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6576A - 향수 숙성장치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향수 숙성장치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6576A
KR20230056576A KR1020220087136A KR20220087136A KR20230056576A KR 20230056576 A KR20230056576 A KR 20230056576A KR 1020220087136 A KR1020220087136 A KR 1020220087136A KR 20220087136 A KR20220087136 A KR 20220087136A KR 20230056576 A KR20230056576 A KR 20230056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ume
aging
circulation pipe
onggi
po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7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노파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노파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노파레
Publication of KR20230056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65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Abstract

본 발명은 향수 숙성장치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향수를 숙성하는 용기로써 한국 전통 옹기를 채택하여, 숙성된 향수의 알코올 향을 제거하면서 보다 풍부한 향을 낼 수 있도록 하며, 숙성 시 옹기 내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배출할 수 있는 부재와 옹기 내의 향수 온도/pH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부재가 마련되어 있어 최적의 숙성 환경을 유지할 수 있으며,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장치와 공급된 냉각수가 옹기 내에 저장된 향수 측으로 순환되도록 하는 순환 파이프가 마련되어 있어 숙성 과정에서 향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향수 숙성장치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향수 숙성장치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PERFUME AG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향수 숙성장치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자세하게는 향수를 숙성하는 용기로써 한국 전통 옹기를 채택하여, 숙성된 향수의 알코올 향을 제거하면서 보다 풍부한 향을 낼 수 있도록 하는 향수 숙성장치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향수 숙성 과정은 자연스럽고 풍부한 향을 만들어내기 위하여 향수 제조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진행되는 과정인바, 향수 숙성 과정은 향수의 성분에 따라 상이하겠지만 최적의 숙성 횟수 및 숙성 기간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향수를 숙성하는 용기를 선택하는 것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종래에는 향수를 숙성하는 용기로써 스테인레스 용기, 플라스틱 용기, 유리 용기 등을 활용하였으며, 조향사나 향수관련 업자가 아닌 일반인들은 향수를 제작할 때 쓰인 용기를 그대로 냉장고에 넣어 향수를 숙성시키기도 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향수 숙성 용기를 통하여 숙성된 향수는 숙성 과정에서 본래 향수의 향조차 잃어버리는 경우가 빈번했으며, 오히려 불쾌한 향이 발생하는 경우도 더러 존재하였고, 숙성 이후에 본래의 향수보다 일부 풍부한 향이 나더라도 조향사나 향수를 좋아하는 전문가들이 아닌 일반인들은 구분 하지 못할 정도의 미약한 효과를 내기도 하였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에 착안하여 도출된 것으로써, 숙성 과정을 통해 향수 본연의 자연스러운 향을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들 입장에서도 보다 풍부한 향을 느낄 수 있도록 이바지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20-0109940호(2020.09.2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향수 숙성 용기를 통하여 향수를 숙성시키는 것보다 풍부하고 자연스러운 향을 만들어내며, 불쾌한 알코올 향까지도 제거할 수 있는 향수 숙성장치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향수 숙성장치는 제작된 향수를 저장하며, 배 부분이 볼록하고, 상기 배 부분으로부터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옹기를 포함하며, 상기 옹기는 호리병목 형상을 나타내되, 하단부의 단면적에 비하여 상단부의 단면적이 넓은 형상을 나타내는 주입구, 상기 옹기 내부에 저장된 향수의 온도 및 pH를 측정하는 측정부재를 포함하는 측정구, 숙성 시 발생되는 가스를 배출하는 가스배출부재를 포함하는 가스배출구 및 상기 주입구, 측정구 및 가스배출구의 입구를 밀폐하는 마개를 포함하고, 상기 옹기에 저장된 향수의 온도를 조절하는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장치 및 기 냉각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주입구 측 마개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옹기 내부로 삽입되되, 상기 냉각장치로부터 공급된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제1 순환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향수 숙성장치는 상기 냉각장치와 연결된 제 1순환 