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7504B1 - 애완동물용 사료 자동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 사료 자동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7504B1
KR101357504B1 KR1020120150612A KR20120150612A KR101357504B1 KR 101357504 B1 KR101357504 B1 KR 101357504B1 KR 1020120150612 A KR1020120150612 A KR 1020120150612A KR 20120150612 A KR20120150612 A KR 20120150612A KR 101357504 B1 KR101357504 B1 KR 101357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reservoir
sensor
hous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0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진
Original Assignee
김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진 filed Critical 김미진
Priority to KR1020120150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75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7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7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1Feed troughs; Feed pails
    • A01K5/0114Pet food dispensers; Pet food tr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75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단 일측에 먹이통 및 물받이통이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하며 냉각장치가 구비된 제1저장통과 가열장치가 구비된 제2저장통을 구비하는 사료공급부와, 애완동물의 움직임에 따라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물을 저장하는 제3저장통을 구비하는 물공급부와, 상기 사료공급부 및 물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료공급부에 구비된 제1저장통은 외주에 냉각장치가 형성되어 냉장고대용으로 사료를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제2저장통은 외주에 가열장치가 형성되어 냉각된 사료를 가열하여 애완동물에게 위생적이고 안전한 사료를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

Description

애완동물용 사료 자동공급장치{Feeder Of Feed For Pet}
본 발명은 애완동물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애완동물에게 배급하고자 하는 사료를 냉각장치가 구비된 제1저장통에 저장하여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설정된 시간에 따라 1회 분량만을 제2저장통을 통해 먹이통으로 배출함으로서 적당량의 사료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애완동물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애완견과 같은 애완동물을 사육함에 있어서는 대부분 사료를 수작업으로 일일이 공급하게 되므로 공급시간과 공급량을 맞추는데 무리가 있다. 특히 외출이나 휴가 등으로 장기간 집을 비울 때에는 사료를 공급할 수 없으므로 별도의 위탁 시설 등에 애완동물을 위탁하게 되는데, 이 경우 상당한 비용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26954호 "애완동물용 먹이 자동 공급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애완동물용 먹이 자동 공급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에 맞추어 기어드 모터(40)가 구동하며, 이것에 의해 저장통(20)에 저장된 사료가 배출수단(30)에 의해 먹이통(11)으로 소정량 공급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해 애완동물용 먹이 자동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먹이통(11)에 사료를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애완동물용 먹이 자동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먹이통(11)이 외부로 노출되게 마련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 내에 설치되어 사료가 저장되며 하단에 배출구(21)가 마련된 저장통(20)과, 상기 저장통(20) 내의 사료를 강제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수단(30)과, 상기 배출수단(30)을 통해 배출되는 사료를 상기 먹이통(11) 측으로 안내하는 사료슈트(50)와, 상기 배출수단(30)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40)과, 상기 구동수단(4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60)을 구비하며; 상기 배출수단(30)은 일단이 상기 배출구(21)와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먹이슈트(50)와 연계되도록 상기배출구(21)와 상기 먹이슈트(50) 사이에 가로 방향으로 마련된 배출가이드(31)와, 상기 배출가이드(31) 내에 그 길이 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배치된 이송스크루(32)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은 하우징 내에 설치된 저장통에 사료를 장시간 저장할 경우 사료가 변질될 우려가 있으며, 위생적이지 못해 애완동물들이 탈이 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6954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냉각장치가 구비된 제1저장통과 가열장치가 구비된 제2저장통을 구비하여 장시간 동안 사료를 저장하여도 변질될 우려가 없으며, 제1저장통에 장기간 보관된 사료를 제2저장통에서 가열함으로서 사료에 스며들었던 냉기를 없애고 따뜻한 상태로 애완동물들에게 보급됨으로 애완동물들이 배탈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애완동물용 사료 자동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2저장통의 일측에는 온도센서가 구비되어 제2저장통에서 가열된 사료가 적정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적정온도로 측정되었을 경우에는 제2모터를 구동시켜 제2저장통으로 유입된 사료를 강제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애완동물용 사료 자동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1저장통의 내측에 잔량감지센서 및 알림센서를 설치하여 제1저장통 내에 사료가 거의 배출되었을 경우에는 경고음을 발생하거나 램프를 점멸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제1저장통 내에 사료를 추가적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애완동물용 사료 자동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먹이통의 일측에 위치하는 물받이통에는 센서를 구비하여 