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7873A - 매 거래를 위해 발행되는 유일 식별코드의 활용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매 거래를 위해 발행되는 유일 식별코드의 활용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7873A
KR20230047873A KR1020210188375A KR20210188375A KR20230047873A KR 20230047873 A KR20230047873 A KR 20230047873A KR 1020210188375 A KR1020210188375 A KR 1020210188375A KR 20210188375 A KR20210188375 A KR 20210188375A KR 20230047873 A KR20230047873 A KR 20230047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order
payment
unique identif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8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종하
엄천섭
Original Assignee
(주)코스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스턴 filed Critical (주)코스턴
Publication of KR20230047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78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 거래를 위해 발행되는 유일 식별코드의 활용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테이블의 테이블단말에 신규 손님마다 주문용 웹페이지에 접근할 수 있는 유일 식별코드를 발행하고, 거래가 끝난 후에, 상기 발행된 유일 식별코드의 소유권을 손님에게 이전시켜 배달주문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유일 식별코드의 활용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매장 내에서는 상기 발행된 유일 식별코드를 활용하여 후불 결제를 수행할 수 있고, 매장 외부에서는 손님에게 이전된 유일 식별코드를 활용하여 온오프라인 선불 배달주문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매 거래를 위해 발행되는 유일 식별코드의 활용시스템 및 그 방법{Utilization system and method of unique identification code issued for every transaction}
본 발명은 매 거래를 위해 발행되는 유일 식별코드의 활용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테이블의 테이블단말에 신규 손님마다 주문용 웹페이지에 접근할 수 있는 유일 식별코드를 발행하고, 거래가 끝난 후에, 상기 발행된 유일 식별코드의 소유권을 손님에게 이전시켜 배달주문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유일 식별코드의 활용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매장 내에서는 상기 발행된 유일 식별코드를 활용하여 후불 결제를 수행할 수 있고, 매장 외부에서는 손님에게 이전된 유일 식별코드를 활용하여 온오프라인 선불 배달주문을 수행할 수 있다.
최근에는 식당, 커피숍, 주점 등에서 손님이 직접 종업원을 호출하지 않고도 음식을 주문할 수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 QR코드를 활용하여 전자장치에서 음식을 주문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QR코드를 활용한 주문 방법은, 매장의 각 테이블에 QR코드를 부착하고, 손님이 매장을 방문하게 되면, 전자장치를 통해 상기 QR코드를 스캔하여 메뉴주문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주문을 수행한다.
이 때, QR코드를 활용한 종래의 주문방법은, 테이블에 부착된 QR코드에 누구나 접근 가능하므로, 매 주문마다 선불 결제를 수행한다.
즉, 첫 번째 메뉴를 주문한 후, 추가적으로 두 번째 메뉴를 주문하고자 하는 경우, 첫 번째 메뉴를 결제하고, 추가 주문 시에 또 다시 두 번째 메뉴를 선불 결제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은 일반적인 매장에서 널리 사용되는 후불 결제방식과 상이하여 고객에게 이질감을 느끼게 할 수 있으며, 또한 반복되는 결제로 인하여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가져다 줄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주문방법은 폐쇄형 네트워크를 통하여 매장에서 주문 결제를 해야 하므로, 해당 네트워크에 접근하는 절차가 발생하여 비효율적이다.
한편, QR코드를 이용하여 음식을 주문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0-1141204호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누구에게나 접근 가능한 동일한 식별코드를 활용하여 주문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테이블의 테이블단말에 신규 손님마다 각각 유일하게 발행된 식별코드를 활용하여 주문을 수행함으로써, 후불결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유일 식별코드의 활용방법은 매장에서 후불 결제가 이루어지게 되면, QR코드의 소유권이 고객에게 이전되면서 배달주문용 QR코드가 영수증에 인쇄된다.
