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6464A - 비과산화수소수 타입 액상 유지방 제거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과산화수소수 타입 액상 유지방 제거제 - Google Patents

비과산화수소수 타입 액상 유지방 제거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과산화수소수 타입 액상 유지방 제거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6464A
KR20230056464A KR1020210140506A KR20210140506A KR20230056464A KR 20230056464 A KR20230056464 A KR 20230056464A KR 1020210140506 A KR1020210140506 A KR 1020210140506A KR 20210140506 A KR20210140506 A KR 20210140506A KR 20230056464 A KR20230056464 A KR 20230056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lk fat
weight
hydrogen peroxide
composition
type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0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현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오케미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오케미스타 filed Critical (주)바이오케미스타
Priority to KR1020210140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6464A/ko
Publication of KR20230056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646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04Water-soluble compounds
    • C11D3/044Hydroxides or b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72Ethers of polyoxyalkylene glyc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73Anticorrosion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04Water-soluble compounds
    • C11D3/08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04Water-soluble compounds
    • C11D3/10Carbonates ;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03Alcohols; Phenols
    • C11D3/2006Monohydr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03Alcohols; Phenols
    • C11D3/2041Dihydr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11D3/30Amines; Substituted amines ; Quaternized ami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방, 화장실, 욕실 등의 배수관에 고착된 유지방 성분 유래의 스케일을 효과적으로 제거가 가능하면서, 과산화수소수를 포함하지 않아서, 철계, 동계 금속의 배수관의 부식이 없고, 유독 가스 발생이 없거나 최소화한 액상 유지방 제거제 및 이의 제조에 사용되는 조성물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비과산화수소수 타입 액상 유지방 제거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과산화수소수 타입 액상 유지방 제거제{Oil-liquid remover compositon without hydrogen peroxide, and Oil-liquid remover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비과산화수소수 타입 액상 유지방 제거제, 이의 제조에 사용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각종 배수관, 특히, 식당 주방의 싱크대 실의 배수관에는, 동식물성 지방 성분으로 인하여 배관에 고착한 유지방 성분의 스케일이 생성하여, 배수 및 세정수의 흐름을 악화시켜, 심한 경우에는 배수관을 폐색하고, 싱크대 사용 불능 상태가 된다. 또한, 페음식물 유기물은, 세균에 의해 부패하여 악취를 발생한다.
이러한, 배수관에서 발생하는 배수관 막힘현상이나 악취의 주원인으로는, 이는 배수관에 고착되어 있는 유지방성 성분으로 인한 침척고착물 각종 세균들이 근본 원인이다. 악취를 발생시키는 세균은 물, 공기, 온도 및 영양분이 풍부한 배수관에서 24시간 내내 생장하고 번식한다. 싱크대 배관의 유지방 침전물은 세균의 온상이며, 매 20분 마다 세균수가 2배로 증가하기 때문에 효과적인 배수관청결 유지관리제 사용하여 지속적으로 배관을 세척해주어, 막힘 현상과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특히 배수관 안에 물이 내려가는 배수관에는 오랜 시간에 거쳐 유지방 고착물이 원활한 물의 흐름을 방해한다. 유지방스케일이 많아질수록 물의 흐름이 느려지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 배수관이 막히거나 역겨운 냄새의 오물이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종래, 배관 막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배수관 교체하거나, 배수관 공사를 하거나, 지속적인 유지방 제거 작업이나 각종 약품처리 등을 함으로써 많은 비용을 낭비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공사를 하여도 그 효과가 일시적이라 유지방침적물이 다시 발생하게 되고 비용 또한 증가하게 된다. 또한, 강화된 화평법상 과산화수소수 함량의 제한으로 (0.1% 이하 함유제) 인한 유분제거기능 약화로 약품을 기존보다 많이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관리 비용이 증가한다.
