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6168A - 열교환기 가조립체를 위한 자동화 이송시스템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가조립체를 위한 자동화 이송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6168A
KR20230056168A KR1020210139887A KR20210139887A KR20230056168A KR 20230056168 A KR20230056168 A KR 20230056168A KR 1020210139887 A KR1020210139887 A KR 1020210139887A KR 20210139887 A KR20210139887 A KR 20210139887A KR 20230056168 A KR20230056168 A KR 20230056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assembly
temporary
pick
f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9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5076B1 (ko
Inventor
홍범석
서재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나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나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나텍
Priority to KR1020210139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5076B1/ko
Publication of KR20230056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6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01Article feeders for assembling machines
    • B23P19/007Picking-up and plac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052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multiple gripper units or multiple end eff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9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tasks executed
    • B25J9/1682Dual arm manipulator; Coordination of several manip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5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 F28D1/05316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75/00Fastening; Joining
    • F28F2275/04Fastening; Joining by bra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가조립체를 위한 자동화 이송시스템은, 열교환기 가조립대 위에 수평으로 눕혀진 열교환기 가조립체를 픽업하여 이송하는 열교환기 가조립체를 위한 자동화 이송시스템으로서, 상기 열교환기 가조립체의 이송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리프트와; 상기 열교환기 가조립체를 픽업할 수 있도록 상기 열교환기 가조립체를 향해 하강 후 수평 이동하여 상기 열교환기 가조립체 밑으로 밀어 넣어지는 복수의 픽업 포크와; 상기 리프트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픽업 포크를 상하 이동시키는 포크 상하이동유닛과; 상기 리프트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픽업 포크를 수평 이동시키는 포크 수평이동유닛;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가조립체를 위한 자동화 이송시스템을 이용하면, 열교환기 가조립체를 자동화 시스템에 의해 안정적으로 신속하게 이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열교환기 가조립체를 위한 자동화 이송시스템{Automatic transfer system for Temporary heat-exchanger assembly}
본 발명은 열교환기 형태로 가조립된 열교환기 가조립체를 이송하는 열교환기 가조립체를 위한 자동화 이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핀-튜브 타입 열교환기는 한 쌍의 헤더탱크 사이에 복수의 튜브를 배치하여 냉매가 헤더탱크를 통해 순차적으로 복수의 튜브를 흐를 수 있는 냉매 유로를 형성한다. 복수의 튜브 사이에는 방열핀이 개재되어 열교환기 효율을 높인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27191호(등록일자;2015년06월02일)에는 ‘열교환기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선행특허를 살펴보면, 열교환기는 일련의 공정에 의해 순차적으로 열교환기 형태로 가조립된 다음, 브레이징 노 등으로 이송되어 최종적으로 일체로 접합된다.
즉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헤더탱크 사이에 복수의 튜브를 배치하고, 헤더탱크의 튜브 삽입공에 각 튜브의 끝단을 삽입하며, 튜브들 사이에 방열핀을 개재하여, 열교환기 형태로 가조립한다. 이러한 열교환기 가조립체는 브레이징 노로 이송되어 브레이징 공정에 의해 접합된다.
