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7352B1 - 부하를 가동시키기 위한 제어기 및 이러한 제어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부하를 가동시키기 위한 제어기 및 이러한 제어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7352B1
KR102577352B1 KR1020217032024A KR20217032024A KR102577352B1 KR 102577352 B1 KR102577352 B1 KR 102577352B1 KR 1020217032024 A KR1020217032024 A KR 1020217032024A KR 20217032024 A KR20217032024 A KR 20217032024A KR 102577352 B1 KR102577352 B1 KR 102577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controller
control
supply connection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2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4380A (ko
Inventor
보그단 댄
아우렐리안 코틀러
Original Assignee
비테스코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테스코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비테스코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10134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4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3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08Modifications for protecting switching circuit against overcurrent or overvoltage
    • H03K17/082Modifications for protecting switching circuit against overcurrent or overvoltage by feedback from the output to the control circui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08Modifications for protecting switching circuit against overcurrent or overvoltage
    • H03K17/081Modifications for protecting switching circuit against overcurrent or overvoltage without feedback from the output circuit to the control circuit
    • H03K17/0812Modifications for protecting switching circuit against overcurrent or overvoltage without feedback from the output circuit to the control circuit by measures taken in the control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5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oad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0063High side switches, i.e. the higher potential [DC] or life wire [AC] being directly connected to the switch and not via the loa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0072Low side switches, i.e. the lower potential [DC] or neutral wire [AC] being directly connected to the switch and not via the loa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0081Power supply means, e.g. to the switch driver

Landscapes

  • Electronic Switches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하를 가동시키기 위한 제어기에 관한 것이고, 제어기는 제1 공급 단자(VBD) 및 제2 공급 단자(V_SW)를 갖고, 제어기의 제1 공급 단자(VBD)는 고 공급 전압 전위에 연결되거나 또는 제어기의 제2 공급 단자(V_SW)는 부하를 통해 저 공급 전압 전위(VGND)에 연결되고, 제1 공급 단자(VBD)와 제2 공급 단자(V_SW) 사이에 연결되는 제어 가능한 전환 소자(SSE)를 갖고, 제어 가능한 전환 소자(SW)의 제어 입력부에 연결된 제어 신호 출력부(AMC)를 갖고 제어 신호 단자(SSA)를 가진 제어 장치(MC)를 갖고, 제1 단자(A1)를 통해 제1 공급 단자(VBD)에 그리고 제2 단자(A2)를 통해 제어 장치(MC)의 제어 신호 단자(SSA)에 연결되고 제어 출력부(SA1)를 가진 제어 신호 송수신기(TRC)를 갖고,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제어 신호 송수신기(TRC)에 연결되고 제1 공급 단자(VA1) 및 제어기의 제2 공급 단자(V_SW)에 연결되는 제2 공급 단자(VA2)를 가진 제1 전압 공급 장치(SVE1)를 갖고, 에너지 저장 소자(C)와 함께 형성되고,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제어 장치(MC)에 연결되고 제1 공급 단자(VA3), 제어기의 제2 공급 단자(V_SW)에 연결되는 제2 공급 단자(VA4), 및 제어 신호 송수신기(TRC)의 제어 출력부(SA1)에 연결되는 제어 입력부(SE_SVE2)를 가진 제2 전압 공급 장치(SVE2)를 갖고, 제1 공급 단자(VBD)와 제어 가능한 전환 소자(SSE) 사이에 연결되는 코일(L)을 갖고, 애노드를 통해 코일(L)과 제어 가능한 전환 소자(SSE)의 연결 지점에 연결되고 캐소드를 통해 제1 전압 공급 장치(SVE1)의 공급 단자(VA1) 및 제2 전압 공급 장치(SVE2)의 공급 단자(VA3)에 연결되는 다이오드(D1)를 갖는다.

Description

부하를 가동시키기 위한 제어기 및 이러한 제어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사전 규정되거나 또는 결정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부하를 가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제어기가 현대의 자동차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이것은 수신되고 처리된 가속도 신호를 기반으로, 에어백을 트리거링하기 위한 발사 펠릿(firing pellet)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에어백 제어기일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또한 원하는 주행 거동에 대응하는 연소 공정을 제어하는 데 필요한 크랭크샤프트 각도, 배기가스 및 다른 정보에 기초하여 분사 밸브 및 점화 시스템을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엔진 제어기일 수 있다.
