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2767A -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2767A
KR20230052767A KR1020210136170A KR20210136170A KR20230052767A KR 20230052767 A KR20230052767 A KR 20230052767A KR 1020210136170 A KR1020210136170 A KR 1020210136170A KR 20210136170 A KR20210136170 A KR 20210136170A KR 20230052767 A KR20230052767 A KR 20230052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witching
control unit
voltag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6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종섭
고원일
Original Assignee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36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2767A/ko
Priority to PCT/KR2022/014126 priority patent/WO2023063609A1/ko
Publication of KR20230052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27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3Industrial applications
    • H05B1/0236Industrial applications for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02Swi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40/00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 F01N2240/16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an electric heater, i.e. a resistance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50/00Monitoring or diagnosing the deterioration of exhaust systems
    • F01N2550/22Monitoring or diagnosing the deterioration of exhaust systems of electric heaters for exhaust systems or their power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하나의 제어부에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스위치를 제어하고 구성 소자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가 개시된다. 일 측면에 따른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는, 적어도 두 개의 스위치를 포함하여 제1전원으로부터의 전류를 저항부로 공급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로 스위칭 신호를 공급하여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스위칭 신호 공급부; 제2전원을 상기 스위칭 신호 공급부로 공급하는 스위칭 전원 공급부; 상기 스위칭 신호 공급부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마스터 컨트롤 유닛으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를 활성화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Apparatus for after-treatment of exhaust gas}
본 발명은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의 내연 기관에서 발생하는 배기 가스를 처리하는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차되어 있는 차량에서 바로 시동을 거는 경우 차량의 내연 기관에서 다량의 배기 가스가 배출된다. 이러한 배기 가스는 유해 성분들을 포함한다. 배기 가스의 유해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차량에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가 설치된다.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는 차량의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일정한 시간 동안 저항부에 전류를 공급하여 저항부를 약 400도 이상의 고온으로 만들고 이후 차량의 시동이 걸려 내연 기관에서 배기 가스가 배출되면 이를 태워 대기 중으로 유해 성분들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대표적인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로 국내공개특허 제10-2021-0018496호를 들 수 있다. 그러나, 국내공개특허 제10-2021-0018496호의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는 외부 전압을 저항부에 전달하기 위해 복수의 스위치마다 제어부가 연결되는 구조이다. 즉, 스위치가 늘어나게 되면 그만큼 제어부가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다양한 상태를 통합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없고, 비용이 상승하게 되며, 안전성의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하나의 제어부에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스위치를 제어하고 구성 소자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일 측면에 따른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는, 적어도 두 개의 스위치를 포함하여 제1전원으로부터의 전류를 저항부로 공급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로 스위칭 신호를 공급하여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스위칭 신호 공급부; 제2전원을 상기 스위칭 신호 공급부로 공급하는 스위칭 전원 공급부; 상기 스위칭 신호 공급부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마스터 컨트롤 유닛으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를 활성화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상기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는, 상기 스위칭부의 온도를 모니터링하는 온도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모니터링부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위칭 신호 공급부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온도 모니터링부는, 반비례 온도 계수 서미스터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비례 온도 계수 서미스터의 저항값에 따른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스위칭 신호 공급부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는, 상기 스위칭부와 상기 저항부 사이에 위치하여 전류값을 감지하는 제1전류 센서; 및 상기 전류값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스위칭 신호 공급부로 오프 신호를 전달하는 전류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류 