예를 들어, 과산화수소 같은 물질을 물과 함께 용융 혼합하여, 주입 유지방세정제가 개발된 바 있으나, 기존 유지방 제거, 방지 약제는 고착 방지 효과는 있어도, 정화조 미생물에 악영향을 미치거나 하는 등의 문제가 있으며, 강화된 화통법상 과산화수소수의 함량이 0.1 중량% 이하로 제한되어 있어서 효능 저하로 인해 유지방 제거가 잘 되어지지 않는 문제와 철계 및 동계 금속에 대한 부식성, 유독가스 등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기존 유지방 제거제의 문제점인 과산화수소수 사용으로 인한 철계 및 동계 금속에 대한 부식성을 방지 및 화통법상 과산화수소수 함량 제한으로 인한 유지방제거 효율 저하 문제 그리고 과산화수소수 사용으로 인한 가스 발생이 없는 유지방 제거에 최적 조성 및 조성비를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유지방 제거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액상 유지방 제거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과산화수소수 타입 액상 유지방 제거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알칼리 무기염, 유기계 분산제, 침투성 유화제, 유화 작용제, 금속 부식방지제 및 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비과산화수소수 타입 액상 유지방 제거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로 제조한 유지방 제거제는 액상으로서, 과산화수수소 성분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싱크대에 있는 배관 등을 구성하는 철계, 동계 등의 금속 제품에 대한 부식성을 최소화 내지 방지할 수 있으며, 과산화수소수의 분해 인해 발생하는 인체에 해로운 가스 등의 유독가스 발생이 없으면서도, 유지방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유지방 제거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과산화수소수의 분해로 인한 gas 발생에 따른 밀폐보관시의 가스 팽창에 따른 포장 문제와 장기 보관시 약효의 지속성 저하에 따른 성능 저하 문제를 개선할 수 있으며, 부영양화 물질 중 하나인 인산염계 분산제가 아닌 유기계 분산제를 사용하는 바, 친환경적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비과산화수소계 유지방 제거제 조성물(이하, '조성물'로 칭함)은 칼리 무기염, 유기계 분산제, 침투성 유화제, 유화 작용제, 금속 부식방지제 및 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 성분 중 상기 알카리 무기염은 유지방 성분 중 하나인 식물성 기름성분을 용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소듐 하이드록사이드(Sodium Hydroxide), 포타슘 하이드록사이드(Potassium Hydroxide), 포타슘 실리케이트(Potassium Silicate), 소듐 실리케이트(Sodium Silicate), 소듐 메타실리케이트(Sodium MetaSilicate) 및 소듐 카보네이트(Sodium Carbonat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소듐 메타실리케이트 및 수산화나트륨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조성물 내 알카리 무기염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중 1 ~ 5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 3.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1.4 ~ 2.8 중량%,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1.6 ~ 2.6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알카리무기염 함량이 1 중량% 미만이면 유지방과의 반응 속도 저하 문제가 있을 수 있고, 5 중량%를 초과하면 오히려 배관 내에 침전물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 성분 중 상기 유기계 분산제는 물 속의 금속성 물질의 제거와 액상 유지방 제거제 내 침전물 형성 방지를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에틸렌다이아민아세틱액시드 소듐염(Ethylenediamineacetic acid sodium salt), 나이트릴로트리아세틱액시드 소듐염(Nitrilotriacetic acid sodium salt) 및 아크릴레이트 폴리머(Acrylate polymer)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틸렌디아민아세틱액시드 소듐염 및 아크릴레이트 폴리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조성물 내 유기계 분산제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중 상기 0.1 ~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2 ~ 0.8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25 ~ 0.6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유기계 분산제 함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이의 사용으로 인한 침전물 형성 방지 효과가 없거나 미비할 수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더라도 더 이상의 침전물 형성 방지 효과 증대가 없으면서 오히려 유지방 제거 효과가 감소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 성분 중 상기 침투성 유화제는 침착된 유지방의 배관 부착 방지 및 박리 효율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침투성 유화제는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Polyoxyethylene lauryl ether),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 에테르(Polyoxyethylene oleyl ether), 폴리옥시에틸렌 트리데실 에테르(Polyoxyethylene tridecyl ether),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릴 