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0827A - 부유물 수거 장치 - Google Patents

부유물 수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0827A
KR20230120827A KR1020220017531A KR20220017531A KR20230120827A KR 20230120827 A KR20230120827 A KR 20230120827A KR 1020220017531 A KR1020220017531 A KR 1020220017531A KR 20220017531 A KR20220017531 A KR 20220017531A KR 20230120827 A KR20230120827 A KR 20230120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matter
floating
seawater
collection device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7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택
Original Assignee
(주)카네비모빌리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카네비모빌리티 filed Critical (주)카네비모빌리티
Priority to KR1020220017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0827A/ko
Publication of KR20230120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0827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E02B15/106Overflow skimmers with suction heads; suction 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E02B15/108Ejec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해상에서 무동력으로 부유물을 수거할 수 있는 장치가 개시된다. 해수면에서 부유물을 수거하는 부유물 수거 장치는 바디, 상기 바디 내측에 위치하는 수거부 및 상기 바디 또는 상기 수거부에 연결되며, 해수 및 상기 부유물이 유입될 수 있는 통로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부유물 경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해수 및 상기 부유물은 상기 부유물 경로부를 통하여 상기 수거부로 수거되고, 상기 부유물 경로부 내측에는 상기 통로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가 설치되며, 무동력으로 상기 해수의 흐름에 따라 상기 개폐부가 개폐된다.

Description

부유물 수거 장치{APPARATUS FOR COLLECTIGN FLOATING MATTERS}
본 발명은 부유물 수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다, 호수 등에서 물의 유입을 통해 부유물을 자동으로 수거하되 무동력 내지 동력 투입을 최소화하는 부유물 수거 기술이다.
바다, 내면, 수로, 호수 등에는 하천으로부터 유입되는 나뭇가지 등의 쓰레기성 부유물이 존재한다. 환경 정화 측면에서 이러한 부유물은 주기적으로 청소를 할 필요가 있다.
통상적으로 수면상의 부유물은 컨베이어 로라와 같은 장치로 수거를 하는 방법이 보편적인데 이러한 쓰레기 수거와 운반의 일례에는 쓰레기 수거 전용의 선박에 설치된 장치를 이용하여 동력으로 부유물을 수거하여 용기에 담는 방법이 있다.
또 다른 사례로서 수면에 상시 띄워 두는 브이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는데 이 경우는 펜스 형태로 가두는 원리이므로 펜스 아래 수중으로 유입되는 부유물을 가둘 수는 있어도 수면에 떠 있는 펜스를 넘겨서 부유물을 가두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즉, 위 경우 컨베이어를 가동하거나 팬스를 둘러싸기 위한 동력의 사용이 불가피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 된 것으로, 특히 무동력으로 수면상의 부유물을 펜스의 측면 공간으로 유도하여 펜스 내에 가두고 이를 쓰레기 수거용기에 담아서 수거 처리할 수 있도록 안출 된 것이다.