파이프와 상기 주입구 측 마개에 관통 삽입된 제 1 순환 파이프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제 1 순환 파이프로부터 순환되는 냉각수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실리콘 소재로 마련된 제2 순환 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측정부재는 상기 측정구 측 마개에 관통 삽입되어, 삽입된 부분이 일부 수몰(水沒)되되, 상기 측정부재의 길이는 상기 삽입된 부분이 상기 옹기에 삽입된 제1 순환 파이프에 닿지 않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가스배출부재는 상기 가스배출구 측 마개에 관통 삽입되고, 개폐되는 동작에 의하여 가스가 선택적으로 배출되며, 삽입되었을 때, 상기 가스배출부재의 길이는 말단이 상기 옹기 내에 저장된 향수와 닿지 않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향수 숙성장치를 제작하는 방법은 스코리아(화산석)이 포함된 질흙을 토대로 기물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제작된 기물을 건조한 후, 800℃ 내지 850℃ 온도로 1차 소성하는 단계, 유약 처리 없이 1300℃ 내지 1400℃온도로 2차 소성하여 옹기를 제작하는 단계 및 제작된 옹기에 측정부재 및 가스배출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옹기와 냉각장치를 연결하는 제1 순환 파이프 및 제2 순환 파이프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한국 전통 옹기를 향수 숙성 용기로 활용함으로써, 풍부하고 자연스러운 향을 만들어내며, 불쾌한 알코올 향까지도 제거할 수 있으며, 불쾌하지 않거나 호불호(好不好) 없는 향을 만들어 낼 수 있고, 나아가 한국 전통 옹기의 우수성을 널리 알릴 수 있는 효과까지도 꾀할 수 있다.
또한, 최적의 숙성 환경을 유지하기 위하여, 옹기 내에 발생하는 가스를 배출하는 부재 및 실시간으로 숙성중인 향수의 온도/pH를 측정하고 표시하는 부재가 옹기 내에 마련됨으로써, 최적의 숙성 환경과 옹기의 통기성과 저장성과 같은 우수한 특징들이 더해져 양질의 향수를 만들어낼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온도/pH를 통하여 향수와 관련된 연구/분석 측면에도 활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숙성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옹기와 원통형 스테인레스 향수 용기가 태양열과 지면 복사열에 의하여 열을 전달받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3은 옹기 내에서 가스가 발생되었을 경우, 일반적인 옹기와 본 발명의 옹기의 가스 흐름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옹기의 측정구 및 가스배출구의 활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숙성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숙성장치의 냉각수 순환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숙성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숙성장치를 제작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숙성된 이후의 향수를 실생활에 사용되는 향수로 제작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실험 예1]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숙성장치에 있어서, 옹기를 복수 개 포함하는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 및 응용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구별되어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향수 숙성장치(10)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향수 숙성장치(10)는 옹기(100), 냉각장치(200) 및 순환파이프(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향수 숙성장치(이하 숙성장치(10)라고 약칭함)는 숙성 기능이 우수한 한국 전통 항아리인 '옹기(100)'를 향수(20)가 숙성되는 용기로 활용함으로써, 옹기 내에 포함된 기공(미도시)을 통해 내/외부로 공기가 통하여 최적의 숙성환경을 조성하고, 기공이 내면에 형성된 불순물들을 외부로 밀어내어 향수가 부패되지 않고 장기간 숙성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옹기(100)는 중심부인 배 부분(101)이 볼록하고, 배 부분(101)으로부터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작아지는 형상을 나타낼 수 있는바, 배 부분(101)이 볼록한 옹기(100)의 형상은 상부가 햇빛 또는 대기로부터 열을 전달받고, 하부가 지면의 복사열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옹기(100)의 모든 면이 온도 격차 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원통 형상의 용기(100a)는 상부와 하부의 온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는바, 그 이유는 태양열을 비교적 고르게 받을 수 있는 상부에 비해 하부는 상부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는 태양열 또는 지면의 복사열을 적게 받기 때문이다. 반면, 본 발명의 옹기(100)는 배 부분(101)이 볼록하기 때문에 옹기(100)의 상부 그리고 볼록한 배 부분(101)까지 태양열을 고르게 받을 수 있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옹기(100)의 하부까지 배 부분(101)에서 태양열이 전달될 수 있으며, 지면의 복사열을 넓은 범위로 전달받을 수 있어 옹기(100)의 모든 면이 온도 격차 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옹기(100)는 주입구(110), 측정구(120), 가스배출구(130) 및 마개(140)를 포함한다.
