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6543A - 내수상에 흡유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내수상에 흡유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6543A
KR20230056543A KR1020220026895A KR20220026895A KR20230056543A KR 20230056543 A KR20230056543 A KR 20230056543A KR 1020220026895 A KR1020220026895 A KR 1020220026895A KR 20220026895 A KR20220026895 A KR 20220026895A KR 20230056543 A KR20230056543 A KR 20230056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ater
absorbing polymer
cosmetic composition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6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재식
맹일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CN202211223344.X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5990121A/zh
Priority to TW111139544A priority patent/TW202327549A/zh
Priority to PCT/KR2022/015898 priority patent/WO2023068777A1/ko
Publication of KR20230056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65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수분산성 흡유성 폴리머를 내수상에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구체적으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수분산성 흡유성 폴리머를 내수상에 분산하여 유화시킴으로써, 제형의 점도 상승 없이 밀착성 및 지속성이 현저하게 우수하다.

Description

내수상에 흡유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A water-in-oil type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n oil-absorbing polymer in the inner water phase}
본 발명은 내수상에 흡유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구체적으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메이크업 제품은 커버력, 밀착력, 지속력과 같이 시각적으로 나타나는 효과와, 촉촉함, 부드러움, 시원함과 같이 촉각을 통해 느낄 수 있는 사용감이 모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하지만 이들은 동시에 충족시키기 어려운 트레이드 오프(trade-off) 관계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일부 속성을 포기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기존 유중수형 유화 메이크업 제형은 밀착력과 지속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아크릴레이트 폴리머, 실리콘 레진과 같은 친유성의 고분자와 함께 다량의 휘발성 오일을 배합하여 제조되었다. 고분자 폴리머는 제형의 점도를 상승시키고 무겁고 끈적이는 사용감 때문에 휘발성 오일과 배합하여 사용된다. 이와 같이 친유성 고분자 및 휘발성 오일이 조합될 경우, 휘발성 오일이 휘발되면서 고분자 폴리머의 함량이 농축되고, 이를 통해 피부 밀착력과 지속력이 강화되며, 외부 요인에 의해 메이크업이 지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휘발성 오일이 많이 함유된 제형일수록 제조 공정상의 제한 사항이 많아지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물성 변화로 인해 사용감 및 제형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피부가 건조해질 수 있다. 만약 휘발성 오일의 배합량을 줄일 경우, 동일한 효과를 내기 위하여 더 많은 양의 고분자 폴리머가 배합되어야 하는데, 이는 제형의 유동도를 나쁘게 하고 사용감을 무겁게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기존의 고분자 폴리머 및 휘발성 오일의 조합에 의한 상기 단점들을 해소하면서, 메이크업 지속성이 뛰어나고 산뜻하고 가벼운 사용감을 부여할 수 있는 메이크업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종래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수분산성 흡유성 폴리머 또는 분체를 수중유형의 외수상에 포함하여, 피부 도포 후 화장막이 무너져 내리는 현상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수중유형의 외수상에 다량의 수분산성 흡유성 폴리머가 포함되는 경우, 피부 도포 후 내유상의 오일 성분들을 흡수하고도 남아 있는 흡유능을 통해 피지를 흡수하여 화장막이 무너져 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에서와 같이 다량의 오일을 포함하는 유중수형 제형에서 수분산성 흡유성 폴리머를 사용하여, 발림성, 밀착성, 지속성을 향상시키고자 한 예는 없었다.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메이크업 지속성이 우수하면서 산뜻하고 가벼운 사용감을 제공하는 화장료 조성물, 구체적으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발명자들은 고분자 폴리머 및 휘발성 오일을 포함하는 기존의 화장료 조성물이 사용감 및 제형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수분산성 흡유성 폴리머를 유중수형의 내수상에 분산하여 유화시킴으로써 제형의 점도 상승 없이 화장료 조성물의 밀착성 및 지속성을 개선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개시는 수분산성 흡유성 폴리머를 내수상에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화장료 조성물은 수분산성 흡유성 폴리머를 내수상에 포함함으로써 제형의 점도를 낮게 유지하면서 발림성을 개선할 수 있다. 만약 유분산성 흡유성 폴리머 또는 분체를 사용하게 되면 유분산성 흡유성 폴리머 또는 분체가 오일과 상호 작용하여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가 증가하고 발림성이 나빠진다. 