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2396B1 - 물품을 유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물품을 유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2396B1
KR102522396B1 KR1020220157307A KR20220157307A KR102522396B1 KR 102522396 B1 KR102522396 B1 KR 102522396B1 KR 1020220157307 A KR1020220157307 A KR 1020220157307A KR 20220157307 A KR20220157307 A KR 20220157307A KR 102522396 B1 KR102522396 B1 KR 102522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oduct
storage
article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7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혜
Original Assignee
대우이엔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이엔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이엔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57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23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2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2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2Vending machines being part of a centrally controlled network of vending machi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5Needs-based resource requirements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8Historical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1Interfacing with vending machines using mobile or wearable 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6Details of the software used for the vending machi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G07F9/105Heating or cooling means,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for the conditioning of articles and their storage

Abstract

본 개시는 물품을 유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물품을 유통하기 위한 자동 판매 장치는 제1 물품의 입고를 식별하고, 유통 관리 서버에게 상기 제1 물품의 입고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1 물품에 대한 보관 정보를 유통 관리 서버에게 송신하고, 상기 제1 물품에 관한 구매 요청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물품에 관한 구매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물품을 식별하고, 상기 제1 물품이 수령될 수 있도록 상기 자동 판매 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물품을 유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GOODS}
본 개시는 물품을 유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물품의 품질을 유지하면서, 유통 과정을 간소화하여 물류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유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과일이나 채소와 같이 온도 등에 민감한 물품들은 저온을 유지시킨 상태에서 유통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생산자로부터 최종 소비자의 손에 들어가기까지 여러 유통 단계를 거치는 경우 시간이 오래 걸려 온도, 습도 등에 민감한 물품들의 신선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존재하며, 신선도의 감소와 더불어 물류 비용이 증가하여 해당 물품의 가격이 지나치게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온도, 습도 등에 민감한 물품들을 생산자로부터 최종 소비자까지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 적합한 온도, 습도에 맞춰서 관리하면서 유통 단계를 최소화하여 신선도 유지와 함께 물품의 가격을 낮추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요구가 있었으나,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이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고, 본 개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물품의 품질을 유지하고 물류비를 절약하기 위한 물품의 유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물품의 품질을 유지하고 물류 비용을 절약하면서 물품을 최종 소비자까지 유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들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1 물품의 입고를 식별하고, 유통 관리 서버에게 상기 제1 물품의 입고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1 물품에 대한 보관 정보를 유통 관리 서버에게 송신하고, 상기 제1 물품에 관한 구매 요청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물품에 관한 구매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물품을 식별하고, 상기 제1 물품이 수령될 수 있도록 상기 자동 판매 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하는, 자동 판매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물품에 관한 구매 요청 정보는, 상기 제1 물품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상기 제1 물품의 구매를 지시하는 코드 정보, 및 상기 유통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물품의 구매 요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물품에 대한 보관 정보는, 상기 자동 판매 장치에서의 상기 제1 물품의 보관 온도, 보관 습도, 입고 일자, 보관 기간, 및 살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유통 관리 서버에게 상기 제1 물품의 판매 완료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코드 정보 스캐너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 단말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코드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물품에 관한 구매 요청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유통 관리 서버에게 상기 제1 물품의 배송 시작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코드 정보는,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게 양도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자동 판매 장치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학습된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결정된 특정 위치에 설치된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유통 관리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자동 판매 장치로부터 제1 물품의 입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물품의 유통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제1 물품의 식별자 및 상기 제1 물품의 유통 히스토리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자동 판매 장치의 판매 물품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물품의 구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구매 요청에 대응되는 코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자동 판매 장치에게 상기 구매 요청에 대응되는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자동 판매 장치로부터 제2 물품의 판매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2 물품의 구매 희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물품의 구매 희망 요청에 기초하여, 판매자 단말에게 상기 제2 물품의 재고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물품의 재고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자동 판매 장치로부터 상기 제2 물품의 입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물품의 입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제2 물품의 도착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물품의 유통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제1 저온 냉장고, 제2 저온 냉장고, 운송 수단, 및 자동 판매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제1 물품의 보관 온도, 보관 습도, 보관 기간, 및 살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보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물품의 유통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제1 물품의 현재 위치, 상기 제1 물품이 현재 위치하는 저장고의 보관 상태 정보, 상기 제1 물품의 도착예정일 및 상기 제1 물품의 도착예정시각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자동 판매 장치로부터 상기 제1 물품의 부재를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물품의 부재를 지시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저온 저장고 또는 제2 저온 저장고에게 상기 제1 물품의 운송을 요청하는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저온 저장고 또는 상기 제2 저온 저장고로부터 상기 제1 물품의 출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코드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배달자 단말에게 양도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자동 판매 장치로부터 상기 제1 물품의 배송 시작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물품의 배송 시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제1 물품의 배송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에에서, 상기 방법은, 운송 장치로부터 상기 제1 물품의 운송 중 보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운송 중 보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물품의 하차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물품의 하차를 결정하는 경우, 상기 운송 장치에게 저온 저장고 또는 자동 판매 장치로 상기 제1 물품을 입고시킬 것을 지시하는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유통 관리 서버로부터 제1 물품의 식별자 및 상기 제1 물품의 유통 히스토리 정보를 포함하는, 자동 판매 장치의 판매 물품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자동 판매 장치의 판매 물품 리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유통 관리 서버에게 상기 제1 물품에 대한 구매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유통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구매 요청에 대응되는, 상기 제1 물품의 수령을 위한 코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물품의 유통 히스토리 정보는, 상기 제1 물품이 저온저장고, 운송 차량, 및 자동 판매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보관된 보관 환경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관 환경 정보는, 상기 제1 물품의 보관 온도, 보관 습도, 입고 일자, 보관 기간, 및 살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물품의 수령을 위한 코드 정보를 배달자 단말에게 양도하는 단계; 및 상기 배달자 단말에 의해 상기 제1 물품이 수령됨에 따라, 상기 유통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제1 물품의 배송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유통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제1 물품의 현재 위치, 상기 제1 물품이 현재 위치하는 저장고의 보관 상태 정보, 상기 제1 물품의 도착예정일 및 상기 제1 물품의 도착예정시각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신호 감지 센서;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신호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제1 물품의 입고를 식별하고, 유통 관리 서버에게 상기 제1 물품의 입고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유통 관리 서버에게 상기 저온 저장고에서의 상기 제1 물품의 보관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신호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물품의 출고를 식별하고, 상기 유통 관리 서버에게 상기 제1 물품의 출고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제1 물품의 보관 정보는, 상기 저온 저장고에서의 상기 제1 물품의 보관 온도, 보관 습도, 입고 일자, 출고 일자, 보관 기간, 및 살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저온 저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저온 저장고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학습된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결정된 특정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도록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통 과정을 단순화시켜 물류 비용이 절약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최종 소비자는 품질이 유지된 물품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최종 소비자가 물품의 유통 과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음으로써, 최종 소비자가 물품을 선택함에 있어서 신선한 제품을 선택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이 유통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판매 장치를 통해 물품이 최종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자동 판매 장치의 위치 및 운송 경로가 결정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이 제1 저온 저장고로부터 자동 판매 장치까지 운송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이 예약 서비스를 통해 최종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이 자동 판매 장치의 기능을 통해 최종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이 배달 서비스를 통해 최종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이동 경로 상에 존재하는 자동 판매 장치들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판매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통 관리 서버의 블록도이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면들 중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구성을 갖는 구성요소들에 대하여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을 부여하였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장치와 방법을 함께 서술하도록 한다. 본 개시의 각 동작은 반드시 기재된 순서대로 수행되어야 할 필요는 없고, 병렬적, 선택적, 또는 개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개시 전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개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적어도 하나의"와 같은 표현은, 구성요소들의 리스트 전체를 수식하고, 그 리스트의 구성요소들을 개별적으로 수식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는 오직 A, 오직 B, 오직 C, A와 B 모두, B와 C 모두, A와 C 모두, A와 B와 C 전체, 또는 그 조합을 가리킨다.
