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8859A -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8859A
KR20230058859A KR1020210142580A KR20210142580A KR20230058859A KR 20230058859 A KR20230058859 A KR 20230058859A KR 1020210142580 A KR1020210142580 A KR 1020210142580A KR 20210142580 A KR20210142580 A KR 20210142580A KR 20230058859 A KR20230058859 A KR 20230058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tray
bowl
sterilization
suppl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2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08225B1 (ko
Inventor
이남기
유현선
김주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2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08225B1/ko
Publication of KR20230058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8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08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08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1Feed troughs; Feed pails
    • A01K5/0114Pet food dispensers; Pet food tr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A01K7/027Drinking equipment with water heaters, coolers or means for preventing freez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레이부가 기기본체 내에 수납될 경우 보울의 살균이 수행될수 있도록 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및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이로써 살균을 위한 자외선(UVC)에 의해 사용자나 반려동물의 눈건강 저하는 방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Pet Feeding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반려동물에게 사료, 간식 및 음료 등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로 실내에서 사람과 함께 생활하는 반려동물은 그의 건강한 사육을 위한 다양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에게 정량의 사료나 간식 또는 음료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들이 있다.
최근에는 사료나 음료 등을 보관하였다가 반려동물에게 제공하기 위한 급식장치들도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 등록특허 제10-1321953호(선행기술 1)와, 한국 등록특허 제10-2166911호(선행기술 2), 미국 등록특허 US 3,955,537호(선행기술 3)에는 사료와 간식을 자동으로 급식하기 위한 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전술된 종래 기술들은 매 번의 끼니마다 사료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즉, 종래에는 매 동작시 마다 트레이(사료 그릇)에 사료를 공급하거나 혹은, 복수로 분리된 사료 공간에 사료를 정량씩 보관한 상태에서 매 동작시 마다 어느 한 사료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면서 제공하였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 기술들의 방식은 두 종류 이상의 음식물(예컨대, 사료 및 간식 혹은, 사료 및 물)을 동시에 제공하지는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최근에는 둘 이상의 반려동물을 함께 사육하는 경우가 많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둘 이상의 반료동물에게 동시에 음식물을 공급하지는 못하였던 것이다.
또한, 전술된 종래 기술들의 경우 트레이의 사료가 담기는 사료 공간 혹은, 사료 그릇의 위치가 기기본체에 인접하게 위치되기 때문에 반려동물이 사료를 섭취하는데 있어서 불편함을 느낄 수밖에 없었다. 즉, 사료 그릇과 기기본체 간의 거리가 가깝기 때문에 섭취의 어려움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전술된 종래 기술들의 경우 트레이의 특정 사료 공간 혹은, 사료 그릇에 사료를 공급하는 도중 사료가 주변으로 넘치거나 튀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특히, 선행기술 1과 같이 사료 공간이 좁을 수록 사료가 주변으로 튀는 현상이 많이 발생된다.
더욱이, 사료 그릇에 사료가 공급되는 과정에서 해당 사료 그릇의 특정 부위(공급관이 향하는 위치)에만 사료가 쌓임에 따라 공급관이 막혀버리는 등의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종래 기술들의 경우 트레이의 특정 사료 공간 혹은, 사료 그릇에 사료를 공급하는 도중 사료가 사료 그릇에 부딪히면서 충격 소음을 발생함에 따라 반려동물이 놀라 충격을 받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사료의 취식이 종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의 장시간 외출시에는 사료 보울을 세척하지 못하기 때문에 해당 사료 그릇에 세균이 증식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예컨대, 반려동물이 사료 그릇에 공급된 사료를 섭취하는 과정에서 비말이나 반려동물의 구강 내에 상주하는 파스튜렐라가 사료 그릇에 잔존하여 여타 반려동물에게 옮길 수 있는 것이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321953호 한국 등록특허 제10-2166911호 미국 등록특허 US 3,955,537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보울에 잔존하는 세균을 사멸 및 제거하여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세균의 사멸을 위해 사용되는 자외선의 외부 노출로 야기되는 반려동물의 눈건강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울에 공급되는 사료의 영양분에 대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해당 보울에 대한 세균을 원활히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이 담기는 보울에 사료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특정 부위에만 사료가 쌓여 공급 불량을 야기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이 담기는 보울에 사료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사료가 보울에 부딪히면서 발생되는 충격 소음을 최소화하여 반려동물의 놀람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에 따르면, 기기본체 내에서 보울을 살균하는 살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보울을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에 따르면, 살균모듈은 보울이 기기본체 내의 사료 공급 위치에 놓일 경우 살균용 자외선(UVC)을 조사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반려동물의 눈건강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에 따르면, 살균모듈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살균용 자외선(UVC)을 조사하는 엘이디(UV-LED)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에 따르면, 살균모듈은 사료 공급 위치에 놓인 보울로부터 인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살균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에 따르면, 살균모듈은 트레이배출관 내의 사료 출구측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에 따르면, 트레이배출관의 출구 폭은 보울의 입구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에 따르면, 보울의 내측 바닥면 모서리 부위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보울의 내측 둘레에 사료가 공급되더라도 해당 사료는 보울의 여타 부위로 원활히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에 따르면, 트레이배출관 내에는 사료의 배출을 안내하기 위한 배출가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보울 내로 공급되는 사료가 보울의 전 부위에 고르게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에 따르면, 배출가이드의 상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에 따르면, 배출가이드의 상면은 양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사료는 보울 내의 양 측으로 분할되어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에 따르면, 살균모듈은 배출가이드의 바닥에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살균모듈에 사료가 부딪히거나 잔여물이 묻음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에 따르면, 보울이 기기본체 내의 사료 공급 위치에 놓임을 확인하기 위한 수납 감지부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에 따르면, 트레이부네는 회전트레이를 회전시키는 회전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이로써 회전트레이에 복수의 보울이 얹힐 경우 순차적으로 각 보울에 사료를 공급하거나 혹은, 순차적으로 각 부울을 살균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제어방법은 살균 시작 조건이 만족되면 보울의 내부로 살균용 자외선(UVC)을 조사하는 살균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이로써 보울을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살균단계의 살균 시작 조건은 보울이 기기본체 내의 트레이배출관 출구에 일치된 상태를 이룰 경우가 포함될 수 있다. 즉, 기기본체 내에서 살균이 수행되도록 하여 살균 과정에서 제공되는 자외선(UVC)으로 반려동물의 눈건강이 나빠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살균단계의 살균 시작 조건은 설정 시간 주기가 도래될 경우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주기적인 살균을 통해 보울이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살균단계의 살균 시작 조건은 사료 공급부가 동작되지 않는 경우가 포함될 수 있다. 이로써 사료가 자외선(UVC)에 노출되어 유익균이 사멸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살균단계의 살균 시작 조건은 이동모듈이 동작되지 않는 경우가 포함될 수 있다. 이로써 보울에 충분한 자외선(UVC)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살균단계가 수행되는 도중 이동모듈이 동작될 경우 살균용 자외선의 조사는 중단될 수 있다. 이로써 자외선(UVC)의 외부 유출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살균단계가 수행되는 도중 사료 공급부가 동작될 경우 살균용 자외선의 조사는 중단될 수 있다. 이로써 사료가 자외선(UVC)에 노출되어 유익균이 사멸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음료부를 동작하여 보울로 음료를 공급하는 음료 공급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살균단계의 살균 시작 조건은 음료부가 동작될 경우가 포함될 수 있다. 이로써 보울에 제공되는 음료를 살균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복수의 보울이 제공될 경우 각 보울을 순차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살균단계가 수행되는 도중 회전모듈이 동작될 경우 살균용 자외선의 조사는 중단될 수 있다. 이로써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살균단계의 살균용 자외선(UVC)은 설정된 시간동안 조사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및 제어방법은 아래의 각종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및 제어방법은 살균모듈이 제공되기 때문에 보울에 잔존하는 세균을 사멸 및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울을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및 제어방법은 살균모듈이 기기본체 내에서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제공된다. 이에 따라 자외선의 외부 노출로 야기되는 반려동물의 눈건강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및 제어방법은 자외선이 사료 공급시에는 동작되지 않도록 제어된다. 이에 따라 보울에 공급되는 사료의 영양분에 대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해당 보울에 대한 세균을 원활히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및 제어방법은 트레이배출관의 출구측에 배출가이드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음식물이 담기는 보울에 사료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특정 부위에만 사료가 쌓이는 문제점이 방지된다. 또한 사료가 보울에 부딪히면서 발생되는 충격 소음을 최소화하여 반려동물의 놀람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및 제어방법은 이동모듈이나 회전모듈의 동작시에는 살균모듈이 동작되지 않도록 제어된다. 이에 따라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실시예를 도 1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구성하는 부품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구성하는 부품을 분해하여 도 3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음료부와 사료 공급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너케이스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를 구성하는 이너케이스의 다른 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음료부가 아웃케이스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음료부와, 음료부의 하부에 배치된 트레이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음료부의 측면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11은 도 1의 XVIII-XVI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12는 도 1의 XVII-XV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수납부와 수납 덕트의 관계를 나타낸 정면측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사료 공급부가 아웃케이스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5은 도 19의 XX-XX'선에 대한 단면도
