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7763A - 해상 누출 오일 수거를 위한 선박 - Google Patents

해상 누출 오일 수거를 위한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7763A
KR20230047763A KR1020210130999A KR20210130999A KR20230047763A KR 20230047763 A KR20230047763 A KR 20230047763A KR 1020210130999 A KR1020210130999 A KR 1020210130999A KR 20210130999 A KR20210130999 A KR 20210130999A KR 20230047763 A KR20230047763 A KR 20230047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ollection
container
seawater
s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0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4129B1 (ko
Inventor
박인섭
Original Assignee
박인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섭 filed Critical 박인섭
Priority to KR1020210130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4129B1/ko
Publication of KR20230047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7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4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4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2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llecting pollution from open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ab- or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46Collection of oil using vessels, i.e. boats, bar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9/0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 B63B79/1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using sensors, e.g. pressure sensors, strain gauges or accelerome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4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sp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상에 누출된 오일을 선박의 운항으로 선체 내부로 유입시켜 순수한 오일만 분리할 수 있는 해상 누출 오일 수거를 위한 선박에 관한 것으로, 선수를 이루는 전방에 오일 수거 공간부가 형성된 선체와, 상기 선체의 전방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해상에 누출된 오일을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오일수거부와, 상기 선체 내부에 구비되어 오일 수거 공간부로 유입되는 오일을 끌어들이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뒤쪽에 구비되어 오일과 해수를 수거하는 수거통과, 상기 수거통의 상부에 구비되어 해수를 제외한 오일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흡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해상 누출 오일 수거를 위한 선박{VESSEL FOR SEAL LEAKAGE OIL COLLECTION}
본 발명은 해상 누출 오일 수거를 위한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해상에 누출된 오일을 선박의 운항으로 선체 내부로 유입시켜 순수한 오일만 분리할 수 있는 해상 누출 오일 수거를 위한 선박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해난사고를 당한 유조선으로부터 누출되는 기름이나 해안에 접한 각종의 공장들로부터 누출되는 해상 폐기물 등으로 인하여 사고발생지역 인근 수역이 오염되는 사례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해상에 누출된 유류는 수면에 부유하면서 인근 해역을 오염시켜 생태계를 완전히 파괴하는데다 복구하는 데에도 수십년 이상 걸리기 때문에 자연환경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게 된다. 이렇게 바다에 심각한 악영향을 주는 폐유는 해수면에 부유하면서 파도나 해류를 타고 급속히 인근해역으로 확산되어 피해 수역을 급속히 확대시키기 때문에, 폐유오염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사고 발생 초기 폐유가 아직 널리 확산되지 않은 상태에서 폐유 제거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종래 해상에 부유하는 폐유를 제거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오염수역 둘레에 폐유확산방지용 오일 펜스를 설치하여 폐유가 더 이상 확산되지 않게 하면서 오염수역에 유처리재를 살포하여 폐유를 화학적으로 분해하는 방식이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폐유 제거방법은, 유처리제에 대한 폐유의 반응성이 약하여 오히려 오염을 가중시키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등 폐유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폐유 확산을 방지하는 오일 펜스가 폐유를 흡착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고 단순히 폐유 확산을 막는 방벽 역할만을 하기 때문에 파도나 풍랑이 심한 경우에는 폐유가 파도를 타고 이 오일 펜스를 넘게되어 방벽 구실조차 제대로 하지 못하는 등 폐유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막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의 방법 이외에 종래에 폐유를 제거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섬유제 흡착포로 폐유를 흡착하여 수거하는 방식이 사용되기도 한다. 이 방식은 폐유를 흡착할 수 있는 흡착포를 수작업으로 살포하여 일정 시간동안 폐유를 흡착하게 한 후 갈고리가 달린 장대로 흡착포를 회수함으로써 해상의 폐유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거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흡착포 사용방식은, 흡착포 살포와 회수작업이 모두 인력에만 의존하는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므로 많은 작업인원을 필요로 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더구나, 흡착포 회수 작업, 특히 폐유와 더불어 해수까지 함께 흡수하여 중량이 무겁고 더구나 해수면의 표면장력까지 작용하는 흡착포를 순수인력으로만 회수하기에는 너무 벅차다. 