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6091A -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6091A
KR20230056091A KR1020210139117A KR20210139117A KR20230056091A KR 20230056091 A KR20230056091 A KR 20230056091A KR 1020210139117 A KR1020210139117 A KR 1020210139117A KR 20210139117 A KR20210139117 A KR 20210139117A KR 20230056091 A KR20230056091 A KR 20230056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area
corner
display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9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익
박철진
유기상
윤현경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39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6091A/ko
Priority to CN202211259027.3A priority patent/CN116013166A/zh
Publication of KR20230056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60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1지그와, 상기 제1지그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패널부재가 안착하는 제2지그와, 상기 제1지그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지그와 상기 제2지그 사이의 간격이 일정거리 이하이면 상기 제1지그에서 회전하여 상기 패널부재의 측면을 절곡시키는 회전지그와, 상기 회전지그에 연결되어 상기 패널부재의 코너부를 라운드시키는 코너지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성을 기반으로 하는 전자 기기가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동용 전자 기기로는 모바일 폰과 같은 소형 전자 기기 이외에도 최근 들어 태블릿 PC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이동형 전자 기기는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이미지 또는 영상과 같은 시각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최근,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기타 부품들이 소형화됨에 따라, 표시 패널이 전자 기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평평한 상태에서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구부릴 수 있는 구조도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을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 필름을 배치할 수 있다. 이때, 표시 장치의 모서리가 라운드진 경우 보호 필름의 일부를 제거하여 라운드진 모서리에 배치함으로써 보호 필름이 쉽게 라운드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비표시영역의 면적을 줄이고 표시영역의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측면 및/또는 코너(corner)에서도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장치의 제조를 위해 표시 패널에 부착하는 보호필름의 코너를 부드럽게 라운드지게 성형 가능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지그와, 상기 제1지그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패널부재가 안착하는 제2지그와, 상기 제1지그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지그와 상기 제2지그 사이의 간격이 일정거리 이하이면 상기 제1지그에서 회전하여 상기 패널부재의 측면을 절곡시키는 회전지그와, 상기 회전지그에 연결되어 상기 패널부재의 코너부를 라운드시키는 코너지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그와 상기 코너지그는 라운드진 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그는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회전지그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는, 서로 적층되는 제1층과 제2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층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지그에 연결되어 상기 제1지그를 선형 운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그는 상기 패널부재의 끝단에 대응되는 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지그는, 상기 패널부재의 측면이 절곡 시 상기 패널부재의 측면을 안내하는 가이드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지그, 상기 제2지그 및 상기 회전지그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패널부재에 열을 가하는 가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패널부재를 제1지그에 안착하는 단계와, 상기 제1지그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지그를 선형 운동하여 상기 제2지그를 상기 패널부재에 접촉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2지그를 선형 운동하여 상기 제2지그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회전지그를 회전시켜 상기 패널부재의 측면을 절곡시키는 단계와, 상기 회전지그에 연결된 코너지그를 상기 패널부재의 모서리 부분을 절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그 및 상기 코너지그 중 적어도 하나는 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를 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지그는 상기 패널부재의 절곡 시 상기 패널부재의 절곡되는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는, 서로 적층되는 제1층과 제2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층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윈도우에 표시 패널을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를 상기 표시 패널에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에서 가이드필름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지그를 선형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그는 상기 제1지그와 상기 제2지그 사이의 거리가 일정거리 이하이면 회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그는 상기 패널부재의 끝단이 삽입되는 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가이드필름을 상기 패널부재에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러한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측면이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어떠한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의 조합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은 파손없이 패널부재를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은 라운드진 코너를 갖는 패널부재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의 일부를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의 일부를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각각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에 구비된 표시 패널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패널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에 구비된 표시 패널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화소회로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10은 도 4a 또는 도 4b의 표시 장치의 일부분을 Ⅹ-Ⅹ´선을 따라 절취한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4a 또는 도 4b의 표시 장치의 일부분을 ⅩⅠ-ⅩⅠ´선을 따라 절취한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4a 또는 도 4b의 표시 장치의 일부분을 ⅩⅡ-ⅩⅡ´선을 따라 절취한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필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4a 내지 도 1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필름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15a 내지 도 15i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들이다.
도 1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필름 및 보호 필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6b 내지 도 16h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의 일부를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의 일부를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b를 참고하면,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400)는 바디부(410), 구동부(420), 가이드부(430), 제1지그부(미표기), 제2지그부(440), 스토퍼부(460), 가열부(47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410)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며,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1바디부(411)와 제2바디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디부(410)는 제1바디부(411)와 제2바디부(413)를 서로 연결하는 바디부연결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바디부(411)와 제2바디부(413)는 플레이트 형태일 수 있으며, 바디부연결부(412)는 바(Bar)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바디부연결부(412)는 복수개 구비되며, 복수개의 바디부연결부(412)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제1바디부(411)를 지지할 수 있다.
구동부(420)는 바디부(41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2지그부(44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구동부(420)는 제2지그부(440)를 일 방향으로 선형 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부(420)는 제2지그부(440)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
구동부(42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부(420)는 제1바디부(411)에 배치되며, 샤프트가 제2지그부(440)에 연결되는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구동부(420)는 제1바디부(411)에 배치되며, 제2지그부(440)에 연결되는 리니어 모터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구동부(420)는 제1바디부(411)에 배치되는 모터와, 모터와 연결되는 스퍼기어, 스퍼기어와 연동하며 제2지그부(440)에 연결되는 랙기어를 포홈할 수 있다. 이때, 구동부(420)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디부(410)에 배치되어 제2지그부(440)를 선형 운동시키는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동부(420)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가이드부(430)는 제1바디부(411)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제2지그부(440)의 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430)는 제1바디부(411)에 고정되는 가이드(431)와 가이드(431)에 삽입되어 선형 운동하는 슬라이딩부(4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431)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봉 형태일 수 있으며, 슬라이딩부(432)는 바(Bar)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지그부는 제2지그부(440)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지그부는 보호 필름(10)가 안착하는 제1지그(4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지그(450)는 측면이 인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제1지그(450)의 측면은 'Z'자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지그(450)는 측면에 인입되도록 형성된 가이드홈을 구비할 수 있다.
제2지그부(440)는 구동부(420)에 연결되어 선형운동할 수 있다. 이때, 제2지그부(440)는 슬라이딩부(432)에 연결되며 슬라이딩부(432)는 제2지그부(440)의 운동 시 제2지그부(440)의 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2지그부(440)는 제2지그(441), 회전지그(442, 443, 444, 445), 코너지그(446) 및 탄성부(447)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지그(441)는 중앙에 배치될 수 있으며, 패널부재(미표기)와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패널부재는 후술할 보호 필름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며하기로 한다.
제2지그(441)의 중앙 부분은 평평할 수 있으며, 제2지그(441)의 측면 부분은 제2지그(441)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지그(441)는 십자 형상일 수 있다. 특히 제2지그(441)가 보호 필름(10)에 접촉하는 경우 제2지그(441)는 보호 필름(10)의 모서리 부분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제2지그(441)는 접촉부(441a)와, 접촉부(441a)와 연결되는 연결부(44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접촉부(441a)는 십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부(441b)는 구동부(420)와 연결될 수 있다.
회전지그(442, 443, 444, 445)는 제2지그(441)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회전지그(442, 443, 444, 445)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회전지그(442, 443, 444, 445)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1회전지그(442), 제2회전지그(443), 제3회전지그(444) 및 제4회전지그(4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회전지그(442), 제2회전지그(443), 제3회전지그(444) 및 제4회전지그(445) 중 2개는 크기와 형상이 서로 동일하며, 제1회전지그(442), 제2회전지그(443), 제3회전지그(444) 및 제4회전지그(445) 중 다른 2개는 크기와 형상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회전지그(442)와 제3회전지그(444)의 크기와 형상은 서로 동일하고, 제2회전지그(443)와 제4회전지그(445)의 크기와 형상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반면, 제1회전지그(442)와 제2회전지그(443)는 크기와 형상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특히 제1회전지그(442)의 길이는 제2회전지그(443)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제2회전지그(443)의 길이가 제1회전지그(442)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보호 필름(10)의 평면 형상이 사각형인 경우 보호 필름(10)는 장변과 단변을 가질 수 있으며, 보호 필름(10)의 단변의 절곡 시 제1회전지그(442)가 사용되고, 보호 필름(10)의 장변의 절곡 시 제2회전지그(443)가 사용될 수 있다. 제1회전지그(442)와 제2회전지그(443) 사이의 관계는 제3회전지그(444)와 제4회전지그(445) 사이의 관계, 제1회전지그(442)와 제4회전지그(445) 사이의 관계 및 제2회전지그(443)와 제3회전지그(444) 사이의 관계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제1회전지그(442), 제2회전지그(443), 제3회전지그(444) 및 제4회전지그(445)는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형성되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회전지그(442) 및 제2회전지그(443)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회전지그(442)는 제2지그(44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회전지그(442)는 제1안착홈(442a)과 제1코너홈(442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안착홈(442a)은 보호 필름(10)의 테두리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보호 필름(10)는 제1안착홈(442a)에 삽입될 수 있다. 제1코너홈(442b)은 제1회전지그(442)의 양단 모서리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코너홈(442b)은 보호 필름(10)의 모서리 부분에 대응될 수 있으며, 제1코너홈(442b)의 내면은 라운드질 수 있다.
제2회전지그(443)는 제1회전지그(442)와 상이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회전지그(442)의 길이 방향(예를 들면, 도 2의 X방향)과 제2회전지그(443)의 길이 방향(예를 들면, 도 2의 Y방향)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제2회전지그(443)는 제2안착홈(443a)과 제2코너홈(443b)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2안착홈(443a)은 보호 필름(10)의 테두리 중 하나가 안착할 수 있다. 제2코너홈(443b)은 보호 필름(10)의 모서리(또는 코너) 부분과 접촉하여 보호 필름(10)의 모서리 부분을 라운드지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3회전지그(444)는 제1회전지그(442)와 유사한 형태일 수 있으며, 제3안착홈(444a)과 제3코너홈(444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4회전지그(445)는 제1회전지그(442)와 유사한 형태일 수 있으며, 제4안착홈(445a) 및 제4코너홈(445b)을 포함할 수 있다.
