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7771A - 덕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덕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7771A
KR20230047771A KR1020210131020A KR20210131020A KR20230047771A KR 20230047771 A KR20230047771 A KR 20230047771A KR 1020210131020 A KR1020210131020 A KR 1020210131020A KR 20210131020 A KR20210131020 A KR 20210131020A KR 20230047771 A KR20230047771 A KR 20230047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duct assembly
housing
propelle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1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0645B1 (ko
Inventor
김건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니나노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니나노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니나노컴퍼니
Priority to KR1020210131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0645B1/ko
Publication of KR20230047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7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20Rotorcraft characterised by having shrouded rotors, e.g. fly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3Propulsion using external fans or propellers
    • B64U50/14Propulsion using external fans or propellers ducted or shrou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덕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덕트 어셈블리는 비행 장치에 결합되는 덕티드 프로펠러의 구성 요소로 제공되되, 원형 링 형상으로 제공되어 프로펠러의 외측 둘레에 위치되는 덕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덕트 어셈블리는 아크 형상으로 제공되는 덕트 모듈의 결합으로 이루어 진다.

Description

덕트 어셈블리{Duct assembly}
본 발명은 덕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드론 등과 같은 비행 장치에 사용되고, 일부 영역에 파손이 발생한 경우 유지, 보수가 효과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 덕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덕티드 프로펠러는 추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프로펠러와 이를 감싸고 있는 덕트로 구성되어 있다. 덕티드 프로펠러는 정지 또는 저속에서 덕트 입구에 의한 추가적인 추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프로펠러 끝단에 의한 와류를 감소시켜 추진 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프로펠러가 덕트에 의해 둘러쌓여 있으므로 프로펠러의 블레이드가 측방으로 노출되지 않아 보다 안전하다. 또한, 프로펠러에서 발생하는 소음 중 프로펠러 끝단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데, 덕트는 이를 둘러싸고 있어 프로펠러 끝단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는데 도움을 준다.
본 발명은 일부 영역에 파손이 발생한 경우 유지, 보수가 효과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 덕트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비행 장치에 결합되는 덕티드 프로펠러의 구성 요소로 제공되되, 원형 링 형상으로 제공되어 프로펠러의 외측 둘레에 위치되는 덕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덕트 어셈블리는 아크 형상으로 제공되는 덕트 모듈의 결합으로 이루어 지는 덕트 어셈블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덕트 모듈은, 상기 덕트 어셈블리에 있어 원주 둘레 방향에 대응한, 좌우 방향에 따른 형상이 아크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덕트 모듈은, 상기 덕트 모듈의 외형을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있어 좌우 방향 단부 중 하나에 제공되되, 좌우 방향에 수직한 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의 외면보다 내측을 향해 들어간 단차를 형성하게 제공되는 돌출부; 및 상기 하우징에 있어 좌우 방향 단부 중 다른 하나에 제공되고,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형성으로 상기 돌출부가 삽입 가능하게 제공되는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의 외면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되는 전선의 일측 단부가 연결되는 돌출부측 단자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돌출부측 단자에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부측 단자가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일부 영역에 파손이 발생한 경우 유지, 보수가 효과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 덕트 어셈블리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행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덕티드 프로펠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덕트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덕트 모듈을 일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덕트 모듈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덕트 모듈이 서로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행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비행 장치(1)는 바디(10) 및 덕티드 프로펠러(20)를 포함한다.
비행 장치(1)는 덕티드 프로펠러(20)가 제공하는 힘에 의해 비행 가능하게 제공된다. 비행 장치(1)는 드론 등일 수 있다.