반면, 본 개시의 화장료 조성물은 표면이 수분산성 흡유성 폴리머를 내수상에 포함함으로써, 상기 유분산성 흡유성 폴리머 또는 분체와 오일간의 상호 작용에 의한 점도 상승 문제를 해결하고 발림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수상에 포함된 수분산성 흡유성 폴리머는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에 도포되어 유화가 깨질 때 외상의 유상 성분들을 만나 이들을 흡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피부에 남아있는 잔여 오일을 최소화하여 메이크업 화장막의 밀착성 및 지속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수분산성 흡유성 폴리머는 친수성 개질제 또는 코팅 성분을 통해 표면 처리되거나 또는 물질을 구성하는 성분 자체가 친수성을 띠고 있어 수분산이 가능하며, 다공성 또는 중공 구조로 이루어져 유상 성분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수상에 포함된 수분산성 흡유성 폴리머는 수상에 분산되어 물을 머금고 있다가, 도포 후 물이 증발되면서 쿨링 이펙트의 지속 시간을 늘려주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의 한 측면에서, 상기 수분산성 흡유성 폴리머는 친수성 개질제를 사용하여 표면이 친수성으로 개질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분산성 흡유성 폴리머 표면의 친수성 개질은 습식공정 및/또는 건식공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친수성 개질은 친수성 관능기, 예를 들어 아미노기, 카르복실기, 수산기, 또는 황화수소기 등을 포함하는 친수성 개질제로 폴리머를 개질하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는 상기 수분산성 흡유성 폴리머는 친수성 개질제가 처리되지 않고, 물질을 구성하는 성분 자체가 친수성을 띠고 있어 원래 친수성을 갖는 흡유성 폴리머가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폴리머의 합성시 친수기를 갖는 모노머를 함께 중합시켜 제조된 친수성을 갖는 흡유성 폴리머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한 측면에서, 상기 수분산성 흡유성 폴리머는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 메칠메타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3, 비닐디메치콘/메치콘실세스퀴옥산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페닐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디페닐디메치콘/비닐디페닐디메치콘/실세스퀴옥산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피이지-10/15크로스폴리머, 피이지-10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폴리글리세린-3크로스폴리머, 피이지-12디메치콘/피피지-20크로스폴리머, 에이치디아이/트리메칠올헥실락톤크로스폴리머, 및 디메치콘/비스-이소부틸피피지-20크로스폴리머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한 측면에서, 상기 수분산성 흡유성 폴리머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 0.5 내지 13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 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분산성 흡유성 폴리머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중량% 이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분산성 흡유성 폴리머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도포 후 흡유능이 부족하여 밀착성 및 지속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수분감도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수분산성 흡유성 폴리머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5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유중수형 제형의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한 측면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화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내수상에 수분산성 흡유성 폴리머를 분산시키고, 흡유성 폴리머에 오일이 흡수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본 개시의 한 측면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피커링 에멀전이 아니다. 상기 유화제는 화장품 관련 기술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는 통상적인 유화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피이지-10 디메치콘, 피이지-12 디메치콘, 세틸피이지/피피지-10/1디메치콘, 라우릴피이지-8디메치콘, 피이지-11메틸에터디메티콘, 피이지-9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라우릴피이지-9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피이지-30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세스퀴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디메치콘/피이지-10/15크로스폴리머, 피이지-15/라우릴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폴리글리세릴-4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4디이소스테아레이트/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세바케이트, 스테아릭애씨드, 디메치콘/폴리글리세린-3크로스폴리머, 라우릴피이지-10트리스(트리메칠실록시)실릴에칠디메치콘, 폴리글리세릴-2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6폴리리시놀리에이트, 피이지/피피지-19/19디메치콘, 피이지/피피지-18/18디메치콘, PEG-3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PEG-30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PEG-9 글리세릴 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3 코코에이트, PEG-7 글리세릴코코에이트, PEG-30 글리세릴코코에이트, PEG-20 메틸 글루코스 세스퀴스테아레이트, PEG-20 