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6114A - 다공성 부직포가 포함된 납축전지의 극판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공성 부직포가 포함된 납축전지의 극판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6114A
KR20230046114A KR1020210129210A KR20210129210A KR20230046114A KR 20230046114 A KR20230046114 A KR 20230046114A KR 1020210129210 A KR1020210129210 A KR 1020210129210A KR 20210129210 A KR20210129210 A KR 20210129210A KR 20230046114 A KR20230046114 A KR 20230046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late
lead
active material
acid battery
nonwove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9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석모
윤강현
김정목
Original Assignee
한국앤컴퍼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앤컴퍼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앤컴퍼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9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6114A/ko
Publication of KR20230046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61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4Electrodes for lead-acid accumulators
    • H01M4/16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20Processes of manufacture of pasted electrod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09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for making electroconductive or anti-static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04H1/7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 D04H1/72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by electro-spinning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6Physical properties antistatic; conduct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el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공성 부직포가 포함된 납축전지의 극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공성 부직포를 극판의 상면과 하면을 커버하는 도포 용지로 적용함으로써, 활물질과 도포 용지의 접합력을 상승시켜 충방전시 발생하는 활물질의 탈락을 감소시켜 납축전지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공성 부직포가 포함된 납축전지의 극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활물질과 전해액 사이 반응 면적을 증가시켜 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다공성 부직포가 포함된 납축전지의 극판 제조방법{Electrode plate manufacturing method of lead-acid battery containing porous non-woven fabric}
본 발명은 다공성 부직포가 포함된 납축전지의 극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공성 부직포를 극판의 상면과 하면을 커버하는 도포 용지로 적용함으로써, 활물질과 도포 용지의 접합력을 상승시켜 충방전시 발생하는 활물질의 탈락을 감소시켜 납축전지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공성 부직포가 포함된 납축전지의 극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본적으로 전지 격리판은 전자적으로는 부도체이며 이온적으로는 도체이다.
즉, 격리판은 반대 극성의 전극들 간의 직접적인 전자적 접촉을 방지하는 반면에 상기 전극들 간의 이온 전류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두 가지 기능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격리판은 일반적으로 덴드라이트(dendrites) 또는 판(plate) 입자(particles)에 의한 전자적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능한 한 작은 공극(pores)을 가지며, 내부의 전지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능한 한 높은 공극률(porosity)을 가지는 다공성 (porous) 부도체이다.
납축전지에서 격리판은 또한 적절한 전극 간격을 결정하며, 그것에 의해 셀 반응에 참가하는 전해질의 양을 규정한다.
격리판은 전지의 사용기한 내내 안정하여야 한다.(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특2001-0042790참조)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납축전지는 충전과 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로 이는 전해액으로서 묽은 황산(H2SO4)을 사용하고 전극의 활물질로서 양(+)극에 이산화연(PbO2)을 도포하고, 음(-)극에 해면상(海綿狀)납(Pb)을 도포하여 외부 회로에 연결하면 전기가 흐르면서 방전(초기의 양극과 음극의 활물질 조성이 황산납(PbSO4)으로 변하는 과정)과 외부에서 전류를 흘려주면 충전(황산납이 방전전의 초기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로 변하는 과정)이 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활물질이 도포된 양극판(1)과 음극판(2)은 제조 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 형식의 것이 있는데, 페이스트(Paste)식 전극의 구조를 제공한다.
이는 격자 모양의 기판(5)과 그 위에 도포된 페이스트상의 활물질로 이루어진다.
보통 기판(5)은 기계적 강도 및 내부식성 강화를 위해 안티몬(Sb)과 칼슘(Ca)을 주성분으로한 합금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조 방법은 주형에 부어 중력식으로 주조하거나 연속 압연 공법으로 주조를 한다.(대한민국공개특허번호 특2000-0031876 참조)
활물질은 납축전지 성능에 중요한 작용을 하는 부분으로서 미세한 분말 상태의 산화납(Pb0)을 묽은 황산 수용액과 페이스트상의 것을 도포기에서 그 기판상에 연속적으로 도포하여 숙성과 건조 그리고 전기적으로 산화, 환원시키는 화성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양극 활물질인 이산화납(PbO2)은 산화된 납의 미립자가 무수히 많이 결합되어 있으며, 다공성이 풍부하여 입자 간을 전해액이 자유로이 확산, 침투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음극판의 활물질인 해면상납(海綿狀鉛) 역시 다공성과 반응성이 풍부하여 전해액이 자유로이 침투하도록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양극판과 음극판은 두 극판의 직접적인 접촉(Short)을 방지하기 위해 다공성의 부도체인 격리판(3)으로 분리되어 제품 전조(제품을 구성하는 용기)에 넣어 조립이 되어진다.
