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9828A - 물류 관련 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 로거를 이용한 물류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물류 관련 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 로거를 이용한 물류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9828A
KR20230049828A KR1020210132790A KR20210132790A KR20230049828A KR 20230049828 A KR20230049828 A KR 20230049828A KR 1020210132790 A KR1020210132790 A KR 1020210132790A KR 20210132790 A KR20210132790 A KR 20210132790A KR 20230049828 A KR20230049828 A KR 20230049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logger
information
portable reader
server
sensing peri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2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완
이평한
박광범
천성훈
류창호
Original Assignee
쓰리에이로직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에이로직스(주) filed Critical 쓰리에이로직스(주)
Priority to KR1020210132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9828A/ko
Priority to CN202210545684.8A priority patent/CN115953097A/zh
Priority to US17/748,054 priority patent/US20230110898A1/en
Publication of KR20230049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98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66Error or fault reporting or storing
    • G06F11/0784Routing of error reports, e.g. with a specific transmission path or data flow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58Monitoring arrangements for monitoring environmental properties or parameters of the computing system or of the computing system component, e.g. monitoring of power, currents, temperature, humidity, position, vib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4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 G06F11/3466Performance evaluation by tracing or monitoring
    • G06F11/3476Data logg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3Track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 F25D2700/121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of particular compart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55Monitoring arrangements for monitoring the status of the computing system or of the computing system component, e.g. monitoring if the computing system is on, off, available, not avai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89Monitoring arrangements determined by the means or processing involved in sensing the monitored data, e.g. interfaces, connectors, sensors, probes, ag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상품을 저장하는 콜드 컨테이터에 장착된 데이터 로거, 제1휴대용 리더, 제2휴대용 리더, 및 서버를 이용한 물류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데이터 로거가 상기 제1휴대용 리더로부터 상기 데이터 로거의 시작 시간, 센싱 주기, 및 상기 데이터 로거에 대한 중력 가속도와 회전 각도의 문턱값들을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로거가 상기 시작 시간부터 작동을 시작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로거의 센서의 출력 값들과 상기 문턱값들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 로거에서 비정상 상태가 발생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로거에서 비정상 상태가 발생하지 않았을 때 상기 데이터 로거가 상기 센싱 주기마다 정상 로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로거에서 비정상 상태가 발생했을 상기 데이터 로거가 상기 센싱 주기에 무관하게 상기 비정상 상태가 발생할 때마다 비정상 로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물류 관련 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 로거를 이용한 물류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LOGISTICS INFORMATION SERVICE USING DATA LOGGER PROCESSING LOGISTICS-RELATED INFORMATION}
본 발명은 물류 관련 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 로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데이터 로거의 가속도와 회전 각도를 감지하는 센서의 출력 값들과 문턱값들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 로거의 상태가 정상 상태인지 비정상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해당하는 로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상기 데이터 로거, 및 상기 데이터 로거를 이용한 물류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물류 회사에서 제공하는 상품의 배송 정보는 상기 물류 회사의 웹사이트에 링크하여 상기 상품의 입고 및 출고되는 통합 물류 센터, 지역 물류 센터, 지역 영업소에서 상기 상품의 상차 시간, 하차 시간, 주소, 및 전화번호 등을 텍스트 또는 문자 정보(SMS)로 고객에게 제공되거나, 또는 고객이 상기 물류 회사의 웹사이트에서 직접 확인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고객이 구매한 상품이 물류 센터(예를 들면, 통합 물류 센터 또는 지역 물류 센터)나 각 지역 영업소에 도착해서 상차 및 하차가 이루어져야 현재 상품의 위치가 파악되고, 물류 차량이 이동 중에는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기 어렵다.
또한, 신선 식품은 짧은 유통 기한으로 인하여 재고와 폐기, 신선도 유지를 위한 저온 물류 센터와 냉장차 인프라 구축, 추가적인 포장 부자재 비용에 따른 높은 물류비가 발생할 수 있다.
소비자들은 신선도 확인의 어려움과 배송의 지연으로 신선 식품의 온라인 구입을 꺼려왔으나, 콜드 체인 시스템(예를 들면, 상품의 입고부터 배송까지 상기 상품을 저온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이 2015년부터 신선 식품 배송 서비스에 도입되었다.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5-0070729 (2005년07월07일 공개)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7-0020155 (2017년02월22일 공개)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8-0058194 (2018년05월31일 공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2299328 (2021년09월08일 공고)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데이터 로거의 가속도와 회전 각도를 감지하는 센서의 출력 값들과 문턱값들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 로거의 상태가 정상 상태인지 비정상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해당하는 로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상기 데이터 로거, 및 상기 데이터 로거를 이용한 물류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상품을 저장하는 콜드 컨테이터에 장착된 데이터 로거, 제1휴대용 리더, 제2휴대용 리더, 및 서버를 이용한 물류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데이터 로거가 상기 제1휴대용 리더로부터 상기 데이터 로거의 시작 시간, 센싱 주기, 및 상기 데이터 로거에 대한 중력 가속도와 회전 각도의 문턱값들을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로거가 상기 시작 시간부터 작동을 시작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로거의 센서의 출력 값들과 상기 문턱값들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 로거에서 비정상 상태가 발생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로거에서 비정상 상태가 발생하지 않았을 때 상기 데이터 로거가 상기 센싱 주기마다 정상 로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로거에서 비정상 상태가 발생했을 상기 데이터 로거가 상기 센싱 주기에 무관하게 상기 비정상 상태가 발생할 때마다 비정상 로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로거는 상기 데이터 로거의 가속도와 회전 각도를 감지하는 센서의 출력 값들과 문턱값들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 로거의 상태가 정상 상태인지 비정상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해당하는 로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로거가 장착된 콜드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물류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로거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물류 시스템을 통해 상품이 생산자로부터 소비자에게 배송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생산자 단계의 출하전 단계의 상품 포장 단계에서 물류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는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생산자 단계의 출하전 단계에서 콜드 컨테이너에 장착된 데이터 로거에 설정 정보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로거가 로그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생산자 단계의 출하 단계에서 물류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는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택배 물류 센터의 입하 단계에서 물류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는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택배 물류 센터의 출하 단계에서 물류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는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소비자 단계의 상품 인계 단계에서 물류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는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 예이다.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로거에 설정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 예이다.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로거의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정보의 실시 예이다.
물류(物流)는 물적 유통(物的流通)의 줄임말이다. 물류는 특정한 재화 (goods)나 서비스(services)를 적절하게 이동하거나 위치시키는 행위를 의미한다. 배달(또는 배송) 업무(delivery service)는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물건 또는 상품을 배달(또는 배송)해 주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배달 업무는 작업자와 교통 수단을 통해 수행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로거가 장착된 콜드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물류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배달 업무와 물류 정보를 제공하는 물류 시스템(100)은 휴대용 리더(portable reader; 200), 상품(이를 '신선 식품'이라고도 한다. 300), 그 안에 넣어진 상품(300)을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콜드 컨테이너(400), 서버(500), 데이터베이스(510), 및 교통 수단(600)을 포함한다.
물류 시스템(100)은 온도 관리가 필수적인 상품(300)을 유통하는데 있어 유통 과정 온도를 낮게 유지해 상품(300)의 신선도와 품질을 보장하는 시스템, 예를 들면, 콜드 체인(cold chain) 또는 콜드 체인 시스템(cold chain system)을 의미한다.
휴대용 리더(200)는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물류의 각 단계에서 작업자가 사용하는 휴대용 리더들(200, 200-1, 200-2, 및 200-3)을 통칭한다. 휴대용 리더 (200)는 통신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다.
휴대용 리더(200)는 데이터 로거(420)의 NFC 모듈(443)과 통신하는 모바일 장치(예를 들면, 스마트폰)일 수도 있고, 데이터 로거(420)의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모듈(447)과 통신하는 모바일 장치(예를 들면, 유통 업체에서 사용하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또는 EDA(Enterprise Digital Assistant))일 수 있다.
데이터 로거(420)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물류 관련 정보(예를 들면, 온도 정보, 및/또는 로그 정보(NLI, ABLI) 등)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한다. 데이터 로거(420)는 듀얼-밴드(dual-band) 무선 통신 장치의 기능을 수행한다.