애완동물의 움직임에 따라 물받이통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일정량이 채워지면 더이상 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하여 평시에는 물받이통에 물이 잔재하지 않으므로 외부의 충격에 의해 물이 외부로 넘치거나 먹이통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애완동물용 사료 자동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단 일측에 먹이통 및 물받이통이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하며 냉각장치가 구비된 제1저장통과 가열장치가 구비된 제2저장통을 구비하는 사료공급부와, 애완동물의 움직임에 따라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물을 저장하는 제3저장통을 구비하는 물공급부와, 상기 사료공급부 및 물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료공급부에 구비된 제1저장통은 외주에 냉각장치가 형성되어 냉장고대용으로 사료를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제2저장통은 외주에 가열장치가 형성되어 냉각된 사료를 가열하여 애완동물에게 위생적이고 안전한 사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애완동물용 사료 자동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저장통의 상부는 상기 하우징의 제1투입구와 연계되고 하부는 제1배출수단과 연계되는 호퍼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저장통의 외주면에는 냉매를 받아 제1저장통내의 사료를 차갑게 열교환시키는 냉각코일이 나선형으로 감겨져 있으며, 상기 제1저장통의 내측 하단에는 저장된 사료의 잔량을 감지하여 사료가 더 투입되어야 함을 알릴 수 있도록 하는 잔량감지센서 및 알림센서가 구비되는 애완동물용 사료 자동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잔량감지센서는 발광부와 수광부로 나뉘어 사료를 통과하는 적외선량에 따라 제1저장통 내에 남아있는 사료의 양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알림센서는 발생된 신호를 제어부로 송신하여, 상기 제어부에 구비된 알림수단에 의해 경고음을 발생하거나 램프를 점멸하여 제1저장통에 사료가 공급되어야 함을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 애완동물용 사료 자동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저장통은 상부는 제1슈트와 연계되고 하부는 제2배출수단과 연계되며, 애완동물에게 제공되는 1회량만 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외주에는 가열코일이 형성되어 상기 1제저장통으로부터 유입된 사료에 열을 가하여 먹이통으로 강제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애완동물용 사료 자동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저장통은 일측에 온도센서가 구비되어 제2저장통의 외주에 형성된 열선에 의해 가열된 사료의 온도가 적정 온도까지 다달하였을 경우에는 제2모터를 구동시켜 강제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애완동물용 사료 자동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저장통과 제2저장통의 사이에는 밸브가 형성되어 설정된 시간 및 공급량에 따라 사료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애완동물용 사료 자동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물공급부는 하우징의 물받이통의 일측에 형성된 센서에서 발생되는 신호에 따라 밸브를 차폐함으로서 제3저장통에 저장된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애완동물용 사료 자동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는 하우징의 전면에 형성된 컨트롤판넬의 조작에 의해 구동되는 것으로서, 컨트롤판넬의 버튼 조작에 의해 상기 사료공급부에 포함된 제1모터와 제2모터, 센서 및 밸브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애완동물용 사료 자동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가열코일은 압축기의 출구와 응축기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으로서 3-way 밸브에 연결되어 분지되며 제2저장통을 거쳐 응축기로 향하는 배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따르면, 냉각장치가 구비된 제1저장통과 가열장치가 구비된 제2저장통을 구비하여 장시간동안 사료를 저장하여도 변질될 우려가 없으며, 제1저장통에 장기간 보관된 사료를 제2저장통에서 가열함으로서 사료에 스며들었던 냉기를 없애고 따뜻한 상태로 애완동물들에게 보급됨으로 애완동물들이 배탈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본 발명은 기 설정된 시간과 공급량에 따라 자동적으로 사료를 배출함으로서 애완동물에게 매번 일정한 양의 먹이를 줄 수 있으며, 외출을 하거나 휴가 등으로 장기간 집을 비울 때에도 애완동물을 동물병원 등에 위탁하지 않아도 되며, 사료공급스위치를 구비함으로써 설정된 시간 이외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동적으로 사료를 추가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도 1은 종래의 애완동물용 사료 자동공급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사료 자동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의 사료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의 물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의 제어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의 사료공급부에 대한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사료 자동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의 사료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의 물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의 제어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사료 자동공급장치의 사료공급부에 대한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사료 자동공급장치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 일측에 오목하게 먹이통(140) 및 물받이통(150)이 형성된 하우징(100)과, 하우징(100)의 내측에 위치하며 냉각장치가 구비된 제1저장통(210)과 가열장치가 구비된 제2저장통(240)을 구비하는 사료공급부(200)와, 애완동물의 움직임에 따라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물을 저장하는 제3저장통(310)을 구비하는 물공급부(300)와, 상기 사료공급부(200) 및 물공급부(3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사료자동공급장치의 외관을 이루는 것으로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투명 또는 불투명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사료를 저장하고 설정된 시간에 따라 배출하는 