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0327B1 - 습식사료 제조 기능을 갖는 강아지 자동 급식기 - Google Patents

습식사료 제조 기능을 갖는 강아지 자동 급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0327B1
KR102290327B1 KR1020190136535A KR20190136535A KR102290327B1 KR 102290327 B1 KR102290327 B1 KR 102290327B1 KR 1020190136535 A KR1020190136535 A KR 1020190136535A KR 20190136535 A KR20190136535 A KR 20190136535A KR 102290327 B1 KR102290327 B1 KR 102290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water
container
wet
p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6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1366A (ko
Inventor
이은혜
Original Assignee
이은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혜 filed Critical 이은혜
Priority to KR1020190136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0327B1/ko
Publication of KR20210051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1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75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 A01K5/0283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by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16Automatic devices for the distribution of liquid fodd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91Automatic devices with timing mechanisms, e.g. pet fee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rds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아지나 또는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에게 사료와 물을 제공하는 자동 급식기에 관한 기술로서, 사료비용을 대폭 절감하는 한편 습식사료를 위생적으로 제조하여 애완동물에게 제공할 수 있고, 예약 기능을 통해 외출이나 또는 여행 중에도 건식사료나 또는 습식사료를 애완동물에게 제공할 수 있는 습식사료 제조 기능을 갖는 강아지 자동 급식기에 관한 기술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건식사료가 담겨 저장되고, 설정된 량으로 사료를 배출하는 사료통; 상기 사료통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물이 담겨 저장되는 한편 설정된 량으로 물을 배출하는 물통; 상기 사료통과 물통의 하부에 배치되고, 사료통과 물통에서 배출되는 사료와 물을 아래로 안내하는 투입홀더; 상기 투입홀더의 하부에 배치되며, 사료와 물이 투입되는 급식구; 상기 급식구의 상부에 설치되고, 구동부의 작동으로 급식구를 닫아 밀폐하는 돔;을 포함하여 구현된다.

Description

습식사료 제조 기능을 갖는 강아지 자동 급식기 {a dog feeder with the function of making wet ingredients}
본 발명은 강아지나 또는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에게 사료와 물을 제공하는 자동 급식기에 관한 기술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건식사료와 물을 각각 설정된 량으로 배출하여 애완동물에게 제공함은 물론, 원터치 버튼으로 건식사료와 물을 함께 배출한 다음, 사료를 일정시간 물에 불려서 습식사료를 제조하여 제공함으로써, 사료비용을 대폭 절감하는 한편 습식사료를 위생적으로 제조하여 애완동물에게 제공할 수 있고, 예약 기능을 통해 외출이나 또는 여행 중에도 건식사료나 또는 습식사료를 애완동물에게 제공할 수 있는 습식사료 제조 기능을 갖는 강아지 자동 급식기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애완동물을 키우는 사람의 수가 크게 증가하는 추세로서, 기존의 애완동물은 애완견으로 대표되었으나, 근래에는 고양이, 햄스터, 토끼, 페릿 및 파충류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종류의 애완동물이 사육되고 있다.
근래 다양한 종류의 애완동물에 대하여 급식이 이루어지도록 다양한 종류로 사료가 제공되고 있으며, 여기서 애완동물에 대한 일반적인 급식 방식은 매 끼니마다 사용자가 소정 분량의 사료와 물을 급식구에 담아 제공하는 방식과, 고가의 자동 급식기를 이용하여 사료와 물을 애완동물에게 제공하는 방식이다.
최근 애완동물 중에서 이빨이 없는 노견이나 또는 유아견은 건식사료 보다 습식사료를 먹여야 하나, 습식사료는 건식사료에 비해 가격이 고가로서, 대부분 건식사료를 물에 불려서 먹이고 있으며, 이러한 급식방법은 건식사료를 물에 불리는데 장시간이 소요되고, 사용자가 매 끼니마다 매우 번거로운 실정이다.