모니터링부는, 상기 제어부로 오프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 모니터링부로부터 수신된 오프 신호에 따라 상기 마스터 컨트롤 유닛으로 상기 스위칭부의 온/오프 여부를 문의하고, 상기 마스터 컨트롤 유닛으로부터 온 신호 수신시 상기 스위칭 신호 공급부로 온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는, 상기 제1전원에 대응하는 그라운드 측에 설치되어 전류값을 감지하는 제2전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전류 센서에서 감지한 전류값과 상기 제1 전류 센서에서 감지한 전류값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스위칭 신호 공급부로 오프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는, 상기 제1전원 및 상기 제2전원의 전압값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입력 전압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압값이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스위칭 신호 공급부로 오프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는, 상기 저항부로 입력되는 전압과 상기 저항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출력 전압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 전압 모니터링부에서 모니터링한 전압값이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스위칭 신호 공급부로 오프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2전원의 전압을 더 낮은 전압으로 조정하여 상기 제어부로 공급함으로써 상기 제어부를 활성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는, 하나의 제어부를 통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스위치로 구성된 스위칭부를 제어하고 입력 전압 모니터링부, 온도 모니터링부, 전류 모니터링부 및 출력 전압 모니터링부를 통해 다양한 상태를 통합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하고 안정적인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를 세분화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이들 구성요소가 하나의 장치 또는 모듈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수의 장치 또는 모듈들에 나뉘어져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는, 인터페이스부(101), 전원 스위치(102), 제어부(103), 입력 전압 모니터링부(104), 온도 모니터링부(105), 스위칭 전원 공급부(106), 스위칭 신호 공급부(107), 전류 모니터링부(108), 출력 전압 모니터링부(109), 스위칭부(110), 전류 센서(111, 112) 및 저항부(113)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101)는, 차량의 마스터 컨트롤 유닛과 CAN(Controller Area Network) 단자(CAN 하이(H)/로우(L))를 통해 CAN 통신을 수행하여, 마스터 컨트롤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CAN 신호(예, 저항부(113)의 온/오프 신호)를 제어부(103)로 전달하고(RxD), 제어부(103)로부터 수신되는 응답 신호(TxD)를 마스터 컨트롤 유닛으로 전달한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01)는, 12V의 제2전원(KL 3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제어부(103)를 포함하여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들에게 전압을 공급한다. 도 1에서 KL 31 GND 단자는 제2전원(KL 30)에 대한 그라운드이다. 여기서 제2전원(KL 30)은 마일드 하이브리드 차량의 12V 배터리로서, 일반적인 납축전지일 수 있고, 차량의 일반적인 전장 부하에 전압을 공급한다.
인터페이스부(101)는, 12V 전원이 필요한 구성요소들로의 12V 전원 공급을 전원 스위치(102)를 통해 제어한다. 즉, 12V 전원이 필요한 구성요소들은 전원 스위치(102)를 통해 직접 제2전원(KL 30)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데, 이때 인터페이스부(101)는, 전원 스위치(102)를 온/오프 제어하여 12V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인터페이스부(101)는, 5V 전원이 필요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레귤레이터(Regulator)를 통해 12V 전압을 5V로 조정하여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부(101)는, 마스터 컨트롤 유닛으로부터 CAN 통신을 통하여 온/오프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구성요소들로 공급하는 전원(5V, 12V)을 온/오프 제어하여,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 전체를 온/오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01)는, 마스터 컨트롤 유닛으로부터 슬립(sleep) 모드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5V 전압을 오프로 전환하여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를 휴면 상태로 유지한다. 즉, 전원 스위치(102)를 포함한 전체 구성요소들로의 5V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인터페이스부(101)는, 마스터 컨트롤 유닛으로부터 웨이크업(Wake-up)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5V 전압을 온으로 전환하여 전원 스위치(102)를 포함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 전체를 활성화한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01)는, 직렬 인터페이스(예,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를 통해 제어부(103)와 상태 정보를 송수신하고, 또한 와치독(Watchdog) 기능을 수행하여 제어부(103)의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인터페이스부(101)는, 와치독 기능을 이용하여 제어부(103)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제어부(103)의 고장 유무를 판단하여 제어부(103)를 리셋하거나 CAN 통신을 통하여 마스터 컨트롤 유닛에게 상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인터페이스부(101)는, 시스템 기반 칩(SBC, System Basis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03)는, 인터페이스부(101)로부터 5V 전원을 수신하여 활성화되고, 스위칭 전원 공급부(106) 및 스위칭 신호 공급부(107)를 통해 스위칭부(11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03)는, 스위칭 전원 공급부(106)에 제어 신호(예, 펄스 폭 변조(PWM) 신호)를 전달하여 스위칭 전원 공급부(106)가 제2전원(KL 30)으로부터 공급되는 12V 전원을 스위칭 신호 공급부(107)로 공급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스위칭 신호 공급부(107)는 스위칭 신호로서 12V 전원을 스위칭부(110)로 공급한다. 스위칭 신호 공급부(107)는 게이트 드라이버일 수 있다.