코너지그(446)는 보호 필름(10)의 모서리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코너지그(446)는 제2회전지그(443) 및 제4회전지그(445)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코너지그(446)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코너지그(446)는 제1코너지그(446a), 제2코너지그(446b), 제3코너지그(446c) 및 제4코너지그(446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코너지그(446a), 제2코너지그(446b), 제3코너지그(446c) 및 제4코너지그(446d) 각각은 보호 필름(10)의 각 모서리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코너지그(446a) 및 제2코너지그(446b)는 제2회전지그(443)의 양 끝단에 각각 배치되어 제2회전지그(443)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3코너지그(446c) 및 제4코너지그(446d)는 제4회전지그(445)의 양 끝단에 각각 배치되어 제4회전지그(445)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제1코너지그(446a), 제2코너지그(446b), 제3코너지그(446c) 및 제4코너지그(446d)는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되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코너지그(446a)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코너지그(446a)는 제2회전지그(443)에 연결되어 제2회전지그(443)의 회전 시 제2회전지그(443)와 같이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코너지그(446a)는 보호 필름(10)의 모서리를 라운드시키도록 제1성형홈(446a-1)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성형홈(446a-1)은 제2회전지그(443)의 제2코너홈(443b)과 연결되는 형태일 수 있다. 제1성형홈(446a-1)과 제2코너홈(443b)은 보호 필름(10)의 모서리 중 하나를 라운드지게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며, 보호 필름(10)의 모서리 중 하나의 성형 시 보호 필름(10)의 모서리 성형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2코너지그(446b)는 제2성형홈(446b-1)을 포함하고, 제3코너지그(446c)는 제3성형홈(446c-1)을 포함하며, 제4코너지그(446d)는 제4성형홈(446d-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성형홈(446b-1)은 제2코너홈(443b)과 연결되고, 제3성형홈(446c-1)과 제4성형홈(446d-1)은 각 제4코너홈(445b)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회전지그(442, 443, 444, 445)와 제2지그(441) 사이에는 탄성부(447)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447)는 제2지그(441)의 운동에 따라 각 회전지그(442, 443, 444, 445)에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회전지그(442, 443, 444, 445)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447)는 복수개 구비되며, 각 탄성부(447)는 각 회전지그(442, 443, 444, 445)에 사선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스토퍼부(460)는 제2지그부(440)와 제1지그(45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토퍼부(460)는 제2지그부(440)에 배치된 제1스토퍼부(461)와, 제1지그(450) 또는 제2바디부(413)에 배치되는 제2스토퍼부(46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스토퍼부(461) 또는 제2스토퍼부(462) 중 하나는 제1스토퍼부(461) 또는 제2스토퍼부(462) 중 다른 하나에 삽입 가능할 수 있다. 즉, 제1스토퍼부(461) 또는 제2스토퍼부(462) 중 하나가 제1스토퍼부(461) 또는 제2스토퍼부(462) 중 다른 하나에 근접하는 경우 제1스토퍼부(461) 또는 제2스토퍼부(462) 중 하나는 제1스토퍼부(461) 또는 제2스토퍼부(462) 중 다른 하나에 삽입된 후 일정 거리까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1스토퍼부(461) 또는 제2스토퍼부(462) 중 하나는 바(Bar) 형태일 수 있으며, 제1스토퍼부(461) 또는 제2스토퍼부(462) 중 다른 하나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원기둥 형태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스토퍼부(462)가 내부에 공간이 있는 원기둥 형태이며, 제1스토퍼부(461)가 바 형태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가열부(470)는 제2지그부(440), 각 회전지그(442, 443, 444, 445) 및 상기 제1지그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가열부(470)가 각 회전지그(442, 443, 444, 445) 및 상기 제1지그부에 배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가열부(470)는 각 회전지그(442, 443, 444, 445)에 배치되는 제1가열부(471)와, 상기 제1지그부에 배치되는 제2가열부(47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가열부(471)와 제2가열부(472)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가열부(471)와 제2가열부(472)는 봉 형태의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가열부(471)는 각 회전지그(442, 443, 444, 445)에 삽입되고, 제2가열부(472)는 상기 제1지그부의 제1지그(450)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가열부(471)와 제2가열부(472)는 보호 필름(10)가 절곡될 때 보호 필름(10)가 적은 힘으로도 절곡 가능하도록 보호 필름(10)를 가열할 수 있다. 이때, 제1가열부(471)와 제2가열부(472)는 보호 필름(10)와 직접 접촉하는 형태가 아닌 보호 필름(10)의 절곡 시 보호 필름(10)가 접촉하는 각 회전지그(442, 443, 444, 445) 및 제1지그(450)를 가열함으로써 보호 필름(10)에 균일한 열을 가할 뿐만 아니라 과도한 열을 가함으로써 발생하는 보호 필름(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400)는 각 코너지그(446)를 통하여 보호 필름(10)의 성형 시 보호 필름(10)의 코너영역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400)는 각 코너지그(446)를 통하여 보호 필름(10)의 코너영역을 라운드지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a를 참고하면, 표시 장치(1)는 모바일 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통신 단말기, 전자 수첩, 전자 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UMPC(Ultra Mobile PC)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뿐만 아니라, 텔레비전, 노트북, 모니터, 광고판,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등의 다양한 제품의 표시 화면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표시 장치(1)는 평면 상에서 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표시 장치(1)는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 원형, 타원형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표시 장치(1)가 평면 상에서 다각형의 형상을 갖는 경우, 다각형의 코너(Corner)가 라운드(round)질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표시 장치(1)가 평면 상에서 코너가 라운드진 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표시 장치(1)는 제1방향(예컨대, x방향 또는 -x방향)의 단변과 제2방향(예컨대, y방향 또는 -y방향)의 장변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1)는 제1방향(예컨대, x방향 또는 -x방향)으로의 변의 길이와 제2방향(예컨대, y방향 또는 -y방향)으로의 변의 길이는 동일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1)는 제1방향(예컨대, x방향 또는 -x방향)의 장변 및 제2방향(예컨대, y방향 또는 -y방향)의 단변을 가질 수 있다.
제1방향(예컨대, x방향 또는 -x방향)의 단변과 제2방향(예컨대, y방향 또는 -y방향)의 장변이 만나는 각 코너는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둥글게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표시영역(DA) 및 표시영역(DA)의 외측에 위치한 비표시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영역(DA)에는 복수의 화소(PX)들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복수의 화소(PX)들의 어레이를 통해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화소(PX)는 표시 장치(1)에 구비된 발광소자들에 의해 빛이 방출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화소(PX)들은 각각 적색 부화소, 녹색 부화소, 및 청색 부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화소(PX)들은 각각 적색 부화소, 녹색 부화소, 청색 부화소, 및 백색 부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영역(DA)은 메인표시영역(FDA), 보조표시영역(SDA), 및 중간표시영역(MDA)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표시영역(FDA), 보조표시영역(SDA), 및 중간표시영역(MDA) 각각에는 복수의 화소(PX)가 배치될 수 있다.
메인표시영역(FDA)은 평평한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인표시영역(FDA)이 표시 장치(1)의 표시영역(DA)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클 수 있고, 따라서 대부분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보조표시영역(SDA)은 적어도 일부가 벤딩되어 곡면을 포함하며, 메인표시영역(FDA)의 각 에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조표시영역(SDA)은 제1보조표시영역(SDA1), 제2보조표시영역(SDA2), 제3보조표시영역(SDA3), 및 제4보조표시영역(SDA4)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보조표시영역(SDA1), 제2보조표시영역(SDA2), 제3보조표시영역(SDA3), 및 제4보조표시영역(SDA4) 중 적어도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보조표시영역(SDA1)은 메인표시영역(FDA)의 제1에지(SD1)에 인접하며, 제1에지(SD1)로부터 -y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보조표시영역(SDA2)은 메인표시영역(FDA)의 제2에지(SD2)에 인접하며, 제2에지(SD2)로부터 x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보조표시영역(SDA3)은 메인표시영역(FDA)의 제3에지(SD3)에 인접하며, 제3에지(SD3)로부터 y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4보조표시영역(SDA4)은 메인표시영역(FDA)의 제4에지(SD4)에 인접하며, 제4에지(SD4)로부터 -x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보조표시영역(SDA1)과 제3보조표시영역(SDA3)은 메인표시영역(FDA)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고, 제2보조표시영역(SDA2)과 제4보조표시영역(SDA4)은 메인표시영역(FDA)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내지 제4보조표시영역(SDA1, SDA2, SDA3, SDA4)는 각각 일정한 곡률을 가지고 벤딩된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보조표시영역(SDA1) 및 제3보조표시영역(SDA3)은 x방향으로 연장된 벤딩축을 중심으로 벤딩된 곡면을 가지며, 제2보조표시영역(SDA2) 및 제4보조표시영역(SDA4)은 y방향으로 연장된 벤딩축을 중심으로 벤딩된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제1내지 제4보조표시영역(SDA1, SDA2, SDA3, SDA4) 각각의 곡률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보조표시영역(SDA1)의 곡률과 제3보조표시영역(SDA3)의 곡률은 서로 동일하고, 제2보조표시영역(SDA2)의 곡률과 제4보조표시영역(SDA4)의 곡률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보조표시영역(SDA1)의 곡률은 제2보조표시영역(SDA2)의 곡률과 상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보조표시영역(SDA1)의 곡률은 제2보조표시영역(SDA2)의 곡률과 동일할 수 있다.
중간표시영역(MDA)은 메인표시영역(FDA)와 후술하는 표시장치코너영역(DC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중간표시영역(MDA)은 보조표시영역(SDA)과 표시장치코너영역(DC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중간표시영역(MDA)은 메인표시영역(FDA)과 표시장치코너영역(DCA) 사이, 그리고 보조표시영역(SDA)과 표시장치코너영역(DCA)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가 평면 상에서 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경우, 중간표시영역(MDA)은 4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중간표시영역(MDA)은 복수의 화소(PX)들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각 표시영역(DA)에 전기적 신호나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드라이버 등도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중간표시영역(MDA)에 위치한 화소(PX)들은 중간표시영역(MDA)에 위치한 드라이버 등의 상부에 중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중간표시영역(MDA)에 위치한 화소(PX)들을 구동시키는 화소회로는 중간표시영역(MDA)과 인접한 메인표시영역(FDA), 보조표시영역(SDA) 및/또는 표시장치코너영역(DCA)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a의 표시 장치(1)는 메인표시영역(FDA)뿐만 아니라, 보조표시영역(SDA) 및 중간표시영역(MDA)에서도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 중 표시영역(DA)이 차지하는 비중이 늘어날 수 있다. 즉, 동일한 크기의 표시 장치(1)에 있어서, 비표시영역(NDA)의 면적은 줄어들고 표시영역(DA)의 면적은 늘어날 수 있다.
표시 장치(1)의 비표시영역(NDA)에는 화소(PX)가 배치되지 않으며, 따라서, 비표시영역(NDA)은 이미지를 제공하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비표시영역(NDA)는 표시영역(DA) 외측의 주변영역(PA)을 포함할 수 있다. 주변영역(PA)은 표시영역(DA)을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주변영역(PA)에는 표시영역(DA)에 전기적 신호나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드라이버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비표시영역(NDA)은 표시장치코너영역(DC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장치코너영역(DCA)은 메인표시영역(FDA)의 인접한 두 에지가 만나는 코너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장치코너영역(DCA)은 메인표시영역(FDA)의 제1에지(SD1)와 제2에지(SD2)가 만나는 코너 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표시장치코너영역(DCA)은 제1보조표시영역(SDA1) 및 제2보조표시영역(SDA2)과 인접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가 평면 상에서 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경우, 표시장치코너영역(DCA)은 4개로 구비될 수 있다.
표시장치코너영역(DCA)은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벤딩된 곡면을 가진 서로 이웃한 보조표시영역(SDA)들 사이에 위치하므로, 표시장치코너영역(DCA)은 여러 방향으로 벤딩된 곡면들이 연속적으로 이어지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로 이웃한 보조표시영역(SDA)들 각각의 곡률이 서로 상이한 경우, 표시장치코너영역(DCA)의 곡률은 표시 장치(1)의 에지를 따라 점차 변화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보조표시영역(SDA1)의 곡률 및 제2보조표시영역(SDA2)의 곡률이 상이한 경우, 제1보조표시영역(SDA1)과 제2보조표시영역(SDA2) 사이의 표시장치코너영역(DCA)은 위치에 따라 점차 변화되는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비록, 제1보조표시영역(SDA1)과 제2보조표시영역(SDA2) 및 이들 사이의 표시장치코너영역(DCA)을 통해 예로서 설명하나, 다른 3개의 표시장치코너영역(DCA)들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b를 참고하면, 표시영역(DA)은 메인표시영역(FDA), 보조표시영역(SDA), 중간표시영역(MDA), 및 코너표시영역(CDA)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표시영역(FDA), 보조표시영역(SDA), 중간표시영역(MDA), 및 코너표시영역(CDA) 각각에는 복수의 화소(PX)가 배치될 수 있다. 메인표시영역(FDA) 및 보조표시영역(SDA)에 대한 설명은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중간표시영역(MDA)은 메인표시영역(FDA)와 후술하는 코너표시영역(CD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중간표시영역(MDA)은 보조표시영역(SDA)과 코너표시영역(CD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중간표시영역(MDA)은 메인표시영역(FDA)과 코너표시영역(CDA) 사이, 그리고 보조표시영역(SDA)과 코너표시영역(CDA)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가 평면 상에서 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경우, 중간표시영역(MDA)은 4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중간표시영역(MDA)에 위치한 화소(PX)들을 구동시키는 화소회로는 중간표시영역(MDA)과 인접한 메인표시영역(FDA), 보조표시영역(SDA) 및/또는 코너표시영역(CDA)에 배치될 수 있다.
코너표시영역(CDA)은 표시 장치(1)의 코너 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 장치(1)의 코너는 표시 장치(1) 제1방향(예컨대, x방향 또는 -x방향)으로의 단변 및 제2방향(예컨대, y방향 또는 -y방향)으로의 장변이 만나는 부분일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가 평면 상에서 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경우, 4개의 코너표시영역(CDA)들이 구비될 수 있다.