그러나 열교환기 가조립체를 브레이징 노 등으로 이송할 때, 여러명의 작업자가 투입되어 직접 상당한 중량물인 열교환기 가조립체를 이송하는 것이 현실정이기 때문에 열교환기 가조립체를 자동화 시스템에 의해 안정적으로 신속하게 이송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27191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열교환기 가조립체를 자동화 시스템 방식으로 이송할 수 있는 열교환기 가조립체를 위한 자동화 이송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가조립체를 위한 자동화 이송시스템은, 열교환기 가조립대 위에 수평으로 눕혀진 열교환기 가조립체를 픽업하여 이송하는 열교환기 가조립체를 위한 자동화 이송시스템으로서, 상기 열교환기 가조립체의 이송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리프트와; 상기 열교환기 가조립체를 픽업할 수 있도록 상기 열교환기 가조립체를 향해 하강 후 수평 이동하여 상기 열교환기 가조립체 밑으로 밀어 넣어지는 복수의 픽업 포크와; 상기 리프트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픽업 포크를 상하 이동시키는 포크 상하이동유닛과; 상기 리프트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픽업 포크를 수평 이동시키는 포크 수평이동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열교환기 가조립체는, 한 쌍의 헤더탱크와,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튜브와, 상기 튜브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헤더탱크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방열핀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픽업 포크는 픽업시 상기 헤더탱크와 방열핀 사이 간격과 대응되게 배치되어 상기 간격을 통해 상기 열교환기 가조립체를 픽업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픽업 포크는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에 각각 대응하여 2조로 나뉘어 배치되고, 각 조의 픽업 포크들은 상기 복수의 튜브의 배치방향을 따라 일렬 배치되며, 각각의 픽업 포크는 상하 수직한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하단에서 상기 수평 이동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수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프트의 하측에는 상기 열교환기 가조립체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열교환기 가조립체 위에 포개지는 코어 누름판과; 상기 열교환기 가조립체의 튜브의 양 끝단에 대응하여 코어 누름판의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기 코어 누름판보다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튜브의 끝단을 누르는 한 쌍의 튜브 누름판과; 상기 코어 누름판의 가장자리 중 상기 튜브 누름판이 배치되지 않은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상기 열교환기 가조립체의 측면에 밀착되는 한 쌍의 그리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크 상하이동유닛은, 상기 코어 누름판 상측에 결합된 브라켓에 고정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하측에서 상하 이동하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 로드의 하측에 결합되고 상기 수평 이동 방향을 따라 긴 피스톤 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크 수평이동유닛은, 상기 포크 상하이동유닛의 하측에 수평 이동 가능토록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픽업 포크가 결합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 끝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결합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지지부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포크 상하이동유닛에 결합하여 상기 포크 상하이동유닛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실린더와; 상기 수평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실린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돌출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실린더로부터 상기 수평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가조립체를 위한 자동화 이송시스템은, 열교환기 가조립체를 자동화 시스템에 의해 픽업하여 안정적으로 신속하게 이송할 수 있다. 특히 헤더탱크와 방열핀 사이 간격을 통해 픽업 포크가 열교환기 가조립체를 픽업하여 픽업한 열교환기 가조립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픽업 포크가 열교환기 가조립체의 튜브 밑으로 밀어 넣어지기 때문에 열교환기 가조립체의 분해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리프트의 지지부가 열교환기 가조립체에 포개져서 지지하기 때문에 열교환기 가조립체를 수평 유지하며 보다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가조립체를 위한 자동화 이송시스템이 적용되는 열교환기 가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가조립체를 위한 자동화 이송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송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송시스템의 픽업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이송시스템의 픽업 유닛의 픽업 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이송시스템의 픽업 유닛의 픽업 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이송시스템의 픽업 유닛의 픽업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이송시스템의 픽업 유닛의 픽업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가조립체(2)를 위한 자동화 이송시스템은, 열교환기 가조립대 위에 수평으로 눕혀진 열교환기 가조립체(2)를 픽업하여 이송하는 것으로, 프레임(10)과, 리프트(20)와, 픽업 유닛(30)을 포함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가조립체(2)를 위한 자동화 이송시스템이 이송할 수 있는 열교환기 가조립체가 복수 개 배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2 이하는 열교환기 가조립체(2)를 위한 자동화 이송시스템 및 열교환기 가조립체(2)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열교환기 가조립체(2)는 한 쌍의 헤더탱크(2a)와, 한 쌍의 헤더탱크(2a)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튜브(2b)와, 튜브(2b) 사이에 개재되고 헤더탱크(2a)와 일정 간격(2d)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방열핀(2c)을 포함하며, 패널 형태로 가조립된다.