도 16은 도 1의 XXI-XXI'선에 대한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사료 공급부에 사료덕트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사료 공급부를 보인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사료 공급부에 결합되는 사료덕트의 상부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사료 공급부에 결합되는 사료덕트의 하부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1은 사료덕트를 구성하는 사료배출관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2는 사료덕트를 구성하는 사료배출관의 구조를 도 21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사료배출관과 보울의 관계를 보인 요부 단면도
도 24는 도 13의 “A”부 확대도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트레이회전모듈의 구조를 보인 저면도
도 26 및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트레이회전모듈에 의해 회전트레이가 서로 다른 각도로 회전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트레이회전모듈로부터 회전트레이 및 보울들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9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실시예로부터 트레이부가 인출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0은 도 29의 XL-XL'선에 대한 단면도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트레이부가 전방으로 인출된 상태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트레이인출모듈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트레이부가 아웃케이스로부터 전방으로 인출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각각 보인 측면도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위치 감지부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낸 회전트레이의 저면측 상태도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위치 감지부에 대한 다른 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위치 감지부에 대한 다른 예를 나타낸 회전트레이의 저면측 상태도
도 37는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작용 중 준비단계의 순서도
도 38은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작용 중 회전기어와 구동기어가 서로 일치되지 않은 상태의 예를 나타낸 회전트레이의 저면측 상태도
도 39는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작용 중 회전기어와 구동기어가 서로 일치되지 않은 상태의 예를 나타낸 트레이부의 측면측 상태도
도 40은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작용 중 사료 공급단계의 순서도
도 41은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사료 공급단계 중 회전트레이가 회전된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낸 저면도
도 42는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작용 중 이동단계의 순서도
도 43 내지 도 45는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작용 중 이동단계의 각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6은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작용 중 복귀단계의 순서도
도 47은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작용 중 살균단계의 일 예에 대한 순서도
도 48은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작용 중 살균단계의 다른 예에 대한 순서도
도 49는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작용 중 살균단계의 또 다른 예에 대한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이하 "음식물 공급장치"라 함)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 도 1 내지 도 49를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음식물 공급장치는 여러 종류의 반려동물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나 고양이와 같은 포유류 뿐 아니라, 조류를 포함한 다양한 동물을 위해 본 발명의 음식물 공급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설명에 앞서 도면의 방향에 대해 정의하면, 음식물 공급장치의 앞쪽(전방)은 사용자가 음식물 공급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사용자를 향한 방향이 되고, 뒤쪽(후방)은 그 반대방향이 된다.(도 1의 X축 방향 참조) 그리고 음식물 공급장치의 왼쪽(좌방)과 오른쪽(우방)은 음식물 공급장치의 좌우폭방향(도 1의 Y축 방향 참조)가 되고, 음식물 공급장치의 위쪽(상방)과 아래쪽(하방)은 음식물 공급장치의 높이방향(도1의 Z축 방향 참조)이 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의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공급장치는 기기본체(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기본체(10)는 음식물 공급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며, 대략 육면체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기기본체(10)의 내부에는 이너프레임(30), 음료부(80), 사료 공급부(120), 트레이부(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을 보면 음료도어(81), 사료도어(121) 및 트레이도어(171)가 상기 음식물 공급장치의 전면 중 일부를 구성한다. 상기 음료도어(81), 상기 사료도어(121) 및 상기 트레이도어(171)는 상기 음식물 공급장치의 전후방으로 입출될 수 있다.
상기 기기본체(10)는 아웃상면부(11), 아웃후면부(12, 도 4참조), 아웃측면부(13) 및 아웃저면부(15)를 포함한다. 이 중에서 상기 아웃후면부(12)는 첨부된 도 2와 같이 케이스커버(20)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상기 아웃저면부(15)는 공급스테이션(17)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아웃저면부(15)는 상기 기기본체(10)를 구성하는 일부인 동시에, 공급스테이션(17)과 연결되어 이동모듈(190)에 의해 입출되는 트레이부(170)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을 보면, 상기 기기본체(10)의 내부에는 장착공간(16)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공간(16)은 전방과 하방으로 개방된 빈 공간이다. 상기 장착공간(16)에는 이너프레임(30) 및 상기 음료부(80) 등의 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아웃저면부(15)는 상기 기기본체(10)와는 별개물로 구성되어 기기본체(10)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아웃저면부(15)가 조립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이너프레임(30)이 상기 기기본체(10)의 아래쪽에서 상기 장착공간(16)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이너프레임(30)은 상기 장착공간(16)의 전방에서 상기 기기본체(10)에 조립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장착공간(16)의 전방에는 공급스테이션(1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스테이션(17)은 트레이부(170)가 상기 기기본체(10)의 전방으로 인출될 때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공급스테이션(17)은 대략 사각판상이고, 중심에는 가이드홀(17a)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홀(17a)은 상기 트레이부(170)의 가이드브릿지(179b)가 통과하는 부분이다. 상기 가이드브릿지(179b)는 상기 가이드홀(17a)을 통해 트레이부(170)의 트레이도어(171) 하단 혹은, 트레이가이드(173)의 하단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기기본체(10)의 후방에는 케이스커버(20)가 결합된다. 상기 케이스커버(20)는 상기 기기본체(10)의 후방에서 상기 기기본체(10)의 아웃후면부(12)를 덮는다.
상기 케이스커버(20)에는 방열그릴(25)이 구비된다. 상기 방열그릴(25)은 상기 케이스커버(20)의 일부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한 부분이다.
상기 장착공간(16)에는 이너프레임(30)이 배치된다. 상기 이너프레임(30)은 상기 기기본체(10)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이너프레임(30)에는 음료부(80) 등 장치들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0과 도 12와 도 13 및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기기본체(10)와 상기 이너프레임(30)의 사이에는 단열공간(I)이 형성되고, 상기 단열공간(I)에는 발포액이 충진되어 단열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너프레임(30)은 기기본체(10) 내부를 다수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너프레임(30)에는 음료저장실(C1), 사료저장실(C2) 및 취출실(C3)이 마련되고, 이들은 서로 구획된다. 여기서 구획이란, 상기 음료저장실(C1), 상기 사료저장실(C2) 및 상기 취출실(C3)이 서로 완전히 차단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위 공간들은 별도 구조물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이너프레임(30)은 비금속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너프레임(30)은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이너프레임(30)은 상기 음료저장실(C1), 상기 사료저장실(C2) 및 상기 취출실(C3)을 구획하여, 이들 공간이 서로 단열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이너프레임(30)은 상기 음료저장실(C1), 상기 사료저장실(C2) 및 상기 취출실(C3) 사이로 냉기가 유동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이너프레임(30)의 구조를 보면, 상기 이너프레임(30)은 이너상면부(31), 이너후면부(32), 이너측면부(33) 및 이너저면부(35)를 포함한다. 상기 이너상면부(31), 이너후면부(32), 이너측면부(33) 및 이너저면부(35)는 서로 연결되어 대략 육면체 형상을 만들 수 있다. 상기 이너프레임(30)은 전방으로 개방되고, 개방된 전방으로부터 부품들이 삽입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는 상기 음료부(80), 상기 사료 공급부(120), 상기 트레이부(170) 등이 서로 밀착되어 있는 상태로 표현되어 있지만, 이들이 상기 이너프레임(30)에 장착될 때는 서로 분리된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료부(80), 상기 사료 공급부(120), 상기 트레이부(170) 등은 상기 이너프레임(30)의 내부에서 서로 구획될 수 있다.
도 6을 보면, 상기 이너프레임(30)의 정면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정면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상기 이너프레임(30)의 우측 상부에는 음료저장실(C1)이 있고, 좌측상부에는 사료저장실(C2)이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프레임(30)의 하부에는 취출실(C3)이 배치된다. 상기 취출실(C3)은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음료저장실(C1)과 상기 사료저장실(C2) 보다 아래쪽에 배치되므로, 음료와 사료가 중력에 의해 취출실(C3)로 공급될 수 있다.
일 예로써, 상기 음료저장실(C1)은 상기 이너프레임(30)의 내부공간 중에서 우측에 있고 상기 사료저장실(C2)은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음료저장실(C1)과 사료저장실(C2)은 서로 반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첨부된 도 7과 같이 상기 사료저장실(C2)은 다시 제1사료저장실(C2a)과 제2사료저장실(C2b)로 분할될 수 있다.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은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 보다 상대적으로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에는 서로 다른 사료가 보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에는 습식사료인 간식이 보관되고, 제2사료저장실(C2b)에는 건사료인 일반 사료가 보관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은 간식저장실로 사용될 수 있고, 제2사료저장실(C2b)은 건사료저장실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이너프레임(30)의 음료저장실(C1), 사료저장실(C2) 및 취출실(C3)은 각각 전방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음료저장실(C1), 사료저장실(C2) 및 취출실(C3)의 전방으로부터 부품들이 수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음료저장실(C1)의 개방된 전면은 음료도어(81)에 의해 가려지고, 상기 음료도어(81)가 인출되면 개방된다. 그리고 사료저장실(C2)의 개방된 전면은 사료도어(121)에 의해 개폐되고, 취출실(C3)의 개방된 전면은 취출도어(171)에 의해 개폐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공급장치는 음료부(8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음료부(80)는 음료를 저장하거나 음료를 반려동물에게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여기서 음료란, 물 뿐 아니라 반려동물이 마실 수 있는 주스, 우유, 이온음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음료부(80)의 구조를 보면, 상기 음료부(80)에는 음료도어(81)가 구비된다.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음료도어(81)는 상기 기기본체(10)의 전면 중 일부를 구성한다. 상기 음료도어(81)는 상기 기기본체(10)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에서 보듯이, 상기 음료도어(81)의 후방에는 음료탱크(83)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음료탱크(83)는 상기 음료도어(81)에 연결된 탱크브라켓(86)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음료도어(81)가 인출되면 음료탱크(83)도 상기 음료도어(81)와 함께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음료탱크(83)의 상부에는 탱크커버(84)가 결합된다. 상기 탱크커버(84)는 상기 저장공간의 상부를 덮는다. 상기 탱크커버(84)에는 별도의 마개(85)가 구비되고, 상기 마개(85)를 열고 내부에 음료를 주입하거나, 저장된 음료를 외부로 배출할 수도 있다.
