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6809B1 - 유출유 수거선 - Google Patents

유출유 수거선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6809B1
KR0146809B1 KR1019950049664A KR19950049664A KR0146809B1 KR 0146809 B1 KR0146809 B1 KR 0146809B1 KR 1019950049664 A KR1019950049664 A KR 1019950049664A KR 19950049664 A KR19950049664 A KR 19950049664A KR 0146809 B1 KR0146809 B1 KR 0146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ollecting
deck
collection
h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9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2085A (ko
Inventor
이성진
조만조
박경종
임채윤
Original Assignee
이성진
주식회사고려선박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진, 주식회사고려선박기술 filed Critical 이성진
Priority to KR1019950049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6809B1/ko
Publication of KR970042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2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6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68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2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llecting pollution from open water

Abstract

이 발명은 해상 유출유와 부유물을 효과적으로 수거할수 있는 유출유 수거선에 관한 것임. 수거선은 좌우 2개의 동체(11),(12)와 전술한 좌우 동체사이에 길이방향의 두 수거통로(15),(16)가 형성되도록 위치하는 중앙동체(13)를 갖고있으며, 이들 동체들은 갑판으로 연결되었으며 수거통로에는 유류 수거장치(2)와 부유물 수거장치(3)가 선단부를 승강시킬수 있게 설치되었음. 유류 수거장치는 브러시(26')를 갖고있는 컨베이어 벨트(26)로 형성되었고 부유물 수거장치는 철망으로 형성된 컨베이어 벨트(36)로 구성되었음. 갑판위에는 부유물 이송라인과 부유물 이송크레인이 설치됨.

