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8073A - 시각 장애인용 식판 - Google Patents

시각 장애인용 식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8073A
KR20210038073A KR1020190120752A KR20190120752A KR20210038073A KR 20210038073 A KR20210038073 A KR 20210038073A KR 1020190120752 A KR1020190120752 A KR 1020190120752A KR 20190120752 A KR20190120752 A KR 20190120752A KR 20210038073 A KR20210038073 A KR 20210038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wls
plate
bowl
plate base
edu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0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영
정찬후
Original Assignee
김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영 filed Critical 김선영
Priority to KR1020190120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8073A/ko
Publication of KR20210038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80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4For person with a handicap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판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를 중심으로 밥, 국, 반찬 등의 음식 위치가 각도를 통해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고, 음식의 위치가 각도를 통해 사용자 팔의 활동반경 내에서 인지되므로, 비장애인과 마찬가지로 정상적인 식사가 가능하며, 밥, 국, 반찬 등의 음식이 담기는 제1그릇 및 제2그릇을 식판베이스에 각각 안착 가능하도록 하여, 미리 음식이 담긴 제1그릇 및 제2그릇을 식판베이스의 수용공간 내에 배치하는 것으로, 배식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음식에 대한 정보가 담긴 촉각표지(점자표지)가 식판베이스의 외측면에 장착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굳이 손으로 그릇 확인할 필요 없이 식판을 감싸는 것으로 그릇의 위치 및 내용물이 확인되는 섭생 교육용 식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섭생 교육용 식판{food tray for Education}
본 발명은 섭생 교육용 식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지 특성을 고려한 식판을 제공함으로써 사회적 약자(소아, 어린이, 장애인, 노약자 등)의 식생활에 대한 장벽을 낮춘 조화로운 사회 구현에 현실적으로 기여할 수 있고, 사회적 약자에 맞는 주체적인 식판 사용으로 건강하고 긍정적인 생활을 추구할 수 있는 섭생 교육용 식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판은 음식을 담는 공간이 몇 개로 구획되어 밥, 국, 반찬 등을 담을 수 있도록 된 간편한 식사 용기인데, 식판의 각 공간에는 직접 음식을 담거나, 다른 용기에 담아 놓게 된다.
통상, 정형적인 형태로 이루어져 같은 종류의 식판끼리는 겹쳐서 보관할 수 있고, 음식을 종류별로 담기 위한 여러 개의 용기의 역할을 식판 하나로 대신할 수 있어서 단체 급식의 개인별 식기로 많이 사용하게 된다.
한편, 근래에는 일반 가정에서도 음식을 하나의 그릇에 놓고 같이 먹는 식생활이 바뀌고 있으며, 먹던 음식을 다시 먹는 경우도 줄어들면서 한번에 먹을 만큼만 음식을 덜어 개인별로 제공하는 형태의 식사 문화가 확대되고 있으며 이런 요인들은 개인이 식판을 이용하여 음식을 먹는 경우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장애인 학교 등에서 장애인을 대상으로 단체로 급식을 할 경우에 그러한데, 종래기술로는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12212호(2009.12.02)를 참고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일반적인 식판은 장애인과 같은 사회적 약자에 대한 고려가 전혀 없기 때문에 이러한 일반 식판을 이용할 경우에는 장애인으로서는 배식되는 음식이 어떤 것인지 잘 알 수 없어, 배식을 받을 때에나 식사를 할 때에 자칫 잘못하면 뜨거운 음식에 데거나, 음식의 특성을 잘 알지 못해 식사에 곤란을 겪을 수 있다.
그리고 해당 음식의 위치를 명확하게 인지할 수 없어 매번 손으로 더듬어 음식의 위치를 대략적으로 파악한 후 식사가 이루어졌다.
