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5394A - 문 안내 장치 - Google Patents

문 안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5394A
KR20230055394A KR1020237001360A KR20237001360A KR20230055394A KR 20230055394 A KR20230055394 A KR 20230055394A KR 1020237001360 A KR1020237001360 A KR 1020237001360A KR 20237001360 A KR20237001360 A KR 20237001360A KR 20230055394 A KR20230055394 A KR 20230055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door
slider
vertical frame
guid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1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이치 츠카모토
Original Assignee
스가쓰네 고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가쓰네 고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가쓰네 고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55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53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50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5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 E05D15/5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with both swinging and sliding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63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50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 E06B3/5045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specially adapted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2Adjustable by manual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 E05Y2900/212Doors disappearing in pockets in the furniture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밀어넣기식 문의 안내 장치 (5) 는, 전후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고, 상하로 떨어져 수납 본체 (1) 의 측벽 (1b) 의 내면에 고정된 복수의 가이드 레일 (10) 과, 가이드 레일 (10) 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복수의 슬라이더 (20) 와,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하의 슬라이더에 연결된 연동 프레임 (30) (수직 프레임) 과, 슬라이더 (20) 또는 연동 프레임 (30) 에 형성되고, 문 (2) 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 기구 (50) 를 구비하고 있다. 턴버클 (60) (서포트 부재) 의 일단이 슬라이더 (20) 에 연결되고, 타단이 연동 프레임 (30) 에 연결되어 있다. 자중에 의해 앞쪽으로 기운 문 (2) 의 자세를, 턴버클 (60) 에 의해, 직립 자세로 교정한다.

Description

문 안내 장치
본 발명은, 밀어넣기식 문의 안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구 등에 있어서, 문을, 열림 위치로부터 케이싱의 측벽을 따라 안쪽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케이싱에 수납하는 구성은 공지되어 있다. 이 밀어넣기식 문을 안내하는 장치는, 후술하는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케이싱의 측벽의 내면에 고정되고 전후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상하의 가이드 레일과, 이들 가이드 레일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슬라이더와,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하의 슬라이더에 연결된 연동 프레임과, 이 연동 프레임에 형성되고 문을 회동 (回動)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하의 힌지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1 의 문 안내 장치는, 문의 회동 축선을 수직으로 하여 문을 직립 자세로 유지하기 위해, 전후 2 개의 수직 레일과 링크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전측의 수직 레일은 연동 프레임에 고정되고, 후측의 수직 레일은 케이싱의 안쪽에 있어서 케이싱의 측벽 내면에 고정되어 있다. 링크 기구는 예를 들어 제 1, 제 2 의 2 개의 링크의 중앙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X 형상을 이루고 있다. 2 개의 링크의 후단은 롤러를 통하여 후측의 수직 레일에 주행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 1 링크의 전단은 전측의 수직 레일에 주행 불능 또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제 2 링크의 전단은 롤러를 통하여 전측의 수직 레일에 주행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문을 열림 위치로부터 밀어 넣으면, 상하의 슬라이더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하면서, 연동 프레임이 케이싱의 안쪽으로 이동한다. 이 과정에서 링크 기구가 접혀진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58040호
특허문헌 1 의 문 안내 장치에서는, 2 개의 수직 레일과 링크 기구를 구비하기 때문에, 대형이고 고비용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은, 수납 본체의 개구를 개폐하는 문을,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동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열림 위치로부터 상기 수납 본체의 측벽을 따라 안쪽으로 안내하는 문 안내 장치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고, 상하로 떨어져 상기 수납 본체의 상기 측벽에 고정된 복수의 가이드 레일과, 상기 복수의 가이드 레일에, 각각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복수의 슬라이더와, 상기 복수의 슬라이더에 연결된 수직 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더 또는 수직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문을, 상기 회동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 중 적어도 1 개와 상기 수직 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수직 프레임 사이의 각도를, 상기 회동 축선이 수직이 되는 각도로 유지하기 위한 서포트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수직 프레임과 슬라이더 사이에 형성된 서포트 수단에 의해 문을 직립 자세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 대형의 링크 기구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포트 수단은, 상기 회동 축선을 수직으로 하여 상기 문을 직립 자세로 교정하기 위해,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수직 프레임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 수단을 갖는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문 안내 장치를 통하여 문을 수납 본체에 설치한 후에, 조절 수단에 의해 문을 직립 자세로 교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포트 수단이, 적어도 1 개의 서포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 수단은, 상기 적어도 1 개의 서포트 부재와 상기 슬라이더 또는 수직 프레임의 연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연결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비교적 간단하게 문의 자세를 교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절 수단이, 상기 슬라이더 또는 상기 수직 프레임에 형성된 장공과, 상기 적어도 1 개의 서포트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장공을 통과하는 걸어맞춤 축부를 갖고, 상기 장공의 가장자리에 복수의 걸어맞춤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어맞춤 축부가 상기 복수의 걸어맞춤 오목부 중 어느 것에 선택적으로 걸어 맞춰진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연결 위치의 조절을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1 개의 서포트 부재가 단일의 서포트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서포트 부재가, 제 1 단부를 통하여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되고 제 2 단부를 통하여 상기 수직 프레임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서포트 수단의 구성을 보다 한층 간략화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포트 부재의 상기 제 1 단부와 상기 제 2 단부를 연결하는 선이 경사져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문의 직립 자세를 보다 한층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일 형태에서는, 상기 서포트 부재의 상기 제 1 단부가, 상기 수직 프레임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슬라이더와 수직 프레임의 연결 지점과, 서포트 부재와 슬라이더의 연결 지점의 간격을 길게 할 수 있으므로, 문이 무거워도 서포트 부재에 의해 문의 직립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다른 형태에서는, 상기 서포트 부재가 상기 수직 프레임에 중첩되어 있고, 상기 제 1 단부가, 상기 수직 프레임에 구속되지 않고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슬라이더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문을 수납 본체에 밀어 넣은 상태에서, 수납 본체로부터의 문의 돌출량을 작게 할 수 있다.
서포트 수단은 다음의 양태를 채용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적어도 1 개의 서포트 부재가 제 1 서포트 부재와 제 2 서포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서포트 부재가 상기 수직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수직 프레임이 제 1 연결점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1 서포트 부재가 상기 제 1 연결점으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떨어진 제 2 연결점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2 서포트 부재의 일단부가 상기 제 2 연결점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떨어진 제 3 연결점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포트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조절 수단이, 상기 수직 프레임에 형성된 상기 장공과, 상기 제 2 서포트 부재의 타단부에 형성된 상기 걸어맞춤 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어맞춤 축부가 상기 제 2 서포트 부재와 상기 수직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 4 연결점으로서 제공된다.
