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2822A -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 Google Patents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2822A
KR20230052822A KR1020220129466A KR20220129466A KR20230052822A KR 20230052822 A KR20230052822 A KR 20230052822A KR 1020220129466 A KR1020220129466 A KR 1020220129466A KR 20220129466 A KR20220129466 A KR 20220129466A KR 20230052822 A KR20230052822 A KR 20230052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ontainer
cap body
cap unit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9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케시 이타가키
Original Assignee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어모스 케이.케이.
Publication of KR20230052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28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5Portable or compact beverage making apparatus, e.g. for travelling, for use in automotive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2Vacuum-jacket vessels, e.g. vacuum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16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 B65D81/3222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with additional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Packages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Abstract

[과제] 차망 부재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고, 그리고 또한, 차망 부재의 세정성을 높이는 것을 가능하게 한 캡 유닛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2)의 내측으로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용기 본체(2)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본체(8)와, 캡 본체(8)의 하단측의 외주부에 장착되어, 용기 본체(2)의 내측에 마련된 장출부(7)와 캡 본체(8)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지수 패킹(20)과, 캡 본체(8)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차망 부재(10)를 구비하고, 차망 부재(10)는, 캡 본체(8)의 하단부와 지수 패킹(20)과의 사이에 끼워넣어진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Description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Cap unit and cap-equipped container}
본 발명은,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의 구경부(口頸部)에 장착되는 것에 의해서,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폐색(閉塞)하는 캡 유닛(마개체)을 구비한 캡 부착 용기가 있다. 그 중에서도, 용기 본체 내에 찻잎 등을 넣어 추출을 행하는 차망을 구비한 차망 부착 용기가 있다(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 2를 참조.).
구체적으로, 하기 인용문헌 1에는, 내부 통과 외부 통과의 사이에 단열부를 가지는 용기 본체와, 해당 용기 본체의 상단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입구 부재와, 해당 입구 부재의 개구부를 덮는 단열부를 가지는 덮개체로 구성되는 보온 용기로서, 상기 입구 부재는,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삽입되는 통체를 가지고, 해당 통체의 하단에 차 거름망 맞물림부가 형성되고, 해당 맞물림부에 차 거름망을 마련한 차망 부착 보온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하기 인용문헌 2에는, 음료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음료를 따르기 위한 주입구를 가지는 베이스부와, 상기 주입구를 폐색하는 것이 가능한 캡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상기 음료의 누설을 방지하는 패킹과, 상기 패킹에 장착되어, 상기 음료가 상기 주입구로부터 따라질 때에, 상기 음료를 여과하는 필터부를 구비한 음료용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평11-253312호 공보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3215556호 공보
그런데, 상술한 인용문헌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통체측의 맞물림부에 차 거름망측의 플랜지부를 맞물림시키는 것에 의해서, 통체에 대해서 차 거름망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한편, 인용문헌 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패킹측의 걸림부에 필터부측의 걸림부를 걸리게 하는 것에 의해서, 패킹에 대해서 필터부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술한 차 거름망이나 필터부의 세정성을 고려했을 경우, 차 거름망이나 필터부의 착탈이 용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 거름망이나 필터부의 구경을 크게 한 쪽이, 찻잎 등의 출납이 용이하게 된다.
그렇지만, 차 거름망이나 필터부의 구경에 맞추어, 용기 본체의 구경을 크게 하면, 용기 본체 내에 고온의 음료를 넣어 덮개 폐쇄했을 경우, 음료의 온도가 내려가고, 용기 본체 내의 압력이 감소(감압)하는 것에 수반하여, 캡 유닛이 용기 본체의 내측으로 끌려들어가게 되는 것에 의해서, 마개 개방하기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차망 부재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고, 그리고 또한, 차망 부재의 세정성을 높이는 것을 가능하게 한 캡 유닛, 그리고, 그와 같은 캡 유닛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서, 사용 편의성의 한층 더 향상을 가능하게 한 캡 부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제공한다.
