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5186A - 콩잎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콩잎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5186A
KR20230045186A KR1020210127735A KR20210127735A KR20230045186A KR 20230045186 A KR20230045186 A KR 20230045186A KR 1020210127735 A KR1020210127735 A KR 1020210127735A KR 20210127735 A KR20210127735 A KR 20210127735A KR 20230045186 A KR20230045186 A KR 20230045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arcopenia
extract
preventing
mus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7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경예
최고은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27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5186A/ko
Publication of KR20230045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51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regeneration or building of ligaments or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콩잎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로, 천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부작용의 문제가 없으면서도 근감소증 예방 또는 개선 활성이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콩잎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SARCOPENIA COMPRISING BEAN LEAF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콩잎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천연물 기반의 조성물을 제공하고, 상기 조성물을 통해 근감소증을 예방 또는 개선하고 근력강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천연물을 이용하여 장기간 복용하여도 그에 따른 부작용의 문제가 없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65세 이상의 고령의 연령층이 가파르게 증가하면서 골다공증과 근감소증의 유병률도 빠르게 증가되고 있다. 근육량의 점진적인 감소는 40대 이후부터 발생하여 70대까지 매 10년마다 8%씩의 감소가 일어난다고 추정 되며, 그 이후로는 더욱 급격한 감소가 발생하여 10년마다 15%까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많은 추적 연구를 통해서 노인에서 발생하는 생리적 변화는 다양하며, 일반적으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근육량과 골밀도가 동시에 감소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근감소증의 개념은 1989년 Irwin Rosenberg가 'sarcopenia'라는 용어를 도입하면서 시작된 것으로, 그리스어에서 기원을 보면 근육을 의미하는 “sarco”와 감소되어 있다는 뜻의 “penia”가 합성된 단어이다. 근감소증은 노화와 연관되어 근육량의 감소에 따른 근력의 저하를 의미한다. 여기에서 “근육(muscle)” 이란 골격근(skeletal muscle)을 의미하고 평활근(smooth muscle)과는 관계가 없다. 즉, 근감소증은 주로 사지에 분포한 골격근의 감소(loss of skeletal muscle mass)를 의미하며, 악성종양의 말기 등에서 나타나는 현저한 근육 소실 상태인 악액질(cachexia), 독감 등 급성질병으로 인한 근육소모(muscle wasting), 혹은 근육자체의 질병(primary muscle disease)과는 구별된다.
근감소증의 근본적인 발병원인이 아직 규명되지 않았고, 운동신경이나 골격근의 퇴행을 방지하거나 또는 회복시킬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상기 근감소증의 진행을 둔화시키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근감소증의 치료방법으로 크게 3가지를 들 수가 있다. 첫 번째는 운동이다. 운동은 단기적으로 골격근의 단백질 합성 능력을 증가시키며, 노인들의 근육의 힘이나 운동성을 증가시킨다고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장기적 치료방법에 부적절하다. 두 번째는 약물치료로서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또는 아나볼릭 스테로이드(anabolic steroid)의 사용이 가능하나 이는 여성에게는 남성화를 유도하며, 남성의 경우 전립선 증상(prostatesymptoms) 등 부작용을 나타낸다. 다른 승인된 처방법으로 DHEA(dehydroepiandrosterone) 와 성장 호르몬이 있는데 SARMs(Selective Androgen Receptor Modulators)을 포함하는 부위에서 치료법으로 가능하다는 연구가 보고된 바 있다. 또한, 식이요법이 치료법으로 알려져 있지만 영양평가에 의하면 영양실조나, 현대 식습관은 적당한 총체질량(total body mass)을 유지하기 위해 부적절하다.
