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0153B1 - 애완동물용 자동 사료배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 자동 사료배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0153B1
KR101860153B1 KR1020180005799A KR20180005799A KR101860153B1 KR 101860153 B1 KR101860153 B1 KR 101860153B1 KR 1020180005799 A KR1020180005799 A KR 1020180005799A KR 20180005799 A KR20180005799 A KR 20180005799A KR 101860153 B1 KR101860153 B1 KR 101860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pet
unit
screen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5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희
Original Assignee
서동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동희 filed Critical 서동희
Priority to KR1020180005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01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0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0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91Automatic devices with timing mechanisms, e.g. pet fee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1Feed troughs; Feed pails
    • A01K5/0114Pet food dispensers; Pet food tray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완동물에게 자동으로 사료를 배급하기 위한 사료배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료 배급부에 의하여 먹이 시간에 맞춰 애완동물에게 사료를 조절하여 배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광욕 기능에 의하여 애완동물의 건강 및 위생을 도모할 수 있는 자동 사료배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자동 사료배급 시스템은, 사료를 보관하기 위한 사료저장부(12)가 본체부(11)의 상부에 고정되고 사료저장부(12)의 하부와 연통되어 사료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실린더부(13, 14, 15)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실린더(13, 14, 15)로부터 배급되는 사료를 애완동물이 먹을 수 있도록 임시로 보관하는 사료 용기(17)가 구비된 사료 배급부(10); 및 먹이 시간에 맞춰 애완동물에게 사료를 조절하여 배급하도록 상기 사료 배급부(10)의 이송실린더부(13, 14, 15)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 애완동물이 상기 사료 배급부(10)의 사료 용기(17)로 접근할 수 있는 개방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방부 외의 부분으로는 사료 용기(17)로 접근할 수 없도록 상기 사료 배급부(10)의 적어도 일부분을 통풍 가능한 구조로 커버하는 배급 하우징부(20); 애완동물이 상기 사료 용기(17)에 배급된 사료를 먹는 자세에서 애완동물의 몸통에 일광욕 광을 제공하기 위한 광조사부(31, 33)가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일광욕 기능이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배급 하우징부(20)와 인접되게 배치되는 일광욕 하우징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먹이 시간에 맞춰 애완동물에게 사료를 조절하여 배급할 수 있고 일광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Description

애완동물용 자동 사료배급 시스템.{Automatic Pet Feeding System}
본 발명은 애완동물에게 자동으로 사료를 배급하기 위한 사료배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료 배급부에 의하여 먹이 시간에 맞춰 애완동물에게 사료를 조절하여 배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광욕 기능에 의하여 애완동물의 건강 및 위생을 도모할 수 있는 자동 사료배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점차 발전해 나갈수록 점점 고령화 사회로 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청년 1인당 부양할 노인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많은 노인 분들은 자식들과 함께 사는 것이 아닌 독거 형태로 생활하고 있다. 이런 생활 형태가 증가할수록 노인 우울증이 증가하고 있고, 주요 우울장애부터 기타 우울장애까지 30~50%의 노인에게서 발생할 만큼 우울장애는 고령화 사회로 바뀌고 있는 현대에 사회적으로 대두되고 있는 주요 문제 중 하나이다.
이러한 우울증은 주로 외로움 때문에 발생되는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실제로 노인은 사별, 은퇴, 경제적 곤란 등과 같은 정서적 불안 상태를 동반하는 경우가 다른 연령층들에 비해 높기 때문에 우울장애가 발생할 확률이 높은데 이때 우울장애의 발화점이 되는 것이 바로 정서적 외로움이다. 가족들과 소원해져 혼자 사는 독거노인 분들이 노인층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점차 늘어가고 있고 이에 따라 외로움에 의한 우울증 발생이 노인층에서 계속 증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렇게 노인 우울증이 많아지고 있는 가운데 이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법으로서 반려 동물을 키우는 것이 많이 추천된다. 오래전부터 애완동물은 우울증 치료나 가족 간 권태기를 극복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우울증이나 자폐증, 사회 공포증 등을 겪는 환자들에게 애완동물을 이용한 동물 보조 정신치료가 활용되고 추천된다. 하지만 독거노인들의 경우 자신의 생활도 관리하기 힘들기 때문에 애완동물에게 먹이를 주고 배변 훈련을 시키는 것은 더욱 힘들고, 기술발전에 의하여 애완동물 로봇이 대안으로서 고려될 수 있으나 아직까지 매우 비싼 가격으로 팔리기 때문에 실생활에 적용되기에는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
또한, 애완동물을 키우기 위해서는 먹이를 제공하는 것 외에도 애완동물의 건강 및 위생을 위하여 주기적인 산책을 통한 일광욕을 제공할 필요가 있는데, 거동이 불편한 노인 혹은 1인 가구의 직장인 등에게는 이 부분도 쉽게 해결할 수 없는 문제이다.
