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0773A - 미용가위 및 미용가위의 오목홈 연마 가공 방법 - Google Patents

미용가위 및 미용가위의 오목홈 연마 가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0773A
KR20230050773A KR1020210133987A KR20210133987A KR20230050773A KR 20230050773 A KR20230050773 A KR 20230050773A KR 1020210133987 A KR1020210133987 A KR 1020210133987A KR 20210133987 A KR20210133987 A KR 20210133987A KR 20230050773 A KR20230050773 A KR 20230050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issors
concave groove
bodies
blade
pol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3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8383B1 (ko
Inventor
류석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니가타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니가타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니가타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133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8383B1/ko
Publication of KR20230050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0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8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8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00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 B24B3/36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cutting blades
    • B24B3/52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cutting blades of shear blades or scis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06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연삭숫돌(G)을 이용하여 미용가위(1)의 한 쌍의 가위몸체(10,10') 각각의 안쪽면에 오목홈(11)을 형성하는 연마 가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위몸체(10,10')의 가윗날(12)이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가공하기 위해 상기 가위몸체(10,10')의 가윗날(12) 형상을 따라 상기 연삭숫돌(G)의 가공 궤적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가위 오목홈 연마 가공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미용가위 및 미용가위의 오목홈 연마 가공 방법{Method of polishing concave groove of hairdressing scissors and hairdressing scissors}
본 발명은 미용가위 및 미용가위의 오목홈 연마 가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삭숫돌의 중심부를 가윗날의 날 형상과 동일하게 이동시키면서 오목홈 연마 가공을 함으로써 가윗날의 높이를 일정하게 가공할 수 있는 미용가위 및 미용가위의 오목홈 연마 가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발의 절단에 주로 사용되는 미용가위는 가윗날이 형성된 가위몸체와 상기 가위몸체에 손잡이 부분이 단일재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위몸체가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가위몸체가 회동하여 가윗날이 겹쳐져 엇갈리면서 모발의 절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미용가위(1)는 가위몸체를 연삭숫돌로 연마 가공하여 가윗날이 형성된 가위몸체의 안쪽면에 오목한 홈을 형성하게 된다.
종래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위몸체(10)의 가윗날(12) 형상과 무관하게 연삭숫돌(G)의 X축 중심축(X1)은 평형을 이루면서 일직선(Y1)으로 가공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가윗날(12)은 일정한 곡선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가윗날(12)의 상단 끝단부로 갈수록 가위몸체(10)의 폭은 좁아져 하부측에서 상부측으로 가공이 진행될수록 상기 가위몸체(10)의 안쪽면과 연삭숫돌(G)의 접촉되는 길이가 달라진다.
이와 같은 이유로 가윗날(12)의 높이가 일정하지 않게 가공되며, 가윗날이 교차되어 모발의 절단이 이루어질 때, 가윗날의 높이가 일정하지 않아 커팅력에 대한 가위의 정교함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미용가위는 힌지(H)를 중심으로 한 쌍의 가위몸체(10,10')가 회동하여 겹쳐지기 때문에, 힌지(H)를 중심으로 가윗날의 이동궤적은 일정한 호를 이루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오목홈 가공은 연삭숫돌(G)의 X축 중심축(X1)이 평행을 이루며 가공되기 때문에 호를 이루는 가윗날의 이동궤적과 어긋나게 된다.
