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3400A - 원거리 방제기 - Google Patents

원거리 방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3400A
KR20230053400A KR1020210136858A KR20210136858A KR20230053400A KR 20230053400 A KR20230053400 A KR 20230053400A KR 1020210136858 A KR1020210136858 A KR 1020210136858A KR 20210136858 A KR20210136858 A KR 20210136858A KR 20230053400 A KR20230053400 A KR 20230053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sprocket
shaft
rem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6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찬
Original Assignee
이병찬
주식회사 흙사랑119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찬, 주식회사 흙사랑119 filed Critical 이병찬
Priority to KR1020210136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3400A/ko
Publication of KR20230053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34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32Pressure sprayers
    • A01M7/0042Field sprayers, e.g. self-propelled, drawn or tractor-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01M7/006Mounting of the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01M7/0085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9Regulating or control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05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mounted on vehicles or designed to apply a liquid on a very large surface, e.g. on the road, on the surface of lar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075Nozzle arrangements in gas str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89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 B05B7/2491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producing or supplying the atomising fluid, e.g. air hoses, air pumps, gas containers, compressors, fans, ventilators, their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4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with pumps fo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거리 방제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탑재하여 이동하면서 약제 살포가 가능한 원거리 방제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원거리 방제기는 약액을 수용하는 약제 탱크를 포함하는 약제부 모듈;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원, 상기 동력원의 구동력에 의해 가동되고 상기 약액을 흡입하여 고압으로 송출하는 펌프부 및 상기 동력원의 구동력에 의해 가동되고 전기를 제공하는 발전부를 포함하는 동력부 모듈; 상기 펌프부에서 송출된 상기 약액을 분사하는 노즐부 및 상기 노즐부에 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송풍용 팬을 포함하는 분사부 모듈; 및 상기 약제부 모듈, 동력부 모듈, 분사부 모듈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거리 방제기 {Long Range Agricultural Chemicals Sprayer}
본 발명은 원거리 방제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탑재하여 이동하면서 약제 살포가 가능한 원거리 방제기에 관한 것이다.
농축산업 경영에 있어서 농축산 생명체들의 올바른 성장을 위하여 필수적으로 방역, 방제를 하여야 한다. 이러한 방역, 방제 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고안된 장치가 방제기이다. 특히, 넓은 범위의 영역에 대한 방역, 방제를 수행할 수 있는 방제기를 원거리 방제기라고 한다. 원거리 방제기 중에는 이동의 편의를 위하여 또는 이동하면서 방역, 방제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차량 탑재형 원거리 방제기가 개발, 사용되고 있다.
한편, 농축산 생명체들은 개별 생명체의 특성이 다를 뿐더러 성장 환경도 다르다. 따라서, 개별 생명체에 적합하고 적절한 방식으로 방역, 방제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런데, 방역, 방제용 약품들이 농축산 생명체에 과잉 분사되는 경우 약해(藥害) 현상이 일어나거나 송풍기의 과대 출력에 의한 비산이 발생하여 약해 현상이 일어나기도 한다.
종래기술에 대한 선행문헌으로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18116호 "약액 분사장치" 등을 참조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원거리 방제기들이 가지고 있던 문제점들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 탑재형 원거리 방제기의 경우 차량에 탑재 또는 차량으로부터 하역에 필요한 시간이 오래 걸린다.
또한, 원거리 방제기를 차량에 탑재하여 사용 중에 유지 보수가 필요한 경우 해체가 용이하지 않아 유지 보수 작업의 수행이 어렵다.
또한, 동력원으로 가솔린 엔진을 사용하여 연료 비용 부담이 있었다.
또한, 엔진과 펌프가 연동시 엔진의 On/Off 작동 전환이 어려워 지속적으로 분사가 이루어져 과도한 분사 작업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분사 장치에 있어서 원거리 분사 장치와 근거리 분사 장치가 구분되어 있어 별개의 분사장치를 이용하여야 하였다. 더불어, 근거리, 원거리 작업의 전환이 불편하였다.
또한, 약액 분사를 위한 펌프의 동력원과 전기 발생을 위한 발전기의 동력원이 개별적으로 적용되어 이 별개로 구비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차량 탑재 및 하역 작업이 용이한 원거리 방제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차량 운행을 하면서 분사 작업이 가능하도록 무선 분사 작업이 가능한 원거리 방제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유지 보수 작업이 용이한 원거리 방제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연료 비용 부담이 경감된 원거리 방제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엔진과 펌프의 연동시 분사 작업과 정지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되는 원거리 방제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분사 작업시 근거리 분사와 원거리 분사 작업의 전환이 용이한 원거리 방제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약액 분사를 위한 펌프의 동력원과 전기 발생을 위한 발전기의 동력원이 통합적으로 적용된 원거리 방제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원거리 방제기는 약액을 수용하는 약제 탱크를 포함하는 약제부 모듈;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원, 상기 동력원의 구동력에 의해 가동되고 상기 약액을 흡입하여 고압으로 송출하는 펌프부 및 상기 동력원의 구동력에 의해 가동되고 전기를 제공하는 발전부를 포함하는 동력부 모듈; 상기 펌프부에서 송출된 상기 약액을 분사하는 노즐부 및 상기 노즐부에 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송풍용 팬을 포함하는 분사부 모듈; 및 상기 약제부 모듈, 동력부 모듈, 분사부 모듈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약제부 모듈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장착부, 상기 동력부 모듈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장착부, 상기 분사부 모듈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 장착부가 마련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약제부 모듈이 설치되는 약제부 거치대, 상기 동력부 모듈이 설치되는 동력부 거치대, 상기 분사부 모듈이 설치되는 분사부 거치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약제부 거치대는 상기 제1 장착부에 형성되는 제1 장착홈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동력부 거치대는 상기 제2 장착부에 형성되는 제2 장착홈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분사부 거치대는 상기 제3 장착부에 형성되는 제3 장착홈에 삽입 설치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면에 나란히 배치되는 확장 부재; 상기 확장 부재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확장홈에 인입출 가능하게 삽입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고정자를 포함하는 폭 조절 장치를 갖는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는, 지면에 배치되는 하부 부재; 상기 하부 부재에 상하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부재; 상기 하부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 부재를 이동시키는 회전 부재;를 포함하는 적재 장치를 갖는다.