따라서 애완동물에게 시간에 맞춰 먹이를 조절하여 배급할 수 있으면서도 애완동물에게 일광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고, 또한, 일광욕을 제공하는 과정에서 애완동물에게 다른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성이 확보될 필요가 있으며, 필요한 시기에 충분히 일광욕을 제공할 수 있는 세부적인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11371호(2017.02.02.)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애완동물이 먹을 수 있는 사료를 보관하되 먹이 시간에 맞춰 사료를 조절하여 배급할 수 있으며 사료 배급의 불편을 감소시킨 자동 사료 배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애완동물이 사료를 먹는 동안 일광욕을 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을 제공하며 이때 단일의 먹이 접근 경로를 허용하여 일광욕 기능이 제대로 제공될 수 있는 세부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일광욕에 사용되는 광조사 수단으로부터 애완동물이 놀라거나 안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한 기술적 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애완동물이 사료를 먹는 동안에 일광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애완동물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고자 하며, 이를 위한 세부 기술수단을 다양하게 제공하고자 한다.
더불어, 일광욕 기능을 제공하는 시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애완동물을 사료배급 시스템에 충분히 머물도록 유인하는 추가적인 기술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자동 사료배급 시스템은 사료를 보관하기 위한 사료저장부(12)가 본체부(11)의 상부에 고정되고 사료저장부(12)의 하부와 연통되어 사료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실린더부(13, 14, 15)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실린더(13, 14, 15)로부터 배급되는 사료를 애완동물이 먹을 수 있도록 임시로 보관하는 사료 용기(17)가 구비된 사료 배급부(10); 및 먹이 시간에 맞춰 애완동물에게 사료를 조절하여 배급하도록 상기 사료 배급부(10)의 이송실린더부(13, 14, 15)를 제어하는 제어부(70); 애완동물이 상기 사료 배급부(10)의 사료 용기(17)로 접근할 수 있는 개방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방부 외의 부분으로는 사료 용기(17)로 접근할 수 없도록 상기 사료 배급부(10)의 적어도 일부분을 통풍 가능한 구조로 커버하는 배급 하우징부(20); 애완동물이 상기 사료 용기(17)에 배급된 사료를 먹는 자세에서 애완동물의 몸통에 일광욕 광을 제공하기 위한 광조사부(31, 33)가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일광욕 기능이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배급 하우징부(20)와 인접되게 배치되는 일광욕 하우징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자동 사료배급 시스템은 상기 배급 하우징부(20)의 개방부에는 안전 스크린부재(40)가 구비되고, 상기 안전 스크린부재(40)는, 상기 배급 하우징부(20)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프레임 부재(41); 및 상기 프레임 부재(41)에 고정되고 애완동물이 상기 사료 배급부(10)의 사료 용기(17)로 접근하기 위하여 애완동물의 머리를 삽입할 수 있도록 절개부가 구비된 스크린부(42, 43);를 포함함으로써 애완동물에게 더욱 안전하게 일광욕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자동 사료배급 시스템에서 상기 안전 스크린부재(40)는 상기 절개부의 개방상태를 감지하는 스크린 개폐감지 부재(50)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스크린 개폐감지 부재(50)에 의해 상기 스크린부(42, 43)의 절개부가 개방된 상태인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조사부(31, 33)에 의한 일광욕 기능을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자동 사료배급 시스템에서 상기 스크린 개폐감지 부재(50)는, 상기 스크린부(42, 43)의 절개부를 따라 배치되며 그 일단이 상기 프레임 부재(41)에 고정된 개폐변형 부재(51); 및 상기 개폐변형 부재(51)의 타단에 탄성부재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기 스크린부(42, 43)의 절개부의 개폐 상태에 따른 상기 개폐변형 부재(51)의 타단의 위치 변경에 의하여 온오프 상태가 감지되는 스프링 스위치 센서(5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자동 사료배급 시스템에서 상기 스크린 개폐감지 부재(50)는, 상기 스크린부(42, 43)의 절개부에 배치되며, 상기 절개부의 개폐 상태를 따라 자석에 의하여 통전 상태가 변경되는 자석 스위치 부재(54, 55); 및 상기 자석 스위치 부재(54, 5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절개부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통전 감지 본체(5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자동 사료배급 시스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광욕 하우징부(30)에 의하여 애완동물에게 제공되는 일광욕 시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이송실린더부(13, 