이에 수거 작업이 아주 더디게 진행되기 때문에 폐유 수거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폐유가 광범위한 수역에 누출된 경우 더욱 부각되며 오염 범위가 넓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흡착포 사용방식은 순수 인력만을 사용하여 흡착포를 살포하고 회수하기 때문에 대규모의 수거인원이 필요하고 폐유수거작업도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51669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선박의 운항으로 해상에 누출된 오일을 선체 내부의 수거통으로 수거하고 흡착부에 의해 해수를 제외한 재사용이 가능한 오일만 단시간에 지속적으로 분리시켜 작업의 효율성 및 자원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해상 누출 오일 수거를 위한 선박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상 누출 오일 수거를 위한 선박은 선수를 이루는 전방에 오일 수거 공간부가 형성된 선체와, 상기 선체의 전방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해상에 누출된 오일을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오일수거부와, 상기 선체 내부에 구비되어 오일 수거 공간부로 유입되는 오일을 끌어들이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뒤쪽에 구비되어 오일과 해수를 수거하는 수거통과, 상기 수거통의 상부에 구비되어 해수를 제외한 오일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흡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거통의 외부에는 흡수부를 통해 해수와 분리된 오일을 수거하는 오일수거탱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수거부는 선체의 전방에 상,하 회전 가능하게 힌지로 연결되는 수거판과, 상기 수거판의 상부 바깥쪽 양끝단에 구비되어 오일이 선체 내부로 흘러 들어갈 수 있도록 유도하는 부력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력구는 오일을 많이 선체 내부로 유도할 수 있도록 선박의 진행방향으로 갈수록 넓은 각을 이루면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력구의 후부에는 오일이 오일 수거 공간부로 원활하게 수거될 수 있도록 차단판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는 오일 수거 공간부에 좌,우로 연결되는 회전바와, 상기 회전바의 외면에 구비되어 오일 수거 공간부 내로 유입되는 오일을 수거통 방향으로 유도하는 회전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거통의 상부 내측에는 오일과 함께 수거되는 해수가 수거통 외부로 넘치지 않도록 해수 유입량을 측정할 수 있는 수위감지센서가 설치되며, 내부에는 수위감지센서에서 감지된 해수 유입량이 일정치 보다 높게 유입되면 펌프를 통해 해수를 배출시켜 해수가 일정 높이를 항상 유지할 수 있도록 해수배출관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흡수부는 수거통의 상부에 구비되되 오일이 유입되는 앞쪽을 제외한 양측과 뒤쪽 상부에 구비되어 해수는 흡착되지 않고 오일만 흡수시켜 수거통 바깥쪽으로 오일을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흡수부는 오일을 흡수하면서 수거통 바깥쪽으로 이동시키는 오일흡수체가 수거통 상부의 내,외측으로 감싸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흡수부는 수거통의 상부에 구비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구비되어 오일을 흡수하면서 수거통 바깥쪽으로 이동시키는 오일흡수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누출 오일 수거를 위한 선박에 의하면, 선체의 전방에 파고에 따라 상,하 유동되도록 구비되는 오일수거부를 통해 선박을 운항함에 따라 해상에 누출된 오일을 선체 내부의 수거통으로 수거하고 수거통의 상부에 구비되는 흡수부에 의해 해수를 제외한 순수한 오일만 분리시켜 재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선박의 운항과 함께 단시간에 오일을 수거하게 되어 오염을 최소화하고 작업능률을 최대화하며 버려지는 오일의 재사용이 가능하여 자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누출 오일 수거를 위한 선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누출 오일 수거를 위한 선박을 도시한 후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누출 오일 수거를 위한 선박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누출 오일 수거를 위한 선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누출 오일 수거를 위한 선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누출 오일 수거를 위한 선박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누출 오일 수거를 위한 선박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절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누출 오일 수거를 위한 선박의 수거통과 흡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따른 수거통과 흡수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따른 수거통과 흡수부를 도시한 절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누출 오일 수거를 위한 선박의 수거통에 수거된 오일을 해수로부터 분리하는 상태를 도시한 절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누출 오일 수거를 위한 선박의 수거통과 흡수부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따른 수거통과 흡수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이란 표현은 전후에 나열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연결되는/결합되는'이란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
실시 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측(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누출 오일 수거를 위한 선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누출 오일 수거를 위한 선박을 도시한 후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누출 오일 수거를 위한 선박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누출 오일 수거를 위한 선박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누출 오일 수거를 위한 선박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누출 오일 수거를 위한 선박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누출 오일 수거를 위한 선박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절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누출 오일 수거를 위한 선박의 수거통과 흡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따른 수거통과 흡수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0은 도 8에 따른 수거통과 흡수부를 도시한 절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누출 오일 수거를 위한 선박의 수거통에 수거된 오일을 해수로부터 분리하는 상태를 도시한 절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누출 오일 수거를 위한 선박의 수거통과 흡수부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따른 수거통과 흡수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누출 오일 수거를 위한 선박은 선체(100)와, 오일수거부(200)와, 회전부(300)와, 수거통(400)과, 흡수부(500)와, 오일수거탱크(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체(100)는 선수를 이루는 전방에 해상에 누출된 오일을 수거하기 위한 오일 수거 공간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일수거부(200)는 선체(100)의 전방에 파고에 따라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해상에 누출된 오일을 수거할 수 있다.
