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1089A -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1089A
KR20230051089A KR1020220127927A KR20220127927A KR20230051089A KR 20230051089 A KR20230051089 A KR 20230051089A KR 1020220127927 A KR1020220127927 A KR 1020220127927A KR 20220127927 A KR20220127927 A KR 20220127927A KR 20230051089 A KR20230051089 A KR 20230051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housing
opening
connector assembly
seal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7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레이 첸 (오토)
홍보 장 (다니엘)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51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10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01R13/741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 H01R13/74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패널의 개구에서 패널 상에 장착 가능한 커넥터 조립체가 개시되며, 커넥터 조립체는, 하우징 ― 하우징에는 하우징 내부에 연결 단자들이 제공되고, 하우징의 원주 방향을 따라 플랜지가 또한 제공됨 ―; 및 패널과 플랜지 사이에 밀봉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밀봉 요소를 포함하고; 하우징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열되고 밀봉 요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홈(groove)이 플랜지에 형성되며, 그에 따라 하우징이 개구를 통해 패널을 부분적으로 통과할 때 밀봉 요소가 패널에 대해 가압된다.

Description

커넥터 조립체 {CONNECTOR ASSEMBLY}
본 출원은, 2021년 10월 8일자로 중국 국가 지식재산 관리국에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제202122420940.4호의 우선권 이익을 주장하며 그리고 2022년 7월 18일자로 중국 국가 지식재산 관리국에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제202221851938.0호의 우선권 이익을 주장하며, 이들의 전체 개시내용들은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본 출원은 커넥터 조립체, 특히 패널의 개구에서 패널 상에 장착 가능한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냉동 디바이스들, 이를테면, 냉장고들 및 냉동기들에서, 발포제들(foaming agents), 물 또는 다른 오염물들이 커넥터 조립체들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그리고 커넥터 조립체들에서의 단락(short circuiting) 또는 개방 회로(open circuiting)를 회피하기 위해, 우수한 밀봉 특성들을 갖는 커넥터 조립체들이 전형적으로 사용된다. 미세 밀봉부(fine seal)를 형성하기 위해, 커넥터들은 종종 접착 테이프 및 아교(glue)를 사용함으로써 패널에 부착되고, 그 다음, 커넥터들이 부착된 패널은 냉동 디바이스의 매칭 패널에 설치된다. 그러나, 접착 테이프 및 아교의 사용은 이를 테면, 접착 테이프들 및 아교들을 갖는 패널이 재사용되지 않을 수 있어, 재료들의 낭비 및 증가된 비용들을 초래할 수 있고; 접착 테이프 및 아교의 사용은 비교적 긴 동작 시간을 필요로 하고, 그러한 동작은 수동으로 구현되며, 이는 부가적인 스태프 트레이닝들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표준화시키기가 어렵고, 이는 추가로 품질의 잠재적인 위험들로 이어지는 것과 같은 일련의 문제들로 이어질 것이다. 이러한 문제들은, 냉동 디바이스들이 대량 생산될 때 특히 심각해진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위의 문제들의 적어도 하나의 양상을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출원의 일 양상에 따르면, 커넥터 조립체가 개시되며, 커넥터 조립체는 패널의 개구에서 패널 상에 장착 가능하며, 커넥터 조립체는, 하우징 ― 하우징에는 내부에 연결 단자들이 제공되고, 또한, 하우징의 원주 방향을 따라 플랜지가 제공됨 ―; 및 패널과 플랜지 사이에 밀봉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밀봉 요소를 포함한다. 하우징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열되고 밀봉 요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홈(groove)이 플랜지에 형성되며, 그에 따라 하우징이 개구를 통해 패널을 부분적으로 통과할 때 밀봉 요소가 패널에 대해 가압된다.
본 출원의 일 양상에 따르면, 홈에는 하우징을 등지는(facing away from) 외향 방향으로,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외부 벽이 제공된다.
본 출원의 일 양상에 따르면, 홈에는 하우징을 등지는 외향 방향으로,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고정 부분들이 제공된다.
본 출원의 일 양상에 따르면, 밀봉 요소는 링으로서 형상화된다.
본 출원의 일 양상에 따르면, 밀봉 요소에는 링의 외부 측 상의 제1 돌출부 및 링의 내부 측 상의 제2 돌출부가 제공되고,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는, 밀봉 요소를 홈에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일 양상에 따르면, 밀봉 요소는 실질적으로 다이아몬드 형상 단면을 갖도록 구성되며,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는 각각 다이아몬드의 대향 정점들(opposite vertices)에 위치되고, 그에 따라 밀봉 요소가 패널에 대해 가압될 때, 실질적으로 다이아몬드 형상 단면이 실질적으로 원뿔 형상으로 압축된다.
