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2647Y1 - 폐유수거선 - Google Patents

폐유수거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2647Y1
KR200142647Y1 KR2019950040226U KR19950040226U KR200142647Y1 KR 200142647 Y1 KR200142647 Y1 KR 200142647Y1 KR 2019950040226 U KR2019950040226 U KR 2019950040226U KR 19950040226 U KR19950040226 U KR 19950040226U KR 200142647 Y1 KR200142647 Y1 KR 2001426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eawater
waste oil
waste
col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02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5630U (ko
Inventor
정명길
Original Assignee
정명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명길 filed Critical 정명길
Priority to KR20199500402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2647Y1/ko
Publication of KR9700056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6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26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26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2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llecting pollution from open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2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onveyers, e.g. of endless-belt or screw-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Abstract

[목적] 해수면에 유출된 페유을 신속하고 능률적이며 해양을 오염시키지않고 경제적으로 수거할수있는 수면용 페유수거선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선저 [구성] 갑판과 선저 사이부분을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비워 해수통로(12)를 삼고,해수통로(12)의 양쪽에 선미로 부터 선수쪽으로 수집실(2a)과 저유실(2b)을 설치하며,수집실(2a)의 해수통로면에는 선수쪽으로 기운 레일(8)을 부착하고 승강식 기름막이(9)를 설치하며,선수에는 부력체로서 수면위로 걷을 수 있는 기름걷이(3a,b)를 연결구(22)를 이용하여 설치하고, 선상에는 기름걷이와 폐유 및 쓰레기양육용 크레인(5)을 설치하며, 해수통로(12)의 선미쪽에는 해수통로측 해수의 신속배출용 보조추력장치(6)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면용 폐유수거선.

Description

폐유수거선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폐유수거선의 부분절개 측면도
제2도는 동 평면도
제3도는 선체의 후반부 일부를 절개한 측면도
제4도는 수집실의 종단측면도
제5도는 기름걷이의 정면도
제6도는 오물인양용 컨베이어와 털이장치의 발췌도
제7도는 오물인양용 컨베이어와 털이장치의 인접부 발췌도
제8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폐유수거선의 측면도
제9도는 동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a : 수집실 2b : 저유실
3a,b : 기름걷이 4 : 컨베이어
5 : 크레인 6 : 보조추력장치
7a,b : 원치 8 : 레일
9 : 기름막이 10 : 유입구
11 : 해수배출구 12 : 해수통로
13 : 폐유이월구 18-털이장치 19a,b : 와이어
21 : 주름판 22a : 유니버설 조인트
본 고안은 해수면에 떠 다니는 페유를 수거하는 폐유수거선에 관한 것이며, 특히 해상 부유물을 분리수거할 수 있게 한 폐유수거선에 관한 것이다.
선박충돌, 선박침몰과 같은 해난사고에서는 선박에서 유출된 다량의 기름이 바다를 오염시켜 갖가지 부작용을 낳게 되므로 선박사고가 발생하면 가급적 빨리 폐유를 수거해서 오염으로 인한 피해를 줄여야 한다.
해수면에 유포된 기름을 동력선으로 수거하기 알맞게 제작된 것이 폐유수거선이다. 그 좋은 본보기로 일본국 실개 소61-287893호가 있다. 그런데, 이 폐유수거선은 해수면의 폐유는 나름대로 수거하기에 적합하지만 폐유와 함께 부유하는 부유물을 수거하기에는 부적합하거나 불가능하다.
