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3563Y1 - 사료 자동 급이기 - Google Patents

사료 자동 급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3563Y1
KR200173563Y1 KR2019990021103U KR19990021103U KR200173563Y1 KR 200173563 Y1 KR200173563 Y1 KR 200173563Y1 KR 2019990021103 U KR2019990021103 U KR 2019990021103U KR 19990021103 U KR19990021103 U KR 19990021103U KR 200173563 Y1 KR200173563 Y1 KR 2001735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water
feeder
coupled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11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철수
Original Assignee
최철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9004209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310743B1/ko
Application filed by 최철수 filed Critical 최철수
Priority to KR20199900211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35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35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35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료 자동 급이기에 관한 것으로, 사료를 저장하기 위한 호퍼형 공급부가 상부에 구비되고 배출하기 위한 배출로와 배출구가 하부에 구비되는 사료공급부 박스의 중간부에 사료를 담아 배출시키기 위한 수용홈이 구비된 회전통이 축착되고, 호퍼형 공급부의 양측 안내판 하단부에는 솔기와 같은 끼임 및 유실방지부재가 결합되며 , 상기 회전통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과, 상기 회전통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회전 감지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회전통을 설정된 주기로 회전시켜 사료를 상기 먹이통에 반복적으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가정, 사육장 및 실험실 등에서 일상생활 중에 또는 장시간 외출 및 여행 중에 타이머로 설정해 놓은 주기에 따라 매일 일정량의 사료를 연속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먹이의 종류가 다양해도 처리가 용이하며, 제작이 간편하여 대량생산이 용이한 이점이 있을 뿐 아니라, 장기간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사료 자동 급이기를 사용하면 한 사람이 많은 수의 동물관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사료 자동 급이기{APPARARUS TO FEED AUTOMATICALLY FODDER}
본 고안은 사료 자동 급이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료 자동 급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애완견과 같은 애완동물을 포함한 각종 가축을 사육함에 있어서는 주로 사료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공급하게 되나, 이와 같이 사료를 수작업으로 공급하게 되면 번거로울 뿐 아니라, 장기간 외출하여야 할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매우 난처한 입장에 처하게 되므로, 사료와 물을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자동 급이기가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자동 급이기의 한 형태는 사료 공급통의 하부에 이송 스크류를 설치하여 이 이송 스크류를 감속모터의 회전력으로 주기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사료가 이송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자동으로 배출되어 먹이통에 담기도록 되어 있으나, 이와 같은 스크류 방식의 자동 급이기는 원통의 내부에 스크류를 결합하여 되는 이송 스크류의 제작에 매우 정밀한 작업이 요구되는 것으로 제조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이송 스크류의 회전수에 의하여 공급되는 사료의 량을 결정하게 되나, 사료의 종류에 따라 정량을 결정하기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분말형, 입자형, 쿠키형, 뼈 등으로 형태와 크기가 각양각색인 사료를 종류별로 또는 복합하여 공급함에 있어서, 이송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사료가 깨지게 되어 사료의 형태가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뼈와 같은 사료가 스크 류의 주연부와 원통의 내주면 사이에 끼이면서 스크류의 회전이 방해되고, 심한 경우에는 작동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결함 및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가정, 사육장 및 실험실 등에서 각종 가축에 사료와 물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일상생활 중에 또는 장시간 외출 및 여행 중에 타이머로 설정해 놓은 주기에 따라 매일 일정량의 사료를 연속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고, 제작이 간편하며, 장기간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사료 자동 급이기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고안 사료 자동 급이기에 관한 도면으로서,
도 1은 전체 외관 사시도.
도 2는 전체 종단면도.
도 3은 사료 공급부를 부분 절결하여 보인 사시도.
도 4는 사료 공급부의 측방향 종단면도.
도 5a, 5b는 사료 자동 배출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5a는 회전통이 정지위치, 5b는 배출위치로 회전된 형태를 각각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회전통에 정량통이 결합되는 구조를 보이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정량통의 다른 형태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물 공급부의 부분 절결 사시도.