상기 영수증의 QR코드는 테이블단말의 QR코드와 상이한 형태이다. 테이블단말의 QR코드는 유일하게 발행된 식별코드로서, 매장 내에서 후불 결제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이고, 영수증의 QR코드는 유출되어도 문제가 없도록 매장 정보를 우선으로 하고 있는, 공유가 가능하여 선불 결제만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QR코드이다. 따라서 영수증의 QR코드는 매장 외부에서 선불 배달 주문에 활용될 수 있고, 사람들과 공유가 가능하므로, 매장의 마케팅 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일 식별코드의 활용시스템은 QR코드가 디스플레이되는 테이블단말; 상기 테이블단말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QR코드를 인식하여 메뉴주문 웹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메뉴주문 웹페이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메뉴를 입력받아 입력받은 상기 메뉴에 대한 주문내역정보를 클라우드서버로 송신하는 전자장치; 상기 전자장치에서 송신된 주문내역정보를 취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주문내역정보를 포스단말로 송신하는 클라우드서버; 및 상기 클라우드서버로부터 주문내역정보를 수신받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주문내역정보에 대한 결제가 가능한 포스단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일 식별코드의 활용시스템 및 방법은, 테이블의 신규 손님마다 유일하게 발행된 개별 식별코드를 활용하여 주문을 수행함으로써, 후불결제를 이용한 주문이 가능하도록 한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은 이미 익숙한 거래 형태인 후불 결제가 가능하므로, 손님은 전자장치를 이용하여 다수 개의 주문을 수행한 후, 일괄적으로 후불 결제를 수행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유일 식별코드의 활용시스템 및 방법은 복잡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절차나 회원가입 절차가 필요 없으므로, 개인정보의 노출이 없어 보안에도 유리한 측면이 있으며, 특히, 배달 중개수수료가 들지 않아 점주 및 손님의 비용부담을 덜어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일 식별코드의 활용시스템 및 방법은 그 주문 내역이 QR코드별로 서버에 누적 저장되어 관리되므로, 손님은 이를 제시하여 마일리지, 포인트, 할인쿠폰, 이벤트 행사 등의 추가적인 서비스 누적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서비스 누적혜택은 영수증의 QR코드를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람들과 공유될 수 있으며, 이는 소개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되어 홍보비를 줄이고 진성 고객을 발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일 식별코드의 활용시스템 및 방법은 서버의 매장관리부에 다수의 매장 정보가 지역별로 저장 관리되며, 이를 통해 고객에게 지역별 매장의 방문순위, 평점, 가격, 고객만족도, 혜택 등을 전달할 수 있어, 고객이 음식점을 선택하는 것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매 거래를 위해 발행되는 유일 식별코드의 활용시스템 및 방법은 음식점에만 활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미용실의 미용사 평가, 골프장의 캐디 평가, 온오프라인 콘텐츠(전문지식, 유튜브 시청, 저작권, 음원, 광고 콘텐츠 등)의 구매 및 배포 등에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용실의 경우, 미용사에게 QR코드를 배포하게 되면, 고용주는 미용사별로 기여도를 명확히 할 수 있어 임금 지급에 명확한 차별을 부여할 수 있고, 종업원은 이로 인하여 질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종업원의 이직 시에 자신의 가치를 QR코드로서 증명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광고 콘텐츠의 경우, 공유 버튼에 QR코드를 포함시킴으로써, 공유 버튼을 누르는 순간, 해당 공유 건과 QR코드가 연결되어 광고 콘텐츠의 공유를 단일거래처럼 활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고 콘텐츠가 포함된 해당 기사를 많이 공유시킨 공로자를 식별할 수 있는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QR코드는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온라인 고유 식별코드를 부여하여 가상화폐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유일 식별코드의 활용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유일 식별코드의 활용시스템의 QR코드를 이용하여 접속한 메뉴주문 웹페이지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유일 식별코드의 활용시스템을 활용하여 음식을 주문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유일 식별코드의 활용시스템을 활용하여 주문 메뉴를 결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유일 식별코드의 활용시스템을 활용하여 매장 외부에서 음식을 주문 배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일 식별코드의 활용시스템(1)은, 테이블의 신규 손님마다 유일하게 발행되는 식별코드를 활용하여, 후불결제 주문이 가능한 시스템이다.