그러나, 차량에서, 많은 다른 부하, 예컨대, 창문 리프터 또는 유리 닦개뿐만 아니라 저항 부하, 예컨대, 램프 또는 가열 소자가 스위치 온되고 오프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대응하는 제어기는 종종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상태 기계의 형태인, 제어 장치를 통해 제어되는 전자 전환 소자를 갖는다.
이 작업을 위해, 제어기는 일반적으로 에너지원, 예를 들어, 차량 배터리에 연결하기 위한 2개의 공급 라인을 갖지만 또한 다른 제어기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라인, 예컨대, CAN 또는 LIN 버스를 갖는다. 또한, 대응하는 부하에 연결하기 위한 라인을 제공해야 한다. 또한, 제어기는 라인에 연결하기 위한 적절한 연결부를 가져야 한다.
이러한 제어기는 제DE 10 2007 002 953 A1호 및 제US 5,672,917호에 도시되고 설명된다.
언급된 연결부는 제어기를 더 비싸게 만들고 라인은 케이블 하니스의 중량을 증가시키며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며 비용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덜 복잡하고 따라서 더 비용 효율적인 해결책을 명시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제1항에 청구된 바와 같은 부하를 가동시키기 위한 제어기 및 청구항 제7항에 청구된 바와 같은 이러한 제어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유리한 개선예가 각각의 인용 청구항에 명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하를 가동시키기 위한 제어기가 형성되고, 제어기는 제1 공급 연결부 및 제2 공급 연결부를 갖고, 제어기의 제1 공급 연결부는 고 공급 전압 전위에 연결되거나 또는 제어기의 제2 공급 연결부는 부하를 통해 저 공급 전압 전위에 연결되고, 제1 공급 연결부와 제2 공급 연결부 사이에 연결되는 제어 가능한 전환 소자를 갖고, 제어 가능한 전환 소자의 제어 입력부에 연결된 제어 신호 출력부를 갖고 제어 신호 연결부를 가진 제어 장치를 갖고, 제1 연결부에 의해 제1 공급 연결부에 그리고 제2 연결부에 의해 제어 장치의 제어 신호 연결부에 연결되고 제어 출력부를 가진 제어 신호 송수신기를 갖고, 전압을 공급할 목적으로 제어 신호 송수신기에 연결되고 제1 공급 연결부 및 제어기의 제2 공급 연결부에 연결되는 제2 공급 연결부를 가진 제1 전압 공급 장치를 갖고, 에너지 저장 소자와 함께 형성되고, 전압을 공급할 목적으로 제어 장치에 연결되고 제1 공급 연결부, 제어기의 제2 공급 연결부에 연결되는 제2 공급 연결부, 및 제어 신호 송수신기의 제어 출력부에 연결되는 제어 입력부를 가진 제2 전압 공급 장치를 갖고, 제1 공급 연결부와 제어 가능한 전환 소자 사이에 연결되는 코일을 갖고, 애노드에 의해 코일과 제어 가능한 전환 소자의 연결 지점에 그리고 캐소드에 의해 제1 전압 공급 장치의 공급 연결부 및 제2 전압 공급 장치의 공급 연결부에 연결되는 다이오드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라 제어기의 제1 공급 연결부를 고 공급 전압 전위에 또는 제어기의 제2 공급 연결부를 부하를 통해 저공급 전압 전위에 연결시키는 것은 제어기의 별개의 접지 연결을 절약한다. 이 경우에, 제어기는 공급 전압에 연속적으로 연결되지 않지만, 오히려 펄스 폭 변조로 제어되는 전환 소자를 통해 부하에 연결된다. 제어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너지는 제2 전압 공급 장치의 에너지 저장 소자에 의해 부하의 능동 위상으로 제공되고, 에너지 저장 소자는 최소 지속기간을 가져야 하는 전환 중단 시 충전된다. 또한, 제어기는 제어 신호 송수신기에 의해 공급 라인을 통해 동일한 전압 공급원에 의해 공급되는 다른 제어기와 통신한다. 따라서 특정한 통신 라인이 또한 절약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의 개선예에서, 추가의 다이오드가 제공되고 캐소드에 의해 제어기의 제1 공급 연결부에 그리고 애노드에 의해 코일과 제어 가능한 전환 소자의 연결 지점에 연결된다.
이 추가의 다이오드는 과전압으로부터 전환 소자를 보호하기 위해, 전환 소자가 개방될 때 코일에서 발생되는 전압 스파이크를 클램핑하도록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의 추가의 개선예는 제어기의 제1 공급 연결부와 제어 신호 송수신기의 제1 연결부 사이에 배열되는 우회 필터를 갖는다.