상기 음료부(80)에는 유로모듈(100)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유로모듈(100)은 상기 음료부(80)에 음료를 주입하여 저장시키고, 저장된 음료를 트레이부(170)에 배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음료부(80)의 음료는 유로모듈(100)을 통해 트레이부(170)의 보울(177)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유로모듈(100)은 복수의 튜브(혹은, 파이프)(P3b,P2b)와 제1밸브(V1) 및 제2밸브(V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밸브(V1,V2)는 상기 각 튜브(P3b,P2b)를 개폐하면서 음료의 유동을 단속한다. 상기 복수의 튜브(P3b,P2b)는 음료배출관(P3b)과 직수공급관(P2b)이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공급장치는 사료 공급부(12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사료 공급부(120)는 상기 이너프레임(30)의 제1사료저장실(C2a)과 제2사료저장실(C2b)에 배치된다.
도 12 및 도 13에서 보듯이,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에는 제1사료공급모듈(130)이 배치되고,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에는 제2사료공급모듈(150)이 배치된다.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상기 제2사료공급모듈(150)은 각각 사료를 저장 및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4에서 보듯이, 상기 사료 공급부(120)가 전방으로 인출되면,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상기 제2사료공급모듈(150)은 외부로 노출되고, 사용자는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상기 제2사료공급모듈(150)에 사료를 채워넣을 수 있다.
첨부된 도 12 내지 도 24에서 보듯이, 상기 사료 공급부(120)의 구조를 보면, 상기 사료 공급부(120)의 전방에는 사료도어(121)가 있다. 상기 사료도어(121)는 상기 기기본체(10)의 전면 중 일부를 구성한다. 상기 사료도어(121)는 상기 기기본체(10)로부터 인출될 수 있고, 상기 사료도어(121)가 인출되면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제2사료공급모듈(150)도 상기 사료도어(121)와 함께 전방으로 인출된다.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상기 제2사료공급모듈(150)은 상기 이너프레임(30)에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제2사료공급모듈(150)에는 사료덕트(123)가 연결된다. 상기 사료덕트(123)는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상기 제2사료공급모듈(150)에 저장된 사료를 상기 트레이부(170)로 전달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사료덕트(123)는 상기 사료도어(121)가 인출더라도 상기 이너프레임(30)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도 13과 도 17 및 도 18을 보면, 상기 사료덕트(123)는 위아래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상기 제2사료공급모듈(150)의 측면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사료덕트(123)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가 빈 관 구조이므로, 상기 사료덕트(123)는 사료를 중력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러한 사료덕트(123)는 제1취출부(124)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취출부(124)는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연결된다. 도 18에서 보듯이, 상기 제1취출부(124)의 제1취출입구(124')는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의 제1개구부(133)를 향해 개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에서 취출된 사료는 상기 제1취출입구(124')를 통해 상기 사료덕트(123) 내부로 유입된다.
도 13과 도 18 및 도 19를 보면, 상기 제1취출입구(124')에는 덕트댐퍼(124a)가 구비된다. 상기 덕트댐퍼(124a)는 회전을 통해 상기 제1취출입구(124')를 가로막거나, 개방시킨다. 상기 덕트댐퍼(124a)는 평소에 상기 제1취출입구(124')를 가로막아 제1사료저장실(C2a)의 냉기가 상기 사료덕트(123)를 타고 취출실(C3)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덕트댐퍼(124a)는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의 냄새를 차단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료덕트(123)는 상부연결관(125)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상부연결관(125)은 상기 제1취출부(124)의 하부에 연결된다. 상기 상부연결관(125)은 상기 제1취출부(124)와 결합되고, 상기 제1취출부(124)로 유입된 사료를 아래쪽으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사료덕트(123)는 제2취출부(126)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취출부(126)는 상기 상부연결관(125)의 하부에 연결된다. 도 13 및 도 18을 보면, 상기 제2취출부(126)의 제2취출입구(126')는 상기 제2사료공급모듈(150)의 제2개구부(153)를 향해 개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사료공급모듈(150)에서 취출된 사료는 상기 제2취출입구(126')를 통해 상기 사료덕트(123) 내부로 유입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취출입구(126')에도 덕트댐퍼(124a)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기기본체(10) 내에는 트레이배출관(12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배출관(127)은 상기 사료 공급부(120)로부터 상기 사료덕트(123)를 따라 공급되는 사료를 보울(177)에 담기 위해 최종적으로 취출되는 출구가 된다.
상기 트레이배출관(127)은 상기 제2취출부(126)의 하부에 연결된다.
도 18에는 상기 제2취출부(126)와 트레이배출관(127)이 연결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20에 보듯이, 상기 트레이배출관(127)과 연결되는 제2취출부(126)의 아래쪽에는 유로홀(126a,126b)이 있다. 상기 유로홀(126a,126b)은 제1유로홀(126a)과 제2유로홀(126b)로 구성되고, 상기 제1유로홀(126a)과 상기 제2유로홀(126b)은 상기 제2취출부(126)의 하부가 측면 방향으로 개구된 형태로 만들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유로홀(126a)과 상기 제2유로홀(126b)은 상기 제2취출부(126)의 서로 다른 면에 각각 형성되지만, 같은 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유로홀(126a)과 상기 제2유로홀(126b)에는 음료배출관(P3b)에 연결되는 음료배출노즐(P3d)과 직수공급관(P2b)에 연결되는 직수배출노즐(P2c)이 각각 끼워진다. 이에 따라, 상기 유로모듈(100)에 의해 공급되는 음료의 취출방향은 상기 사료덕트(123)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22에서 보듯이, 상기 트레이배출관(127)의 내부에는 가이드홈(127a,127b)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127a,127b)은 상기 트레이배출관(127)의 내면 일부가 함몰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127a,127b)은 제1가이드홈(127a)과 제2가이드홈(127b)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홈(127a)과 제2가이드홈(127b)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가이드홈(127a)과 상기 제2가이드홈(127b)은 제2취출부(126)의 제1유로홀(126a)과 제2유로홀(126b)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음료배출노즐(P3d)과 직수배출노즐(P2c)은 상기 제1유로홀(126a)과 상기 제2유로홀(126b)을 각각 통과하고, 다시 제1가이드홈(127a)과 제2가이드홈(127b)을 따라 아래쪽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음료배출노즐(P3d)과 직수배출노즐(P2c)의 취출방향이 정확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트레이배출관(127)의 출구 폭은 상기 보울(177)의 입구 폭보다 작게 형성되면서 상기 보울(177)의 직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트레이배출관(127)은 저부로 갈수록 보울(177)의 내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트레이배출관(127)의 구조에 의해 사료는 수직하게 떨어지지 않고 트레이배출관(127) 내면을 타고 방향성을 가지면서 흘러 내릴 수 있게 된다. 즉, 사료가 비스듬히 흘러 내림에 따라 보울(177)의 특정 부위에만 쌓이지 않고 흐르면서 전 부위에 고르게 공급될 수 있다. 이로써 사료가 보울(177)의 특정 부위에만 쌓여 주변으로의 튐 현상 등과 같은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23에 보듯이, 상기 트레이배출관(127) 중 출구측의 어느 한 내벽면은 상기 보울(177)의 입구측의 어느 한 내벽면에 상하로 일치되거나 혹은, 더욱 내측에 위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트레이배출관(127)의 중심이 각 보울(177)의 중심으로부터 어느 한 측에 치우쳐 위치되기 때문에 트레이배출관(127)을 통해 보울(177)로 배출되는 사료가 보울(177)의 외부로 튀거나 흘러내리는 문제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1 및 도 22에 보듯이, 상기 트레이배출관(127)의 내부에는 배출가이드(12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가이드(128)는 상기 트레이배출관(127) 내의 사료 출구측에 형성되면서 해당 트레이배출관(127)을 통해 하부로 배출되는 사료가 해당 배출가이드(128)를 기준으로 양쪽으로 분산되어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배출가이드(128)는 사료의 배출속도를 줄여, 많은 양의 사료가 한꺼번에 쏟아지면서 상기 트레이부(170)의 보울(177) 바깥쪽으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배출가이드(128)의 상면은 트레이배출관(127)의 출구로 갈수록 점차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배출가이드(128)의 상면에는 가이드경사면(128a)이 있다. 사료는 상기 가이드경사면(128a)을 타고 아래쪽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경사면(128a)은 상기 배출가이드(128)의 상면 양쪽으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가이드경사면(128a)은 배출가이드(128)의 상면 중 어느 한쪽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2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상기 제2사료공급모듈(150)은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상기 이너프레임(30)에 수납된다.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상기 제2사료공급모듈(150)은 서로 독립된 제1사료케이스(131)와 제2사료케이스(151)를 각각 구비하고 있어서,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제2사료공급모듈(150)에 저장되는 사료들은 서로 섞이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상기 제2사료공급모듈(150)은 동일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을 기준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에는 높이와 좌우폭 보다 전후방향의 길이가 긴 제1사료케이스(131)가 포함된다.