따라서, 종래 애완동물이 사료와 죽이 혼합된 사료죽의 상태로 취식할 수 있는 대표적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88012호(애완동물의 자동 급식장치)가 제시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적어도 물과 사료의 분할된 저장부는 포함하며, 각 저장부에 해당 내용물의 배출구가 각각 형성된 먹이 저장통; 상기 먹이 저장통에서 배출되는 물과 사료를 각각 받아 수용하는 분할된 급식부는 포함하며, 물 급식부와 사료 급식부 간의 분할면에 물의 오버플로어(overflow) 수단이 형성되는 급식트레이; 상기 물 급식부에 대한 상기 물 저장부의 물 공급시마다, 상기 물 급식부의 물 일부가 상기 오버플로어 수단을 통해 상기 사료 급식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물 급식부에 대한 물 공급량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급식트레이의 급식부에 내용물이 공급되었음을 애완동물에게 알리기 위한 경보기, 스피커, 램프, 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알림수단; 및 상기 사료 급식부의 벽면 내측에 내용물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애완동물이 자유롭게 취식할 수 없는 상태의 먹이 저장통으로부터 사전 설정된 량의 사료 및 온수가 급식트레이에 배출되는 동시에 온수의 일부가 급식트레이의 사료 급식부로 오버플로어(overflow)되므로, 애완동물이 항상 사료와 죽이 혼합된 사료죽의 상태로 취식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러나, 종래 선행기술에서 제시된 자동 급식장치는 사료와 죽이 혼합된 사료죽을 애완동물에게 제공할 수 있으나, 애완동물에 따라 사료와 물의 혼합량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없고, 습식사료를 위생적으로 제조 및 관리할 수 없으며, 또한 애완동물에 따라 건식사료와 습식사료를 선택하여 제공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특히, 사용자가 외출이나 또는 여행 중인 경우, 습식사료를 애완동물에게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73563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1181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1074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2392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88012호.
본 발명은 종래 애완동물 자동 급식장치의 선행기술에서 사료와 물의 혼합량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없고, 습식사료를 위생적으로 제조 및 관리할 수 없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건식사료와 물을 각각 설정된 량으로 배출하여 애완동물에게 제공함은 물론, 원터치 버튼으로 건식사료와 물을 함께 급식구로 배출한 다음, 돔으로 급식구를 닫아 사료를 일정시간 물에 불려서 애완동물에게 습식사료로 제공하는 습식사료 제조 기능을 갖는 강아지 자동 급식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식사료를 물에 불려서 애완동물에게 습식사료로 제공함에 따라 사료비용을 대폭 절감하는 한편 습식사료를 위생적으로 제조하여 애완동물에게 제공할 수 있고, 예약 기능을 통해 외출이나 또는 여행 중에도 건식사료나 또는 습식사료를 애완동물에게 제공할 수 있는 습식사료 제조 기능을 갖는 강아지 자동 급식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건식사료가 담겨 저장되고, 설정된 량으로 사료를 배출하는 사료통; 상기 사료통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물이 담겨 저장되는 한편 설정된 량으로 물을 배출하는 물통; 상기 사료통과 물통의 하부에 배치되고, 사료통과 물통에서 배출되는 사료와 물을 아래로 안내하는 투입홀더; 상기 투입홀더의 하부에 배치되며, 사료와 물이 투입되는 급식구; 상기 급식구의 상부에 설치되고, 구동부의 작동으로 급식구를 닫아 밀폐하는 돔;을 포함하여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사료통과 물통의 상부 사이에 컨트롤보드가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보드에 작동을 위한 원터치 버튼과 예약기능 및 사료와 물의 설정량을 조절하는 스위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투입홀더는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게 구성되는 한편 양측으로 구획되어 사료와 물을 각각 아래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건식사료와 물을 각각 설정된 량으로 배출하여 애완동물에게 제공함은 물론, 원터치 버튼으로 건식사료와 물을 함께 배출한 다음, 건식사료를 일정시간 물에 불려서 애완동물에게 습식사료로 제공함으로써, 사료비용을 대폭 절감하는 한편 습식사료를 위생적으로 제조하여 애완동물에게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애완동물에 따라 건식사료와 물의 혼합량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고, 특히 예약 기능을 통해 외출이나 또는 여행 중에도 시간에 맞춰서 건식사료나 또는 습식사료를 애완동물에게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돔이 열린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내부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내부 설치상태를 나타낸 후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내부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돔이 닫힌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내부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내부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내부 설치상태를 나타낸 배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요 구성은, 건식사료가 담겨 저장되고, 설정된 량으로 사료를 배출하는 사료통(10); 상기 사료통(10)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물이 담겨 저장되는 한편 설정된 량으로 물을 배출하는 물통(20); 상기 사료통(10)과 물통(20)의 하부에 배치되고, 사료통(10)과 물통(20)에서 배출되는 사료와 물을 아래로 안내하는 투입홀더(30); 상기 투입홀더(30)의 하부에 배치되며, 사료와 물이 투입되는 급식구(40); 상기 급식구(40)의 상부에 설치되고, 구동부(51)의 작동으로 급식구(40)를 닫아 밀폐하는 돔(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사료통(10)은 건식사료가 담겨 설정된 량으로 배출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사료통(10)은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상부 일측에 배치되고, 상측에 뚜껑이 구비되어 내부에 소정량의 건식사료가 담겨 저장된다.