이것은 정보를 전송할 때 방해 신호를 필터링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의 유리한 실시형태에서, 제2 전압 공급 장치는 에너지 저장 소자의 전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할 목적으로 제어 장치의 제1 제어 입력부에 연결되는 추가의 출력부를 갖는다.
따라서 에너지 저장 소자의 전하가 부하의 능동 위상 동안 제어기에 대한 공급을 유지할 수 있기 위해 낮을 때 더 긴 펄스 중단이 필요하므로 부하 상태에 따라 뿐만 아니라 에너지 저장 소자의 전하의 상태에 따라 부하를 제어할 때 펄스 폭 비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의 유리한 실시형태에서, 전류 측정 디바이스는 제어 가능한 전환 소자와 제2 공급 연결부 사이에 배열되고 제어 장치의 제2 제어 입력부에 연결된다.
이것은 과전류를 검출하고 적합한 조치, 예를 들어, 부하의 분리를 개시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어기의 유리한 개선예에서, 제어 장치는 OR 게이트를 통해 제2 전압 공급 장치의 제어 입력부에 연결되는 제어 출력부를 갖고, 이를 통해 제어 신호 송수신기의 제어 출력부는 또한 제2 전압 공급 장치의 제어 입력부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어기가 웨이크 업된 후에, 제어 장치는 제2 전압 공급 장치의 작동을 유지한다.
이 목적은 또한 제어 신호 송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신호에 따라, 제어 가능한 전환 소자가 제어 장치를 통해 펄스 폭 변조로 제어되고, 2개의 펄스 간에서 중단되는 에너지 저장 소자가 충전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이것은 공급 전압원, 예를 들어, 차량 배터리에 부하와 직렬로 제어기를 연결시키기는 것을 본 발명에 따라 가능하게 하고, 에너지 저장 소자를 위한 충전전류는 마찬가지로 펄스 중단 시 부하를 통해 흐른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개선예에서, 제어 신호 송수신기를 위한 신호는 제어 가능한 전환 소자가 폐쇄되기 위해 제어되지 않을 때 때때로 수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기반으로 그리고 도면의 도움으로 아래에 더 상세히 설명되고,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를 위한 회로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의 입력 전류에 대한 전류 곡선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를 작동시키는 제1 가능한 방식을 도시하는 도면,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를 작동시키는 제2 가능한 방식을 도시하는 도면.
도 1은 제1 공급 연결부(VBD) 및 제2 공급 연결부(V_SW)를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1)를 도시한다. 2개의 연결부는 코일(L), 제어 가능한 전환 소자(SSE) 및 전류 측정 디바이스(SME)를 통해 제어기 내에서 서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의 예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제1 공급 연결부가 양전위의 에너지원, 예를 들어, 차량 배터리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의도되고, 반면에 제2 공급 연결부(V_SW)는 부하(도 1에서 예시되지 않고, 도 3에서 R부하)를 통해 저전위의 에너지원에 연결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이 경우에, 제2 공급 연결부(V_SW)는 제어기(1)를 위한 가상 접지(VGND) 또는 제어기 내부에 형성된 전자 회로를 나타낸다.
제어기(1)는 제1 연결부(A1), 제2 연결부(A2) 및 제어 출력부(SA1)를 가진 제어 신호 송수신기(TRC)를 갖는다. 제어기는 또한 가상 접지(VGND)에 연결되고 제1 전압 공급 장치(SVE1)로부터 공급 전압을 공급받는다. 제어 신호 송수신기(TRC)의 제1 연결부(A1)는 우회 필터(BPF)를 통해 제어기(1)의 제1 공급 연결부(VBD)에 연결된다.
제어기(1)는 또한 특히, 마이크로컴퓨터의 형태일 수도 있는 제어 장치(MC)를 갖고, 제어 신호 송수신기(TRC)의 제2 연결부(A2)에 연결되는 제어 신호 연결부(SSA)를 가져서, 이들과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제어 장치(MC)는 또한 제어 가능한 전환 소자(SSE)의 제어 연결부에 연결되는 제어 신호 출력부(AMC)를 갖는다. 제어 가능한 전환 소자(SSE)는 예를 들어, MOSFET 또는 IGBT의 형태일 수도 있다. 제어 장치(MC)는 또한 제1 제어 입력부(SE1) 및 제2 제어 입력부(SE2)를 갖고, 제2 제어 입력부(SE2)는 전류 측정 디바이스(SME)에 연결된다.