상기 제1사료케이스(131)의 하부는 곡면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이러한 제1사료케이스(131)의 형상은 상기 제1사료케이스(131)에 내장되는 제1피더(140)의 형상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제1사료케이스(131)의 상부는 평면구조로 형성하여 제1사료공간의 내부체적을 늘릴 수 있다.
상기 제1사료케이스(131)의 상부에는 제1사료투입구(132)가 있다. 상기 제1사료투입구(132)는 상기 제1사료케이스(131)의 상면 일부가 개방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사료투입구(132)를 통해 사용자는 상기 제1사료공간 내부에 사료를 채울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사료투입구(132)에는 별도의 커버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사료투입구(132)는 상기 제1사료케이의 상면이 아니라 측면이나 후면에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사료케이스(131) 내에는 제1피더(1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피더(140)는 회전운동을 통해 상기 사료를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제1피더(140)는 제1취출모터(M1, 도 15 및 도 16 참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고, 상기 제1피더(14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사료가 이송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2사료공급모듈(150)은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사료케이스(151)의 제2사료투입구(152)로 사료가 투입된다. 상기 제2사료케이스(151)에는 제2취출모터(M2)에 의해 회전하는 제2피더(160)가 구비된다. 상기 제2사료공급모듈(150)의 기본적인 구조는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의 구조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공급장치는 트레이부(17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부(170)는 상기 사료 공급부(120)의 저부에 위치되는 취출실(C3)에 배치된다. 상기 트레이부(170)는 상기 취출실(C3)의 내부에서 음료와 사료를 공급받고, 상기 기기본체(10)의 바깥쪽으로 인출되어 반려동물에게 음료와 사료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트레이부(170)는 회전모듈에 의해 취출실(C3) 내부에서 일부가 회전하면서 다수개의 보울(177)에 각각 음료와 사료를 담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부(170)는 이동모듈에 의해 취출실(C3)의 외부로 인출되어 담긴 음료와 사료를 반려동물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5 내지 도 33을 참조하여 상기 트레이부(170)의 구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트레이부(170)에는 트레이도어(171)가 구비된다. 도 1 및 도 29에서 보듯이, 상기 트레이도어(171)는 상기 기기본체(10)의 전면 중 일부를 구성한다. 상기 트레이도어(171)는 상기 기기본체(10)로부터 인출될 수 있고, 상기 트레이도어(171)가 인출되면 상기 트레이부(170)의 회전트레이(175)와 상기 회전트레이(175)에 안착된 보울(177)들도 상기 트레이도어(171)와 함께 전방으로 인출된다.
또한, 상기 트레이부(170)에는 트레이가이드(173)가 구비된다. 상기 트레이가이드(173)는 상기 취출실(C3)의 바닥면 상부에 배치된다. 즉, 상기 취출실(C3)의 바닥면의 위쪽에 상기 아웃저면부(15)와 소정 높이만큼 이격되어 트레이가이드(173)가 구비된다. 상기 트레이가이드(173)는 상기 트레이도어(171)에 결합되어 상기 트레이도어(171)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가이드(173)는 대략 평판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중심에는 트레이회전공간(173a)이 형성된다. 상기 트레이회전공간(173a)에서 상기 회전트레이(175)와 회전모듈(180)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회전공간(173a)은 상기 트레이가이드(173)의 후단에서 중심부까지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트레이회전공간(173a)은 상기 트레이가이드(173)의 중심부를 관통해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부(170)에는 회전트레이(175)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트레이(175)는 상기 트레이가이드(173)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상부에는 보울(177)들이 얹혀 보관된다. 상기 회전트레이(175)가 회전되면 상기 보울(177)들도 함께 회전한다. 상기 보울(177)들이 특정 위치로 회전되면서 각 보울(177)들에 사료와 음료가 담길 수 있다.
상기 회전트레이(175)는 대략 다각 혹은, 원형의 평판 구조이고,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상부에는 보울가이드(176)가 구비된다. 상기 보울가이드(176)는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보울가이드(176)의 안쪽에는 보울(177)이 안착된다. 상기 보울가이드(176)는 상기 보울(177)을 감싸 상기 회전트레이(175)가 회전하거나 입출할 때 보울(177)이 흔들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보울가이드(176)는 상기 회전트레이(175)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거나, 또는 상기 회전트레이(175)에 일체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보울가이드(176)에는 보울(177)이 수납된다. 상기 보울(177)은 사료나 음료가 담겨 반려동물에게 제공되는 식기이다. 상기 보울(177)은 상기 보울가이드(176)로부터 분리가능하므로, 사용자는 상기 보울(177)을 세척한 후에 다시 보울가이드(176)에 장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보울(177)은 바닥을 가지는 통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울(177)의 내측 바닥면 모서리 부위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보울(177)의 내측 둘레에 사료가 공급되더라도 해당 사료는 보울(177)의 여타 부위로 원활히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보울(177)은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보울(177)은 3개로 구성될 수 있다. 3개의 보울(177)들은 서로 다른 반려동물들에게 각각 음료나 사료를 공급할 수도 있고, 또는 3개의 보울(177)들에 서로 다른 종류의 음료나 사료들이 담겨 반려동물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보울(177)들은 회전을 통해 트레이배출관(127)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보울(177)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트레이배출관(127)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음료나 사료가 공급된 후에, 상기 회전트레이(175)가 회전하여 또 다른 보울(177)이 상기 트레이배출관(127)의 하부에 배치되어 음료나 사료가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도 26과 도 27을 보면, 상기 회전트레이(175)와 상기 보울(177)들이 회전하여, 보울(177)들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모습을 볼 수 있다.
도 33을 보면, 상기 트레이부(170)는 수납 감지부(310)에 의해 후퇴 이동이 확인될 수 있다. 즉, 트레이부(170)가 후퇴 이동되어 보울(177)이 기기본체(10) 내의 사료 공급 위치에 놓일 상기 수납 감지부(310)가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수납 감지부(310)는 트레이부(170)의 이동 경로상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수납 감지부(310)는 트레이부(170)를 이루는 트레이가이드(173)의 후면과 이너프레임(30) 내의 취출실(C3)의 후벽면간 대향 부위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트레이가이드(173)가 상기 취출실(C3)에 완전히 수납될 경우 상기 수납 감지부(310)가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수납 감지부(310)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써,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수납 감지부(310)는 상기 트레이가이드(173)의 후면에 돌출되는 누름부재(311)와, 취출실(C3) 내의 후벽면(이너프레임 내의 후벽면)에 구비되는 복귀스위치(3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수납 감지부(310)는 상기 트레이가이드(173)의 후면에 구비되는 마그네트와, 취출실(C3) 내의 후벽면(이너프레임 내의 후벽면)에 구비되는 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수납 감지부(310)는 상기 트레이가이드(173)의 저면과 상기 취출실(이너프레임)(C3) 내의 바닥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부(170)에는 회전모듈(180)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모듈(180)은 상기 회전트레이(175)가 회전되도록 동력을 제공 및 전달하는 모듈로써, 회전트레이(175)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모듈(180)에는 회전기어(185)와 구동기어(183)와 트레이회전모터(181)가 포함된다.
상기 회전기어(185)는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하부에 구비되면서 구동기어(183)에 맞물리도록 설치되고, 상기 구동기어(183)는 트레이회전모터(181)의 모터축에 맞물려 회전된다.
상기 트레이회전모터(181) 및 구동기어(183)는 상기 취출실(C3)의 바닥부(이너프레임의 바닥)에 형성된 상기 회전모듈장착부(52)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회전모듈장착부(52)는 상기 취출실(C3)의 바닥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하부를 도시한 도 25를 보면, 상기 구동기어(183)는 상기 트레이회전모터(181)에 맞물리는 제1구동기어(183a)와, 상기 제1구동기어(183a)에 맞물려 회전하는 제2구동기어(183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구동기어(183b)는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하부에 구비된 상기 회전기어(185)와 맞물려 상기 회전기어(185)를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기어(185)는 상기 회전트레이(175)에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회전트레이(175)는 상기 트레이회전모터(181)의 구동에 의해 상기 회전기어(185)와 함께 회전된다. 한편, 상기 제2구동기어(183b)는 상기 이너프레임(30)에 고정된 부품이기 때문에 상기 트레이부(170)가 인출되면 상기 회전기어(185)는 상기 트레이부(170)와 함께 이동되면서 제2구동기어(183b)와는 분리된다.