상기 서포트 수단의 일 형태에서는, 상기 제 1 서포트 부재와 상기 제 2 서포트 부재가 상기 수직 프레임에 중첩되어 있다. 다른 형태에서는, 상기 제 1 서포트 부재가 상기 수직 프레임으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되고, 상기 제 2 서포트 부재가 상기 제 1 서포트 부재와 상기 수직 프레임 사이에 걸쳐 놓여져 있다.
또 다른 형태에서는, 상기 서포트 수단이, 제 1 단부를 통하여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되고 제 2 단부를 통하여 상기 수직 프레임에 연결되는 서포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 수단이 상기 서포트 부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서포트 부재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문의 자세를 교정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포트 부재가 턴버클로 이루어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간단한 조작으로 문의 자세를 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수납 본체의 개구를 개폐하는 문을,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동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열림 위치로부터 상기 수납 본체의 측벽을 따라 안쪽으로 안내하는 문 안내 장치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고, 상기 수납 본체의 상기 측벽에 고정된 적어도 1 개의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적어도 1 개의 가이드 레일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된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문을, 상기 회동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수직 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수직 프레임 사이의 각도를, 상기 회동 축선이 수직이 되는 각도로 유지하기 위한 서포트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문 안내 장치는, 문을 안정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고, 게다가 구성이 소형이고 저비용이다.
도 1A 는, 본원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문 안내 장치를 장비한 가구의 사시도로서, 문이 90°의 열림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1B 는, 상기 문이 케이싱 내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1A 상당도이다.
도 2 는, 상기 문 안내 장치의 측면도로서, 케이싱의 칸막이벽을 생략하여 나타낸다.
도 3 은, 상기 문 안내 장치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 는, 상기 문 안내 장치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문 안내 장치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 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서포트 부재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도 5 상당도이다.
도 7 은, 제 2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연결 브래킷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문 안내 장치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 는, 동 문 안내 장치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문 안내 장치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문 안내 장치를 장비한 가구의 정면도로서, 문이 90°의 열림 위치로부터 케이싱을 향하여 밀어 넣어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 는, 동 가구의 사시도로서, 앞쪽으로 기운 자세의 문이 90°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도 13 은, 동 문 안내 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 는, 동 문 안내 장치의 좌측면도로서, 문이 90°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도 15 는, 도 14 의 주요부 확대 측면도이다.
도 16 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문 안내 장치를, 분해한 상태에서, 가구와 함께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 은, 동 문 안내 장치를 가구의 내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8 은, 동 문 안내 장치의 주요부의 확대 측면도이다.
<제 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도 1 ∼ 도 4 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가구는, 케이싱 (1) (수납 본체) 과, 밀어넣기식의 문 (2) 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 케이싱 (1) 의 개구 (1a) 측을 전측이라고 하고, 케이싱 (1) 의 안쪽을 후측이라고 한다. 케이싱 (1) 에는, 예를 들어 우측의 측벽 (1b) 과 평행하게 칸막이벽 (1c) 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우측벽 (1b) 과 칸막이벽 (1c) 사이에 문 수납 공간 (1d) 이 형성되어 있다. 문 수납 공간 (1d) 의 입구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문 (2) 을 밀어 넣고, 끄집어낼 때에 문 (2) 의 측면을 안내하는 롤러 (3) 가 측벽 (1b) 의 내면으로부터 이간되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칸막이벽 (1c) 은 생략할 수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문 안내 장치 (5) 는, 케이싱 (1) 의 측벽 (1b) 의 내면에 고정된 2 개 (복수) 의 가이드 레일 (10) 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가이드 레일 (10) 은, 전후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됨과 함께 서로 상하로 이간되어 있다. 각 가이드 레일 (10) 에는, 슬라이더 (20) 가 가이드 레일 (10) 의 길이 방향 (전후 방향) 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더 (20) 는 볼 리테이너 (25) 를 개재하여 가이드 레일 (10) 에 지지되어 있지만, 볼 리테이너 (25) 를 개재하지 않고 직접 가이드 레일 (10) 에 지지되어 있어도 된다.
문 안내 장치 (5) 는, 상하의 슬라이더 (20) 를 연동시키기 위한 단면 L 자형의 연동 프레임 (30) (수직 프레임) 을 구비하고 있다. 연동 프레임 (30) 은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고, 그 상하 단부가 각각 상하의 슬라이더 (20) 의 후부에 연결되어 있다. 상세히 서술하면,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의 슬라이더 (20) 의 후부에는 2 개의 나사공 (21) 이 전후로 이간되어 형성되어 있고, 연동 프레임 (30) 의 하단부에는, 2 개의 환 (丸) 공 (31) 이 전후로 이간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들 환공 (31) 을 관통하는 나사 (35) 를 슬라이더 (20) 의 나사공 (21) 에 나사 삽입함으로써, 연동 프레임 (30) 의 하단부가 하측의 슬라이더 (20) 의 후부에 연결되어 있다. 연동 프레임 (30) 의 상단부도 동일하게 하여 상측의 슬라이더 (20) 의 후부에 연결되어 있다.
상하의 슬라이더 (20) 는, 그 전부 (前部) 에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연결 브래킷 (40, 40') 을 갖고 있다. 상세히 서술하면,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의 슬라이더 (20) 의 본체부의 전부에는, 2 개의 나사공 (22) 이 전후로 이간되어 형성되어 있다. 하측의 연결 브래킷 (40) 은 사다리꼴을 이루고, 그 중간 높이에 전후로 이간된 2 개의 환공 (41) 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환공 (41) 을 관통하는 나사 (45) 를 슬라이더 (20) 의 나사공 (22) 에 나사 삽입함으로써, 연결 브래킷 (40) 이 슬라이더 (20) 의 본체부의 전부에 고정되어 있다. 이 연결 브래킷 (40) 은, 슬라이더 (20) 의 일부로서 제공된다. 상측의 연결 브래킷 (40') 은 직사각형을 이루고,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상측의 슬라이더 (20) 의 전부에 고정되어 있다.
