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9398A - 특장 차량용 디지털 록킹장치 및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특장 차량용 디지털 록킹장치 및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9398A
KR20230059398A KR1020210143535A KR20210143535A KR20230059398A KR 20230059398 A KR20230059398 A KR 20230059398A KR 1020210143535 A KR1020210143535 A KR 1020210143535A KR 20210143535 A KR20210143535 A KR 20210143535A KR 20230059398 A KR20230059398 A KR 20230059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device
locking
housing
operating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3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양진
Original Assignee
김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양진 filed Critical 김양진
Priority to KR1020210143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9398A/ko
Publication of KR20230059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93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6Electrical using rotary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6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locking elements for locking or unlock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 E05B81/34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of geared transmis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6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80Electrical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 power supply; Emergency power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02Locks for railway freight-cars, freight containers or the like; Locks for the cargo compartments of commercial lorries, trucks or vans
    • E05B83/08Locks for railway freight-cars, freight containers or the like; Locks for the cargo compartments of commercial lorries, trucks or vans with elongated bars for actuating the fastening means
    • E05B83/10Rotary ba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9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containing active electronic elements, e.g. smartc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4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downwar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장 차량용 디지털 록킹장치 및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키를 사용하여 직접 잠금장치를 잠그거나 해정하지 않아도 되므로 양손에 물건을 든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도어를 잠그거나 해정할 수 있으며 도어를 잠그거나 해정하는데 사용되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특장 차량용 디지털 록킹장치 및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특장차의 도어 일측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특장차의 도어에 구비되는 핸들을 고정하기 위한 록킹 후크와, 상기 록킹 후크의 후부를 지지하여 잠금 및 해정하는 록커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록커부재를 제어하는 작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특장 차량용 디지털 록킹장치 및 작동방법{digital door locking device for special vehicle and operation method}
본 발명은 특장 차량용 디지털 록킹장치 및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키를 사용하여 직접 잠금장치를 잠그거나 해정하지 않아도 되므로 양손에 물건을 든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도어를 잠그거나 해정할 수 있으며 도어를 잠그거나 해정하는데 사용되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특장 차량용 디지털 록킹장치 및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적재된 내용물을 안정적으로 보존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장차의 도어(D2')에는 핸들(2')을 고정하기 위한 도어록킹장치(3')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도어록킹장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중심축이 내설된 압착스프링에 의해 탄지(彈指)되어 동작되는 록킹 후크와, 하우징의 타측에 설치되어 키(Key)에 의해 해제 및 잠금를 실시하는 잠금쇠와, 잠금쇠의 말단에 연결되어 잠금쇠의 잠금 및 해제에 의해 회동하여 록킹 후크의 동작을 제어하며 일정단면의 캠형상을 갖는 록커플레이트와, 이 록커플레이트의 회동 조절 및 회동의 절도성을 도모하기 위해 하우징에 결합되어 록커플레이트의 캠형상에 부합하는 걸림부재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통상의 도어록킹장치에는 록킹 후크가 안정적으로 탄성지지될 수 있도록 압착스프링에는 중심축이 내설되어야 하며, 록킹 후크의 동작을 제어하는 록커플레이트에는 회동을 조절하기 위해 하우징에 결합되며 록커플레이트 일측의 캠형상의 면에 부합되도록 연결되는 걸림부재를 구비되어야 함으로, 결합관계가 복잡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잠금쇠가 외부에 노출됨으로써, 잠금쇠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묻거나 키홈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오작동의 우려가 있으며, 충돌 등의 외부충격으로부터 잠금쇠를 보호가 곤란하여 외부충격시 잠금쇠가 파손될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07400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특장차의 