[1]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의 내측으로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상기 용기 본체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본체와,
상기 캡 본체의 하단측의 외주부에 장착되어,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에 마련된 장출부(張出部)와 상기 캡 본체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지수 패킹과,
상기 캡 본체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차망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차망 부재는, 상기 캡 본체의 하단부와 상기 지수 패킹과의 사이에 끼워넣어진 상태로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2] 상기 차망 부재는, 상기 캡 본체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캡 유닛.
[3] 상기 차망 부재는, 상부가 개구된 차망 본체와, 상기 차망 본체의 상단부로부터 확경(擴徑, 지름 확대) 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부를 가지며,
상기 캡 본체의 하단부와 상기 지수 패킹과의 사이에 상기 플랜지부가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상기 캡 본체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에 기재된 캡 유닛.
[4] 상기 차망 부재는, 상기 차망 본체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플랜지부의 선단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캡 본체의 하단부에는, 상기 경사면과 맞닿아지는 맞닿음면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3]에 기재된 캡 유닛.
[5] 상기 캡 본체는, 상기 용기 본체에 대해서 나사 결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 유닛.
[6] 상기 캡 본체의 내측으로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상기 캡 본체에 대해서 나사 결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캡 본체의 저부에 마련된 통액 구멍을 개폐하는 덮개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 유닛.
[7] 상기 덮개체는, 상기 캡 본체의 상부를 덮는 상부 덮개와,
상기 캡 본체의 내측으로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상기 캡 본체에 대해서 나사 결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중간 마개와,
상기 중간 마개의 하단측의 외주부에 장착되어, 상기 캡 본체의 상기 통액 구멍의 주위와 상기 중간 마개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덮개 패킹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6]에 기재된 캡 유닛.
[8] 상기 [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 유닛과,
상기 캡 유닛이 장착된 용기 본체를 구비하는 캡 부착 용기.
[9] 상기 용기 본체는,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8]에 기재된 캡 부착 용기.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차망 부재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고, 그리고 또한, 차망 부재의 세정성을 높이는 것을 가능하게 한 캡 유닛, 그리고, 그와 같은 캡 유닛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서, 사용 편의성의 한층 더 향상을 가능하게 한 캡 부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캡 유닛을 구비한 캡 부착 용기의 마개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캡 유닛을 구비한 캡 부착 용기의 마개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캡 유닛을 구비한 캡 부착 용기의 마개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캡 유닛을 구비한 캡 부착 용기의 마개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캡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캡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캡 유닛의 내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내는 캡 유닛에 중간 덮개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중간 덮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로서, 예를 들면 도 1~도 7에 나타내는 캡 유닛(1)을 구비한 캡 부착 용기(100)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1은, 캡 유닛(1)을 구비한 캡 부착 용기(100)의 마개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캡 유닛(1)을 구비한 캡 부착 용기(100)의 마개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캡 유닛(1)을 구비한 캡 부착 용기(100)의 마개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캡 유닛(1)을 구비한 캡 부착 용기(100)의 마개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캡 유닛(1)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캡 유닛(1)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캡 유닛(1)의 내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캡 부착 용기(100)는, 도 1~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과, 이 캡 유닛(1)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용기 본체(2)를 구비하고, 용기 본체(2) 내에 찻잎 등을 넣어 추출을 행하는 차망을 구비한 차망 부착 용기가 있다.
용기 본체(2)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바닥을 가지는 통 모양의 외부 용기(3) 및 내부 용기(4)를 가지고, 외부 용기(3)의 내측에 내부 용기(4)를 수용한 상태에서 서로의 입가부를 접합한 이중 구조의 용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외부 용기(3)와 내부 용기(4)와의 사이에는, 진공 단열층(5)이 마련되어 있다. 진공 단열층(5)은, 예를 들면, 고진공으로 감압(진공 퍼지)된 챔버 내에서, 외부 용기(3)의 저면 중앙부에 마련된 탈기공(脫氣孔)을 막는 것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용기 본체(2)는, 대략 원형 모양의 저면부(2a)와, 저면부(2a)의 외주로부터 대략 원통 모양으로 기립한 몸통부(2b)와, 몸통부(2b)의 상부측에 있어서 축경(縮徑, 지름 축소)된 대략 원통 모양의 구경부(2c)를 가지고 있다. 또한, 구경부(2c)의 상단부는,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로서, 원형 모양으로 개구되어 있다.
