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5460A - 장애 아동용 조립식 식판 - Google Patents

장애 아동용 조립식 식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5460A
KR20230055460A KR1020210138717A KR20210138717A KR20230055460A KR 20230055460 A KR20230055460 A KR 20230055460A KR 1020210138717 A KR1020210138717 A KR 1020210138717A KR 20210138717 A KR20210138717 A KR 20210138717A KR 20230055460 A KR20230055460 A KR 20230055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food
space
tray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8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1013B1 (ko
Inventor
김석범
이한석
채수경
조예지
고주연
김혜원
고광남
고경환
Original Assignee
제주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38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1013B1/ko
Publication of KR20230055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5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1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1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6Plates with integral holders for spoons, glass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4For person with a handica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2Safety aspects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장애 아동용 조립식 식판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장애 아동용 조립식 식판은, 음식물이 수용되는 제1 식판바디 및 제1 식판 바디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1 결합돌기가 구비된 제1 식판부; 음식물이 수용되는 제2 식판바디 및 제2 식판바디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2 결합돌기가 구비된 제2 식판부; 제1 식판부 또는 제2 식판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손잡이부; 복수의 제1 결합돌기에 의해 마련된 제1 공간부 또는 복수의 제2 결합돌기에 의해 마련된 제2 공간부에 탈착 결합되는 수저 수용부; 및 제1 공간부와 제2 공간부에 결합되어 제1 식판부와 제2 식판부를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장애 아동용 조립식 식판{ASSEMBLING FOOD TRAY FOR THE DISABLED}
본 발명은, 식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에 장애가 있는 경우에도 편리하게 잡을 수 있고 재질상 열전도의 위험으로 데이거나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장애인의 관심과 흥미를 유도함과 아울러 인지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애 아동용 조립식 식판에 관한 것이다.
음식을 내놓거나 먹기위해 사용하는 그릇을 식기라 하고, 판 형태의 식판은 밥, 국, 반찬을 하나의 판에 한꺼번에 담아서 간편하게 음식물을 먹을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다수의 인원이 일정하게 식사를 하는 곳에서는 통상적으로 식판이 많이 사용되게 된다.
일반적으로 공동생활을 하면서 공동으로 식사를 하는 학교, 군부대, 공공기관이나 회사의 구내식당 등에서는 단체급식을 하게 되고, 단체급식을 위해 식판을 사용하서 많은 사람들에게 동시에 배식을 받게 된다.
한편, 근래에는 일반 가정에서도 음식을 하나의 그릇에 놓고 같이 먹는 식생활이 바뀌고 있으며, 먹던 음식을 다시 먹는 경우도 줄어들면서 한번에 먹을 만큼만 음식을 덜어 개인별로 제공하는 형태의 식사 문화가 확대되고 있으며 이런 요인들은 개인이 식판을 이용하여 음식을 먹는 경우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장애인 학교 등에서 장애인을 대상으로 단체로 급식을 할 경우에 그러하다.
종래의 식판은 정형화된 단조로운 형상이고, 손에 장애가 있는 경우 접지부분이 매우 협소하여 잡기가 불편하다.
