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7982A - 자재 취급 차량의 배터리 수납 공간용 배터리 가이드 핀 및 이를 포함하는 자재 취급 차량 - Google Patents

자재 취급 차량의 배터리 수납 공간용 배터리 가이드 핀 및 이를 포함하는 자재 취급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7982A
KR20230057982A KR1020220136276A KR20220136276A KR20230057982A KR 20230057982 A KR20230057982 A KR 20230057982A KR 1020220136276 A KR1020220136276 A KR 1020220136276A KR 20220136276 A KR20220136276 A KR 20220136276A KR 20230057982 A KR20230057982 A KR 202300579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guide
pin
spring
re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6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란트 뮐러
마르틴 마
잭 양
앤디 첸
브루스 씨아
루잉 선
Original Assignee
크라운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PCT/CN2021/125869 external-priority patent/WO2023065346A1/en
Priority claimed from PCT/CN2022/083994 external-priority patent/WO2023184215A1/en
Priority claimed from US17/814,585 external-priority patent/US20230129896A1/en
Application filed by 크라운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크라운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30057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79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13Details concerning the chassis
    • B66F9/07531Battery compartments
    • B66F9/07536Battery stoppers, i.e. means to hold battery in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13Details concerning the chassis
    • B66F9/07531Battery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6Arrangements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80Exchanging energy storage elements, e.g. removable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62B3/06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 B62B3/061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power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33Electric motors
    • B62B5/0053Arrangements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65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non-mas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13Details concerning the chassis
    • B66F9/0754Battery remov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40Working vehicles
    • B60L2200/44Industrial trucks or floor convey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Handcart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배터리 수납 공간 및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를 포함하는 자재 취급 차량으로서,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은 대향하는 배터리 가이드 핀들의 쌍을 포함하고, 각각의 대향하는 쌍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반대편 측면들에 배열되고, 각각의 대향하는 쌍은 래칭 핀 및 가이드 핀을 포함하고;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배터리 잠금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잠금 메커니즘은 확장된 위치에서 스프링-편의되고 상기 확장된 위치로부터 각각의 수축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스프링-장착 잠금 핀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가이드 핀의 대향하는 각각의 쌍의 래칭 핀은 상기 확장된 위치에서 스프링-장착 잠금 핀들 중 하나의 선단 부분을 수용하도록 위치되는 배터리 래치를 형성하는 리세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재 취급 차량의 배터리 수납 공간용 배터리 가이드 핀 및 이를 포함하는 자재 취급 차량{BATTERY GUIDE PINS FOR A BATTERY RECEIVING SPACE OF A MATERIALS HANDLING VEHICLE, AND MATERIALS HANDLING VEHICLES INCORPORATING THE SAME}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21년 10월 22일자로 출원된 국제특허출원 PCT/CN2021/125869, 2022년 3월 30일에 출원된 국제특허출원 PCT/CN2022/083994 및 2022년 7월 25일에 출원된 미국 제17/814,585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개시 내용들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개념은 일차적으로 팰릿 트럭(pallet truck)의 구동 모터가 팰릿 트럭의 단일 구동 휠의 허브와 통합되는 전기 팰릿 트럭을 참조하여 본원에 설명되지만, 본 발명의 특정 개념은 다른 유형의 모터 구성을 갖는 팔레트 트럭, 또는 예를 들어 지게차, 터거 등을 포함하는 다른 유형의 배터리 구동 자재 취급 차량에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자재 취급 차량 및 개선된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음을 알 수 있다.
일 양태는 자재 취급 차량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자재 취급 차량은 자재 취급 기구 및 구동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재 취급 차량은 배터리 수납 공간 및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재 취급 차량은 재고 운송 표면을 따라 이동하고 창고 환경에서 상품과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자재 취급 기구는 창고 환경에서 상품을 결합하고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로부터의 전력하에 상기 구동 기구와 협력하여 상기 창고 환경에서 재고 운송 표면을 따라 상품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배터리 본체 및 배터리 잠금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은 협력하여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한정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라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 내에 삽입 및 그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본체는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자재 취급 차량의 배터리 수납 공간 내로 삽입 및 그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길이 방향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한정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잠금 기구는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 및 스프링-장착 잠금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은 자재 취급 차량의 배터리 수납 공간에 위치된 배터리 래치와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선단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은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의 선단 부분을 수용하도록 위치된 배터리 래치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은 연장된 위치에 있고 그리고/또는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안착된다.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은 평면 핸들 캠 표면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은 상기 핸들 캠 표면에 평행할 수 있는 평면 핀 캠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과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은 상기 핸들 캠 표면이 상기 배터리 본체에 대한 상기 배터리 핸들의 이동으로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라 상기 핀 캠 표면과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과 상기 핸들 캠 표면은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라 선형 운동으로 제한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본체는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 및 상기 핸들 캠 표면을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라 선형 이동시키도록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과 상기 핀 캠 표면은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에 수직일 수 있는 래치 결합 및 결합 해제 축을 따라 선형 이동으로 제한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본체는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과 상기 핀 캠 표면이 상기 래치 결합 및 결합 해제 축을 따라 선형 이동하도록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은 잠금 위치에서 스프링-편의될 수 있고, 상기 배터리 본체에 대해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 해제 위치로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르는 핸들 리프팅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은 연장된 위치에서 스프링-편의될 수 있고, 상기 핸들 캠 표면이 상기 핀 캠 표면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 해제 위치로의 상기 배터리 핸들의 이동에 응답하여 수축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은 연장된 위치에서 스프링-편의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 본체에 대한 상기 배터리 핸들의 이동에 응답하여 상기 래치 결합 및 결합 해제 축을 따라 상기 확장된 위치로부터 수축된 위치로 상기 핸들 캠 표면이 상기 핀 캠 표면과 결합된 상태에서의 상기 핸들 리프팅 방향으로 상기 배터리 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잠금 기구는 한 쌍의 스프링-장착 잠금 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반대편 측면들상에 위치된 대응하는 배터리 래치들의 쌍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한 쌍의 스프링-장착 잠금 핀들 중 대응하는 핀의 선단 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은, 상기 배터리 본체 내부로부터 상기 배터리 본체(210) 외부의 그립 부분의 반대편 단부들까지,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라, 핸들 리프팅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그립 부분 및 한 쌍의 이격된 암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암 부분은 평면 핸들 캠 표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스프링-장착 잠금 핀은 상기 핸들 캠 표면에 평행할 수 있는 대응하는 평면 핀 캠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암 부분들 중 하나의 평면 핸들 캠 표면 및 대응하는 평면 핀 캠 표면은 다른 암 부분들의 평면 핸들 캠 표면 및 대응하는 평면 핀 캠 표면의 미러 이미지로서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스프링-장착 잠금 핀들은 상기 래치 결합 및 결합 해제 축을 따라 반대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는 잠금 핀 연장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면 핸들 캠 표면 및 상기 평면 핀 캠 표면은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라 상기 핸들 리프팅 방향으로 연장하는 캠 표면 횡단부에 대해 동일한 교번 외부 각도들을 한정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은 상기 평면 핸들 캠 표면에 형성된 잠금 핀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은 상기 평면 핸들 캠 표면에 형성된 잠금 핀 통로를 통해 상기 평면 핀 캠 표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잠금 핀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상기 배터리 핸들을 잠금 위치를 향해 편의시키기 위해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과 직접 접촉하는 핸들 스프링,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과 직접 접촉하여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을 확장된 위치를 향해 편의시키는 잠금 핀 스프링, 또는 둘 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상기 배터리 핸들을 상기 잠금 위치를 향해 편의시키기 위해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과 직접 접촉하는 핸들 스프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본체는 핸들 스프링을 위한 핸들을 향하는 스프링 수용 공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은 핸들 리프팅 방향으로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르는 상기 배터리 핸들로부터 상기 스프링 수용 공동의 길이 방향 축을 따르는 핸들을 향하는 스프링 수용 공동 내로 연장하는 스프링 결합 핑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을 상기 확장된 위치를 향해 편의시키기 위해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과 직접 접촉하는 잠금 핀 스프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본체는 핀 지향 스프링 수용 공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은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에 수직인 스프링-장착 잠금 핀으로부터 상기 스프링 수용 공동의 길이 방향 축을 따르는 상기 핀 지향 스프링 수용 공동 내로 연장하는 스프링 결합 핑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배터리 본체는 복수의 충전식 배터리 셀, 전방 케이스 및 후방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 및 후방 케이스는 내부에 복수의 충전식 배터리 셀들을 수용하도록 협력할 수 있다. 상기 전방 및 후방 케이스는 상기 핸들 캠 표면을 포함하는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의 부분 및 상기 핀 캠 표면을 포함하는 스프링-장착 잠금 핀의 부분을 수용하도록 협력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본체의 전방 케이스 또는 후방 케이스는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과 상기 핸들 캠 표면을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라 선형 이동시키도록 전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본체는 상기 핸들 캠 표면을 포함하는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의 부분과 상기 핀 캠 표면을 포함하는 스프링-장착 잠금 핀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본체는 하나 이상의 핸들 통로 및 하나 이상의 잠금 핀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의 암 부분은 상기 핸들 통로를 통해 상기 배터리 본체 외부의 상기 배터리 핸들의 그립 부분으로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의 잠금 핀 확장부는 상기 잠금 핀 통로를 통해 상기 배터리 본체 외부로 통과한다.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 및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은 상기 핸들 캠 표면 및 상기 핀 캠 표면에서 결합될 수 있으므로, 상기 배터리 핸들이 상기 핸들 리프팅 방향으로 상기 핸들 통로를 통해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의 잠금 핀 연장부는 상기 잠금 핀 통로를 통해 상기 래치 결합 및 결합 해제 축을 따라 상기 확장된 위치로부터 수축된 위치로 이동된다.
상기 배터리 핸들의 그립 부분은 상기 잠금 위치에서 상기 배터리 본체의 상부 표면과 같은 높이일 수 있고, 상기 잠금 해제 위치에서 상기 배터리 본체의 상부 표면 위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본체는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의 그립 부분 아래에 형성된 핸들 그립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 그립 리세스는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라 적어도 약 6.5 mm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은 상기 배터리 핸들의 평면 핸들 캠 표면과는 독립적인 핸들-측 제한 표면(handle-side limiting surface)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측 제한 표면들은 상기 핸들 리프팅 방향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본체는, 상기 잠금 위치에서 상기 배터리 핸들의 대응하는 핸들-측 제한 표면들과 결합하기 위해,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의 대응하는 핸들-측 제한 표면들에 평행하게 위치될 수 있는 본체-측 제한 표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본체는 상기 핸들 리프팅 방향에 대해 경사질 수 있고 상기 잠금 해제 위치에서 상기 핸들 캠 표면의 결합을 위해 전용될 수 있는 본체-측 제한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선단 면 및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선단 면상의 전기 소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전기 소켓을 보완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은 상기 배터리 본체의 길이 방향 치수를 따라 한 지점에 위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이 상기 잠금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 내로 삽입될 수 있기 때문에, 잠금 핀이 배터리 래치와 결합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선단 면상의 전기 소켓이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전기 커넥터와 결합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상기 전기 소켓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선단 면상에 리세스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선단 면은 상기 배터리 래치와 결합되는 스프링-장착 잠금 핀 및 상기 전기 커넥터와 결합되는 전기 소켓과 함께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바닥 표면상에 놓일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선단 면 및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선단 면상의 전기 소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전기 소켓을 보완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 소켓, 상기 전기 커넥터, 상기 배터리 본체, 및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은 상기 전기 소켓과 상기 전기 커넥터의 대향 표면들 사이에서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라 연장되는 스탠드오프 갭(standoff gap)을 한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선단 면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바닥 표면상에 놓인다.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전기 커넥터는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바닥 표면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됨에 따라 감소된 크기의 풋프린트로 테이퍼진 외벽을 포함하는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선단 면상의 전기 소켓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선단 면으로부터 멀어질 때 증가된 크기의 풋프린트로 테이퍼지는 내벽을 포함하는 소켓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내벽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외벽의 테이퍼를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바닥 표면에 놓이는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선단 면과 상기 전기 소켓 및 상기 전기 커넥터의 대향 표면들 사이의 스탠드오프 갭과 보완 및 접촉시키도록 테이퍼질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은 배터리 가이드 핀들의 대향 쌍들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대향 쌍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대향 측면들상에 배열될 수 있고, 각각의 대향 쌍은 래칭 핀 및 가이드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본체는 측면 배터리 면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면은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라 배향될 수 있고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 내로 삽입 및 그로부터 제거될 때 상기 가이드 핀들의 대향 쌍들을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되는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가이드 핀들의 각각의 대향 쌍의 래칭 핀은 배터리 래치를 형성하는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리세스는 확장된 위치에서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들 중 하나의 선단 부분을 수용하도록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안착된다.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일 측면상에 배열되는 래칭 핀 및 가이드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본체는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라 배향될 수 있는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를 포함하는 측면 배터리 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 내로 삽입 및 그로부터 제거될 때 상기 래칭 핀 및 상기 가이드 핀을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래칭 핀은 상기 배터리 래치를 형성하는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반대편 측면들상에 배열되는 래칭 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본체는 측면 배터리 면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면은 배터리 상기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라 배향될 수 있고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 내로 삽입 및 그로부터 제거될 때 상기 래칭 핀들 중 하나를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될 수 있는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를 포함한다. 각각의 래칭 핀은 상기 배터리 래치를 형성하는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양태는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배터리 본체 및 배터리 잠금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본체는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자재 취급 차량의 배터리 수납 공간 내로 삽입 및 그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길이 방향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한정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잠금 기구는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 및 스프링-장착 잠금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은 자재 취급 차량의 배터리 수납 공간에 위치된 배터리 래치와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선단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은 평면 핸들 캠 표면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은 상기 핸들 캠 표면에 평행할 수 있는 평면 핀 캠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 및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은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른 상기 배터리 본체에 대한 상기 배터리 핸들의 이동으로 상기 핸들 캠 표면이 상기 핀 캠 표면과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본체는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 및 상기 핸들 캠 표면을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라 선형 이동시키도록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본체는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 및 상기 핀 캠 표면을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에 수직일 수 있는 래치 결합 및 결합 해제 축을 따라 선형 이동시키도록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은 상기 잠금 위치에서 스프링-편의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라 핸들 리프팅 방향으로 상기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 해제 위치로 상기 배터리 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은 확장된 위치에서 스프링-편의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 본체에 대한 상기 배터리 핸들의 이동에 응답하여 상기 래치 결합 및 결합 해제 축을 따라 상기 확장된 위치로부터 수축된 위치로 상기 핸들 캠 표면이 상기 핀 캠 표면과 결합된 상태에서의 상기 핸들 리프팅 방향으로 상기 배터리 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잠금 기구는 한 쌍의 스프링-장착 잠금 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반대편 측면들에 위치하는 대응하는 쌍의 배터리 래치들을 포함하여, 한 쌍의 스프링-장착 잠금 핀들 중 대응하는 핀의 선단 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은 그립 부분 및, 상기 배터리 본체 내부로부터 상기 배터리 본체(210) 외부의 상기 그립 부분의 반대편 단부들까지,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라 핸들 리프팅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이격된 암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암 부분은 평면 핸들 캠 표면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스프링-장착 잠금 핀은 상기 핸들 캠 표면에 평행할 수 있는 대응하는 평면 핀 캠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암 부분들 중 하나의 평면 핸들 캠 표면 및 대응하는 평면 핀 캠 표면은 암 부분들 중 다른 하나의 평면 핸들 캠 표면 및 대응하는 평면 핀 캠 표면의 거울상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들의 쌍은 상기 래치 결합 및 결합 해제 축을 따라 반대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는 잠금 핀 연장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면 핸들 캠 표면 및 상기 평면 핀 캠 표면은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라 상기 핸들 리프팅 방향으로 연장하는 캠 표면 횡단부에 대해 동일한 교번 외부 각도들을 한정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은 상기 평면 핸들 캠 표면에 형성된 잠금 핀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은 상기 평면 핀 캠 표면으로부터 상기 평면 핸들 캠 표면에 형성된 상기 잠금 핀 통로를 통해 연장하는 잠금 핀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상기 배터리 핸들을 상기 잠금 위치를 향해 편의하기 위해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과 직접 접촉하는 핸들 스프링,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과 직접 접촉하여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을 상기 확장된 위치를 향해 편의시키는 잠금 핀 스프링, 또는 둘 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상기 배터리 핸들을 상기 잠금 위치를 향해 편의시키기 위해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과 직접 접촉하는 핸들 스프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본체는 상기 핸들 스프링을 위한 핸들을 향하는 스프링 수용 공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은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른 상기 핸들 리프팅 방향으로의 상기 배터리 핸들로부터 상기 핸들을 향하는 스프링 수용 공동 내로 상기 스프링 수용 공동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연장되는 스프링 결합 핑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을 상기 확장된 위치를 향해 편의하기 위해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과 직접 접촉하는 잠금 핀 스프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본체는 핀을 향하는 스프링 수용 공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은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에 수직인 스프링-장착 잠금 핀으로부터 상기 핀을 향하는 스프링 수용 공동 내로 상기 스프링 수용 공동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연장하는 스프링 결합 핑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배터리 본체는 복수의 충전식 배터리 셀, 전방 케이스 및 후방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 및 후방 케이스는 내부에 복수의 충전식 배터리 셀들을 수용하도록 협력할 수 있다. 상기 전방 및 후방 케이스는 상기 핸들 캠 표면을 포함하는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의 부분 및 상기 핀 캠 표면을 포함하는 스프링-장착 잠금 핀의 부분을 수용하도록 협력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본체의 전방 케이스 또는 후방 케이스는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 및 상기 핸들 캠 표면을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라 선형 이동시키도록 배타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상기배터리 본체는 상기 핸들 캠 표면을 포함하는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의 부분과 상기 핀 캠 표면을 포함하는 스프링-장착 잠금 핀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본체는 하나 이상의 핸들 통로 및 하나 이상의 잠금 핀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장착형 배터리 핸들의 암 부분은 상기 핸들 통로를 통해 상기 배터리 본체 외부의 배터리 핸들의 그립 부분으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의 잠금 핀 확장은 상기 잠금 핀 통로를 통해 상기 배터리 본체 외부로 진행한다.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 및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은 상기 핸들 캠 표면 및 상기 핀 캠 표면에서 결합할 수 있으므로, 상기 배터리 핸들이 상기 핸들 리프팅 방향으로 상기 핸들 통로를 통해 상기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의 잠금 핀 연장부가 상기 잠금 핀 통로를 통해 상기 래치 결합 및 결합 해제 축을 따라 상기 확장된 위치로부터 수축된 위치로 이동한다.