주입구(110)는 제작된 향수(20)가 옹기(100)에 주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 입구이다. 참고로, 옹기(100)에는 향수(20)가 옹기(100)의 최대 수용량의 80% 내지 90% 정도 주입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그 이유는 숙성 시 향수(20)로부터 발생되는 가스를 수용해야 할 공간을 사전에 마련해두기 위함이며, 그런 상황 하에서 최대한 많은 양의 향수(20)를 숙성시킬 수 있는 최적의 향수(20) 주입량이 옹기(100) 최대 수용량의 80% 내지 90% 정도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주입구(110)는 배 부분(101)의 단면적에 비하여 입구의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은 호리병목 형상을 나타내되, 주입구(110)의 하단부 단면적에 비하여 상단부 단면적이 2배 내지 2.5배 넓은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주입구(110)의 이와 같은 형상은 사용자(작업자)가 향수(20)를 옹기(100) 내부에 주입할 때는 주변으로 흘러 내리지 않게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향수(20)가 숙성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가스가 외부로 쉽게 유출되지 않도록 하며, 마개(140)가 밀폐해야 하는 면적을 줄여줄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마개(140)는 주입구(110), 측정구(120) 및 가스배출구(130)의 입구 각각을 밀폐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 소재는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나, 코르크 소재 등으로 구현하는 것이 비용과 사용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다.
주입구(110)의 형상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을 위하여 도 3을 참조하면, 간장, 고추장과 같은 발효 음식을 저장하는 일반적인 옹기(100b)는 입구 부분이 용기의 배 부분(101b)의 단면적과 별 차이 없을 정도로 넓어 옹기(100b) 내부에 저장된 물질로부터 발생되는 가스가 외부로 의도치 않게 유출되거나 외부로부터 불순물이 침투되기 쉽고, 입구를 밀폐할 때에도 단면적이 넓은 덮개(30b)를 활용해야 하기에 밀폐해야 할 면적이 넓어 덮개(30b)가 밀폐의 역할을 제대로 못 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옹기(100)의 주입구(110)는 용기의 배 부분(101) 단면적에 비하여 입구의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은 호리병목 형상을 나타내어 사용자(작업자)가 향수(20)를 옹기(100) 내부에 주입할 때는 용이하지만, 향수(20)가 숙성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가스가 외부로 쉽게 유출되지 않도록 하며, 특히, 주입구(110) 하단부의 단면적에 비하여 상단부의 단면적이 2배 내지 2.5배 넓은 형상을 나타내어, 마개(140)가 밀폐해야 하는 면적을 줄여 옹기(100) 내부로부터 유출되는 가스와 옹기(100) 외부로부터 침투되는 불순물을 차단하는 밀폐의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도 4는 옹기(100)의 측정구(120) 및 가스배출구(130)의 활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측정구(120)는 옹기(100) 내부에 저장된 향수(20)의 온도 및 pH를 측정하는 측정부재(121)가 삽입되는 홀(Hole)이다. 여기서 측정부재(121)는 측정구(120)에 밀폐된 마개(140)에 관통 삽입되어, 삽입된 부분이 일부 수몰(水沒)되며, 이 때, 측정부재(121)의 길이는 상기 삽입된 부분이 옹기(100) 내에 삽입된 제1 순환 파이프(310)에 닿지 않는 길이를 가진다. 만일, 상기 삽입된 부분이 제1 순환 파이프(310)에 닿게 되면, 원하는 결과값이 아닌 제1 순환 파이프(310)의 온도가 개입된 결과값을 얻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측정부재(121) 상부에는 측정된 결과 값이 표시되는 표시수단(121-1)이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측정부재(121)가 측정한 결과 값을 사용자(작업자)가 손쉽게 확인 할 수 있도록 측정 값이 표시되는 표시수단(121-1)이 마련될 수 있으며, 표시수단(121-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침이 측정된 온도와 pH를 가리키는 기계적인 방식이 채택될 수 있고, 도 4에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측정된 온도와 pH 가 디지털 수치로 디스플레이되는 전자적인 방식이 채택될 수도 있다.