도 9는 물 공급부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사료공급부 박스 2 : 호퍼형 공급부
2a,2b : 양측 안내판 3 : 회전통
3a : 축 3b : 수용홈
4 : 구동수단 4a : 감속모터
5 : 정량통 6 : 배출 안내부
7 : 배출구 8 : 제1 이동틀
10 : 먹이통 11 : 회전 감지수단
12 : 마이크로스위치 13 : 작동자
14 : 끼임 및 유실방지부재 14a: 솔기
15 : 물공급 수단 16 : 물공급 박스
17 : 제2 이동틀 17a : 물 배출부
17b : 물 저장부 18 : 물병 결합부
19 : 물병 20 : 밸브
21 : 바퀴 22 : 뚜껑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사료 자동 급이기는 사료를 저장하기 위한 호퍼형 공급부가 상부에 구비되고 배출하기 위한 배출로와 배출구가 하부에 구비되는 사료공급부 박스의 중간부에 사료를 담아 배출시키기 위한 수용홈이 구비된 회전통이 축착되고, 호퍼형 공급부의 양측 안내판 하단부에는 솔기와 같은 끼임 및 유실방지부재가 결합되며 , 상기 회전통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과, 상기 회전통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회전 감지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회전통을 설정된 주기로 회전시켜 사료를 상기 먹이통에 반복적으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뚜껑이 상단부에 덮이는 사료공급부 박스의 상부에 사료를 저장하여 공급하기 위한 호퍼형 공급부가 형성되고, 상기 사료공급부 박스의 중간부 에는 상기 호퍼형 공급부에 저장된 사료를 담아 배출시키기 위한 수용홈이 구비된 회전통이 축착되며, 상기 사료공급부 박스의 전면 하단부에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사료공급부 박스의 내측 하부에는 상기 회전통에 의해 계량되어 낙하하는 사료를 상기 배출구로 안내하기 위한 배출 안내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사료공급부 박스의 하부에는 먹이통이 재치되는 제1 이동틀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통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과, 상기 회전통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회전 감지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회전통을 설정된 주기로 회전시켜 사료를 상기 먹이통에 반복적으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사료공급부 박스의 일측부에는 물을 자동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 수단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호퍼형 공급부의 양측 안내판, 하단 변부에는 사료의 걸림과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끼임 및 유실방지부재가 부착되어 구성된다.
상기 회전통의 수용홈에는 여러가지 규격의 정량통이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회전통의 축이 직결되는 감속모터이고, 상기 회전 감지수단은 상기 회전통의 일측면에 마이크로스위치가 결합되고, 축에는 상기 마이크로스위치를 온, 오프시키기 위한 작동자이 결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끼임 및 유실방지부재는 솔기(brush)가 사용된다.
상기 물공급 수단은 상기 사료공급부 박스의 일측부에 물공급 박스가 결합되고, 이 물공급 박스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바퀴가 저면에 결합된 제2 이동틀이 내,외 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이동틀에는 물병 결합부가 부착됨과 아울러, 물 배출부와 물 저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물병 결합부에는 밸브가 토출구에 구비된 물병이 결합되어, 상기 물병에서 물 배출부로 배출된 물이 물 저장부에 담기도록 구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실시예를 들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고안 사료 자동 급이기에 관한 도면으로서, 도 1 및 도 2는 전체 외관 사시도 및 전체 종단면도를 각각 보인 것이고, 도 3은 사료 공급부를 부분 절결하여 보인 사시도, 도 4는 사료 공급부의 측방향 종단면도를 각각 보이 것이며, 도 5a, 5b는 사료 자동 배출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5a는 회전통이 정지위치, 5b는 배출위치로 회전된 형태를 각각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회전통에 정량통이 결합되는 구조를 보이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7은 정량통의 다른 형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8은 물 공급부의 부분 절결 사시도이고, 도 9는 물공급부의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료공급부 박스(1)의 상부에 사료를 담아 공급하기 위한 호퍼형 공급부(2)가 구비되고, 사료공급부 박스(1)의 중간부에는 회전통(3)이 축(3a)으로 회전가능하게 축착되어 구동수단(4)에 의해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통(3)에 형성된 수용홈(3b)에는 정량통(5)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구동수단(4)에는 사료공급부 박스(1)의 일측면 주벽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통(3)의 축(3a)이 결합되는 감속모터(4a)가 이용된다.
