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804994

Country of ref document: EP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804994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3121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