Description

유출유 수거선
제1도는 본 발명에의한 유출유 수거장치와 부유물 수거장치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위하여 선체의 윤곽선을 도시한 측면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에의한 수거선의 평면도.
제3도는 제2도 Ⅲ-Ⅲ선 단면 개략도.
제4도는 본 발명에의한 유출유 수거용 컨베이어 벨트를 보여주는 측면 개략도.
제5도는 본 발명에의한 부유물 수거용 컨베이어 벨트를 보여주는 측면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선체 2 : 유출유 수거장치
3 : 부유물 수거장치 4 : 크레인
11,12 : 좌우동체 13 : 중앙동체
14 : 갑판 15,16 : 수거통로
17,18,19 : 유류저장실 20,21 : 경사면
22,23 : 경사면 24 : 하치장
25 : 프레임 26 : 컨베이어 벨트
26' : 브러시 27 : 유압모우터
28 : 로울러 29 : 압착로울러
3 : 유류수집조 31 : 설치구멍
32 : 난간 33 : 힌지
34 : 유압승강장치 35 : 프레임
36 : 컨베이어 벨트 37 : 힌지
38 : 유압승강장치 39 : 설치구멍
40,41 : 부유물이송라인 43 : 조타실
44 : 스크류
본 발명은 유출유 수거선에 관계되는 것으로서, 특히 해양에 유출된 유출유를 효과적으로 수거할수 있게 된 유출유 수거선에 관한 것이다.
선박, 특히 유조선의 좌초등에 의한 선박사고시 선박에서 유출되는 유출유는 해양 환경오염에 심각한 문제점을 제기하고 있다. 유출유 제거방법으로는 유출유를 화학적으로 처리하는 방법과 유류 흡착제로 흡착 제거하는 방법 및 수거 선박을 이용하여 수거하는 방법등이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화학적인 처리방법은 처리제가 해저로 침강되면서 2차 환경오염을 일으키고 있어서 그 사용에 여러가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고, 유류 흡착제를 이용하는 방법은 유류가 흡착된 고형 흡착제로부터 유류를 제거하기위하여 연소시켜야하므로 연소시 2차 환경오염의 문제가 나타난다. 반면 수거선박을 이용한 수거방법은 수거된 유류를 재사용하거나 또는 연소기에서 연소시킬수 있으므로 가장 효과적인 유출유 제거방법이지만 현재까지는 유출유를 효과적으로 수거할수 있는 수거선박이 개발되지 않고 있다.
종래의 유출유 수거선은 좌우 2개로된 수거선의 선저 중앙부에 브러시를 갖는 회전 로울러를 설치하여 로울러를 회전시키므로서 수면의 유류가 브러시에 붇어서 수거되도록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수거선은 브러시에 묻어있는 유류의 수거가 어려울뿐만아니라 파도가 있는 경우에는 수면의 오일층이 브러시 위를 그대로 통과하게되므로 효과적인 수거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리고 수면에 유류외에 고형부유물이 있는 경우에는 이러한 고형물이 브러시에 부착되어 로울러의 회전을 방해하는 문제점도 나타났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 유출유 수거선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개선하고 효과적으로 유류와 함께 부유물도 제거할수 있는 유출유 수거선을 제공하기위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선체를 선저에 2개의 수거 통로가 형성되도록 좌우2개의 동체와 중앙동체로된 3동선으로 형성하고 선저의 2개 수거통로에 고형부유물 수거 장치와 유류 수거장치를 설치하여서된 본 발명의 유출유 수거 선박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은 좌우 2개의 동체, 선저에 2개의 수거 통로가 형성되도록 좌우 동체사이에 형성된 중앙동체 및 전기한 좌우동체와 중앙동체를 서로 연결하는 갑판으로 구성된 선체, 전기한 수거 통로 상방의 갑판 전방에 형성된 설치 구멍에 설치되는 부유물 수거장치와 전기한 부유물 수거장치의 후방에 설치된 유출유 수거장치를 포함하는 유출유 수거선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따르면 선체는 부양력을 갖는 3개의 동체로 구성되는바, 이들 3개의 동체는 내부가 비어있어서 수거된 유류의 저장실을 구성하도록 되었다, 그리고 이 3개의 동체 내부에는 저장된 유류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격벽이 형성되었다. 전술한 3개의 동체는 선체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위치하고 있으며 동체의 상면은 수평한 갑판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있어서 각개 동체 사이에는 수거 통로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었다. 통상적인 상태에서는 해수면이 전술한 갑판 저면에서 일정한 거리 떨어진 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갑판은 단일판으로 형성될수 있으나 2중판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선체의 동체를 3개로 형성하면 선체의 롤링을 방지하므로 운항 또는 유류 수거작업시 파도가 쳐도 선체의 요동이 어느정도 방지되어 안전하게 된다.
전술한 3개의 동체중 좌우동체의 선단은 각각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었고 중앙동체의 좌우로 경사지게 형성되었다. 따라서 선체의 전체선폭 전방에 있는 유류나 부유물들은 좌우 동체의 경사면에 따라 두 수거통로로 모이게 되므로 선체 전방의 모든 유류나 부유물들을 수거할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고형 부유물 수거장치와 유류 수거장치는 좌우 수거 통로 상방의 갑판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 설치구멍에 전방으로 경사지게 설치하되 부유물 수거 장치가 유류 수거장치의 전방에 놓이도록 설치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고형 부유물 수거 장치와 유류수거 장치의 배치는 유류를 수거하기전에 해상에 떠있는 고형 부유물을 미리 수거하므로서 고형물이 유류와 함께 수거되어 유류에 혼입되지 않도록하는 이점을 갖고 있다.
또한 전술한 부유물 수거 장치와 유류 수거장치는 후단부가 갑판위로 돌출되고 선단부는 해수면속으로 삽입되도록 설치하되 후단부를 힌지에 의하여 회동되게 갑판에 설치하고 선단부는 피스톤/실린더 장치와 같은 승강장치에 연결하여 승강시킬수 있게 설치한다.
전술한 유류 수거 장치는 유압 모우터에 의하여 회동하는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는바, 이 컨베이어 벨트는 표면에 유류가 부착 이송되는 부러시를 갖고있다. 그리고 전술한 컨베이어 벨트의 후단부에는 압착 로울러가 설치되어 브러시에 묻어서 이송되는 유류를 압착제거하게 되었는데, 이 압착 로울러는 브러시와의 접촉에의하여 회동하는 피구동 로울러, 구동로울러 또는 고정 로울러로 구성될수 있다.
그리고 고형부유물 수거장치는 유류 수거장치와 유사한 형태의 컨베이어 벨트로 구성되었으나 브러시 대신 철망또는 망판으로 구성되었고 컨베이어 벨트후단에 압착 로울러를 갖고 있지 않다.
본 발명에있어서 선수 갑판의 선단은 좌우 동체의 선단까지 연설되었으며, 이 선수갑판의 상면은 고형 부유물 하치장으로 이용되게 되었다, 그리고 갑판 상면에는 부유물 수거 장치로부터 수거된 고형 부유물을 선수갑판 상면의 하치장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가 설치되어있으며, 또한 갑판중앙에는 하치장에 수거된 고형 부유물을 운반선으로 옮기거나 또는 양육시키기위한 크레인이 설치되었다. 이러한 고형 부유물 이송 컨베이어와 크레인은 수거된 고형 부유물의 이송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유출유 수거선는 후미에 통상의 선박과 같이 조타실, 기관실등이 설치되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의한 유출유 수거선박의 측면 개략도로서, 수거선은 선체(1), 유류 수거장치(2) 고형물 수거장치(3)및 크레인(4)를 갖고있으며, 후미에는 조종실이 설치되었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따르면 선체(1)는 좌우 2개의 중공동체(11),(12)와 중앙동체(13)및 전기한 좌우동체(11),(12)를 연결하는 갑판(14)을 포함하는바, 중앙동체(13)와 좌우동체(11),(12)사이에는 좌우 수거통로(15),(16)가 형성된다. 전술한 동체(11),(12),(13)의 내부는 수거 유류 저장실(17),(18),(19)를 형성한다. 전술한 좌우동체(11),(12)는 대향되게 형성된 내향 경사면(20),(21)을 갖고있으며, 중앙동체(13)은 그 선단(13')에서 양측으로 경사진 경사면(22),(23)을 갖고있어서 선체 전방의 유류가 두 수거통로(15),(16)으로 모이게 되었다. 갑판(14)의 선단은 전술한 동체(11),(12),(13)의 선단 전방까지 연설되었으며, 갑판(14)의 선수부분 상면은 부유물 하치장(24)으로 이용되도록 하였다.
유류 수거장치(2)와 부유물 수거장치(3)는 수거통로상방에 설치되는바, 부유물 수거장치(3)가 전방에 설치되고 유류 수거장치(2)는 후방에 설치되었다. 전술한 유류 수거장치(2)와 부유물 수거장치(3)는 각개 수거 통로(15),(16)상방에 각각 2개 1조로 설치되는바, 이들은 동일한 구조로 되었으므로 이하 설명에서는 수거 통로(15)상방의 유류 수거장치(2)와 부유물 수거장치(3)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전술한 유류 수거장치(2)는 프레임(25)에 브러시(26')를 갖는 컨베이어 벨트(26)가 유압 모우터(27)로 회전하게된 로울러(28)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설치되었고, 컨베이어 벨트 후단부에는 브러시(26')에 묻어있는 유류를 짜내는 압착 로울러(29)가 동일한 프레임(25)에 설치된 구조로 되었다. 따라서 컨베이어 벨트(26)의 브러시(26')에 묻어서 올라오는 유류는 압착로울러(29)에의하여 로울러(29)하방의 유류 수집조(30)속으로 낙하하게 된다.
전술한 유류 수거장치(2)는 수거통로(15)상방의 갑판에 형성된 구멍(31)에 설치되는데, 구멍(31)주변에는 난간(32)이 입설되었다. 유류 수거장치(2)의 프레임(25)선단은 구멍(31)주연부의 갑판에 힌지(33)에 의하여 회동될수 있게 축설되었으며, 유류 수거장치(2)의 후단은 피스톤/실린더 장치와 같은 유압승강장치(34)에의하여 난간(32)에 승강될수 있게 연결되었다. 따라서 전술한 컨베이어 벨트(26)는 유압 승강장치에 의하여 사용시는 선단부가 수거통로의 수면속으로 삽입되게 하강되고 운항시나 또는 청소시는 거의 갑판 높이로 상승될수 있게 된다.
전술한 고형 부유물 수거 장치(3)는 유류 수거장치(2)와 유사한 구조의 프레임(35)과 컨베이어 벨트(36)을 갖고있으며 유류 수거장치(2)와 같이 선단부가 승강될수 있게 힌지(37)와 유압 승강장치(38)에의하여 갑판에 형성된 구멍(39)에 설치되었다. 그러나 이 컨베이어 벨트(36)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철망이나 망판으로 구성되어있어서 유류는 수거되지 않고 고형 부유물만 수거하도록 되었다. 그리고 이 부유물 수거장치(3)에는 유류 수거장치(2)와는 달리 압착 로울러가 없다.
본 발명에있어서는 수거된 부유물을 수거장치(3)에서 선수 갑판위의 하치장(24)로 이송하기위하여 갑판위위에 컨베이어 이송라인(40),(41)이 설치되었으며, 갑판 중앙에는 하치장(24)에 수집된 고형 수거물을 별도의 운반선으로 이송하거나 또는 육지로 이송하기위한 크레인(4)이 설치되었다.
본 발명의 수거선은 갑판 후미에 통상의 선박과 같이 조타실(43), 기관실등이 설치되며 스크류(44)에 의하여 운항하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유출유 수거선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압 승강장치(34),(38)에 의하여 유류 수거장치(2)와 부유물 수거장치(3)의 선단을 수거통로의 수면밑으로 하강시키고 수거선을 서서히 전진시키면 선수쪽 부유물과 유류는 수거통로(15),(16)속으로 모이게되고 일차로 고형 부유물들이 컨베이어 벨트(36)에의하여 갑판위로 수거되고, 이어서 유류는 컨베이어 벨트(26)에 묻어서 위로 올라온다음 압착로울러(29)에의하여 수집조(30)속으로 낙하된다음 동체(11),(12),(13)내의 유류 저장조(15),(16),(17)속으로 유입되어 저장된다. 이때 수거된 고형 부유물들은 컨베이어 이송라인(40),(41)위에 올려 놓으면 자동적으로 부유물 하치장(24)으로 이송되게 되며, 하치장(24)에 쌓인 부유물은 크레인(4)에의하여 별도의 운반선이나 육지로 이송된다.
그리고 수거작업이 끝난후에는 유압 승강장치(34),(38)로 수거장치(2),(3)를 상승시켜 필요에 따라 청소하고 회항하거나 다른 수거장소로 이동한다. 전술한 수거장치(2),(3)가 상승하면 선박 운항시 전기한 수거장치에 의한 해수와의 마찰이 적으므로 순항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Claims (4)