매장 내에서는 상기 발행된 식별코드를 활용하여 후불 결제를 수행할 수 있고, 후불 결제와 동시에 상기 식별코드는 손님에게 이전되며, 따라서 매장 외부에서는 손님에게 이전된 식별코드를 활용하여 온오프라인 선불 배달주문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별 QR코드(12)를 활용한 주문시스템(1)은 테이블단말(10), 전자장치(20), 클라우드서버(30), 포스단말(40), 및 주방단말(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테이블단말(10)은 클라우드서버(30)로부터 QR(Quick Response)코드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단말로, 매장의 각 테이블(11) 상에 배치된다. 복수의 테이블(11)이 존재하는 매장의 경우, 매장 내 구비된 각각의 테이블(11)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테이블단말(10)에 디스플레이되는 QR코드(12)는 메뉴주문 웹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는 고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정보, 테이블정보, 매장정보, 시간정보, 도용방지난수를 포함하는 유일무이한 코드이다. 고객은 전자장치(20)를 통해 상기 테이블단말(10)의 QR코드(12)를 스캔함으로써 메뉴주문 웹페이지의 전자메뉴판에 접속하여 매장 내에서 비대면 주문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테이블단말(10)은 매장 내 식사에 대한 후불 결제가 완료되면, 클라우드서버(30)로부터 기존의 QR코드(12) 대신 새로운 신규 QR코드(12)를 수신받아 디스플레이한다.
동시에, 기존의 QR코드(12)의 소유권이 손님에게 이전되면서, 결제 영수증에 배달주문용 QR코드가 인쇄되는데, 상기 영수증에 인쇄된 영수증 QR코드(13)는 상기 테이블단말의 QR코드(12)와는 상이한 형태이다.
구체적으로, 테이블단말의 QR코드(12)는 테이블의 테이블단말(10)에 신규 손님마다 유일하게 발행되는 식별코드로서, 매장 내에서의 후불 결제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이고, 영수증 QR코드(13)는 매장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유출되어도 문제가 없는 선불 결제만이 가능한 QR코드(13)이다. 따라서 영수증 QR코드(13)는 매장 외부에서 선불 배달 주문에 활용될 수 있으며, 다수의 사람들과 공유가 가능하여 마케팅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테이블단말(10)은 예를 들어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자장치(20)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전자 기기로서, 상기 테이블단말(10)에 표시된 QR코드(12)를 인식하여 상기 QR코드(12)에 포함된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의 메뉴주문 웹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메뉴주문 웹페이지를 통해 고객으로부터 주문내역정보를 입력받는다.
상기 전자장치(20)에는 QR코드(12)를 스캔하기 위한 카메라(21)와, 상기 카메라(21)를 통해 인식된 QR코드(12)의 메뉴주문 웹페이지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화면(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뉴주문 웹페이지에는 음식명과 음식에 대한 상세한 설명, 가격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메뉴주문 웹페이지는 예를 들어, 도 3과 같은 페이지일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20)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PC 등 휴대용 전자 기기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전자장치(20)는 예를 들어, 고객이 휴대한 단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전자장치(20)는 매장에 비치된 주문용 단말일 수도 있고, 종업원 소유의 단말일 수도 있으며, 또한 타인 소유의 단말일 수도 있다.
클라우드서버(30)는 QR코드(12)를 발행하여 테이블단말(10)에 전송한다. 또한 후불 결제가 완료되면, 클라우드서버(30)는 신규 QR코드(12)를 발행하여 테이블단말(10)에 전송한다.
또한 클라우드서버(30)의 데이터베이스(31)는 손님관리부 및 매장관리부를 포함하며, 결제 시의 주문내역정보를 QR코드별, 매장별로 저장하고 관리한다. 이 때, 주문내역정보에는 테이블정보, 주문 사항, 가격정보 등이 포함된다.
상기 손님관리부는 손님의 주문내역정보가 QR코드 별로 누적 관리되므로, 손님은 이를 통해 마일리지, 할인쿠폰, 이벤트 행사 등의 추가적인 서비스 누적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매장관리부는 지역별로 분포되어 있는 다수의 매장 정보가 저장 관리되며, 구체적으로, 각 매장의 방문순위, 평점, 가격, 고객만족도, 혜택 등이 저장된다.
또한 클라우드서버(30)는 전자장치(20)에서 입력한 주문내역정보를 입력받아, 매장 내 포스단말(40)로 전송한다. 또한 클라우드서버(30)는 주문내역정보를 주방단말(50)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포스단말(40)은 클라우드서버(30)로부터 주문내역정보를 수신받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고객은 상기 포스단말(40)에 디스플레이된 주문내역정보에 기반하여 주문내역에 대한 누적금액을 후불결제 가능하다.