가스배출구(130)는 숙성되는 과정에서 향수(20)로부터 발생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가스배출부재(131)를 포함하는 홀(Hole)이다. 다시 말해 옹기(100) 내부의 향수(20)를 숙성하게 되면 항수(20)로부터 가스가 발생되는데, 이를 주기적으로 배출해주지 않으면 가스에서 발생되는 불쾌한 냄새가 향수(20)에 묻어나는 문제점이 발생하거나, 불쾌한 냄새의 주범이 되는 가스가 옹기(100) 외벽에 응축되어 다시 물방울 형태로 향수(20)에 떨어져 향수(20)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본 발명은 가스배출부재(131)를 가스배출구(130)에 삽입시켜 숙성 시 발생되는 가스를 주기적으로 배출 시킬 수 있도록 한다.
가스배출부재(131)는 가스배출구(130) 마개(140)에 관통 삽입되고, 개폐되는 동작(누름-당김)에 의하여 가스가 선택적으로 배출될 수 있으며, 가스배출부재(131)의 길이는 삽입되었을 때, 말단이 옹기(100) 내에 저장된 향수(20)와 닿지 않을 정도의 길이를 가질 수 있는바, 앞서 설명한 측정부재(121)와 상이하게 가스배출부재(131)는 향수(20)가 아닌 향수(20)가 숙성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향수(20)와 불필요하게 접촉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숙성장치(10′), 보다 구체적으로 옹기(100) 내부의 가스 배출과 관련된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앞서 옹기(100) 내부에서 향수(20)를 숙성하게 되면 항수(20)로부터 가스가 발생하고 이를 주기적으로 배출해주지 않으면 많은 문제점들이 발생한다고 하였다. 하지만 옹기(100)의 표면은 불투명한 것이 일반적이기에 외부에서 옹기(100)의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없으며, 들여다 볼 수 있다 하더라도 옹기(100) 내부에 포함된 가스는 기체이기에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어 주기적으로 가스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수 많은 옹기(100)의 가스 배출 일정을 일일이 체크 또는 암기해야 하거나, 비주기적으로 가스를 배출할 때에는 매우 잦은 빈도로 가스를 배출해줘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스배출부재(131)의 상단부에 옹기(100) 내부의 가스가 가득 찼는지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가스량확인부재(132)를 마련할 수 있다.
가스량확인부재(132)는 신축성이 탁월하고 매우 얇은 소재로 마련되어 있어 옹기(100) 내부 가스가 수용될 공간이 가스로 인해 가득 차게 되면 그 이후에 가스량확인부재(132)에게로 까지 가스가 도달하여 팽창될 수 있으며, 팽창된 가스량확인부재(132)는 마치 풍선처럼 부풀러 올라 사용자가 옹기(100) 내부의 가스가 가득 찼는지 외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번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숙성장치(10)의 냉각수 순환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숙성장치(10)의 냉각수 순환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숙성장치(10)는 향수(20) 숙성 과정에서의 최적의 온도(8℃ 내지 18℃)를 유지시키고자, 옹기(100)와 냉각장치(200)사이에 순환 파이프(300)가 설치되어 냉각장치(200)로부터 공급된 냉각수가 순환 파이프(300)에 의하여 순환되어 옹기(100) 내에 저장된 향수(20)의 온도를 최적의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순환 파이프(300)는 제1 순환 파이프(310) 및 제2 순환 파이프(3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순환 파이프(310)는 냉각장치(200)와 연결되어 있으며, 마개(140)에 관통 삽입되어 향수(200)와 접촉해 냉각장치(200)로부터 공급된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제1 순환 파이프(310)가 옹기(100)에 삽입되는 길이는 옹기(100) 전체 높이의 80% 내지 90% 길이만큼 삽입되며, 여기서 삽입되는 길이가 옹기(100) 전체 높이의 80% 내지 90% 길이인 이유는 옹기(100)의 하단부에는 닿지 않고 향수(20)에만 최대한 많은 면적으로 닿게 함으로써 냉각수를 신속하게 순환시킬 수 있는 최적의 길이이기 때문이다.
