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7034B1 - 차량용 불꽃 점화식 보호 수단의 점화 캡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점화 출력단의 연결을 차단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불꽃 점화식 보호 수단의 점화 캡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점화 출력단의 연결을 차단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7034B1
KR102307034B1 KR1020167031613A KR20167031613A KR102307034B1 KR 102307034 B1 KR102307034 B1 KR 102307034B1 KR 1020167031613 A KR1020167031613 A KR 1020167031613A KR 20167031613 A KR20167031613 A KR 20167031613A KR 102307034 B1 KR102307034 B1 KR 102307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ignition
signal
period
output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1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6813A (ko
Inventor
뤼디거 카르너
하르트무트 슈마허
알라인 요우쎄
슈테펜 발커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60146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6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7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arrang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power to safety arrangements or their actuating means, e.g. to pyrotechnic fuses or electro-mechanic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64Generators producing trains of pulses, i.e. finite sequences of pul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286Electronic control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021/26029Ign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ir Bags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100)용 불꽃 점화식 보호 수단(108)의 점화 캡(106)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점화 출력단(104)의 연결을 차단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점화 출력단(104)을 위한 작동 전류의 전류 세기가 사전에 규정된 전류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활성화 신호를 활성화 레벨로 설정하는 단계, 활성화 신호가 활성화 레벨로 설정되어 있는 기간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기간을 사전에 규정된 최소 전류 흐름 기간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점화 출력단(104)의 연결을 차단하기 위한 전환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불꽃 점화식 보호 수단의 점화 캡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점화 출력단의 연결을 차단하기 위한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DISCONNECTING AT LEAST ONE IGNITION OUTPUT STAGE FOR A FIRING CAP OF A PYROTECHNIC PROTECTION MEANS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불꽃 점화식 보호 수단의 점화 캡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점화 출력단의 연결을 차단하기 위한 방법, 차량용 불꽃 점화식 보호 수단의 점화 캡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점화 출력단의 연결을 차단하기 위한 상응하는 장치, 상응하는 장치를 구비하는 점화 출력단 장치, 및 상응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관한 것이다.
불꽃 점화식 구속 시스템 내에 있는 점화 캡을 활성화하기 위해, 점화 수단의 제조자는, 안전하고도 시간 정확한 점화를 보증하기 위하여, 특정 기간에 걸쳐 최소 전류 흐름을 요구한다. 이와 같은 요구 조건에 부응하기 위하여, 모든 공차를 고려하여 요구 조건을 충족시키도록 회로 디자인이 설계된다. 이와 같은 설계에 의해서는, 기간뿐만 아니라 전류도 요구되는 수준보다 훨씬 더 높게 선택된다. 그렇기 때문에, 예를 들어 점화 수단에 대한 전력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파워 출력단은 상응하는 요구 수준보다 훨씬 더 크게 설계된다.
상기와 같은 내용을 배경으로 하여, 본원에서 소개된 접근 방식에 의해서는, 독립 청구항들에 따른 차량용 불꽃 점화식 보호 수단의 점화 캡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점화 출력단의 연결을 차단하기 위한 방법, 더 나아가서는 차량용 불꽃 점화식 보호 수단의 점화 캡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점화 출력단의 연결을 차단하기 위한 장치, 그리고 마지막으로 상응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소개하며, 이 경우 상기 방법은 장치, 즉 차량용 불꽃 점화식 보호 수단의 점화 캡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점화 출력단의 연결을 차단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하는 점화 출력단 장치를 사용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개별 종속 청구항들 및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드러난다.
전기식 및 전자식 부품은 공차를 갖는다. 사용되는 부품의 공차에도 불구하고, 점화 캡을 제어하기 위한 부품 및 회로의 과도한 치수 설계 없이도 최소의 전류 흐름 또는 최소 크기의 전류 흐름이 특정 기간에 걸쳐 달성된다면, 점화 캡을 위한 점화 출력단은 바람직하게 더 작게 설계될 수 있다. 이로써, 요구되는 최소 전류 흐름 및 예정된 기간이 모니터링 될 수 있으므로, 개별 부품의 과부하가 간접적으로 피해질 수 있다.
