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5193B1 -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5193B1
KR101455193B1 KR1020130055469A KR20130055469A KR101455193B1 KR 101455193 B1 KR101455193 B1 KR 101455193B1 KR 1020130055469 A KR1020130055469 A KR 1020130055469A KR 20130055469 A KR20130055469 A KR 20130055469A KR 101455193 B1 KR101455193 B1 KR 101455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gear
unit
base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5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배
Original Assignee
김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배 filed Critical 김정배
Priority to KR1020130055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51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5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5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1Feed troughs; Feed pails
    • A01K5/0114Pet food dispensers; Pet food tr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91Automatic devices with timing mechanisms, e.g. pet feed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는: 사료투입구와 사료배출구를 구비하는 저장부와, 사료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사료가 수납되는 복수 개의 구획공간을 구비하며 저장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공급부와, 저장부를 지지하는 베이스부 및 베이스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회전공급부에서 배출되는 사료가 수납되는 사료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FEEDING DEVICE FOR ANIMAL}
본 발명은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물용 사료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키우는 애완동물들의 사료 공급은 애완동물을 키우는 관리인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진다.
관리인은 애완동물에 공급되는 사료의 양과 시간을 설정하여,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양의 사료를 애완동물용 사료 그릇에 공급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65465호(2012.06.21 공개, 발명의 명칭: 애완동물용 먹이 그릇)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에는 관리인이 휴가 등 장기간 외출하는 경우, 애완동물의 사료를 정해진 시간에 공급하지 못하므로 애완동물의 관리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사료 공급장치는 애완동물의 사료 공급이 한마리만 가능하므로, 애완동물이 2마리 이상인 경우에는 각각 먹이통을 별도로 구매하여 별도의 장소에 설치하여 사용상 불편함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정해진 시간에 설정된 양의 사료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두마리 이상의 애완동물의 사료 공급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는: 사료투입구와 사료배출구를 구비하는 저장부와, 사료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사료가 수납되는 복수 개의 구획공간을 구비하며 저장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공급부와, 저장부를 지지하는 베이스부 및 베이스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회전공급부에서 배출되는 사료가 수납되는 사료공급부를 포함한다.
또한 회전공급부는,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기어부와, 동력전달기어부에 맞물려 돌아가는 내측기어를 구비하며 원주를 따라 구획공간을 형성하는 구획벽이 복수 개 설치되는 회전부 및 회전부의 하부를 차폐하며 구획공간이 이동하는 경로에 연결공을 형성하는 지지패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료배출구와 연결공은 서로 어긋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료공급부는, 연결공에서 낙하되는 사료를 측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부 및 안내부에 연통되며 안내부를 통해 낙하되는 사료가 수납되는 수납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조작노브와, 조작노브에서 연장되어 저장부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연결로드 및 연결로드에 연결되며 내측기어에 맞물려서 회전하는 연결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측기어를 따라 복수 개 설치되는 피측정부재 및 피측정부재의 회전을 측정하여 제어부로 측정값을 전달하는 센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저장부는, 사료배출구의 내측에 설치되어 사료의 낙하방향을 분산시키는 분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료공급부는 베이스부의 내측에 복수 개가 구비되며, 베이스부의 내측이나 외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료공급부를 베이스부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송부는, 사료공급부에 연결되며 측면에 기어가 형성되는 직선기어부와, 직선기어부에 맞물려서 회전하는 회전기어 및 회전기어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탱크부 및 베이스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탱크부에서 배출되는 물이 담겨지는 물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는, 정해진 시간에 회전공급부가 회전하면서 설정된 양의 사료를 사료공급부로 자동 공급하므로, 사람이 식사때마다 사료를 공급하는 방식에 비하여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료공급부가 복수로 구비되어 두마리 이상의 애완동물의 사료 