한편, 제1 순환 파이프(310)는 냉각수가 직접적으로 향수(20)와 접촉하는 파이프이기에 반응성이 상대적으로 적고, 열 전도율이 보통의 금속 중에서 높은 편에 속해있는 구리 등과 같은 소재로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순환 파이프(320)는 냉각장치(200)와 연결된 제 1순환 파이프(310)가 옹기(100) 내부로 향하는 경로 중,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서 제 1 순환 파이프(310)로부터 순환되는 냉각수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실리콘 소재로 마련된 파이프인바, 냉각수가 제1 순환 파이브(310) 상에서 외부로 노출된 영역을 지나가면서 의도하지 않게 온도가 올라가거나 변경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제2 순환 파이프(320)는 제1 순환 파이프(310)를 감싸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감싸는 형태가 아닌 제1 순환 파이프(310)와 연결된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고, 후자의 경우 제2 순환 파이프(320) 보다 가격이 높은 제1 순환 파이프(310)를 사용하는 양이 적어질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의 측면 그리고 실리콘 소재의 제2 순환 파이프(320)는 굽히거나 펴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에 옹기(100)와 냉각장치(200)의 배치의 측면에 있어서 다양한 장점을 가져갈 수 있다 할 것이다.
아울러, 후자의 경우 냉각장치(200)와 연결된 제1 순환 파이프(310)와 옹기(100) 내부에 삽입된 제1 순환 파이프(310)는 제1 순환 파이프(310)라는 공통점을 제외하고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구성인바, 냉각장치(200)와 연결된 제1 순환 파이프(310)를 제1-1 순환 파이프(미도시), 옹기(100) 내부에 삽입된 제1 순환 파이프(310)를 제1-2 순환 파이프(미도시)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하 후자의 경우를 예로 하여 제1 순환 파이프(310) 및 제2 순환 파이프(320)를 통하여 냉각수 순환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냉각장치(200)에 연결된 제1 순환 파이프(310)가 냉각장치(200)로부터 냉각수를 공급받고, 공급 받은 냉각수를 연결된 제2 순환 파이프(320)로 전달한다(①).
이어서, 제2순환 파이프(320)는 옹기(100)와 연결된 제1 순환 파이프(310)로 냉각수를 전달하고, 제1 순환 파이프(310)는 다시 전달받은 냉각수를 옹기(100) 내부에 순환시켜 향수(20)와 접촉하게 함으로써 숙성되고 있는 향수가 일정 온도가 유지되도록 한다(②).
다음으로, 옹기(100)내부를 순환한 냉각수는 제1 및 제2 순환 파이프(310, 320)에 의하여 냉각장치(200)로 돌아와 냉각되고, 다시 위 단계(①, ②, ③)들이 반복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숙성장치(10″), 보다 구체적으로 냉각수 순환과 관련된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숙성장치(10″)는 냉각수가 일정한 온도로 순환되고 있는지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옹기(100) 측에 연결된 제1 순환 파이프(310)와 냉각장치(200)측에 연결된 제1 순환 파이프(310) 각각에 시온링(400)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시온링(400)이란 접촉된 물체의 온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을 표시하는 고리 형상의 구성요소를 의미하는바, 이러한 시온링(400)이 옹기(100) 내부로 냉각수 공급이 시작되는 제1 순환 파이프(310)에 배치되고, 순환된 냉각수가 냉각장치(200)로 다시 돌아오는 제1 순환 파이프(310)에 배치된다면, 사용자가 시온링(400)로부터 표시되는 색을 시각적으로 판단하여 순환하는 과정에서 냉각수가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였는지 손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시온링(400)에서 표시되는 온도 차이로부터 냉각장치(200)의 고장 유무, 제1 및 제2 순환 파이프(310, 320)의 파손 여부 등과 같이 양질의 향수(20)를 숙성하여 제작함에 있어서 발생되는 장애요인을 개략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숙성장치(10)를 제작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숙성장치(10)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먼저 스코리아(화산석)이 포함된 질흙을 토대로 기물을 제작하는 단계(S801)에서 시작한다.
