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4570Y1 - 조리용기용 분할 뚜껑 - Google Patents

조리용기용 분할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4570Y1
KR200384570Y1 KR20-2005-0005530U KR20050005530U KR200384570Y1 KR 200384570 Y1 KR200384570 Y1 KR 200384570Y1 KR 20050005530 U KR20050005530 U KR 20050005530U KR 200384570 Y1 KR200384570 Y1 KR 2003845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oking vessel
cell
protrusion
di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55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양희
Original Assignee
이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양희 filed Critical 이양희
Priority to KR20-2005-00055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45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45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45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eating utensils or spatul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리용기용 뚜껑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뚜껑을 2~다수조각으로 분리형성하여, 조립된 상태에서는 조리용기의 뚜껑으로 사용하고, 분해시에는 음식 등을 덜어먹을 수 있는 접시 또는 그릇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구성의 특징으로는 상면이 구면 또는 평면으로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나사봉이 용접되어 일체로 형성된 하부 받침부와, 저면이 구면 또는 평면으로 형성된 상부 커버판의 중앙부에 나사구멍을 가짐과 동시에 하부 받침부에 조립하였을 때 하부 받침부와 상부커버판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게 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부에 손잡이를 가진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에 형성된 돌출부에 삽입되며 선단 주연부에 가까운 위치에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하향 돌출부와 방사상으로 다수의 절개부를 가지며 중심구멍 가장자리에 상기 돌출부의 돌출길이와 같은 길이로 된 간격유지용 관체를 가진 스프링과, 2~다수개로 분리 형성되어 선단상면에 걸림돌부가 돌출 형성되고 저면에 홈을 형성하여서 된 분할 셀로 이루어진다.
상기 분할 셀의 표면에는 별도의 손잡이를 더 장착 고정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조리용기의 뚜껑을 다수의 분할 셀로 구성함에 따라 각종 음식물을 조리하여 먹을 때 뚜껑으로서의 기능 외에 접시나 용기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여러 사람이 동시에 덜어 먹을 수 있는 등의 특징이 따르게 되는 조리용기의 뚜껑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조리용기용 분할 뚜껑{A lid of a cooking vessel}
본 고안은 조리용기용 분할 뚜껑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뚜껑을 다수의 분할 셀로 분리 형성하되 분해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음식물을 조리시 뚜껑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식물을 덜어먹을 수 있는 접시 또는 그릇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냄비를 비롯하여 각종 조리용기에는 뚜껑이 사용된다.
상기한 뚜껑은 열손실을 예방하여 음식물을 보다 신속하게 끓게 하기 위해 사용함과 동시에 각종 이물질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조리용기 뚜껑은 뚜껑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에는 역부족이며, 이러한 이유로는 용기 뚜껑 자체가 하나로 구성되어 있고, 뚜껑의 중심에 손잡이가 돌출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접시나 그릇처럼 상 위에 안정적으로 놓을 수 없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종래의 조리용기 뚜껑은 주 목적이 뚜껑의 용도로 사용하게 끔 되어 있어 음식물을 덜어 먹기 위한 접시나 그릇대용으로 사용할 때 매우 번거로움은 물론 상위나 바닥에 놓았을 때 뚜껑 손잡이로 인하여 제 위치에 그대로 있지 못하고 손잡이를 중심으로 구르거나 회전하게 되어 사실상 접시나 그릇대용으로 사용하기는 곤란하다는 것이다.