프레임(10)은 리프트(20) 및 픽업 유닛(30)에 의해 픽업된 열교환기 가조립체(2)를 설정된 이송 라인을 따라 이송할 수 있도록 열교환기 가조립체(2)의 이송 라인을 따라 이동한다. 프레임(10)은 열교환기 가조립체(2)의 이송 라인을 따라 천정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동력에 의해 이동하는 대차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리프트(20)는 프레임(10)에 설치되어 모터 등의 동력에 의해 픽업 유닛(30)을 상하 수직으로 승하강한다. 리프트(20)의 하측에는 열교환기 가조립체(2) 및 픽업 유닛(30)을 지지하는 지지부(22)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22)는 사각 패널형 열교환기 가조립체(2)에 대응하여, 코어 누름판(22a)과, 한 쌍의 튜브(2b) 누름판과, 한 쌍의 그리퍼(22c)를 포함한다. 코어 누름판(22a)은 열교환기 가조립체(2) 위에 포개질 수 있는 사각 패널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튜브(2b) 누름판은 열교환기 가조립체(2)의 튜브(2b)의 양 끝단에 대응하여 코어 누름판(22a)의 양 가장자리에 나뉘어 배치된다. 코어 누름판(22a)에는 픽업 유닛(30)의 복수의 픽업 포크(40)가 승하강하고 수평 이동할 수 있도록 상하 개구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튜브(2b) 누름판은 복수의 튜브(2b)의 배열방향을 따라 길게 바(bar)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튜브(2b) 누름판은 코어 누름판(22a)에 고정되며, 일부가 코어 누름판(22a)보다 하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튜브(2b)의 끝단을 눌러줄 수 있다. 한 쌍의 그리퍼(22c)는 사각 패널 형태의 코어 누름판(22a)의 가장자리 중 한 쌍의 튜브(2b) 누름판이 배치되지 않은 나머지 가장자리에 각각 배치되어 열교환기 가조립체(2)의 측면에 밀착된다. 그리퍼(22c)는 바 형태로 형성되고, 코어 누름판(22a)에 고정될 수 있다.
픽업 유닛(30)은 복수의 픽업 포크(40)와, 포크 상하이동유닛(50)과, 포크 수평이동유닛(60)을 포함한다.
복수의 픽업 포크(40)는 열교환기 가조립체(2)를 들어 올려서 픽업할 수 있도록 열교환기 가조립체(2)를 향해 하강 후 수평 이동하여 열교환기 가조립체(2) 밑으로 밀어 넣어진다.
복수의 픽업 포크(40)는 픽업시 열교환기 가조립체(2)의 헤더탱크(2a)와 방열핀(2c) 사이 간격(2d)(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픽업 위치 간격(2d)’이라 함)과 대응되게 배치되어 픽업 위치 간격(2d)을 통해 열교환기 가조립체(2)를 픽업한다. 즉 복수의 픽업 포크(40)는 한 쌍의 헤더탱크(2a)에 각각 대응하여 2조로 나뉘어 배치되고, 각 조의 픽업 포크(40)들은 복수의 튜브(2b)의 배치방향을 따라 일렬 배치될 수 있다. 각 조의 픽업 포크(40)들은 연접한 픽업 포크(40) 2개씩 짝을 이루어 하나의 플레이트(46)로 결속될 수 있다.