상기 회전트레이(175)는 위치 감지부(320)에 의해 특정 각도까지 회전된 것이 인식될 수 있다. 즉, 트레이 회전모듈(180)의 트레이회전모터(181)는 상기 위치 감지부(320)의 감지 신호로 회전트레이(175)의 회전 혹은, 회전 중지를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위치 감지부(320)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써, 도 34에 보듯이, 상기 위치 감지부(3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그네트(321)와 홀센서(3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321)는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바닥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홀센서(322)는 상기 취출실(C3) 내의 바닥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홀센서(322)는 센서피씨비(322a)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울(177)의 입구가 트레이배출관(127)의 출구에 대향될 경우 상기 마그네트(321)와 홀센서(322)는 서로 일치되도록 위치된다. 상기 마그네트(321)와 홀센서(322)가 일치되도록 위치되면 트레이회전모터(181)의 구동이 정지된다.
다른 예로써, 도 36에 보듯이, 상기 위치 감지부(320)는 가압부재(323)와 회전감지스위치(3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323)는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저면에는 구비되고, 상기 회전감지스위치(324)는 상기 이너프레임(30)의 바닥에 구비된다. 이로써 상기 회전트레이(175)가 회전되면서 각 보울(177)의 입구가 트레이배출관(127)의 출구에 대향되게 위치될 경우 상기 가압부재(323)가 상기 회전감지스위치(324)의 접점을 가압하게 된다. 상기 가압부재(323)가 상기 회전감지스위치(324)의 접점을 가압하면 트레이회전모터(181)의 구동이 정지된다. 상기 회전트레이(175)에 배치된 세 개의 보울(177)들이 각각 특정 위치(트레이배출관(127)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하부에는 총 3개의 가압부재(323)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트레이회전모터(181)는 트레이부(170)의 후퇴 이동을 위한 제어시 회전트레이(175)를 회전시키는 제1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동작은 이동모듈(190)의 동작이 완료된 상태에서 수납 감지부(310)의 감지신호가 제공되지 않을 경우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회전모터(181)는 사료 공급을 위한 회전트레이(175)의 회전 제어시 회전트레이(175)를 회전시키는 제2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공급장치는 이동모듈(190)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이동모듈(190)에 의해 상기 트레이도어(171), 상기 트레이가이드(173) 및 상기 회전트레이(175)를 포함하는 트레이부(170)를 상기 기기본체(10)의 전후방으로 자동 입출될 수 있다.
도 31 내지 도 33을 보면, 상기 이동모듈(190)은 기기본체(10)를 이루는 아웃저면부(15)에 구비된다.
상기 이동모듈(190)은 인출모터(191) 및 스크류축(19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모듈(190)을 구성하는 인출모터(191)는 상기 아웃저면부(15)에 고정되고, 상기 인출모터(191)에는 스크류축(193)이 연결된다. 상기 스크류축(193)은 공급스테이션(17)의 가이드홀(17a) 하부를 따라 전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인출모터(191)는 상기 스크류축(193)을 회전시키고, 스크류축(193)은 회전하면서 상기 트레이부(170)를 직선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스크류축(193)은 상기 가이드홀(17a)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크류축(193)에는 상기 트레이부(170)의 인출브라켓(179)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인출브라켓(179)에는 가이드브릿지(179b)가 연결된다. 상기 가이드브릿지(179b)는 상기 인출브라켓(179)과 상기 트레이도어(171)의 사이를 연결한다. 상기 가이드브릿지(179b)에 의해 상기 인출브라켓(179)을 따라 상기 트레이부(170)가 직선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이드브릿지(179b)는 상기 공급스테이션(17)의 가이드홀(17a)을 통과하면서 상기 인출브라켓(179)과 상기 트레이부(17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도면부호 193a는 상기 스크류축(193)이 상기 인출모터(191)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나타낸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이동모듈(190)은 체인 구조, 리니어 구조, 랙피니언 구조 등 다양한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스크류축(193)의 양쪽에는 가이드축(194)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축(194)은 상기 인출브라켓(179)의 연결단부(179a)와 연결되어, 상기 인출브라켓(179)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직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1 및 도 33을 보면, 상기 공급스테이션(17)의 하부에는 스토퍼(195)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195)는 상기 공급스테이션(17)의 앞쪽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인출브라켓(179)과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인출모터(191)에 의해 상기 인출브라켓(179)이 직선이동할 수 있는데, 상기 인출브라켓(179)이 상기 공급스테이션(17)의 가장 앞쪽까지 이동하면 상기 스토퍼(195)에 닿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토퍼(195)에는 눌림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트레이부(170)가 끝까지 이동하였음을 감지할 수도 있다.
한편, 미설명 부호 60은 기기본체 내의 냉각을 위한 냉각부이다. 이러한 냉각부는 생략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공급장치는 살균모듈(L)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살균모듈(L)은 상기 트레이부(170)의 보울(177)을 살균 및 소독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살균모듈(L)은 살균용 자외선(UVC)을 조사(照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엘이디(UV-LED)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살균모듈(엘이디)(L)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으로 보울(177)을 살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로써 보울(177)은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24에 보듯이, 상기 살균모듈(L)은 기기본체(1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기기본체(10) 내에서 자외선(UVC)이 조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자외선(UVC)의 외부 노출로 사용자나 반려동물의 눈건강을 해치는(예컨대, 시력 저하 등)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특히, 도 23 및 도 24와 같이 상기 살균모듈(L)은 상기 트레이배출관(127) 내의 사료 출구측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트레이배출관(127)의 출구가 보울(177)의 내부와 가장 인접하면서도 해당 보울(177)의 내부를 향하도록 위치된다. 이를 고려하여 상기 트레이배출관(127) 내의 사료 출구측에 살균모듈(L)을 위치시킴으로써 보울(177)에 대한 살균 효과를 극대화하면서도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고, 또한 자외선의 외부 누출이 방지되도록 한 것이다.
도 21 및 도 23을 보면, 상기 배출가이드(128)의 바닥면에는 장착홈(128b)이 있다. 상기 장착홈(128b)은 상기 배출가이드(128)의 저면에 함몰 형성되고, 상기 살균모듈(L)은 상기 장착홈(128b)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배출가이드(128) 내를 따라 공급되는 사료가 살균모듈(L)에 부딪히거나 잔여물을 묻히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사료 부스러기 혹은, 사료에 존재하는 분진이 살균모듈(L)의 표면에 쌓일 경우 해당 살균모듈(L)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이 약할 수 있기 때문에 분진의 묻음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21 및 도 24를 보면, 상기 배출가이드(128)의 바닥면은 상기 살균모듈(L)의 설치 위치를 중심으로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살균모듈(L)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이 보울(177) 내의 전 부위로 고르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기에서는, 도 37 내지 도 49를 참조하여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공급장치의 작용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음식물 공급장치의 동작은 각 전자부품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도시는 생략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음식물 공급장치의 동작 제어를 위한 조건의 만족 여부를 확인한다. 이러한 동작 제어를 위한 조건은 사용자가 조작부(도시는 생략됨)를 조작할 경우 혹은, 예약 시간이 도래될 경우 만족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원격 제어를 통해 제어부로 동작 제어를 요청할 경우 상기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과정을 통해 음식물 공급장치의 동작 제어를 위한 조건이 만족될 경우 첨부된 도 37의 순서도와 같은 음식물의 공급을 위한 준비단계(S100)가 수행된다. 즉, 상기 준비단계(S100)를 통해 트레이부(170)에 제공되는 보울(177)이 기기본체(10) 내의 트레이배출관(127) 출구에 일치되도록 한다.
이러한 준비단계(S100)에서는 트레이부(170)가 이너프레임(30) 내의 취출실(C3)에 완전히 수용되도록 동작하는 제1동작과정(S110)이 수행된다. 상기 제1동작과정(S110)은 수납 감지부(310)의 감지 신호가 발생될 때까지 이동모듈(190)의 인출모터(191)를 구동(S111)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수납 감지부(310)의 수납 감지를 확인(S112)하여 수납 감지부(310)에 의한 수납 감지가 이루어질 경우 상기 인출모터(191)의 구동이 정지(S113)되면서 제1동작과정(S110)이 종료된다. 상기 인출모터(191)가 구동되면 스크류축(193)이 회전되면서 해당 스크류축(193)을 따라 인출브라켓(179)이 직선이동하고, 상기 인출모터(191)가 정지되면 인출브라켓(179)도 정지된다.
상기 인출브라켓(179)은 가이드브릿지(179b)를 통해 트레이부(170)의 트레이도어(171)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인출브라켓(179)가 이동되면 상기 트레이부(170) 및 이에 얹힌 각 보울(177)도 함께 이동된다.
상기 인출모터(191)는 수납 감지부(310)의 감지 신호가 발생되면 동작이 정지되고, 제1동작과정(S110)은 종료된다.
