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0894B1 - 미용 가위의 날세우기 연마방법 - Google Patents

미용 가위의 날세우기 연마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0894B1
KR101590894B1 KR1020140097212A KR20140097212A KR101590894B1 KR 101590894 B1 KR101590894 B1 KR 101590894B1 KR 1020140097212 A KR1020140097212 A KR 1020140097212A KR 20140097212 A KR20140097212 A KR 20140097212A KR 101590894 B1 KR101590894 B1 KR 101590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polishing
scissors
forming
virt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7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응수
Original Assignee
도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응수 filed Critical 도응수
Priority to KR1020140097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08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0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0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00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 B24B3/36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cutting blades
    • B24B3/52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cutting blades of shear blades or scis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용 가위의 날세우기 연마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가위날부 연마면이 연마부에 의한 연마과정에 있어서 가위날부 단부가 곡면 연마되는 것이 방지되어 가위날부가 날카롭게 연마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미용 가위의 날세우기 연마방법에 있어서, 가위날부 연마 반대면에 경화성 소재를 도포형성하여 날 단부로 돌출되는 날세우기 가상날을 형성하는 날세우기 가상날 형성과정과 상기 날세우기 가상날 형성과정을 통하여 날세우기 가상날이 형성된 가윗날을 연마부에서 가위날부 연마면을 연마하는 날세우기 연마과정 및 상기 날세우기 연마과정 완료 후 가위날부 연마 반대면에 도포 형성된 날세우기 가상날을 분리하는 가상날 제거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미용 가위의 날세우기 과정에 있어 가위날부의 수평면과 경사면 중 연마반대면에 경화성 소재를 도포하여 날세우기 가상날을 형성함으로써 가윗날의 날세우기 연마과정에 가위날부의 단부가 곡면 형성되지 않아 가위날부의 단부가 날카롭게 형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미용 가위의 날세우기 연마방법{The polishing method of Scissors}
본 발명은 미용 가위의 날세우기 연마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용 가위의 날세우기 연마방법에 있어서, 가위날부 수평면과 경사면 중 연마 반대면에 경화성 소재를 도포형성하여 날 단부로 돌출되는 날세우기 가상날을 형성한 후 연마부에서 가위날부 연마면을 연마하고, 상기 가위날부 연마 반대면에 도포 형성된 날세우기 가상날을 분리하여 이루어지게 하여서 가위날부 연마면이 연마부에 의한 연마과정에 있어서 가위날부 단부가 곡면 연마되는 것이 방지되어 가위날부가 날카롭게 연마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용가위는 미용과정에 있어 머리카락을 절단하는 데 사용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미용가위는 서로 교차 동작되며 머리카락을 절단하는 두 개의 가윗날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가윗날은 일 측에 가위날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위날부는 서로 교차하는 면에 면상으로 형성되는 수평면과 상기 수평면의 반대 측에 형성된 경사면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미용가위는 그 사용과정에 날이 무디어지게 되면 미용과정에 머리카락이 절단되는 것이 아닌 뜯기는 현상이 발생하여 손님이 많은 불편함을 느끼게 되므로 항상 미용 가위의 가위날부가 날카롭게 하는 미용가위 날세우기 방법은 통하여 가위날부를 날카롭게 연마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무디어지게 가위날부를 날카롭게 연마하는 미용가위 날세우기 방법은 숫돌 또는 연마지를 이용하여 가위날부 수평면과 경사면 중 어느 일측 면을 연마하여서 가위날부가 날카롭게 연마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미용 가위의 날세우기 방법에 있어 연마지의 표면을 따라 가위날부 연마면을 수평 동작시켜 연마를 하는 과정에 있어 연마면의 가위날부 단분 측이 곡면 가공되어 날이 날카롭게 형성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실용신안등록 제00414462호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미용 가위의 날세우기 방법에 있어 연마지의 표면을 따라 가위날부 연마면을 수평 동작시켜 연마를 하는 과정에 있어 수평면의 가위날부 단부 측이 곡면 가공되어 날이 날카롭게 형성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미용 가위의 날세우기 연마방법에 있어서, 가위날부 수평면과 경사면 중 연마 반대면에 경화성 소재를 도포형성하여 날 단부로 돌출되는 날세우기 가상날을 형성하는 날세우기 가상날 형성과정과 상기 날세우기 가상날 형성과정을 통하여 날세우기 가상날이 형성된 가윗날을 연마부에서 가위날부 연마면을 연마하는 날세우기 연마과정 및 상기 날세우기 연마과정 완료 후 가위날부 연마 반대면에 도포 형성된 날세우기 가상날을 분리하는 가상날 제거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미용 가위의 날세우기 과정에 있어 가위날부의 수평면과 경사면 중 연마반대면에 경화성 소재를 도포하여 날세우기 가상날을 형성함으로써 가윗날의 날세우기 연마과정에 가위날부의 단부가 곡면 형성되지 않아 가위날부의 단부가 날카롭게 형성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로 수평면을 연마하는 공정의 예시도.