휴대용 리더(200)는 애플리케이션(210)을 실행하는 프로세서(215), 정보 획득 장치(220), 제1통신 장치(230), 및 제2통신 장치(240)를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210)은 각 단계의 작업자에게 도 11에 도시된 각 이벤트(예를 들면, 상품 포장, 출하, 입하, 및 상품 인계, 등)를 선택할 수 있는 각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AGUI1~AGUI4)의 제공, 정보 획득 장치(220)의 활성화 제어, 상품 보관 유형(예를 들면, 냉장 또는 냉동)을 선택할 수 있는 GUI(AGI5)의 제공, NFC/RFID 매핑 GUI(AGUI6)의 제공, 전송 GUI(AGUI7)의 제공, 설정 GUI(AGUI8)의 제공, 및 도 12에 도시된 장치 설정(예를 들면, 데이터 로거 설정)을 위한 GUI들 (SGUI1~SGUI6)의 제공 등을 수행한다.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앞에서 예시된 제공 기능들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 (210)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프로세서(215)에 의해 실행된다.
예를 들면, 휴대용 리더(200)가 애플리케이션(210)의 제어에 따라 제1페이지 (210-1)와 제2페이지(210-2)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때, 도 11의 제1페이지(210-1)의 설정 GUI(AGUI8)가 선택되면 도 12의 GUI들(SGUI1~SGUI6)을 포함하는 제2페이지(210-2)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된다고 가정한다.
도 3의 생산자 단계의 작업자는 제1휴대용 단말(210-1)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210)을 이용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될 설정 정보(STT, SP, 및 THV)를 데이터 로거(420)에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15)는 애플리케이션(210)의 제어에 따라 장치들(220, 230, 및 240) 각각의 작동을 제어한다. 휴대용 리더(200)는 프로세서(215)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210)을 저장하는 저장 매체(또는 '기록 매체'라고도 한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215)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메모리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보 획득 장치(220)는 카메라 또는 바코드 스캐너일 수 있고, 상기 카메라 또는 상기 바코드 스캐너는 상품(300)에 부착된 바코드(310)로부터 상품(300)에 대한 상품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상품 정보를 애플리케이션(2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1통신 장치(230)는 데이터 로거(420)에 포함된 NFC 모듈(443)과 통신하는 NFC 송수신기 및/또는 데이터 로거(420)에 포함된 RFID 모듈(447)과 통신하는 RFID 송수신기를 포함한다. 제1통신 장치(230)는 NFC 모듈(443) 또는 RFID 모듈(447)로 요청 신호(REQj, j는 자연수)를 전송하고, NFC 모듈(443) 또는 RFID 모듈(447)로부터 전자 상품 코드(electronic product code(EPC); CODE) 및/또는 온도 정보(TPk, k는 자연수)를 수신한다.
제2통신 장치(240)는 이동 통신망, 인터넷, 또는 WiFi 통신망을 통해 서버 (500)와 정보를 주거나 받을 수 있는 송수신기이다. 예를 들면, 제2통신 장치(240)는 단계(S122, S224, S418, S518, 및 S618)에서 생성된 이벤트 로그 정보(ELIi, i는 자연수)를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품(300)은 온도에 민감하고 부패하기 쉽게 때문에 신선한 상태로 유통되는 채소, 과일, 육류, 또는 생선 등과 같은 신선 식품을 통칭한다. 상품(300) 또는 상품(300)의 포장에는 상품(300)의 고유 정보를 저장하는 바코드(310)가 부착될 수 있다. 바코드(310)의 예들은 1차원 바코드 또는 2차원 바코드를 포함한다.
콜드 컨테이너(400)는 그 안에 저장된 상품(300)을 저온으로 유지시킨 채로 유통하는데 사용되는 장치를 의미한다. 콜드 컨테이너(400)는 컨테이너 바디(401)와 데이터 로거(420)를 포함한다.
설정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설정 정보에 따라 로그 정보(NLI 및 ABLI)를 생성하는 데이터 로거(420, 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는 컨테이너 바디(401)의 외부에 장착된 아웃-바디(420-1)와 컨테이너 바디(401)의 내부에 장착된 인-바디(420-2)를 포함한다. 컨테이너 바디(401)는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냉장고(refrigerator)와 냉동고(freezer)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데이터 로거(420)가 장착된 콜드 컨테이너(400)의 외부에는 운송장(410)이 부착될 수 있다. 운송장(410)은 상품(300)의 출하(또는 출고)를 지시하는 지시서를 의미할 수 있다. 운송장(410)릉 보내는 사람의 정보(예를 들면, 성명, 전화번호, 및 주소), 받는 사람의 정보(예를 들면, 성명, 전화번호, 및 주소), 내용물(예를 들면 상품(300)에 대한 정보), 고유 번호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1차원 바코드 또는 2차원 바코드일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바코드(310) 및/또는 운송장(410)은 NFC 태그 또는 RFID 태그로 대체될 수도 있다. 이때, NFC 태그 또는 RFID 태그에 저장된 정보는 휴대용 리더(200)의 제1통신 장치(230)를 이용하여 읽혀질 수 있다.
데이터 로거(420)의 기능과 구조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서버(500)는 휴대용 리더(200)와 정보를 주거나 받을 수 있고, 데이터 로거 (420)로부터 단계(S300, S316, 및 S322)에서 생성된 로그 정보(NLI와 ABLI)를 수신할 수 있다.
교통 수단(600)은 상품(300)이 저장된 콜드 컨테이너(400)를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차량을 의미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로거의 블록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의 단계(S316)에서 생성된 정상 로그 정보(NLI) 또는 단계(S322)에서 생성된 비정상 로그 정보(ABLI)를 서버(500)로 전송하는 데이터 로거(420)는 컨테이너 바디(401)의 외부에 장착되는 아웃-바디(또는 메인(main) 장치; 420-1)와 컨테이너 바디(401)의 내부에 장착되는 인-바디(또는 서브(sub) 장치; 420-2)를 포함한다.
아웃-바디(420-1)는 메인 컨트롤러 유닛(main controller unit(MCU); 421), 메모리 장치(423),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425), 버튼(427), 부저(429), 적어도 하나의 광원(431), 적어도 하나의 센서(433, 435, 및 437), 모뎀 및 GPS 모듈(439), 제1안테나(441), NFC 모듈(443), 제2안테나(445), RFID 모듈(447), 제3안테나 (449), 및 파워 서플라이(이를 '배터리'라고도 한다. 451)를 포함하고, 아웃-바디 (420-1)의 MCU(421)와 전선들을 통해 접속되는 인-바디(420-2)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453, 및 455)를 포함한다. 통신 모듈은 NFC 모듈(443)과 RFID 모듈(447)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컨테이너 바디(401)가 제1칸(예를 들면, 냉동고)과 제2칸(예를 들면, 냉장고)를 포함할 때, 제1온도 센서(453)는 상기 제1칸에 장착되고, 제2온도 센서(455)는 상기 제2칸에 장착된다.
MCU(421)은 데이터 로거(420)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하고, BLE(luetooth Low Energy) 통신을 위한 BLE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BLE 모듈은 블루투스 스펙에서 정의된 프로토콜에 따라 휴대용 리더(200), 서버(500), 또는 다른 통신 장치와 정보를 주거나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정보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MCU(421)는 애플리케이션(210)에 의해 설정된 후 제1통신 장치(230)를 통해 전송된 설정 정보(STT, SP, 및 THV)를 NFC 모듈(443) 또는 RFID 모듈(447)을 통해 수신하고, 설정 정보(STT, SP, 및 THV)를 메모리 장치(423)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 장치(423)는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일 수 있다. 비록, 도 2에서는 메모리 장치(423)가 MCU(421)의 내부에 도시되어 있으나, 메모리 장치(423)는 MCU(421)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데이터 로거(420)는 센서(437), 통신 모듈(443 또는 447),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421)을 포함하고, 센서(437)는 데이터 로거(420)의 중력 가속도의 변화와 데이터 로거(420)의 회전 각도의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생성한다.
