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7194B1 - 수상 부유물 수거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수상 부유물 수거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7194B1
KR101107194B1 KR1020090053592A KR20090053592A KR101107194B1 KR 101107194 B1 KR101107194 B1 KR 101107194B1 KR 1020090053592 A KR1020090053592 A KR 1020090053592A KR 20090053592 A KR20090053592 A KR 20090053592A KR 101107194 B1 KR101107194 B1 KR 101107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llecting
oil
solids
ath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3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5120A (ko
Inventor
고영래
Original Assignee
고영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영래 filed Critical 고영래
Priority to KR1020090053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7194B1/ko
Publication of KR20100135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5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7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7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2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llecting pollution from ope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46Collection of oil using vessels, i.e. boats, barges
    • E02B15/047Collection of oil using vessels, i.e. boats, barges provided with an oil collecting boom arrang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hul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E02B15/104Conveyors; Paddle wheels; Endless bel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E02B15/106Overflow skimmers with suction heads; suction he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4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spi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10/00Liquid purification or separation
    • Y10S210/918Miscellaneous specific techniques
    • Y10S210/922Oil spill cleanup, e.g. bacterial
    • Y10S210/923Oil spill cleanup, e.g. bacterial using mechanical means, e.g. skimmers, pump

Abstract

본 발명은, 선수의 양 측면의 힌지 회동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선수의 진행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여 부유 고체류를 포집하는 측면 가이드 포집 수단과, 선수에 배치되며 유수를 흡입하는 유수 흡입부, 및 유수 흡입부에 의해 흡입된 유수로부터 물을 제거하여 유류를 분리 저장하는 유수 분리 저장부를 포함하는 유류 제거 수단과, 유류 제거 수단의 상측 및 선수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선수의 진행 방향으로 형성된 이송 벨트 및 이송 벨트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이송 벨트의 전단부에 의해서 측면 가이드 포집 수단에 의해 포집된 부유 고체류를 수거하는 고체류 수거부, 및 이송 벨트의 후단부에 형성되고 고체류 수거부에 의해 수거된 부유 고체류를 소정의 크기 및 재질에 따라 분리하여 수집하는 분리 수집부를 포함하는 부유 고체류 제거 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유수 흡입시, 유수 흡입부는 선수 후방 한 측면으로부터 선수 전방 중앙부 방향으로 설치된 이설 궤도를 따라 선수 후방 측면으로부터 선수 중앙부로 이동 배치되어 유수를 흡입하고, 부유 고체류 수거시, 유수 흡입부는 이설 궤도를 따라 선수 중앙부로부터 선수 후방 측면으로 이동 배치되며, 측면 가이드 포집 수단은 선수의 진행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여 부유 고체류를 포집하고, 고체류 수거부는 포집된 부유 고체류를 수거하는, 수상 부유물 수거 처리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상 부유물 수거를 위한 장소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수상 부유물 중 부유 유류 및 부유 고체류를 상호 간섭 없이 분리하여 수 거할 수 있다.
Figure R1020090053592
부유 유류, 부유 고체류, 수상 부유물 수거 처리 장치

Description

수상 부유물 수거 처리 장치{A Device for Collecting and Removing Water Surface Floating Matters}
본 발명은 선수에서 유수 및 부유 고체류를 각각 흡입 및 수거하고, 선미의 선저에는 선수의 전후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추진부가 형성된 수상 부유물 수거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상 부유물 수거를 위한 장소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수상 부유물 중 부유 유류 및 부유 고체류를 상호 간섭 없이 분리하여 수거할 수 있는 수상 부유물 수거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강 또는 바다의 수면 상에 각종 사고 및 재해로 인해 수질 오염원인 각종 부유물이 떠다니게 되고, 이와 같은 수상 부유물은 생태계에 막대한 영향을 주게 되어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수상 부유물을 보다 신속하게 제거 및 처리하여야만 한다.
종래에는, 하천, 강 또는 바다의 수면 상에 떠다니는 각종 부유물들을 수거 처리하기 위해서, 소형 선박과 이에 승선한 작업 인력을 이용한 원시적이며 직접적인 수거 방법에 의존하고 있다. 한편, 종래의 부유 유류(floating oil)의 제거 방법은, 유류의 확산을 막기 위해 오일 펜스(oil fence)를 설치하고 다수의 오일 흡 착포를 이용하여 제거하거나 유화 처리제를 이용하여 제거하고 있다.