상기 배터리 핸들의 그립 부분은 상기 잠금 위치에서 상기 배터리 본체의 상부 표면과 같은 높이일 수 있고, 상기 잠금 해제 위치에서 상기 배터리 본체의 상부 표면 위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본체는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의 그립 부분 아래에 형성된 핸들 그립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 그립 리세스는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라 적어도 약 6.5 mm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은 상기 배터리 핸들의 평면 핸들 캠 표면과 무관한 핸들-측 제한 표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측 제한 표면들은 상기 핸들 리프팅 방향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본체는 상기 잠금 위치에서 상기 배터리 핸들의 대응하는 핸들-측 제한 표면들과 결합하기 위해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의 대응하는 핸들-측 제한 표면들에 평행하게 위치될 수 있는 본체-측 제한 표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본체는 상기 핸들 리프팅 방향에 대해 경사질 수 있고 상기 잠금 해제 위치에서 상기 핸들 캠 표면의 결합을 위해 전용될 수 있는 본체-측 제한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선단 면 및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선단 면상의 전기 소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전기 소켓을 보완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은 상기 배터리 본체의 길이 방향 치수를 따라 한 지점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이 상기 잠금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 내로 삽입될 수 있기 때문에, 잠금 핀이 배터리 래치와 결합하는 것과 동시에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선단 면상의 전기 소켓이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전기 커넥터와 결합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상기 전기 소켓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선단 면상에 리세스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선단 면은 상기 배터리 래치와 결합된 스프링-장착 잠금 핀 및 상기 전기 커넥터와 결합된 전기 소켓과 함께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바닥 표면에 놓일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선단 면 및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선단 면상의 전기 소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전기 소켓을 보완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 소켓, 상기 전기 커넥터, 상기 배터리 본체, 및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은 상기 전기 소켓과 상기 전기 커넥터의 대향 표면들 사이에서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라 연장되는 스탠드오프 갭을 한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때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선단 면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바닥 표면에 안착된다.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전기 커넥터는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바닥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감소된 크기의 풋프린트로 테이퍼지는 외벽을 포함하는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선단 면상의 전기 소켓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선단 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증가된 크기의 풋프린트로 테이퍼지는 내벽을 포함하는 소켓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내벽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외벽의 테이퍼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바닥 표면상에 놓이는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선행 면 및 상기 전기 소켓과 상기 전기 커넥터의 대향 표면들 사이의 스탠드오프 갭과 보완 및 접촉하도록 테이퍼질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은 배터리 가이드 핀들의 대향 쌍들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대향 쌍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반대편 측면들상에 배열될 수 있으며 각각의 대향 쌍은 래칭 핀 및 가이드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본체는 측면 배터리 면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면들 각각은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라 배향될 수 있고,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 내로 삽입 및 그로부터 제거될 때, 상기 가이드 핀들의 대향 쌍들을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될 수 있는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가이드 핀들의 각각의 대향 쌍의 래칭 핀은 상기 배터리 래치를 형성하는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리세스는 확장된 위치에서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들 중 하나의 선단 부분을 수용하도록 위치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안착된다.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일 측면상에 배열되는 래칭 핀 및 가이드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본체는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라 배향될 수 있는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를 포함하는 측면 배터리 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 내로 삽입 및 그로부터 제거될 때, 상기 래칭 핀 및 상기 가이드 핀을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래칭 핀은 상기 배터리 래치를 형성하는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반대편 측면들상에 배열되는 래칭 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본체는 측면 배터리 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면들 각각은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라 배향될 수 있으며,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에 수납 공간 내로 삽입 및 그로부터 제거될 때, 상기 래칭 핀들 중 하나를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될 수 있는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래칭 핀은 상기 배터리 래치를 형성하는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자재 취급 차량은 배터리 수납 공간, 및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배터리 본체 및 배터리 잠금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잠금 기구는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 및 스프링-장착 잠금 핀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의 선단 부분을 수용하도록 위치된 배터리 래치가 포함되며;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은 평면 핸들 캠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은 평면 핀 캠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 및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은 상기 핸들 캠 표면이 상기 배터리 본체에 대한 상기 배터리 핸들의 이동으로 상기 핀 캠 표면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은 잠금 위치에서 스프링-편의되며;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은 확장된 위치에서 스프링-편의되고 상기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 해제 위치로의 상기 배터리 핸들의 이동에 응답하여 수축된 위치로 이동 가능하며, 이 때 상기 핸들 캠 표면은 상기 핀 캠 표면과 결합된다.
추가 양태는 자재 취급 차량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자재 취급 차량은 자재 취급 기구 및 구동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재 취급 차량은 배터리 수납 공간 및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재 취급 차량은 재고 운송 표면을 따라 이동하고 창고 환경에서 상품과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자재 취급 기구는 창고 환경에서 상품을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로부터의 전력하에 상기 구동 기구와 협력하여 상기 창고 환경에서 재고 운송 표면을 따라 상품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 및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은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한정하기 위해 협력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라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 내로 삽입 및 그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은 배터리 가이드 핀들의 대향 쌍들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대향 쌍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반대편 측면들상에 배열될 수 있고, 각각의 대향 쌍은 래칭 핀 및 가이드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반대편 측면들상에 배열될 수 있는 배터리 가이드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가이드 핀들의 각각의 대향 쌍은 상기 배터리 가이드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가이드 핀은 상기 가이드 핀이거나 또는 그 반대일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가이드 핀은 래칭 핀이거나 또는 그 반대일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배터리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배터리 잠금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본체는 각각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를 포함하는 측면 배터리 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는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가이드 핀들의 대향 쌍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수납 공간 내로 삽입 및 그로부터 제거될 때 한 쌍의 가이드 핀을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는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라 배향될 수 있다.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는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 내로 삽입 및 그로부터 제거됨에 따라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각각의 반대측 측면상에 배열될 수 있는 배터리 가이드 핀들 또는 배터리 가이드 핀을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잠금 기구는 확장된 위치들에서 스프링-편의될 수 있고 또한 상기 확장된 위치들로부터 각각의 수축된 위치들로 래치 결합 및 결합 해제 축을 따라 상기 배터리 본체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스프링 장착 잠금 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가이드 핀들의 각각의 대향 쌍의 래칭 핀은 배터리 래치를 형성하는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리세스는 상기 확장된 위치에서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들 중 하나의 선단 부분을 수용하도록 위치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안착된다.
배터리 가이드 핀들의 각각의 대향하는 쌍의 래칭 핀은 모따기된 결합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잠금 기구의 스프링-장착 잠금 핀들 각각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삽입될 때 상기 래칭들 핀 중 하나의 상기 모따기된 결합 면을 향하도록 배향될 수 있는 상보적인 모따기된 결합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래칭 핀의 모따기된 결합 면은 상기 각각의 래칭 핀의 배터리 래치를 형성하는 리세스로 이어질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가이드 핀들의 각각의 대향 쌍의 래칭 핀 및 가이드 핀은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에 평행한 공통 가이드 핀 축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가이드 핀들의 각각의 대향 쌍의 래칭 핀 및 가이드 핀은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의 길이 방향 치수의 절반 미만일 수 있고 또한 적어도 약 47.5 mm일 수 있는 가이드 핀 간격에 의해 분리된다.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의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는 가이드 채널들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각각의 반대측 측면상에 배열될 수 있는 상기 배터리 가이드 핀들 또는 상기 배터리 가이드 핀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채널들 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 중 하나의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는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 중 하나를 따라 자유 공간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다른 측면 배터리 면의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의 각각에 한 쌍의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의 각각의 쌍은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 각각의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를 따라 제한된 폭의 가이드 핀 갭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한된 폭의 가이드 핀 갭은 상기 배터리 가이드 핀들 중 대응하는 하나의 배터리 가이드 핀을 수용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가이드 핀들 중 대응하는 하나의 배터리 가이드 핀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반대측 측면 각각에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가이드 핀들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반대측 측면 각각에 배열될 수 있는 각각의 배터리 가이드 핀을 포함할 수 있다.
패스너는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의 각각의 쌍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패스너는 상기 배터리 본체의 측면 배터리 면과 나사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의 각각의 쌍은 변형 및/또는 탄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의 각각의 쌍은 단일 구조로서, 특히 단일의 일체형 폴리우레탄 구조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의 각각의 쌍은 배터리 가이드 핀이 상기 제한된 폭의 가이드 핀 갭으로 진입할 때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에 수직인 측면 방향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의 각각의 쌍은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 중 하나에 형성된 대응하는 슬롯 내에 수용될 수 있는 정렬 특징부를 포함하여,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에 대한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의 각각의 쌍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가이드 핀들 또는 상기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의 각각의 대향하는 쌍의 가이드 핀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 각각의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를 따라 가이드 핀 파킹 위치에 놓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의 각각의 쌍에 의해 형성된 제한된 폭의 가이드 핀 갭은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 각각의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를 따라 상기 가이드 핀 파킹 위치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가이드 핀들은 각각 상기 제한된 폭의 가이드 핀 갭의 폭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은 가이드 핀이 상기 제한된 폭의 가이드 핀 갭으로 진입할 때 측면 항복 방향으로 굴곡되고 측면 탄성의 정도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은, 가이드 핀이 상기 제한된 폭의 가이드 핀 갭으로 진입할 때,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에 수직인 측면 항복 방향으로 굴곡되고, 측면 탄성 정도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은, 가이드 핀이 제한된 폭의 가이드 핀 갭으로 진입할 때,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에 수직인 측면 항복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굴곡되고, 측면 탄성 정도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의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는 가이드 채널들로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는 상기 배터리 본체에 고정될 수 있는 스태빌라이저 섕크, 및 상기 가이드 채널의 유효 폭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가이드 채널들 중 하나 내로 또는 그 위로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는 스태빌라이저 캡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의 각 쌍은 상기 가이드 채널의 유효 폭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가이드 채널들 중 하나 내로 또는 그 위로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의 각각의 쌍은 절단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의 각각의 쌍은 50 쇼어 A(Shore A)와 90 쇼어 A 사이의 쇼어 A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의 각각의 쌍은 60 쇼어 A와 80 쇼어 A 사이의 쇼어 A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잠금 기구는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은 평면 핸들 캠 표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은 상기 핸들 캠 표면에 평행할 수 있는 평면 핀 캠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 및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은,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르는 상기 배터리 본체에 대한 상기 배터리 핸들의 이동으로, 상기 핸들 캠 표면이 상기 핀 캠 표면과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본체는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과 상기 핸들 캠 표면을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라 선형 이동시키도록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본체는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과 상기 핀 캠 표면을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에 수직일 수 있는 래치 결합 및 결합 해제 축을 따라 선형 이동시키도록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은 잠금 위치에서 스프링-편의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라 핸들 리프팅 방향으로 상기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 해제 위치로 상기 배터리 본체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은 상기 확장된 위치에서 스프링-편의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배터리 본체에 대한 상기 배터리 핸들의 이동에 응답하여, 상기 핸들 캠 표면이 상기 핀 캠 표면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 리프팅 방향으로, 상기 래치 결합 및 결합 해제 축을 따라 상기 확장된 위치로부터 수축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선단 면 및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선단 면상의 전기 소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전기 소켓을 보완하는 전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들은 상기 배터리 본체의 길이 방향 치수를 따른 지점들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잠금 위치에 있는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과 함께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 내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선단 면상의 전기 소켓이 상기 배터리 수용 공간의 전기 커넥터와 결합됨과 동시에 래칭 핀들과 잠금 핀이 결합되는 결과를 유발시킨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선단 면은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들이 상기 래칭 핀들과 결합하고 상기 전기 소켓이 상기 전기 커넥터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바닥 표면상에 놓일 수 있다.
추가 양태는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와 관련된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배터리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배터리 잠금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이전 양태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본체는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가이드 핀들의 대향 쌍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수납 공간 내로 삽입 및 그로부터 제거될 때 한 쌍의 가이드 핀들을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될 수 있는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를 각각 포함하는 측면 배터리 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의 각각에 한 쌍의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은 이전 양태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의 각각의 쌍은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 각각의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를 따라 제한된 폭의 가이드 핀 갭을 형성할 수 있으며, 가이드 핀이 상기 제한된 폭의 가이드 핀 갭으로 진입할 때, 측면 항복 방향으로 굴곡되고 측면 탄성 정도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 및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은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한정하기 위해 협력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라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 내로 삽입 및 그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는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라 배향될 수 있다.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는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 내로 삽입 및 그로부터 제거될 때 가이드 핀들의 대향 쌍들을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잠금 기구는 연장된 위치들에서 스프링-편의될 수 있고 래치 결합 및 결합 해제 축을 따라 상기 연장된 위치로부터 각각의 수축된 위치로 상기 배터리 본체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스프링-장착 잠금 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핀들의 각각의 대향 쌍의 래칭 핀은 배터리 래치를 형성하는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리세스는 상기 확장된 위치에서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들 중 하나의 선단 부분을 수용하도록 위치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안착된다.