상하의 연결 브래킷 (40, 40') 의 각각에는, 힌지 기구 (50) 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힌지 기구 (50) 는, 연결 브래킷 (40, 40') 에 고정된 케이싱측 힌지 본체 (51) 와, 문 (2) 의 우측 가장자리 근방의 내면에 고정된 문측 힌지 본체 (52) 와, 이들 힌지 본체 (51, 52) 를 연결하는 복수의 링크 (53) 를 갖고 있다. 힌지 기구 (50) 는, 문 (2) 을, 수직으로 연장되는 4 개의 회동 축선 (도 3 에 있어서 개략적으로 1 개의 회동 축선 (L) 으로서 나타낸다) 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이들 회동 축선은 문 (2) 의 개폐에 수반하여 이동한다.
도 2,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문 안내 장치 (5) 는, 그 하부에 턴버클 (60) (서포트 부재 ; 서포트 수단) 을 구비하고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턴버클 (60) 은, 통 형상의 조작통 (61) 과, 이 조작통 (61) 에 나사 결합되어 일직선 상으로 연장되는 2 개의 나사 로드 (62, 63) 를 갖고 있다. 조작통 (61) 의 양 단부 내주에는 서로 역나사를 이루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암나사에 나사 로드 (62, 63) 의 수나사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이들 나사 로드 (62, 63) 의 수나사와 조작통 (61) 에 의해, 턴버클 (60) 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수단 (60A) 이 구성되어 있다. 나사 로드 (62, 63) 는 그 외단에, 링부 (62a, 63a) 를 갖고 있다. 조작통 (61) 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턴버클 (60) 이 신장되어 링부 (62a, 63a) 가 멀어지고,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턴버클 (60) 이 수축되어 링부 (62a, 63a) 가 가까워진다.
턴버클 (60) 의 일단의 링부 (62a) 는, 하측의 연결 브래킷 (40) 의 상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세히 서술하면, 링부 (62a) 내에는 칼라 (65) 가 수용되고, 링부 (63a) 의 양측에는 와셔 (66) 와 스페이서 (67) 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칼라 (65), 와셔 (66), 스페이서 (67) 를 관통하는 나사 (68) 를, 연결 브래킷 (40) 의 상단부에 형성된 환공 (42) 에 통과시키고, 이 나사 (68) 와 연결 브래킷 (40) 의 이측에 배치된 너트 (69) 로 단단히 조임으로써, 링부 (62a) 가 연결 브래킷 (40) 의 상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 3 에 있어서, 이 연결부 (제 1 연결부 ; 제 1 단부) 에 부호 P1 을 붙인다.
턴버클 (60) 의 타단의 링부 (63a) 는, 하측의 슬라이더 (20) 보다 소정 거리 상방에 있어서 연동 프레임 (30) 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세히 서술하면, 링부 (63a) 는, 링부 (62a) 와 동일하게, 칼라 (65), 와셔 (66), 스페이서 (67) 를 관통하는 나사 (68) 를, 연동 프레임 (30) 에 형성된 환공 (32) 에 통과시키고, 이 나사 (68) 와 연동 프레임 (30) 의 이측에 배치된 너트 (69) 로 단단히 조임으로써, 연동 프레임 (30) 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 3 에 있어서, 이 연결부 (제 2 연결부 ; 제 2 단부) 에 부호 P2 를 붙인다.
상기 구성을 이루는 문 안내 장치 (5) 의 작용을 설명한다. 문 (2) 이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상하의 슬라이더 (20) 및 힌지 기구 (50) 는 케이싱 (1) 의 개구 (1a)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문 (2) 을 90°회동시킴으로써 문 (2) 은 도 1A 의 열림 위치에 이른다. 또한 이 열림 위치로부터 문 (2) 을 밀어 넣으면, 문 안내 장치 (5) 의 상하의 힌지 기구 (50) 와 상하의 슬라이더 (20) 와 연동 프레임 (30) 이 일체가 되어 안쪽으로 이동하고, 문 (2) 을 도 1B 에 나타내는 수납 위치까지 안내한다. 그 결과, 문 수납 공간 (1d) 에 문 (2) 의 대부분이 수납된다.
케이싱 (1) 의 개구 (1a) 를 닫는 경우에는, 문 안내 장치 (5) 의 안내에 의해 문 (2) 을 끄집어내어 도 1A 의 90°열림 위치로 되돌리고, 또한 문 (2) 을 닫힘 위치까지 회동시킨다.
문 안내 장치 (5) 는, 회동 축선 (L) 을 수직으로 하고, 문 (2) 을 직립 자세로 회동 축선 (L) 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가이드 레일 (10) 과 슬라이더 (20) 사이의 유격이나, 슬라이더 (20) 와 연동 프레임 (30) 의 연결부에 있어서의 나사 (35) 와 환공 (31) 사이의 유격 등에 의해, 문 (2) 은 도 2, 도 3 에 상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중에 의해 앞쪽으로 기운 자세가 되어, 회동 축선 (L) 이 수직으로 유지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개폐 기능에 지장을 초래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턴버클 (60) 의 조절에 의해, 문 (2) 의 앞쪽으로 기운 자세를 직립 자세로 교정하여, 회동 축선 (L) 을 수직으로 할 수 있다. 이하, 상세히 서술한다.
턴버클 (60) 은, 예를 들어 설계상 슬라이더 (20) 와 연동 프레임 (30) 이 직각을 이루는 길이로 설정하고, 그 양단을 전술한 바와 같이 연동 프레임 (30) 과 연결 브래킷 (40) 에 연결해 둔다. 상하의 슬라이더 (20) 와 연동 프레임 (30) 을 연결하는 나사 (35) 는 헐겁게 해 둔다. 이 상태에서, 문 (2) 은 자중에 의해 앞쪽으로 기운 자세가 되어 (도 2, 도 3 에 있어서 상상선으로 나타낸다), 회동 축선 (L) 은 기울어져 있다. 이 문 (2) 의 자세를, 턴버클 (60) 의 조작통 (61) 을 회전시켜 턴버클 (60) 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교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턴버클 (60) 을 신장시킴으로써, 슬라이더 (20) 와 연동 프레임 (30) 사이의 각도 (Θ) (도 3 참조) 를 조절하여, 도 2, 도 3 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문 (2) 을 직립 자세로 교정하여 (도 2, 도 3 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낸다), 회동 축선 (L) 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되돌린다.
상기와 같이, 턴버클 (60) 의 조작통 (61) 을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문 (2) 의 자세 교정을 실시할 수 있다. 이 교정 작업이 완료되었으면, 나사 (35) 를 조인다. 또한, 나사 (45) 와 환공 (41) 사이에 유격이 있는 경우에는, 턴버클 (60) 에 의한 교정 작업에 앞서 나사 (45) 도 헐겁게 해 두고, 교정 작업 완료 후에 조인다.
