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6386A - 스트립 권취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스트립 권취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6386A
KR20230056386A KR1020210140371A KR20210140371A KR20230056386A KR 20230056386 A KR20230056386 A KR 20230056386A KR 1020210140371 A KR1020210140371 A KR 1020210140371A KR 20210140371 A KR20210140371 A KR 20210140371A KR 20230056386 A KR20230056386 A KR 20230056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frame
guide roll
frame
uni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0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10140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6386A/ko
Publication of KR20230056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63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02Winding-up or coiling
    • B21C47/04Winding-up or coiling on or in reels or drums, without using a moving guide
    • B21C47/045Winding-up or coiling on or in reels or drums, without using a moving guide in rotat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02Winding-up or coiling
    • B21C47/10Winding-up or coiling by means of a moving guide
    • B21C47/14Winding-up or coiling by means of a moving guide by means of a rotating guide, e.g. laying the material around a stationary reel or drum
    • B21C47/146Controlling or influencing the laying pattern of the c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07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involving treatment or provisions in order to avoid deformation or air inclusion, e.g. to improve surface qu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Abstract

스트립 권취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스트립 권취 장치는 스트립 및 간지가 권취되는 텐션릴, 텐션릴 상부에 마련되어 간지를 제공하는 페이퍼릴, 페이퍼릴과 텐션릴 사이에 마련되어 간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롤, 가이드롤의 양측단에 구비되어 가이드롤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며 가이드롤과 일체로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한 쌍의 지지유닛 및 한 쌍의 지지유닛을 이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고, 지지유닛은 구동유닛에 연결되어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메인프레임과, 가이드롤과 결합되고, 제1 메인프레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1 메인프레임과 연결되는 제2 메인프레임과, 제2 메인프레임을 제1 메인프레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구동실린더가 구비된 구동부를 포함하는 스트립 권취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트립 권취 장치 및 그 작동 방법{STEEL STRIP WIND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스트립 권취 장치 및 그 작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트립 권취 시 스트립 사이에 간지를 주름 없이 삽입시킬 수 있는 스트립 권취 장치 및 그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테인레스강 냉연공정에서 얇은 판 형상으로 생산되는 스테인레스강 스트립은 소둔 및 산세 라인을 거쳐 스케일층을 제거한 후 운반, 저장 등의 편의를 위하여 권취하여 코일 상으로 말아 놓는다.
스테인레스강 스트립의 표면은 매우 매끄럽기 때문에 권취 작업시 스트립과 스트립 사이의 접촉면에서 슬립이 발생되면서 완제품에 치명적인 결합 및 손상을 주게 된다. 이에 따라 스테인레스강 스트립을 권취하는 과정에서 스트립들 사이에 간지를 삽입시키는 공정을 병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스테인레스강 스트립이 권취되는 텐션릴의 상측에 페이퍼가 권취된 페이퍼릴을 설치하여 스트립이 텐션릴에 권취될 때, 간지가 스테인레스강 스트립 사이에 삽입된다. 이때, 스트립의 권취과정에서 스트립과 간지는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간지에 주름이 발생하지 않고, 스트립과 스트립간의 접촉, 마찰 등에 의한 결함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간지 삽입 과정에서 간지에 주름이 발생되고, 이러한 주름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간지가 스테인레스강 스트립과 함게 권취되면, 간지의 주름과 접촉되는 스트립 표면 상에 결함이 발생하는 바,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78746호(2007. 11. 23. 공고)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스트립 권취 시 스트립의 사이에 간지를 평평한 상태로 삽입하여 스트립 사이로 주름진 상태의 간지가 삽입되어 스트립의 표면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트립 권취 장치 및 그 작동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가이드롤의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어, 간지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간지에 주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트립 권취 장치 및 그 작동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스트립 사이에 간지를 삽입하여 스트립의 권취 시 제품 결함을 줄이며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트립 권취 장치 및 그 작동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스트립 및 간지가 권취되는 텐션릴; 상기 텐션릴 상부에 마련되어 간지를 제공하는 페이퍼릴; 상기 페이퍼릴과 상기 텐션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간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롤; 상기 가이드롤의 양측단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롤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며 상기 가이드롤과 일체로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한 쌍의 지지유닛; 및 상기 한 쌍의 지지유닛을 이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구동유닛에 연결되어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메인프레임과, 상기 가이드롤과 결합되고, 상기 제1 메인프레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메인프레임과 연결되는 제2 메인프레임과, 상기 제2 메인프레임을 상기 제1 메인프레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종방향으로 이동 시키는 제1 구동실린더가 구비된 구동부를 포함하는 스트립 권취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스트립 및 간지가 권취되는 텐션릴; 상기 텐션릴 상부에 마련되어 간지를 제공하는 페이퍼릴; 상기 페이퍼릴과 상기 텐션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간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롤; 상기 가이드롤의 일측단 및 타측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롤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며 상기 가이드롤과 일체로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및 제2 지지유닛; 및 상기 제1 및 제2 지지유닛을 이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유닛은 상기 구동유닛에 연결되어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메인프레임과, 상기 가이드롤과 결합되며, 상기 제1 메인프레임에 상대적으로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 메인프레임과, 상기 제2 메인프레임을 상기 제1 