따라서 가윗날(12)이 호를 이루며 서로 교차할 때 평행을 이루는 연삭숫돌(G)의 가공궤적에 의해 가위몸체(10,10`)의 회동에 방해가 되어 정교한 커팅에 어려움을 주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9489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78697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7-0016328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2012-0005889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2009-0000492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위몸체의 가윗날을 일정한 높이로 정밀 가공하기 위해 연삭숫돌의 중심과 가윗날 끝부분이 동일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연마 가공이 이루어지는 미용가위 오목홈 연마 가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연삭숫돌(G)을 이용하여 미용가위(1)의 한 쌍의 가위몸체(10,10') 각각의 안쪽면에 오목홈(11)을 형성하는 연마 가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위몸체(10,10')의 가윗날(12)이 일정한 높이가 되도록 가공하기 위해 상기 가위몸체(10,10')의 가윗날(12) 형상을 따라 상기 연삭숫돌(G)의 가공 궤적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가위 오목홈 연마 가공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연삭숫돌(G)의 중심축(X1)이 상기 가윗날(12) 끝부분과 수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가위 오목홈 연마 가공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연삭숫돌(G)의 중심축(X1)과 상기 가윗날(12) 끝부분이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연삭숫돌(G)의 중심축(X1)을 회전시키거나 상기 가위몸체(10,10')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오목홈(11) 연마 가공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가위 오목홈 연마 가공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오목홈 연마 가공 방법은, (a)상기 가위몸체(10,10')에서 길이방향에 대해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임의의 구간(
Figure pat00001
)을 설정하는 단계(S110)와, (b)상기 다수의 임의의 구간(
Figure pat00002
) 각각에 대한 가위몸체(10,10')의 가윗날(12)과 동일한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
Figure pat00003
)을 설정하는 단계(S120)와, (c)상기 설정된 다수의 임의의 구간(
Figure pat00004
) 각각에 대한 지점(
Figure pat00005
)을 연결하여 가공 궤적(B)을 설정하는 단계(S130)와, (d)상기 연결된 지점(
Figure pat00006
)을 따라 설정된 가공 궤적(B)과 상기 연삭숫돌(G)의 회전 중심축(Y1)이 동축을 이루도록 연삭숫돌(G)의 이동궤적을 설정하는 단계(S140)와, (e)상기 설정된 이동궤적을 따라 연마 작업이 이루어지는 단계(S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가위 오목홈 연마 가공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지점(
Figure pat00007
)이 만드는 궤적(B)은 가윗날(12)과 동일한 곡선을 갖게된다.
또한, 상기 (a) 단계(S110)는, 상기 가위몸체(10,10`)의 임의의 구간(
Figure pat00008
)은 힌지(H)가 결합되는 일측부에서 가위몸체(10,10`) 끝단인 타측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설정된다.
또한, 상기 (e) 단계(S150)는, 상기 가위몸체(10,10`)의 연마 작업은 상기 가위몸체(10,10`)의 임의의 구간(
Figure pat00009
)을 따라 순차적으로 가공된다.
한편, 한 쌍의 가위몸체(10,10`) 각각에 손잡이(14,14`)가 형성되고, 손잡이(14,14`)가 형성된 한 쌍의 가위몸체(10,10`)를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H)를 구비하는 미용가위에 있어서, 상기 가위몸체(10,10ㅇ)의 가윗날(12)과 가위등부(13) 사이의 안쪽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홈(1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위몸체(10,10ㅇ)의 가윗날(12)과 가위등부(13) 사이의 폭은 가위몸체(10,10`)의 끝단부로 갈수록 점차 줄어들며, 상기 가윗날(12) 끝부분의 형상은 일정한 곡선을 이루며 형성되되, 상기 오목홈(11)의 형상은 가윗날(12)이 평면을 이루도록 가공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가윗날을 일정한 높이 정밀 가공할 수 있으며, 가위몸체의 오목홈 가공궤적이 호를 이루어 가윗날이 교차하여 겹쳐질 때 정화하게 궤적을 따라 회동함으로써 정교한 커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일반적인 종래의 연마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미용가위의 평면도(a) 및 측면도(b),
도 4는 도 3 (b)의 A-A' 부의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오목홈 연마 가공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오목홈 연마 가공의 공정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도 3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용가위(1)는 한 쌍의 가위몸체(10,10`) 각각에 손잡이(14,14`)가 형성되고, 손잡이(14,14`)가 형성된 한 쌍의 가위몸체(10,10`)를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H)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가위몸체(10,10')의 가윗날(12)과 가위등부(13) 사이의 안쪽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홈(1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위몸체(10,10ㅇ)의 가윗날(12)과 가위등부(13) 사이의 폭은 가위몸체(10,10')의 끝단부로 갈수록 점차 줄어들며, 상기 가윗날(12) 끝부분의 형상은 일정한 곡선을 이루며 형성되되, 상기 오목홈(11)의 형상은 가윗날(12)이 평면을 이루도록 가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삭숫돌(G)을 이용하여 미용가위(1)의 한 쌍의 가위몸체(10,10') 각각의 안쪽면에 오목홈(11)을 형성하는 연마 가공 방법은 상기 가위몸체(10,10')의 가윗날(12)이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가공하기 위해 상기 가위몸체(10,10')의 가윗날(12) 형상을 따라 상기 연삭숫돌(G)의 가공 궤적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연삭숫돌(G)의 중심부를 가윗날(12)의 날 형상과 동일하게 이동시키면서 오목홈(11)을 연마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연삭숫돌(G)의 중심과 가윗날(12) 끝부분이 동일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연마 가공이 이루어짐으로 가위몸체(10)의 가윗날(12)을 동일한 높이로 정밀 가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삭숫돌(G)의 X축 방향의 중심축(X1)이 상기 가윗날(12) 끝부분과 수직을 이루며, 상기 연삭숫돌(G)의 X축 방향의 중심축(X1)과 상기 가윗날(12) 끝부분이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연삭숫돌(G)의 중심축(X1)을 회전시키거나 상기 가위몸체(10,10')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오목홈(11) 연마 가공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연삭숫돌(G)의 X축방향의 중심축(X1)이 상기 가윗날(12) 끝부분과 직각을 이루도록 소정각도 회전시키면서 가공이 이루어진다.