상기 문 (2) 의 자세 교정 후, 슬라이더 (20) 와 연동 프레임 (30) 사이의 각도 (Θ) 는, 턴버클 (60) 에 의해, 회동 축선 (L) 이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어 문 (2) 이 직립 자세가 되는 각도로 유지된다. 그 때문에, 문 (2) 을 장기에 걸쳐서 안정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턴버클 (60) 을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문 안내 장치와 같은 복잡하고 또한 대형인 링크 기구를 생략할 수 있고, 상기 자세 교정 작업도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턴버클 (60) 의 연결부 (P1, P2) 를 전후 방향으로 충분히 이간시킬 수 있으므로, 턴버클 (60) 의 경사 각도를 크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문 (2) 의 중량이 커도, 상기 각도 유지 기능을 확실하게 다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들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구성부에는 동 번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 ∼ 도 7 에 나타내는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의 턴버클 (60) 대신에, 1 개의 강체 예를 들어 가늘고 긴 판으로 이루어지는 서포트 부재 (70) (서포트 수단) 가 사용된다. 서포트 부재 (70) 는, 일단이 연결 브래킷 (40) 의 상단부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연결되고, 타단이 연동 프레임 (30) 에,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와셔 (66), 스페이서 (67), 나사 (68) (체결구), 너트 (69) (도 4 참조) 를 사용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서포트 부재 (70) 의 양 단부에는 환공 (도시하지 않음) 이 형성되어 있고, 각각 나사 (68) 가 관통하고 있다. 도 6,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브래킷 (40) 의 상단부에는, 제 1 실시형태의 환공 (42) 대신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 (43) 이 형성되어 있고, 이 장공 (43) 에 나사 (68) 의 축부 (68a) (걸어맞춤 축부) 가 통과하고 있다. 이 장공 (43) 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복수 예를 들어 4 개의 걸어맞춤 오목부 (43a) 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자세 교정 전에, 상하의 슬라이더 (20) 와 연동 프레임 (30) 을 연결하는 나사 (35) 를 헐겁게 해 둔다. 자세 교정시에는, 문 (2) 을 잡고 문 (2) 의 회전 축선을 수직으로 하여 문 (2) 을 직립 자세로 한다. 이 자세에 있어서, 연결부 (P1) 의 나사 (68) 의 축부 (68a) 를, 4 개의 걸어맞춤 오목부 (43a) 중 1 개에 선택적으로 걸어 맞춘다. 이와 같이 하여, 슬라이더 (20) 와 연동 프레임 (30)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고, 서포트 부재 (70) 에 의해 이 조절된 각도를 유지한다. 교정 작업 완료 후에 나사 (35) 를 조인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 오목부 (43a) 를 갖는 장공 (43) 과 나사 (68) 의 축부 (68a) 에 의해, 문 (2) 의 자세를 교정하기 위한 조절 수단 (70A) 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1 개의 강체에 의해 서포트 부재 (70) 를 구성하므로, 서포트 부재 (70) 를 더욱 간략화할 수 있고,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다른 작용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서포트 부재 (70) 의 일단을 연결 브래킷 (40) 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연결부 (P2) 에 상기와 동일한 조절 수단을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연동 프레임 (30) 에 장공이 형성되고, 이 장공의 상측 가장자리에 복수의 걸어맞춤 오목부가 형성된다.
<제 3 실시형태>
도 8, 도 9 에 나타내는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턴버클 (60) 이 사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하의 슬라이더 (20) 의 전후 방향의 길이가 제 1 실시형태보다 짧다.
연동 프레임 (30) 은 제 1 실시형태보다 약간 폭이 넓고, 슬라이더 (20) 의 대략 전체 길이를 덮도록 하여 상하의 슬라이더 (20) 에 연결되어 있다. 연동 프레임 (30) 은, 하측의 슬라이더 (20) 에 대한 연결부로부터 더욱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돌출 단부에 하측의 힌지 기구 (50) 의 케이싱측 힌지 본체 (51) 가 연결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연동 프레임 (30) 은 상측의 슬라이더 (20) 에 대한 연결부로부터 더욱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 돌출 단부에 상측의 힌지 기구 (50) 의 케이싱측 힌지 본체 (51) 가 연결되어 있다.
연동 프레임 (30) 에는, 하측의 슬라이더 (20) 의 반대측에 있어서 턴버클 (60) (서포트 부재) 과 연결 브래킷 (80) 이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연결 브래킷 (80) 의 하부 중앙에는 큰 직경의 환공으로 이루어지는 릴리프공 (81) 이 형성되고, 그 양측에는 환공 (82) 이 형성되어 있다.
연동 프레임 (30) 에는, 연결 브래킷 (80) 의 릴리프공 (81) 에 대응한 위치에 1 개의 환공 (31) 이 형성되어 있고, 연결 브래킷 (80) 의 환공 (82) 에 대응한 위치에 세로로 긴 장공으로 이루어지는 릴리프공 (33) 이 형성되어 있다.
1 개의 나사 (35) 를 연결 브래킷 (80) 의 릴리프공 (81) 과 연동 프레임 (30) 의 환공 (31) 에 통과시켜, 슬라이더 (20) 의 나사공 (21) 에 나사 삽입함으로써, 연동 프레임 (30) 과 슬라이더 (20) 가 1 점에 있어서 연결되어 있다.
2 개의 나사 (85) (체결구) 를, 연결 브래킷 (80) 의 환공 (82) 과 연동 프레임 (30) 의 릴리프공 (33) 에 통과시켜, 슬라이더 (20) 에 형성된 나사공 (26) 에 나사 삽입함으로써, 연결 브래킷 (80) 이 연동 프레임 (30) 을 개재하여 슬라이더 (20) 에 고정된다. 이 연결 브래킷 (80) 은 슬라이더 (20) 의 일부로서 제공된다. 연동 프레임 (30) 과 슬라이더 (20) 는, 상기 나사 (35) 를 중심으로 하여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다 (요컨대 각도 조절 가능하다).
또한, 보조 나사 (86) 가 연동 프레임 (30) 의 장공 (34) 을 통과하여 슬라이더 (20) 의 나사공 (27) 에 나사 삽입되어 있다. 이 보조 나사 (86) 는, 연동 프레임 (30) 과 슬라이더 (20) 사이의 각도 조절의 지장이 되지 않는다.