  1. 선단부가 내측으로 경사진 좌우 2개의 동체(11),(12), 전기한 좌우 동체의 중앙에 전술한 좌우 동체와의 사이에 수거통로(15),(16)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위치하는 중앙동체(13)및 전기한 3개의 동체(11),(12),(13)를 연결하는 갑판(14)으로 구성된 선체(1) ; 전기한 수거통로(15,16)상방의 갑판에 선단부가 해수면에 삽입될수 있게 설치된 유류 수거장치(2) ; 및 전기한 유류 수거장치의 전방에 있는 수거통로(15,16)상방의 갑판에 선단부가 해수면속으로 삽입될수 있게 설치된 고형부유물 수거장치(3)를 포함하는 유출유수거선.
  2. 청구범위 1항에서, 유류 수거장치(2)가 브러시가(26')가 부착된 컨베이어 벨트(26)와 컨베이어 벨트 선단에 설치된 압착 로울러(29)를 포함하고 힌지(33)와 유압 승강장치(34)에의하여 선단부를 승강시킬수있게 선체에 설치되었음을 특징으로하는 유출유 수거선.
  3. 청구범위 1항에서, 부유물 수거장치(3)가 철망으로된 켄베이어 벨트(36)를 포함하고 힌지(37)와 유압 승강장치(38)에 의하여 선단부를 승강시킬수 있게 선체에 설치되었음을 특징으로하는 유출유 수거선.
  4. 청구범위 1항에서, 선체(1)가 갑판 상면에 고형 부유물 이송라인(40),(41)과 크레인(4)을 갖고있음을 특징으로하는 유출유 수거선.
KR1019950049664A 1995-12-14 1995-12-14 유출유 수거선 KR0146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9664A KR0146809B1 (ko) 1995-12-14 1995-12-14 유출유 수거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9664A KR0146809B1 (ko) 1995-12-14 1995-12-14 유출유 수거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2085A KR970042085A (ko) 1997-07-24
KR0146809B1 true KR0146809B1 (ko) 1998-08-17