가이드 핀들의 각각의 대향 쌍의 래칭 핀은 모따기된 결합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잠금 기구의 스프링-장착 잠금 핀들 각각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 내로 삽입될 때 상기 래칭 핀들 중 하나의 모따기된 결합 면을 향하도록 배향될 수 있는 상보적인 모따기된 결합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래칭 핀의 모따기된 결합 면은 각각의 래칭 핀의 배터리 래치를 형성하는 리세스로 이어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핀들의 각각의 대향 쌍의 래칭 핀 및 가이드 핀은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에 평행한 공통 가이드 핀 축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핀들의 각각의 대향 쌍의 래칭 핀 및 가이드 핀은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의 길이 방향 치수의 절반 미만일 수 있고 적어도 약 47.5 mm일 수 있는 가이드 핀 간격만큼 분리된다.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의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는 가이드 채널들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핀들의 대향 쌍들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채널들 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 중 하나의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는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중 하나를 따라 자유 공간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다른 측면 배터리 면의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의 각각에 한 쌍의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의 각각의 쌍은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 각각의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를 따라 제한된 폭의 가이드 핀 갭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핀들의 각각의 대향 쌍의 가이드 핀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 각각의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를 따라 가이드 핀 파킹 위치에 놓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의 각각의 쌍에 의해 형성된 제한된 폭의 가이드 핀 갭은 각각의 측면 배터리 면상의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를 따라 상기 가이드 핀 파킹 위치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은 가이드 핀이 상기 제한된 폭의 가이드 핀 갭으로 진입할 때 측면 항복 방향으로 굴곡되고 측면 탄성의 정도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은, 가이드 핀이 상기 제한된 폭의 가이드 핀 갭으로 진입할 때,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에 수직인 측면 항복 방향으로 굴곡되고, 측면 탄성 정도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의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는 가이드 채널들로서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 핀들의 대향 쌍들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채널들 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 중 하나의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는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 중 하나를 따라 자유 공간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다른 측면 배터리 면의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 각각에 한 쌍의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의 각각의 쌍은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 각각의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를 따라 제한된 폭의 가이드 핀 갭을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핀들의 각각의 대향 쌍의 가이드 핀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 각각의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를 따라 가이드 핀 파킹 위치에 놓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의 각각의 쌍에 의해 형성된 제한된 폭의 가이드 핀 갭은 상기 각각의 측면 배터리 면상의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를 따라 상기 가이드 핀 파킹 위치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은 가이드 핀이 제한된 폭의 가이드 핀 갭으로 진입할 때 측면 항복 방향으로 굴곡되고 측면 탄성 정도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은, 가이드 핀이 제한된 폭의 가이드 핀 갭으로 진입할 때,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에 수직인 측면 항복 방향으로 굴곡되고, 측면 탄성 정도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의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는 가이드 채널들로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는 상기 배터리 본체에 고정될 수 있는 스태빌라이저 섕크, 및 상기 가이드 채널의 유효 폭을 감소시키기 위해 가이드 채널들 중 하나 내로 또는 그 위로 부분적으로 위로 연장될 수 있는 스태빌라이저 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잠금 기구는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은 평면 핸들 캠 표면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은 상기 핸들 캠 표면에 평행할 수 있는 평면 핀 캠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 및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은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른 상기 배터리 본체에 대한 상기 배터리 핸들의 이동으로 상기 핸들 캠 표면이 상기 핀 캠 표면과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본체는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과 상기 핸들 캠 표면을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라 선형 이동시키도록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본체는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과 상기 핀 캠 표면을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에 수직일 수 있는 래치 결합 및 결합 해제 축을 따라 선형 이동시키도록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은 잠금 위치에서 스프링-편의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라 핸들 리프팅 방향으로 상기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 해제 위치로 상기 배터리 본체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은 상기 확장된 위치에서 스프링-편의될 수 있으며, 상기 핸들 캠 표면이 상기 핀 캠 표면과 결합된 상태에서 핸들 리프팅 방향으로, 상기 배터리 본체에 대한 상기 배터리 핸들의 이동에 응답하여 상기 래치 결합 및 분리 축을 따라 상기 확장된 위치로부터 상기 수축된 위치로 상기 배터리 본체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선단 면 및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선단 면상의 전기 소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전기 소켓을 보완하는 전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들은 상기 배터리 본체의 길이 방향 치수를 따르는 지점들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잠금 위치에 있는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과 함께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 내로 삽입됨에 따라, 잠금 핀이 상기 래칭 핀들과 결합하는 동시에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선단 면상의 전기 소켓이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전기 커넥터와 결합하는 결과를 유발시킨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선단 면은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들이 상기 래칭 핀들과 결합되고 상기 전기 소켓이 상기 전기 커넥터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바닥 표면상에 놓일 수 있다.
추가의 양태에 있어서, 자재 취급 차량은 배터리 수납 공간 및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은 배터리 가이드 핀들의 대향 쌍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대향 쌍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반대편 측면들상에 배열되고, 각각의 대향 쌍은 래칭 핀과 가이드 핀을 포함하고;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배터리 잠금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잠금 기구는 확장된 위치들에서 스프링-편의되고 상기 확장된 위치들로부터 각각의 수축된 위치들로 이동할 수 있는 스프링-장착 잠금 핀들을 포함하고; 배터리 가이드 핀들의 각각의 대향 쌍의 래칭 핀은 상기 확장된 위치에서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들 중 하나의 선단 부분을 수용하도록 위치되는 배터리 래치를 형성하는 리세스를 포함한다.
추가 양태는 자재 취급 차량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자재 취급 차량은 자재 취급 기구 및 구동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재 취급 차량은 배터리 수납 공간 및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재 취급 차량은 재고 운송 표면을 따라 이동하고 창고 환경에서 상품을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자재 취급 기구는 창고 환경에서 상품을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로부터의 전력하에 상기 구동 기구와 협력하여 상기 창고 환경에서 재고 운송 표면을 따라 상품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 및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은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한정하기 위해 협력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라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 내로 삽입 및 그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라 배향될 수 있는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를 각각 포함하는 측면 배터리 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배터리 본체 및 배터리 잠금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본체는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자재 취급 차량의 배터리 수납 공간 내로 삽입 및 그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길이 방향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한정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본체는 측면 배터리 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측면 배터리 면은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라 배향될 수 있는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은 대향하는 가이드 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반대편 측면들상에 배열되며, 또한 이들 각각은 고정 부분 및 교체 가능 부분을 포함한다. 각각의 가이드 블록의 교체 가능 부분은 마찰-유도 표면 및 가이드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마찰-유도 표면은,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라,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 중 대향 면을 향해 그와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각각의 가이드 표면은,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라,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과 수직으로 그리고/또는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의 대향 표면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각각의 가이드 블록의 각각의 교체 가능 부분의 마찰-유도 및 가이드 표면들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각각의 가이드 블록의 고정 부분들로부터의 간섭 없이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 또는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의 대향 표면을 향할 수 있다.
각각의 가이드 블록의 각각의 교체 가능 부분의 마찰-유도 표면은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불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수직 방향으로 상기 대향 측면 배터리 면을 향할 수 있다. 각각의 가이드 블록의 각각의 교체 가능 부분의 가이드 표면은 상기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의 대향 표면을 수직 방향으로 향할 수 있다.
상기 측면 배터리 면의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는 채널 숄더(channel shoulder)에서 양면 채널 부분으로 전환될 수 있는 일면 채널 부분을 포함하는 계단형 가이드 채널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가이드 블록의 교체 가능 부분은 모따기된 선단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모따기된 선단 부분은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에서 상기 채널 숄더를 향할 수 있다.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의 일면 및 양면 채널 부분은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가이드 블록의 교체 가능 부분은 상기 고정 부분에 비해 더 낮은 표면 경도 및 더 높은 표면 마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가이드 블록의 각각의 교체 가능 부분의 마찰-유도 표면들은 상기 각각의 가이드 블록의 교체 가능 부분의 고정 부분들 및 나머지 부분들에 대해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의 대향 방향으로 융기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가이드 블록의 각각의 교체 가능 부분의 마찰-유도 표면들은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가로질러 배향되는 일련의 마찰-유도 융기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가이드 블록의 고정 부분은 상기 자재 취급 차량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가이드 블록의 교체 가능 부분은 상기 고정 부분 내에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부분의 파괴 없이 상기 고정 부분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가이드 블록의 고정 부분은 상기 각각의 가이드 블록의 교체 가능 부분이 상기 마찰-유도 및 가이드 표면들을 한정하도록 연장될 수 있는 브래킷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 배터리 면의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는 채널 숄더에서 양면 채널 부분으로 전환될 수 있는 일면 채널 부분을 포함하는 계단형 가이드 채널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가이드 블록의 교체 가능 부분은 모따기된 선단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모따기된 선단 부분은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에서 상기 채널 숄더를 향한다.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의 각각의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는,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블록의 가이드 표면을 향하는 대향 표면을 포함할 수 있는 일면 채널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의 일면 및 양면 채널 부분들은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각각의 마찰-유도 표면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 중 대향하는 표면을 수직 방향으로 향할 수 있다. 각각의 가이드 표면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의 대향 표면을 수직 방향으로 향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가이드 블록의 교체 가능 부분은 상기 방향으로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의 채널 숄더를 향할 수 있는 모따기된 선단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 또는 상기 잠금 기구는 한 쌍의 스프링-장착 잠금 핀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핀들 각각은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의 양면 채널 부분들 중 하나에 배치된다.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스프링-장착 잠금 핀들 중 대응하는 핀의 선단 부분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반대편 측면들상에 위치된 한 쌍의 배터리 래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대향하는 가이드 블록은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라 위치하여,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들 중 하나의 채널 숄더를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안착된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 및 한 쌍의 배터리 래치들 내에 수용된 상기 한 쌍의 스프링-장착 잠금 핀들의 선단 부분들과 결합시킬 수 있다.
추가 양태는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배터리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배터리 잠금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본체는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자재 취급 차량의 배터리 수납 공간 내로 삽입 및 그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길이 방향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한정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본체는 측면 배터리 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측면 배터리 면은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라 배향될 수 있는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의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들은 채널 숄더에서 양면 채널 부분으로 전환될 수 있는 일면 채널 부분을 포함하는 계단형 가이드 채널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의 일면 및 양면 채널 부분들은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잠금 기구는 한 쌍의 스프링-장착 잠금 핀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핀들 각각은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의 양면 채널 부분들 중 하나에 배치된다.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은 각각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반대편 측면들상에 배열되고 또한 각각 고정 부분 및 교체 가능 부분을 포함하는 대향하는 가이드 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가이드 블록의 교체 가능 부분은 마찰-유도 표면 및 가이드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마찰-유도 표면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라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 중 대향하는 면을 향해 그와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각각의 가이드 표면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라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에 수직으로 그리고/또는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의 대향 표면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가이드 블록의 각각의 교체 가능 부분의 마찰-유도 및 가이드 표면들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각각의 가이드 블록의 고정 부분들로부터의 간섭 없이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 또는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의 대향 표면을 향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가이드 블록의 각각의 교체 가능 부분의 마찰-유도 표면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불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대향하는 측면 배터리 면을 수직 방향으로 향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가이드 블록의 각각의 교체 가능 부분의 가이드 표면은 상기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의 대향 표면을 수직 방향으로 향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가이드 블록의 교체 가능 부분은 모따기된 선단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모따기된 선단 부분은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에서 상기 채널 숄더를 향할 수 있다.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의 일면 및 양면 채널 부분들은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가이드 블록의 교체 가능 부분은 상기 고정 부분에 비해 더 낮은 표면 경도 및 더 높은 표면 마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가이드 블록의 각각의 교체 가능 부분의 마찰-유도 표면들은 상기 각각의 가이드 블록의 교체 가능 부분들의 고정 부분들 및 나머지 부분들에 대해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의 대향 방향으로 융기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가이드 블록의 각각의 교체 가능 부분의 마찰-유도 표면들은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가로질러 배향되는 일련의 마찰-유도 융기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가이드 블록의 고정 부분은 상기 자재 취급 차량에 고정될 수 있다. 각각의 가이드 블록의 교체 가능 부분은 상기 고정 부분 내에 안착될 수 있고, 상기 고정 부분의 파괴 없이 상기 고정 부분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각각의 가이드 블록의 고정 부분은 각각의 가이드 블록의 교체 가능 부분이 마찰-유도 및 가이드 표면들을 한정하도록 연장될 수 있는 브래킷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 배터리 면의 각각의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는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블록의 가이드 표면을 향하는 대향 표면을 포함할 수 있는 일면 채널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 배터리 면의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는 채널 숄더에서 양면 채널 부분으로 전환될 수 있는 일면 채널 부분을 포함하는 계단형 가이드 채널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의 일면 채널 부분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블록의 가이드 표면을 향하는 대향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의 일면 및 양면 채널 부분들은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각각의 마찰-유도 표면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 중 대향 표면을 수직 방향으로 향할 수 있다. 각각의 가이드 표면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의 대향 표면을 수직 방향으로 향할 수 있다. 각각의 가이드 블록의 교체 가능 부분은 상기 방향으로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의 채널 숄더를 향할 수 있는 모따기된 선단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 또는 잠금 기구는 한 쌍의 스프링-장착 잠금 핀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잠금 핀들 각각은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의 양면 채널 부분들 중 하나에 배치된다.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스프링-장착 잠금 핀들 중 대응하는 핀의 선단 부분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반대편 측면들상에 위치된 한 쌍의 배터리 래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대향 가이드 블록은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라 위치하여,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의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들 중 하나의 채널 숄더와 상기 한 쌍의 배터리 래치들 내에 수용된 상기 한 쌍의 스프링-장착 잠금 핀들의 선단 부분들을 결합시킬 수 있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자재 취급 차량은 배터리 수납 공간, 및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를 각각 포함하는 측면 배터리 면들을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반대편 측면들상에 각각 배치되고, 고정 부분 및 교체 가능 부분을 각각 포함하는 대향 가이드 블록들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가이드 블록의 교체 가능 부분은 마찰-유도 표면 및 가이드 표면을 포함하며; 각각의 마찰-유도 표면은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 중 대향하는 면을 향하고; 각각의 가이드 표면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의 대향 표면을 향한다.
추가 양태는 자재 취급 차량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자재 취급 차량은 자재 취급 기구 및 구동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재 취급 차량은 배터리 수납 공간 및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재 취급 차량은 재고 운송 표면을 따라 이동하고 창고 환경에서 상품과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자재 취급 기구는 창고 환경에서 상품과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로부터의 전력하에 상기 구동 기구와 협력하여, 상기 창고 환경에서 재고 운송 표면을 따라 상품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배터리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본체는 상기 배터리 조립체가 자재 취급 차량의 배터리 수납 공간 내로 삽입 및 그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길이 방향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한정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 및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은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한정하도록 협력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라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 내로 삽입 및 그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라 배향될 수 있는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를 각각 포함하는 측면 배터리 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반대편 측면들상에 각각 배열되고, 고정 단부 및 원위 단부를 포함하는 유지 레버를 각각 포함하는, 대향 유지 블록(retention block)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측면 배터리 면의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는,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유지 레버들 중 하나의 원위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레버 수용 멈춤쇠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유지 레버는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의 레버 수용 멈춤쇠에 수용될 때 굴곡 상태로 놓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유지 블록은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의 대향 표면을 향하는 평면 가이드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지 블록의 평면 가이드 표면은 유지 레버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유지 레버는 유지 레버 리세스를 향해 점진적으로 이동할 때 증가된 굴곡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유지 블록은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의 대향 표면을 향하는 평면 가이드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지 블록의 평면 가이드 표면은 유지 레버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유지 레버의 고정 단부는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의 대향 표면과의 접촉을 피하기 위해 상기 유지 레버 리세스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유지 레버의 원위 단부는 말단 로브(terminal lob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 수용 멈춤쇠와 상기 말단 로브는 정합된 둥근 프로파일들을 한정할 수 있다.
각각의 유지 블록은 금속 백킹 플레이트(metal backing plate)와 플라스틱 유지 레버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선단 면 및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선단 면상의 전기 소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전기 소켓을 보완하는 전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유지 레버는,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 내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레버 수용 멈춤쇠들 각각이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 내의 전기 커넥터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선단 면상의 전기 소켓을 결합시킴과 동시에 상기 유지 레버들 중 하나의 원위 단부를 수용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의 각각의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는,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유지 블록의 가이드 표면을 향하는 대향 표면을 포함하는 일면 채널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의 일면 채널 부분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유지 레버들의 원위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레버 수용 멈춤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면 채널 부분은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의 채널 숄더에서 종료될 수 있다. 각각의 가이드 블록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의 채널 숄더를 향하는 모따기된 선단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양태는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배터리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본체는 상기 배터리 조립체가 자재 취급 차량의 배터리 수납 공간 내로 삽입 및 그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길이 방향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한정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측면 배터리 면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면들 각각은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라 배향될 수 있는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를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측면 배터리 면의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는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의 채널 숄더에서 종결될 수 있는 일면 채널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의 일면 채널 부분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유지 레버들의 원위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레버 수용 멈춤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반대편 측면들상에 각각 배열되고, 고정 단부 및 원위 단부를 포함하는 유지 레버를 각각 포함하는, 대향 유지 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측면 배터리 면의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는,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유지 레버들 중 하나의 원위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레버 수용 멈춤쇠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유지 레버는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의 레버 수용 멈춤쇠에 수용될 때 굴곡 상태로 놓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유지 블록은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의 대향 표면을 향하는 평면 가이드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지 블록의 평면 가이드 표면은 유지 레버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유지 레버는 상기 유지 레버 리세스를 향해 점진적으로 이동할 때 증가된 굴곡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유지 블록은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의 대향 표면을 향하는 평면 가이드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지 블록의 평면 가이드 표면은 유지 레버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유지 레버의 고정 단부는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의 대향 표면과의 접촉을 피하기 위해 상기 유지 레버 리세스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유지 레버의 원위 단부는 말단 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 수용 멈춤쇠와 상기 말단 로브는 정합된 둥근 프로파일들을 한정할 수 있다.