따라서, 장애인 특성상 보이지 않는 식판을 쉽고 효과적으로 정보를 인지하고 편안하게 식사할 수 있는 식판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식판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를 중심으로 밥, 국, 반찬 등의 음식 위치가 각도를 통해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고, 음식의 위치가 각도를 통해 사용자 팔의 활동반경 내에서 인지되므로, 비장애인과 마찬가지로 정상적인 식사가 가능하며, 밥, 국, 반찬 등의 음식이 담기는 제1그릇 및 제2그릇을 식판베이스에 각각 안착 가능하도록 하여, 미리 음식이 담긴 제1그릇 및 제2그릇을 식판베이스의 수용공간 내에 배치하는 것으로, 배식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음식에 대한 정보가 담긴 촉각표지(점자표지)가 식판베이스의 외측면에 장착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굳이 손으로 그릇 확인할 필요 없이 식판을 감싸는 것으로 그릇의 위치 및 내용물이 확인되는 섭생 교육용 식판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섭생 교육용 식판은 사용자를 중심으로 사용자 팔의 활동반경에 상응하도록 전체적인 형상이 반원 형태를 이루고, 내부에는 상측이 개구된 반원 형태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공간의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외주방향으로 틀플랜지를 연장 형성한 식판베이스와, 상기 식판베이스의 수용공간 중 반원 지름의 중심에 인접하여 구비되고, 개구된 상부를 통해 밥과 국을 각각 담아 수용하는 한 쌍의 제1그릇, 및 상기 식판베이스의 수용공간 중 반원 형태인 수용공간의 호를 따라 구비되고, 개구된 상부를 통해 반찬을 각각 담아 수용하는 복수 개의 제2그릇을 포함하고, 상기 제1그릇 및 제2그릇의 내부바닥면은 반원 지름의 중심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하며, 상기 틀플랜지 중 반원의 지름에 해당하는 부분은 사용자의 몸체와 수용공간이 서로 근접하도록 굴곡진 오목부를 형성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한 쌍의 제1그릇은 중심각이 90°인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복수 개의 제2그릇은 중심각이 30°인 원호형상으로 형성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식판베이스의 수용공간 중 반원 지름의 중심점에는 수용공간을 1/2로 분할하는 격벽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격벽에 의해 1/2로 분할된 수용공간에는 해당 공간에 배치된 제1그릇 및 제2그릇들이 서로 일체로 연결되어 하나의 트레이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격벽의 그 상면에는 수저를 안착하도록 상기 격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수저홈을 형성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식판베이스의 그 저면에는 복수 개의 미끄럼방지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식판베이스의 외측면 중 제1그릇 및 제2그릇들의 배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하여, 상기 제1그릇 및 제2그릇들에 담긴 밥, 국, 반찬들의 명칭이 점자로 표시된 촉각표지가 장착되는 복수 개의 촉각표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섭생 교육용 식판에 의해 나타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반원형상을 이용하여 밥, 국, 반찬 등의 음식 위치와 각도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음식의 위치와 각도 인지를 통해 비장애인과 마찬가지로 사용자 팔의 활동반경 내에서 정상적인 식사가 가능하게 한다.
둘째, 밥, 국, 반찬 등의 음식이 담기는 제1그릇 및 제2그릇을 식판베이스에 각각 안착 가능하도록 하여, 미리 음식이 담긴 제1그릇 및 제2그릇을 식판베이스의 수용공간 내에 배치하는 것으로, 배식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음식에 대한 정보가 담긴 촉각표지(점자표지)가 식판베이스의 외측면에 장착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음식에 손가락으로 확인할 필요 없이 식판의 감싸는 동작으로도 해당 식단의 정보(음식의 위치 및 음식의 종류)를 가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섭생 교육용 식판을 보인 분해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섭생 교육용 식판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그릇 및 제2그릇의 단면과, 식판베이스의 측면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판베이스에 격벽을 형성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격벽에 수저홈을 형성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섭생 교육용 식판을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사회적 약자(소아, 어린이, 장애인, 노약자 등)의 인지 특성을 고려한 식판을 제공함으로써 사회적 약자의 식생활에 대한 장벽을 낮춘 조화로운 사회 구현에 현실적으로 기여할 수 있고, 사회적 약자에 맞는 주체적인 식판 사용으로 건강하고 긍정적인 생활을 추구할 수 있는 섭생 교육용 식판에 관한 것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섭생 교육용 식판은 식판베이스(100), 제1그릇(200) 및 제2그릇(300)을 포함하는데, 먼저 상기 식판베이스(100)는 사용자를 중심으로 사용자 팔의 활동반경에 상응하도록 전체적인 형상이 반원 형태를 이루고, 내부에는 제1그릇(200) 및 제2그릇(300)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된 반원 형태의 수용공간(101)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공간(101)의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외주방향으로 틀플랜지(102)를 연장 형성한다.