한편, 상기 제1동작과정(S110)에 의한 인출모터(191)의 동작이 정지됨에도 불구하고 수납 감지부(310)에 의한 수납 감지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제1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예컨대, 첨부된 도 38 및 도 39와 같이 회전모듈(180)을 이루는 회전기어(185)와 제2구동기어(183b)가 정확히 맞물리지 않을 경우 누름부재(311)가 복귀스위치(312)의 접점을 가압할 정도로 수납되지 못하고 정지된다. 이 때문에 수납 감지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1경우가 발생되면 제1동작과정(S110)이 종료되지 않고 상기 회전기어(185)와 제2구동기어(183b)를 맞물리게 하기 위한 보정과정(S120)이 수행된다. 이러한 보정과정(S120)은 이동모듈(190)을 이루는 인출모터(191)의 동작 제어로 트레이부(170)를 일정 거리 전진 이동(S121)시킨 후 후퇴 이동(S122)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보정과정(S120)에 의해 트레이부(170)가 전진 이동될 경우 회전모듈(180)의 트레이회전모터(181)를 구동시키는 회전과정(S130)이 추가로 수행될 수 있다. 즉, 트레이회전모터(181)의 회전으로 제2구동기어(183b)를 일정 각도 또는, 일정 시간동안 회전시킨다. 이를 통해 제2구동기어(183b)의 기어잇의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회전기어(185)와 맞물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회전과정(S130)은 상기 트레이부(170)가 후퇴 이동되기 전 혹은, 상기 트레이부(170)가 후퇴 이동되는 도중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과정(S130)의 수행후(혹은, 수행 중) 상기 인출모터(191)의 역구동으로 트레이부(170)를 후퇴 이동시킨다.
만일, 상기 인출모터(191)의 동작이 종료됨에도 불구하고 수납 감지부(310)에 의한 수납 감지가 이루어지지 않는 제1경우가 재차적으로 발생되면 상기 보정과정(S120)을 재차적으로 수행한다. 물론, 상기 보정과정(S120)시에는 회전과정(S130)도 함께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보정과정(S120)의 수행 혹은, 보정과정(S120)과 회전과정(S130)의 순차적 수행으로 회전기어(185)와 제2구동기어(183b)가 정확히 맞물리게 되면 수납 감지부(310)의 감지 신호가 발생된다. 이의 경우 인출모터(191)의 동작이 중단되면서 제1동작과정(S110)이 종료된다.
또한, 상기 준비단계(S100)에서는 트레이부(170)가 이너프레임(30) 내의 취출실(C3)에 완전히 수납될 경우(제1동작과정이 종료될 경우)(제2경우) 제2동작과정(S140)이 수행된다.
상기 제2동작과정(S140)은 트레이 회전모듈(180)의 트레이회전모터(181)를 제어하여 회전트레이(175)를 회전(S141)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즉, 트레이회전모터(181)가 동작되어 제1구동기어(183a)가 회전되면 제2구동기어(183b)가 회전되고, 상기 제2구동기어(183b)의 회전에 의해 회전기어(185)가 회전되며, 상기 회전기어(185)의 회전에 의해 회전트레이(175)가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회전에 의해 회전트레이(175)에 얹힌 각 보울(177)의 위치가 변경된다. 예를 들어 각 보울(177)은 도 26의 위치에서 상기 회전트레이(175)가 270도 회전하면 도 27과 같은 위치에 놓인다.
상기 제2경우의 제2동작과정(S140)은 상기 제1경우의 회전과정(S130)과는 달리 위치 감지부(320)의 감지 신호가 발생될 때까지 회전트레이(175)를 회전시키도록 제어된다. 즉, 위치 감지부(320)로부터 감지 신호가 수신될 경우 상기 제2동작과정(S140)이 종료된다.
일 예로써, 회전트레이(175)의 저면에 위치된 어느 한 마그네트(321)가 취출실(C3) 바닥에 위치된 홀센서(322)에 일치되면 트레이회전모터(181)가 정지된다.
다른 예로써, 회전트레이(175)의 저면에 위치된 어느 한 가압부재(323)가 취출실(C3) 바닥에 위치된 회전감지스위치(324)의 접점을 가압하면 트레이회전모터(181)가 정지된다.
이러한 위치 감지부(320)를 이용하여 트레이회전모터(181)를 제어하는 제2동작과정(S140)이 종료되면 보울(177)은 트레이배출관(127)의 직하방에 위치되면서 준비단계(S100)가 종료된다. 이때, 상기 트레이배출관(127)의 출구측의 어느 한 내벽면이 보울(177)의 입구측의 어느 한 내벽면에 일치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다음은, 도 40의 순서도와 같은 사료 공급단계(S200)가 수행된다. 즉, 준비단계(S100)에 의해 어느 한 보울(177)이 트레이배출관(127)의 직하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음식물 공급의 요청이 확인(사료 공급을 위한 조건이 만족)(S211)되면 해당 보울(177)에 음료 또는, 사료를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사료 공급단계(S200)는 상기 보울(177)로 음료를 공급(S210)하거나 혹은, 상기 보울(177)로 사료가 공급(S220,S230)되도록 제어된다. 즉, 음료 공급이 요청되면 음료부(80)를 동작(S212)하여 상기 보울(177)로 음료를 공급(S210)하고, 사료 공급이 요청되면 사료 공급부(120)를 동작(S223,S233)하여 상기 보울(177)로 사료가 공급(S220,S230)되도록 제어한다. 어느 한 보울(177)로 음료가 공급된 후 다른 한 보울(177)로 사료를 공급할 경우 사료를 공급하기 전에 회전트레이(175)를 회전(S221)시킨다. 상기 다른 한 보울(177)에 사료가 공급된 후 또 다른 보울(177)로 사료를 공급할 경우에도 사료를 공급하기 전에 트레이회전모터(181)를 구동하여 회전트레이(175)를 회전(S231)시킨다.
상기 음료가 취출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음료는 상기 음료부(80)와 유로모듈(100)을 통해 공급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음료는 물인 것을 예로 들기로 한다.
상기 음료는 직수공급관(P2b)을 통해 상기 트레이부(170)의 보울(177)에 채워지거나, 유로펌프(103)의 동작에 의해 음료탱크(83)에 저장된 음료가 음료배출관(P3b)을 통해 보울(177)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사료가 취출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제1사료저장실(C2a)에 저장된 사료(습식사료인 간식 등)와,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에 저장된 사료(건사료)는 서로 독립적으로 취출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취출모터(M1)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의 제1피더(140)가 회전하면서 사료를 전방으로 이송시켜 사료덕트(123)로 제공한다.
상기 제1사료공급모듈(130)에서 제공된 사료는 상기 사료덕트(123)를 타고 아래쪽으로 이동한 후 트레이배출관(127)의 안내를 받아 상기 트레이부(170)의 보울(177)에 담긴다. 그리고 상기 제2사료공급모듈(150)에 의한 건사료의 공급도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울(177)들은 복수로 구성되므로, 각 보울(177)에 서로 다른 사료나 음료를 담기 위해서는 상기 트레이부(170)의 회전이 필요하다. 즉, 서로 다른 사료 혹은, 음료를 담을 경우 회전모듈(180)의 동작 제어가 이루어지면서 위치 감지부(320)의 감지 신호를 기초로 회전트레이(175)가 회전된다. 이의 일 예는 도 41과 같다. 이로써 또 다른 보울(177)이 상기 트레이배출관(127)의 직하방에 위치되면 전술된 음료의 공급 혹은, 사료의 공급을 위한 음료부(80)와 사료 공급부(120)의 동작이 추가로 수행된다.
다음은, 도 42와 같은 이동 제어단계(S300)가 수행된다. 즉, 사료 공급단계(S200)에 의해 적어도 어느 한 보울(177)에 사료 혹은, 음료의 공급이 완료되면 트레이부(170)가 전진 이동되면서 기기본체(10) 외부로 인출된다.
이러한 트레이부(170)의 인출은, 이동모듈(190)을 구성하는 인출모터(191)를 정방향으로 구동(S311)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즉, 인출모터(191)가 회전하면서 스크류축(193)을 회전시키고, 상기 스크류축(193)의 회전으로 인출브라켓(179)이 직선이동하게 된다. 이에 관련하여는 첨부된 도 42 내지 도 44와 같다.
상기 인출브라켓(179)은 가이드브릿지(179b)를 통해 상기 트레이부(170)의 트레이도어(171)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인출브라켓(179)의 이동과정에서 상기 트레이부(170)도 함께 이동하게 된다. 상기 트레이부(17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보울(177)들도 함께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도 43 내지 도 45를 보면, 상기 트레이부(170)를 구성하는 트레이도어(171), 트레이가이드(173), 회전트레이(175) 및 보울(177)들이 전방(화살표 방향)으로 점차 이동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출브라켓(179)이 상기 공급스테이션(17)의 가장 앞쪽까지 이동하면 상기 스토퍼(195)에 닿게 되고 동작을 멈추게 된다.
따라서, 반려동물은 하나 혹은, 둘 이상의 사료나 음료를 섭취할 수 있다. 둘 이상 반려동물의 경우는 서로 간섭 없이 각 보울(177)에 담긴 사료나 음료를 먹을 수 있다.
다음은, 도 46의 순서도와 같은 복귀단계(S400)가 수행된다.