공급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사료 공급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부의 둘레를 따라 사료공급부의 개수가 가감되므로, 동물 마리수 마다 먹이통을 구매하여 설치하는 방식에 비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료공급부가 베이스부의 내측으로 인입 가능하므로 장치의 외관이 컴팩트하며, 사료공급부가 베이스부의 내측에 보관하는 경우, 동물이 사료공급부에 걸려서 저장부가 넘어지는 사고가 없으며, 저장부와 사료공급부의 이동작업과 보관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자동 또는 수동으로 회전공급부를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부의 회전각도를 센서부재에서 측정하여 제어부로 측정값을 전달하므로, 회전부의 회전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하여 정해진 양의 사료를 공급하여 동작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공급부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공급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에 사료가 저장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공급부가 동작되어 사료공급부로 사료가 공급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의 하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의 내측에 사료공급부가 인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의 외측으로 사료공급부가 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의 하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의 내측에 탱크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의 수납함이 베이스부의 내측에 수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수납함이 베이스부의 외측으로 인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회전공급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제1실시예에 따른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공급부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공급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에 사료가 저장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공급부가 동작되어 사료공급부로 사료가 공급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1)는, 사료투입구(11)와 사료배출구(12)를 구비하는 저장부(10)와, 사료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되는 사료(100)가 수납되는 복수 개의 구획공간(26)을 구비하며 저장부(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공급부(20)와, 저장부(10)를 지지하는 베이스부(60) 및 베이스부(6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회전공급부(20)에서 배출되는 사료(100)가 수납되는 사료공급부(70)를 포함한다.
사료(100)(도 5 참조)가 저장되는 저장부(10)는, 사료(100)가 투입되는 사료투입구(11)와, 사료(100)가 배출되는 사료배출구(12)를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0)의 상측에는 사료투입구(11)가 구비되며, 저장부(10)의 하측에는 단수 또는 복수로 사료배출구(12)가 구비된다.
사료투입구(11)는 저장부(10)에 힌지 연결된 도어부재(13)에 의해 개폐된다. 저장부(10)의 하측에 구비된 사료배출구(12)를 향하여 사료(100)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저장부(10)의 하부는 배출경사면(14)이 형성된다.
저장부(10)의 하부에 구비된 사료배출구(12)를 향하여 사료(100)가 흘러내리도록, 사료배출구(12) 주변에 구비된 배출경사면(14)은 사료배출구(12)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저장부(10)의 측면에는 사료(100)의 양을 확인할 수 있는 투명창(17)이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며, 투명창(17)의 측면에는 사료(100)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눈금(18)이 구비된다.
회전공급부(20)는 저장부(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사료(100)의 배출양을 조절한다. 회전공급부(20)는, 사료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되는 사료(100)가 수납되는 복수 개의 구획공간(26)을 구비하며 저장부(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공급부(20)는 구동모터(21)와 동력전달기어부(22)와 회전부(25)와 지지패널(30)과 체결볼트(34)를 포함한다.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모터(21)는 회전공급부(20)의 내측에 구비된다. 구동모터(21)는 저장부(10)의 하측에 고정되며, 구동모터(21)의 동력은 동력전달기어부(22)를 통해 회전부(25)로 전달된다.
동력전달기어부(22)는 구동모터(21)의 동력을 전달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기어부(22)는, 구동모터(21)에 연결되는 구동기어(23)와, 구동기어(23)에 맞물려 돌아가는 종동기어(24)를 포함한다.
회전부(25)는, 동력전달기어부(22)에 맞물려 돌아가는 내측기어(28)를 구비하며, 원주를 따라 구획공간(26)을 형성하는 구획벽(27)이 복수 개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회전부(25)는, 구획공간(26)과 구획벽(27)과 내측기어(28)와 프레임부재(29)를 포함한다.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며 원주 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부재(29)의 내측에는 구획벽(27)이 설치된다.
프레임부재(29)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복수 개의 구획벽(27)이 설치되며, 구획벽(27)과 구획벽(27)의 사이에는 사료(100)가 공급되는 구획공간(26)이 형성된다.
구획공간(26)의 상측은 회전부(25)의 상측과 연통되며, 구획공간(26)의 하측은 회전부(25)의 하측과 연통된다.
링 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부재(29)의 내측에는 내측기어(28)가 형성되며, 구동모터(21)의 동작으로 회전되는 종동기어(24)는 내측기어(28)에 맞물려 회전한다.
