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8664A - 커튼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커튼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8664A
KR20230058664A KR1020237010399A KR20237010399A KR20230058664A KR 20230058664 A KR20230058664 A KR 20230058664A KR 1020237010399 A KR1020237010399 A KR 1020237010399A KR 20237010399 A KR20237010399 A KR 20237010399A KR 20230058664 A KR20230058664 A KR 20230058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tain airbag
front pillar
vehicle
pillar garnish
airbag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0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모야 키토
타카시 무라야마
마사노리 하라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ublication of KR20230058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86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2Curtain-type airbags deploying mainly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ir top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roof frame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42Tear s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작동 시에 프런트 필러 가니시의 파손을 방지 가능한 커튼 에어백 장치를 제공한다.
커튼 에어백 장치(100)는 좁고 긴 수납 형태로 되어 프런트 필러 가니시(118) 및 루프 트림(116)으로 덮여 감춰지는 커튼 에어백 쿠션(120)과, 루프 사이드 레일(114)에 고정되는 인플레이터(122)를 구비한다. 커튼 에어백 쿠션(120)은 인플레이터(122)로부터 프런트 필러(108)를 향하여 연장하는 팽창부(130)와, 팽창부(130) 중 프런트 필러 가니시(118)의 상단부(140) 근방에 위치하는 곳에 형성되어 소정의 힘을 받으면 파단하는 가봉제부(138)를 가진다. 가봉제부(138)는 커튼 에어백 쿠션(120)을 평면에 펼친 상태에 있어서, 팽창부(130)의 상연(142)으로부터 차량 전측 하방으로 기울어져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커튼 에어백 장치
본 발명은 차량의 측면 충돌 시나 롤링 오버 시에 승차인을 보호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커튼 에어백 장치는 긴급 시에 가스에 의해 팽창 전개하여 승차인을 받아내어 보호하는 주머니 형상의 커튼 에어백 쿠션을 구비한다. 커튼 에어백 쿠션은 차량이 측면 충돌로부터 롤링 오버로 이행했을 경우에 있어서도 승차인의 머리부나 상반신이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영역을 모두 커버하기 위해 차량의 측면을 따라 전개할 필요가 있다.
커튼 에어백 쿠션은 차실 내의 측면 상부에 차량 전후 방향에 걸쳐 수납되어 있고 루프 사이드 레일뿐만 아니라 루프 사이드 레일의 차량 전측에 위치하는 프런트 필러와 프런트 필러를 차량 내측으로부터 덮는 프런트 필러 가니시 사이에도 수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한정된 수납 공간에 커튼 에어백 쿠션을 수납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커튼 에어백 쿠션은 통상적으로 롤링 형상으로 권회된 상태나 접은 상태로 차실 내의 측면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커튼 에어백 쿠션은 루프 사이드 레일을 덮는 루프 트림이나 각 필러의 가니시 등을 밀어내어 팽창 전개한다. 그때,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커튼 에어백(KB) 중 B 필러(3)의 필러 트림(6)의 상부에서 팽창 억제부로서 패치부(P3)를 설치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 의하면 패치부(P3)를 설치하여 팽창을 억제함으로써 필러 트림(6)에 큰 팽창압을 가하는 것을 방지하고 필러 트림(6)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고 서술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2016 -199067호 공보