메인프레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구동실린더가 구비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유닛은 상기 가이드롤과 결합되어 상기 제2 메인프레임과 일체로 종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보조프레임을 포함하는 스트립 권취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메인프레임은 종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메인프레임은 상기 제1 돌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함몰 형성되는 제1 함몰부를 포함하는 스트립 권취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제1 메인프레임은 상기 구동유닛과 연결되며 횡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제1 홈를 포함하는 제1 메인블록과, 상기 제2 메인프레임과 연결되며, 상기 제1 홈와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된 제1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메인블록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메인블록과 연결되는 제2 메인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2 메인블록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스트립 권취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유닛은 상기 구동유닛 및 상기 제1 보조프레임과 연결되는 제2 보조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보조프레임은 돌출 형성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보조프레임은 상기 제2 돌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함몰 형성되되, 상기 제2 돌출부의 종방향 길이보다 큰 종방향 길이를 갖는 제2 함몰부를 포함하는 스트립 권취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보조프레임은 상기 구동유닛과 연결되며 횡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제2 홈를 포함하는 제1 보조블록과, 상기 제1 보조프레임과 연결되며, 상기 제2 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된 제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보조블록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보조블록과 연결되는 제2 보조블록을 더 포함하는 스트립 권취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지유닛 및 상기 구동유닛을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스트립 권취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메인프레임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따라 구름 이동되는 가이드휠을 더 포함하는 스트립 권취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한쌍의 제1 메인프레임과 연결되는 볼스크류와, 상기 볼스크류와 나사결합되는 스크류잭과, 상기 볼스크류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스트립 권취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실린더 및 상기 제2 구동실린더 중 적어도 하나는 토크 리미터가 구비된 스트립 권취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제1항에 있어서, 양측 단부가 상기 한 쌍의 지지유닛에 각각 지지되는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스트립 권취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하방을 향해 경사지게 마련되는 가이드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스트립 권취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간지의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정보를 통해 상기 구동유닛 및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스트립 권취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스트립 및 간지를 권취하는 단계; 상기 간지의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구동유닛을 구동시켜 가이드롤을 지지하는 제1 및 제2 지지유닛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제1 구동실린더를 구동시켜 상기 제1 지지유닛의 제1 메인프레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제1 지지유닛의 제2 메인프레임을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제2 구동실린더를 구동시켜 상기 제1 메인프레임의 제1 메인블록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가이드롤과 결합되는 제2 메인블록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트립 권취 장치 작동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메인프레임을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가이드롤과 결합되는 상기 제2 지지유닛의 제1 보조프레임을 제2 보조프레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종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2 메인블록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보조프레임과 연결되어 있는 제2 보조블록을 제1 보조블록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트립 권취 장치 작동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스트립 권취 장치 및 그 작동 방법은 스트립 권취 시 스트립의 사이에 간지를 평평한 상태로 삽입하여 스트립 사이로 주름진 상태의 간지가 삽입되어 스트립의 표면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스트립 권취 장치 및 그 작동 방법은 가이드롤의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어, 간지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간지에 주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스트립 권취 장치 및 그 작동 방법은 스트립 사이에 간지를 삽입하여 스트립의 권취 시 제품 결함을 줄이며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트립 권취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트립 권취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스트립 권취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스트립 권취 장치의 제1 및 제2 지지유닛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제1 지지유닛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제1 지지유닛의 제1 메인프레임과 제2 메인프레임의 일부 구성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제2 지지유닛의 분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며, 여기서 제시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할 수 있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트립 권취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트립 권취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2 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트립 권취 장치(1)는 스트립 및 간지가 권취되는 텐션릴(10), 텐션릴(10) 상부에 마련되어 간지를 제공하는 페이퍼릴(20), 페이퍼릴(20)과 텐션릴(10) 사이에 마련되어 간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롤(30), 가이드롤(30)의 양측단에 구비되어 가이드롤(30)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며 가이드롤(30)과 일체로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한 쌍의 지지유닛(100) 및 한 쌍의 지지유닛(100)을 이동시키는 구동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텐션릴(10)은 냉간 압연 공정에서 생산된 스트립이 이송되어 권취되는 수단으로 구동 수단, 일 예로 텐션릴(10) 회전 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스트립과 간지를 동시에 권취한다. 페이퍼릴(20)은 권취되어 있는 코일형의 간지를 언와인딩 시켜서 텐션릴(10)에 공급시키는 수단이다. 이때, 간지의 형태는 코일형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마련되어 간지를 텐션릴(10)에 공급할 수 있다.
