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5164Y1 - 수위를 이용한 상수 소독장치 - Google Patents

수위를 이용한 상수 소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5164Y1
KR200165164Y1 KR2019990014135U KR19990014135U KR200165164Y1 KR 200165164 Y1 KR200165164 Y1 KR 200165164Y1 KR 2019990014135 U KR2019990014135 U KR 2019990014135U KR 19990014135 U KR19990014135 U KR 19990014135U KR 200165164 Y1 KR200165164 Y1 KR 2001651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infectant
water
main body
water level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41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욱
Original Assignee
이종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욱 filed Critical 이종욱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51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51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C02F1/685Devices for dosing the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어촌 등의 소규모 간이상수도에 설치되는 상수 소독장치에 관한 것으로, 물탱크에 유입되는 수면의 높낮이를 이용해 소독약(클로로칼키)을 자동 투입하여 과다한 소독약의 사용을 방지하는 한편 수량에 맞는 소독약의 정량투입이 가능한 수위를 이용한 상수 소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개폐가능한 도어(2)와 소독약의 투입을 위한 배출호스(4)가 장착되어 물탱크(50)위에 설치되는 본체(1)와, 소독약이 적층식으로 수납되어 본체(1)의 상부에 끼워져 장착되는 수납봉(30)과, 수위에 따라 상하 유동하는 부표(20)에 의해서 전후 이송되어 소독약을 투입하는 이송부재(10)와, 이 이송부재(10)의 전후 이송을 잡아주는 스프링(40)과, 부표(20)와 결속된 로프(21)가 감겨지도록 회전가능한 도르레(2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수위를 이용한 상수 소독장치{Water sterilizer make use of a water level}
본 고안은 농어촌 등의 소규모 간이상수도에 설치되는 상수 소독장치에 관한 것으로, 물탱크에 유입되는 수면의 높낮이를 이용해 소독약(클로로칼키)을 자동 투입하여 과다한 소독약의 사용을 방지하는 한편 수량에 맞는 소독약의 정량투입이 가능한 수위를 이용한 상수 소독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수장에서 소독처리된 수돗물을 공급하기 어려운 농어촌 지역에는 지역관할청에서 소규모 간이상수도를 설치하여 지역주민들로 하여금 소독을 실시하도록 하고 있으며 주기적으로 수질검사를 실시해 상수의 오염으로 인한 주민들의 질병을 예방하고 있다.
간이상수도의 시설은 보편적으로 펌프로 지하수를 끌어올려서 물탱크에 유입시켜 저장하고 이 물탱크안에 액체상태나 고체상태의 소독약을 투입해 지하수에 기생하는 각종세균들을 소독처리하여 상수를 공급하도록 설치된다.
종래 물탱크내에 유입된 지하수를 소독처리하는 방법에는 지역 주민이 인위적으로 실시하는 방법과 또는 소용량의 펌프를 이용해 액체상태의 소독약을 물방울 형태로 물탱크내에 투입하는 방법들이 실시되고 있다.
종래 지역 주민들이 인위적으로 실시하는 소독처리 방법은 지역 주민들의 고령화 추세와 소독에 대한 중요성이 부족한 한편 일손이 바쁜 농번기철에는 물탱크의 소독처리가 어려운 실정일 뿐만아니라 소독처리시 물탱크에 유입된 수량에 관계없이 임의적으로 소독약을 투입하므로써 과다한 소독처리가 우려되고 있다.
또한 간이상수도는 대체적으로 고지대에 설치되므로써 지역 주민들의 관리가 소홀하고 번거로움을 느낌에 따라 누구나 소독처리를 꺼려하는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철저한 소독처리가 이루어지면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대장균이나 일반세균들이 수질검사시에 검출되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하절기에는 소독의 미실시로 인한 수인성 전염병이 발생할 수 있는 조건이 조성되는 시기로써 상수를 사용하는 주민들이 질병에 노출되는 문제점을 초래하고 있다.