마이오스타틴(myostatin)은 TGF-β의 superfamily군에 속하는 폴리펩타이드(polypeptide) 성장인자이다. TGFβ는 다량의 이소폼(isoform)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세포의 증식(proliferation), 세포사멸(apoptosis), 분화, 뼈의 형성 및 유지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assague & Chen, 2000). 마이오스타틴은 그 중 growth differentiation factor(GDF) 8번에 속하며, 조직의 성장 및 발달에 관여하고, Smad 신호 전달계를 활성화시켜 작용한다. 또한, p21 유전자에 의해 세포주기 및 전구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여 골 형성 및 재생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마이오스타틴은 주로 골격근세포에서 생성되어 자가분비 방식으로 근육소실 및 근력감소를 야기하며, 근 비대에 관여하는 IGF-1이나 Follistatin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근아세포(myoblast)에서의 단백질 합성 및 세포 증식을 억제한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현재 근감소증의 치료 방법으로 주로 근감소증의 일종인 근육세포의 퇴행 또는 진행성 변이에 의해 유발되는 근위축증을 억제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WO 2007/088123에는 니트록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위축증 치료제가 개시되어 있고, WO 2006/081997에는 아트라릭산 또는 그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위축증 치료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이들 치료제는 근위축증이 발병된 골격근 뿐만 아니라, 근위축증과 관련되지 않은 내장근 또는 심근에도 작용하기 때문에, 크고 작은 다양한 부작용이 유발될 수 있어, 실질적인 치료에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장기간 복용시에도 부작용의 문제가 없으면서도 근감소증 예방 또는 개선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이 발명을 완성하였다.
KR 10-2257023 B1 KR 10-2020-0010084 A
본 발명의 목적은 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근감소증 예방 또는 개선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복용량 및 복용기간이 증가하여도 부작용의 문제가 없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감소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콩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MAFbx(muscle atrophy F-box antibody) 발현 억제활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근감소증은 근위축증, 근무력증, 근이영양증, 근경직증, 근긴장저하, 근력약화, 근육퇴행위축 또는 중증 근무력증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산골취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은 콩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은 콩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콩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이란 하기의 천연 추출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선"은 상태의 완화 또는 치료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감소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콩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콩(Glycine max MERR)은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한해살이풀로 일반적으로 대두라고도 불리나 종실의 크기에 따라 큰 것은 왕콩, 중간 것은 중콩, 작은 것은 좀콩, 쥐눈이콩, 나물콩, 기름콩, 콩나물콩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높이는 60~100센티미터이며 7~8월에 꽃이 피고 몇 개의 꽃이 결실하여 꼬투리가 되고 그 속에 1~3개의 긴 타원형의 씨가 들어 있다.
한편, 콩잎(soybean leaves) 이소플라본 외 16종의 생리활성 물질들이 비만, 성인병, 유방암 등의 예방효과가 있는 천연물로 경상도 지역과 제주도에서 한정되어 사용되던 식재료이다. 푸른 콩잎이나 가을철 노랗게 약간 물든 단풍 콩잎 모두 사용하기도 한다.
본원발명에서는 상기 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근감소증 예방 또는 개선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MAFbx(muscle atrophy F-box antibody) 발현 억제활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MAFbx는 근관세포에서 근감소의 마커에 해당하여 이의 발현이 감소되는 경우 근감소에 대한 예방, 치료 또는 개선 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으며 본원발명의 조성물에 의하는 경우 MAFbx의 발현 감소 활성이 우수하여 근감소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상기 근감소증은 근위축증, 근무력증, 근이영양증, 근경직증, 근긴장저하, 근력약화, 근육퇴행위축 또는 중증 근무력증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근위축증(muscular dystrophy)은 근육이 위축되는 질환으로, 루게릭병이라고도 불리며, 사지의 근육이 거의 좌우대칭적으로 점점 위축되어 가는 것으로 여러 형태가 있다. 대부분 근위축성 측삭경화증과 척수성진행성근위축증이며, 모두 척수에 있는 운동신경섬유 및 세포의 진행성 변성에 의한 것이나 원인은 불명하다.
상기 근무력증(myasthenia)은 근육의 신경장애로 근육이 쇠약해지는 질환이다. 신경은 자극을 받으면 신경 말단에서 아세틸콜린(acetylcholine)이라는 화학물질을 내보내고, 상기 화학물질이 근막에 있는 아세틸콜린수용체와 결합하여 근수축이 일어나게 되는데 아세틸콜린수용체의 모양이 변하거나 다른 물질이 아세틸콜린수용체를 막고 있는 경우 등 신경 자극이 제대로 전해지지 않으면 근수축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아 근육이 약해진다. 초기 증상으로는 눈꺼풀쳐짐, 눈동자가 움직임 둔화 등 가벼운 증상으로 나타나나 발음이 어눌해지고 음식을 삼키는데 불편함이 생기며 얼굴 근육이 약해진다. 이후, 전신으로 번져 팔, 다리에 힘이 들어가지 않거나 호흡곤란, 호흡마비 등 심각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상기 근이영양증(muscular dystrophy)은 골격근이 점차로 변성되고 위축되어 악화되어가는 진행성, 불치성, 유전성 질환이다. 근이영양증은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와는 연관 없이 골격근의 퇴화 진행으로 근육 약화, 구축, 변형을 보이며 특정 근육에 진행성으로 오는 대칭성 근위축 증상이 나타난다. 근이영양증은 근육 약화의 정도와 유전적 패턴에 따라 몇 가지 형태로 분류되며, 뒤센(Duchenne)형, 베커(Becker)형, 상염색체 열성소질 근이영양증(대형이양증 등), 상염색체 우성소질 근이영양증(안면 견갑상완 근이영양증 등) 등의 유형이 있다.