통신 모듈(443 또는 447)은 휴대용 리더(200)로부터 데이터 로거(420)의 센싱 주기 (SP)와 문턱값들(THV1 및 THV2)을 포함하는 설정 정보(STT, SP, 및 THV)를 수신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421)은 센서(437)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통신 모듈(443 또는 447)로부터 센싱 주기(SP)와 문턱값들(THV1 및 THV2)을 수신하고, 상기 감지 신호에 해당하는 감지 값들(MV)을 생성하고, 감지 값들(MV)과 문턱값들(THV1 & THV2)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데이터 로거(420)에서 비정상 상태가 발생했는지를 판단하고, 데이터 로거(420)에서 상기 비정상 상태가 발생하지 않았을 때 센싱 주기(SP)마다 정상 로그 정보(NLI)를 생성하여 서버(500)로 전송하고, 데이터 로거(420)에서 상기 비정상 상태가 발생했을 때 센싱 주기(SP)에 무관하게 상기 비정상 상태가 발생할 때마다 비정상 로그 정보(ABLI)를 생성하여 서버 (500)로 전송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421)은 감지 값들(MV) 각각이 문턱값들(THV1과 THV2) 각각보다 작을 때 데이터 로거(420)가 정상 상태라고 판단하고, 감지 값들 (MV)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문턱값들(THV1과 THV2) 중에서 적어도 하나보다 클 때 데이터 로거(420)가 비정상 상태라고 판단한다.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425)는 버튼(427)의 조작에 따라 도 13에 도시된 정보 (425-1)를 표시할 수 있고, 정보(425-1)는 MCU(421)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 장치 (423)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425)는 전자 종이 패널과, MCU(421)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자 종이 패널을 구동하는 드라이버 IC를 포함한다.
MCU(421)은 제1인터페이스(IF1, 예를 들면,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를 통해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425)로 정보를 전송하고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425)의 작동을 제어한다.
버튼(427)은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425)에서 디스플레이될 정보를 선택하는 메뉴 버튼 또는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425)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리프레쉬 (refresh)하는 리프레쉬 버튼의 기능을 수행한다. 비록, 도 2에서는 버튼(427)이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425)의 내부에 도시되어 있으나, 버튼(427)은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425)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MCU(421)은 제6인터페이스(IF6)를 통해 전송되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를 이용하여 부저(429)이 작동을 제어한다. MCU(421)은 콜드 컨테이너(400)의 내부 온도가 설정된 온도 범위(예를 들면, 최고 온도 또는 최저 온도)를 벗어남을 온도 센서(453 및/또는 455)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판단하고, 판단의 결과에 따라 PWM 신호에 해당하는 부저 제어 신호를 제6인터페이스(IF6)를 통해 부저(429)로 전송한다. 따라서, 콜드 컨테이너(400)의 작업자는 부저(429)의 알람을 통해 콜드 컨테이너(400)의 내부 온도가 설정된 온도 범위를 벗어남을 인지할 수 있다. 여기서, 작업자는 각 휴대용 리더(200, 200-1, 200-2, 또는 200-3)의 소지자일 수 있다.
MCU(421)은 제7인터페이스(IF7, 예를 들면, general-purpose input/output(GPIO))를 통해 광원(431)의 작동(예를 들면, 점멸 또는 컬러의 변경)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광원(431)은 부저(429)의 작동에 동기되어 작동할 수 있다. 광원(431)은 LED(light-emitting diode)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원(431)은 콜드 컨테이너(400)의 이상 상황(예를 들면, 콜드 컨테이너(400)의 내부 온도가 설정된 온도 범위를 벗어남)을 광원(431)의 컬러를 변경해가면서 콜드 컨테이너(400)의 작업자에게 알릴 수 있다.
MCU(421)는 온도 센서(453 및/또는 455)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이상 상황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작업자의 스마트폰으로 푸시할 수 있다.
제1센서(433)는 주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이고, 제2센서(435)는 주변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센서이고, 제3센서(437)는 중력 가속도의 변화와 회전 각도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예컨대, 제3센서(437)는 자이로스코프(gyroscope)일 수 있다.
센서(433, 435, 및 437)에 의해 감지된 신호는 제2인터페이스(IF2, 예를 들면, I2C(nter-Integrated Circuit))를 통해 MCU(421)으로 전송된다.
모뎀 및 GPS 모듈(439)은 모뎀의 기능과 GPS 수신기의 기능을 수행한다.
MCU(421)의 제어에 따라 모뎀 및 GPS 모듈(439)은 제1안테나(441)를 통해 정상 로그 정보(NLI)와 비정상 로그 정보(ABLI)를 서버(500)로 전송하거나, GPS 위성들로부터 전송된 GPS 신호들(GPSS)을 수신하여 MCU(421)로 전송한다. MCU(421)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조건들(S312, S314, 및 S320)에 따라 정상 로그 정보(NLI) 또는 비정상 로그 정보(ABLI)를 생성하고, GPS 신호들(GPSS)을 이용하여 데이터 로거(420)의 위치를 나타내는 GPS 정보(RPIa 또는 RPIb)를 생성한다.
MCU(421)은 제3인터페이스(IF3, 예를 들면,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뎀 및 GPS 모듈(439)과 정보(NLI, ABLI, 및/또는 GPSS)를 주거나 받을 수 있다.
이동하는 교통 수단(600)에 탑재된 콜드 컨테이너(400)에 장착된 데이터 로거(420)의 모뎀 및 GPS 모듈(439)은 도 5의 단계(S300)에 따라 정상 로그 정보 (NLI) 또는 비정상 로그 정보(ABLI)를 서버(500)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모뎀 및 GPS 모듈(439)은 저전력 광역 통신망(Low Power Wide Area Network(LPWAN))을 통해 정상 로그 정보(NLI) 또는 비정상 로그 정보(ABLI)를 실시간으로 서버(500)로 전송한다. LPWAN을 통해 정상 로그 정보(NLI) 또는 비정상 로그 정보(ABLI)가 서버 (500)로 전송됨에 따라, 데이터 로거(420)의 전력 소모는 감소한다.
NFC 모듈(443)은 제2안테나(이를 'HF(High Frequency) 안테나', 또는 'NFC 안테나'라고도 한다, 445)를 통해 휴대용 리더(200)의 제1통신 장치(230)에 포함된 NFC 송수신기와 정보를 주거나 받을 수 있다. NFC 모듈(443)은 NFC 모듈(443)에 의해 처리될 정보 또는 처리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RFID 모듈(447)은 제3안테나(이를 'UHF(Ultra High Frequency) 안테나', 또는 'RFID 안테나'라고도 한다, 449)를 통해 휴대용 리더(200)의 제1통신 장치(230)에 포함된 RFID 송수신기와 정보를 주거나 받을 수 있다. RFID 모듈(447)은 UHF RFID 모듈일 수 있다. RFID 모듈(447)은 RFID 모듈(447)에 의해 처리될 정보 또는 처리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콜드 컨테이너(400)의 인-바디(453과 455)는 냉동고의 내부 온도를 센싱 (sensing)하는 제1온도 센서(453) 및/또는 냉장고의 내부 온도를 센싱하는 제2온도 센서(455)를 포함한다. 각 온도 센서(453과 455)는 서미스터(thermistor) 온도 센서일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각 온도 센서(453과 455)는 온도와 습도 모두를 감지하는 센서로 대체될 수 있다.
MCU(421)는 아날로그 인터페이스(IF4 및/또는 IF5)를 통해 온도 센서(453 및/또는 455)와 정보를 주거나 받을 수 있다. MCU(421)는 온도 센서(453 및/또는 455)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온도 신호를 디지털 온도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콜드 컨테이너(400)가 냉동고만을 포함할 때 또는 상기 냉동고와 냉장고를 모두 포함하더라도 상기 냉동고에만 상품(300)을 저장했을 때, MCU(421)의 제어 또는 버튼(427)을 조작하는 작업자의 제어에 따라 제1온도 센서 (453)는 인에이블되고 제2온도 센서(455)는 디스에이블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콜드 컨테이너(400)가 냉동고만을 포함할 때 또는 상기 냉동고와 냉장고를 모두 포함하더라도 상기 냉동고에만 상품(300)을 저장했을 때, MCU(421)는 제1온도 센서(453)의 출력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고 제2온도 센서 (455)의 출력 신호를 수신하더라도 이를 무시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콜드 컨테이너(400)가 냉장고만을 포함할 때 또는 냉동고와 상기 냉장고를 모두 포함하더라도 상기 냉장고에만 상품(300)을 저장했을 때, MCU(421)의 제어 또는 버튼(427)을 조작하는 작업자의 제어에 따라 제1온도 센서 (453)는 디스에이블되고 제2온도 센서(455)는 인에이블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콜드 컨테이너(400)가 냉장고만을 포함할 때 또는 냉동고와 상기 냉장고를 모두 포함하더라도 상기 냉장고에만 상품(300)을 저장했을 때, MCU(421)는 제1온도 센서(453)의 출력 신호를 수신하더라도 이를 무시하고, 제2온도 센서(455)의 출력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MCU(421)는 파워 서플라이(451)의 전압을 체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고, 체크된 전압이 설정된 전압보다 낮아짐을 감지한 MCU(421)는 부저(429), 광원 (431), 및/또는 작업자의 스마트폰으로 알람을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물류 시스템을 통해 상품이 생산자로부터 소비자에게 배송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생산자로부터 생산된 상품(300)은 교통 수단(600)에 탑재되어 여러 단계들(S100 내지 S600)를 통해 최종적으로 소비자에게 배달된다.