상기 복귀단계(S400)는 반려동물들이 음식물을 섭취한 후에는 복귀 조건이 만족될 경우 수행될 수 있다. 즉, 전술된 사료 공급단계(S300)가 수행된 후 복귀 조건의 만족 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S410)하여 상기 복귀 조건이 만족되면 트레이부(170)가 다시 취출실(C3) 내로 수납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복귀 조건은 이동 제어단계(S300)에 의한 트레이부(170)의 취출 후 설정 시간후 작동되거나 사용자의 조작(수동 또는, 리모컨을 이용한 조작)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복귀 조건은 전술된 조건외에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복귀단계(S400)는 이동모듈(190)의 동작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복귀 조건이 만족되면 이동모듈(190)의 인출모터(191)가 역방향 구동(인출시와는 반대 방향으로의 구동)(S420)되면서 회전트레이(175)에 얹힌 보울(177)을 기기본체(10) 내의 트레이배출관(127) 출구에 일치되도록 위치시키는 것이다.
상기 복귀단계(S400)는 수납 감지부(310)의 감지 신호 발생을 확인(S430)하여 상기 신호가 발생될 경우 종료될 수 있다. 즉, 수납 감지부(310)의 감지 신호가 발생되면 인출모터(191)의 구동을 정지(S440)하게 된다. 상기 수납 감지부(310)에 의한 수납 감지가 이루어지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인출모터(191)의 동작이 정지될 경우에는 전술된 준비단계(S100)의 보정과정(S120)이 단독 혹은, 회전과정(S130)과 함께 수행될 수 있다.
다음은, 도 47의 순서도와 같은 살균단계(S500)가 수행된다. 이러한 살균단계에서는 살균모듈(L)을 동작하여 살균용 자외선(UVC)을 보울(177)에 조사함으로써 해당 보울(177)을 살균한다. 이로써 보울(177)에 세균이 잔존하면서 증식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살균단계(S500)는 살균 시작 조건이 만족될 경우 수행될 수 있다. 즉, 음식물 공급장치가 동작되는 도중 살균 시작 조건의 만족 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S510)한 후 살균 시작 조건이 만족되면 살균모듈(L)을 동작하여 보울(177)로 자외선(UVC)를 조사(S520)하는 것이다.
상기 살균 시작 조건은 상기 복귀단계(S400)에 의해 보울(177)을 기기본체(10) 내의 트레이배출관(127) 출구에 일치될 경우 만족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즉, 수납 감지부(310)의 감지 신호가 발생되면 살균 시작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되면서 살균단계(S500)가 수행된다.
이러한 설정에 의해 사료의 취식 직후 보울(177)을 살균하기 때문에 사료의 취식 과정에서 보울(177)에 묻은 세균이 증식되지 않고 사멸될 수 있다.
상기 살균 시작 조건은 전술된 수납 감지부(310)의 감지 신호 발생 뿐 아니라 여타의 다양한 조건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써, 전술된 복귀단계(S400) 직후에 살균단계(S500)가 수행되었다 하더라도 해당 살균단계(S500)가 종료된 후 설정 시간 주기가 도래되면 새로운 살균단계(S500)의 살균 시작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즉, 일정 주기마다 살균단계(S500)가 반복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울(177)에 세균이 발생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설정 시간 주기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고, 세균의 증식 시간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될 수가 있다.
물론, 설정 시간 주기가 도래되더라도 상기 수납 감지부(310)의 감지 신호가 발생되지 않을 경우에는 살균 시작 조건이 만족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사료 공급부(120)가 동작되지 않는 경우 살균단계(S500)의 살균 시작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즉, 사료 공급부(120)가 동작되는 도중 살균운전이 수행될 경우 해당 사료에 존재하는 유익균도 살균될 수 있기 때문에 사료가 공급되는 도중에는 살균단계(S500)가 수행되지 않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 다른 예로써, 이동모듈(190)이 동작되지 않는 경우 살균단계(S500)의 살균 시작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즉, 이동모듈(190)이 동작되는 도중에는 살균 시작 조건이 만족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함으로써 불필요한 살균모듈(S500)의 동작으로 야기되는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다른 예로써, 보울(177)로 음료가 공급되는 도중에는 살균단계(S500)의 살균 시작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즉, 보울(177)로 공급되는 음료를 살균함으로써 해당 음료에 포함된 유해균을 사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보울(177)로 음료가 공급됨을 확인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유로펌프(103)가 동작됨을 확인함으로써 음료의 공급 여부가 확인되거나 혹은, 제1밸브(V1) 및 제2밸브(V2)의 개방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음료의 공급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살균단계(S500)는 살균용 자외선(UVC)이 설정된 시간동안 조사될 경우 해당 보울(177)의 살균 종료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보울(177)에 대한 살균을 종료한다.
만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보울(177)이 복수로 제공될 경우 어느 한 보울(177)에 대한 살균이 종료되면 여타 보울(177)의 살균을 추가로 수행한다. 즉, 어느 한 보울(177)에 대한 살균이 종료되면 회전모듈(180)이 동작되면서 회전트레이(175)를 회전시키는 제1과정이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제1과정에 의해 상기 회전트레이(175)에 얹힌 다른 한 보울(177)이 트레이배출관(127)의 출구에 일치되도록 위치되면 해당 보울(177)의 내부로 살균용 자외선(UVC)을 조사(照射)하여 살균하는 제2과정이 수행된다.
또 한편, 상기 살균단계(S500)가 수행되는 도중에는 필요에 따라 살균모듈(L)의 동작이 중단될 수 있다.
일 예로써, 첨부된 도 47과 같이 살균단계(S500)가 수행되는 도중 전술된 제1과정이 수행될 경우 위치 감지부(320)의 감지 신호가 발생될 때까지 살균모듈(L)에 의한 살균용 자외선의 조사는 중단(S531)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회전모듈(180)의 트레이회전모터(181)가 구동(S541)될 경우 상기 위치 감지부(320)의 감지 신호가 발생되어 트레이회전모터(181)의 구동이 중단(S551)될 때까지 살균용 자외선의 조사는 중단된다. 이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줄어들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첨부된 도 48과 같이 살균단계(S500)가 수행되는 도중 이동모듈(190)이 동작될 경우 수납 감지부(310)의 감지 신호가 발생될 때까지 살균모듈(L)에 의한 살균용 자외선의 조사는 중단(S532)된다. 즉, 인출모터(191)가 구동(S542)되는 도중 수납 감지부(310)의 감지 신호가 발생되어 상기 인출모터(191)의 구동이 중단(S552)될 때까지 살균용 자외선의 조사(S532)는 중단된다. 이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줄어들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써, 첨부된 도 49와 같이 살균단계(S500)가 수행되는 도중 사료 공급부(120)가 동작(S543)될 경우 피더(140,160)의 동작이 정지(S553)될 때까지 살균모듈(L)에 의한 살균용 자외선의 조사는 중단(S533)된다. 이로써 사료에 포함된 유익균의 사멸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살균단계(S500)는 복귀단계(S400) 직후에만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써, 상기 살균단계(S500)는 복귀단계(S400) 후 다음 번 준비단계(S100)가 수행되기 전에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주기적인 살균단계(S500)의 수행으로 보울(177)에 세균의 발생 또는, 증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주기적인 살균단계(S500)의 수행시 회전모듈(180)의 제어를 통해 모든 보울(177)에 대한 살균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른 예로써, 상기 살균단계(S500)는 음식물 공급장치의 동작을 위한 설정 시간이 도래되기 직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살균단계(S500)의 수행 직후에 준비단계(S100)가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로써 보울(177)에 사료를 공급하기 직전 해당 보울을 살균할 수 있게 된다.