또, 사료공급부 박스(1)의 내부 하측에는 회전통(3)이 회전함에 의해 정량통(5)에서 쏟아지는 사료를 안내하기 위한 배출 안내부(6)가 형성되고, 사료공급부 박스(1)의 전면판 하측부에는 사료가 배출되는 배출구(7)가 형성되어 있으며, 사료공급부 박스(1)의 상부에는 뚜껑(22)이 결합된다.
상기 사료공급부 박스(1)의 하단부에는 손잡이(9)가 구비된 제1 이동틀(8)이 서랍식으로 개폐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 이동틀(8)에는 상기 배출구(7)에서 배출되는 사료가 담기는 먹이통(10)이 올려져 있다.
상기 회전통(3)은 회전 감지수단(11)에 의해 회전수가 감지되며, 사료공급부 박스(1)의 소정 부위에 결합되는 제어판(미도시)의 제어부에 의해 타이머로 시간을 설정하여 정해진 회전주기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 감지수단(11)은 마이크로스위치(12)가 회전통(3)의 축(3a)과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사료공급부 박스(1)의 주벽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통(3)의 축(3a)에는 상기 마이크로스위치(12)를 온,오프 작동시키는 작동자(13)가 고정된 구성이다.
상기 호퍼형 공급부(2)는 사료공급부 박스(1)의 상부 내측면에 안내판(2a),(2b)이 그들 사이에 개구부가 구비되도록 경사지게 부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호퍼형 공급부(2)의 양측 안내판(2a),(2b)의 하단변부에는 사료가 걸리지 않으면서 잘 투입되도록 끼임 및 유실방지부재(14)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끼임 및 유실방지부재(14)에는 자연산 또는 합성수지재 솔기(brush)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외에 고무판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배출 안내부(6)는 사료공급부 박스(1) 내측의 회전통(3) 하부에 안내판(6a),(6b)이 부착됨과 아울러 안내판(6a),(6b)과 배출구(7) 사이에 깔대기형 안내부(6c)가 부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회전통(3)의 수용홈(3b)에는 도 6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기가 다른 정량통(5)을 결합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가축의 종류 및 사육하고자 하는 조건에 따라 여러가지 다른 규격의 정량통(5)을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회전통(3)의 수용홈(3b)에는 정량통(5)을 결합하지 않고 수용홈(3b)으로 사료를 직접 담아 배출시킬 수도 있다.