아몬드 글리세라이드, PEG-60 아몬드 글리세라이드, 피이지-4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오일, PEG-25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오일, PEG-7 올리베이트, PEG-8 올리에이트, 세틸 글루코사이드, 폴리글리세릴-3 메틸글루코스 디스테아레이트, 올레스-10, 올레스-20, 세테스-7, 세테스-12, 세테스-15, 세테스-17, 세레스-20, 세테아레스-20, 스테아레스-20, 스테아레스-21, PEG-8 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트리라우레이트, 소듐스테아로일락틸레이트,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21, 폴리솔베이트 40, PEG-20 솔비탄코코에이트, 폴리솔베이트 60, 폴리솔베이트 65, 폴리솔베이트 80, 폴리솔베이트 85, 이소스테아린산 PEG-20 소르비탄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10 중량%, 바람직하게 1~9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 2~8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화제가 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유중수형의 제형으로 형성되기 어려우며, 10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제형 안정성이 저하되거나 피부 자극이 발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한 측면에서, 상기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유상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오일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일성분은 극성 오일, 비극성 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극성 오일은 에스터계 오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비극성 오일은 실리콘 오일 또는 탄화수소 오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오일 성분은 실리콘계 오일, 에스터계 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에스터계 오일은 아스코빌팔미테이트, 아스코빌리놀레이트, 아스코빌스테아레이트, 디스테아릴말레이트, 벤질벤조에이트, 벤질라우레이트, 부틸렌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부틸렌글리콜디이소노나노에이트, 부틸렌글리콜라우레이트, 부틸렌글리콜스테아레이트, 부틸이소스테아레이트, 세테아릴이소노나노에이트, 세테아릴노나노에이트, 세틸카프릴레이트,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세틸이소노나노에이트, 에틸헥실 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에틸헥실이소노나노에이트, 에틸헥실이소스테아레이트, 에틸헥실라우레이트, 헥실라우레이트, 옥틸도데실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프로필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스테아릴이소노나노에이트, 이소스테아릴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카프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에틸헥사노에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이소노나노에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이소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스리틸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 및 트리에틸헥사노인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리콘 오일은 사이클로메치콘, 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사이클로헵타실록산,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사이클로트리실록산, 디메치콘, 카프릴디메치콘, 카프릴릴트리메치콘, 카프릴릴메치콘, 세테아릴메치콘, 헥사데실메치콘, 헥실메치콘, 라우릴메치콘, 미리스칠메치콘, 페닐메치콘, 스테아릴메치콘, 스테아릴디메치콘, 트리플루오로프로필메치콘, 세틸디메치콘, 폴리페닐메칠실록산,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크트리메치콘,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치콘, 카프릴릴메치콘 및 페닐트리메치콘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오일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0 내지 80 중량%, 바람직하게 30 내지 7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오일 성분이 1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피부에 유분막을 형성하기 어렵고 내수상을 충분히 포함하기 어려워 상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다. 상기 오일 성분이 80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유상의 점도가 낮아져 제형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다.
본 개시의 한 측면에서, 상기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내상을 이루는 수상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0 내지 80 중량%, 바람직하게 30 내지 7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상이 2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수분산성 흡유성 폴리머를 충분히 분산시키기 어려우며, 80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유중수형 제형으로 제조되기 어렵다.
본 개시의 한 측면에서, 상기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내의 유화 입자의 크기는 1~40 ㎛, 바람직하게 1~30 ㎛, 더욱 바람직하게 2~20 ㎛일 수 있다. 상기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수분산성 흡유성 폴리머가 내수상에 포집됨으로써 유화 입자의 크기가 상기 범위 내일 수 있다.