KR 10-1107194 B
본 발명은 해상에서 무동력으로 부유물을 수거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수면에서 부유물을 수거하는 부유물 수거 장치는 바디; 상기 바디 내측에 위치하는 수거부; 및 상기 바디 또는 상기 수거부에 연결되며, 해수 및 상기 부유물이 유입될 수 있는 통로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부유물 경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해수 및 상기 부유물은 상기 부유물 경로부를 통하여 상기 수거부로 수거되고, 상기 부유물 경로부 내측에는 상기 통로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가 설치되며, 무동력으로 상기 해수의 흐름에 따라 상기 개폐부가 개폐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수면에서 부유물을 수거하는 부유물 수거 장치는 바디; 상기 바디 내측에 위치하는 수거부; 상기 바디 또는 상기 수거부에 연결되며, 해수 및 상기 부유물이 유입될 수 있는 통로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부유물 경로부; 및 상기 부유물 수거 장치의 승하강을 제어하는 승하강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해수 및 상기 부유물은 상기 부유물 경로부의 통로를 통하여 상기 수거부로 수거되고, 상기 승하강 제어부는 상기 부유물 경로부를 통하여 상기 부유물이 수거되도록 상기 부유물 수거 장치가 일정 범위 내에서 승하강하도록 상기 부유물 수거 장치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수면에서 부유물을 수거하는 부유물 수거 장치는 바디; 상기 바디 내측에 위치하는 수거부; 및 상기 바디 또는 상기 수거부에 연결되며, 해수 및 상기 부유물이 유입될 수 있는 통로를 가지는 복수의 부유물 경로부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부유물 경로부들은 상기 바디 또는 상기 수거부를 기준으로 대향하여 배열되고, 해수의 흐름에 따라 상기 부유물 경로부들 중 일부가 개방되어 상기 해수 및 상기 부유물이 상기 개방된 부유물 경로부를 통하여 상기 수거부로 수거될 동안 다른 부유물 경로부는 폐쇄되어 상기 수거된 부유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수거 장치는 해상에서 개폐부를 이용하여 부유물을 자동으로 수거하며, 그 결과 부유물을 수거하기 위한 동력 장치가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부유물 수거 장치의 구조가 단순하여질 수 있고 부유물 수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물 수거 장치의 구조 및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거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물 경로부의 구조 및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해상에서 부유하는 쓰레기성 부유물을 수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무동력으로 해수면 상의 부유물을 효율적으로 수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유물 수거 장치는 중력 및 부력을 이용하여 승하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상기 부유물 수거 장치는 일정 범위에서 상하로 움직이면서 부유물을 지속적으로 수거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한다.
본 발명에서 해상 또는 해수면이란 바다, 내만, 호수 등 쓰레기성 부유물이 존재하는 수중, 수상 내지 수면을 총칭하는 의미의 용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물 수거 장치의 구조 및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거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물 경로부의 구조 및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부유물 수거 장치는 무동력으로 해수면 상에 부유하는 부유물을 자연스럽게 수거할 수 있으며, 바디(100), 수거부(102), 적어도 하나의 부유물 경로부(104a 또는 104b), 적어도 하나의 부유체(106a 및 106b), 펌프(승하강 제어부, 108), 앵커(110) 및 센서들(112 및 11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유물 수거 장치는 무동력으로 부유물을 수거하며, 소정 범위에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바디(100)는 수중에 잠겨 있으며, 중력 및 부력에 의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다만, 바디(100)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일정 범위 내에서 상하 움직이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디(100) 내측에 공간이 존재하고, 상기 공간으로 수거부(102)가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수거부(102)는 바디(100)로부터 분리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0)의 하측에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12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유입구(120)를 통하여 해수가 바디(10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다만, 유입구(120)는 상기 부유물 수거 장치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사이즈가 클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어 직경 2cm의 홀일 수 있다. 이 때, 수거부(102)의 측면에는 홀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유입구(120)를 통하여 바디(100) 내로 유입된 물은 수거부(102)로 유입되지는 않는다.
한편, 유입구(120)를 통하여 유입된 물이 존재할 공간이 필요하므로, 바디(100)의 내측면과 수거부(102)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수거부(102)는 부유물 경로부(104a 또는 104b)를 통하여 유입된 해수 및 부유물을 수거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바디(100)의 내측 공간에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거부(10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거부 바디(200) 및 손잡이부(202)를 포함할 수 있다.
수거부 바디(200)는 부유물 경로부(104a 또는 104b)를 통하여 유입된 부유물을 수거할 수 있으며, 부유물 유입이 가능하도록 상단은 오픈되어 있으며 내측에 거름망(204)이 존재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부유물 경로부(104a 또는 104b)를 통하여 유입된 부유물은 거름망(204)에 의해 걸러져서 상측 공간(210)에 존재하게 되고, 해수나 작은 부유물은 거름망(204)을 통과하여 하측 공간(212)에 위치할 수 있다. 하측 공간(212)에 존재하는 해수의 양에 따라 상기 부유물 수거 장치의 높이가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겠다.