상기 회전 감지수단(11)의 작동자(13)는 회전통(3)이 1회전하면 마이크로스위치(12)의 접점을 접촉시켜 이를 감지하도록 하고, 이와 같이 마이크로스위치(12)의 접촉신호가 제어부에 전달되면 제어부에서 감속모터(4a)를 정지시키며, 일정시간이 되면 다시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통(3)이 1회전하는 때, 즉 정량통(5)에 담긴 사료가 먹이통(10)으로 배출되는 때에, 이를 가축이 알 수 있도록 멜로디와 같은 소리를 발생시키는 소리발생 수단 및/또는 점등수단과 같은 표시수단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 소리발생 수단과 점등수단은 상기 회전 감지수단(11)의 감지신호에 의해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장치에는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 수단(15)이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이 물공급 수단(15)은 상기 사료공급부 박스(1)에 물공급 박스(16)가 결합되고, 이 물공급 박스(16)의 하부에는 제2 이동틀(17)이 내,외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2 이동틀(17)에는 물병 결합부(18)가 부착됨과 아울러, 물 배출부(17a)와 물 저장부(17b)가 형성되고, 전면에는 손잡이(19)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물병 결합부(18)에는 밸브(20)가 토출구에 구비된 물병(19)이 결합되어, 물병(19)에서 물 배출부(17a)로 배출된 물이 물 저장부(17b)에 담기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이동틀(17)의 저면에는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바퀴(21)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물병(19)의 밸브(20)는 도 9와 같이 물병(19)을 물병 결합부(18)에 삽입하여 밸브(20)의 하단부가 제2 이동틀(17)의 물 배출부(17a)의 저면에 접촉되어 눌리어지면 물이 배출되도록 개방되고, 물병(19)을 들어 내면 밸브(20)가 다시 폐쇄되는 통상의 누름식 밸브가 이용된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1a는 감속모터(4a) 보호를 위한 커버, F는 사료를 보인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사료 자동 급이기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사료 자동 급이기가 정지된 상태에서 사료공급부 박스(1)의 호퍼형 공급부(2)에 도 4와 같이, 사료를 담아 넣고, 제어부에 구비된 타이머를 조작하여 사료가 배출되는 주기를 설정한 후, 제1 이동틀(8)을 도 3과 같이, 사료공급부 박스(1)의 밖으로 빼내어 먹이통(10)을 배출구(7)의 하부에 위치시 켜 놓는다.
그리고, 이때 회전통(3)의 수용홈(3b)에는 공급하고자 하는 사료의 량에 따라 여러가지 규격으로 마련된 정량통(5), 예를들어 도 6과 같이 큰 규격의 정량통(5), 또는 도 7과 같이 작은 규격의 정량통(5)을 결합하여 사용한다.
이후, 타이머로 설정한 시간이 되면 감속모터(4a)가 작동되고, 이에 따라 회전통(3)이 도 5a,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하여, 회전통(3)의 정량통(5)에 담긴 사료가 밑으로 쏟아지게 되며, 배출 안내부(6)에 의해 안내되면서 배출구(7)를 통하여 배출되어 하부에 위치하는 먹이통(10)에 담기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통(3)이 회전하게 되면 회전통(3)의 축(3a)에 결합된 작동자(13)가 함께 회전하면서 마이크로스위치(12)에서 이탈되므로 마이크로스위치(12)의 접점이 분리되고, 상기 회전통(3)이 감속모터(4a)의 회전력에 의해 1회전을 하게 되면 작동자(13)가 마이크로스위치(12)의 접점을 다시 접촉시킴으로써 회전통(3)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게 되며, 이 감지신호에 의해 감속모터(4a)의 동작이 제어된다.
상기 감속모터(4a)는 상기 마이크로스위치(12)의 감지신호에 의해 설정된 주기에 따라 작동하여 위와 같은 사료의 공급작용이 연속적으로 반복된다.
그리고, 위와 같이, 사료의 먹이통(10)에 배출되는 때에 상기 마이크로스위치(12)의 감지신호에 따라 소리발생 수단 및/또는 점등수단이 작동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하면 애완동물이 보다 쉽게 알 수 있으므로 급이동작을 보다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물공급 수단(15)은 필요한 경우 물공급 박스(16)의 물병 결합부(18)에 물병(19)을 삽입하여 물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으며, 물병 결합부(18)에 물병(19)을 삽입하면 물병(19)의 주둥이에 결합된 밸브(20)의 하단부가 제2 이동틀(17)의 물 배출부(17a)의 저면에 접촉되어 눌리어지면서 물이 배출되고, 물 배출부(17a)로 배출된 물이 물 저장부(17b)에 담겨지게 된다.
따라서, 제1 이동틀(8)과 제2 이동틀(17)을 사료공급부 박스(1) 및 물공급 박스(16)의 외부로 빼내어 놓으면 애완동물이 사료와 물을 먹을 수 있게 된다.