제어부(103)는, 스위칭부(110)의 온도를 모니터링하는 온도 모니터링부(105)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스위칭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3)는, 스위칭부(110)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운전자에게 경고하거나 스위칭 신호 공급부(107)로 오프 신호를 전달하여 스위칭부(110)를 오프시키고, 일정 온도 이하가 되면 스위칭 신호 공급부(107)로 온 신호를 전달하여 스위칭부(110)를 다시 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3)는 130도가 되면 운전자에게 경고로 알려주고, 145도 이상이 되면 스위칭 신호 공급부(107)로 오프 신호를 전달하여 스위칭부(110)를 오프시키고, 추후 온도가 130도 이하로 떨어지면 스위칭 신호 공급부(107)로 온 신호를 전달하여 스위칭부(110)를 다시 온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03)는, 스위칭부(110)가 일정 온도 이상으로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온도 모니터링부(105)는 반비례 온도 계수(NTC, 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서미스터일 수 있다. 반비례 온도 계수 서미스터는 온도가 올라가면 저항값이 낮아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스위칭부(110)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온도 모니터링부(105)의 저항값이 낮아져 제어부(103)에 인가되는 ADC(Analog-Digital Converter) 전압이 증가하게 되고, 따라서, 제어부(103)는 온도 모니터링부(105)로부터 수신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스위칭부(11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스위칭부(110)는, 스위칭 신호 공급부(107)로부터 수신되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 온되어, 48V인 제1전원(KL 4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저항부(113)로 공급한다. 여기서 제1전원(KL 40)은 마일드 하이브리드 차량의 48V 배터리로서, 차량의 모터 발전기를 구동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스위칭부(11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스위치로 구성되고, 스위치는 예를 들어, FET(Field Effect Transistor)이다. 적어도 2개 이상의 스위치로 구성되는 이유는 1개의 스위치가 쇼트나는 경우를 대비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스위칭부(110)가 1개의 스위치로 구성되는 경우, 해당 스위치가 쇼트나는 경우 해당 스위치로 유입되는 다량의 전류가 저항부(113)로 흘러 저항부(113)의 고장을 유발할 수 있다. 스위칭부(110)가 2개 이상의 스위치로 구성되는 경우, 1개의 스위치가 쇼트되더라도 다른 스위치를 온/오프 제어하여 저항부(113)로 다량의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스위칭부(110)를 구성하는 스위치가 FET인 경우, 스위칭 신호 공급부(107)로부터 FET의 게이트로 12V 전압이 스위칭 신호로서 공급된다. FET 특성상 게이트-드레인 간 전압과 게이트-소스 간 전압이 동일한 경우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게이트-드레인 간 전압과 게이트-소스 간 전압의 차이를 두기 위하여 FET의 게이트에 12V 전압을 제공하는 경우, 게이트-드레인 간 전압은 48V이지만 게이트-소스 간 전압은 60V로서, 게이트-드레인과 게이트-소스의 전압차가 발생하게 되어, 전류가 저항부(113)로 흐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3)는, 입력 전압 모니터링부(104), 전류 모니터링부(108) 및 출력 전압 모니터링부(109)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스위칭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먼저, 입력 전압 모니터링부(104)는, 입력 전원인 제2전원(KL 30) 및 제1전원(KL 40)의 전압값을 감지하여 제어부(103)로 전달한다. 제어부(103)는, 제2전원(KL 30) 또는 제1전원(KL 40)의 전압값이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스위칭 신호 공급부(107)로 오프 신호를 전달하여 스위칭부(110)를 오프시킨다. 이때, 제어부(103)는, CAN 통신을 이용하여 마스터 컨트롤 유닛에게 스위칭부(110)의 상태 정보를 전달하고, 스위칭부(110)의 상태를 오프 상태로 유지할 것인지 온 상태로로 전환할 것인지를 문의한다. 제어부(103)는, 마스터 컨트롤 유닛으로부터 스위칭부(110)의 온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스위칭 신호 공급부(107)를 리셋시킨 후, 스위칭 신호 공급부(107)로 온 신호를 전달하여, 스위칭부(110)를 온시킨다.