각 휴대용 리더(200, 200-1, 200-2, 및 200-3)의 구조는 동일하다고 가정하고, 각 휴대용 리더(200, 200-1, 200-2, 및 200-3)에는 동일한 애플리케이션(210)이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생산자 단계의 출하전 단계의 상품 포장 단계에서 물류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는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11의 도면 번호 210-1은 도 1의 애플리케이션(210)이 제공하는 제1페이지라고 가정하고, 도 12의 도면 번호 210-2는 도 1의 애플리케이션(210)이 제공하는 제2페이지라고 가정하고, 제1페이지 (210-1)와 제2페이지(210-2) 각각은 하나의 페이지 또는 두 개의 페이지들의 집합이라고 가정한다.
도 1 내지 도 4,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1작업자는 제1휴대용 리더(200-1)를 이용하여 생산자 단계의 출하전 단계(S100)와 출하 단계(S200)를 수행한다고 가정한다.
제1작업자는, 제1휴대용 리더(200-1)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210)을 이용하여, 제1페이지(210-1)에서 제1이벤트를 나타내는 상품 포장 GUI(AGUI1)를 선택한다(S110).
제1이벤트의 선택에 따라 제1이벤트 선택 신호가 생성되고, 애플리케이션 (210)은 상기 제1이벤트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정보 획득 장치(220)를 활성화시킨다(S112).
제1작업자가 상품(300)에 부착된 바코드(310)로부터 상품(300)에 대한 상품정보(GI, 예를 들면 상품의 명칭에 해당하는 바코드)를 정보 획득 장치(220)를 이용하여 획득(예를 들면,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 또는 바코드 스캐너를 이용한 스캔)하면, 획득된 상품정보(GI)는 애플리케이션(210)으로 전송된다(S114).
제1작업자는, 제1휴대용 리더(200-1)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210)을 이용하여, 제1페이지(210-1)의 제5GUI(AGUI5)에서 상품 보관 유형(GDT; 예를 들면, 냉장 또는 냉동)을 선택한다(S116). 상품 보관 유형(GDT)은 제1칸과 제2칸 각각에 대해 설정할 수 있다.
상품(300)이 콜드 컨테이너(420)에 저장된 후 제1작업자가 제1페이지(210-1)의 매핑 GUI(AGUI6)를 선택하고 제1휴대용 리더(200-1)로 데이터 로거(420)를 태깅 (tagging) 또는 스캔(scan)하면(S117), 애플리케이션(210)은 매칭 GUI(AGUI6)의 선택에 응답하여 제1요청 신호(REQj, j=1)를 생성하고 제1요청 신호(REQ1)를 제1통신 장치(230)를 통해 데이터 로거(420)로 전송한다.
MCU(421)는 NFC 모듈(443) 또는 RFID 모듈(447)을 통해 제1요청 신호(REQ1)를 수신하고, 제1요청 신호(REQ1)에 응답하여 메모리 장치(423)로부터 전자 상품 코드(CODE)를 읽어와서 이를 NFC 모듈(443) 또는 RFID 모듈(447)을 통해 제1통신 장치(230)로 전송한다(S118). 전자 상품 코드(CODE)는 헤더(header), 업체 코드 (EPC manager), 상품코드 (object class), 및 일련번호 (serial number)를 포함한다.
제1휴대용 리더(200-1)가 전자 상품 코드(CODE)를 수신한 후(S118), 제1작업자가 제1페이지(210-1)의 전송 GUI(AGUI7)를 선택(이를 '클릭'이라고도 한다.)하면 (S120), 애플리케이션(210)은 전송 GUI(AGUI7)의 선택에 응답하여 제1휴대용 리더 (200-1)의 제1위치 정보(PI1)를 생성하고, 제1이벤트 로그 정보(ELI1)가 서버(500)로 전송되는 시간에 해당하는 제1전송 시간(TT1)을 생성하고, 제1이벤트 로그 정보 (ELI1)를 생성하여 제2통신 장치(240)를 통해 서버(500)로 전송한다(S122).
각 전송 시간(STIa, STIb, 및 TT1~TT5)은 해당 로그 정보(NLI, ABLI, 및 ELIi)를 서버(500)가 실제로 수신했는지의 여부에 무관하게, 각 장치(420, 및 200)가 해당 로그 정보(NLI, ABLI, 및 ELIi)를 생성하고 서버(500)로 전송한 시간(예를 들면, 년월일 시분초)을 의미할 수 있다.
이는 각 장치(420, 및 200)가 통신의 음영 사각 지대에 있어 제때에 해당 로그 정보(NLI, ABLI, 및 ELIi)를 서버(500)로 전송하지 못하다라도, 해당 로그 정보 (NLI, ABLI, 및 ELIi)가 생성된 시간을 정확하게 서버(500)에 기록하기 위해서다.
제1이벤트 로그 정보(ELI1)는 상품 정보(GI), 상품 보관 유형(GDT), 전자 상품 코드(CODE), 제1휴대용 리더(200-1)의 제1위치 정보(PI1), 제1전송 시간(TT1), 및 제1작업자 정보(W1I)를 포함한다. 각 작업자 정보(W1I, W2I, 또는 W3I)는 휴대용 리더(200-1, 200-2, 또는 200-3)의 애플리케이션(210)에 각 작업자가 로그인할 때 사용한 로그인 정보이다.
서버(500)는 제1이벤트 로그 정보(ELI1)를 수신하여 액세스 가능한 데이터베이스(510)에 저장한다(S124).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생산자 단계의 출하전 단계에서 콜드 컨테이너에 장착된 데이터 로거에 설정 정보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데이터 흐름도이다.
제1작업자가, 제1휴대용 리더(200-1)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210)을 이용하여, 제1페이지(210-1)에서 설정 GUI(AGUI8)를 선택하면(S130), 애플리케이션 (210)은 설정 GUI(AGUI8)의 선택에 응답하여 제2페이지(210-2)를 활성화한다.
제1작업자는 제2페이지(210-2)의 데이터 로거 시작 시간 입력창(SGUI2)에 데이터 로거 시작 시간(STT; 예를 들면 2021.09. 15, 오전 9시)을 입력하고, 데이터 로거 센싱 주기 입력창(SGUI3)에 데이터 로거 센싱 주기(SP; 예를 들면, 30분)를 입력하고, 문턱값 입력 창(SGUI4)에 적어도 하나의 문턱값(THV)을 입력한다(S132).
적어도 하나의 문턱값(THV)은 제1문턱값(THV1)과 제2문턱값(THV2)을 포함한다. 제3센서(437)가 중력 가속도와 회전 각도를 감지하는 센서일 때, 제1문턱값 (THV1)은 중력 가속도이고, 제2문턱값(THV2)은 회전 각도(예를 들면,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회전 각도)이다.
콜드 컨테이너(400)를 탑재한 교통 수단(600)이 과속 방지턱(speed bump)을 급하게 통과하거나 교차로에서 특정 방향으로 급하게 회전할 때 제3센서(437)는 데이터 로거(420)에 가해지는 중력 가속도의 변화 및/또는 회전 각도의 변화를 감지한다.
설정 정보(STT, SP, 및 THV)가 제2페이지(210-2)에 입력된 후(S132) 제1작업자가 제2페이지(210-2)의 셋업(SGUI5)를 선택하고 제1휴대용 리더(200-1)로 데이터 로거(420)를 태깅 또는 스캔하면(S133), 애플리케이션(210)은 설정 정보(ST, SP, 및 THV)을 제1통신 장치(230)를 통해 데이터 로거(420)로 전송한다(S134).