상술한 바와 같이 커튼 에어백 쿠션의 차량 전측은 프런트 필러 가니시에 덮여 있고 프런트 필러 가니시를 밀어내어 팽창 전개한다. 그때 커튼 에어백 쿠션의 팽창압은 프런트 필러 가니시의 상단부에 집중하기 쉽고 프런트 필러 가니시의 파손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만일 프런트 필러 가니시의 탈락이나 비산 등이 발생하면 승차인의 안전성을 저해하게 될 수 있기 때문에 충분한 방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작동 시에 프런트 필러 가니시의 파손을 방지 가능한 커튼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커튼 에어백 장치의 대표적인 구성은 차량 전후 방향으로 좁고 긴 수납 형태로 되어 차실 내의 프런트 필러로부터 루프 사이드 레일을 따라 설치되어 프런트 필러 가니시 및 루프 트림으로 덮여 감춰지는 커튼 에어백 쿠션과, 커튼 에어백 쿠션에 일부가 삽입된 상태로 루프 사이드 레일에 고정되어 긴급 시에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를 구비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커튼 에어백 쿠션은 상기 커튼 에어백 쿠션의 차량 전측에 설치되어 인플레이터로부터 가스를 받아 팽창 전개하는 팽창부와, 상기 커튼 에어백 쿠션의 팽창 전개 시에 있어서의 팽창부의 프런트 필러 가니시의 상단부 근방에 위치하는 곳에 팽창부를 봉제하여 형성되어 소정의 힘을 받으면 파단하는 가봉제부를 가지고, 가봉제부는 커튼 에어백 쿠션을 평면에 펼친 상태에 있어서 팽창부의 상연으로부터 차량 전측 하방으로 기울어져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인플레이터로부터 팽창부에 공급된 가스는 차량 전방의 프런트 필러 가니시의 상단부에 도달하기 직전에 있어서 가봉제부에 의해 차단된다. 이 때문에 팽창부는 일단 하방을 향하여 루프 트림을 밀어내면서 팽창 전개하고, 이어서 팽창압에 의해 가봉제부를 해소하면서 프런트 필러 가니시 측으로 팽창 전개한다. 즉, 상기 구성이면 프런트 필러 가니시의 상단부를 향하는 가스의 힘을 가봉제부로 받음으로써 프런트 필러 가니시의 상단부의 파손을 방지하고 안전성을 더욱 배려한 커튼 에어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가봉제부는 팽창부의 상연부터 팽창부의 하연보다도 상방까지의 범위에 형성되어도 된다. 이 구성의 가봉제부에 의해 가스는 일단 팽창부의 하방으로 안내된 후, 팽창부의 팽창 진행과 함께 가봉제부를 해소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상기 프런트 필러 가니시를 향하는 가스의 힘을 효율 좋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가봉제부는 팽창부의 상연부터 팽창부의 상하 방향의 중앙 근방까지의 범위에 형성되어도 된다. 이 구성의 가봉제부에 의해서도, 팽창부가 팽창할 때에 프런트 필러 가니시를 향하는 가스의 힘을 효율 좋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가봉제부의 상단부는 팽창부의 상연 중 프런트 필러 가니시의 상단부보다도 차량 후방 부분에 형성되어도 된다. 이 구성의 가봉제부에 의해서도, 팽창부가 팽창할 때에 프런트 필러 가니시를 향하는 가스의 힘을 효율 좋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가봉제부의 하단은 팽창부 중 프런트 필러 가니시의 상단부보다도 차량 후방 부분에 형성되어도 된다. 이 구성의 가봉제부에 의해서도, 팽창부가 팽창할 때에 프런트 필러 가니시를 향하는 가스의 힘을 효율 좋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가봉제부의 하단은 팽창부 중 프런트 필러 가니시의 상단부보다도 차량 전방 부분에 형성되어도 된다. 이 구성의 가봉제부에 의해서도, 팽창부가 팽창할 때에 프런트 필러 가니시를 향하는 가스의 힘을 효율 좋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동 시에 프런트 필러 가니시의 파손을 방지 가능한 커튼 에어백 장치를 제공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커튼 에어백 장치의 개요를 예시하는 도이다.
도 1(b)의 커튼 에어백 쿠션을 평면에 펼친 상태로 예시한 도이다.
도 3은 도 2의 커튼 에어백 쿠션의 차량 전측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커튼 에어백 쿠션의 전개 거동을 예시한 도이다.
도 5는 도 3의 가봉제부의 각 변형예를 예시한 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치수, 재료, 기타 구체적인 수치 등은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특별히 기재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지는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고 또한 본 발명에 직접 관계가 없는 요소는 도시를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커튼 에어백 장치(100)의 개요를 예시하는 도이다. 도 1(a)는 커튼 에어백 장치(100)의 작동 전 모습을 예시한 도이다. 도 중에서 예시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100)는 차량의 우측 측면용인데 도시를 생략하는 좌측 측면용의 커튼 에어백 장치(100)도 동일하게 대칭된 구조를 가진다.
이하, 도 1(a) 기타 도면에 있어서 차량 전후 방향을 각각 화살표F(Forward), B(Back), 차량 폭 방향의 좌우를 각각 화살표L(Left), R(Right), 차량 상하 방향을 각각 화살표U(up), D(down)로 예시한다. 특히 상방이란 좌석에 정규로 착석한 자세의 승차인으로부터 보아 머리부 방향을 뜻하고 하방이란 상기 승차인으로부터 보아 하지부 방향을 뜻한다.