또한 종래 액체상태의 소독약을 펌프로 물탱크에 투여하는 방법은 물탱크에 유입되는 수량에 관계없이 물방울 형태로 소독약을 계속적으로 투여함에 따라 저수위에서의 과다한 투여가 우려되고 펌프의 고장시에는 소독처리가 실시되지 못하는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물탱크에 유입되는 수면의 높낮이를 이용해 무동력으로 소독약을 자동 투입하므로써 과다한 소독약의 사용을 방지하는 한편 물탱크에 유입된 수량에 따라 소독약을 정량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본 고안의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작동상태 평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 측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도
도 7 은 본 고안인 배출호스의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본체 2.도어 4.배출호스
5.배출구 6.고정판 10.이송부재
11,12.가이드로울러 13.배출공 14.상부로울러
15.하부로울러 20.부표 21.로프
22.도르레 30.수납봉 40.스프링
50.물탱크
본 고안은 간이상수도의 물탱크에 유입되는 수면의 높낮이에 따라 무동력으로 소독약을 자동 투입하는 방식으로써 물탱크에 유입된 수량에 따라 소독약을 정량투입하여 소독약의 과다한 사용을 방지하고 소독처리 효과를 증대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의 구성은 도면에 도시한 도 1 내지 도 7 에서 자세히 보이고 있다.
본 고안은 개폐가능한 도어(2)와 소독약의 투입을 위한 배출호스(4)가 설치된 본체(1)와, 소독약이 수납되어 본체(1)의 상부에 상하 직립으로 끼워져 장착되는 수납봉(30)과, 수위에 따라 상하 유동하는 부표(20)에 의해서 전후 이송되어 소독약을 투입하는 이송부재(10)와, 이 이송부재(10)의 전후 이송을 잡아주는 스프링(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체(1)는 장방형의 형상을 갖을 수 있으며 전면에 손잡이(3)가 부착된 개폐가능한 도어(2)가 마련되고 저면에는 배출되는 소독약을 물탱크(50)속으로 안내하여 투입하는 배출호스(4)가 장착된다.
상기 본체(1)의 상부에서 상하 직립으로 끼워져 장착되는 수납봉(30)은 원형상으로 성형된 다수의 고체 소독약(클로로칼키)이 적층식으로 내부에 수납되며 수납된 소독약이 외부에서 투시되어 보이도록 투명한 재질로 제작함이 바람직하고 상하 길쭉한 원통형상으로 본체(1)의 상부에 끼워진 가운데 내측의 고정판(6)에 끼워져 유동이 방지되게 장착된다.
또한 본체(1)의 내측 바닥위에는 물탱크(50)에 유입된 수면의 높낮이를 따라 상하 유동하는 부표(20)에 의해 전후 이송되는 이송부재(10)가 놓이는데, 이송부재(10)는 수납봉(30)의 하단부 아래와 접하도록 본체(1)의 바닥위에 놓이고 후방측단이 스프링(40)에 결속되어 본체(1)의 내부 일측면에 고정되고 전방측은 부표(20)가 일측단에 매인 로프(21)가 결속되어 부표(20)의 상하 움직임을 따라 전후 이송되게 이송부재(10)가 구성된다.
상기 본체(1)의 바닥위에서 이송부재(10)의 자유로운 전후 이송을 위해 본체(1)의 양측면 및 바닥면과 접하도록 양측 가장자리 상하에 수개의 가이드로울러(11)(12)를 장착하여 본체(1)와의 마찰을 줄여 이송부재(10)의 자유로운 이송이 가능케 한다.
또한 수납봉(30)의 하단부와 접하는 이송부재(10)의 위치에 소독약의 크기보다 큰 배출공(13)을 천공하고 배출공(13)의 후방측으로 수개의 상부로울러(14)를 배열하며 부표(20)와 연결된 로프(21)는 전방측의 회전축(23)에 회전가능케 설치된 도르레(22)에 감겨져 부표(20)의 상하 움직임에 의해 자유롭게 이송된다.
이송부재(10)의 배출공(13) 아래인 본체(1)의 바닥위에 수개의 하부로울러(15)를 배열시키며 이 하부로울러(15)의 전방에 소독약보다 큰 배출구(5)를 천공하고 배출구(5)아래엔 배출호스(4)를 연결 설치하여 본 고안이 구성된다.
