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9706B1 - 조리용기용 분할 뚜껑 - Google Patents

조리용기용 분할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9706B1
KR100699706B1 KR1020050032242A KR20050032242A KR100699706B1 KR 100699706 B1 KR100699706 B1 KR 100699706B1 KR 1020050032242 A KR1020050032242 A KR 1020050032242A KR 20050032242 A KR20050032242 A KR 20050032242A KR 100699706 B1 KR100699706 B1 KR 100699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handle
split
plate
cooking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2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9231A (ko
Inventor
이양희
Original Assignee
이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양희 filed Critical 이양희
Priority to KR1020050032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9706B1/ko
Publication of KR20060109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9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9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9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3Knobs, e.g. for l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용기용 분할 뚜껑에 관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2~다수개로 분리 형성된 분할뚜껑을 손잡이에 손쉽게 분해조립할 수 있게 함으로서, 조립시에는 조리용기의 뚜껑으로 사용하고, 분해시에는 각종 음식물을 덜어먹는 접시 또는 용기로 활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구성의 특징으로는 2~다수개로 분리 형성되며, 저면에 접시 또는 용기형태의 요부가 형성되고, 꼭지점 위치에 소정형태의 삽입구멍을 가진 분할 뚜껑과, 상기 분할 뚜껑을 손쉽게 분해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손잡이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는 수나사봉을 가진 중심축봉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심축봉의 하단은 구면, 또는 경사면 형태로 되어 표면에는 분할뚜껑의 삽입구멍이 끼워지도록 삽입돌부를 돌출형성하여서 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중심축봉에 끼워져 압축스프링과 캡에 의해 항상 하방향으로 가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하부에는 저면에 고정판의 상면에 밀착되어 분할뚜껑 조립시 뚜껑을 눌러 지지하는 가압판을 가진 외부손잡이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캡의 상단에 의지한 상태에서 외부손잡이를 상부로 당겨올리면 고정판과 외부손잡이의 가압판 사이에 틈이 형성되게 되어 이 부분으로 분할뚜껑을 밀어넣어 분할뚜껑에 형성된 삽입구멍을 삽입돌부에 끼운 뒤 당겨올렸던 외부손잡이를 놓으면 압축스프링력에 의해 외부손잡이가 하강하여 가압판이 분할뚜껑의 상부를 눌러주게 됨으로서 분할뚜껑이 조립되어 하나의 조리용기 뚜 껑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고, 또, 상기 외부손잡이를 다시 당겨 올린 상태에서 분할뚜껑을 분리하게 되면 분할 뚜껑 각각을 접시 또는 용기로 사용할 수 있어 가정에서는 물론, 야외에서도 다용도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따르게 되는 것이다.
분할뚜껑, 다목적 뚜껑, 조리용기 뚜껑.