차량(102)은 차량 전방으로부터 전열 좌석(104) 및 후열 좌석(106)이 배치된 2열 시트의 차량을 상정하고 있다. 차량의 측면부에는 차량 전방으로부터 사이드 윈도(105, 107)가 설치되어 있다. 각 사이드 윈도의 차량 전후 방향에는 루프를 지지하는 여러 개의 필러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필러는 차량의 전방부터 프런트 필러(108), 센터 필러(110) 및 리어 필러(112)라고 부른다.
루프 사이드 레일(114)은 차량의 차실 내의 측면 상부를 형성하는 부재이다. 루프 사이드 레일(114)은 차실 내의 루프를 덮는 루프 트림(116)(도 4(a) 참조)에 의해 덮인다. 프런트 필러(108)는 차량 내측을 수지제의 프런트 필러 가니시(118)에 의해 덮인다.
작동 전의 커튼 에어백 장치(100)의 커튼 에어백 쿠션(120)은 권회 또는 접힘으로써 차량 전후 방향으로 좁고 긴 수납 형태로 되어 있다. 커튼 에어백 쿠션(120)은 프런트 필러(108)로부터 루프 사이드 레일(114)을 따라 설치된다. 작동 전의 커튼 에어백 쿠션(120)은 프런트 필러 가니시(118)(도 4(a) 참조) 및 루프 트림(116)에 덮여 감춰지기 때문에 승차인으로부터는 육안 인식이 어렵다.
커튼 에어백 장치(100)는 가스 발생 장치인 인플레이터(122)를 구비하고 있다. 인플레이터(122)는 원통 형상의 실린더 형을 채용하고 있으며 커튼 에어백 쿠션(120)에 일부가 삽입된 상태로 루프 사이드 레일(114)에 고정되어 있다.
도 1(a)는 커튼 에어백 장치(100)의 작동 후 모습을 예시한 도이다. 커튼 에어백 장치(100)는 측면 충돌 등의 긴급 시에 인플레이터(122)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에 의해 커튼 에어백 쿠션(120)이 루프 트림(116)(도 4(a) 참조) 및 프런트 필러 가니시(118)를 밀어내어 팽창 전개하여 승차인을 구속한다.
커튼 에어백 쿠션(120)은 전열 좌석(104) 및 후열 좌석(106)의 차량 외측에서 차량 전후 방향으로 넓게 팽창 전개한다. 커튼 에어백 쿠션(120)의 팽창부의 각 부분은 가스의 흐름이나 승차인 및 좌석 등의 구조물에 따라 챔버라고 불리는 작은 방으로 구획되어 있다.
커튼 에어백 쿠션(120)은 스트랩(124)도 구비하고 있다. 스트랩(124)은 띠 형상의 부재로서 선단부가 프런트 필러(108)에 설치되고 후단부가 커튼 에어백 쿠션(120)의 전단에 설치되어 있다. 스트랩(124)은 작동 전에 있어서는 프런트 필러(108)와 프런트 필러 가니시(118)(도 4(a) 참조) 사이에 수납되어 있다.
도 2는 도 1(b)의 커튼 에어백 쿠션(120)을 평면에 펼친 상태로 예시한 도이다. 또한 커튼 에어백 쿠션(120)을 평면에 둔 상태에 있어서는 인플레이터(122)가 설치되는 측을 '상’측, 그 반대 방향을 '하’측이라고 한다. 이 상하 방향은 커튼 에어백 쿠션(120)이 차량에 설치되었을 때의 차체의 상하 방향에 대응하고 있다.
커튼 에어백 쿠션(120)은 예를 들어 그 표면을 구성하는 기포를 안팎으로 봉제하거나 OPW(One-Piece Woven)를 사용하여 방직함으로써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튼 에어백 쿠션(120)은 상연에 구비된 여러 개의 태브(126)를 개재하여 루프 사이드 레일(114)에 고정된다. 상연에는 인플레이터(122)(도 1(b) 참조)가 삽입되는 인플레이터 삽입부(128)도 설치되어 있다.