14, 15)에 의한 사료의 이송 속도 및 사료 배급 빈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료 배급부의 이송실린더부를 제어하여 먹이 시간에 맞춰 사료를 조절하여 배급할 수 있음으로써 독거노인 혹은 부재자의 경우에도 애완동물에게 원활하게 사료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애완동물에게 일광욕을 제공할 수 있어서 애완동물의 체내 신진대사를 도모하고 피부병, 방역, 체취 등의 위생문제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일광욕을 위하여 조도가 높은 광을 조사하는 경우에 애완동물의 경계심 유발하여 사료 용기로의 접근을 방해할 수 있고 조도가 높은 가시광이나 자외선은 안구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안전 스크린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사료를 먹는 애완동물의 머리 부분에는 일광욕 기능의 광이 조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애완동물이 먹이를 먹는 동안 스트레스를 유발하지 않으며 안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안전 스크린부재에 스크린 개폐감지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애완동물이 스크린부의 절개부를 개방한 상태를 감지하여 광조사부의 작동을 시작하거나 광조사부의 광조사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어서 안전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고 일광욕 효과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스크린부의 절개부에 배치된 수단을 이용하여 절개부의 개폐 상태를 직접적으로 감지하는 구조로 스크린 개폐감지 부재를 형성함으로써 애완동물의 먹이 활동을 신뢰성 있게 모니터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지며, 간편 구조로 스크린 개폐감지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제조비용 측면에서 경제성이 향상된 효과를 추가적으로 갖는다.
더불어, 제어부의 제어를 통하여 이송실린더부에 의한 사료의 이송 속도 및 사료 배급 빈도 등을 조절하여 사료를 배급함으로써 애완동물에게 일광욕 기능을 제공하는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일광욕 효과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자동 사료배급 시스템.
도 2.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자동 사료배급 시스템에 구비된 사료 배급부의 세부 구조.
도 3.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자동 사료배급 시스템에 구비된 배급 하우징부 및 안전 스크린부재의 세부 구조.
도 4.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자동 사료배급 시스템에 구비된 스크린 개폐감지 부재.
도 5.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자동 사료배급 시스템에 구비된 스크린 개폐감지 부재의 다른 실시예.
도 6.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자동 사료배급 시스템에 구비된 제어부.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을 살펴보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자동 사료배급 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1(a)는 애완동물용 자동 사료배급 시스템의 측면도이고 도 1(b)는 애완동물용 자동 사료배급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자동 사료배급 시스템에 구비된 사료 배급부의 세부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설명을 위하여 이송실린더부를 부분 절개하여 내부 구성을 표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자동 사료배급 시스템에 구비된 배급 하우징부 및 안전 스크린부재의 세부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3(a)는 애완동물에게 사료를 배급하는 상황을 표현한 것이고, 도 3(b)는 배급 하우징부 및 안전 스크린부재를 사시도로 표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자동 사료배급 시스템에 구비된 스크린 개폐감지 부재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4(a)는 스크린 개폐감지 부재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4(b)는 스크린 개폐감지 부재의 작동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자동 사료배급 시스템에 구비된 스크린 개폐감지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5(a)는 스크린 개폐감지 부재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5(b)와 도 5(c)는 자석식 스크린 개폐감지 부재의 유형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자동 사료배급 시스템에 구비된 제어부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자동 사료배급 시스템(100)은,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사료 배급부(10) 및 배급 하우징부(20), 일광욕 하우징부(30), 안전 스크린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사료 배급부(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료를 보관하기 위한 사료저장부(12)가 