여기서 질흙에 스코리아를 포함시키는 이유는 스코리아는 미세한 44% 내지 64% 연속기공을 유지하고 있으며, 매우 가볍고 흡착력과 흡음력이 매우 우수하여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흡착시키는 효과를 지니고 있기에 최적의 향수를 숙성시키는 옹기(100)의 재료로써 안성맞춤이기 때문이다. 참고로, S801단계에서 말하는 기물은 반죽과 성형이 진행되어 옹기(100)의 형상만을 나타내고 있지만 아직 소성(燒成)이 진행되지 않은 상태의 옹기(100)를 말한다.
S801 단계 이후에, 기물을 건조 시키고, 건조된 이후에 800℃ 내지 850℃ 온도로 1차 소성하며(S802), 유약 처리 없이 1300℃ 내지 1400℃ 온도로 2차 소성하여 옹기(100)를 제작한다(S803).
S803 단계 이후에, 제작된 옹기(100)에 측정부재(121), 가스배출부재(131), 제1순환 파이프(310) 및 제2 순환 파이프(320)를 연결하여 설치한다(S804).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숙성된 이후의 향수(20)를 실생활에 사용되는 향수(20)로 제작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숙성장치(10)에 의하여 숙성된 향수(20)를 실생활에 사용되는 향수(20)로 제작하기 위해서는 먼저, S804 단계 이후에, 옹기(100)에 제작된 향수(20)를 저장하고 숙성한다(S901). 이 때의 숙성 기간은 향수의 성분에 따라 다르며, 90일 내지 365일이 될 수 있다.
S901 단계 이후에, 숙성된 향수(20)를 필터(예: 섬유페이퍼 필터)를 통해 적어도 2회 이상 필터링한다(S902). 여기서 필터링 횟수는 향수의 성분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불순물을 걸러내기 위하여 최소 2회 이상 진행함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S902 단계 이후에, 필터링된 향수(20)를 향수병에 병입한다(S903).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숙성장치(10)의 성능에 대한 [실험 예1]을 나타낸 도면이다.
[실험 예1]
[실험 예1]은 스테인레스 숙성 용기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숙성장치(10)가 포함하는 옹기(100) 숙성 용기가 숙성 기간(7일, 30일. 60일 및 90일)에 따라 향기 성분 수가 어떻게 변하는지 실험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스테인레스 숙성 용기 및 옹기(100) 숙성 용기 둘 다 숙성 기간이 증가할수록 향기 성분 수가 증가 하여 보다 풍부한 향이 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스테인레스 숙성 용기의 향기 성분 수는 30일 이후부터 극히 소폭 상승하며, 60일 지난 이후에는 향기 성분 수가 거의 증가하지 않고 유지되어 장기간 숙성하기에는 비효율적인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옹기(100) 숙성 용기는 숙성하면 숙성할수록 향기 성분 수가 비약적으로 증가하여 90일이 지난 이후에는 스테인레스 숙성 용기의 향기 성분 수에 2배 가까이 되는 수치가 측정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바, 장기간 숙성에 최적화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향수의 풍부한 향을 유도할 수 있다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실험 예1]을 통하여 일반적인 향수(20) 숙성 용기로 사용되는 스테인레스 숙성 용기보다 한국 전통 항아리를 사용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숙성장치(10)가 포함하는 '옹기(100) 숙성 용기'를 사용하면 숙성 기간이 증가할수록 풍부한 향을 내는 향수를 제작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 예2]
본 발명의 [실험 예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숙성장치(10)가 포함하는 옹기(100)를 통하여 숙성시킨 향수와 스테인레스를 통하여 숙성시킨 향수를 일반인 30명에게 시향하도록 하여 일반인 30명을 대상으로 향기 관능 평가를 시행한 실험이다.