주방단말(50)은 포스단말(40) 또는 클라우드서버(30)로부터 주문내역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종업원에게 주문내역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주문내역정보가 수신되었을 때 알람신호를 추가 송출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테이블단말(10), 포스단말(40), 주방단말(50), 및 전자장치(20)는 통신망(미도시)을 통해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송수신은 바람직하게는 CDMA 어댑터 또는 ieee 801.11g 또는 11n 규격에 의한 Wi-Fi(Wireless Lan) 어댑터일 수 있으며, 이동통신망을 통해 데이터통신을 시도하거나, Wi-Fi를 통한 무선인터넷 접속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일 식별코드의 활용시스템(1)은 각 테이블(11)의 신규 손님마다 주문용 웹페이지에 접근할 수 있는 QR코드(12)를 발행하고, 거래가 끝난 후에 상기 발행된 QR코드(12) 소유권을 손님에게 이전시켜 배달주문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매장 내에서는 상기 발행된 QR코드(12)를 활용하여 후불 결제를 수행할 수 있고, 매장 외부에서는 손님에게 이전된 영수증의 QR코드(13)를 활용하여 온오프라인 선불 배달주문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에서는 유일 식별코드의 활용시스템(1)을 통한 음식 주문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손님이 전자장치(20)를 통해 매장 내에서 음식을 주문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매장의 복수의 테이블(11) 각각에는 테이블단말(10)이 구비되어 있고, 각 테이블단말(10)에는 클라우드서버(30)로부터 수신된 QR(Quick Response)코드가 테이블(11)별로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손님이 매장 내의 복수의 테이블(11) 중 특정 테이블(11)에 자리를 잡으면, 메뉴 주문을 위하여, 전자장치(20)를 사용하여 테이블단말(10)에 디스플레이된 QR코드(12)를 스캔한다(S41). 상기 QR코드(12)는 메뉴주문 웹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는 URL 주소정보, 테이블정보, 매장정보, 시간정보, 도용방지난수를 포함하는 유일무이한 코드이다.
손님이 전자장치(20)를 사용하여 QR코드(12)를 스캔함에 따라, 전자장치(20)에는 상기 스캔된 QR코드(12)에 포함된 URL주소의 메뉴주문 웹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된다(S42). 상기 메뉴주문 웹페이지에는 음식에 대한 정보와 가격 등이 포함된다.
손님은 상기 전자장치(20) 상의 메뉴주문 웹페이지를 통해 비대면으로 메뉴를 주문할 수 있고(S43), 주문이 완료되면, 손님이 주문한 메뉴의 주문내역정보가 클라우드서버(30)를 거쳐 포스단말(40) 및 주방단말(50)로 송신된다. 포스단말(40) 및 주방단말(50)은 상기 주문내역정보를 수신받아(S44), 상기 주문내역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S45). 또한 주방단말(50)은 알림신호를 발생시켜 종업원에게 음식주문이 들어왔음을 알릴 수 있다.
만약 손님이 최초로 음식을 주문한 후에, 추가로 음식을 주문하는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프로세스와 마찬가지의 과정을 거쳐, 손님의 전자장치(20)의 메뉴주문 웹페이지를 통해 추가로 음식을 주문할 수 있다.
도 5는 손님이 식사를 완료한 후, 주문된 메뉴에 대해 후불 결제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포스단말(40)에는 손님이 주문한 음식이 누적 디스플레이되어 있으며, 손님이 식사를 완료하게 되면, 포스단말(40)을 통해 후불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S51).
손님이 자신의 결제수단, 예를 들어, 자신의 결제카드를 포스단말(40)의 정보리더기(41)에 인식시키면, 정보리더기(41)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결제시스템(미도시)을 통해 주문 내역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고, 결제가 완료되면 결제완료 신호를 포스단말(40)로 송신한다.
포스단말(40)은 상기 결제완료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포스단말(40)에 테이블 정보, 주문된 메뉴 리스트, 결제 금액 정보 등을 포함하는 결제 관련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결제 관련 데이터는 클라우드서버(30)에 저장된다(S52).
이와 동시에, 기존의 QR코드(12)의 소유권은 손님에게 이전되고, 결제 영수증에는 배달주문용 QR코드(13)가 인쇄된다(S53). 상기 영수증에 인쇄된 영수증 QR코드(13)는 상기 테이블단말의 QR코드(12)와는 상이한 형태이다.