에테르(Polyoxyethylene stearyl ether) 및 선형 알킬벤젠 설포네이트염(Linear alkylbenze sulphonate salt)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 에테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조성물 내 침투성 유화제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중 0.05 ~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 0.8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 ~ 0.4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침투성 유화제의 함량이 0.05 중량% 미만이면 침착된 유지방의 침착 방지 효과가 미비한 문제가 있을 수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과다 거품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 성분 중 상기 유화 작용제는 유지방 제거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2-(2-부톡시에톡시)-에탄올(2-(2-butoxyethoxy)-ethanol), 2-에톡시에탄올(2-Ethoxyethanol), 디에틸렌 글리콜(Diethylene glycol) 및 프로필렌 글리콜 에테르(Propylene glycol ether)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조성물 내 유지방성분 유화제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중 2.0 ~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2.2 ~ 4.2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 3.8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유지방 유화제 함량이 2 중량% 미만이면 그 사용량이 너무 미비하여, 유지방 제거 효과가 좋지 않아서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5.0 중량%를 초과 사용하는 것은 과다 사용이며, 이로 인해 조성액의 알카리 염류와 반응하여 결정성 침전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함량 범위 이내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 성분 중 상기 금속 부식방지제는 본 발명의 액상 유지방 제거제가 사용되는 금속계 배관의 부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모노(C1~C3의 알칸올)아민, 디(C1~C3의 알칸올)아민 및 트리(C1~C3의 알칸올)아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모노(C2~C3의 알칸올)아민, 디(C2~C3의 알칸올)아민 및 트리(C2~C3의 알칸올)아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및 트리에탄올아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조성물 내 금속 부식방지제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중 2.0 ~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3.0 ~ 5.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 5.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금속 부식방지에 함량이 2.0 중량% 미만이면 그 사용량이 너무 미비하여, 금속 부식 방지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6.0 중량%를 초과하면 과다 사용으로 인해 조성액에 층분리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함량 범위 이내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 중 물은 알칼리 무기염, 유기계 분산제, 침투성 유화제, 유화 작용제, 금속 부식방지제를 제외한 조성물 전체 중량 중 나머지 잔량으로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혼합 및 교반하여 제조한 본 발명의 비과산화수소수계 유지방 제거제는 액상 타입으로서 무색 또는 유백색의 투명 액체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유지방 제거제는 pH 11.5 ~ 13.0, 바람직하게는 pH 11.8 ~ 12.9, 더욱 바람직하게는 pH 12.0 ~ 12.8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지방 제거제는 비중이 1.01 ~ 1.03이다.
또한, 본 발명의 유지방 제거제는 25℃에서 점도가 0.5 ~ 2.5 cps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을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하여 해석해서는 안 된다.
[실시예]
실시예 1 : 액상의 비과산화수소수 함유 유지방 제거제의 제조
알칼리 무기염인 소듐메타실리케이트 1.8 중량%, 유기계 분산제로서 에틸렌디아민아세틱액시드 소듐염(Ethylenediamineacetic acid sodium salt) 0.3 중량%, 침투성 유화제로서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Polyoxyethylene lauryl ether) 0.2 중량%, 유화 작용제인 디에틸렌부틸에테르(2-(2-Butoxyethoxy)-Ethanol) 3.0 중량%, 금속 부식방지제로서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4.0 중량% 및 잔량의 물(water)을 혼합 및 교반하여 pH 12.0, 비중 1.02 및 25℃에서의 점도 0.6 cps 인 무색의 투명한 액상의 비과산화수소수 함유 유지방 제거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10 및 비교예 1 ~ 1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성분으로 액상의 비과산화수소수계 유지방 제거제를 제조하되, 하기 표 1과 같은 함량으로 액상의 비과산화수소수계 유지방 제거제를 각각 제조하여 실시예 2 ~ 10 및 비교예 1 ~ 11를 각각 실시하였다.