차량용 불꽃 점화식 보호 수단의 점화 캡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점화 출력단의 연결을 차단하기 위한 방법이 소개되며, 이 경우 이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 즉
- 점화 출력단을 위한 작동 전류의 전류 세기가 사전에 규정된 전류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활성화 신호를 활성화 레벨로 설정하는 단계와,
- 활성화 신호가 활성화 레벨로 설정된 기간을 결정하는 단계와,
- 결정된 기간을 사전에 규정된 최소 전류 흐름 기간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점화 출력단의 연결을 차단하기 위한 전환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차량용 점화 불꽃식 보호 수단이란, 예를 들어 에어백 또는 안전 벨트와 같은 구속 수단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점화 출력단이란,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를 갖춘 파워 출력단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점화 불꽃식 보호 수단을 제어하기 위해 점화 출력단이 제공될 수 있다. 활성화 신호는 2개의 신호 레벨을 제공할 수 있다. 사전에 규정된 전류 임계값은 점화 캡에 의해서 규정된 최소 전류 흐름을 나타날 수 있다. 이때, 최소 전류 흐름은, 점화 캡을 가동하기 위해서 또는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전류 세기에 대한 최소 요구 조건을 나타낼 수 있다. 사전에 규정된 최소 전류 흐름 기간은, 점화 캡을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한 기간에 대한 최소 요구 조건을 나타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원에서 소개된 방법에 의해서, 점화 캡을 제어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최소 전류 흐름 기간 동안 요구되는 최소 전류는 점화 단에 의해서 제공되자마자 점화 출력단의 연결이 차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출력단의 최적의 설계가 달성될 수 있거나 실현될 수 있으며, 이로써 비용 절감에 도달할 수 있다.
또한, 결정 단계에서는 계수기(counter)를 사용해서 기간이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계수기의 계수기 상태가 기간을 나타낼 수 있다. 계수기는, 활성화 신호에 응답해서 계수기 상태를 증가시킬 수 있다. 결정 단계에서는, 타이머를 사용해서 기간이 결정될 수 있다. 타이머는, 활성화 신호에 응답하여 사전에 규정된 시간 간격 안에서 계수기를 증가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실시예에 의해서는, 작동 전류의 전류 세기가 전류 임계값보다 큰 기간이 비용 효율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제공 단계에서는, 기간 그리고 보완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는 계수기 상태가 사전에 규정된 임계값과 비교될 수 있다. 임계값은 최소 전류 흐름 기간을 나타낼 수 있다. 점화 캡을 제어하기 위하여, 최소 전류 흐름 기간이 규정될 수 있다. 계수기 상태는, 최소 전류 흐름 기간을 결정하기 위하여 임계값과 비교될 수 있다. 이로써, 최소 전류 흐름 기간의 유지가 간단하고도 비용 효율적으로 모니터링 될 수 있다.
설정 단계에서는, 전류 변환기를 사용해서 전류 세기가 결정될 수 있다. 작동 전류의 전류 세기는 전류 변환기 또는 전류 측정기에 의해서 측정 또는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류 세기는 작동 전류의 변경 없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설정 단계에서는, 전류 임계값을 나타내는 임계 전류와 전류 세기가 비교기를 사용해서 비교될 수 있다. 작동 전류가 점화 캡을 제어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최소 전류 또는 적어도 전류 임계값을 갖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비교기에 의해서 전류 임계값과 전류 세기가 비용 효율적으로 비교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설정 단계에 선행하는 측정 단계를 통해 전류 세기가 측정될 수 있다. 특히, 전류 세기는 전류 변환기를 사용해서 측정될 수 있다. 이로써, 전류 세기는 측정 단계에서 전류 변환기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본원에서 소개된 방법은, 전환 신호에 응답해서 점화 출력단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점화 출력단은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 특히 MOSFET-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단계에서는, 점화 출력단이 전환 신호에 응답해서 제어될 수 있다. 점화 출력단은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점화 출력단이 제어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하이 사이드 스위치(high side switch) 및 로우 사이드 스위치(low side switch)를 구비할 수 있다.
차량용 불꽃 점화식 보호 수단의 점화 캡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점화 출력단의 연결을 차단하기 위한 장치가 소개되며, 이 경우 이 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부들, 즉
- 점화 출력단을 위한 작동 전류의 전류 세기가 사전에 규정된 전류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활성화 신호를 활성화 레벨로 설정하기 위한 설정 장치와,
- 활성화 신호가 활성화 레벨로 설정되어 있는 기간을 결정하기 위한 결정 장치와,
- 결정된 기간을 사전에 규정된 최소 전류 흐름 기간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점화 출력단의 연결을 차단하기 위한 전환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본원에서 소개된 접근 방식은, 차량용 불꽃 점화식 보호 수단의 점화 캡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점화 출력단의 연결을 차단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며, 이 경우 이 장치는, 본원에서 소개된 방법의 일 변형예의 단계들을 상응하는 설비 내에서 실행하거나 실현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이와 같은 장치 형태의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의해서는, 본 발명의 토대가 되는 과제가 신속하고도 효율적으로 해결될 수 있다.
본원에서의 장치란, 센서 신호를 처리하고 그 처리 결과에 따라 제어 신호 및/또는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전기 장치로 이해될 수 있다. 이 장치는, 하드웨어에 따라서 그리고/또는 소프트웨어에 따라서 형성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하드웨어에 따른 형성에서는, 인터페이스가 예를 들어 이 장치의 매우 다양한 기능들을 보유하는 소위 시스템-ASIC의 부분일 수 있다. 하지만, 인터페이스가 고유한 집적 회로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별개의 부품들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에 따른 형성에서는, 인터페이스가 예를 들어 마이크로 컨트롤러 상에서 다른 소프트웨어 모듈 옆에 존재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일 수 있다.