상기 근경직증은 특정근육이 지속적으로 수축되는 상태로 근육이 굳어지거나 당기게 되면서 행동, 보행, 대화에도 장애를 나타낼 수 있다. 자율적 동작을 관할하는 척추나 뇌의 특정부위의 손상으로 신경계에서 근육에 보내는 신호에 이상이 나타나고, 이로 인해 근육에 지나친 수축이 일어나게 된다. 주로 뇌성마비 환자나 다발성경화증 환자는 근경직을 갖게 되며, 기타 근경직을 일으키는 원인으로는 외상 또는 산소부족으로 인한 뇌부상, 척수부상, 수막염, 뇌염, 중풍, 부신백질이양영종, 페닐케톤뇨증, 근위축성축색경화증 등이 있다.
상기 근긴장저하(hypotonia)는 근육의 저항이 낮아진 상태를 의미하며, 운동신경에 영향을 주는 여러 원인에 의해 초래될 수 있다. 주요 증상으로는 양팔과 다리를 힘없이 축 늘어뜨리거나 머리를 잘 가누지 못하여 이동 및 자세를 취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호흡과 발화(대화)에도 어려움을 겪는다. 주로 다운 증후군, 근이영양증, 뇌성마비, 근긴장증 등을 가진 사람에게서 많이 나타난다.
상기 근력약화(muscular weakness)는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근육의 힘이 감소된 상태로 운동 부족으로 인한 발생이 대부분이나 길렌바레증후군, 중증근무력증, 진행성 근이영양증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상기 근육퇴행위축(muscular dystrophy)은 유전성 요인으로 진행성 근력 저하 및 위축을 보이며, 병리학적으로 근육섬유의 괴사 및 재생을 특징으로 하는 퇴행성 근육병증을 의미한다. 이는 디스트로핀(dystrophin) 유전자 등 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해 디스트로핀(dystrophin) 같은 근세포막에 존재하는 특정 단백이 소실되어 근세포막의 안정성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는 구성 단백질인 디스트로핀-당단백질 복합체(dystrophin-glycoprotein complex) 등이 제대로 형성되지 못하여 근세포막의 손상으로 근육섬유의 괴사와 퇴행과정을 거쳐 결국 근력저하 및 위축이 발생하게 되는 질환이다. 근디스트로피(근육퇴행위축)의 종류는 임상 및 유전양상을 고려하여 분류하는데, 뒤시엔느(Duchenne) 근육퇴행위축, 벡커(Becker) 근육퇴행위축, 지대형(limb-girdle, 사지 연결) 근육퇴행위축, 안면견갑상완(facioscapulohumeral) 근육퇴행위축, 눈인두(oculopharyngeal) 근육퇴행위축, 근육긴장(myotonia) 등이 있다.
상기 중증 근무력증(Myasthenia gravis)은 일시적인 근력약화와 피로를 특징으로 하는 대표적인 신경근육접합질환으로 자가항원에 의하여 형성된 자가항체에 의하여 증상이 나타나는 대표적인 항체매개자가면역질환이다. 주된 증상은 피로감이 있거나 팔다리 근육에 힘이 빠지기도 하며, 심한 경우 몸통에 있는 근유에도 힘이 빠져 숨이차게 되기도 하며, 더 심해지는 경우 호흡마비가 발생하여 기계를 통한 인공호흡이 필요한 상태까지 그 증상이 심해지기도 한다. 상기 중증 근무력증은 눈 근육에 이상이 생기는 안구형 중증 근육무력증, 전신에 나타날 수 있는 전신 중증 근육무력증, 중근 근육무력증을 앓고 있는 어머니로부터 태어난 신상아에 출생 후 약 48시간 안에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일과성 신행아 중증 근육무력증 및 비정상적인 면역 체계 때문이 아닌 근육과 신경 전달의 유전적 결함으로 나타나는 선천성 근육무력증 등으로 그 종류가 나뉜다.