커튼 에어백 쿠션(120)의 팽창부(130)는 크게 나누어 덕트부(132) 및 여러 개의 보호 챔버(보호 챔버(134a) 등)로 구획되어 있다. 덕트부(132)는 인플레이터 삽입부(128)로부터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스의 연결 통로이며 팽창부(130)의 상부를 형성하고 있다.
보호 챔버로서는 주로 전열 좌석(104)의 승차인을 구속하는 보호 챔버(134a~134c)와, 주로 후열 좌석(106)의 승차인을 구속하는 보호 챔버(136)가 구획되어 있다. 각 보호 챔버에는 상방의 덕트부(132)로부터 가스가 공급된다.
도 3은 도 2의 커튼 에어백 쿠션(120)의 차량 전측의 확대도이다. 도 3에는 도 1(b)의 프런트 필러 가니시(118)를 파선으로 예시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커튼 에어백 쿠션(120)은 프런트 필러 가니시(118)에 과잉된 팽창압을 가하지 않도록 가봉제부(138)를 설치하고 있다.
가봉제부(138)는 커튼 에어백 쿠션(120)의 팽창 전개 시의 힘으로 해소 가능하게 설치된 봉제 라인이며 보호 챔버(134a) 중, 커튼 에어백 쿠션(120)이 팽창 전개했을 때에 프런트 필러 가니시(118)의 상단부(140) 근방에 위치하는 곳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봉제부(138)는 인플레이터(122)(도 2 참조)로부터 프런트 필러(108)를 향하여 연장하는 덕트부(132)의 차량 전측이며 상기 커튼 에어백 쿠션(120) 중에서도 가장 앞에 설치된 보호 챔버(134a)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가봉제부(138)는 소정의 힘을 받으면 파단하는 봉제실에 의해 보호 챔버(134)의 상부를 차량 폭 방향으로 봉제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가봉제부(138)의 상단(138a)은 커튼 에어백 쿠션(120)을 평면에 펼친 상태에 있어서, 보호 챔버(134a)의 상연(142) 중 프런트 필러 가니시(118)의 상단부의 후부의 상하 직선(L1)보다도 차량 후방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봉제부(138)는 덕트부(132)의 상연(142)으로부터 차량 전측 하방으로 기울어져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가봉제부(138)의 하단(138b)도 보호 챔버(134a) 중 프런트 필러 가니시(118)의 상단부(140)보다도 차량 후방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가봉제부(138)가 차량 전측 하방으로 경사져 있음으로써, 덕트부(132)를 통하여 차량 전방의 프런트 필러 가니시(118)를 향하여 유입하여 온 가스는 가봉제부(138)를 따라 일단 차량 전측 하방으로 안내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4는 도 3의 커튼 에어백 쿠션(120)의 전개 거동을 예시한 도이다. 도 4(a)는 커튼 에어백 쿠션(120)의 작동 전 모습을 예시하고 있다. 프런트 필러 가니시(118)의 상단부(140)는 루프 트림(116)에 인접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프런트 필러 가니시(118)부터 루프 트림(116)의 전부에 걸쳐서는 커튼 에어백 쿠션(120)의 스트랩(124)으로 덕트부(132) 및 보호 챔버(134a) 부근이 수납되어 있다.
도 4(b)는 도 4(a)의 커튼 에어백 쿠션(120)에 가스가 공급되었을 때의 모습을 예시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플레이터(122)(도 2 참조)로부터 덕트부(132)를 통하여 보호 챔버(134a)에 가스가 공급되었을 때, 프런트 필러 가니시(118)의 상단부(140)의 직전에 있어서 가스가 가봉제부(138)에 의해 차단된다. 그 때문에 보호 챔버(134a)는 차량 전방이 아닌 일단 하방을 향하여 루프 트림(116)을 밀어내면서 팽창 전개한다.