또한 장애인의 경우 식판이 금속 재질로 마련되는 경우 재질상 열전도의 위험으로 데이거나 화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
나아가 기존의 식판은 단순히 음식을 먹을 때에만 사용되어 사용의 한계가 있다. 따라사 장애인의 관심과 흥미를 유도함과 아울러 인지 발달을 위한 새로운 개선책이 요구된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5455호(장도훈) 2002. 07. 31.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손에 장애가 있는 경우에도 편리하게 잡을 수 있고 재질상 열전도의 위험으로 데이거나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장애인의 관심과 흥미를 유도함과 아울러 인지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애 아동용 조립식 식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음식물이 수용되는 제1 식판바디 및 상기 제1 식판 바디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1 결합돌기가 구비된 제1 식판부; 음식물이 수용되는 제2 식판바디 및 상기 제2 식판바디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2 결합돌기가 구비된 제2 식판부; 상기 제1 식판부 또는 상기 제2 식판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손잡이부; 상기 복수의 제1 결합돌기에 의해 마련된 제1 공간부 또는 상기 복수의 제2 결합돌기에 의해 마련된 제2 공간부에 탈착 결합되는 수저 수용부; 및 상기 제1 공간부와 상기 제2 공간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식판부와 상기 제2 식판부를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 블록을 포함하는 장애 아동용 조립식 식판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돌기에는 제1 확장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 결합돌기에는 제2 확장부가 마련되고, 상기 결합 블록에는 블록 확장부가 마련되어 상기 결합 블록은 상기 제1 공간부와 상기 제2 공간부의 상하 방향으로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저 수용부에도 결합 확장부가 마련되어 상기 수저 수용부는 상기 제1 공간부 또는 상기 제2 공간부의 상하 방향으로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식판바디와 상기 제2 식판바디의 저면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무늬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블록은 적어도 3개의 제1 식판부 또는 적어도 3개의 제2 식판부 또는 제1 식판부와 제2 식판부의 총합을 3개로 연결 시 사용되는 연장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손에 장애가 있는 경우에도 편리하게 잡을 수 있고 재질상 열전도의 위험으로 데이거나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장애인의 관심과 흥미를 유도함과 아울러 인지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애 아동용 조립식 식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애 아동용 조립식 식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애 아동용 조립식 식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장애 아동용 조립식 식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장애 아동용 조립식 식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장애 아동용 조립식 식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애 아동용 조립식 식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장애 아동용 조립식 식판(1)은, 음식물이 수용되는 제1 식판부(100)와, 제1 식판부(100)에 결합되며 음식물이 수용되는 제2 식판부(200)와, 제1 식판부(100) 또는 상기 제2 식판부(20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손잡이부(300)와, 제1 식판부(100)에 마련된 제1 공간부 또는 제2 식판부(200)에 마련된 제2 공간부에 탈착 결합되는 수저 수용부(400)와, 제1 공간부와 제2 공간부에 결합되어 제1 식판부(100)와 제2 식판부(200)를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 블록(500)을 구비한다.
제1 식판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이 수용되는 제1 식판바디(110)와, 제1 식판바디(110)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1 결합돌기(120)를 포함한다.
제1 식판부(100)의 제1 식판바디(110)에는, 중앙부에 제1 음식수용홈(111)이 마련되어 사용자는 제1 음식수용홈(111)에 음식물을 담을 수 있다.
제1 식판부(100)의 복수의 제1 결합돌기(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식판바디(110)의 가장자리에 일정 간격을 두고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제1 결합돌기(120)의 사이에는 제1 공간부가 마련되고, 제1 공간부에 결합 블록(500)의 일측부가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결합돌기(120)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각도(α)를 갖는 제1 확장부(121)가 마련되어 결합 블록(500)과의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 결합 블록(500)은 제1 공간부의 상하 방향으로 끼워 맞춤 결합되고, 이 제1 확장부(121)에 결합 블록(500)의 중앙부가 밀착되어 결합 블록(5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제1 식판부(100)와 제2 식판부(200)의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일정 각도는 5도 내지 45도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식판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이 수용되는 제2 식판바디(210)와, 제2 식판바디(210)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2 결합돌기(220)를 포함한다.
제2 식판부(200)의 제2 식판바디(210)에는, 중앙부에 제2 음식수용홈(211)이 마련되어 사용자는 제2 음식수용홈(211)에 음식물을 담을 수 있다.
제2 식판부(200)의 복수의 제2 결합돌기(2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식판바디(210)의 가장자리에 일정 간격을 두고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제2 결합돌기(220)의 사이에는 제2 공간부가 마련되고, 제2 공간부에 결합 블록(500)의 일측부가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결합돌기(220)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각도(α)를 갖는 제2 확장부(221)가 마련되어 결합 블록(500)과의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 결합 블록(500)은 제2 공간부의 상하 방향으로 끼워 맞춤 결합되고, 이 제2 확장부(221)에 결합 블록(500)의 중앙부가 밀착되어 결합 블록(5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제1 식판부(100)와 제2 식판부(200)의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다.
손잡이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2 결합돌기(220)에 의해 마련되는 제2 공간부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손잡이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공간부 중 선택된 한 쌍의 제2 공간부에 단부가 끼워 맞춤 결합되는 손잡이 바디(310)와, 손잡이 바디(310)의 단부 양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손잡이 확장부(32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손잡이 확장부(320)도 전술한 제1 확장부(121) 및 제2 확장부(221)와 같은 각도(α)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손잡이부(300)는 제1 공간부 중 선택된 제1 공간부에도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
수저 수용부(4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2 결합돌기(220)에 의해 마련된 제2 공간부 중 선택된 공간부에 결합되어 숟가락과 젓가락을 포함하는 수저의 수용 장소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수저 수용부(4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저 수용홈(411)이 마련된 수저 수용 바디(410)와, 수저 수용 바디(410)의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복수의 수저 결합돌기(42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수저 결합돌기(420)는 선택된 제1 공간부 또는 제2 공간부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결합돌기의 가장자리에는 결합 확장부(421)가 마련되고, 이 결합 확장부(421)는 전술한 제1 확장부(121) 및 제2 확장부(221)와 같은 각도(α)를 가질 수 있다.