구체적으로, 테이블단말의 QR코드(12)는 테이블의 테이블단말에 신규 손님마다 유일하게 발행되는 코드로서, 매장 내에서의 후불 결제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반면, 영수증의 QR코드(13)는 매장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유출되어도 문제가 없는 형태의 선불 결제만이 가능한 QR코드(13)로, 다수의 사람들과 공유 가능하여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또한 매장 외부에서 선불 배달 주문에 활용될 수 있다. 더 자세한 사항은 도 6에서 후술한다.
이후, 결제가 완료되면, 클라우드서버(30)는 테이블단말(10)에 표시된 기존의 QR코드(12)를 신규 QR코드(12)로 교체하여 디스플레이한다(S54). 즉, 테이블단말(10)에 표시되는 QR코드(12)는 테이블(11)에 오는 각 손님마다 새로이 발급되는 것으로, 새롭게 테이블(11)에 착석한 손님은 신규로 발급된 개별 QR코드(12)를 활용하여 매장 내에서의 주문이 가능하다.
또한 결제를 완료한 후에 매장을 떠난 손님은, 결제 시 영수증에 인쇄된 영수증 QR코드(13)를 활용하여 배달주문이 가능하다.
이 때, 상기 영수증 QR코드(13)는 메뉴주문 웹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정보, 테이블정보, 매장정보 등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손님이 매장을 떠난 후에 상기 QR코드를 활용하여 배달주문을 수행하게 되면, 특정 시점의 특정 매장의 테이블 손님에 대한 배달주문임을 특정할 수 있다.
도 6은 상기와 같이 매장 방문 시 영수증에 출력된 영수증 QR코드(13)를 활용하여, 매장 외부에서 음식을 주문 배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것이다.
먼저, 손님은 전자장치(20)를 통해, 결제 영수증에 출력된 영수증 QR코드(13)를 스캔하여 메뉴주문 웹페이지에 접속한다(S61).
손님은 매장을 떠나더라도, 매장 방문 시 소유 이전된 영수증 QR코드(13)를 활용하여, 향후 언제라도 음식을 주문할 수 있다(S62). 이 때, 배달주문에 있어서는 선결제 방식으로만 주문이 가능하다. 오직 선결제 방식으로만 음식을 주문하도록 하는 것은 허위 주문에 따른 피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영수증 QR코드(13)를 활용한 배달주문내역은 QR코드(13) 별로 클라우드서버(30)의 손님관리부(32)에 누적 저장되므로(S63), 손님은 후에 이를 제시하여 마일리지, 할인쿠폰, 이벤트 행사 등의 추가적인 서비스 누적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다(S64).
또한 이러한 영수증 QR코드(13)는 메신저, 메시지 등을 통해 개인 간 전송할 수 있으며, 또한 SNS 등을 통해 공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영수증 QR코드(13) 별로 클라우드서버(30)에 누적 저장된 누적혜택을 공유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특정 고객이 누적혜택이 포함된 영수증 QR코드(13)의 사진을 찍어 메시지 전송을 통해 공유하거나, 또는 SNS 등을 통해 공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러한 누적혜택이 포함된 영수증 QR코드(13)는 홍보의 용도로 사용함에 따라, 매장은 홍보비를 줄이고 진성 고객을 발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클라우드서버(30)의 매장관리부(33)에는 지역별로 각각의 매장의 배달주문내역정보가 매장별로 저장된다. 구체적으로, 각 매장의 방문순위, 평점, 가격, 고객만족도, 혜택 등이 저장된다. 이에 따라 클라우드서버(30)는 고객의 요청 시 매장의 방문순위, 평점, 가격, 고객만족도, 혜택 등을 고객단말에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고객이 음식점을 선택하는 것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매 거래를 위해 발행되는 유일 식별코드의 활용시스템 및 방법은 음식점에만 활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미용실의 미용사 평가, 골프장의 캐디 평가, 온오프라인 콘텐츠(전문지식, 유튜브 시청, 저작권, 음원, 광고 콘텐츠 등)의 구매 및 배포 등에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용실의 경우, 미용사에게 QR코드를 배포하게 되면, 고용주는 미용사별로 기여도를 명확히 할 수 있어 임금 지급에 명확한 차별을 부여할 수 있고, 종업원은 이로 인하여 질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종업원의 이직 시에 자신의 가치를 QR코드로서 증명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광고 콘텐츠의 경우, 공유 버튼에 QR코드를 포함시킴으로써, 공유 버튼을 누르는 순간, 해당 공유 건과 QR코드가 연결되어 광고 콘텐츠의 공유를 단일거래처럼 활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QR코드를 활용하여 광고 콘텐츠가 포함된 해당 기사를 많이 공유시킨 공로자를 식별할 수 있는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QR코드는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온라인 고유 식별코드를 부여하여 가상화폐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일 식별코드의 활용시스템 및 방법은, 테이블의 신규 손님마다 유일하게 발행된 개별 식별코드를 활용하여 주문을 수행함으로써, 후불결제를 이용한 주문이 가능하도록 한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은 이미 익숙한 거래 형태인 후불 결제가 가능하므로, 손님은 전자장치를 이용하여 다수 개의 주문을 수행한 후, 일괄적으로 후불 결제를 