또한, 설정 장치가 전류 변환기 및 비교기를 포함하는 경우도 유리하다. 더 나아가서, 결정 장치는 계수기 및 시간 펄스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공 목적의 인터페이스는 비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류 변환기는, 작동 전류를 측정하도록 그리고 작동 전류를 나타내는 전류 세기 신호를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비교기는, 전류 세기 신호가 전류 임계값 신호를 초과하는 경우에, 활성화 신호를 활성화 레벨로 설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계수기의 계수기 상태는, 활성화 신호 및 시간 펄스 발생기의 신호에 응답해서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비교 장치는, 계수기 상태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전환 신호를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원에서 소개된 접근 방식은, 점화 출력단, 및 차량용 불꽃 점화식 보호 수단의 점화 캡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점화 출력단의 연결을 차단하기 위한, 본원에서 소개된 장치의 일 변형예를 갖는 점화 출력단 장치를 제공한다. 점화 출력단은, 작동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하이 사이드 스위치 및 로우 사이드 스위치를 포함하고, 불꽃 점화식 보호 수단용 점화 캡에 작동 전류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한다. 이 장치의 인터페이스는, 전환 신호를 하나 이상의 스위치를 위한 제어 신호로서 제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반도체 메모리, 하드 디스크 메모리 또는 광학 메모리와 같은 기계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상에 저장될 수 있고, 특히 프로그램 제품 또는 프로그램이 컴퓨터 또는 장치상에서 실행될 때, 전술된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른 방법의 단계들을 실시, 실현 및/또는 제어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도 장점이 된다.
본원에서 소개된 접근 방식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예시적으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점화 출력단의 연결을 차단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불꽃 점화식 보호 수단의 점화 캡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점화 출력단의 연결을 차단하기 위한 장치의 블록 회로도를 도시하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화 캡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점화 출력단의 연결을 차단하기 위한 장치의 블록 회로도를 도시하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화 캡을 위한 점화 출력단 및 점화 출력단의 연결을 차단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하는 점화 출력단 장치의 회로도를 도시하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불꽃 점화식 보호 수단의 점화 캡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점화 출력단의 연결을 차단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들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다양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고 유사한 작용을 하는 요소들에 대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며, 이 경우 이들 요소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꽃 점화식 보호 수단(108)의 점화 캡(106)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점화 출력단(104)의 연결을 차단하기 위한 장치(102)를 구비하는 차량(100)을 보여준다. 차량(100)은 보호 수단(108)을 포함한다. 이 경우에는, 실시예에 따라 각각, 예를 들어 에어백 또는 안전 벨트 또는 불꽃 점화식으로 가동될 수 있고 점화 캡(106)을 통해서 가동되는 보호 수단(108)과 같은 구속 수단이 보호 수단(108)으로서 사용된다. 점화 캡(106)은 상응하는 작동 전류(110)에 의해서 점화된다. 작동 전류에 대해서는, 점화 캡(106)의 점화를 위해서 충족되어야만 하는, 최소 전류 세기 및 최소 전류 흐름 기간과 같은 소정의 최소 요구 조건들이 적용된다.
장치(102)는, 점화 캡(106)을 점화시키기 위한 작동 전류에 대한 최소 요구 조건들이 충족된 경우에, 점화 출력단(104)의 연결을 차단하기 위하여, 작동 전류(110)를 모니터링 하고 전환 신호(112)를 제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양상은, 점화 캡(106)을 통과하는 전류 흐름 기간에 따라, 에어백 제어 장치 내에 있는 점화 출력단(104)의 연결을 차단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는, 독자적인 연결 차단부(102)를 구비하는 점화 출력단(104)이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불꽃 점화식 보호 수단의 점화 캡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점화 출력단의 연결을 차단하기 위한 장치(102)의 블록 회로도를 보여준다. 차량으로서는, 도 1에 도시된 차량(100)의 일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다. 이로써, 점화 출력단 및 점화 캡으로서는, 도 1에 도시된 점화 출력단(104) 및 점화 캡(106)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점화 출력단(104)은 제1 스위치(214), 제2 스위치(216) 및 점화 캡(106)을 연결하기 위한 2개의 단자(222, 224)를 포함한다. 2개의 단자(214, 216)는, 제1 전위 단자(218), 예를 들어 전압 소스와 제2 전위 단자(220), 예를 들어 접지 단자 사이에 있는 직렬 회로 내부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214, 216)가 닫히면, 작동 전류(110)가 스위치(214, 216) 및 단자(222, 224)에 연결된 점화 캡(106)을 통해서 흐를 수 있고, 이로 인해 점화 캡(106)의 점화를 야기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점화 출력단(104)은, 전환 신호(112)에 응답해서 2개 스위치(214, 216)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226)를 포함한다. 이때, 제어 장치(226)는, 전환 신호(112)를 수신하여 상응하는 제어 신호(228, 230)로 변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어 신호(228)는 제1 스위치(214)를 제어하고, 제어 신호(230)는 제2 스위치(216)를 제어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서, 점화 출력단(104)은 단 하나의 스위치, 예를 들어 제1 스위치(214) 또는 대안적으로 제2 스위치(216)만을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환 신호(112)는 스위치(214), 스위치(216) 또는 대안적으로 2개의 스위치(214, 216)에 직접 안내된다. 이 경우, 점화 출력단(104)은 제어 장치(226)를 구비하지 않는다.