하지만, 흡착포를 이용한 유류의 제거 방법은 작업시간이 오래 걸려 급속하게 확산되는 유류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고, 유류 제거를 위한 선박 또는 작업인력이 많이 소요되어 매우 비경제적이다. 또한, 유화 처리제를 사용하는 제거 방법은 유화 처리제와 유류 간의 화학 반응을 유도하게 되므로 이 또한 수질환경에 악영향을 주게 되고, 고가의 유화 처리제를 다량 살포하여야 하므로 매우 비경제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수상 부유물 수거를 위한 장소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수상 부유물 중 부유 유류 및 부유 고체류를 상호 간섭 없이 분리하여 수거할 수 있는 수상 부유물 수거 처리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선수에서 유수 및 부유 고체류를 각각 흡입 및 수거하고, 선미의 선저에는 상기 선수의 전후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추진부가 형성된 수상 부유물 수거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수의 양 측면의 힌지 회동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선수의 진행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여 상기 부유 고체류를 포집하는 측면 가이드 포집 수단과, 상기 선수에 배치되며 유수를 흡입하는 유수 흡입부, 및 상기 유수 흡입부에 의해 흡입된 유수로부터 물을 제거하여 유류를 분리 저장하는 유수 분리 저장부를 포함하는 유류 제거 수단과, 상기 유류 제거 수단의 상측 및 상기 선수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상기 선수의 진행 방향으로 형성된 이송 벨트 및 상기 이송 벨트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 벨트의 전단부에 의해서 상기 측면 가이드 포집 수단에 의해 포집된 부유 고체류를 수거하는 고체류 수거부, 및 상기 이송 벨트의 후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체류 수거부에 의해 수거된 부유 고체류를 소정의 크기 및 재 질에 따라 분리하여 수집하는 분리 수집부를 포함하는 부유 고체류 제거 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유수 흡입시, 상기 유수 흡입부는 상기 선수 후방 한 측면으로부터 상기 선수 전방 중앙부 방향으로 설치된 이설 궤도를 따라 상기 선수 후방 측면으로부터 상기 선수 중앙부로 이동 배치되어 상기 유수를 흡입하고, 상기 부유 고체류 수거시, 상기 유수 흡입부는 상기 이설 궤도를 따라 상기 선수 중앙부로부터 상기 선수 후방 측면으로 이동 배치되며, 상기 측면 가이드 포집 수단은 상기 선수의 진행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여 상기 부유 고체류를 포집하고, 상기 고체류 수거부는 상기 포집된 부유 고체류를 수거하는, 수상 부유물 수거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수 흡입부는, 상기 이설 궤도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 유닛과, 상기 이동 유닛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선수의 중앙부 전방으로 소정 각도 하강하여 유수를 흡입하는 흡입 유닛과, 상기 흡입 유닛을 구동하는 흡입 펌프로 이루어지되, 상기 흡입 유닛은 다단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다수의 흡입 중공 파이프, 상기 흡입 중공 파이프의 흡입 위치를 감지하는 흡입 위치 감지 유닛, 및 상기 흡입 위치 감지 유닛에 의해 감지된 흡입 위치에 따라 상기 흡입 중공 파이프의 유수 흡입 깊이를 조절하는 에어 챔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수 분리 저장부는, 상기 흡입 중공 파이프에 의해 흡입된 유수를 유수의 비중 차에 의해서 물을 순차적으로 제거하여 유류를 분리 저장하는 일련의 분리 탱크와, 상기 분리 탱크에 저장된 유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유수 수위 감지 유닛과, 미리 설정된 유수 수위가 상기 유수 수위 감지 유닛에 의해 감지 되면 상기 분리 탱크 외부로 상기 물을 배출하는 수중 펌프와, 상기 분리 탱크에서 상기 물이 제거된 유류를 후단의 분리 탱크로 전달하는 유류 펌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부유 고체류 수거시, 상기 고체류 수거부의 이송 벨트의 전단부는 상기 선수의 중앙부 전방으로 소정 각도 하강하여 상기 부유 고체류를 수거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리 수집부는, 상기 이송 벨트 