본원발명의 근감소증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상기 기재한 근육질환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있어 예방 치료 또는 개선 활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장기간 복용시에도 부작용의 문제가 없다.
상기 조성물은 산골취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산골취(Saussurea neoserrata)는 무수해, 산골분취라고도 한다. 깊은 산에서 자란다. 높이 50∼110cm이다. 줄기는 곧게 서고 윗부분에서 가지를 내기도 한다. 잎의 밑동이 줄기로 흘러서 줄기의 날개가 된다. 뿌리에 달린 잎과 밑부분에 달린 잎은 꽃이 필 때 진다.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나고 바소꼴이거나 타원 모양 바소꼴로서 길이 12∼15cm이며, 끝이 뾰족하며 밑은 좁아진다. 윗부분으로 갈수록 작아지고, 뒷면에 꼬부라진 털이 나며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다. 꽃은 8∼9월에 자줏빛으로 핀다.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두화(頭花)가 산방꽃차례로 달리며, 꽃 지름 8∼10mm이다. 총포는 통 모양이며 길이 8∼9mm, 지름 4∼5mm이다. 포조각은 4줄로 늘어서며 가장자리가 자줏빛이고 거미줄 같은 흰 털이 난다. 열매는 수과로서 길이 약 5mm이며 검은 갈색 줄이 있다. 관모(冠毛)는 2줄이며 갈색이다. 어린순은 식용한다. 한국 특산종으로 북부지방에 분포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성물은 콩잎 추출물 및 산골취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콩잎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골취 추출물 20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유효성분의 상호작용으로 근감소증에 대한 예방, 치료 또는 개선 효과가 크게 높아질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콩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쇠비름 추출물 및 곤달비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쇠비름(Portulaca oleracea L.)은 쌍떡잎식물 중심자목 쇠비름과의 한해살이풀로 밭 근처에서 자라는 잡초이다. 높이가 30cm에 달하며, 전체에 털은 없으나 육질이고 뿌리는 흰색이며 줄기는 붉은빛이 도는 갈색으로서 많은 가지가 비스듬히 옆으로 퍼진다. 잎은 어긋나거나 마주나는데 가지 끝에서는 돌려난 것같이 보이며, 모양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듯한 모양이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양성화이고 6월부터 가을까지 계속 피며 노란색이다. 꽃받침조각은 2개, 꽃잎은 5개, 수술은 7∼12개,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타원형으로 8월에 익으며 가운데가 옆으로 갈라져서 종자가 나오는데, 서양에서는 그 연한 부분을 샐러드로 이용한다. 한국에서는 나물로 이용하며, 풀 전체를 민간약으로 사용한다. 전세계의 온대에서 열대에 걸쳐 분포한다. 쇠비름의 잎에서 추출한 액체를 정제한 것을 '마치현 추출물'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오메가 3 지방산의 일종인 에이코사펜타엔산 (EPA, eicosapentaenoic acid)을 함유하며 항균작용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어 화장품의 원료로 사용되기도 한다.
상기 곤달비(Ligularia stenocephala)는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깊은 산의 습지에서 자라며, 한국(전라남도), 일본, 타이완,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높이 60∼100cm이며, 풀 전체에 털이 없고 뿌리줄기가 굵다. 뿌리에 달린 잎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는데 길이 24cm, 나비 20cm 정도이다. 잎 뒷면 맥을 따라 털이 나며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고, 잎자루는 길이 40cm 정도로 날개가 없고 밑쪽이 넓으며 줄기에 달린 잎은 3개로 아래쪽 것은 뿌리에 달린 잎과 거의 같으나, 위쪽으로 갈수록 잎자루가 짧아져서 잎집이 되고 잎도 작아진다. 꽃은 노란색으로 8∼9월에 줄기 끝에 총상꽃차례로 달리고, 밑에서 위로 피며 지름 3cm 정도이며, 포는 바소꼴이며 길이 2∼3mm이고 꽃자루는 길이 1∼3.5cm이다. 총포는 좁은 통 모양이고 포조각은 5개이며 화관은 길이 20∼25mm, 나비 3∼4mm이다. 관모는 화관보다 짧으며 연한 갈색이다. 열매는 수과로 10월에 익으며 거꾸로 선 바소꼴이다. 빛깔은 갈색이 도는 흰색이며 길이 6∼7mm이다. 어린 잎을 먹으며 한방에서는 뿌리를 부인병 치료에 쓴다.