수행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유일 식별코드의 활용시스템 및 방법은 복잡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절차나 회원가입 절차가 필요 없으므로, 개인정보의 노출이 없어 보안에도 유리한 측면이 있으며, 특히, 배달 중개수수료가 들지 않아 점주 및 손님의 비용부담을 덜어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일 식별코드의 활용시스템 및 방법은 그 주문 내역이 QR코드별로 서버에 누적 저장되어 관리되므로, 손님은 이를 제시하여 마일리지, 포인트, 할인쿠폰, 이벤트 행사 등의 추가적인 서비스 누적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서비스 누적혜택은 영수증의 QR코드를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람들과 공유될 수 있으며, 이는 소개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되어 홍보비를 줄이고 진성 고객을 발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일 식별코드의 활용시스템 및 방법은 서버의 매장관리부에 다수의 매장 정보가 지역별로 저장 관리되며, 이를 통해 고객에게 지역별 매장의 방문순위, 평점, 가격, 고객만족도, 혜택 등을 전달할 수 있어, 고객이 음식점을 선택하는 것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매 거래를 위해 발행되는 유일 식별코드의 활용시스템 및 방법은 음식점에만 활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미용실의 미용사 평가, 골프장의 캐디 평가, 온오프라인 콘텐츠(전문지식, 유튜브 시청, 저작권, 음원, 광고 콘텐츠 등)의 구매 및 배포 등에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용실의 경우, 미용사에게 QR코드를 배포하게 되면, 고용주는 미용사별로 기여도를 명확히 할 수 있어 임금 지급에 명확한 차별을 부여할 수 있고, 종업원은 이로 인하여 질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종업원의 이직 시에 자신의 가치를 QR코드로서 증명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광고 콘텐츠의 경우, 공유 버튼에 QR코드를 포함시킴으로써, 공유 버튼을 누르는 순간, 해당 공유 건과 QR코드가 연결되어 광고 콘텐츠의 공유를 단일거래처럼 활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고 콘텐츠가 포함된 해당 기사를 많이 공유시킨 공로자를 식별할 수 있는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QR코드는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온라인 고유 식별코드를 부여하여 가상화폐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유일 식별코드의 활용시스템
10: 테이블단말
11: 테이블
12: QR코드(테이블단말의 QR코드)
13: 영수증 QR코드
20: 전자장치
21: 카메라
22: 디스플레이 화면
23: 메뉴주문 웹페이지
30: 클라우드서버
31: 데이터베이스
32: 손님관리부
33: 매장관리부
40: 포스단말
41: 정보리더기
50: 주방단말

Claims (8)

  1. 메뉴주문 웹페이지에 접근할 수 있는 QR코드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테이블단말;
    상기 테이블단말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QR코드를 인식하여 메뉴주문 웹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메뉴주문 웹페이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메뉴를 입력받아 비대면으로 음식의 주문을 수행하고, 상기 음식에 대한 주문내역정보를 클라우드서버로 송신하는 전자장치;
    상기 클라우드서버로부터 주문내역정보를 수신받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주문내역정보에 대한 결제가 가능한 포스단말; 및
    QR코드를 발행하여 테이블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전자장치에서 입력한 주문내역정보를 수신받아 포스단말로 전송하며, 결제 시 상기 포스단말의 결제 정보를 QR코드별, 매장별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클라우드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일 식별코드의 활용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단말에 디스플레이된 QR코드는,
    테이블마다 발행되는 유일한 식별코드로서 매장 내에서의 후불 결제가 가능하며,
    후불결제가 진행되고 나면, 테이블단말은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신규 QR코드를 수신하여 테이블단말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일 식별코드의 활용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단말은,
    결제 시의 결제 영수증에 영수증 QR코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영수증 QR코드는 전자장치를 통해 매장 외부에서 메뉴주문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선불 결제를 통한 배달주문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일 식별코드의 활용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는 주문내역정보가 QR코드별로 저장되므로,
    음식 주문 시, QR코드별로 누적 서비스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일 식별코드의 활용시스템.