도 4(c)는 도 4(b)의 보호 챔버(134a)에 가스가 더 공급되었을 때의 모습을 예시하고 있다. 보호 챔버(134a)의 권회 등이 해소하여 하방에까지 전개하면 가봉제부(138)도 그 전체가 전개한 상태가 된다. 그러면 가봉제부(138)의 하단(138b)에 하방으로부터의 팽창압이 집중함으로써 보호 챔버(134a)는 가봉제부(138)를 파단하면서 프런트 필러 가니시(118) 측으로 팽창 전개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프런트 필러 가니시(118)의 상단부(140)를 향하는 가스의 힘을 가봉제부(138)로 받음으로써 프런트 필러 가니시(118)의 상단부(14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프런트 필러 가니시(118)의 탈락이나 파편의 비산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성에 더욱 배려한 커튼 에어백 장치(100)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가봉제부(138)의 각 파라미터에 대하여 기재한다. 먼저 커튼 에어백 쿠션(120)의 팽창 전개 시에 있어서 가봉제부(138)에 가하는 힘을 검토한다. 가봉제부(138)를 설치하는 범위는 보호 챔버(134a)(도 3 참조)의 상부의 16025 mm2의 범위(E1) 내로 하였다. 범위(E1)는 프런트 필러 가니시(118)의 상단부(140)의 후부의 상하 직선(L1)부터 후방으로 거리(D1)=140 mm 정도 떨어진 상하 직선(L2)까지의 영역 내로 설정되어 있다. 가봉제부(138)의 보유 지지가 필요한 시간은 범위(E1)의 권회가 인플레이터(122)의 작동 개시부터 12 ms로 해소하는 것이 관찰 되었으므로 12 ms까지로 하였다. 측정에 의해 12 ms의 시점에 있어서의 보호 챔버(134a)의 내압은 72.7 kPa이었다.
상기 수치로부터, 하기의 계산식에 의해 가봉제부(138)에 가하는 힘은 상기 12 ms의 시점에 있어서 1165[N]으로 판명되었다. 계산식은 압력[N/m2]=힘의 크기[N]/힘을 받는 면적[mm2]:72700[N/m2]X16025[mm2]=1165[N]이다.
이어서 가봉제부(138)의 강도[N]에 대하여 검토한다. 가봉제부(138)의 형성에 사용한 봉제실의 인장 강도는 33±5[N]이었다. 또한 가봉제부(138)의 길이는 150 mm으로 설정하였다. 솔기의 간격(봉제 피치)은 2.5±0.3 mm으로 하였다. 이때 봉제의 횟수(봉제 카운트)는 길이/피치:150/2.5=60[카운트]였다.
상기 수치로부터, 가봉제부[N]의 강도는 33[N]X60[카운트]=1980[N]으로 판명되었다. 이중에서 봉제실의 인장 강도 및 봉제 피치에는 공차가 있으므로 가봉제부[N]의 강도의 공차 하한값(봉제 내력 하한값)은 28[N]X54[카운트]=1512[N]이다. 또한 가봉제부(138)의 통기도(실 텐션)는 윗실은 500±100[mm/s], 밑실은 220±50의 범위로 관리하고 있다.
상기 설정한 가봉제부(138)(1512[N])는 12 ms의 시점에 있어서 후방으로부터 받는 힘(1165[N])을 견딜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즉, 도 4(c)에서 예시한 보호 챔버(134a)의 권회가 해소하는 12 ms의 시점까지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의 가봉제부(138)이면 봉제를 알맞게 보유 지지하고 보호 챔버(134a)의 전개력이 프런트 필러 가니시(118)의 상단부(140)에 가하는 것을 방지 가능하다고 확인되었다.
보호 챔버(134a)의 권회가 해소한 시점 즉, 12 ms를 지나면 보호 챔버(134a) 중 가봉제부(138)의 하단부(138b)보다도 하방 부분도 팽창한다. 이에 의해 가봉제부(138)의 하단(138b)에 대하여 하방으로부터 전개력이 가하게 된다. 따라서 가봉제부(138)는 하단(138b)의 봉제실(33[N])에 하방으로부터의 하중이 집중하고 파단이 시작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가봉제부(138)이면 인플레이터(122)의 작동 개시부터 12 ms까지는 봉제를 알맞게 보유 지지하고 12 ms를 지난 시점에서 해소되어 보호 챔버(134a)의 전체를 팽창 전개시키는 것의 타당성이 확인되었다. 상기 가봉제부(138)이면 덕트부(132)로부터의 가스의 힘이 프런트 필러 가니시(118)에 직접적으로 닿는 것을 방지하고 프런트 필러 가니시(118)의 탈락이나 비산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변형예)
이하, 상술한 각 구성 요소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 이후에서는 이미 설명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고 이것에 의해 기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구성 요소와 동일 명칭인 것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상이한 부호를 붙이고 있어도 특별히 명기하지 않는 경우에는 동일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한다.