상기 오일수거부(200)는 수거판(210)과, 부력구(220)와, 차단판(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거판(210)은 선체(100)의 전방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h)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수거판(210)은 선체(100)에 힌지(h)로 연결됨으로써 선체(100)의 진행방향으로 발생되는 파고에 따라 상,하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부력구(220)는 수거판(210)의 상부 바깥쪽 양끝단에 구비되어 수거판(210)을 파고에 맞게 부력화시켜 해상의 오일이 수거판(210) 상면을 타고 선체(100) 내부로 흘러 들어가게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력구(220)는 오일을 최대한 많이 선체(100) 내부로 유도할 수 있도록 선박의 진행 방향으로 갈수록 넓은 각을 이루면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판(230)은 부력구(220)의 후부에 오일 수거 공간부(110)까지 연결되어 수거판(210) 상으로 흘러들어오는 오일이 오일 수거 공간부(110)를 통해 선체(100) 내부로 원활하게 수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차단판(230)은 수거판(210)의 상부 양쪽에 수직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300)는 선체(100) 내부에 구비되어 오일수거부(200)를 통해 오일 수거 공간부(110) 내로 유입되는 오일을 끌어들여 수거통(400) 내로 유입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부(300)는 오일 수거 공간부(110)에 좌,우로 연결되는 회전바(310)와, 상기 회전바(310)의 외면에 구비되어 오일 수거 공간부(110) 내로 유입되는 오일을 수거통(400) 방향으로 유도하는 회전날개(3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바(310)에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회전바(31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모터(M)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날개(320)는 회전바(310)의 외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거통(400)은 회전부(300)의 뒤쪽에 구비되어 오일수거부(200)에 의해 오일 수거 공간부(110) 내로 유입되는 오일과 해수를 수거할 수 있다.
즉, 상기 오일수거부(200)를 통해 오일 수거 공간부(110)로 오일과 해수가 유입되면 회전부(300)의 회전으로 오일과 함께 해수가 수거통(40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수거통(400)의 상부 내측에는 오일과 함께 수거되는 해수가 수거통(400) 외부로 넘치지 않도록 해수 유입량을 측정할 수 있는 수위감지센서(41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거통(400)의 내부에는 수위감지센서(410)에서 감지된 해수 유입량이 제어부(C)에 설정된 일정치 보다 높게 유입되면 제어부(C)의 제어에 따라 펌프(P)의 작동으로 해수를 배출시켜 해수가 일정 높이를 항상 유지할 수 있도록 해수배출관(42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흡수부(500)는 수거통(400)의 상부에 구비되어 해수를 제외한 오일만 분리시킬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흡수부(500)는 수거통(400)의 상부에 구비되되 오일이 유입되는 앞쪽을 제외한 양측과 뒤쪽 상부에 구비되어 해수는 흡수되지 않고 오일만 흡수시켜 수거통(400) 바깥쪽에 구비되는 오일수거탱크(600)로 오일을 수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수부(500)는 수거통(400) 안쪽의 오일을 흡수하고 수거통(400) 바깥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오일흡수체(520)가 수거통(400) 상부의 내,외측으로 감싸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오일흡수체(520)는 철(Fe) 또는 구리(Cu) 금속 중 어느 하나 또는 합금으로 이루어진 금속메쉬 또는 금속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환원된 그래핀옥사이드가 적층되어 형성되되, 상기 환원된 그래핀옥사이드의 적층은 + 전극에 연결된 금속메쉬 또는 금속판의 표면에서 용해된 철(Fe) 또는 구리(Cu) 2가이온이 환원된 그래핀옥사이드(GO)의 산소 기능기와 공유결합하여 환원된 그래핀옥사디으들을 상호 연결시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오일흡수체(520)는 이미 공지된 기술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 내지 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흡수부(500)는 수거통(400)의 상부에 구비되는 지지대(510)와, 상기 지지대(510)에 구비되어 오일을 흡수하면서 수거통(400) 바깥쪽의 오일수거탱크(600)로 이동시키는 오일흡수체(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510)는 안쪽이 비어 있는 일정 틀로 이루어져 빈 공간에 오일흡수체(520)가 덮여져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오일수거탱크(600)는 수거통(400)의 바깥쪽에 구비되어 흡수부(500)에서 흡수되는 오일을 받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수거탱크(600)는 