후단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상기 부유 고체류를 소정의 크기 및 재질에 따라 순차적으로 각각 분리하는 다수의 분리 스크린과, 및 상기 분리 스크린에 의해 분리된 부유 고체류를 각각 수집하는 다수의 수집 탱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리 수집부는, 상기 이송 벨트 후단부 및 상기 분리 스크린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체류 수거부에 의해 수거된 부유 고체류 중 전이 금속을 포함하는 고체류를 선별하여 분리하는 마그네틱 드럼 유닛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상 부유물 수거를 위한 장소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수상 부유물 중 부유 유류 및 부유 고체류를 상호 간섭 없이 분리하여 수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상 부유물 수거 처리 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의한 수상 부유물 수거 처리 장치의 부유 유류 수거시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수상 부유물 수거 처리 장치의 부유 유류 수거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또한,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수상 부유물 수거 처리 장치의 부유 고체류 수거시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수상 부유물 수거 처리 장치의 부유 고체류 수거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선수(A)에서 유수(oil and water) 및 부유 고체류(floating solid material)를 흡입 및 수거하고 선미(B)의 선저에는 선수(A)의 전후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추진부가 형성된 수상 부유물 수거 처리 장치(100)는, 측면 가이드 포집 수단(110), 유류 제거 수단(120), 및 부유 고체류 제거 수단(130)을 포함할 수 있다.
측면 가이드 포집 수단(110)은, 부유 고체류 수거시, 선체 형상(ship type)의 수상 부유물 수거 처리 장치(100)의 전단부 양 측면, 즉 선수(A)의 양 측면의 힌지 회동축(112)을 회전축으로 하여 선수(A)의 진행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여, 부유 고체류를 포집한다(도 1a 및 2a 참조).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상 부유물 수거 처리 장치(100)의 단순 이동시 또는 유류 수거시, 측면 가이드 포집 수단(110)은 힌지 회동축(112) 및 보조 힌지 회동축(114)을 회전축으로 하여 소정 각도 회전하여 선수(A)의 형상에 따라 선수(A)에 밀착될 수 있다(도 1a 및 1b). 여기서, 측면 가이드 포집 수단(110)은, 부유 고체류의 수거가 용이하도록, 직사각 형 형상의 금속 프레임(116)의 내측에 그물(mesh)(118)이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2a 및 2b를 참조하면, 부유 고체류의 수거시, 측면 가이드 포집 수단(110)의 일부가 수면(S) 아래에 잠기게 되고 측면 가이드 포집 수단(110)이 선수(A)의 진행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게 되면, 수면(S)에 인접해 있는 부유 고체류만 측면 가이드 포집 수단(110)에 포집된다. 한편, 측면 가이드 포집 수단(110)은 그 일부가 수면(S) 아래에 잠기도록 선수(A)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류 제거 수단(120)은 선수(A)에 배치되며 유수를 흡입하는 유수 흡입부(122), 및 유수 흡입부(122)에 의해 흡입된 유수로부터 물을 제거하여 유류를 분리 저장하는 유수 분리 저장부(124)를 포함한다.
부유 고체류 제거 수단(130)은 유류 제거 수단(120)의 상측 및 선수(A)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선수(A)의 진행 방향으로 형성된 이송 벨트(132a) 및 이송 벨트(132a)를 구동하는 구동부(132b)를 포함하고 선수(A) 방향으로의 이송 벨트(132a)의 전단부에 의해서 측면 가이드 포집 수단(110)에 의해 포집된 부유 고체류를 수거하는 고체류 수거부(132), 및 이송 벨트(132a)의 후단부에 형성되고 고체류 수거부(132)에 의해 수거된 부유 고체류를 소정의 크기 및 재질에 따라 분리하여 수집하는 분리 수집부(134)를 포함한다.
유수 흡입시, 수상 부유물 수거 처리 장치(100)에 있어서, 유수 흡입부(122)는 선수 후방 한 측면으로부터 선수 전방 중앙부 방향으로 설치된 이설 궤도(140)를 따라 선수 후방 측면으로부터 선수 중앙부로 이동 배치되어 유수를 흡입할 수 있다.