또한, 상기 상부 부재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면에 형성되는 적재홈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가 측면으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상부 부재에는 상기 회전 부재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부재의 하부는 넓게 연장되어 지지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회전 부재가 나사 결합되는 축홀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 부재에는 상기 상부 부재의 상면 아래 배치되는 플랜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축홀 및 관통홀에 삽입 결합되는 축부, 상기 축부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상기 축부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핸들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약제 탱크의 주입구에는 여과기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약제부 거치대 또는 동력부 거치대 또는 분사부 거치대는, 상기 장착홈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슬라이딩바 및 상기 슬라이딩바를 상하 운동시키는 레버를 포함하는 고정 장치를 갖는다.
또한, 상기 동력부 모듈은, 상기 동력원의 구동력을 상기 펌프부 및 발전부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장치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동력 전달 장치는, 상기 동력원의 구동축에 구비되는 제1 스프로킷과 제2 스프로킷; 상기 펌프부의 축에 구비되는 펌프부 스프로킷; 상기 발전부의 축에 구비되는 발전부 스프로킷; 상기 제1 스프로킷과 펌프부 스프로킷을 연결하는 제1 풀리; 및 상기 제2 스프로킷과 발전부 스프로킷을 연결하는 제2 풀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펌프부의 축과 펌프부 스프로킷 사이에는 상기 동력원으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을 단속(斷續)하는 전자식 클러치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분사부 모듈에는 전면부와 후면부가 개방되는 하우징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부에 상기 노즐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송풍용 팬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노즐부에는 원거리 분사 노즐, 중거리 분사 노즐, 근거리 분사 노즐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분사부 모듈에는 상기 하우징을 상기 분사부 거치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가동 지지대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분사부 모듈은, 상기 가동 지지대의 양팔부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결합되는 수평축과, 상기 가동 지지대를 상기 분사부 거치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수직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분사부 거치대에는 상기 수직축을 회전시키는 제1 모터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가동 지지대에는 상기 수평축을 회전시키는 제2 모터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수평축과 제2 모터 사이에는 모터 동력 전달 장치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 모터 또는 제2 모터에는 모터 브레이크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동력부 모듈에는 제어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송풍용 팬의 회전을 제어하거나 상기 제1 모터 또는 제2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스위치류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스위치류에 연결되는 무선 수신부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무선 수신부에 신호를 전달하는 무선 송신부를 갖는 원격 조작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원거리 방제기는 약액을 수용하는 약제 탱크;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원; 상기 동력원의 구동력에 의해 가동되고 상기 약액을 흡입하여 고압으로 송출하는 펌프부; 상기 동력원의 구동력에 의해 가동되고 전기를 제공하는 발전부; 상기 펌프부에서 송출된 상기 약액을 분사하는 분사 유닛; 및 상기 동력원의 구동력을 상기 펌프부 및 발전부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동력 전달 장치는, 상기 동력원의 구동축에 구비되는 제1 스프로킷과 제2 스프로킷; 상기 펌프부의 축에 구비되는 펌프부 스프로킷; 상기 발전부의 축에 구비되는 발전부 스프로킷; 상기 제1 스프로킷과 펌프부 스프로킷을 연결하는 제1 풀리; 및 상기 제2 스프로킷과 발전부 스프로킷을 연결하는 제2 풀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펌프부의 축과 펌프부 스프로킷 사이에는 상기 동력원으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을 단속하는 전자식 클러치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약제 탱크, 동력원 및 분사 유닛을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면에 나란히 배치되는 확장 부재; 상기 확장 부재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확장홈에 인입출 가능하게 삽입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고정자를 포함하는 폭 조절 장치를 갖는다.
또한, 지면에 배치되는 하부 부재; 상기 하부 부재에 상하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부재; 상기 하부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 부재를 이동시키는 회전 부재;를 포함하는 적재 장치를 갖는다.
또한, 상기 분사 유닛은, 전면부와 후면부가 개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면부에 구비되는 노즐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송풍용 팬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노즐부에는 원거리 분사 노즐, 중거리 분사 노즐 및 근거리 분사 노즐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가동 지지대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가동 지지대의 양팔부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결합되는 수평축; 상기 가동 지지대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수직축; 상기 수직축을 회전시키는 제1 모터; 상기 수평축을 회전시키는 제2 모터; 및 상기 수평축과 제2 모터 사이에는 모터 동력 전달 장치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송풍용 팬의 회전을 제어하거나 상기 제1 모터 또는 제2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스위치류가 구비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스위치류에 연결되는 무선 수신부; 및 상기 무선 수신부에 신호를 전달하는 무선 송신부를 갖는 원격 조작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방제기에 의하면 주요 구성부별로 모듈화되어 부분별로 조립 및 설치 또는 분리 및 해체가 용이하다. 더불어 탑재 및 하역 시간이 감소한다.
또한, 적재 장치가 구비되어 차량에 탑재 및 하역이 용이하다. 더불어, 스탠드 어론(stand alone) 방식으로 독자적으로 서 있을수 있다.
또한, 동력원으로서 디젤 엔진이 적용되어 연료비용이 경감된다.
또한, 동력 전달 기구가 마련되어 하나의 동력원으로부터 분사용 펌프 및 전기 발생용 발전기에 통합적으로 동력이 제공된다.
또한, 동력원과 펌프 사이에 전자식 클러치가 구비되어 분사 작업과 정지 작업이 가능하여 약액의 낭비가 감소하고 무선에 의한 원격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원거리용 분사 노즐과 중거리 분사 노즐 및 근거리 분사 노즐이 복합적으로 구성되어 분사 영역 및 분사 방식에 대해 복합적인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무선 송수신부가 구비되어 차량 이동중 분사 작업 수행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방제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방제기의 구성도(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방제기에서, 베이스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베이스부에 적용되는 폭 조절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베이스부에 적용되는 적재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방제기에서, 약제부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방제기의 각 모듈에 적용되는 고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방제기에서, 구동부 모듈의 펌프부의 세부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방제기에서, 분사부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방제기에서, 구동부 모듈의 제어부의 세부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 또는"모듈"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각의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실시 예들의 조합은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로서,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해당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방제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방제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방제기의 구성도 또는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방제기(1000)는 약액을 수용하는 약제 탱크(120)를 포함하는 약제부 모듈(100);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원(210), 상기 동력원의 구동력에 의해 가동되고 상기 약액을 흡입하여 고압으로 송출하는 펌프부(230) 및 상기 동력원(210)의 구동력에 의해 가동되고 전기를 제공하는 발전부(220)를 포함하는 동력부 모듈(200); 상기 펌프부(230)에서 송출된 상기 약액을 분사하는 노즐부(330) 및 상기 노즐부(330)에 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송풍용 팬(340)을 포함하는 분사부 모듈(300); 및 상기 약제부 모듈(100), 동력부 모듈(200), 분사부 모듈(300)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방제기(1000)는 베이스부(40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설치)되는 약제부 모듈(100), 동력부 모듈(200), 분사부 모듈(300)을 포함한다.