상기에서 사료통(10)은 사각이나 또는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부에 사료가 인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구 내측에 구동부(11)의 작동으로 사료를 적량 배출하는 투입밸브(12)가 설치된다.
상기에서 투입밸브(12)는 배출구의 내측에 샤프트와 베어링으로 회전가능케 설치되고, 방사상의 회전체로 형성되어 구동부(11)의 모터가 작동하면, 샤프트를 통해 회전하여 사료통(10)에 수용된 건식사료를 배출하게 된다.
즉, 구동부(11)의 모터가 설정된 시간에 따라 작동하여 샤프트를 회전시키므로, 배출구의 내측에 설치된 투입밸브(12)가 샤프트를 통해 회전하면서 건식사료를 적량으로 배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물통(20)은 내부에 물이 담겨 설정된 량으로 배출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물통(20)은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사료통(10)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측에 뚜껑이 구비되어 내부에 소정량의 물이 담겨 저장된다.
상기에서 물통(20)은 사료통(10)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됨이 외관상 바람직하고, 한쪽 외측에 애완동물이 스스로 물을 섭취할 수 있는 급수기(21)가 설치되며, 내부에 수용된 물을 펌프(22)를 통해 노즐(24)로 펌핑하여 적량으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에서 펌프(22)는 도면에서 도 9와 같이, 물통(2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펌프(22)의 상부에 밸브(23)가 설치되는 한편 물이 배출되는 노즐(24)은 후술하는 투입홀더(30)의 상부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에서 펌프(22)는 사료통(10)의 하부에 호스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펌프(22)와 노즐(24)도 호스로 연결 설치되며, 펌프(22)와 밸브(23)가 설정된 시간에 따라 작동하여 물통(20)에 수용된 물을 노즐(24)로 적량 배출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투입홀더(30)는 사료통(10)과 물통(20)에서 배출되는 사료와 물을 안내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투입홀더(30)는 도면에서 도 3 내지 도 6과 같이, 사료통(10)과 물통(2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게 구성되는 한편 양측으로 구획되어 사료와 물을 각각 아래로 안내한다.
상기에서 투입홀더(30)의 일측 상부에 사료를 배출하는 투입밸브(12)가 위치하고, 또한 투입홀더(30)의 다른 일측 상부에 물을 배출하는 노즐(24)이 위치함으로써, 사료와 물이 외부로 떨어지거나 튀지 않고 아래로 안내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급식구(40)는 투입홀더(30)를 통해 사료와 물이 투입되는 기능으로서, 상기 급식구(40)는 도면에서 도 3 내지 도 6과 같이, 투입홀더(3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부가 개방된 오목한 형태의 접시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급식구(40)는 내부에 투입된 사료와 물을 애완동물이 섭취하는 기능으로서, 위생상 주기적으로 세척하여 관리가 용이하도록 분리가 쉽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가 급식구(40)를 쉽게 분리하여 세척한 다음, 다시 원위치에 설치가 용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급식구(40)는 내구성과 내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Stainless) 재질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돔(50)은 급식구(40)의 상부를 닫아 밀폐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돔(50)은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급식구(4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부가 볼록한 반구 형상으로 구성되는 한편 구동부(51)의 작동으로 열리거나 닫혀서 개폐가능케 설치된다.