본체부(11)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사료저장부(12)의 하부와 연통되게 이송실린더부(13, 14, 15)가 구비되어 사료저장부(12)에 보관된 사료가 이송실린더부(13, 14, 15)를 거쳐 사료 용기(17)로 배급되도록 구성되며, 애완동물은 개방구조의 상기 사료 용기(17)에 임시로 보관된 사료를 먹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이송실린더부(13, 14, 15)는 일측이 상기 사료저장부(12)와 연통되며 전체적으로 원통 구조로 형성된 이송 실린더(13)와, 상기 이송 실린더(13)의 내부에 배치되며 나선형의 스크류가 회전축의 주위에 형성된 이송 스크류(14), 상기 본체부(11)에 지지되어 상기 이송 스크류(14)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기(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사료저장부(12)는 자중에 의하여 사료를 원활하게 이송 실린더(13) 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사료저장부(12)의 하부가 호퍼 구조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송 실린더(13)의 타측에는 토출되는 사료를 사료 용기(17)로 안정적으로 공급하도록 사료토출 안내관(16)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 등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이송 실린더(13)는 수평방향의 자세로 배치된 것으로 제시되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이송 실린더(13)는 수직방향 혹은 경사방향의 자세로 배치될 수 있으며, 사료토출 안내관(16)의 형성 위치도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어부(70)는, 상기 사료 배급부(10)의 이송실린더부(13, 14, 15)를 제어하여 먹이 시간에 맞춰 사료를 조절하여 배급하는 기능을 구현한다. 도 2에서는 자동 사료배급 시스템(100)에 대한 제어입력을 설정하기 위한 버튼들이 표면에 구비된 제어패널(18)이 본체부(11)의 일측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었는데 상기 제어부는 제어패널(18)의 내부에 배치되거나 혹은 이격된 별도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컴(71)에 내장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모터드라이버(76)에 명령신호를 보냄으로써 구동기(15)를 구동하며, 필요한 시기에 광조사구동부(77)에 명령신호를 보냄으로써 광조사부(31, 33)를 구동한다. 또한, 제어패널(18)에 설치된 버튼들을 통하여 애완동물의 종류나 나이, 체중, 기준먹이량 등을 입력 받는 버튼입력부(74)가 구비될 수 있고, 버튼입력 정보, 센서감지 정보 등을 보관하는 메모리(7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장치의 운전정보 등을 안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79)와, 사용자 또는 애완동물에게 안내 또는 경고 등을 위하여 알림음 또는 멜로디, 음악 등을 발생시키는 음향발생부(78)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70)에 의하여 하루에 수회 자동으로 사료를 배급하는 것뿐만 아니라 애완동물의 종류나 나이, 체중 등에 따라서 사료 배급 빈도(횟수) 및/또는 사료 배급량 등을 다르게 조절하여 배급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이송 스크류(14)의 구동 빈도 및 속도, 구동 시간 등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모바일 등을 이용한 원격제어용 송수신 모듈(73)을 제어부에 구비함으로써 원격으로 제어 및 모니터링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애완동물에게 먹이 시간을 알리거나 사료를 먹는 동안 정서적인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하여 알림음 또는 멜로디, 음악 등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제어부(70)의 마이컴(71)에 의하여 상기 음향발생부(78)가 구동될 수 있다. 이 밖에도, 상기 제어부는 단순히 사료를 공급하는 기능 외에 추가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배급 하우징부(20)는, 애완동물이 상기 사료 배급부(10)의 사료 용기(17)로 접근할 수 있는 개방부를 구비하되 상기 개방부 외의 부분으로는 사료 용기(17)로 접근할 수 없도록 통풍 가능한 구조로 상기 사료 배급부(10)의 적어도 일부분을 커버하며 상기 일광욕 하우징부(30)와 인접되게 배치된다. 상기 배급 하우징부(20)로 인하여 애완동물은 상기 개방부 외의 부분으로는 사료 용기(17)로 임의로 접근할 수 없고 이로 인하여 배급 하우징부(20)와 인접되게 배치된 일광욕 하우징부(30)를 거쳐야만 사료 용기(17)로 접근할 수 있게 되어 일광욕 기능의 기본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일광욕 하우징부(30)는, 애완동물이 상기 사료 배급부(10)로 접근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며 애완동물이 상기 사료 용기(17)에 배급된 사료를 먹는 동안 일광욕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일광욕 하우징부(30)에는 애완동물의 일광욕을 위한 광조사부(31, 33)가 구비되는데, 상기 광조사부는 자외선 조사부(31) 및 적외선 조사부(3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광욕 효과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광반사 표면을 구비하고 일광욕 광의 조사방향을 안내하는 자외선 안내부재(32) 및 적외선 안내부재(34)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일광욕 