먼저 베이스부(400)를 설명하기로 한다. 베이스부(400)는 약제부 모듈(100), 동력부 모듈(200), 분사부 모듈(300)을 지지한다.
베이스 플레이트(410)가 마련된다. 베이스 플레이트(410)는 평판으로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410)는 철재 등 강도와 강성이 우수한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 플레이트(410)는 약제부 모듈(100), 동력부 모듈(200) 및 분사부 모듈(300)이 설치되고 지지되므로 충분한 강도와 지지력을 갖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베이스 플레이트(410)에는 약제부 모듈(100)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장착부(411), 동력부 모듈(200)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장착부(421), 분사부 모듈(300)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 장착부(431)가 마련된다. 여기서, 제1 장착부(411), 제2 장착부(431), 제3 장착부(431)는 베이스 플레이트(410)에 분할된 구역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장착부(411), 제2 장착부(431), 제3 장착부(431)는 베이스 플레이트(410) 상에 순서대로 구획되는 구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각 모듈(100,200,300)은 베이스 플레이트(410)에 장착되고 고정된다. 예를 들어, 각 모듈(100,200,300)은 베이스 플레이트(410)에 삽입 장착될 수 있다. 제1 장착부(411)에는 약제부 모듈(100)이 삽입 장착되는 제1 장착홈(412)이 복수 개 형성되고, 제2 장착부(421)에는 동력부 모듈(200)이 삽입 장착되는 제2 장착홈(422)이 복수 개 형성되고, 제3 장착부(431)에는 분사부 모듈(300)이 삽입 장착되는 제3 장착홈(432)이 복수 개 형성된다. 여기서, 각 장착홈(412,422,432)은 각 장착부(411,421,431) 내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설치 위치 선택이 가능하다. 각 모듈(100,200,300)이 베이스 플레이트(410)에 고정되도록 고정 장치(150)가 마련될 수 있다. 고정 장치의 예는 후술하기로 한다.
베이스부(400)에 주요 구성 장치들이 모듈(100,200,300)화되어 설치되므로, 장착 및 설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분리 및 해체 작업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더불어, 차량(600)의 적재함(610)에 탑재 및 하역하는 작업도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여기서, 차량(600)에 설치하는 방식도 선택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베이스부(400)를 차량(600)의 적재함(610)에 먼저 탑재한 후에 각 모듈(100,200,300)을 베이스부(400)에 장착할 수 있다. 또는 임의의 장소에서 베이스부(400)에 각 모듈(100,200,300)을 장착한 후에 방제기 전체를 차량(600)의 적재함(610)에 탑재하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장소에서 베이스부(400)에 모듈(100,200,300) 중에서 일부의 모듈을 장착한 후에 차량(600)의 적재함(610)에 탑재한 후에 나머지 모듈을 베이스부(400)에 장착하는 방식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원거리 방제기(1000)가 모듈화되어 있으므로 각 모듈(100,200,300) 내의 일부 구성요소가 고장나는 등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 해당 모듈만 분리하여 하역한 후에 유지 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원거리 방제기(1000)를 차량(600)의 적재함(610)의 크기에 맞추어 고정할 수 있도록, 베이스부(400)에는 폭 조절장치(450)가 마련된다. 도 4에 폭 조절장치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폭 조절장치(450)는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각 측면에 마련된다. 폭 조절장치(450)는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길이 방향 측면과 폭 방향 측면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폭 조절장치(450)는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길이 방향 측면 중에서 어느 하나의 측면과 폭 방향 측면 중에서 어느 하나의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폭 조절장치(450)는 확장 부재(451)와 확장 부재(451)에서 돌출되고 베이스 플레이트(410)에 결합되는 연결부(452) 및 연결부(452)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자(455)를 포함한다.
확장 부재(451)는 바(bar)나 빔(beam)으로 길게 형성된다. 확장 부재(451)는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측면에 나란히 배치된다. 확장 부재(451)는 각 측면의 길이보다는 짧게 형성된다. 즉, 길이 방향 측면에 배치되는 확장 부재(451)는 길이 방향 측면보다 짧게 형성되고, 폭 방향 측면에 배치되는 확장 부재(451)는 폭 방향 측면보다 짧게 형성된다.
확장 부재(451)에는 연결부(452)가 복수 개 돌출 형성된다. 연결부(452)는 확장 부재(451)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452)는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측면에 형성되는 확장홈(441)에 인입, 인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여기서, 연결부(452)는 확장홈(441)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452)는 확장홈(441)에 회전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452)와 확장홈(441)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 결합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
고정자(455)는 연결부(452)를 특정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자(455)는 키나 코터, 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고정자(455)는 너트 등의 회전식 고정 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폭 조절장치(450)가 구비됨에 따라, 차량(600)의 적재함(610)이 본 발명의 원거리 방제기(1000)보다 큰 경우에는 확장 부재(451)를 빼서 적재함(610)의 크기에 맞게 베이스부(400)의 폭과 길이를 확장시킨 후 원거리 방제기(1000)를 적재함(6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베이스부(400)에는 적재 장치(460)가 마련된다. 적재 장치(460)는 차량(600)의 적재함(610)에 원거리 방제기(1000)에 대한 탑재 및 하역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또한, 적재 장치(460)는 자체적으로 원거리 방제기를 지지하여 고정될 수 있다. 즉, 원거리 방제기(1000)가 독자적으로 (stand alone 방식으로) 지면이나 평평한 곳에 서있을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적재 장치(460)는 원거리 방제기(10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 장치로서 기능한다.
적재 장치(460)는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측면에 형성되는 적재홈(445)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된다.
적재 장치(460)는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상부 부재(461)와 하부 부재(465), 그리고, 상부 부재(461)와 하부 부재(465)의 상대적 길이를 조절하거나 고정하는 회전부재(470)를 포함한다.
상부 부재(461)는 원통 또는 각통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부 부재(461)의 상면은 폐쇄되고, 상부 부재(461)의 하면은 개방된다. 상부 부재(461)의 측면으로는 삽입부(463)가 돌출되어 적재홈(445)에 삽입된다.
상부 부재(461)의 상면에는 관통홀(462)이 형성되어 회전부재(470)가 삽입된다.
하부 부재(465)는 원통 또는 각통으로 형성된다. 하부 부재(465)는 지면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 부재(465)의 일부가 상부 부재(461)의 내부에 삽입된다. 하부 부재(465)의 하면은 넓게 연장되어 지지부(467)를 형성한다. 하부 부재(465)의 상면에는 축홀(466)이 형성되어 회전부재(470)가 나사 결합된다.