턴버클 (60) 의 링부 (63a) 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하여 연동 프레임 (30) 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턴버클 (60) 의 링부 (62a) 는, 칼라 (65) 와 와셔 (66) 를 통과하는 나사 (68) 를 연결 브래킷 (80) 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공 (83) 에 나사 삽입함으로써, 연결 브래킷 (80) 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상측의 가이드 레일에 지지된 슬라이더 (20) 와 연동 프레임 (30) 도 동일하게 연결되지만, 턴버클은 생략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턴버클 (60) 의 길이 조절에 의한 문 (2) 의 자세 교정 작업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자세 교정 작업에 앞서, 나사 (35, 85, 86) 를 헐겁게 해 두고, 자세 교정 작업의 완료 후에 조인다. 턴버클 (60) 에 의한 자세 교정 작업에서는, 슬라이더 (20) 와 연동 프레임 (30) 의 각도는, 1 개의 나사 (35) 를 중심으로 하는 상대 회동에 의해 조절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결 브래킷 (80) 을 연동 프레임 (30) 에 중첩시켜 배치함으로써, 슬라이더 (20) 의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어, 문 (2) 을 제 1 실시형태보다 더욱 케이싱 (1) 의 안쪽에 수납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도 10 에 나타내는 제 4 실시형태의 문 안내 장치에서는, 턴버클 (60) (서포트 부재) 이 수직을 이루고 있다. 턴버클 (60) 이 배치되는 직선에 대하여, 나사 (35) (즉 슬라이더 (20) 와 연동 프레임 (30) 사이의 각도 조절의 회동 중심) 는 벗어난 위치에 있다. 다른 구성은 제 3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동 번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 5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11 ∼ 도 15 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문 안내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 도 14, 도 15 에서는, 문 (2) 이 자세 교정되기 전의 앞쪽으로 기운 자세의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문 (2) 을 열림 위치로부터 케이싱 (1) 의 측벽 (1b) 의 외면을 따라 밀어 넣도록 구성되어 있고, 전후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복수 예를 들어 상하 2 개의 가이드 레일 (10) 이, 케이싱 (1) 의 측벽 (1b) 의 외면에 고정되어 있다. 문 (2) 은, 제 3, 제 4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연동 프레임 (30) 에 형성된 복수의 힌지 기구 (50) 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의 슬라이더 (20) 와 연동 프레임 (30) 사이에는 연동 프레임 (30) 과 중첩되도록 하여 연결 브래킷 (90) 이 배치되어 있다. 이 연결 브래킷 (90) 은 크랭크 형상을 갖고 있고, 가이드 레일 (10) 을 따른 수직 편부 (91) 와, 연동 프레임 (30) 을 따른 수직 편부 (92) 와 양자를 연결하는 중간의 수평 편부 (93) 를 갖고 있다. 수직 편부 (91) 에 형성된 4 개의 환공 (91a) 을 통과하는 나사 (95) 를 슬라이더 (20) 의 나사공에 나사 삽입함으로써, 연결 브래킷 (90) 이 슬라이더 (20) 에 고정되어 있다. 연결 브래킷 (90) 은 슬라이더 (20) 의 일부로서 제공된다. 이들 나사 (95) 는, 연동 프레임 (30) 의 상하단 근방에 형성된 대직경의 작업공 (36) 을 통하여 나사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상하의 연결 브래킷 (90) 의 수직 편부 (92) 의 전단부에는 환공 (92a) 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환공 (92a) 을 통과하는 나사 (101) 를 연동 프레임 (30) 의 상하의 나사공 (37) 에 각각 나사 삽입함으로써, 연동 프레임 (30) 이 상하의 연결 브래킷 (90) 에 1 점에서 연결되어 있다. 이 나사 (101) 는, 연동 프레임 (30) 과 상하의 슬라이더 (20) 사이의 각도를 조절할 때의 상대 회동의 중심이 된다.
도 13 ∼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문 안내 장치는, 연동 프레임 (30) 의 외측 (측벽 (1b) 의 반대측) 에 배치된 서포트 기구 (100) (서포트 수단) 를 구비하고 있다. 이 서포트 기구 (100) 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 1 서포트 부재 (110) 와, 경사진 제 2 서포트 부재 (120) 를 갖고 있다. 이들 서포트 부재 (110, 120) 는, 가늘고 긴 판상의 강체로 이루어지고, 연동 프레임 (30) 과 중첩되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상하의 연결 브래킷 (90) 의 수직 편부 (92) 의 후단부에 환공 (92b) 이 형성되고, 제 1 서포트 부재 (110) 의 상하 단부에 환공 (111) 이 형성되고, 연동 프레임 (30) 의 대응하는 지점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 (38) 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환공 (92b, 111), 장공 (38) 을 통과하는 나사 (103) 와 너트 (104) (도 15 에만 나타낸다) 에 의해, 상하의 연결 브래킷 (90) (상하의 슬라이더 (20)) 과 제 1 서포트 부재 (110) 의 상하 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 1 서포트 부재 (110) 에는 하단으로부터 소정 거리 상방에 환공 (112) 이 형성되어 있고, 연동 프레임 (30) 의 대응 지점에는 상하로 연장되는 장공 (38') 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환공 (112) 과 장공 (38') 을 통과하는 나사 (105) 를, 제 2 서포트 부재 (120) 의 일단에 고정된 너트 (106) 에 나사 삽입함으로써, 제 1 서포트 부재 (110) 와 제 2 서포트 부재 (120) 가 나사 (105) 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나사 (103) 가 상기 연동 프레임 (30) 의 장공 (38) 을 통과하고, 나사 (105) 가 장공 (38') 을 통과함으로써, 제 1 서포트 부재 (110) 는, 연동 프레임 (30) 에 대하여 수직 방향 (연동 프레임 (30) 의 길이 방향) 으로 변위 가능하다.
제 2 서포트 부재 (120) 의 타단에는 나사공 (121) 이 형성되어 있고, 연동 프레임 (30) 에는 이 나사공 (121) 에 대응한 지점에 장공 (39) 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장공 (39) 은 원호를 이루고 경사져 전후로 연장되어 있다. 장공 (39) 의 하측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걸어맞춤 오목부 (39a) 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 (107) 가 연동 프레임 (30) 의 장공 (39) 에 삽입 통과되어 제 2 서포트 부재 (120) 의 나사공 (121) 에 나사 삽입되어 있다. 이 나사 (107) 의 축부 (107a) (걸어맞춤 축부) 가,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장공 (39) 의 복수의 걸어맞춤 오목부 (39a) 에 선택적으로 걸어 맞춰진다. 이 축부 (107a) 와 장공 (39) 으로 조절 수단 (100A) 이 구성되어 있다.