회전부(25)의 하부를 차폐하는 지지패널(30)은, 구획공간(26)이 이동하는 경로에 연결공(32)을 형성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부재(29)의 하부에 지지패널(30)이 결합되므로, 구획공간(26)에 담긴 사료(100)가 회전부(25)의 하측으로 이동됨을 차단한다.
구획공간(26)이 이동하는 경로에 설치된 연결공(32)은 구획공간(26)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구획공간(26)에 담긴 사료(100)가 연결공(32)을 통해 사료공급부(70)로 이동될 수 있다.
사료공급부(70)의 하측이나 측면에는 사료공급부(70)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이 설치될 수 있으며, 사료공급부(70)의 이동시 발생하는 마찰을 저감시키기 위한 베어링이 추가로 설치될 수도 있다.
연결공(32)은 사료공급부(70)의 개수와 동일 개수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사료공급부(70)가 1개인 경우 연결공(32)은 1개가 구비되며, 사료공급부(70)가 2개인 경우 연결공(32)은 2개가 구비된다.
저장부(10)의 하부에 구비된 사료배출구(12)와 지지패널(30)의 연결공(32)은 서로 어긋나게 설치된다.
만약, 사료배출구(12)와 연결공(32)이 서로 연통하며 상하로 설치된 경우, 사료배출구(12)에서 구획공간(26)으로 낙하되는 사료(100)는 바로 연결공(32)을 통해 사료공급부(70)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사료배출구(12)와 연결공(32)은 서로 연통되지 않도록 어긋나게 설치된다.
사료공급부(70)의 상측에 연결공(32)이 위치하며, 회전부(25)의 회전으로 사료(100)가 연결공(32)을 통하여 사료공급부(70)로 이동된다.
지지패널(30)은 회전부(25)의 하측에 위치하며, 체결볼트(34)가 지지패널(30)을 통해 저장부(10)의 하부에 체결된다.
회전부(25)는 이송부(80)의 동작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조작노브(40)의 조작으로 수동 회전될 수 있다.
조작노브(40)는 저장부(1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연결로드(42)는 조작노브(40)에서 저장부(10)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연결로드(42)에 연결되는 연결기어(44)는 내측기어(28)에 맞물려서 회전한다.
내측기어(28)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복수 개의 피측정부재(50)가 설치되며, 회전부(25)의 내측에 설치되는 센서부재(52)는 피측정부재(50)의 회전을 측정하여 제어부(54)로 측정값을 전달한다.
센서부재(52)는 비접촉방식에 의해 피측정부재(50)의 이동을 측정한다. 제1실시예에 따른 피측정부재(50)는 자석을 사용하며, 센서부재(52)는 자력의 변화를 측정하는 센서를 사용한다.
지지패널(30)의 상측에는 제어부(54)와 전원공급부(56)가 설치되며, 베이스부(60)의 외측 또는 저장부(10)의 외측에는 동작상태 표시를 위한 표시부(110)가 설치된다.
표시부(110)는 엘씨디를 사용하여 동작상태를 화상으로 출력한다.
저장부(10)를 지지하는 베이스부(60)는, 저장부(10)의 하부에 회전공급부(20)가 설치된 상태에서 저장부(10)의 하부에 결합된다.
베이스부(60)의 내측에는 사료공급부(70)의 수납공간과, 사료공급부(70)를 직선 이동시키는 이송부(80)가 구비된다.
베이스부(60)의 외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사료공급부(70)는, 회전공급부(20)에서 연결공(32)을 통해 하측으로 배출되는 사료(100)가 수납된다.
제1실시예에 따른 사료공급부(70)는, 연결공(32)에서 낙하되는 사료(100)를 측방향(베이스부(60)의 외측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부(72)와, 안내부(72)에 연통되며 안내부(72)를 통해 낙하되는 사료(100)가 수납되는 수납함(74)을 포함한다.
베이스부(60)의 외측으로 사료공급부(70)가 인출된 상태에서, 안내부(72)의 상측에 연결공(32)이 위치한다.