상기 사료공급부(200)와, 물을 저장하고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의 신호에 따라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물공급부(30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는 내측에 형성된 사료공급부(200)와 물공급부(300)에 각각 사료와 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제1투입구(111)와 제2투입구(112)가 형성되며, 상기 제1투입구(111)는 사료공급부(200)의 제1저장통(210)으로부터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투입구(112)는 상기 물공급부(300)의 제3저장통(310)으로부터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투입구(111)와 제2투입구(112)는 상향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투입구(111)와 제2투입구(112)의 상부에는 사료공급부(200)와 물공급부(300)에 투입된 사료와 물이 외부로부터 차단되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사료가 공기와 마찰되어 굳거나 뭉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각 제1덮개부(121)와 제2덮개부(122)를 포함하는 덮개부(120)가 구비된다. 상기 제1덮개부(121)는 제1투입구(111)를 덮을 수 있도록 구비되며, 제2덮개부(122)는 제2투입구(112)를 덮을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에는 상기 사료공급부(200)와 물공급부(300)를 구성하는 저장통 및 배출수단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컨트롤 판넬(130)이 형성되며, 상기 컨트롤 판넬(130)에는 온오프스위치(131), 사료공급스위치(132), 상태표시등(133, 134), 시간세팅스위치(135), 배급량조절스위치(136), 사료잔량표시부(137), 물잔량표시부(138)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컨트롤판넬(130)의 상면에는 덮개부(139)가 형성되어 있어 입력시에만 컨트롤판넬(130)의 조절스위치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여 실수로 스위치를 터치하여 오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온오프스위치(131)는 사료자동공급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사료공급부(200)와 물공급부(300)에 공급된 전원은 후술되는 상기 상태표시등(133, 134)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사료공급스위치(132)는 애완동물에게 배급되는 사료를 미리 세팅된 시간 이외에 수동으로 사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사료공급스위치(132)를 누르게 되면 상기 배급량조절스위치(136)을 통해 조절된 공급량이 배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태표시등(133, 134)은 상기 컨트롤판넬(130)의 양측면에 위치하여 사료공급부(200)와 물공급부(300)의 상태를 표시하여 사료공급부(200) 또는 물공급부(300)가 구동되고 있는 상태인지 아닌지를 시각적으로 구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평시에는 상기 온오프스위치(131)를 이용하여 사료자동공급장치에 전원이 공급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사료공급부(200)와 물공급부(300)에 구비된 센서로부터 신호가 발생된 경우에는 상기 상태표시등(133, 134)이 반복적으로 점멸되는 현상이 발생되거나 평시와는 다른 색으로 변하여 사료공급부(200)와 물공급부(300)에 추가적으로 사료 및 물을 공급해야 한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시간세팅스위치(135)는 애완동물에게 제공되는 1회 공급량을 미리 설정된 시간마다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배급량조절스위치(136)는 1회 공급량을 중량(g)으로 정하여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4시간 또는 8시간 마다 200g씩 공급하도록 설정하면, 제어부(400)는 설정한 값에 맞추어 제1배출수단(220) 및 제2배출수단(250)을 구동시켜 1회 공급량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사료잔량표시부(137) 및 물잔량표시부(138)는 사료공급부(200)의 제1저장통(210)과 물공급부(300)의 제3저장통(310)내에 구비된 센서의 신호에 따라 사료 및 물이 제1저장통(210)과 제3저장통(310)에 어느 정도 남아있는지 확인할 수 있어 필요에 따라 추가적으로 사료 및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하단 일측에는 먹이통(140) 및 물받이통(150)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먹이통(140)은 설정된 시간 및 공급량에 따라 배출된 사료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물받이통(150)은 상기 먹이통(140)과 이웃되어 위치하여 상기 물공급부(300)를 통해 배출된 물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물받이통(150)의 일측에는 움직임 감지센서(151) 및 상한센서(153)를 구비하여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151)를 통해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물공급부(300)의 제3저장통(310)으로부터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물이 물받이통(150)에 일정량 채워지게 되면 상기 상한센서(153)의 신호에 의해 제3저장통(310)으로부터 더이상 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사료공급부(2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제1투입구(111)과 연통된 제1저장통(210)과, 상기 제1저장통(210)의 하부에 위치하며 제1저장통(210)에 저장되어 있던 사료를 이송스크루에 의해 강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1배출수단(220)과, 상기 제1배출수단(220)과 연계되어 배출된 사료를 하부에 위치한 제2저장통(240)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슈트(230)와, 상기 제1슈트(230)의 하부로 위치하여 제1슈트(230)를 통해 이송된 사료를 저장하는 제2저장통(240)과, 상기 제2저장통(240)의 하부에 위치하며 제2저장통(240)에 저장되어 있던 사료를 이송스크루에 의해 강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2배출수단(250)과, 상기 제2배출수단(250)에 연계되어 하우징(10)의 먹이통(140)으로 안내하는 제2슈트(260)와, 상기 제1저장통(210)의 외주에 형성된 냉각코일(211)에 연결되어 냉각 싸이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냉각장치(270)와, 상기 제1저장통(210)과 제2저장통(240)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2저장통(240)의 외측에 형성된 가열코일(241)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상향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차단벽(280)을 포함한다.