또한, 본 개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 전체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시스템”이라는 표현은, 그 시스템이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 전체에서 버튼 입력은 사용자가 장치에 부착된 물리적인 버튼을 이용하여, 해당 장치를 제어하는 입력을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 전체에서 단말 또는 단말기는 UE (User Equipment), MS (Mobile Station), 셀룰러폰, 스마트폰, 스마트 워치, 컴퓨터, 또는 통신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예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유통 관리 서버, 저온 냉장고, 운송수단, 자동 판매 장치, 사용자 단말, 및 이들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 전체에서 장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서버는 장치로 지칭되거나, 장치가 서버로 지칭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이 유통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저온 저장고(110)에 보관된 물품들은 운송수단들(131, 133, 135)에 의해 각각 제3 저온 저장고(140), 제4 저온 저장고(150), 제5 저온 저장고(160)로 운송될 수 있다. 또한, 제2 저온 저장고(120)에 보관된 물품들은 운송수단들(137, 139)에 의해 각각 제3 저온 저장고(140), 제4 저온 저장고(150), 제5 저온 저장고(160)로 운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저온 저장고(140), 제4 저온 저장고(150), 제5 저온 저장고(160)에는 제1 저온 저장고(110)에서 보관되었던 물품, 제2 저온 저장고(120)에서 보관되었던 물품 등이 보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저온 저장고(110)가 감자 농장의 저온 저장고 또는 특정 지자체의 감자 저장고인 경우, 감자들은 운송수단들(131, 133, 135)에 실려 제3 저온 저장고(140), 제4 저온 저장고(150), 제5 저온 저장고(160)로 운송될 수 있다. 또한, 제2 저온 저장고(120)가 양파 농장의 저온 저장고 또는 특정 지자체의 양파 저장고인 경우, 양파들은 운송수단들(137, 139)에 실려 제4 저온 저장고(150), 제5 저온 저장고(160)로 운송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2 저온 저장고(120)에 보관되었던 물품이 제3 저온 저장고(140)에는 운송되지 않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예시일 뿐, 제3 저온 저장고(140)에도 운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 또는 소수의 품목의 물품들이 보관되어 있던 저온 저장고(110, 120)와 달리, 저온 저장고(140, 150, 160)에는 복수의 품목의 물품들이 보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온 저장고(110, 120)는 중앙형 저온 저장고로, 저온 저장고(140, 150, 160)는 분산형 저온 저장고로 지칭될 수 있다. 또는, 저온 저장고(110, 120)는 big 저온 저장고로, 저온 저장고(140, 150, 160)는 small 저온 저장고로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저온 저장고(140), 제4 저온 저장고(150), 제5 저온 저장고(160)는 최종 소비자에게 물품들을 운송하기 위하여 설치된 체인점화 된 저온 저장고일 수 있다. 즉, 특정 농장 또는 특정 지자체에 대응될 수 있는 저온 저장고(110, 120)에는 하나 또는 소수의 품목의 물품들이 보관되고, 체인점화 된 분산형 저온 저장고(140, 150, 160)에는 여러 저온 저장고(110, 120)로부터 다양한 품목들이 운송되어 복수의 품목의 물품들이 보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4 저온 저장고(150)에 보관된 복수의 품목들의 물품들은 운송수단들(152, 154, 156)에 의해 각각 제4 저온 저장고(150)의 관할 범위에 있는 자동 판매 장치들(170, 180, 190)에게 운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저온 저장고(150)에 제1 저온 저장고(110)로부터 운송된 감자, 제2 저온 저장고(120)로부터 운송된 양파, 다른 저온 저장고(미도시)로부터 운송된 사과가 보관되는 경우, 감자, 양파, 사과들은 운송수단들(152, 154, 156)에 의해 자동 판매 장치들(170, 180, 190)로 운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 판매 장치(170, 180, 190) 각각은 감자, 양파, 사과를 판매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앙 저온 저장고(110, 120, 130)로부터 소비자에게 직접 배달해야 하여 물류비가 많이 지출될 수 밖에 없었던 종래 물류 서비스와 달리, 분산 저온 저장고(140, 150, 160) 및 자동 판매 장치(170, 180, 190)의 설치를 통해 물류 과정을 최소화함으로써 물류비를 절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통 관리 서버(미도시)는 저온 저장고들, 운송수단들, 자동 판매 장치들로부터 수신하는 입고/출고 정보 또는 출발/도착 정보에 기초하여 물품의 현재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저온 저장고들, 운송수단들, 자동 판매 장치들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물품의 입고 또는 출고를 식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 Long-Range RF 센서가 이용되는 경우를 예시로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저온 저장고(110)에 보관되는 일정 물품들은 개별로 RF 태그가 부착되거나, 묶음으로 특정 그룹을 형성하여 특정 그룹마다 RF 태그가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물품에 개별로 RF 태그가 부착되는 경우에는, 물품이 제1 저온 저장고(110), 운송수단(133), 제4 저온 저장고(150), 운송수단(154), 제2 자동 판매 장치(180)로 입고 또는 출고될 때 각 저장고에 구비된 RF 태그 인식기는 물품에 부착된 RF 태그를 인식하여 물품의 입고 또는 출고를 식별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유통 관리 서버(미도시)에게 송신할 수 있다. 특히, Long-Range RF 태그의 경우 물품의 온도, 위치, 습도, 충격, 시간 등 데이터가 함께 수집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데이터도 유통 관리 서버(미도시)에게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 자동 판매 장치로 운송될 물품들마다 하나의 그룹이 형성되고, 그 그룹마다 RF 태그가 부착되는 경우에도, 물품이 제1 저온 저장고(110), 운송수단(133), 제4 저온 저장고(150), 운송수단(154), 제2 자동 판매 장치(180)로 입고 또는 출고될 때 각 저장고에 구비된 RF 태그 인식기는 물품에 부착된 RF 태그를 인식하여 물품의 입고 또는 출고를 식별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유통 관리 서버(미도시)에게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 자동 판매 장치로 운송될 물품들을 그룹핑하는 방법에는 인공지능 모델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공지능 모델은 각 자동 판매 장치에서의 판매량, 물품의 유통기한 등을 고려하여 각 자동 판매 장치로 운송시킬 양을 결정하기 위한 학습된 모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Big 저온 저장고(110, 120)에서 보관되는 물품들에 대하여 각 small 저온 저장고(140, 150, 160)로 운송될 물품들마다 하나의 그룹이 형성되고, 그 그룹마다 RF 태그가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저온 저장고(110)에서 제3 저온 저장고(140)로 운송될 물품에는 RF-A 태그가, 제1 저온 저장고(110)에서 제4 저온 저장고(150)로 운송될 물품에는 RF-B 태그가, 제1 저온 저장고(110)에서 제5 저온 저장고(160)로 운송될 물품에는 RF-C 태그가 부착될 수 있다. 제1 저온 저장고(110)는 RF-B 태그가 인식됨에 따라, 제1 저온 저장고(100)에서 제4 저온 저장고(150)로 물품이 이송됨을 식별할 수 있다. 제1 저온 저장고(100)에서 제4 저온 저장고(150)로 물품이 이송됨을 식별하는 것은 제1 저온 저장고(100)에서 물품의 출고를 식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저온 저장고(110)는 유통 관리 서버에게 해당 물품의 출고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4 저온 저장고(150)로 이송된 물품들은 다시 그룹핑되어 RF 태그가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저온 저장고(150)에서 제1 자동 판매 장치(170)로 운송될 물품에는 RF-A-1 태그가, 제4 저온 저장고(150)에서 제2 자동 판매 장치(180)로 운송될 물품에는 RF-A-2 태그가, 제4 저온 저장고(150)에서 제3 자동 판매 장치(190)로 운송될 물품에는 RF-A-3 태그가 부착될 수 있다. 제4 저온 저장고(150)에서 RF-A-3 태그가 인식됨에 따라, 제4 저온 저장고(150)는 물품이 제3 자동 판매 장치(190)로 이송됨을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4 저온 저장고(150)는 유통 관리 서버에게 해당 물품의 출고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물품의 특정 양마다 하나의 그룹을 형성하고 그 그룹마다 RF 태그가 부착될 수 있다. 특정 양을 결정하는 방법에는 인공지능 모델이 이용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small 저온 저장고(140, 150, 160)에서 재분류 작업이 수행된 후 새로운 그룹을 형성하여 그 그룹에 대하여 RF 태그가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통 관리 서버(미도시)는 물품이 운송되는 과정에서 저온 저장고에서의 물품의 입고/출고 정보, 저온 저장고에서의 보관 정보, 운송수단의 출발 또는 도착 정보, 운송수단에서의 보관 정보, 자동 판매 장치로 물품의 도착 정보, 자동 판매 장치의 물품 판매 여부, 자동 판매 장치에서의 보관 정보 등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보관 정보는 물품의 보관 온도, 보관 습도, 입고 일자, 출고 일자, 보관 기간, 살균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물품이 제1 저온 저장고(110)로부터 운송수단(133)에 의해 제4 저온 저장고(150)로, 제4 저온 저장고(150)로부터 운송수단(154)에 의해 제2 자동 판매 장치(180)로 유통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유통 관리 서버는 제1 저온 저장고(110)에서 물품이 출고되는 경우, 제1 저온 저장고(110)로부터 물품이 출고되었다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유통 관리 서버는 제1 저온 저장고(110)의 보관 온도, 보관 습도, 살균기 종류, 살균기 존재 여부, 살균 정도 등을 포함하는 제1 저온 저장고(110)에서의 보관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물품이 운송수단(133)에 의해 운반되는 경우, 유통 관리 서버는 운송수단(133)으로부터 출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유통 관리 서버는 운송수단(133)으로부터 물품의 보관 온도, 물품의 보관 습도, 운송수단에 살균기 존재 여부, 살균기 종류, 살균 정도, 도착 예정 정보 등을 포함하는 운송수단(133)에서의 보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운송수단(133)이 제4 저온 저장고(150)에 도착한 경우, 유통 관리 서버는 운송수단(133)으로부터 도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유통 관리 서버는 제4 저온 저장고(150)로부터 입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물품이 제4 저온 저장고(150)에 보관되는 동안, 특정 이벤트 발생 시 또는 주기적으로 제4 저온 저장고(150)는 유통 관리 서버에게 제4 저온 저장고(150)에서의 물품의 보관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물품은 운송수단(154)에 의해 제4 저온 저장고(150)로부터 제2 자동 판매 장치(180)로 운송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유통 관리 서버는 제4 저온 저장고(150)로부터 물품의 출고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운송수단(154)로부터 출발 정보, 운송수단(154)에서의 보관 정보, 도착 예정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으며, 물품이 제2 자동 판매 장치(180)에 도착한 경우에는 유통 관리 서버는 운송수단(154)으로부터 물품의 도착 정보를 수신하고, 제2 자동 판매 장치(180)로부터 물품의 입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물품이 운송수단(133)을 통해 제1 저온 저장고(110)에서 제4 저온 저장고(150)로, 운송수단(154)을 통해 제4 저온 저장고(150)로부터 제2 자동 판매 장치(180)로 유통되는 동안, 유통 관리 서버는 물품이 잠시라도 보관된 제1 저온 저장고(110), 제4 저온 저장고(150), 운송 수단(133), 운송수단(154), 제2 자동 판매 장치(180)로부터 물품의 현재 위치 및 보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통 관리 장치는 획득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해당 물품의 유통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하여 자동 판매 장치, 사용자 단말 등에게 전송할 수 있다. 