도어를 록킹 및 해제하는 특장차용 도어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킹장치는, 도어에 장착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힌지회동되게 결합되는 록킹 후크(60)와, 상기 록킹 후크(60)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지지대에 연결되어 상기 록킹 후크(60)를 탄성지지하는 후크탄성부재(90)로 이루어진 잠금부(12)와; 상기 하우징(10)의 타측에 힌지회동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대(80)에 연결되는 덮개탄성부재(90')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덮개(70)와, 상기 덮개(70)에 의해 덮혀지는 상기 하우징(10)의 타측 외부면을 관통하여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소켓(23)과, 상기 소켓(23)에 안착되고 하단에는 회동가능하게 돌출되는 돌출회동구(43)가 배치되는 잠금쇠(40)와, 상기 록킹 후크(60)의 단부에 간섭되도록 일측이 배치되고 타측은 돌출회동구(43)에 일체로 회동되게 장착되는 록커플레이트(50)로 이루어진 제어부(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07400호에 기재된 기술은 잠금쇠(40)의 외부 노출을 제한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잠금쇠(40)를 보호함과 동시에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잠그는 과정과 해정하는 과정 모두 사용자가 직접 키를 사용하여 잠금쇠(40)를 조작하여야만 하므로 상당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07400호(2003.03.03.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장차의 도어에 구비되는 핸들을 고정하기 위한 록킹장치에서 록커부재를 구동모터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잠그거나 해정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처럼 사용자가 직접 키 등을 사용하여 잠그거나 해정하지 않아도 되므로 양손에 물건을 든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도어를 잠그거나 해정할 수 있는 특장 차량용 디지털 록킹장치 및 작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지털 방식으로 특장차의 도어를 잠그거나 해정하는 과정에서 배터리가 방전될 경우, 키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개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우징의 외측에 태양광 패널을 구비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특장 차량용 디지털 록킹장치 및 작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특장차의 도어 일측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특장차의 도어에 구비되는 핸들을 고정하기 위한 록킹 후크와, 상기 록킹 후크의 후부를 지지하여 잠금 및 해정하는 록커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록커부재를 제어하는 작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록커부재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기어와 접하여 회전하는 피동기어와, 상기 록커부재의 외주면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록킹 후크의 후부를 지지하는 록킹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작동부에 의해 상기 록킹 후크를 작동시키는 작동 링크부가 더 설치되되, 상기 작동 링크부는 상기 록커부재의 외주면에 상기 록킹 지지부와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연결돌부와, 상기 록킹 후크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작동바와, 일측 단부는 상기 연결돌부의 단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작동바의 단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링크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작동바의 단부에는 볼형상으로 형성되는 링크볼이 설치되고, 상기 링크바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링크볼이 삽입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타측 단부에는 상기 연결돌부에 설치되는 연결축이 삽입되는 장공 형상의 제어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록킹 지지부의 측부에는 제1감지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돌부의 측부에는 제2감지돌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의 상면에는 상기 구동기어의 양측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2감지돌부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 감지 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의 전부 일측에는 상기 핸들의 접촉을 감지하는 감지핀이 돌출되고,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감지핀을 감지하기위한 접촉 감지 센서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핸들의 접촉이 감지되면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자동으로 잠금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록킹 후크는 길이방향 일측에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회전축이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는 후크 수용부에 상기 회전축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록킹 후크는 상기 회전축에서 이격되도록 리미트바가 양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후크 수용부의 양측에는 상기 리미트바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배터리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는 태양광 패널이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로 전원을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작동 방법을 보면, 특장 차량용 디지털 록킹장치의 제어부에서 등록한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키를 인식하는 인식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키를 인식한 시점에 상기 특장 차량용 디지털 록킹장치의 접촉 감지 센서를 통하여 상기 특장 차량용 디지털 록킹장치와 핸들의 접촉 여부와 위치 감지 센서의 감지 정보를 통하여 잠금 상태인지 