본 고안의 목적은 폐유는 폐유대로 부유물은 부유물대로 분리수거하므로서 해수의 오염을 줄일수 있는 폐유수거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항해중 선수측의 유입구로 유입되는 해수중 폐유를 포집하여 저유조로 모이게 하고 해수는 배출토록 한 폐유수거선에 있어서, 통로상에 부유물을 걷어 올리는 컨베이어를 설치하고, 선체의 일측에는 수거한 부유물을 저장하는 부유물 저장실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 바람직한 실시예를 토대로 작성한 첨부도면에 따라 구체적으로 본 고안을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7도는 본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해수면 폐유수거선에 관한 것으로, 수집실(2a)과 하나 이상의 저유실(2b )을 갖춘 선체(1)와, 이 선체(1)의 선수에서 해수면의 유류 또는 해상쓰레기를 모두어 들이는 기름걷이(3a,b), 해상쓰레기인양용 컨베이어(4), 기름걷이를 들어올릴 때와 수거한 폐유나 쓰레기를 하역할 때 이용하는 크레인(5), 선체내 해수통로로 유입되는 물을 신속히 선미쪽으로 흘려보내는 보조추력장치(6)로 구성된다.
선미를 제외한 갑판과 선저 사이의 복판 내부는 비워서 폐유와 함께 통로로 들어 온 해수가 곧장 선미로 빠져나갈 수 있는 해수통로(12)를 형성한다. 수집실(2a)은 선복의 후미 죄우에 균형있게 형성한다. 또, 수집실(2a)의 해수통로측 벽면에는 앞을 보고 하향구배진 레일(8)을 부착하고, 양레일(8)간에 기름막이(9)를 설치한다. 기름막이(9)는 승강식이며, 선수쪽에서 유입되는 폐유나 쓰레기가 선미쪽으로 그대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일시적으로 저지하여 가두기 위한 것이다. 폐유수거시에는 기름막이(9)의 하단부를 수면 아래에 잠기도록 내려서 해수통로로 유입되는 폐유가 걸리도록하고, 폐유수거작업을 하지 않고 항해만 할 경우에는 수면 위로 올려서 해수에 의한 저항을 받지 않도록 해 폐유수거선의 순항을 돕는다.
수집실(2a)에서 해수면보다도 약간 높은 곳에서 상기 기름막이(9)의 앞에는 유입구(10)를 형성하고, 수집실(2a)의 갑판부분은 틔워서 걷워들인 폐유나 부유물이선체(1)밖으로 배출되기 쉽게 하고, 수집실(2a)과 각 저유실(2b)의 앞 뒷벽 하단에는 폐유와 함께 유입된 해수 및 각 저유실(2b)내의 물이 빠져나갈 수 있는 해수배출구(11)와, 수집실(2a)내의 유면이 일정수준에 도달하면 저유실(2b) 그리고 저유실(2b)내의 폐유가 일정수준에 이르렀을 때에 후속 저유실로 폐유가 저절로 이월되도록 한 폐유이월구(13)를 설치한다.
기름걷이(3a,b)는 부력체이다. 또, 해수면을 운항할 때 저항을 덜받는 형상의 것으로한다. 도면에서는 막대기형 고무튜브로 나타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그 밖의 다른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기름걷이(3a,b)는 해수면에 떠 다니는 나무토막과 같은 부유물이 부닥치더라도 터지지 않고 버텨야 하고, 운항시에는 파고에 의하여 상하로 유동될 가능성에 대하여도 대비한다. 이점을 고려하여 기름걷이(3a,b)는 인장강도가 크고 두꺼운 고무튜브이며, 저면에는 추(14)가 달린 막이(15)를 부착한다.
또한 운항중에는 해수면으로 부터 기름걷이(3a,b)가 받는 저항이 매우크고, V자형 기름걷이(3a,b)는 좌우가 균형을 읽어 어느 한쪽으로 쏠릴 가능성이 있다. 그리되면 기름걷이(3)의 기능이 저하될 것은 뻔한 일이다.