유통 히스토리 정보에는 물품이 유통되는 과정에서 해당 물품을 보관한 저온 냉장고, 운송 수단, 자동 판매 장치 등에서 물품을 보관하였던 온도, 습도, 기간, 살균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통 히스토리 정보에는 감자가 수확된 직후 제1 저온 저장고(110)에서 5도의 온도, 85%의 습도로 광 플라즈마 살균기가 탑재된 상태로 2일간 보관되었다는 정보, 내부에 6도의 온도, 87%의 습도를 유지하고 광 플라즈마 살균기가 탑재된 운송수단(133)에 의해 8시간 동안 운송되어 제4 저온 저장고(150)에 도착하였다는 정보, 제4 저온 저장고에서 5도의 온도, 88%의 습도로 광 플라즈마 살균기가 탑재된 상태로 3일간 보관되었다는 정보, 내부에 7도의 온도, 87%의 습도를 유지하고 광 플라즈마 살균기가 탑재된 운송수단(154)에 의해 3시간 동안 운송되어 제2 자동 판매 장치(180)에 도착하였다는 정보,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제2 자동 판매 장치(180)에 5도의 온도, 87%의 습도로 2일동안 보관되고 있다는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통 관리 서버(401)는 자동 판매 장치의 판매 물품 리스트를 제공할 때 제1 물품의 유통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통 관리 서버(401)는 자동 판매 장치에 의해 판매되는 물품의 유통 경로를 추적하여, 유통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자동 판매 장치(170)에 의해 판매되는 양파의 경우, 운송수단(152)에 의해 제4 저온 저장고(150)로부터 제1 자동 판매 장치(170)로 운송되었고, 양파 저장고인 제2 저온 저장고(120)로부터 제4 저온 저장고(150)로 운송수단(137)에 의해 운송된 것이므로, 제2 저온 저장고(120), 운송수단(137), 제4 저온 저장고(150), 운송수단(152), 제1 자동 판매 장치(170)로부터 수신한 보관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자동 판매 장치(170)에 의해 판매되는 양파의 유통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동 판매 장치는 유통 히스토리 정보를 수신하여 자동 판매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은 유통 히스토리 정보를 수신하여 유통 관리 서버가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유통 히스토리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물품의 구매 여부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유통 히스토리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물품의 구매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이바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중앙형 저온 저장고(110, 120)로부터 자동 판매 장치(170, 180, 190)까지 물품들이 운송되는 과정은 자동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산형 저온 저장고(140, 150, 160)에 물품이 자동 배치될 수 있도록 운송 수단(131, 133, 135, 137, 139)에도 물품이 자동 정렬될 수 있으며, 자동 판매 장치(170, 180, 190)에 물품이 자동 배치될 수 있도록 운송 수단들(152, 154, 156)에도 물품이 자동 정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화를 통해 인건비를 절약하여 최종적으로 물류비를 절약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판매 장치를 통해 물품이 최종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자동 판매 장치(210)는 구매 요청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매 요청 정보는 사용자 단말(250)이 유통 관리 서버에게 구매 요청을 보낸 것에 기초하여 생성되어 자동 판매 장치(210)에게 전달된 구매 요청 정보, 자동 판매 장치(210)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획득된 물품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하, 자동 판매 기능에 의해 획득된 사용자 입력), 코드 정보를 스캔함으로써 획득된 물품의 구매 요청 정보, 자동 판매 장치(210)와 사용자 단말 사이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전송된 구매 요청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통신,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자동 판매 장치(210)와 사용자 단말 사이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구매 요청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은 자동 판매 장치(210)와 근거리 통신 연결을 수행한 후, 유통 관리 서버 또는 자동 판매 장치(210)가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물품, 구매량, 구매 가격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구매 요청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물품의 구매 요청 정보가 코드 정보를 스캔함으로써 획득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적어도 두 가지의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첫 번째는 구매자가 자동 판매 장치(210) 근처로 이동하여, 구매자 단말이 코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자동 판매 장치(210)가 코드 정보 스캐너(220)를 이용하여 코드 정보를 스캔함으로써 획득되는 경우일 수 있다. 두 번째는 구매자 단말이 코드 정보를 배달자 단말에게 양도한 후, 배달자가 자동 판매 장치(210) 근처로 이동하고, 배달자 단말(230)이 코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자동 판매 장치(210)가 코드 정보 스캐너(220)를 이용하여 코드 정보를 스캔함으로써 획득되는 경우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 예시로 두 번째 경우에 대하여 서술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250)이 구매한 자동 판매 장치(210)에 의해 판매되는 물품은 배달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250)의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동 판매 장치(210)는 물품이 입고된 경우, 물품의 입고를 식별하고 유통 관리 서버에게 물품의 입고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물품이 자동 판매 장치(210)에 보관되는 동안, 특정 이벤트 발생 시 또는 주기적으로 유통 관리 서버에게 물품에 대한 보관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통 관리 서버가 보관 정보를 요청할 때마다 그에 대한 응답으로 보관 정보를 송신하거나, 하루에 한 번 보관 정보를 송신하거나, 물품이 판매되는 경우 보관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통 관리 서버는 자동 판매 장치(210)로부터 수신한 보관 정보에 기초하여 물품의 유통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하고, 물품의 히스토리 정보, 물품의 식별자 등에 기초하여 자동 판매 장치(210)의 판매 물품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25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50)은 판매 물품 리스트에 기초하여, 제1 물품을 구매하겠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유통 관리 서버에게 제1 물품에 대한 구매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유통 관리 서버는 구매 요청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50)에게 구매 요청에 대응되는 코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코드 정보는 QR (Quick Response) 코드, 바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자동 판매 장치(210)로부터 제1 물품을 직접 수령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은 유통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코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자동 판매 장치(210)의 코드 정보 스캐너(220)는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된 코드 정보를 스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 판매 장치(210)는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이 구매하고자 하는 제1 물품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자동 판매 장치(210)는 사용자에 의해 제1 물품이 수령될 수 있도록 자동 판매 장치(210)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드 정보가 감자 1kg을 지시하는 경우, 자동 판매 장치(210)는 감자 1kg을 자동 판매 장치(210)의 물품 수령부로 이동시키도록 자동 판매 장치(210)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배달 서비스를 통해 제1 물품을 수령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250)은 유통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코드 정보를 배달자 단말(230)에게 양도할 수 있다. 배달자 단말(230)은 양도받은 코드 정보(240)를 디스플레이하고, 코드 정보 스캐너(220)는 배달자 단말(230)에 디스플레이된 코드 정보(240)를 스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 판매 장치(210)는 코드 정보(240)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50)이 구매하고자 하는 제1 물품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자동 판매 장치(210)는 배달자에 의해 제1 물품이 수령될 수 있도록 자동 판매 장치(210)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동 판매 장치(210) 또는 배달자 단말(230)은 유통 관리 서버에게 제1 물품의 배송 시작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배달 과정에서 유통 관리 서버는 배달자 단말(23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배달자 단말(23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물품의 배송 정보를 사용자 단말(25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물품의 배송 정보에는 배달자 단말(230)의 위치, 배송 예정 일자, 배송 예정 시각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코드 정보 스캐너(220)는 빛의 흡수와 반사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코드 정보를 스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드 정보가 QR 코드인 경우, QR 코드 이미지에 존재하는 검은 부분(cell)은 빛을 흡수하고 흰 부분(cell)은 빛을 반사하는데, 적외선을 방출하는 발광소자와 방출된 빛을 감지하는 수광소자로 구성된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검은 cell과 흰 cell이 식별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자동 판매 장치의 위치 및 운송 경로가 결정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자동 판매 장치들의 설치 위치, 저온 저장고들의 설치 위치, 운송 수단(310)이 자동 판매 장치들에게 물품들을 운반하는 경우 최적 경로(330), 판매량을 고려한 물품 운송량 등은 인공지능 모델(320)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통기한, 소비기한, 판매량 등을 고려하여 어느 품목의 물품을 얼마만큼 어느 자동 판매 장치로 이동시킬지에 대한 정보가 인공지능 모델(320)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인공지능과 관련된 기능은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통해 동작된다. 프로세서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는 CPU, AP,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과 같은 범용 프로세서, GPU, VPU(Vision Processing Unit)와 같은 그래픽 전용 프로세서 또는 NPU와 같은 인공지능 전용 프로세서일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기 정의된 동작 규칙 또는 인공지능 모델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또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가 인공지능 전용 프로세서인 경우, 인공지능 전용 프로세서는, 특정 인공지능 모델의 처리에 특화된 하드웨어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기 정의된 동작 규칙 또는 인공지능 모델은 학습을 통해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학습을 통해 만들어진다는 것은, 기본 인공지능 모델이 학습 알고리즘에 의하여 다수의 학습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학습됨으로써, 원하는 특성(또는, 목적)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기 정의된 동작 규칙 또는 인공지능 모델이 만들어짐을 의미한다. 이러한 학습은 본 개시에 따른 인공지능이 수행되는 기기 자체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별도의 서버 및/또는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학습 알고리즘의 예로는, 지도형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형 학습(unsupervised learning), 준지도형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또는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이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 모델은, 복수의 신경망 레이어들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신경망 레이어들 각각은 복수의 가중치들(weight values)을 갖고 있으며, 이전(previous) 레이어의 연산 결과와 복수의 가중치들 간의 연산을 통해 신경망 연산을 수행한다. 