해정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 상기 제어부가 잠금 상태로 판단할 경우 해정 상태로 전환하는 작동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핸들이 접촉한 상태이고 상기 위치 감지 센서는 잠금 위치로 판단한 경우에는 잠금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핸들이 비접촉 상태이고 상기 위치 감지 센서는 해정 위치로 판단한 경우에는 해정 상태로 판단하며, 상기 핸들이 접촉한 상태이고 상기 위치 감지 센서는 해정 위치로 판단한 경우에는 오류로 판단하여 경고음을 발생하도록 하고, 상기 핸들이 비접촉 상태이고 상기 위치 감지 센서는 잠금 위치로 판단한 경우에는 오류로 판단하여 경고음을 발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판단 단계에서 해정 상태로 판단한 이후에 상기 핸들의 접촉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작동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구동 모터를 동작시켜 해정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특장차의 도어에 구비되는 핸들을 고정하기 위한 록킹장치에서 록커부재를 구동모터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잠그거나 해정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처럼 사용자가 직접 키 등을 사용하여 잠그거나 해정하지 않아도 되므로 양손에 물건을 든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도어를 잠그거나 해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디지털 방식으로 특장차의 도어를 잠그거나 해정하는 과정에서 배터리가 방전될 경우, 키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개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우징의 외측에 태양광 패널을 구비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특장 차량용 도어락의 상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특장 차량용 도어락의 상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특장 차량용 도어락의 하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특장 차량용 디지털 록킹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특장 차량용 디지털 록킹장치의 감지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특장 차량용 디지털 록킹장치의 하우징 및 배터리 케이스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특장 차량용 디지털 록킹장치의 하우징 및 배터리 케이스를 분리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특장 차량용 디지털 록킹장치의 작동부 및 작동 링크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특장 차량용 디지털 록킹장치의 록킹 후크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특장 차량용 디지털 록킹장치의 리미트바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특장 차량용 디지털 록킹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택배 차량 등과 같은 특장 차량에 설치하는 특장 차량용 디지털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4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특장차의 도어 일측에 설치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특장차의 도어에 구비되는 핸들을 고정하기 위한 록킹 후크(200)와 상기 록킹 후크(200)의 하부 일측을 지지하여 잠금 및 해정하는 록커부재(130)와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록커부재(130)를 제어하는 작동부(17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록킹 후크(200)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후부에 치우치는 위치에 회전축(210)이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100)에는 상기 록킹 후크(200)가 수용되는 후크 수용부(110)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후크 수용부(110)의 길이방향 일측에 상기 회전축(210)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록커부재(130)는 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상기 작동부(170)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록킹 후크(200)의 하단부 전방을 지지하여 록킹 후크(200)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핸들을 고정하여 임의로 도어를 개방하지 못하도록 한다.
그래서, 상기 작동부(170)는 디지털식으로 작동하여 도 1 내지 도 3의 종래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키를 사용하여 잠금 또는 해정하지 않고 디지털 방식으로 상기 작동부(170)를 제어하여 용이하게 잠금 및 해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작동부(17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72)와 상기 구동모터(172)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기어(174)와 상기 록커부재(130)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는 피동기어(132)와 상기 록커부재(130)의 외주면 타측에 형성되는 록킹 지지부(13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록킹 지지부(134)는 상기 록커부재(130)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후 후방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피동기어(132)는 상기 구동기어(174)와 접하여 상기 구동모터(172)에 의해 회전하게 되며, 상기 록킹 지지부(134)는 상기 구동모터(172)에 의해 록커부재(130)가 회전할 때, 같이 회전하여 상기 록킹 후크(200)의 하부에 형성되는 록킹판(230)의 전방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록킹 지지부(134)가 상기 록킹 후크(200)의 후부에 형성되는 록킹판(230)의 전방을 지지할 때는 상기 록킹 후크(200)가 임의로 회전하지 못하여 잠금상태가 되며, 상기 록킹 지지부(134)가 회전하여 상기 록킹판(230)의 전방이 비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록킹 후크(200)가 회전축(210)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어 해정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는 상기 작동부(170)에 의해 상기 록킹 후크(200)를 작동시키는 작동 