상기 제1저장통(210)은 상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상부는 상기 하우징(100)의 제1투입구(111)와 연통되고 하부는 상기 제1배출수단(220)과 연계되는 것으로 저장되는 사료가 점차 빠져나감에 따라 자중에 의해 하부로 모일 수 있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점진적으로 작게 이루어진 일종의 호퍼 모양으로 이루어지며, 저장되는 사료를 장기간 보관할 경우 부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저장통(210)의 외측으로는 냉매를 받아 제1저장통(210) 내의 사료를 차갑게 열교환시키는 냉각코일(211)이 나선형으로 감겨져 있으며, 상기 제1저장통(210)의 내측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되어 감지되는 사료의 잔량 높이에 따라 상기 사료잔량표시부(137)를 통해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잔량감지센서(212)와, 제1저장통(210)의 내측 하단에 위치하며 추가적으로 사료가 공급되어야 함을 알려주는 알림센서(213)가 구비된다. 상기 냉각코일(211)은 상기 압축기(271)에 연결되어 냉각 매체를 통하게 하는 관으로서 나선형으로 상기 제1저장통(210)의 외측을 감싸고 있어 제1저장통(210)에 보관되어 있는 사료를 장기간 보관하여도 부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냉각코일(211)은 제1저장통(210)의 내측으로 위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잔량감지센서(212)는 발광부와 수광부로 나누어져 있어 발광부에서 나온 적외선이 사료에 반사되어 수광부에 얼마나 많은 양이 들어오느냐에 따라 제1저장통(210)에 보관되어 있는 사료의 잔량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며, 감지된 신호에 따라 컨트롤 판넬(130)의 일측에 구비된 사료잔량표시부(137)에 표시된 막대그래프에 따라 사료 잔량의 높이를 눈금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알림센서(213)는 제1저장통(210)의 하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잔량감지센서(212)와 같이 발광부와 수광부로 나누어져 있어 제1저장통(210)에 잔재하고 있는 사료의 양이 일정량보다 적을 경우에는 알림센서(213)의 신호에 따라 후술되는 제어부(400)의 알림수단에 의해 소리를 발생하거나 컨트롤 판넬(130)에 구비된 상태표시등(133, 134)이 점멸하거나 다른 색으로 표현되으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사료자동공급장치에 사료를 투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배출수단(220)은 상기 제1저장통(210)의 하부에 위치하며, 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제1저장통(210)에 보관되어 있던 사료를 강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상부는 개구되어 상기 제1저장통(210)의 하부와 연결되고 하부의 일부가 제1슈트(230)와 연결되는 가이드부(221)와, 상기 가이드부(221)의 내측에 관통되도록 위치하며 제1저장통(210)에서 배출된 사료를 제1슈트(230)쪽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송스크루(222)와, 상기 이송스크루(222)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스크루(22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제1모터(223)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221)는 단면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저장통(210)의 하부와 제1슈트(230)의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이송스크루(222)는 상기 가이드부(221)의 내측을 위치하며 제1모터(223)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를 따라 나선상으로 형성된 날개를 구비하여, 상기 제1저장통(210)에서 배출되어 가이드부(221)의 상부로 유입되는 사료를 제1슈트(230)를 향하는 가이드부(221)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모터(223)는 상기 이송스크루(222)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스크루(222)가 회전할 수 있도록 동력을 공급하는 장치로서, 동력의 구동원인 모터안에 기어의 비율이 잠재되어 있어 회전수는 적지만 많은 힘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어드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모터(223)는 도시하지 않은 브라켓 등을 사용하여 하우징(100)의 내측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제1슈트(230)는 상단이 상기 가이드부(221)의 하부와 연결되고 하단은 제2저장통(240)의 상부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슈트(230)에는 제1밸브(231)와 제2밸브(233)가 일정간격 이격된 채로 구비되어 일정량의 사료만 제2저장통(240)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밸브(231)와 제2밸브(233)는 상기 배급량조절스위치(136)를 통해 설정된 중량만큼의 사료가 배출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으로 제1배출수단(220)으로부터 이송된 사료의 무게에 따라 밸브가 하강 및 승강하여 사료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되 제1밸브(231) 및 제2밸브(233)가 교대로 개폐됨으로서 상기 제1밸브(231)와 제2밸브(233)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상기 제1배출수단(220)으로부터 이송된 사료가 일시적으로 보관될 수 있도록 하여 이송된 사료에 포함된 냉기가 감소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밸브(231)와 제2밸브(233)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사용하거나, 코일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밸브(231)에 가압되는 무게에 따라 밸브가 하강 승강하여 사료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일정량의 사료를 배출하고 차단할 수 있으면 그 어떠한 밸브의 종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제2저장통(240)은 제1저장통(210)의 형상과 동일하게 상하부가 개방된 호퍼의 형태로, 상부는 상기 제1슈트(230)로 연결되고 하부는 제2배출수단(250)에 연결되어, 애완동물에게 제공되는 1회량만 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외측으로 열선(241)이 구비되어 상기 제1저장통(210)에서 차갑게 냉각된 사료에 열을 가하여 애완동물이 섭취하였을 경우 탈이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2저장통(240)의 상측에는 온도센서(242)가 구비되어 상기 열선(241)에 의해 가열된 제2저장통(240) 내의 사료의 온도가 적정 온도까지 다달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열선(241)에 인가된 전류공급이 차단되어 사료가 더 이상 뜨거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저장통(210)에도 도시하지 않은 온도센서가 구비되고,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신호가 제어부(400)로 전달되고 압축기(271) 구동 시간이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제1저장통(210)도 설정된 온도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압축기(271)에 연결되어 압축기(271)를 구동하는 모터에 대한 도시는 생략한다.
상기 온도센서(242)에 의한 신호가 제어부(400)로 전달되어 제2배출수단(250)이 구동된다. 즉, 제2저장통(240) 내의 사료가 적정 온도에 이르면, 열선(241)에 인가된 전원이 차단되고, 제2배출수단(250)이 구동되어 제2저장통(240)에 수용된 사료가 제2슈트(260)를 통하여 먹이통(140)으로 배출된다.