비행 장치(1)는 바디(10)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덕티드 프로펠러(20)가 결합되도록 제공된다. 일 예로,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비행 장치(1)는 바디(10)의 좌우 양측 상부에 각각 하나의 덕티드 프로펠러(20)가 제공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덕티드 프로펠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덕트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덕트 모듈을 일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4는 덕트 모듈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5는 덕트 모듈이 서로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덕티드 프로펠러(20)는 프로펠러(210) 및 덕트 어셈블리(220)를 포함한다.
프로펠러(210)는 중심 영역의 회전축(211) 둘레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212)가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도 2에는 회전축(211)의 둘레에 3개의 블레이드(212)가 제공되는 경우가 예시되었다. 회전축(211)은 모터 등과 같은 블레이드 구동부(미도시)에 연결되어, 블레이드 구동부가 제공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된다.
덕트 어셈블리(220)는 원형 링 형상으로 제공되어, 프로펠러(210)의 외측 둘레에 위치된다. 덕트 어셈블리(220)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은 회전축(2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게 제공될 수 있다. 덕트 어셈블리(220)는 복수의 덕트 모듈(2000)이 결합되어 이루어 진다.
덕트 모듈(2000)은 원형 링 형상으로 제공되는 덕트 어셈블리(220)에 있어, 원주 둘레 방향의 일부 구간을 구성하도록 제공된다. 이에 따라, 덕트 어셈블리(220)에 있어 원주 둘레 방향에 대응한, 덕트 모듈(2000)의 좌우 방향에 따른 형상은 아크 형상으로 제공된다.
덕트 모듈(2000)은 하우징(2100), 돌출부(2110) 및 삽입부(2120)를 포함한다.
하우징(2100)의 덕트 모듈(2000)의 외형을 제공한다. 하우징(2100)은 덕트 어셈블리(220)의 둘레 방향에 대응한 좌우 방향의 형상이 아크 형상으로 제공된다.
돌출부(2110)는 하우징(2100)에 있어 좌우 방향 단부 중 하나에 제공된다. 돌출부(2110)는 하우징(2100)의 좌우 방향에 수직한 평면을 기준으로 하우징(2100)의 외면보다 내측을 향해 들어가 단차를 형성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돌출부(2110)의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측 단자(2111)가 제공될 수 있다. 돌출부측 단자(2111)에는 전기 신호, 전력 등의 전달을 위해 제공되고 하우징(2100)의 내측에 위치되는 전선(2130)의 일측 단부가 연결된다.
삽입부(2120)는 하우징(2100)에 있어 좌부 방향 단부 중 다른 하나에 제공된다. 삽입부(2120)는 돌출부(21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되어, 돌출부(2110)가 삽입 가능하게 제공된다. 삽입부(2120)의 내측면에는 돌출부측 단자(2111)에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부측 단자(2121)가 제공될 수 있다. 삽입부측 단자(2121)에는 전기 신호, 전력 등의 전달을 위해 제공되고 하우징(2100)의 내측에 위치되는 전선(2130)의 타측 단부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위치된 덕트 모듈(2000)에 있어, 하나의 덕트 모듈(2000)의 돌출부(2110)가 다른 덕트 모듈(2000)의 삽입부(2120)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덕트 모듈(2000)이 서로 결합되어, 복수의 덕트 모듈(2000)이 링 형상으로 결합되면 덕트 어셈블리(220)가 된다. 그리고, 서로 인접한 덕트 모듈(2000)에 있어, 돌출부측 단자(2111)와 삽입부측 단자(2121)가 서로 연결되면, 서로 인접한 덕트 모듈(2000)의 내측에 위치된 도선(2130)(또는 회로)가 서로 연결되게 된다.
도 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덕트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덕트 모듈(2000a)은 하우징(2100), 돌출부, 삽입부, 유동 제어 부재(2200) 및 구동기(2210)를 포함한다.
하우징(2100), 돌출부 및 삽입부는 도 3 내지 도 5에서 전술한 덕트 모듈(2000)과 동일하므로 반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유동 제어 부재(2200)는 하우징(2100)의 있어 반경 방향 외면(덕트 어셈블리(220)에서 중심을 기준으로 반경 방향을 향하는 외면, 즉 프로펠러가 위치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 외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유동 제어 부재(2200)는 일측 단부가 하우징(2100)에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유동 제어 부재(2200)의 축은 좌우 방향을 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구동기(2210)는 유동 제어 부재(2200)의 축에 연결되어, 유동 제어 부재(2200)가 축을 기준으로 회전되거나 유동 제어 부재(2200)의 위치가 조절되게 하는 동력을 제공한다. 유동 제어 부재(2200)는 하우징(2100)의 주위에서 발생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한다. 구동기(2210)는 하우징(2100)의 내부에 위치되는 도선(2130)에 연결된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덕트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덕트 모듈(2000b)은 하우징(2100), 돌출부, 삽입부 및 지지부(2300)를 포함한다.
하우징(2100), 돌출부 및 삽입부는 도 3 내지 도 5에서 전술한 덕트 모듈(2000)과 동일하므로 반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지지부(2300)는 하우징(2100)에서 있어 중심 방향 외면(즉, 덕트 어셈블리(220)에서 프로펠러가 위치되는 중심을 향하는 외면)에서 외측을 향해 연장되게 제공된다. 지지부(2300)의 길이 방향은 덕트 어셈블리(220)의 중심을 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지지부(2300)는 프로펠러(210)의 회전축(211)이 결합되게 제공될 수 있다. 또다른 예로, 지지부(2300)는 회전되는 프로펠러(210)와 간섭되지 않는 영역에 위치되어, 프로펠러(210) 및 덕트 어셈블리(220)의 내측에 발생하는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덕트 어셈블리(220)는 복수의 덕트 모듈(2000)의 결합이 결합하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덕트 어셈블리(220)에 있어 일부 영역에 파손이 발생한 경우, 해당 영역의 덕트 모듈(2000)을 교체하는 방식으로 유지, 보수가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덕트 어셈블리(220)는 2가지 이상의 덕트 모듈(2000)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필요에 따라 다양한 구조 및 기능을 갖는 덕트 어셈블리(220)가 만들어 질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바디 20: 덕티드 프로펠러
210: 프로펠러 220: 덕트 어셈블리
2000: 덕트 모듈 2100: 하우징
2110: 돌출부 2120: 삽입부