일예를 들어, 본 고안의 사료 자동 급이기는 자동 급이시 상기 회전통(3)이 1일 3회, 7시, 12시, 19시에 사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정량통(5)은 내용량 20g, 30g, 40g, 50g 등의 3∼4가지 규격으로 주문제작 방식으로 만들어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할 필요가 없이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의 사료 자동 급이기는 애완동물 및 소형동물의 사육을 위하여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제품의 사양은 가축의 종류에 따라 여러가지로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사료 자동 급이기는 회전통을 감속모터로 회전시켜 회전통에 결합된 정량통에 담긴 사료를 배출하는 형태이므로 구성이 매우 간단하고, 제조가 용이하며, 고장 없이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 회전통에 여러가지 규격의 정량통을 교체 가능하게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 이므로 가축의 종류에 따라 사료의 량을 간편하게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고, 호퍼형 공급부의 하단부에 끼임 및 유실방지부재가 결합되어 정량통에 담긴 사료가 외부로 넘치지 않도록 쓸어주게 되므로 사료가 손실되지 않고, 뼈와 같은 사료도 걸리는 일이 없이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으며, 먹이통이 재치되는 이동틀을 사료공급부 박스의 내부로 삽입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간결하게 보관할 수 있고, 사료와 함께 물도 간편하게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사료가 공급될 때에 소리발생 수단 및/또는 점등수단과 같은 표시수단에 의해 가축이 알 수 있도록 표시함으로써 급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료 자동 급이기는 가정, 사육장 및 실험실 등에서 일상생활 중에 또는 장시간 외출 및 여행 중에 타이머로 설정해 놓은 주기에 따라 매일 일정량의 사료를 연속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먹이의 종류가 다양해도 처리가 용이하며, 제작이 간편하여 대량생산이 용이한 이점이 있을 뿐 아니라, 장기간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사료 자동 급이기를 사용하면 한 사람이 많은 수의 동물관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이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것이므로,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7)

  1. 사료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부가 상부에 구비되고 배출하기 위한 배출로와 배출구(7)가 하부에 구비되는 사료공급부 박스(1)의 중간부에 사료를 담아 배출시키기 위한 수용홈(3b)이 구비된 회전통(3)이 축착되며, 상기 회전통(3)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4)과, 상기 회전통(3)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회전 감지수단(11)이 구비되어, 상기 회전통(3)을 설정된 주기로 회전시켜 사료를 상기 먹이통(10)에 반복적으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자동 급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공급부 박스(1)의 상단부에 뚜껑(22)이 덮이고, 사료를 저장하여 공급하기 위한 호퍼형 공급부(2)가 상기 사료공급부 박스(1)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사료공급부 박스(1)의 전면 하단부에는 배출구(7)가 형성되고, 상기 사료공급부 박스(1)의 내측 하부에는 상기 회전통(3)에 의해 계량되어 낙하하는 사료를 상기 배출구(7)로 안내하기 위한 배출 안내부(6)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사료공급부 박스(1)의 하부에는 먹이통(10)이 재치되는 제1 이동틀(8)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자동 급이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공급부 박스(1)의 일측부에 물을 자동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 수단(15)이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자동 급이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통(3)의 수용홈(3b)에 여러가지 규격의 정량통(5)이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자동 급이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형 공급부(2)의 양측 안내판(2a),(2b) 하단 변부에 사료의 걸림과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끼임 및 유실방지부재(14)가 부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자동 급이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 수단(15)은 상기 사료공급부 박스(1)의 일측부에 물공급 박스(16)가 결합되고, 이 물공급 박스(16)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바퀴(21)가 저면에 결합된 제2 이동틀(17)이 내,외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이동틀(17)에는 물병 결합부(18)가 부착됨과 아울러, 물 배출부(17a)와 물 저장부(17b)가 형성되며, 상기 물병 결합부(18)에는 밸브(20)가 토출구에 구비된 물병(19)이 결합되어, 상기 물병(19)에서 물 배출부(17a)로 배출된 물이 물 저장부(17b)에 담기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자동 급이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4)은 상기 회전통(3)의 축(3a)이 직결되는 감속모터(4a)이고, 상기 끼임 및 유실방지부재(14)는 솔기이며, 상기 회전 감지수단(11)은 상기 회전통(3)의 일측면에 마이크로스위치(12)가 결합되고, 축(3a)에는 상기 마이크로스위치(12)를 온, 오프시키기 위한 작동자(13)이 결합되어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자동 급이기.