구분
(중량%)
알카리
무기염
유기계
분산제
침투성
유화제
유화
작용제
금속
부식방지제
실시예 1 1.8 0.3 0.2 3 4 100 중량% 중 나머지 잔량
실시예 2 2.5 0.3 0.2 3 4
실시예 3 1.8 1 0.2 3 4
실시예 4 1.8 0.3 0.15 3 4
실시예 5 1.8 0.3 0.4 3 4
실시예 6 1.8 0.3 0.2 2 4
실시예 7 1.8 0.3 0.2 4.8 4
실시예 8 1.8 0.3 0.2 3 3
실시예 9 1.8 0.3 0.2 3 5.5
비교예 1 0.5 0.3 0.2 3 4
비교예 2 3.8 0.3 0.2 3 4
비교예 3 1.8 2.0 0.2 3 4
비교예 4 1.8 0.3 0.1 3 4
비교예 5 1.8 0.3 0.5 3 4
비교예 6 1.8 0.3 0.2 1.5 4
비교예 7 1.8 0.3 0.2 5.2 4
비교예 8 1.8 0.3 0.2 3 1.5
비교예 9 1.8 0.3 0.2 3 7.0
실험예 : 물성 측정
상기 실시예 1 ~ 9 및 비교예 1 ~ 11에서 제조한 유지방 제거제의 물성, 철계 금속 제품에 대한 부식성 정도 및 유지방제거 효과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1) 부식성 정도 측정은 유지방 제거제용액 100ml에 금속시편(철) 10g짜리를 침적시킨 후 120시간 후의 부식으로 감소된 무게 변화량을 측정하여 중량%로 표시하였다.
(2) 유지방제거 효과는 요석제거제 100ml에 유지방덩어리 10g을 침적시킨 후 48 시간 후의 잔류량을 측정하여 유지방 제거율을 %로 표시하였습니다.
(3)장기보존 안정성은 유지방 제거제를 25℃에서 60일간 방치시켰을 때, 침전물 발생 여부로 측정하였으며, 침전물이 발생하지않은 경우 O로 표시하고, 침전물이 발생하여 제품안정성이 떨어진 경우 X 으로 표시하였다.
구분 pH 점도(cps) 유지방 제거율% 철계 금속 부식율 제품 안정성
실시예 1 12.0 0.6 87% 0.03
실시예 2 12.6 0.7 89% 0.08
실시예 3 12.8 1 87% 0.08
실시예 4 12.0 0.6 81% 0.09
실시예 5 12.0 0.6 88% 0.08
실시예 6 12.0 0.6 82% 0.08
실시예 7 12.0 0.6 92% 0.03
실시예 8 12.0 0.6 80% 0.22
실시예 9 12.0 0.6 90% 0.02
비교예 1 12.3 0.6 75% 0.07
비교예 2 12.8 0.9 89% 0.03 ×
비교예 3 12.0 0.7 86% 0.03
비교예 4 12.0 0.3 81% 0.03
비교예 5 12.0 0.3 88% 0.04
비교예 6 12.0 0.3 72% 0.03 ×
비교예 7 12.0 0.3 93% 0.03 ×
비교예 8 11.8 0.4 77% 1.74
비교예 9 12.4 1.2 85% 0.01 ×
상기 표 2의 유지방제거율 측정 결과를 실시예 1-9 은 철계금속에 대한 부식성이 매우 낮으며, 85% 이상의 유지방제거 효율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해, 무기염 함량이 1.8 중량 % 미만인 0.5 중량%로 사용한 비교예 1의 경우,실시예 1과 비교해서, 유지방 제거율이 크게 감소하는 문제가 있었으며,무기염 함량이 1.8 중량% 초과한 3.8중량%로 사용한 비교예 2의 경우, 실시예 1 및 실시예 2(2.5중량%)와 비교할 때,무기염 함량이 1.8중량% 초과한 3.8중량%로 사용한 비교예 2의 경우, 실시예 1 및 실시예2(2.5중량%)와 비교할 때,유지방 제거율은 다소 증가하나, 침전물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문제가 있음을 확인할수 있었다.