제1통신 장치(230)가 NFC 송수신기일 때 MCU(421)는 제2안테나(445), NFC 모듈(443), 및 제2인터페이스(IF2)를 통해 설정 정보(STT, SP, 및 THV)를 수신하고, 설정 정보(STT, SP, 및 THV)를 메모리 장치(423)에 저장한다(S134).
제1통신 장치(230)가 RFID 송수신기일 때 MCU(421)는 제3안테나(449), RFID 모듈(447), 및 제2인터페이스(IF2)를 통해 설정 정보(STT, SP, 및 THV)를 수신하고, 설정 정보(STT, SP, 및 THV)를 메모리 장치(423)에 저장한다(S134).
데이터 로거(420)는 안테나들(445와 449)과 통신 모듈(443과 447) 사이에 접속된 판단 회로(457)를 더 포함하고, 판단 회로(457)는 입력 신호(STT, SP, 및 THV)가 NFC 프로토콜에 따른 신호인지 RFID 프로토콜에 따른 신호인지를 판단하고, 입력 신호(STT, SP, 및 THV)가 상기 NFC 프로토콜에 따른 신호일때 NFC 모듈(443)을 활성화하고 RFID 모듈(447)을 비활성화하고, 입력 신호(STT, SP, 및 THV)가 상기 RFID 프로토콜에 따른 신호일때 NFC 모듈(443)을 비활성화하고 RFID 모듈(447)을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 신호(STT, SP, 및 THV)가 NFC 프로토콜에 따른 신호일 때 판단 회로(457)는 파워 서플라이(451)의 출력 전압을 NFC 모듈(443)로 공급하고 RFID 모듈(447)로는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입력 신호(STT, SP, 및 THV)가 RFID 프로토콜에 따른 신호일 때 판단 회로(457)는 파워 서플라이(451)의 출력 전압을 NFC 모듈(443)로는 공급하지 않고 RFID 모듈(447)로는 공급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로거가 로그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데이터 로거 시작 시간(STT) 이후에 데이터 로거 (420)는 설정된 조건(S314 또는 S320)이 만족될 때마다 정상 로그 정보(NLI) 또는 비정상 로그 정보(ABLI)를 생성하여 모뎀 및 GPS 모듈(439)과 제1안테나(441)를 통해 서버(500)로 전송한다(S300).
측정 값(또는 감지 값, MV)이 문턱값(THV)보다 크지 않을 때(S320의 NO), 센싱 주기(SP)마다 생성되는 정상 로그 정보(NLI)는 전자 상품 코드(CODE), 콜드 컨테이너(400)의 내부 온도에 해당하는 온도 정보(SEIa), 데이터 로거(420)의 위치 정보(RPIa), 및 정상 로그 정보(NLI)가 서버(500)로 전송되는 전송 시간 정보(STIa)를 포함한다.
그러나, 센싱 주기(SP)에 무관하게 측정 값(MV)이 문턱값(THV)보다 클 때마다 생성되는 비정상 로그 정보(ABLI)는 전자 상품 코드(CODE), 콜드 컨테이너(400)의 내부 온도에 해당하는 온도 정보(SEIb), 데이터 로거(420)의 위치 정보(RPIb), 및 비정상 로그 정보(ABLI)가 서버(500)로 전송되는 전송 시간 정보(STIb)를 포함한다.
MCU(421)는 타이머(예를 들면, 소프트웨어 타이며 또는 하드웨어 타이머)를 이용하여 현재 시간(CT)을 계산한다. 예를 들면, 타이며의 시간은 모뎀 및 GPS 모듈 (439)으로부터 전송된 GPS 신호들(GPSS)에 포함된 시간 정보에 동기될 수 있다.
MCU(421)는 현재 시간(CT)이 데이터 로거 시작 시간(STT)인지를 판단한다 (S312). 현재 시간(CT)이 데이터 로거 시작 시간(STT)이 아닐 때(S312의 NO), MCU (421)는 단계(S312)를 수행한다.
현재 시간(CT)이 데이터 로거 시작 시간(STT)일 때(S312의 YES), MCU(421)는 정상 로그 정보(NLI)를 서버(500)로 전송하기 위해 아래의 단계들(i~ⅵ)을 수행한다(S316).
(i) 온도 센서(453 및/또는 455)의 제1출력 신호로부터 제1온도 정보(SEIa)를 생성하고,
(ⅱ) 모뎀 및 GPS 모듈(439)로부터 출력된 제1GPS 신호들(GPSS)을 이용하여 데이터 로거(420)의 제1위치 정보(RPIa)를 생성하고,
(ⅲ) 메모리 장치(423)에 저장된 전자 상품 코드(CODE)를 읽어오고,
(ⅳ) 정상 로그 정보(NLI)가 서버(500)로 전송되는 제1전송 시간 정보(STIa)를 생성하고,
(v) 전자 상품 코드(CODE), 제1온도 정보(SEIa), 제1위치 정보(RPIa), 및 제1전송 시간 정보(STIa)를 포함하는 정상 로그 정보(NLI)를 생성하고,
(ⅵ) 정상 로그 정보(NLI)를 모뎀 및 GPS 모듈(439)과 제1안테나(441)를 통해 서버(500)로 전송한다.
MCU(421)는 현재 시간(CP)이 데이터 로거 센싱 주기(SP)인지를 판단한다 (S314).
현재 시간(CP)이 데이터 로거 센싱 주기(SP)일 때마다(S314의 YES, 예를 들면, 30분마다)), MCU(421)는 단계(S316)를 수행한다.
그러나, 현재 시간(CP)이 데이터 로거 센싱 주기(SP)가 아닐 때(S314의 NO), MCU(421)는 제3센서(437)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현재 값(MV)을 측정하고, 측정된 현재 값(MV)과 문턱값(THV)을 비교한다(S320).
측정된 현재 값(MV)이 중력 가속도일 때 MCU(421)는 측정된 중력 가속도(MV)와 제1문턱 값(THV1)를 비교하고, 측정된 현재 값(MV)이 회전 각도일 때 MCU(421)는 측정된 회전 각도(MV)와 제2문턱 값(THV2)를 비교한다.
측정된 현재 값(MV)이 문턱값(THV)보다 크지 않을 때(S320의 NO), MCU(421)는 단계(S314)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측정된 중력 가속도가 제1문턱 값(THV1)보다 크지 않고 측정된 회전 각도가 제2문턱 값(THV2)보다 크지 않을 때, MCU(421)는 단계(S314)를 수행한다.
그러나, 측정된 현재 값(MV)이 문턱값(THV)보다 클 때(S320의 YES), 예를 들면, 측정된 중력 가속도가 제1문턱 값(THV1)보다 크거나 측정된 회전 각도가 제2문턱 값(THV2)보다 클 때, MCU(421)는 현재 시간(CP)이 데이터 로거 센싱 주기(SP)가 아니더라도 비정상 로그 정보(ABLI)를 서버(500)로 전송하기 위해 아래의 단계들 (a~f)을 수행한다(S322).
(a) 온도 센서(453 및/또는 455)의 제2출력 신호로부터 제2온도 정보(SEIb)를 생성하고,
(b) 모뎀 및 GPS 모듈(439)로부터 출력된 제2GPS 신호들(GPSS)을 이용하여 데이터 로거(420)의 제2위치 정보(RPIb)를 생성하고,
(c) 메모리 장치(423)에 저장된 전자 상품 코드(CODE)를 읽어오고,
(d) 비정상 로그 정보(ABLI)가 서버(500)로 전송되는 제2전송 시간 정보 (STIb)를 생성하고,
(e) 전자 상품 코드(CODE), 제2온도 정보(SEIb), 제2위치 정보(RPIb), 및 제2전송 시간 정보(STIb)를 포함하는 비정상 로그 정보(ABLI)를 생성하고,
(f) 비정상 로그 정보(ABLI)를 모뎀 및 GPS 모듈(439)과 제1안테나(441)를 통해 서버(500)로 전송한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생산자 단계의 출하 단계에서 물류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는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3, 도 7,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1작업자는 제1휴대용 리더 (200-1)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210)을 이용하여 제1페이지(210-1)에서 제2이벤트를 나타내는 출하 GUI(AGUI2)를 선택한다(S210).