각각의 유지 블록은 금속 백킹 플레이트와 플라스틱 유지 레버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선단 면 및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선단 면상의 전기 소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전기 소켓을 보완하는 전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유지 레는,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 내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레버 수용 멈춤쇠들 각각이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 내의 전기 커넥터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선단 면상의 전기 소켓을 결합시킴과 동시에 상기 유지 레버들 중 하나의 원위 단부를 수용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의 각각의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는,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유지 블록의 가이드 표면을 향하는 대향 표면을 포함하는 일면 채널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의 일면 채널 부분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유지 레버의 원위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레버 수용 멈춤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면 채널 부분은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의 채널 숄더에서 종료될 수 있다. 각각의 가이드 블록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의 채널 숄더를 향하는 모따기된 선단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양태에 있어서, 자재 취급 차량은 배터리 수납 공간, 및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를 각각 포함하는 측면 배터리 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반대편 측면들상에 각각 배열되고, 고정 단부 및 원위 단부를 포함하는 유지 레버를 각각 포함하는 대향는 유지 블록들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측면 배터리 면의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는 상기 유지 레버들 중 하나의 원위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레버 수용 멈춤쇠를 포함한다.
추가 양태는 자재 취급 차량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자재 취급 차량은 자재 취급 기구, 구동 기구, 배터리 수납 공간 및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재 취급 기구는 창고 환경에서 상품을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로부터의 전력하에 상기 구동 기구와 협력하여 상기 창고 환경에서 재고 운송 표면을 따라 상품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은 협력하여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 내로 삽입 및 그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한정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배터리 본체, 선단 면,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선단 면상의 전기 소켓, 및 배터리 잠금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전기 소켓을 보완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 및,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 내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전기 커넥터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선단 면상의 전기 소켓의 결합과 동시에 상기 배터리 잠금 기구와 결합할 수 있는 배터리 래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선단 면은 상기 배터리 잠금 기구가 상기 배터리 래치와 결합되고 그리고/또는 상기 전기 소켓이 상기 전기 커넥터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바닥 표면상에 놓일 수 있다. 상기 전기 소켓, 상기 전기 커넥터, 상기 배터리 본체, 및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선단 면이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바닥 표면상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전기 소켓과 상기 전기 커넥터의 대향 표면들 사이에서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라 연장되는 스탠드오프 갭을 한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전기 커넥터는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바닥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때 감소된 크기의 풋프린트로 테이퍼질 수 있는 외벽을 포함하는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선단 면상의 전기 소켓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선단 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때 증가된 크기의 풋프린트로 테이퍼질 수 있는 내벽을 포함하는 소켓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벽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외벽의 테이퍼를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바닥 표면상에 안착되는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선단 면, 및 상기 전기 소켓과 전기 커넥터의 대향 표면들 사이의 스탠드오프 갭과 보완 및 접촉시키도록 테이퍼질 수 있다.
상기 전기 소켓과 전기 커넥터의 대향 표면들은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에 수직일 수 있고 상기 스탠드오프 갭에 의해 이격될 수 있는 수평으로 배향된 대향 표면들일 수 있다.
상기 스탠드오프 갭, 또는 상기 스탠드오프 갭보다 큰 갭은 상기 전기 소켓과 전기 커넥터의 실질적으로 모든 수평 방향으로 배향된 대향 표면들 사이에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스탠드오프 갭(414)은 적어도 약 0.2 mm일 수 있다. 상기 스탠드오프 갭은 약 0.2 mm와 약 1.7 mm 사이일 수 있다.
상기 배터리-측 전기 소켓은 소켓 하우징을 구비한 배터리 조립체의 선단 면에 리세스될 수 있다. 상기 차량-측 전기 커넥터는 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한 배터리 수납 공간의 바닥 표면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측 전기 소켓은 상기 소켓 하우징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고 일반적으로 상기 배터리 조립체의 선단 면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는 림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측 전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고 일반적으로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바닥 표면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는 숄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측 전기 소켓의 림 부분은 상기 차량-측 전기 커넥터의 숄더 부분과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스탠드오프 갭에 의해 상기 숄더 부분으로부터 이격된다.
상기 배터리-측 전기 소켓은 소켓 하우징을 구비한 배터리 조립체의 선단 면에 리세스될 수 있다. 상기 차량-측 전기 커넥터는 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한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바닥 표면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바닥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때 감소된 크기의 풋프린트로 테이퍼질 수 있는 외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켓 하우징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선단 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때 증가된 크기의 풋프린트로 테이퍼질 수 있는 내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측 전기 소켓은 상기 소켓 하우징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고 일반적으로 상기 배터리 조립체의 선단 면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는 림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측 전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고 일반적으로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바닥 표면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는 숄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측 전기 소켓의 림 부분은 상기 차량-측 전기 커넥터의 숄더 부분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스탠드오프 갭에 의해 상기 숄더 부분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전기 커넥터는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바닥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때 감소된 크기의 풋프린트로 테이퍼질 수 있는 외벽을 포함하는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선단 면 상의 전기 소켓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선단 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때 증가된 크기의 풋프린트로 테이퍼질 수 있는 내벽을 포함하는 소켓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전기 커넥터는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바닥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때 감소된 크기의 풋프린트로 테이퍼질 수 있는 외벽을 포함하는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선단 면상의 전기 소켓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선단 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때 증가된 크기의 풋프린트로 테이퍼질 수 있는 내벽을 포함하는 소켓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기 소켓의 내벽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선단 면이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바닥 표면상에 안착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외벽의 테이퍼를 보완 및 접촉하도록 테이퍼질 수 있다.
상기 전기 소켓은 전기 전도성 핀 리셉터클(receptacle)들의 세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기 커넥터는 상보적인 전기 전도성 커넥터 핀들의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탠드오프 갭의 최외측 부분은 상기 전기 전도성 핀 리셉터클들의 세트 및 상기 상보적 전기 전도성 커넥터 핀들의 세트를 둘러쌀 수 있으며,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선단 면이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바닥 표면상에 안착한 상태에서, 상기 전기 전도성 핀 리셉터클들의 세트는 상기 상보적 전기 전도성 커넥터 핀들의 세트와 결합한다.
상기 전기 소켓의 소켓 하우징과 상기 전기 커넥터의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전기 전도성 핀 리셉터클들의 세트 및 상기 상보적 전기 전도성 커넥터 핀들의 세트를 둘러싸도록 서로 협력하여,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선단 면이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바닥 표면상에 안착한 상태에서, 상기 스탠드오프 갭의 최외측 부분과 상기 핀 리셉터클들 및 커넥터 핀들의 결합된 세트들 사이에 배리어(barrier)를 형성한다.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전기 커넥터는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바닥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때 감소된 크기의 풋프린트로 테이퍼질 수 있는 외벽을 포함하는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선단 면상의 전기 소켓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선단 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때 증가된 크기의 풋프린트로 테이퍼질 수 있는 내벽을 포함하는 소켓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 소켓의 내벽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선단 면이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바닥 표면상에 안착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외벽의 테이퍼를 보완 및 접촉시키도록 테이퍼질 수 있다. 상기 전기 소켓의 내벽은 상기 스탠드오프 갭의 최외측 부분을 둘러싸는 테이퍼진 접촉 경계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외벽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전기 전도성 핀 리셉터클들의 세트 및 상기 상보적 전기 전도성 커넥터 핀들의 세트는 다음을 포함하는 8핀 구성을 형성한다: 양극 및 음극 배터리 단자 B+/B-; CAN 버스 하이 신호(CAN Bus High Signal)용 CANH 신호 핀; CAN 버스 로우 신호용 CANL 신호 핀; 배터리 방전 시작 신호용 SIG1 신호 핀; 배터리 충전 시작 신호용 SIG2 신호 핀; 방전 선택 신호용 SIG3 신호 핀; 및/또는 보조 신호용 SIG4 신호 핀.
추가 양태에 있어서, 자재 취급 차량은 배터리 수납 공간, 및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배터리 본체, 선단 면, 및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선단 면상의 전기 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은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선단 면은 상기 전기 소켓이 상기 전기 커넥터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바닥 표면상에 놓이고; 상기 전기 소켓, 상기 전기 커넥터, 상기 배터리 본체, 및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선단 면이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바닥 표면상에 안착한 상태에서, 상기 전기 소켓과 전기 커넥터의 대향 표면들 사이에서 스탠드오프 갭을 한정하도록 구성된다.
일 양태로부터의 실시예들 및 특징들은 다른 양태로부터의 실시예들 및 특징들일 수 있다. 추가의 특징들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들에 대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도시되고 설명된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들일 뿐이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대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하기 도면들과 함께 읽을 때 가장 잘 이해될 수 있으며, 여기서 유사한 구조는 유사한 참조 부호로 표시되고:
도 1은 본원에 도시되고 설명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자재 취급 차량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원에 도시되고 설명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자재 취급 차량의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3은 본원에 도시되고 설명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원에 도시되고 설명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다른 분해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원에 도시되고 설명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캠 표면의 확대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원에 도시되고 설명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원에 도시되고 설명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스프링-장착 잠금 핀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본원에 도시되고 설명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부분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본원에 도시되고 설명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확대 부분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본원에 도시되고 설명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확대 부분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은 본원에 도시되고 설명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을 포함하는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2는 본원에 도시되고 설명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도 11의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배터리 수납 공간 내로 삽입되는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3은 본원에 도시되고 설명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도 11의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배터리 수납 공간 내로 삽입되는 다른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4는 본원에 도시되고 설명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도 11의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배터리 수납 공간 내에 수용되는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5는 본원에 도시되고 설명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을 포함하는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6은 본원에 도시되고 설명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을 포함하는 도 15의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확대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7은 본원에 도시되고 설명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17-17 라인을 따라 취해진, 도 15의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부분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8은 본원에 도시되고 설명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수납 공간 내에 수용되는 도 15의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9는 본원에 도시되고 설명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블록을 포함하는 배터리 수납 공간 내로 삽입되는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0은 본원에 도시되고 설명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도 15의 가이드 블록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1은 본원에 도시되고 설명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도 15의 가이드 블록의 분해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2는 본원에 도시되고 설명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유지 블록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수납 공간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3은 본원에 도시되고 설명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와 결합하는 유지 블록들 중 하나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4는 본원에 도시되고 설명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도 19의 유지 블록의 확대된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5는 본원에 도시되고 설명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수납 공간의 전기 커넥터와 정합되는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전기 소켓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6은 본원에 도시되고 설명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도 21의 전기 커넥터와 정합되는 도 21의 전기 소켓의 확대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7은 본원에 도시되고 설명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도 21의 전기 커넥터와 정합되는 도 21의 전기 소켓의 확대된 정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8은 본원에 도시되고 설명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도 21의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9는 본원에 도시되고 설명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도 21의 전기 커넥터의 다른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0은 본원에 도시되고 설명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배터리 디스플레이상에 디스플레이될 복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1은 본원에 도시되고 설명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구동식 자재 취급 차량의 배터리 커플링을 위한 상보적 소켓/커넥터 핀 할당을 예시하는 회로 개략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자재 취급 차량(10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자재 취급 차량(100)은 자재 취급 기구(110), 구동 기구(120), 배터리 수납 공간(130) 및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를 포함한다. 상기 자재 취급 기구(110)는 창고 환경에서 상품을 결합하고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로부터의 전력하에서 상기 구동 기구(120)와 협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창고 환경에서 재고 운송 표면을 따라 상품을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개념 및 범위를 한정하고 설명하기 위해, "창고"는 자재 취급 차량이 상품을 운송하는 임의의 실내 또는 실외 산업 시설을 포함하며, 상기 시설은 다단계 랙이 통로에 배치되는 것과 같은 주로 상품의 저장을 목적으로 하는 실내 또는 실외 산업 시설, 및 하나 이상의 제조 공정에서 사용하기 위한 자재 취급 차량에 의해 상품이 시설 주변에서 운송되는 제조 시설을 포함하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구동 기구(120)는 도 1에 단순히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다양한 종래의 그리고 아직 개발되지 않은 구동 기구가 본 발명의 자재 취급 차량과 함께 작동하기에 적합할 것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비 제한적으로, 팔레트 트럭과 관련하여, 상기 구동 기구(120)은 US6,343,907호 및 기타 유사한 특허 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은 팔레트 트럭의 조향 휠과 통합되는 전기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 및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은 협력하여,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 내로 삽입 및 그로부터 제거되는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140)을 한정한다. 본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는 각각의 축에 "따른" 다양한 구성 요소의 이동을 언급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와 같은 축에 따른 이동은 관련 축과 직접적으로 동일선상에 있는 이동, 및 상기 관련 축으로부터 변위되되 상기 관련 축에 평행한 이동을 포함한다.
이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는 배터리 본체(210) 및 배터리 잠금 기구(220)를 포함한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의 배터리 본체(210)는 복수의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 셀들(211), 전방 케이스(210A) 및 후방 케이스(210B)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 및 후방 케이스들(210A, 210B)은 내부에 상기 복수의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 셀들(211)을 수용하도록 협력한다. 본원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및 후방 케이스들(210A, 210B)은 상기 배터리 잠금 기구(220)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협력한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는 상기 전방 및 후방 케이스들(210A, 210B)의 하부 단부에 제공된 선단 면(201)을 포함한다.