구경부(2c)의 내주면은, 몸통부(2b)의 내주면보다도 축경되어 있다. 또한, 구경부(2c)의 내주면에는, 제1 암나사부(6)가 마련되어 있다. 제1 암나사부(6)는, 구경부(2c)의 상단측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나선 모양으로 돌출된 나사산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암나사부(6)의 하방에는, 링 모양의 장출부(7)가 용기 본체(2)의 내주면으로부터 전체 둘레에 걸쳐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캡 부착 용기(100)는, 전체적으로 대략 원통 모양의 외관 형상을 가지고 있지만, 캡 부착 용기(100)의 외관 형상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이즈나 디자인 등에 맞추어 적절히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용기 본체(2)의 외주면에는, 도장이나 인쇄 등이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은, 도 3~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를 폐색하는 마개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캡 본체(8)와, 이 캡 본체(8)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덮개체(9)와, 캡 본체(8)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차망 부재(10)를 구비하고 있다.
캡 본체(8)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 등의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캡 본체(8)는, 용기 본체(2)의 내측과 연통되는 통액 구멍(11)과, 통액 구멍(11)이 형성된 저벽부(12)와, 저벽부(12)의 주위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세워져 형성된 둘레벽부(13)와, 둘레벽부(13)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점차 확경되면서 세워져 형성된 확경벽부(14)와, 확경벽부(14)의 일부를 확경 방향으로 돌출시킨 한 쌍의 주입구부(15)와, 주입구부(15)에 연속해서 둘레벽부(13)의 내주면의 일부를 저벽부(12)를 향하여 절결(切缺)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홈부(16)를 가지고 있다.
통액 구멍(11)은, 저벽부(12)의 저면 중앙부에 원형 모양으로 개구되어 있다. 저벽부(12)는, 둘레벽부(13)로부터 통액 구멍(11)을 향하여 하향으로 경사(축경)져 있다. 둘레벽부(13)는, 저벽부(12)와 확경벽부(14)와의 사이에서 동일한 지름(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다. 확경벽부(14)는, 둘레벽부(13)로부터 캡 본체(8)의 상단부를 향하여 상향으로 경사(확경)져 있다.
한 쌍의 주입구부(15)는, 확경벽부(14)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주입구부(15)는, 확경벽부(14)의 일부를 확경 방향으로 돌출시키는 것에 의해서, 둘레벽부(13)로부터 캡 본체(8)의 상단부를 향하여 확경벽부(14)보다도 크게 경사(확경)져 있다. 이것에 의해, 캡 본체(8)의 상단부는, 캡 본체(8)의 상부 개구부(8a)로서, 대략 타원 형상으로 개구되어 있다.
한 쌍의 홈부(16)는, 둘레벽부(13)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홈부(16)는, 주입구부(15)에 대응한 일정 폭으로 상하 방향으로 절결되어 있다.
캡 본체(8)의 내측에는, 둘레벽부(13)의 상단으로부터 확경벽부(14)를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17)이 전체 둘레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한편, 캡 본체(8)의 외측에는, 둘레벽부(13)와 확경벽부(14)와의 사이로부터 확경 방향으로 돌출된 상측 플랜지부(18)가 전체 둘레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둘레벽부(13)(캡 본체(8))의 외주면에는, 제1 수나사부(19)가 마련되어 있다. 제1 수나사부(19)는, 둘레벽부(13)의 하단측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나선 모양으로 돌출된 나사산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캡 본체(8)는,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로부터 용기 본체(2)의 내측으로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제1 암나사부(6)와 제1 수나사부(19)를 구성하는 나사산끼리의 나사 결합에 의해서, 용기 본체(2)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캡 본체(8)는, 용기 본체(2)의 구경부(2c)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측 플랜지부(18)가 구경부(2c)의 상단부와 맞닿아지는 것에 의해서,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를 덮고 있다.