알코올향의 강도
(높음)
향의 풍부함 선호도
옹기 숙성 향수 0명 28명 29명
스테인레스 숙성 향수 30명 2명 1명
상기 표 1을 살펴보면, '알코올향의 강도'가 높은 쪽으로 30명 전원이 스테인레스 숙성 용기 숙성 향수를 선택하였고, '향의 풍부함' 및 '선호도'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숙성장치(10)가 포함하는 옹기(100) 숙성 향수가 압도적으로 많은 선택을 받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실험 예2]를 통하여, 본 발명의 옹기(100)를 통하여 숙성된 향수(20)는 알코올향의 강도가 낮으며, 향이 스테인레스 숙성 용기 숙성 향수에 비하여 풍부하여 실험을 참가한 대다수의 인원들이 스테인레스 숙성 향수보다 옹기(100)를 통하여 숙성된 향수(20)를 더 많이 선호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숙성장치(10)에 있어서, 옹기(100)를 복수 개 포함하는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향수(20)를 숙성하는 옹기(100)가 두 개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바, 도 1에 도시한 숙성장치(10)에서 옹기(100)와 냉각장치(200) 사이에 하나의 옹기(100′)가 추가로 배치되어 있으며, 냉각장치(200)와 옹기(100′) 사이가 제1 및 제2 순환 파이프(310, 320)로 연결되어 있고, 옹기(100′)와 옹기(100) 사이 역시 제1 및 제2 순환 파이프(310, 320)로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냉각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냉각수가 첫 번째 옹기(100′) 내부의 향수(20)의 온도를 우선적으로 조절하고, 그 이후에 두 번째 옹기(100) 내부의 향수(20)의 온도를 조절한다는 것인바, 첫 번째 옹기(100′) 내부의 향수(20)의 온도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냉각수의 온도가 변경될 수 있으므로 첫 번째 옹기(100′)와 두 번째 옹기(100) 사이에 별도의 냉각장치(미도시)를 추가적으로 배치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10′, 10″: 향수 숙성장치
20: 향수
30b: 덮개
100, 100′: 옹기
100a: 원통형 용기 100b: 일반적인 옹기
101, 101b: 배 부분
110: 주입구
120: 측정구
121: 측정부재 121-1: 표시 수단
130: 가스배출구
131: 가스배출부재 132: 가스량확인부재
140: 마개
200: 냉각장치
300: 순환 파이프
310: 제1 순환 파이프 320: 제2 순환 파이프
400: 시온링

Claims (5)

  1. 제작된 향수를 저장하며, 배 부분이 볼록하고, 상기 배 부분으로부터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옹기;
    를 포함하며,
    상기 옹기는,
    호리병목 형상을 나타내되, 하단부의 단면적에 비하여 상단부의 단면적이 넓은 형상을 나타내는 주입구;
    상기 옹기 내부에 저장된 향수의 온도 및 pH를 측정하는 측정부재를 포함하는 측정구;
    숙성 시 발생되는 가스를 배출하는 가스배출부재를 포함하는 가스배출구; 및
    상기 주입구, 측정구 및 가스배출구의 입구를 밀폐하는 마개;
    를 포함하고,
    상기 옹기에 저장된 향수의 온도를 조절하는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장치; 및
    상기 냉각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주입구 측 마개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옹기 내부로 삽입되되, 상기 냉각장치로부터 공급된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제1 순환 파이프;
    를 포함하는 향수 숙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장치와 연결된 제 1순환 파이프와 상기 주입구 측 마개에 관통 삽입된 제 1 순환 파이프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제 1 순환 파이프로부터 순환되는 냉각수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실리콘 소재로 마련된 제2 순환 파이프;
    를 더 포함하는 향수 숙성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재는,
    상기 측정구 측 마개에 관통 삽입되며, 삽입된 부분이 일부 수몰(水沒)되되, 상기 측정부재의 길이는 상기 삽입된 부분이 상기 옹기 내부로 삽입된 제1 순환 파이프에 닿지 않는 길이를 가지는,
    향수 숙성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부재는,
    상기 가스배출구 측 마개에 관통 삽입되고, 개폐되는 동작에 의하여 가스가 선택적으로 배출되며, 상기 가스배출부재의 길이는, 상기 마개에 삽입되었을 때 말단이 상기 옹기 내에 저장된 향수와 닿지 않는 길이를 가지는,
    향수 숙성장치.