링크부(30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작동 링크부(300)는 상기 작동부(170)에 의해 상기 록킹 후크(200)를 회전시켜 사용자가 용이하게 핸들을 상기 록킹 후크(200)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작동 링크부(300)는 상기 록커부재(130)의 외주면에 상기 록킹 지지부(134)와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연결돌부(136)와 상기 록킹 후크(200)의 하부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작동바(250)와 일측 단부는 상기 연결돌부(136)의 단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작동바(250)의 단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링크바(3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작동바(250)의 단부에는 볼형상으로 형성되는 링크볼(260)이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링크바(310)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링크볼(260)이 삽입 결합되는 결합공(312)이 형성될 수 있고, 타측 단부에는 상기 연결돌부(136)에 설치되는 연결축(137)이 삽입되는 장공 형상의 제어공(31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작동부(170)에 의해 상기 록커부재(13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연결돌부(136)가 회전하게 되고, 연결돌부(136)가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링크바(310)가 밀려지거나 당겨지게 되는데, 상기 링크바(310)의 단부에 연결되는 작동바(250)가 당겨지거나 밀려지게 됨으로써, 상기 록킹 후크(200)가 회전축(210)을 기준으로 전방 또는 후방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록킹 후크(200)의 잠금 및 해정 상태를 제어할 뿐만 아니라 직접 회전시키게 되어 상기 록킹 후크(200)의 단부에 형성되는 후크부(220)는 상기 록킹 후크(20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부로 이동하거나 하부로 이동하여 핸들을 고정하거나 풀어주게 되며, 그에 따라 사용자는 별도로 손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양손에 물건을 들고 있는 상태로도 본원 발명의 록킹장치를 용이하게 잠금 및 해정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공(314)이 장공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잠금 상태에서 상기 록커부재(13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링크바(310)가 즉시 당겨주게 되는데, 이 시점에는 아직 상기 록킹 지지부(134)가 록킹판(230)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회전하지 못하게 되어 작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제어공(314)를 장공 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록킹 지지부(134)가 회전하여 상기 록킹판(230)에서 완전히 벗어날 때까지 상기 링크바(310)가 작동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록킹 지지부(134)가 록킹판(230)을 지지하지 않는 시점에서 링크바(310)가 록킹 후크(200)를 당겨주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해정 작용을 수행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는 제어부(120)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구동모터(172)를 제어하여 상기 록킹 후크(200)의 잠금 및 해정 상태를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록킹 지지부(134)의 측부는 제1감지돌부(133)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연결돌부(136)의 측부에는 제2감지돌부(135)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어부(120)의 상부에는 상기 구동기어(174)의 양측부에 위치하도록 한 쌍의 위치 감지 센서(122)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록커부재(13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감지돌부(133)와 제2감지돌부(135)는 상기 구동기어(174)의 양측에 위치하는 상기 위치 감지 센서(122)에 각각 삽입되게 된다.
그래서, 상기 위치 감지 센서(122)에서 상기 제1감지돌부(133) 또는 제2감지돌부(135)를 감지하게 됨으로써, 상기 록커부재(130)의 회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잠금 상태인지 해정 상태인지를 정확하게 판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후부에는 작동 노브(126)가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작동 노브(126)은 제어부(120)와 연결되어 본 발명의 록킹장치의 잠금 및 해정을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20)에는 외부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미도시)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등록한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키 등이 인접하게 되면 이를 자동으로 인식하게 되며, 인식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작동 노브(126)를 터치하면 잠금 사태에서는 해정 상태로 변경하게 되고, 해정 상태에서는 잠금 상태로 변경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통신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NFC 통신, 비콘, 블루투스 등의 공지된 다양한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 일측에는 감지핀(140)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감지핀(140)은 핀 형상으로 형성되어 도어에 설치된 상기 핸들의 접촉을 감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감지핀(140)은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상기 제어부(120)에는 상기 감지핀(140)의 상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접촉 감지 센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핸들이 접촉되어 상기 감지핀(140)이 하방으로 이동하여 이를 상기 접촉 감지 센서에서 감지하게 되면 상기 구동모터(172)를 제어하여 해정된 상태에서 자동으로 잠금상태로 전환시키게 되며, 상기 핸들이 본 발명의 록킹장치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감지핀(140)이 하우징(100)의 상방으로 돌출되게 된다.