둘레벽부(13)(캡 본체(8))의 하단측의 외주부에는, 지수 패킹(20)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지수 패킹(20)은, 용기 본체(2)의 내측과 캡 본체(8)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링 모양의 씰 부재이며,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등의 내열성을 가지는 고무나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진다.
캡 본체(8)의 하단측의 외주부에는, 하측 플랜지부(21)가 확경 방향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한편, 지수 패킹(20)의 내주면에는, 링 모양의 감합(嵌合) 오목부(20a)가 전체 둘레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지수 패킹(20)은, 이 감합 오목부(20a)에 하측 플랜지부(21)가 감합된 상태에서, 캡 본체(8)의 하단측의 외주부에 전체 둘레에 걸쳐 끼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지수 패킹(20)의 외주부에는, 탄성 플랜지부(20b)가 마련되어 있다. 탄성 플랜지부(20b)는, 지수 패킹(20)의 외주면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만곡(灣曲)하면서 돌출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지수 패킹(20)은, 용기 본체(2)에 캡 본체(8)가 장착되었을 때에, 탄성 플랜지부(20b)가 탄성 변형하면서, 장출부(7)에 전체 둘레에 걸쳐 밀착된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장출부(7)와 캡 본체(8)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지수 패킹(20)은, 그 자체를 탄성 변형시키는(끌어당겨 늘리는) 것에 의해서, 캡 본체(8)의 하단측의 외주부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지수 패킹(20)과 캡 본체(8)를 각각 따로 따로 세정할 수 있어, 지수 패킹(20)과 캡 본체(8)와의 사이를 위생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둘레벽부(13)(캡 본체(8))의 내주면에는, 제2 암나사부(22)가 마련되어 있다. 제2 암나사부(22)는, 둘레벽부(13)의 상단측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나선 모양으로 돌출된 나사산으로 구성되어 있다.
덮개체(9)는, 통액 구멍(11)을 개폐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PP 등의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상부 덮개(23) 및 중간 마개(24)를 가지고 있다.
상부 덮개(23)는, 캡 본체(8)의 상부를 덮는 부분으로, 캡 본체(8)의 상부 개구부(8a)에 대응한 대략 타원 형상을 가지며, 편평 평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덮개(23)의 상부에는, 파지부(25)가 마련되어 있다. 파지부(25)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으로, 상부 덮개(23)의 상면 중앙부로부터 핀 모양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중간 마개(24)는, 캡 본체(8)의 내측으로 끼워넣어지는 부분으로, 바닥을 가지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부 덮개(23)의 하면 중앙부에 용착 등에 의해 일체로 장착되어 있다. 중간 마개(24)의 내측에는, 단열층으로서, 예를 들면 발포 우레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단열재(S)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단열층으로서는, 상술한 단열재(S) 대신에, 공기(공극)여도 된다.
중간 마개(24)의 외주면에는, 제2 수나사부(26)가 마련되어 있다. 제2 수나사부(26)는, 중간 마개(24)의 외주면의 하단측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나선 모양으로 돌출된 나사산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덮개체(9)는, 캡 본체(8)의 상부 개구부(8a)로부터 캡 본체(8)의 내측으로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제2 암나사부(22)와 제2 수나사부(26)를 구성하는 나사산끼리의 나사 결합에 의해서, 캡 본체(8)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제2 암나사부(22)와 제2 수나사부(26)는, 서로 상보형(相補形)을 이루는 2중 나사로 이루어진다. 2중 나사를 이용했을 경우, 캡 본체(8)에 대해서 덮개체(9)를 적은 회전 조작(본 실시 형태에서는 약 450°)으로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다.
중간 마개(24)의 하단측의 외주부에는, 덮개 패킹(27)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덮개 패킹(27)은, 저벽부(12)의 통액 구멍(11)의 주위(캡 본체(8)의 내측)와 중간 마개(24)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링 모양의 씰 부재이며, 상기 지수 패킹(20)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등의 내열성을 가지는 고무나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진다.
중간 마개(24)의 하단측의 외주부에는, 링 모양의 감합 홈(24a)이 전체 둘레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덮개 패킹(27)은, 이 감합 홈(24a)에 전체 둘레에 걸쳐 끼워 장착되어 있다.