손잡이부(202)는 수거부 바디(200)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거부(102)에 부유물이 가득 채워진 경우 손잡이부(202)를 잡고서 수거부(102)를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수거부(202)의 하면에는 펌프(108)가 삽입될 수 있는 홈(214)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펌프(108)의 위치는 수거부(202)의 하면의 홈(214)으로 제한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위치에 설치 가능할 수 있다.
부유물 경로부(104a 또는 104b)는 해수면 상의 부유물이 유입되는 통로로서, 바디(100) 또는 수거부(102)에 결합된 상태로 바디(100)의 외측에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유물 경로부(104a 또는 104b)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수 및 부유물의 유입이 편리하도록 해수면 상에 길이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물론, 부유물 경로부(104a 또는 104b)는 상기 부유물 수거 장치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상하로 움직이겠지만, 부유물의 지속적인 유입이 가능하도록 소정 범위 내에서 승하강할 수 있다. 즉, 부유물 경로부(104a 또는 104b)를 통하여 부유물이 지속적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부유물 수거 장치가 일정 범위 내에서 승하강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부유물 경로부(104a 또는 104b)의 내부 구조를 살펴보면, 부유물 경로부(104a 또는 104b)에는 부유물 및 해수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310)가 형성되어 있으며, 통로(310) 내에 개폐부(개폐 도어, 300), 탄성체(302) 및 스토퍼들(304 및 306)을 포함할 수 있다.
개폐부(300)는 통로(310)를 개폐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탄성체(302, 예를 들어 스프링)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해수 및 부유물이 통로(310)로 유입되기 전에는 통로(310)를 폐쇄하도록 개폐부(30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310)에 수직하게 배열되며, 해수 및 부유물이 통로(310)로 유입되면 해수 및 부유물에 의해 들어올려져서 통로(310)가 개방될 수 있다.
이어서, 해수 및 부유물이 통로(310)로 유입되지 않으면 탄성체(302)의 탄성력에 의해 개폐부(300)가 자동으로 내려오며, 그 결과 통로(310)가 개폐부(30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즉, 탄성체(302)는 외부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개폐부(300)를 고정 스토퍼(304)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스토퍼(304)를 이용하여 한 방향에서만 개방되도록 개폐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스토퍼(304)가 부유물 경로부(104a 또는 104b)의 내측 바닥면에 형성되고 개폐부(300)가 고정 스토퍼(304)보다 바디(100)에 더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수 및 부유물이 통로(310)로 유입되면 상기 해수 및 부유물에 의해 개폐부(300)가 들어올려져서 통로(310)가 개방되나, 바디(100) 방향에서 해수 및 부유물이 유입되면 개폐부(300)가 고정 스토퍼(304)에 의해 막히게 되어 통로(310)가 개방되지 않는다.
즉, 통로(310)는 한 방향에서만 개방되며, 구체적으로는 부유물 경로부(104a 또는 104b)의 통로(310)는 외부에서 바디(100) 방향으로 유입되는 해수 및 부유물에 의해 통로(310)가 자동으로 개방되고 바디(100)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흐르는 해수 및 부유물에 의해서는 통로(310)가 개방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유물 경로부들(104a 및 104b)은 바디(100)를 기준으로 서로 대향하여 배열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해수가 흐르는 방향에 있는 부유물 경로부는 개방되고 반대 방향에 있는 부유물 경로부는 폐쇄된다. 따라서, 부유물이 수거부(102)로 부유물이 자연스럽게 수거되나 상기 수거된 부유물은 외부로 다시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물론, 위에서는 2개의 부유물 경로부들만 언급하였지만, 3개 이상의 부유물 경로부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해수 흐름에 따라 부유물 경로부들 중 일부는 개방되고 나머지 부유물 경로부는 폐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부유물 경로부(104a 또는 104b)의 내측 바닥면 상에 폐쇄 스토퍼(306)가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폐쇄 스토퍼(306)는 개폐부(300)를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시키며, 그 결과 개폐부(300)가 개폐 동작을 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폐쇄 스토퍼(306)는 상기 부유물 수거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 사용되어진다. 예를 들어, 개폐부(300)의 종단이 고정 스토퍼(304)와 폐쇄 스토퍼(306)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그 결과 개폐부(300)가 움직이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이어서, 폐쇄 스토퍼(306)를 이동시키거나 눕히는 방법 등으로 개폐부(300)가 움직일 수 있도록 개폐부(300)의 상태가 전환될 수 있다. 물론, 개폐부(300)를 고정시키는 폐쇄 스토퍼(306)의 구조는 위의 구조로 제한되지는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폐쇄 스토퍼(306)를 이용하지 않고 다른 수단을 통하여 개폐부(300)가 고정될 수도 있다.