복수의 신경망 레이어들이 갖고 있는 복수의 가중치들은 인공지능 모델의 학습 결과에 의해 최적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 과정 동안 인공지능 모델에서 획득한 로스(loss) 값 또는 코스트(cost) 값이 감소 또는 최소화되도록 복수의 가중치들이 갱신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은 심층 신경망(DNN: Deep Neural Network)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DNN (Deep Neural Network), RNN (Recurrent Neural Network), RBM (Restricted Boltzmann Machine), DBN (Deep Belief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또는 심층 Q-네트워크 (Deep Q-Networks) 등이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운송수단(310)은 인공지능 모델(320)을 이용하여 결정된 최적 경로를 이용하여 복수의 자동 판매 장치들에게 물품들을 운송할 수 있다. 인공지능 모델(320)을 포함하는 서버는 물류비용, 운송 시간 등이 절약될 수 있도록 최적 경로(330)를 결정하고, 결정된 최적 경로(330)를 운송수단(3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송 수단(310)이 특정 영역(350) 내에 존재하는 자동 판매 장치들에게 물품을 운송해야 하는 경우에, 인공지능 모델(320)을 포함하는 서버는 특정 영역(350)에 대한 정보, 특정 영역(350)에 포함된 자동 판매 장치의 정보 등을 입력으로 하여 최적 경로(330)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공지능 모델(320)은 도 3에 실선으로 도시된 제1 경로(370)보다 점선으로 도시된 제2 경로(360)가 시간 및 비용 측면에서 이득이라고 결정한 것에 기초하여, 제2 경로(360)를 최적 경로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공지능 모델(320)을 포함하는 서버는 운송수단(310)에게 최적 경로(330)가 제2 경로(360)라는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운송수단(310)은 제공받은 최적 경로로 운송했을 때의 운송 소요 시간(340)을 인공지능 모델(320)을 포함하는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인공 지능 모델(320)의 업데이트 절차가 진행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공지능 모델(320)을 포함하는 서버는 물품의 유통기한, 물품의 소비기한, 각 자동 판매 장치에서의 물품의 판매량 등을 고려하여 각 자동 판매 장치로 운송시킬 각 물품에 대한 양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자동 판매 장치에서는 종종 감자의 재고가 부족했고, 제2 자동 판매 장치에서는 종종 양파의 재고가 부족했던 것에 기초하여, 인공지능 모델(320)을 포함하는 서버는 지난 번 운송보다 제1 자동 판매 장치에는 감자가 더 많이 운송되도록, 제2 자동 판매 장치에는 양파가 더 많이 운송되도록 각 품목에 대한 운송량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 모델(320)을 포함하는 서버는 유통기한 또는 소비기한이 짧은 품목에 대하여는 유통기한 또는 소비기한이 보다 긴 품목 대비 적은 양이 배송되도록 운송량을 결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인공지능 모델(320)을 포함하는 서버는 판매량, 소비기한, 유통기한 등 다양한 정보들을 고려하여 각 자동 판매 장치로 운송시킬 각 품목에 대한 운송량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동 판매 장치의 설치 위치도 인공지능 모델(320)을 포함하는 서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자동 판매 장치의 설치 위치는, 각 자동 판매 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수, 각 자동 판매 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구매량, 각 자동 판매 장치에 재고 입고 요청을 보내는 사용자들의 수 등을 입력으로 하여 인공지능 모델(320)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설명에서는 인공지능 모델(320)을 포함하는 서버가 자동 판매 장치들의 설치 위치 정보, 운송 수단(310)이 자동 판매 장치들에게 물품들을 운반하기 위한 최적 경로(330) 정보, 판매량을 고려한 물품당 운송량 정보 등을 결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각 정보들은 하나의 서버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서버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고, 일부만 하나의 서버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즉, 각 정보는 서로 같은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도 있으며, 일부만 같은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이 제1 저온 저장고로부터 자동 판매 장치까지 운송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개시 전체에서, 제1 저온 저장고(403), 제1 운송수단(405), 제2 저온 저장고(407), 제2 운송수단(409)이 물품의 입고/출고 또는 출발/도착을 식별하는 동작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센서, 무게 감지 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센서, IoT(Internet of Things) 센서, 경사 센서, 적외선 센서, 스마트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저온 저장고(403), 제1 운송수단(405), 제2 저온 저장고(407), 제2 운송수단(40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저온 저장고는 RFID 리더기를 포함하고, 제1 물품, 제1 물품의 패키징, 또는 제1 물품이 포함되는 그룹에는 RFID 태그가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물품이 포함되는 그룹이란, 제1 물품이 사과인 경우, 제1 물품이 포함되는 그룹은 사과 박스, 또는 사과 묶음 등을 지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RFID 리더기를 포함하는 저온 저장고는 제1 물품이 입고되는 경우 제1 물품 또는 제1 물품이 포함되는 그룹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인식하여 제1 물품의 입고를 식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저온 저장고는 제1 물품이 출고되는 경우 제1 물품 또는 제1 물품이 포함되는 그룹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인식하여 제1 물품의 출고를 식별할 수 있다. 본 개시 전체에서 제1 운송수단(405) 및 제2 운송수단(409)에도 제1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저온 저장고가 구비되므로 제1 운송수단(405) 및 제2 운송수단(409)은 저온 저장고로 지칭될 수 있으며, 입고 또는 출고는 출발 또는 도착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저온 저장고(403), 제1 운송수단(405), 제2 저온 저장고(407), 제2 운송수단(40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저온 저장고가 무게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해당 저온 저장고는 입고 또는 출고 시 보관된 물품들의 무게 차이 또는 이동되는 물품들의 무게에 기초하여 제1 물품의 입고 또는 출고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저온 저장고(403), 제1 운송수단(405), 제2 저온 저장고(407), 제2 운송수단(40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저온 저장고는 RFID 센서 및 무게 센서 모두를 이용하여 제1 물품의 입고 또는 출고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물품의 그룹에 RFID 태그가 부착되어 제1 물품이 입고 또는 출고되는 경우 RFID 리더기를 포함하는 저온 저장고는 제1 물품의 종류를 식별하고, 무게 센서를 이용하여 입고 또는 출고된 물품의 양을 식별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화면, 단계 410에서, 제1 저온 저장고(403)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제1 물품의 출고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저온 저장고는 제1 물품, 제1 물품의 패키징, 제1 물품을 포함하는 그룹 등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인식하여 제1 물품의 출고를 식별할 수 있다. 또는, 제1 저온 저장고(403)는 제1 저온 저장고(403) 관리자로부터 제1 물품이 출고되었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으로써, 제1 물품의 출고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RFID 태그에는 제1 물품이 수확된 일자, 제1 물품이 보관된 온도, 습도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FID 태그에는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제1 물품, 제1 물품의 패키징, 또는 제1 물품을 포함하는 그룹에는 RFID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가 하나의 칩으로서 구비되어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물품의 현재 위치와 더불어 제1 물품에 관한 보관 정보가 함께 수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물품의 입고 또는 출고 식별 방법을 통해 물류정보를 수집 및 활용함으로써 제품의 재고관리가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부패 가능 제품의 FEFO(First Expiring, First out) 전략이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단계 412에서, 제1 저온 저장고(403)는 제1 물품의 출고를 식별한 것에 기초하여, 유통 관리 서버(401)에게 제1 물품의 출고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단계 414에서, 제1 저온 저장고(403)는 유통 관리 서버(401)에게 제1 물품의 보관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물품의 보관 정보는 제1 저온 저장고(403)에서의 제1 물품의 보관 온도, 보관 습도, 입고 일자, 출고 일자, 보관 기간, 살균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살균 정보에는 저온 냉장고에 살균기가 존재하는지 여부, 살균기 종류에 대한 정보, 살균 정도에 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단계 412 및 단계 414는 하나의 신호로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RFID 태그에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가 포함되는 경우, 제1 저온 저장고(403)는 제1 물품의 출고와 함께 제1 물품의 보관 온도 및 보관 습도에 대한 정보를 함께 획득할 수 있고, 이 정보를 유통 관리 서버(401)에게 전달할 수 있다.
도 4에는 단계 414가 단계 410 및 단계 412 이후에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계 414는 단계 410 또는 단계 412 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유통 관리 서버(401)는 제1 저온 저장고(403)가 제1 물품을 보관하는 동안 제1 저온 저장고(403)에게 제1 물품에 대한 보관 정보를 요청하고, 제1 저온 저장고(403)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 유통 관리 서버(401)에게 제1 물품에 대한 보관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제1 저온 저장고(403)는 제1 물품을 보관하는 동안 주기적으로 유통 관리 서버(401)에게 제1 물품에 대한 보관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통 관리 서버(401)는 수신한 제1 물품의 출고 정보, 제1 물품의 보관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단계 420에서, 제1 운송수단(405)은 제1 물품의 출발을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계 422에서, 제1 운송수단(405)은 유통 관리 서버(401)에게 제1 물품의 출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물품의 출발은 제1 운송수단(405)에 구비된 저온 저장고에 제1 물품이 입고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운송수단(405)은 유통 관리 서버(401)에게 온도, 습도, 살균정보 등을 포함하는, 제1 운송수단에서의 보관 정보를 더 송신할 수도 있다.
단계 430에서, 제1 운송수단(405)은 제1 물품의 도착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물품의 도착은 제1 운송수단(405)에 구비된 저온 저장고에서의 제1 물품의 출고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계 432에서, 제1 운송수단(405)은 제1 물품의 도착 정보를 유통 관리 서버(401)에게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단계 434에서, 제1 운송수단(405)은 제1 물품의 보관 정보를 유통 관리 서버(401)에게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물품의 보관 정보는 제1 운송수단(405)의 저온 저장고에서의 제1 물품의 보관 온도, 보관 습도, 입고 일자, 출고 일자, 보관 기간, 살균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살균 정보에는 저온 저장고에 살균기가 존재하는지 여부, 살균기 종류에 대한 정보(예: 광 플라즈마 살균기), 살균 정도에 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단계 432 및 단계 434는 하나의 신호로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저온 저장고에 무게 센서, RFID 태그,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등이 하나의 칩으로 구현되는 포함되는 경우, 제1 운송수단(405)는 제1 물품의 도착 정보와 함께 제1 물품의 보관 온도 및 보관 습도에 대한 정보를 함께 획득할 수 있고, 이 정보를 유통 관리 서버(401)에게 전달할 수 있다.