회전부재(470)는 회전축으로 구성되는 축부(471)를 포함한다. 회전부재(470)의 축부(471)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하부 부재(465)의 축홀(466)에 나사 결합된다.
회전부재(470)의 상단부에는 회전 레버(475)가 구비된다. 회전 레버(475)는 축부(471)로부터 직교하는 방향(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476)와, 상기 연장부(476)로부터 상기 축부(471)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작업자가 파지하여 수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핸들부(475 표시 부분)를 포함한다. 회전 레버(475)는 회전부재(470)를 축부(471)를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부재(470)에서 회전 레버(475)와 축부(471) 사이에는 플랜지(477)가 돌출 형성된다. 플랜지(477)는 상부 부재(461)의 상면 아래에 배치된다. 즉, 상부 부재(461)의 상면은 회전 레버(475)와 플랜지(477) 사이에 배치되므로, 회전부재(470)의 운동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회전부재(470)와 함께 이동한다.
회전부재(470)는 하부 부재(465)에 나사 결합되어 있고 하부 부재(465)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회전부재(470)를 회전시키면 회전부재(470)는 상부 부재(461)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상부 부재(461)는 회전부재(470)의 회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적재 장치(460)에 의해 원거리 방제기(1000)를 차량(600)의 적재함(610)에 용이하게 탑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적재 장치(460)는 원거리 방제기(1000)를 차량(600)의 적재함(610)에 탑재 완료한 후에 베이스 플레이트(410)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약제부 모듈(1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는 약제부 모듈(100)의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다.
약제부 모듈(100)은 약제부 거치대(110), 약제 탱크(120), 교반 기구(130)를 포함한다.
약제부 모듈(100)은 베이스부(400)의 제1 장착부(411)에 설치된다.
약제 탱크(120)는 약액 등의 약제를 담을 수 있는 통으로 마련된다. 약제 탱크(120)는 상면에 주입구(121)가 마련된다.
약제 탱크(120)의 측면에는 약제 출구(123)와 약제 회수구(124)가 마련된다. 약제 출구(123)에는 흡입 배관(241)이 연결되어 약액이 펌프부(230)에 흘러들어간다. 약제 회수구(124)에는 바이패스 배관(242)이 연결되어 펌프부(230)의 약액이 약제 탱크(120)로 회수된다. 회수된 약액은 교반 기구(130)에 뿌려질 수 있다.
또한, 약제 탱크(120)의 측면에는 배수구(125)가 마련된다.
약제 탱크(120)에는 주입구(121)에 여과기(140)가 마련된다. 여과기(140)는 약제 탱크(120)에 약액을 담을 때, 약액을 여과한다. 여과기(140)는 외형을 이루는 구조물(141)에 여과망(142, 필터)이 삽입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과기(140)의 구조물(141)에는 손잡이(143)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작업하기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교반 기구(130)는 약제 탱크(120)의 일부 또는 내부에 구비된다 (도 2 참조). 교반 기구(130)는 약액을 혼합하여 적정한 농도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약액의 혼합이 잘 이루어지도록 펌프부(230)에서 바이패스 배관(242)을 통해 약제 탱크(120)로 회수된 약액이 교반 기구(130)에 혼합될 수 있다.
약제 탱크(120)의 주입구(121)에는 뚜껑(145)이 마련된다. 약제 탱크(120)의 주입구(121)에는 뚜껑(145)이 구비되어 외부의 이물질이 침입하지 못하도록 한다.
약제부 거치대(110)는 약제 탱크(120)를 거치하고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약제부 거치대(110)는 약제부 모듈(100)이 베이스부(400)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약제부 거치대(110)는 약제 탱크(120)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약제부 거치대(110)는 가로, 세로, 높이의 소정 부피를 이루도록 다수개의 바(bar)나 빔(beam)으로 연결 구성될 수 있다. 도 6에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된 약제부 거치대(110)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의 입체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다.
약제부 거치대(110)는 저면부(111)를 형성하는 프레임이나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약제부 거치대(110)의 다리부(112)에는 베이스부(400), 구체적으로는 베이스 플레이트(410)에 장착될 수 있도록 제1 돌출부(115)가 돌출 형성된다. 약제부 거치대(110)의 제1 돌출부(115)가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제1 장착홈(412)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약제부 거치대(110)가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제1 장착부(411)에 고정됨에 따라 약제부 모듈(100)이 베이스부(400)에 설치된다.
약제부 거치대(110)를 베이스 플레이트(410)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고정 장치(150)가 마련된다. 고정 장치(150)는 제1 돌출부(115)에 인접하여 마련된다. 일례로, 고정 장치(150)는 제1 돌출부(115)의 상부에 마련된다.
고정 장치(150)의 일 실시예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레버(151)는 약제부 거치대(110)에 고정된 레버축(153)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다. 슬라이딩바(155)가 레버(151)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예를 들면, 슬라이딩바(155)의 레버홀(156)에 레버(151)가 삽입 거치되어 있다. 레버(151)를 아래로 회전시키면 레버홀(156)의 접촉면이 캠 형태로 레버(151)에서 돌출되는 가압부(152)의 힘을 받아 하방으로 이동한다. 슬라이딩바(155)는 아래가 얇고 위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제1 장착홈(412) 내에서 약제부 거치대(110)를 밀착시킨다. 여기서, 고정 장치(150)의 일례를 설명하였지만, 이 외에도 약제부 거치대(110)를 베이스부(400)에 고정시킬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동력부 모듈(2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주로 도 2를 참조하기로 한다.
동력부 모듈(200)에는 동력원(210), 발전부(220), 펌프부(230), 배터리부(240), 제어부(260)를 포함한다.
동력부 모듈(200)의 구성요소들은 동력부 거치대(205)에 설치되고 지지된다. 동력부 거치대(205)는 약제부 거치대(110)와 유사하게 제작될 수 있다. 동력부 거치대(205)의 측면이나 하면 또는 상면은 필요에 따라 플레이트가 구비될 수 있다.
동력부 거치대(205)는 제2 장착부(421)의 제2 장착홈(422)에 삽입되고 고정된다. 동력부 거치대(205)는 제2 장착부(421)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동력부 모듈(200)은 베이스부(40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동력원(210)은 원거리 방제기(1000)가 가동되는데 필요한 동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동력원(210)은 내연기관 엔진이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동력원(210)으로 디젤 엔진이 적용될 수 있다. 동력원(210)으로서 디젤 엔진이 적용되면 가솔린 엔진에 비해 연료 비용 절감이 이루어진다. 동력원(210)은 펌프부(230) 뿐만 아니라 발전부(220)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동력원(210)의 구동축(211)에는 복수의 스프로킷(212,214)이 구비된다. 여기서, 제1 스프로킷(212)은 펌프부(230)에 동력을 제공하고, 제2 스프로킷(214)은 발전부(220)에 동력을 제공한다. 동력원(210)의 구동축(211)에 복수의 스프로킷(212,214)이 마련되므로 구동력은 복수의 장치(여기서는 펌프부(230)와 발전부(220))에 동력이 전달된다.