본 개시의 한 측면에서, 상기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분산제, 점증제, 피막형성제, 피그먼트, 유화안정화제, 방부제, 자외선차단제, 보습제, 산화방지제, 알코올, 향료, pH 조절제 또는 천연추출물 등을 적당량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점증제는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 벤토나이트, 실리콘크로스폴리머, 및 실리콘레진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한 측면에서, 상기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파운데이션, 컨실러, 메이크업 베이스, 비비크림, 프라이머, 로션, 크림, 또는 왁스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한 측면에서, 상기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제2의 비연속상(수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상기 수분산성 흡유성 폴리머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는 (s1) 유상성분을 가열 및 혼합하여 유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및 (s2) 수분산성 흡유성 폴리머 및 수상성분을 가열 및 혼합하여 수상부를 제조한 후, 상기 수상부를 상기 유상부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분산성 흡유성 폴리머를 내수상에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s1) 단계의 유상부에는 오일성분, 유화제, 유화안정화제, 분산제, 점증제, 피막형성제, 및 피그먼트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유상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s1) 단계의 유상부는 50~100℃, 바람직하게 60~90℃로 유상성분을 가열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s1) 단계에서 유상부는 오일성분, 유화제, 유화안정화제, 분산제, 점증제, 및 피막형성제를 먼저 가열하고 호모믹서로 균일화한 후, 균일한 상태를 확인한 후 피그먼트를 넣고 완전히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 (s2) 단계의 수상부에는 물, 유화안정화제, 및 방부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s2) 단계의 수상부는 50~90℃, 바람직하게 60~80℃로 수상성분을 가열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s2) 단계에서 제조된 수상부는 피그먼트가 분산되어 있는 유상부에 첨가되고 호모믹서로 유화되어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개시에 기재된 모든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한국, 중국, 미국, 유럽, 일본 등의 관련 법규, 규범 (예를 들어, 화장품 안전 기준 등에 관한 규정(한국), 화장품 안전 기술 규범(중국)) 등에서 규정한 최대사용치를 초과하지 않는다. 즉, 바람직하게, 본 개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각국의 관련 법규, 규범에서 허용되는 함량 한도로 본 발명에 따른 성분들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수분산성 흡유성 폴리머를 내수상에 분산하여 유화시킴으로써, 제형의 점도 상승 없이 밀착성 및 지속성이 현저하게 우수하다.
도 1은 실험예 2에서 실시예 1 조성물의 입자를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실험예 3에서 실시예 1 및 비교예 3의 지속성을 비교 평가한 결과이다.
도 3은 실험예 3에서 실시예 1 및 비교예 3의 보습성을 비교 평가한 결과이다.
도 4는 실험예 4에서 실시예 1 및 비교예 3의 마스크 묻어남 관련 지속성을 평가한 결과이다.
도 5는 실험예 5에서 실시예 1 및 비교예 3의 관능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및 비교예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수분산성 흡유성 폴리머의 예시인 WSP-005 및 CL PMMA-W를 나타내었다.
원료명 WSP-005 CL PMMA-W
INCI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 메칠메타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제조사 (주)우석켐 케미랜드
흡유량 0.64cc/g 0.05cc/g
수분산 가능 가능
유분산 가능 가능
또한, 하기 표 2에 나타낸 조성으로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내지 3을 제조하였다.