코너표시영역(CDA)은 메인표시영역(FDA)의 두 에지가 만나는 코너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코너표시영역(CDA)는 두 보조표시영역(SDA)와 인접할 수 있다. 예컨대, 코너표시영역(CDA)들은 메인표시영역(FDA)의 제1에지(SD1)와 제2에지(SD2)가 만나는 코너 측에 위치하며, 제1보조표시영역(SDA1) 및 제2보조표시영역(SDA2)와 인접할 수 있다.
코너표시영역(CDA)은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벤딩된 곡면을 가진 서로 이웃한 보조표시영역(SDA)들 사이에 위치하므로, 코너표시영역(CDA)은 여러 방향으로 벤딩된 곡면들이 연속적으로 이어지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로 이웃한 보조표시영역(SDA)들 각각의 곡률이 서로 상이한 경우, 코너표시영역(CDA)의 곡률은 표시 장치(1)의 에지를 따라 점차 변화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보조표시영역(SDA1)의 곡률 및 제2보조표시영역(SDA2)의 곡률이 상이한 경우, 제1보조표시영역(SDA1)과 제2보조표시영역(SDA2) 사이의 코너표시영역(CDA)은 위치에 따라 점차 변화되는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비록, 제1보조표시영역(SDA1)과 제2보조표시영역(SDA2) 및 이들 사이의 코너표시영역(CDA)을 통해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다른 3개의 코너표시영역(CDA)들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b의 표시 장치(1)는 메인표시영역(FDA), 보조표시영역(SDA) 및 중간표시영역(MDA)뿐만 아니라 코너표시영역(CDA)에서도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 중 표시영역(DA)이 차지하는 비중이 더욱 늘어날 수 있다. 즉, 동일한 크기의 표시 장치(1)에 있어서, 비표시영역(NDA)의 면적은 줄어들고 표시영역(DA)의 면적은 늘어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는 그 코너에서 라운드진 곡면을 포함하며 이미지를 표시하는 코너표시영역(CDA)을 구비함으로써,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b의 표시 장치(1)의 비표시영역(NDA)는 표시영역(DA) 외측의 주변영역(PA)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주변영역(PA)은 메인표시영역(FDA), 4개의 보조표시영역(SDA)들, 및 4개의 코너표시영역(CDA)을 전체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b의 표시 장치(1)를 예로서 설명하나, 이하의 설명들이 도 4a의 표시 장치(1)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각각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표시 장치(1)는 보호 필름(10), 표시 패널(20) 및 커버 윈도우(3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30)는 표시 패널(20)의 전면(前面)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표시 패널(20)의 ‘전면’은 표시 패널(20)이 이미지를 제공하는 방향을 향하는 면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 윈도우(30)는 표시 패널(20)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 윈도우(30)는 표시 패널(20)의 전면을 보호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커버 윈도우는 표시 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며, 따라서 전술한 표시 장치(1)의 형상에 대응하는 평면 및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30)는 접착층(미도시)에 의해 표시 패널(20)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접착층은 예컨대, 광학 투명 접착제(Optical Clear Adhesive, OCA) 또는 갑압성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와 같은 접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30)는 표시 패널(20)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투과시키기 위해 높은 투과율을 가질 수 있고, 표시 장치(1)의 무게를 최소화 하기 위해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커버 윈도우(30)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표시 패널(20)을 보호하기 위해 강한 강도 및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커버 윈도우(30)는 플렉서블 윈도우일 수 있다. 커버 윈도우(30)는 크랙(crack) 등의 발생없이 외력에 따라 용이하게 휘면서 표시 패널(20)을 보호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커버 윈도우(30)는 유리, 사파이어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커버 윈도우(30)는 화학적 강화 또는 열적 강화 등의 방법으로 강도를 강화시킨 초박막 강화 유리(Ultra-Thin Glass, UTG®)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커버 윈도우(30)는 강화 유리(Ultra-Thin Glass, UTG®) 및 투명폴리이미드(Colorless Polyimide, CPI)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 윈도우(30)는 유리 기판의 일면에 가요성이 있는 고분자 층이 배치된 구조를 갖는 것일 수 있고, 또는, 고분자층으로만 구성된 것일 수 있다.
표시 패널(20)에서 구현된 이미지는 투명한 커버 윈도우(3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가 제공하는 이미지는 표시 패널(20)에 의해 구현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전술한 표시 장치(1)의 표시영역(DA, 도 1b 참조) 및 비표시영역(NDA, 도 1b 참조)은 표시 패널(20)에 구비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보호 필름(10)은 표시 패널(20)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보호 필름(10)은 커버 윈도우(30)가 배치되는 표시 패널(20)의 일면과 마주보는 표시 패널(20)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보호 필름(10)은 표시 패널(20)을 외부에서 보호할 뿐만 아니라 커버 윈도우(30) 등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러한 보호 필름(10)은 커버 윈도우(30)의 모서리 부분에 배치되는 보호 필름(10)의 일부분이 제거된 홈을 구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에 구비된 표시 패널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표시 패널(20)은 표시영역(DA) 및 비표시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20)의 표시영역(DA)은 메인표시영역(FDA), 보조표시영역(SDA), 중간표시영역(MDA), 및 코너표시영역(C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20)의 비표시영역(NDA)은 표시영역(DA)의 외측의 주변영역(PA), 주변영역(PA)PA)의 일 측에 배치된 벤딩영역(BA), 및 상기 벤딩영역(BA)을 사이에 두도록 주변영역(PA)과 이격된 패드영역(PDA)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 패널(20)의 표시영역(DA) 및 비표시영역(NDA)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표시 장치(1, 도 2 참조)의 표시영역(DA) 및 비표시영역(NDA)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이하 설명의 편의상,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영역(PA)이 표시영역(DA)을 전체적으로 둘러싸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로, 표시 패널(20)은 표시영역(DA)과 패드영역(PDA)이 표시 패널(20)의 두께 방향(즉, z방향)으로 서로 중첩되도록 벤딩영역(BA)에서 벤딩 될 수 있다. 즉, 패드영역(PDA)이 표시 패널(20)의 배면(背面) 상에서 표시영역(DA)과 중첩하여 배치되도록 벤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완성된 표시 장치(1)에서 비표시영역(NDA)의 면적을 줄이고, 표시영역(DA)의 비율을 높일 수 있다.
패드영역(PDA)에는 표시 구동부(42) 및 표시 회로보드(31)가 배치될 수 있다. 표시 구동부(42)는 제어 신호들과 전원 전압들을 인가받고, 표시 패널(20)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들과 전압들을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표시 구동부(42)는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 IC)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회로보드(31)는 표시 패널(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패드영역(PDA)에 위치한 패드부(미도시)에 이방성 도전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표시 회로보드(31)는 구부러질 수 있는 연성 인쇄 회로보드(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또는 단단하여 잘 구부러지지 않는 강성 인쇄 회로보드(rigid printed circuit board, PCB)일 수 있고, 경우에 따라 강성 인쇄 회로보드와 연성 인쇄 회로보드를 모두 포함하는 복합 인쇄 회로보드일 수 있다.
표시 회로보드(31) 상에는 센서 구동부(33)가 배치될 수 있다. 센서 구동부(33)는 집적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구동부(33)는 표시 회로보드(31) 상에 부착 또는 내장될 수 있다. 센서 구동부(33)는 표시 회로보드(31)를 통해 표시 패널(20)의 터치감지층의 감지전극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외에도, 표시 회로보드(31) 상에는 표시 패널(20)의 화소회로들, 스캔 구동부 및 표시 구동부(42)를 구동하기 위한 전압들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미도시) 등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전원 공급부는 표시 구동부(42)와 통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표시 구동부(42)와 전원 공급부는 하나의 집적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표시 회로보드(31)는 메인 회로보드(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메인 회로보드는 CPU, GPU, 메모리, 통신칩, DSP, ISP, 여러 종류의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하는 메인 프로세서,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표시 패널(20)은 기판(100)을 포함하며, 표시 패널(20)을 이루는 각종 구성요소들은 기판(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표시영역(DA)을 형성하는 복수의 발광소자들, 각 발광소자를 구동하는 화소회로들, 각 화소회로에 전기적 신호 및/또는 전압을 제공하는 신호선들 및/또는 전압선들, 및 구동회로들 등이 기판(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표시 구동부(42) 및 표시 회로보드(31) 또한 기판(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표시 구동부(42) 및 표시 회로보드(31)는 기판(1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기판(100)에 홀(hole)을 뚫어 배선을 배치하는 경우, 표시 구동부(42) 및 표시 회로보드(31)는 기판(100)의 하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패널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들이다.
도 7a를 참고하면, 표시 패널(20)은 복수의 관통부(PNP)들 및 복수의 관통부(PNP)들에 의해 서로 이격된 복수의 베이스부(BSP)들을 포함하는 기판(10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기판(100)의 복수의 관통부(PNP)들 및 복수의 베이스부(BSP)들은 기판(100)의 코너표시영역(CDA)에 위치하되, 기판(100)의 메인표시영역(FDA)으로부터 멀어지는 외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베이스부(BSP)들은 각각 기판(100)의 메인표시영역(FDA)로부터 멀어지는 외측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복수의 베이스부(BSP)들의 연장 길이는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복수의 베이스부(BSP)들의 일 단부는 기판(100)의 일부분과 연결되며, 타 단부는 기판(100)의 코너를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베이스부(BSP)들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고, 또는 방사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복수의 베이스부(BSP)들이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경우, 서로 인접한 두 베이스부(BSP)들 사이의 간격(e)은 베이스부(BSP)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일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복수의 베이스부(BSP)들이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경우, 서로 인접한 두 베이스부(BSP)들 사이의 간격(e)은 베이스부(BSP)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점차 증가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베이스부(BSP)들이 방사형으로 배열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복수의 베이스부(BSP)들 상에는 화소회로, 발광소자, 신호배선 등의 구성요소들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베이스부(BSP)들 각각에는 복수의 화소(PX)들이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복수의 화소(PX)는 적색의 부화소(Pr), 녹색의 부화소(Pg), 및 청색의 부화소(Pb)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베이스부(BSP)들 상의 화소(PX)들에 의해 코너표시영역(CDA)이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베이스부(BSP)들 중 서로 인접한 두 베이스부(BSP)들 사이에는 관통부(PNP)가 위치할 수 있다. 관통부(PNP)는 서로 인접한 두 베이스부(BSP)들 및 상기 두 베이스부(BSP)와 연결되는 기판(100)의 일부분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관통부(PNP)는 베이스부(BSP)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관통부(PNP)는 표시 패널(20)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할 수 있고, 표시 패널(20)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관통부(PNP)에 의해, 복수의 베이스부(BSP)들 중 서로 이웃하는 두 베이스부(BSP)들은 서로 소정의 간격(e)만큼 이격될 수 있다. 관통부(PNP)는 서로 인접한 두 베이스부(BSP)들 사이의 이격영역(W)을 제공할 수 있다. 즉, 각 관통부(PNP)는 이격 영역(W)과 중첩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20)에 대한 외력(예컨대, 구부리거나 압축하는 등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복수의 베이스부(BSP)들의 위치가 변할 수 있고, 서로 이웃하는 두 베이스부(BSP)들 사이의 이격 영역(W)의 형상이 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표시 패널(20)에 수축 및 연신 특성을 모두 부여할 수 있다. 예컨대, 베이스부(BSP)들에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베이스부(BSP)들 각각은 연장 방향을 따라 연신될 수 있으며, 동시에 서로 인접한 두 베이스부(BSP)들 사이의 이격 영역(W)의 면적이 줄어듦에 따라 수축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로, 베이스부(BSP)들 각각은 서로 상이한 곡률만큼 벤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기판(100)의 구조를 통해, 기판(100)이 코너표시영역(CDA)이 구부러지더라도 기판(100)의 코너표시영역(CDA)들 상에 배치된 구성요소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기판(100)의 코너표시영역(CDA)들에서 구성요소들이 손상 없이 배치될 수 있는바, 코너표시영역(CDA)에 화소(PX)들이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의 코너표시영역(CDA)을 구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표시 장치(1)의 표시영역(DA)을 확장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에 구비된 표시 패널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표시 패널(20)은 기판(100), 화소회로층(PCL), 표시층(DISL), 박막봉지층(TFE), 및 터치감지층(TSL)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0)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베이스층 및 무기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일 수 있다. 예컨대, 기판(100)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베이스층과 무기절연층의 배리어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기판(100)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베이스층(101), 제1배리어층(102), 제2베이스층(103), 및 제2배리어층(10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베이스층(101)과 제2베이스층(103)은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에테르술폰(PES, polyethersulfon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폴리에테르 이미드(PEI, 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elenene nap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ET, polyethyeleneterepthalat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카보네이트(PC), 셀룰로오스 트리 아세테이트(TAC), 또는/및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배리어층(102)과 제2배리어층(104)은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및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등의 무기절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판(100)은 플렉서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기판(100) 상에는 화소회로층(PCL)이 배치될 수 있다. 화소회로층(PCL)은 박막트랜지스터(TFT)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포함하는 화소회로(P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소회로층(PCL)은 화소회로(PC)의 구성요소들 아래 또는/및 위에 배치되는 버퍼층(111), 제1게이트절연층(112), 제2게이트절연층(113), 층간절연층(114), 제1평탄화절연층(115) 및 제2평탄화절연층(116)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111)은 기판(100)의 하부로부터 이물, 습기 또는 외기의 침투를 감소 또는 차단할 수 있고, 기판(100) 상에 평탄면을 제공할 수 있다. 버퍼층(111)은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및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등과 같은 무기 절연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술한 물질을 포함하는 단일 층 또는 다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버퍼층(111) 상의 박막트랜지스터(TFT)는 반도체층(Act)을 포함하며, 반도체층(Act)은 폴리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반도체층(Act)은 비정질(amorphous) 실리콘을 포함하거나,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거나, 유기 반도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층(Act)은 채널영역(C) 및 채널영역(C)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드레인영역(D) 및 소스영역(S)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전극(GE)은 채널영역(C)과 중첩할 수 있다.
