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5340A -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히팅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히팅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5340A
KR20230055340A KR1020220040340A KR20220040340A KR20230055340A KR 20230055340 A KR20230055340 A KR 20230055340A KR 1020220040340 A KR1020220040340 A KR 1020220040340A KR 20220040340 A KR20220040340 A KR 20220040340A KR 20230055340 A KR20230055340 A KR 20230055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insulating plate
hot wire
heater
aerosol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0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수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Publication of KR20230055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53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24F40/465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induction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6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the conductor being mounted on an insulating bas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05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using a suscep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히터 열선 패턴부와 히터 센서 패턴부를 하나의 절연필름에 구성하면서도 히터 열선 패턴부의 온도 상승과 전력 효율을 향상시키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히팅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히팅 디바이스는 서셉터와, 서셉터를 둘러 감싸는 제 1 절연 플레이트와, 제 1 절연 플레이트의 전면에 형성된 히터 열선 패턴부와, 제 1 절연 플레이트의 배면에 형성된 히터 센서 패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히팅 디바이스{HEATING DEVICE FOR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히팅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히터 열선 패턴부와 히터 센서 패턴부를 하나의 절연필름에 구성하면서도 히터 열선 패턴부의 온도 상승과 전력 효율을 향상시키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히팅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에어로졸은 대기 중에 부유상태로 존재하는 액체 또는 고체의 작은 입자로 보통 0.001 ~ 1.0 ㎛의 크기를 갖는다. 특히 여러 종류의 궐련형 에어로졸 발생 물품으로부터 유래하는 에어로졸을 사람이 흡입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궐련형 통상의 담배를 선호하는 수요자들의 요구에 따라, 통상의 담배의 필터부와, 궐련부의 모양을 갖는 전자 담배도 제안되고 있는데, 이 전자 담배는 궐련부에 포함된 흡입물질을 전자히터로 기화시키면 통상의 담배와 동등한 구성을 갖는 필터부를 통해 사용자가 흡입하는 구성을 갖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에는 궐련형 에어로졸 발생 물품(10)이 삽입되는 공동(20)이 구비되며,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에 삽입된 궐련형 에어로졸 발생 물품(10)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공동(20) 외주에는 파이프 형태의 히터(30)가 구비된다. 또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에는 히터(3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40)와, 이 배터리(40)로부터 히터(3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50)를 포함한다. 상술한 종래 기술에서는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배터리(40)로부터 히터(30)에 전력을 공급하여 히터(30)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궐련형 에어로졸 발생 물품(10)이 가열되어 궐련형 에어로졸 발생 물품(10) 내의 에어로졸 발생 기질로부터 에어로졸이 발생한다.
히터(30)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경험과 직결되는 핵심 요소로서, 특히 그 내부로 삽입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10)으로의 열 효율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히터 열선 패턴부와 히터 센서 패턴부를 하나의 절연필름에 구성하면서도 히터 열선 패턴부의 온도 상승과 전력 효율을 향상시키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히팅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인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히팅 디바이스는 서셉터와, 서셉터를 둘러 감싸는 제 1 절연 플레이트와, 제 1 절연 플레이트의 전면에 형성된 히터 열선 패턴부와, 제 1 절연 플레이트의 배면에 형성된 히터 센서 패턴부를 구비한다.