단계 414와 마찬가지로 도 4에는 단계 434가 단계 422 내지 단계 432 이후에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계 434는 단계 422 내지 단계 432 중 어느 하나의 단계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유통 관리 서버(401)는 제1 운송수단(405)이 제1 물품을 보관하는 동안 제1 운송수단(405)에게 제1 물품에 대한 보관 정보를 요청하고, 제1 운송수단(405)은 이에 대한 응답으로 유통 관리 서버(401)에게 제1 물품에 대한 보관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통 관리 서버(401)는 제1 운송수단(405)으로부터 수신한 제1 물품의 출고 정보, 제1 물품의 보관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단계 440에서, 유통 관리 서버(401)는 제1 물품을 제1 운송수단(405)으로부터 하차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운송수단(405)에 의해 제1 물품이 운반될 동안 저온 저장고의 온도 또는 습도가 동작하지 않았거나, 제1 운송수단(405)의 교통사고로 인해 제1 물품이 손상될 가능성이 큰 경우와 같이 제1 운송수단(405)에 의해 제1 물품이 제대로 보관되지 못하였다고 식별하는 경우, 유통 관리 서버(401)는 제1 운송수단(405)으로부터 제1 물품이 하차되지 않도록 하차 명령을 보내지 않거나, 하차 금지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물품이 제1 운송수단(405)에 의해 잘 보관되며 운송되었다고 식별하는 경우, 유통 관리 서버(401)는 제1 물품의 하차를 결정하고, 단계 442에서, 유통 관리 서버(401)는 제1 물품의 하차 명령을 제1 운송수단(405)에게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차 명령은 제2 저온 저장고로 제1 물품을 입고시킬 것을 지시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일 실시예에서, 단계 440 및 442는 생략될 수도 있다.
단계 450에서, 제2 저온 저장고(407)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제1 물품의 입고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물품의 입고를 식별하는 데에는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센서, 무게 감지 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센서, IoT(Internet of Things) 센서, 경사 센서, 적외선 센서, 스마트 센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게 감지 센서가 이용되는 경우, 제2 저온 저장고(407)는 입고된 물품의 무게를 측정하여 제1 물품의 입고를 식별할 수 있다.
단계 452에서, 제2 저온 저장고(407)는 제1 물품의 입고 정보를 유통 관리 서버(401)에게 송신할 수 있다. 유통 관리 서버(401)는 제1 물품의 입고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물품이 제2 저온 저장고(407)에 입고된 일자 등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단계 460에서, 제2 저온 저장고(407)는 제1 물품의 출고를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계 462에서, 제2 저온 저장고(407)는 제1 물품의 출고 정보를 유통 관리 서버(401)에게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단계 464에서, 제2 저온 저장고(407)는 제1 물품의 보관 정보를 유통 관리 서버(401)에게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저온 저장고(407)가 송신하는 제1 물품의 보관 정보에는 제2 저온 저장고(407)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해 획득된 온도, 습도, 살균 정보 또는 제1 물품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해 획득된 온도, 습도, 살균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단계 470에서, 제2 운송수단(409)은 제1 물품의 출발을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계 472에서, 제2 운송수단(409)은 제1 물품의 출발 정보를 유통 관리 서버(401)에게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단계 480에서, 제2 운송수단(409)은 제1 물품의 도착을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계 482에서, 제2 운송수단(409)은 제1 물품의 도착 정보를 유통 관리 서버(401)에게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단계 484에서, 제2 운송수단(409)은 제1 물품의 보관 정보(484)를 유통 관리 서버(401)에게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 470 내지 단계 482는 제1 운송수단(405)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 420 내지 단계 434에 대응될 수 있다. 다만, 제1 운송수단(405)은 도 1에 도시된 운송수단(131, 133, 135, 137, 139)에 대응되는 것으로 하나의 품목의 물품들을 제1 저온 저장고로부터 제2 저온 저장고로 운반하는 운송 수단이고, 제2 운송수단(409)은 복수의 품목들의 물품들을 제2 저온 저장고로부터 자동 판매 장치까지 운반하는 운송수단일 수 있다.
단계 490에서, 유통 관리 서버(401)는 제1 물품을 제2 운송수단(409)으로부터 하차시킬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단계 492에서, 유통 관리 서버(401)는 제2 운송수단(409)에게 하차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차 명령은 자동 판매 장치로 제1 물품을 입고시킬 것을 지시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 490 및 492는 단계 440 및 442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통 관리 서버(401)는 제1 저온 저장고에서의 제1 물품의 입고 정보, 출고 정보, 및 보관정보, 제1 운송수단에서의 제1 물품의 출발 정보, 도착 정보, 및 보관정보, 제2 저온 저장고에서의 제1 물품의 입고 정보, 출고 정보, 및 보관정보, 및 제2 운송수단에서의 제1 물품의 출발 정보, 도착 정보, 및 보관정보 등을 수신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유통 관리 서버(401)는 이 정보들을 이용하여 제1 물품의 유통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 판매 장치에 의해 판매되는 물품의 유통 히스토리가 생성됨으로써, 물품의 품질이 보장 또는 검수될 수 있고, 더 나아가 물품의 유통 과정에서 문제가 있는 경우 용이하게 반품 처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4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이 제1 저온 저장고로부터 자동 판매 장치까지 운송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더라도, 다양한 변형들이 도 4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 도 4에는 연속적인 동작들이 도시되어 있지만, 도 4에서의 다양한 동작들은 오버랩될 수 있고, 병렬로 발생할 수 있고, 다른 순서로 발생할 수 있거나, 일부 동작이 생략될 수도 있고, 혹은 다수 번 발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이 예약 서비스를 통해 최종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10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단계 482 내지 단계 492 중 어느 하나에 이어서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5는 자동 판매 장치에 물품이 입고된 후에, 유통 관리 서버(401)가 제공하는 예약 서비스를 통해 물품이 판매되는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단계 510에서, 자동 판매 장치(501)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제1 물품의 입고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 판매 장치(501)는 RFID 인식 센서를 이용하여 제1 물품의 입고를 식별할 수 있다.
단계 512에서, 자동 판매 장치(501)는 제1 물품의 입고를 식별한 것에 기초하여, 제1 물품의 입고 정보를 유통 관리 서버(401)에게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 510 및 512는 생략될 수도 있다. 유통 관리 서버(401)는 제2 운송수단에 의해 물품이 도착한 것에 기초하여, 자동 판매 장치(501)에 물품이 입고되었다고 식별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통 관리 서버(401)는 수신한 입고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 판매 장치로 제1 물품이 입고된 일자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단계 520에서, 자동 판매 장치(501)는 제1 물품에 대한 보관 정보를 유통 관리 서버(401)에게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동 판매 장치(501)는 유통 관리 서버(401)로부터 요청이 있을 때마다, 또는 정기적으로, 또는 특정 이벤트 발생 시 제1 물품에 대한 보관 정보를 유통 관리 서버(401)에게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물품에 대한 보관 정보는 자동 판매 장치의 보관 온도, 보관 습도, 입고 일자, 보관 기간, 살균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살균 정보에는 살균기 종류, 살균 정도, 살균 여부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단계 530에서, 유통 관리 서버(401)는 제1 물품의 유통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예시에서, 제1 물품의 유통 히스토리 정보는 제1 저온 저장고(403)에서의 입고 정보, 보관 정보, 및 출고정보, 제1 운송수단(405)에서의 입고정보, 보관 정보, 및 출고정보, 제2 저온 저장고(407)에서의 입고 정보, 보관 정보, 및 출고정보, 제2 운송수단(409)에서의 입고정보, 보관 정보, 및 출고정보, 및 자동 판매 장치(501)에서의 입고 정보, 보관 정보, 및 출고정보 등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단계 540에서, 유통 관리 서버(401)는 자동 판매 장치의 판매 물품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503)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동 판매 장치의 판매 물품 리스트에는 판매되는 물품의 식별자와 해당 물품에 대응되는 유통 히스토리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판매 물품의 리스트에는 제1 물품의 식별자와 제1 물품의 유통 히스토리 정보, 제2 물품의 식별자와 제2 물품의 유통 히스토리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자동 판매 장치의 판매 물품 리스트는 유통 관리 서버(401)가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단계 550에서, 사용자 단말(503)은 자동 판매 장치의 판매 물품 리스트에 기초하여, 제1 물품의 구매 요청을 유통 관리 서버(401)에게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물품의 구매 요청에는 제1 물품의 물품 종류 식별자, 제1 물품의 구매량, 제1 물품의 구매금액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503)에게 각 물품에 대한 유통 히스토리 정보를 포함하는 판매 물품 리스트가 제공됨으로써, 사용자는 구매할 물품을 선택함에 있어서 유통된 히스토리를 확인하고 신선한 제품을 선택할 수 있다.
단계 560에서, 유통 관리 서버(401)는 사용자 단말(503)에게 구매 요청에 대응되는 코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코드 정보는 바코드, QR (Quick Response) 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구매 요청에 대응되는 다양한 코드들이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코드 정보에는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 구매 요청에 포함된 제1 물품의 물품 종류 정보, 구매량 정보, 구매 금액 정보 등이 지시되도록 코드가 구성될 수 있다.