게이트전극(GE)은 저저항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전극(GE)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구리(Cu), 티타늄(Ti) 등을 포함하는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또는 단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도체층(Act)과 게이트전극(GE) 사이의 제1게이트절연층(112)은 실리콘산화물(SiO2), 실리콘질화물(SiNX), 실리콘산질화물(SiON), 알루미늄산화물(Al2O3), 티타늄산화물(TiO2), 탄탈산화물(Ta2O5), 하프늄산화물(HfO2), 또는 아연산화물(ZnO2)등과 같은 무기 절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게이트절연층(113)은 상기 게이트전극(GE)을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게이트절연층(113)은 상기 제1게이트절연층(112)과 유사하게 실리콘산화물(SiO2), 실리콘질화물(SiNX), 실리콘산질화물(SiON), 알루미늄산화물(Al2O3), 티타늄산화물(TiO2), 탄탈산화물(Ta2O5), 하프늄산화물(HfO2), 또는 아연산화물(ZnO2) 등과 같은 무기 절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게이트절연층(113) 상부에는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상부 전극(Cst2)이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전극(Cst2)은 그 아래의 게이트전극(GE)과 중첩할 수 있다. 이 때, 제2게이트절연층(113)을 사이에 두고 중첩하는 게이트전극(GE) 및 상부 전극(Cst2)은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형성할 수 있다. 즉, 게이트전극(GE)은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하부 전극(Cst1)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와 박막트랜지스터(TFT)가 중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박막트랜지스터(TFT)와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부 전극(Cst2)은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은(Ag), 마그네슘(Mg),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칼슘(Ca), 몰리브덴(Mo), 티타늄(Ti), 텅스텐(W), 및/또는 구리(Cu)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술한 물질의 단일층 또는 다층일 수 있다.
층간절연층(114)은 상부 전극(Cst2)을 덮을 수 있다. 층간절연층(114)은 실리콘산화물(SiO2), 실리콘질화물(SiNX), 실리콘산질화물(SiON), 알루미늄산화물(Al2O3), 티타늄산화물(TiO2), 탄탈산화물(Ta2O5), 하프늄산화물(HfO2), 또는 아연산화물(ZnO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층간절연층(114)은 전술한 무기 절연물을 포함하는 단일층 또는 다층일 수 있다.
드레인전극(DE) 및 소스전극(SE)은 각각 층간절연층(114)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드레인전극(DE) 및 소스전극(SE)은 각각 그 하부의 절연층들의 컨택홀을 통해 드레인영역(D) 및 소스영역(S)과 연결될 수 있다. 드레인전극(DE) 및 소스전극(SE)은 전도성이 좋은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드레인전극(DE) 및 소스전극(SE)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구리(Cu), 티타늄(Ti) 등을 포함하는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또는 단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드레인전극(DE) 및 소스전극(SE)은 Ti/Al/Ti의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평탄화절연층(115)은 드레인전극(DE) 및 소스전극(SE)을 덮을 수 있다. 제1평탄화절연층(115)은 Polymethylmethacrylate(PMMA)나 Polystyrene(PS)과 같은 일반 범용고분자, 페놀계 그룹을 갖는 고분자 유도체, 아크릴계 고분자, 이미드계 고분자, 아릴에테르계 고분자, 아마이드계 고분자, 불소계고분자, p-자일렌계 고분자, 비닐알콜계 고분자, 및 이들의 블렌드와 같은 유기 절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평탄화절연층(116)은 제1평탄화절연층(115)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평탄화절연층(116)은 제1평탄화절연층(115)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Polymethylmethacrylate(PMMA)나 Polystyrene(PS)과 같은 일반 범용고분자, 페놀계 그룹을 갖는 고분자 유도체, 아크릴계 고분자, 이미드계 고분자, 아릴에테르계 고분자, 아마이드계 고분자, 불소계고분자, p-자일렌계 고분자, 비닐알콜계 고분자, 및 이들의 블렌드와 같은 유기 절연물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층(DISL)은 전술한 구조의 화소회로층(PC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층(DISL)은 발광소자(200) 및 화소정의막(120)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소자(200)는 예컨대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를 포함하며,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화소전극(210), 중간층(220), 및 대향전극(230)의 적층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예컨대, 적색, 녹색, 또는 청색 빛을 방출하거나, 적색, 녹색, 청색, 또는 백색의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발광영역을 통해 빛을 방출하며, 발광영역을 화소(PX)로 정의할 수 있다.
화소전극(210)은 제2평탄화절연층(116)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화소전극(210)은 제2평탄화절연층(116) 및 제1평탄화절연층(115)에 형성된 컨택홀을 통해 제1평탄화절연층(115) 상에 배치된 컨택메탈(CM)과 접속하며, 컨택메탈(CM)을 통해 박막트랜지스터(TFT)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화소전극(210)은 인듐틴산화물(ITO; indium tin oxide), 인듐징크산화물(IZO; indium zinc oxide), 징크산화물(ZnO; zinc oxide), 인듐산화물(In2O3: indium oxide), 인듐갈륨산화물(IGO; indium gallium oxide) 또는 알루미늄징크산화물(AZO; aluminum zinc oxide)와 같은 도전성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화소전극(210)은 은(Ag),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또는 이들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반사막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화소전극(210)은 전술한 반사막의 위/아래에 ITO, IZO, ZnO 또는 In2O3로 형성된 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소전극(210) 상에는 화소전극(210)의 중앙부를 노출하는 개구(120OP)를 갖는 화소정의막(120)이 배치된다. 화소정의막(120)은 유기절연물 및/또는 무기절연물을 포함할 수 있다. 개구(120OP)는 발광소자(200)에서 방출되는 빛의 발광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예컨대, 개구(120OP)의 크기/폭이 발광영역의 크기/폭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화소(PX)의 크기 및/또는 폭은 해당하는 화소정의막(120)의 개구(120OP)의 크기 및/또는 폭에 의존할 수 있다.
중간층(220)은 화소전극(210)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발광층(222)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222)은 소정의 색상의 빛을 방출하는 고분자 또는 저분자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발광층(222)은 무기 발광물질을 포함하거나, 양자점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222)의 아래와 위에는 각각 제1기능층(221) 및 제2기능층(223)이 배치될 수 있다. 제1기능층(221)은 예컨대, 홀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을 포함하거나, 홀 수송층 및 홀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기능층(223)은 발광층(222) 위에 배치되는 구성요소로서,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및/또는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기능층(221) 및/또는 제2기능층(223)은 후술할 대향전극(230)과 마찬가지로 기판(100)을 전체적으로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공통층일 수 있다.
대향전극(230)은 화소전극(210) 상에 배치되며, 화소전극(210)과 중첩할 수 있다. 대향전극(230)은 일함수가 낮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대향전극(230)은 은(Ag),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리튬(Li), 칼슘(Ca) 또는 이들의 합금 등을 포함하는 (반)투명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대향전극(230)은 전술한 물질을 포함하는 (반)투명층 상에 ITO, IZO, ZnO 또는 In2O3과 같은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대향전극(230)은 기판(100)을 전체적으로 커버하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패널(20)은 복수의 발광소자(200)들을 포함하며, 복수의 발광소자(200)들은 화소(PX)들을 통해 빛을 방출함으로써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발광소자(200)들에 의해 표시영역(DA, 도 1a 및 도 1b 참조)이 정의될 수 있다.
박막봉지층(TFE)은 발광소자(200)의 대향전극(230) 상에 배치되며, 표시층(DISL)의 발광소자(200)들을 커버할 수 있다. 박막봉지층(TFE)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봉지층 및 적어도 하나의 유기봉지층을 포함하며, 일 실시예로서 도 5은 박막봉지층(TFE)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무기봉지층(310), 유기봉지층(320) 및 제2무기봉지층(330)을 포함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제1무기봉지층(310) 및 제2무기봉지층(330)은 알루미늄산화물, 티타늄산화물, 탄탈륨산화물, 하프늄산화물, 징크산화물, 실리콘산화물, 실리콘질화물, 실리콘산질화물 중 하나 이상의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봉지층(320)은 폴리머(polymer)계열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머 계열의 소재로는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이미드 및 폴리에틸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유기봉지층(320)은 아크릴레이트(acrylate)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봉지층(320)은 모노머를 경화하거나, 폴리머를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다. 유기봉지층(320)은 투명성을 가질 수 있다.
박막봉지층(TFE) 상에는 터치감지층(TSL)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감지층(TSL)은 박막봉지층(TFE) 바로 위에 직접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점착층은 터치감지층(TSL)과 박막봉지층(TFE) 사이에 개재되지 않을 수 있다.
터치감지층(TSL)은 외부의 입력, 예컨대 터치 이벤트에 따른 좌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터치감지층(TSL)은 예컨대, 감지전극 및 감지전극과 연결된 신호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감지층(TSL)은 뮤추얼 캡 방식 또는 셀프 캡 방식으로 외부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표시 장치(1)가 발광소자로서,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포함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표시 장치(1)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로서, 표시 장치(1)는 무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발광 표시 장치, 즉 무기 발광 표시 장치(In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표시 장치(1)는 양자점 발광 표시 장치(Quantum dot Light Emitting Display)일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 표시 장치(1)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포함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화소회로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화소회로(PC)는 복수의 박막트랜지스터(TFT, 도 8 참조)들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화소회로(PC)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1),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2),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2)는 스캔선(SL) 및 데이터선(DL)에 연결되며, 스캔선(SL)으로부터 입력되는 스캔 신호 또는 스위칭 전압에 기초하여 데이터선(DL)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신호 또는 데이터 전압을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1)로 전달할 수 있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2)와 구동전압선(PL)에 연결되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2)로부터 전달받은 전압과 구동전압선(PL)에 공급되는 제1전원전압(ELVDD)의 차이에 해당하는 전압을 저장할 수 있다.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1)는 구동전압선(PL)과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연결되며,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저장된 전압 값에 대응하여 구동전압선(PL)으로부터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흐르는 구동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대향전극(예, 캐소드)은 제2전원전압(ELVSS)을 공급받을 수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구동 전류에 의해 소정의 휘도를 갖는 빛을 방출할 수 있다.