이렇게 만들어진 납축전지는 내부 전해질에 의해 전기적 성능을 발휘하며, 자동차 내에서 충전과 방전이 이루어진다.
자동차에 장착된 납축전지는 자동차의 운행 조건(일평균 주행거리, 운전자 운행 습관, 도로 상태) 및 자동차 전장부(電裝部)의 전기적인 부하 상태에 따라 납축전지의 수명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가혹한 상태에서의 운행 조건 및 과도한 전장부 부하는 다공성이 풍부한 양극판 활물질(PbO2)의 결합력을 떨어뜨리며, 이러한 활물질 탈락은 양극판과 음극판의 반응성을 떨어뜨려 전기적인 성능 저하를 초래하여 궁극적으로 납축전지의 수명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상기와 같이 극판의 활물질 탈락 감소를 위해 전극을 주조 또는 익스펜딩된 기판에 전기화학적 활성을 갖는 활물질 도포되고 그 활물질 표면에 열가소성수지가 원료인 부직포를 일정 깊이로 박히도록 압착한 상태에서 극판을 제조하는 방식과 표면에 활물질층을 부착시킨 다수개의 극판으로 구성된 납축전지에 있어서 활물질층의 외면에 얇은 섬유망체를 씌우고 폴리에틸렌계의 고분자 물질로 형성되고 내면에 돌조가 형성된 공지의 격리판을 섬유망체의 외면에 설치하여 활물질 탈락을 감소시키고 덴드라이트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으며 격리판의 두께를 감소시킬수 있어 납축전지의 크기를 감소시키게 하는 방법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상기 부직포 및 섬유망체의 사용은 전지에서 각각의 특성에 맞게 활용도가 넓게 퍼져있으며, 니켈-아연 2차 전지에 있어 미공성필름과 부직포로 이루어진 세퍼레이터(격리판)의 전지 수명과 방전 성능의 균형에서 최적의 전해액량 규제하기 위해 아연 음극의 이용률을 증대시켜 전지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폴리프로필렌부직포로 감싼 Ni양극과 면부직포 및 폴리프로필렌부직포로 감싼 Zn음극을 폴리프로필렌 미공성 필름으로 감싸서 세퍼레이터에 함습되는 전해액의 량과 상기 전지내의 전해액 총량 비율을 조정하는 전지, 알칼리 아연 축전지에 있어 Ni 양극과 Zn음극 사이를 분리하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가 형성되고, 상기 Ni 양극, Zn 음극 및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의 외부에 복수겹의 미공성막을 가지는 다층분리막이 배치된 알칼리아연 축전지에 있어서, 상기 다층 분리막 의 Zn 음극과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사이에 면부직포가 형성된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알칼리아연 축전지 및 리튬이온 전지에서의 격리판 제조에 있어30-80% 범위의 다공성, 002-20마이크론 범위의 평균 공극크기를 가지는 미공성 폴리올레핀 막을 포함하고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와 폴리올레핀 중합체의 올리고머의 블렌드로부터 제조되는 격리판 등 전지에서의 폴리머로 구성된 폴리올레핀계 부직포 및 막이 많이 활용되어 지고 있다.
현재 납축전지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격리판은 충전식의 다공성 폴리에틸렌 격리판이며, 주요 목적은 양극판 및 음극판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함으로써, 단락을 방지하는 것이며, 보조적인 목적은 양극판 및 음극판 간의 작은 저항으로 이온 전류 흐름을 가능하게 하여야 하는 것이다.
요약하자면, 통상적으로 납축전지는 Grid에 활물질 도포 후, 티슈 Paper를 활물질 표면에 부착시킨다.