결합 블록(5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결합돌기(120)에 의해 마련된 제1 공간부와 복수의 제2 결합돌기(220)에 의해 마련된 제2 공간부에 결합되어 제1 식판부(100)와 제2 식판부(200)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결합 블록(5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 형상을 갖는 블록 바디(510)와, 블록 바디(510)의 네 모서리에 마련되는 블록 확장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블록 확장부(520)는 전술한 제1 확장부(121) 및 제2 확장부(221)와 같은 각도(α)를 가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애 아동용 조립식 식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장애 아동용 조립식 식판(1a)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결합 블록(500)을 사용하지 않고 복수의 제1 결합돌기(120)에 의해 마련된 제1 공간부에 복수의 제2 결합돌기(220)를 끼워 맞춤 방식으로 결합시킨 점에서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차이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장애 아동용 조립식 식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장애 아동용 조립식 식판(1b)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식판바디(110)의 저면부와 제2 식판바디(210)의 저면부에 복수의 무늬 돌기(600)를 이격 마련한 점에서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차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전술한 결합 블록(500)을 사용하지 않고 복수의 제1 결합돌기(120)에 의해 마련된 제1 공간부에 복수의 제2 결합돌기(220)를 끼워 맞춤 방식으로 결합시킨 점에서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차이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장애 아동용 조립식 식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장애 아동용 조립식 식판(1c)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식판부(100)와 제2 식판부(200)를 3개 이상으로 마련한 점에서 전술한 실시 예와 차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1 음식수용홈(111)과 제2 음식수용홈(211)은 다양한 형상 예를 들어 초승달, 오각형, 육각형, 원형 형상 등으로 마련된 점에서 전술한 실시 예와 차이점이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결합 블록(500)은 전술한 제1 실시 예의 결합 블록(500) 외에 연장 바디(530)를 추가로 마련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식판바디(110)와 하나의 제2 식판바디(210)가 접하는 영역의 결합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연장 바디(530)가 마련된 결합 블록(500)은 한 쌍의 제2 식판바디(210)와 하나의 제1 식판바디(110)가 접하는 영역의 결합 수단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장애 아동용 조립식 식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장애 아동용 조립식 식판(1d)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저 수용부(400)를 제1 식기바디(110)와 제2 식기바디(120)의 우측에 추가로 마련한 점에서 전술한 제4 실시 예와 차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제4 실시 예의 연장 바디(530)없이 제1 식판바디(110)와 제2 식판바디(210)를 연결하고, 제1 음식수용홈(111)과 제2 음식수용홈(211)을 원형으로 마련한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손에 장애가 있는 경우에도 편리하게 잡을 수 있고 재질상 열전도의 위험으로 데이거나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장애인의 관심과 흥미를 유도함과 아울러 인지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애 아동용 조립식 식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a,1b,1c,1d : 장애 아동용 조립식 식판
100 : 제1 식판부 110 : 제1 식판바디
111 : 제1 음식수용홈 120 : 제1 결합돌기
121 : 제1 확장부 200 : 제2 식판부
210 : 제2 식판바디 211 : 제2 음식수용홈
220 : 제2 결합돌기 221 : 제2 확장부
300 : 손잡이부 310 : 손잡이 바디
320 : 손잡이 확장부 400 : 수저 수용부
410 : 수저 수용 바디 411 : 수저 수용홈
420 : 수저 결합 돌기 421 : 결합 확장부
500 : 결합 블록 510 : 블록 바디
520 : 블록 확장부 530 : 연장 바디
600 : 무늬 돌기

Claims (5)

  1. 음식물이 수용되는 제1 식판바디 및 상기 제1 식판 바디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1 결합돌기가 구비된 제1 식판부;
    음식물이 수용되는 제2 식판바디 및 상기 제2 식판바디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2 결합돌기가 구비된 제2 식판부;
    상기 제1 식판부 또는 상기 제2 식판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손잡이부;
    상기 복수의 제1 결합돌기에 의해 마련된 제1 공간부 또는 상기 복수의 제2 결합돌기에 의해 마련된 제2 공간부에 탈착 결합되는 수저 수용부; 및
    상기 제1 공간부와 상기 제2 공간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식판부와 상기 제2 식판부를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 블록을 포함하는 장애 아동용 조립식 식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돌기에는 제1 확장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 결합돌기에는 제2 확장부가 마련되고,
    상기 결합 블록에는 블록 확장부가 마련되어 상기 결합 블록은 상기 제1 공간부와 상기 제2 공간부의 상하 방향으로 끼워 맞춤 결합되는 장애 아동용 조립식 식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저 수용부에도 결합 확장부가 마련되어 상기 수저 수용부는 상기 제1 공간부 또는 상기 제2 공간부의 상하 방향으로 끼워 맞춤 결합되는 장애 아동용 조립식 식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식판바디와 상기 제2 식판바디의 저면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무늬 돌기를 더 포함하는 장애 아동용 조립식 식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 블록은 적어도 3개의 제1 식판부 또는 적어도 3개의 제2 식판부 또는 제1 식판부와 제2 식판부의 총합을 3개로 연결 시 사용되는 연장 바디를 포함하는 장애 아동용 조립식 식판.