부유체(106a 또는 106b)는 상기 부유물 수거 장치가 해수면 상에 떠있을 수 있도록 하며, 예를 들어 각기 부유물 경로부(104a 또는 104b)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물론, 부유체(106a 또는 106b)는 수중에 위치할 수 있으며, 부유물의 유입 경로에 방해를 주지 않는 위치로 2개 이상의 여러 방향에 배치할 수 있다.
펌프(108)는 적어도 일부가 바디(100) 내에 위치하며, 상기 부유물 수거 장치의 승하강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펌프(108)는 수거되는 부유물에 따라 발생하는 수거부(102)의 부력을 상쇄하여 일정 무게의 중력을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부유물 수거 장치가 수면 위로 떠올라서 부유물이 부유물 경로부(104a 또는 104b)로 잘 유입이 되지 않으면, 펌프(108)가 작동하여 바디(100)의 유입구(120)를 통하여 해수를 바디(100) 내로 흡입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해수의 흡입에 따라 상기 부유물 수거 장치가 하강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부유물 수거 장치가 일정 깊이 이상 수중으로 가라앉으면 펌프(108)가 동작을 중지하며, 그 결과 상기 부유물 수거 장치가 상승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을 통하여 상기 부유물 수거 장치가 소정 범위 내에서 승하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범위 내에서는 부유물이 부유물 경로부(104a 또는 104b)를 통하여 원활히 수거될 수 있다. 이러한 승하강의 원리는 어떤 부유물을 대상으로 하는가에 따라서 상기 펌프의 동작을 반대의 개념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부유물 수거 장치의 높이는 센서들(112 및 114)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제 1 센서(112)는 상기 부유물 수거 장치가 기설정 깊이 이상 잠겼는 지를 감지하고, 제 2 센서(114)는 상기 부유물 수거 장치가 기설정 높이로 떠올랐는 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들(112 및 114)의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펌프(108) 및 센서들(112 및 114)의 전원 및 동작은 육상에서 제어할 수도 있고 상기 부유물 수거 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센서(112)는 펌프를 가동하는 센서이고, 센서(114)는 펌프를 중지하는 센서로서 제어부와 결합 연동될 수 있다.
앵커(110)는 예를 들어 부유체(106a)에 연결되어 상기 부유물 수거 장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부유물 수거 장치는 앵커(110)를 기준으로 소정 범위 내에서 해수의 흐름에 따라 움직일 수 있다. 그러나, 일정한 수로의 방향으로 물이 흐르는 내만의 경우는 앵커를 기준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앵커(110)는 바닥에 고정되는 구조일 수도 있고, 수중에서 일정한 방향을 지탱하도록 수류에 대한 저항체를 형성하는, 예를 들면 시앙카(Sea Anchor)의 구조일 수 있다.
정리하면, 본 실시예의 부유물 수거 장치는 무동력으로 해수면 상의 부유물을 수거하되, 일정 범위 내에서 상하로 움직이면서 해수의 흐름에 따라 부유물을 자연스럽게 수거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부유물 수거 장치의 구조가 간단하여질 수 있고 부유물 수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 상기 부유물 수거 장치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 과정을 살펴보겠다.
상기 부유물 수거 장치를 해수에 띄워 놓으면 현재는 부유물이나 해수가 채워져 있지 않기 때문에 펌프(108)를 작동시켜 바디(100)의 유입구(120)를 통하여 해수를 흡입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부유물 수거 장치가 하강하기 시작한다. 펌프(108)를 작동시키지 않을 경우는 중력에 의해 유입구(120)를 통해 서서히 흘러 들어오는 물의 양으로 부유물 수거 장치가 하강하기 시작한다.