Description

조리용기용 분할 뚜껑{a lid of a cooking vessel}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 단면도.
본 발명은 조리용기용 분할 뚜껑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용기에 덮어 사용되는 통상의 조리용기 뚜껑을 2~다수개의 분할 뚜껑으로 형성하여 뚜껑의 중심에 위치하게 되는 손잡이에 손쉽게 분해조립 가능토록 함으로서 조리용기의 뚜껑으로서의 사용은 물론 각각의 분할 뚜껑이 접시 또는 용기로도 사용될 수 있게 하고, 이에 따라 다목적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냄비를 비롯하여 각종 조리용기에는 뚜껑이 사용된다.
상기한 뚜껑은 열손실을 예방하여 음식물을 보다 신속하게 끓게 하기 위해 사용함과 동시에 각종 이물질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조리용기 뚜껑은 뚜껑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에는 역 부족이며, 이러한 이유로는 용기뚜껑 자체가 하나로 구성되어 있고, 뚜껑의 중심에 손잡이가 돌출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접시나 그릇처럼 상 위에 안정적으로 놓을 수 없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종래의 조리용기 뚜껑은 주 목적이 뚜껑의 용도로 사용하게 끔 되어 있어 음식물을 덜어 먹기 위한 접시나 그릇대용으로 사용할 때 매우 번거로움은 물론 상위나 바닥에 놓았을 때 뚜껑 손잡이로 인하여 제 위치에 그대로 있지 못하고 손잡이를 중심으로 구르거나 회전하게 되어 사실상 접시나 그릇대용으로 사용하기는 곤란하다는 것이다.
물론, 가정이나 야외에서 냄비 등과 같은 조리용기에 라면이나 국수 등을 끓여 먹을 때 뚜껑을 접시나 그릇 대용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있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임시방편으로 사용하는 정도이며, 더불어 이 또한 둘 이상의 여러사람이 동시에 사용할 수는 없는 등의 폐단이 따른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특히, 조리용기 뚜껑을 2~다수쪽으로 분리 형성하여 분할뚜껑으로 형성하고, 상기 분할 뚜껑을 원활하게 지지하면서 분해 조립가능하도록 홀더 기능을 가진 손잡이를 형성하여, 여러쪽으로 분할 형성된 분할 뚜껑을 손잡이에 결합시키면 하나의 조리용기 뚜껑으로 사용할 수 있고, 손잡이로부터 분할 뚜껑을 분해하면 여러사람이 음식물을 덜어먹을 수 있는 접시 또는 그릇 등의 용기로 사용할 수 있어 다목적 사용이 이루어지는 조리용기의 뚜껑을 제공하려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조리용기용 뚜껑을 구성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조리용기용 뚜껑(100)은, 2~다수개로 분리 형성하고 저면에는 뒤집어 사용할 때 음식물을 안정적으로 담을 수 있도록 접시 또는 용기형태의 요부(11)를 형성하며, 꼭지점 위치(즉, 후술하는 손잡이에 결합되는 위치)에 소정형태의 삽입구멍(12)을 형성하여서 된 분할 뚜껑(1)과, 상기 분할 뚜껑(1)을 손쉽게 분해 및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한 손잡이(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손잡이(20)는 중앙부에 수나사봉(21)을 가진 중심축봉(22)을 일체로(또는 분리형성한 후 조립, 또는 용접시켜도 됨) 형성하고, 표면에는 분할 뚜껑(1)의 삽입구멍(12)이 끼워지도록 소정의 삽입돌부(23)를 분할 뚜껑(1)의 수대로 형성하여서 된 받침판(2A)과, 중앙부에 상부구멍(24a)이 하부구멍(24b)보다 크게 형성된 단차구멍(24)이 형성되고 외주 상부에는 외부손잡이(25)가 그리고 외주 하부에는 가압판(26)이 형성된 가압손잡이(2B)와, 상기 가압손잡이(2B)의 단차구멍(24)을 받침판(2A)의 중심축봉(22)에 끼운뒤 마감조립하도록 된 와셔(3),압축스프링(4) 및 캡(5)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손잡이(20)를 조립할 때는 먼저 받침판(2A)의 중심축봉(22)에 가압손잡이(2B)의 단차구멍(24)을 끼운 뒤, 상부구멍(24a) 중심에 위치하게 되는 중심축봉(22)에 와셔(3)와 압축스프링(4) 및 또 다른 와셔(3)를 순차적으로 삽입시킨 다음 캡(5)을 체결하면 가압손잡이(2B)와 받침판(2A)이 조립되어 손잡이(20)가 완성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완성된 손잡이(20)는 캡(5)을 기준으로 외부손잡이(25)를 당겨 올리면 내부에 위치한 압축스프링(4)이 압축되면서 받침판(2A)과 가압판(26) 사이에 분할 뚜껑(1)을 끼울 수 있는 틈, 즉 공간이 형성되게 되며, 상기 공간을 통하여 분할 뚜껑(1)의 삽입구멍(12)을 받침판(2A)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돌부(23)에 끼운 상태에서 당겨올렸던 가압손잡이(2B)를 놓으면 압축스프링력에 의해 가압판(26)이 받침판(2A)의 상부를 눌러주게 되어 하나의 조리용기 뚜껑으로 완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조리용기 뚜껑(100)을 2~다수개로 분리형성하고 손잡이는 상기 분리된 다수의 분할 뚜껑(1)을 결합시켜 하나의 뚜껑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필요시에는 분리시켜 접시 또는 그릇 등의 용도로 사용함으로서 가정이나 야외에서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따르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조리용기 뚜껑(100)을 다수의 분할 뚜껑(1)으로 분리형성하고, 상기 분할 뚜껑 각각에는 뒤집었을 때 요부(11)가 형성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여러사람이 음식물을 덜어먹거나 떠먹을 때 접시, 또는 그릇의 용도로 활용할 수 있고, 또, 상기 분할 뚜껑(1)의 꼭지점 부분은 손잡이로서의 작용도 할 수 있게 되는 것임은 물론, 삽입구멍(12)이 손잡이(20)를 구성하는 받침판(2A)의 삽입돌부(23)에 끼워져 가압판(26)에 의해 눌려 조립되면 전체적으로 하나의 조리용기 뚜껑(100)으로 구성됨으로서 음식물을 끓이거나 또는 보관 또는 조리용기에 덮어놓을 때 종래의 일반적인 뚜껑과 동일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분할 뚜껑(1)과 함께 손잡이(20) 또한 매우 중요한 기 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손잡이(20)가 받침판(2A)과 가압손잡이(2B)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받침판(2A)과 가압손잡이(2B)는 압축스프링(4)과 캡(5)에 의해 조립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엄지손가락으로 캡(5)을 누름과 동시에 나머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가압손잡이(2B)를 당겨올리면, 받침판(2A)과 가압판(26)사이에 틈이 형성되게 되어 분할 뚜껑(1)을 조립하거나 분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삽입돌부(23)는 반드시 받침판(2A)의 상면에 형성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상기 삽입돌부(23)를 가압판(26)의 저면에 형성하여도 동일한 작용과 효과가 발생되기에 이러한 변형은 당연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며, 상기 분할 뚜껑(1)에 형성된 삽입구멍(12) 또한 구멍이 아닌 상부 또는 하부로 삽입구멍(12)과 동일한 크기의 요부가 형성되게 하더라도 동일한 작용과 효과가 발생되는 것이기에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사항이라 하겠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조리용기의 뚜껑을 요부를 가진 다수의 분할뚜껑으로 분리형성하고, 상기 분할 뚜껑을 손잡이에 매우 손쉽게 분해 조립할 수 있게 함으로서 조립하였을 때는 음식물 조리, 보관, 덮어 놓는 기능을 종래와 동일하게 수행하고, 분해시에는 접시나 그릇 등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다목적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조리용기의 뚜껑을 구성함에 있어서,
    2~다수개로 분리 형성하고 저면에는 뒤집어 사용할 때 음식물을 안정적으로 담을 수 있도록 접시 또는 용기형태의 요부(11)를 형성하며, 꼭지점 위치에 소정형태의 삽입구멍(12)을 형성하여서 된 분할 뚜껑(1)과, 상기 분할 뚜껑(1)을 손쉽게 분해 및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한 손잡이(20)로 구성하되,
    상기 손잡이(20)는 중앙부에 수나사봉(21)을 가진 중심축봉(22)을 일체로 형성하거나, 또는 분리 형성한 후 조립하거나, 또는 용접하여 형성하고, 표면에는 분할뚜껑(1)의 삽입구멍(12)이 끼워지도록 소정의 삽입돌부(23)를 분할 뚜껑의 수대로 형성하여서 된 받침판(2A)과, 중앙부에 상부구멍(24a)이 하부구멍(24b)보다 크게 형성된 단차구멍(24)이 형성되고 외주 상부에는 외부손잡이(25)가 그리고 외주 하부에는 가압판(26)이 형성된 가압손잡이(2B), 그리고 상기 가압손잡이(2B)의 단차구멍(24)을 받침판(2A)의 중심축봉(22)에 끼운 뒤 마감조립하도록 된 와셔(3), 압축스프링(4) 및 캡(5)으로 이루어져 분할 뚜껑(1)을 손잡이(20)에 손쉽게 조립 또는 분해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분할 뚜껑.
  2. 제 1항에 있어서,
    삽입돌부(23)를 가압판(26)의 저면에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분 할 뚜껑.
KR1020050032242A 2005-04-16 2005-04-16 조리용기용 분할 뚜껑 KR100699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242A KR100699706B1 (ko) 2005-04-16 2005-04-16 조리용기용 분할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242A KR100699706B1 (ko) 2005-04-16 2005-04-16 조리용기용 분할 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9231A KR20060109231A (ko) 2006-10-19
KR100699706B1 true KR100699706B1 (ko) 2007-03-26