티슈 Paper는 도포 작업시 쉽게 찢어져 작업성이 떨어지며 극판을 고정시키는 힘이 약하여 차량에 장착되어 사용 시, 사용자의 사용 조건, 환경 조건, 운행 조건에 따라 Grid에서의 활물질 탈락이 가속화 되어 배터리의 용량 및 시동력 저하 또는 조기 수명 종지를 초래한다.
또한, 티슈 Paper는 배터리의 전기적 성질을 가지게 하는 화성 공정 후 녹아 전해액의 건더기 형태로 부유물이 되어 떠다니게 된다.
이런 건더기는 저항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단점을 보완하고자 티슈 Paper를 대체하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재질의 부직포를 활물질 표면에 압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는 Grid에 도포된 활물질이 Grid에서 탈락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로 사용되며, 이러한 활물질 지지대(부직포)는 내산성, 내열성, 내산화성이 특징이다.
하지만, 지지대 역할을 하는 부직포는 전해액을 첨가하여 전기를 불어 넣어 주는 화성 공정 후, 양극, 음극 간에 이온 전자 이동을 방해하는 중합체가 됨으로써, 제품 내의 저항을 증가시켜 배터리 성능 하락의 주원인이 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현재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나노섬유를 납축전지용 극판에 사용되는 부직포에 적용하여 배터리 성능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게 된 것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특2001-0042790호 대한민국공개특허번호 특2000-0031876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공성 부직포를 극판의 상면과 하면을 커버하는 도포 용지로 적용함으로써, 활물질과 도포 용지의 접합력을 상승시켜 충방전시 발생하는 활물질의 탈락을 감소시켜 납축전지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공성 부직포가 포함된 납축전지의 극판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부직포가 포함된 납축전지의 극판 제조방법은,
아크릴수지계의 비결정성고분자 25 Wt%를 디클로로메탄과 디메틸포르마미드 중량비율 4:1로 혼합된 혼합용매에 용해하여서 휘발성과 방사성이 좋은 방사 용액을 준비하는 방사용액준비단계(S100);와
전기 방사장치에 상기 방사 용액을 제공하여 전기 방사를 통해 다공성 나노 섬유 부직포를 제조하는 나노섬유부직포제조단계(S200);와
극판에 활물질을 도포하는 활물질도포단계(S300);와
상기 활물질이 도포된 극판에 상기 다공성 나노 섬유 부직포를 위치시키고, 건조기에 투입하여 고온에서 건조시켜 고성능 극판을 제조하기 위한 극판완성단계(S400);를 포함함으로써, 납 축전지 내구성과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과제를 해결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인 다공성 부직포가 포함된 납축전지의 극판 제조방법을 통해, 다공성 부직포를 극판의 상면과 하면을 커버하는 도포 용지로 적용함으로써, 활물질과 도포 용지의 접합력을 상승시켜 충방전시 발생하는 활물질의 탈락을 감소시켜 납축전지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활물질과 전해액 사이 반응 면적을 증가시켜 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부직포가 포함된 납축전지의 극판 제조방법의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부직포가 포함된 납축전지의 극판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공성 부직포와 종래 부직포를 비교한 이미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부직포가 포함된 납축전지의 극판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공성 부직포와 종래 부직포의 J2801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부직포가 포함된 납축전지의 극판 제조방법은,
아크릴수지계의 비결정성고분자 25 Wt%를 디클로로메탄과 디메틸포르마미드 중량비율 4:1로 혼합된 혼합용매에 용해하여서 휘발성과 방사성이 좋은 방사 용액을 준비하는 방사용액준비단계(S100);와
전기 방사장치에 상기 방사 용액을 제공하여 전기 방사를 통해 다공성 나노 섬유 부직포를 제조하는 나노섬유부직포제조단계(S200);와
극판에 활물질을 도포하는 활물질도포단계(S300);와