그래서, 사용자는 록킹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 도어의 핸들만 회전시켜 록킹장치에 접하도록 하면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구동모터(172)를 제어하여 상기 록킹 후크(200)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후크부(220)가 핸들이 풀리지 않도록 고정할 뿐만 아니라 상기 록커부재(130)를 회전시켜 상기 록킹 후크(200)가 임의로 회전하지 않도록 잠금 상태로 전환하게 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 형성되는 상기 후크 수용부(110)에는 상기 록킹 후크(200)의 회전축(210)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록킹 후크(200)에는 상기 회전축(210)과 길이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리미트바(240)가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에 형성된 상기 후크 수용부(110)의 양측에는 상기 리미트바(240)가 삽입되는 가이드홈(112)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가이드홈(112)은 전후 방향으로 긴 장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작동부(170) 및 작동 링크부(300)에 의해 상기 록킹 후크(200)가 회전할 때, 상기 리미트바(240)가 상기 가이드홈(112)을 따라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록킹 후크(200)가 과도하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록커부재(130)의 상부에는 록커 부재(130)에 잠금쇠(180)가 고정 설치되는데, 상기 잠금쇠(180)의 단부에는 키가 삽입되는 키홈(182)이 형성되어 상기 작동부(170)에 의해 자동으로 잠금 및 해정할 수 없을 경우 수동으로 잠금 및 해정을 진행하게 된다.
즉,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상기 제어부(120) 및 구동모터(172)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미도시)가 구비되는데, 상기 배터리는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배터리 케이스(150)의 내부에 수용된다.
이때, 상기 배터리가 모두 방전된 경우나 상기 제어부(120)나 구동모터(172)가 손상된 경우에는 자동으로 제어할 수 없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수동으로 키를 사용하여 직접 잠금 및 해정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에는 보호 커버(160)가 더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보호 커버(160)는 상기 하우징(100) 및 록킹 후크(200)를 모두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외부에서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력에 의해 록킹 후크(20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보호 커버(160)에는 전술한 작동 노브(126)를 작동시키기 위한 레버(162)가 더 설치될 수 있는데, 레버(162)와 상기 작동 노브(126) 사이를 연결하는 구성은 다양한 구성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레버(162)를 터치하면 제어부(120)에 구비된 통신모듈이 사용자가 등록한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키가 맞는지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에는 태양광 패널(미도시)이 더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태양광 패널은 태양빛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여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배터리(미도시)를 충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태양광 패널은 하우징(100)의 외측인 배터리 케이스(150)의 표면에 설치되거나, 전술한 다른 실시 예인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보호 커버(160)의 표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태양광 패널이 설치되면 배터리를 충전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전력소비가 많은 제어부(120)에 구비된 통신모듈 및 구동모터(172)를 상시로 구동할 수 있고, 사용자가 레버(162)를 터치하지 않아도 사용자가 등록한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키가 맞는지 판단하여 잠금 상태에서 해정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작동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작동 방법을 보면, 특장 차량용 디지털 록킹장치의 제어부(120)에서 등록한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키를 인식하는 인식 단계와 상기 제어부(120)에서 상기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키를 인식한 시점에 접촉 감지 센서를 통하여 특장 차량용 디지털 록킹장치와 핸들의 접촉 여부와 위치 감지 센서(122)의 감지 정보를 통하여 잠금 상태인지 해정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와 상기 제어부(120)가 잠금 상태로 판단할 경우 해정 상태로 전환하는 작동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특장 차량용 디지털 록킹장치와 핸들이 접촉한 상태이고 상기 위치 감지 센서(122)는 잠금 위치로 판단한 경우에는 잠금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특장 차량용 디지털 록킹장치와 핸들이 비접촉 상태이고 상기 위치 감지 센서(122)는 해정 위치로 판단한 경우에는 해정 상태로 판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특장 차량용 디지털 록킹장치와 핸들이 접촉한 상태인데, 상기 위치 감지 센서(122)는 해정 위치로 판단한 경우에는 잠금 상태가 되어야 하는데 해정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오류로 판단하여 스피커(미도시)를 통하여 경고음을 발생하도록 하고, 상기 특장 차량용 디지털 록킹장치와 핸들이 비접촉 상태인데, 상기 위치 감지 센서(122)는 잠금 위치로 판단한 경우에는 해정된 상태여야 하는데 잠금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오류로 판단하여 스피커를 통하여 경고음을 발생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이에 