물론, 가정이나 야외에서 냄비 등과 같은 조리용기에 라면이나 국수 등을 끓여 먹을 때 뚜껑을 접시나 그릇 대용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있지만, 이는 어디 까지나 임시방편으로 사용하는 정도이며, 더불어 이 또한 둘 이상의 여러사람이 동시에 사용할 수는 없는 등의 폐단이 따른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조리용기 뚜껑에 대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조리용기의 뚜껑을 2~ 다수개의 분할 셀로 분리구성하여, 각종 음식물을 조리할 때 전체적으로 조립하면 뚜껑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상기 분할 셀을 분리하면 다수의 접시나 그릇으로 사용할 수 있어 다목적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조리용기 뚜껑을 제공하려는데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조리용기의 뚜껑을 구성함에 있어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1~도3은,
상면이 완만한 구면 또는 평면으로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나사봉(11)이 용접되어 일체로 형성된 하부 받침부(1), 저면이 완만한 구면 또는 평면으로 형성되고 구면 또는 평면 중앙부에 나사구멍(21)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받침부(1)에 결합시 소정의 상하간격으로 삽입홈이 형성되게 하는 상부 커버판(24) 및 돌출부(22)가 형성되며 상부에 손잡이(23)를 가진 파지부(2), 상기 파지부(2)에 형성된 돌출부(22)에 삽입되며 주연부에 후술하는 분할 셀을 지지하기 위한 하향 걸림돌출부(31)와 방사상으로 다수의 절개부(32)를 가지며 중심구멍(33) 가장자리에 상기 돌출부(22)의 돌출길이와 같은 길이로 된 간격유지용 관체(34)를 가진 스프링(3)으로 이루어진 셀 지지부(S)와, 2~다수개로 분리 형성되어 선단 상면에 걸림돌부(41)가 돌출 형성되고 저면에 홈(42)을 형성하여서 된 분할 셀(4)로 이루어진 조리용기의 뚜껑(100)인 것이다.
상기 분할 셀(4)의 표면에는 별도의 손잡이를 더 장착 고정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조리용기의 뚜껑(100)이 2 ~ 다수개의 분할 셀(4)로 구성되고, 또, 상기 분할 셀(4)이 매우 손쉽게 분해 조립되게 구성함으로서 음식물을 조리할 때는 다수의 셀(4)을 조립하여 뚜껑으로 사용할 수있고, 동시에 조리된 음식물을 둘 이상 여러 명이 덜어먹고자 할 때는 다수의 셀(4)을 분해하여 접시 또는 그릇으로 사용하면 된다.
즉, 본 고안은 파지부(2)의 저면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22)에 스프링(3)을 먼저 끼운 상태에서 받침부(1)의 나사봉(11)을 파지부(2)의 나사구멍(21)에 체결 고정시켜 셀 지지부(S)를 조립 형성하고, 이어서 상기 셀지지부(S)의 상부 커버판(24)과 하부 받침판(1) 사이에 다수의 분할 셀(4)을 끼워 조립하게 되면, 상기 분할 셀(4)의 선단 상면에 형성된 걸림돌부(41)가 스프링(3)의 주연부에 형성된 걸림돌출부(31)에 걸려 조립 지지되게 되어 전체적으로 다수의 분할 셀(4)이 모두 조립되었을 때는 하나의 완성된 뚜껑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분할 셀(4)을 셀 지지부(S)로부터 모두 빼내어 분리시키게 되면 분할 셀(4) 각각에 홈(42)이 형성된 상태이므로 음식물을 덜어 먹는 접시 또는 그릇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홈(42)은 깊이나 모양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홈(42)의 존재 이유가 음식물을 보다 안정적으로 덜어먹을 수 있게 함에 있는 것이므로 디자인과 사용용도, 목적 등을 감안하여 보다 더 다양한 모양의 홈(42)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뚜껑의 크기가 큰 것인 경우에 하나의 셀(4)에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분할 셀(4)은 최소한 2개에서 다수개까지 구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6개 사이가 가장 적합하다 하겠다.
한편, 상기한 분할셀(4)의 표면 소정위치에 별도로 손잡이를 장착 구성하여도 되며, 이 경우 뜨거운 음식물 등을 덜어먹을 때 분할 셀(4)을 손으로 잡고 덜어먹을 수 있게 됨으로서 사용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4~도5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는,
분할 셀(4)에 상기 제1실시예에서와 같은 홈(42)을 형성하지 않고, 가장자리에 절곡부(42')를 절곡형성하여서 된 것으로서, 이는 상기 절곡부(42')에 의해 음식물을 덜어 먹을 때 접시나 그릇 등의 용기로서의 작용을 하게 된다.