  5. 전자장치를 사용하여 테이블단말에 디스플레이된 QR코드를 스캔하는 단계;
    전자장치에 상기 스캔된 QR코드에 포함된 URL주소의 메뉴주문 웹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전자장치에서 상기 메뉴주문 웹페이지를 통해 비대면으로 메뉴를 주문하는 단계;
    상기 전자장치에서 주문한 메뉴에 대한 주문내역정보를 클라우드서버를 거쳐 포스단말에 전송하며, 상기 포스단말은 상기 전송받은 주문내역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포스단말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주문내역정보를 결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QR코드를 활용한 주문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단말에 디스플레이된 QR코드는,
    테이블마다 발행되는 유일한 식별코드로서 매장 내에서의 후불 결제가 가능하며,
    후불결제가 진행되고 나면,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신규 QR코드를 수신하여 테이블단말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일 식별코드의 활용방법.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단말은,
    결제 시의 결제 영수증에 영수증 QR코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영수증 QR코드는 전자장치를 통해 매장 외부에서 메뉴주문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선불 결제를 통한 배달주문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일 식별코드의 활용방법.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포스단말에서 결제한 결제정보가 QR코드별로 저장됨으로써, 음식 주문 시 손님은 QR코드별로 누적 서비스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일 식별코드의 활용방법.
KR1020210188375A 2021-10-01 2021-12-27 매 거래를 위해 발행되는 유일 식별코드의 활용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478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0544 2021-10-01
KR20210130544 2021-10-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7873A true KR20230047873A (ko) 2023-04-10

Family

ID=85984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8375A KR20230047873A (ko) 2021-10-01 2021-12-27 매 거래를 위해 발행되는 유일 식별코드의 활용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787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7532B1 (en) Method of soliciting a user to input survey data at an electronic commerce terminal
US6601040B1 (en) Electronic commerce terminal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to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US6763336B1 (en) Method of transacting an electronic mail, an electronic commerce, and an electronic business transaction by an electronic commerce terminal using a wirelessly networked plurality of portable digital devices
US20010051900A1 (en) Interactive display
CA2291060A1 (en) A phone having acces to the internet for the purposes of transacting e-mail, e-commerce, and e-business, and for communicating voice and data
JP2001344545A (ja) 処理システム、サーバ、処理端末、通信端末、処理方法、データ管理方法、処理実行方法、プログラム
US20130325718A1 (en) In-Store Mobile Payment
KR20130012167A (ko) 자동판매기와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제품 판매 장치 및 방법
EP3324370A1 (en) Remotely controllable article dispensing systems, devices, and methods
KR101036681B1 (ko)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02297869A (ja) 販売促進支援装置、販売促進支援方法、販売促進支援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6845960B1 (ja) 決済処理方法及び決済処理装置
KR102008941B1 (ko) 통합 쇼핑몰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220245615A1 (en) Mobile point-of-sale and social marketplace
KR20230047873A (ko) 매 거래를 위해 발행되는 유일 식별코드의 활용시스템 및 그 방법
JP7001733B2 (ja) 情報処理方法
KR20000063159A (ko) 인터넷을 사용한 전자상거래 중개방법 및 시스템
JP2016207149A (ja) 施設利用者管理装置および施設利用者管理システム
KR101707184B1 (ko) 온라인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RU2779962C1 (ru) Система самообслуживания и способ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услуг самообслуживания для пользователя обслуживаемой точки продаж
JP7481052B1 (ja) 情報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7432039B2 (ja) 情報処理方法及び端末
KR20100120570A (ko) 이동통신단말 이용한 마일리지와 휴대폰 결제의 복합 결제 시스템 및 그 복합 결제 방법
JP2002329063A (ja) 商品情報入力端末機及び商品情報入力プログラム
UA91331U (uk) Спосіб здійснення комунікацій між споживачами та постачальниками товарів/послу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