상기 부유물 수거 장치가 하강하는 동안 부유물 및 해수가 부유물 경로부(104a 또는 104b)를 통하여 수거부(102)로 수거될 수 있다. 이 때, 해수의 흐름에 따라 부유물 경로부들(104a 또는 104b) 중 하나만을 통하여 부유물 및 해수가 유입될 수 있고 다른 부유물 경로부를 통하여는 부유물이 유입되지도 않고 수거된 부유물이 외부로 배출되지도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부유물이 수거부(102)로 효율적으로 수거될 수 있다.
이 경우, 거름망(204)에 의해 부유물만 따로 모아질 수 있다. 여기서, 거름망(204)의 메쉬 사이즈는 부유물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초류인 바닷말, 파래 등을 거르기 위한 메쉬 사이즈와 비닐봉지, 낙엽 등을 거르기 위한 메쉬 사이즈가 다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설치 목적에 따라 거름망(204)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부유물 수거 장치가 기설정 깊이 이상 가라앉으면 펌프(108)가 동작을 중지하며, 그 결과 수거부(102) 내에 수거된 해수 및 부유물로 인한 부력에 의해 상기 부유물 수거 장치가 상승한다.
계속하여, 상기 부유물 수거 장치가 기설정 높이 이상으로 떠오르면 펌프(108)가 다시 작동하여 상기 부유물 수거 장치를 다시 하강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부유물 수거 장치를 소정 범위 내에서 상하로 움직이게 하면서 부유물을 효율적으로 수거할 수 있다. 부유물의 종류에 따라서 또는 사용자의 설정 제어 방법에 따라서 상기 펌프의 작동은 반대로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부유물 수거 장치에 수거된 부유물의 양이 많아지면, 사용자가 상기 부유물 수거 장치에서 수거부(102)를 분리시키고, 수거부(102)에 수거된 부유물을 제거한 후 수거부(102)를 바디(100)에 다시 삽입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부유물 수거 장치에 의해 수거된 부유물의 양은 별도의 센서에 의해 감지될 수도 있고, 상기 부유물의 양이 기설정 양을 초과하면 제어부가 상기 감지 결과를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부유물 수거 장치에서 부유물을 비울때가 되었음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적절한 시기에 상기 부유물 수거 장치로부터 부유물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프로세스적인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구성 요소는 각각의 프로세스로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실시예의 프로세스는 장치의 구성 요소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바디 102 : 수거부
104a, 104b : 부유물 경로부 106a, 106b : 부유체
108 : 펌프 110 : 앵커
112, 114 : 센서 200 : 수거부 바디
202 : 손잡이부 204 : 거름망
300 : 개폐부 302 : 탄성체
304 : 고정 스토퍼 306 : 폐쇄 스토퍼

Claims (18)

  1. 해수면에서 부유물을 수거하는 부유물 수거 장치에 있어서,
    바디;
    상기 바디 내측에 위치하는 수거부; 및
    상기 바디 또는 상기 수거부에 연결되며, 해수 및 상기 부유물이 유입될 수 있는 통로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부유물 경로부를 포함하되,
    상기 해수 및 상기 부유물은 상기 부유물 경로부를 통하여 상기 수거부로 수거되고,
    상기 부유물 경로부 내측에는 상기 통로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가 설치되며, 무동력으로 상기 해수의 흐름에 따라 상기 개폐부가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수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외부에서 상기 수거부 방향으로 흐르는 해수 및 부유물에 의해 개방되고, 상기 수거부에서 외부 방향으로 흐르는 해수 또는 부유물에 의해 개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수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물 경로부 내측 하면에 고정 스토퍼가 형성되되,
    상기 개폐부는 상기 고정 스토퍼보다 상기 바디에 가깝게 위치하고, 상기 개폐부는 탄성체에 의해 움직임이 제어되며,
    상기 해수가 외부에서 상기 수거부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 상기 개폐부가 개방되고 상기 수거부에서 외부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 상기 개폐부는 상기 고정 스토프에 의해 움직임이 차단되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수거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부유물 경로부들이 존재하되,