본 출원의 일 양상에 따르면, 밀봉 요소는 개구의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된다.
본 출원의 일 양상에 따르면, 밀봉 요소는 고무로 제조된다.
본 출원의 일 양상에 따르면, 하우징에는 플랜지를 향해 하우징으로부터 종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연장되는 탄성 아암들이 추가로 제공되며, 그에 따라 패널은, 하우징이 개구를 통해 패널을 부분적으로 관통하는 상태에서, 탄성 아암들의 자유 단부들과 플랜지 사이에 위치된다.
본 출원의 일 양상에 따르면, 탄성 아암들의 자유 단부들은 패널을 향해 지향되고, 개구로부터 측방향으로 오프셋된다.
본 출원의 일 양상에 따르면, 탄성 아암들의 자유 단부들 각각에는 패널을 향하는 톱니 단부면(sawtooth end face)이 제공된다.
본 출원의 일 양상에 따르면, 탄성 아암들은 하우징의 대향 측들 상에 제공된다.
본 출원의 일 양상에 따르면, 플랜지는 하우징 상에 종방향으로 센터링된다.
본 출원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커넥터 조립체가 개시되며, 커넥터 조립체는 패널의 개구에서 패널 상에 장착 가능하며, 커넥터 조립체는, 하우징 ― 하우징에는 내부에 연결 단자들이 제공되고, 또한 하우징의 원주 방향을 따라 플랜지가 제공되며, 하우징에는, 하우징으로부터 플랜지를 향해 종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obliquely) 연장되는 탄성 아암들이 추가로 제공됨 ―; 및 패널과 플랜지 사이에 밀봉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밀봉 요소를 포함한다. 하우징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열되고 밀봉 요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홈이 플랜지에 형성되고, 그에 따라, 하우징이 개구를 통해 패널을 부분적으로 통과할 때, 밀봉 요소가 탄성 아암들의 자유 단부들과 플랜지 사이에 위치된 패널에 대해 가압된다.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들 또는 종래 기술의 기술적 해법들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인 실시예들 또는 종래 기술의 설명에 사용될 도면들이 아래에서 간략하게 설명될 것이다. 명백하게, 다음의 설명에서의 도면들은 단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 중 일부일 뿐이며, 임의의 독창적인 작업을 수행하지 않으면서 당업자들에 의해 다른 도면들을 얻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선을 따라 취한 커넥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분해된 상태의, 도 1의 커넥터 조립체의 패널 및 하우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분해된 상태의, 도 3의 밀봉 요소 및 하우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분해된 상태의, 도 5의 커넥터 조립체의 패널 및 하우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분해된 상태의, 도 6의 밀봉 요소 및 하우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파선 원 내의 탄성 아암의 확대도이다.
도 9는 패널에 대한 밀봉 요소의 상대적인 포지션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4 및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은 비압축된 상태의 밀봉 요소의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2 및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은 압축된 상태의 밀봉 요소의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출원의 기술적 해법들은, 실시예들을 통해 이하에서 상세하게 그리고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추가 설명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들을 지칭한다.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다음 설명은 본 출원의 일반적인 출원의 개념을 설명하도록 의도되며, 본 출원의 제한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더욱이,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의 용이함으로 위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 사항들이 제시된다. 그러나, 명백하게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이 이러한 특정 세부 사항들 없이도 실시될 수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 잘 알려진 구조들 및 디바이스들은 도면들을 단순화하기 위해 모식도 형태로 도시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냉동 디바이스(첨부 도면들에 도시되지 않음)에서 사용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100)가 도시되고, 커넥터 조립체(100)는 패널(120)의 개구(121)에서 패널(120) 상에 장착 가능하며, 그리고 커넥터 조립체(100)는 하우징(110) 및 밀봉 요소(130)를 포함한다. 냉동 디바이스의 정합(mating) 커넥터(첨부 도면들에 도시되지 않음)와의 전기 연결을 위한 연결 단자들(첨부 도면들에 도시되지 않음)이 하우징(110)에 제공된다. 커넥터 조립체(100)와 정합 커넥터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정합 커넥터와 정합 및 연결하기 위한 연결 부분(114)이 하우징(110)에 또한 제공된다. 플랜지(111)가 하우징(110) 주위에 원주방향으로 그리고 하우징(110) 상에서 종방향으로 센터링된 채 제공된다. 하우징(110)은, 플랜지(111)가 패널(120)에 접하도록 패널(120)의 개구(121)를 통해 패널(120)을 부분적으로 통과한다. 하우징(110)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열되고 밀봉 요소(13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홈(112)이 플랜지(111)에 형성되고, 그에 따라, 하우징(110)이 개구(121)를 통해 패널(120)을 부분적으로 통과할 때, 패널(120)과 플랜지(111) 사이 밀봉부를 형성하도록, 밀봉 요소(130)가 패널(120)에 대해 가압되어, 발포제, 물 또는 다른 오염물들이 플랜지(111)와 패널(120) 사이의 커넥터 조립체(100)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즉, 패널(120)의 개구(121)로 들어가는 것(도 2 참조))을 방지한다. 홈(112)에는 하우징(110)을 등지는 외향 방향으로,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외부 측벽(1121)(도 1 내지 도 4 참조)이 제공된다. 홈(112) 및 홈(112)에 수용된 밀봉 요소(130)(도 9 참조, 밀봉 요소(130)는 조립된 상태에서 개구(121)의 외부 측 상에 반경 방향으로 위치됨)가 하우징(110)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는 배열체는, 하우징(110)에 대하여 더 먼 거리에서 하우징(110)으로부터의 오염물들을 차단함으로써, 밀봉부의 안전성 및 신뢰성을 개선하는 데 유리하다.
