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2320A - 폐pet를 활용한 고품위 리싸이클 pet 칩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폐pet를 활용한 고품위 리싸이클 pet 칩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2320A
KR20230052320A KR1020210134694A KR20210134694A KR20230052320A KR 20230052320 A KR20230052320 A KR 20230052320A KR 1020210134694 A KR1020210134694 A KR 1020210134694A KR 20210134694 A KR20210134694 A KR 20210134694A KR 20230052320 A KR20230052320 A KR 20230052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
flakes
waste pet
manufacturing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4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9800B1 (ko
Inventor
이경희
김혁태
김동현
김민재
Original Assignee
이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희 filed Critical 이경희
Priority to KR1020210134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9800B1/ko
Publication of KR20230052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2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02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02Making preform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e.g. sheets,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06Making preforms by moulding the material
    • B29B11/10Extrus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26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by agglomeration or compa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26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by agglomeration or compacting
    • B29B17/0047Compacting complete was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17/0412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to large particles, e.g. beads, granules, flakes, sl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02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 B29B9/06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in the form of filamentary material, e.g. combined with extr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69Filters or screens for the mould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78Preparation processes
    • C08G63/80Solid-state poly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6Auxiliary treatment of granules
    • B29B2009/165Crystallizing gran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2017/001Pretreating the materials before recovery
    • B29B2017/0015Washing, rin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03Separating plastics from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17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231Centrifugating, cycl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68Crushing, i.e. disintegrating into small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67/003PET, i.e. poylethylene terephthal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유점도(IV)가 낮은(0.72dl/g) 저급의 폐PET로부터 투명한 폐PET만의 선별 및 용융에 의한 정제공정으로 순도를 높이고, 고상중합에 의해 고유점도(IV)가 높은(8 ~ 1.02dl/g) 리싸이클 PET 칩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투명 폐PET병만을 선별한 후, 플레이크 형상으로 분쇄하고 저온에서 습식으로 재차 분쇄한 다음, 원심분리에 의해 순수한 투명 폐PET만을 수득하는 정선공정 및 용융에 의한 정제공정과, 수분에 의한 가수분해 방지를 위해 결정화 및 고상중합공정과, 리싸이클 PET 칩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복수의 정선공정 및 용융에 의한 정제공정에 의해 순도를 향상시키서 고상중합으로 고품위의 리싸이클 PET 칩을 제조하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보다 고품질의 PET 성형제품을 생산할 수 있어 부가가치가 높은 다양한 제품을 제조하는데 적합하여 상업적으로 매우 유리한 장점을 지니고 있다.

Description

폐PET를 활용한 고품위 리싸이클 PET 칩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recycled PET chip using waste PET}
본 발명은 폐PET를 활용한 리싸이클 PET 칩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폐PET 폐기물로부터 투명한 폐PET의 순도 및 고유점도를 향상시킨 고품위 리싸이클 PET 칩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는 결정성이 크고 용융점이 높아 섬유뿐만 아니라 필름 , 음료용기, 사출형 재료 등 다양한 용도에 사용되고 있으며, PET는 무게가 가볍고 강도가 커서 깨지지 않으며, 우수한 투명성 및 가스에 대한 저투과성, 높은 광투과율의 특성 때문에 유리용기 대체물로 탄산음료, 생수, 과즙음료 등의 음료용기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PET는 열가소성 수지이므로 사용된 폐PET는 용융에 의해 재생이 가능하며 현재 폐PET 재활용 기술로는 기계적 재활용 방법과 화학적 재활용방법 및 소각에 의한 에너지 회수 등의 재활용방법이 있으며, 화학적 재활용방법이 고품질의 제품을 얻을 수 있으나, 기술적인 접근이 어렵고, 처리시설 등 비용이 높은 문제가 있고, 소각에 의한 에너지 회수 등의 재활용방법은 소각시 다이옥신 등 유해한 화합물이 생성되기 때문에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으므로 비용이 적게 들고 공해문제가 없는 기계적 재활용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적절한 방법이라 하겠다.
폐PET 폐기물로부터 고품질의 재생 PET의 생산을 위해서는 폐PET의 화학적 재활용 방법이나 기계적 재활용 방법의 구분없이 폐PET 폐기물로부터 순수한 폐PET를 선별하는 것이 중요하며, 폐PET의 선별이 적절하지 못하여 이종의 합성수지 또는 폐PET 폐기물에 부착된 라벨 등이 혼입되면 재생 PET의 성형작업시에 가수분해 등에 의한 분자량 감소로 물성이 저하되어 재생 PET 제품의 품질에 문제가 발생한다.