대응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판단 단계에서 해정 상태로 판단한 이후에 사용자가 핸들을 회전시켜 본 발명의 특장 차량용 디지털 록킹장치에 접하도록 하면, 상기 접촉 감지 센서에서 상기 특장 차량용 디지털 록킹장치와 핸들의 접촉이 감지하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작동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20)가 상기 구동모터(172)를 동작시켜 해정 상태에서 자동으로 잠금 상태로 전환하도록 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특장차의 도어에 구비되는 핸들을 고정하기 위한 록킹장치에서 록커부재를 구동모터(172)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잠그거나 해정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처럼 사용자가 직접 키 등을 사용하여 잠그거나 해정하지 않아도 되므로 양손에 물건을 든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도어를 잠그거나 해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장 차량용 디지털 록킹장치 및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키를 사용하여 직접 잠금장치를 잠그거나 해정하지 않아도 되므로 양손에 물건을 든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도어를 잠그거나 해정할 수 있으며 도어를 잠그거나 해정하는데 사용되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특장 차량용 디지털 록킹장치 및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100 : 하우징 110 : 후크 수용부
120 : 제어부 130 : 록커부재
140 : 감지핀 150 : 배터리 케이스
160 : 보호 커버 170 : 작동부
180 : 자금쇠 200 : 록킹 후크
210 : 회전축 220 : 후크부
230 : 록킹판 240 : 리미트바
250 : 작동바 260 : 링크볼
300 : 작동 링크부 310 : 링크바

Claims (11)

  1. 특장차의 도어 일측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특장차의 도어에 구비되는 핸들을 고정하기 위한 록킹 후크와,
    상기 록킹 후크의 후부를 지지하여 잠금 및 해정하는 록커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록커부재를 제어하는 작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 차량용 디지털 록킹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록커부재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기어와 접하여 회전하는 피동기어와,
    상기 록커부재의 외주면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록킹 후크의 후부를 지지하는 록킹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 차량용 디지털 록킹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작동부에 의해 상기 록킹 후크를 작동시키는 작동 링크부가 더 설치되되,
    상기 작동 링크부는 상기 록커부재의 외주면에 상기 록킹 지지부와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연결돌부와,
    상기 록킹 후크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작동바와,
    일측 단부는 상기 연결돌부의 단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작동바의 단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링크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 차량용 디지털 록킹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바의 단부에는 볼형상으로 형성되는 링크볼이 설치되고,
    상기 링크바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링크볼이 삽입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타측 단부에는 상기 연결돌부에 설치되는 연결축이 삽입되는 장공 형상의 제어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 차량용 디지털 록킹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록킹 지지부의 측부에는 제1감지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돌부의 측부에는 제2감지돌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의 상면에는 상기 구동기어의 양측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2감지돌부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 감지 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 차량용 디지털 록킹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전부 일측에는 상기 핸들의 접촉을 감지하는 감지핀이 돌출되고,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감지핀을 감지하기 위한 접촉 감지 센서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핸들의 접촉이 감지되면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자동으로 잠금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 차량용 디지털 록킹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후크는 길이방향 일측에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회전축이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는 후크 수용부에 상기 회전축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록킹 후크는 상기 회전축에서 이격되도록 리미트바가 양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후크 수용부의 양측에는 상기 리미트바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 차량용 디지털 록킹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배터리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는 태양광 패널이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로 전원을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 차량용 디지털 록킹장치.