전류 모니터링부(108)는, 스위칭부(110)와 저항부(113) 사이에 위치하는 전류 센서(111)에서 감지한 전류값을 수신하여 제어부(103)로 전달한다. 제어부(103)는, 수신된 전류값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스위칭 신고 공급부(107)로 오프 신호를 전달하여 스위칭부(110)를 오프시킬 수 있다. 또는, 전류 모니터링부(108)는, 전류 센서(111)로부터 기준값 이상의 과전류값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03)를 거치지 않고 긴급으로 스위칭부(110)를 오프시키기 위해 스위칭 신호 공급부(107)로 오프 신호를 전달하고, 제어부(103)로도 오프 신호를 전달한다. 이에 따라 스위칭 신호 공급부(107)는, 스위칭부(110)로 공급하는 전원을 차단하여 스위칭부(110)를 긴급하게 오프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103)는, 스위칭부(110)를 오프시킨 후,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류 모니터링부(108)로부터 오프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CAN 통신을 이용하여 마스터 컨트롤 유닛에게 스위칭부(110)의 상태 정보를 전달하고, 스위칭부(110)의 상태를 오프 상태로 유지할 것인지 온 상태로로 전환할 것인지를 문의한다. 제어부(103)는, 마스터 컨트롤 유닛으로부터 스위칭부(110)의 온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스위칭 신호 공급부(107)를 리셋시킨 후, 스위칭 신호 공급부(107)로 스위칭부(110)의 온 신호를 전달하여, 스위칭부(110)를 온시킨다.
상기 전류 센서(111) 이외, 제1전원(KL 40)에 대응하는 그라운드(KL 41) 측에 또 다른 전류 센서(112)가 설치된다. 해당 전류 센서(112)는, 제1전원(KL 40)부터 저항부(113) 그리고 그라운드(KL 41)로 연결되는 루프의 정상 동작을 확인하기 위해 용도이다. 제어부(103)는, 해당 전류 센서(112)로부터 전류값을 수신하여 상기 전류 센서(110)에서 감지한 전류값과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을 경우(예, 그라운드(KL 41)의 쇼트의 경우), 스위칭 신호 공급부(107)로 오프 신호를 전달하여 스위칭부(110)를 오프시킨다.
다음으로, 출력 전압 모니터링부(109)는, 저항부(113)로 입력되는 전압과, 저항부(113)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한 전압값을 제어부(103)로 전달한다. 저항부(113)로 입력되는 전압값은, 스위칭부(110)의 +전압과 제1전원(KL 40)에 대응하는 그라운드(KL 41) 사이의 전압이다. 제어부(103)는, 저항부(113)로 입력되는 전압값과, 저항부(113)에서 출력되는 전압값을 마스터 컨트롤 유닛으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03)는, 저항부(113)로 입력되는 전압값과, 저항부(113)에서 출력되는 전압값이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스위칭 신호 공급부(107)로 오프 신호를 전달하여 스위칭부(110)를 오프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103)는, 스위칭부(110)를 오프시킨 후, CAN 통신을 이용하여 마스터 컨트롤 유닛에게 스위칭부(110)의 상태 정보를 전달하고, 스위칭부(110)의 상태를 오프 상태로 유지할 것인지 온 상태로로 전환할 것인지를 문의한다. 제어부(103)는, 마스터 컨트롤 유닛으로부터 스위칭부(110)의 온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스위칭 신호 공급부(107)를 리셋시킨 후, 스위칭 신호 공급부(107)로 온 신호를 전달하여, 스위칭부(110)를 온시킨다.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는, 하나의 제어부(103)를 통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스위치로 구성된 스위칭부(110)를 제어하고 입력 전압 모니터링부(104), 온도 모니터링부(105), 전류 모니터링부(108) 및 출력 전압 모니터링부(109)를 통해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의 다양한 상태를 통합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하고 안정적인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1 : 인터페이스부
102 : 전원 스위치
103 : 제어부
104 : 입력 전압 모니터링부
105 : 온도 모니터링부
106 : 스위칭 전원 공급부
107 : 스위칭 신호 공급부
108 : 전류 모니터링부
109 : 출력 전압 모니터링부
110 : 스위칭부
111, 112 : 전류 센서
113 : 저항부

Claims (9)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스위치를 포함하여 제1전원으로부터의 전류를 저항부로 공급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로 스위칭 신호를 공급하여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스위칭 신호 공급부;
    제2전원을 상기 스위칭 신호 공급부로 공급하는 스위칭 전원 공급부;
    상기 스위칭 신호 공급부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마스터 컨트롤 유닛으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를 활성화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의 온도를 모니터링하는 온도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모니터링부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위칭 신호 공급부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모니터링부는, 반비례 온도 계수 서미스터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비례 온도 계수 서미스터의 저항값에 따른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스위칭 신호 공급부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와 상기 저항부 사이에 위치하여 전류값을 감지하는 제1전류 센서; 및