가이드롤(30)은 페이퍼릴(20)과 텐션릴(10) 사이에 마련되어 간지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가이드롤(30)은 페이퍼롤에서 간지가 언와인딩 되는 지점과 간지가 텐션릴(10)에 권취되는 지점의 중간에 배치되어 간지와 선접촉된 상태에서 간지를 소정의 압력으로 밀어 줌에 따라 간지에 소정의 텐션을 부여할 수 있다. 간지에 소정의 텐션을 부여하여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간지에 주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트립 사이에 간지를 평평한 상태로 삽입하여 스트립의 표면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스트립간 접촉, 마찰 등에 의한 결함을 방지할 수 있다.
스트립 권취 장치(1)는 텐션릴(10), 페이퍼릴(20), 지지유닛(100) 또는 구동유닛(200)을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4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40)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형상에 국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베이스프레임(40)과 각 텐션릴(10), 페이퍼릴(20), 지지유닛(100) 또는 구동유닛(200)의 결합형태 또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에 국한되지 않는다.
가이드롤(30)은 지지유닛(10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구동유닛(200)에 의해 지지유닛(100)이 횡방향으로 이동할 때 지지유닛(100)과 일체로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롤(30)은 가이드롤(30)과 지지유닛(100) 사이에 마련된 지지부재(31)를 통해 지지유닛(10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지지부재(31)는 지지유닛(100)에 볼트 및 너트로 연결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롤(30)은 후술할 지지유닛(100)의 제2 메인프레임(120)에 결합되어 제1 구동실린더(151)에 의해 제1 메인프레임(1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제2 메인프레임(120)과 함께 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이드롤(30)의 위치를 세부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간지에 소정의 텐션을 정밀하게 부여하여 간지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유닛(100)은 가이드롤(30)의 양측단에 구비되어 가이드롤(30)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며 가이드롤(30)과 일체로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지지유닛(100)은 구동유닛(200)에 의해 전방(도2 기준 우측방향) 및 후방(도2 기준 좌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롤(30)과 일체로 횡방향으로 이동하여 가이드롤(3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가이드롤(30)의 위치를 조절하여 간지에 소정의 텐션을 부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간지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간지에 주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각각의 지지유닛(100)은 구동유닛(200)에 연결되어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메인프레임(110)과, 가이드롤(30)과 결합되고, 제1 메인프레임(1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1 메인프레임(110)과 연결되는 제2 메인프레임(120)과, 제2 메인프레임(120)을 제1 메인프레임(1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구동실린더(151)가 구비된 구동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메인프레임(110)의 일측은 구동유닛(200)과 연결되며 타측은 가이드롤(30)과 결합되어 있는 제2 메인프레임(120)과 연결될 수 있다. 구동유닛(200)에 의해 제1 메인프레임(110)은 제2 메인프레임(120)과 일체로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2 메인프레임(120)에 연결되어 있는 가이드롤(30)도 함께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가이드롤(30)의 횡방향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메인프레임(110)은 베이스프레임(40)을 따라 구름 이동되는 가이드휠(130)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유닛(200)에 의해 지지유닛(100)이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가이드휠(130)이 베이스프레임(40)을 따라 슬라이딩 또는 구름 이동하게 마련하여 지지유닛(100)을 베이스프레임(40)에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메인프레임(110)은 제2 메인프레임(120)이 제1 메인프레임(1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2 메인프레임(120)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메인프레임(120)이 제1 메인프레임(1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횡방향으로 승하강 이동 가능하게 마련하여, 제2 메인프레임(120)에 결합되어 있는 제1 가이드롤(30)도 제2 메인프레임(120)과 함께 제1 메인프레임(1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횡방향으로 승하강 이동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이드롤(30)의 종방향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제1 메인프레임(110)은 종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돌출부(111)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메인프레임(120)은 제1 돌출부(111)에 대응하는 위치에 함몰 형성되는 제1 함몰부(11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함몰부(1121)에 제1 돌출부(111)가 삽입되어 제1 메인프레임(110)과 제2 메인프레임(120)이 연결되며, 제1 구동실린더(151)에 의해 제2 메인프레임(120)은 제1 메인프레임(1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종방향으로 승하강 이동 할 수 있다. 이때 제1 함몰부(1121)와 제1 돌출부(111)의 형태는 도면에 도시된 바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함몰부(1121) 또는 제1 함몰부(1121)에 롤러를 설치하여 제2 메인프레임(120)이 제1 메인프레임(110)에 슬라이딩 또는 구름 이동가능하도록 마련할 수 있다.