폐PET의 재활용 방법과 관련한 선행기술로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 고유점도(Ⅳ)가 0.95dl/g으로 높고, 분포 범위가 주로 0.60 내지 0.80dl/g으로 넓은 PET재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한 재료를 혼합하고 이를 사실상 다수의 불균일한 플레이크형 및 토막(chunk)형 단편을 포함하는 이종 Ⅳ 재료 혼합물로 재형성시키는 단계 및 이종 혼합물을 직접 고체 상태 중합(SSP)시켜 평균 Ⅳ가 0.90dl/g 이상인 이종재료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성능 플라스틱 스트랩의 제조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PET재의 제조방법은 고유점도(IV)가 다소 높은 재활용 PET병 플레이크를 고성능 PET 스트랩을 제조하고 있으며, 특허문헌2에는 압축된 페트병을 투입하는 투입단계와, 상기 투입단계에서 압축되어 투입된 페트병을 해체하고, 페트병에 부착된 이물질을 분리시킴과 동시에 페트병의 색상별로 선별 분리하는 선별단계와, 상기 선별단계에서 선별이 완료된 후 일정 크기로 분쇄하여 PET칩이 형성되는 분쇄단계와, 상기 분쇄단계에서 분쇄된 PET칩을 냉수와 온수를 이용하여 이물질 및 라벨용 본드, 약품을 제거하는 세척단계와, 상기 세척단계에서 세척된 PET칩에 잔류하는 습기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건조단계와, 상기 선별단계, 분쇄단계, 세척단계, 건조단계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포집제거하는 집진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트병 재생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또 특허문헌 3에 폐 폴리에스테르 제품을 분쇄하여 플레이크(flake)를 제조하는 공정; 잔류 수분율이 0.1 중량% 이하가 되도록 상기 플레이크를 건조하는 공정; 및 상기 건조된 플레이크를 녹여 재생 폴리에스테르 용융액을 제조하는 공정을 포함하되 상기 플레이크를 건조하는 공정은 60 내지 200 ℃의 온도 및 1 내지 24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폴리에스테르 중합체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폐PET 폐기물로부터 투명한 폐PET의 정선 및 정제와 기계적 재활용 기술을 이용하여 순도 및 점도를 향상시켜 고품위의 리싸이클 PET 칩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KR 10-0257284 B1 KR 10-0895529 B1 KR 10-1417193 B1
본 발명에서 해결하려는 과제는 폐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로부터 투명한 폐PET만의 정밀한 정선 및 용융에 의한 정제로 순도를 높이고, 고상중합에 의해 고유점도를 향상시킨 고품위 리싸이클 PET 칩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고유점도(IV)가 낮은(0.72dl/g) 저급의 폐PET로부터 투명한 폐PET만의 정밀한 정선 및 용융에 의한 정제에 의해 순도를 높이고, 고상중합에 의해 고유점도(IV)가 높은(8 ~ 1dl/g) 리싸이클 PET 칩을 제조하는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폐PET를 활용한 리싸이클 PET 칩의 제조방법은 수집된 폐PET 폐기물로부터 투명 폐PET만을 선별한 후, 플레이크 형상으로 분쇄하고, 저온에서 습식으로 재차 분쇄한 다음, 원심분리에 의해 순수한 투명 폐PET만을 수득하는 복수의 정선공정, 용융에 의한 정제공정, 가수분해 방지를 위한 결정화공정, 고상중합공정 및 고상중합물을 용융압출하여 리싸이클 PET 칩을 제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폐PET를 활용한 리싸이클 PET 칩의 제조방법에 따른 일 실시형태는 a). 수집된 폐PET로부터 투명 폐PET만을 선별한 다음, 투명 폐PET를 압착하는 선별공정, b). 압착된 폐PET를 플레이크 형태로 분쇄한 다음, 투명 PET 플레이크만을 분리하는 제1차 정선공정, c). 투명 폐PET 플레이크를 습식분쇄하고 분쇄물을 원심분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투명 폐PET 분쇄물을 얻는 제2차 정선공정, d). 투명 폐PET 분쇄물을 제습 및 건조하는 건조공정, e). 건조된 투명 폐PET 분쇄물을 용융온도에서 용융압출 및 용융상태에서 필터링하여 냉각한 다음, 플레이크 형태로 분쇄하여 재생 PET플레이크를 제조하는 정제공정, f). 재생 PET 플레이크를 결정화하는 결정화공정, g). 결정화된 재생 PET 플레이크를 고상중합시키는 고상중합공정 및 h). 