이때 상기 틀플랜지(102) 중 반원의 지름에 해당하는 부분은 사용자의 몸체와 수용공간(101)이 서로 근접할 수 있도록, 내부를 향해 오목하게 굴곡진 오목부(103)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식판베이스(100)의 저면에는 복수 개의 미끄럼방지부재(104)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밥과 국 등이 내부에 담기면서 상기 식판베이스(100)의 수용공간(101)에 수용되는 상기 제1그릇(200)은 한 쌍으로 각각 중심각이 90°인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식판베이스(100)의 수용공간(101) 중 반원 지름의 중심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그릇(200)은 그 내부의 공간 역시,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식판베이스(100)의 반원 지름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제1그릇(200)은 상기 식판베이스(100)의 수용공간(101) 내부에서 반원 형상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그릇(200)은 통상의 밥그릇 및 국그릇과 같이 개구된 상부를 통해 밥과 국이 담기어져 수용되는데, 한 쌍의 제1그릇(200) 중 어느 하나의 제1그릇(200)에는 밥이 담기어 상기 식판베이스(100)의 수용공간(101) 좌측편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제1그릇(200)에는 국, 또는 찌개가 담기어 상기 식판베이스(100)의 수용공간(101) 우측편에 배치된다.
그리고 다양한 반찬들이 각각 담기는 상기 제2그릇(300)은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식판베이스(100)의 수용공간(101) 중 상기 제1그릇(200)의 외측인 부채꼴의 호를 따라 인접하여 배치되며, 개구된 상부를 통해 반찬을 각각 수용한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제2그릇(300)은 중심각이 30°인 원호형상으로 형성하는데, 상기 한 쌍의 제1그릇(200)의 외측인 호를 1/6로 분할되어, 6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한 쌍의 제1그릇(200)의 외측인 호를 따라 상기 식판베이스(100)의 수용공간(101)에 각각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한 식판베이스(100), 제1그릇(200) 및 제2그릇(300)의 구성에 의해 하나의 식판베이스(100)에 한 쌍의 제1그릇(200)과 6개의 제2그릇(300)이 하나의 식판을 이루는데, 상기 한 쌍의 제1그릇(200)은 상기 식판베이스(100)의 수용공간(101) 내부에서 반원 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그릇(200)의 외측인 부채꼴의 호를 따라 제2그릇(300) 3개씩 인접하여 제1그릇(200) 및 제2그릇(300)은 반원 형상을 이룬다.