상기 제2배출수단(250)은 상기 제2저장통(240)의 하부에 위치하며, 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제2저장통(240)에 보관되어 있던 사료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일측으로 상부는 상기 제2저장통(240)의 하부와 연결되고 타측 하부는 제2슈트(260)와 연결되는 가이드부(251)와, 상기 가이드부(251)의 내측에 위치하며 제2저장통(240)에서 배출된 사료를 제2슈트(260)쪽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송스크루(252)와, 상기 이송스크루(252)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스크루(25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제2모터(253)을 포함한다. 상기 제2모터(253)는 도시하지 않은 브라켓 등을 사용하여 하우징(100)의 내측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제2슈트(260)는 상단이 상기 가이드부(251)와 연결되고 하단은 하우징(100)의 먹이통(140)의 상부로 개구되어 연결될 수 있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2배출수단(250)을 통해 강제 배출되는 사료가 먹이통(140)에 모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2슈트(260)는 상기 제2배출수단(250)과 먹이통(140)의 사이 간격을 길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애완동물이 먹이통(140)에 수집된 사료를 섭취할 경우 애완동물의 머리나 발 등이 상기 제2슈트(260)의 내측으로 들어갈 경우 상기 이송스크루(252)와 부딪치거나 끼어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냉각장치(270)는 사료공급부(20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저장통(2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냉각코일(211)에 연결되어 제1저장통(210)에 투입된 사료를 냉각하여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압축기(271), 냉각팬(273) 및 응축기(275)을 포함한다.
상기 가열코일(241)은 압축기(271)와 응축기(275)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압축기(271)와 응축기(275)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을 3-way 밸브(272)로 분지시켜 3-way 밸브(272)에 연결된 분지 배관의 하나(이하에서 '제1 분지 배관'이라 함)는 압축기(271)에서 응축기(275)로 바로 연결되도록 하고, 3-way 밸브(272)에 연결된 분지 배관의 나머지(이하에서 '제2 분지 배관'이라 함)는 제2저장통(240)의 외측을 감싼 후 제1 분지 배관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압축기(271)와 응축기(275) 사이에서 배관에 3-way 밸브(272)를 설치하여, 제2저장통(240)을 가열할 때, 제2 배관으로 유체가 흐르도록 3-way 밸브(272)가 작동하여 하여 제2저장통(240)으로 열을 전달하고 제1 배관으로 합류되어 응측기(275)로 흐르도록 한다. 제2저장통(240)을 가열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제1 배관으로 유체가 흐르도록 3-way 밸브(272)가 작동하여 하여 제2저장통(240)을 거치지 않고 곧바로 응축기(275)로 흐르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열코일(241)을 압축기(271)와 응축기(275)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으로 함으로써 가열코일(241)을 열선으로 하는 경우 소비될 수 있는 전기의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응측기(275)로 흐르는 냉매의 온도가 낮아지게 되어 제1저장통(210)의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정리하면, 압축기(271)와 응축기(275)의 사이에는 3-way 밸브(272)가 형성되어 있어 냉방시에는 상기 압축기(271)로부터 배출된 냉매가 고온고압의 냉매가스가 응축기(275)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난방시에는 압축기(271)로부터 배출된 냉매가 제2저장통(240) 쪽으로 연장된 제2 배관으로 흐르도록 한다.
상기 압축기(271)로부터 유입된 냉매가스는 응축기(275)의 내부를 따라 흐르면 냉각팬(273)의 가동에 의해 발생된 바람에 의해 응축작용이 이루어진다.
상기 응축기(275)를 통과하면서 응축된 냉매는 사료 자동공급장치의 주위온도인 실온보다 다소 높은 온도의 고압 액체 냉매가스로 상변화되어 모세관을 통과함으로서 감압되고, 이 감압된 액체 냉매가스는 제1저장통(210)의 외주면에 감겨져 있는 냉각코일(211)로 유입되어 팽창됨으로서 저온저압으로 기화됨과 동시에 냉각작용이 이루어지는 냉동싸이클에 따라 제1저장통(210) 내에 저장된 사료를 차갑게 열교환시키게 되어 냉장고 대용의 역할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냉난방장치(270)은 별도의 히터 없이 압축기(271)에서 발생되는 열에 따라 냉매를 이동시켜 제1저장통(210)을 냉각하거나 제2저장통(240)을 난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어부(400)의 신호를 통해 사료공급부(200)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상기 압축기(271)는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고압을 지닌 냉매로 응축기(275)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때, 상기 압축기(271)에 압축된 냉매의 온도나 70℃보다 낮은 온도를 지니고 있다고 판단되면 냉매는 3-way 밸브(272)지나 냉각팬(273) 및 응축기(275)를 차례로 순환하여 제1저장통(210)의 냉각코일(211)에 연결되어 제1저장통(210)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3-way 밸브(272)가 개폐되면서 저온의 냉매가 상기 제2저장통(240)의 가열코일(241)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설정된 시간에 따라 사료공급스위치(132)로부터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400)은 초기 난방동안 상기 압축기(271)가 충분히 예열되었는지를 제어부가 다시 판단하여 상기 압축기(271)에서 발생되는 열이 70~80℃정도가 되면 냉매는 3-way 밸브(272)를 지나 제2저장통(240)의 가열코일(241)로 이동되어 제2저장통(240)을 가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3-way 밸브(272)가 적절히 개폐되면서 고온의 냉매가 상기 응축기(275)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차단벽(280)은 상기 제1저장통(210)과 제2저장통(240)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2저장통(240)의 외측에 형성된 가열코일(241)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상향되어 제1저장통(210)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물공급부(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완동물에게 필요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일측에 위치하며 물을 저장하는 제3저장통(310)과, 상기 제3저장통(310)의 하부와 하우징(100)의 물받이통(150)이 상호 연계될 수 있도록 하는 제3슈트(320)를 포함한다.