단계 570에서, 유통 관리 서버(401)는 자동 판매 장치(501)에게 구매 요청에 대응되는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통 관리 서버(401)는 자동 판매 장치(501)가 사용자 단말(503)의 구매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구매 요청에 대응되는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 판매 장치(501)는 구매 요청에 대응되는 물품이 예약된 것으로 식별하고, 다른 사용자 단말에게 해당 물품을 판매하지 않도록 추가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 단계에는 해당 물품을 품절인 물품으로 식별하는 단계, 해당 물품을 판매 완료된 물품으로 식별하는 단계, 해당 물품에 대한 판매를 금지하는 단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580에서, 사용자 단말(503)은 코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503)의 사용자는 자동 판매 장치(501)로부터 제1 물품을 수령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503)을 자동 판매 장치(501) 근처로 이동시키고, 자동 판매 장치(501) 근처에서 사용자 단말(503)은 코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단계 582에서, 자동 판매 장치(501)는 사용자 단말(503)에 디스플레이 된 코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드 정보가 QR 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자동 판매 장치(501)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QR 코드를 스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 판매 장치(501)는 제1 물품의 종류, 주문량, 주문 금액 등을 식별할 수 있다.
단계 590에서, 자동 판매 장치(501)는 사용자 단말(503)에 대응되는 사용자에 의해 제1 물품이 수령될 수 있도록 자동 판매 장치(501)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 판매 장치(501)는 제1 물품이 상품 투출구로 이동하도록 자동 판매 장치(501)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5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이 예약 서비스를 통해 최종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더라도, 다양한 변형들이 도 5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 도 5에는 연속적인 동작들이 도시되어 있지만, 도 5에서의 다양한 동작들은 오버랩될 수 있고, 병렬로 발생할 수 있고, 다른 순서로 발생할 수 있거나, 일부 동작이 생략될 수도 있고, 혹은 다수 번 발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이 자동 판매 장치의 기능을 통해 최종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610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단계 482 내지 단계 492 중 어느 하나에 이어서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자동 판매 장치에 물품이 입고된 후에, 자동 판매 장치의 자동 판매 기능을 이용하여 물품이 판매되는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단계 610에서, 자동 판매 장치(501)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제1 물품의 입고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 판매 장치(501)는 무게 센서, RFID 인식 리더기 등을 이용하여 제1 물품의 입고를 식별할 수 있다.
단계 620에서, 자동 판매 장치(501)는 자동 판매 장치(501)는 제1 물품의 입고를 식별한 것에 기초하여, 유통 관리 서버(401)에게 제1 물품의 입고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유통 관리 서버(401)는 수신한 입고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 판매 장치로 제1 물품이 입고된 일자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단계 630에서, 자동 판매 장치(501)는 유통 관리 서버(401)에게 제1 물품에 대한 보관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 630은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단계 520에 대응될 수 있다.
단계 640에서, 유통 관리 서버(401)는 제1 물품의 유통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 640은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단계 530에 대응될 수 있다.
단계 650에서, 유통 관리 서버(401)는 자동 판매 장치(501)에게 유통 히스토리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이 유통 관리 서버(401)가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지 않고 자동 판매 장치(501)로부터 직접적으로 물품을 구매하는 경우를 지원하기 위해서, 유통 관리 서버(401)는 자동 판매 장치(501)에게 유통 히스토리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단계 660에서, 자동 판매 장치(501)는 유통 히스토리 정보를 자동 판매 장치(501)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동 판매 장치(501)에 디스플레이된 유통 히스토리 정보에 기초하여 물품의 신선도 등을 확인한 후 어느 물품을 구매할 것인지, 물품의 구매 여부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동 판매 장치(501)는 유통 히스토리 정보와 함께 물품의 식별 정보, 물품의 단위 가격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단계 670에서, 자동 판매 장치(501)는 제1 물품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 판매 장치(501)는 제1 물품에 대한 버튼을 클릭하는 사용자 입력, 구매량 또는 구매 금액을 지시하는 숫자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 등을 획득하고, 자동 판매 장치(501)가 사용자에게 판매할 물품과 그 물품에 대한 양을 식별할 수 있다.
단계 680에서, 자동 판매 장치(501)는 사용자에 의해 제1 물품이 수령될 수 있도록 자동 판매 장치(501)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 판매 장치(501)는 제1 물품이 상품 투출구로 이동하도록 자동 판매 장치(501)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단계 690에서, 자동 판매 장치(501)는 제1 물품의 판매 완료 정보를 유통 관리 서버(401)에게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물품이 자동 판매 장치의 자동 판매 기능에 의해 판매되는 경우 유통 관리 서버(401)가 판매되었다는 사실을 식별할 수 있도록 자동 판매 장치(501)는 제1 물품의 판매 완료 정보를 유통 관리 서버(401)에게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물품이 유통 관리 서버(401)가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중복 판매되는 위험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6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이 자동 판매 장치의 자동 판매 기능을 통해 최종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더라도, 다양한 변형들이 도 6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 도 6에는 연속적인 동작들이 도시되어 있지만, 도 6에서의 다양한 동작들은 오버랩될 수 있고, 병렬로 발생할 수 있고, 다른 순서로 발생할 수 있거나, 일부 동작이 생략될 수도 있고, 혹은 다수 번 발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이 배달 서비스를 통해 최종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710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단계 482 내지 단계 492 중 어느 하나에 이어서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자동 판매 장치에 물품이 입고된 후에, 배달 서비스를 이용하여 물품이 판매되는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단계 710에서, 자동 판매 장치(501)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제1 물품의 입고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 판매 장치(501)는 무게 센서, RFID 센서, GPS 센서 등을 이용하여 제1 물품의 입고를 식별할 수 있다.
단계 712에서, 자동 판매 장치(501)는 자동 판매 장치(501)는 제1 물품의 입고를 식별한 것에 기초하여, 유통 관리 서버(401)에게 제1 물품의 입고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유통 관리 서버(401)는 수신한 입고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 판매 장치로 제1 물품이 입고된 일자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단계 720에서, 자동 판매 장치(501)는 제1 물품에 관한 보관 정보를 유통 관리 서버(401)에게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 720은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단계 520에 대응될 수 있다.
단계 730에서, 유통 관리 서버(401)는 제1 물품의 유통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 730은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단계 530에 대응될 수 있다.
단계 740에서, 유통 관리 서버(401)는 제2 사용자 단말(703)에게 자동 판매 장치의 판매 물품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사용자 단말(703)은 구매자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자 단말인 제2 사용자 단말(703)은 유통 관리 서버(401)가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자동 판매 장치의 판매 물품 리스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동 판매 장치의 판매 물품 리스트에는 판매되는 물품의 식별자와 해당 물품에 대응되는 유통 히스토리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판매 물품의 리스트에는 제1 물품의 식별자와 제1 물품의 유통 히스토리 정보, 제2 물품의 식별자와 제2 물품의 유통 히스토리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단계 750에서, 제2 사용자 단말(703)은 유통 관리 서버(401)에게 제1 물품의 구매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 750은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단계 550에 대응될 수 있다.
단계 752에서, 유통 관리 서버(401)는 제2 사용자 단말(703)에게 구매 요청에 대응되는 코드 정보(752)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 752는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단계 560에 대응될 수 있다.
단계 754에서, 유통 관리 서버(401)는 자동 판매 장치(501)에게 구매 요청에 대응되는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 754는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단계 570에 대응될 수 있다.
단계 760에서, 제2 사용자 단말(703)은 제1 사용자 단말(701)에게 코드 정보를 양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사용자 단말(701)은 배송자 단말일 수 있다. 본 개시 전체에서, 코드 정보의 '양도'란, 제2 사용자 단말(703)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701)로 코드 정보가 전송되는 것, 제2 사용자 단말(703)이 양도 의사를 밝히면 유통 관리 서버(401)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701)에게 코드 정보가 전송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송자 단말로 제1 사용자 단말(701)이 지정되는 경우, 제2 사용자 단말(703)은 제1 사용자 단말(701)에게 유통 관리 서버(401)로부터 수신한 코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는, 단계 750에서 제1 물품의 구매 요청에 배송 서비스를 이용하겠다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유통 관리 서버(401)는 제2 사용자 단말(703)에게 코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752를 생략하고, 제1 사용자 단말(701)이 배송자 단말로 지정되는 경우 제2 사용자 단말(703)에게 물품 수령을 위한 코드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단계 762에서, 제1 사용자 단말(701)은 자동 판매 장치(501) 근처에서 자동 판매 장치(501)의 코드 정보 리더기 또는 코드 정보 스캐너가 코드를 인식할 수 있도록 코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단계 764에서, 자동 판매 장치(501)는 코드 정보 리더기 또는 코드 정보 스캐너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 단말(701)에 디스플레이 된 코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동 판매 장치(501)는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물품에 관한 구매 요청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물품에 관한 구매 요청 정보에는 구매자 단말인 제2 사용자 단말(703)의 식별자, 배송자 단말인 제1 사용자 단말(701)의 식별자, 제1 물품의 종류, 주문량, 주문 금액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단계 770에서, 자동 판매 장치(501)는 제1 물품이 제1 사용자 단말(701)에 대응되는 사용자에 의해 수령될 수 있도록 자동 판매 장치(501)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 판매 장치(501)는 제1 물품이 상품 투출구로 이동하도록 자동 판매 장치(501)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단계 780에서, 자동 판매 장치(501)는 제1 물품의 배송이 시작되었다는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유통 관리 서버(401)에게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제1 물품의 배송 시작 정보는 제1 사용자 단말(701)에 의해 유통 관리 서버(401)에게 송신될 수도 있다.