구분 성분명 비교예1 비교예2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3
흡유성 폴리머(수분산)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 - - 5 - -
메칠메타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 - - 5 -
흡유성 폴리머(유분산)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 5 - - - -
메칠메타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 5 - - -
오일성분 실리콘계 오일 30 30 30 30 30
에스터계 오일 4 4 4 4 4
유화제 피이지-10디메치콘 3 3 3 3 3
소르비탄세스퀴이소스테아레이트 1 1 1 1 1
스테아릭애씨드 0.2 0.2 0.2 0.2 0.2
분산제 디스테아릴디모늄클로라이드 0.2 0.2 0.2 0.2 0.2
점증제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 0.4 0.4 0.4 0.4 0.4
피막형성제 트리메칠실록시실리케이트, 0.65 0.65 0.65 0.65 0.65
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 0.35 0.35 0.35 0.35 0.35
피그먼트 산화티탄 11 11 11 11 11
산화철 1.5 1.5 1.5 1.5 1.5
수상성분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부틸렌글라이콜 4 4 4 4 4
글리세린 4 4 4 4 4
유화안정화제 소듐클로라이드 0.5 0.5 0.5 0.5 0.5
방부제 1,2-헥산디올 1 1 1 1 1
상기 비교예 1, 2에서 사용된 유분산성 흡유폴리머의 원료명 및 제조사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원료명 SESQ-101 SUNPMMA-P
INCI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 메칠메타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제조사 N&M TECH 선진화학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조성물들의 제조 방법은 아래와 같다. 먼저, 유상조에 유상성분, 유화제, 유화안정화제, 분산제, 점증제, 피막형성제, 및 흡유성 폴리머(유분산)를 투입하여 80℃로 가열한 후 호모믹서로 균일화하고, 균일한 상태를 확인한 후 피그먼트를 넣고 완전히 분산시켰다. 수상조에는 수상성분, 유화안정화제, 방부제, 및 흡유성 폴리머(수분산)를 투입하고 70℃에서 원료를 완전히 용해시킨 후, 피그먼트가 분산되어 있는 유상조에 첨가하여 호모믹서로 유화하여 유중수형 파운데이션 유화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표면이 친수성 또는 친유성인 흡유성 폴리머의 분산 비교
유중수형에서 표면이 친수성 또는 친유성인 흡유성 폴리머의 분산성을 비교 실험하였다. 다음과 같이 일반적인 흡유성 폴리머와 일부 표면이 친수개질된 흡유성 폴리머의 분산성을 비교하였다.
[흡유성 폴리머]
원료명 SESQ-101 BELSIL PMS MK POWDER WSP-005
INCI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
제조사 N&M TECH WACKER CHEMIE AG (주)우석켐
표면 특징 친유성 친유성 부분적으로 친수성을 띰
[실험 테이블]
대조군1 대조군2 실험군1 대조군3 대조군4 실험군2 대조군5 대조군6 실험군3
SESQ-101 2g 2g 2g
BELSIL PMS MK POWDER 2g 2g 2g
WSP-005 2g 2g 2g
정제수 40g 40g 40g 5g 5g 5g
디프로필렌글라이콜 40g 40g 40g 35g 35g 35g
분산 상태 X X O O O O X O
정제수, 폴리올, 또는 그 둘의 조합으로 분산매를 구성하였다. 폴리올은 적당한 점성을 가지며 분산력이 우수하지만 사용시 끈적임을 유발할 수 있는 디프로필렌글라이콜을 선정하였다. 분산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 구성된 분산매에 흡유성 폴리머를 넣고 상온에서 충분히 교반하여 섞어 준 뒤, 파우더가 뭉치는 정도를 보고 판단하였다.
디프로필렌글라이콜로 이루어진 분산매에서 대조군 3, 대조군 4, 실험군 2는 잘 분산되었으나, 정제수만으로 이루어진 분산매에서는 대조군 1, 대조군 2의 폴리머가 분산이 되지 않아 엉기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디프로필렌글라이콜에 먼저 분산을 시킨 뒤에 소량의 정제수를 첨가하였을 경우, 대조군 5 및 대조군 6은 매우 제한적으로 분산되었다. 이로부터 소수성 표면을 띈 기존의 흡유성 폴리머가 수상에서 분산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다량의 폴리올이 배합되어야 하고, 점증이나 특정 공정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유중수형의 유화 에멀젼에서 수상내 폴리올 배합이 70%를 초과할 경우, 유화안정성을 유지하기 어렵고, 쿨링감 및 수분감을 느끼기 어려워지고 끈적임이 유발되는 등 사용감이 저해되는 한계점이 있다. 이런 관점에서 수분산이 가능한 흡유성 폴리머는 유화안정성을 유지하면서, 산뜻하고 보송보송한 사용감을 부여하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실험예 2: 유중수형 메이크업 조성물의 점도 변화 및 사용감 비교
상기 실시예 1, 2와 같이 수분산성 흡유성 폴리머를 수상에 분산시키거나, 또는 비교예 1, 2와 같이 유분산성 흡유성 폴리머를 유상에 분산시킬 때, 유중수형 메이크업 조성물의 점도 변화 및 사용감을 비교하여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초기점도(제조직후)* 3400 cPs 2400 cPs 2300 cPs 2100 cPs