또한, 유기계 분산제를 1.0 중량% 초과한 2.0 중량%로 사용한 비교예 3의 경우,실시예 1(0.3 중량%) 및 실시예 3(1 중량%)와 비교할 때, 침전물 분산효과는 크게 증가하지 않은 미비한 결과를 보이면서 오히려 유지방 제거율이 다소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으며, 유기계 분산제의 함량 변화는 철계 금속 부식 방지에는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침투성 유화제를 0.2 중량% 미만인 0.1 중량% 로만 사용한 비교예 4의 경우, 실시예 1(0.2 중량%)와 비교할 때, 유지방 제거율이 크게 감소하는 문제가 있었고, 침투성 유화제를 0.3 중량% 초과한 0.5 중량%를 사용한 비교예 5의 경우,실시예 1(0.2 중량%) 및 실시예 5(0.40 중량%)와 비교할 때, 유지방 제거 후 배관을 물로 씻어낼 때 잔류 약품에 의해 과다하게 거품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유화 작용제를 2 중량% 미만인 1.5 중량%로 사용한 비교예 6의 경우,실시예 1(3 중량%) 및 실시예 6(2 중량%)와 비교할 때, 유지방 제거효율이 80% 미만으로 크게 감소하는 문제가 있었는데, 이는 유지방 제거제에 대한 유지방의 용해성이 저하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유화 작용제를 5.0 중량% 초과 사용한 비교예 7의 경우, 실시예 1(3 중량%) 및 실시예 7(4.8 중량%)와 비교할 때, 유지방 제거율은 매우 우수하나, 장기보전시 약품의 층분리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금속 부식방지제를 2.0 중량% 미만인 1.5 중량%만 사용한 비교예 8의 경우, 실시예 1(4 중량%) 및 실시예 8(3 중량%)와 비교할 때, 금속 부식 효과가 크게 감소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금속 부식방지제 6 중량%를 초과한 7.0 중량% 사용한 비교예 9의 경우, 실시예 1(4.0중량%) 및 실시예 9(5.5 중량%)와 비교할 때, 부식성 방지 증대 효과 및 유지방제 거율의 증대 효과가 있었으나. 장기보관시 층분리가 발생하여 장기보전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Claims (9)

  1. 알칼리 무기염 1.0 ~ 5.0 중량%, 유기계 분산제 0.1 ~ 1.0 중량%, 침투성 유화제 0.05 ~ 0.30 중량%, 유화 작용제 2.0 ~ 5.0 중량%, 금속 부식방지제 2.0 ~ 6.0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과산화수소수 타입 액상 유지방 제거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무기염은 소듐 하이드록사이드(Sodium Hydroxide), 포타슘 하이드록사이드(Potassium Hydroxide), 포타슘 실리케이트(Potassium Silicate), 소듐 실리케이트(Sodium Silicate), 소듐 메타실리케이트(Sodium MetaSilicate) 및 소듐 카보네이트(Sodium Carbonat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과산화수소수 타입 액상 유지방 제거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계 분산제는 에틸렌다이아민아세틱액시드 소듐염(Ethylenediamineacetic acid sodium salt), 나이트릴로트리아세틱액시드 소듐염(Nitrilotriacetic acid sodium salt) 및 아크릴레이트 폴리머(Acrylate polymer)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과산화수소수 타입 액상 유지방 제거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투성 유화제는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Polyoxyethylene lauryl ether),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 에테르(Polyoxyethylene oleyl ether), 폴리옥시에틸렌 트리데실 에테르(Polyoxyethylene tridecyl ether),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릴 에테르(Polyoxyethylene stearyl ether) 및 선형 알킬벤젠 설포네이트염(Linear alkylbenze sulphonate salt)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과산화수소수 타입 액상 유지방 제거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 작용제 2-(2-부톡시에톡시)-에탄올(2-(2-butoxyethoxy)-ethanol), 2-에톡시에탄올(2-Ethoxyethanol), 디에틸렌 글리콜(Diethylene glycol) 및 프로필렌 글리콜 에테르(Propylene glycol ether)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과산화수소수 타입 액상 유지방 제거제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부식방지제는 모노(C1~C3의 알칸올)아민, 디(C1~C3의 알칸올)아민 및 트리(C1~C3의 알칸올)아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과산화수소수 타입 액상 유지방 제거제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무색 또는 유백색의 투명 액체이며,
    pH 11.5 ~ 13.0 및 비중 1.01 ~ 1.0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과산화수소수 타입 액상 유지방 제거제.