상기 전방 및 후방 케이스들(210A, 210B) 중 하나만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이 잠금 기구 부품들의 선형 이동의 적절한 구속을 위해 요구되는 허용 오차에 특히 주의하여 설계될 필요가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배터리 조립체는 적절한 고정 하드웨어, 접착제 및/또는 다른 본딩 기술로 상기 전방 및 후방 케이스들(210A, 210B)을 조립하기 전에 상기 전방 및 후방 케이스들(210A, 210B) 중 하나에 상기 배터리 잠금 기구(220)를 완전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최적화된다. 상기 배터리 본체(210)는 상기 배터리 잠금 기구(220) 및 그의 개별 구성 요소들을 선형 운동으로 제한하기 위해 일체로 통합된 하드웨어, 다중 구성 요소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는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의 선단 면(201)상에 전기 소켓(300)을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의 전기 소켓(300)을 보완하는 전기 커넥터(400)를 포함한다. 상기 선단 면(201)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가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140)을 따라 핸들 리프팅 방향(255)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 내로 삽입될 때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을 향하는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의 측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잠금 기구(220)은 핸들 리프팅 방향(255)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암 부분(237A, 237B) 및 그립 부분(231)을 포함하는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230)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230)은 상기 그립 부분(231)의 반대편 단부들에 제공되는 한 쌍의 이격된 암 부분들을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230)은 상기 이격된 암 부분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제공된 평면 핸들 캠 표면(232A, 232B)을 포함한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각각의 암 부분(237A, 237B)은 평면 핸들 캠 표면(232A, 232B)을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230)은 상기 평면 핸들 캠 표면(232A, 232B)에 형성된 잠금 핀 통로(234A, 234B)를 포함한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230)은 상기 평면 핸들 캠 표면들(232A, 232B) 각각에 형성된 잠금 핀 통로(234A, 234B)를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230)은 상기 배터리 핸들(230)의 평면 핸들 캠 표면(232A, 232B)과 무관한 하나 이상의 핸들-측 제한 표면(236A, 236B)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이격된 암 부분은 핸들-측 제한 표면(236A, 236B)을 포함한다. 상기 핸들-측 제한 표면들(236A, 236B)은 상기 핸들 리프팅 방향(255)에 대해 경사진다. 상기 배터리 핸들(230)은 상기 핸들 리프팅 방향(255)에 수직으로 배향되는 하나 이상의 핸들-측 제한 표면(236A', 236B')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230)은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140)을 따라 상기 핸들 리프팅 방향(255)으로 상기 배터리 핸들(230)의 핸들-측 제한 표면들(236A', 236B')로부터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 결합 핑거(239A, 239B)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230)은 한 쌍의 스프링 결합 핑거들(239A, 239B)을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230)은 성형된 구조의 경우와 같이 단일 요소일 수 있거나, 또는 다중 구성 요소들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잠금 기구(220)은 하나 이상의 스프링-장착 잠금 핀(240A, 240B)을 포함한다. 본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잠금 기구(220)은 각각 동일한 구조를 갖고 서로 거울 상인 한 쌍의 스프링-장착 잠금 핀들(240A, 240B)을 포함할 수 있다. 단일 스프링-장착 잠금 핀(240A)을 도시하는 도 7 및 한 쌍의 스프링-장착 잠금 핀들(240A, 240B)을 도시하는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들(240A, 240B)의 구조가 더욱 상세하게 논의된다.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들(240A, 240B)은 상기 평면 핸들 캠 표면(232A, 232B)에 평행한 평면 핀 캠 표면(250A, 250B)을 포함한다. 상기 암 부분들(237A, 237B) 중 하나의 평면 핸들 캠 표면(232A, 232B) 및 대응하는 평면 핀 캠 표면(250A, 250B)은 상기 암 부분들(237A, 237B) 중 다른 하나의 평면 핸들 캠 표면(232A, 232B) 및 대응하는 평면 핀 캠 표면(250A, 250B)의 거울 상으로서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237A, 237B)은 래치 결합 및 결합 해제 축(152A, 152B)을 따라 연장하는 잠금 핀 연장부(242A, 242B)를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240A, 240B)은 상기 평면 핀 캠 표면(250A, 250B)으로부터 그리고 상기 평면 핸들 캠 표면(232A, 232B)에 형성된 상기 잠금 핀 통로(234A, 234B)를 통해 연장하는 잠금 핀 연장부(242A, 242B)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 잠금 기구(220)의 스프링-장착 잠금 핀들(240A, 240B)은 각각 상보적인 모따기된 결합 면(244A, 244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240A, 240B)은 상기 잠금 핀 연장부(242A, 242B)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140)에 수직인 스프링 결합 핑거(249A, 249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240A, 240B)은 성형된 구조의 경우와 같이 단일 요소일 수 있거나, 또는 다중 구성 요소들로 형성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평면" 표면들은 비-평면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상기 평면 핀 캠 표면(250A, 250B) 및 상기 평면 핸들 캠 표면(232A, 232B)은 둥근 숄더 부분들로 종결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230)의 평면 핸들 캠 표면(232A) 및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240)의 평면 핀 캠 표면(250A)이 도시되어 있다. 외부 각도(θ1)는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140)을 따라 핸들 리프팅 방향(255)으로 연장되는 캠 표면 횡단부(T)와 상기 평면 핸들 캠 표면(232A) 사이에서 한정된다. 상기 캠 표면 횡단부(T)는 상기 래치 결합 및 결합 해제 축(152A)에 수직이다. 추가적으로, 외부 각도(θ2)는 상기 평면 핀 캠 표면(250A)과 상기 캠 표면 횡단부(T) 사이에서 한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외부 각도들(θ1, θ2)은 동일하고 상기 캠 표면 횡단부(T)에 대해 서로 교번한다.
본원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잠금 기구(220)는 도 8에 도시된 잠금 위치, 도 9에 도시된 중간 위치, 및 도 10에 도시된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잠금 기구(220)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는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 내에 잠긴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배터리 잠금 기구(220)가 잠금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는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이 허용된다.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은 하나 이상의 배터리 래치(150A, 150B)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은,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들(240A, 240B)이 확장된 위치에 있고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에 안착할 때,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들(240A, 240B)의 대응하는 선단 부분(245A, 245B)을 수용하도록 위치되는 한 쌍의 배터리 래치들(150A, 150B)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은 상기 배터리 가이드 핀들(132A, 132B)의 대향 쌍들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대향 쌍은 배터리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의 반대편 측면들상에 배열된다. 가이드 핀들(132A, 132B)의 각각의 대향 쌍은 래칭 핀(132A', 132B') 및 가이드 핀(132A'', 132B'')을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 가이드 핀들(132A, 132B)의 각각의 대향 쌍의 래칭 핀(132A', 132B') 및 가이드 핀(132A'', 132B'')은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140)에 평행한 공통 가이드 핀 축을 따라 위치된다. 상기 배터리 가이드 핀들(132A, 132B)의 각각의 대향 쌍의 래칭 핀(132A', 132B')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확장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들(237A) 중 하나의 선단 부분(245A, 245B)을 수용하도록 위치되는 배터리 래치(150A, 150B)를 형성하는 리세스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상기 "핀"이라는 용어는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본원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본체(210)의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들(204A, 204B) 내로 연장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하는 반면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에 안착되기만 하면 된다. 또한, "핀"은 모놀리식 요소일 수 있거나 또는 다중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비록,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래칭 핀(132A', 132B')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의 개방 단부에 더 가깝게 위치되지만, 대안적으로 상기 가이드 핀(132A'', 132B'')이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의 개방 단부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음이 고려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가이드 핀들(132A, 132B)의 각각의 대향 쌍의 래칭 핀(132A', 132B') 및 가이드 핀(132A'', 132B'')은 가이드 핀 간격(S)에 의해 분리된다. 비록 이와 같은 가이드 핀 간격이 상이한 실시예들에 따라 변할 수 있지만, 어떤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 핀 간격(S)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배터리 면들(202A, 202B)의 길이 방향 치수(L)의 절반 미만으로, 적어도 약 47.5 mm를 보장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상기 가이드 핀 간격(S)에 대한 전술한 상한은 상기 배터리 조립체(200)가 삽입 및 제거 중에 들러붙지 않도록 하는 데 도움들 주는 반면, 전술한 최소 간격은 상기 가이드 핀들(132A, 132B)이 삽입 및 제거 중에 의도하지 않은 배터리 기울기에 대해 충분한 저항을 제공하도록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된다.
비록, 매우 다양한 배터리 치수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고려되지만, 실시예들에 있어서, 배터리 치수들은 약 400 mm 내지 약 450 mm(높이), 약 80 mm 내지 약 120 mm(깊이), 및 약 200 mm 내지 약 230 mm(폭)의 범위일 것이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배터리 치수들은 약 415 mm 내지 약 416 mm(높이), 약 101 mm 내지 약 102 mm(깊이), 및 약 211 mm 내지 약 212 mm(폭)의 범위일 것이다. 상기 가이드 핀들(132A, 132B) 및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204A, 204B)의 치수는 전술한 배터리 치수에 대한 비율로 취해질 수 있다. 적절하게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를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으로 삽입 및 그로부터 제거하기 위해서는, 본원에서 더욱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핀들(132A, 132B)의 주변과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204A, 204B)의 내벽들 사이에 최소한의 간격이 유지되어야 한다. 많은 경우에, 약 0.5 mm와 약 5 mm 사이의 간격이면 충분하다. 많은 경우에, 약 1 mm와 약 1.5 mm 사이의 간격이면 충분한다.
다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배터리 가이드 핀들(132A, 132B)의 각각의 대향 쌍의 래칭 핀(132A', 132B')은 모따기된 결합 면(136A, 136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래칭 핀(132A', 132B')의 모따기된 결합 면(136A, 136B)은 상기 각각의 래칭 핀(132A', 132B')의 배터리 래치(150A, 150B)를 형성하는 리세스로 이어진다.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들(240A, 240B)의 각각의 상보적인 모따기된 결합 면(244A, 244B)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 내로 삽입될 때, 상기 래칭 핀들(132A', 132B') 중 하나의 모따기된 결합 면(136A, 136B)을 향하도록 배향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본체(210)는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140)을 따라 배향되는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204A, 204B)를 각각 포함하는 측면 배터리 면들(202A, 202B)을 포함한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 내로 삽입 및 그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204A, 204B)는 상기 래칭 핀(132A', 132B') 및 상기 가이드 핀(132A'', 132B'')을 포함하는 한 쌍의 가이드 핀들(132A, 132B)의 대향 쌍들을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된다.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202A, 202B)의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204A, 204B)는 가이드 채널들로서 구성된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202A) 중 하나의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204A)는 다른 측면 배터리 면(202B)의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204B)보다 짧아서,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202B) 중 하나를 따라 자유 공간을 생성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자유 공간은 상기 자재 취급 차량(100)의 배터리 수납 공간(130)의 일부를 형성하는 하드웨어를 위한 룸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배터리 본체(210)는 하나 이상의 핸들 통로(217A, 217B) 및 하나 이상의 잠금 핀 통로(219A, 219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본체(210)는 또한 핸들 그립 리세스(225)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 그립 리세스(225)는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230)의 그립 부분(231) 아래에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140)을 따라 적어도 약 6.5 mm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전술한 핸들 그립 리세스(225)는 사용자가 한 손 또는 두 손으로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230)의 그립 부분(231)을 파지하고 배터리 제거 작업을 개시할 수 있도록 충분한 이동 자유도를 제공한다.
상기 배터리 본체(210)는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230)의 대응하는 핸들-측 제한 표면들(236A, 236B)에 평행하게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본체-측 제한 표면(216A, 216B)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본체-측 제한 표면들(216A, 216B)은 상기 배터리 잠금 조립체(220)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230)의 대응하는 핸들-측 제한 표면들(236A, 236B)과 결합한다. 상기 배터리 본체(210)는, 상기 배터리 잠금 조립체(220)는 잠금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핸들 리프팅 방향(255)에 대해 경사지고 상기 핸들 캠 표면들(232A, 232B) 중 대응하는 하나를 위한 결합 전용인 하나 이상의 본체-측 제한 표면(216A', 216B')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예를 들어, 각각의 본체-측 제한 표면들(216A', 216B')은 상기 핸들 리프팅 방향(255)에 대해 약 45도의 각도로 기울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본체-측 제한 표면(216A', 216B')의 절대 표면적은 상기 본체-측 제한 표면(216A', 216B')이 상기 핸들 리프팅 방향(255)에 수직일 수 있는 경우에 비해 증가되어, 상기 배터리 잠금 기구(220)의 정지력을 증가시키고 마모를 감소시킨다. 그러나, 상기 예시된 45도의 제한 표면 각도의 변화가 고려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상기 배터리 본체(210)는 상기 핸들 리프팅 방향(255)에 수직으로 배향된 하나 이상의 본체-측 제한 표면(216A'', 216B'')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배터리 잠금 조립체(220)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핸들-측 제한 표면들(236A', 236B') 중 대응하는 하나와 결합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직 배향은 상기 배터리 잠금 기구(220)의 이동 제한 용량을 최적화하는 데 도움을 준다.
상기 배터리 본체(210)는 하나 이상의 핸들을 향하는 스프링 수용 공동(212A, 212B)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핸들 스프링(238A, 238B)은 각각의 핸들을 향하는 스프링 수용 공동(212A, 212B)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핸들(230)의 대응하는 스프링 결합 핑거들(239A, 239B)은 상기 핸들을 향하는 스프링 수용 공동(212A, 212B)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상기 핸들을 향하는 스프링 수용 공동(212A, 212B) 내로 연장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배터리 핸들(230)의 핸들을 향하는 스프링 수용 공동(212A, 212B) 및 스프링 결합 핑거(239A, 239B)는, 상기 배터리 잠금 조립체(220)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의 하강 또는 잠금 위치와 상기 배터리 잠금 조립체(220)가 잠금 해제 위치에 있을 때의 상승 또는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서 상기 배터리 핸들(230)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140)을 따라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230) 방향의 유지를 돕도록 협력한다.
상기 배터리 본체(210)는 핀을 향하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 수용 공동(213A, 213B)을 포함할 수 있다. 잠금 핀 스프링(248A, 248B)은 각각의 스프링 수용 공동(213A, 213B)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들(240A, 240B)의 대응하는 스프링 결합 핑거들(249A, 249B)은 상기 핀을 향하는 스프링 수용 공동들(213A, 213B)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상기 핀을 향하는 스프링 수용 공동들(213A, 213B) 내로 연장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각각의 스프링-장착 잠금 핀(240A, 240B)의 상기 핀을 향하는 스프링 수용 공동(213A, 213B)과 상기 스프링 결합 핑거(249A, 249B)는,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230)이 상기 잠금 위치와 상기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140)에 수직인 스프링-장착 잠금 핀(240A, 240B)의 방향의 유지를 돕도록 협력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잠금 기구(220)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배터리 핸들(230)의 그립 부분(231)은 상기 배터리 본체(210)의 상부 표면(218)과 같은 높이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잠금 기구가 각각 중간 위치 또는 잠금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그립 부분(231)은 상기 배터리 본체(210)의 상부 표면(218) 위로 연장된다. 이와 같은 방식에 있어서, 상기 그립 부분(231)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도록 상기 배터리 본체(210)의 외부로부터 접근 가능하여,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230)을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를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으로부터 제거한다.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230)은 허용 오차 정도가 예를 들어 약 0.2 mm 내지 약 0.5 mm 이내인 경우 상기 배터리 본체(210)의 상부 표면(218)과 "같은 높이"가 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230) 및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240A, 240B)은 상기 핸들 캠 표면(232A, 232B)이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140)에 따른 상기 배터리 본체(210)에 대한 상기 배터리 핸들(230)의 이동으로 상기 핀 캠 표면(250A, 250B)과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230) 및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240A, 240B)이 상기 핸들 캠 표면(232A, 232B) 및 상기 핀 캠 표면(250A, 250B)에 결합되어, 상기 핸들 통로(217A, 217B)를 통한 상기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 해제 위치로의 상기 핸들 리프팅 방향(255)으로의 상기 배터리 핸들(230)의 이동은, 상기 래치 결합 및 결합 해제 축(152A, 152B)을 따라, 상기 배터리 잠금 조립체(220)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의 확장된 위치로부터 상기 배터리 잠금 조립체(220)가 잠금 해제 위치에 있을 때의 수축된 위치로, 상기 잠금 핀 통로(234A, 234B)를 통한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240A, 240B)의 잠금 핀 연장부(242A, 242B)의 이동을 유발시킨다. 본원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본체(210)는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230) 및 상기 핸들 캠 표면(232A, 232B)을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140)을 따라 선형 이동시키도록 제한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 본체(210)는 상기 스프링-장착형 잠금 핀(240A, 240B) 및 이에 따른 핀 캠 표면(250A, 250B)을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140)에 수직인 래치 결합 및 결합 해제 축(152A, 152B)을 따라 선형 이동시키도록 제한한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본체(210)의 전방 케이스(210A) 또는 후방 케이스(210B)는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230) 및 상기 핸들 캠 표면들(232A, 232B)을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140)을 따라 선형 이동시키도록 배타적으로 제한한다.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230)은 상기 핸들 스프링들(238A, 238B)에 의해 잠금 위치에서 스프링-편의되고, 상기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 해제 위치로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140)을 따라 핸들 리프팅 방향(255)으로 상기 배터리 본체(210)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들(240A, 240B)은 또한 상기 확장된 위치에서 상기 잠금 핀 스프링들(248A, 248B)에 의해 스프링-편의되고, 상기 핸들 캠 표면(232A, 232B)이 상기 핀 캠 표면(250A, 250B)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 리프팅 방향(255)으로 상기 배터리 본체(210)에 대한 상기 배터리 핸들(230)의 이동에 응답하여 상기 래치 결합 및 결합 해제 축(152A, 152B)을 따라 상기 확장된 위치로부터 상기 수축된 위치로 상기 배터리 본체(210)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는 상기 잠금 위치를 향해 상기 배터리 핸들(230)을 편의시키기 위해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230)과 직접 접촉하는 핸들 스프링(238A, 238B), 상기 확장된 위치를 향해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240A, 240B)을 편의시키기 위해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240A, 240B)과 직접 접촉하는 잠금 핀 스프링(248A, 248B) 중 하나, 또는 상기 핸들 스프링(238A, 238B) 및 상기 잠금 핀 스프링(248A, 248B) 모두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와 같은 상기 핸들 리프팅 방향(255)으로의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230)의 이동은, 상기 각각의 평면 핸들 캠 표면들(232A, 232B) 및 상기 평면 핀 캠 표면들(250A, 250B)이 활주 가능하게 결합되며 배터리 본체(210)에 의해 각각의 이동 축을 따라 선형 이동시키도록 제한되는 상대적으로 낮은 마찰 표면들이므로, 상기 래치 결합 및 결합 해제 축(140)을 따라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240A, 240B)을 강제 이동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한 쌍의 잠금 핀들(240A, 240B)은, 상기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230)이 상기 잠금 위치와 상기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상기 래치 결합 및 결합 해제 축(152A, 152B)을 따라 반대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할 것이다.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240A, 240B)은 도 12에 도시된 상기 배터리 본체(210)의 길이 방향 치수(L)를 따르는 지점에 위치되며, 이는, 상기 잠금 위치의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230)과 함께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 내로 삽입됨에 따라, 도 25에 도시된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의 선단 면(201)상의 전기 소켓(300)이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의 전기 커넥터(400)와 결합됨과 동시에 잠금 핀이 상기 배터리 래치(150A, 150B)와 결합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의 선단 면(201)은,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240A, 240B)이 상기 배터리 래치(150A, 150B)와 결합되고 또한 상기 전기 소켓(300)이 상기 전기 커넥터(400)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의 바닥 표면(134)상에 안착된다. 상기 배터리 조립체 및 배터리 수납 공간(130)이 그와 같이 설계되면, 상기 차량상의 전기 연결부가 상기 전기 소켓(300)에 적절하게 안착될 때까지 잠금이 활성화되지 않는다.