고상중합물을 용융온도 조건에서 압출하고 커팅하여 칩으로 성형하는 리싸이클 PET칩 제조공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폐PET를 활용한 리싸이클 PET 칩의 제조방법에 따른 보다 구체적인 또 다른 실시형태는 a). 수집된 폐PET로부터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투명 폐PET만을 선별한 다음, 선별된 투명 폐PET를 압착하는 선별공정, b). 압착된 폐PET를 5 ~ 10㎜ 크기의 플레이크 형태로 분쇄한 다음, 투명 PET 플레이크만을 분리하는 제1차 정선공정, c). 투명 폐PET 플레이크를 5 ~ 10℃에서 습식분쇄하고 분쇄물을 원심분리하여 투명 폐PET 분쇄물을 얻는 제2차 정선공정, d). 투명 폐PET 분쇄물을 잔류수분이 0.1중량% 이하로 제습 및 건조하는 건조공정, e). 건조된 폐PET 분쇄물을 용융온도에서 용융압출 및 용융상태에서 필터링하고 냉각하여 3 ~ 5㎜ 크기의 플레이크 형태로 분쇄하여 재생 PET 플레이크를 제조하는 정제공정, f). 재생 PET 플레이크를 140 ~ 165℃에서 일정시간 결정화하는 결정화공정, g). 결정화된 재생 PET 플레이크를 진공조건에서 질소가스를 충진하고 180 ~ 220℃에서 고상중합시키는 고상중합공정 및 h) 고상중합물을 용융온도 조건에서 압출하고, 커팅하여 PET 칩으로 성형하는 리싸이클 PET 칩 제조공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리싸이클 PET 칩의 제조방법은 순도가 향상되고, 8 ~ 1dl/g의 높은 고유점도(IV)를 갖는 리싸이클 PET 펠릿이 제조되므로 높은 고유점도가 요구되는 PET용기, 건축자재, 탄산수용기, 고강력 폴리에스터 장섬유 등 부가가치가 높은 다양한 제품을 제조하는데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폐PET를 활용한 리싸이클 PET 칩의 제조방법은 복수의 정선공정 및 용융에 의한 정제공정에 의해 순도를 향상시킨 후 고상중합에 의해 고품위의 리싸이클 PET 펠릿을 제조하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보다 고품질의 PET 성형제품을 생산할 수 있어 부가가치가 높은 다양한 제품을 제조하는데 적합하므로 상업적으로 매우 유리한 장점을 지니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폐PET를 활용한 고품위 리싸이클 PET 칩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아래 기재 내용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의 폐PET를 활용한 고품위 리싸이클 PET 칩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도 1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PET를 활용한 리싸이클 PET 칩의 제조방법은 a). 수집된 폐PET로부터 투명 폐PET만을 선별한 다음, 투명 폐PET를 압착하는 선별공정, b). 압착된 폐PET를 플레이크 형태로 분쇄한 다음, 투명 PET 플레이크만을 분리하는 제1차 정선공정, c). 투명 폐PET 플레이크를 습식분쇄하고 분쇄물을 원심분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투명 폐PET 분쇄물을 얻는 제2차 정선공정, d). 투명 폐PET 분쇄물을 제습 및 건조하는 건조공정, e). 건조된 투명 폐PET 분쇄물을 용융온도에서 용융압출 및 용융상태에서 필터링하여 냉각한 다음, 플레이크 형태로 분쇄하여 재생 PET 플레이크를 제조하는 정제공정, f). 재생 PET 플레이크를 결정화하는 결정화공정, g). 결정화된 재생 PET 플레이크를 고상중합시키는 고상중합공정 및 h) 고상중합물을 용융온도 조건에서 압출하고 커팅하여 칩으로 성형하는 리싸이클 PET칩 제조공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선별공정은 수집된 폐PET로부터 투명 폐PET을 선별한 후 오염물질, 라벨 등을 제거하고, 압착하여 투명 폐PET만을 얻는 공정이며, 수집된 폐PET는 다양한 형태의 폐기되는 PET제품이며, 특별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회수작업 및 정선작업에 유리한 폐PET 병을 수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별공정의 투명 폐PET의 선별은 광학선별기를 이용하여 육안으로 구분이 어려운 유색 폐PET 등을 분리 및 제거하고, 투명 폐PET만을 선별하며, 선별된 투명 폐PET는 분쇄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압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차 정선공정은 압착된 투명 폐PET를 플레이크 형상으로 절단 및 분쇄하고 세척하여 투명 폐PET 플레이크를 얻는 공정으로 정선공정은 재생과정에서 PET의 물성변화를 최소화하고 순도를 향상시키는 공정이다.