상기 활물질이 도포된 극판에 상기 다공성 나노 섬유 부직포를 위치시키고, 건조기에 투입하여 고온에서 건조시켜 고성능 극판을 제조하기 위한 극판완성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다공성 부직포를 극판의 상면과 하면을 커버하는 도포 용지로 적용함으로써, 활물질과 도포 용지의 접합력을 상승시켜 충방전시 발생하는 활물질의 탈락을 감소시켜 납축전지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극판완성단계(S400)는,
건조장치의 온도를 300 ~ 400℃ 온도로 설정하고, 1시간 ~ 7시간을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공성 부직포가 포함된 납축전지의 극판을 제공함으로써, 활물질과 도포 용지의 접합력을 상승시켜 충방전시 발생하는 활물질의 탈락을 감소시켜 납축전지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다공성 부직포가 포함된 납축전지의 극판 제조방법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부직포가 포함된 납축전지의 극판 제조방법의 공정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다공성 부직포가 포함된 납축전지의 극판 제조방법은,
아크릴수지계의 비결정성고분자 25 Wt%를 디클로로메탄과 디메틸포르마미드 중량비율 4:1로 혼합된 혼합용매에 용해하여서 휘발성과 방사성이 좋은 방사 용액을 준비하는 방사용액준비단계(S100);와
전기 방사장치에 상기 방사 용액을 제공하여 전기 방사를 통해 다공성 나노 섬유 부직포를 제조하는 나노섬유부직포제조단계(S200);와
극판에 활물질을 도포하는 활물질도포단계(S300);와
상기 활물질이 도포된 극판에 상기 다공성 나노 섬유 부직포를 위치시키고, 건조기에 투입하여 고온에서 건조시켜 고성능 극판을 제조하기 위한 극판완성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공정을 통해, 본 발명은 다공성 부직포를 극판의 상면과 하면을 커버하는 도포 용지로 적용함으로써, 활물질과 도포 용지의 접합력을 상승시켜 충방전시 발생하는 활물질의 탈락을 감소시켜 납축전지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다시 설명하면, 현재 다양한 차량 내부의 전자제품 등을 동시에 사용하기 위하여 종래 극판 대비 전해액의 투과성을 높여 극판 내외부의 전해액이 충전 및 방전 상태에서 원활하게 순환될 수 있도록 하여 부분적으로 전해액을 이용함에 따른 납축전지의 성능이 악화되는 문제점을 개선함으로써, 종래의 납축전지 대비 5% 이상의 기초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하고, 확인시험을 거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른 것이다.
다음은 제조단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방사용액준비단계(S100)는 아크릴수지계의 비결정성고분자 25 Wt%를 디클로로메탄과 디메틸포르마미드 중량비율 4:1로 혼합된 혼합용매에 용해하여서 휘발성과 방사성이 좋은 방사 용액을 준비하는 과정이다.
즉, 아크릴수지계의 비결정성고분자 25 Wt%를 디클로로메탄과 디메틸포르마미드 중량비율 4:1로 혼합된 혼합용매에 용해함으로써, 휘발성과 방사성이 탁월한 방사 용액을 제조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전기 방사장치에 상기 방사 용액을 제공하여 전기 방사를 통해 다공성 나노 섬유 부직포를 제조하는 나노섬유부직포제조단계(S200)를 수행하게 된다.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공성 나노섬유 부직포의 비표면적(약 125 ~ 150㎡/g 수준으로 일반 PET 부직포의 비표면적 35㎡/g 대비 약 4배)을 극대화하여 흡착 성능이 우수한 부직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속공정 전기방사 장치로 부직포를 제작함으로써, 기존 전기 방사 대비 높은 생산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전기 방사장치는,
회전실린더와 전원장치 등을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표면에 여러 개의 탐침이 위치한 나선형으로 제작된 회전실린더를 DC전원 장치에 연결하여, 전압을 인가한 후 회전시키고, 회전실린더의 하단부에 방사 용액을 포함하는 용기을 위치시켜 전기 방사를 이용하여 나노 섬유 부직포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부직포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공성 나노섬유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높은 표면적으로 활물질과 도포용지의 접합력을 높여주어 충방전시 발생하는 활물질의 탈락을 감소시켜 납축전지의 수명이 증진된다.
또한, 활물질과 전해액 사이 반응면적을 증가시켜 그 성능이 향상이 기대된다.