단계 782에서, 유통 관리 서버(401)는 제2 사용자 단말(703)에게 배송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는, 배송 정보는 제1 사용자 단말(701)에 의해 제2 사용자 단말(703)에게 송신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송 정보에는 배송자 식별 정보, 물품의 현재 위치 정보, 물품의 도착 예정일, 물품의 도착 예정 시각, 배송 소요 시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배송 정보에는 제1 사용자 단말(701)이 제1 물품을 배송함에 있어서 제1 물품에 대한 보관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단계 790에서, 제1 사용자 단말(701)은 유통 관리 서버(401)에게 배송 완료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제1 물품의 배송 완료 정보는 제2 사용자 단말(703)에 의해 유통 관리 서버(401)에게 송신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유통 관리 서버(401) 또는 제1 사용자 단말(701)은 제2 사용자 단말(703)에게 배송 완료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한편, 도 7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이 배달 서비스를 이용하여 최종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더라도, 다양한 변형들이 도 7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 도 7에는 연속적인 동작들이 도시되어 있지만, 도 7에서의 다양한 동작들은 오버랩될 수 있고, 병렬로 발생할 수 있고, 다른 순서로 발생할 수 있거나, 일부 동작이 생략될 수도 있고, 혹은 다수 번 발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이동 경로 상에 존재하는 자동 판매 장치들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800)은 GPS 모듈,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8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800)은 서버로부터 전자 지도(810)를 획득하고, 전자 지도(810) 상에 현재 사용자 단말(800)의 위치를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800)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 상 또는 그 경로의 일정 반경 이내에 위치하는 자동 판매 장치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자동 판매 장치들을 전자 지도(81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800)은 해당 자동 판매 장치들에 의해 판매되는 물품들의 정보들을 획득하고, 판매되는 물품들의 정보(8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동 판매 장치들에 의해 판매되는 물품들의 정보(820)에는 자동 판매 장치의 식별자, 판매되는 품목, 판매되는 품목의 단위 가격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800)의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800)에 표시되는 정보들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목적지로 이동하는 중에 가까운 자동 판매 장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800)은 전자 지도(810) 상에 사용자 단말(800)의 현재 위치에 인접한 자동 판매 장치의 정보들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800)은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품목 및 구매량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800)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최저가격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물품들을 구매할 수 있는 자동 판매 장치를 결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800)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지도 상에 표시된 자동 판매 장치들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물품들을 구매할 때의 예상 구매 가격을 각각 결정하고, 결정된 예상 구매 가격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800)은 자동 판매 장치들 각각에 대응되는 예상 구매 가격들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800)은 감자 2kg, 양파 1kg, 사과 0.5kg을 구매하고 싶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후, 자동 판매 장치 #1이 감자를 3000원/1kg, 양파를 2000원/1kg, 사과를 10000원/1kg에 판매하고 있는 것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자동 판매 장치 #1에서 구매할 때의 예상 구매 가격을 3000원*2+2000원*1+10000원*0.5 = 13000원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800)은 자동 판매 장치 #2가 감자를 2000원/1kg, 양파를 4000원/1kg, 사과를 9000원/1kg에 판매하고 있는 것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자동 판매 장치 #2에서 구매할 때의 예상 구매 가격을 2000원*2+4000원*1+9000원*0.5 = 12500원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800)은 자동 판매 장치 #1에서 구매할 때의 예상 구매 금액 13000원과 자동 판매 #2에서 구매할 때의 예상 구매 가격 12500원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800)은 자동 판매 장치 #1에서 구매할 때의 예상 구매 금액보다 자동 판매 장치 #2에서의 구매할 때의 예상 구매 금액이 더 적은 것에 기초하여, 자동 판매 장치#2를 추천하는 표식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판매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자동 판매 장치(900)는 송수신부(910), 입력장치(920), 디스플레이(930), 메모리(940), 센서 모듈(950) 및 프로세서(9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9에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자동 판매 장치(900)의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 9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자동 판매 장치(9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도 9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자동 판매 장치(9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송수신부(910), 입력장치(920), 디스플레이(930), 메모리(940), 센서 모듈(950) 및 프로세서(960)가 하나의 칩(chip)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송수신부(910)는 자동 판매 장치(9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단말, 또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송수신부(910)는 유통 관리 서버에게 제1 물품의 입고 정보, 제1 물품에 대한 보관 정보 등을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보관 정보는 보관 온도, 보관 습도, 살균 정보, 제1 물품의 입고 일자, 제1 물품의 보관 기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910)는 제1 물품에 관한 구매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910)는 자동 판매 기능으로 제1 물품을 판매한 경우, 유통 관리 서버에게 제1 물품의 판매 완료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배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제1 물품을 판매한 경우, 제1 물품의 배송 시작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입력장치(920)는 터치패널(touch panel), 키(key) 패드, 초음파 입력장치, 펜 센서(pen sens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장치(920)는 물품 종류, 구매수량, 구매가격 등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터치 패널, 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930)는 패널, 홀로그램 장치, 프로젝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동 판매 장치(900)는 디스플레이(930)에 사용자가 선택한 물품에 대한 유통 히스토리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930)에는 자동 판매 장치(900)의 현재 온도, 현재 습도, 살균 정보 등이 출력될 수 있다.
메모리(940)에는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프로그램 및 파일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가 설치 및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960)는 메모리(940)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여 이를 이용하거나, 또는 새로운 데이터를 메모리(9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940)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940)는 자동 판매 장치(900)에 의해 판매되는 물품에 대한 유통 히스토리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센서 모듈(950)은 예를 들면,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자동 판매 장치(900)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모듈(950)은 RFID 센서,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무게 감지 센서, 기압 센서, 가속도 센서, 근접 센서, 적외선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95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동 판매 장치(900)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된 코드 정보를 스캔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자동 판매 장치(900)는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를 이용하여 자동 판매 장치(900) 내에서 보관되고 있는 물품들의 보관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960)는 자동 판매 장치(9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CPU, GPU 등과 같은 프로세서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960)는 자동 판매 장치(900)를 작동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자동 판매 장치(9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960)는 메모리(94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저장된 파일을 읽어오거나, 새로운 파일을 저장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960)는 메모리(94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자동 판매 장치(900)를 작동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는 제1 물품의 입고를 식별하고, 유통 관리 서버에게 제1 물품의 입고 정보 및 제1 물품에 대한 보관 정보를 송신하도록 송수신부(910)를 제어하며, 제1 물품에 관한 구매 요청 정보를 획득하고, 제1 물품에 관한 구매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물품을 식별하고, 제1 물품이 수령될 수 있도록 자동 판매 장치(900)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통 관리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유통 관리 서버(1000)는 송수신부(1010), 메모리(1020), 데이터베이스(1030) 및 프로세서(10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0에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유통 관리 서버(1000)의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 10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유통 관리 서버(10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도 10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유통 관리 서버(10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송수신부(1010), 메모리(1020), 데이터베이스(1030) 및 프로세서(1040)가 하나의 칩(chip)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송수신부(1010)는 유통 관리 서버(10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단말, 또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송수신부(1010)는 자동 판매 장치로부터 제1 물품의 입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1010)는 사용자 단말에게 제1 물품의 식별자 및 제1 물품의 유통 히스토리 정보를 포함하는, 자동 판매 장치의 판매 물품 리스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101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물품의 구매 요청을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에게 구매 요청에 대응되는 코드 정보를 송신하며, 자동 판매 장치에게는 구매 요청에 대응되는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1010)는 자동 판매 장치로부터 자동 판매 장치의 자동 판매 기능을 이용하여 물품이 판매된 경우 제2 물품의 판매 완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1020)에는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프로그램 및 파일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가 설치 및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1040)는 메모리(1020)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여 이를 이용하거나, 또는 새로운 데이터를 메모리(1020)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유통 관리 서버(1000)는 저온 저장고들, 운송 수단들, 자동 판매 장치들로부터 수신한 보관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030)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040)는 유통 관리 서버(10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CPU, GPU 등과 같은 프로세서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40)는 유통 관리 서버(1000)를 작동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유통 관리 서버(10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40)는 메모리(10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저장된 파일을 읽어오거나, 새로운 파일을 저장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40)는 메모리(10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유통 관리 서버(1000)를 작동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는 자동 판매 장치로부터 제1 물품의 입고 정보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1010)를 제어하고, 제1 물품의 유통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하며, 사용자 단말에게 제1 물품의 식별자 및 제1 물품의 유통 히스토리 정보를 포함하는, 자동 판매 장치의 판매 물품 리스트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물품의 구매 요청을 수신하도록 송수신부(1010)를 제어하고, 사용자 단말에게 구매 요청에 대응되는 코드 정보를 송신하도록 송수신부(1010)를 제어하고, 자동 판매 장치에게 구매 요청에 대응되는 정보를 송신하도록 송수신부(1010)를 제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유통 관리 서버(1000)의 프로세서(1040)는 자동 판매 장치에 물품의 재고가 없는 경우, 물품의 재고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통 관리 서버(1000)는 제1 물품의 식별자 및 제1 물품의 유통 히스토리를 포함하는 자동 판매 장치의 물품 리스트를 구매자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매자 단말은 자동 판매 장치의 물품 리스트에 제2 물품이 포함되지 않은 것에 기초하여, 유통 관리 서버(1000)에게 제2 물품의 구매 희망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유통 관리 서버(1000)는 제2 물품의 구매 희망 요청에 기초하여, 제2 물품을 판매하는 판매자 단말에게 제2 물품의 재고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제1 물품이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제1 저온 저장고(110)로부터 자동 판매 장치로 운송되었다고 가정할 때, 제2 물품을 판매하는 판매자 단말은 도 1를 참조하여 전술한 제2 저온 저장고(120)를 관리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판매자는 제2 저온 저장고(120)로부터 제2 물품을 출고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저온 저장고(120)는 유통 관리 서버(1000)에게 제2 물품의 출고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제1 물품이 운송되는 과정과 마찬가지로, 제2 물품도 제2 저온 저장고(120)로부터 자동 판매 장치로 운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물품의 구매 희망 요청이 도 1의 제2 자동 판매 장치(180)의 판매 물품 리스트에 기초한 요청인 경우, 제2 물품은 제2 저온 저장고(120)로부터 운송수단(137)을 통해 제4 저온 저장고(150)로, 제4 저온 저장고(150)로부터 운송수단(154)를 통해 제2 자동 판매 장치(180)로 운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통 관리 서버(1000)는 제2 저온 저장고(120), 운송수단(137), 제4 저온 저장고(150), 운송수단(154), 제2 자동 판매 장치(180)로부터 제2 물품의 입고/출고 정보 및 보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수신한 보관 정보들에 기초하여, 유통 관리 서버(1000)는 제2 물품의 유통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물품이 자동 판매 장치에 입고되는 경우 유통 관리 서버(1000)는 자동 판매 장치로부터 제2 물품의 입고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에게 제2 물품의 도착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 또한, 제2 물품의 도착 알림 메시지에는 제2 물품의 유통 히스토리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통 관리 서버(1000)의 프로세서(1040)는 구매 희망 요청에 결제 완료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구매 희망 요청에 대응되는 코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유통 관리 서버(1000)는 제2 물품의 도착 알림 메시지에 포함시켜 코드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통 관리 서버(1000)의 프로세서(1040)는 사용자 단말이 물품의 구매 희망 요청을 송신한 경우, 사용자 단말에게 물품의 현재 위치, 물품이 현재 위치하는 저장고의 보관 상태 정보, 물품의 도착 예정일, 물품의 도착 예정 시간 등을 송신하도록 송수신부(10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보관 상태 정보는 온도 정보, 습도 정보, 살균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물품의 재고 관리는 사용자 단말의 개입 없이 유통 관리 서버(1000)와 자동 판매 장치 간의 신호 송수신을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통 관리 서버(1000)는 자동 판매 장치로부터 제1 물품의 부재를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고, 제1 물품의 부재를 지시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저온 저장고에게 제1 물품의 운송을 요청하는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유통 관리 서버(1000)는 적어도 하나의 저온 저장고로부터 제1 물품의 출고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재고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또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개시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자동 판매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1 물품의 입고를 식별하고,
    유통 관리 서버에게 상기 제1 물품의 입고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1 물품에 대한 보관 정보를 유통 관리 서버에게 송신하고,
    상기 제1 물품에 관한 구매 요청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물품에 관한 구매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물품을 식별하고,
    상기 제1 물품이 수령될 수 있도록 상기 자동 판매 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물품에 대한 보관 정보는,
    상기 자동 판매 장치에서의 상기 제1 물품의 보관 온도, 보관 습도, 및 살균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코드 정보 스캐너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 단말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코드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물품에 관한 구매 요청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유통 관리 서버에게 상기 제1 물품의 배송 시작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코드 정보는,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게 양도된 것인, 자동 판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물품에 관한 구매 요청 정보는,
    상기 제1 물품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상기 제1 물품의 구매를 지시하는 코드 정보, 및 상기 유통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물품의 구매 요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자동 판매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유통 관리 서버에게 상기 제1 물품의 판매 완료 정보를 송신하는, 자동 판매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판매 장치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학습된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결정된 특정 위치에 설치되는, 자동 판매 장치.