덮개 패킹(27)은, 캡 본체(8)에 덮개체(9)가 장착되었을 때에, 탄성 변형하면서 통액 구멍(11)의 주위에 전체 둘레에 걸쳐 밀착된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통액 구멍(11)(캡 본체(8)의 내측)과 중간 마개(24)(덮개체(9))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덮개 패킹(27)은, 그 자체를 탄성 변형시키는(끌어당겨 늘리는) 것에 의해서, 중간 마개(24)의 하단측의 외주부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덮개 패킹(27)과 덮개체(9)를 각각 따로 따로 세정할 수 있어, 덮개 패킹(27)과 덮개체(9)와의 사이를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중간 마개(24)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는, 서로 대칭이 되는 한 쌍의 리브벽(28)이 마련되어 있다. 각 리브벽(28)은, 제2 수나사부(26)보다도 상방에 위치하여, 중간 마개(24)의 외주면으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확경 방향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또한, 리브벽(28)은, 제2 수나사부(26)를 형성하는 나사산보다도 확경 방향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추가로, 리브벽(28)은, 홈부(16)의 폭보다도 둘레 방향으로 폭넓게 연장되어 마련되어 있다.
차망 부재(10)는, 차망을 구성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PP 등의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바닥을 가지는 대략 원통 모양의 차망 본체(29)를 가지고 있다. 또한, 차망 본체(29)(차망 부재(10))의 내경은, 통액 구멍(11)의 내경과 동일한 지름으로 되어 있다.
차망 본체(29)의 주위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슬릿(29a)이 상하 방향 및 둘레 방향으로 늘어서서 마련되어 있다. 또한, 차망 본체(29)의 저부에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슬릿(29a)이 동심원 모양으로 늘어서서 마련되어 있다.
차망 본체(29)의 상단부는, 차망 본체(29)의 상부 개구부(29b)로서, 원형 모양으로 개구되어 있다. 또한, 차망 본체(29)의 상단부에는, 플랜지부(29c)가 확경 방향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추가로, 차망 본체(29)의 상단부에는, 플랜지부(29c)의 선단을 향하여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면(29d)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캡 본체(8)의 하단부에는, 이 경사면(29d)과 맞닿아지는 맞닿음면(8b)이 마련되어 있다. 맞닿음면(8b)은, 저벽부(12)의 통액 구멍(11)의 주위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돌출된 하부 통부(8c)의 내측에 전체 둘레에 걸쳐 경사지게 마련되어 있다.
차망 부재(10)는, 캡 본체(8)의 하단부(하부 통부(8c))와 지수 패킹(20)과의 사이에 플랜지부(29c)가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캡 본체(8)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에서는, 상술한 캡 본체(8)에 차망 부재(10)를 장착할 때에, 차망 부재(10)를 회전시키면서 캡 본체(8)의 저부로 밀어붙이는 것에 의해서 지수 패킹(20)이 탄성 변형하여, 캡 본체(8)의 하단부(하부 통부(8c))와 지수 패킹(20)과의 사이에 플랜지부(29c)를 용이하게 끼워넣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차망 부재(10)를 캡 본체(8)에 대해서 용이하고 안정된 상태로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에서는, 용기 본체(2)로부터 캡 본체(8)를 분리한 상태에 있어서, 캡 본체(8)에 대한 차망 부재(10)의 착탈이 용이함과 아울러, 차망 부재(10)를 분리한 상태에서, 용기 본체(2)에 캡 유닛(1)을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차망 부재(10)의 내경을 통액 구멍(11)의 내경과 동일한 지름으로 함으로써, 이 차망 부재(10)에 대한 찻잎 등의 출납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차망 부재(10)의 세정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을 구비하는 캡 부착 용기(100)에서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덮개체(9)가 통액 구멍(11)을 폐색한 상태에서, 덮개체(9)를 개방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 범위(약 90°)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주입구부(15) 및 통액 구멍(11)이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용기 본체(2)를 기울어지게 하는 것에 의해서, 캡 본체(8)로부터 덮개체(9)를 분리하지 않고, 용기 본체(2) 내의 음료(액체)를 통액 구멍(11)으로부터 홈부(16) 및 주입구부(15)를 통해 컵 등에 따라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에서는, 상술한 한 쌍의 주입구부(15) 및 통액 구멍(11)이 개방된 상태에 있어서, 한 쌍의 리브벽(28)이 한 쌍의 주입구부(15)와 서로 마주 본 상태가 된다. 또한, 한 쌍의 리브벽(28)이 한 쌍의 주입구부(15)와 서로 마주 본 상태에 있어서, 주입구부(15)를 사이에 둔 리브벽(28)의 양측이 경사면(17)과 서로 마주 보는 높이 위치에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에서는, 홈부(16) 및 주입구부(15)를 통해 용기 본체(2) 내의 음료(액체)를 따라낼 때에, 음료가 리브벽(28)에 부딪침으로써, 홈부(16) 및 주입구부(15)를 매개로 하여 유출되는 음료의 유량을 제한하고,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에서는, 음료에 맥동이 발생하여 음료가 주위로 비산하거나, 음료의 액체 빠짐성이 나빠지거나 하는 것을 막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상술한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을 구비하는 캡 부착 용기(100)에서는, 사용 편의성의 한층 더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의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캡 