부유 고체류 수거시, 수상 부유물 수거 처리 장치(100)에 있어서, 유수 흡입부(122)는 이설 궤도(140)를 따라 선수 중앙부로부터 선수 후방 측면으로 이동 배치되며, 측면 가이드 포집 수단(110)은 선수(A)의 진행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여 부유 고체류를 포집하고, 고체류 수거부(132)는 포집된 부유 고체류를 수거할 수 있다.
여기서, 이설 궤도(140)는, 본 실시예에서, 레일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유수 흡입부(122)를 선수 중앙부로부터 선수 후방 측면으로 또는 선수 후방 측면으로부터 선수 중앙부로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이설 장치가 가능하다.
도 3a는 도 1a의 수상 부유물 수거 처리 장치의 부유 유류 수거시의 선수의 개략적인 확대 평면도이며, 도 3b는 도 1a의 수상 부유물 수거 처리 장치의 부유 유류 수거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c는 도 1a의 수상 부유물 수거 처리 장치의 부유 유류 수거시의 선수의 개략적인 확대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3c를 참조하면, 유류 제거 수단(120)의 유수 흡입부(122)는 이설 궤도(140)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 유닛(122a)과, 이동 유닛(122a) 상부에 형성되고 선수(A)의 중앙부 전방으로 소정 각도 하강하여 유수를 흡입하는 흡입 유닛(122b)과, 흡입 유닛(122b)을 구동하는 흡입 펌프(미도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흡입 유닛(122b)은 다단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다수의 흡입 중공 파이프(122b1), 흡입 중공 파이프(122b1)의 흡입 위치를 감지하는 흡입 위치 감지 유닛(122b2), 및 흡입 위치 감지 유닛(122b2)에 의해 감지된 흡입 위치에 따라 흡입 중공 파이프(122b1)의 유수 흡입 깊이를 조절하는 에어 챔버(air chamber)(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입 위치 감지 유닛(122b2) 및 에어 챔버는 유수를 실질적으로 흡입하는 흡입 중공 파이프(122b1)의 종단부의 흡입 깊이를 결정하게 된다. 예컨대, 흡입 위치 감지 유닛(122b2)은 흡입 중공 파이프(122b1)의 종단부의 흡입 위치가 유수를 흡입하기 위한 바람직한 흡입 위치인지, 즉 흡입 중공 파이프(122b1)의 종단부가 수면 아래 미리 설정된 깊이로 잠겨 있는지 감지한 후, 흡입 중공 파이프(122b1)의 종단부의 흡입 위치가 미리 설정된 깊이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에어 챔버에 수용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흡입 중공 파이프(122b1)의 종단부의 흡입 위치를 재설정하게 된다. 실질적으로는, 흡입 중공 파이프(122b1)가 소정의 회전축(122b3)을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고 다단으로 구성되어 길이가 조절될 수 있으므로, 흡입 중공 파이프(122b1)의 종단부의 흡입 위치가 재설정될 수 있다. 한편, 흡입 중공 파이프(122b1)의 종단부의 흡입 위치를 용이하게 결정하도록, 흡입 위치 감지 유닛 및 에어 챔버는 흡입 중공 파이프(122b1)의 종단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류 제거 수단(120)의 유수 분리 저장부(124)는, 흡입 중공 파이프(122b1)에 의해 흡입된 유수를 유수의 비중 차에 의해서 물을 순차적으로 제거하여 유류를 분리 저장하는 일련의 분리 탱크(124)와, 분리 탱크(124)에 저장된 흡입된 유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유수 수위 감지 유닛(미도시)과, 미리 설정된 유수 수위가 유수 수위 감지 유닛에 의해 감지되면 분리 탱크(124) 외부로 하층부의 물을 배출하는 수중 펌프와, 분리 탱크(124)에서 물이 제거된 상층부의 유류를 후단의 분리 탱크 로 전달하는 유류 펌프(oil pump)(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분리 탱크(124)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저장 탱크로 구성될 수 있고, 둘 이상의 저장 탱크는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연결되어 유수가 입출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리 탱크(124)가 두 개의 저장 탱크로 구성되어 있다면, 첫 번째 저장 탱크의 유수 수위 감지 유닛에 의해 일정 유수 수위가 감지되면, 수중 펌프(미도시)에 의해서 첫 번째 저장 탱크에 저장된 유수 중 하층부의 물을 분리하여 외부로 배출하고, 첫 번째 저장 탱크에서 물이 제거된 상층부의 유류를 두 번째 저장 탱크로 유류 펌프에 의해서 전달한다. 