상기 제3저장통(310)은 상기 사료공급부(200)의 제1저장통(210)과 같이 외주에 냉각코일(311)이 형성되어 상기 제3저장통(310)에 형성된 물을 냉장고와 같이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3슈트(320)에는 밸브(321)가 구비되어 상기 물받이통(150)의 일측에 형성된 움직임감지센서(151)에서 발생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밸브(321)를 차폐함으로서 상기 제3저장통(310)에 저장된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3저장통(310)의 일측에는 수도 직결식으로 원수를 급수받아 제3저장통(310)의 내부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급수라인(313)이 더 포함되며, 상기 급수라인(313)의 일측에는 밸브(315)가 형성되어 있어 제어부(400)가 인가하는 전기 신호로 유체의 흐름을 개폐시키는 누수 차단 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제어부(400)는 하우징(100)의 전면에 형성된 상기 사료공급부(200)에 포함된 제1모터(223)와 제2모터(253), 센서 및 밸브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컨트롤판넬(130)의 조작에 의해 구동된다.
이에 따라, 컨트롤판넬(130)의 온오프스위치(131)를 누르게 되면 제어부(400)는 사료공급부(200)과 물공급부(300)에 전원이 인가하고 이를 컨트롤판넬(130)의 상태표시등(133, 134)을 통해 표시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가 장기간 동안 휴가를 가거나 집을 비운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에 따라 애완동물에게 사료를 배급하기 위해 회전식으로 조절하는 시간세팅스위치(135), 배급량조절스위치(136)을 이용하여 시간 및 배급량을 설정하게 되면 설정된 시간에 따라 제1모터(223)를 구동시켜 제1저장통(210)에 저장되어 있던 사료를 상기 제1모터(223)에 연결된 이송스크루(222)에 따라 강제 배출시켜 제2저장통(24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시간세팅스위치(135)를 통하여 시간 간격을 입력하거나, 공급될 시간을 복수로 입력 가능하다.
제2저장통(240)에 유입된 사료는 상기 제2저장통(240)의 외주에 형성된 열선(241)에 의해 가열될 수 있도록 하고, 가열된 사료가 제2저장통(240)의 일측에 형성된 온도센서(242)에 의해 적정온도로 측정이 되면 제2모터(253)가 구동되어 제2저장통(240)에 유입된 사료를 강제배출하여 먹이통(140)으로 모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컨트롤판넬(130)의 사료공급스위치(132)는 미리 설정된 시간에 따라 사료를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사료공급스위치(132)를 누를 때마다 사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사료공급스위치(132)를 누르게 되면 제어부(400)는 사료공급부(200)의 제1모터(223)를 구동시켜 제1저장통(210)에 저장되어 있던 사료를 상기 제1모터(223)에 연결된 이송스크루(222)에 따라 강제 배출시켜 제2저장통(24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2저장통(240)으로 유입되는 사료량은 배급량조절스위치(136)를 통해 조절된 량에 기준하며, 제2저장통(240)으로 유입된 사료는 온도센서(242)의 신호에 따라 제2모터(253)을 구동시켜 먹이통(140)으로 강제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1저장통(210)의 내측에 위치한 잔량감지센서(212)는 발광부와 수광부로 나뉘어 사료를 통과하는 적외선량에 따라 제1저장통(210) 내에 남아있는 사료의 양을 측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사료잔량표시부(137)에 그래프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잔량감지센서(212)의 하부에 위치한 알림센서(213)는 기 설정된 값보다 낮은 적외선량을 검출할 경우에는 신호를 제어부(400)로 송신하고, 상기 제어부(400)는 이를 알림수단(410)에 송신하여 소리를 발생하거나 상태표시등(133, 134)의 램프를 점멸 또는 평소와 다른 색으로 변하게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먹이자동공급장치에 사료를 추가적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하우징 200 : 사료공급부
300 : 물공급부 400 : 제어부

Claims (9)

  1. 하단 일측에 먹이통(140) 및 물받이통(150)이 형성된 하우징(100)과, 하우징(100)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1저장통(210)과 제2저장통(240)을 구비하는 사료공급부(200)와, 물을 저장하는 제3저장통(310)을 구비하는 물공급부(300)와, 상기 사료공급부(200) 및 물공급부(3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사료공급부(200)에 구비된 제1저장통(210)에는 냉각장치가 구비되며, 제2저장통(240)에는 가열장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사료 자동공급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통(210)의 상부는 상기 하우징(100)의 제1투입구(111)와 연계되고 하부는 제1배출수단(220)과 연계되는 호퍼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저장통(210)의 외주면에는 냉매를 받아 제1저장통(210)내의 사료를 차갑게 열교환시키는 냉각코일(211)이 나선형으로 감겨져 있으며, 상기 제1저장통(210)의 내측 하단에는 저장된 사료의 잔량을 감지하여 사료가 더 투입되어야 함을 알릴 수 있도록 하는 잔량감지센서(212) 및 알림센서(21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사료 자동공급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잔량감지센서(212)는 발광부와 수광부로 나뉘어 사료를 통과하는 적외선량에 따라 제1저장통(210) 내에 남아있는 사료의 양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알림센서(213)는 발생된 신호를 제어부(400)로 송신하여, 상기 제어부(400)에 구비된 알림수단(410)에 의해 경고음을 발생하거나 램프를 점멸하여 제1저장통(210)에 사료가 공급되어야 함을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사료 자동공급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저장통(240)은 상부는 제1슈트(230)와 연계되고 하부는 제2배출수단(250)과 연계되며, 애완동물에게 제공되는 1회량만 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외주에는 열선(241)이 형성되어 상기 제1저장통(210)으로부터 유입된 사료에 열을 가하여 먹이통(140)으로 강제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사료 