제1 메인프레임(110)은 일측은 구동유닛(200)과 연결되며 타측은 제2 메인블록(113)과 연결되는 제1 메인블록(112)과, 일측은 제1 메인블록(112)과 연결되며 타측은 제2 메인프레임(120)과 연결되는 제2 메인블록(1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메인블록(112)은 횡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제1 홈(112a)을 포함하고, 제2 메인블록(113)은 제1 홈(112a)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된 제1 돌기(113a)를 포함한다. 제1 홈(112a)에 제1 돌기(113a)가 삽입되며, 제2 구동실린더(152)에 의해 제2 메인블록(113)은 제1 메인블록(11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제2 메인블록(113)은 가이드롤(30)이 연결된 제2 메인프레임(120)과 연결되어 있어, 제2 메인블록(113)은 가이드롤(30)과 일체로 제1 블록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제2 메인프레임(120)에 연결된 가이드롤(30)은 구동유닛(200)에 의하여 제1 메인프레임(110)과 일체로 전후방으로 진퇴이동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와 별도로, 가이드롤(30)은 제1 구동실린더(151)에 의하여 제1 메인프레임(1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종방향으로 승하강 이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제2 구동실린더(152)에 의하여 제1 메인블럭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동유닛(200)과 함께 제1 구동실린더(151) 또는 제2 구동실린더(152)를 통해 가이드롤(30)의 위치를 세부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가이드롤(30)을 통해 간지에 부여되는 텐션을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고, 간지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간지에 주름이 생기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2 메인프레임(120)은 가이드롤(30)과 결합된다. 지지유닛(100)과 가이드롤(30) 사이에 마련된 지지부재(31)를 통해 제2 메인프레임(12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지지부재(31)는 지지유닛(100)에 볼트 및 너트로 연결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메인프레임(120)은 제1 블록부에 형성된 제1 돌출부(111)와 대응하는 위치에 함몰 형성되는 제1 함몰부(11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함몰부(1121)에 제1 돌출부(111)가 삽입되어 제1 메인프레임(110)과 제2 메인프레임(120)이 연결되며, 제1 구동실린더(151)에 의해 제2 메인프레임(120)은 제1 메인프레임(1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종방향으로 승하강 이동 할 수 있다. 이때 제2 메인프레임(120)에 결합된 가이드롤(30)도 제1 메인프레임(1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승하강 이동 할 수 있다. 또한, 제2 메인프레임(120)은 제1 메인프레임(110)의 제2 메인블록(113)과 연결되어, 제2 메인블록(113)의 이동에 따라 제2 메인프레임(120)에 연결된 가이드롤(30)도 제1 메인블록(11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동부(150)는 제1 메인프레임(110)에 마련되어 제2 메인프레임(120)을 제1 메인프레임(1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종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제1 구동실린더(151)와, 베이스프레임(40)에 마련되어 제2 메인블록(113)을 제1 메인블록(11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실린더(1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실린더(151)는 일측이 제1 메인프레임(110)과 연결되며, 타측이 제2 메인프레임(120)과 연결되어, 관리자의 제어에 따라 제2 메인프레임(120)을 제1 메인프레임(1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종방향으로 승하강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구동실린더(152)는 일측이 제1 메인프레임(110)의 제2 메인블록(113)과 연결되며, 타측이 베이스프레임(40)과 연결되어 관리자의 제어에 따라 제2 메인블록(113)을 제1 메인블록(11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유닛(200)에 의해 지지유닛(100)이 가이드롤(30)과 일체로 횡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2 구동실린더(152)도 지지유닛(100)의 이동방향에 따라 로드가 신장 또는 수축된다. 이후 구동유닛(200)의 작동을 멈춘 후에 가이드롤(30)의 세부 위치 조절이 필요한 경우, 관리자의 제어에 따라 제2 구동실린더(152)를 추가로 작동시켜 제2 메인블록(113)을 제1 메인블록(11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횡방향으로 이동시켜 가이드롤(30)의 세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구동실린더(151) 또는 제2 구동실린더(152)는 토크 리미터(151a, 152a)를 포함할 수 있다. 토크 리미터(151a, 152a)를 마련함으로써, 제1 구동실린더(151)와 제2 구동실린더(152)가 일정 이상으로 신장 또는 신축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구동실린더(151) 또는 제2 구동실린더(152)의 과부하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지에 과도한 텐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동유닛(200)은 베이스프레임(40)에 지지되며, 지지유닛(100)을 전후방으로 진퇴이동 시킬 수 있다. 구동유닛(200)은 한 쌍의 제1 메인프레임(110)과 연결되는 볼스크류(210)와, 볼스크류(210)와 나사결합되는 스크류잭과, 볼스크류(21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볼스크류(210)는 지지유닛(100)의 횡방향 이동방향 및 횡방향 이동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구동모터(220)는 볼스크류(210)의 일측에 마련되어 볼스크류(210)를 회전시켜 한 쌍의 지지유닛(100)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메인블록(112)은 볼스크류(210)가 관통 및 삽입되며 내부에 제1 나사산(141)이 형성되는 연결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고, 볼스크류(210)는 외주면에 제1 나사산(141)과 맞물리는 제2 나사산(211)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40)의 양측에 구동모터(220)를 마련하여 지지유닛(100) 각각을 이동시킬 수 있지만 스크류잭과 스크류잭에 결합되는 볼스크류(210)를 통하여 베이스프레임(40)의 일측에만 구동모터(220)를 마련하고, 구동모터(220)와 연결되는 볼스크류(210)와 3방향 스크류잭을 통하여 양측에 마련된 지지유닛(100)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할 수 있다.