또한, 히터 열선 패턴부는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 1 방향 열선 패턴들과,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며 복수의 제 1 방향 열선 패턴들의 양단부들 각각이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연결 열선 패턴들을 포함하는 발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히터 열선 패턴부는 제 1 절연 플레이트의 전면에 형성되어 발열부의 제 1 및 제 2 연결 연선 패턴들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전원 분배부들과, 제 1 절연 플레이트의 배면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연결부와, 제 1 절연 플레이트를 관통하면서 제 1 전원 분배부와 제 1 연결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1 관통 연결부와, 제 1 절연 플레이트를 관통하면서 제 2 전원 분배부와 제 2 연결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2 관통 연결부를 구비하는 열선 배선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히팅 디바이스는 제 1 절연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제 2 절연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제 1 및 제 2 연결부는 제 1 및 제 2 절연 플레이트의 배면에 형성되며, 열선 배선부는 제어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접속부를 구비하고, 제 1 및 제 2 접속부 각각은 제 1 및 제 2 연결부 각각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히터 센서 패턴부는 제 1 절연 플레이트의 배면에 형성된 센서 패턴을 구비하고, 히팅 디바이스는 센서 패턴과 제어 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센서 배선부를 구비하고, 센서 배선부는 제 1 절연 플레이트의 배면 및 제 2 절연 플레이트의 배면에 형성되며 센서 패턴의 양단부들 각각과 제 3 접속부의 복수의 단자들 각각을 연결하는 제 3 연결부와, 복수의 단자들을 구비하며 제어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3 접속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열부는 컨스탄탄, 망가닌, Fecralloy(칸탈), 구리, 니켈, 텅스텐 중의 어느 하나이거나 복수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센서 패턴과 열선 배선부 및 센서 배선부는 구리나 니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열부의 재질이 컨스탄탄, 망가닌, Fecralloy(칸탈), 니켈인 경우에는 발열부의 두께는 10~30㎛이거나, 발열부의 재질이 구리인 경우에는 8~4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제 1 방향 열선 패턴들은 상이한 크기의 저항값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히터 열선 패턴부의 저항값은 0.4~1.5Ω이고, 히터 센서 패턴부의 저항값은 10~200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히터 열선 패턴부와 히터 센서 패턴부를 하나의 절연필름에 구성하면서도 히터 열선 패턴부의 온도 상승과 전력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내부 구성도이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히팅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의 전개 시의 부분 정면도와 부분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히팅 디바이스의 전개 시의 전체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히팅 디바이스의 다른 실시예의 전개 시의 부분 배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와 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에서, 에어로졸 형성 물품은 일련의 적층 구조인 필터부와, 냉각부 및 에어로졸 형성 기재층(예를 들면, 각초, 향료, 니코틴, VG(식물성 글리세린), PG(프로필렌 글리콜) 등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 물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에어로졸 형성 물품은 종래의 전자담배용 궐련, 필터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상측이 개방되며 통형(원통형, 사각 통형)의 삽입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와, 케이스의 삽입 공간 내에 장착되며 중공으로 이루어진 가열 공간에 대한 가열을 수행하는 히팅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는 삽입 공간 및 가열 공간의 저면 또는 측면과 외부 공간을 연통하도록 하는 기류 패스를 구비한다. 가열 공간 및 삽입 공간으로 에어로졸 형성 물품이 삽입되거나 분리 이탈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히팅 디바이스로의 전원 공급 및 공급 차단을 수행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의 히팅 디바이스는 저면에 기류 패스와 연통되며 중공이 형성된 서셉터와, 서셉터에 접촉되거나 비접촉되어 열 에너지를 서셉터에 전달시키거나 확산시키는 가열부인 히터 열선 패턴부와, 히팅 디바이스(서셉터나 히터 열선 패턴부)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히터 센서 패턴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서셉터와 가열 공간 내에 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 장착되는 가열봉침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히터 열선 패턴부와 히터 센서 패턴부는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며, 제어 장치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된다.
본 발명에서, 서셉터는 SUS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히팅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의 전개 시의 부분 정면도와 부분 배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히팅 디바이스의 전개 시의 전체 정면도이다.
히팅 디바이스(200)는 전면(210a)에 히터 열선 패턴부가 형성되며, 배면(210b)에 히터 센서 패턴부가 형성된 제 1 절연 플레이트(210)와, 제 1 절연 플레이트(210)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제 2 절연 플레이트(212)를 구비하며, 히터 열선 패턴부와 히터 센서 패턴부 각각과 제어 장치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열선 배선부 및 센서 배선부가 제 1 및 제 2 절연 플레이트(210), (212)에 형성된다. 열선 배선부와 센서 배선부는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제 1 절연 플레이트(210)는 서셉터의 외측면을 둘러 감싸면서 서셉터에 장착되며, 제 2 절연 플레이트(212)는 서셉터의 외측이나 하측으로 연장된다. 제 1 절연 플레이트(210)의 전면(210a) 또는 배면(210b)가 서셉터의 외측면을 대향하거나 접촉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절연 플레이트(210), (212)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절연성 재질인 PI(폴리이미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절연 플레이트(210), (212)의 두께는 0.1~0.2mm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히터 열선 패턴부는 제 1 절연 플레이트(210)의 전면(210a)에 형성된다. 히터 열선 패턴부는 제 1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나 sine wave 형태 등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 1 방향 열선 패턴들(222)과,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며 복수의 제 1 방향 열선 패턴들(222)의 양단부들(일단, 타단) 각각이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연결 열선 패턴들(224a, 224b)로 구성된 발열부를 포함한다.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을 서로 수직을 이루며, 제 1 방향은 서셉터의 원주 방향이고, 제 2 방향을 서셉터의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이면서, 기류 패스의 진행 방향이다.