화소회로(PC)가 2개의 박막트랜지스터 및 1개의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화소회로(PC)는 3개 이상의 박막트랜지스터 및/또는 2개 이상의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화소회로(PC)는 7개의 박막트랜지스터 및 1개의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박막트랜지스터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의 개수는 화소회로(PC)의 디자인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만,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화소회로(PC)가 2개의 박막트랜지스터 및 1개의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도 4a 또는 도 4b의 표시 장치의 일부분을 Ⅹ-Ⅹ´선을 따라 절취한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4a 또는 도 4b의 표시 장치의 일부분을 ⅩⅠ-ⅩⅠ´선을 따라 절취한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4a 또는 도 4b의 표시 장치의 일부분을 ⅩⅡ-ⅩⅡ´선을 따라 절취한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표시 장치(1)는 보호 부재(미표기), 표시 패널(20), 및 커버 윈도우(3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20) 및 커버 윈도우(30)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보호 필름(10) 및 커버 윈도우(30)는 표시 패널(20)을 보호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표시 패널(20)은 커버 윈도우(3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20)의 표시영역(DA)은 도 4a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메인표시영역(FDA) 및 보조표시영역(SDA)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표시 패널(20)의 표시영역(DA)은 도 4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인표시영역(FDA), 보조표시영역(SDA), 코너표시영역(CDA) 및 중간표시영역(MDA)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시영역(DA)은 메인표시영역(FDA), 보조표시영역(SDA), 코너표시영역(CDA) 및 중간표시영역(MDA)을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보조표시영역(SDA1) 및 제3보조표시영역(SDA3)은 메인표시영역(FDA)과 제1방향(예를 들어, ±y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보조표시영역(SDA1)은 메인표시영역(FDA)으로부터 +y 방향으로 연결되고, 제3보조표시영역(SDA3)은 메인표시영역(FDA)으로부터 -y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보조표시영역(SDA1)은 메인표시영역(FDA)의 제1에지(SD1)에 연결되고, 제3보조표시영역(SDA3)은 메인표시영역(FDA)의 제3에지(SD3)에 연결될 수 있다.
제1보조표시영역(SDA1) 및 제3보조표시영역(SDA3)은 임의의 곡률 반경을 가지며 구부러질 수 있다. 일 예로, 제1보조표시영역(SDA1) 및 제3보조표시영역(SDA3)이 각각 가지는 곡률 반경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보조표시영역(SDA1) 및 제3보조표시영역(SDA3)이 각각 가지는 곡률 반경은 동일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보조표시영역(SDA1) 및 제3보조표시영역(SDA3)이 각각 가지는 곡률 반경이 제1곡률 반경(r1)으로 동일한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1보조표시영역(SDA1) 및 제3보조표시영역(SDA3)은 동일 유사하므로, 제1보조표시영역(SDA1)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보조표시영역(SDA2) 및 제4보조표시영역(SDA4)은 메인표시영역(FDA)과 제2방향(예를 들어, ±x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보조표시영역(SDA2)은 메인표시영역(FDA)으로부터 +x 방향으로 연결되고, 제4보조표시영역(SDA4)은 메인표시영역(FDA)으로부터 -x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보조표시영역(SDA2) 및 제4보조표시영역(SDA4)은 임의의 곡률 반경을 가지며 구부러질 수 있다. 일 예로, 제2보조표시영역(SDA2) 및 제4보조표시영역(SDA4)이 각각 가지는 곡률 반경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보조표시영역(SDA2) 및 제4보조표시영역(SDA4)이 각각 가지는 곡률 반경은 동일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보조표시영역(SDA2) 및 제4보조표시영역(SDA4)이 각각 가지는 곡률 반경이 제2곡률 반경(r2)으로 동일한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2보조표시영역(SDA2) 및 제4보조표시영역(SDA4)은 동일 유사하므로, 제2보조표시영역(SDA2)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보조표시영역(SDA1)의 제1곡률 반경(r1)은 제2보조표시영역(SDA2)의 제2곡률 반경(r2)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곡률 반경(r1)은 제2곡률 반경(r2)보다 작을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곡률 반경(r1)은 제2곡률 반경(r2)보다 클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보조표시영역(SDA1)의 제1곡률 반경(r1)은 제2보조표시영역(SDA2)의 제2곡률 반경(r2)과 동일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곡률 반경(r1)이 제2곡률 반경(r2)보다 큰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코너표시영역(CDA) 및 중간표시영역(MDA)은 메인표시영역(FDA)의 모퉁이로부터 연장되어 구부러질 수 있다. 즉, 코너표시영역(CDA) 및 중간표시영역(MDA)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표시영역(DA)의 모퉁이로, 표시영역(DA)의 제1방향(예를 들어, ±y 방향)으로의 장변 및 제2방향(예를 들어, ±x 방향)으로의 단변이 만나는 부분일 수 있다.
코너표시영역(CDA) 및 중간표시영역(MDA) 중 적어도 하나는 제3곡률 반경(r3)을 갖는 곡면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제3곡률 반경(r3)은 코너표시영역(CDA) 및 중간표시영역(MDA)에서 일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코너표시영역(CDA) 및 중간표시영역(MDA) 중 적어도 하나의 제3곡률 반경(r3)은 복수일 수 있다. 코너표시영역(CDA) 및 중간표시영역(MDA)은 복수의 제3곡률 반경(r3)들을 가질 수 있다. 다른 말로, 코너표시영역(CDA) 및 중간표시영역(MDA)의 제3곡률 반경(r3)은 가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너표시영역(CDA) 및 중간표시영역(MDA)의 복수의 제3곡률 반경(r3)들은 제1보조표시영역(SDA1)의 제1곡률 반경(r1)과 제2보조표시영역(SDA2)의 제2곡률 반경(r2)의 벡터 합(r1+r2) 내의 임의의 곡률 반경들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다른 말로, 제3곡률 반경(r3)은 제1곡률 반경(r1)과 제2곡률 반경(r2)의 벡터 합(r1+r2) 내에서 가변할 수 있다.
한편, 표시 장치(1)는 기 설정된 곡률 반경으로 구부러진 커버 윈도우(30)에 표시 패널(20) 및 보호 필름(10)을 순차적으로 부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 표시 패널(20)이 제1곡률 반경(r1), 제2곡률 반경(r2), 및 제3곡률 반경(r3)으로 구부러지는 점을 설명하였으나, 커버 윈도우(30) 및 보호 필름(10)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보호 필름(10)은 표시 패널(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보호 필름(10)은 표시 패널(20)의 배면(예를 들어, +z 방향)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보호 필름(10)은 제1층(11) 및 제2층(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접착층을 포함하는 제1층(11)을 통해 표시 패널(20)의 하부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보호 필름(10)의 제2층(12)은 표시 패널(20)의 코너표시영역(CDA)에 대응하는 보호 필름(10)의 제1층(11)의 일부분을 적어도 일부 노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보호 필름(10)의 제2층(12)은 표시 패널(20)의 코너표시영역(CDA) 및 중간표시영역(MDA)에 대응하는 보호 필름(10)의 제1층(11)의 일부분을 적어도 일부 노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보호 필름(10)의 제2층(12)은 표시 패널(20)의 코너표시영역(CDA)에 대응하는 보호 필름(10)의 제1층(11)의 일부분을 적어도 일부 노출할 수 있다. 표시 패널(20)의 코너표시영역(CDA)에 대응하는 보호 필름(10)의 일부분은 후술할 도 13에 도시된 보호 필름(10)의 코너영역(CA)일 수 있다. 제2층(12)은 제1층(11)의 코너영역(CA)을 적어도 일부 노출할 수 있다.
제1층(11) 및 제2층(12)은 광 흡수 부재, 완충 부재, 방열 부재, 및 차광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층(11)은 완충 부재 및 차광 부재를 포함하고, 제2층(12)은 금속을 포함하는 방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층(11)과 제2층(12) 사이에는 접착제가 개재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층(11)과 제2층(12) 사이에는 광학 투명 레진(Optical clear resin, OCR), 광학 투명 점착제(Optical clear adhesive, OCA), 및 감압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개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층(12)은 제1층(11)의 코너영역(CA)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할 수 있다. 이때, 제2층(12)은 일부가 제거된 절개홈(BEH)을 구비하고, 절개홈(BEH)을 통하여 제1층(11)의 코너영역(CA)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와 같은 제1층(11)은 제1기능층(미도시), 제2기능층(미도시), 및 제3기능층(미도시)을 포함하고, 제2층(12)은 제4기능층(미도시) 및 제5기능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상기 제1기능층 내지 제5기능층은 서로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표시 패널(20)을 기준으로 상기 제1기능층 내지 제5기능층 중 상기 제1기능층이 가장 가깝게 배치되며, 상기 제1기능층 내지 제5기능층 중 상기 제5기능층이 표시 패널(20)로부터 가장 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기능층은 차광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기능층은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흡수하기 위한 광 흡수 부재, 및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차단하기 위한 차광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기능층은 흑색일 수 있다. 상기 제1기능층은 흑색 안료, 흑색 염료 또는 흑색의 입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기능층은 Cr, CrOx, Cr/CrOx, Cr/CrOx/CrNy, 수지(Carbon 안료, RGB 혼합안료), Graphite, Non-Cr계, 락탐계 안료, 또는 페릴렌계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기능층은 흑색 유기 안료를 포함할 수 있고, 흑색 유기 안료는 아닐린 블랙, 락탐 블랙 및 페릴렌 블랙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한 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기능층은 탄소나 크롬 등의 물질을 코팅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기능층은 보호 필름(10)을 표시 패널(20)의 배면에 부착하는 점착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기능층은 엠보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엠보 접착층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 분야 통상의 기술자에게 널리 알려진 접착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고분자 수지가 엠보 접착층의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기능층은 상기 제1기능층을 형성하기 위한 기재 필름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2기능층은 실리콘(silicon)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기능층이 실리콘(silicon)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기능층의 연신 특성이 더욱 증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기능층은 흑색일 수 있다. 상기 제2기능층은 흑색 안료, 흑색 염료 또는 흑색의 입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기능층은 Cr, CrOx, Cr/CrOx, Cr/CrOx/CrNy, 수지(Carbon 안료, RGB 혼합안료), Graphite, Non-Cr계, 락탐계 안료, 또는 페릴렌계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기능층은 흑색 유기 안료를 포함할 수 있고, 흑색 유기 안료는 아닐린 블랙, 락탐 블랙 및 페릴렌 블랙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한 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기능층은 탄소나 크롬 등의 물질을 코팅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기능층은 쿠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기능층은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완충 부재는 단일층 또는 복수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 부재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등과 같은 고분자 수지로 형성되거나, 고무, 우레탄 계열 물질, 또는 아크릴 계열 물질을 발포 성형한 스폰지 등 탄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완충 부재는 쿠션층일 수 있다.