이렇듯,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및 제어방법은 살균모듈(L)의 추가 제공에 의해 보울(177)을 항상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는 실시예의 도면과 동일한 구조로 실시되어야 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음료부(80)나 사료 공급부(120) 중 적어도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10. 기기본체 11. 아웃상면부
12. 아웃후면부 13. 아웃측면부
15. 아웃저면부 16. 장착공간
17. 공급스테이션 17a. 가이드홀
20. 케이스커버 25. 방열그릴
30. 이너프레임 31. 이너상면부
32. 이너후면부 33. 이너측면부
35. 이너저면부 80. 음료부
81. 음료도어 83. 음료탱크
84. 탱크커버 85. 마개
100. 유로모듈 103. 유로펌프
120. 사료 공급부 121. 사료도어
123. 사료덕트 124. 제1취출부
125. 상부연결관 126. 제2취출부
127. 트레이배출관 128. 배출가이드
128a. 가이드경사면 128b. 장착홈
130. 제1사료공급모듈 131. 제1사료케이스
132. 제1투입구 140. 제1피더
150. 제2사료공급모듈 151. 제2사료케이스
152. 제2투입구 160. 제2피더
170. 트레이부 171. 트레이도어
173. 트레이가이드 175. 회전트레이
176. 보울가이드 177. 보울
179. 인출브라켓 180. 회전모듈
181. 트레이회전모터 183. 구동기어
185. 회전기어 190. 이동모듈
191. 인출모터 193. 스크류축
193a. 연결부 194. 가이드축
195. 스토퍼 310. 수납 감지부
311. 누름부재 312. 복귀스위치
320. 위치 감지부 321. 마그네트
322. 홀센서 322a. 센서피씨비
323. 가압부재 324. 회전감지스위치
C1. 음료저장실 C2a. 제1사료저장실
C2b. 제b사료저장실 C3. 취출실
D1. 제1댐퍼 D2. 제2댐퍼
L. 살균모듈 P2b. 직수공급관
P2c. 직수배출노즐 P3b. 음료배출관
P3d. 음료배출노즐 V1. 제1밸브
V2. 제2밸브

Claims (22)

  1. 기기본체;
    상기 기기본체 내에 구비되고, 반려동물에게 제공할 사료를 보관하는 사료케이스와, 상기 사료케이스에 저장된 사료의 배출을 안내하는 사료덕트와, 상기 사료덕트로부터 안내된 사료를 제공받아 기기본체 내의 사료 공급 위치로 공급하는 트레이배출관을 가지는 사료 공급부;
    상기 사료 공급부의 저부에 위치되고, 사료를 담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울을 가지는 트레이부;
    보울이 기기본체 외부의 취식 위치에 놓이도록 하거나 혹은, 기기본체 내의 사료 공급 위치에 놓이도록 하기위해 상기 트레이부를 전후 이동시키는 이동모듈;
    상기 기기본체 내에 구비되고, 상기 보울을 살균하는 살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보울이 기기본체 내의 사료 공급 위치에 놓일 경우 살균용 자외선(UVC)을 조사(照射)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모듈은 살균용 자외선(UVC)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엘이디(UV-LED)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트레이배출관 내의 사료 출구측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배출관의 출구 폭은 상기 보울의 입구 폭보다 작게 형성되면서 상기 보울의 직상방에 위치되고,
    사료가 공급될 경우 상기 트레이배출관의 출구측의 어느 한 내벽면이 상기 보울의 입구측의 어느 한 내벽면에 일치되거나 혹은, 상기 보울의 입구측의 어느 한 내벽면보다 더욱 내측에 위치되도록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울의 내측 바닥면 모서리 부위는 라운드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배출관 내의 사료 출구측에는 사료의 분산 배출을 위한 배출가이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가이드의 상면은
    트레이배출관의 출구로 갈수록 점차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배출가이드의 바닥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울이 기기본체 내의 사료 공급 위치에 놓임을 확인하기 위한 수납 감지부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부는,
    기기본체로부터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레이가이드과,
    상기 트레이가이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울이 얹히는 회전트레이와,
    상기 회전트레이를 회전시키는 회전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11. 동작을 위한 조건이 만족될 경우 트레이부를 이루는 회전트레이에 얹힌 보울을 기기본체 내의 트레이배출관 출구에 일치되도록 위치시키는 준비단계;
    사료 공급부를 동작하여 트레이배출관을 통해 보울의 내부로 사료를 공급하는 사료 공급단계;
    사료 공급이 종료될 경우 이동모듈을 동작하여 보울이 얹힌 회전트레이를 기기본체의 외부에 노출시키는 이동 제어단계;
    복귀 조건이 만족될 경우 이동모듈을 동작하여 상기 회전트레이에 얹힌 보울을 기기본체 내의 트레이배출관 출구에 일치되도록 위치시키는 복귀단계;
    살균 시작 조건이 만족되면 보울의 내부로 살균용 자외선(UVC)을 조사하는 살균단계;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단계의 살균 시작 조건은
    보울이 기기본체 내의 트레이배출관 출구에 일치된 상태를 이룰 경우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단계의 살균 시작 조건은
    설정 시간 주기가 도래될 경우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단계의 살균 시작 조건은
    사료 공급부가 동작되지 않는 경우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단계의 살균 시작 조건은
    이동모듈이 동작되지 않는 경우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단계가 수행되는 도중 이동모듈이 동작될 경우 상기 살균용 자외선의 조사는 중단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단계가 수행되는 도중 사료 공급부가 동작될 경우 상기 살균용 자외선의 조사는 중단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음료 공급이 요청될 경우 음료부를 동작하여 상기 보울로 음료를 공급하는 음료 공급단계가 더 포함되고,
    상기 살균단계의 살균 시작 조건은 상기 음료부가 동작될 경우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울이 복수로 제공되면서 회전트레이의 상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각각 설치될 경우
    어느 한 보울의 살균이 완료되면 회전모듈의 동작으로 회전트레이를 회전시켜 상기 회전트레이에 얹힌 다른 한 보울이 트레이배출관의 출구에 일치되도록 위치시키는 제1과정과,
    상기 다른 한 보울이 트레이배출관의 출구에 일치될 경우 해당 보울의 내부로 살균용 자외선(UVC)을 조사(照射)하여 살균하는 제2과정이 순차적으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제어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이 수행될 경우 상기 살균용 자외선의 조사는 중단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제어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단계가 수행되는 도중 회전모듈이 동작될 경우 상기 살균용 자외선의 조사는 중단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제어 방법.
  2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단계의 살균용 자외선(UVC)은 설정된 시간동안 조사될 경우 해당 보울의 살균 종료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210142580A 2021-10-25 2021-10-25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708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580A KR102708225B1 (ko) 2021-10-25 2021-10-25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580A KR102708225B1 (ko) 2021-10-25 2021-10-25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8859A true KR20230058859A (ko) 2023-05-03
KR102708225B1 KR102708225B1 (ko) 2024-09-20

Family

ID=86380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2580A KR102708225B1 (ko) 2021-10-25 2021-10-25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082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86730A (zh) * 2023-07-04 2023-09-05 黑龙江省农垦科学院 一种肉牛养殖用饲料投送机构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5537A (en) 1975-02-18 1976-05-11 Toshio Yujiri Feeder with timed batch mixing system
KR200289836Y1 (ko) * 2002-06-15 2002-09-19 송병준 사료 자동 공급 장치
KR101321953B1 (ko) 2012-09-26 2013-10-28 박두환 애완동물용 사료 및 간식 자동급식장치
KR101357504B1 (ko) * 2012-12-21 2014-02-13 김미진 애완동물용 사료 자동공급장치
KR101455193B1 (ko) * 2013-05-16 2014-11-03 김정배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
KR20180115537A (ko) * 2017-04-13 2018-10-23 김동민 에어 워터 생성원리를 이용한 애완동물 급수장치
KR20190084717A (ko) * 2018-01-09 2019-07-17 이병철 자외선 램프기반 살균 키보드
KR20200079185A (ko) * 2018-12-24 2020-07-02 박수현 반려동물 사료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반려동물 사료공급방법
KR20210002207U (ko) * 2020-03-26 2021-10-07 강현준 무선기기를 이용한 반려동물 관리 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5537A (en) 1975-02-18 1976-05-11 Toshio Yujiri Feeder with timed batch mixing system
KR200289836Y1 (ko) * 2002-06-15 2002-09-19 송병준 사료 자동 공급 장치
KR101321953B1 (ko) 2012-09-26 2013-10-28 박두환 애완동물용 사료 및 간식 자동급식장치
KR101357504B1 (ko) * 2012-12-21 2014-02-13 김미진 애완동물용 사료 자동공급장치
KR101455193B1 (ko) * 2013-05-16 2014-11-03 김정배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
KR20180115537A (ko) * 2017-04-13 2018-10-23 김동민 에어 워터 생성원리를 이용한 애완동물 급수장치
KR20190084717A (ko) * 2018-01-09 2019-07-17 이병철 자외선 램프기반 살균 키보드
KR20200079185A (ko) * 2018-12-24 2020-07-02 박수현 반려동물 사료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반려동물 사료공급방법
KR102166911B1 (ko) 2018-12-24 2020-10-16 박수현 반려동물 사료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반려동물 사료공급방법
KR20210002207U (ko) * 2020-03-26 2021-10-07 강현준 무선기기를 이용한 반려동물 관리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86730A (zh) * 2023-07-04 2023-09-05 黑龙江省农垦科学院 一种肉牛养殖用饲料投送机构
CN116686730B (zh) * 2023-07-04 2023-12-01 黑龙江省农垦科学院 一种肉牛养殖用饲料投送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08225B1 (ko) 2024-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57272A1 (en) Disinfecting pet watering device and method
US5799609A (en) Animal waterer
US5842437A (en) Animal waterer
US6460483B1 (en) Continuous flow watering device for pets
KR20230058859A (ko)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TWI689247B (zh) 貓便溺裝置
US20100024736A1 (en) Food house for small animals
KR20230058858A (ko)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10051366A (ko) 습식사료 제조 기능을 갖는 강아지 자동 급식기
KR102308380B1 (ko) 자동 높이 조절 급수 시스템
KR102234941B1 (ko) 가축용 급수장치
KR20230059058A (ko) 음식물 컨베이어 및 이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KR20230059059A (ko)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KR20230058861A (ko)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247566B1 (ko) 이물질 투입방지가 가능한 사료배식기
KR102698969B1 (ko)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KR20230058804A (ko)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KR20230059062A (ko)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KR20230059073A (ko)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30059060A (ko)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KR200165164Y1 (ko) 수위를 이용한 상수 소독장치
KR20230059071A (ko)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30059068A (ko) 공급스테이션이 구비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KR20230058806A (ko)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KR102698970B1 (ko) 반려동물용 음료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