상기 천연 추출물을 복합으로 사용하는 경우, 각 구성성분 간에 혼합 작용으로 인하여 근감소증에 대한 예방, 치료 또는 개선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콩잎 추출물, 산골취 추출물, 쇠비름 추출물 및 곤달비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 근감소증 예방, 치료 또는 개선 활성이 크게 높아질 수 있으며, 콩잎 추출물 만을 포함하는 경우에 비해 맛과 향을 향상시킴으로써 기호성 또한 우수한 조성물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조성물은 콩잎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골취 추출물 20 내지 60 중량부, 쇠비름 추출물 1 내지 10 중량부 및 곤달비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콩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어수리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수리(Heracleum moellendorffii HANCE)는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산과 들에서 자라며 주로 한국,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가 70∼150cm이며 속이 빈 원기둥 모양이고 세로로 줄이 있으며 거친 털이 있고 굵은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3∼5개의 작은잎으로 구성된 깃꼴겹잎이며 털이 있고 줄기 위로 올라갈수록 잎자루가 짧아지며 밑 부분이 넓어 줄기를 감싼다. 끝에 달린 작은잎은 심장 모양이고 3개로 갈라지며, 옆에 달린 작은잎은 넓은 달걀 모양 또는 삼각형이고 길이가 7∼20cm이며 2∼3개로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깊이 패어 들어간 톱니가 있다. 꽃은 7∼8월에 흰색으로 피고 가지와 줄기 끝에 복산형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꽃차례는 20∼30개의 꽃자루가 다시 작은꽃자루로 갈라져서 각각 25∼30개의 꽃이 달린 모양이고, 가장자리에 달린 꽃이 가운데에 달린 꽃보다 크다. 꽃잎은 6개이고 크기가 서로 다른데, 바깥쪽의 꽃잎이 안쪽 꽃잎보다 크다. 열매는 분과(分果:분열과에서 갈라진 각 열매)이고 길이 7mm의 편평한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며 윗부분에 독특한 무늬가 있다.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다.
또한, 콩잎 추출물, 산골취 추출물, 쇠비름 추출물 및 곤달비 추출물에 어수리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근감소증 예방, 치료 또는 개선 활성이 소폭 더 향상될 수 있으며, 맛과 향 또한 소폭 더 향상시킴으로써 기능성 뿐 아니라 기호성 또한 우수한 조성물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조성물은 콩잎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골취 추출물 20 내지 60 중량부, 쇠비름 추출물 1 내지 10 중량부, 곤달비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 및 어수리 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복합 추출물로 사용 시, 우수한 근감소증 예방, 치료 또는 개선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동시에 기호도 또한 우수한 조성물의 제공이 가능하다.
상기 천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천연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천연물을 분쇄하는 단계;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상기 분쇄물을 침출시키는 단계; 시료를 침출 후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된 시료를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재 침출 시키는 단계; 시료를 침출 후 건조시키는 단계; 물을 이용하여 침출시키는 단계; 및 침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천연 추출물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천연 추출물은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분획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는 시료의 중량 기준으로 2 내지 50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2 내지 20배이다. 추출을 위해 시료는 추출 용매에서 침출을 위해 1 내지 72 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24 내지 48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용매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환류 추출법, 침출법, 발효법 및 포제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법으로 수득하는 것을 포함한다.
초음파 추출법은 30 내지 50℃, 0.5 내지 2.5시간 동안 반응을 진행하며, 추출용매는 물 또는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40 내지 50℃, 1 내지 2.5시간 동안 추출하며, 추출용매로 물 또는 70 내지 8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환류 추출법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100mL기준으로, 천연물의 분쇄물 10 내지 30g, 환류 시간 1 내지 3시간 및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물에 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100mL 또는 물 100mL 기준으로, 천연물의 분쇄물 10 내지 20g, 환류 시간 1 내지 2시간 및 70 내지 90%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물에 의한 것이다.