배출구(5)에 설치된 배출호스(4)는 하단부가 물탱크(50)의 저수위와 고수위의 중간위치에 놓이도록 하고 하단부에 수개의 통공(7)을 천공하여 하단부가 물탱크(50)에 유입된 수면에 잠기면 통공(7)을 통해 소독약이 용해되어 소독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설치한다.
상기 이송부재(10)와 본체(1)의 바닥위에 배열하여 설치한 수개의 상하부로울러(14)(15)는 이송부재(10)의 전후 이송시 적층된 소독약과의 마찰저항을 줄여 이송부재(10)가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상하부로울러(14)(15)를 설치하지 않고도 이송부재(10)의 작동 및 소독약의 배출이 가능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일실시예의 구성을 바탕으로 하는 본 고안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본체(1)는 물탱크(50)위에 놓여 고정되며 물탱크(50)내로 배출호스(4)와 로프(21) 및 부표(20)가 삽입되어 설치가 이루어지고 물탱크(50)는 고저수위센서에 의해 펌프가 항시 작동하도록 설치되며 수면위에 로프(21)가 연결된 부표(20)가 떠있도록 설치된다.
소독약이 수납된 수납봉(30)은 상측이 밀봉되어 본체(1)의 상부를 통해 고정판(6)에 끼워져 하단부가 바닥면위에 적정간격을 갖도록 놓이고 이송부재(10)는 스프링(40)에 후방측이 결속되어 상기 수납봉(30)의 하단부 아래에 놓이되 수면이 고수위로 부표(20)가 상측에 위치할때 수납봉(30)의 아래에 배출공(13)이 위치해 하나의 소독약이 배출공(13)에 삽입되어 하부로울러(15)위에 놓인다.
상기 상태에서 상수의 사용으로 인해 물탱크(50)내의 수면이 점차 낮아지면 부표(20)가 수면을 따라 하강하므로 로프(21)와 연결된 이송부재(10)가 점차 전방측으로 이송되고 수면이 저수위센서에 근접하게 낮아지면 이송부재(10)가 전방측으로 완전히 이송되어 배출공(13)에 삽입된 소독약을 전방측으로 밀어내 배출구(5)로 투입시키게 된다.
배출구(5)로 투입된 소독약은 배출호스(4)를 따라 하단부에 이르고, 이 상태에서 저수위센서에 의해 펌프가 작동하여 물탱크(50)내의 수면이 점차 높아지면 배출호스(4)의 하단부가 물에 잠기면서 소독약이 용해되어 소독처리가 이루어지고 이송부재(10)는 부표(20)의 상승과 스프링(40)의 탄성에 의해 후방측으로 점차 이송이 이루어진다.
이송부재(10)가 원상태로 후방측에 이송되면 고수위센서에 의해 펌프의 작동이 멈추면서 비어있는 배출공(13)으로 상측에 적층된 소독약이 삽입되어 대기상태에 놓이고 수면이 다시 낮아지면 소독약의 배출이 이루어진다.
이송부재(10)와 본체(1)의 바닥에 설치된 상하부로울러(14)(15)는 이송부재(10)의 전후 이송시 배출공(13)에 삽입된 소독약과 그 상측에 적층된 소독약이 로울러와 슬라이딩 하여 이송부재(10)의 전후 이송을 원활하게 하며 고체상태의 소독약은 물탱크(50)에 유입되는 수량이나 투여량에 따라 크기를 조절하여 성형이 가능해 소독약의 정량투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소독약은 수납봉(30)의 외부에서 투시되므로 소독약의 잠여량을 쉽게 파악할 수 있어 보충이 용이하고 배출호스(4)의 하단부가 저수위와 고수위의 중간위치에 설치되므로써 물탱크(50)내에 적정량이 유입되야 소독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소독약의 과다한 투여를 방지하고 소독처리 효과를 높이게 된다.