도 2 는 도 1 에 따른 가상날 형성과정의 예시도.
도 3 은 도 1 에 따른 날세우기 연마과정의 예시도.
도 4 는 도 1 에 따른 가상날 제거과정의 예시도.
도 5 는 가윗날의 경사면을 연마하여 날세우기 하는 과정에 있어 가상날 형성과정의 예시도.
도 6 은 가윗날의 경사면을 연마하여 날세우기 하는 과정에 있어 날세우기 연마과정의 예시도.
도 7 은 가윗날의 경사면을 연마하여 날세우기 하는 과정에 있어 가상날 제거과정의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가윗날의 날 단부가 수평면 연마되어 날이 날카롭게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미용 가위의 날세우기 연마방법에 있어서, 가위날부의 수평면(11)과 경사면(12) 중 어느 일측의 연마 반대면에 경화성 소재를 도포형성하여 날 단부로 돌출되는 날세우기 가상날(20)을 형성하는 날세우기 가상날 형성과정(110)과 상기 날세우기 가상날 형성과정(110)을 통하여 날세우기 가상날(20)이 형성된 가윗날(10)을 연마부(30)에서 가위날부 연마면을 연마하는 날세우기 연마과정(120) 및 상기 날세우기 연마과정(120) 완료 후 가위날부 연마 반대면에 도포 형성된 날세우기 가상날(20)을 분리하는 가상날 제거과정(1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가상날 형성과정(110)의 경화성 소재는 주제와 경화제를 섞어 사용하는 무발포성 우레탄수지와 같은 레진이 사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날세우기 연마과정(120)에 가위날부 연마면을 연마하는 연마부(30)는 판상으로 형성된 연마몸체(31)와 상기 연마몸체(31)의 상면 구비되며 완충력을 갖는 스펀지 등의 완충재로 이루어진 연마완충부(32)와 상기 연마완충부(32)의 상면에 결합되는 연마시트(33)로 구성되며, 상기 연마시트(33)의 상면에는 연마재가 도포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연마재는 절삭유와 산화알루미늄 및 물이 배합조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 연마부(30)는 회전장치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록 회전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적용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미용가위의 날세우기 연마방법에 있어서, 가위날부 연마 반대면에 날 단부로 돌출되는 날세우기 가상날(20)을 형성하는 날세우기 가상날 형성과정(110)과 상기 날세우기 가상날(20)이 형성된 가윗날(10)을 연마부(30)에서 가위날부 연마면을 연마하는 날세우기 연마과정(120) 및 상기 날세우기 연마과정(120) 완료 후 가위날부 연마 반대면에 도포 형성된 날세우기 가상날(20)을 분리하는 가상날 제거과정(130)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통하여 미용가위의 가윗날(10)을 날세우기 연마하게 되면, 가위날부 단부와 날세우기 가상날(20)의 경계부위가 수평면으로 연마되고 날세우기 가상날(20)의 단부가 곡면가공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날세우기 연마방법은 실질적인 가위날부의 단부가 수평면으로 가공되어 날세우기 연마과정(120) 후 상기 날세우기 가상날(20)을 분리제거하게 되면 가위날부의 단부가 날카롭게 형성되는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위날부의 수평면(11)을 연마하고자 할 경우에는 날세우기 가상날(20)이 경사면(12)에 형성되어 실시되고, 도 5 내지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위날부의 경사면(12)을 연마하고자 할 경우에는 날세우기 가상날(20)이 수평면(12)에 형성하여 실시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가상날 형성과정(110)의 경화성 소재를 주제와 경화제로 이루어진 무발포성 우레탄수지를 사용하게 되면, 상기 경화성 소재의 도포 후 신속한 경화에 의한 날세우기 가상날(20)이 형성되고 상기 날세우기 가상날(20)이 일정한 경도를 유지하여 가위날부의 연마면이 면상으로 가공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날세우기 연마과정(120)에 가위날부 연마면을 연마하는 연마부(30)는 판상으로 형성된 연마몸체(31)와 상기 연마몸체(31)의 상면 구비되며 완충력을 갖는 스펀지 등의 완충재로 이루어진 연마완충부(32)와 상기 연마완충부(32)의 상면에 결합되는 연마시트(33)로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가윗날(10)의 연마과정에 있어 연마부(30)가 탄성력을 유지하여 연마과정에 있어 사용자의 손이 상처입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가위날부의 연마면이 경사면(12)인 경우에는 상기 경사면이 통상 곡면을 이루게 혀성되어 있어 연마완충부(31)의 탄성 요입에 의한 곡면 연마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마지의 상면에 절삭유와 산화알루미늄 및 물이 배합 조성된 연마제를 통하여 실시하게 되면 가윗날(10)의 연마과정에 있어 발열이 발생하지 않고 원활한 연마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마부(30)는 회전장치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록 회전되게 실시하면 가윗날(10)을 수평 왕복 운동에 의한 연마동작으로 하지 않아도 상기 연마부(30)의 회전에 의하여 가윗날(10)의 연마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10 : 가윗날
11 : 수평면 12 : 경사면
20 : 날세우기 가상날
30 : 연마부
31 : 연마몸체 32 : 연마완충부 33 : 연마시트
110 : 가상날 형성과정
120 : 날세우기 연마과정
130 : 가상날 제거과정