침출법은 15 내지 30℃, 24 내지 72시간 동안 진행하며, 추출 용매로 물 또는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을 이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25℃, 30 내지 54시간 동안 진행하며, 추출 용매는 물 또는 70 내지 8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추출 후, 추출물은 새로운 분획 용매를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분획할 수 있다. 분획시 사용하는 분획 용매는 상기 용매는 물, 헥산, 부탄올, 에틸아세트산,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메틸렌클로라이드이다.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얻은 후에는 농축 또는 동결건조 등의 방법을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은 콩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시럽 또는 음료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외에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과 함께 사용되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 양은 그의 사용 목적 예를 들어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가공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런 가공식품에는 예를 들어, 과자, 음료, 주류, 발효식품, 통조림, 우유가공식품, 육류가공식품, 국수 등을 포함한다. 과자는 비스킷, 파이, 케익, 빵, 캔디, 젤리, 껌, 시리얼 등을 포함한다. 음료는 음용수, 탄산음료, 기능성 이온음료, 기능성 이온음료, 주스(예를 들어, 사과, 배, 포도, 알로에, 감귤, 복숭아, 당근, 토마토 주스 등), 식혜 등을 포함한다. 주류는 청주, 위스키, 소주, 맥주, 양주, 과실주 등을 포함한다. 발효식품은 간장, 된장, 고추장 등을 포함한다. 통조림은 수산물 통조림(예들 들어, 참치, 고등어, 꽁치, 소라 통조림 등), 축산물 통조림(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칠면조 통조림 등), 농산물 통조림(옥수수, 복숭아, 파일애플 통조림 등)을 포함한다. 우유가공식품은 치즈, 버터, 요구르트 등을 포함한다. 육류가공식품은 돈까스, 비프까스, 치킨까스, 소세지. 탕수육, 너겟류, 너비아니 등을 포함한다. 밀봉포장 생면 등의 국수를 포함한다. 이 외에도 상기 조성물은 레토르트식품, 스프류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약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약 0.01 내지 10g의 비율로 가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식품이 음료인 경우,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탐 등)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의 범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식품은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고,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중요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약 0.1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은 콩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을 말한다. 좁은 의미로서는 근감소증의 예방 및 완화 효과 또는 근력 강화 효과를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할 수 있는 식품을 의미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건강기능식품은 건강보조의 목적으로 특정성분을 원료로 하거나 식품원료에 들어있는 특정성분을 추출, 농축, 정제, 혼합 등의 방법으로 제조, 가공한 식품으로 건강보조식품을 포함하며, 기타, 식품성분이 갖는 생체방어, 생체리듬의 조절, 질병의 방지와 회복 등 생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가공된 식품으로서, 질병의 예방 및 질병의 회복 등과 관련된 기능도 갖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를 포함한다. 예컨대,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 이외에 천연 탄수화물 또는 향미제를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예컨대,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등), 디사카라이드(예컨대, 말토스, 수크로오스 등), 올리고당, 폴리사카라이드(예컨대,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 또는 당알코올(예컨대,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예컨대,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와 합성 향미제(예컨대,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이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콩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 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로는 전분, 젤라틴화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유당, 포비돈, 콜로이달실리콘디옥사이드, 인산수 소칼슘, 락토스, 만니톨, 엿, 아라비아고무, 전호화전분, 옥수수전분, 분말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오파드라이, 전분글리콜산나트륨, 카르나우바납, 합성규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스테아린산 알루미늄, 스테아린산칼슘, 백당, 덱스트로스, 소르비톨 및 탈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정도, 성별, 체중, 나이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용어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의학적 치료 또는 예방 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질환의 중증도, 약물의 활성,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성별, 환자의 약물에 대한 민감도, 사용된 본 발명 조성물의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사용된 본 발명의 조성물과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단독으로 투여하거나 공지된 면역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콩잎 추출물을 이용한 근감소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즉, 천연물을 이용한 조성물을 통해 근감소증 예방 또는 개선하며, 근력강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천연물 기반의 조성물로 장기간 복용 시 부작용의 문제가 없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근감소증 동물유발모델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따른 렛의 체중변화율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근감소증 동물유발모델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따른 렛의 대퇴부 무게 측정결과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근감소증 동물유발모델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따른 렛에 대한 근력 평가결과에 관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MAFbx 발현 억제활성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 천연추출물의 제조]
콩잎 추출물의 제조
콩잎을 세척 후 건조한 뒤, 상기 건조된 콩잎을 분쇄하고, 분쇄한 분쇄물의 10배 중량의 증류수를 가하고 80℃에서 2시간 동안 열수추출한 후 와트만 종이 여과지(Whatman No. 2)로 여과한 후 그 여액을 감압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콩잎 추출물(CE)을 제조하였다.