각각의 픽업 포크(40)는 픽업 위치 간격(2d)을 통과할 수 있는 형태로서, 상하 수직한 수직부(42) 및, 수직부(42)의 하단에서 수평 이동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 수평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픽업 포크(40)는 대략 ‘ㄴ’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포크 상하이동유닛(50)은 리프트(20)에 설치되어 자체가 리프트(20)에 의해 상하 승강하며, 리프트(20)에 대해서 복수의 픽업 포크(40)를 상하 이동시킨다. 포크 상하이동유닛(50)은 각 조의 픽업 포크(40)들에 대응하여 한 쌍이 설치된다. 포크 상하이동유닛(50)은 실린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포크 상하이동유닛(50)은 코어 누름판(22a) 상측에 결합된 브라켓(24)에 고정된 실린더(52)와, 실린더(52)에 공급되는 유압 내지 공압에 따라 실린더(52)의 하측에서 상하 이동하는 피스톤 로드(54)와, 피스톤 로드(54)의 하측에 결합된 피스톤 바(56)를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 바(56)는 각 조의 픽업 포크(40)들을 한번에 결속하여 작동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픽업 포크(40)의 수평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포크 수평이동유닛(60)은 리프트(20)에 설치되어 자체가 리프트(20)에 의해 상하 승하강하며, 리프트(20)에 대해 복수의 픽업 포크(40)를 수평 이동시킨다. 포크 수평이동유닛(60)은 각 조의 픽업 포크(40)들에 대응하여 한 쌍이 설치된다. 포크 수평이동유닛(60)은 실린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포크 수평이동유닛(60)은, 슬라이더(62)와, 실린더(64)와, 피스톤(66)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더(62)는 지지부(62a)와, 결합부(64b)를 포함한다. 슬라이더(62)의 지지부(62a)는 포크 상하이동유닛(50)의 하측, 즉 피스톤 바(56)의 하측에 수평 이동 가능토록 배치된다. 슬라이더(62)의 지지부(62a)는 피스톤 바(56)의 하측에 일정 거리 이격 설치되며, 슬라이더(62)의 지지부(62a)와 피스톤 바(56)와의 사이에 가이드(58)가 개재되어 피스톤 바(56)에 대해 슬라이더(62)의 지지부(62a)를 수평 이동 가능토록 지지할 수 있다. 슬라이더(62)의 지지부(62a)는 한 조의 복수의 픽업 포크(40)들을 일체로 결속할 수 있도록 수평 이동 방향을 따라 긴 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더(62)의 결합부(62b)는 수평 이동 방향을 따라 지지부(22)의 일측 끝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된다.
포크 수평이동유닛(60)의 실린더(64)는 슬라이더(62)의 지지부(62a) 상측에 배치되되, 포크 상하이동유닛(50), 바람직하게는 피스톤 바(56)의 일측 끝단에 결합하여 포크 상하이동유닛(50)에 의해 상하 이동한다. 포크 수평이동유닛(60)의 실린더(64)에는 포크 수평이동유닛(60)의 피스톤(66)의 작동력인 공압 또는 유압이 공급된다.
포크 수평이동유닛(60)의 피스톤(66)은 수평 이동 방향을 따라 포크 수평이동유닛(60)의 실린더(52)와 슬라이더(62)의 돌출부(62b) 사이에 배치되어 포크 수평이동유닛(60)의 실린더(52)로부터 수평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한편 슬라이더(62)의 돌출부(62b)에는 포크 수평이동유닛(60)의 실린더(64)를 향해 수평 이동 방향을 일정 길이 돌출된 스토퍼(68)가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업 전에는 스토퍼(68)가 포크 수평이동유닛(60)의 실린더(64)에 밀착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업시에는 스토퍼(68)가 슬라이더(62)와 함께 수평 이동하여 포크 수평이동유닛(60)의 실린더(64)로부터 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가조립체를 위한 자동화 이송시스템에 대한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열교환기 가조립체(2)를 픽업시에는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시스템을 열교환기 가조립체(2) 위로 이동하여, 복수의 픽업 포크(40)가 픽업 위치 간격(2d)과 상하 일직선 상에 위치될 수 있게 정렬한다.
다음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20)를 작동하여 픽업유닛을 열교환기 가조립체(2)를 향해 하강한다. 픽업유닛이 하강하면, 리프트(20)의 코어 누름판(22a)이 열교환기 가조립체(2) 위에 적층되고, 리프트(20)의 튜브(2b) 누름판이 튜브(2b)의 양 끝에 밀착되며, 리프트(20)의 그리퍼(22c)가 열교환기 가조립체(2)의 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복수의 픽업 포크(40)는 열교환기 가조립체(2)로부터 일정 높이 위에 배치된다.
다음 포크 상하이동유닛(50)을 작동하여 복수의 픽업 포크(40)를 픽업 위치 간격(2d)을 통해 하강하여 픽업 포크(40)의 수평부(44)가 열교환기 가조립체(2)의 밑에 위치되게 한다.