제1 전압 공급 디바이스(SVE1)는 다이오드(D1)를 통해 코일(L)과 제어 가능한 전환 소자(SSE)의 연결 지점에 연결되는 제1 공급 연결부(VA1)를 갖는다. 제1 전압 공급 장치(SVE1)는 또한 가상 접지(VGND)에 연결되는 제2 공급 연결부(VA2)를 갖는다. 이것은 또한 제2 전압 공급 장치(SVE2)에 의해 공급되는 공급 전압(VDD)을 공급받는다. 이 공급 전압(VDD)은 또한 가상 접지(VGND)에 또한 마찬가지로 연결되는 제어 장치(MC)에 적용된다.
제2 전압 공급 장치(SVE2)는 제1 공급 연결부(VA3) 및 제2 공급 연결부(VA4)를 갖는다. 이것은 또한 제어 입력부(SE_SVE2) 및 추가의 출력부(A3)를 갖는다. 추가의 출력부(A3)가 제어 장치(MC)의 제1 제어 입력부(SE1)에 연결되고, 반면에 제어 입력부(SE_SVE2)가 OR 게이트(G)의 출력부에 연결되고, 이의 2개의 입력부는 신호 송수신기(TRC)의 제어 출력부(SA1) 및 제어 장치(NT)의 제2 제어 출력부(SA2)에 연결된다. 제2 전압 공급 디바이스(SVE 2)의 제2 공급 연결부(VA4)가 가상 접지(VGND)에 연결되고, 반면에 제1 공급 연결부(VA3)가 또한 다이오드(D1)의 캐소드에 연결된다.
추가의 다이오드(D2)가 코일(L)과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다이오드의 캐소드가 제어기(1)의 제1 공급 연결부(VBD)에 연결된다. 이 추가의 다이오드(D2)는 전환 소자(SSE)가 개방되고 코일(L)을 통한 전류 흐름을 방해할 때 코일(L)을 위한 프리휠의 역할을 한다.
도 1의 제어기(1)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우선적으로, 제어 가능한 전환 소자(SSE)가 개방되고, 그 결과 많은 전류가 제어기(1)의 제2 공급 연결부(V_SW)에 연결된 부하(R부하, 도 3 참조)를 통해 흐를 수 없다. 오직 전류는 코일(L) 및 다이오드(D1)를 통해 제1 전압 공급 장치(SV1)로 그리고 그로부터 제2 공급 연결부(V_SW)를 통해 부하를 통해 저전위의 에너지 공급원으로 흐른다. 이것은 도 1에서 파선으로 표현된다. 제1 전압 공급 장치(SVE1)는 신호 송수신기(TRC)를 공급하고 또한 OR 게이트(G)의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정보가 제어기(1)의 제1 공급 연결부(VBD)를 통해, 즉, 공급 라인을 통해 전송된다면, 이 정보는 신호 송수신기(TRC)에 의해 수신되고 절전 모드로부터 웨이크 업되게 한다. 이것은 점선으로 표현된다. 웨이크-업 신호는 제어 신호 송수신기(TRC)의 제어 출력부(SA1)에서 출력되고 OR 게이트(G)를 통해 제2 전압 공급 장치(SVE2)의 제2 제어 입력부(SE_SVE2)에 적용된다. 그 결과, 전체 제어기(1)가 활성화되고 작업을 시작한다.
제어 장치(MC)는 이제 그 제어 출력부(SA2) 및 OR 게이트(G)를 통한 제2 전압 공급 장치(SVE2)의 제어를 이어받고, 그 결과 제2 전압 공급 장치(SVE 2)는 제어 신호 송수신기(TRC)의 신호 출력부(SA1)에서의 신호 상태에 상관없이 활성 상태이다.
다음으로, 제어기(1)가 부하의 펄스-폭-변조 작동을 위해 펄스 폭에 대한 메시지를 수신한다는 것이 가정된다. 이 경우에, 펄스 폭 비는 0%(비활성 부하) 내지 절대 100%가 아닐 수도 있지만, 90 내지 95%의 범위 내일 수 있는 사전 규정된 최대 비일 수 있다. 이 수신된 펄스 폭 비는 대응하는 사전 규정된 평균 전압을 부하에 공급하기 위해 제어 가능한 전환 소자(SSE)를 주기적으로 제어하도록 사용된다. 전환 주파수는 바람직하게 고정된다.