이제,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는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202A, 202B) 각각에 한 쌍의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205A, 205A', 205B, 205B')을 추가로 포함한다. 각각의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205A, 205A', 205B, 205B')는 상기 배터리 본체(210)에 고정된 스태빌라이저 섕크(206A), 및 가이드 채널의 유효 폭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204A, 204B)의 가이드 채널들 중 하나 내로 또는 그 위로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스태빌라이저 캡(208A, 208B)을 포함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205A, 205A', 205B, 205B')의 각각의 쌍은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202A, 202B) 각각의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204A, 204B)를 따라 제한된 폭의 가이드 핀 갭(G)을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 핀들(132A, 132B)의 각각의 대향 쌍의 가이드 핀(132A'', 132B'')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측면 배터리 면들(202A, 202B)상의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204A, 204B)를 따라 가이드 핀 파킹 위치(P)에 위치한다. 상기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205A, 205A', 205B, 205B')의 각각의 쌍에 의해 형성된 제한된 폭의 가이드 핀 갭(G)은 상기 각각의 측면 배터리 면들(202A, 202B)상의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204A, 204B)를 따라 가이드 핀 파킹 위치(P)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상기 가이드 핀들(132A'', 132B'')은 상기 제한된 폭의 가이드 핀 갭(G)의 폭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상기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205A, 205A', 205B, 205B')은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140)에 수직인 측면 항복 방향(Y)으로 굴곡되고, 가이드 핀(132A'', 132B'')이 상기 제한된 폭의 가이드 핀 갭(G)으로 진입할 때 측면 탄성 정도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14는 상기 배터리 본체(210)의 일 측면, 예를 들어 상기 측면 배터리 면(202A)상의 각각의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205A, 205A')에 대한 측면 항복 방향(Y)을 예시한다.
상술된 탄성 항복 작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각각의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205A, 205A', 205B, 205B')는 구조적 유연성 및 강성 정도를 한정해야 한다. 도 11 내지 도 14에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된 항복 작용은 주로 생크(206A, 206B)가 캡(208A, 208B)과 만나는 장소에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각의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205A, 205A', 205B, 205B')는 상기 캡(208A, 208B)의 측면 치수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얇은 섕크(206A, 206B)를 갖는 단일의 일체형 폴리우레탄 구조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마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다른 경우 원형 풋프린트를 한정할 수 있는, 상기 가이드 핀 캡(208A, 208B)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된 부분(209A, 209B)을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는, 본원에서 논의된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205A, 205A', 205B, 205B)과 대조적으로,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202A, 202B) 각각에 한 쌍의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505A, 505A')을 추가로 포함한다. 비록 한 쌍의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505A, 505A')만이 상기 측면 배터리 면(202A)상에 도시되어 있지만, 한 쌍의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이 다른 측면 배터리 면(202B)상에도 제공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각각의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505A, 505A')는 패스너(506A)로 상기 배터리 본체(21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채널의 유효 폭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204A, 204B)의 가이드 채널들 중 하나 내로 또는 그 위로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505A, 505A')의 각 쌍은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202A, 202B) 각각의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204A, 204B)를 따라 제한된 폭의 가이드 핀 갭(G)을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 핀들(132A, 132B)의 각각의 대향 쌍의 가이드 핀(132A'', 132B'')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202A, 202B) 각각의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204A, 204B)를 따라 가이드 핀 파킹 위치(P)에 위치한다. 상기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505A, 505A')의 각각의 쌍에 의해 형성된 제한된 폭의 가이드 핀 갭(G)은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202A, 202B) 각가가의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204A, 204B)를 따라 상기 가이드 핀 파킹 위치(P)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마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다른 경우 원형 풋프린트를 한정하게 될 상기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505A, 505A')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단된 부분(509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505A, 505A') 또는 상기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505A, 505A')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140)에 수직인 측면 항복 방향(Y)으로 굴곡되고, 가이딩 핀(132A'', 132B'')이 상기 제한된 폭의 가이드 핀 갭(G)으로 진입할 때 측면 탄성의 정도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18은 상기 배터리 본체(210)의 일 측면, 예를 들어 상기 측면 배터리 면(202A)상의 각각의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505A, 505A')에 대한 측면 항복 방향(Y)을 예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항복"은, 상기 가이드 핀(132A'', 132B'')이 상기 제한된 폭의 가이드 핀 갭(G)으로 진입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505A, 505A')의 절단된 부분(509A)이 상기 측면 항복 방향(Y)으로 부분적으로 변형됨으로써 압축되도록 상기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505A, 505A')의 부분 압축을 나타내기 위해 본원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술된 탄성 항복 작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각각의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505A, 505A')는 가장 유리하게는 상기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505A, 505A')의 절단된 부분(509A)에서 어느 정도의 구조적 유연성 및 강성을 한정해야 한다. 이를 위해, 각각의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505A, 505A')는 단일 폴리우레탄 구조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505A, 505A')은 50 쇼어 A와 90 쇼어 A 사이의 쇼어 A 경도를 갖는 임의의 적절한 변형 가능한 탄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505A, 505A')은,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 핀(132A'', 132B'')과의 접촉에 의한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140)에 수직인 측면 항복 방향(Y)으로의 힘과 같은, 압력 또는 힘이 상기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505A, 505A')의 일 측면에 가해질 때 변형된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505A, 505A')은 50 쇼어 A와 70 쇼어 A 사이의 쇼어 A 경도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505A, 505A')은 60 쇼어 A와 80 쇼어 A 사이의 쇼어 A 경도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505A, 505A')은 70 쇼어 A와 90 쇼어 A 사이의 쇼어 A 경도를 가질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 배터리 면(202A)의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204A)는 상기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505A, 505A')을 수용하는 융기된 트랙들(503A)을 포함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유사하게도 상기 측면 배터리 면(202B)은 상기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의 다른 쌍을 수용하는 융기된 트랙들을 포함한다는 사실을 이해해야 한다. 상기 융기된 트랙들(503A)은 상기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505A, 505A')로부터 연장되는 정렬 특징부(508A')를 수용하기 위한 슬롯(503A')을 한정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505A, 505A')의 정렬 특징부(508A')는 상기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505A, 505A')을 적절한 방향으로 용이하게 설치하고, 또한 상기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505A, 505A')이 상기 측면 배터리 면(202A)에 대해 회전하지 않도록 돕기 위해 대응하는 슬롯(503A') 내에 수용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505A')의 단면도는 상기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505A')을 통해 연장되고 상기 배터리 면(202A)에 형성된 채널(502A') 내에 수용되는 패스너(506A)를 예시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상기 패스너(506A)는 상기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505A')를 통해 연장되고 상기 채널(502A')에 형성된 내부 스레드(internal thread)와 나사식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외부 스레드를 포함하는 강성 부재일 수 있다. 상기 패스너(506A)는 상기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505A')의 경도보다 더 큰 경도를 갖는 재료로 형성된다. 사용시에, 상기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505A, 505A')은 상기 융기된 트랙들(503A) 및 상기 슬롯(503A') 내에 수용되도록 위치될 수 있고, 이어서 상기 패스너(506A)는 상기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505A, 505A')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배터리 면(202A)과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505A, 505A')의 정렬 특징부(508A')는 상기 패스너(506A)가 상기 배터리 면(202A)과 결합하도록 회전할 때 상기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505A, 505A')의 회전을 방지한다.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505A, 505A')은 상기 패스너(506A)와 같은 기계적 패스너 이외의 접착제 또는 다른 적절한 체결 부재를 사용하여 상기 배터리 면(202A)에 고정될 수 있다.
이제, 도 19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의 반대측 측면들상에 각각 배열된 대향 가이드 블록들(160A, 160B)을 포함한다. 각각의 대향 가이드 블록(160A, 160B)은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들(204A, 204B) 중 하나의 채널 숄더(2043A, 2043B)를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에 안착된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 및 상기 한 쌍의 배터리 래치들(150A, 150B) 내부에 수용된 한 쌍의 스프링-장착 잠금 핀들(237A, 237B)의 선단 부분(245A, 245B)과 결합시키도록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140)을 따라 위치된다.
각각의 대향 가이드 블록(160A, 160B)은 고정 부분(162A, 162B) 및 교체 가능 부분(164A, 164B)을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가이드 블록(160A, 160B)의 고정 부분(162A, 162B)은 상기 자재 취급 차량(100)에 고정된다. 상기 각각의 가이드 블록(160A, 160B)의 교체 가능 부분(164A, 164B)은 상기 고정 부분(162A, 162B) 내에 안착되고, 상기 고정 부분(162A, 162B)의 파괴 없이 상기 고정 부분(162A, 162B)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가이드 블록(160A, 160B)의 고정 부분(162A, 162B)은, 본원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가이드 블록(160A, 160B)의 교체 가능 부분(164A, 164B)이 마찰-유도 표면들(166A, 166B) 및 가이드 표면들(1688B, 1688B)을 한정하도록 연장하는 브래킷으로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각각의 가이드 블록(160A, 160B)의 교체 가능 부분(164A, 164B)은 상기 자재 취급 차량(100)의 수명 동안 여러 번 제거 및 교체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교체 가능 부분(164A, 164B)은 기계 가공된 폴리우레탄 블록으로 제조되고, 상기 고정 부분(162A, 162B)에 고정되거나 또는 상기 고정 부분(162A, 162B)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압입 끼워맞춤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분(162A, 162B)은 스탬핑된 강철 또는 다른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의 내부 하우징(135)에 용접하거나 또는 패스너를 사용하여 내부 하우징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자재 취급 차량(100)이나 또는 상기 자재 취급 차량의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가이드 블록(160A, 160B)의 교체 가능 부분(164A, 164B)은 상기 고정 부분(162A, 162B)에 비해 더 낮은 표면 경도 및 더 높은 표면 마찰을 포함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가이드 블록(160A, 160B)의 교체 가능 부분(164A, 164B)은 마찰-유도 표면(166A, 166B) 및 가이드 표면(168A, 168B)을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가이드 블록(160A, 160B)의 각각의 교체 가능 부분(164A, 164B)의 마찰-유도 표면(166A, 166B) 및 가이드 표면(168A, 168B)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가이드 블록(160A, 160B)의 고정 부분들(162A, 162B)로부터의 간섭 없이,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 또는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2204)의 대향 표면(207A, 207B)을 향한다. 상기 각각의 가이드 블록(160A, 160B)의 교체 가능 부분(164A, 164B)은 모따기된 선단 부분(165A, 165B)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마찰-유도 표면(166A, 166B)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202A, 202B) 중 대향하는 하나와 평행하고 그를 향하는,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140)을 따라 연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각각의 가이드 블록(160A, 160B)의 각각의 교체 가능 부분(164A, 164B)의 마찰-유도 표면(166A, 166B)은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140)을 따라 Z 방향으로 불연속적으로 연장되고,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에 안착된 상태에서, 수직 방향(X)으로 상기 대향 측면 배터리 면(202A, 202B)을 향한다. 상기 각각의 가이드 블록(160A, 160B)의 각각의 교체 가능 부분(164A, 164B)의 마찰-유도 표면들(166A, 166B)은 상기 고정 부분들(162A, 162B) 및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202A, 202B)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각각의 가이드 블록(160A, 160B)의 교체 가능 부분(164A, 164B)의 나머지 부분들에 대해 상승된다. 상기 각각의 가이드 블록(160A, 160B)의 각각의 교체 가능 부분(164A, 164B)의 마찰-유도 표면들(166A, 166B)은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140)을 가로질러 배향된 일련의 마찰-유도 융기부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가이드 표면(168A, 168B)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140)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202A, 202B)에 수직이고,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체(204A, 204B)의 대향 표면(207A, 207B)을 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각각의 가이드 블록(160A, 160B)의 각각의 교체 가능 부분(164A, 164B)의 가이드 표면(168A, 168B)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방향(Z)으로 연속적으로 연장하고, 수직 방향(Y)으로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204A, 204B)의 대향 표면(207A, 207B)을 향한다.
상기 가이드 블록(160A, 160B)의 마찰-유도 표면들(166A, 166B)에서 상술된 불연속성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 내로 의 과도하게 신속 삽입되는 것에 대해 보다 용이하게 저항하게 될 표면들을 생성한다. 반대로, 상기 가이드 블록들(160A, 160B)의 가이드 표면들에서 상술된 연속성은 과도한 저항 없이 삽입/제거될 때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의 이동을 보다 용이하게 안내하게 될 표면들을 생성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측면 배터리 면(202A)의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204A)는 채널 숄더(2043A)에서 양면 채널 부분(2042A)으로 전환하는 일면 채널 부분(2041A)을 포함하는 계단형 가이드 채널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따기된 선단 부분(165A)은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204A)에서 상기 채널 숄더(2043A)를 향한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계단형 가이드 채널은 측면 배터리 면들(202A, 202B)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각각의 가이드 블록(160A, 160B)의 교체 가능 부분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각각의 가이드 블록(160A, 160B)의 교체 부분들(164A, 164B)은 상기 배터리 조립체(200)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 내로 삽입 및 그로부터 제거될 때 상기 배터리 조립체(200)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 사이에서 발생하는 슬라이딩 접촉을 기능적으로 최적화하는 반면,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의 수명을 연장하고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의 구성 요소들의 마모를 최소화한다. 특히 삽입되는 동안, 상기 가이드 블록들(160A, 160B)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 내로 과도하게 신속 삽입되는 것을 제한한다.
도 22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은 대향 유지 블록들(260A, 260B)을 포함한다. 각각의 유지 블록(260A, 260B)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의 반대편 측면들상에 배열된다. 각각의 유지 블록(260A, 260B)은 금속 백킹 플레이트(261A, 261B) 및 플라스틱 유지 레버 플레이트(263A, 263B)를 포함할 수 있다. 비록, 도 22에 도시된 각각의 유지 블록(260A, 260B)이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고 강도 및 강성 금속으로 제조된 백킹 플레이트(261A, 261B)와 기능성 유지 레버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기에 충분히 유연한 재료로 제조된 별도의 레버 플레이트(263A, 263B)를 포함하는 2피스 조립체로서 제안되었지만, 적절한 플라스틱 및 충분한 강도를 갖는 상대적으로 가요성인 다른 재료가 모놀리식 유지 블록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
각각의 유지 블록(260A, 260B)은 고정 단부(264A, 264B) 및 원위 단부(266A, 266B)를 포함하는 유지 레버(262A, 262B)를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유지 레버(262A, 262B)의 원위 단부(266A, 266B)는 말단 로브(267A, 267B)를 포함한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202A, 202B)의 각각의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204A, 204B)는,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유지 블록(2660B)의 가이드 표면(268A, 268B)을 향하는 대향 표면(207A, 207B)을 포함하는 일면 채널 부분(2041A, 2041B)을 포함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면 채널 부분(2041A, 2041B)은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204A, 204B)의 채널 숄더(2043A, 2043B)에서 종결된다. 각각의 가이드 블록(160A, 160B)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204A, 204B)의 채널 숄더(2043A, 2043B)를 향하는 모따기된 선단 부분(165A, 165B)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측면 배터리 면(202A, 202B)의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204A, 204B)는,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유지 레버들(262A, 262B) 중 하나의 원위 단부(266A, 266B)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레버 수용 멈춤쇠(270A)를 포함한다. 각각의 유지 레버(262A, 262B)는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204A, 204B)의 레버 수용 멈춤쇠(270A)에 수용될 때 굴곡 상태에 놓이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유지 레버(262A, 262B)는,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 내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레버 수용 멈춤쇠들(270A) 각각이 상기 유지 레버들(262A, 262B) 중 하나의 원위 단부(266A, 266B)를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의 선단 면(201)상의 전기 소켓(300)이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의 전기 커넥터(400)와 결합되도록 위치된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레버 수용 멈춤쇠(270A) 및 상기 말단 로브(267A, 267B)는 정합되는 둥근 프로파일들을 한정한다.