안내부(72)의 하부면은 베이스부(60)의 외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므로, 안내공을 통해서 하측으로 낙하되는 사료(100)는 안내부(72)를 따라 수납함(74)으로 이동된다.
사료공급부(70)를 베이스부(60)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80)는 사료공급부(70)에 연결되며 측면에 기어가 형성되는 직선기어부(82)와, 직선기어부(82)에 맞물려서 회전하는 회전기어(84)와, 회전기어(84)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86)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10)의 내측에 사료(100)를 충진하며, 이러한 사료(100)는 회전부(25)의 구획공간(26)에 각각 충진되다.
제어부(54)에는 사료(100)가 공급되는 시간과 양이 입력되며, 제어부(54)의 제어신호로 이송부(80)가 동작되어 사료공급부(70)를 베이스부(60)의 외측으로 이동시킨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모터(86)가 동작되어 회전기어(84)를 회전시키면, 회전기어(84)에 맞물려서 직선기어부(82)가 이동한다.
직선기어부(82)는 사료공급부(70)에 연결되므로, 사료공급부(70)가 저장부(10)의 외측으로 이동된다.
직선기어부(82)의 이동이 완료되면, 제어부(54)의 제어신호로 구동모터(21)가 동작된다.
구동모터(21)에 의해 구동기어(23)와 종동기어(24)가 차례로 회전하면, 종동기어(24)에 맞물려 있는 내측기어(28)가 회전하면서 회전부(25)가 회전한다.
회전부(25)의 구획공간(26) 내측에 저장된 사료(100)는 연결공(32)을 통해 안내부(72)로 낙하된다. 사료(100)는 안내부(72)의 경사면을 따라 수납함(74)의 내측으로 이동된다.
구동모터(21)의 내측에도 별도의 엔코더가 설치되므로, 구동모터(21)의 회전각도는 제어부(54)로 전달되며, 회전부(25)와 함께 회전되는 피측정부재(50)는 센서부재(52)에 의해 측정되어 제어부(54)로 측정값이 전달된다.
구획공간(26) 1칸에 저장된 사료(100)만 사료공급부(70)로 공급할 수 있으며, 설정값에 따라 2칸이나 3칸 등 공급되는 사료(100)의 양은 변경이 가능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의 하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의 내측에 사료공급부가 인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의 외측으로 사료공급부가 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2)의 하부에는 상부를 향하여 볼록한 형상으로 배출경사면(15)이 설치된다.
저장부(10)의 하부에는 2개의 사료배출구(12)가 구비되며, 사료배출구(12)로 사료(100)를 안내하는 배출경사면(15)은 사료배출구(12)를 향하여 경사지 형상으로 설치된다.
사료배출구(12)를 통하여 사료(100)를 공급받는 사료공급부(70)는 베이스부(60)의 내측에 복수 개가 구비된다. 이러한 사료배출구(12)는 베이스부(60)의 내측이나 외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동시에 여러 애완동물의 먹이를 공급할 수 있다.
저장부(10)의 하부 양측에 사료배출구(12)가 구비되며, 사료배출구(12)의 하부에는 사료공급부(70)가 설치된다.
저장부(10)의 양측에 설치된 사료배출구(12)에는 각각 직선기어부(82)가 설치되며, 이러한 직선기어부(82)는 회전기어(84)의 양측에 맞물린다.
따라서, 회전기어(84)가 회전하는 경우, 회전기어(84)의 양측에 맞물린 직선기어부(82)가 이동하면서 사료공급부(70)가 베이스부(60)의 외측이나 내측으로 이동된다.
사료공급부(70)는 베이스부(60)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설치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사료공급부(70)는 180도 간격을 이루며 베이스부(60)의 양측에 설치되므로 애완동물 2마리가 동시에 사료를 섭취할 수 있으며, 사료의 공급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다.
사료공급부(70)가 베이스부(60)의 둘레를 따라 3개나 4개로 설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5개 이상도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사료공급부(70)는 애완동물이 사료를 섭취할 경우에만 베이스부(6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이동이나 보관시에는 베이스부(60)의 내측으로 사료공급부(70)가 이동된다.