스트립 권취 장치(1)는 양측 단부가 한 쌍의 지지유닛(100)에 지지되는 지지프레임(5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50)은 가이드롤(30)의 상부 및 하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위치가 가이드롤(30)의 상부에 국한되지 않는다.
지지프레임(50)은 지지프레임(50)의 외주면에 마련되되, 하방을 향해 경사지게 마련되는 가이드플레이트(51)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플레이트(51)는 페이퍼롤과 텐션릴(10) 사이에 마련되어 간지와 선접촉된 상태에서 간지가 꼬이는 것을 방지하여 스트립 사이에 간지를 평평한 상태로 삽입시킬 수 있다. 이때, 지지프레임(50) 및 가이드플레이트(51)는 지지유닛(100)의 이동에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 간지를 소정의 압력으로 밀어 줌에 따라 간지에 소정의 텐션을 부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간지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간지에 주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트립 권취 장치(1)는 간지의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감지부로 감지된 정보를 통해 구동유닛(200), 구동부(150)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는 복수의 센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의 센서를 통해 간지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간지의 표면에 주름이 생겼는지 파악할 수 있어, 간지가 주름진 상태로 스트립 사이에 삽입되어 권취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복수의 센서를 베이스프레임(40), 지지유닛(100) 등 다양한 위치에 배치시킴으로써, 다양한 위치에서 간지의 표면에 주름이 생겼는지 파악할 수 있어, 간지가 주름진 상태로 스트립 사이에 삽입되어 권취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는 구동유닛(200), 구동부(150)의 작동을 제어하여 가이드롤(30)의 위치를 상하좌우로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는 감지부로 감지된 정보를 바탕으로 간지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간지에 텐션을 부여하거나 부여된 텐션을 해제하는 위치로 가이드롤(30)이 이동되도록 구동유닛(200), 구동부(15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간지의 표면에 주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간지가 주름진 상태로 스트립 사이에 삽입되어 권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스트립 권취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스트립 권취 장치의 제1 및 제2 지지유닛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제1 지지유닛의 분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제1 지지유닛의 제1 메인프레임과 제2 메인프레임의 일부 구성을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제2 지지유닛의 분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스트립 권취 장치(1)는 스트립 및 간지가 권취되는 텐션릴(10), 텐션릴(10) 상부에 마련되어 간지를 제공하는 페이퍼릴(20), 페이퍼릴(20)과 텐션릴(10) 사이에 마련되어 간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롤(30), 가이드롤(30)의 일측단 및 타측단에 각각 구비되어 가이드롤(30)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며 가이드롤(30)과 일체로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및 제2 지지유닛(2200) 및, 제1 및 제2 지지유닛(2200)을 이동시키는 구동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지지유닛(100)의 구성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제1 지지유닛(1100)의 구성과 일치하며 작동 방식도 동일하다. 제1 지지유닛(1100)은 가이드롤(30)의 일측단에 구비되며, 구동유닛(200)에 연결되어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메인프레임(1110)과, 제1 메인프레임(1110) 및 가이드롤(30)과 연결되는 제2 메인프레임(1120), 제1 구동실린더(1151) 및 제2 구동실린더(1152)가 구비되는 구동부(1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메인프레임(1110)의 제1 돌출부(1111)는 제2 메인프레임(1120)의 제2 돌출부(2221)에 삽입될 수 있으며, 제1 메인블록(1112)의 제1 홈(1112a)에 제2 메인블록(1113)의 제1 돌기(1113a)가 삽입될 수 있다.
제2 지지유닛(2200)은 가이드롤(30)과 결합되어 제2 메인프레임(1120)과 일체로 종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보조프레임(2210)과, 구동유닛(200) 및 제1 보조프레임(2210)과 연결되는 제2 보조프레임(2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유닛(2200)은 구동유닛(200)에 의해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제1 보조프레임(2210), 제2 보조프레임(2220) 및 가이드롤(30) 또한 구동유닛(200)에 의해 일체로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보조프레임(2210)은 일측은 가이드롤(30)과 결합되며 타측은 제2 보조프레임(222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보조프레임(2220)은 일측은 구동유닛(200)과 연결되며 타측은 제1 보조프레임(22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보조프레임(2220)은 돌출 형성되는 제2 돌출부(2221)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보조프레임(2210)은 제2 돌출부(2221)와 대응되는 위치에 함몰 형성되는 제2 함몰부(22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2 함몰부(2211)는 제2 돌출부(2221)의 종방향 길이보다 큰 종방향 길이를 갖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보조프레임(2210)은 가이드롤(30)과 결합되어 제2 메인프레임(1120)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게 마련된다. 제2 메인프레임(1120)이 제1 메인프레임(11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종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보조프레임(2210)은 제2 메인프레임(1120)과 함께 종방향으로 승하강 이동할 수 있다.