유닛(1)에서는, 상술한 구성에 더하여, 예를 들면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중간 덮개(30)가 장착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도 8은, 캡 유닛(1)에 중간 덮개(30)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중간 덮개(30)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중간 덮개(30)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 등의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통액 구멍(11)에 대응한 원판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한, 중간 덮개(30)에는, 면내의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슬릿(30a)이 일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늘어서서 마련되어 있다. 추가로, 중간 덮개(30)의 하면측의 외주부에는, 한 쌍의 다리부(30b)가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다리부(30b)는, 중간 덮개(30)의 주위에 있어서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중간 덮개(30)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하방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중간 덮개(30)는, 한 쌍의 다리부(30b)를 차망 본체(29)의 상부 개구부(29b)에 감합시키는 것에 의해서, 캡 본체(8)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중간 덮개(30)를 구비하는 캡 유닛(1)에서는, 차망 부재(10) 내에 수용된 찻잎이 용기 본체(2) 내의 음료(액체)와 함께 통액 구멍(11)으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중간 덮개(30)에 의해 막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캡 유닛(1)에서는, 상술한 차망 본체(29)에 복수의 슬릿(29a)이 마련된 차망 부재(10)의 구성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차망 본체(29)에 그물코 모양으로 다수의 구멍부가 마련된 차망 부재(10)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용기 본체(2)에 의해서 보온·보냉 기능을 갖게 한 캡 부착 용기(100)를 예시하고 있지만,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지 않는 용기 본체를 구비한 캡 부착 용기에 대해서,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00…캡 부착 용기 1…캡 유닛
2…용기 본체 2d…상부 개구부
3…외부 용기 4…내부 용기
5…진공 단열층 6…제1 암나사부
7…장출부 8…캡 본체
8a…상부 개구부 8b…맞닿음면
9…덮개체 10…차망 부재
11…통액 구멍 12…저벽부
13…둘레벽부 14…확경벽부
15…주입구부 16…홈부
17…경사면 18…상측 플랜지부
19…제1 수나사부 20…지수 패킹
21…하측 플랜지부 22…제2 암나사부
23…상부 덮개 24…중간 마개
25…파지부 26…제2 수나사부
27…덮개 패킹 28…리브벽
29…차망 본체 29c…플랜지부
29d…경사면 30…중간 덮개

Claims (9)

  1.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의 내측으로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상기 용기 본체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본체와,
    상기 캡 본체의 하단측의 외주부에 장착되어,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에 마련된 장출부와 상기 캡 본체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지수 패킹과,
    상기 캡 본체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차망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차망 부재는, 상기 캡 본체의 하단부와 상기 지수 패킹과의 사이에 끼워넣어진 상태로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망 부재는, 상기 캡 본체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차망 부재는, 상부가 개구된 차망 본체와, 상기 차망 본체의 상단부로부터 확경 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부를 가지며,
    상기 캡 본체의 하단부와 상기 지수 패킹과의 사이에 상기 플랜지부가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상기 캡 본체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차망 부재는, 상기 차망 본체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플랜지부의 선단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캡 본체의 하단부에는, 상기 경사면과 맞닿아지는 맞닿음면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본체는, 상기 용기 본체에 대해서 나사 결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본체의 내측으로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상기 캡 본체에 대해서 나사 결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캡 본체의 저부에 마련된 통액 구멍을 개폐하는 덮개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는, 상기 캡 본체의 상부를 덮는 상부 덮개와,
    상기 캡 본체의 내측으로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상기 캡 본체에 대해서 나사 결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중간 마개와,
    상기 중간 마개의 하단측의 외주부에 장착되어, 상기 캡 본체의 상기 통액 구멍의 주위와 상기 중간 마개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덮개 패킹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 유닛과,
    상기 캡 유닛이 장착된 용기 본체를 구비하는 캡 부착 용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부착 용기.