제2이벤트가 선택됨에 따라 제2이벤트 선택 신호가 생성되면, 애플리케이션 (210)은 상기 제2이벤트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정보 획득 장치(220)를 활성화시킨다(S212).
제1작업자가 콜드 콘테이너(400)에 부착된 운송장(410)로부터 운송장 정보 (TD, 예를 들면 바코드)를 정보 획득 장치(220)를 이용하여 획득(예를 들면,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 또는 바코드 스캐너를 이용한 스캔)하면, 획득된 운송장 정보 (TD)는 애플리케이션(210)으로 전송된다(S214).
제1작업자는 제1휴대용 리더(200-1)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210)을 이용하여 제1페이지(210-1)의 제5GUI(AGUI5)에서 상품 보관 유형(GDT; 예를 들면, 냉장 또는 냉동)을 선택한다(S216).
만일, 도 4의 단계(S116)에서 상품 보관 유형(GDT)이 선택되었다면, 단계 (S216)는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도 4의 단계(S116)에서 상품 보관 유형(GDT)이 선택되지 않았다면, 단계(S216)는 반드시 수행되어야 한다.
제1작업자가 제1페이지(210-1)의 매핑 GUI(AGUI6)를 선택하고 제1휴대용 리더(200-1)로 데이터 로거(420)를 태킹 또는 스캔하면(S217), 제1휴대용 리더(200-1)의 애플리케이션(210)은 제2요청 신호(REQj, i=2)를 생성하여 제1통신 장치(230)로 전송한다.
MCU(421)는 제1통신 장치(230)로부터 전송된 제2요청 신호(REQ2)를 NFC 모듈 (443) 또는 RFID 모듈(447)을 통해 수신하고, 제2요청 신호(REQ2)에 응답하여 온도 센서(453 및/또는 455)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제1온도(TPk, k=1)를 비로소 측정(또는 계산)한다(S218).
MCU(421)가 제2요청 신호(REQ2)에 응답하여 비로소 전자 상품 코드(CODE)를 메모리 장치(423)으로부터 읽어오고, 전자 상품 코드(CODE)와 제1온도(TP1)를 NFC 모듈(443) 또는 RFID 모듈(447)을 통해 제1휴대용 리더(200-1)의 제1통신 장치 (230)로 전송하면(S220), 제1휴대용 리더(200-1)의 애플리케이션(210)은 제1통신 장치(230)를 통해 전자 상품 코드(CODE)와 제1온도(TP1)를 수신한다(S220).
제1작업자가 제1페이지(210-1)의 전송 GUI(AGUI7)를 선택하면(S222), 애플리케이션(210)은 전송 GUI(AGUI7)의 선택에 응답하여 제1휴대용 리더(200-1)의 제2위치 정보(PI2)를 생성하고, 제2이벤트 로그 정보(ELI2)가 전송되는 제2전송 시간 (TT2)을 생성하고, 제2이벤트 로그 정보(ELI2)를 생성하여 제1휴대용 리더(200-1)의 제2통신 장치(240)를 통해 서버(500)로 전송한다(S224).
제2이벤트 로그 정보(ELI2)는 운송장 정보(TD), 상품 보관 유형(GDT), 전자 상품 코드(CODE), 제1온도(TP1), 제2위치 정보(PI2), 제2전송 시간(TT2), 및 제1작업자 정보(W1I)를 포함한다.
서버(500)는 제2이벤트 로그 정보(ELI2)를 액세스 가능한 데이터베이스(510)에 저장한다(S226).
도 8은 도 3에 도시된 택배 물류 센터의 입하 단계에서 물류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는 데이터 흐름도이다.
생산자 단계의 출하 단계(S200)가 완료된 후, 콜드 컨테이너(400)를 탑재한 교통 수단(600)은 이동 과정(S300)을 통해 택배 물류 센터에 입하된다.
도 1, 도 2, 도 3, 도 8,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2작업자는 제2휴대용 리더 (200-2)를 이용하여 도 8의 입하 단계(S400)와 도 9의 출하 단계(S500)를 수행한다고 가정한다.
제2작업자는 제2휴대용 리더(200-2)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210)을 이용하여 제1페이지(210-1)에서 제3이벤트를 나타내는 입하 GUI(AGUI3)를 선택한다 (S410).
제2작업자가 제1페이지(210-1)의 매핑 GUI(AGUI6)를 선택하고 제1휴대용 리더(200-1)로 데이터 로거(420)를 태킹 또는 스캔하면(S411), 애플리케이션(210)은 제3요청 신호(REQj, j=3)를 생성하여 제2휴대용 리더(200-2)의 제1통신 장치(230)로 전송한다.
MCU(421)는 제2휴대용 리더(200-2)의 제1통신 장치(230)로부터 출력된 제3요청 신호(REQ3)를 NFC 모듈(443) 또는 RFID 모듈(447)을 통해 수신하고, 제3요청 신호(REQ3)에 응답하여, 온도 센서(453 및/또는 455)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제2온도(TPk, k=2)를 비로소 측정(또는 계산)한다(S412).
MCU(421)가, 제3요청 신호(REQ3)에 응답하여, 메모리 장치(423)에 저장된 전자 상품 코드(CODE)를 읽고, 전자 상품 코드(CODE)와 제2온도(TP2)를 NFC 모듈 (443) 또는 RFID 모듈(447)을 통해 제2휴대용 리더(200-2)의 제1통신 장치(230)로 전송하면(S414), 제2휴대용 리더(200-2)의 애플리케이션(210)은 제1통신 장치(230)를 통해 전자 상품 코드(CODE)와 제2온도(TP2)를 수신한다(S414).
제2작업자가 제1페이지(210-1)의 전송 GUI(AGUI7)를 선택하면(S416), 제2휴대용 리더(200-2)의 애플리케이션(210)은 전송 GUI(AGUI7)의 선택에 응답하여 제2휴대용 리더(200-2)의 제3위치 정보(PI3)를 생성하고, 제3이벤트 로그 정보(ELI3)가 서버(500)로 전송되는 시간을 나타내는 제3전송 시간(TT3)을 생성하고, 제3이벤트 로그 정보(ELI3)를 생성하여 제2휴대용 리더(200-2)의 제2통신 장치(240)를 통해 서버(500)로 전송한다 (S418).
제3이벤트 로그 정보(ELI3)는 전자 상품 코드(CODE), 제2온도(TP2), 제3위치 정보(PI3), 제3전송 시간(TT3), 및 제2작업자 정보(W2I)를 포함한다.
서버(500)는 제3이벤트 로그 정보(ELI3)를 수신하여 액세스 가능한 데이터베이스(510)에 저장한다(S420).
도 9는 도 3에 도시된 택배 물류 센터의 출하 단계에서 물류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는 데이터 흐름도이다.
제2작업자는 제2휴대용 리더(200-2)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210)을 이용하여 제1페이지(210-1)에서 제4이벤트를 나타내는 출하 GUI(AGUI2)를 선택한다 (S510).
제2작업자가 제1페이지(210-1)의 매핑 GUI(AGUI6)를 선택하고 제2휴대용 리더(200-2)로 데이터 로거(420)를 태킹 또는 스캔하면(S511), 제2휴대용 리더(200-2)의 애플리케이션(210)은 제4요청 신호(REQj, j=4)를 생성하여 제1통신 장치(230)로 전송한다.
MCU(421)는 제2휴대용 리더(200-2)의 제1통신 장치(230)로부터 출력된 제4요청 신호(REQ4)를 NFC 모듈(443) 또는 RFID 모듈(447)을 통해 수신하고, 제4요청 신호(REQ4)에 응답하여, 온도 센서(453 및/또는 455)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제3온도(TPk, k=3)를 비로소 측정(또는 계산)한다(S512).
MCU(421)가, 제4요청 신호(REQ4)에 응답하여, 메모리 장치(423)로부터 전자 상품 코드(CODE)를 읽어오고, 전자 상품 코드(CODE)와 제3온도(TP3)를 NFC 모듈 (443) 또는 RFID 모듈(447)을 통해 제2휴대용 리더(200-2)의 제1통신 장치(230)로 전송하면(S514), 제2휴대용 리더(200-2)의 애플리케이션(210)은 제1통신 장치(230)를 통해 전자 상품 코드(CODE)와 제3온도(TP3)를 수신한다(S514).