사료(100)를 공급하지 않는 평상시에는 사료공급부(70)가 베이스부(60)의 내측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2)의 외관이 미려하게 형성되며,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2)의 이동과 보관작업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의 하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의 내측에 탱크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 따른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3)는 베이스부(60)의 내측에 물(102)이 저장되는 탱크부(90)가 위치한다.
물(102)이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탱크부(90)는 회전기어(84)를 중심으로 저장부(10)의 일측에는 제1탱크(92)가 설치되며, 저장부(10)의 타측에는 제2탱크(94)가 설치된다.
제1탱크(92)와 제2탱크(94)는 연통관로(95)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물(102)이 이동되며, 제1탱크(92)와 제2탱크(94)에서 배출된 물(102)은 배출관로(96)를 통해 물공급부(98)로 이동된다.
물공급부(98)는 베이스부(6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탱크부(90)에서 배출되는 물(102)이 담겨지는 공간이 물공급부(98)의 내측에 구비된다.
물공급부(98)는 베이스부(60)의 외측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며, 사료공급부(70)와 나란히 설치되므로, 애완동물이 사료(100)를 먹다가 물(102)을 먹는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있다.
베이스부(60)의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경우, 단일 공간으로 이루어진 탱크부(90)가 베이스부(60)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탱크부(90)의 물을 공급받는 물공급부(98)는 사료공급부(70)에 연이어 설치될 수 있으며, 사료공급부(70)와 물공급부(98)는 베이스부(6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애완동물에게 사료와 물을 공급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과 개수로 변형될 수 있다.
한편, 제2 및 제3실시예에서는 사료공급부(70)가 2개 설치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사료공급부(70)가 1개만 설치되거나 3개 또는 4개 이상 설치되어도 본 발명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의 수납함이 베이스부의 내측에 수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수납함이 베이스부의 외측으로 인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4)의 사료공급부(70)는 상측이 개구된 수납함(75)을 포함한다.
수납함(75)의 단면 형상은 상측이 개구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송부(80)의 구동에 의해 베이스부(60)의 내외측으로 이동된다.
제4실시예에 따른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4)는, 수납함(75)이 베이스부(60)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구동모터(21)가 회전되므로, 회전부(25)의 내측에 수납된 사료(100)가 수납함(75)으로 낙하된다.
설정된 양의 사료(100)가 낙하되면 회전모터(86)가 동작되므로, 베이스부(60)의 외측으로 수납함(75)이 돌출된다.
이러한 수납함(75)은 베이스부(60)의 둘레를 따라 2개 이상의 복수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회전공급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5)는, 회전부(25)의 회전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획벽(27)의 상측이 사료배출구(12)의 하측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구획벽(27)이 사료배출구(12)의 하측과 이격된 길이만큼 사료배출구(12)의 하측으로 돌출편(120)이 연장된다.
돌출편(120)은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이 가능하다.
제5실시예에 따른 돌출편(120)은 고무나 실리콘을 포함하며, 사료배출구(12)의 하측에 1개만 설치되거나 2개 이상의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사료배출구(12)를 통해 회전부(25)의 구획공간(26)으로 낙하되는 사료(100)는 구획벽(27)의 높이 만큼만 적재되며, 회전부(25)가 회전되는 경우 돌출편(120)이 구획벽(27)의 상측을 쓸고 지나가면서 구획벽(27)의 상측으로 돌출된 사료를 옆으로 쓸어낸다.
따라서, 회전부(25)와 저장부(10)의 사이에 사료가 끼어서 회전부(25)의 회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회전부(25)의 상측이나 하측 또는 측면 등에는, 회전부(25)의 회전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베어링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저장부(10)는, 사료배출구(12)의 내측에 설치되어 사료(100)의 낙하방향을 분산시키는 분산부재(36)를 포함한다.
저장부(10)에 있는 사료(100)가 하측으로 낙하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사료배출구(12)에는 창살 형상의 분산부재(36)가 설치된다.