복수의 제 1 방향 열선 패턴들(222)과 제 1 및 제 2 연결 열선 패턴들(224a, 224b)는 동일한 전도성 재질이며, 컨스탄탄, 망가닌, Fecralloy(칸탈), 구리, 니켈, 텅스텐 중의 어느 하나이거나 복수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금속 재질 비저항이 상대적으로 큰 컨스탄탄, 망가닌, Fecralloy(칸탈) 재질의 복수의 제 1 방향 열선 패턴들(222)은 도 2a와 병렬 패턴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망가닌 재질이 온도에 대한 저항 변화율이 컨스탄탄에 비하여 적으므로 컨스탄탄 대비 전류를 더 많이 흘려 줄 수 있다.
복수의 제 1 방향 열선 패턴들(222)과 제 1 및 제 2 연결 열선 패턴들(224a, 224b)의 두께는 그 재질이 컨스탄탄, 망가닌, Fecralloy(칸탈), 니켈인 경우에는 10~30㎛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재질이 구리인 경우에는 8~4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제 1 방향 열선 패턴들(222)은 서로 상이한 크기의 저항값을 지니도록 하여, 서로 다른 크기의 전류가 흐를 수 있다.
복수의 제 1 방향 열선 패턴들(222)과 제 1 및 제 2 연결 열선 패턴들(224a, 224b)의 총 저항은 0.4~1.5Ω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총 저항을 유지하기 위해, 복수의 제 1 방향 열선 패턴들(222)과 제 1 및 제 2 연결 열선 패턴들(224a, 224b) 각각의 폭, 길이, 두께가 선택된다.
또한, 열선 배선부는 제 1 절연 플레이트(210)의 전면(210a)에 형성되는 발열부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전원 분배부들(226a, 226b)과, 제 1 절연 플레이트(210)의 전면(210a)과 배면(210b)를 관통하는 복수의 바이어 홀(via hole)을 포함하는 제 1 및 제 2 관통 연결부(228a), (228b)과, 제 1 절연 플레이트(210)의 배면(210b)과 제 2 절연 플레이트(212)의 배면(212b)에 형성되어 제어 장치와의 제 1 및 제 2 접속부(232a, 232b) 각각과 제 1 및 제 2 관통 연결부(228a, 228b) 각각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1 및 제 2 연결부(230a, 230b)와, 제 2 절연 플레이트(212)의 배면(212b)에 형성되어 제어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접속부(232a, 232b)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전원 분배부(226a, 226b)는 복수의 제 1 방향 열선 패턴들(222)과 제 1 및 제 2 연결 열선 패턴들(224a, 224b)와 동일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제 1 방향 열선 패턴들(222)과 제 1 및 제 2 연결 열선 패턴들(224a, 224b)보다 더 넓은 폭을 지님으로써 전원을 복수의 제 1 방향 열선 패턴들(222)과 제 1 및 제 2 연결 열선 패턴들(224a, 224b)으로 인가하되, 발열이 적게 발생되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로, 제 1 전원 분배부(226a)와 제 1 연결 열선 패턴(224a)은 서로 중첩되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 전원 분배부(226b)와 제 2 연결 열선 패턴(224b)은 서로 중첩되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연결부(230a, 230b)는 구리나 니켈 재질로 이루어지며, 제 1 및 제 2 접속부(232a, 232b) 각각과 제 1 및 제 2 관통 연결부(228a, 228b) 각각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제어 장치로부터의 전원이 발열부에 인가되도록 한다.