자동공급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저장통(240)은 일측에 온도센서(242)가 구비되어 제2저장통(240)의 외주에 형성된 가열코일(241)에 의해 가열된 사료의 온도가 설정 온도에 다달하였을 경우에는 제2모터(253)를 구동시켜 강제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사료 자동공급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통(210)과 제2저장통(240)의 사이에는 밸브가 형성되어 설정된 시간 및 공급량에 따라 사료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사료 자동공급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300)는 하우징(100)의 물받이통(150)의 일측에 형성된 센서(151)에서 발생되는 신호에 따라 밸브(321)를 차폐함으로서 제3저장통(310)에 저장된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사료 자동공급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0)는 하우징(100)의 전면에 형성된 컨트롤판넬(130)의 조작에 의해 구동되는 것으로서, 컨트롤판넬(130)의 버튼 조작에 의해 상기 사료공급부(200)에 포함된 제1모터(223)와 제2모터(253), 센서 및 밸브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사료 자동공급장치.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코일(241)은 압축기(271)의 출구와 응축기(275)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으로서 3-way 밸브(272)에 연결되어 분지되며 제2저장통(240)거쳐 응축기(275)로 향하는 배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사료 자동공급장치.

KR1020120150612A 2012-12-21 2012-12-21 애완동물용 사료 자동공급장치 KR101357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612A KR101357504B1 (ko) 2012-12-21 2012-12-21 애완동물용 사료 자동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612A KR101357504B1 (ko) 2012-12-21 2012-12-21 애완동물용 사료 자동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7504B1 true KR101357504B1 (ko) 2014-02-13

Family

ID=50269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0612A KR101357504B1 (ko) 2012-12-21 2012-12-21 애완동물용 사료 자동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7504B1 (ko)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897B1 (ko) 2014-04-07 2014-05-3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수냉식 사료급이장치
CN106135038A (zh) * 2016-08-22 2016-11-23 无锡东晟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方便使用的宠物喂食装置
KR101708839B1 (ko) 2016-09-21 2017-02-21 장현덕 애완동물의 케어가 가능한 사료공급장치 및 상기 사료공급장치를 이용한 사료공급시스템
KR101815046B1 (ko) * 2016-04-25 2018-01-08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먹이 공급장치
KR101860153B1 (ko) * 2018-01-16 2018-05-21 서동희 애완동물용 자동 사료배급 시스템.
KR101972794B1 (ko) * 2018-07-19 2019-04-30 인유섬 급양이 가능한 부화 장치
KR20190076424A (ko) 2017-12-22 2019-07-02 김세현 애완동물의 후각활동이 가능한 놀이기구 및 간식 공급 장치
CN109964838A (zh) * 2019-01-04 2019-07-05 香港民生大数据有限公司 喂食设备
WO2021087309A1 (en) * 2019-10-31 2021-05-06 Mars, Incorporated Food bowl kit
KR20210145619A (ko) * 2020-05-25 2021-12-02 주식회사 룰루랄라랩 반려동물의 생식 자동공급장치
KR20220017225A (ko) 2020-08-04 2022-02-11 태형물산 주식회사 반려동물용 사료 자동 공급기
KR20230059073A (ko) 2021-10-25 2023-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30059046A (ko) 2021-10-25 2023-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KR20230058802A (ko) 2021-10-25 2023-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KR20230059067A (ko) 2021-10-25 2023-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력모듈이 구비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KR20230059071A (ko) 2021-10-25 2023-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30059059A (ko) 2021-10-25 2023-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KR20230059064A (ko) 2021-10-25 2023-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KR20230058804A (ko) 2021-10-25 2023-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KR20230058803A (ko) 2021-10-25 2023-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KR20230059047A (ko) 2021-10-25 2023-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KR20230058806A (ko) 2021-10-25 2023-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KR20230058805A (ko) 2021-10-25 2023-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KR20230059062A (ko) 2021-10-25 2023-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KR20230120459A (ko) 2022-02-09 2023-08-17 태형물산 주식회사 사물 인터넷 기반의 반려동물용 사료 자동 공급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6162A (ko) * 2000-04-17 2001-11-07 서종대 애완동물 자동급식기
KR100822743B1 (ko) 2007-05-18 2008-04-17 홍정표 애완동물용 자동먹이공급장치