KR2019990021103U 1999-09-30 1999-10-01 사료 자동 급이기 KR2001735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1103U KR200173563Y1 (ko) 1999-09-30 1999-10-01 사료 자동 급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2094A KR100310743B1 (ko) 1999-09-30 1999-09-30 사료 자동 급이기
KR2019990021103U KR200173563Y1 (ko) 1999-09-30 1999-10-01 사료 자동 급이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2094A Division KR100310743B1 (ko) 1999-09-30 1999-09-30 사료 자동 급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3563Y1 true KR200173563Y1 (ko) 2000-03-15

Family

ID=26635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1103U KR200173563Y1 (ko) 1999-09-30 1999-10-01 사료 자동 급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356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49536A1 (en) * 2001-12-12 2003-06-19 Chul-Soo Choi Automatic fodder supplying apparatus
KR20210051366A (ko) 2019-10-30 2021-05-10 이은혜 습식사료 제조 기능을 갖는 강아지 자동 급식기
US20220232799A1 (en) * 2021-01-22 2022-07-28 Donald Keith Newkirk Feed dispensing assembly
CN116788697A (zh) * 2023-08-17 2023-09-22 山东八达面粉有限公司 一种具有防虫功能的面粉储存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49536A1 (en) * 2001-12-12 2003-06-19 Chul-Soo Choi Automatic fodder supplying apparatus
KR20210051366A (ko) 2019-10-30 2021-05-10 이은혜 습식사료 제조 기능을 갖는 강아지 자동 급식기
US20220232799A1 (en) * 2021-01-22 2022-07-28 Donald Keith Newkirk Feed dispensing assembly
CN116788697A (zh) * 2023-08-17 2023-09-22 山东八达面粉有限公司 一种具有防虫功能的面粉储存装置
CN116788697B (zh) * 2023-08-17 2024-03-19 山东八达面粉有限公司 一种具有防虫功能的面粉储存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0743B1 (ko) 사료 자동 급이기
KR101480212B1 (ko) 사료 및 식수의 정량 공급장치
US6988465B2 (en) Automatic pet food dispensing device
US4315483A (en) Animal feeder
US20020096120A1 (en) Feed and water dispensing apparatus for pets
EP0938841A1 (en) Automatic feed distribution device for cats and dogs
AU746701B1 (en) Automatic animal food dispenser
EP1713322B1 (en) Food dispensing device, in particular for aquariums
US11910786B2 (en) Automated food dispenser
CN211091241U (zh) 动物用自动喂食装置
KR100310744B1 (ko) 사료 자동 급이기
US20080264963A1 (en) Automatic pellets dispenser with closing exit
US3659754A (en) Pelletized animal feed dispenser
KR200173563Y1 (ko) 사료 자동 급이기
KR100423928B1 (ko) 사료 자동급이기의 적량 공급장치
US6234112B1 (en) Self-cleaning pet litter box assembly
KR20110134190A (ko) 자동사료공급장치
KR101923115B1 (ko)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
KR102290327B1 (ko) 습식사료 제조 기능을 갖는 강아지 자동 급식기
US11753255B2 (en) Motorized dry food dispensing apparatus
KR200251241Y1 (ko) 사료 자동급이기의 걸림방지장치
JP2000116266A (ja) 自動給餌装置
KR200311812Y1 (ko) 애완동물용 급식장치
JPH0898635A (ja) ペットフードのドライタイプ用給餌機及び該給餌機の排出装置に用いる弁体
CN219088091U (zh) 一种宠物饲养喂食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52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