여기서 본원발명에서는 제2그릇(300)을 한 쌍의 제1그릇(200)의 외측인 호를 따라 1/6 분할된 것에 한정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설계조건에 따라 1/5, 1/4 분할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제1그릇(200) 및 제2그릇(300) 들의 내부바닥면은 상기 식판베이스(100)의 반원 지름의 중심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하는데, 경사진 내부바닥면에 의해 상기 제1그릇(200) 및 제2그릇(300)에 담긴 음식들이 사용자를 중심으로 모일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수저를 통한 상기 제1그릇(200) 및 제2그릇(300)과의 접촉으로 음식의 양을 가늠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식판베이스(100)의 수용공간(101)에는 하나의 제1그릇(200)과 인접하는 3개의 제2그릇(300)을 하나의 그룹으로 수용할 수 있는 그룹트레이(110)를 더 구비할 수 있고, 하나의 제1그릇(200)과 인접하는 3개의 제2그릇(300)을 일체로 연결하여 하나의 트레이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식판베이스(100)의 수용공간(101) 중 반원 지름의 중심점에는 수용공간(101)을 1/2로 분할하는 격벽(105)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격벽(105)에 의해 1/2로 분할된 수용공간(101)에는 해당 공간에 배치된 제1그릇(200) 및 제2그릇(300)들이 서로 일체로 연결되어 하나의 트레이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격벽(105)의 상면에는 상기 격벽(105)의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수저홈(106)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사용할 수저를 안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식판베이스(100)의 외측면 중 제1그릇(200) 및 제2그릇(300)들의 배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 개의 촉각표시부(120)가 일정한 간격으로 두고 형성되어, 상기 제1그릇(200) 및 제2그릇(300)들에 수용된 밥, 국, 반찬들의 명칭이 점자로 표시된 촉각표지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촉각표시부(120)의 장착 수단은 자력을 이용하거나, 벨크로, 접착면 등 일회성으로 장착하는 것이 아니라, 반복 장착할 수 있는 수단이 어느 수단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식판베이스(100)의 일측에는 상기 제1그릇(200)과 제2그릇(300)에 수용된 밥, 국, 반찬 등의 식단 정보가 기록된 웹페이지 주소를 안내하는 QR코드게시부(107)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해당 식단 정보를 음성으로 안내 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QR코드게시부(107) 역시, 상기 촉각표시부(120)와 같이 반복 사용 가능한 장착 수단으로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섭생 교육용 식판은 식판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를 중심으로 밥, 국, 반찬 등의 음식 위치가 각도를 통해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고, 음식의 위치가 각도를 통해 사용자 팔의 활동반경 내에서 인지되므로, 비장애인과 마찬가지로 정상적인 식사가 가능하며, 밥, 국, 반찬 등의 음식이 담기는 제1그릇 및 제2그릇을 식판베이스에 각각 안착 가능하도록 하여, 미리 음식이 담긴 제1그릇 및 제2그릇을 식판베이스의 수용공간 내에 배치하는 것으로, 배식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음식에 대한 정보가 담긴 촉각표지(점자표지)가 식판베이스의 외측면에 장착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굳이 손으로 그릇 확인할 필요 없이 식판을 감싸는 것으로 그릇의 위치 및 내용물이 확인되어, 식생활에 대한 장벽을 낮춘 조화로운 사회 구현에 현실적으로 기여할 수 있고, 사회적 약자(소아, 어린이, 장애인, 노약자 등)에 맞는 주체적인 식판 사용으로 건강하고 긍정적인 생활을 추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식판베이스
101: 수용공간
102: 틀플랜지
103: 오목부
104: 미끄럼방지부재
105: 격벽
106: 수저홈
107: QR코드게시부
200: 제1그릇
300: 제2그릇
110: 그룹트레이
120: 촉각표시부

Claims (8)

  1. 사용자를 중심으로 사용자 팔의 활동반경에 상응하도록 전체적인 형상이 반원 형태를 이루고, 내부에는 상측이 개구된 반원 형태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공간의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외주방향으로 틀플랜지를 연장 형성한 식판베이스;
    상기 식판베이스의 수용공간 중 반원 지름의 중심에 인접하여 구비되고, 개구된 상부를 통해 밥과 국을 각각 담아 수용하는 한 쌍의 제1그릇; 및
    상기 식판베이스의 수용공간 중 반원 형태인 수용공간의 호를 따라 구비되고, 개구된 상부를 통해 반찬을 각각 담아 수용하는 복수 개의 제2그릇;을 포함하고,
    상기 제1그릇 및 제2그릇의 내부바닥면은 반원 지름의 중심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하며, 상기 틀플랜지 중 반원의 지름에 해당하는 부분은 사용자의 몸체와 수용공간이 서로 근접하도록 굴곡진 오목부를 형성하는 섭생 교육용 식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그릇은
    중심각이 90°인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한 섭생 교육용 식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2그릇은
    중심각이 30°인 원호형상으로 형성한 섭생 교육용 식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판베이스의 수용공간 중 반원 지름의 중심점에는 수용공간을 1/2로 분할하는 격벽을 형성하는 섭생 교육용 식판.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 의해 1/2로 분할된 수용공간에는 해당 공간에 배치된 제1그릇 및 제2그릇들이 서로 일체로 연결되어 하나의 트레이를 이루는 섭생 교육용 식판.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그 상면에는 수저를 안착하도록 상기 격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수저홈을 형성한 섭생 교육용 식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판베이스의 그 저면에는 복수 개의 미끄럼방지부재를 구비하는 섭생 교육용 식판.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판베이스의 외측면 중 제1그릇 및 제2그릇들의 배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하여, 상기 제1그릇 및 제2그릇들에 담긴 밥, 국, 반찬들의 명칭이 점자로 표시된 촉각표지가 장착되는 복수 개의 촉각표시부를 포함하는 섭생 교육용 식판.