펄스 폭 비가 0%보다 더 크다면, 제어 장치(MC)는 부하를 작동시키기 위해 제어 신호 송수신기(TRC)를 통해 수신된 사전 규정된 지속기간 동안 이 펄스 폭 비로 제어 가능한 전환 소자(SSE)를 제어할 것이다. 부하 전류는 이 경우에 제어기(1)의 제1 공급 연결부(VBD)로부터 코일(L), 제어 가능한 전환 소자(SSE), 전류 측정 디바이스(SME)를 통해 제2 공급 연결부(V_SW) 및 부하를 통해 흐른다. 이것은 쇄선으로 표현된다.
이 시간 동안, 제어 가능한 전환 소자(SSE)가 스위치 온되지만, 다이오드(D1)의 애노드와 가상 접지(VGND) 간의 전압 강하가 낮고, 그 결과 제2 전압 공급 장치(SVE2)가 충분히 공급받지 못하고 따라서 내부에 형성된 용량 커패시터(C)가 오직 미미하게 충전된다. 대신에, 제어기(1)의 추가의 회로 구성요소는 이 커패시터(C)로부터 공급된다.
전류 측정 디바이스(SME)가 과전류 상황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되어, 위험의 경우에, 제어 장치(MC)가 제어 가능한 전환 소자(SSE)를 스위치 오프하여 제어기(1)를 보호할 수 있다.
펄스 폭 비를 통해 사전 규정되는, 부하의 작동의 지속기간이 기간 동안 만료된 후에, 제어 장치(MC)는 제어 가능한 전환 소자(SSE)를 스위치 오프한다. 이 스위치 오프 시간 동안, 제2 전압 공급 장치(SVE2)의 커패시터(C)는 코일(L) 및 다이오드(D1)를 통해 충전된다. 이 충전 요건은 최대 사전 규정 가능한 펄스 폭 비를 제한한다. 이 시간 동안, 제어 가능한 전환 소자(SSE)가 스위치 오프되지만, 제어 신호 송수신기(TRC)는 공급 라인에 연결된 다른 제어기와 정보를 교환한다. 일반적으로, 통신 시간 슬롯(KZS)의 지속기간은 제2 전압 공급 장치(2)의 커패시터(C)를 충전하는 데 필요한 시간 기간보다 훨씬 더 짧다.
도 2에서, 제1 공급 입력부(VBD)에서 제어기(1)로 흐르는 전류(I_R부하)가 시간에 걸쳐 도시된다. 부하 전류(I_R부하)가 하이 값을 나타낼 때, 부하가 작동되고, 이들 사이의 중단 시, 더 낮은 부하 전류(I_R부하)가 보여질 수 있고, 이는 커패시터(C)의 전하가 증가됨에 따라 느리게 감소된다. 부하가 작동되는 시간 기간 외에, 제어기(1)가 일반적으로 배터리(B)의 공급 라인에 연결된 다른 제어기와 제어 신호 송수신기(TRC)에 의해 통신하는 통신 시간 슬롯(KZS)이 나타난다. 그러나, 상기 통신은 또한 코일(L)의 치수화가 이것을 허용한다면 부하의 작동 동안 발생할 수 있다.
공급 네트워크 내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1)의 제1 가능한 배열이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여기서, 도 1을 따른 제어기(1)가 제1 공급 연결부(VBD)에 의해 배터리(B)의 고전위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반면에 공급 연결부(V_SW)가 부하(R부하)를 통해 배터리(B)의 저전위 또는 접지 전위(GND)에 연결된다. 제2 제어기(2)가 도시되고, 이는 또한 배터리(B)에 의해 공급되고,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급 라인을 통해 제어기(1)와 통신한다.
도 4는 제2 공급 연결부가 배터리(B)의 저전위(GND)에 연결되고, 반면에 제1 공급 연결부(V_SW)가 부하(R부하)를 통해 배터리(B)의 고전위에 연결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1')의 제어기(1')의 가능한 연결의 제2 변형을 도시한다. 이 목적을 위해, 제1 공급 연결부가 (V_SW)로 표기되고 제2 공급 연결부가 (GND)로 표기되는, 도 1에 따른 제어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전압 공급 장치(SVE2)는 예를 들어, 커패시터(C)가 그 출력부에서 배열되거나 또는 커패시터(C)가 사이에 배열되는, 예를 들어, 부스트 변환기에 후속하여 벅 변환기를 갖게 형성될 수 있는, 선형 조절기의 형태일 수도 있다. 추가의 경우에, 부스트 변환기에 의해 생성되는 더 높은 전압이 더 낮은 커패시턴스와 함께 더 높은 에너지 함량을 가능하게 하므로, 커패시터(C)의 값이 크게 감소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제어기(1)는 이동 메시지가 제어 신호 송수신기(TRC)를 통해 수신될 때까지 또는 사전 규정된 시간 기간 후에 추가의 통신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임의의 수의 스위치-온 상의 부하와 함께 작동될 수 있다. 그 결과, 제어기(1)는 새로운 웨이크-업 신호가 제어 신호 송수신기(TRC)로부터 공급 라인을 통해 수신될 때까지 절전 모드로 들어갈 것이다.