분리 탱크(124)가 세 개의 저장 탱크로 구성되어 있다면, 두 번째 저장 탱크의 유수 수위 감지 유닛에 의해 일정 유수 수위가 감지되면, 수중 펌프에 의해서 두 번째 저장 탱크에 저장된 유수 중 하층부의 물을 분리하여 외부로 배출하고, 두 번째 저장 탱크에서 물이 제거된 상층부의 유류를 세 번째 저장 탱크로 순차적으로 전달하여 유류의 비중을 높여 분리 저장할 수 있다. 추후, 유류의 분리 저장 비중을 높이기 위해 세 번째 저장 탱크에 후속하는 저장 탱크를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류 수거시, 부유 고체류 제거 수단(130)의 이송 벨트(132a)의 전단부는 소정의 회전축(미도시)으로 축으로 하여 상측 방향으로 소정 각도 상승하여, 유류 제거 수단(120)의 유수 흡입부(122)와 상호 간섭이 없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는 도 2a의 수상 부유물 수거 처리 장치의 부유 고체류 수거시의 선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4b는 도 2a의 수상 부유물 수거 처리 장치의 부유 고 체류 수거시의 선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부유 고체류 수거시, 부유 고체류 제거 수단(130)의 고체류 수거부(132)의 이송 벨트(132a)의 전단부(132a1)는 선수(A)의 중앙부 전방으로 소정의 회전축을 축으로 하여 소정 각도 하강하여 부유 고체류를 수거할 있다.
부유 고체류 제거 수단(130)의 분리 수집부(134)는, 이송 벨트(132a) 후단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부유 고체류를 소정의 크기 또는 재질에 따라 순차적으로 각각 분리하는 다수의 분리 스크린(134a)과, 및 분리 스크린(134a)에 의해 분리된 부유 고체류를 각각 수집하는 다수의 수집 탱크(134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수집 탱크(134b)는 경사진 분리 스크린(134a)에 의해 크기 또는 재질별로 분리되어 낙하하는 부유 고체류를 수집하게 되는데, 분리 스크린(134a)에 의해 첫 번째 분리되는 부유 고체류, 예컨대 소형 병류, 비자성 캔은 제1 수집 탱크(134b1)에 수집되며, 분리 스크린(134a)에 의해 두 번째 분리되는 부유 고체류, 예컨대 소주병, 맥주병은 제2 수집 탱크(134b2)에 수집되고, 분리 스크린(134a)에 의해 세 번째 분리되는 부유 고체류, 예컨대 압축성을 가지고 절단가능한 고체류로서, 대형 PET병, 나무, 종이, 박스류를 수집하는 제3 수집 탱크(134b3)에 수집될 수 있다. 한편, 제3 수집 탱크(134b3)에 수집된 부유 고체류는 유압 압축 또는 절단 작업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분리 수집부(134)는, 이송 벨트(132a) 후단부 및 분리 스크린(134a)의 상부에 형성되고, 고체류 수거부(132)에 의해 수거된 부유 고체류 중 전이 금속을 포함하는 고체류, 예컨대 스틸 캔(steel can) 제품류를 선별하여 분리하는 마그네틱 드럼 유닛(magnetic drum unit)(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마그네틱 드럼 유닛은 전이 금속을 포함하는 고체류, 즉 자성을 가지는 고체류를 선별 분리할 수 있다. 이후, 마그네틱 드럼 유닛에 의해 선별 분리된 고체류는 압축되어 수거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수상 부유물 수거 처리 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의한 수상 부유물 수거 처리 장치의 부유 유류 수거시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수상 부유물 수거 처리 장치의 부유 유류 수거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수상 부유물 수거 처리 장치의 부유 고체류 수거시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수상 부유물 수거 처리 장치의 부유 고체류 수거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1a의 수상 부유물 수거 처리 장치의 부유 유류 수거시의 선수의 개략적인 확대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1a의 수상 부유물 수거 처리 장치의 부유 유류 수거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c는 도 1a의 수상 부유물 수거 처리 장치의 부유 유류 수거시의 선수의 개략적인 확대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2a의 수상 부유물 수거 처리 장치의 부유 고체류 수거시의 선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b는 도 2a의 수상 부유물 수거 처리 장치의 부유 고체류 수거시의 선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Claims (6)