제 1 관통 연결부(228a)는 제 1 절연 플레이트(210)를 관통하면서 전면(210a)에 형성된 제 1 전원 분배부(226a)와 배면(210b)에 형성된 제 1 연결부(230a)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제 2 관통 연결부(228b)는 제 1 절연 플레이트(210)를 관통하면서 전면(210a)에 형성된 제 2 전원 분배부(226b)와 배면(210b)에 형성된 제 2 연결부(230b)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제 1 및 제 2 접속부(232a, 232b) 각각은 제어 장치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복수의 단자들로 구성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복수의 단자들을 구비하는 제 1 및 제 2 접속부(232a, 232b)와 복수의 제 1 방향 열선 패턴들(222)에 의해 multi input / multi output 방식을 적용한 병렬 방식으로 열선 패턴이 구현되어 제 1 방향 열선 패턴들(222)로 서로 다른 크기의 전류가 동시에 흐르게 되어, 면적 대비 히팅 디바이스의 온도가 더 상승하고, 승온 시간을 단축시키면서 전력을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다음으로, 히터 센서 패턴부는 제 1 절연 플레이트(210b)의 배면(210b)에 형성되며, 직렬로 연장되는 센서 패턴(240)를 구비한다. 센서 배선부는 히터 센서 패턴부(센서 패턴(240))와 제어 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센서 배선부는 제 1 절연 플레이트(210b)의 배면(210b) 및 제 2 절연 플레이트(212b)의 배면에 형성되며, 센서 패턴(240)의 양단부들 각각과 제 3 접속부(244)의 복수의 단자들 각각을 연결하는 제 3 연결부(242)와, 복수의 단자들을 구비하며 제어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3 접속부(244)를 구비한다.
센서 패턴(240)은 구리나 니켈 재질로 구성되며, 전체 저항값은 10~200Ω의 범위에 속한다.
히터 열선 패턴부는 전원 인가 시에 금속 표면에서 발열하여 히팅 디바이스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해, 그 저항값이 작아서, 순간 많은 전류가 흐르도록 하며, 반면에 히터 센서 패턴부는 표면의 온도가 올라가면서 저항값이 변화하므로 저항 변화율이 상대적으로 큰 것이 온도 감지에 유리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히팅 디바이스의 다른 실시예의 전개 시의 부분 배면도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팅 디바이스(200a)의 히터 열선 패턴부는 제 1 절연 플레이트(210)의 전면(210a)에 형성되며, 직렬로 연장되는 열선 패턴(241)을 구비한다. 또한 히팅 디바이스(200a)는 제 1 절연 플레이트(210)의 전면(210a) 및 제 2 절연 플레이트(212)의 전면(212a)에 형성되며 열선 패턴(241)의 양단 각각과 제 1 및 제 2 접속부(232a, 232b) 각각을 연결하는 제 4 연결부(24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열선 패턴(2410은 금속재질 비저항값이 작은 구리, 텅스텐, 니켈 등은 도 4와 같이, 직렬 패턴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장치(예: 프로세서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메모리가 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예: CD-ROM,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media)(예: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 하드웨어 장치(예: ROM, RAM,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다양한 실시 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서에 의한 기능들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200: 히팅 디바이스

Claims (10)

  1. 서셉터와;
    서셉터를 둘러 감싸는 제 1 절연 플레이트와;
    제 1 절연 플레이트의 전면에 형성된 히터 열선 패턴부와;
    제 1 절연 플레이트의 배면에 형성된 히터 센서 패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히팅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히터 열선 패턴부는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 1 방향 열선 패턴들과,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며 복수의 제 1 방향 열선 패턴들의 양단부들 각각이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연결 열선 패턴들을 포함하는 발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히팅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히터 열선 패턴부는 제 1 절연 플레이트의 전면에 형성되어 발열부의 제 1 및 제 2 연결 연선 패턴들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전원 분배부들과, 제 1 절연 플레이트의 배면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연결부와, 제 1 절연 플레이트를 관통하면서 제 1 전원 분배부와 제 1 연결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1 관통 연결부와, 제 1 절연 플레이트를 관통하면서 제 2 전원 분배부와 제 2 연결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2 관통 연결부를 구비하는 열선 배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히팅 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히팅 디바이스는 제 1 절연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제 2 절연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제 1 및 제 2 연결부는 제 1 및 제 2 절연 플레이트의 배면에 형성되며,
    열선 배선부는 제어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접속부를 구비하고, 제 1 및 제 2 접속부 각각은 제 1 및 제 2 연결부 각각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히팅 디바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히터 센서 패턴부는 제 1 절연 플레이트의 배면에 형성된 센서 패턴을 구비하고,
    히팅 디바이스는 센서 패턴과 제어 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센서 배선부를 구비하고,
    센서 배선부는 제 1 절연 플레이트의 배면 및 제 2 절연 플레이트의 배면에 형성되며 센서 패턴의 양단부들 각각과 제 3 접속부의 복수의 단자들 각각을 연결하는 제 3 연결부와, 복수의 단자들을 구비하며 제어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3 접속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히팅 디바이스.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열부는 컨스탄탄, 망가닌, Fecralloy(칸탈), 구리, 니켈, 텅스텐 중의 어느 하나이거나 복수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히팅 디바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센서 패턴과 열선 배선부 및 센서 배선부는 구리나 니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히팅 디바이스.