상기 제3기능층은 매트릭스 부재 및 복수의 공극들을 포함하는 합성수지 발포 폼(form)일 수 있다. 매트릭스 부재는 유연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트릭스 부재는 합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공극들은 표시 패널(20)에 인가되는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다. 공극들은 상기 제3기능층이 다공성 구조를 가짐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공극들은 매트릭스 부재에 분산될 수 있다. 공극들은 상기 제3기능층의 형태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3기능층의 탄성을 향상시켜 보호 필름(10)의 내 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2기능층과 상기 제3기능층 사이에는 접착제가 개재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기능층과 상기 제3기능층 사이에는 광학 투명 레진(Optical clear resin, OCR), 광학 투명 점착제(Optical clear adhesive, OCA), 및 감압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제4기능층은 합성수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기능층은 열 경화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기능층은 폴리이미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폴리이소프렌, 비닐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실록산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및 페릴렌계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3기능층과 상기 제4기능층 사이에는 접착제가 개재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3기능층과 상기 제4기능층 사이에는 광학 투명 레진(Optical clear resin, OCR), 광학 투명 점착제(Optical clear adhesive, OCA), 및 감압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제5기능층은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전자파 간섭)를 차폐하는 기능 및/또는 열 방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5기능층은 표시 패널(20)의 열을 효율적으로 방출하기 위한 방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5기능층은 구리, 니켈, 페라이트, 은, 알루미늄과 같이 열 전도성이 높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4기능층과 상기 제5기능층 사이에는 접착제가 개재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4기능층과 상기 제5기능층 사이에는 광학 투명 레진(Optical clear resin, OCR), 광학 투명 점착제(Optical clear adhesive, OCA), 및 감압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개재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필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보호 필름(10)은 중앙영역(MA), 사이드영역(SA), 및 코너영역(CA)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영역(MA)은 보호 필름(10)의 중심부에 해당한다. 중앙영역(MA)은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보호 필름(10)에 수직인 방향(예를 들어, z 방향)에서 바라볼 때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사이드영역(SA)은 중앙영역(MA)의 가장자리에 연결될 수 있다. 사이드영역(SA)은 중앙영역(MA)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사이드영역(SA1)은 중앙영역(MA)의 제1가장자리(e1)에 연결되고, 제2사이드영역(SA2)은 중앙영역(MA)의 제2가장자리(e2)에 연결되고, 제3사이드영역(SA3)은 중앙영역(MA)의 제3가장자리(e3)에 연결되고, 제4사이드영역(SA4)은 중앙영역(MA)의 제4가장자리(e4)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장자리(e1)와 제2가장자리(e2)는 서로 교차하고, 제1가장자리(e1)와 제3가장자리(e3)는 서로 평행하고, 제2가장자리(e2)와 제4가장자리(e4)는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코너영역(CA)은 보호 필름(10)의 모퉁이(corner)에 위치할 수 있다. 코너영역(CA)은 사이드영역(SA)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코너영역(CA1)은 제1사이드영역(SA1)과 제2사이드영역(SA2)을 연결하고, 제2코너영역(CA2)은 제2사이드영역(SA2)과 제3사이드영역(SA3)을 연결하고, 제3코너영역(CA3)은 제3사이드영역(SA3)과 제4사이드영역(SA4)을 연결하고, 제4코너영역(CA4)은 제1사이드영역(SA1)과 제4사이드영역(SA4)을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코너영역(CA)의 가장자리는 볼록할 수 있다. 코너영역(CA)은 가장자리의 곡선 및 사이드영역(SA)과 접하는 직선을 포함할 수 있다. 코너영역(CA)은 부채꼴 형상일 수 있다. 보호 필름(10)의 평면 형상은 둥근 사각형(rounded rectangle)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일 실시예로서 코너영역(CA)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거되거나 절개된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코너영역(CA)에는 제2층(12, 도 10 내지 도 13 참고)의 적어도 일부분에 제거된 절개홈(BEH)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절개홈(BEH)의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절개홈(BEH)은 일자로 형성되며, 끝단이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절개홈(BEH)은 삼각형 형태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절개홈(BEH)은 사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 형태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절개홈(BEH)은 코너영역(CA) 이외에도 코너영역(CA)과 인접하는 사이드영역(SA)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절개홈(BEH)은 코너영역(CA)과 사이드영역(SA)의 경계 부분에 배치되거나 코너영역(CA)과 사이드영역(SA)의 경계 부분에 인접한 사이드영역(SA)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절개홈(BEH)은 각 코너영역(CA)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절개홈(BEH)은 제1코너영역(CA1), 제2코너영역(CA2), 제3코너영역(CA3) 및 제4코너영역(CA4)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도 13에서는 절개홈(BEH)이 코너영역(CA)에 하나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절개홈(BEH)은 복수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복수개의 절개홈(BEH)이 구비되는 경우 일 실시예로서 절개홈(BEH)은 코너영역(CA)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복수개의 절개홈(BEH) 중 일부는 코너영역(CA)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절개홈(BEH) 중 다른 일부는 사이드영역(SA)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필름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14a를 참고하면, 제1코너영역(CA1)에는 복수개의 절개홈(BEH)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절개홈(BEH)은 제1층(11)이 외로 노출되는 제2영역(AR2)을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코너영역(CA1)은 서로 인접하는 제2영역(AR2) 사이, 제2영역(AR2)과 제1사이드영역(SA1) 사이 또는 제1영역(AR1)과 제2사이드영역(SA2) 사이에 배치되는 제1영역(AR1)과 상기에서 설명한 제2영역(AR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필름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14b를 참고하면, 보호 필름(10, 도 13 참조)의 제1코너영역(CA1)은 제1영역(AR1)과 제2영역(AR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호 필름(10)은 전술한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층(11), 및 제1층(11) 상의 제2층(1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층(12)은 제1층(11)의 중앙영역(MA), 제1사이드영역(SA1), 제2사이드영역(SA2), 및 제1코너영역(CA1)의 제1영역(AR1)을 덮고, 제1층(11)의 제1코너영역(CA1)의 제2영역(AR2)을 노출할 수 있다.
제1층(11)보다 연신 특성이 낮은 제2층(12)이 제1코너영역(CA1)의 제2영역(AR2)에 대응하여 일부 제거되면, 보호 필름(10)의 제1코너영역(CA1)의 연신 특성이 향상되어 변형이 용이할 수 있다. 보호 필름(10)의 제1코너영역(CA1)의 변형이 용이하므로, 제1코너영역(CA1)이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변형을 가할 때 제1코너영역(CA1)에 구겨짐 등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영역(AR2)은 제1사이드영역(SA1) 및 제2사이드영역(SA2)과 이격할 수 있다. 제1영역(AR1)은 제2영역(AR2)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도 14b에서는 제2영역(AR2)의 평면 형상이 부채꼴 형상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로서, 제2영역(AR2)의 평면 형상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 별 형상, 다이아몬드 형상 등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지금까지 제1사이드영역(SA1), 제2사이드영역(SA2), 및 제1코너영역(CA1)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지만, 도 13에 도시된 제3사이드영역(SA3), 제4사이드영역(SA4), 제2코너영역(CA2), 제3코너영역(CA3), 및 제4코너영역(CA4)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필름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14c를 참고하면, 보호 필름(10, 도 13 참조)의 제1코너영역(CA1)은 제1영역(AR1)과 제2영역(AR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영역(AR1)은 복수의 라인영역(LA1,LA2,LA3,LA4,LA5)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라인영역(LA1,LA2,LA3,LA4,LA5)들은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제2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코너영역(CA1)은 평면상 부채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방향은 반지름 방향이고, 상기 제2방향은 원주 방향일 수 있다. 복수의 라인영역(LA1,LA2,LA3,LA4,LA5)들은 반지름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라인영역(LA1,LA2,LA3,LA4,LA5)들은 제1사이드영역(SA1)에서 제2사이드영역(SA2) 방향으로 제1라인영역(LA1), 제2라인영역(LA2), 제3라인영역(LA3), 제4라인영역(LA4) 및 제5라인영역(LA5)이 순차적으로 배치되 수 있다. 이러한 제1라인영역(LA1), 제2라인영역(LA2), 제3라인영역(LA3), 제4라인영역(LA4) 및 제5라인영역(LA5)은 서로 분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라인영역(LA1), 제2라인영역(LA2), 제3라인영역(LA3), 제4라인영역(LA4) 및 제5라인영역(LA5)은 각각 형상이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라인영역(LA1), 제2라인영역(LA2), 제3라인영역(LA3), 제4라인영역(LA4) 및 제5라인영역(LA5)은 모두 부채꼴 형상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제1라인영역(LA1)의 제1-1폭(W1-1), 제2라인영역(LA2)의 제1-2폭(W1-2), 제3라인영역(LA3)의 제1-3폭(W1-3), 제4라인영역(LA4)의 제1-4폭(W1-4) 및 제5라인영역(LA5)의 제1-5폭(W1-5)은 다양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동일한 원호를 지나는 제1라인영역(LA1)의 제1-1폭(W1-1), 제2라인영역(LA2)의 제1-2폭(W1-2), 제3라인영역(LA3)의 제1-3폭(W1-3), 제4라인영역(LA4)의 제1-4폭(W1-4) 및 제5라인영역(LA5)의 제1-5폭(W1-5)은 모두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동일한 원호를 지나는 제1라인영역(LA1)의 제1-1폭(W1-1), 제2라인영역(LA2)의 제1-2폭(W1-2), 제3라인영역(LA3)의 제1-3폭(W1-3), 제4라인영역(LA4)의 제1-4폭(W1-4) 및 제5라인영역(LA5)의 제1-5폭(W1-5) 중 하나는 제1라인영역(LA1)의 제1-1폭(W1-1), 제2라인영역(LA2)의 제1-2폭(W1-2), 제3라인영역(LA3)의 제1-3폭(W1-3), 제4라인영역(LA4)의 제1-4폭(W1-4) 및 제5라인영역(LA5)의 제1-5폭(W1-5) 중 다른 하나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3폭(W1-3)이 가장 크고 제1-2폭(W1-2) 및 제1-1폭(W1-1)은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또한, 제1-3폭(W1-3)을 기준으로 제4-1폭9) 및 제1-5폭(W1-5)은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이때, 제1-4폭(W1-4)과 제1-2폭(W1-2)은 서로 동일하고, 제1-1폭(W1-1)과 제1-5폭(W1-5)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1-1폭(W1-1)이 가장 크고, 제1-2폭(W1-2), 제1-3폭(W1-3), 제1-4폭(W1-4) 및 제1-5폭(W1-5)으로 갈수록 크기가 순차적으로 작아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1-5폭(W1-5)이 가장 크고, 제1-4폭(W1-4), 제1-3폭(W1-3), 제1-2폭(W1-2) 및 제1-1폭(W1-1)으로 갈수록 크기가 순차적으로 작아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1-1폭(W1-1), 제1-2폭(W1-2), 제1-3폭(W1-3), 제1-4폭(W1-4) 및 제1-5폭(W1-5)이 모두 상이하며, 각 폭의 크기는 경향성을 갖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의 경우 이외에도 제1라인영역(LA1), 제2라인영역(LA2), 제3라인영역(LA3), 제4라인영역(LA4) 및 제5라인영역(LA5) 중 하나의 형상은 제1라인영역(LA1), 제2라인영역(LA2), 제3라인영역(LA3), 제4라인영역(LA4) 및 제5라인영역(LA5) 중 하나의 형상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라인영역(LA1), 제2라인영역(LA2), 제3라인영역(LA3), 제4라인영역(LA4) 및 제5라인영역(LA5) 중 하나의 형상은 도 13 내지 도 14b에 도시된 제1영역(AR1)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이며, 제1라인영역(LA1), 제2라인영역(LA2), 제3라인영역(LA3), 제4라인영역(LA4) 및 제5라인영역(LA5) 중 다른 하나의 형상은 도 13 내지 도 14b에 도시된 제1영역(AR1)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일 수 있다.
제2영역(AR2)은 복수의 스페이스 영역(SPA1,SPA2,SPA3,SPA4)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스페이스 영역(SPA1,SPA2,SPA3,SPA4)들은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스페이스 영역(SPA1,SPA2,SPA3,SPA4)들은 반지름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라인영역(LA1,LA2,LA3,LA4,LA5)들과 복수의 스페이스 영역(SPA1,SPA2,SPA3,SPA4)들은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서로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라인영역(LA1,LA2,LA3,LA4,LA5)들과 복수의 스페이스 영역(SPA1,SPA2,SPA3,SPA4)들은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복수의 스페이스 영역(SPA1,SPA2,SPA3,SPA4)은 제1사이드영역(SA1)으로부터 제2사이드영역(SA2)까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1스페이스 영역(SPA1), 제2스페이스 영역(SPA2), 제3스페이스 영역(SPA3) 및 제4스페이스 영역9)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 스페이스 영역(SPA1,SPA2,SPA3,SPA4)은 절개홈(BEH)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각 스페이스 영역(SPA1,SPA2,SPA3,SPA4)의 형상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스페이스 영역(SPA1,SPA2,SPA3,SPA4)의 형상은 도 13 내지 도 14b 각각에 도시된 제2영역(AR2)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스페이스 영역(SPA1,SPA2,SPA3,SPA4)의 형상은 도 14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부채꼴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동일한 원호에 배치된 각 스페이스 영역(SPA1,SPA2,SPA3,SPA4)의 제2폭(W2)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스페이스 영역(SPA1)의 제2-1폭(W2-1), 제2스페이스 영역(SPA2)의 제2-2폭(W2-2), 제3스페이스 영역(SPA3)의 제2-3폭(W2-3) 및 제4스페이스 영역(SPA4)의 제2-4폭(W2-4)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이때, 제2-1폭(W2-1), 제2-2폭(W2-2), 제2-3폭(W2-3) 및 제2-4폭(W2-4)의 관계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1-1폭(W1-1), 제1-2폭(W1-2), 제1-3폭(W1-3), 제1-4폭(W1-4) 및 제1-5폭(W1-5)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복수의 라인영역(LA1,LA2,LA3,LA4,LA5)들 각각의 상기 제2방향을 따르는 제1너비(W1)는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복수의 스페이스 영역(SPA1,SPA2,SPA3,SPA4)들 각각의 상기 제2방향을 따르는 제2너비(W2)는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라인영역(LA1,LA2,LA3,LA4,LA5)들 각각의 원주 방향을 따르는 제1너비(W1)는 반지름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복수의 스페이스 영역(SPA1,SPA2,SPA3,SPA4)들 각각의 원주 방향을 따르는 제2너비(W2)는 반지름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보호 필름(10)의 제2층(12)은 제1층(11)의 제1코너영역(CA1)의 제1영역(AR1)을 덮고, 제1층(11)의 제1코너영역(CA1)의 제2영역(AR2)을 노출할 수 있다. 보호 필름(10)의 제2층(12)은 제1층(11)의 복수의 라인영역(LA1,LA2,LA3,LA4,LA5)들을 덮고, 복수의 스페이스 영역(SPA1,SPA2,SPA3,SPA4)들을 노출할 수 있다.