동력 전달 장치(212,214,216,218)가 마련된다. 동력 전달 장치는 동력원(210)의 동력을 펌프부(230)나 발전부(220)에 전달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이러한 동력 전달 장치로 스프로킷(212,214)과 풀리(216,217)(또는 벨트)로 구성된 형태를 예시로 들었으나, 이러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풀리(216)가 동력원(210)의 제1 스프로킷(212)과 펌프부(230)의 펌프부 스프로킷(236)을 연결한다. 제1 풀리(216)는 동력원(210)의 동력을 펌프부(230)에 전달한다.
제2 풀리(217)가 동력원(210)의 제2 스프로킷(214)과 발전부(220)의 발전부 스프로킷(222)을 연결한다. 제2 풀리(217)는 동력원(210)의 동력을 발전부(220)에 전달한다.
즉, 동력원(210)은 펌프부(230)를 가동시킬 뿐 아니라, 발전부(220)를 가동시키도록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동력원(210)을 시동하기 위하여 시동용 배터리(215)가 구비될 수 있다.
발전부(220)는 원거리 방제기(1000)의 각 구성요소를 가동시키는데 필요한 전기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전부(220)는 380V 및 220V의 교류 전기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교류 전기 380V는 송풍용 팬 모터(345) 등에 연결된다.
제2 교류 전기 220V는 배터리부(240) 등에 연결된다. 제2 교류 전기 220V는 배터리 충전 등에 사용된다.
승압기 또는 변환기(미도시)가 구비되어 24V 도는 12V의 직류 전기가 제공될 수 있다. 승압기는 380V 또는 220V의 전기를 24V 또는 12V의 전기로 변환한다. 24V 또는 12V의 전기는 분사부 모듈(300)에 구비되는 제1 모터(360), 제2 모터(370) 등에 연결된다. 또한, 24V 또는 12V의 전기는 제어부(260)에 공급되어 무선 원격 조작에 의해 각종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펌프부나 모터의 구동에 필요한 직류 전기는 충전된 배터리부(240)에서 제공될 수도 있다.
펌프부(230)는 약제 탱크(120)의 약제(chemicals, 또는 약액)를 흡입하여 고압으로 송출한다. 도 8에 펌프부(230)의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다.
펌프부(230)는 동력원(210)의 동력에 의해 가동된다. 펌프부(230)는 동력 전달 장치에 의해 동력원(210)의 구동력을 받아 가동된다. 동력원(210)의 제1 스프로킷(212)과 펌프부(230)의 펌프부 스프로킷(236)을 연결하는 제1 풀리(216)에 의해 펌프부(230)는 동력원(210)의 동력을 받아 가동된다.
펌프부(230)와 동력원(101) 사이에는 동력 단속(斷續) 장치가 마련된다. 동력 단속 장치(250)는 전자식 클러치로 구성될 수 있다. 동력 단속 장치(250)는 동력원(101)이나 동력 전달 장치에서 전달되는 구동력을 펌프부(230)에 연결하거나 끊는다. 동력 단속 장치(250)인 클러치는 일측이 펌프부 스프로킷(236)에 결합되고, 타측이 펌프부 축(238)에 결합되어 일측과 타측이 서로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동력 단속 장치(250) 내의 클러치가 결합될 때는 동력원(210)의 구동력이 펌프부(230)에 전달되고, 동력 단속 장치(250)인 클러치가 분리될 때는 동력원(210)의 구동력이 펌프부(230)에 전달되지 않는다. 이러한 동력 단속 장치(250)의 기능은 제어부(260)에 연결되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조작 가능하다.
동력 단속 장치(250)가 구비되어 펌프부(230)의 동작이 조절될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차량(600)을 운행하면서 무선 원격으로 분사 작업을 조절할 수 있다.
펌프부(230)에는 흡입부(231)와 바이패스부(232) 및 송출부(233)가 마련된다.
흡입부(231)는 약제 탱크(120)에 연결되어 약제를 흡입한다. 흡입부(231)에는 흡입 배관(241)이 연결된다. 흡입 배관(241)을 통해 상기 약제 탱크(120)의 약액은 상기 펌프부(230)로 흡입된다. 상기 흡입 배관(241)은 일측이 상기 펌프부(230)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약제 탱크(120)의 약제 출구(123)로 연결되어 약액이 펌프부(230)로 흡입되도록 한다.
바이패스부(232)에는 바이패스 배관(242)이 연결된다. 상기 바이패스 배관(242)은 상기 펌프부(230)로 유입된 약액 중 일부를 상기 약제 탱크(120)로 다시 공급하기 위한 배관으로, 상기 약제 탱크(120) 내의 약제가 가라앉지 않고 균일한 농도를 갖도록 교반하기 위해 약액을 공급하기 위한 배관이다. 상기 바이패스 배관(242)은 일측이 상기 펌프부(230)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약제 탱크(120)의 약제 회수구(124)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펌프부(230)로부터 상기 약제 탱크(120)로 약액을 이동시킨다.
송출부(233)는 약액을 분사 노즐에 연결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송출부(233)에는 송출 배관(243,244,245)이 연결된다.
송출부(233)에는 분기구(234)가 마련되어 복수의 송출 배관(243,244,245)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1 송출 배관(243)은 제1 노즐부(331)에 연결되고, 제2 송출 배관(243,244,245)은 제2 노즐부(335)에 연결되고, 제3 송출 배관(243,244,245)은 예비 라인(390)에 연결된다. 예비 라인은 예비 호스로 구성될 수 있다.
펌프부(230)에는 펌프 내의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표시부(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압력표시부에 일정한 범위 내의 압력을 유지하도록 압력조절부(235)가 구비된다. 상기 압력조절부(235) 내부에는 일정한 양의 공기와 약액이 충전되어 있어 펌프부(230) 내의 압력을 조절하게 된다.