또한, 차량용 불꽃 점화식 보호 수단의 점화 캡(106)을 위한 점화 출력단(104)의 연결을 차단하기 위한, 도 1에 도시된 장치(102)의 일 실시예가 장치(102)로서 사용될 수 있다. 장치(102)는 설정 장치(232), 결정 장치(234) 및 인터페이스(236)를 포함한다. 설정 장치(232)는, 점화 출력단을 위한 작동 전류(110)의 전류 세기가 사전에 규정된 전류 임계값(240)을 초과하는 경우에, 활성화 신호(238)를 활성화 레벨로 설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설정 장치(232)는 전류 측정부 및 본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전류 측정 장치를 포함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제1 전위 단자(218)와 점화 출력단(104) 사이에 있는 공급 라인 내부로 측정 저항이 삽입될 수 있거나 예를 들어 측정 코일이 배치될 수 있다. 결정 장치(234)는, 활성화 신호(238)가 활성화 레벨로 설정되어 있는 기간(242)을 결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기간(242)의 결정은 활성화 신호(238)를 사용해서 이루어진다. 인터페이스(236)는, 점화 출력단(104)의 연결을 차단하기 위한 전환 신호(112)를 제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전환 신호(112)는, 사전에 규정된 최소 전류 흐름 기간(244)과 기간(242)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제공된다.
본원에서 소개된 장치(102)의 실시예는, 점화 출력단(104) 및 이 점화 출력단의 제어부를 디자인할 때, 점화 캡 제조자의 최소 요구 조건을 확실하게 충족시킴으로써, 출력단(104)의 최적의 설계 및 이로써 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소개된 실시예의 일 양상에서는, 요구되는 최소 전류가 흐르는 기간이 측정되거나 결정되고, 요구되는 최소 전류 흐름 기간에 도달한 경우에는 파워 출력단(104)이 독자적으로 스위치 오프된다. 출력단의 활성화 시간을 최소화함으로써, 상기 부품 그룹들을 통한 전력 손실은 훨씬 더 작다. 그럼으로써, 이 부품 그룹은 재차 면적과 관련해서도 더 작게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현은 비용 절감을 유도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불꽃 점화식 보호 수단의 점화 캡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점화 출력단의 연결을 차단하기 위한 장치(102)의 블록 회로도를 보여준다. 장치(102)로서는, 도 1 또는 도 2에서 기술된 장치(102)의 일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다. 장치(102)는 설정 장치(232), 결정 장치(234) 및 인터페이스(236)를 포함한다. 설정 장치(232)는, 작동 전류(110)를 판독 입력하거나 대안적으로는 측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인터페이스(236)는, 상응하는 전환 신호(112)에 의해서 점화 캡을 위한 점화 출력단의 연결을 차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설정 장치(232)는 전류 변환기(350) 및 비교기(352)를 구비한다. 전류 변환기(350)는, 작동 전류(110)의 전류 세기를 결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일 실시예에서, 전류 변환기(350)로서는 전류 측정기(350) 또는 작동 전류(110)의 전류 세기를 측정하기 위한 다른 적합한 측정 장치가 사용된다. 비교기(352)는, 전류 임계값을 나타내는 임계 전류(354) 또는 전류 임계값 신호(354)와 전류 변환기(350)에 의해 측정된 전류 세기를 비교기(352)를 사용해서 비교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결정 장치(234)는, 활성화 신호(238)가 활성화 레벨로 설정되어 있는 기간을 결정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계수기(356)를 포함한다. 이때, 계수기(356)의 계수기 상태(358)가 기간(242)을 나타낸다.