제1층(11)보다 연신 특성이 낮은 제2층(12)이 제1코너영역(CA1)의 복수의 스페이스 영역(SPA1,SPA2,SPA3,SPA4)들에 대응하여 일부 제거되면, 보호 필름(10)의 제1코너영역(CA1)의 연신 특성이 향상되어 변형이 용이할 수 있다. 보호 필름(10)의 제1코너영역(CA1)의 변형이 용이하므로, 제1코너영역(CA1)이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변형을 가할 때 제1코너영역(CA1)에 구겨짐 등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지금까지 제1사이드영역(SA1), 제2사이드영역(SA2), 및 제1코너영역(CA1)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지만, 제3사이드영역(SA3), 제4사이드영역(SA4), 제2코너영역(CA2), 제3코너영역(CA3), 및 제4코너영역(CA4)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각 스페이스 영역(SPA1,SPA2,SPA3,SPA4)은 절개홈(BEH)의 테두리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필름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14d를 참고하면, 제1영역(AR1)은 제1코너영역(CA1)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코너영역(CA1)에 배치된 제2층(12, 도 10 내지 도 12 참고)은 전부 제거됨으로써 제1코너영역(CA1)에서 제1층(11)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즉, 절개홈(BEH)은 제1코너영역(CA1)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제1영역(AR1)은 제1코너영역(CA1) 뿐만 아니라 제1사이드영역(SA1) 및 제2사이드영역(SA2)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지금까지 제1사이드영역(SA1), 제2사이드영역(SA2), 및 제1코너영역(CA1)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지만, 제3사이드영역(SA3), 제4사이드영역(SA4), 제2코너영역(CA2), 제3코너영역(CA3), 및 제4코너영역(CA4)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4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필름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14e를 참고하면, 보호 필름(10)은 제1코너영역(CA1)의 제1영역(AR1) 및 제2영역(AR2) 이외에 제3영역(AR3)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제1영역(AR1) 및 제2영역(AR2)은 도 14b에 도시된 것과 유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3영역(AR3)은 제2영역(AR2)과 같이 제2층(12, 도 10 내지 도 12 참고) 상에 절개홈(미표기)이 형성되어 제1층(11)이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일 수 있다. 이러한 제3영역(AR3)은 제1사이드영역(SA1) 및 제2사이드영역(SA2)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3영역(AR3)은 제1사이드영역(SA1)과 제1코너영역(CA1)의 경계 및/또는 제2사이드영역(SA2)과 제1코너영역(CA1)의 경계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3영역(AR3)은 제1사이드영역(SA1)과 제2사이드영역(SA2)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3영역(AR3)은 제1코너영역(CA1)과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지금까지 제1사이드영역(SA1), 제2사이드영역(SA2), 및 제1코너영역(CA1)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지만, 제3사이드영역(SA3), 제4사이드영역(SA4), 제2코너영역(CA2), 제3코너영역(CA3), 및 제4코너영역(CA4)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15i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들이다.
도 15a를 참고하면, 표시 패널(20) 및 표시 패널(20) 상의 기능층(FL)의 배면에 가이드 필름(GF)을 부착할 수 있다. 이때, 표시 패널(20)의 전면 상에는 기능층(FL), 벤딩보호층(BPL) 및 표시 회로보드(31)가 배치된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표시 패널(20)의 하면에 가이드 필름(GF)을 부착할 때, 표시 패널(20)이 가이드 필름(GF)의 중앙영역(MA)에 대응되도록 부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패널(20)의 메인표시영역(FDA), 보조표시영역(SDA), 중간표시영역(MDA) 및 코너표시영역(CDA)이 모두 가이드 필름(GF)의 중앙영역(MA)에 대응되도록, 표시 패널(20)에 가이드 필름(GF)이 부착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필름(GF)의 가장자리영역(EA, 도 15a 참조)은 표시 패널(20)과 서로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표시 패널(20)과 가이드 필름(GF)의 위치 관계는 도 16a에 도시된 보호 필름(10)과 가이드 필름(GF)의 위치 관계와 유사할 수 있다.
도 15b를 참조하면, 커버 윈도우(30)를 준비하기 위해, 커버 윈도우(30)의 최종 형상에 대응하는 오목면을 포함한 지그(ZIG)를 이용하여 커버 윈도우(30)가 평면 및 곡면을 갖도록 변형할 수 있다. 즉, 지그(ZIG)는 최종적으로 제조하고자 하는 표시 장치의 형상을 구비한 틀일 수 있다. 지그(ZIG)의 오목면에 커버 윈도우(30)를 밀착하여 지그(ZIG)의 오목면의 형상 대로 커버 윈도우(30)를 변형할 수 있다.
도 15c를 참조하면, 제1지지부(TO1-1) 및 제1지지부(TO1-1) 상의 제1부피변화부(TO1-2)을 포함하는 제1라미네이션 장치(TO1)를 준비할 수 있다. 제1지지부(TO1-1)는 제1부피변화부(TO1-2)를 지지할 수 있다. 제1부피변화부(TO1-2)는 에어 펌프를 포함하거나 에어 펌프에 연결될 수 있다. 제1부피변화부(TO1-2)는 모듈러스가 낮아 에어 펌프를 통해 제1부피변화부(TO1-2)의 형태 및 부피가 공기압에 따라 가변할 수 있다. 또는 제1부피변화부(TO1-2)는 다이어프램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1부피변화부(TO1-2)는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은 패드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표시 패널(20)의 배면이 제1라미네이션 장치(TO1)를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즉, 가이드 필름(GF)이 제1라미네이션 장치(TO1) 측에 놓이도록 배치할 수 있다. 그 다음, 표시 패널(20)과 제1라미네이션 장치(TO1)를 정렬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 패널(20)에 표시된 제1얼라인 키(AK1)와 제1라미네이션 장치(TO1)에 표시된 제2얼라인 키(AK2)가 일치하도록 표시 패널(20)과 제1라미네이션 장치(TO1)를 정렬할 수 있다.
도 15d를 참조하면, 가이드 필름(GF)을 통해 표시 패널(20)을 예비 성형할 수 있다. 일 예로, 가이드 필름(GF)에 외력, 예컨대 인장력을 가하여 표시 패널(20)의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필름(GF)을 제1라미네이션 장치(TO1) 상에 안착시킬 수 있다. 가이드 필름(GF) 상에 푸쉬 부재(PM)가 위치할 수 있으며, 푸쉬 부재(PM)를 이용하여 가이드 필름(GF)을 제1라미네이션 장치(TO1)의 측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예컨대, 푸쉬 부재(PM)들이 각각 가이드 필름(GF)의 가장자리영역(EA)들을 누름으로써, 가이드 필름(GF)에 인장력이 가해지고 가이드 필름(GF)이 제1라미네이션 장치(TO1)의 외면을 따라 변형되면서, 가이드 필름(GF) 상의 표시 패널(20)도 적절히 구부러지는 등 변형될 수 있다.
도 15e을 참조하면, 가이드 필름(GF)을 통해 예비 성형된 기능층(FL) 및 표시 패널(20)의 형상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5f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20)의 예비 성형 후, 표시 패널(20)의 전면이 커버 윈도우(30)를 향하도록 배치하고 표시 패널(20)과 커버 윈도우(30)를 정렬할 수 있다. 표시 패널(20)에 표시된 제1얼라인 키(AK1)와 커버 윈도우(30)에 표시된 제3얼라인 키(AK3)가 일치하도록 표시 패널(20)과 커버 윈도우(30)를 정렬할 수 있다.
도 15g 및 도 15h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20)의 전면 상에 커버 윈도우(30)를 부착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15g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20)의 일부를 먼저 커버 윈도우(30)에 부착시킬 수 있다. 표시 패널(20)의 최종 형상에서 곡률을 갖지 않는 평탄한 면(예를 들어, 전면표시역(FDA))이 가장 먼저 커버 윈도우(30)에 부착될 수 있다.
그 다음, 도 15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라미네이션 장치(TO1)의 제1부피변화부(TO1-2)의 형태가 변화하고 부피가 커짐에 따라, 표시 패널(20)의 나머지 부분들, 예컨대 보조표시영역(SDA) 및 코너표시영역(CDA)이 커버 윈도우(30)에 부착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30)와, 보조표시영역(SDA)과 코너표시영역(CDA)을 부착시키는 과정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표시영역(SDA)과 커버 윈도우(30)이 서로 부착될 때 코너표시영역(CDA)은 주변 외력에 의해 커버 윈도우(30)에 자연스럽게 접촉되어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보조표시영역(SDA) 및 코너표시영역(CDA) 각각이 커버 윈도우(30)에 부착되는 과정은 이시(異時)에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표시영역(SDA)과 커버 윈도우(30)가 먼저 서로 부착된 다음, 코너표시영역(CDA)과 커버 윈도우(30)이 서로 부착될 수 있다.
도 15i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20)을 커버 윈도우(30)에 부착시키는 단계를 진행한 후, 커버 윈도우(30)가 부착된 표시 패널(20)로부터 가이드 필름(GF)을 제거할 수 있다. 일 예로, 가이드 필름(GF)과 표시 패널(20)을 서로 부착시키는 점착 부재(미도시)에 UV를 조사하고 점착 부재의 점착력을 약화시켜, 가이드 필름(GF)과 표시 패널(20)을 분리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커버 윈도우(30)와 표시 패널(20)을 경화하는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커버 윈도우(30)와 표시 패널(20)에 UV를 조사하여 경화를 진행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30)와 표시 패널(20)에 UV를 조사하면 표시 패널(20)에 부착된 점착 부재 등에서 기포 등이 빠져나올 수 있다.
지금까지 도 15a 내지 도 15i를 참조하여 개시한 내용들이 도 4b의 표시 장치(1)를 예로서 설명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이상의 설명들이 도 4a의 표시 장치(1)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4b의 표시 장치(1)의 코너표시영역(CDA)에 관한 개시는 도 4a의 표시 장치(1)의 표시장치코너영역(DCA)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필름 및 보호 필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6b 내지 도 16h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들이다.
도 16a를 참고하면, 커버 윈도우(30)에 기능층(FL) 및 표시 패널(20)을 부착한 후 표시 패널(20)에 보호 필름(10)을 부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호 필름(10) 배면에 가이드 필름(GF)을 부착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필름(GF)는 상기 도 15a에 도시된 가이드 필름(GF)가 동일하거나 상이한 가이드 필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가이드 필름(GF)는 도 15a에 도시된 가이드 필름(GF)과 상이한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가이드 필름(GF)은, 일 실시예로서, 중앙영역(MA) 및 중앙영역(MA)의 각 에지에 연결된 가장자리영역(EA)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가이드 필름(GF)은 보호필름(10)의 제1외곽선(MA-E1)에 연결된 제1가장자리영역(EA1), 보호필름(10)의 제2외곽선(MA-E2)에 연결된 제2가장자리영역(EA2), 보호필름(10)의 제3외곽선(MA-E3)에 연결된 제3가장자리영역(EA3), 및 보호필름(10)의 제4외곽선(MA-E4)에 연결된 제4가장자리영역(EA4)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필름(GF)의 중앙영역(MA)은 평면 상에서 보호필름(10)의 코너영역(CA)과 중첩하지 않도록 오목한 코너(CC)를 포함할 수 있다.