하우징(110)이 패널(120) 상에 조립된 상태에서, 커넥터 조립체(100)는 패널(120)에 의해 냉동 디바이스 내에 설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커넥터 조립체(100)의 조립 및 냉동 디바이스에서의 커넥터 조립체(100)의 설치는, 접착 테이프 및 아교에 대한 필요 없이, 하우징(110)과 패널(120) 사이의 간단한 플러그-인 끼워맞춤(plugging-in fit)에 의해 실현될 수 있으며, 하우징(110), 패널(120), 밀봉 요소(130)의 재사용을 용이하게 하고 재료들 및 조립 시간 둘 모두를 절약할 뿐만 아니라, 부가적인 스태프 트레이닝을 회피하여 동작들의 표준화를 실현하며; 따라서, 커넥터 조립체(100)의 대량 사용에 유익하다.
도 4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밀봉 요소(130)는 고무로 제조되고 링의 형상으로 구성되며, 이에 의해 하우징(110)의 전체 원주를 따라 밀봉부를 형성한다. 그러나, 이는 제한적이지 않으며, 실제 필요들에 따라, 적합한 재료들이 밀봉 요소(130)를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밀봉 요소(130)의 형상이 세팅될 수 있다.
밀봉 요소(130)의 밀봉 특성을 더 개선하기 위해, 밀봉 요소(130)에는 링의 외부 측(즉, 하우징(110)을 등지는, 링의 측, 도 4 참조) 상에 위치된 제1 돌출부(131)가 제공되며, 링의 내부 측(즉, 하우징(110)을 향하는 링의 측, 도 4 참조) 상에 위치된 제2 돌출부(132)가 제공되며, 제1 돌출부(131) 및 제2 돌출부(132) 각각은 밀봉 요소(130)를 홈(112) 내에 단단히 고정하기 위해 홈(112)의 2개의 대향 측벽들 중 각각 하나와 억지 끼워맞춤(interference fit)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요소(130)는 실질적으로 다이아몬드 형상 단면을 갖도록 구성되며, 제1 돌출부(131) 및 제2 돌출부(132)는 각각, 실질적으로 다이아몬드 형상의 대향하는 정점들에 위치되며, 그에 따라 밀봉 요소(130)가 패널(120)에 대해 가압될 때, 실질적으로 다이아몬드 형상 단면이 실질적으로 원뿔 형상으로 압축되도록(도 11 참조), 밀봉 요소(130)를 밀봉 요소(130)의 2개의 대향 측들에서 홈(112) 내에 고정시킨다. 즉, 패널(120)을 향하는 실질적으로 다이아몬드 형상 단면의 하나의 꼭지점(vertex)(133)은 패널(120)에 대하여 가압될 때 실질적으로 평탄한 표면으로 압축되며, 꼭지점(133)의 이러한 더 큰 변형은 밀봉 요소(130)와 패널(120) 사이의 양호한 밀봉부의 형성을 용이하게 한다.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에는 또한, 커넥터 조립체(100)가 조립될 때 패널(120)을 포지셔닝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각각 하우징(110)의 2개의 대향 측들 상에 2개의 탄성 아암들(113)이 제공된다. 탄성 아암들(113) 각각은 하우징(110)으로부터 플랜지(111)를 향해 종방향(즉, 도 1에서 점선이 연장하는 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연장되며, 그에 따라 하우징(110)이 개구(121)를 통해 패널(120)을 부분적으로 통과하면, 패널(120)이 탄성 아암들(113)의 자유 단부들과 플랜지(111) 사이에 위치된다. 탄성 아암들(113)의 자유 단부들은 패널(120)을 향해 지향되고 개구(121)로부터 측방향으로 오프셋되며, 탄성 아암들(113)이 패널(120)의 개구(121)를 우발적으로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그 다음 플랜지(111)와 패널(120) 사이의 분리를 야기하는 것을 방지한다. 패널(120)에 기대어 놓이기보다는, 탄성 아암들(113)의 자유 단부들이 패널(120)로부터 약간 이격되며, 횡 방향(즉,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은 점선을 따라 연장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 아암들(113)을 푸시하고 가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며, 그에 따라 탄성 아암들(113)의 자유 단부들이 개구(121)를 향해 지향되며, 이에 의해 하우징(110)으로부터 패널(120)을 제거한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유형의 커넥터 조립체(200)가 도시된다. 커넥터 조립체(200)는, 홈(112)에 하우징(110)을 등지는 외향 방향으로 복수의 고정 부분들(1122)이 제공되고, 고정 부분들이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다(도 5 내지 도 7 참조)는 점에서 커넥터 조립체(100)와 상이하다. 고정 부분들(1122)의 수 및 분포는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복수의 고정 부분들(1122)의 제공은 홈(112)을 추가로 단순화하고 그리고 결국 홈(112) 내의 밀봉 요소(13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커넥터 조립체(200)의 제조 비용을 추가로 감소시킨다.
게다가, 커넥터 조립체(200)는 또한, 탄성 아암들(113)의 자유 단부들(1131) 각각에 패널(120)을 향하는 톱니 단부면(11311)이 제공된다는 점에서 커넥터 조립체(100)와 상이하다. 패널(120)이 톱니 단부면(11311)을 향해 이동할 때, 톱니 단부면(11311)은 패널(120)의 개구(121)의 에지에 대해 쉽게 접할 수 있고, 이에 의해 개개의 탄성 아암(113)이 패널(120)의 개구(121)를 우발적으로 통과하는 것 그리고 결국 패널(120)로부터의 플랜지(111)의 분리를 추가로 방지하며, 이에 의해, 커넥터 조립체(200)의 신뢰성을 증가시킨다.