또, 이 경우에는 셀 지지부(S)를 구성하는 상부커버판(24)과 하부 받침대(1)사이의 공간을 분할 셀(4)의 두께를 감안하여 형성하여야 하며, 조립 및 분해 방식은 전술한 경우와 동일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된 특징은 다수의 분할 셀(4)을 셀지지부(S)에 조립하게 되면 스프링(3)의 외주연에 형성된 걸림돌출부(31)에 분할 셀(4)에 형성된 걸림돌부(41)가 걸리게 되어 빠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되며, 조립된 분할 셀(4)을 분해 하고자 할 때는 분할 셀(4)을 강제로 잡아당기면 스프링(3)의 탄성작용에 의해 분할 셀(4)의 걸림돌부(41)가 스프링(3)의 걸림돌출부(31)로부터 쉽게 분해되게 되는 것이므로 분할 셀(4)을 조립 또는 분해 함에 따라 조리시에는 뚜껑으로, 그리고 음식물을 덜어 먹을 때는 접시나 그릇으로 사용할 수 있어 다목적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뚜껑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라 하겠다.
도 6A~ 도 6D는 본 고안의 분할 셀을 조립한 상태의 평면예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6A는 뚜껑을 4등분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6B는 뚜껑을 4등분하되, 분할 셀(4)의 측면이 파형모양으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6C는 뚜껑을 3등분 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6D는 뚜껑을 5등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또, 상기 구성 외에 분할 셀(4)의 형상을 사용상의 편리함과 모양을 감안하여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모양의 변형이 분할 셀(4)을 조립하여 뚜껑을 형성하는 구성이라면 이는 당연히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사항이라 하겠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 셀 지지부(S)는 전술한 구성 외에 여러가지의 다른 구성으로도 변경 가능하며, 상기 셀지지부(S)의 구성 변화에 따라 분할 셀(4)의 결합부 구성도 달라져야 하나, 이러한 구성의 변화보다도 더 중요한 점은 조리용기의 뚜껑을 다수의 분할 셀로 구성하여 분해 조립이 이루어지게 함과 동시에 분할 셀 각각이 접시 또는 그릇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게 한다는 데에 본 고안의 동기 목적이 있는 것이므로 위와 같이 셀지지부(S)의 구성이나 분할 셀(4)의 구성변화는 당연히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사항이라 하겠다.
그리고, 본 고안은 냄비 등의 조리용기의 동체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구성할 수 있으며, 일 예로 냄비 등의 조리용기가 사각 또는 오각이나 육각의 동체로 형성된 경우에 뚜껑(100)을 구성하는 분할 셀(4)의 형상 모양도 조리용기의 동체 형상에 따라 형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동체의 형상 모양의 변화에 따른 분할 셀의 형상이나 모양의 변형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사항이라 하겠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조리용기의 뚜껑을 다수의 분할 셀로 구성함에 따라 각종 음식물을 조리하여 먹을 때 뚜껑으로서의 기능 외에 분할 셀을 접시나 용기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여러 사람이 동시에 사용하여 덜어 먹을 수 있는 등의 다목적 사용이 이루어지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로서 조립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로서 뚜껑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로서 뚜껑을 구성하는 분할 셀을 뒤집어놓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로서 조립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로서 뚜껑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6A~ 도6D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뚜껑의 평면예시도.