기타 추출물의 제조
상기 콩잎 추출물의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건조 및 열수추출한 뒤 여과 및 분말화하여 산골취 추출물(SE), 쇠비름 추출물(PE), 곤달비 추출물(LE) 및 어수리 추출물(HE)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혼합 추출물에 의한 상승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의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각 추출물을 혼합하였다.
M1 M2 M3 M4 M5 M6 M7 M8 M9 M10 M11 M12 M13 M14 M15
CE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SE - 10 20 40 60 80 40 40 40 40 40 40 40 40 40
PE - - - - - - 0.1 1 5 10 20 5 5 5 5
LE - - - - - - 1 10 20 30 40 20 20 20 20
HE - - - - - - - - - - - 0.1 5 10 20
(단위 : 중량부)
[실험예 1 : 근감소증에 대한 활성평가]
1. 근감소증 동물유발모델의 제작
3주령 수컷 랫을 효창사이언스 (대구)에서 45마리를 공급받아 2주간 사육실에서 적응 후 25일 동안 매일 오전 10시에 경구투여하였다. 실험군은 각 그룹당 5마리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근감소증 동물유발모델은 Dexamethasone 98%, (Alfa Aesar)를 일주일에 2번 복강투여(1mg/100g)하여 2주동안 모두 4번 투여하여 근감소를 유발하였다. 근감소증 동물유발의 확인은 피부변화, 매일 몸무게를 측정하였고, 근력실험 (grip strenght meter)은 5일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실험동안 물과 사료는 충분히 공급하였다. 25일후 행동평가(grip strenght)후 alfaxan 25ml(케어사이드, 한국) + rumpum 3.4ml(바이엘, 한국) + saline 11.6ml를 3ml씩 근육내투여(150g 기준) 마취하고 실험을 위한 장기추출(대퇴부)무게를 측정하였다. 대퇴부의 근육단백질의 ASS(Anti-slow skeletal myosin heavy chain antibody), MAFbx(muscle atrophy F-box antibody) western assay 측정하였다.
또한 대조군 1(con1)은 근감소유발 없이 생리식염수를 공급하였으며, 대조군 2(con2)는 근감소유발을 일으키고 생리식염수를 공급하였다.
또한 각 실시예는 상기 제조예를 공급하였으며, 상기 대조군 및 각 실시예는 각 사료 섭취 시점에 맞추어 1일 1회씩 생리식염수 또는 각 제조예가 10mg/kg(oral inoculation)씩 공급되도록 하였다.
2. Rat weight 측정
몸무게 변화는 0일, 5일, 10일, 15일, 20일, 25일 간격으로 측정하여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0일차와 25일차의 랫의 중량을 비교하여 체중증가율을 %로 계산하고 그 결과를 하기의 [도 1]에 나타내었다.
하기의 [도 1]을 참조하면, 근감소증 동물유발모델에서 본 발명에 따른 콩잎 추출물(CE)를 사용하는 경우 랫의 체중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콩잎 추출물에 추가로 포함되는 산골취 추출물(SE)의 바람직한 중량부로 포함되는 M3 내지 M5에 의하는 경우 근감소증 동물유발모델에서 체중이 증가하는 점을 알 수 있으며, 상기 중량범위를 벗어나는 M2 및 M6의 경우 그 상승 효과가 떨어져, 본원발명의 중량범위 내의 산골취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서 렛 체중 증가 활성을 알 수 있다.