분산부재(36)는 사료배출구(12)의 내측을 가로지르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일자 또는 십자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5실시예에 따른 분산부재(36)는 십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료배출구(12)의 내측에 설치된다. 사료배출구(12)를 통해 하측으로 흘러내리는 사료(100)가 분산부재(36)를 통해 낙하되는 방향이 갈라져서 낙하되므로, 사료배출구(12)가 사료(100)에 의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분산부재(36)에 의해 사료배출구(12)를 통해 내려가는 사료(100)의 압력이 분산되어 사료배출구(12)의 막힘을 방지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6실시예에 따른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6)는, 베이스부(60)의 내측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며, 베이스부(60)의 양측으로 사료공급부(70)가 고정된다.
2개의 사료공급부(70)를 동시에 사용하다가, 1개의 사료공급부(70)만 사용할 경우, 사용하지 않는 사료공급부(70)의 상측에 위치하는 연결공(32)에 별도의 커버(130)를 삽입하여 연결공(32)을 통한 사료(100)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130)의 상측 공간에는 착탈 가능한 차폐부재(140)를 설치하므로, 커버(130)가 설치된 연결공(32)을 향하여 사료(100)가 흘러내림을 차단한다.
커버(130)의 이동은 저장부(10)의 외측에서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으며, 차폐부재(140)는 저장부(10)의 사료투입구(11)를 통해 저장부(10)의 내측에 걸쳐진 형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물이 저장되는 탱크부(90)가 베이스부(60)의 내측에 설치된 경우, 탱크부(90)에 저장된 물은 베이스부(60)의 외측에 고정된 물공급부(98)로 이동된다.
물공급부(98)는 사료공급부(70)와 나란히 설치되며, 베이스부(60)의 둘레를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정해진 시간에 회전공급부(20)가 회전하면서 설정된 양의 사료(100)를 사료공급부(70)로 자동 공급하므로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사료공급부(70)가 베이스부(60)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설치되며, 이로 인하여 두마리 이상의 애완동물의 사료 공급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사료 공급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사료공급부(70)가 베이스부(60)의 내측으로 인입 가능하므로 장치의 외관이 컴팩트하며, 장치의 이동작업과 보관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자동 또는 수동으로 회전공급부(20)를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부(25)의 회전각도를 센서부재(52)에서 측정하여 제어부(54)로 측정값을 전달하므로, 회전부(25)의 회전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하여 동작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2,3,4,5,6: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
10: 저장부 11: 사료투입구
12: 사료배출구 13: 도어부재
14,15: 배출경사면 17: 투명창
18: 눈금 20: 회전공급부
21: 구동모터 22: 동력전달기어부
23: 구동기어 24: 종동기어
25: 회전부 26: 구획공간
27: 구획벽 28: 내측기어
29: 프레임부재 30: 지지패널
32: 연결공 34: 체결볼트
36: 분산부재 40: 조작노브
42: 연결로드 44: 연결기어
50: 피측정부재 52: 센서부재
54: 제어부 56: 전원공급부
60: 베이스부 70,71: 사료공급부
72: 안내부 74,75: 수납함
80: 이송부 82: 직선기어부
84: 회전기어 86: 회전모터
90: 탱크부 92: 제1탱크
94: 제2탱크 95: 연통관로
96: 배출관로 98: 물공급부
100: 사료 102: 물
110: 표시부 120: 돌출편
130: 커버 140: 차폐부재

Claims (11)

  1. 사료투입구와 사료배출구를 구비하는 저장부;
    상기 사료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사료가 수납되는 복수 개의 구획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저장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공급부;
    상기 저장부를 지지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회전공급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사료가 수납되는 사료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료공급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에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이나 외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공급부는,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기어부;
    상기 동력전달기어부에 맞물려 돌아가는 내측기어를 구비하며, 원주를 따라 상기 구획공간을 형성하는 구획벽이 복수 개 설치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하부를 차폐하며, 상기 구획공간이 이동하는 경로에 연결공을 형성하는 지지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배출구와 상기 연결공은 서로 어긋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공급부는, 상기 연결공에서 낙하되는 상기 사료를 측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부; 및