  8. 제 6 항에 있어서,
    발열부의 재질이 컨스탄탄, 망가닌, Fecralloy(칸탈), 니켈인 경우에는 발열부의 두께는 10~30㎛이거나, 발열부의 재질이 구리인 경우에는 8~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히팅 디바이스.
  9.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제 1 방향 열선 패턴들은 상이한 크기의 저항값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히팅 디바이스.
  10.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히터 열선 패턴부의 저항값은 0.4~1.5Ω이고, 히터 센서 패턴부의 저항값은 10~200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히팅 디바이스.
KR1020220040340A 2021-10-18 2022-03-31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히팅 디바이스 KR202300553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8024 2021-10-18
KR20210138024 2021-10-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5340A true KR20230055340A (ko) 2023-04-25

Family

ID=8610147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0560A KR20230055307A (ko) 2021-10-18 2021-10-20 권선 가이드 일체형 히터 프레임
KR1020220012056A KR20230055333A (ko) 2021-10-18 2022-01-27 에어로졸 발생장치
KR1020220040340A KR20230055340A (ko) 2021-10-18 2022-03-31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히팅 디바이스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0560A KR20230055307A (ko) 2021-10-18 2021-10-20 권선 가이드 일체형 히터 프레임
KR1020220012056A KR20230055333A (ko) 2021-10-18 2022-01-27 에어로졸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20230055307A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3505A (en) 1992-09-11 1997-03-25 Philip Morris Incorporated Inductive heating systems for smoking articles
TWI692274B (zh) 2014-05-21 2020-04-21 瑞士商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用於加熱氣溶膠形成基材之感應加熱裝置及操作感應加熱系統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5333A (ko) 2023-04-25
KR20230055307A (ko) 2023-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03676B2 (en)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US20190359032A1 (en) Radiant heater device
JP2020503877A5 (ko)
BR112017028538B1 (pt) Montagem de aquecimento por indução para gerar um aerossol, sistema de provisão de aerossol, cartucho para uso em um sistema de provisão de aerossol, meios de montagem de aquecimento por indução para gerar um aerossol e método de geração de um aerossol
RU2019136377A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нагревательный узел, устройство, генерирующее аэрозоль, и способ резистивного нагрева субстрата, образующего аэрозоль
JPH0239072B2 (ko)
KR20180113841A (ko) 궐련형 전자담배용 원통형 발열히터 및 이를 포함하는 궐련형 전자담배
CN108851245A (zh) 一种内置测温ptc的加热不燃烧低温香烟发热元件及其制作方法
KR20230055340A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히팅 디바이스
JP5111118B2 (ja) 発熱ワイヤを具備するプリント回路基板またはカード
KR20230076070A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히팅 디바이스
KR20230048981A (ko) Fpcb를 이용한 인덕션 히팅 장치
JP2023533995A (ja) エアロゾル発生デバイスのための加熱装置
JP3818987B2 (ja) 面状ヒ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30127440A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히팅 디바이스
KR20230126850A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히팅 디바이스
JP2007035476A (ja) 面状発熱体
KR102562161B1 (ko) 독립된 2 히터 구조를 구비하는 휴대용 에어로졸 발생장치
KR20230049013A (ko) 박막 패턴을 이용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유도 가열 히터
KR20240001827A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히팅 디바이스
KR20230127442A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히팅 디바이스
WO2023023990A1 (zh) 电子雾化装置及其雾化器和雾化芯
KR20240040598A (ko) 에어러졸 생성장치 및 이의 에어러졸 생성 제품과 체험장치
KR20230127395A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히팅 디바이스
JP2016131143A (ja) 空気流の中にイオンを噴射するためのデバイスおよび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