KR1020210138717A 2021-10-18 2021-10-18 장애 아동용 조립식 식판 KR102551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8717A KR102551013B1 (ko) 2021-10-18 2021-10-18 장애 아동용 조립식 식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8717A KR102551013B1 (ko) 2021-10-18 2021-10-18 장애 아동용 조립식 식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5460A true KR20230055460A (ko) 2023-04-26
KR102551013B1 KR102551013B1 (ko) 2023-07-05

Family

ID=86099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8717A KR102551013B1 (ko) 2021-10-18 2021-10-18 장애 아동용 조립식 식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101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455Y1 (ko) 2002-04-18 2002-08-13 장도훈 조립식 식판
KR20160003169U (ko) * 2015-03-13 2016-09-21 주식회사 한솔교육 퍼즐 매트
KR20180002265U (ko) * 2017-01-17 2018-07-25 전지유 장애인을 위한 식판
KR20210038073A (ko) * 2019-09-30 2021-04-07 김선영 시각 장애인용 식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455Y1 (ko) 2002-04-18 2002-08-13 장도훈 조립식 식판
KR20160003169U (ko) * 2015-03-13 2016-09-21 주식회사 한솔교육 퍼즐 매트
KR20180002265U (ko) * 2017-01-17 2018-07-25 전지유 장애인을 위한 식판
KR20210038073A (ko) * 2019-09-30 2021-04-07 김선영 시각 장애인용 식판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조립식 식판", https://blog.naver.com/mio925/221526148670, 2019.05.2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1013B1 (ko) 2023-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6576A (en) Tray for a high chair
US20070062958A1 (en) Buffet server with insertable-removable dividers
Nyberg et al. The meal as a performance: food and meal practices beyond health and nutrition
US11779142B2 (en) Configurable food trays and modular containers
KR102551013B1 (ko) 장애 아동용 조립식 식판
US6533120B1 (en) Multi-level eating surface apparatus and method
US20090172949A1 (en) Spork
US20040003760A1 (en) Modular kit of dimensionally complementary serving pieces
KR20200087640A (ko) 식판 홈이 구비된 테이블
KR20210038073A (ko) 시각 장애인용 식판
KR200384570Y1 (ko) 조리용기용 분할 뚜껑
CN214432448U (zh) 一种便于消毒和独立就餐的餐盒
KR20090010579U (ko) 수저와 젓가락의 거치가 용이한 식판
CN215423963U (zh) 一种餐具套装
KR101668223B1 (ko) 일회용 식판
KR200297371Y1 (ko) 음식물 조리용기
CN211483462U (zh) 学生食堂用餐桌
Fenner Our way: Women's action for mental health (Nottingham)
CN201806491U (zh) 煮烤两用锅
IT201900001314U1 (it) Scatola per il trasporto di pasto pronto completo
KR200349770Y1 (ko) 생선의 종류별 명칭과 형상이 새겨진 회전용 접시
Samford A Bone to Pick: An Unusual Tableware from the Victorian Era
JPH0235271Y2 (ko)
KR200156971Y1 (ko) 식당용 배식판
KR20240042908A (ko) 식기 수납용 트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