    상기 안내부에 연통되며, 상기 안내부를 통해 낙하되는 상기 사료가 수납되는 수납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조작노브;
    상기 조작노브에서 연장되어 상기 저장부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연결로드; 및
    상기 연결로드에 연결되며, 상기 내측기어에 맞물려서 회전하는 연결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기어를 따라 복수 개 설치되는 피측정부재; 및
    상기 피측정부재의 회전을 측정하여 제어부로 측정값을 전달하는 센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사료배출구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사료의 낙하방향을 분산시키는 분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
  8. 삭제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공급부를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사료공급부에 연결되며 측면에 기어가 형성되는 직선기어부;
    상기 직선기어부에 맞물려서 회전하는 회전기어; 및
    상기 회전기어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탱크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탱크부에서 배출되는 물이 담겨지는 물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
KR1020130055469A 2013-05-16 2013-05-16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 KR101455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469A KR101455193B1 (ko) 2013-05-16 2013-05-16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469A KR101455193B1 (ko) 2013-05-16 2013-05-16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5193B1 true KR101455193B1 (ko) 2014-11-03

Family

ID=52288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5469A KR101455193B1 (ko) 2013-05-16 2013-05-16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51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651B1 (ko) * 2020-09-25 2021-04-02 한정원 담배 꽁초 투표 장치
KR20230059060A (ko) 2021-10-25 2023-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1812Y1 (ko) * 2003-02-14 2003-05-01 조호연 애완동물용 급식장치
US6701866B1 (en) * 2003-04-09 2004-03-09 Shenz-Tsornz Shieh Automatic feeding apparatus for pets
KR20100040823A (ko) * 2010-03-10 2010-04-21 고인기 사료 퍼짐수단이 구비된 사료공급장치
KR20120058966A (ko) * 2010-11-30 2012-06-08 이현호 가축사료공급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1812Y1 (ko) * 2003-02-14 2003-05-01 조호연 애완동물용 급식장치
US6701866B1 (en) * 2003-04-09 2004-03-09 Shenz-Tsornz Shieh Automatic feeding apparatus for pets
KR20100040823A (ko) * 2010-03-10 2010-04-21 고인기 사료 퍼짐수단이 구비된 사료공급장치
KR20120058966A (ko) * 2010-11-30 2012-06-08 이현호 가축사료공급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651B1 (ko) * 2020-09-25 2021-04-02 한정원 담배 꽁초 투표 장치
KR20230059060A (ko) 2021-10-25 2023-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30866B2 (en) Automatic animal feeding assembly
KR101247818B1 (ko) 축산용 자동 습식급여기
US11330796B2 (en) Feeder
CN211091241U (zh) 动物用自动喂食装置
US11910786B2 (en) Automated food dispenser
US20130333622A1 (en) Pet Food Dispenser
US4315483A (en) Animal feeder
KR101697956B1 (ko) 애완동물 급식기
US20130186342A1 (en) corn bank double gate internal feeder attachment
US20140174368A1 (en) Plunger gate animal feeder attachment
KR101455193B1 (ko)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
KR101318657B1 (ko) 축산사료 자동정량급여장치
KR20110063888A (ko) 동물사료 및 식물비료 자동공급장치.
US20220312725A1 (en) Pet treat and toy distributor
EP1499772B1 (en) Automatic dosing device and the use of such an automatic dosing device
KR20030048639A (ko) 사료 자동급이기의 적량 공급장치
CN109452890A (zh) 投料模块及调味机
KR102290327B1 (ko) 습식사료 제조 기능을 갖는 강아지 자동 급식기
US20240156051A1 (en) Automatic pet feeder
CN205623834U (zh) 自动旋转喂食的智能喂鸟装置
CN217136398U (zh) 一种畜牧养殖用喂料装置
CN220654387U (zh) 一种保育育肥粥料器
CN210210970U (zh) 一种用于胶料混炼的装置
CN206866326U (zh) 一种皮带传输配料式定量宠物喂食器
JP3570928B2 (ja) 家畜の給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