제2작업자가 제1페이지(210-1)의 전송 GUI(AGUI7)를 선택하면(S516), 애플리케이션(210)은 전송 GUI(AGUI7)의 선택에 응답하여 제2휴대용 리더(200-2)의 제4위치 정보(PI4)를 생성하고, 제4이벤트 로그 정보(ELI4)가 서버(500)로 전송되는 시간을 나타내는 제4전송 시간(TT4)을 생성하고, 제4이벤트 로그 정보(ELI4)를 생성하여 제2휴대용 리더(200-2)의 제2통신 장치(240)를 통해 서버(500)로 전송한다 (S518).
제4이벤트 로그 정보(ELI4)는 전자 상품 코드(CODE), 제3온도(TP3), 제4위치 정보(PI4), 제4전송 시간(TT4), 및 제2작업자 정보(W2I)를 포함한다.
서버(500)는 제4이벤트 로그 정보(ELI4)를 액세스 가능한 데이터베이스(510)에 저장한다(S520).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소비자 단계의 상품 인계 단계에서 물류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는 데이터 흐름도이다.
택배 물류 센터의 출하 단계(S500)가 완료된 후, 콜드 컨테이너(400)를 탑재한 교통 수단(600)은 이동 과정(S300)을 통해 소비자에 배달된다.
도 1, 도 2, 도 3,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3작업자는 제3휴대용 리더 (200-3)를 이용하여 상품 인계(S600)를 수행한다고 가정한다. 제3휴대용 리더(200-3)의 소지자는 교통 수단(600)의 운전자라고 가정한다.
제3작업자는 제3휴대용 리더(200-3)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210)을 이용하여 제1페이지(210-1)에서 제5이벤트를 나타내는 상품 인계 GUI(AGUI4)를 선택한다(S610).
제3작업자가 제1페이지(210-1)의 매핑 GUI(AGUI6)를 선택하고 제3휴대용 리더(200-3)로 데이터 로거(420)를 태킹 또는 스캔하면(S611), 제3휴대용 리더(200-3)의 애플리케이션(210)은 제5요청 신호(REQj, j=5)를 생성하여 제3휴대용 리더 (200-3)의 제1통신 장치(230)로 전송한다.
MCU(421)는 제3휴대용 리더(200-3)의 제1통신 장치(230)로부터 출력된 제5요청 신호(REQ5)를 NFC 모듈(443) 또는 RFID 모듈(447)을 통해 수신하고, 제5요청 신호(REQ5)에 응답하여, 온도 센서(453 및/또는 455)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제4온도(TPk, k=4)를 비로소 측정(또는 계산)한다(S612).
MCU(421)가, 제5요청 신호(REQ2)에 응답하여, 메모리 장치(426)로부터 전자 상품 코드(CODE)를 읽어오고, 전자 상품 정보(CODE)와 제4온도(TP4)를 NFC 모듈 (443) 또는 RFID 모듈(447)을 통해 제3휴대용 리더(200-3)의 제1통신 장치(230)로 전송하면(S614), 제3휴대용 리더(200-3)의 애플리케이션(210)은 제1통신 장치(230)를 통해 전자 상품 코드(CODE)와 제4온도(TP4)를 수신한다(S614).
제3작업자가 제1페이지(210-1)의 전송 GUI(AGUI7)를 선택하면(S616), 애플리케이션(210)은 전송 GUI(AGUI7)의 선택에 응답하여 제3휴대용 리더(200-2)의 제5위치 정보(PI5)를 생성하고, 제5이벤트 로그 정보(ELI5)가 서버(500)로 전송되는 시간을 나타내는 제5전송 시간(TT5)을 생성하고, 제5이벤트 로그 정보(ELI5)를 생성하여 제2통신 장치(240)를 통해 서버(500)로 전송한다(S618).
제5이벤트 로그 정보(ELI5)는 전자 상품 코드(CODE), 제4온도(TP4), 제5위치 정보(PI5), 제5전송 시간(TT5), 및 제3작업자 정보(W3I)를 포함한다. 각 온도 (TP1~TP4)는 온도 정보를 의미한다.
서버(500)는 제5이벤트 로그 정보(ELI5)를 수신하여 액세스 가능한 데이터베이스(510)에 저장한다(S620).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로거의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정보의 실시 예이다.
도 1, 도 2, 도 3,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425)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정보(425-1)는 콜드 컨테이너(400)의 고유 번호, 콜드 컨테이너(400)의 소유자 정보, 현재 일자, 데이터 로거 시작 시간(STT), 데이터 로거 센싱 주기 (SP), 이벤트 유형(상품 포장, 출하, 입하, 또는 상품 인계), 콜드 컨테이너(400)의 내부의 현재 온도(T1 및/또는 T2), 콜드 컨테이너(400)의 내부 온도의 최대값 (T3/T4) 및/또는 최소값(T5/T6), 및 파워 서플라이(451)의 현재 전압과 사용 가능한 백분율을 포함한다.
콜드 컨테이너(400)가 냉동고와 냉장고를 포함할 때, T1은 상기 냉동고의 현재 온도(T1)이고, T2는 상기 냉장고의 현재 온도(T2)이고, T3는 상기 냉동고의 최고 온도이고, T4는 상기 냉장고의 최고 온도이고, T5는 상기 냉동고의 최저 온도이고, T6는 상기 냉장고의 최저 온도이다. 각 작업자는 버튼(427)을 조작하여 원하는 정보를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425)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최고 온도는 센싱 주기(SP)마다 온도 센서(453 및또는 455)에 의해 감지된 제1온도들과 비정상 상태가 발생할 때마다 온도 센서(453 및또는 455)에 의해 감지된 제2온도들 중에서 최고 온도이고, 최저 온도는 상기 제1온도들과 상기 제2온도들 중에서 최저 온이다. 각 온도(T1~T6)은 MCU(421)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 장치(432)에 저장된다.