더 나아가, 인터페이스(236)는, 기간(242) 또는 이 기간(242)을 나타내는 계수기 상태(358)를 사전에 규정된 임계값(360)과 비교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임계값(360)은, 점화 캡을 점화하기 위한 최소 전류 흐름 기간을 나타낸다. 인터페이스(236)는, 기간(242)이 적어도 최소 전류 흐름 기간의 값을 갖는 경우에, 전환 신호(112)를 제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서, 장치(102)는, 전환 신호(112)에 응답해서 하나 이상의 점화 출력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제어 장치의 일 변형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고, 이 제어 장치에는 도면 부호 "226"가 제공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점화 출력단은 하나 이상의 MOSFET 트랜지스터, 특히 작동 전류(110)를 스위치 온 및 스위치 오프하기 위한 MOSFET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화 캡(106)을 위한 점화 출력단(104) 및 점화 출력단(104)의 연결을 차단하기 위한 장치(102)를 구비하는 점화 출력단 장치의 회로도를 보여준다.
장치(102)로서는, 도 1 내지 도 3에서 기술된 장치(102)의 일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다. 장치(102)는 설정 장치(232), 결정 장치(234) 및 인터페이스(236)를 포함한다. 설정 장치(232)는 전류 변환기(350) 및 비교기(352)를 구비한다. 결정 장치(234)는 계수기(356) 및 시간 펄스 발생기(462)를 구비한다. 인터페이스(236)는 비교 장치를 구비한다. 전류 변환기(350)는, 작동 전류(110)를 측정하여 작동 전류를 나타내는 전류 세기 신호(464)로서 비교기(352)에 제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비교기(352)는, 전류 세기 신호(464)를 전류 임계값 신호(354) 또는 임계 전류(354)와 비교하도록, 그리고 전류 세기 신호(464)가 전류 임계값 신호(354)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활성화 신호(238)를 활성화 레벨로 설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계수기(356)의 계수기 상태(358)는 활성화 신호(238) 및 시간 펄스 발생기(462)의 신호(466)에 응답해서 증가된다. 인터페이스(236)의 비교 장치는, 계수기 상태(358)가 임계값(360)을 초과하는 경우에 전환 신호(112)를 제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장치(102)의 일 단자에서 작동 전류(110)가 도입될 수 있거나 측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102)의 단자는 전류 변환기(350) 또는 전류 측정기(350)의 측정 저항(468)을 통하여, 점화 출력단(104)을 통해 작동 전류(110)를 안내하기 위한 라인과 결합되어 있다. 이때, 측정 저항(468)은 작동 전류(110)를 안내하기 위한 라인 내부에서 적합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서, 장치(102)의 단자는 전류 측정기(350)의 측정 코일을 통하여, 점화 출력단(104)을 통해 작동 전류(110)를 안내하기 위한 라인과 결합되어 있다. 이때, 측정 코일은 작동 전류(110)를 안내하기 위한 라인 내부에서 적합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단자(218)는 "High_out"으로서도 지칭되고, 단자(220)는 "Low_out"으로서도 지칭된다.
제1 스위치(214)는 하이 사이드 스위치 또는 T1으로서도 지칭된다. 제2 스위치(216)는 로우 사이드 스위치 또는 T2로서도 지칭된다. 일 실시예에서, 2개의 스위치(214, 216)는 트랜지스터로서, 특히 MOSFET 트랜지스터로서, 예를 들어 N-채널 MOSFET로서 구현되어 있다. 제1 스위치(214)는 예를 들어 "High_out"으로서도 지칭되는 단자(218)와 작동 전류(110)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102)의 단자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스위치(216)는 "Low_out"으로서도 지칭되는 단자(220)와 접지 단자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점화 출력단(104)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어 신호(112)를 위한 단자를 구비한다. 제어 신호(112)를 위한 라인은 제어 장치(226)에 연결되어 있다. 제어 장치는, 상응하는 라인들을 통하여 상응하는 스위치(214, 216)로 안내되는 제어 신호(228, 230)를 2개의 출력에 제공한다.
전류 세기 신호(464)가 인가되는 전류 변환기(350)의 출력은 비교기(352)의 한 입력과 연결되어 있다. 비교기(352)의 또 다른 한 입력은, 제1 비교기 저항을 통해서는 전류 임계값 신호(354)를 위한 단자와 연결되어 있고, 제2 비교기 저항을 통해서는 접지와 연결되어 있다. 비교기(352)의 출력에는 활성화 신호(238)가 인가된다. 비교기(352)의 출력은 계수기(356)의 입력과 연결되어 있다. 펄스 발생기(462)는 신호(466)를 제공한다. 계수기(356)는, 펄스 발생기(462)의 신호(466) 및 활성화 신호(238)를 사용해서 계수기 상태(358)를 증가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계수기(356)는 인터페이스(236)와 연결되어 있다. 인터페이스(236)는 전환 신호(112)를 제공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경우 전환 신호(112)는, 계수기 상태(358)가 임계값(360)에 도달하거나 대안적으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출력된다. 인터페이스(236)는 제어 장치(226)와 연결되어 있다. 제어 장치(226)는, 전환 신호(112)에 응답해서 점화 출력단(104)을 제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어 장치(226)는 점화 출력단(104)의 한 단자를 통해서 제1 스위치(214)와 연결되어 있고,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는 제2 스위치(216)와 연결되어 있다.