흡수부(500)에서 흡수되는 오일을 받을 수 있도록 수거통(400)에 설치되는 흡수부(500)의 전체면 바깥쪽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해상 누출 오일 수거를 위한 선박에 따른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상기 선박을 오일이 누출된 해상으로 운항시켜 상기 선체(100)의 진행방향에 따라 오일이 수거판(210) 상단을 타고 상기 오일 수거 공간부(110) 내로 흘러들어가며, 상기 오일 수거 공간부(110)로 흘러들어가는 오일은 회전부(300)의 회전으로 상기 수거통(40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거판(210)이 힌지(h)로 연결됨으로써 파고에 맞춰 상기 수거판(210)이 상,하로 회전되어 선박의 진행 방향에 있는 오일을 최대한 수거할 수 있으며, 상기 수거판(210) 상단을 타고 오일이 흘러들어갈 때 선체(10))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부력구(220) 및 차단판(230)에 막혀 오일 수거 공간부(110) 내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거통(400) 내로 해수와 함께 오일이 유입되면 상기 흡수부(500)의 오일흡수체(520)가 오일을 흡수하여 수거통(400) 바깥쪽으로 이동시켜 순수한 오일만 오일수거탱크(600)로 수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거통(400) 내에 수위감지센서(410)를 설치함으로써 수거통(400) 내로 오일과 함께 유입되는 해수가 항상 일정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수거통(400) 외부로 해수가 넘치지 않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흡수부(500)를 통해 순수한 오일만 오일수거탱크(600)로 수거할 수 있어 수거된 오일을 바로 재사용할 수 있어 자원 낭비를 줄여 자원 활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선박의 운항과 함께 해상에 누출된 오일을 지속적으로 오일수거부(200)를 거쳐 선체(100) 내부의 수거통(400)으로 유입시키고 오일흡수체(520)로 이루어진 흡수부(500)를 통해 순수한 오일만 분리시키게 됨으로써 단시간에 걸쳐 기름을 회수하여 오염을 최소화하고 기름의 회수율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선체 110 : 오일 수거 공간부
200 : 오일수거부 210 : 수거판
220 : 부력구 230 : 차단판
300 : 회전부 310 : 회전바
320 : 회전날개 400 : 수거통
410 : 수위감지센서 420 : 해수배출관
500 : 흡수부 510 : 지지대
520 : 오일흡수체 600 : 오일수거탱크
C : 제어부 h : 힌지

Claims (10)

  1. 선수를 이루는 전방에 오일 수거 공간부가 형성된 선체;
    상기 선체의 전방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해상에 누출된 오일을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오일수거부;
    상기 선체 내부에 구비되어 오일 수거 공간부로 유입되는 오일을 끌어들이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뒤쪽에 구비되어 오일과 해수를 수거하는 수거통; 및
    상기 수거통의 상부에 구비되어 해수를 제외한 오일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흡수부;를 포함하는 해상 누출 오일 수거를 위한 선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통의 외부에 구비되어 흡수부를 통해 해수와 분리된 오일을 수거하는 오일수거탱크를 더 포함하는 해상 누출 오일 수거를 위한 선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수거부는, 선체의 전방에 상,하 회전 가능하게 힌지로 연결되는 수거판; 및 상기 수거판의 상부 바깥쪽 양끝단에 구비되어 오일이 선체 내부로 흘러 들어갈 수 있도록 유도하는 부력구;를 포함하는 해상 누출 오일 수거를 위한 선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구는 오일을 많이 선체 내부로 유도할 수 있도록 선박의 진행방향으로 갈수록 넓은 각을 이루면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누출 오일 수거를 위한 선박.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구의 후부에는 오일이 오일 수거 공간부로 원활하게 수거될 수 있도록 차단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누출 오일 수거를 위한 선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오일 수거 공간부에 좌,우로 연결되는 회전바; 및 상기 회전바의 외면에 구비되어 오일 수거 공간부 내로 유입되는 오일을 수거통 방향으로 유도하는 회전날개;를 포함하는 해상 누출 오일 수거를 위한 선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통의 상부 내측에는 오일과 함께 수거되는 해수가 수거통 외부로 넘치지 않도록 해수 유입량을 측정할 수 있는 수위감지센서가 설치되며, 내부에는 수위감지센서에서 감지된 해수 유입량이 일정치 보다 높게 유입되면 펌프를 통해 해수를 배출시켜 해수가 일정 높이를 항상 유지할 수 있도록 해수배출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누출 오일 수거를 위한 선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부는 수거통의 상부에 구비되되 오일이 유입되는 앞쪽을 제외한 양측과 뒤쪽 상부에 구비되어 해수는 흡착되지 않고 오일만 흡수시켜 수거통 바깥쪽으로 오일을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누출 오일 수거를 위한 선박.