  5. 향수 숙성장치를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스코리아(화산석)이 포함된 질흙을 토대로 기물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제작된 기물을 건조한 후, 800℃ 내지 850℃ 온도로 1차 소성하는 단계;
    유약 처리 없이 1300℃ 내지 1400℃온도로 2차 소성하여 옹기를 제작하는 단계; 및
    제작된 옹기에 측정부재 및 가스배출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옹기와 냉각장치를 연결하는 제1 순환 파이프 및 제2 순환 파이프를 설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향수 숙성장치를 제작하는 방법.

KR1020220087136A 2021-10-20 2022-07-14 향수 숙성장치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KR202300565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081 2021-10-20
KR20210140081 2021-10-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6576A true KR20230056576A (ko) 2023-04-27

Family

ID=86100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7136A KR20230056576A (ko) 2021-10-20 2022-07-14 향수 숙성장치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657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9940A (ko) 2019-03-15 2020-09-23 주식회사 워나스 향수 제작과정에서 혼합비율과 숙성과정을 조절하여 고농도 및 후각의 피로감을 없앤 제조방법 및 이를 적용한 향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9940A (ko) 2019-03-15 2020-09-23 주식회사 워나스 향수 제작과정에서 혼합비율과 숙성과정을 조절하여 고농도 및 후각의 피로감을 없앤 제조방법 및 이를 적용한 향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86342B (zh) 一种有机红曲黄酒的制备方法
ES2634288T3 (es) Contenedor de líquidos hecho de un material de piedra natural, método de producción del mismo y su uso en un método para producir o almacenar bebidas alcohólicas
CN106359774A (zh) 一种高档花茶窨制方法
KR20230056576A (ko) 향수 숙성장치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Brosh Mamluk Glass Workshops in Jerusalem: Marvered Glass
CN203828682U (zh) 炖盅及包括该炖盅的隔水炖锅
CN206704914U (zh) 一种可用于明火加热的保温酒瓶
CN105342283A (zh) 可控制泡茶浓度的泡茶杯
CN209711933U (zh) 一种木纹香水瓶
CN205830683U (zh) 简易溢流泄流阀
CN211309593U (zh) 一种酿酒用贮酒罐
KR20160139525A (ko) 흙속의 수분이 부족하면 색깔이 변하는 수분감지 화분
CN205344286U (zh) 一种陶瓷摆件
CN1098707A (zh) 香瓷及其制法
CN203524456U (zh) 一种容装食物的密闭容器和隔水炖锅
CN215224569U (zh) 一种泡菜坛
CN107841429A (zh) 五味子酒的制作工艺
CN209219838U (zh) 一种星空杯装置
CN202211590U (zh) 醒酒器
CN208551087U (zh) 一种陶瓷锅具
CN212964295U (zh) 一种多功能染色仪
CN205729842U (zh) 一种陶瓷熏香容器
CN208119682U (zh) 一种防潮可分类的糖果包装罐
CN206478439U (zh) 一种液氮浸泡池
CN205018735U (zh) 一种多组保温杯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