도 5는 도 3의 가봉제부의 각 변형예를 예시한 도이다. 도 5(a)는 제1 변형예의 가봉제부(200)를 예시한 도이다. 가봉제부(200)는 도 3의 가봉제부(138)보다도 길게 설치되어 있고 예를 들어 보호 챔버(134a)의 상연(142)으로부터 보호 챔버(134a)의 상하 방향의 중앙(C1) 근방까지의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봉제부(200)와 같이 길이를 변화시킴으로써 보호 챔버(134a)의 팽창 전개 타이밍에 맞추어 프런트 필러 가니시(118)를 향하는 가스를 효율 좋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5(b)는 제2 변형예의 가봉제부(220)를 예시한 도이다. 가봉제부(220)는 도 3의 가봉제부(138)보다도 차량 전방으로 더 기울어져 있다. 예를 들어 가봉제부(220)의 하단(220b)은 보호 챔버(134a) 중 프런트 필러 가니시의 상단부(140)의 후측으로부터 신장한 상하 직선(L1)보다도 차량 후방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봉제부(220)와 같이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써 보호 챔버(134a) 내의 가스의 흐름을 보호 챔버(134a) 및 프런트 필러 가니시(118)의 형상이나 치수에 따라서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에 의해서도 프런트 필러 가니시(118)를 향하는 가스의 힘을 효율 좋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설명한 가봉제부(138, 200, 220)는 모두 상단(138a, 200a, 200b)이 팽창부인 보호 챔버(134a)의 상연(142)에 형성되고 그곳부터 하단(138b, 200b, 220b)이 보호 챔버(134a)의 하연(144)보다도 상방까지의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즉, 가봉제부(138, 200, 220)의 하방에는 가스의 유로가 확보되어 있고 하단(138b, 200b, 200b)에는 하방으로부터의 전개력이 집중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가봉제부(138, 200, 220)는 프런트 필러 가니시(118)를 향하는 가스의 힘을 억제하면서 보호 챔버(134a)의 팽창 진행과 함께 해소되어 승차인의 구속력에 영향을 주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이상에서 서술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적합한 예로서 이외의 실시형태도 각종 방법으로 실시 또는 수행 가능하다. 특별히 본원 명세서 중에 한정된다는 주지의 기재가 없는 한 이 발명은 첨부 도면에 나타낸 상세한 부품의 형상, 크기 및 구성 배치 등으로 제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원 명세서 중에 사용된 표현 및 용어는 설명을 목적으로 한 것이며 특별히 한정된다는 주지의 기재가 없는 한 그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당업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 있어서 각종 변형예 또는 수정예로 상정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며 이들에 대해서도 응당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측면 충돌 시나 롤링 오버 시에 승차인 보호를 보호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100...커튼 에어백 장치, 102...차량, 104...전열 좌석, 105, 107...사이드 윈도, 106...후열 좌석, 108...프런트 필러, 110...센터 필러, 112...리어 필러, 114...루프 사이드 레일, 116...루프 트림, 118...프런트 필러 가니시, 120...커튼 에어백 쿠션, 122...인플레이터, 124...스트랩, 126...태브, 128...인플레이터 삽입부, 130...팽창부, 132...덕트부, 134a...보호 챔버, 136...보호 챔버, 138...가봉제부, 138a...상단, 138b...하단, 140...상단부, 142...상연, 144...하연, C1...보호 챔버의 중앙, E1...범위, 200...제1 변형예의 가봉제부, 200a...상단, 200b...하단, 220...가봉제부, 220a...상단, 220b...하단

Claims (6)

  1. 차량 전후 방향으로 좁고 긴 수납 형태로 되어 차실 내의 프런트 필러로부터 루프 사이드 레일을 따라 설치되어 프런트 필러 가니시 및 루프 트림으로 덮여 감춰지는 커튼 에어백 쿠션과, 상기 커튼 에어백 쿠션에 일부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루프 사이드 레일에 고정되어 긴급 시에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를 구비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튼 에어백 쿠션은,
    상기 커튼 에어백 쿠션의 차량 전측에 설치되어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 가스를 받아 팽창 전개하는 팽창부와,
    상기 커튼 에어백 쿠션의 팽창 전개 시에 있어서의 상기 팽창부의 상기 프런트 필러 가니시의 상단부 근방에 위치하는 곳에 상기 팽창부를 봉제하여 형성되어 소정의 힘을 받으면 파단하는 가봉제부를 가지고,
    상기 가봉제부는 상기 커튼 에어백 쿠션을 평면에 펼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의 상연으로부터 차량 전측 하방으로 기울어져 연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봉제부는 상기 팽창부의 상연부터 상기 팽창부의 하연보다도 상방까지의 범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봉제부는 상기 팽창부의 상연부터 상기 팽창부의 상하 방향의 중앙 근방까지의 범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봉제부의 상단은 상기 팽창부의 상연 중 상기 프런트 필러 가니시의 상단부보다도 차량 후방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봉제부의 하단은 상기 팽창부 중 상기 프런트 필러 가니시의 상단부보다도 차량 후방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봉제부의 하단은 상기 팽창부 중 상기 프런트 필러 가니시의 상단부보다도 차량 전방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장치.