이때의 펌프부(230) 내의 압력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으며, 수동으로 조절하는 경우에는 조절밸브(미도시)를 회전시킴으로써 펌프부(230) 내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분사부 모듈(300)이 마련된다. 도 9에 분사부 모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분사부 거치대(310)가 마련된다. 분사부 거치대(310)는 분사 유닛(320)을 거치하고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분사부 거치대(310)는 분사 유닛(320)을 지지할 수 있는 크기의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분사부 거치대(310)는 가로, 세로, 높이의 소정의 부피를 이루도록 다수개의 플레이트로 연결 구성될 수 있다. 도 9에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된 분사부 거치대(310)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형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의 입체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다.
분사부 거치대(310)는 상면부(311)을 이루는 프레임이나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사부 거치대(310)의 측면 모서리부에는 베이스부(400), 구체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제3 장착부(431)에 장착될 수 있는 제3 돌출부(315)가 각각 돌출된다. 분사부 거치대(310)의 제3 돌출부(315)가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제3 장착홈(432)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분사부 거치대(310)가 베이스 플레이트(410)에 고정됨에 따라 분사부 모듈(300)이 베이스부(400)에 설치된다.
분사부 거치대(310)를 베이스 플레이트(410)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고정 장치(150)가 마련된다. 고정 장치(150)는 제3 돌출부(315)에 인접하여 마련된다.
고정 장치(150)는 약제부 모듈(100)에 적용된 고정 장치(150)가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분사부 거치대(310)를 베이스부(400)에 고정시킬 수 있는 다른 형태의 고정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분사 유닛(320)이 분사부 거치대(3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분사 유닛(320)은 하우징(322)과 상기 하우징(322)에 설치되는 노즐부(330)와 송풍용 팬(340)을 포함한다.
분사 유닛(320)의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322)이 마련된다. 하우징(322)은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322)의 전면부에는 노즐부(330)가 설치되고, 하우징(322)의 내부 또는 후면부에는 송풍용 팬(340)이 설치된다.
노즐부(330)는 하우징(322)의 전면부에 설치된다. 노즐부(330)는 원형 관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노즐부(330)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원형 관로인 제1 노즐부(331)와 제2 노즐부(335)로 구성될 수 있다.
노즐부(330)에는 분사 노즐이 구비된다. 각 노즐부(330)에는 용도가 다른 분사 노즐이 복합적으로 구비되어 분사 거리와 분사 각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 노즐부(331)에는 원거리 분사 노즐(333)과 중거리 분사 노즐(332)가 구비되고, 제2 노즐부(335)에는 근거리 분사 노즐(336)이 구비될 수 있다. 각 노즐(332,333,336)이 노즐부(331,335)에 복합적으로 구비되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노즐부를 조절하여 분사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각 노즐(332,333,336)은 개별적으로 분사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송풍용 팬(340)은 하우징(322)의 내부에 설치된다. 송풍용 팬(340)은 송풍용 팬 모터(345)에 의해 가동된다. 송풍용 팬(340)이 회전하면 하우징(322)의 후면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하우징(322)의 전면부로 송출한다. 노즐부(330)에서 분사되는 약액은 송풍용 팬(340)에서 제공되는 바람의 힘을 받아 멀리 분사될 수 있다.
또한, 송풍용 팬(340)은 노즐부(330)의 분사 노즐(332,333,336)에서 약액에 혼합되는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이체류 분사 노즐의 경우 약제인 액체와 혼합되는 기체인 공기가 필요한데 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공한다.
분사 유닛(320)에는 하우징(322)을 움직일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된다. 예를 들면, 하우징(322)은 수평축(351)을 기준으로 회전하거나, 수직축(353)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분사 유닛(320)에는 하우징(322)을 움직이면서 지지할 수 있도록 가동 지지대(350)가 마련된다. 가동 지지대(350)는 분사부 거치대(3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가동 지지대(350)는 'U'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가동 지지대(350)의 하부에는 수직축(353)이 마련된다. 수직축(353)은 분사부 거치대(310)에 관통 설치된다.
수직축(353)에는 제1 모터(360)가 연결되어 수직축(353)을 회전시킨다.
제1 모터(360)와 수직축(353) 사이에는 제1 감속 기어(365)가 구비될 수 있다. 수직축(353)은 분사부 거치대(310)의 축홀(313)에 관통 설치된다. 축홀(313)에는 관 베어링(355)이 구비되어 수직축(353)과 분사부 거치대(310) 상이의 마찰이 감소될 수 있다. 제1 모터(360)에 의해 수직축(353)이 회전하면 가동 지지대(350)는 수직축(353)을 기준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분사 유닛(320)은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움직인다.
가동 지지대(350)의 양팔부에는 수평축(351)이 설치된다. 수평축(351)은 하우징(322)에 고정 설치된다. 수평축(351)은 제2 모터(370)에 연결되어 회전한다. 여기서, 제2 모터(370)는 가동 지지대(350)의 일부에 설치되는 지지 브래킷(357)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모터(370)에는 제2 감속 기어(375)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감속 기어(375)와 수평축(351)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체인이나 풀리 등 모터 동력 전달 장치(377)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모터(370)에 의해 수평축(351)이 회전하고, 이에 따라 하우징(322)이 수평축(351)을 기준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분사 유닛(320)은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움직인다.
제1 모터(360) 또는 제2 모터(370)에는 각각 모터 브레이크(미도시)가 구비된다. 제1 모터(360) 또는 제2 모터(370)가 제어부(260)로부터 정지 신호를 받는 경우 수평축(351) 또는 수직축(353)은 더이상 회전하지 않고 즉각적으로 정지 작업이 수행된다. 따라서, 분사 유닛(320)의 자세(위치, 방향)가 정밀하게 제어된다.
제어부(260)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260)가 동력부 모듈(200)에 부속되는 것으로 설정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도 10에 제어부의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어부(260)는 제어부함에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260)에는 다수의 스위치류(switch類)가 마련된다. 이러한 스위치(263)류는 전자접촉기들로 구성될 수 있다. 스위치는 송풍용 팬(340) 가동 및 정지를 위한 스위치, 송풍용 팬(340)의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 회전을 위한 모터 구동용 스위치, 약액 분사를 위해 펌프부(230)를 가동하기 위한 스위치, 라이트를 점등하기 위한 스위치 등이 포함된다.
스위치류는 제어부함 외측에 마련된 버튼(264)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버튼(264)을 눌러 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260)에는 송풍용 팬(340)이나 모터(360,370)의 속도 제어를 위해 인버터(265)등의 속도 조절기가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260)에는 무선 수신부(267)가 마련된다. 무선 수신부(267)는 원격 조작부(270)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260)의 스위치(263)를 조작하게 된다.