Claims (3)

  1. 미용 가위의 날세우기 연마방법에 있어서;
    가위날부 연마 반대면에 경화성 소재를 도포형성하여 날 단부로 돌출되는 날세우기 가상날(20)을 형성하는 날세우기 가상날 형성과정(110)과 상기 날세우기 가상날 형성과정(110)을 통하여 날세우기 가상날(20)이 형성된 가윗날(10)을 연마부(30)에서 가윗날(10)의 가위날부 연마면을 연마하는 날세우기 연마과정(120) 및 상기 날세우기 연마과정(120) 완료 후 가윗날(10)의 가위날부 연마 반대면에 도포 형성된 날세우기 가상날(20)을 분리하는 가상날 제거과정(1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가위의 날세우기 연마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날 형성과정(110)의 경화성 소재는 주제와 경화제를 섞어 사용하는 무발포성 우레탄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날세우기 연마과정(120)에 가위날부 연마면을 연마하는 연마부(30)는 판상으로 형성된 연마몸체(31)와 상기 연마몸체(31)의 상면 구비되며 완충력을 갖는 완충재로 이루어진 연마완충부(32)와 상기 연마완충부(32)의 상면에 결합되는 연마시트(33)로 구성되며, 상기 연마시트(33)의 상면에는 연마재가 도포형성되며,
    상기 연마재는 절삭유와 산화알루미늄 및 물이 배합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가위의 날세우기 연마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30)는 회전장치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록 회전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가위의 날세우기 연마방법.
KR1020140097212A 2014-07-30 2014-07-30 미용 가위의 날세우기 연마방법 KR101590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7212A KR101590894B1 (ko) 2014-07-30 2014-07-30 미용 가위의 날세우기 연마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7212A KR101590894B1 (ko) 2014-07-30 2014-07-30 미용 가위의 날세우기 연마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0894B1 true KR101590894B1 (ko) 2016-02-03

Family

ID=55355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7212A KR101590894B1 (ko) 2014-07-30 2014-07-30 미용 가위의 날세우기 연마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089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8151A (ja) * 1999-07-07 2001-01-23 Motomu Kitamura 鋏の研磨用ホルダー
KR100414462B1 (ko) 2000-05-30 2004-01-07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자석 재료의 제조 방법, 리본상 자석 재료, 분말상 자석재료 및 결합 자석
JP2009190161A (ja) * 2008-02-18 2009-08-27 Excellence:Kk ハサミの刃線形成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8151A (ja) * 1999-07-07 2001-01-23 Motomu Kitamura 鋏の研磨用ホルダー
KR100414462B1 (ko) 2000-05-30 2004-01-07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자석 재료의 제조 방법, 리본상 자석 재료, 분말상 자석재료 및 결합 자석
JP2009190161A (ja) * 2008-02-18 2009-08-27 Excellence:Kk ハサミの刃線形成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30274B2 (ja) 電動式爪磨き器
KR20160075268A (ko) 루즈스킨 제거용 드릴비트 및 드릴케어 세트
KR101590894B1 (ko) 미용 가위의 날세우기 연마방법
KR102448421B1 (ko) 손발톱 손질 방법
JP3177984U7 (ko)
CN105904293A (zh) 磨刀机
JP3177984U (ja) 研磨具
JP2008260115A (ja) 平鉋の刃研ぎ機
KR20160075270A (ko) 네일 아트를 위한 드릴용 컷팅비트
KR20170008419A (ko) 루즈스킨 제거용 드릴비트 및 드릴케어 세트
CN211910811U (zh) 一种美甲用钻石齿刻磨刀
CN106826423A (zh) 一种便于调节的磨刀机
CN210849630U (zh) 一种具有减震结构的气动振磨机
CN206044715U (zh) 弧形剪断钳
JP3092950U (ja) はさみ研磨器
CN205600526U (zh) 一种新型土砂轮
KR200458805Y1 (ko) 연마프레임과 이를 적용한 손발톱 연마기
JP2005334577A (ja) 包丁研ぎ器付きまな板
JP5578631B2 (ja) 研ぎ工具
JP3189985U (ja) 除毛具
JP3191707U (ja) 水研グラインダー
KR20170001572U (ko) 손톱 다듬 기구
JP6407750B2 (ja) 刃研ぎ付きキャップ
CN205009000U (zh) 化妆品用立式砂带抛光机
TWI537101B (zh) 美髮剪之簡易磨刀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