Family

ID=19439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9664A KR0146809B1 (ko) 1995-12-14 1995-12-14 유출유 수거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680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7194B1 (ko) * 2009-06-16 2012-01-25 고영래 수상 부유물 수거 처리 장치
CN102951268A (zh) * 2012-11-20 2013-03-06 张家港市海丰水面环保机械有限公司 一种机械式全自动清漂船结构
KR101426902B1 (ko) * 2013-01-18 2014-08-0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펜스를 이용한 조류 수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921B1 (ko) * 2008-11-28 2011-08-09 현무산업 주식회사 부유물 수거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7194B1 (ko) * 2009-06-16 2012-01-25 고영래 수상 부유물 수거 처리 장치
CN102951268A (zh) * 2012-11-20 2013-03-06 张家港市海丰水面环保机械有限公司 一种机械式全自动清漂船结构
KR101426902B1 (ko) * 2013-01-18 2014-08-0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펜스를 이용한 조류 수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2085A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14540A (en) Removal of oil films from water
US3613891A (en) Oil removal apparatus
US7785035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material from water system and uses of apparatus
US3804251A (en) Floatage collecting apparatus and method
US3744257A (en) Water-surface cleansing ship
US5028325A (en) Water rake
US3666098A (en) Method and appratus for confining and collecting an oil slick
US5043064A (en) Apparatus to collect oil and other waste material from the surface of water
US3947360A (en) Environment protective oil skimming and removal apparatus
US3523611A (en) Oil skimming apparatus
US3702297A (en) Oil skimming device and method
US3701430A (en) Oil skimmer
US3922225A (en) Sea-water oil spill cleaning system
US3986959A (en) Oil spill apparatus
US5792350A (en) Oil spill recovery vessel
US4477348A (en) Open sea skimmer barge
EP221218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ecting material from water systems
US4340321A (en) Oil boom for open sea skimmer barge
WO1979001135A1 (en) Liquid skimming apparatus and method
RU2653661C1 (ru) Самоходное судно-нефтемусоросборщик
KR0146809B1 (ko) 유출유 수거선
US4399040A (en) Open sea skimmer barge
US4379054A (en) Open sea skimmer barge
US5384043A (en) Skimmer having a retractable dynamic inclined plane
US4410426A (en) Beach clean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