제2 함몰부(2211)가 제2 돌출부(2221)의 종방향 길이보다 큰 종방향 길이를 갖게 마련하여, 제2 함몰부(2211)에 제2 돌출부(2221)가 삽입된 경우에도 제1 보조프레임(2210)이 종방향으로 승하강 이동할 수 있게 마련하여, 제1 보조프레임(2210)이 제2 보조프레임(22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보조프레임(2210)이 고정되어 있지 않고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하여 가이드롤(30)의 종방향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 할 수 있다.
제2 보조프레임(2220)은 일측은 구동유닛(200)과 연결되며 타측은 제2 보조유닛과 연결되는 제1 보조블록(2222)과, 일측은 제1 보조블록(2222)과 연결되며 타측은 제1 보조프레임(2210)과 연결되는 제2 보조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조블록(2222)은 횡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제2 홈(2222a)을 포함하고, 제2 보조블록은 제2 홈(2222a)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된 제2 돌기(2223a)를 포함한다. 제2 홈(2222a)에 제2 돌기(2223a)가 삽입되며, 가이드롤(30)의 횡방향 이동에 의해 제2 보조블록은 제1 보조블록(222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제2 보조블록은 제2 메인프레임(1120)과 가이드롤(30)을 통해 연결된 제1 보조프레임(2210)과 연결되어 있어 제1 메인블록(111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이드롤(30)의 움직임에 따라 제2 보조블록 또한 제1 보조블록(222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를 통해 제2 블록이 고정되어 있지 않고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하여 가이드롤(30)의 횡방향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제2 지지유닛(2200)은 제1 지지유닛(1100)과 달리 별도의 구동부(1150), 제1 구동실린더(1151) 및 제2 구동실린더(1152)가 마련되어 있지 않더라도, 가이드롤(30)을 통해 제1 지지유닛(1100)과 연결되며 가이드롤(30)의 세부적인 움직임에 따라 제1 보조프레임(2210), 제2 보조블록이 정밀하게 움직일 수 있어, 가이드롤(30)의 위치를 세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이드롤(30)과 선접촉하는 간지에 소정의 텐션을 정밀하게 부여할 수 있어 간지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일측에 마련된 구동부(1150)만 작동시켜 간지에 부여되는 텐션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립 권취 장치(1)와 마찬가지로 베이스프레임(40)은 제1 지지유닛(1100), 제2 지지유닛(2200) 및 구동유닛(200)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보조프레임(2220)에도 베이스프레임(40)을 따라 구름 이동되는 가이드휠(2230)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구동유닛(200)에 마련된 볼스크류(210)는 제2 지지유닛(2200), 제2 지지유닛(2200)에 포함되는 제2 보조프레임(222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보조블록은 볼스크류(210)가 관통 및 삽입되며 내부에 볼스크류(2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 나사산(211)과 맞물리는 제1 나사산(2241)이 형성되는 연결부재(224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50)은 양측 단부가 제1 지지유닛(1100) 및 제2 지지유닛(2200)에 각각 지지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스트립 권취 장치(1)의 작동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립 권취 장치(1)의 경우, 페이퍼릴(20)에 권취되어 있는 간지가 텐션릴(10)에 공급되어 스트립과 함께 텐션릴(10)에 권취될 수 있다. 이 때, 감지부를 통해 간지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으며, 간지의 표면에 주름이 생기거나 간지에 소정의 텐션을 부여하여야 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이때 구동유닛(200)을 통해 한 쌍의 지지유닛(100)을 가이드롤(30)과 함께 횡방향으로 이동시켜 간지에 소정의 텐션을 부여할 수 있다.