하우징부(30)에 구비되는 광조사부는 자외선 조사부(31) 또는 적외선 조사부(33)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가시광을 조사하는 광원을 대체하여 이용하거나 추가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이때, 높은 조도의 가시광을 조사하는 광원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사료 배급부(10)로 접근하는 애완동물이 경계심을 갖거나 먹이를 먹는 동안 눈부심 등으로 인하여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으므로 광원의 조도를 조절하거나 광원을 구동하는 시기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애완동물용 자동 사료배급 시스템(100)은, 일광욕 기능을 위하여 광조사부가 구동되는 경우에 높은 조도의 가시광이 애완동물에게 경계심을 유발하거나 스트레스를 발생시킬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또한, 이러한 단점을 고려하여 가시광이 적게 발생하거나 거의 발생되지 않는 자외선 및/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일광욕을 제공하더라도 애완동물의 안구에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음을 고려하여, 상기 배급 하우징부(20)의 개방부에 안전 스크린부재(4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안전 스크린부재(40)는, 상기 배급 하우징부(20)에 결합되는 프레임 부재(41)와, 상기 프레임 부재(41)에 고정되고 애완동물이 상기 사료 배급부(10)의 사료 용기(17)로 접근하기 위하여 애완동물의 머리를 삽입할 수 있도록 절개부가 구비된 스크린부(42, 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스크린부(42, 43)는 불투명 섬유재질 혹은 일광욕 광을 반사시키는 코팅표면이 구비된 섬유재질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프레임 부재(41)의 중간에 절개부가 위치하도록 스크린 고정수단(44)을 이용하여 제1 스크린부(42)와 제2 스크린부(43)를 각각 프레임 부재(41)에 고정하되 애완동물의 머리 삽입 여부에 의하여 절개부가 개방 구조 및 폐쇄 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절개부 근처의 스크린 고정수단(44)은 프레임 부재(41)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되고, 절개부가 개방 구조에서 폐쇄 구조로 신속히 회복될 수 있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된 스크린 복원부재(45)의 양단부가 절개부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복원력을 제공한다.
한편, 일광욕 광에 대한 애완동물 보호수단으로서, 애완동물의 머리 삽입을 대기하는 개방구조에서 애완동물이 머리를 삽입하면 애완동물의 목 부분 주위로 수렴되도록 전개하여 애완동물의 머리 부분 측으로 조사되는 일광욕 광을 차단하는 구조로 변경되는 기구적인 제어구조를 이용할 수도 있으나 애완동물에 공포심이나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또한, 대체로 애완동물은 감춰진 먹이를 능동적으로 찾아내는 습성이 있고 먹이를 단순한 은폐구조로 감춰 놓는 경우에 애완동물이 훈련으로 쉽게 적응할 수 있는 점 등을 고려하여, 애완동물이 머리를 삽입할 수 있는 절개부가 구비된 단순한 구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절개부 구조의 스크린부(42, 43)에 의하여 애완동물이 먹이를 먹는 동안에 광조사부로부터 애완동물의 머리로 조사되는 일광욕 광을 차단하거나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안전 스크린부재(40)에는, 상기 절개부의 개방상태를 감지하는 스크린 개폐감지 부재(50)가 추가로 구비되며, 상기 스크린부(42, 43)의 절개부가 개방된 상태인 경우에 상기 스크린 개폐감지 부재(50)로부터 스크린 개폐감지 신호(75)가 상기 제어부(70)로 전달되고, 상기 제어부(70)는 광조사구동부(77)를 통하여 상기 광조사부(31, 33)에 의한 일광욕 기능을 구동한다. 이렇게 스크린부(42, 43)의 절개부가 개방된 상태일 때를 감지하여 일광욕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안전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향상된 안전도를 활용하여 일광욕 광원의 조도를 더욱 높여서 일광욕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일광욕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스크린부(42, 43)의 절개부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여 그 이력을 상기 제어부(70)의 메모리(72)에 보관하여 이용함으로써 애완동물의 먹이활동을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되어 애완동물의 건강상태 혹은 가출 등의 이상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자동 사료배급 시스템(100)은 절개부의 개폐 상태를 직접 감지하는 구조를 갖는 스크린 개폐감지 부재(50)를 구비함으로써 감지 신뢰도를 더욱 개선한다. 즉, 변형 가능하되 길이 방향으로 신축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된 와이어 형태의 개폐변형 부재(51)가 상기 스크린부(42, 43)의 절개부를 따라 배치되며 개폐변형 부재(51)의 일단이 고정수단(53)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 부재(41)에 고정되고, 개폐변형 부재(51)의 타단은 스프링 스위치 센서(52)의 탄성부재에 연결되어 구비됨으로써, 상기 스크린부(42, 43)의 절개부의 개폐 상태에 따라 상기 개폐변형 부재(51)의 타단의 위치가 변경되어 상기 스프링 스위치 센서(52)에 의하여 온오프 상태를 감지한다.