  9. 특장 차량용 디지털 록킹장치의 제어부에서 등록한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키를 인식하는 인식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키를 인식한 시점에 특장 차량용 디지털 록킹장치의 접촉 감지 센서를 통하여 상기 특장 차량용 디지털 록킹장치와 핸들의 접촉 여부와 위치 감지 센서의 감지 정보를 통하여 잠금 상태인지 해정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
    상기 제어부가 잠금 상태로 판단할 경우 해정 상태로 전환하는 작동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 차량용 디지털 록킹장치의 작동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핸들이 접촉한 상태이고 상기 위치 감지 센서는 잠금 위치로 판단한 경우에는 잠금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핸들이 비접촉 상태이고 상기 위치 감지 센서는 해정 위치로 판단한 경우에는 해정 상태로 판단하며,
    상기 핸들이 접촉한 상태이고 상기 위치 감지 센서는 해정 위치로 판단한 경우에는 오류로 판단하여 경고음을 발생하도록 하고,
    상기 핸들이 비접촉 상태이고 상기 위치 감지 센서는 잠금 위치로 판단한 경우에는 오류로 판단하여 경고음을 발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 차량용 디지털 록킹장치의 작동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에서 해정 상태로 판단한 이후에 상기 핸들의 접촉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작동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가 구동 모터를 동작시켜 해정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 차량용 디지털 록킹장치의 작동방법.
KR1020210143535A 2021-10-26 2021-10-26 특장 차량용 디지털 록킹장치 및 작동방법 KR202300593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535A KR20230059398A (ko) 2021-10-26 2021-10-26 특장 차량용 디지털 록킹장치 및 작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535A KR20230059398A (ko) 2021-10-26 2021-10-26 특장 차량용 디지털 록킹장치 및 작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9398A true KR20230059398A (ko) 2023-05-03

Family

ID=86380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3535A KR20230059398A (ko) 2021-10-26 2021-10-26 특장 차량용 디지털 록킹장치 및 작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939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7400Y1 (ko) 2002-12-18 2003-03-15 (주)천지테크 특장차용 도어록킹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7400Y1 (ko) 2002-12-18 2003-03-15 (주)천지테크 특장차용 도어록킹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18294A1 (en) Anti-theft lock for two-wheel vehicles
JP5832895B2 (ja) 自動車の開閉パネルの自動的ロック解除装置
US20140170879A1 (en) Lock device
US9281618B2 (en) Lock device
EP3782503B1 (en) Electronic key storage case
JP2010264847A (ja) 電動車両
JP2010216135A (ja) 電子キー
JPH10307952A (ja) 電動車両レンタルシステムにおけるバッテリ供給装置
JP4857224B2 (ja) 有料駐輪システムにおける施錠装置
JP2013049953A (ja) 車両開閉体操作装置及びシステム
JP2007016412A (ja) 車両の開閉自在な部材を開放するための制御装置
TW202006230A (zh) 便攜式鎖
US20190241231A1 (en) Opening control structure of electric vehicle battery box
CN107452151A (zh) 一种雨伞共享系统
CN105730565B (zh) 一种自行车智能脚撑锁装置
JP2009091746A (ja) コード孔照合式錠前
KR20230059398A (ko) 특장 차량용 디지털 록킹장치 및 작동방법
JP4960190B2 (ja) コード凹凸照合式キーシステム
JP5015808B2 (ja) コード凹凸照合式キーシステム
JP2009091839A (ja) コード凹凸キー
KR20230068513A (ko) 방수구조가 적용된 특장 차량용 디지털 록킹장치
KR20230070671A (ko) 도난방지 구조가 적용된 특장 차량용 디지털 록킹장치
CN210918588U (zh) 一种锁具及车辆
JPH11131884A (ja) 非接触データキャリアシステム
US20220268059A1 (en) Clutch mechanism and electronic lock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