본 고안은 수면의 높낮이를 이용해 무동력으로 소독약을 자동 투입하므로써 과다한 소독약의 사용을 방지하는 한편 물탱크에 유입된 수량에 따라 소독약을 정량투입하여 소독처리 효과를 높혀서 각종세균으로 인한 질병 및 전염병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물탱크(50)에 일정량의 소독약을 투입시켜 유입된 물을 소독처리 하는 상수 소독장치에 있어서,
    개폐가능한 도어(2)와 소독약의 투입을 위한 배출호스(4)가 장착되어 물탱크(50)위에 설치되는 본체(1)와, 소독약이 적층식으로 수납되어 본체(1)의 상부에 끼워져 장착되는 수납봉(30)과, 수위에 따라 상하 유동하는 부표(20)에 의해서 전후 이송되어 소독약을 투입하는 이송부재(10)와, 이 이송부재(10)의 전후 이송을 잡아주는 스프링(40)과, 부표(20)와 결속된 로프(21)가 감겨지도록 회전가능한 도르레(2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를 이용한 상수 소독장치.
  2. 청구항 1 에서,
    이송부재(10)의 자유로운 전후 이송을 위해 본체(1)내의 양측면 및 바닥면과 접하도록 이송부재(10)의 양측 가장자리 상하에 수개의 가이드로울러(14)(15)를 장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를 이용한 상수 소독장치.
  3. 청구항 1 에서,
    본체(1)에 장착된 수납봉(30)의 하단부와 접하는 이송부재(10)에 배출공(13)을 천공하고 이 배출공(13)의 후방측과 본체(1)의 바닥위에 수개의 상하부로울러(14)(15)를 배열하여 설치하고 본체(1)의 바닥면에 배출호스(4)와 연결되는 배출구(5)를 천공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를 이용한 상수 소독장치.
KR2019990014135U 1999-07-16 1999-07-16 수위를 이용한 상수 소독장치 KR20016516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8918A KR100312781B1 (ko) 1999-07-16 1999-07-16 수위를 이용한 상수 소독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8918A Division KR100312781B1 (ko) 1999-07-16 1999-07-16 수위를 이용한 상수 소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5164Y1 true KR200165164Y1 (ko) 2000-02-15

Family

ID=1960238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4135U KR200165164Y1 (ko) 1999-07-16 1999-07-16 수위를 이용한 상수 소독장치
KR1019990028918A KR100312781B1 (ko) 1999-07-16 1999-07-16 수위를 이용한 상수 소독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8918A KR100312781B1 (ko) 1999-07-16 1999-07-16 수위를 이용한 상수 소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651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2308B1 (ko) * 2000-02-25 2002-04-18 이호천 부력을 이용한 소독약자동투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032B1 (ko) 2006-06-07 2007-10-11 옥수산업 주식회사 수위 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2308B1 (ko) * 2000-02-25 2002-04-18 이호천 부력을 이용한 소독약자동투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2781B1 (ko) 2001-11-03
KR20010010179A (ko) 2001-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17781C2 (ru) Система для омывания копыт
RU2436543C2 (ru) Система для омывания копыт
CN105612294B (zh) 自清洗马桶组件和系统
US9137968B2 (en) Watering device for animals
US5799609A (en) Animal waterer
US9782053B2 (en) Water conserving clean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KR100989186B1 (ko) 무전원 약품 자동 공급장치
US6199512B1 (en) Piglet milk-feed delivery system
CN108431339A (zh) 自清洗马桶组件和系统
KR200165164Y1 (ko) 수위를 이용한 상수 소독장치
KR200406318Y1 (ko) 급수장치 일체형 약액자동투입장치
KR20080097541A (ko) 축사용 자동 음수공급장치
KR102306326B1 (ko) 무인 자동 소독장치
KR100736321B1 (ko) 보온물탱크 및 위생급수기를 갖는 축사 설치용 자동급수시설
KR200350893Y1 (ko) 수위를 이용한 상수 소독 장치
KR200199586Y1 (ko) 간이상수 소독장치
JPS61207732A (ja) 水洗タンクの薬液供給装置
KR100816480B1 (ko) 압송펌프를 이용한 무전원 자동 소독약 투입기
KR100632428B1 (ko) 소독약 투입기용 수조 회동장치
KR20230058859A (ko)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161022B1 (ko) 무전원 약품 자동 공급장치
KR200220473Y1 (ko) 소독약 자동투입장치
KR100945589B1 (ko) 간이 상수도의 소독약 투입장치
KR100916524B1 (ko) 무전원 수위조절 및 소독약 자동 투입 장치
CN112282003A (zh) 一种马桶消毒液自动投放装置及马桶储水箱及马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93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