발림성**
밀착감** X
*점도 측정: 25℃, 30rpm, 1min LVT 브룩필드 점도계 사용
**발림성, 밀착감: 피부에 적정량을 도포하여 평가.
(X:2점 이하, △:2~3.5, ○:3.5~5.0 / 평가대상: 20, 30대 여성 평가자 20명)
테스트 샘플 중 비교예 2, 실시예 1, 2의 경우 점도가 낮게 제조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초기 발림성이 우수했다. 특히, 실시예 1, 2에서는 도포 과정에서 손가락으로 문지르는 행위를 통해 밀착력이 개선되는 것을 감지하였다.
비교예 1, 2로부터 적용된 폴리머의 흡유량에 따라 조성물의 점도가 다르게 제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1, 2로부터 유분산성 흡유성 폴리머가 외유상을 구성하고 있는 오일 성분을 흡수함으로써, 피막 성분 및 점증제가 농축되어 상기와 같은 점도 차이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 2의 초기 점도가 낮게 유지되는 이유는 내수상에 분산된 수분산성 흡유성 폴리머가 계면에 의해 외유상과 완전히 분리되어 존재하기 때문인 것으로 예상되었다. 따라서, 손가락으로 문지르는 행위를 통해 계면이 파괴되면, 수분산성 흡유성 폴리머가 외유상의 오일을 흡수하여 점도가 상승하고 밀착력이 향상되는 것으로 예상되었다.
실험예 3: 실시예 1 조성물의 입자 관찰
발림성 및 밀착성이 우수한 실시예 1에서 피그먼트를 제외한 후, 광학현미경으로 입자를 관찰하였다. 도 1에 개시된 광학현미경 사진을 볼 때, 3~20 ㎛의 다양한 크기의 유화 입자가 존재하였으며, 내부에는 폴리머로 추정되는 구성이 관찰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수분산성 흡유성 폴리머가 내수상에 포집되는 과정에서 유화 입자가 커진 것을 알 수 있으며, 하이드로겔과 같이 수분을 잡는 기능이 증가된 것으로 예상되었다.
실험예 4: 지속성 및 보습성 비교 실험
수분산성 흡유성 폴리머의 적용 여부에 따른 지속성 및 보습성을 비교하기 위해 실시예 1 및 비교예 3을 대상으로 비교 실험하였다.
지속성 평가는 방수지에 각각의 조성물을 균일하게 도포한 뒤 25℃에서 30분 동안 건조시킨 후, 기름종이를 오일 위에 10분간 올려두고 오일이 베어 나오는 정도와 도포된 화장막이 지워지는 정도를 평가하였다. 도 2에 개시된 실시예 1 및 비교예 3의 지속성 평가 결과를 볼 때, 비교예 3에서 기름종이에 묻어나는 오일의 양이 더 많았으며, 도포된 화장막이 더 많이 지워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실시예 1 조성물에서 수분산성 흡유성 폴리머가 도포된 후 잔여 오일을 흡수하면서 지속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보습성 평가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3 조성물을 피부에 균일하게 도포하고 25℃에서 10분간 세팅한 후, 도포 전, 도포 10분 후, 도포 30분 후의 수분량을 각각 Corneometer로 측정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3을 도포 후 시간에 따른 수분량 변화를, 초기 수분량을 기준으로 환산하여,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의 보습성 평가 결과를 볼 때, 실시예 1에서 수분량이 높게 유지되었으며, 도포 30분 후에도 수분량의 감소폭이 적은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지속성 및 보습성 비교 실험을 통해, 수분산성 흡유성 폴리머는 수상 성분을 일정 시간 동안 머금을 수 있어, 급격한 수분 증발로 인한 건조감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휘발성 오일의 사용이 제한된 경우에도, 상기 수분산성 흡유성 폴리머는 도포 후 잔여 오일을 흡수함으로써 화장막을 튼튼하게 형성하고, 이를 통해 외부의 물리적인 요인으로부터 화장막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마스크 묻어남 관련 지속성 평가
마스크 착용 조건에서의 지속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예 1 및 비교예 3의 조성물을 각각 적당량 취하여 피부에 골고루 펴 바른 후, KF-94 마스크를 착용하고 시험 부위(왼쪽, 오른쪽)를 동일한 힘으로 각각 5회씩 터치하였다. 제품이 묻어나는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으며, 또한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여, 실험 결과를 도 4 및 표 7에 나타내었다.