각각의 유지 블록(260A, 260B)은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204A, 204B)의 대향 표면(207A, 207B)을 향하는 평면 가이드 표면(268A, 268B)을 포함한다. 상기 유지 블록(260A, 260B)의 평면 가이드 표면(268A, 268B)은 유지 레버 리세스(265A, 265B)를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유지 레버(262A, 262B)의 고정 단부(264A, 264B)는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204A, 204B)의 대향 표면(207A, 207B)과의 접촉을 피하기 위해 상기 유지 레버 리세스(265A, 265B)에 위치된다. 따라서, 각각의 유지 레버(262A, 262B)는 상기 유지 레버 리세스(265A, 265B)를 향해 점진적으로 이동할 때 증가된 굴곡을 위해 구성된다.
비록 도 22에 도시된 유지 레버 리세스가 상부 및 하부 아치형 표면들에 의해 한정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유지 레버들(262A, 262B) 및 연관된 유지 레버 리세스들(265A, 265B)은, 예를 들어, 상기 유지 레버들(262A, 262B) 및 유지 레버 리세스들(265A, 265B)을 형성하기 위한 평평한 표면들의 사용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5 내지 도 29를 참조하면,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은 협력하여,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 내로 삽입 및 그로부터 제거되는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140)을 한정한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는 배터리 본체(210), 선단 면(201),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의 선단 면(201)상의 전기 소켓(300), 및 배터리 잠금 기구(220)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의 전기 소켓(300)을 보완하는 전기 커넥터(400), 및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 내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의 선단 면(201)상의 전기 소켓(300)이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의 전기 커넥터(400)와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배터리 잠금 기구(220)와 결합하는 배터리 래치(150A, 150B)를 포함한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의 선단 면(201)은, 상기 배터리 잠금 기구(22)가 상기 배터리 래치(150A, 150B)와 결합되고 상기 전기 소켓(300)이 상기 전기 커넥터(400)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의 바닥 표면(134)상에 위치된다. 상기 전기 소켓(300)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의 선단 면(201)상에 리세스될 수 있다.
상기 전기 소켓(300), 상기 전기 커넥터(400), 상기 배터리 본체(210), 및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의 선단 면(201)이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의 바닥 표면(134)상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전기 소켓(300)과 상기 전기 커넥터(400)의 대향 표면들(416, 418) 사이에서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140)을 따라 연장하는 스탠드오프 갭(414)을 한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탠드오프 갭(414)을 유지함으로써, 그리고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의 선단 면(201)이 상기 배터리 조립체(200)의 중량하에서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의 바닥 표면(134)상에 놓이도록 함으로써, 상기 배터리 조립체(200)의 반복적인 삽입 및 제거 후에조차, 상기 전기 소켓(300)과 상기 전기 커넥터(400) 사이의 안정적인 전기 연결이 유지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의 상대적으로 견고하고 물리적으로 실질적인 선단 면(201) 및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의 바닥 표면(134)이, 덜 실질적인 전기 소켓(300) 및 전기 커넥터(400)의 구성 요소들 대신에, 배터리의 중량하에서 정합 커넥터 구성 요소들의 추가 결합에 저항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상기 전기 소켓(300)과 전기 커넥터(400)에 걸친 상술된 신뢰할 수 있는 전기 연결은 중요한 데이터가 연결을 통해 전후로 전송되는 자재 취급 차량의 맥락에서 특히 중요한다. 이와 같은 데이터는, 상기 배터리 조립체(200)가 배터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실시예들에 대해, 예를 들어 "스마트" 배터리 제어기와 하나 이상의 차량 제어기 사이에서 전송되는 일반 CAN 버스 데이터, 차량 또는 배터리 오류를 나타내는 데이터, 명령 데이터 및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각각의 유형의 데이터 전송은 적절한 차량 작동을 위해 상기 전기 소켓(300)과 전기 커넥터(400)에 걸쳐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전기 연결을 필요로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술된 삽입 및 제거 작업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의 전기 커넥터(400)는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의 바닥 표면(13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감소된 크기의 풋프린트로 테이퍼지는 외벽(412)을 포함하는 커넥터 하우징(410)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도,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의 선단 면(201)상의 전기 소켓(300)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선단 면(31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증가된 크기의 풋프린트로 테이퍼지는 내벽(312)을 포함하는 소켓 하우징(310)을 포함한다. 상기 내벽(312)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410)의 외벽(412)의 테이퍼를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의 바닥 표면(134)상에 위치되는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의 선단 면(201), 및 상기 전기 소켓(300)과 상기 전기 커넥터(400)의 대향 표면들(416, 418) 사이의 스탠드오프 갭(414)과 보완 및 접촉시키도록 테이퍼진다.
상기 전기 소켓(300)과 상기 전기 커넥터(400)의 대향 표면들(416, 418)은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140)에 수직이고 상기 스탠드오프 갭(414)에 의해 이격되는 수평으로 배향된 대향 표면들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탠드오프 갭(414)이나, 또는 상기 스탠드오프 갭(414)보다 큰 갭은 상기 전기 소켓(300)과 상기 전기 커넥터(400)의 실질적으로 모든 수평으로 배향된 대향 표면들 사이에 유지된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오프 갭(414)이 적어도 약 0.2 mm로 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보다 특정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오프 갭(414)은 약 0.2 mm와 약 1.7 mm 사이이다.
상기 배터리-측 전기 소켓(300)은 소켓 하우징(310)과 함께 상기 배터리 조립체(200)의 선단 면(201)에서 리세스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배터리 조립체(200)는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상기 전기 소켓(300)에 손상을 주거나 상기 전기 소켓(300)으로부터 간섭을 받지 않고 선단 면(201)을 아래로 창고 바닥 또는 다른 표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량-측 전기 커넥터(400)는 커넥터 하우징(410)과 함께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의 바닥 표면(134)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배터리-측 전기 소켓(300)을 보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측 전기 소켓(300)은 상기 소켓 하우징(310)에 의해 둘러싸이고 상기 배터리 조립체의 선단 면(201)에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림 부분(315)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도, 상기 차량-측 전기 커넥터(400)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410)에 의해 둘러싸이고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의 바닥 표면(134)에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숄더 부분(4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측 전기 소켓의 림 부분(315)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측 전기 커넥터(400)의 숄더 부분(415)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스탠드오프 갭(414)에 의해 상기 숄더 부분(415)으로부터 이격된다.
상기 전기 소켓(300)은 한 세트의 전기 전도성 핀 리셉터클들(3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기 커넥터(400)는 한 세트의 상보적인 전기 전도성 커넥터 핀들(420)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그 반대로 될 수 있다. 상기 스탠드오프 갭(414)의 최외측 부분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의 선단 면(201)이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의 바닥 표면(134)상에 놓인 상태 및 상기 전기 전도성 핀 리셉터클들(320)의 세트가 상기 상보적인 전기 전도성 커넥터 핀들(420)의 세트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전기 전도성 핀 리셉터클들(320)의 세트 및 상기 상보적인 전기 전도성 커넥터 핀들(420)의 세트를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기 소켓(300)의 소켓 하우징(310)과 상기 전기 커넥터의 커넥터 하우징(410)은 상기 전기 전도성 핀 리셉터클들(320)의 세트와 상기 상보적인 전기 전도성 커넥터 핀들(420)의 세트를 둘러싸기 위해 협력하여,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의 선단 면(201)이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의 바닥 표면(134)상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스탠드오프 갭(414)의 최외측 부분 및 상기 핀 리셉터클들과 커넥터 핀들의 결합된 세트들 사이에 보호 장벽을 형성한다.
도 30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의 온-보드 배터리 디스플레이(on board battery display; 280)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본원에서 더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통신 오류, 입력/출력 오류 및/또는 배터리 오류와 같은 배터리 오류들이 검출될 수 있으며, 관련된 오류 메시지는 상기 배터리 디스플레이(280)상에 디스플레이되어 작업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또한, 지능형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상기 자재 취급 차량(100)에 결합되거나 또는 그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배터리 디스플레이(280)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배터리 디스플레이(280)는 하나 이상의 작동 상태 디스플레이 스크린(282), 하나 이상의 충전 상태 디스플레이 스크린(284), 하나 이상의 독립형 배터리 스크린(286), 및/또는 각각의 상태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오류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작동 상태는 로고와 같은 차량 시동 디스플레이, 배터리 충전 및 차량 주행 수명을 포함하는 차량 대기 디스플레이, 또는 배터리 충전이 필요함을 나타내기 위해 에너지 아이콘이 점멸될 수 있도록, 배터리 충전량이 예를 들면 10%의 임계값 미만일 때 점멸되는 디스플레이를 예시할 수 있다. 충전 상태는 충전 시작 시의 로고 아이콘과 배터리 충전시 점멸될 수 있는 충전 아이콘을 예시할 수 있다. 오류 상태는 감지된 차량 및 배터리 오류 이벤트 코드를 예시할 수 있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상기 배터리 디스플레이(280)는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가 상기 차량(100)에 연결될 때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에 대한 배터리 정보 및 차량 정보의 공동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공동 디스플레이는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가 특정 차량에 연결될 때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상의 단일 위치에서 공동 배터리 및 차량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복수의 차량들에 걸쳐 재사용될 수 있는 배터리를 사용할 때 유리하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를 포함하는 배터리 구동식 자재 취급 차량(100)의 배터리 커플링(350)을 위한 상보적 소켓/커넥터 핀 할당을 예시하는 회로 개략도이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전기 전도성 핀 리셉터클들(320)의 세트 및 상보적인 전기 전도성 커넥터 핀들(420)의 세트는 예를 들어 다음을 포함하는 8개의 핀 구성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양극 및 음극 배터리 단자 B+/B-,
CAN 버스 하이 신호용 CANH 신호 핀,
CAN 버스 로우 신호용 CANL 신호 핀,
배터리 방전 시작 신호용 SIG1 신호 핀,
배터리 충전 시작 신호용 SIG2 신호 핀,
방전 선택 신호용 SIG3 신호 핀, 및
보조 신호용 SIG4 신호 핀.
이와 같은 방식으로, 방전 선택 신호는 예를 들어 차량상의 키 스위치, 키패드 또는 RFID 판독기를 액세스함으로써 SIG3 신호 핀을 통해 시작될 수 있다.
도 31의 개략도를 추가로 참조하면, 예를 들어 상기 CAN 버스와 상기 배터리 조립체(200) 사이에서 통신되는 하나 이상의 차량 또는 배터리 오류의 검출시 전력 제공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는, 비상 정지 스위치가 존재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상기 배터리 조립체(200)는 AC 충전기에 연결될 때 충전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또한 오류가 검출될 경우 오류가 정정될 때까지 배터리가 충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임의의 오류를 검출하기 위해 충전기 CAN 통신을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추가로 고려해야 한다. 만약 오류가 전혀 검출되지 않을 경우, 배터리는 충전할 준비가 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는 CAN 버스 연결을 통해 충전기로 충전 요청 전류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충전기는 상기 충전 요청 전류를 수신하고 요청된 충전 전류를 배터리로 전달한다. 배터리 충전 상태(SOC)가 100%에 도달하면, 상기 배터리는 충전 요청 전류를 0으로 설정하여, 상기 CAN 버스를 통해 충전기로 보내 배터리 충전을 정지시킬 수 있다.
도 31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온-보드 충전기가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조립체(200)를 충전하도록 구성된 온-보드 충전기 방전 방식을 갖는, 키 스위치 특징부가 도시되어 있다. 외부 충전기 방전 방식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온-보드 충전기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SIG2 신호 핀이 분리될 수 있고, 상기 배터리 조립체(200)가 외부 충전기에 의해 충전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키패드 및/또는 RFID 구성 요소 특징부가 상기 키 스위치 특징부보다는 선택을 위한 회로도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다. 온-보드 충전기 방전 방식을 나타내는 도 31의 실시예와 유사하게도, 상기 키패드 및/또는 RFID 구성 요소 특징부는 상기 SIG1 신호 핀과 상기 자재 취급 차량의 음극 배터리 단자 사이에서 상기 키 스위치 특징부를 대체할 수 있다. 상기 키패드 및/또는 RFID 구성 요소 특징부를 구비하고 외부 충전기 방전 방식을 위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온-보드 충전기는 존재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SIG2 신호 핀은 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 조립체(200)는 외부 충전기에 의해 충전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는 온-보드 배터리 디스플레이(280) 및 배터리 제어기(290)를 포함하며, 이들 둘 모두는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200)와 함께 존재하고, 상기 배터리 조립체(200)의 배터리-측 전기 소켓(300)과 상기 차량-측 전기 커넥터(400)를 포함하는 상기 배터리 커플링(350)을 통해 상기 차량-측 전자 장치와 통신한다. 상기 배터리 조립체(200)의 배터리 제어기(290)는 상술된 다중 핀 구성을 포함하는 상기 배터리 커플링을 통해 차량 제어기(170)와 정보를 교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터리 제어기(290)는 지능형 배터리 특징부로서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을 포함하는 인쇄/보호 회로 기판(PC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MS는 상기 배터리가 상기 차량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상기 배터리뿐만 아니라 상기 차량에도 배터리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배터리를 안전하게 관리하고 배터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상기 차량 제어기(170)는 상기 배터리(200)가 상기 배터리 커플링(350)을 통해 상기 차량(100)에 결합될 때 상기 PCB에 통신적으로 결합되는 상기 배터리 디스플레이(280)에 차량 정보(속도, 차량 수명 등의 차량 운행 시간, 차량 오류 등)를 제공할 수 있다. 그와 같은 오류들은, 통신 오류, 입력/출력 오류 및/또는 배터리 오류와 같은, 상기 차량 제어기(170)를 통해 표시된 차량 안전 표준에 의해 표시된 오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오류들은, 차량 작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오류를 경고하는 경고 오류 및 상기 차량 제어기(170)가 오류에 기초하여 조치를 취하게 하는 경보 오류들과 같은, 차량 결함 코드와 연관될 수 있다. 상기 차량 제어기(170)는 차량 정보를 상기 CAN 버스를 통해 상기 BMS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BMS는 이와 같은 정보를 상기 BMS의 내부 회로를 통해 상기 배터리 디스플레이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하여 본원에서 논의된 것과 같은 배터리 오류들은, 예를 들어 배터리 오류가 차량 작동에 미치는 추가 영향을 피하기 위해 배터리 오류를 기반으로 차량 속도를 제한하는 것과 같은, 조치를 상기 차량 제어기(170)가 취하도록 상기 차량 제어기(17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차량 제어기(170)는 또한 상기 배터리 디스플레이(280)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이와 같은 오류들을 보고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제어기(170)는 상기 배터리(200)로부터 CAN 통신 오류를 추가로 검출하고, 상기 배터리 디스플레이(280)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관련 오류 메시지를 상기 배터리(200)로 전송할 수 있다.
배터리 디스플레이(280)상의 차량 및 배터리 정보의 디스플레이는 배터리 커플링(350)을 통해 발생하는 신뢰할 수 있는 전기 커플링에 의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하며, 이와 같은 커플링은 상기 배터리 디스플레이(280)로의 차량 정보의 신뢰할 수 있는 전송을 보장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측 전기 소켓(300)의 구성 요소들, 상기 배터리 본체(210)의 부분, 및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130)을 포함하는, 상기 배터리 조립체(200)의 구성 요소들은 상기 배터리 조립체(200)의 중량에 따라 점진적으로 더욱 결합되는 테이퍼진 결합 표면들을 포함하도록 설계된다.