상기 제1차 정선공정은 압착된 투명 폐PET병을 5 ~ 10㎜ 크기의 폐PET 플레이크로 절단 및 분쇄한 후, 폐PET 플레이크를 가열수단이 설치된 세척조에 투입하여 70 ~ 80 ℃의 온수로 세척한 다음, 스크린하여 투명 폐PET 플레이크만을 분리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차 정선공정에 의해 투명 폐PET에 부착된 라벨, 점착제 등이 온수에 의해 분리되어 세척조 상부로 부유하므로 세척수를 유월시켜 부유물을 제거하고, 폐PET 플레이크 보다 입자가 작고, 무거운 금속 등의 이물질은 스크린 작업으로 분리되어 투명 폐PET 플레이크 만으로 분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차 정선공정은 투명 폐PET 플레이크를 저온에서 습식분쇄에 의해 분쇄한 분쇄물을 원심분리하여 투명 폐PET 분쇄물을 얻는 2차적인 정선공정이며, 습식분쇄기를 이용하여 5 ~ 10℃에서 상기 제1차 정선공정의 플레이크 보다 작은 크기로 분쇄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차 정선공정의 습식분쇄기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투명 폐PET 플레이크에 부착된 점착제는 저온에서 경도가 높아져 보다 쉽게 분리시킬 수가 있으며, 상기 제1차 정선공정의 플레이크 보다 작은 크기의 입자로 분쇄된 습식분쇄물은 원심분리에 의해 침강되어 투명 폐PET 분쇄물로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건조공정은 PET가 가수분해에 의해 중합도가 감소되어 PET의 물성 저하를 초래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투명 폐PET 분쇄물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공정이며, 제습기 등을 이용하여 잔류수분이 0.1중량% 이하가 되도록 제습 및 건조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정제공정은 최종생성물인 리싸이클링 PET 펠릿의 순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건조된 투명 폐PET 분쇄물을 용융압출하고, 용융상태에서 필터링하여 용융물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일정크기로 절단한 압출물을 일정크기의 플레이크 형태로 분쇄하여 순도가 향상된 재생 PET 플레이크를 얻는 예비 재생공정이다.
상기 정제공정은 건조된 투명 폐PET 분쇄물을 압출기를 이용하여 용융온도 275 ~ 280℃, 최대압력 110bar으로 용융압출하며, 용융상태의 PET를 진공도 10mbar에서 20미크론의 스테인레스스틸 필터로 통과시켜 용융물 내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고순도의 재생 PET 압출물을 얻으며, 상온으로 냉각한 후 일정하게 절단하고, 플레이크 형태로 분쇄하여 재생 PET를 얻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재생 PET는 후속하는 결정화공정 및 고상중합공정에서 반응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중합반응의 면적을 넓히는 것이 바람직하며, 3 ~ 5㎜크기의 플레이크 형태로 분쇄하여 재생 PET 플레이크로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결정화공정은 상기 재생 PET 플레이크를 예열 및 건조하여 결정화하는 공정이며, 결정화공정은 재생 PET 플레이크의 투입량 및 결정화온도에 따라 결정화 시간이 다를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140 ~ 165℃에서 1 ~ 2시간정도 결정화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정화공정은 로타리 방식의 결정화 설비 내지 고속교반기가 장착된 가열호퍼에서 유동시키면서 결정화하는 방식의 결정화설비 등을 채용하며, 결정화 공정이 없이 단순히 고상중합반응을 위하여 예열한 후 고상중합반응을 수행할 경우 원료의 고착현상이 일어날 수 있어 고상중합반응의 효율에 바람직하지 못한 영향을 준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고상중합공정은 고상중합반응에 의해 높은 고유점도(IV)의 리싸이클 PET를 제조하는 공정이며, 결정화된 재생 PET 플레이크를 200 ~ 210℃ 반응온도에서 진공상태 및 질소분위기 하에 고상중합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상중합공정은 재생 PET 플레이크를 반응기에서 반응온도를 200 ~ 210℃ 유지하고, 5mbar 미만의 진공상태 및 질소를 2000ℓ/hr의 유속으로 반응기에 투입하여 질소분위기 하에서 고상중합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또 고상중합공정은 고상중합반응이 종료되면 반응생성물을 반응기 내의 하부에서 교반 하에 5 ~ 6시간 체류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반응생성물을 교반 하에 5 ~ 6시간 체류시키는 것은 고상중합반응이 종료된 후, PET 플레이크의 브릿지 현상을 방지하여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리싸이클 PET칩 제조공정은 고상중합공정의 종료후 배출되는 고상중합물을 용융압출하고, 커팅하여 리싸이클 PET 칩을 제조하는 공정이며, 상기 고상중합물을 280℃의 용융온도에서 용융압출한 다음 커팅하여 고유점도(IV) 0.8 ~ 1.dl/g의 리싸이클 PET 칩을 제조한다.