상품(300)을 저장하는 콜드 컨테이터(400)에 장착된 데이터 로거(420), 제1휴대용 리더(200-1), 제2휴대용 리더(200-2), 및 서버(500)를 포함하는 물류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물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데이터 로거(420)가 제1휴대용 리더(200-1)로부터 데이터 로거의 시작 시간(STT), 센싱 주기(SP), 및 상기 데이터 로거에 대한 중력 가속도와 회전 각도의 문턱값들(THV1과 THV2)을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데이터 로거(420)가 시작 시간(STT)부터 작동을 시작하는 단계와, 데이터 로거(420)의 센서(453 및/또는 455)의 출력 값들(MV)과 문턱값들(THV1과 THV2)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데이터 로거(420)에서 비정상 상태가 발생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데이터 로거(420)에서 비정상 상태가 발생하지 않았을 때 데이터 로거(420)가 센싱 주기(SP)마다 정상 로그 정보(NLI)를 생성하여 서버 (500)로 전송하는 단계와, 데이터 로거(420)에서 비정상 상태가 발생했을 데이터 로거(420)가 센싱 주기(SP)에 무관하게 상기 비정상 상태가 발생할 때마다 비정상 로그 정보(ABLI)를 생성하여 서버(500)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비정상 상태가 발생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출력 값들(MV) 각각이 문턱값들(THV1과 THV2) 각각보다 작을 때(S320의 NO) 데이터 로거(420)가 정상 상태라고 판단하고, 출력 값들(MV)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문턱값들(THV1과 THV2) 중에서 적어도 하나보다 클 때(S320의 YES) 데이터 로거(420)가 비정상 상태라고 판단하는 MCU(421)에 의해 수행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물류 시스템
200: 휴대용 리더
30(0: 상품
400: 콜드 컨테이너
421: 메인 컨트롤러 유닛
423: 메모리 장치
425: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427: 버튼
429: 부저
431: 광원
433, 435, 및 437: 센서
439: 모뎀 및 GPS 모듈
443: NFC 모듈
447: RFID 모듈
453, 455: 온도 센서
500: 서버
600: 교통 수단

Claims (7)

  1. 상품을 저장하는 콜드 컨테이터에 장착된 데이터 로거, 제1휴대용 리더, 제2휴대용 리더, 및 서버를 이용한 물류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로거가 상기 제1휴대용 리더로부터 상기 데이터 로거의 시작 시간, 센싱 주기, 및 상기 데이터 로거에 대한 중력 가속도와 회전 각도의 문턱값들을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로거가 상기 시작 시간부터 작동을 시작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로거의 센서의 출력 값들과 상기 문턱값들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 로거에서 비정상 상태가 발생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로거에서 비정상 상태가 발생하지 않았을 때 상기 데이터 로거가 상기 센싱 주기마다 정상 로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로거에서 비정상 상태가 발생했을 상기 데이터 로거가 상기 센싱 주기에 무관하게 상기 비정상 상태가 발생할 때마다 비정상 로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물류 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로거가 상기 제1휴대용 리더로부터 전송된 상기 설정 정보가 NFC 프로토콜 설정 정보인지 RFID 프로토콜 설정 정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로거가 상기 판단의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 로거에 포함된 NFC 모듈과 RFID 모듈 중에서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물류 정보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 상태가 발생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 값들 각각이 상기 문턱값들 각각보다 작을 때 상기 데이터 로거가 정상 상태라고 판단하고,
    상기 출력 값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상기 문턱값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보다 클 때 상기 데이터 로거가 상기 비정상 상태라고 판단하는 물류 정보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 로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정상 상태에서 상기 센싱 주기마다 상기 데이터 로거가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콜드 컨테이너의 제1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정상 상태에서 상기 센싱 주기마다 상기 데이터 로거가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로거의 제1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정상 상태에서 상기 센싱 주기마다 상기 데이터 로거가 상기 데이터 로거의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전자 상품 코드를 읽어오는 단계;
    상기 정상 상태에서 상기 센싱 주기마다 상기 데이터 로거가 상기 제1정상 로그가 상기 서버로 전송되는 제1전송 시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정상 상태에서 상기 센싱 주기마다 상기 데이터 로거가 상기 전자 상품 코드, 상기 제1내부 온도, 상기 제1위치 정보, 및 상기 제1전송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정상 로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물류 정보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 로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비정상 상태가 발생할 때마다 상기 센싱 주기에 무관하게 상기 데이터 로거가 상기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콜드 컨테이너의 제2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비정상 상태가 발생할 때마다 상기 센싱 주기에 무관하게 상기 데이터 로거가 상기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로거의 제2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비정상 상태가 발생할 때마다 상기 센싱 주기에 무관하게 상기 데이터 로거가 상기 데이터 로거의 상기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상기 전자 상품 코드를 읽어오는 단계;
    상기 비정상 상태가 발생할 때마다 상기 센싱 주기에 무관하게 상기 데이터 로거가 상기 제1비정상 로그가 상기 서버로 전송될 제2전송 시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비정상 상태가 발생할 때마다 상기 센싱 주기에 무관하게 상기 데이터 로거가 상기 전자 상품 코드, 상기 제2내부 온도, 상기 제2위치 정보, 및 상기 제2전송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비정상 로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물류 정보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휴대용 리더가 제1이벤트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휴대용 리더의 정보 획득 장치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제1휴대용 리더의 상기 정보 획득 장치가 상기 콜드 컨테이너에 부착된 상기 상품에 대한 운송장으로부터 운송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휴대용 리더가 상기 상품을 냉장으로 보관할지 냉동으로 보관할지를 나타내는 상품 보관 유형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로거가 상기 제1휴대용 리더로부터 제1매핑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매핑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로거가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콜드 컨테이너의 제1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매핑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로거가 상기 데이터 로거의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전자 상품 코드를 읽어오는 단계;
    상기 제1매핑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로거가 상기 제1내부 온도와 상기 전자 상품 코드를 상기 제1휴대용 리더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휴대용 리더가 상기 제1휴대용 리더의 제1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휴대용 리더가 제1이벤트 로그 정보가 상기 서버로 전송될 제1전송 시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휴대용 리더가 상기 운송장 정보, 상기 상품 보관 유형, 상기 전자 상품 코드, 상기 제1내부 온도, 상기 제1위치 정보, 및 상기 제1전송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1이벤트 로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물류 정보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휴대용 리더가 제2이벤트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제2매핑 요청을 생성하면, 상기 데이터 로거가 상기 제2매핑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매핑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로거가 상기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콜드 컨테이너의 제2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2매핑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로거가 상기 데이터 로거의 상기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상기 전자 상품 코드를 읽어오는 단계;
    상기 제2매핑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로거가 상기 제2내부 온도와 상기 전자 상품 코드를 상기 제2휴대용 리더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휴대용 리더가 상기 제2휴대용 리더의 제2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휴대용 리더가 제2이벤트 로그 정보가 상기 서버로 전송될 제2전송 시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휴대용 리더가 상기 전자 상품 코드, 상기 제2내부 온도, 상기 제2위치 정보, 및 상기 제2전송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2이벤트 로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물류 정보 제공 방법.










KR1020210132790A 2021-10-07 2021-10-07 물류 관련 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 로거를 이용한 물류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3004982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790A KR20230049828A (ko) 2021-10-07 2021-10-07 물류 관련 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 로거를 이용한 물류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CN202210545684.8A CN115953097A (zh) 2021-10-07 2022-05-19 提供物流信息的方法
US17/748,054 US20230110898A1 (en) 2021-10-07 2022-05-19 Method of providing logistics information service using data logger for processing logistics-related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790A KR20230049828A (ko) 2021-10-07 2021-10-07 물류 관련 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 로거를 이용한 물류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9828A true KR20230049828A (ko) 2023-04-14

Family

ID=85797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2790A KR20230049828A (ko) 2021-10-07 2021-10-07 물류 관련 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 로거를 이용한 물류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110898A1 (ko)
KR (1) KR20230049828A (ko)
CN (1) CN115953097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0729A (ko) 2003-12-30 2005-07-07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컨테이너의 위치추적 시스템
KR20170020155A (ko) 2015-08-14 2017-02-22 주식회사 티케이에스세미콘 배송 환경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기록하는 리더 로거 장치 및 배송 정보 관리 시스템
KR20180058194A (ko) 2016-11-23 2018-05-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물류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물류정보 처리 서버, 물류 관리 장치
KR102299328B1 (ko) 2021-02-24 2021-09-08 주식회사 팀프레시 Tms 기반 통합 물류 서비스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0729A (ko) 2003-12-30 2005-07-07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컨테이너의 위치추적 시스템
KR20170020155A (ko) 2015-08-14 2017-02-22 주식회사 티케이에스세미콘 배송 환경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기록하는 리더 로거 장치 및 배송 정보 관리 시스템
KR20180058194A (ko) 2016-11-23 2018-05-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물류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물류정보 처리 서버, 물류 관리 장치
KR102299328B1 (ko) 2021-02-24 2021-09-08 주식회사 팀프레시 Tms 기반 통합 물류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10898A1 (en) 2023-04-13
CN115953097A (zh) 2023-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0046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delivery of products ordered over the internet to customers
US1059130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y vehicle monitoring
CN108198024B (zh) 信息处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10139495B2 (en) Shelving and package locating systems for delivery vehicles
EP3343481A1 (en) In-vehicle package location identification at load and delivery times
CN111491874B (zh) 派车管理装置、派车管理系统、派车管理方法、程序和存储介质
US2018021120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home inventory
JP5185533B2 (ja) ネスト化され近接したコンテナのアイテムレベル可視化技術
US201903038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item recovery by robotic vehicle
US11386475B2 (en) Mail-order system
CA2590642A1 (en) Item-based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US11853961B1 (en) Customized neural network for item recognition
KR20190100492A (ko) IoT 기반의 물류배송방법
JP2002347936A (ja) 配送システム
KR20230049828A (ko) 물류 관련 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 로거를 이용한 물류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30050493A (ko) 물류 관련 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 로거와 이를 포함하는 콜드 컨테이너
KR101404590B1 (ko) 공급망 관리용 키오스크
US20190114582A1 (en) Delive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outputting location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CN113034789B (zh) 服务器装置、控制装置、存储介质、移动店铺以及信息处理系统的工作方法
US20170270502A1 (en) Sensor systems and methods
KR102393980B1 (ko) 에너지 하베스팅을 이용한 초저전력 데이터 로깅 방법 및 장치
US2017033013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stimating availability of additional sales floor space for a product being binned
WO2020196258A1 (ja) 食品管理方法、食品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522396B1 (ko) 물품을 유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916722B1 (ko) 냉장고 및 그 냉장고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