  1. 선수에서 유수 및 부유 고체류를 각각 흡입 및 수거하고, 선미의 선저에는 상기 선수의 전후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추진부가 형성된 수상 부유물 수거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수의 양 측면의 힌지 회동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선수의 진행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여 상기 부유 고체류를 포집하는 측면 가이드 포집 수단과,
    상기 선수에 배치되며 유수를 흡입하는 유수 흡입부, 및 상기 유수 흡입부에 의해 흡입된 유수로부터 물을 제거하여 유류를 분리 저장하는 유수 분리 저장부를 포함하는 유류 제거 수단과,
    상기 유류 제거 수단의 상측 및 상기 선수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상기 선수의 진행 방향으로 형성된 이송 벨트 및 상기 이송 벨트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 벨트의 전단부에 의해서 상기 측면 가이드 포집 수단에 의해 포집된 부유 고체류를 수거하는 고체류 수거부, 및 상기 이송 벨트의 후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체류 수거부에 의해 수거된 부유 고체류를 소정의 크기 및 재질에 따라 분리하여 수집하는 분리 수집부를 포함하는 부유 고체류 제거 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유수 흡입시, 상기 유수 흡입부는 상기 선수 후방 한 측면으로부터 상기 선수 전방 중앙부 방향으로 설치된 이설 궤도를 따라 상기 선수 후방 측면으로부터 상기 선수 중앙부로 이동 배치되어 상기 유수를 흡입하고,
    상기 부유 고체류 수거시, 상기 유수 흡입부는 상기 이설 궤도를 따라 상기 선수 중앙부로부터 상기 선수 후방 측면으로 이동 배치되며, 상기 측면 가이드 포집 수단은 상기 선수의 진행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여 상기 부유 고체류를 포집하고, 상기 고체류 수거부는 이송 벨트의 전단부가 선수의 중앙부 전방으로 소정의 회전축을 축으로 하여 소정 각도 하강하여 상기 포집된 부유 고체류를 수거하는, 수상 부유물 수거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수 흡입부는,
    상기 이설 궤도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 유닛과, 상기 이동 유닛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선수의 중앙부 전방으로 소정 각도 하강하여 유수를 흡입하는 흡입 유닛과, 상기 흡입 유닛을 구동하는 흡입 펌프로 이루어지되,
    상기 흡입 유닛은 다단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다수의 흡입 중공 파이프, 상기 흡입 중공 파이프의 흡입 위치를 감지하는 흡입 위치 감지 유닛, 및 상기 흡입 위치 감지 유닛에 의해 감지된 흡입 위치에 따라 상기 흡입 중공 파이프의 유수 흡입 깊이를 조절하는 에어 챔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부유물 수거 처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수 분리 저장부는,
    상기 흡입 중공 파이프에 의해 흡입된 유수를 유수의 비중 차에 의해서 물을 순차적으로 제거하여 유류를 분리 저장하는 일련의 분리 탱크와, 상기 분리 탱크에 저장된 유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유수 수위 감지 유닛과, 미리 설정된 유수 수위가 상기 유수 수위 감지 유닛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분리 탱크 외부로 상기 물을 배출하는 수중 펌프와, 상기 분리 탱크에서 상기 물이 제거된 유류를 후단의 분리 탱크로 전달하는 유류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부유물 수거 처리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수집부는,
    상기 이송 벨트의 후단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상기 부유 고체류를 소정의 크기 및 재질에 따라 순차적으로 각각 분리하는 다수의 분리 스크린과, 및 상기 분리 스크린에 의해 분리된 부유 고체류를 각각 수집하는 다수의 수집 탱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부유물 수거 처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수집부는,
    상기 이송 벨트 후단부 및 상기 분리 스크린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체류 수거부에 의해 수거된 부유 고체류 중 전이 금속을 포함하는 고체류를 선별하여 분리하는 마그네틱 드럼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부유물 수거 처리 장치.