원격 조작부(270)가 마련된다. 원격 조작부(270)는 통상적으로 리모트 컨트롤(remote control)이라고 칭하는 기기이다. 원격 조작부(270)에는 상기 무선 수신부(267)에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 송신부가 구비된다. 사용자는 원격 조작부(270)를 이용하여 차량 이동 중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방제기에 의하면 주요 구성부별로 모듈화되어 부분별로 조립 및 설치 또는 분리 및 해체가 용이하다. 더불어 탑재 및 하역 시간이 감소한다.
또한, 적재 장치가 구비되어 차량에 탑재 및 하역이 용이하다. 더불어, 스탠드 어론(stand alone) 방식으로 독자적으로 서 있을수 있다.
또한, 동력원으로서 디젤 엔진이 적용되어 연료비용이 경감된다.
또한, 동력 전달 장치가 마련되어 하나의 동력원으로부터 분사용 펌프 및 전기 발생용 발전기에 통합적으로 동력이 제공된다. 따라서, 펌프부와 발전기에 별개로 동력원이 필요하였던 종래기술에 비해 동력원의 갯수가 감소하고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동력원과 펌프 사이에 전자식 클러치가 구비되어 분사 작업과 정지 작업이 가능하여 약액의 낭비가 감소하고 무선에 의한 원격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원거리용 분사 노즐과 중거리 분사 노즐 및 근거리 분사 노즐이 복합적으로 구성되어 분사 영역 및 분사 방식에 대해 복합적인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무선 송수신부가 구비되어 차량 이동중 분사 작업 수행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실시예들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약제부 모듈 110 약제부 거치대
111 저면부 115 제1 돌출부
121 주입구 123 약제 출구
124 약제 회수구 130 교반 기구
140 여과기 141 구조물
142 여과망 143 손잡이
145 뚜껑 150 고정 장치
151 레버 152 가압부
153 레버축 155 슬라이딩바
156 레버홀 200 동력부 모듈
205 동력부 거치대 210 동력원
211 구동축 212 제1 스프로킷
214 제2 스프로킷 215 시동용 배터리
216 제1 풀리 217 제2 풀리
220 발전부 222 발전부 스프로킷
230 펌프부 231 흡입부
232 바이패스부 233 송출부
236 펌프부 스프로킷 241 흡입 배관
242 바이패스 배관 243 제1 송출 배관
244 제2 송출 배관 245 제3 송출 배관
250 동력 단속 장치 260 제어부
263 스위치 265 인버터
267 무선 수신부 270 원격 조작부
300 분사부 모듈 310 분사부 거치대
313 축홀 315 제3 돌출부
320 분사 유닛 322 하우징
330 노즐부 331 제1 노즐부
332 중거리 분사 노즐 333 원거리 분사 노즐
335 제2 노즐부 336 근거리 분사 노즐
340 송풍용 팬 345 송풍용 팬 모터
350 가동 지지대 351 수평축
353 수직축 355 관 베어링
357 지지 브래킷 360 제1 모터
365 제1 감속 기어 370 제2 모터
375 제2 감속 기어 377 모터 동력 전달 장치
390 예비 라인 400 베이스부
410 베이스 플레이트 411 제1 장착부
412 제1 장착홈 421 제2 장착부
422 제2 장착홈 431 제3 장착부
432 제3 장착홈 441 확장홈
445 적재홈 450 폭 조절장치
451 확장 부재 452 연결부
455 고정자 460 적재 장치
461 상부 부재 462 관통홀
463 삽입부 465 하부 부재
466 축홀 467 지지부
470 회전부재 471 축부
475 회전 레버 476 연장부
477 플랜지 600 차량
610 적재함

Claims (38)

  1. 약액을 수용하는 약제 탱크를 포함하는 약제부 모듈;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원,
    상기 동력원의 구동력에 의해 가동되고 상기 약액을 흡입하여 고압으로 송출하는 펌프부 및
    상기 동력원의 구동력에 의해 가동되고 전기를 제공하는 발전부를 포함하는 동력부 모듈;
    상기 펌프부에서 송출된 상기 약액을 분사하는 노즐부 및
    상기 노즐부에 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송풍용 팬을 포함하는 분사부 모듈; 및
    상기 약제부 모듈, 동력부 모듈, 분사부 모듈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원거리 방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약제부 모듈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장착부, 상기 동력부 모듈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장착부, 상기 분사부 모듈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 장착부가 마련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원거리 방제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부 모듈이 설치되는 약제부 거치대, 상기 동력부 모듈이 설치되는 동력부 거치대, 상기 분사부 모듈이 설치되는 분사부 거치대를 포함하는 원거리 방제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부 거치대는 상기 제1 장착부에 형성되는 제1 장착홈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동력부 거치대는 상기 제2 장착부에 형성되는 제2 장착홈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분사부 거치대는 상기 제3 장착부에 형성되는 제3 장착홈에 삽입 설치되는 원거리 방제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면에 나란히 배치되는 확장 부재;
    상기 확장 부재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확장홈에 인입출 가능하게 삽입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고정자를 포함하는 폭 조절 장치를 갖는 원거리 방제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지면에 배치되는 하부 부재;
    상기 하부 부재에 상하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부재;
    상기 하부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 부재를 이동시키는 회전 부재;를 포함하는 적재 장치를 갖는 원거리 방제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부재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면에 형성되는 적재홈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가 측면으로 돌출되는 원거리 방제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부재에는 상기 회전 부재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원거리 방제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부재의 하부는 넓게 연장되어 지지부가 형성되는 원거리 방제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회전 부재가 나사 결합되는 축홀이 형성되는 원거리 방제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에는 상기 상부 부재의 상면 아래 배치되는 플랜지가 형성되는 원거리 방제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축홀 및 관통홀에 삽입 결합되는 축부,
    상기 축부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상기 축부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핸들부를 포함하는 원거리 방제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탱크의 주입구에는 여과기가 구비되는 원거리 방제기.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부 거치대 또는 동력부 거치대 또는 분사부 거치대에는,
    상기 장착홈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슬라이딩바 및
    상기 슬라이딩바를 상하 운동시키는 레버를 포함하는 고정 장치를 갖는 원거리 방제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 모듈은,
    상기 동력원의 구동력을 상기 펌프부 및 발전부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장치를 더 포함하는 원거리 방제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장치는,
    상기 동력원의 구동축에 구비되는 제1 스프로킷과 제2 스프로킷;
    상기 펌프부의 축에 구비되는 펌프부 스프로킷;
    상기 발전부의 축에 구비되는 발전부 스프로킷;
    상기 제1 스프로킷과 펌프부 스프로킷을 연결하는 제1 풀리; 및
    상기 제2 스프로킷과 발전부 스프로킷을 연결하는 제2 풀리를 포함하는 원거리 방제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부의 축과 펌프부 스프로킷 사이에는 상기 동력원으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을 단속(斷續)하는 전자식 클러치가 구비되는 원거리 방제기.