코일(L)은 제어 신호 송수신기의 통신 주파수 대역이 위치되는 특정한 주파수 초과의 스위치-오프 상태에서 제어 가능한 전환 소자(SSE)의 용량 효과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코일(L)은 스위치-온 시간 동안 전력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해 저 비반응성 저항을 가져야 한다. 코일(L)과 병렬로 연결된 추가의 다이오드(D2)는 과전압으로부터 제어 가능한 전환 소자(SSE)를 보호하기 위해. 제어 가능한 전환 소자(SSE)가 개방될 때 코일에서 발생하는 전압 스파이크를 제한하도록 사용된다.
제어 신호 송수신기(TRC)는 코일(L)이 충분히 클 수 있다면 제어 가능한 전환 소자(SSE)의 스위치-오프 기간에 주목하는 일 없이 다른 제어기와 메시지를 영구적으로 교환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코일(L)은 제어 가능한 전환 소자(SSE)가 스위치 온될 때에도, 제어 신호 송수신기(TRC)에 대한 높은 임피던스를 나타내야 한다. 이것은 제어 가능한 전환 소자(SSE)가 스위치 온되는 동안 코일(L)의 비저항성 저항의 역효과가 허용되지 않는 경우에만 가능하다.
부하 저항(R부하)은 통신 신호가 감쇠되지 않도록 제어 신호 송수신기(TRC)의 통신 주파수 대역에서 충분히 낮은 임피던스를 가져야 한다. 이것은 보통 순 오믹 부하에 의해 이행된다.
시스템의 공급 라인의 특성 및 제어 신호 송수신기(TRC)의 특성은 이들이 모든 작동 조건에서 다른 제어기와의 신뢰할 수 있는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선택되어야 한다.
제어 신호 송수신기의 특성은 이들이 신뢰할 수 있는 시스템 기능을 가능하게 하고 시스템 구성요소 및 EMC 표준과 연관된 인근의 구성요소를 손상시키는 방식으로 선택되어야 한다.

Claims (8)

  1. 부하를 가동시키기 위한 제어기로서,
    제1 공급 연결 노드(VBD) 및 제2 공급 연결 노드(V_SW)를 갖고,
    상기 제어기의 상기 제1 공급 연결 노드(VBD)는 고 공급 전압 전위에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제어기의 상기 제2 공급 연결 노드(V_SW)는 상기 부하를 통해 저 공급 전압 전위(GND)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공급 연결 노드(VBD)와 상기 제2 공급 연결 노드(V_SW) 사이에 연결되는 제어 가능한 전환 소자(SSE)를 갖고,
    제어 신호 연결부(SSA) 및 제어 신호 출력부(AMC)를 갖는 제어 장치(MC)를 가지되, 상기 제어 신호 출력부(AMC)는 상기 제어 가능한 전환 소자(SSE)의 제어 입력부에 연결되고,
    제1 연결부(A1)에 의해 상기 제1 공급 연결 노드(VBD)에 그리고 제2 연결부(A2)에 의해 상기 제어 장치(MC)의 상기 제어 신호 연결부(SSA)에 연결되고 제어 출력부(SA1)를 가진 제어 신호 송수신기(TRC)를 갖고,
    전압을 공급할 목적으로 상기 제어 신호 송수신기(TRC)에 연결되고, 제1 공급 연결부(VA1), 및 상기 제어기의 상기 제2 공급 연결 노드(V_SW)에 연결되는 제2 공급 연결부(VA2)를 가진 제1 전압 공급 장치(SVE1)를 갖고,
    에너지 저장 소자(C)와 함께 형성되고, 제3 공급 연결부(VA3), 상기 제어기의 상기 제2 공급 연결 노드(V_SW)에 연결되는 제4 공급 연결부(VA4), 및 상기 제어 신호 송수신기(TRC)의 상기 제어 출력부(SA1)에 연결되는 제어 입력부(SE_SVE2)를 가진 제2 전압 공급 장치(SVE2)를 갖고,
    상기 제1 공급 연결 노드(VBD)와 상기 제어 가능한 전환 소자(SSE) 사이에 연결되는 코일(L)을 갖고,
    애노드에 의해 상기 코일(L)과 상기 제어 가능한 전환 소자(SSE)의 연결 지점에 그리고 캐소드에 의해 상기 제1 전압 공급 장치(SVE1)의 상기 제1 공급 연결부(VA1) 및 상기 제2 전압 공급 장치(SVE2)의 상기 제3 공급 연결부(VA3)에 연결되는 다이오드(D1)
    를 갖는, 제어기.