이에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오목홈 연마 가공 방법은, (a)상기 가위몸체(10,10`)에서 길이방향에 대해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임의의 구간(
Figure pat00010
)을 설정하는 단계(S110)와, (b)상기 다수의 임의의 구간(
Figure pat00011
) 각각에 대한 가위몸체(10,10')의 가윗날(12)과 동일한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
Figure pat00012
)을 설정하는 단계(S120)와, (c)상기 설정된 다수의 임의의 구간(
Figure pat00013
) 각각에 대한 지점(
Figure pat00014
)을 연결하여 가공 궤적(B)을 설정하는 단계(S130)와, (d)상기 연결된 중심(
Figure pat00015
)을 따라 설정된 가공 궤적(B)과 상기 연삭숫돌(G)의 회전 중심축(Y1)이 동축을 이루도록 연삭숫돌(G)의 이동궤적을 설정하는 단계(S140)와, (e)상기 설정된 이동궤적을 따라 연마 작업이 이루어지는 단계(S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a) 단계(S110)는, 상기 가위몸체(10,10`)의 임의의 구간(
Figure pat00016
)은 힌지(H)가 결합되는 일측부에서 가위몸체(10,10`) 끝단인 타측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설정된다.
또한, 상기 (e) 단계(S150)는, 상기 가위몸체(10,10`)의 연마 작업은 상기 가위몸체(10,10`)의 임의의 구간(
Figure pat00017
)을 따라 순차적으로 가공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 : 미용가위 10 : 가위몸체
11 : 오목홈 12 : 가윗날
13 : 가위등부 14 : 손잡이
H : 힌지

Claims (6)

  1. 연삭숫돌(G)을 이용하여 미용가위(1)의 한 쌍의 가위몸체(10,10`) 각각의 안쪽면에 오목홈(11)을 형성하는 연마 가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위몸체(10,10`)의 가윗날(12)이 일정한 높이가 되도록 가공하기 위해 상기 가위몸체(10,10`)의 가윗날(12) 형상을 따라 상기 연삭숫돌(G)의 가공 궤적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가위 오목홈 연마 가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삭숫돌(G)의 X축 방향의 중심축(X1)이 상기 가윗날(12) 끝부분과 수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가위 오목홈 연마 가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삭숫돌(G)의 X축 방향의 중심축(X1)과 상기 가윗날(12) 끝부분이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연삭숫돌(G)의 X축 방향의 중심축(X1)을 회전시키거나 상기 가위몸체(10,10')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오목홈(11) 연마 가공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가위 오목홈 연마 가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 연마 가공 방법은,
    (a)상기 가위몸체(10,10`)에서 길이방향에 대해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임의의 구간(
    Figure pat00018
    )을 설정하는 단계(S110)와,
    (b)상기 다수의 임의의 구간(
    Figure pat00019
    ) 각각에 대한 가위몸체(10,10')의 가윗날(12)과 동일한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
    Figure pat00020
    )을 설정하는 단계(S120)와,
    (c)상기 설정된 다수의 임의의 구간(
    Figure pat00021
    ) 각각에 대한 지점(
    Figure pat00022
    )을 연결하여 가공 궤적(B)을 설정하는 단계(S130)와,
    (d)상기 연결된 지점(
    Figure pat00023
    )을 따라 설정된 가공 궤적(B)과 상기 연삭숫돌(G)의 회전 중심축(Y1)이 동축을 이루도록 연삭숫돌(G)의 이동궤적을 설정하는 단계(S140)와,
    (e) 상기 설정된 이동궤적을 따라 연마 작업이 이루어지는 단계(S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가위 오목홈 연마 가공 방법.