한편, 상기 준비되는 방사 용액은 연분 대비 50 ~ 70 중량부를 준비하여 공급하게 된다.
용액은 연분 중량을 기준으로 50 ~ 70 중량부를 추가하는데, 상기 용액의 중량부가 50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극판의 전기 전도도는 종래와 비슷하므로 성능 향상을 기대하기가 어려운 소량에 해당하고, 7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가속 수명 시험에서 입증하였듯이, 수명 싸이클의 70 중량부의 싸이클 이상으로 기대하기가 어렵고, 단지 가격 상승 원인만을 제공할 뿐이다.
따라서, 상기한 범위 내에서 용액을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후, 활물질도포단계(S300)는 극판에 활물질을 도포하는 과정이다.
이때, 활물질은,
연분 82 중량부, 1.40 비중의 황산 5 중량부, 물 11 중량부, 음극첨가제 1 중량부를 배합하여 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50 ~ 75도의 온도에서 교반하여 60 ~ 80g/In3 밀도의 혼합물을 얻게 된다.
이후, 극판완성단계(S400)는 상기 활물질이 도포된 극판에 상기 다공성 나노섬유 부직포를 위치시키고, 건조기에 투입하여 고온에서 건조시켜 고성능 극판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구체적으로는, 건조장치의 온도를 300 ~ 400℃ 온도로 설정하고, 1시간 ~ 7시간을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온도 범위 미만일 경우에 제대로 경화되지 않아 전도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온도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 극판에 크랙이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상기한 범위 내에서 경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일반적인 부직포를 포함한 극판을 사용한 납축전지와 본 발명의 다공성 나노섬유 부직포를 포함한 극판을 사용한 납축전지에 대한 기초성능 및 수명시험을 하되, 후속 공정인 조립, 화성 등의 공정을 통해 제품을 제작하였으며, 수명을 검증하기 위해 J2801 규격에 따라 수명 시험을 진행하였다.
후술하는 종래품이라 함은, 출원인이 제조하는 일반적인 부직포를 포함한 극판을 사용한 납축전지를 말하며, 개선품은 다공성 나노섬유 부직포를 포함한 극판을 사용한 납축전지를 말한다.
시험결과 보유용량에서 수명이 306 사이클에서 종지되었으며, 이는 종래품 대비 수명에서는 29% 향상되었다.
이에 대한 실험 자료는 후술하도록 하겠다.
상기 시험 규격은 고온(75℃)에서 충전/방전을 반복하여 수명이 종지될 때까지의 사이클을 측정하는 시험 방법이다.
(1 사이클 : 25A 4분 방전, 14.8V[최대 25A] 정전압 10분 충전)
본 시험은 1주 동안 480회 반복하며, 그 후 56시간 정치 후, 630A 고율로 방전하여 30초 시점에서의 전압을 측정함으로써 납축전지의 상태를 판정한다.
30초 시점의 전압이 7.2V 이상이면 납축전지를 온전한 상태로 판정하여 위의 싸이클을 반복하며, 7.2V 이하이면 납축전지를 수명 종지로 판정하여, 시험을 중단한다.
<시험예>
후술하는 종래품이라 함은, 출원인이 제조하는 일반적인 부직포를 포함하는 극판을 사용하는 납축전지를 말하며, 개선품은 다공성 나노섬유 부직포를 포함한 극판을 사용한 납축전지를 말한다.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은 종래의 납축전지와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납축전지의 성능 시험결과로서, 하기와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1) 보유용량 (RC : Reserve Capacity)
보유용량 RC는 만충전 완료 후 1시간 이상 방치한 다음 25℃에서 25A의 방전전류로 방전종지전압 10.5V 도달 시까지의 방전가능 지속시간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이는 차량에 있어서, 시동이 정지된 상태 등에서 부하를 작동시키는데 어느 시간까지 최소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가에 대한 척도가 된다.
시험결과,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나노섬유 부직포를 포함하여 제조하였을 경우, 보유용량(RC)은 종래품 99.5%에서 100%로 향상되었으며, 다공성 나노섬유 부직포를 포함한 극판이 포함된 납축전지가 보유용량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2) 저온시동전류(CCA : Cold Cranking Ampere)
일반적으로 축전지의 급속방전 특성은 -10℃ 이하에서 급속히 저하되는데, 저온시동전류(CCA)는 저온에서의 자동차 시동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고율방전시험으로서, 만충전 완료 후 -18℃에서 630A로 30초 방전시의 전압을 측정한다.