상기에서 돔(50)은 반구 형상이 양측으로 분할되어 각각 회전가능케 설치되며, 또한 구동부(51)의 작동에 따라 외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열리거나 닫히도록 설치된다.
한편 양측으로 분할된 돔(50)은 도면에서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샤프트(53)와 베어링을 통해 각각 회전가능케 설치되고, 후방측 샤프트(53)에 각각 기어(52)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기어(52)가 서로 맞물려 치합되며, 일측 샤프트(53)에 구동부(51)가 설치된다.
즉, 양측으로 분할된 돔(50)이 각각 외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열리거나 닫히도록 샤프트(53)를 통해 회전가능케 설치되고, 상기 샤프트(53)에 각각 기어(52)가 맞물려 설치됨으로써, 구동부(51)의 모터가 작동하면, 일측 샤프트(53)가 회전하면서 치합된 기어(52)가 함께 회전하여 양측으로 분할된 돔(50)이 각각 외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열리게 된다.
또한 구동부(51)의 모터가 역방향으로 작동하면, 샤프트(53)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치합된 기어(52)가 함께 회전하여 양측으로 분할된 돔(50)이 각각 내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닫히게 된다.
상기에서 돔(50)은 건식사료와 물을 함께 급식구(40)에 투입한 다음, 건식사료를 일정시간 물에 불려서 습식사료를 제조할 경우, 급식구(40)의 상부를 닫아 밀폐함으로써, 위생적으로 습식사료를 제조할 수 있고, 또한 습식사료가 제조되기 이전에 애완동물이 섭취하는 것을 방지하며, 습식사료가 제조된 후에 돔(50)이 열려서 애완동물에게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사료통(10)과 물통(20)의 상부 사이에 컨트롤보드(60)가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보드(60)에 작동을 위한 원터치 버튼과 예약기능 및 사료와 물의 설정량을 조절하는 스위치 등이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애완동물의 안전과 급식기의 외관상 하우징(70)이 외부에 감싸여 설치되고, 급식구(40)의 하부 바닥에 베이스보드(71)가 놓여 하우징(70)에 조립 설치됨으로써, 외관이 미려할 뿐만 아니라 애완동물이 안정적으로 사료와 물을 섭취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약시간에 따라 사료통에서 설정된 량으로 건식사료를 배출하여 급식구에 투입함으로써, 일반 성견에게 건식사료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사료통과 물통에서 건식사료와 물을 함께 배출하여 급식구에 투입한 다음, 건식사료를 일정시간 물에 불려서 습식사료를 제조함에 따라 노견이나 또는 유아견 등의 애완동물에게 습식사료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건식사료를 물에 불려서 애완동물에게 습식사료로 제공함으로써, 사료비용을 대폭 절감하는 한편 습식사료를 위생적으로 제조할 수 있고, 또한 예약 기능을 통해 외출이나 또는 여행 중에도 시간에 맞춰서 건식사료나 또는 습식사료를 애완동물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 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사료통 11: 구동부
12: 투입밸브 20: 물통
21: 급수기 22: 펌프
23: 밸브 30: 투입홀더
40: 급식구 50: 돔
51: 구동부 52: 기어
53: 샤프트 60: 컨트롤보드
70: 하우징 71: 베이스보드

Claims (3)

  1. 건식사료가 담겨 저장되고, 구동부(11)의 모터 작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건식사료를 설정된 양으로 배출하는 방사상의 회전체인 투입밸브(12)를 포함하는 사료통(10);
    상기 사료통(10)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물이 담겨 저장되는 한편 설정된 량으로 물을 배출하는 물통(20);
    상기 사료통(10)과 물통(20)의 하부에 배치되고, 사료통(10)과 물통(20)에서 배출되는 사료와 물을 아래로 안내하는 투입홀더(30);
    상기 투입홀더(30)의 하부에 배치되며, 사료와 물이 투입되는 급식구(40);
    상기 급식구(40)의 상부에 설치되고, 구동부(51)의 작동으로 급식구(40)를 닫아 밀폐하는 돔(50);을 포함하며,
    상기 돔(50)은 양측으로 분할되고, 구동부(51)와, 상기 구동부(51)에 의해 회전하는 한 쌍의 샤프트(53)와, 상기 샤프트(53) 각각에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분할된 구조의 돔(50)을 자동으로 개폐하는 기어(52)를 포함하고,
    상기 사료와 물을 상기 급식구(40)로 투입된 상태에서 습식사료를 제조하는 동안 상기 급식구(40)를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사료 제조 기능을 갖는 강아지 자동 급식기.