  5. 한 쌍의 가위몸체(10,10') 각각에 손잡이(14,14')가 형성되고, 손잡이(14,14')가 형성된 한 쌍의 가위몸체(10,10')를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H)를 구비하는 미용가위에 있어서,
    상기 가위몸체(10,10')의 가윗날(12)과 가위등부(13) 사이의 안쪽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홈(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가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위몸체(10,10')의 가윗날(12)과 가위등부(13) 사이의 폭은 가위몸체(10,10')의 끝단부로 갈수록 점차 줄어들며, 상기 가윗날(12) 끝부분의 형상은 일정한 곡선을 이루며 형성되되,
    상기 오목홈(11)의 형상은 가윗날(12)이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가위.
KR1020210133987A 2021-10-08 2021-10-08 미용가위 및 미용가위의 오목홈 연마 가공 방법 KR102608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3987A KR102608383B1 (ko) 2021-10-08 2021-10-08 미용가위 및 미용가위의 오목홈 연마 가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3987A KR102608383B1 (ko) 2021-10-08 2021-10-08 미용가위 및 미용가위의 오목홈 연마 가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0773A true KR20230050773A (ko) 2023-04-17
KR102608383B1 KR102608383B1 (ko) 2023-12-04

Family

ID=86133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3987A KR102608383B1 (ko) 2021-10-08 2021-10-08 미용가위 및 미용가위의 오목홈 연마 가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838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2362A (ja) * 2001-08-30 2003-03-04 Adachi Kogyo:Kk 刃裏の凹曲を改良した鋏
KR20070016328A (ko) 2005-08-03 2007-02-08 정총묵 미용가위 및 그 제조방법
KR100786979B1 (ko) 2007-03-15 2007-12-18 서정래 가위 손잡이 몸체측면에 개구부(開口部)를 갖는 이, 미용가위
KR20090000492U (ko) 2007-07-13 2009-01-16 김호덕 미용가위
KR101094891B1 (ko) 2009-04-13 2011-12-20 김강기 이·미용 가위의 끝각 연마장치.
KR20120005889U (ko) 2011-02-12 2012-08-22 서정래 깊은 블럭 홈 미용가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2362A (ja) * 2001-08-30 2003-03-04 Adachi Kogyo:Kk 刃裏の凹曲を改良した鋏
KR20070016328A (ko) 2005-08-03 2007-02-08 정총묵 미용가위 및 그 제조방법
KR100786979B1 (ko) 2007-03-15 2007-12-18 서정래 가위 손잡이 몸체측면에 개구부(開口部)를 갖는 이, 미용가위
KR20090000492U (ko) 2007-07-13 2009-01-16 김호덕 미용가위
KR101094891B1 (ko) 2009-04-13 2011-12-20 김강기 이·미용 가위의 끝각 연마장치.
KR20120005889U (ko) 2011-02-12 2012-08-22 서정래 깊은 블럭 홈 미용가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8383B1 (ko) 2023-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19932A1 (en) Curved and toothed cutting blade for a trimmer and a grinding wheel for manufacturing therefor
US9649749B2 (en) Manual sharpener
CA2770279C (en) Novel sharpeners to create cross-grind knife edges
US20140057541A1 (en) Two Step Abrasive Sharpener
US9050709B1 (en) Hand-held sharpener with multi-stage sharpening capabilities
US5941763A (en) Fixture and device for controlled scissor sharpening
KR20230050773A (ko) 미용가위 및 미용가위의 오목홈 연마 가공 방법
JP4793587B2 (ja) 理容鋏の製造方法
WO2020045491A1 (ja) 歯科用ファイル
US10618187B2 (en) Scissor guide
KR200483401Y1 (ko) 커터 및 이를 이용한 스트리퍼
JP7418183B2 (ja) 歯科用ファイル及び歯科用ファイルの製造方法
US20090000122A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Arc Type Nail Clipper Blade, and Its Nail Clipper Blade and Its Nail Clipper
JP3677654B2 (ja) 刃裏の凹曲を改良した鋏
TWM537958U (zh) 手握磨刀器
CN214604506U (zh) 一种便于掌控的剃毛器
JP3186797U (ja) 刃物研ぎ器
WO2005065895A1 (ja) カット鋏
JP3070254U (ja) 刃物用研ぎ器
JP2001327773A (ja) 美理容鋏
KR101590894B1 (ko) 미용 가위의 날세우기 연마방법
KR20220108399A (ko) 칼날 갈이를 구비한 가위 보호 장치
JPH0779880B2 (ja) 鋏の刃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8034225A (ja) 刃物研磨具
WO2018085223A1 (en) Scissor gu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