이 시험에 있어서는 30초 때의 전압이 7.2V이상 요구되며, 높을수록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된다.
본 발명에서는 (30초 전압÷6-0.2)×630의 보정식을 사용하여 CCA를 계산하였다.
시험결과,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품 101.5%에서 개선품 104.2%로 향상되었으며, 다공성 나노섬유 부직포를 포함한 극판이 포함된 납축전지가 저온시동전류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3) 20 시간율 용량(AH)
이는 저율방전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납축전지 용량에 대해 비교적 적은 전류인 3.75A로 연속 방전시켜, 전압이 10.5V에 도달할 때까지의 방전용량(AH)을 측정하는 것이다.
시험 결과, 종래품 101.5%에서 개선품 101.8%로 향상되었으며, 다공성 나노섬유 부직포를 포함한 극판이 20 시간율 용량(AH)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4) 충전수입성 시험 (CA: Charge Acceptance test)
만충전된 시료를 상온(25±2℃)에서 5시간율 전류(70Ah 기준 17.5A)로 2.5시간 방전한 후, 0±2℃ 온도에서 12시간이상 방치한다.
이후 정전압 14.4V±0.1V으로 충전하여 충전 10분때 전류를 측정한다.
시험결과, 전기 전도도 및 충전 효율이 높아 종래품 14.8에서 개선품 15.21로 향상되었으며, 다공성 나노섬유 부직포를 포함한 극판이 충전수입성 시험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Figure pat00002
종래품 #1 내지 #3(일반적인 부직포를 포함하는 1번 납축전지, 2번 납축전지, 3번 납축전지를 의미함)은 238 ~ 272 싸이클에서 종지되었으며, 개선품 #1 내지 #3(다공성 나노섬유 부직포를 포함하는 1번 납축전지, 2번 납축전지, 3번 납축전지를 의미함)은 272 ~ 306 사이클에서 종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종래품보다 수명에서는 29%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다공성 나노섬유 부직포 적용에 따라 활물질과 도포 용지의 접합력을 상승시켜 충방전시 발생하는 활물질의 탈락을 감소시켜 납축전지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활물질과 전해액 사이 반응 면적을 증가시켜 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조 방법을 통해, 다공성 부직포를 극판의 상면과 하면을 커버하는 도포 용지로 적용함으로써, 활물질과 도포 용지의 접합력을 상승시켜 충방전시 발생하는 활물질의 탈락을 감소시켜 납축전지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S100 : 방사용액준비단계
S200 : 나노섬유부직포제조단계
S300 : 활물질도포단계
S400 : 극판완성단계

Claims (4)

  1. 다공성 부직포가 포함된 납축전지의 극판 제조방법에 있어서,
    아크릴수지계의 비결정성고분자 25 Wt%를 디클로로메탄과 디메틸포르마미드 중량비율 4:1로 혼합된 혼합용매에 용해하여서 휘발성과 방사성이 좋은 방사 용액을 준비하는 방사용액준비단계(S100);와
    전기 방사장치에 상기 방사 용액을 제공하여 전기 방사를 통해 다공성 나노 섬유 부직포를 제조하는 나노섬유부직포제조단계(S200);와
    극판에 활물질을 도포하는 활물질도포단계(S300);와
    상기 활물질이 도포된 극판에 상기 다공성 나노 섬유 부직포를 위치시키고, 건조기에 투입하여 고온에서 건조시켜 고성능 극판을 제조하기 위한 극판완성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부직포가 포함된 납축전지의 극판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부직포를 극판의 상면과 하면을 커버하는 도포 용지로 적용함으로써, 활물질과 도포 용지의 접합력을 상승시켜 충방전시 발생하는 활물질의 탈락을 감소시켜 납축전지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부직포가 포함된 납축전지의 극판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극판완성단계(S400)는,
    건조장치의 온도를 300 ~ 400℃ 온도로 설정하고, 1시간 ~ 7시간을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부직포가 포함된 납축전지의 극판 제조방법.