당업자들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이 모두 예시적이며, 당업자들이 이를 개선할 수 있으며,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구조들이 구조 또는 원리의 관점에서 충돌 없이 자유롭게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 후, 당업자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의 보호 범위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경들 및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고, 본 출원은 본 명세서에 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구현들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Claims (14)

  1. 패널의 개구에서 패널 상에 장착 가능한 커넥터 조립체로서,
    상기 커넥터 조립체는,
    하우징(housing) ―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연결 단자들이 제공되고, 상기 하우징의 원주 방향을 따라 플랜지가 또한 제공됨 ―; 및
    상기 패널과 상기 플랜지 사이에 밀봉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밀봉 요소(sealing element)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열되고 상기 밀봉 요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홈(groove)이 상기 플랜지에 형성되며, 그에 따라 상기 하우징이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패널을 부분적으로 통과할 때 상기 밀봉 요소가 상기 패널에 대해 가압되는,
    패널의 개구에서 패널 상에 장착 가능한 커넥터 조립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에는, 상기 하우징을 등지는(facing away from) 외향 방향으로,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외부 측벽이 제공되는,
    패널의 개구에서 패널 상에 장착 가능한 커넥터 조립체.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에는, 상기 하우징을 등지는 외향 방향으로,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고정 부분들이 제공되는,
    패널의 개구에서 패널 상에 장착 가능한 커넥터 조립체.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요소는 링으로서 형상화되는,
    패널의 개구에서 패널 상에 장착 가능한 커넥터 조립체.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요소에는 상기 링의 외부 측 상의 제1 돌출부 및 상기 링의 내부 측 상의 제2 돌출부가 제공되고,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밀봉 요소를 상기 홈 내에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패널의 개구에서 패널 상에 장착 가능한 커넥터 조립체.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요소는,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가 각각 다이아몬드의 대향 정점들(opposite vertices)에 위치되는 상태로, 실질적으로 다이아몬드 형상 단면을 갖도록 구성되며, 그에 따라 상기 밀봉 요소가 상기 패널에 대해 가압될 때, 상기 실질적으로 다이아몬드 형상 단면이 실질적으로 원뿔 형상으로 압축되는,
    패널의 개구에서 패널 상에 장착 가능한 커넥터 조립체.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요소는 상기 개구의 반경 방향 외부측에 위치되는,
    패널의 개구에서 패널 상에 장착 가능한 커넥터 조립체.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요소는 고무로 제조되는,
    패널의 개구에서 패널 상에 장착 가능한 커넥터 조립체.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플랜지를 향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종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연장되는 탄성 아암들이 추가로 제공되며, 그에 따라 상기 패널은, 상기 하우징이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패널을 부분적으로 관통하는 상태에서, 상기 탄성 아암들의 자유 단부들과 상기 플랜지 사이에 위치되는,
    패널의 개구에서 패널 상에 장착 가능한 커넥터 조립체.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아암들의 자유 단부들은 상기 패널을 향해 지향되고, 상기 개구로부터 측방향으로 오프셋되는,