제 1 서포트 부재 (110), 제 2 서포트 부재 (120), 연결 브래킷 (90) 및 연동 프레임 (30) 은, 도시된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링크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링크 L90 은 연결 브래킷 (90) 에 의해 구성되고, 링크 L30 은 연동 프레임 (30) 에 의해 구성되고, 링크 L110 은 제 1 서포트 부재 (110) 에 의해 구성되고, 링크 L120 은 제 2 서포트 부재 (120)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링크 L30 과 링크 L90 의 연결점 (C1) 은 나사 (101) 에 의해 구성되고, 링크 L90 과 링크 L110 의 연결점 (C2) 은 나사 (103) 에 의해 구성되고, 링크 L110 과 링크 L120 의 연결점 (C3) 은 나사 (105) 에 의해 구성되고, 링크 L30 과 링크 L120 의 연결점 (C4) 은 나사 (107)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연결점 (C1 ∼ C4) 은 링크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지만, 링크 L110 을 구성하는 제 1 서포트 부재 (110) 가 상하의 슬라이더 (20) 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나사 (107) 의 축부 (107a) 의 걸어맞춤 오목부 (39a) 에 대한 걸어맞춤 위치가 결정되면, 링크 기구는 일의적으로 위치 결정된다.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 앞쪽으로 기운 자세에 있는 문 (2) 의 자세 교정 공정에 대해 주로 도 14, 도 15 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문 (2) 을 손으로 잡고 앞쪽으로 기운 자세에서 직립 자세로 하는 (문 (2) 의 회동 축선을 수직으로 하는) 과정에서, 연동 프레임 (30) 은, 슬라이더 (20) (연결 브래킷 (90)) 에 대하여 연결점 (C1) (나사 (101)) 을 중심으로 하여 후방으로 즉 도면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이것에 수반하여 서포트 기구 (100) 의 제 1 서포트 부재 (110) 도 연동 프레임 (30) 과 동 방향으로 동 각도로 회동한다. 제 1 서포트 부재 (110) 의 회동 중심은 연결점 (C2) (나사 (103)) 에 있고, 연동 프레임 (30) 의 회동 중심인 연결점 (C1) (나사 (101)) 으로부터 떨어져 있기 때문에, 제 1 서포트 부재 (110) 는 연동 프레임 (30) 에 대하여 길이 방향 (상하 방향) 으로 변위된다.
상기 제 1 서포트 부재 (110) 의 반시계 방향의 회동에 수반하여, 제 1 서포트 부재 (110) 와 제 2 서포트 부재 (120) 의 연결점 (C3) (나사 (105)) 이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수반하여, 연결점 (C4) 즉 제 2 서포트 부재 (120) 의 타단부의 나사 (107) 의 축부 (107a) 의 걸어맞춤 위치가, 전측의 걸어맞춤 오목부 (39a) 로부터 후측의 걸어맞춤 오목부 (39a) 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하여 연동 프레임 (30) 과 슬라이더 (20) 사이의 각도가, 문 (2) 을 직립 자세로 하도록 조절된다.
상기 조절된 각도는, 제 1 서포트 부재 (110) 와 제 2 서포트 부재 (120) 에 의해 유지되고, 그 결과, 문 (2) 의 직립 자세 (문 (2) 의 회동 축선의 수직 상태) 가 유지된다.
도 16 ∼ 도 18 에 나타내는 제 6 실시형태의 문 안내 장치는, 케이싱 (1) 의 측벽 (1b) 의 내면에 고정된 4 개 (복수) 의 가이드 레일 (10) 을 구비하고 있다. 연동 프레임 (30) 은, 각 슬라이더 (20) 에 각각 3 개의 나사 (231, 232, 233) 에 의해, 직접 연결되어 있다. 연동 프레임 (30) 에는 슬라이더 (20) 의 근방에 있어서 힌지 기구 (50) 가 장착되어 있다.
연동 프레임 (30) 의 전측 가장자리에 가장 가까운 나사 (231) 는, 연동 프레임 (30) 에 형성된 환공을 통과하여 슬라이더 (20) 의 나사공 (모두 도시하지 않음) 에 나사 삽입되어 있고, 다른 나사 (232, 233) 는, 연동 프레임 (30) 에 형성된 세로로 긴 릴리프공 (242, 243) 을 통과하여, 슬라이더 (20) 의 나사공에 나사 삽입되어 있다. 연동 프레임 (30) 의 후측 가장자리 근방의 릴리프공 (243) 은, 중간 위치에 있는 릴리프공 (242) 보다 길다. 릴리프공 (242, 243) 의 길이는, 최하단에서 가장 길고, 상단을 향함에 따라서 짧아진다. 이 연결 구조에 의해, 연동 프레임 (30) 은, 각 단의 슬라이더 (20) 에 대하여 전측의 나사 (231) 를 중심으로 각도 조절 가능하다.
<제 6 실시형태>
제 6 실시형태에서는, 제 5 실시형태와 유사한 서포트 기구 (200) (서포트 수단) 가 사용된다. 이 서포트 기구 (200) 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 1 서포트 부재 (210) 와, 경사진 제 2 서포트 부재 (220) 를 갖고 있다. 이들 서포트 부재 (210, 220) 는, 가늘고 긴 판상의 강체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형태의 제 1 서포트 부재 (210) 는, 제 5 실시형태와 달리, 연동 프레임 (30) 과 중첩되지 않고, 연동 프레임 (30) 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서포트 부재 (210) 는, 각 단의 슬라이더 (20) 에 2 개의 나사 (235, 236) 에 의해 직접 연결되어 있다. 후측의 나사 (235) 는, 제 1 서포트 부재 (210) 에 형성된 환공을 통과하여 슬라이더 (20) 의 나사공 (모두 도시하지 않음) 에 나사 삽입되어 있고, 전측의 나사 (236) 는, 제 1 서포트 부재 (210) 에 형성된 세로로 긴 릴리프공 (246) 을 통과하여, 슬라이더 (20) 의 나사공에 나사 삽입되어 있다. 이 연결 구조에 의해, 연동 프레임 (30) 이 각 단의 슬라이더 (20) 에 대하여 각도 조절될 때에, 제 1 서포트 부재 (210) 는, 슬라이더 (20) 에 대하여 나사 (235) 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다.