Claims (5)

  1. 비행 장치에 결합되는 덕티드 프로펠러의 구성 요소로 제공되되, 원형 링 형상으로 제공되어 프로펠러의 외측 둘레에 위치되는 덕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덕트 어셈블리는 아크 형상으로 제공되는 덕트 모듈의 결합으로 이루어 지는 덕트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모듈은, 상기 덕트 어셈블리에 있어 원주 둘레 방향에 대응한, 좌우 방향에 따른 형상이 아크 형상으로 제공되는 덕트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모듈은,
    상기 덕트 모듈의 외형을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있어 좌우 방향 단부 중 하나에 제공되되, 좌우 방향에 수직한 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의 외면보다 내측을 향해 들어간 단차를 형성하게 제공되는 돌출부; 및
    상기 하우징에 있어 좌우 방향 단부 중 다른 하나에 제공되고,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형성으로 상기 돌출부가 삽입 가능하게 제공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덕트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외면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되는 전선의 일측 단부가 연결되는 돌출부측 단자가 제공되는 덕트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돌출부측 단자에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부측 단자가 위치되는 덕트 어셈블리.
KR1020210131020A 2021-10-01 2021-10-01 덕트 어셈블리 KR102650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020A KR102650645B1 (ko) 2021-10-01 2021-10-01 덕트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020A KR102650645B1 (ko) 2021-10-01 2021-10-01 덕트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7771A true KR20230047771A (ko) 2023-04-10
KR102650645B1 KR102650645B1 (ko) 2024-03-28

Family

ID=85984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1020A KR102650645B1 (ko) 2021-10-01 2021-10-01 덕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064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93706A (ja) * 2018-12-13 2020-06-1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モータ一体型ファン及び垂直離着陸機
KR20210005609A (ko) * 2018-03-28 2021-01-14 에어본 모터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자체 추진식 추력 발생 제어된 모멘트 자이로스코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5609A (ko) * 2018-03-28 2021-01-14 에어본 모터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자체 추진식 추력 발생 제어된 모멘트 자이로스코프
JP2020093706A (ja) * 2018-12-13 2020-06-1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モータ一体型ファン及び垂直離着陸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0645B1 (ko) 2024-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6261B1 (ko) 수상교통수단의 이중 프로펠러 추진장치
JP5375099B2 (ja) 直列式軸流ファン
JP2019180195A (ja) モータ、遠心ファン
JP4123197B2 (ja) 車両用交流発電機
US20150078939A1 (en) Housing of fan motor
JP2017539193A (ja) ローター組立体およびこれを含むモーター
US20220063820A1 (en) Motor-integrated fluid machine and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KR20170090936A (ko) 추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행체
KR20230047771A (ko) 덕트 어셈블리
JP7238674B2 (ja) 推力発生装置
US11686286B2 (en) Wind power generation apparatus
CN110657118A (zh) 一种双头固定式轴流风机
KR102670791B1 (ko) 림 구동형 회전 장치
US20230272733A1 (en) Cooling fan assembly with water fording features
JP2021020476A (ja) 静謐性を向上した無人飛行体
CN112211832A (zh) 风扇组件
US8167532B2 (en) Cowling
CN219366387U (zh) 风扇结构、涵道风扇和飞行器
CN102710080A (zh) 一种高气流高压直流马达及其组装工艺
JP5694884B2 (ja) アクチュエータ及び車両用ヘッドランプ装置
US20230100236A1 (en) Axial fan
RU2752431C1 (ru) Вертолет на электрической тяге
CN211511964U (zh) 超声驱动手柄及超声换能器的固定密封结构
CN218858682U (zh) 飞行器
JP7275429B2 (ja) 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