KR1020090053592A 2009-06-16 2009-06-16 수상 부유물 수거 처리 장치 KR101107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592A KR101107194B1 (ko) 2009-06-16 2009-06-16 수상 부유물 수거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592A KR101107194B1 (ko) 2009-06-16 2009-06-16 수상 부유물 수거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5120A KR20100135120A (ko) 2010-12-24
KR101107194B1 true KR101107194B1 (ko) 2012-01-25

Family

ID=43509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3592A KR101107194B1 (ko) 2009-06-16 2009-06-16 수상 부유물 수거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71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0827A (ko) 2022-02-10 2023-08-17 (주)카네비모빌리티 부유물 수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393B1 (ko) * 2012-08-28 2014-05-27 주식회사 이루켐 액상물 제립장치
CN108532574A (zh) * 2018-04-25 2018-09-14 桂林市安星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测量与监视水源保护装置
CN110185016B (zh) * 2019-07-24 2019-10-29 烟台工程职业技术学院(烟台市技师学院) 一种垃圾收集船
CN111305143B (zh) * 2020-03-06 2021-05-18 华北水利水电大学 一种农田水利灌溉整修装置及其使用方法
CN112211173B (zh) * 2020-11-10 2022-01-11 宁夏飓风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水利工程用河流沿岸垃圾打捞设备
CN113335458B (zh) * 2021-05-30 2022-05-13 中国长江三峡集团有限公司 船舯转运接驳分流装置及分流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6809B1 (ko) * 1995-12-14 1998-08-17 이성진 유출유 수거선
KR100488391B1 (ko) 2002-10-16 2005-05-06 김진형 수륙양용 해양오염 방제장치
KR100494027B1 (ko) 2002-10-08 2005-06-10 유한회사 문창조선 다목적 청소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6809B1 (ko) * 1995-12-14 1998-08-17 이성진 유출유 수거선
KR100494027B1 (ko) 2002-10-08 2005-06-10 유한회사 문창조선 다목적 청소선
KR100488391B1 (ko) 2002-10-16 2005-05-06 김진형 수륙양용 해양오염 방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0827A (ko) 2022-02-10 2023-08-17 (주)카네비모빌리티 부유물 수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5120A (ko) 2010-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7194B1 (ko) 수상 부유물 수거 처리 장치
JP6329969B2 (ja) 浮遊廃棄物または水面直下の他の廃棄物を引き揚げるために適するコンベア
RU2475406C2 (ru) Судно для борьбы с разливами нефти
KR102078452B1 (ko) 수중 오염물 제거장치
US11702811B1 (en) Oil skimmer and method of use
US9103086B2 (en) Open water oil skimmer
US20120012535A1 (en) Oil skimmer conveyor
US5066407A (en) Petrochemical recovery machine
US20120152817A1 (en) Floating Oil Recovery Suppressor And Viscosity Elevator
US4340321A (en) Oil boom for open sea skimmer barge
JP4263032B2 (ja) 真空吸引油回収システム
WO199001292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centrating materials
CN201816725U (zh) 自航式收油机
US5254266A (en) Oil spill cleanup craft and method using catamaran with exceptional stability
JPH10258793A (ja) 流出油回収装置
KR102075081B1 (ko) 자동화 유회수 유/무인 선박
KR101788606B1 (ko) 선박용 부유기름제거장치
KR100422406B1 (ko) 해저 폐기물 수거장치
US4410426A (en) Beach clean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USRE30729E (en) Floatage collecting apparatus and method
US4304668A (en) Floating apparatus for recovery of floating oil
US7163637B2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taking up particles from a water surface
US9039895B1 (en) Oil spill clean-up vessel with ice displacement capabilities
JP3702519B2 (ja) 海底堆積物回収装置
JP2003276680A (ja) 流出油回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