제 1 서포트 부재 (210) 에는 하단으로부터 소정 거리 상방에 환공 (도시하지 않음) 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환공을 통과하는 핀 (250) 을, 제 2 서포트 부재 (220) 에 코킹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제 1 서포트 부재 (210) 와 제 2 서포트 부재 (220) 가 핀 (250) 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 2 서포트 부재 (220) 의 타단에는 나사공 (도시하지 않음) 이 형성되어 있고, 연동 프레임 (30) 에는 장공 (39) 이 형성되어 있다. 장공 (39) 의 하측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걸어맞춤 오목부 (39a) 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 (260) 가 연동 프레임 (30) 의 장공 (39) 에 삽입 통과되어 제 2 서포트 부재 (220) 의 나사공에 나사 삽입되어 있다. 이 나사 (260) 의 축부 (걸어맞춤 축부) 가, 장공 (39) 의 복수의 걸어맞춤 오목부 (39a) 중 1 개에 선택적으로 걸어 맞춰진다. 이 나사 (260) 의 축부와 장공 (39) 으로 조절 수단 (200A) 이 구성되어 있다.
제 1 서포트 부재 (210), 제 2 서포트 부재 (220), 슬라이더 (20) 및 연동 프레임 (30) 은, 도시된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링크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링크 L20 은 슬라이더 (20) 에 의해 구성되고, 링크 L30 은 연동 프레임 (30) 에 의해 구성되고, 링크 L210 은 제 1 서포트 부재 (210) 에 의해 구성되고, 링크 L220 은 제 2 서포트 부재 (220)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링크 L30 과 링크 L20 의 연결점 (C1) 은 나사 (231) 에 의해 구성되고, 링크 L20 과 링크 L210 의 연결점 (C2) 은 나사 (235) 에 의해 구성되고, 링크 L210 과 링크 L220 의 연결점 (C3) 은 핀 (250) 에 의해 구성되고, 링크 L30 과 링크 L220 의 연결점 (C4) 은 나사 (260)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문 (2) 의 자세 교정 공정은 제 5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자세 교정 공정에 앞서, 각 단의 슬라이더 (20) 와 연동 프레임 (30) 을 연결하는 나사 (231 ∼ 233), 및 각 단의 슬라이더 (20) 와 제 1 서포트 부재 (210) 를 연결하는 나사 (235, 236) 를 헐겁게 해 두고, 자세 교정 공정 종료 후에 단단히 조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제약되지 않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각종 변형예를 채용할 수 있다.
도 1 ∼ 도 4 에 나타내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연동 프레임 (30) 을 상하의 슬라이더 (20) 의 전부에 배치해도 된다. 이 경우, 하측의 연결 브래킷 (40) 은 슬라이더 (20) 의 후부에 배치되고, 턴버클 (60) 은 제 1 실시형태와 경사가 반대로 되기 때문에, 턴버클 (60) 의 길이를 줄임으로써 문의 자세를 교정한다. 이 구성에서는 연동 프레임 (30) 에 힌지 기구 (50) 를 형성하므로, 상측의 연결 브래킷 (40) 은 불필요하다. 제 2 실시형태도 동일한 구성을 채용 가능하다.
제 1 ∼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 서포트 수단은 문 안내 장치의 상부에 배치해도 되고, 상부와 하부의 양방에 배치해도 된다.
케이싱의 개구를 좌우의 2 장의 문으로 개폐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문 안내 장치는 2 세트 필요하다.
제 1 ∼ 제 4,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 문을 열림 위치로부터 케이싱의 측벽의 외면을 따라 밀어 넣어도 된다. 이 경우, 가이드 레일은 측벽의 외면에 고정된다. 동일하게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 문을 측벽의 내면을 따라 밀어 넣어도 된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4 개의 이동 가능한 회동 축선을 갖는 힌지 기구를 사용하였지만, 보다 구성이 간단한 1 개의 회동 축선을 갖는 힌지 기구 (이른바 1 축 힌지) 를 사용해도 된다. 이 회동 축선은 정위치에 있어서 움직이지 않는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힌지 기구를 복수 사용하였지만,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단일의 힌지 기구 (예를 들어 1 축 힌지) 를 사용해도 된다. 이 경우, 힌지 기구는 수직 프레임에 장착된다.
가이드 레일의 개수는, 문의 중량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문을 지지하기 위한 힌지 기구를 수직 프레임에 형성하는 실시형태에서는, 문이 가벼운 경우에는, 가이드 레일은 1 개여도 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술한 제 1 ∼ 제 6 실시형태의 구조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수납 본체와 문에 문 안내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문의 앞쪽으로 기운 정도가 이미 알려져 있으므로, 문을 직립 자세로 유지할 수 있는 수직 프레임과 슬라이더 사이의 각도를 미리 구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수직 프레임과 슬라이더에 이 각도를 유지할 수 있는 연결부 (예를 들어 걸어맞춤공의 위치) 를 각각 형성해 두고, 이들 연결부에 강체로 이루어지는 서포트 부재의 양 단부를 연결해도 된다. 이 경우, 조절 수단을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밀어넣기식 문의 안내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1 : 케이싱 (수납 본체)
1a : 개구
1b : 측벽
2 : 문
5 : 문 안내 장치
10 : 가이드 레일
20 : 슬라이더
30 : 연동 프레임 (수직 프레임)
39 : 장공
39a : 걸어맞춤 오목부
43 : 장공
43a : 걸어맞춤 오목부
50 : 힌지 기구
60 : 턴버클 (서포트 부재 ; 서포트 수단)
60A : 조절 수단
68a : 축부 (걸어맞춤 축부)
70 : 서포트 부재 (서포트 수단)
70A : 조절 수단
100, 200 : 서포트 기구 (서포트 수단)
100A, 200A : 조절 수단
107a : 축부 (걸어맞춤 축부)
110, 210 : 제 1 서포트 부재
120, 220 : 제 2 서포트 부재
L : 회동 축선
P1 : 제 1 연결부 (제 1 단부)
P2 : 제 2 연결부 (제 2 단부)
C1 ∼ C4 : 연결점 (제 1 ∼ 제 4 연결점)

Claims (14)

  1. 수납 본체의 개구를 개폐하는 문을,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동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열림 위치로부터 상기 수납 본체의 측벽을 따라 안쪽으로 안내하는 문 안내 장치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고, 상하로 떨어져 상기 수납 본체의 상기 측벽에 고정된 복수의 가이드 레일과,
    상기 복수의 가이드 레일에, 각각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복수의 슬라이더와,
    상기 복수의 슬라이더에 연결된 수직 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더 또는 상기 수직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문을, 상기 회동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 중 적어도 1 개와 상기 수직 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수직 프레임 사이의 각도를, 상기 회동 축선이 수직이 되는 각도로 유지하기 위한 서포트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안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수단은, 상기 회동 축선을 수직으로 하여 상기 문을 직립 자세로 교정하기 위해,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수직 프레임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안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수단이, 적어도 1 개의 서포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 수단은, 상기 적어도 1 개의 서포트 부재와 상기 슬라이더 또는 수직 프레임의 연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안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수단이, 상기 슬라이더 또는 상기 수직 프레임에 형성된 장공과, 상기 적어도 1 개의 서포트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장공을 통과하는 걸어맞춤 축부를 갖고,