KR1020190120752A 2019-09-30 2019-09-30 시각 장애인용 식판 KR202100380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752A KR20210038073A (ko) 2019-09-30 2019-09-30 시각 장애인용 식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752A KR20210038073A (ko) 2019-09-30 2019-09-30 시각 장애인용 식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8073A true KR20210038073A (ko) 2021-04-07

Family

ID=75469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0752A KR20210038073A (ko) 2019-09-30 2019-09-30 시각 장애인용 식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807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5460A (ko) * 2021-10-18 2023-04-26 제주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장애 아동용 조립식 식판
KR20240125272A (ko) * 2023-02-10 2024-08-19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빔밥용 식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5460A (ko) * 2021-10-18 2023-04-26 제주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장애 아동용 조립식 식판
KR20240125272A (ko) * 2023-02-10 2024-08-19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빔밥용 식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l Care and its values. Good food in the nursing home
Collings Eves A recipe for remembrance: Memory and identity in African-American women's cookbooks
KR20210038073A (ko) 시각 장애인용 식판
US20060029698A1 (en) Food template
Finley Nutritional needs of the person with Alzheimer's disease: Practical approaches to quality care
Vu et al. Fish sauce to French fries: Changing foodways of the Vietnamese diaspora in Orange County, California
Baron Illnesses and creativity: Byron's appetites, James Joyce's gut, and Melba's meals and mésalliances
KR102551013B1 (ko) 장애 아동용 조립식 식판
CN212729082U (zh) 可固定餐具的餐盒结构
Jou The progressive era body project: calorie-counting and “disciplining the stomach” in 1920s America
JP5862855B2 (ja) 栄養バランス食提供用食器セット
Irvine Eating in silence in an English Benedictine monastery
JP3182558U (ja) ランチョンマット
Krăsteva-Blagoeva Tasting the Balkans: food and identity
HELLEN “Doing Lunch”: A Proposal for a Functional Well-Being Assessment
Snellman Cookbooks for Upstairs: Ethnicity, Class, and Gender in Perspective
CN200987590Y (zh) 火锅锅具
Ruidant-Hansen Ethical Embodied Experience: Belonging through Tex-Mex Vegan Food
JP2015149050A (ja) 食品の摂取カロリー量管理器具及びこれを用いた食品の摂取カロリー量管理方法
AN Benedictine communities are shaped by a timetable of shared prayer, work, and eating. This chapter explores the role of meals within that timetable and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food and monas-tic life in Downside Abbey, a contemporary Catholic English Benedictine monastery.
Morkam The human factor in school dinners
Watson San Jose Mercury News
Dunne Meaningful mealtimes: how to positively influence nutrition
KR200349770Y1 (ko) 생선의 종류별 명칭과 형상이 새겨진 회전용 접시
HILL November-Dec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