다음 포크 수평이동유닛(60)을 작동한다. 그러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크 수평이동유닛(60)의 실린더(64)에 대해 포크 수평이동유닛(60)의 피스톤이 돌출되고, 이에 의해 슬라이더(62)가 포크 수평이동유닛(60)의 실린더(64)로부터 이격되는 방향, 즉 열교환기 가조립체(2)의 헤더탱크(2a) 측으로 수평 이동하여 픽업 포크(40)의 수평부(44)가 열교환기 가조립체(2) 밑, 특히 튜브(2b) 밑으로 밀어 넣어진다.
다음 리프트(20)를 작동하여 픽업 유닛(30)을 승강시키면 픽업 유닛(30)에 의해 열교환기 가조립체(2)가 들어 올려지고, 열교환기 가조립체(2)가 픽업된 상태로 본 발명에 따른 이송시스템을 브레이징 노 등으로 이동하여 열교환기 가조립체(2)를 다음 공정으로 이송할 수 있다.
다음 공정으로 열교환기 가조립체(2)가 이송되면, 리프트(20)를 작동하여 열교환기 가조립체(2)를 하강하고, 픽업 유닛(30)을 픽업시와 반대로 작동하여 픽업 유닛(30)으로부터 열교환기 가조립체(2)를 탈거한 다음, 리프트(20)를 작동하여 픽업 유닛(30)을 다시 승강하면, 이송된 열교환기 가조립체(2)를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 개가 공정을 따라 배치됨으로써 복수 개의 열교환기 가조립체를 상호 조립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2; 열교환기 가조립체 10; 프레임
20; 리프트 30; 픽업 유닛
40; 픽업 포크 50; 포크 상하이동유닛
60; 포크 수평이동유닛

Claims (6)

  1. 열교환기 가조립대 위에 수평으로 눕혀진 열교환기 가조립체를 픽업하여 이송하는 열교환기 가조립체를 위한 자동화 이송시스템으로서
    상기 열교환기 가조립체의 이송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리프트와;
    상기 열교환기 가조립체를 픽업할 수 있도록 상기 열교환기 가조립체를 향해 하강 후 수평 이동하여 상기 열교환기 가조립체 밑으로 밀어 넣어지는 복수의 픽업 포크와;
    상기 리프트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픽업 포크를 상하 이동시키는 포크 상하이동유닛과;
    상기 리프트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픽업 포크를 수평 이동시키는 포크 수평이동유닛;
    을 포함하는
    열교환기 가조립체를 위한 자동화 이송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 가조립체는,
    한 쌍의 헤더탱크와,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튜브와, 상기 튜브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헤더탱크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방열핀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픽업 포크는 픽업시 상기 헤더탱크와 방열핀 사이 간격과 대응되게 배치되어 상기 간격을 통해 상기 열교환기 가조립체를 픽업하는 열교환기 가조립체를 위한 자동화 이송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픽업 포크는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에 각각 대응하여 2조로 나뉘어 배치되고,
    각 조의 픽업 포크들은 상기 복수의 튜브의 배치방향을 따라 일렬 배치되며,
    각각의 픽업 포크는 상하 수직한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하단에서 상기 수평 이동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수평부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가조립체를 위한 자동화 이송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의 하측에는 상기 열교환기 가조립체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열교환기 가조립체 위에 포개지는 코어 누름판과;
    상기 열교환기 가조립체의 튜브의 양 끝단에 대응하여 코어 누름판의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기 코어 누름판보다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튜브의 끝단을 누르는 한 쌍의 튜브 누름판과;
    상기 코어 누름판의 가장자리 중 상기 튜브 누름판이 배치되지 않은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상기 열교환기 가조립체의 측면에 밀착되는 한 쌍의 그리퍼;
    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가조립체를 위한 자동화 이송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포크 상하이동유닛은,
    상기 코어 누름판 상측에 결합된 브라켓에 고정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하측에서 상하 이동하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 로드의 하측에 결합되고 상기 수평 이동 방향을 따라 긴 피스톤 바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가조립체를 위한 자동화 이송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포크 수평이동유닛은,
    상기 포크 상하이동유닛의 하측에 수평 이동 가능토록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픽업 포크가 결합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 끝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결합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지지부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포크 상하이동유닛에 결합하여 상기 포크 상하이동유닛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실린더와;
    상기 수평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실린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돌출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실린더로부터 상기 수평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열교환기 가조립체를 위한 자동화 이송시스템.