KR1020220129466A 2021-10-13 2022-10-11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KR202300528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167877 2021-10-13
JP2021167877A JP2023058101A (ja) 2021-10-13 2021-10-13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2822A true KR20230052822A (ko) 2023-04-20

Family

ID=85903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9466A KR20230052822A (ko) 2021-10-13 2022-10-11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3058101A (ko)
KR (1) KR20230052822A (ko)
CN (1) CN115959355A (ko)
TW (1) TWI812503B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3312A (ja) 1998-03-12 1999-09-21 Nippon Sanso Kk 茶漉し付保温容器
JP3215556B2 (ja) 1993-08-24 2001-10-09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新規ヒドロキシメチル基含有フェノール化合物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81771B2 (en) * 2012-03-09 2017-06-20 Precidio Design Inc. Container for liquids
TWM509792U (zh) * 2014-10-22 2015-10-01 Yi-Jian Yang 具保溫之杯體結構
CN206102290U (zh) * 2016-08-15 2017-04-19 浙江爱仕达电器股份有限公司 带茶隔滤网的水杯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5556B2 (ja) 1993-08-24 2001-10-09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新規ヒドロキシメチル基含有フェノール化合物
JPH11253312A (ja) 1998-03-12 1999-09-21 Nippon Sanso Kk 茶漉し付保温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959355A (zh) 2023-04-14
TWI812503B (zh) 2023-08-11
TW202315820A (zh) 2023-04-16
JP2023058101A (ja) 2023-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3083B1 (ko)
JP5841220B1 (ja) 蓋付き容器
US20050184075A1 (en) One-piece soft spout valve assembly for a no-spill drinking cup
US7481329B2 (en) Trash receptacle having a depressurization apparatus
RU2337867C2 (ru) Крышка емкости, в частности вакуумной емкости для хранени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BRPI0517296B1 (pt) Cápsula com meio de vedação, sistema e método para produzir uma bebida
US20040238542A1 (en) Trash receptacle lid having a pumping apparatus
KR100870696B1 (ko) 밀봉 지퍼 빨대를 구비한 용기
US20170119196A1 (en) Thermo tea maker
KR20230052822A (ko)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KR20230052823A (ko)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JP6372032B2 (ja) 蓋付き容器
CN213821089U (zh) 保温杯
CN212995854U (zh) 一种水杯
JP2021187450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KR20210002186U (ko) 물병의 음료배출구 노즐 구조
CN206809116U (zh) 蒸汽阀组件、煲盖及电饭煲
CN208658905U (zh) 一种快速冷却的烹饪器具
KR200432654Y1 (ko) 튜브용기의 실링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튜브용기뚜껑
CN212368743U (zh) 一种带有排气阀的杯子
CN211511345U (zh) 一种保温杯的防吸气杯盖
CN213893619U (zh) 容器盖和保温容器
JP2014083211A (ja) 加圧注出式液体容器
JP3608461B2 (ja) 液体保温容器の栓装置
CN212213490U (zh) 方便蒸汽阀拆装的电饭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