  9.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부는 오일을 흡수하면서 수거통 바깥쪽으로 이동시키는 오일흡수체가 수거통 상부의 내,외측으로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누출 오일 수거를 위한 선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부는, 수거통의 상부에 구비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구비되어 오일을 흡수하면서 수거통 바깥쪽으로 이동시키는 오일흡수체;를 포함하는 해상 누출 오일 수거를 위한 선박.
KR1020210130999A 2021-10-01 2021-10-01 해상 누출 오일 수거를 위한 선박 KR102624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0999A KR102624129B1 (ko) 2021-10-01 2021-10-01 해상 누출 오일 수거를 위한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0999A KR102624129B1 (ko) 2021-10-01 2021-10-01 해상 누출 오일 수거를 위한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7763A true KR20230047763A (ko) 2023-04-10
KR102624129B1 KR102624129B1 (ko) 2024-01-10

Family

ID=85984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0999A KR102624129B1 (ko) 2021-10-01 2021-10-01 해상 누출 오일 수거를 위한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412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0731U (ko) * 1990-06-18 1992-01-27 금동조명 주식회사 유리관 절단장치
KR200142647Y1 (ko) * 1995-07-29 1999-06-01 정명길 폐유수거선
KR19990086016A (ko) * 1998-05-25 1999-12-15 김복중 기름 수거용 선박 및 수거방법
JP2003001006A (ja) * 2001-06-21 2003-01-07 Mitsubishi Electric Corp 油水分離排水装置及び油水分離排水方法
KR100851669B1 (ko) 2008-02-28 2008-08-18 김주회 유출유 확산방지 및 회수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0731U (ko) * 1990-06-18 1992-01-27 금동조명 주식회사 유리관 절단장치
KR200142647Y1 (ko) * 1995-07-29 1999-06-01 정명길 폐유수거선
KR19990086016A (ko) * 1998-05-25 1999-12-15 김복중 기름 수거용 선박 및 수거방법
JP2003001006A (ja) * 2001-06-21 2003-01-07 Mitsubishi Electric Corp 油水分離排水装置及び油水分離排水方法
KR100851669B1 (ko) 2008-02-28 2008-08-18 김주회 유출유 확산방지 및 회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4129B1 (ko) 2024-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53500B (zh) 一种水上漂浮物清理装置及其清理方法
CN101596930B (zh) 海上浮油收集船
JP5822644B2 (ja) 海水の浸透取水におけるろ過層の洗浄装置
KR20180076882A (ko) 유분리 막을 구비하는 오일 펜스
EP2157055A1 (en) An auto-separation and recovery device for oil-water and a combined marine oil-water auto-separation and recovery system thereof
KR101732896B1 (ko) 해상 유출기름 회수장치
CN109736277B (zh) 一种海上快速吸污装置及其吸污围栏和吸污围栏系统
KR102328587B1 (ko) 유동적 유출 오일 회수 장치
CN103255749A (zh) 一种海上浮油收集装置
CN112813940A (zh) 一种用于水面清理的智能油水分离装置
CN104563073A (zh) 一种筒形高效吸油装置
CN103649416B (zh) 抽吸式浮子和收集装置以及收集船
KR20230047763A (ko) 해상 누출 오일 수거를 위한 선박
KR20140009958A (ko) 해상에 유출된 기름 회수와 오염물질 청소용 특수선박
KR200377428Y1 (ko) 유출유 회수 네트
CN205329662U (zh) 一种围油式吸油拖栏
CN107130570A (zh) 一种水面垃圾打捞系统
KR20180001295U (ko) 해양 유출 기름 회수기.
KR20020017631A (ko) 자연순환식 유수분리 장치
KR101383299B1 (ko) 리튬 회수 스테이션
CN209958311U (zh) 一种海上快速吸污装置、吸污围栏和吸污围栏系统
CN210104687U (zh) 一种刮式吸污装置及其吸污围栏和吸污围栏系统
KR101354048B1 (ko) 기름 회수 장치
KR0178109B1 (ko) 하천 및 해양에 유출된 기름 수거장치
CN103422479B (zh) 溢油收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