  2. 제1항에 있어서, 캐소드에 의해 상기 제어기의 상기 제1 공급 연결 노드(VBD)에 그리고 애노드에 의해 상기 코일(L)과 상기 제어 가능한 전환 소자(SSE)의 상기 연결 지점에 연결되는 추가의 다이오드(D2)를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의 상기 제1 공급 연결 노드(VBD)와 상기 제어 신호 송수신기(TRC)의 상기 제1 연결부(A1) 사이에 배열되는 우회 필터(BPF)를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압 공급 장치(SVE2)는 상기 에너지 저장 소자(C)의 전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할 목적으로 상기 제어 장치(MC)의 제1 제어 입력부(SE1)에 연결되는 추가의 출력부(A3)를 갖는, 제어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류 측정 디바이스(SME)는 상기 제어 가능한 전환 소자(SSE)와 상기 제2 공급 연결 노드(V_SW) 사이에 배열되고 상기 제어 장치(MC)의 제2 제어 입력부(SE2)에 연결되는, 제어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MC)는 OR 게이트(G)를 통해 상기 제2 전압 공급 장치(SVE2)의 상기 제어 입력부(SE_SVE2)에 연결되는 제어 출력부(SA2)를 갖고,
    상기 제어 신호 송수신기(TRC)의 상기 제어 출력부(SA1)는 상기 OR 게이트(G)를 통해 상기 제2 전압 공급 장치(SVE2)의 상기 제어 입력부(SE_SVE2)에 연결되는, 제어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제어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제어 신호 송수신기(TRC)에 의해 수신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 가능한 전환 소자(SSE)가 상기 제어 장치(MC)를 통해 펄스 폭 변조로 제어되고, 펄스 폭 변조 제어 시 상기 제어 가능한 전환 소자(SSE)가 스위치 오프된 시간 동안 상기 에너지 저장 소자(C)가 충전되는, 제어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 송수신기(TRC)를 위한 신호는 상기 제어 가능한 전환 소자(SSE)가 스위치 오프되었을 때 때때로 수신될 수 있는, 제어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KR1020217032024A 2019-03-06 2020-03-04 부하를 가동시키기 위한 제어기 및 이러한 제어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KR1025773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9203085.8A DE102019203085A1 (de) 2019-03-06 2019-03-06 Steuergerät zum Betätigen einer Last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solchen Steuergeräts
DE102019203085.8 2019-03-06
PCT/EP2020/055689 WO2020178334A1 (de) 2019-03-06 2020-03-04 Steuergerät zum betätigen einer last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solchen steuergerä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4380A KR20210134380A (ko) 2021-11-09
KR102577352B1 true KR102577352B1 (ko) 2023-09-11

Family

ID=69903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2024A KR102577352B1 (ko) 2019-03-06 2020-03-04 부하를 가동시키기 위한 제어기 및 이러한 제어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770122B2 (ko)
KR (1) KR102577352B1 (ko)
CN (1) CN113498579A (ko)
DE (1) DE102019203085A1 (ko)
WO (1) WO2020178334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1764A (ja) 2008-03-31 2009-10-22 Mitsubishi Electric Corp 車載用エアバッグ装置
JP2010241184A (ja) 2009-04-01 2010-10-28 Fujitsu Ten Ltd エアバッグ点火回路および集積回路装置
JP2017001539A (ja) 2015-06-11 2017-01-05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エアバッグ制御装置及び半導体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3695A (ja) 1994-01-24 1995-10-20 Yair Maryanka 直流導線を介する音声、音楽、映像、データの伝送
JPH0894695A (ja) 1994-09-27 1996-04-12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パワースイッチシステム
JP3336826B2 (ja) * 1995-09-29 2002-10-21 株式会社デンソー 盗難防止装置
JPH11301378A (ja) * 1998-04-23 1999-11-02 Kansei Corp 車両用電源回路
WO2002076794A2 (en) * 2001-03-08 2002-10-03 Siemens Vdo Automotive Corporation Wake up system for electronic component in a vehicle using a bus technology
US7010050B2 (en) 2001-08-30 2006-03-07 Yamar Electronics Ltd. Signaling over noisy channels
DE10206222A1 (de) 2002-02-15 2003-09-04 Audi Ag Nachlauf eines Kommunikationssystems
JP4466657B2 (ja) * 2007-01-09 2010-05-2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乗員保護装置
DE102007002953A1 (de) 2007-01-19 2008-07-31 Leuze Lumiflex Gmbh + Co. Kg Schaltungsanordnung zur Ausgabe eines Schaltsignals
JP2008244701A (ja) 2007-03-27 2008-10-09 Smk Corp 電力線通信システム
GB0706422D0 (en) 2007-04-02 2007-05-09 Stfc Science & Technology Communication over a DC power line