또한, 스크린 개폐감지 부재(50)의 다른 실시예로서, 마그네틱 스위치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자석 스위치 부재(54, 55)가 상기 스크린부(42, 43)의 절개부에 배치되어 상기 절개부의 개폐 상태를 따라 자석에 의하여 통전 상태가 변경되고, 센서 와이어(56)에 의하여 상기 자석 스위치 부재(54, 5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절개부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통전 감지 본체(57)를 구비한다. 도 5(b)는 자석 스위치 제1 부재(54)와 자석 스위치 제2 부재(55)가 적어도 어느 한쪽에 내장된 자석에 의하여 상호 결합하는 경우에 자석 스위치 제1 부재(54)와 자석 스위치 제2 부재(55)의 결합표면에 노출되어 배치된 전극이 접촉됨으로써 통전 상태를 이루는 구조이다.
또한, 변형된 실시예로서, 도 5(c)는 자석 스위치 제1 부재(54)가 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자석 스위치 제2 부재(55)의 내부에는 외부 자력에 의하여 개폐상태가 변경되는 스위치(reed switch)가 구비됨으로써, 절개부의 개폐 상태에 따라 함께 위치 변경되는 자석 스위치 제1 부재(54)와 자석 스위치 제2 부재(55)에 의하여 자석 스위치 제2 부재(55)의 내부에 구비된 스위치의 통전 상태가 변경되고 이를 센서 와이어(56)를 통하여 통전 감지 본체(57)에서 감지하는 구조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어부(70)는, 상기 일광욕 하우징부(30)에 의하여 애완동물에게 제공되는 일광욕 시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이송실린더부(13, 14, 15)에 의한 사료의 이송 속도 및 사료 배급 빈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즉, 애완동물에게 배급하고자 하는 사료 배급량을 동일하게 유지하면서도 사료의 이송 속도 및 사료 배급 빈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하여 사료를 배급함으로써 애완동물이 자동 사료배급 시스템 내부에서 안전하게 일광욕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유인한다. 이러한 기능은 상기 제어부가 이송 스크류(14)의 구동빈도, 회전속도 등을 제어함으로써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애완동물용 자동 사료배급 시스템(100)은, 실내 공간의 활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전개 및 수납이 선택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급 하우징부(20)와 안전 스크린부재(40)로부터 전개되게 배치된 일광욕 하우징부(30)가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배급 하우징부(20)와 안전 스크린부재(40)의 외측을 따라 이동하여 일광욕 하우징부(30)가 배급 하우징부(20)와 안전 스크린부재(40)를 수납하는 구조로 변경되도록 형성한다. 이때, 전개 배치 상태 및 수납 상태로의 변경이 용이하도록 슬라이드 안내수단으로서 슬라이드 제1 부재(25) 및 슬라이드 제2 부재(35)가 양측에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드 제1 부재(25) 및 슬라이드 제2 부재(35)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이 게재된 슬라이드 레일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전개 및 수납 구조를 채용하게 되면, 실내 공간의 활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 외에도 수납 상태에서 일광욕 광을 조사하여 사료 용기(17) 및 사료토출 안내관(16) 등을 건조시키거나, 특히, 자외선을 조사하여 사료 용기(17) 및 사료토출 안내관(16) 등에 대한 살균 효과를 얻음으로써 위생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수 있다. 그 밖에 다른 용도로서, 전개 또는 수납 상태에서 일광욕 광을 조사하여, 특히, 자외선을 조사하여 실내 공기 등에 탈취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때에는 애완동물 또는 사람이 자동 사료배급 시스템(100)으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경고음 등을 함께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스크린부(42)와 제2 스크린부(43)를 각각 프레임 부재(41)에 고정하는 스크린 고정수단(44)은 상기 프레임 부재(41)보다 큰 규격을 갖는 복수의 링부재로 형성하여 구비할 수 있는데, 재질은 섬유 혹은 플라스틱, 금속 등을 필요에 따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사료 배급부(10)의 청소, 관리 등을 목적으로 배급 하우징부(20)와 사료 배급부(10)를 분해 가능한 결합 구조로 형성하거나 복수의 링부재로 형성된 상기 스크린 고정수단(44) 중 적어도 일부는 링 구조를 임의로 개방할 수 있도록 구비할 수 있다. 즉, 섬유의 링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스크린 고정수단(44)을 형성한 경우에는 단추 등을 이용하여 임시 개방이 가능한 고리 구조이거나, 플라스틱 또는 금속의 링부재를 이용하여 형성한 경우에는 일측이 힌지구조이고 타측이 잠금 및 열림 가능하게 변경 가능한 고리 구조 등을 채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개나 고양이와 같은 애완동물을 대상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자동 사료배급 시스템의 세부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조류 등과 같은 다른 종류의 애완동물에 대해서도 각 구성의 크기 및 배치구조를 적절히 변경하여 애완동물용 자동 사료배급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고, 그 경우에도 앞서 설명한 효과 등을 확보할 수 있음을 통상의 기술자는 자명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자동 