특정 속성을 구현하거나 또는 특정 방식으로 기능하도록 특정 방식으로 "구성"되는 본 발명의 구성 요소에 대한 본원의 인용은 의도된 용도의 인용과는 대조적으로 구조적 인용임을 주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성 요소가 "구성"되는 방식에 대한 본원의 참조는 상기 구성 요소의 기존의 물리적 상태를 나타내며, 따라서 상기 구성 요소의 구조적 특성의 명확한 언급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고 정의하기 위한 목적으로, 용어 "약" 및 "대략"은 본원에서 임의의 정량적 비교, 값, 치수 또는 기타 표현에 기인할 수 있는 고유한 불확실성 정도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됨을 주목한다. 상기 "약" 및 "대략"이라는 용어는 또한 문제가 되는 주제의 기본 기능에 변화를 일으키지 않으면서 정량적 표현이 명시된 기준과 다를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내기 위해 본원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주제를 그의 특정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 각각에 특정 구성 요소가 도시된 경우조차,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세부 사항들은 그와 같은 세부 사항들이 본원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의 필수 구성 요소인 요소들과 관련됨을 암시하는 것으로 취해져서는 안 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첨부된 청구항들에 한정된 실시예들을 포함하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할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비록 본 발명의 일부 양태들이 본원에서 바람직하거나 특히 유리한 것으로 식별될지라도, 본 발명은 반드시 그와 같은 양태들에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고려된다.
다음의 청구항들 중 하나 이상은 "상기"라는 용어를 전환 구문으로서 사용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그와 같은 용어는 일련의 구조적 특성들에 대한 설명을 열거하기 위해 사용되고 또한 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개방형 서문 용어인 "포함하는"과 유사한 방식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개방형 전환 구문으로서 청구항들에 도입되었음에 주목해야 한다.

Claims (23)

  1. 자재 취급 기구, 구동 기구, 배터리 수납 공간 및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를 포함하는 자재 취급 차량으로서,
    상기 자재 취급 기구는 창고 환경에서 상품을 결합하고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로부터의 전력하에 상기 구동 기구와 협력하여 상기 창고 환경에서 재고 운송 표면을 따라 상품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은 협력하여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 내로 삽입 및 그로부터 제거되는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한정하고;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각각의 반대편 측면상에 배열되는 배터리 가이드 핀을 포함하고;
    상기 착탈식 배터리는 측면 배터리 면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본체를 포함하며, 각각의 배터리 면은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라 배향되고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 내로 삽입 및 그로부터 제거될 때 상기 배터리 가이드 핀들을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되는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를 포함하며;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 각각에 한 쌍의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stabilizer)들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의 각각의 쌍은 상기 배터리 가이드 핀들 중 대응하는 핀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 각각에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를 따라 제한된 폭의 가이드 핀 갭을 형성하는, 자재 취급 차량.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의 각각의 쌍은:
    변형 가능한, 탄성 재료;
    단일의, 일체형 폴리우레탄 구조체;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하는, 자재 취급 차량.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의 각각의 쌍은 배터리 가이드 핀이 상기 제한된 폭의 가이드 핀 갭으로 진입할 때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에 수직인 측면 방향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되는, 자재 취급 차량.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의 각각의 쌍은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 중 하나에 형성된 대응하는 슬롯 내에 수용되어,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에 대한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의 각각의 쌍의 회전을 방지하는 정렬 특징부를 포함하는, 자재 취급 차량.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의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는 가이드 채널들로서 구성되고;
    상기 배터리 가이드 핀들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채널들 내로 연장되며;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의 각각의 쌍은 상기 가이드 채널의 유효 폭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가이드 채널들 중 하나의 내부로 또는 그 위로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자재 취급 차량.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 각각의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를 따라 가이드 핀 파킹 위치에 위치하고;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의 각각의 쌍에 의해 형성된 상기 제한된 폭의 가이드 핀 갭은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 각각의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를 따라 상기 가이드 핀 파킹 위치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고;
    상기 배터리 가이드 핀들은 각각 상기 제한된 폭의 가이드 핀 갭의 폭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은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에 수직인 측면 항복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굴곡되고, 가이드 핀이 상기 제한된 폭의 가이드 핀 갭으로 진입할 때 측면 탄성의 정도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자재 취급 차량.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은 배터리 가이드 핀들의 대향 쌍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대향 쌍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반대편 측면들상에 배열되고, 각각의 대향 쌍은 래칭 핀 및 가이드 핀을 포함하고;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배터리 본체 및 배터리 잠금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잠금 기구는 확장된 위치들에서 스프링-편의되고 상기 확장된 위치들로부터 각각의 수축된 위치들로 래치 결합 및 결합 해제 축을 따라 상기 배터리 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한 스프링-장착 잠금 핀들을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가이드 핀들의 각각의 대향 쌍의 래칭 핀은 상기 확장된 위치에서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들 중 하나의 선단 부분을 수용하도록 위치되는 배터리 래치를 형성하는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안착되는, 자재 취급 차량.
  8. 자재 취급 기구, 구동 기구, 배터리 수납 공간 및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를 포함하는 자재 취급 차량에 있어서,
    상기 자재 취급 기구는 창고 환경에서 상품을 결합하고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로부터의 전력하에 상기 구동 기구와 협력하여 상기 창고 환경에서 재고 운송 표면을 따라 상품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은 협력하여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 내로 삽입 및 그로부터 제거되는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한정하고;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은 배터리 가이드 핀들의 대향 쌍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대향 쌍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반대편 측면들상에 배열되고, 각각의 대향 쌍은 래칭 핀 및 가이드 핀을 포함하고;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배터리 본체 및 배터리 잠금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본체는 측면 배터리 면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배터리 면은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라 배향되고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 내로 삽입 및 그로부터 제거될 때 상기 배터리 가이드 핀들의 대향 쌍들을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되는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잠금 기구는 연장된 위치들에서 스프링-편의되고 상기 확장된 위치들로부터 각각의 수축된 위치들로 래치 결합 및 결합 해제 축을 따라 상기 배터리 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한 스프링-장착 잠금 핀들을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가이드 핀들의 각각의 대향 쌍의 래칭 핀은 상기 확장된 위치에서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들 중 하나의 선단 부분을 수용하도록 위치되는 배터리 래치를 형성하는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안착되는, 자재 취급 차량.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가이드 핀들의 각각의 대향 쌍의 래칭 핀은 모따기된 결합면을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잠금 기구의 스프링-장착 잠금 핀들은 각각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 내로 삽입될 때 상기 래칭 핀들 중 하나의 모따기된 결합면을 향하도록 배향되는 상보적인 모따기된 결합면을 각각 포함하는, 자재 취급 차량.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가이드 핀들의 각각의 대향 쌍의 래칭 핀 및 가이드 핀은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에 평행한 공통 가이드 핀 축을 따라 위치되고;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의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는 가이드 채널들로서 구성되며;
    상기 배터리 가이드 핀들의 대향 쌍들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채널들 내로 연장되는, 자재 취급 차량.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각각의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상에 한 쌍의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의 각각의 쌍은 각각의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상의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를 따라 제한된 폭의 가이드 핀 갭을 형성하는, 자재 취급 차량.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가이드 핀들의 각각의 대향 쌍의 가이드 핀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각각의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상의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를 따라 가이드 핀 파킹 위치에 위치하고;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의 각각의 쌍에 의해 형성된 상기 제한된 폭의 가이드 핀 갭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각각의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상의 상기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를 따라 상기 가이드 핀 파킹 위치와 중첩되는, 자재 취급 차량.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은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에 수직인 측면 항복 방향으로 굴곡되고, 가이드 핀이 상기 제한된 폭의 가이드 핀 갭으로 진입할 때 측면 탄성 정도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자재 취급 차량.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의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는 가이드 채널들로서 구성되고;
    각각의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는 상기 배터리 본체에 고정된 스태빌라이저 섕크 및 상기 가이드 채널의 유효 폭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가이드 채널들 중 하나의 내부로 또는 그 위로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스태빌라이저 캡을 포함하는, 자재 취급 차량.
  15.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잠금 기구는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은 평면 핸들 캠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은 상기 핸들 캠 표면에 평행한 평면 핀 캠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 및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은 상기 핸들 캠이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라 상기 배터리 본체에 대한 상기 배터리 핸들의 이동과 함께 상기 핀 캠 표면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자재 취급 차량.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본체는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 및 상기 핸들 캠 표면을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라 선형 이동시키도록 제한하며;
    상기 배터리 본체는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 및 상기 핀 캠 표면을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에 수직인 래치 결합 및 결합 해제 축을 따라 선형 운동시키도록 제한하고;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은 잠금 위치에서 스프링-편의되고, 상기 배터리 본체에 대해 상기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 해제 위치로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라 핸들 리프팅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은 상기 확장된 위치에서 스프링-편의되며, 상기 배터리 본체에 대한 상기 배터리 핸들의 이동에 응답하여 상기 래치 결합 및 결합 해제 축을 따라 상기 확장된 위치로부터 수축된 위치로 상기 핸들 캠 표면이 상기 핀 캠 표면과 결합된 상태에서의 상기 핸들 리프팅 방향으로 상기 배터리 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한, 자재 취급 차량.
  17.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선단 면 및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선단 면상의 전기 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상기 전기 소켓을 보완하는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들은 상기 배터리 본체의 길이 방향 치수에 따른 지점들에 위치되어, 상기 스프링-장착 배터리 핸들이 상기 잠금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 내로 삽입될 때, 상기 잠금 핀이 상기 래칭 핀들과 결합하는 동시에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상기 선단 면상의 전기 소켓이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전기 커넥터와 결합하게 하는, 자재 취급 차량.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의 선단 면은,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이 상기 래칭 핀들과 결합되고 상기 전기 소켓이 상기 전기 커넥터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바닥 표면상에 놓이는, 자재 취급 차량.
  19. 제8 항에 있어서,
    배터리 가이드 핀들의 각각의 대향 쌍의 상기 래칭 핀 및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에 평행한 공통 가이드 핀 축을 따라 위치되고;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의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는 가이드 채널들로서 구성되며;
    상기 배터리 가이드 핀들의 대향 쌍들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채널들 내로 연장되는, 자재 취급 차량.
  2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의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는 가이드 채널들로서 구성되고;
    상기 배터리 가이드 핀들의 대향 쌍들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채널들 내로 연장되고;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각각의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상에 한 쌍의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을 추가로 포함하며;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의 각각의 쌍은 각각의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상의 상기 가이드 채널을 따라 제한된 폭의 가이드 핀 갭을 형성하는, 자재 취급 차량.
  2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 중 하나의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는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 중 하나를 따라 자유 공간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다른 측면 배터리 면의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보다 짧은, 자재 취급 차량.
  22. 배터리 본체를 포함하는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로서,
    상기 배터리 본체는 측면 배터리 면들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 각각은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가 가이드 핀들의 대향 쌍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수납 공간 내로 삽입 및 그로부터 제거될 때 한 쌍의 가이드 핀들을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되는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각각의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상에 한 쌍의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을 추가로 포함하며;
    가이드 핀 스태빌라이저들의 각각의 쌍은 각각의 상기 측면 배터리 면들상의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를 따라 제한된 폭의 가이드 핀 갭을 형성하며, 측면 항복 방향으로 굴곡되고 또한 가이드 핀이 상기 제한된 폭의 가이드 핀 갭으로 진입할 때 측면 탄성의 정도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
  23. 재고 운송 표면을 따라 이동하고 창고 환경에서 상품을 결합하도록 구성되며, 배터리 수납 공간 및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를 포함하는 자재 취급 차량으로서,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은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한정하기 위해 협력하고;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은 배터리 가이드 핀들의 대향 쌍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대향 쌍은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의 반대편 측면들상에 배열되고, 각각의 대향 쌍은 래칭 핀 및 가이드 핀을 포함하고;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배터리 본체 및 배터리 잠금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본체는 측면 배터리 면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배터리 면은 상기 배터리 삽입 및 제거 축을 따라 배향되는 길이 방향 가이드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잠금 기구는 연장된 위치들에서 스프링-편의되고 상기 확장된 위치들로부터 각각의 수축된 위치들로 래치 결합 및 결합 해제 축을 따라 상기 배터리 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한 스프링-장착 잠금 핀들을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가이드 핀들의 각각의 대향 쌍의 래칭 핀은 상기 확장된 위치에서 상기 스프링-장착 잠금 핀들 중 하나의 선단 부분을 수용하도록 위치되는 배터리 래치를 형성하는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식 배터리 조립체는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안착되는, 자재 취급 차량.
KR1020220136276A 2021-10-22 2022-10-21 자재 취급 차량의 배터리 수납 공간용 배터리 가이드 핀 및 이를 포함하는 자재 취급 차량 KR202300579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21/125869 WO2023065346A1 (en) 2021-10-22 2021-10-22 Battery guide pins for a battery receiving space of a materials handling vehicle, and materials handling vehicles incorporating the same
CNPCT/CN2021/125869 2021-10-22
CNPCT/CN2022/083994 2022-03-30
PCT/CN2022/083994 WO2023184215A1 (en) 2022-03-30 2022-03-30 Battery guide pins for a battery receiving space of a materials handling vehicle, and materials handling vehicles incorporating the same
US17/814,585 2022-07-25
US17/814,585 US20230129896A1 (en) 2021-10-22 2022-07-25 Battery guide pins for a battery receiving space of a materials handling vehicle, and materials handling vehicles incorporat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7982A true KR20230057982A (ko) 2023-05-02

Family

ID=83995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6276A KR20230057982A (ko) 2021-10-22 2022-10-21 자재 취급 차량의 배터리 수납 공간용 배터리 가이드 핀 및 이를 포함하는 자재 취급 차량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4223688A3 (ko)
KR (1) KR20230057982A (ko)
CN (1) CN116001546A (ko)
AU (1) AU2022252693A1 (ko)
CA (1) CA3179143A1 (ko)
MX (1) MX2022013262A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35008B4 (de) 1999-07-26 2004-09-16 Jungheinrich Ag Gabelniederhubwagen
US7320843B2 (en) * 2004-02-27 2008-01-22 Great Stuff, Inc. Battery assembly with shielded terminals
EP3309001B1 (en) * 2016-10-14 2021-09-29 EP Equipment Co., Ltd. Battery plug-in device for material handling equipment
US10062885B2 (en) * 2016-11-07 2018-08-28 Thomas Gerald Tessier Battery tray glide system
US11233291B2 (en) * 2019-04-03 2022-01-25 The Raymond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 modular battery system
CN113471613A (zh) * 2020-03-12 2021-10-01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车用电池箱及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22013262A (es) 2023-04-24
AU2022252693A1 (en) 2023-05-11
EP4223688A3 (en) 2023-11-08
CN116001546A (zh) 2023-04-25
EP4223688A2 (en) 2023-08-09
CA3179143A1 (en) 2023-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88939B (zh) 具有可扩展电池模块结构的电池组
JP6246483B2 (ja) 電動工具用電池パック
EP2787557B1 (en) Battery packs for electric tools
WO2012036194A1 (ja) バッテリ装置
EP1699094B1 (en) Batter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CN102666165A (zh) 电动汽车的电池安装构造
JP2007144813A (ja) 電動工具の製造用金型
WO2023065346A1 (en) Battery guide pins for a battery receiving space of a materials handling vehicle, and materials handling vehicles incorporating the same
WO2023065350A1 (en) Battery display, battery coupling, and materials handling vehicles incorporating the same
WO2023065347A1 (en) Battery guide blocks for a battery receiving space of a materials handling vehicle, and materials handling vehicles incorporating the same
WO2023065330A1 (en) Battery locking mechanisms, removable battery assemblies, and materials handling vehicles incorporating the same
WO2023065344A1 (en) Battery retention blocks for a battery receiving space of a materials handling vehicle, and materials handling vehicles incorporating the same
WO2017022342A1 (ja) 電動車両
US20230129896A1 (en) Battery guide pins for a battery receiving space of a materials handling vehicle, and materials handling vehicles incorporating the same
KR20230057982A (ko) 자재 취급 차량의 배터리 수납 공간용 배터리 가이드 핀 및 이를 포함하는 자재 취급 차량
WO2023184215A1 (en) Battery guide pins for a battery receiving space of a materials handling vehicle, and materials handling vehicles incorporating the same
EP4169869A1 (en) Battery coupling, and materials handling vehicles incorporating the same
EP4212471A1 (en) Battery guide blocks for a battery receiving space of a materials handling vehicle, and materials handling vehicles incorporating the same
EP4169868A1 (en) Material handling vehicle with battery locking mechanism and removable battery assembly
JP3843369B2 (ja) ロボットシステム
EP4212470A1 (en) Battery retention blocks for a battery receiving space of a materials handling vehicle, and materials handling vehicles incorporating the same
US20020168901A1 (en) Genderless, high current electrical connector with auxiliary contacts
CN118159487A (zh) 用于物料搬运车辆的电池接收空间的电池保持块体以及包括该电池保持块体的物料搬运车辆
JP2014121180A (ja) バッテリアダプタ
CN112455588A (zh) 电能装置、电动车及二轮车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