    상기 부유물 경로부들은 상기 바디 또는 상기 수거부를 기준으로 대향하여 배열되며, 해수의 흐름에 따라 상기 부유물 경로부들 중 일부가 개방되어 상기 부유물이 상기 수거부로 수거될 동안 다른 부유물 경로부는 폐쇄되어 상기 수거된 부유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수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물 경로부의 하면에 부유체가 결합되며, 상기 부유체가 앵커에 연결되어 상기 부유물 수거 장치가 일정 범위 내에서만 움직임을 제한 또는 부유물 수거 장치의 방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수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펌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부유물 수거 장치가 기설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펌프를 작동시켜 해수를 상기 바디 내로 유입시켜 상기 부유물 수거 장치를 하강시키며,
    상기 부유물 수거 장치가 기설정 깊이 이상으로 가라앉으면 상기 펌프의 작동을 중지시켜 상기 부유물 수거 장치를 상승시키고, 상기 펌프의 작동이 중지되면 상기 수거부에 수거된 해수 및 부유물로 인한 부력에 의해 상기 부유물 수거 장치가 자연스럽게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수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물 수거 장치의 상승 높이 또는 하강 깊이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
    상기 센서의 감지 결과 상기 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수거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에 의해 해수가 상기 바디 내로 유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의 하측면에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수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부는,
    수거부 바디; 및
    상기 수거부 바디에 연결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거부 바디 내에는 거름망이 배열되며, 상기 거름망에 의해 상기 부유물 경로부를 통하여 유입된 해수와 부유물 중 상기 부유물이 걸러지며, 상기 거름망을 통과한 해수는 상기 수거부 바디의 하측 공간에 배열되고, 상기 걸러진 부유물은 상기 수거부 바디의 상측 공간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수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부 바디의 바닥면에는 해수를 흡입할 수 있는 펌프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수거 장치.
  11. 해수면에서 부유물을 수거하는 부유물 수거 장치에 있어서,
    바디;
    상기 바디 내측에 위치하는 수거부;
    상기 바디 또는 상기 수거부에 연결되며, 해수 및 상기 부유물이 유입될 수 있는 통로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부유물 경로부; 및
    상기 부유물 수거 장치의 승하강을 제어하는 승하강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해수 및 상기 부유물은 상기 부유물 경로부의 통로를 통하여 상기 수거부로 수거되고,
    상기 승하강 제어부는 상기 부유물 경로부를 통하여 상기 부유물이 수거되도록 상기 부유물 수거 장치가 일정 범위 내에서 승하강하도록 상기 부유물 수거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수거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제어부는 펌프이되,
    상기 부유물 수거 장치가 기설정 높이 이상 상승하면 상기 펌프가 작동하여 해수가 상기 바디 내로 유입되어 상기 부유물 수거 장치가 하강하고,
    상기 부유물 수거 장치가 기설정 깊이 이상으로 가라앉으면 상기 펌프의 작동이 중지되어 상기 부유물 수거 장치가 상승되며, 상기 펌프의 작동이 중지되면 상기 수거부에 수거된 해수 및 부유물로 인한 부력에 의해 상기 부유물 수거 장치가 자연스럽게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수거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에 의해 해수가 상기 바디 내로 유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의 하측면에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수거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물 경로부 내측 하면에 고정 스토퍼가 형성되되,
    상기 개폐부는 상기 고정 스토퍼보다 상기 바디에 가깝게 위치하고, 상기 개폐부는 탄성체에 의해 움직임이 제어되며,
    상기 해수가 외부에서 상기 수거부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 상기 개폐부가 개방되고 상기 수거부에서 외부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 상기 개폐부는 상기 고정 스토프에 의해 움직임이 차단되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수거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복수의 부유물 경로부들이 존재하되,
    상기 부유물 경로부들은 상기 바디 또는 상기 수거부를 기준으로 대향하여 배열되며, 해수의 흐름에 따라 상기 부유물 경로부들 중 일부가 개방되어 상기 부유물이 상기 수거부로 수거될 동안 다른 부유물 경로부는 폐쇄되어 상기 수거된 부유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수거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물 경로부 내측에는 폐쇄 스토퍼가 형성되며, 상기 폐쇄 스토퍼에 의해 상기 개폐부가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수거 장치.