사료배급 시스템(100)에 의하여 독거노인 및 부재자에게 애완동물을 건강하고 안전하게 사육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음을 강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애완동물을 사육하는 일반인에게도 외출 또는 장기 여행 등의 상황에서 동일한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 또는 분할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 또는 분할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범위 안에서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방법의 단계는 단독으로 복수회 실시되거나 혹은 적어도 다른 어느 한 단계와 조합으로 복수회 수행되는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애완동물용 자동 사료배급 시스템
10 : 사료 배급부 11 : 본체부
12 : 사료저장부 13 : 이송 실린더
14 : 이송 스크류 15 : 구동기
16 : 사료토출 안내관 17 : 사료 용기
18 : 제어패널
20 : 배급 하우징부 25 : 슬라이드 제1 부재
30 : 일광욕 하우징부 31 : 자외선 조사부
32 : 자외선 안내부재 33 : 적외선 조사부
34 : 적외선 안내부재 35 : 슬라이드 제2 부재
40 : 안전 스크린부재 41 : 프레임 부재
42 : 제1 스크린부 43 : 제2 스크린부
44 : 스크린 고정수단 45 : 스크린 복원부재
50 : 스크린 개폐감지 부재 51 : 개폐변형 부재
52 : 스프링 스위치 센서 53 : 고정수단
54 : 자석 스위치 제1 부재 55 : 자석 스위치 제2 부재
56 : 센서 와이어 57 : 통전 감지 본체
70 : 제어부

Claims (6)

  1. 애완동물에게 자동으로 사료를 배급하기 위한 사료배급 시스템에 있어서,
    사료를 보관하기 위한 사료저장부(12)가 본체부(11)의 상부에 고정되고 사료저장부(12)의 하부와 연통되어 사료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실린더부(13, 14, 15)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실린더(13, 14, 15)로부터 배급되는 사료를 애완동물이 먹을 수 있도록 임시로 보관하는 사료 용기(17)가 구비된 사료 배급부(10); 및
    먹이 시간에 맞춰 애완동물에게 사료를 조절하여 배급하도록 상기 사료 배급부(10)의 이송실린더부(13, 14, 15)를 제어하는 제어부(70);
    애완동물이 상기 사료 배급부(10)의 사료 용기(17)로 접근할 수 있는 개방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방부 외의 부분으로는 사료 용기(17)로 접근할 수 없도록 상기 사료 배급부(10)의 적어도 일부분을 통풍 가능한 구조로 커버하는 배급 하우징부(20);
    애완동물이 상기 사료 용기(17)에 배급된 사료를 먹는 자세에서 애완동물의 몸통에 일광욕 광을 제공하기 위한 광조사부(31, 33)가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일광욕 기능이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배급 하우징부(20)와 인접되게 배치되는 일광욕 하우징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배급 하우징부(20)의 개방부에는 안전 스크린부재(40)가 구비되고,
    상기 안전 스크린부재(40)는,
    상기 배급 하우징부(20)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프레임 부재(41); 및
    상기 프레임 부재(41)에 고정되고 애완동물이 상기 사료 배급부(10)의 사료 용기(17)로 접근하기 위하여 애완동물의 머리를 삽입할 수 있도록 절개부가 구비된 스크린부(42, 4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자동 사료배급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스크린부재(40)는, 상기 절개부의 개방상태를 감지하는 스크린 개폐감지 부재(50)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스크린 개폐감지 부재(50)에 의해 상기 스크린부(42, 43)의 절개부가 개방된 상태인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조사부(31, 33)에 의한 일광욕 기능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자동 사료배급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개폐감지 부재(50)는,
    상기 스크린부(42, 43)의 절개부를 따라 배치되며 그 일단이 상기 프레임 부재(41)에 고정된 개폐변형 부재(51); 및
    상기 개폐변형 부재(51)의 타단에 탄성부재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기 스크린부(42, 43)의 절개부의 개폐 상태에 따른 상기 개폐변형 부재(51)의 타단의 위치 변경에 의하여 온오프 상태가 감지되는 스프링 스위치 센서(52);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자동 사료배급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개폐감지 부재(50)는,
    상기 스크린부(42, 43)의 절개부에 배치되며, 상기 절개부의 개폐 상태를 따라 자석에 의하여 통전 상태가 변경되는 자석 스위치 부재(54, 55); 및
    상기 자석 스위치 부재(54, 5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절개부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통전 감지 본체(57);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자동 사료배급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광욕 하우징부(30)에 의하여 애완동물에게 제공되는 일광욕 시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이송실린더부(13, 14, 15)에 의한 사료의 이송 속도 및 사료 배급 빈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자동 사료배급 시스템.