KR1020210139887A 2021-10-20 2021-10-20 열교환기 가조립체를 위한 자동화 이송시스템 KR102575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887A KR102575076B1 (ko) 2021-10-20 2021-10-20 열교환기 가조립체를 위한 자동화 이송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887A KR102575076B1 (ko) 2021-10-20 2021-10-20 열교환기 가조립체를 위한 자동화 이송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6168A true KR20230056168A (ko) 2023-04-27
KR102575076B1 KR102575076B1 (ko) 2023-09-06

Family

ID=86100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9887A KR102575076B1 (ko) 2021-10-20 2021-10-20 열교환기 가조립체를 위한 자동화 이송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507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832U (ja) * 1991-07-23 1993-02-09 カルソニツク株式会社 仮組み熱交換器コアの移載装置
KR100367717B1 (ko) * 1998-11-18 2003-04-10 한라공조주식회사 열교환기조립장치
KR100982749B1 (ko) * 2003-07-03 2010-09-16 한라공조주식회사 열교환기 조립장치용 그리퍼 조립체
KR20130045595A (ko) * 2011-10-26 2013-05-06 주식회사 두원공조 브레이징용 열교환기 가조립체
KR101527191B1 (ko) 2015-02-17 2015-06-09 그린테크주식회사 열교환기의 제조방법
KR102077096B1 (ko) * 2018-09-19 2020-04-07 주식회사 하나텍 열교환기의 튜브와 방열핀 조립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832U (ja) * 1991-07-23 1993-02-09 カルソニツク株式会社 仮組み熱交換器コアの移載装置
KR100367717B1 (ko) * 1998-11-18 2003-04-10 한라공조주식회사 열교환기조립장치
KR100982749B1 (ko) * 2003-07-03 2010-09-16 한라공조주식회사 열교환기 조립장치용 그리퍼 조립체
KR20130045595A (ko) * 2011-10-26 2013-05-06 주식회사 두원공조 브레이징용 열교환기 가조립체
KR101527191B1 (ko) 2015-02-17 2015-06-09 그린테크주식회사 열교환기의 제조방법
KR102077096B1 (ko) * 2018-09-19 2020-04-07 주식회사 하나텍 열교환기의 튜브와 방열핀 조립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5076B1 (ko) 2023-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18218B2 (ja) 電動車コントローラ搬送装置及び電動車コントローラサークリップ押圧システム
JP3275014B2 (ja) 熱交換器の組立装置
CN113828967A (zh) 一种电池片串焊系统及串焊工艺
KR102575076B1 (ko) 열교환기 가조립체를 위한 자동화 이송시스템
KR20080102746A (ko) 픽업장치
CN105834568A (zh) 链锯导板自动化点焊工艺
CN109396598B (zh) 焊带定位装置及焊带移放设备
CN216326319U (zh) 一种适用于线夹自动组装设备的螺母传输机构
CN217485466U (zh) 一种搬运组件、焊带及工装搬运装置
KR100549999B1 (ko) 열교환기의 휜 성형 플레이트 조립장치
CN211140776U (zh) 一种接力式搬运线
CN211895067U (zh) 微通道换热器生产设备的自动摆放捆扎杆机构
CN110948195A (zh) 一种换热器双层运输平台
KR101340476B1 (ko) 열교환기의 픽쳐 분리장치
WO2018092279A1 (ja) 熱交換器用コアのスタック装置
CN215999028U (zh) 串焊机
CN217263048U (zh) 一种工装搬运装置
CN217387122U (zh) 一种电池串修复工作台和电池串修复设备
CN111211347A (zh) 一种电池集群入槽流水线
CN113620048B (zh) 一种物料上件装置及物料上件方法
CN219324964U (zh) 一种静铁芯先导管装配机构
CN210284976U (zh) 一种暂存架
CN219585253U (zh) 线路板输送的缓存机构
CN218351485U (zh) 一种搬运组件、搬运装置及串焊机
CN221026143U (zh) 用于物流线的转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