    상기 전류값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스위칭 신호 공급부로 오프 신호를 전달하는 전류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모니터링부는, 상기 제어부로 오프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 모니터링부로부터 수신된 오프 신호에 따라 상기 마스터 컨트롤 유닛으로 상기 스위칭부의 온/오프 여부를 문의하고, 상기 마스터 컨트롤 유닛으로부터 온 신호 수신시 상기 스위칭 신호 공급부로 온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에 대응하는 그라운드 측에 설치되어 전류값을 감지하는 제2전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전류 센서에서 감지한 전류값과 상기 제1 전류 센서에서 감지한 전류값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스위칭 신호 공급부로 오프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 및 상기 제2전원의 전압값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입력 전압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압값이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스위칭 신호 공급부로 오프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부로 입력되는 전압과 상기 저항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출력 전압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 전압 모니터링부에서 모니터링한 전압값이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스위칭 신호 공급부로 오프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2전원의 전압을 더 낮은 전압으로 조정하여 상기 제어부로 공급함으로써 상기 제어부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
KR1020210136170A 2021-10-13 2021-10-13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 KR2023005276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6170A KR20230052767A (ko) 2021-10-13 2021-10-13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
PCT/KR2022/014126 WO2023063609A1 (ko) 2021-10-13 2022-09-2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6170A KR20230052767A (ko) 2021-10-13 2021-10-13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2767A true KR20230052767A (ko) 2023-04-20

Family

ID=85988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6170A KR20230052767A (ko) 2021-10-13 2021-10-13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52767A (ko)
WO (1) WO2023063609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12139A1 (de) * 2001-03-14 2002-09-19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Überwachung eines Sensors
DE102009003091A1 (de) * 2009-05-14 2010-11-18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Überwachung eines in einem Abgasbereich einer Brennkraftmaschine angeordneten Bauteils
WO2014055016A1 (en) * 2012-10-02 2014-04-10 Scania Cv Ab Regulation of a temperature in an exhaust aftertreatment system
US9016043B2 (en) * 2013-03-14 2015-04-28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Exhaust treatment system with urea temperature rationality diagnostic
TWI627069B (zh) 2013-09-13 2018-06-21 康寧公司 具有多層光學膜的低色偏抗刮物件
EP3582584A1 (en) 2018-06-12 2019-12-18 Continental Automotive GmbH Electric circuit and diagnostic method for an electric load
DE102019201157A1 (de) * 2019-01-30 2020-07-30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Nachbehandlung von Abgasen in einer Hybridmas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63609A1 (ko) 2023-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55100B2 (en) Power supply control apparatus and battery unit
CN102047368B (zh) 继电器控制器
US11611205B2 (en) Triggering circuit and electronic fuse device incorporating the same
US11188107B2 (en) In-vehicle power control system
JP2015503315A (ja) 車載電気システム、および車載電気システムの動作方法
US20110043171A1 (en) Power generation control device, vehicle equipped with power generation control device, and power generation control method
JP2010110091A (ja) 負荷駆動装置
EP2635799B1 (en) Activation device and activation method for a dual-battery system
KR20080092688A (ko) 차량의 쿨링팬 모터 제어 장치
KR20230052767A (ko)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
KR102597543B1 (ko) Ehc 기반 촉매 시스템의 제어 장치
US11787307B2 (en) Switch control device, switch control method, and in-vehicle power supply system
CN216300786U (zh) 电机控制器的放电电路
KR20150005868A (ko) 연료전지차량의 회생제동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7398233B2 (ja) 車載通信システムおよび電源制御方法
US8283952B2 (en) Circuit arrangement
KR102577352B1 (ko) 부하를 가동시키기 위한 제어기 및 이러한 제어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JP7417209B2 (ja) 電力供給装置
JP2009013900A (ja) 酸素センサ用ヒータ駆動回路及びエンジンコントロールユニット
KR20180105422A (ko) 건설장비의 배터리 릴레이 제어를 통한 전장회로 보호장치
KR20120018657A (ko) 차량용 스위치
WO2023007558A1 (ja) 電力供給装置
JP4762425B2 (ja) 電子制御装置
JPH0134675Y2 (ko)
SE540704C2 (en) Control unit for use in a vehicle and method for providing backup power to the control un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