그러므로 어떻게든 V자형 기름걷이(3a,b)가 벌어지지 않도록 방지할 적절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래서 양쪽 기름걷이(3a,b)끼리 소정의 길이를 가진 와이어 로우프나 체인 등의 줄 (16)로 묶어서 그 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 선수와 기름걷이(3a,b)의 후미간에는 주름판(21)을 부착하여 기름걷이(3)의 상하 및 죄우로의 유동성에 대비함과 동시에 기름걷이(3a,b)로 모아들이는 폐유나 해상쓰레기가 선수 옆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저지한다. 연결기구(22)로는 선수와 기름걷이(3)의 후미간을 연결하여 상하유동성에 대처하고 기름걷이(3)의 인양편의도 도모한다.
컨베이어(4)는 해상쓰레기수거용이며, 해상쓰레기를 수거할 때는 수면이하로 컨베이어(4)의 선단을 내리고 비수거시에는 수면 위로 들어올리게되어 있다. 승강기구(17)는 바로 이 컨베이어(4)를 올리고 내리는 기구이며, 유압실린더, 체인 크레인, 호이스트 등이 있다. 기단은 갑판에 별도로 세운 기둥에 매달고 체인 등의 선단은 컨베이어(4)의 선단부근에 연결한다.
특히 기름기가 묻은 해상쓰레기는 물기와 전성때문에 걷워올린 후 수집통으로 떨궈내기가 여의치 않다. 이 점을 감안, 컨베이어(4)의 후위에 털이장치(18)를 설치하여 컨베이어(4)의 각 날개에 걸린 검불, 달라붙은 기름기묻은 오물 등을 말끔히 걷어 수집통으로 떨구게 한다.
제6,7도에서, 컨베이어(4)의 표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폭방향으로 나란한 홈(4a)을 내고, 날(4b)은 다공체로 하며, 털이장치(18)의 날(18a)은 상기 컨베이어(4)의 날(4b)에 상응하도록 구성하되 꼭지점에 상기 홈(4a)에 상대하는 뿔(18b)을 형성한다.
날(4b,18a)를 다공체로 한 것과 홈(4a)은 수거한 쓰레기중의 물기를 속히 빼기 위한 것이고, 홈(4a)과 뿔(18b)은 컨베이어(4)의 표면에 묻은 기름기, 잡물까지도 말끔히 긁어내어 떨구기 위한 것이다.
기름걷이(3a,b)가 선수의 앞쪽으로 길게 나와 있어서 폐유 또는 해상쓰레기수거작업을 실시하지 않거나 항해 및 정박시에는 불편하다. 이점을 고려한 것이 크레인(5)이다. 이 크레인(5)은 360°자유선회식이며, 거기서 와이어(20)를 풀어서 후크로 상기 줄 (16)의 한가운데를 걸어서 와이어(20)를 감아들이면 기름걷이(3a,b)가 수면위로 들리고, 와이어(20)를 풀면 다시수면에 뜬다. 보조추력장치(6)는 해수통로로 유입되는 해수를 선미로 신속히 빠져나가도록 도와주는 것으로, 해수통로의 후미쪽에서 가급적 낮게 설치한다. 보조추력장치(6)를 갖춤에 따라 폐유수거능률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제8,9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선미측 갑판의 좌우에 기름걷이 (3a,b)의 벌림각을 조정하기 위한 윈치(7a,b)를 설치하고, 일측윈치(7a)에서 풀어낸 와이어 (19b)는 일측 기름걷이(3a)를 휘돌아 반대편 기름걷이(3b)에 묶어 매고 다른 윈치(7b)의 와이어(19b)는 다른 기름걷이(3b)를 경유하여 상기 일측 기름걷이(3a)에 묶어맨 것이다. 윈치(7a,b)로 와이어(19a,b)를 감아들이면 기름걷이(3a,b)간의 벌림각이 좁혀들고 반대로와이어(19a,b)를 풀고 항진하면 해수의 저항을 받아 전개된다. 이같은 기름걷이(3a,b)의 전개각도조정은 해수면에 뜬 기름띠나 해상쓰레기의 폭,두께 등에 따라 실시한다.