KR20090080836A (ko) * 2008-01-22 2009-07-27 김병수 애완동물용 사료 자동급식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47502A (ko) * 2009-10-30 2011-05-09 송희영 애완동물용 자동급식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6162A (ko) * 2000-04-17 2001-11-07 서종대 애완동물 자동급식기
KR100822743B1 (ko) 2007-05-18 2008-04-17 홍정표 애완동물용 자동먹이공급장치
KR20090080836A (ko) * 2008-01-22 2009-07-27 김병수 애완동물용 사료 자동급식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47502A (ko) * 2009-10-30 2011-05-09 송희영 애완동물용 자동급식장치

Cited B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897B1 (ko) 2014-04-07 2014-05-3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수냉식 사료급이장치
KR101815046B1 (ko) * 2016-04-25 2018-01-08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먹이 공급장치
CN106135038A (zh) * 2016-08-22 2016-11-23 无锡东晟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方便使用的宠物喂食装置
KR101708839B1 (ko) 2016-09-21 2017-02-21 장현덕 애완동물의 케어가 가능한 사료공급장치 및 상기 사료공급장치를 이용한 사료공급시스템
KR20190076424A (ko) 2017-12-22 2019-07-02 김세현 애완동물의 후각활동이 가능한 놀이기구 및 간식 공급 장치
KR101860153B1 (ko) * 2018-01-16 2018-05-21 서동희 애완동물용 자동 사료배급 시스템.
KR101972794B1 (ko) * 2018-07-19 2019-04-30 인유섬 급양이 가능한 부화 장치
CN109964838A (zh) * 2019-01-04 2019-07-05 香港民生大数据有限公司 喂食设备
CN109964838B (zh) * 2019-01-04 2021-11-19 香港民生大数据有限公司 喂食设备
CN114727586B (zh) * 2019-10-31 2024-01-23 马斯公司 食物碗套件
WO2021087309A1 (en) * 2019-10-31 2021-05-06 Mars, Incorporated Food bowl kit
CN114727586A (zh) * 2019-10-31 2022-07-08 马斯公司 食物碗套件
KR20210145619A (ko) * 2020-05-25 2021-12-02 주식회사 룰루랄라랩 반려동물의 생식 자동공급장치
KR102345982B1 (ko) 2020-05-25 2022-01-03 주식회사 룰루랄라랩 반려동물의 생식 자동공급장치
KR20220017225A (ko) 2020-08-04 2022-02-11 태형물산 주식회사 반려동물용 사료 자동 공급기
KR20230059073A (ko) 2021-10-25 2023-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30058803A (ko) 2021-10-25 2023-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KR20230059067A (ko) 2021-10-25 2023-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력모듈이 구비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KR20230059071A (ko) 2021-10-25 2023-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30059059A (ko) 2021-10-25 2023-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KR20230059064A (ko) 2021-10-25 2023-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KR20230058804A (ko) 2021-10-25 2023-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KR20230058802A (ko) 2021-10-25 2023-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KR20230059047A (ko) 2021-10-25 2023-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KR20230058806A (ko) 2021-10-25 2023-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KR20230058805A (ko) 2021-10-25 2023-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KR20230059062A (ko) 2021-10-25 2023-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KR20230059046A (ko) 2021-10-25 2023-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KR20230120459A (ko) 2022-02-09 2023-08-17 태형물산 주식회사 사물 인터넷 기반의 반려동물용 사료 자동 공급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7504B1 (ko) 애완동물용 사료 자동공급장치
CN104990328B (zh) 蒸汽杀菌冰箱
KR101373321B1 (ko) 애완동물 자동먹이 공급장치
KR101348964B1 (ko) 사료 자동 급여 장치 및 시스템
JP4419854B2 (ja) 飲料水のディスペンサ
JP2010012085A (ja) 蒸し器
AU2011257945B2 (en) A water heating system
US20220240491A1 (en) Automatic aquarium feeder
US201002295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ice making of refrigerator
CN205922430U (zh) 一种智能宠物喂食器
KR200358668Y1 (ko) 공압을 이용한 어류양식장 자동먹이공급장치
KR20140125688A (ko) 얼음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US20110232775A1 (en) Flow through humidifier recirculating pump
US20040149742A1 (en) System to heat liquids
KR19980013802A (ko) 중앙집중식 온수 분배 시스템의 제어장치
WO2018021052A1 (ja) 氷ディスペンサ
KR102170226B1 (ko) 데이터를 활용한 사료품질관리형 스마트 사료저장탱크
CN208808177U (zh) 饮水机及其控制装置
US20170248357A1 (en) Stand-Alone Ice Making Appliances
JP6242736B2 (ja) 飲料供給装置
CN111543856A (zh) 一种带有奶瓶消毒功能的自动冲奶粉机
KR20010008272A (ko) 냉장고의 냉온수장치 결합구조
CN112484385B (zh) 具有煮蛋装置的制冷电器
JP2013155888A (ja) 給湯装置
JP5791551B2 (ja) 飲料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