    패널의 개구에서 패널 상에 장착 가능한 커넥터 조립체.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아암들의 자유 단부들 각각에는 상기 패널을 향하는 톱니 단부면(sawtooth end face)이 제공되는,
    패널의 개구에서 패널 상에 장착 가능한 커넥터 조립체.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아암들은 상기 하우징의 대향 측들 상에 제공되는,
    패널의 개구에서 패널 상에 장착 가능한 커넥터 조립체.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하우징 상에 종방향으로 센터링되는,
    패널의 개구에서 패널 상에 장착 가능한 커넥터 조립체.
  14. 패널의 개구에서 패널 상에 장착 가능한 커넥터 조립체로서,
    상기 커넥터 조립체는,
    하우징 ―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연결 단자들이 제공되고,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원주 방향을 따라 플랜지가 또한 제공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플랜지를 향해 종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탄성 아암들이 추가로 제공됨 ―; 및
    상기 패널과 상기 플랜지 사이에 밀봉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밀봉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열되고 상기 밀봉 요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홈이 상기 플랜지에 형성되고, 그에 따라, 상기 하우징이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패널을 부분적으로 통과할 때, 상기 밀봉 요소가 상기 탄성 아암들의 자유 단부들과 상기 플랜지 사이에 위치된 패널에 대해 가압되는,
    패널의 개구에서 패널 상에 장착 가능한 커넥터 조립체.
KR1020220127927A 2021-10-08 2022-10-06 커넥터 조립체 KR202300510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22420940 2021-10-08
CN202122420940.4 2021-10-08
CN202221851938.0 2022-07-18
CN202221851938.0U CN218448797U (zh) 2021-10-08 2022-07-18 连接器组件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1089A true KR20230051089A (ko) 2023-04-17

Family

ID=85089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7927A KR20230051089A (ko) 2021-10-08 2022-10-06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116329A1 (ko)
KR (1) KR20230051089A (ko)
CN (1) CN218448797U (ko)
DE (1) DE102022125698A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8448797U (zh) 2023-02-03
DE102022125698A1 (de) 2023-04-13
US20230116329A1 (en) 2023-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5704A (en) Shroud seal for shrouded electrical connector
US2860233A (en) Lamp socket unit
US4478436A (en) Hose connector
KR940009345B1 (ko) 세경배관 접속용 커넥터
US6343953B2 (en) Structure for assembling a housing and a connector
KR960006181B1 (ko) 가는 관 접속용 커넥터
KR940016998A (ko) 전기 커넥터용 밀봉 시스템
JPH07321478A (ja) 電気接続箱の防水シール構造
US11258216B2 (en) Floatable connector and wire harness tray
US7423216B2 (en) Dual action sealing gasket and use thereof in an electrical housing assembly
US4486062A (en) Waterproof connector
KR20230051089A (ko) 커넥터 조립체
WO2022088370A1 (zh) 拉手和门体组件
US20020138942A1 (en) Grommet
US6394814B2 (en) Electrical plug-in connector for providing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wo regions separated by a partition wall
CN113422240B (zh) 一种密封件及使用该密封件的插头固定部、连接器组件
JP2002295682A (ja) 防水構造およびこの防水構造に用いられる座金部材
CN220914644U (zh) 连接器壳体组件、连接器和连接器组件
CN218498449U (zh) 密封圈定位件和连接器
JPH10135662A (ja) アセンブリキャリア
KR200211925Y1 (ko) 호스 연결장치
JP3053747B2 (ja) 防水コネクタ
KR200362304Y1 (ko) 가스관 연결용 커넥터 어셈블리
KR101501805B1 (ko) 창짝의 유리고정용 결합체
CN217209872U (zh) 一种热水器外壳及热水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