상기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고유점도(IV) 0.8 ~ 1.dl/g의 리싸이클 PET 칩은 일반적인 PET용기 외에 높은 고유점도를 요구하는 고강력 폴리에스터 장섬유의 제조에 적합하며 예를 들면, 건축자재(고유점도 0.8dl/g), 탄산수용기(고유점도 0.85dl/g), 고강력사(고유점도 0.90dl/g)등 부가가치가 높은 제품을 제조하는데 적합하여 상업적을 매우 유리한 장점이 있다.

Claims (5)

  1. a). 수집된 폐PET로부터 투명 폐PET만을 선별한 다음, 투명 폐PET을 압착하는 선별공정,
    b). 압착된 폐PET를 5 ~ 10㎜ 크기의 플레이크 형태로 절단 및 분쇄한 후, 폐PET 플레이크를 70 ~ 80℃의 온수로 세척한 다음, 스크린하여 투명 폐PET 플레이크만을 선별하는 제1차 정선공정,
    c). 투명 폐PET 플레이크를 습식분쇄하고 분쇄물을 원심분리하여 투명 폐PET 분쇄물을 얻는 제2차 정선공정,
    d). 투명 폐PET 분쇄물을 제습 및 건조하는 건조공정,
    e). 건조된 투명 폐PET 분쇄물을 용융온도에서 용융압출하고, 용융상태에서 필터링하고 상온으로 냉각하면서 일정크기로 절단한 다음 3 ~ 5㎜ 크기의 플레이크 형태로 분쇄하여 재생 PET플레이크를 제조하는 정제공정,
    f). 재생 PET 플레이크를 140 ~ 165℃에서 1 ~ 2시간 결정화하는 결정화공정,
    g). 결정화된 재생 PET 플레이크를 200 ~ 210℃ 반응온도에서 진공상태 및 질소분위기 하에 고상중합시키는 고상중합공정 및
    h). 고상중합물을 용융온도 조건에서 압출하고 커팅하여 PET 칩으로 성형하는 리싸이클 PET 칩 제조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PET를 활용한 고품위 리싸이클 PET 칩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차 정선공정은 5 ~ 10℃에서 습식분쇄에 의해 상기 제1차 정선공정의 PET 플레이크 보다 작은크기로 분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PET를 활용한 고품위 리싸이클 PET 칩의 제조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건조공정은 잔류수분이 0.1중량% 이하가 되도록 제습 및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PET를 활용한 고품위 리싸이클 PET 칩의 제조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정제공정은 건조된 투명 폐PET 분쇄물을 용융온도 275 ~ 280℃에서 용융압출한 다음, 용융상태에서 20미크론의 스테인레스스틸 필터로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PET를 활용한 고품위 리싸이클 PET 칩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PET를 활용한 고품위 리싸이클 PET 칩.