KR1020237010399A 2020-09-02 2021-08-05 커튼 에어백 장치 KR202300586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47294 2020-09-02
JPJP-P-2020-147294 2020-09-02
PCT/JP2021/029105 WO2022049991A1 (ja) 2020-09-02 2021-08-05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8664A true KR20230058664A (ko) 2023-05-03

Family

ID=80491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0399A KR20230058664A (ko) 2020-09-02 2021-08-05 커튼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209396A1 (ko)
JP (1) JP7401686B2 (ko)
KR (1) KR20230058664A (ko)
CN (1) CN116056960A (ko)
WO (1) WO202204999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99067A (ja) 2015-04-07 2016-12-01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乗員保護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01560B2 (ja) * 2002-09-26 2008-12-24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
EP1849662B1 (en) * 2006-04-24 2012-01-11 Autoliv Development AB Side airbag for vehicle
JP4770778B2 (ja) * 2007-04-12 2011-09-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JP2013249025A (ja) * 2012-06-04 2013-12-12 Nippon Plast Co Ltd カーテンエアバッグ
JP2014004878A (ja) * 2012-06-22 2014-01-16 Nippon Plast Co Ltd エアバッグ
JP6151156B2 (ja) * 2013-10-28 2017-06-21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頭部保護エアバッグ
DE102016008241A1 (de) * 2016-07-07 2018-01-11 Dalphi Metal Espana, S.A. Gassack, insbesondere für ein seitenvorhang-airbag-system, sowie fahrzeugsicherheitssystem mit einem solchen gassack
JP6542727B2 (ja) * 2016-09-02 2019-07-10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JP6848839B2 (ja) * 2017-11-30 2021-03-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99067A (ja) 2015-04-07 2016-12-01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乗員保護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09396A1 (en) 2023-07-12
WO2022049991A1 (ja) 2022-03-10
CN116056960A (zh) 2023-05-02
JPWO2022049991A1 (ko) 2022-03-10
JP7401686B2 (ja) 2023-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09884B (zh) 气囊装置
JP5639263B2 (ja) 車両用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EP3003794B1 (en) Shaped airbag
JP6513882B2 (ja) 内部テザーを含むエアバッグ及びそれらを形成する方法
JP5901915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
JP2008056117A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KR101917330B1 (ko) 커튼 에어백 장치
JP6540647B2 (ja) 車両用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US9731676B2 (en) Curtain airbag device
US10723303B2 (en) Vehicle curtain airbag device
JP6604707B2 (ja) 内部ディフューザを有するサイドエアバッグ
CN106394473B (zh) 可充气帘限制器
EP3305604B1 (en) Curtain airbag device
JP6177760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KR20230058664A (ko) 커튼 에어백 장치
JP7368210B2 (ja) エアバッグ及びその折畳方法
JP6768079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JP2018016164A (ja) エアバッグ
KR102616206B1 (ko) 차량용 커튼 에어백 장치
KR101867061B1 (ko)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CN108602485B (zh) 帘式气囊装置
JP4721987B2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2017001658A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US11772595B2 (en) Airbag with reinforced tether
WO2023127305A1 (ja) 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