구동유닛(200)을 통해 지지유닛(100) 및 가이드롤(30)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추가적으로 가이드롤(30)의 위치를 종방향으로 세밀하게 조절이 필요한 경우, 작업자는 제1 구동실린더(151)를 구동시킬 수 있다. 제1 구동실린더(151)를 구동시켜, 제2 메인프레임(120)이 제1 메인프레임(1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종방향으로 승하강 이동시켜 제2 메인프레임(120)에 결합되어 있는 가이드롤(30)의 종방향 위치를 세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구동유닛(200)을 통해 지지유닛 및 가이드롤(30)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추가적으로 가이드롤(30)의 위치를 횡방향으로 더 세밀하게 조절이 필요한 경우, 작업자는 제2 구동실린더(152)를 구동시킬 수 있다. 제2 구동실린더(152)를 구동시켜, 제2 메인블록(113)이 제1 메인블록(11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횡방향으로 이동시켜, 제2 메인블록(113)에 연결되어 있는 제2 메인프레임(120)을 제1 메인블록(11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메인프레임(120)에 연결되어있는 가이드롤(30)도 제2 메인프레임(120)과 함께 제1 메인블록(11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 가이드롤(30)의 횡방향 위치를 세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립 권취 장치(1)의 경우, 마찬가지로 페이퍼릴(20)에 권취되어 있는 간지를 텐션릴(10)에 공급하여 간지를 스트립과 함께 텐션릴(10)에 권취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감지부를 통해 간지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으며, 간지의 표면에 주름이 생겨 소정의 텐션을 부여하여야 하는 경우 구동유닛(200)을 구동시켜 제1 및 제2 지지유닛(2200)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유닛(200)을 통해 제1 지지유닛(1100), 제2 지지유닛(2200) 및 제1 지지유닛(1100) 및 제2 지지유닛(2200)에 지지되는 가이드롤(30)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추가적으로 가이드롤(30)의 위치를 종방향으로 세밀하게 조절이 필요한 경우 작업자는 제1 구동실린더(1151)를 구동시킬 수 있다. 제1 구동실린더(1151)를 구동시켜, 제2 메인프레임(1120)에 연결되어 있는 가이드롤(30)을 제1 메인프레임(11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종방향으로 승하강 이동되게 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롤(30)에 결합되어 있는 제1 보조프레임(2210)은 가이드롤(30)의 종방향 승하강 이동에 따라 제2 보조프레임(22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승하강 이동될 수 있어, 가이드롤(30)의 종방향 위치를 세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구동유닛(200)을 통해 가이드롤(30)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추가적으로 가이드롤(30)의 위치를 횡방향으로 세밀하게 조절이 필요한 경우 작업자는 제2 구동실린더(1152)를 구동시킬 수 있다. 제2 구동실린더(1152)를 구동시켜, 제1 메인블록(1112)에 대하여 제2 메인블록(1113)을 상대적으로 횡방향으로 이동시켜, 제2 메인블록(1113)에 연결되어 있는 제2 메인프레임(1120)을 제1 메인블록(111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메인프레임(1120)에 결합되어 있는 가이드롤(30) 또한 제1 메인블록(111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가이드롤(30)에 결합되어 있는 제1 보조프레임(2210)은 가이드롤(30)의 횡방향 이동에 따라 제1 보조프레임(2210)에 연결되어 있는 제2 보조블록(2223)이 제1 보조블록(222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횡방향 이동하게 마련할 수 있어, 가이드롤(30)의 횡방향 위치를 세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 및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스트립 권취 장치는 가이드롤의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어 간지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간지에 주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스트립 권취 시 스트립 사이에 간지를 평평한 상태로 삽입할 수 있어, 스트립 사이로 주름진 상태의 간지가 삽입되어 스트립의 표면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스트립 권취 장치 10: 텐션릴
20: 페이퍼릴 30: 가이드롤
40: 베이스프레임 50: 지지프레임
100: 지지유닛 110, 1110: 제1 메인프레임
120, 1120: 제2 메인프레임 130, 1130, 2230: 가이드휠
140, 1140, 2240: 연결부재 150, 1150: 구동부
200: 구동유닛 210: 볼스크류
220: 구동모터 1100: 제1 지지유닛
2200: 제2 지지유닛 2210: 제1 보조프레임
2220: 제2 보조프레임

Claims (15)

  1. 스트립 및 간지가 권취되는 텐션릴;
    상기 텐션릴 상부에 마련되어 간지를 제공하는 페이퍼릴;
    상기 페이퍼릴과 상기 텐션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간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롤;
    상기 가이드롤의 양측단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롤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며 상기 가이드롤과 일체로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한 쌍의 지지유닛; 및
    상기 한 쌍의 지지유닛을 이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구동유닛에 연결되어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메인프레임과,
    상기 가이드롤과 결합되고, 상기 제1 메인프레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메인프레임과 연결되는 제2 메인프레임과,
    상기 제2 메인프레임을 상기 제1 메인프레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종방향으로 이동 시키는 제1 구동실린더가 구비된 구동부를 포함하는 스트립 권취 장치.