KR1020210134694A 2021-10-12 2021-10-12 폐pet를 활용한 고품위 리싸이클 pet 칩의 제조방법 KR102599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694A KR102599800B1 (ko) 2021-10-12 2021-10-12 폐pet를 활용한 고품위 리싸이클 pet 칩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694A KR102599800B1 (ko) 2021-10-12 2021-10-12 폐pet를 활용한 고품위 리싸이클 pet 칩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2320A true KR20230052320A (ko) 2023-04-20
KR102599800B1 KR102599800B1 (ko) 2023-11-08

Family

ID=86143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4694A KR102599800B1 (ko) 2021-10-12 2021-10-12 폐pet를 활용한 고품위 리싸이클 pet 칩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980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1440A (ja) * 1996-12-31 1998-09-22 Shell Internatl Res Maatschappij Bv リサイクル流からの固体微孔質ポリエステルポリマーの回収方法、およびそれにより作成される生産物
KR100257284B1 (ko) 1997-02-03 2000-05-15 토마스 더블유. 버크맨 플라스틱 스트랩 제조용 pet 플레이크의 인라인 고체 상태중합
KR100578766B1 (ko) * 1999-05-01 2006-05-11 김용재 Pet 공병으로부터 pet의 회수재생방법
KR100866819B1 (ko) * 2001-10-16 2008-11-04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Pet 보틀의 리사이클 방법
KR100895529B1 (ko) 2008-08-08 2009-04-30 박용익 페트병 재생방법
KR20110075097A (ko) * 2009-12-28 2011-07-06 주식회사 효성 폴리에스터 재생칩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터 기능성 이형단면 섬유
KR101417193B1 (ko) 2010-09-30 2014-07-09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재생 폴리에스테르 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스펀본드 부직포
KR102163351B1 (ko) * 2019-11-08 2020-10-08 이경희 고강력 폴리에스터 장섬유 제조를 위한 재생 pet 칩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1440A (ja) * 1996-12-31 1998-09-22 Shell Internatl Res Maatschappij Bv リサイクル流からの固体微孔質ポリエステルポリマーの回収方法、およびそれにより作成される生産物
KR100257284B1 (ko) 1997-02-03 2000-05-15 토마스 더블유. 버크맨 플라스틱 스트랩 제조용 pet 플레이크의 인라인 고체 상태중합
KR100578766B1 (ko) * 1999-05-01 2006-05-11 김용재 Pet 공병으로부터 pet의 회수재생방법
KR100866819B1 (ko) * 2001-10-16 2008-11-04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Pet 보틀의 리사이클 방법
KR100895529B1 (ko) 2008-08-08 2009-04-30 박용익 페트병 재생방법
KR20110075097A (ko) * 2009-12-28 2011-07-06 주식회사 효성 폴리에스터 재생칩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터 기능성 이형단면 섬유
KR101417193B1 (ko) 2010-09-30 2014-07-09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재생 폴리에스테르 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스펀본드 부직포
KR102163351B1 (ko) * 2019-11-08 2020-10-08 이경희 고강력 폴리에스터 장섬유 제조를 위한 재생 pet 칩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9800B1 (ko) 2023-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3351B1 (ko) 고강력 폴리에스터 장섬유 제조를 위한 재생 pet 칩 제조방법
CN111138641B (zh) 一种废聚酯瓶回用制备瓶级切片的方法
EP3778165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et-pellets from post-consumer bottles
US4033907A (en) Reclaiming waste plastics
CN111088545B (zh) 一种阳离子染料可染的再生仿棉聚酯纤维的制备方法
CN1192998C (zh) 化学再循环利用聚对苯二甲酸乙二酯废料的方法
DE102006023354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Wiederverwertung von Polyestermaterial
US6376563B2 (en) Inline solid state polymerization of PET flakes for manufacturing plastic strap by removing non-crystalline materials from recycled PET
NO338641B1 (no) Krystallisert polyetylentereftalat som inneholder silisium og fremgangsmåte for fremstilling derav
KR102347381B1 (ko) Pet 재생칩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pet 단섬유
KR102339830B1 (ko) 저점도 재활용품 pet 플레이크를 활용한 고점도 리싸이클 pet칩의 제조방법
JP3613198B2 (ja) ペットボトルリサイクルにおけるフレーク異物の除去方法
KR20220119020A (ko)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의 최적화된 탈중합 방법
CN102642312A (zh) 双螺杆挤压熔融复合回收处理pet废膜的加工方法
KR102599800B1 (ko) 폐pet를 활용한 고품위 리싸이클 pet 칩의 제조방법
JP3711794B2 (ja) 再生ポリエステル樹脂シートの製造法。
KR102508241B1 (ko) 재생 pet를 이용한 모노 필라멘트 원사의 제조방법
CN116175808A (zh) 一种食品级再生聚对苯二甲酸乙二酯物理法生产系统及工艺
KR20120068373A (ko) 폴리에스터 재생칩의 제조방법 및 폴리에스터 이형단면 섬유의 제조방법
KR20220097568A (ko) 폐pet병을 활용한 리싸이클 pet 펠릿의 제조방법
KR20220097567A (ko) 폐pet병을 활용한 리싸이클 pet 펠릿의 제조방법
CN112776208A (zh) 一种由废冰箱料再生加工abs颗粒的制备方法
KR20220119054A (ko)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의 개선된 탈중합 방법
CN220008888U (zh) 一种回收热收缩膜制备系统
Fadlalla Management of PET plastic bottles waste through recycling Khartoum st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