제1 스위치(214)[트랜지스터(1); T1], 점화 캡(106) 및 제2 스위치(216)[트랜지스터(2); T2]를 경유하여 접지로 흐르는 전류(110)는, 장치(102)를 사용해서 측정되고, 이 작동 전류(110)의 값은 비교기(352)로 안내된다. 비교기(352)의 임계값은 요구되는 점화 전류 레벨에 따라 확정된다. 전류 세기 신호(464)에 의해서 나타나고 측정된 전류(110)가 요구되는 임계값(354) 위에 놓여 있는 한, 확정된 시간 간격 안에서 계수기(356)를 증가시키는 타이머(462)가 작동된다. 상기 계수기(356)가 요구되는 활성화 시간에 상응하는 계수기 상태(358)에 도달했다면, 2개의 스위치(214, 216) 또는 출력단(T1 및 T2)이 스위치 오프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불꽃 점화식 보호 수단의 점화 캡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점화 출력단의 연결을 차단하기 위한 방법(580)의 흐름도를 보여준다. 점화 출력단으로서는, 도 1 또는 도 4에 도시된 점화 출력단(104)이 사용될 수 있다. 이 방법(580)은, 활성화 신호를 설정하는 단계(582), 기간을 결정하는 단계(584), 점화 출력단의 연결을 차단하기 위한 전환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586)를 포함한다. 활성화 신호를 설정하는 단계(582)에서는, 점화 출력단을 위한 작동 전류의 전류 세기가 사전에 규정된 전류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활성화 신호가 활성화 레벨로 설정된다. 기간을 결정하는 단계(584)에서는, 활성화 신호가 활성화 레벨로 설정되어 있는 기간이 결정된다. 제공 단계(586)에서는, 결정된 기간을 사전에 규정된 최소 전류 흐름 기간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점화 출력단의 연결을 차단하기 위한 전환 신호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는, 기간이 적어도 사전에 규정된 최소 전류 흐름 기간에 도달한 경우에 전환 신호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이 방법은, 전환 신호에 응답해서, 하나 이상의 점화 출력단 및 보완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는 또 다른 하나의 점화 출력단을 제어하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선택적인 단계를 포함한다.
기술되고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다만 예시적으로만 선택되었다. 상이한 실시예들이 완전히 또는 개별 특징들에 대하여 서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실시예는 또 다른 한 실시예의 특징들에 의해서 보완될 수도 있다.
또한, 본원에서 소개된 방법 단계들은 반복될 수도 있고, 기술된 순서와 다른 순서로 실시될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예가 제1 특징부와 제2 특징부 사이에 "및/또는"이라는 접속사를 포함하면, 이와 같은 내용은, 이 실시예가 일 실시 형태에 따라서는 제1 특징부뿐만 아니라 제2 특징부도 구비하는 것으로 읽힐 수 있고, 또 다른 일 실시 형태에 따라서는 제1 특징부만을 구비하거나 제2 특징부만을 구비하는 것으로 읽힐 수 있다.

Claims (11)

  1. 차량(100)용 불꽃 점화식 보호 수단(108)의 점화 캡(106)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점화 출력단(104)의 연결을 차단하기 위한 방법(580)으로서, 상기 방법(580)은
    - 점화 출력단(104)을 위한 작동 전류(110)의 전류 세기(464)가 사전에 규정된 전류 임계값(354)을 초과하는 경우에, 활성화 신호(238)를 활성화 레벨로 설정하는 단계(582)와,
    - 활성화 신호(238)가 활성화 레벨로 설정되어 있는 기간(242)을 결정하는 단계(584)와,
    - 결정된 기간(242)을 사전에 규정된 최소 전류 흐름 기간(244)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점화 출력단(104)의 연결을 차단하기 위한 전환 신호(112)를 제공하는 단계(586)를 포함하는, 방법(580).
  2. 제1항에 있어서, 결정 단계(584)에서 상기 기간(242)은 계수기(356)를 사용해서 결정되며, 계수기(356)의 계수기 상태(358)가 기간(242)을 나타내는, 방법(58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공 단계(586)에서 기간(242) 및/또는 계수기 상태(358)는 사전에 규정된 임계값(360)과 비교되며, 상기 임계값(360)은 최소 전류 흐름 기간(244)을 나타내는, 방법(580).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설정 단계(582)에서 전류 세기(464)는 전류 변환기(350)를 사용해서 결정되는, 방법(580).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설정 단계(582)에서 전류 세기(464)는 비교기(352)를 사용해서 전류 임계값(354)을 나타내는 임계 전류(354)와 비교되는, 방법(580).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환 신호(112)에 응답해서 점화 출력단(104)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580).