  17. 해수면에서 부유물을 수거하는 부유물 수거 장치에 있어서,
    바디;
    상기 바디 내측에 위치하는 수거부; 및
    상기 바디 또는 상기 수거부에 연결되며, 해수 및 상기 부유물이 유입될 수 있는 통로를 가지는 복수의 부유물 경로부들을 포함하되,
    상기 부유물 경로부들은 상기 바디 또는 상기 수거부를 기준으로 대향하여 배열되고, 해수의 흐름에 따라 상기 부유물 경로부들 중 일부가 개방되어 상기 해수 및 상기 부유물이 상기 개방된 부유물 경로부를 통하여 상기 수거부로 수거될 동안 다른 부유물 경로부는 폐쇄되어 상기 수거된 부유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수거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물 경로부 내측 바닥면에 고정 스토퍼가 형성되되,
    상기 개폐부는 상기 고정 스토퍼보다 상기 바디에 가깝게 위치하고, 상기 개폐부는 탄성체에 의해 움직임이 제어되며,
    상기 해수가 외부에서 상기 수거부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 상기 개폐부가 개방되고 상기 수거부에서 외부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 상기 개폐부는 상기 고정 스토프에 의해 움직임이 차단되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수거 장치.











KR1020220017531A 2022-02-10 2022-02-10 부유물 수거 장치 KR202301208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531A KR20230120827A (ko) 2022-02-10 2022-02-10 부유물 수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531A KR20230120827A (ko) 2022-02-10 2022-02-10 부유물 수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0827A true KR20230120827A (ko) 2023-08-17

Family

ID=87800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7531A KR20230120827A (ko) 2022-02-10 2022-02-10 부유물 수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082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7194B1 (ko) 2009-06-16 2012-01-25 고영래 수상 부유물 수거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7194B1 (ko) 2009-06-16 2012-01-25 고영래 수상 부유물 수거 처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4970B1 (ko) 유수분리장치
KR101431786B1 (ko) 해양 유출 기름 분리 회수 장치
US6478954B1 (en) Debris collecting apparatus
US3731813A (en) Floating debris recovery apparatus
US8034236B1 (en) Storm water filter system having a floating skimmer apparatus
KR101202889B1 (ko) 오일스키머
US9103086B2 (en) Open water oil skimmer
CN207376591U (zh) 一种液面垃圾自动收集装置
KR20200056649A (ko) 조류를 이용한 해상 부유 쓰레기 차집장치 및 그 방법
SE530632C2 (sv) Oljeupptagare och förfarande för uppsamling av en blandning/emulsion och avskiljning av vatten från olja
AU73128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matter floating on a body of water
KR101689142B1 (ko) 승강식 스키머를 갖는 스컴 제거 장치
CN111513039B (zh) 海底鱼类捕获装置及方法
KR20230120827A (ko) 부유물 수거 장치
KR101246897B1 (ko) 수상오염 방제선박
CN217419545U (zh) 海洋石油污染快速收集装置
KR101199119B1 (ko) 하천수를 이용하여 승강 작동되게 한 수중보
CN109122606A (zh) 一种捕鱼装置及方法
JP5752230B2 (ja) 異物洋上処理システム
JP2008179956A (ja) 淡水取水装置
KR20130125989A (ko) 거품포집장치
KR102053687B1 (ko) 오폐수 처리장치용 부유식 디캔터
KR200383858Y1 (ko) 수면 부유물 제거 및 하폐수 처리가 가능한 플랫폼 내 배수설비
JP2004084319A (ja) 昇降ゲート式取水装置
KR102084992B1 (ko) 쓰레기 포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