수분산성 흡유성 폴리머 픽셀 값*
실시예 1 O 3569
비교예 3 X 611691
* 마스크 원단에 묻어난 제품의 측정값(Pixel)을 분석함상기 실험 결과, 수분산성 흡유성 폴리머가 적용된 실시예 1에서 마스크 묻어남이 현저하게 적은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6: 관능 평가
실시예 1 및 비교예 3에 대하여, 발림성, 밀착성, 끈적임, 수분감, 지속력, 및 전반적인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30~40대 여성 소비자 20명을 대상으로 5점 척도로 각각의 항목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관능 평가 결과를 볼 때, 발림성, 밀착성, 끈적임, 바른직후 수분감, 시간이 지난 후 느껴지는 촉촉함(쿨링 효과), 지속력, 및 전반적 만족도의 모든 항목에서, 수분산성 흡유성 폴리머가 적용된 실시예 1의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6)

  1. 수분산성 흡유성 폴리머를 내수상에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산성 흡유성 폴리머는 표면이 친수성으로 개질된 흡유성 폴리머인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산성 흡유성 폴리머는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 메칠메타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산성 흡유성 폴리머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15 중량%인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내의 유화 입자의 크기는 1~40 ㎛인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6. (s1) 유상성분을 가열 및 혼합하여 유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및
    (s2) 수분산성 흡유성 폴리머 및 수상성분을 가열 및 혼합하여 수상부를 제조한 후, 상기 수상부를 상기 유상부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분산성 흡유성 폴리머를 내수상에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220026895A 2021-10-20 2022-03-02 내수상에 흡유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2023005654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211223344.XA CN115990121A (zh) 2021-10-20 2022-10-08 在内水相中包含吸油性聚合物的油包水型化妆料组合物
TW111139544A TW202327549A (zh) 2021-10-20 2022-10-18 在內水相中包含吸油性聚合物的油包水型化妝品組合物及其製備方法
PCT/KR2022/015898 WO2023068777A1 (ko) 2021-10-20 2022-10-18 내수상에 흡유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40591 2021-10-20
KR1020210140591 2021-10-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6543A true KR20230056543A (ko) 2023-04-27

Family

ID=86100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6895A KR20230056543A (ko) 2021-10-20 2022-03-02 내수상에 흡유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654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111381T2 (de) Kosmetische zusammensetzungen
JP5430067B2 (ja) ブロックコポリマー、粘着剤、及び高粘度エステルを含有する化粧品組成物
CN112675054A (zh) 一种成膜控油组合物和化妆品
KR101072128B1 (ko)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422758B1 (ko) 유중수형 유화 피부 화장료
JP2011513463A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組成物
KR20150100201A (ko) 화장 지속성 및 유연감이 우수한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N111918643A (zh) 油包水型乳化化妆品
KR102498844B1 (ko) 무기자외선차단제 고함유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JP6669556B2 (ja) 油中水型乳化組成物
KR101450387B1 (ko) 내열성 유중수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
EP1857093A1 (en) Cosmetic skin preparation
KR20230056543A (ko) 내수상에 흡유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20140143005A (ko) 스킨, 로션 및 에센스의 기능과 사용감을 갖는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WO2023068777A1 (ko) 내수상에 흡유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CN113015559A (zh) 化妆品
KR20120057360A (ko) 보습지속력이 우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574547B1 (ko) 무기분체를 안정적으로 내포하는 워터 드롭 매크로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7260981B2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CN113397992A (zh) 防晒组合物及具有防晒组合物的油包水型乳化化妆品
EP4082617A1 (en) Powdery solid cosmetic preparation
TW202128121A (zh) 油中水型乳化化妝料
JP5448500B2 (ja) 凹凸補正化粧料
KR102264174B1 (ko) 내수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JP2020045293A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