  7. 차량(100)용 불꽃 점화식 보호 수단(108)의 점화 캡(106)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점화 출력단(104)의 연결을 차단하기 위한 장치(102)로서, 상기 장치(102)는
    - 점화 출력단(104)을 위한 작동 전류(110)의 전류 세기(464)가 사전에 규정된 전류 임계값(354)을 초과하는 경우에, 활성화 신호(238)를 활성화 레벨로 설정하기 위한 설정 장치(232)와,
    - 활성화 신호(238)가 활성화 레벨로 설정되어 있는 기간(242)을 결정하기 위한 결정 장치(234)와,
    - 결정된 기간(242)을 사전에 규정된 최소 전류 흐름 기간(244)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점화 출력단(104)의 연결을 차단하기 위한 전환 신호(112)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236)를 구비하는, 장치(102).
  8. 제7항에 있어서, 설정 장치(232)는 전류 변환기(350) 및 비교기(352)를 포함하고, 결정 장치(234)는 계수기(356) 및 시간 펄스 발생기(462)를 포함하며, 인터페이스(236)는 비교 장치를 포함하며, 전류 변환기(350)는, 작동 전류(110)를 측정하도록 그리고 작동 전류(110)를 나타내는 전류 세기 신호(464)를 제공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비교기(352)는, 전류 세기 신호(464)가 전류 임계값 신호(354)를 초과하는 경우에, 활성화 신호(238)를 활성화 레벨로 설정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계수기(356)의 계수기 상태(358)는, 활성화 신호(238) 및 시간 펄스 발생기(462)의 신호(466)에 응답해서 증가되며, 비교 장치는, 계수기 상태(358)가 임계값(360)을 초과하는 경우에 전환 신호(112)를 제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장치(102).
  9. 점화 출력단 장치로서,
    - 작동 전류(110)를 제어하기 위한 하이 사이드 스위치(214) 및 로우 사이드 스위치(216)를 구비하고, 차량(100)용 불꽃 점화식 보호 수단(108)을 위한 점화 캡(106)에 작동 전류(110)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점화 출력단(104), 및
    - 제7항 또는 제8항에 따른 장치(102)를 포함하며, 장치(102)의 인터페이스(236)는, 전환 신호(112)를 하나 이상의 스위치(214, 216)를 위한 제어 신호로서 제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점화 출력단 장치.
  10.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어 장치에서 실행되는 경우, 기계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고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방법(580)의 모든 단계들을 실시하도록 설계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1. 제10항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기계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KR1020167031613A 2014-04-16 2015-03-26 차량용 불꽃 점화식 보호 수단의 점화 캡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점화 출력단의 연결을 차단하기 위한 방법 KR1023070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207302.2 2014-04-16
DE102014207302.2A DE102014207302A1 (de) 2014-04-16 2014-04-16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bschalten zumindest einer Zündendstufe für eine Zündpille eines pyrotechnischen Schutzmittels für ein Fahrzeug
PCT/EP2015/056568 WO2015158519A1 (de) 2014-04-16 2015-03-26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bschalten zumindest einer zündendstufe für eine zündpille eines pyrotechnischen schutzmittels für ein fahrzeu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813A KR20160146813A (ko) 2016-12-21
KR102307034B1 true KR102307034B1 (ko) 2021-10-01

Family

ID=52781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1613A KR102307034B1 (ko) 2014-04-16 2015-03-26 차량용 불꽃 점화식 보호 수단의 점화 캡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점화 출력단의 연결을 차단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179560B2 (ko)
EP (1) EP3131793B1 (ko)
JP (1) JP6875858B2 (ko)
KR (1) KR102307034B1 (ko)
CN (1) CN106170419B (ko)
DE (1) DE102014207302A1 (ko)
WO (1) WO20151585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07302A1 (de) 2014-04-16 2015-10-22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bschalten zumindest einer Zündendstufe für eine Zündpille eines pyrotechnischen Schutzmittels für ein Fahrzeug
US10833499B2 (en) * 2017-10-25 2020-11-1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yro-fuse circuit
DE102019211727A1 (de) * 2019-08-05 2021-02-11 Audi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elektrisch antreibbaren Kraftfahrzeugs sowie eine Vorrichtung hierzu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343B1 (ko) 1996-02-12 2005-06-01 모토로라 세미컨덕터 에스. 아. 제어회로, 점화 장치 및 점화 시스템
DE60306111D1 (de) 2002-01-21 2006-07-27 Plantinga Eduard Verfahren, vorrichtung und system zur verhinderung unbeabsichtigter entfaltung einer fahrzeug oder flugzeug sicherheitsvorrichtung
JP2009196541A (ja) 2008-02-22 2009-09-03 Fujitsu Ten Ltd エアバッグ点火回路及びエアバッグ点火ユニット