  6. 유통 관리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자동 판매 장치로부터 제1 물품의 입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물품의 유통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제1 물품의 식별자 및 상기 제1 물품의 유통 히스토리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자동 판매 장치의 판매 물품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물품의 구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구매 요청에 대응되는 코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자동 판매 장치에게 상기 구매 요청에 대응되는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자동 판매 장치로부터 제2 물품의 판매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2 물품의 구매 희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물품의 구매 희망 요청에 기초하여, 판매자 단말에게 상기 제2 물품의 재고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물품의 재고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자동 판매 장치로부터 상기 제2 물품의 입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물품의 입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제2 물품의 도착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물품의 유통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제1 저온 냉장고, 제2 저온 냉장고, 운송 수단, 및 자동 판매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제1 물품의 보관 온도, 보관 습도, 보관 기간, 및 살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보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물품의 유통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제1 물품의 현재 위치, 상기 제1 물품이 현재 위치하는 저장고의 보관 상태 정보, 상기 제1 물품의 도착예정일 및 상기 제1 물품의 도착예정시각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판매 장치로부터 상기 제1 물품의 부재를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물품의 부재를 지시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저온 저장고 또는 제2 저온 저장고에게 상기 제1 물품의 운송을 요청하는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저온 저장고 또는 상기 제2 저온 저장고로부터 상기 제1 물품의 출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배달자 단말에게 양도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자동 판매 장치로부터 상기 제1 물품의 배송 시작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물품의 배송 시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제1 물품의 배송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운송 장치로부터 상기 제1 물품의 운송 중 보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운송 중 보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물품의 하차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물품의 하차를 결정하는 경우, 상기 운송 장치에게 저온 저장고 또는 자동 판매 장치로 상기 제1 물품을 입고시킬 것을 지시하는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사용자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유통 관리 서버로부터 제1 물품의 식별자 및 상기 제1 물품의 유통 히스토리 정보를 포함하는, 자동 판매 장치의 판매 물품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자동 판매 장치의 판매 물품 리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유통 관리 서버에게 상기 제1 물품에 대한 구매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유통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구매 요청에 대응되는, 상기 제1 물품의 수령을 위한 코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물품의 유통 히스토리 정보는,
    상기 제1 물품이 저온저장고, 운송 차량, 및 자동 판매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보관된 보관 환경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 환경 정보는,
    상기 제1 물품의 보관 온도, 보관 습도, 입고 일자, 보관 기간, 및 살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물품의 수령을 위한 코드 정보를 배달자 단말에게 양도하는 단계; 및
    상기 배달자 단말에 의해 상기 제1 물품이 수령됨에 따라, 상기 유통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제1 물품의 배송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유통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제1 물품의 현재 위치, 상기 제1 물품이 현재 위치하는 저장고의 보관 상태 정보, 상기 제1 물품의 도착예정일 및 상기 제1 물품의 도착예정시각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8. 저온 저장고에 있어서,
    신호 감지 센서;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신호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제1 물품의 입고를 식별하고,
    유통 관리 서버에게 상기 제1 물품의 입고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유통 관리 서버에게 상기 저온 저장고에서의 상기 제1 물품의 보관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신호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물품의 출고를 식별하고,
    상기 유통 관리 서버에게 상기 제1 물품의 출고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제1 물품의 보관 정보는,
    상기 저온 저장고에서의 상기 제1 물품의 보관 온도, 보관 습도, 및 살균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저온 저장고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학습된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결정된 특정 위치에 설치되는, 저온저장고.
  19. 삭제
  20. 제6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도록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1020220157307A 2022-11-22 2022-11-22 물품을 유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522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7307A KR102522396B1 (ko) 2022-11-22 2022-11-22 물품을 유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7307A KR102522396B1 (ko) 2022-11-22 2022-11-22 물품을 유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2396B1 true KR102522396B1 (ko) 2023-04-18

Family

ID=86100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7307A KR102522396B1 (ko) 2022-11-22 2022-11-22 물품을 유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239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5203A (ko) * 2011-08-02 2013-02-13 주식회사 케이티 상품 유통 관리 시스템
KR20220006440A (ko) * 2020-07-08 2022-01-17 신한배 자판기 기반 신선 상품 무인 판매 시스템
KR20220042875A (ko) * 2020-09-28 2022-04-05 김영집 무인 운송물 보관 시스템 이를 이용한 운송물 관리 방법
KR20220089257A (ko) * 2020-12-21 2022-06-28 재단법인 구미전자정보기술원 물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5203A (ko) * 2011-08-02 2013-02-13 주식회사 케이티 상품 유통 관리 시스템
KR20220006440A (ko) * 2020-07-08 2022-01-17 신한배 자판기 기반 신선 상품 무인 판매 시스템
KR20220042875A (ko) * 2020-09-28 2022-04-05 김영집 무인 운송물 보관 시스템 이를 이용한 운송물 관리 방법
KR20220089257A (ko) * 2020-12-21 2022-06-28 재단법인 구미전자정보기술원 물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47013B2 (ja) 製品流通を改善するためのインテリジェント経路指定コード
KR102100901B1 (ko) 무선 전력 전달 환경을 이미지화하고 개체를 추적하는 기술
US10882692B1 (en) Item replacement assistance
US20210133671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just-in-time inventory replenishment
US202000199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Supply Chain Information to a Consumer
US103396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supply chain information to a consumer
US20150012396A1 (en) Transitioning items from a materials handling facility
US20170200117A1 (en) Systems and methods of fulfilling product orders
US11783281B2 (en) System and methods for self-adjusting electronic reconciliation of a contribution amount and delivery value
KR102330819B1 (ko) 경합하는 신경 캐릭터 언어 모델에 기초한 단어 분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195464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ing space utilization of containers at retail storage facilities
US20230281556A1 (en) Systems and methods of decanting inventory products from cases at a retail facility
KR20220058837A (ko) 아이템 검색 할당 효율성을 최적화하기 위한 컴퓨터화된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01889A (ko) 빅데이터를 통한 배송제품 온도조건 고려 최적 서비스 방법 및 패키징 장치
KR102522396B1 (ko) 물품을 유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230252554A1 (en) Removing semantic duplicates from results based on similarity between embeddings for different results
US20230110898A1 (en) Method of providing logistics information service using data logger for processing logistics-related information
US20230115842A1 (en) Data logger for processing logistics-related information and cold container including the same
US20240070609A1 (en) Generating and providing notifications and indications identifying items that are likely to be restocked
US20230289707A1 (en) Asynchronous automated correction handling in concierge system of incorrectly sorted items using point-of-sale data
US20240070747A1 (en) Item availability model producing item verification notifications
US11935109B2 (en) Method,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system for training a machine learning model to generate user embeddings and recipe embeddings in a common latent space for recommending one or more recipes to a user
US20240054191A1 (en) Freshness scoring for perishables
US20240054503A1 (en) Transparency scoring for perishables
US20240037588A1 (en) Location-based assignment of shopper-location pai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