비록 도 16a는 가이드 필름(GF)이 4개의 가장자리영역(EA)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표시 장치(1)의 형상에 따라 더 적거나 많은 수의 가장자리영역(EA)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 16a는 가장자리영역(EA)이 평면 상에서 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나, 삼각형 등의 다각형, 원형의 일부, 타원형의 일부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가이드 필름(GF)은 평면 상에서 보호 필름(10)과 중첩하도록 보호 필름(1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가이드 필름(GF)의 중앙영역(MA)은 보호 필름(10)과 중첩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한편, 비록 도 16a는 보호 필름(10)의 제1부분(21)의 에지가 가이드 필름(GF)의 중앙영역(MA)의 에지와 일치하는 것을 도시하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보호 필름(10)은 표시 패널(20)의 메인표시영역(FDA), 보조표시영역(SDA), 중간표시영역(MDA), 및 코너표시영역(CDA)에 대응할 수 있다.
보호 필름(10)은 평면 상에서 표시 패널(20)의 표시영역(DA) 및 주변영역(PA)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보호 필름(10)은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상에서 코너가 라운드진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보호 필름(10)의 절개홈(BEH)은, 가이드 필름(GF)을 이용한 보호 필름(10)의 예비 성형 시, 보호 필름(10)의 코너표시영역(CDA, 도 16a 참조)이 양호하게 벤딩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비교예로서 보호 필름(10)이 구비되지 않는 경우, 가이드 필름(GF)을 이용하여 보호 필름(10)을 예비 성형할 시 보호 필름(10)의 코너영역(CA)이 양호하게 벤딩되더라도, 코너영역(CA)은 불완전하게 벤딩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보호 필름(10)을 절곡시키는 경우 코너영역(CA)에서 버클링(buckling) 또는 주름의 발생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는 코너영역(CA)에서 보호 필름(10)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도 16b,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상기와 같이 보호 필름(10)이 가이드 필름(GF) 상에 배치된 후 보호 필름(10)과 가이드 필름(GF)를 도 1에 도시된 제1지그(450)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가이드 필름(GF)은 제1지그(450)에 안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회전지그(442), 제2회전지그(443), 제3회전지그(444) 및 제4회전지그(445)는 도 16b,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틸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6c,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제2지그부(440)를 구동부(420)로 선형 운동시켜 제1지그(450)와 근접시킬 수 있다. 이때, 제2지그(441)의 접촉부(441a)가 보호 필름(10)에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제1스토퍼부(461)는 제2스토퍼부(462)에 삽입되기 시작할 수 있다.
구동부(420)가 계속해서 작동하는 경우 제2지그(441)는 보호 필름(10)을 가압하고 제2지그(441)는 더 이상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제1회전지그(442), 제2회전지그(443), 제3회전지그(444) 및 제4회전지그(445)가 제2바디부(413) 및 제1지그(450)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회전지그(442), 제2회전지그(443), 제3회전지그(444) 및 제4회전지그(445)는 제1회전지그(442), 제2회전지그(443), 제3회전지그(444) 및 제4회전지그(445) 각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1회전지그(442), 제2회전지그(443), 제3회전지그(444) 및 제4회전지그(445)는 도 16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회전지그(442), 제2회전지그(443), 제3회전지그(444) 및 제4회전지그(445) 각각의 일면이 제2바디부(413) 및 제1지그(450) 중 하나의 평평한 일면에 완전히 접촉함으로써 제1회전지그(442), 제2회전지그(443), 제3회전지그(444) 및 제4회전지그(445)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탄성부(447)는 최초 길이보다 인장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제1회전지그(442), 제2회전지그(443), 제3회전지그(444) 및 제4회전지그(445)는 보호 필름(10)의 측면을 절곡시킬 수 있다. 이때 보호 필름(10)의 측면은 가이드홈(451) 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제1회전지그(442), 제2회전지그(443), 제3회전지그(444) 및 제4회전지그(445)가 회전하는 경우 제1코너지그(446a), 제2코너지그(446b), 제3코너지그(446c) 및 제4코너지그(446d)도 회전할 수 있다. 이때, 보호 필름(10)의 각 모서리는 라운드질 수 있다.
상기와 과정이 완료되면, 구동부(420)를 제2지그부(440)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회전지그(442), 제2회전지그(443), 제3회전지그(444) 및 제4회전지그(445)는 제2지그(441)와 함께 상승하고 제2바디부(413) 및 제1지그(450)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하는 부분이 감소할 수 있다. 이때, 탄성부(447)는 제1회전지그(442), 제2회전지그(443), 제3회전지그(444) 및 제4회전지그(445) 중 적어도 하나에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제1회전지그(442), 제2회전지그(443), 제3회전지그(444) 및 제4회전지그(445) 중 적어도 하나를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틸팅된 최초 위치로 복구시킬 수 있다.
도 16d를 참고하면, 상기와 과정이 완료되는 경우 보호 필름(10)은 가이드 필름(GF) 상에 절곡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보호 필름(10)은 도 5에 도시된 형태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가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보호 필름(10)은 도 16d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 5에 도시된 것보다 더 절곡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6e를 참고하면, 변형된 보호 필름(10)을 제2라미네이션 장치(TO2)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제2라미네이션 장치(TO2)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라미네이션 장치(TO2)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롤러는 가이드 필름(GF)의 일면을 따라 선형 운동함으로써 보호 필름(10)을 표시 패널(20)에 부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2라미네이션 장치(TO2)는 부피가 가변하는 장치인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라미네이션 장치(TO2)가 부피가 가변하는 장치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라미네이션 장치(TO2)는 제2지지부(TO2-1)와 제2부피변화부(TO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지지부(TO2-1)는 제2부피변화부(TO2-2)를 지지할 수 있으며, 제2부피변화부(TO2-2)는 부피가 가변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부피변화부(TO2-2)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1부피변화부(TO1-2)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부피변화부(TO2-2)가 실리콘 패드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보호 필름(10)의 배면이 제2라미네이션 장치(TO2)를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즉, 가이드 필름(GF)이 제2라미네이션 장치(TO2) 측에 놓이도록 배치할 수 있다. 그 다음, 보호 필름(10)과 제2라미네이션 장치(TO2)를 정렬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필름(GF)의 일부를 푸쉬 부재(PM)에 배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가이드 필름(GF)의 양단을 클램프 등을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16f를 참고하면, 예비 성형된 보호 필름(10)을 표시 패널(20)의 배면에 부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보호 필름(10)의 상면 또는 표시 패널(20)의 배면에는 점착층이 배치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보호 필름(10)을 표시 패널(20)에 부착하는 방법은 도 15g와 도 15h에서 설명한 표시 패널(20)을 커버 윈도우(30)에 부착하는 방식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6g를 참고하면, 표시 패널(20)에 보호 필름(10)을 부착한 후 가이드 필름(GF)을 보호 필름(10)에서 분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가이드 필름(GF)을 보호 필름(10)에서 분리하지 않고 푸쉬 부재(PM)를 제거하여 가이드 필름(GF)을 보호 필름(10)에 부착한 상태로 제2라미네이션 장치(TO2)를 보호 필름(10)으로부터 분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6h를 참고하면, 보호 필름(10)이 표시 패널(20)의 배면에 부착된 후 표시 패널(20)의 일부를 절곡하여 표시 회로보드(31)를 보호 필름(10)의 배면에 부착할 수 있다. 이때, 보호 필름(10)의 배면에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PET 등의 물질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배치하여 표시 회로보드(31)를 스페이서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경우 보호 필름(10)은 표시 패널(20)에 부착된 상태에서 표시 패널(20)을 커버 윈도우(30)에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이러한 경우 도 15a 내지 도 15i의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보호 필름(10), 표시 패널(20), 기능층(FL) 커버 윈도우(30)는 도 16g에 도시된 형태와 같아질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20)은 적어도 일부를 도 16f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절곡할 수 있으며, 표시 회로보드(31)는 보호 필름(10)의 배면에 부착되거나 보호 필름(10)의 배면에 배치된 스페이서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은 각 코너지그(446)를 통하여 보호 필름(10)의 성형 시 보호 필름(10)의 코너영역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은 각 코너지그(446)를 통하여 보호 필름(10)의 코너영역을 라운드지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표시 장치
10:보호 필름
100: 기판
20: 표시 패널
30: 커버 윈도우
400: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410: 바디부
420: 구동부
430: 가이드부
440: 제2지그부
441: 제2지그
442: 제1회전지그
443: 제2회전지그
444: 제3회전지그
445: 제4회전지그
446: 코너지그
447: 탄성부
450: 제1지그
460: 스토퍼부
470: 가열부

Claims (20)

  1. 제1지그;
    상기 제1지그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패널부재가 안착하는 제2지그;
    상기 제1지그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지그와 상기 제2지그 사이의 간격이 일정거리 이하이면 상기 제1지그에서 회전하여 상기 패널부재의 측면을 절곡시키는 회전지그; 및
    상기 회전지그에 연결되어 상기 패널부재의 코너부를 라운드시키는 코너지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그와 상기 코너지그는 라운드진 홈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그는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회전지그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는,
    서로 적층되는 제1층과 제2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층은 금속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그에 연결되어 상기 제1지그를 선형 운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그는 상기 패널부재의 끝단에 대응되는 홈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그는,
    상기 패널부재의 측면이 절곡 시 상기 패널부재의 측면을 안내하는 가이드홈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그, 상기 제2지그 및 상기 회전지그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패널부재에 열을 가하는 가열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9. 패널부재를 제1지그에 안착하는 단계;
    상기 제1지그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지그를 선형 운동하여 상기 제2지그를 상기 패널부재에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제2지그를 선형 운동하여 상기 제2지그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회전지그를 회전시켜 상기 패널부재의 측면을 절곡시키는 단계; 및
    상기 회전지그에 연결된 코너지그를 상기 패널부재의 모서리 부분을 절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그 및 상기 코너지그 중 적어도 하나는 홈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를 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그는 상기 패널부재의 절곡 시 상기 패널부재의 절곡되는 경로를 가이드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는,
    서로 적층되는 제1층과 제2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층은 금속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커버윈도우에 표시 패널을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를 상기 표시 패널에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에서 가이드필름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1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그를 선형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18.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그는 상기 제1지그와 상기 제2지그 사이의 거리가 일정거리 이하이면 회전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19.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그는 상기 패널부재의 끝단이 삽입되는 홈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20. 제 9 항에 있어서,
    가이드필름을 상기 패널부재에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KR1020210139117A 2021-10-19 2021-10-19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KR2023005609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117A KR20230056091A (ko) 2021-10-19 2021-10-19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CN202211259027.3A CN116013166A (zh) 2021-10-19 2022-10-14 显示装置的制造装置及显示装置的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117A KR20230056091A (ko) 2021-10-19 2021-10-19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6091A true KR20230056091A (ko) 2023-04-27

Family

ID=86025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9117A KR20230056091A (ko) 2021-10-19 2021-10-19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56091A (ko)
CN (1) CN116013166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013166A (zh) 2023-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95882B2 (en) Display device
US20220223820A1 (en) Cover window,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display device
CN116096154A (zh) 显示面板和包括该显示面板的显示设备
EP4071842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220254853A1 (en) Display apparatus
KR20230056091A (ko)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KR20230171086A (ko) 보호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230106605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230107898A1 (en) Protection member,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CN113972249A (zh) 显示装置
CN217239464U (zh) 显示装置
CN217404897U (zh) 显示设备
US20240143097A1 (en) Digitiz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240138235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device
CN115472645A (zh) 显示装置以及具备其的电子设备
KR20230022332A (ko) 표시 장치
KR20240074141A (ko) 표시장치
KR20230038360A (ko) 표시 장치
KR20220143208A (ko) 표시 장치
KR20240018739A (ko)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240007862A (ko)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N117812934A (zh) 显示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