KR1020180005799A 2018-01-16 2018-01-16 애완동물용 자동 사료배급 시스템. KR101860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799A KR101860153B1 (ko) 2018-01-16 2018-01-16 애완동물용 자동 사료배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799A KR101860153B1 (ko) 2018-01-16 2018-01-16 애완동물용 자동 사료배급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0153B1 true KR101860153B1 (ko) 2018-05-21

Family

ID=62453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5799A KR101860153B1 (ko) 2018-01-16 2018-01-16 애완동물용 자동 사료배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01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026Y1 (ko) 2019-04-04 2019-09-10 윤지현 높이 및 각도조절이 되는 애완동물용 식탁
KR20230134225A (ko) 2022-03-14 2023-09-21 (주) 성림 애완동물을 위한 사료 보관 및 공급용 식기세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263Y1 (ko) 2002-07-19 2002-10-18 이규환 애완동물용 사료 자동 공급장치
KR200300258Y1 (ko) 2002-08-21 2003-01-14 정우협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
JP4876999B2 (ja) * 2007-03-23 2012-02-15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小動物用の食事容器装置
KR101357504B1 (ko) * 2012-12-21 2014-02-13 김미진 애완동물용 사료 자동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263Y1 (ko) 2002-07-19 2002-10-18 이규환 애완동물용 사료 자동 공급장치
KR200300258Y1 (ko) 2002-08-21 2003-01-14 정우협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
JP4876999B2 (ja) * 2007-03-23 2012-02-15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小動物用の食事容器装置
KR101357504B1 (ko) * 2012-12-21 2014-02-13 김미진 애완동물용 사료 자동공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026Y1 (ko) 2019-04-04 2019-09-10 윤지현 높이 및 각도조절이 되는 애완동물용 식탁
KR20230134225A (ko) 2022-03-14 2023-09-21 (주) 성림 애완동물을 위한 사료 보관 및 공급용 식기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52758A1 (en) Room decontamination system, method and controller
CA2390953C (en) Automatic training device and method
CA2742589C (en) Feeding system and process for behavioral modification of animals
US10208975B2 (en) Smart pet-crate with interactive features
US8098163B2 (en) Birth monitoring system for piglets
US9907294B2 (en) Control feeding pan and feeding system for poultry keeping
KR101860153B1 (ko) 애완동물용 자동 사료배급 시스템.
US20110297091A1 (en) Animal exercise and feeding apparatus
US20110297090A1 (en) Animal feeding apparatus
WO2002076191A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imal feeding
KR20190050662A (ko) 애완동물용 놀이기구
GB2454658A (en) Automatic pet feeder
CN107205359A (zh) 用于使预先识别的宠物选择性接近预定位置或物体的方法和系统
KR20160070195A (ko) 공간 개방형 살균소독 시스템
US20080264349A1 (en) Kennel with automatically opening door
Martin Specific behavior modification techniques and practical applications for behavior disorders
KR101510209B1 (ko) 애완동물용 방석
KR20200118982A (ko) 스마트 반려동물 에코 하우스
NL2015308B1 (en) Horse feeding device.
KR20210002207U (ko) 무선기기를 이용한 반려동물 관리 장치
KR102465109B1 (ko) 반려동물용 공 자동 공급기
Griffin Strategies to Reduce Stress and Enhance Patient Comfort during the Spay–Neuter Process
Hedges Managing behaviour during ill health.
JP2001000065A (ja) 自動給餌器
US20180084759A1 (en) Pet treat dispers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