DE102008049677B4 (de) 2008-09-30 2014-09-18 Infineon Technologies Ag Spannungsversorgung in einer Schaltungsanordnung mit einem Halbleiterschaltelement
BRPI0900948A2 (pt) * 2009-04-16 2010-12-28 Whirlpool Sa sistema de controle de chave eletrÈnica e método de acionamento de chave eletrÈnica
JP2012151914A (ja) 2009-07-31 2012-08-09 Panasonic Corp 車載電力線通信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車両
JP5180259B2 (ja) 2010-06-11 2013-04-10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車両用電力線通信システム
JP5172938B2 (ja) 2010-12-14 2013-03-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電力線通信装置
DE102015201572A1 (de) * 2015-01-29 2016-08-04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Hallstadt Steuervorrichtung für ein Mehrspannungsbordnetz
DE102015201869A1 (de) * 2015-02-03 2016-08-04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Hallstadt Steuervorrichtung für ein Mehrspannungsbordnetz
DE102015207783B4 (de) * 2015-04-15 2019-01-31 Continental Automotive Gmbh Gegen Überspannung geschütztes elektronisches Steuergerät
KR101866037B1 (ko) * 2016-07-11 2018-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
DE102017202536B4 (de) * 2017-02-16 2018-10-04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orrichtung zum Schutz von Lasten vor einer Überspannung
DE102017205618A1 (de) * 2017-04-03 2018-10-04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reitstellen einer Aktivierungsspannung für eine Sicherheitseinrichtung für ein Fahrzeug und Sicherheitsvorrichtu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1764A (ja) 2008-03-31 2009-10-22 Mitsubishi Electric Corp 車載用エアバッグ装置
JP2010241184A (ja) 2009-04-01 2010-10-28 Fujitsu Ten Ltd エアバッグ点火回路および集積回路装置
JP2017001539A (ja) 2015-06-11 2017-01-05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エアバッグ制御装置及び半導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9203085A1 (de) 2020-09-10
KR20210134380A (ko) 2021-11-09
CN113498579A (zh) 2021-10-12
WO2020178334A1 (de) 2020-09-10
US11770122B2 (en) 2023-09-26
US20220149831A1 (en) 2022-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0165B2 (en) Power supply control circuit using N-type and P-type FETs in parallel and power supply control device
US7342384B2 (en) Switching regulator
WO2021197380A1 (en) An undervoltage protection circuit for a dc/dc converter and method thereof
US20180226875A1 (en) Fast Transient Response Circuit
US7215158B2 (en) Comparator switch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30108539A (ko) 차량의 스타터 작동 방법 및 그 장치
CN102047521B (zh) 变压器的保护系统
GB2152305A (en) Circuit arrangement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electrical loads
US20100117555A1 (en) Pulse dimming circuit and the method thereof
KR102577352B1 (ko) 부하를 가동시키기 위한 제어기 및 이러한 제어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US4107588A (en) Multiple timing interval integrated circuit structure
US8987945B2 (en) Switch supervision devic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JP3966099B2 (ja) 電気負荷駆動装置
AU723688B2 (en) Generator control system
KR102307034B1 (ko) 차량용 불꽃 점화식 보호 수단의 점화 캡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점화 출력단의 연결을 차단하기 위한 방법
CN111546999A (zh) 汽车点火及熄火的双检测电路、方法及系统
US10923908B2 (en) Electronic module and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limiting an input current during a switch-on process of the module
JP2016225145A (ja) スイッチ監視回路
KR20080009895A (ko) 평활용 커패시터의 충전 및 방전 회로
CN210246297U (zh) 带输出短路保护的负载控制输出电路
US20110255207A1 (en) Device for energizing an ignition output stage
CN209803586U (zh) 一种新型的车载启停稳压器快速稳压控制系统
JPS61293159A (ja) 直流電圧制御回路
US8283952B2 (en) Circuit arrangement
CN219676405U (zh) 温度监控装置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