Claims (4)

  1. 상부에 통상의 손잡이를 가진 셀 지지부(S)와,
    상기 셀 지지부(S)에 조립되면 조리용기의 뚜껑으로 사용되고, 분해시켰을 때는 음식물을 안정적으로 덜어먹을 수 있는 접시 또는 그릇으로 사용될 수 있는 홈(42)이 형성된 2~다수개의 분할 셀(4)로 이루어져 사용 용도에 따라 분해 또는 조립 사용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분할 뚜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셀 지지부(S)는 상면이 완만한 구면 또는 평면으로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나사봉(11)이 용접되어 일체로 형성된 하부 받침부(1);
    저면이 완만한 구면 또는 평면으로 형성되고 구면 또는 평면 중앙부에 나사구멍(21)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받침부(1)에 결합시 소정의 상하간격으로 삽입홈이 형성되게 하는 상부 커버판(24) 및 돌출부(22)가 형성되며 상부에 손잡이(23)를 가진 파지부(2);
    상기 파지부(2)에 형성된 돌출부(22)에 삽입되며, 주연부에 분할 셀(4)을 지지하기 위한 하향 걸림돌출부(31)와 방사상으로 다수의 절개부(32)를 가지며 중심구멍(33) 가장자리에 상기 돌출부(22)의 돌출길이와 같은 길이로 된 간격유지용 관체(34)를 가진 스프링(3)으로 이루어진 셀 지지부(S);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분할 뚜껑.
  3. 제 1항에 있어서,
    분할 셀(4)의 가장자리에 절곡부(42')를 절곡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분할뚜껑.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분할 셀(4)의 표면 소정위치에 별도의 손잡이를 더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분할 뚜껑.
KR20-2005-0005530U 2005-03-02 2005-03-02 조리용기용 분할 뚜껑 KR2003845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5530U KR200384570Y1 (ko) 2005-03-02 2005-03-02 조리용기용 분할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5530U KR200384570Y1 (ko) 2005-03-02 2005-03-02 조리용기용 분할 뚜껑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0833A Division KR100710593B1 (ko) 2006-03-02 2006-03-02 조리용기용 분할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4570Y1 true KR200384570Y1 (ko) 2005-05-16

Family

ID=43686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5530U KR200384570Y1 (ko) 2005-03-02 2005-03-02 조리용기용 분할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457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130B1 (ko) 2005-05-18 2007-09-05 이양희 조리용기용 분할 뚜껑
KR100950107B1 (ko) 2008-03-28 2010-03-30 권재열 청소용 집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130B1 (ko) 2005-05-18 2007-09-05 이양희 조리용기용 분할 뚜껑
KR100950107B1 (ko) 2008-03-28 2010-03-30 권재열 청소용 집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2249A (en) Multi-purpose cooker
US4892213A (en) Microwave cooking and serving dish
US5203252A (en) Toaster with multi-function
US20060283334A1 (en) Multipurpose waffle iron set
CA2807745C (en) Serving vessel set
KR200384570Y1 (ko) 조리용기용 분할 뚜껑
US10813475B2 (en) Stacking, display, and serving device for pastries and other food items
KR100699705B1 (ko) 조리용기용 뚜껑
KR100710593B1 (ko) 조리용기용 분할 뚜껑
CN2850485Y (zh) 多功能锅具
US20060029716A1 (en) Device for shaping eggs for cooking in a microwave
US20040003760A1 (en) Modular kit of dimensionally complementary serving pieces
KR200388261Y1 (ko) 전기 밥솥의 찜 요리를 위한 이중 조리용기
CN215423963U (zh) 一种餐具套装
KR100699706B1 (ko) 조리용기용 분할 뚜껑
CN210673144U (zh) 一种调味盒
KR100756130B1 (ko) 조리용기용 분할 뚜껑
KR200453883Y1 (ko) 결합이 용이한 조리기구
KR200496406Y1 (ko) 스테이크용 플레이트
KR200297371Y1 (ko) 음식물 조리용기
CN202458038U (zh) 一种组合式调料盒
CN201806491U (zh) 煮烤两用锅
KR200156971Y1 (ko) 식당용 배식판
KR200227821Y1 (ko) 국통을 가지는 군용 반합
KR200278429Y1 (ko) 다목적 육류구이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20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