  4. 제 1항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공성 부직포가 포함된 납축전지의 극판.
KR1020210129210A 2021-09-29 2021-09-29 다공성 부직포가 포함된 납축전지의 극판 제조방법 KR202300461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210A KR20230046114A (ko) 2021-09-29 2021-09-29 다공성 부직포가 포함된 납축전지의 극판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210A KR20230046114A (ko) 2021-09-29 2021-09-29 다공성 부직포가 포함된 납축전지의 극판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6114A true KR20230046114A (ko) 2023-04-05

Family

ID=85884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9210A KR20230046114A (ko) 2021-09-29 2021-09-29 다공성 부직포가 포함된 납축전지의 극판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611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1876A (ko) 1998-11-11 2000-06-05 조충환 내부식성 및 내변형성을 향상시킨 납축전지용 합금판의제조 방법
KR20010042790A (ko) 1998-06-23 2001-05-25 뵌스테드 뵈르너 밀폐형 납축전지용 이격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2790A (ko) 1998-06-23 2001-05-25 뵌스테드 뵈르너 밀폐형 납축전지용 이격판
KR20000031876A (ko) 1998-11-11 2000-06-05 조충환 내부식성 및 내변형성을 향상시킨 납축전지용 합금판의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13904B (zh) 一种聚合物锂离子电池用隔膜的制造方法
EP2901515A1 (en) Active material compositions comprising high surface area carbonaceous materials
CN102484245A (zh) 铅蓄电池用负极板的制造方法以及铅蓄电池
KR102105992B1 (ko) 고전도성 그래핀 섬유를 적용한 납축전지용 극판 제조 방법 및 납축전지
KR20030005759A (ko) 연축전지용 전극 및 그 제조방법
KR102225198B1 (ko) 규조토 단섬유를 첨가한 납축전지용 음극 활물질 제조 방법
US20030180613A1 (en) Negative battery paste
KR100756274B1 (ko) 밀폐형 납축전지 양극극판의 제조방법
KR20230046114A (ko) 다공성 부직포가 포함된 납축전지의 극판 제조방법
KR102424570B1 (ko) 수계 sbr-cmc를 첨가하여 활물질 간 접착력을 향상시킨 납축전지의 극판 제조방법
KR20230161284A (ko) 실리콘-탄소 복합체를 포함한 음극 활물질을 도포한 납축전지용 극판 제조 방법
US20220407083A1 (en) Active material having oxidized fiber additive &amp; electrode and battery having same
KR102225190B1 (ko) 수계 바인더를 이용한 납축전지용 양극 활물질 제조 방법
KR20230046115A (ko) 실린지리스 전기 방사기법이 적용된 고결정성 콜로이드 부직포가 포함된 납축전지의 극판 제조방법
KR102523085B1 (ko) 다공성 폴리에스터 부직포를 적용하여 이온 이동성을 향상시키는 납축전지용 극판 제조방법
KR20230044876A (ko) 탄소 종이를 사용한 납축전지의 극판 제조방법
KR20210034314A (ko) 다공질 티타늄을 이용한 납축전지용 양극 활물질 제조 방법
KR20230159931A (ko) 이황화몰리브덴이 첨가된 부직포가 포함된 납축전지의 극판 제조방법
KR20210017160A (ko) 다공성 SiO2를 포함하고 있는 고성능 PE격리판 제조 방법
KR102225186B1 (ko) 중공 나선형 카본화이버를 이용한 납축전지용 음극 활물질 제조 방법
KR20240042999A (ko) 카본 폼이 포함된 납축전지의 극판 제조방법
KR102424560B1 (ko) 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막을 적용하여 충전 효율 향상 및 저온 시동능력을 향상시킨 납축전지용 극판 제조 방법
KR102103287B1 (ko) Cnt 코팅 섬유를 적용한 납축전지용 활물질 제조 방법
JP6436092B2 (ja) 鉛蓄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鉛蓄電池
KR102424563B1 (ko) 다공성 그래핀이 코팅된 Pb@C 나노입자 촉매 극판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