Family

ID=37615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2242A KR100699706B1 (ko) 2005-04-16 2005-04-16 조리용기용 분할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970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6044U (ja) 1982-03-11 1983-09-13 佐藤器業株式会社 調理用蓋
JP2003012014A (ja) 2001-06-29 2003-01-15 Shogo Aratake 使い捨て調理食品用容器の蓋体構造
KR200380651Y1 (ko) 2005-01-21 2005-03-31 이양희 조리용기 뚜껑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6044U (ja) 1982-03-11 1983-09-13 佐藤器業株式会社 調理用蓋
JP2003012014A (ja) 2001-06-29 2003-01-15 Shogo Aratake 使い捨て調理食品用容器の蓋体構造
KR200380651Y1 (ko) 2005-01-21 2005-03-31 이양희 조리용기 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9231A (ko) 2006-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34099U (ja) マニュアル式のジューサー構造
US8029265B2 (en) Burger press
US9332873B2 (en) Lid structure configured for easy disassembly and cleaning
US7635101B1 (en) Multi-grater
US20150366395A1 (en) Brewing and Filtering Device for Coffee and Tea
USD503066S1 (en) Combination griddle and grill
US20100170406A1 (en) Jug functioning to squeeze juice
CN106580073A (zh) 电压力锅及其上盖组件
KR200396492Y1 (ko)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중컵
KR100699706B1 (ko) 조리용기용 분할 뚜껑
US20060021519A1 (en) Juicer having an overflow release effect
USD522305S1 (en) Toaster
US20120269938A1 (en) Patty-forming tool and method for forming stuffed patties
USD544752S1 (en) Campfire cooking griddle
KR200432065Y1 (ko) 마늘 다지기
KR100710593B1 (ko) 조리용기용 분할 뚜껑
USD507159S1 (en) Salad grater
USD534043S1 (en) Pastry blender/vegetable masher
KR200426792Y1 (ko) 식품 걸름용기
KR101743715B1 (ko) 누름마개가 구비된 숙성용기
CN205031011U (zh) 新型电饭煲
KR20140082912A (ko) 분해 및 세척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리드 구조물
JP3132478U (ja) フタ立て
JP3221098U (ja) フライパン
CN211093473U (zh) 一种具有活动内盖的电饭锅锅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