JP2014004996A (ja) 2012-06-26 2014-01-16 Robert Bosch Gmbh 車両用の人体保護手段のためのトリガ手段を識別するための方法、診断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トリガするための方法、並びに人体保護手段のためのトリガ手段を識別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トリガするための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90476B1 (en) * 1992-09-21 1997-12-10 Nec Corporation Crash/non-crash discrimination using frequency components of acceleration uniquely generated upon crash impact
JPH07228215A (ja) * 1994-02-17 1995-08-29 Mitsubishi Electric Corp 車両用安全装置の制御回路
FR2732286B1 (fr) * 1995-03-31 1997-06-13 Davey Bickford Dispositif de securite d'un vehicule
US5666065A (en) * 1996-05-22 1997-09-09 Delco Electronics Corp. Fast acting FET test circuit for SIR diagnostics
US5872460A (en) * 1996-10-04 1999-02-16 Delco Electronics Corp. Fast acting FET test circuit with current detection for SIR diagnostics
JP2009067289A (ja) 2007-09-14 2009-04-02 Fujitsu Ten Ltd インフレータの点火制御回路、半導体集積回路、及び乗員保護制御装置
ES1067069Y (es) * 2008-01-18 2008-07-16 Vilalta Antonio Soriano Dispositivo de apertura temporizada para enganches de cinturones de seguridad en vehiculos
US8229630B2 (en) * 2008-02-11 2012-07-24 Infineon Technologies Ag Electronic airbag control unit having an autonomous event data recorder
US20140188347A1 (en) * 2012-12-31 2014-07-03 Joseph Akwo Tabe Smart supplemental restraint and occupant classification system
DE102014207302A1 (de) 2014-04-16 2015-10-22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bschalten zumindest einer Zündendstufe für eine Zündpille eines pyrotechnischen Schutzmittels für ein Fahrzeu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343B1 (ko) 1996-02-12 2005-06-01 모토로라 세미컨덕터 에스. 아. 제어회로, 점화 장치 및 점화 시스템
DE60306111D1 (de) 2002-01-21 2006-07-27 Plantinga Eduard Verfahren, vorrichtung und system zur verhinderung unbeabsichtigter entfaltung einer fahrzeug oder flugzeug sicherheitsvorrichtung
JP2009196541A (ja) 2008-02-22 2009-09-03 Fujitsu Ten Ltd エアバッグ点火回路及びエアバッグ点火ユニット
JP2014004996A (ja) 2012-06-26 2014-01-16 Robert Bosch Gmbh 車両用の人体保護手段のためのトリガ手段を識別するための方法、診断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トリガするための方法、並びに人体保護手段のためのトリガ手段を識別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トリガするため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170419A (zh) 2016-11-30
US10179560B2 (en) 2019-01-15
DE102014207302A1 (de) 2015-10-22
EP3131793B1 (de) 2018-08-22
US20170106825A1 (en) 2017-04-20
WO2015158519A1 (de) 2015-10-22
JP2017513757A (ja) 2017-06-01
JP6875858B2 (ja) 2021-05-26
KR20160146813A (ko) 2016-12-21
EP3131793A1 (de) 2017-02-22
CN106170419B (zh) 2019-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43235B2 (en) Overcurrent protection circuit
US9482711B2 (en) Apparatus and a method for detecting faults in the delivery of electrical power to electrical loads
CN104044541B (zh) 气囊装置
CN102035168B (zh) 过电流保护电路及车载显示装置
KR102307034B1 (ko) 차량용 불꽃 점화식 보호 수단의 점화 캡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점화 출력단의 연결을 차단하기 위한 방법
JP4849480B2 (ja) 車両用発電制御装置
US20160294181A1 (en) Overvoltage protection for a motor vehicle electrical system in the event of load shedding
KR102073851B1 (ko) Dc-dc 전압 컨버터의 진단 시스템
US20130152910A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gnition device
KR20140053668A (ko) 반도체 스위치 소자의 보호 회로 및 게이트 구동 회로
CN102047521B (zh) 变压器的保护系统
US20220029526A1 (en) Device and method for discharging a dc link capacitor
US6631065B2 (en) Overcurrent interrupting device
US7489167B2 (en) Voltage detection and sequencing circuit
US11074089B2 (en) Switch state determining device
JP2017513757A5 (ko)
CN108063612B (zh) 半导体装置
JP2016208581A (ja) サージ保護回路
US20190229526A1 (en) Circuit system for coupling an electrical control unit to a voltage supply, and electrical control unit
WO2018066499A1 (ja) 車載機器
US10468970B2 (en) Starting current limitation
KR101694928B1 (ko) 디지털 온도 센서를 가진 배터리 관리 시스템
KR101664564B1 (ko) 충전 전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390674B1 (ko) 차량 발전기용 전압조정기의 시동 스위치 닫힘 인식 장치 및 방법
JP2014212435A (ja) 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