  8. 제7항에 있어서, 25℃에서 점도 0.5 ~ 2.5 c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과산화수소수 타입 액상 유지방 제거제.
  9. 제1항 내지 제6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혼합 및 교반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과산화수소수 타입 액상 유지방 제거제.
KR1020210140506A 2021-10-20 2021-10-20 비과산화수소수 타입 액상 유지방 제거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과산화수소수 타입 액상 유지방 제거제 KR202300564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506A KR20230056464A (ko) 2021-10-20 2021-10-20 비과산화수소수 타입 액상 유지방 제거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과산화수소수 타입 액상 유지방 제거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506A KR20230056464A (ko) 2021-10-20 2021-10-20 비과산화수소수 타입 액상 유지방 제거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과산화수소수 타입 액상 유지방 제거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6464A true KR20230056464A (ko) 2023-04-27

Family

ID=86100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0506A KR20230056464A (ko) 2021-10-20 2021-10-20 비과산화수소수 타입 액상 유지방 제거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과산화수소수 타입 액상 유지방 제거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646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2922B1 (ko) 알칼리 조건하에서의 알루미늄 또는 착색된 금속 및 그의합금의 표면용 세척 및 부식 억제 시스템 및 조성물
EP2807323B1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water systems
US9103038B2 (en) Acidic compositions including reducing agents for scale and decolorization of metal stains
EP1196033B1 (en) A composition and method for cleaning surfaces
CN106479718A (zh) 一种去异味高效液体管道疏通剂及其制备方法
CN103069050A (zh) 除锈组合物
JPS59162282A (ja) アルカリ性洗浄組成物
CN107760290A (zh) 用于油田水处理系统的杀菌缓蚀剂及其制法与应用
CN111472006B (zh) 用于核电消防水系统碳钢管道的清洗组合物及制备方法
CN109618551A (zh) 用于处理水系统的组合物、系统和方法
JP5422882B2 (ja) 殺菌洗浄剤組成物
CN107998823A (zh) 油田用多功能硫化氢吸收剂及其制备方法
CA2642512A1 (en) Method and composition for removing biological fouling from surfaces in contact with water
KR20230056464A (ko) 비과산화수소수 타입 액상 유지방 제거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과산화수소수 타입 액상 유지방 제거제
US20090223892A1 (en) Use of nitrate salts for suppressing disturbing odours
JP4907180B2 (ja) 水性液体洗浄剤組成物
CN110551578A (zh) 一种瓷砖消毒清洁剂
KR101582215B1 (ko) 락트산을 포함한 친환경 세척제 조성물
KR102237115B1 (ko) 비염산계 요석제거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염산계 액상 요석제거제
JPH04135559A (ja) 人工透析の医療機器の消毒洗浄剤
JP2010065017A (ja) 配管洗浄殺菌剤組成物
CN102863090A (zh) 一种用于低硬度水的缓蚀阻垢剂及其制备方法
JP5654892B2 (ja) トイレ用除菌洗浄剤組成物
KR20110087656A (ko) 남자 소변기용 요석제거제
WO2022245812A1 (en) Multifunctional cleaner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