이와 함께 기름걷이(3a,b)의 상하 및 좌우유동성에 대비하고 들고 내리기 편하게 하기위하여 상기 연결기구(22)를 유니버설 조인트식 연결기구(22a)로 대체한 것이다.
본 고안의 폐유수거선에 있어서, 수집실(2a)에 모인 폐유를 저유실(2a)로 옮기는 다른 방법은 저유실(2b)의 갑판에 투입구를 마련하고 뚜껑을 덮어두는 방법이 있다. 이 경우 수집실(2a)의 폐유는 저유실 (2b)로 퍼옮길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폐유수거선은 기름걷이 (3a,b)컨베이어 (4)를 수면위로 들어올린 채로 기름유출사고해수면 또는 해상쓰레기가 널린 지역으로 항진한 다음 폐유수거시에는 기름걷이(3a,b)만 내린다
해수면의 폐유는 기름걷이(3a,b)에 의해 모아져서 선수쪽 해수통로로 유입된다. 그리하여 선체(1)내로 들어온 폐유는 기름막이 (9)에 의해 저지당하고, 함께 들어온 해수는 기름막이 (9)밑을 통과해 보조추력장치(6)에 의해 신속히 선미로 빠져나간다.
이렇게 모아들인 폐유는 유입구(10)를 통해 일단은 수집실(2a)에 고인다. 수집실(2 a)내에 폐유가 어느정도 고이면 폐유이월구(13)를 거쳐 수집실(2a)에 인접한 제 1저유실(2b)로 이월된다. 이때, 수집실(2a)과 각 저유실(2b)에 해수가 담기면 비중때문에 바닥에 모인다. 각 실의 해수는 해수배출구(11)가 연통해 있으므로 모두 수집실(2a)로 빠져나갈 수 있다.
따라서 폐유수거에 장애가 될 정도로 해수가 많이 들어찬 경우에는 수집실(2a)의 선미쪽 밸브(24)를 개방하여 빼낸다.
폐유수거작업이 계속 진행됨에 따라 제2,3,4,... 저유실도 폐유로 들어차면 폐유수거선에 폐류운반선을 접안시켜 그리로 옮겨 싣든가 혹은 연안에 접안시켜 뭍으로 양육하고 폐유수거선을 비운다. 해수면의 폐유수거작업을 마친 후에는 크레인(5)으로 기름걷이(3a,b)를 들어올리고 정박처로 항진한다. 부유물을 수거하려면 기름걷이(3a,b)가 내려진 상태에서 컨베이어(4)의 선단부를 통로내의 수면 아래로 내린다. 그 작업은 승강기구(14)에 의한다. 그리고 수집실(2a)은 말끔히 비우고 그래도 방치하든가 혹은 별도의 쓰레기통을 넣어두고 상기의 요령에 따라 해상쓰레기가 산재한 해역으로 출동한다.
기름걷이(a,b)에 의해 모아진 해상쓰레기는 컨베이어(4)에 실려 올라온 뒤 털이장치(18)에 의해 털린다. 털이장치(18)에서 털려진 해상쓰레기는 수집실(2a)이나 거기에 있던 쓰레기통에 담긴다. 털이장치(18)는 특히 기름기묻은 부유물, 검불, 끈 같이 컨베이어(4)의 날에 끼거나 달라붙어서 그대로는 떨구기 곤란한 것까지도 말끔하게 털어낼 수 있어 컨베이어(4)의 청소에 아주 효과적이다.