  1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 모듈에는 전면부와 후면부가 개방되는 하우징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부에 상기 노즐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송풍용 팬이 구비되는 원거리 방제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에는 원거리 분사 노즐, 중거리 분사 노즐, 근거리 분사 노즐이 구비되는 원거리 방제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 모듈에는
    상기 하우징을 상기 분사부 거치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가동 지지대가 구비되는 원거리 방제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 모듈은,
    상기 가동 지지대의 양팔부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결합되는 수평축과,
    상기 가동 지지대를 상기 분사부 거치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수직축을 포함하는 원거리 방제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 거치대에는 상기 수직축을 회전시키는 제1 모터가 구비되는 원거리 방제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지지대에는 상기 수평축을 회전시키는 제2 모터가 구비되는 원거리 방제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축과 제2 모터 사이에는 모터 동력 전달 장치가 구비되는 원거리 방제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터 또는 제2 모터에는 모터 브레이크가 구비되는 원거리 방제기.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 모듈에는 제어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송풍용 팬의 회전을 제어하거나 상기 제1 모터 또는 제2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스위치류가 구비되는 원거리 방제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스위치류에 연결되는 무선 수신부가 구비되는 원거리 방제기.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무선 수신부에 신호를 전달하는 무선 송신부를 갖는 원격 조작부가 구비되는 원거리 방제기.
  29. 약액을 수용하는 약제 탱크;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원;
    상기 동력원의 구동력에 의해 가동되고 상기 약액을 흡입하여 고압으로 송출하는 펌프부;
    상기 동력원의 구동력에 의해 가동되고 전기를 제공하는 발전부;
    상기 펌프부에서 송출된 상기 약액을 분사하는 분사 유닛; 및
    상기 동력원의 구동력을 상기 펌프부 및 발전부에 각각 전달하는 동력 전달 장치를 포함하는 원거리 방제기.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장치는,
    상기 동력원의 구동축에 구비되는 제1 스프로킷과 제2 스프로킷;
    상기 펌프부의 축에 구비되는 펌프부 스프로킷;
    상기 발전부의 축에 구비되는 발전부 스프로킷;
    상기 제1 스프로킷과 펌프부 스프로킷을 연결하는 제1 풀리; 및
    상기 제2 스프로킷과 발전부 스프로킷을 연결하는 제2 풀리를 포함하는 원거리 방제기.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부의 축과 펌프부 스프로킷 사이에는 상기 동력원으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을 단속(斷續)하는 전자식 클러치가 구비되는 원거리 방제기.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탱크, 동력원 및 분사 유닛을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면에 나란히 배치되는 확장 부재;
    상기 확장 부재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확장홈에 인입출 가능하게 삽입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고정자를 포함하는 폭 조절 장치를 갖는 원거리 방제기.
  33. 제29항에 있어서,
    지면에 배치되는 하부 부재;
    상기 하부 부재에 상하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부재;
    상기 하부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 부재를 이동시키는 회전 부재;를 포함하는 적재 장치를 갖는 원거리 방제기.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유닛은,
    전면부와 후면부가 개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면부에 구비되는 노즐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송풍용 팬을 포함하는 원거리 방제기.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에는 원거리 분사 노즐, 중거리 분사 노즐 및 근거리 분사 노즐이 구비되는 원거리 방제기.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가동 지지대가 구비되는 원거리 방제기.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지지대의 양팔부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결합되는 수평축;
    상기 가동 지지대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수직축;
    상기 수직축을 회전시키는 제1 모터;
    상기 수평축을 회전시키는 제2 모터; 및
    상기 수평축과 제2 모터 사이에 구비되는 모터 동력 전달 장치가 구비되는 원거리 방제기.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용 팬의 회전을 제어하거나 상기 제1 모터 또는 제2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스위치류가 구비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스위치류에 연결되는 무선 수신부; 및
    상기 무선 수신부에 신호를 전달하는 무선 송신부를 갖는 원격 조작부가 구비되는 원거리 방제기.
KR1020210136858A 2021-10-14 2021-10-14 원거리 방제기 KR202300534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6858A KR20230053400A (ko) 2021-10-14 2021-10-14 원거리 방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6858A KR20230053400A (ko) 2021-10-14 2021-10-14 원거리 방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3400A true KR20230053400A (ko) 2023-04-21

Family

ID=86098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6858A KR20230053400A (ko) 2021-10-14 2021-10-14 원거리 방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340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38426A (zh) * 2023-10-23 2023-12-01 天津金耀盛景玻璃有限公司 一种用于玻璃生产的废料回收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38426A (zh) * 2023-10-23 2023-12-01 天津金耀盛景玻璃有限公司 一种用于玻璃生产的废料回收装置
CN117138426B (zh) * 2023-10-23 2024-01-26 天津金耀盛景玻璃有限公司 一种用于玻璃生产的废料回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7941B2 (en) Dust suppression apparatus
US11752527B2 (en) Pressure washer with container holder
US6663016B2 (en) Applicator assembly for application of adhesives, sealants and coatings
KR20230053400A (ko) 원거리 방제기
US11253053B2 (en) Portable foam brush
KR100811221B1 (ko) 액체 살포용 분무장치
KR20230084368A (ko) 약액의 영향을 최소화한 lidar 활용 스마트 방제장치 및 그 방법
KR20220000279U (ko) 이동식 터널 세정기
JP5675001B2 (ja) 塗装装置
JP3731627B2 (ja) 自走式煙霧機及び噴霧方法
CN212817327U (zh) 一种电动式静电喷雾消毒车
KR200300678Y1 (ko) 다기능 방역소독기
CN110447624A (zh) 一种喷药装置
KR101867964B1 (ko) 차량 탑재형 연막 소독기
JPH11147058A (ja) 無線操縦ヘリコプター
CN219702424U (zh) 快拆式消毒喷雾机
CN220004520U (zh) 一种履带式喷涂设备
JP3889319B2 (ja) 清掃車両における制御装置
CN215521098U (zh) 一种船用燃油预热装置
KR101515495B1 (ko) 좌우로 살포되는 차량탑재식 원거리용 방제기
CN221245670U (zh) 一种移动式高压雾化机
KR200287211Y1 (ko) 살수차용 살수바
WO2017011401A1 (en) Pivoting pump assembly
JP4031298B2 (ja) 自走式動力噴霧機
KR200268003Y1 (ko) 비닐하우스용 다목적 분무 살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