  2. 제1항에 있어서,
    사료통(10)과 물통(20)의 상부 사이에 컨트롤보드(60)가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보드(60)에 작동을 위한 원터치 버튼과 예약기능 및 사료와 물의 설정량을 조절하는 스위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사료 제조 기능을 갖는 강아지 자동 급식기.
  3. 제1항에 있어서,
    투입홀더(30)는,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게 구성되는 한편 양측으로 구획되어 사료와 물을 각각 아래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사료 제조 기능을 갖는 강아지 자동 급식기.
KR1020190136535A 2019-10-30 2019-10-30 습식사료 제조 기능을 갖는 강아지 자동 급식기 KR102290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535A KR102290327B1 (ko) 2019-10-30 2019-10-30 습식사료 제조 기능을 갖는 강아지 자동 급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535A KR102290327B1 (ko) 2019-10-30 2019-10-30 습식사료 제조 기능을 갖는 강아지 자동 급식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366A KR20210051366A (ko) 2021-05-10
KR102290327B1 true KR102290327B1 (ko) 2021-08-18

Family

ID=75917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6535A KR102290327B1 (ko) 2019-10-30 2019-10-30 습식사료 제조 기능을 갖는 강아지 자동 급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03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22101896U1 (de) 2021-04-08 2022-07-27 Hyundai Mobis Co., Ltd. Brennstoffzellensystem und Kondenswasserspeicher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9793A (en) * 1976-05-24 1978-01-24 Samuel Gower Automatic pet feeder
KR100310743B1 (ko) 1999-09-30 2001-10-18 최철수 사료 자동 급이기
KR200173563Y1 (ko) 1999-09-30 2000-03-15 최철수 사료 자동 급이기
KR100353770B1 (ko) * 2000-04-17 2002-09-27 서종대 애완동물 자동급식기
KR100423928B1 (ko) 2001-12-12 2004-03-22 슈라펫 주식회사 사료 자동급이기의 적량 공급장치
KR200311812Y1 (ko) 2003-02-14 2003-05-01 조호연 애완동물용 급식장치
KR101288012B1 (ko) 2011-06-23 2013-07-24 장성 애완동물의 자동 급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366A (ko) 2021-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0743B1 (ko) 사료 자동 급이기
US6055934A (en) Animal waterer
US20020096120A1 (en) Feed and water dispensing apparatus for pets
CN211091241U (zh) 动物用自动喂食装置
US20100122660A1 (en) Combined pet food and water dispenser
KR20200079185A (ko) 반려동물 사료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반려동물 사료공급방법
KR101150301B1 (ko) 애완동물용 자동급식장치
KR101292976B1 (ko) 축산용 식수 및 사료 급여기
KR20140090350A (ko) 사료 및 식수의 정량 공급장치
KR102290327B1 (ko) 습식사료 제조 기능을 갖는 강아지 자동 급식기
US7500447B2 (en) Food dispensing device, in particular for aquariums
US20110132266A1 (en) Pet activated feeder system
KR200348736Y1 (ko) 애완동물용 목욕장치
KR200173567Y1 (ko) 사료 자동 급이기
US6588368B1 (en) Spout structure of a pet fountain
KR102247566B1 (ko) 이물질 투입방지가 가능한 사료배식기
KR200173563Y1 (ko) 사료 자동 급이기
WO2003049536A1 (en) Automatic fodder supplying apparatus
KR102622961B1 (ko) 진공이 유지되는 사료 배출 기계
JP7197691B2 (ja) ペット給水器
CN210695449U (zh) 一种宠物喂食装置
KR200432876Y1 (ko) 디스펜서를 갖춘 애완동물용 먹이통
CN220799558U (zh) 一种宠物用翻盖饮水机
CN219781209U (zh) 宠物投喂饮水一体机
JPH0898635A (ja) ペットフードのドライタイプ用給餌機及び該給餌機の排出装置に用いる弁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