  2. 스트립 및 간지가 권취되는 텐션릴;
    상기 텐션릴 상부에 마련되어 간지를 제공하는 페이퍼릴;
    상기 페이퍼릴과 상기 텐션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간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롤;
    상기 가이드롤의 일측단 및 타측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롤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며 상기 가이드롤과 일체로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및 제2 지지유닛; 및
    상기 제1 및 제2 지지유닛을 이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유닛은
    상기 구동유닛에 연결되어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메인프레임과,
    상기 가이드롤과 결합되며, 상기 제1 메인프레임에 상대적으로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 메인프레임과,
    상기 제2 메인프레임을 상기 제1 메인프레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구동실린더가 구비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유닛은
    상기 가이드롤과 결합되어 상기 제2 메인프레임과 일체로 종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보조프레임을 포함하는 스트립 권취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인프레임은
    종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메인프레임은
    상기 제1 돌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함몰 형성되는 제1 함몰부를 포함하는 스트립 권취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메인프레임은
    상기 구동유닛과 연결되며 횡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제1 홈를 포함하는 제1 메인블록과,
    상기 제2 메인프레임과 연결되며, 상기 제1 홈와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된 제1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메인블록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메인블록과 연결되는 제2 메인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2 메인블록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스트립 권취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유닛은
    상기 구동유닛 및 상기 제1 보조프레임과 연결되는 제2 보조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보조프레임은
    돌출 형성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보조프레임은
    상기 제2 돌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함몰 형성되되, 상기 제2 돌출부의 종방향 길이보다 큰 종방향 길이를 갖는 제2 함몰부를 포함하는 스트립 권취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조프레임은
    상기 구동유닛과 연결되며 횡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제2 홈를 포함하는 제1 보조블록과,
    상기 제1 보조프레임과 연결되며, 상기 제2 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된 제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보조블록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보조블록과 연결되는 제2 보조블록을 더 포함하는 스트립 권취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 및 상기 구동유닛을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스트립 권취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인프레임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따라 구름 이동되는 가이드휠을 더 포함하는 스트립 권취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한쌍의 제1 메인프레임과 연결되는 볼스크류와,
    상기 볼스크류와 나사결합되는 스크류잭과,
    상기 볼스크류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스트립 권취 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실린더 및 상기 제2 구동실린더 중 적어도 하나는
    토크 리미터가 구비된 스트립 권취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양측 단부가 상기 한 쌍의 지지유닛에 각각 지지되는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스트립 권취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하방을 향해 경사지게 마련되는 가이드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스트립 권취 장치.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간지의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정보를 통해 상기 구동유닛 및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스트립 권취 장치.
  14. 스트립 및 간지를 권취하는 단계;
    상기 간지의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구동유닛을 구동시켜 가이드롤을 지지하는 제1 및 제2 지지유닛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제1 구동실린더를 구동시켜 상기 제1 지지유닛의 제1 메인프레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제1 지지유닛의 제2 메인프레임을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제2 구동실린더를 구동시켜 상기 제1 메인프레임의 제1 메인블록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가이드롤과 결합되는 제2 메인블록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트립 권취 장치 작동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인프레임을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가이드롤과 결합되는 상기 제2 지지유닛의 제1 보조프레임을 제2 보조프레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종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2 메인블록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보조프레임과 연결되어 있는 제2 보조블록을 제1 보조블록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트립 권취 장치 작동 방법.
KR1020210140371A 2021-10-20 2021-10-20 스트립 권취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KR202300563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371A KR20230056386A (ko) 2021-10-20 2021-10-20 스트립 권취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371A KR20230056386A (ko) 2021-10-20 2021-10-20 스트립 권취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6386A true KR20230056386A (ko) 2023-04-27

Family

ID=86100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0371A KR20230056386A (ko) 2021-10-20 2021-10-20 스트립 권취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638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746B1 (ko) 2001-12-21 2007-11-23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의 긁힘 방지용 비닐 간지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746B1 (ko) 2001-12-21 2007-11-23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의 긁힘 방지용 비닐 간지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84825B1 (en) Sheet material supplying device
US4875632A (en) Web dividing and rewinding machine and method for removing rewind rolls therefrom
WO2017150061A1 (ja) ロールフィーダ、およびコイル材搬送方法
CA2721569C (en) Plastic film stretching apparatus
KR20230056386A (ko) 스트립 권취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CN110834985A (zh) 一种保护膜放卷纠偏装置
CN210418589U (zh) 一种v法造型拉膜装置
KR20090010495A (ko) 스트립 권취 설비
KR20100074778A (ko) 압하력 조절용 핀치롤장치
KR20100078176A (ko) 권취기 보조장치
JP6125787B2 (ja) 巻鉄心製造装置
KR100797879B1 (ko) 권취기의 스트립 유도장치
JP4603180B2 (ja) 圧延方法
JP4562350B2 (ja) ウェブを巻取る装置および方法
CA1301137C (en) Continuously running unwinder
KR100792757B1 (ko) 스트립 사행 방지용 핀치롤 압력 제어장치
KR100939266B1 (ko) 권취기의 간지 유도장치
US11801543B2 (en) Reversing reel and method of operating a reversing reel
KR101593068B1 (ko) 슬리팅 필름 권취방법 및 슬리팅 필름 권취장치
KR100864440B1 (ko) 간지두루마리의 감속 정지장치
CN220502188U (zh) 一种收放卷装置
KR100426721B1 (ko) 권취기의 간지 삽입장치
CN220871679U (zh) 一种锂电池用箔材表面特征检测设备
CN220537074U (zh) 一种纸张分卷结构及装置
KR20130023683A (ko) 압연제품용 권취장치 및 그 제어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