    상기 장공의 가장자리에 복수의 걸어맞춤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어맞춤 축부가 상기 복수의 걸어맞춤 오목부 중 어느 것에 선택적으로 걸어 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안내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 개의 서포트 부재가 단일의 서포트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서포트 부재가, 제 1 단부를 통하여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되고 제 2 단부를 통하여 상기 수직 프레임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안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부재의 상기 제 1 단부와 상기 제 2 단부를 연결하는 선이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안내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부재의 상기 제 1 단부가, 상기 수직 프레임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안내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부재가 상기 수직 프레임에 중첩되어 있고, 상기 제 1 단부가, 상기 수직 프레임에 구속되지 않고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안내 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 개의 서포트 부재가 제 1 서포트 부재와 제 2 서포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서포트 부재가 상기 수직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수직 프레임이 제 1 연결점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1 서포트 부재가 상기 제 1 연결점으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떨어진 제 2 연결점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2 서포트 부재의 일단부가 상기 제 2 연결점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떨어진 제 3 연결점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포트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조절 수단이, 상기 수직 프레임에 형성된 상기 장공과, 상기 제 2 서포트 부재의 타단부에 형성된 상기 걸어맞춤 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어맞춤 축부가 상기 제 2 서포트 부재와 상기 수직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 4 연결점으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안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포트 부재와 상기 제 2 서포트 부재가 상기 수직 프레임에 중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안내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포트 부재가 상기 수직 프레임으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되고, 상기 제 2 서포트 부재가 상기 제 1 서포트 부재와 상기 수직 프레임 사이에 걸쳐 놓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안내 장치.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수단이, 제 1 단부를 통하여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되고 제 2 단부를 통하여 상기 수직 프레임에 연결되는 서포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 수단이 상기 서포트 부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안내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부재가 턴버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안내 장치.
  14. 수납 본체의 개구를 개폐하는 문을,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동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열림 위치로부터 상기 수납 본체의 측벽을 따라 안쪽으로 안내하는 문 안내 장치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고, 상기 수납 본체의 상기 측벽에 고정된 적어도 1 개의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적어도 1 개의 가이드 레일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된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문을, 상기 회동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수직 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수직 프레임 사이의 각도를, 상기 회동 축선이 수직이 되는 각도로 유지하기 위한 서포트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안내 장치.
KR1020237001360A 2020-08-28 2021-07-12 문 안내 장치 KR202300553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44451 2020-08-28
JP2020144451 2020-08-28
JPJP-P-2021-038888 2021-03-11
JP2021038888 2021-03-11
PCT/JP2021/026102 WO2022044577A1 (ja) 2020-08-28 2021-07-12 扉案内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5394A true KR20230055394A (ko) 2023-04-25

Family

ID=80353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1360A KR20230055394A (ko) 2020-08-28 2021-07-12 문 안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340820A1 (ko)
EP (1) EP4206432A4 (ko)
JP (1) JP7366159B2 (ko)
KR (1) KR20230055394A (ko)
WO (1) WO202204457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9478B1 (ko) * 2023-07-28 2024-04-23 황재도 침수예방용 차수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8040A (ja) 1992-07-31 1994-03-01 Kimura Shin Kk 扉押し込み収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732Y2 (ja) * 1987-12-23 1994-05-25 松下電工株式会社 扉付き収納家具
JP3579257B2 (ja) * 1998-05-29 2004-10-20 株式会社岡村製作所 収納家具における扉の収納装置
AT519514B1 (de) * 2017-01-13 2021-07-15 Blum Gmbh Julius Führungssystem zur Führung eines bewegbar gelagerten Möbelteiles
CN108086842A (zh) * 2018-01-26 2018-05-29 广东东泰五金精密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家具推拉开闭的可调节同步机构
CN110454021B (zh) * 2019-08-16 2024-03-26 广东东泰五金精密制造有限公司 一种家具用回转推拉稳定开闭结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8040A (ja) 1992-07-31 1994-03-01 Kimura Shin Kk 扉押し込み収納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9478B1 (ko) * 2023-07-28 2024-04-23 황재도 침수예방용 차수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66159B2 (ja) 2023-10-20
EP4206432A4 (en) 2024-10-02
JPWO2022044577A1 (ko) 2022-03-03
EP4206432A1 (en) 2023-07-05
WO2022044577A1 (ja) 2022-03-03
US20230340820A1 (en) 2023-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1459B2 (en) Four-bar linkage hinge
US6248172B1 (en) Method and positioning door jig for selecting coating door jig
KR20230055394A (ko) 문 안내 장치
JP7042093B2 (ja) プラグドア装置
US20190307251A1 (en) Armrest, furniture component, and chair
US20220213726A1 (en) Piece of furniture with a door held by a displacement device
JP2008285925A (ja) 四節リンク式隠し丁番と該丁番の関節位置決め方法
CN116490669A (zh) 门引导装置
KR101875449B1 (ko) 침대
WO2003010465A1 (de) Balancesystem mit rollgriff für handgeführte kameras
US6805355B2 (en) Cabin with link type door
JP7474156B2 (ja) 荷受台昇降装置
EP3124729B1 (de) Halteelement zum verstellen eines deckels eines möbels
JP5916090B2 (ja) 伸縮門扉
CN109484138A (zh) 带有翻转前窗的驾驶室及挖掘机
GB2580123A (en) Raising roof assemblies
KR102089603B1 (ko) 스텝리스 슬라이드 레일
JP2972519B2 (ja) 落下物養生装置
DE69413514T2 (de) Markisenmechanismus
EP2369111A2 (de) Zur verdeckten Anordnung vorgesehenes Ecklager
JP2591146Y2 (ja) 扉面体の開閉装置
JP4310627B2 (ja) オーバースライドドア
JP2598532Y2 (ja) 伸縮門扉の転倒防止装置
JPH1162445A (ja) はね上げ式扉
JP2017087910A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