부유물수거작업이 계속 진행됨에 따라 수집실(2a) 또는 쓰레기통 혹은 갑판이 수거한 부유물이 가득차면 쓰레기 수송선을 근접시켜 그리로 옮겨 싣든가 혹은 연안이나 항구로 항해하여 선체를 접안시킨 다음 뭍으로 거둔 부유물을 이양한다. 부유물수거작업을 마친 후에는 크레인(5)으로 기름걷이 (3a,b)를 들어올리고 정박처로 항진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해수면에 떠 다니는 폐유를 유흡착제나 유분해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신속하고 능률적으로 , 성력적, 경제적으로 수거할 수 있는데다 해상 부유물용 청소선으로서도 유용하다,

Claims (1)

  1. 갑판과 선저 사이부분을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비운통로 해수(12)의 양안에 수집실(2a)과 저유실 (2b)이 설치되고, 수집실(2a)의 해수통로면에는 선수쪽으로 기울게 부착한 레일(8)에 승강식 기름막이(9)가 설치되고, 선수에는 부력체로서 수면위로 걷을 수 있는 기름걷이 (3a,b)가 연결구(22)로 설치된 것에 있어서, 해수 통로(12)상에 부유물수거용 컨베이어(4)를 설치하고, 컨베이어(4)의 후미에는 부유물용 털이장치(18)를 설치한 폐유수거선.
KR2019950040226U 1995-07-29 1995-12-12 폐유수거선 KR2001426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0226U KR200142647Y1 (ko) 1995-07-29 1995-12-12 폐유수거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23037 1995-07-29
KR19950023037 1995-07-29
KR2019950040226U KR200142647Y1 (ko) 1995-07-29 1995-12-12 폐유수거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5630U KR970005630U (ko) 1997-02-19
KR200142647Y1 true KR200142647Y1 (ko) 1999-06-01

Family

ID=70859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0226U KR200142647Y1 (ko) 1995-07-29 1995-12-12 폐유수거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264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921B1 (ko) * 2008-11-28 2011-08-09 현무산업 주식회사 부유물 수거선
KR101295116B1 (ko) * 2010-08-19 2013-08-09 박청동 기름수거선박
KR20230047763A (ko) * 2021-10-01 2023-04-10 박인섭 해상 누출 오일 수거를 위한 선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921B1 (ko) * 2008-11-28 2011-08-09 현무산업 주식회사 부유물 수거선
KR101295116B1 (ko) * 2010-08-19 2013-08-09 박청동 기름수거선박
KR20230047763A (ko) * 2021-10-01 2023-04-10 박인섭 해상 누출 오일 수거를 위한 선박
KR102624129B1 (ko) * 2021-10-01 2024-01-10 박인섭 해상 누출 오일 수거를 위한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5630U (ko) 1997-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33876A (en) Spilled oil retriever and anti-water pollution water craft
US8025460B2 (en) Ocean oil spill and contaminated sea ice containment, separation and removal system
US7785035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material from water system and uses of apparatus
US4551244A (en) Spilled oil processing catamaran
US3612280A (en) Oil-skimming apparatus
US4119541A (en) Arrangement for disposing of fluid floating matter
TWI419814B (zh) 撇油駁船
WO2020083835A1 (en) A marine vessel for removing debris particles in a water column
US4146344A (en) V-shaped oil containment boom
US836694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ecting material from water systems
KR101066567B1 (ko) 부유물 수거용 선박
KR102137352B1 (ko) 부유물 수거 선박
KR200142647Y1 (ko) 폐유수거선
US3938274A (en) Oceanic fishing system
US4054525A (en) Oil skimming apparatus
CN201792995U (zh) 海上漂浮垃圾回收船
JP3910696B2 (ja) 油回収装置、および油回収船
WO2003091093A1 (en) Vessel
Noerager et al. Oil tracking, containment, and recovery during the Exxon Valdez response
KR20020089937A (ko) 해저 폐기물 수거장치 및 그 예인선
KR20180012002A (ko) 폰툰 데크 배수 시스템을 구비하는 수리용 부선거
KR0146809B1 (ko) 유출유 수거선
FI20187031A1 (fi) Öljyntorjuntayksikkö
US446832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up surface water
CN117341909A (zh) 一种能够回收海洋漂浮废油或化学品的水上航行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