또한, 콩잎 추출물(CE) 및 산골취 추출물(SE)에 추가로 바람직한 중량부의 쇠비름 추출물(PE) 및 곤달비 추출물(LE)을 포함하는 M8 내지 M10의 경우 체중 증가 효과가 나타나며, 추가로 어수리 추출물(HE)을 더 포함하는 경우 소폭 더 향상된 체중 증가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M13 및 M14의 혼합범위에 의하는 경우 상당한 상승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상기 범위의 함량 구성으로 CE, SE, PE, LE 및 HE를 포함하는 경우, 각 천연 추출물 내 포함된 유효성분의 상호 작용을 통해 상승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3. 대퇴부 무게(inguinocrural weight) 측정
25일차 RAT의 대퇴부 무게(inguinocrural weight)를 측정하여 하기의 [도 2]에 나타내었다.
하기의 [도 2]을 참조하면, [도 1]과 같은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각 실시예에 따른 체중변화가 근감소 또는 근증가에 따른 체중변화에 따른 것이라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근감소증에 대한 예방 또는 개선활성을 나타내는 것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4. 근력평가(Grip strenght meter, N)
동물 운동수행능력 시험법으로 Grip strenght meter를 이용하여 25일차의 렛의 근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의 [도 3]에 나타내었다. 각 수치는 객관적인 비교를 위하여 0일차 각 군의 평균 값을 기초로 보정하여 25일차 수치가 비교될 수 있도록 하였다.
하기의 [도 3]을 참조하면, Con2와 비교 평가하면 근감소증 동물유발모델에 있어서 콩잎 추출물(CE)에 산골취 추출물(SE)의 바람직한 중량부로 혼합되는 M3 내지 M5의 경우 콩잎 추출물만을 포함하는 M1에 비해 우수한 상승효과가 확인되었다.
그러나, 콩잎 추출물(CE)에 산골취 추출물(SE)을 더 포함하는 M2 및 M6의 경우 낮은 정도의 활성을 나타내어 바람직한 중량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승효과가 없으며 오히려 더 낮은 근력 수치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또한, 콩잎 추출물(CE) 및 산골취 추출물(SE)에 추가로 각각 쇠비름 추출물(PE) 및 곤달비 추출물(LE)의 바람직한 중량범위로 포함하는 M8 내지 M10의 경우 M3 내지 M5에 비해 보다 향상된 정도의 근력 수치를 나타냄을 알 수 있으며, 어수리 추출물(HE)의 바람직한 중량범위로 포함되는 M13 및 M14의 경우 그 활성이 소폭 더 상승됨을 하기 도 3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쇠비름 추출물(PE), 곤달비 추출물(LE) 및 어수리 추출물(HE)의 바람직한 중량범위를 벗어나는 M7, M11, M12 및 M15의 경우 상기 바람직한 중량범위로 포함하는 경우에 비해 보다 낮은 정도의 근력 수치를 나타내어, 바람직한 중량 범위 구성인 M13의 혼합범위에 의하는 경우 매우 우수한 근력 회복효과를 가진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5. MAFbx(muscle atrophy F-box antibody) 발현 평가
근감소증유발모델이 적용된 근관세포에서 근감소의 마커로서 MAFbx(muscle atrophy F-box antibody) 발현 평가하였다. 웨스턴 블랏(western blot)을 통한 단백질 발현 측정하고, con 1의 결과를 1로 고정한 뒤 con2 및 각 실시예의 결과를 비교평가하였다. 각 수치는 지수로 평가되며, 그 숫자가 낮을수록 MAFbx의 발현을 억제하여 근감소에 대한 예방 및 개선 효과가 우수한 것이다. 그 결과를 하기의 [도 4]에 나타내었다.
하기의 [도 4]를 참조하면, 콩잎 추출물(CE)에 산골취 추출물(SE)의 바람직한 중량부를 포함하는 M3 내지 M5의 경우 M2 및 M6에 비해 MAFbx의 발현이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콩잎 추출물(CE) 및 산골취 추출물(SE)의 구성에 쇠비름 추출물(PE) 및 곤달비 추출물(LE)의 바람직한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M8 내지 M10의 경우 그 억제 활성이 보다 향상되며, 추가로 어수리 추출물(HE)을 더 포함하는 M13 및 M14의 경우 가장 우수한 정도의 MAFbx 발현 억제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는, 콩잎 추출물(CE), 산골취 추출물(SE), 쇠비름 추출물(PE), 곤달비 추출물(LE) 및 어수리 추출물(HE)의 바람직한 중량부로 구성함으로써 그 억제활성이 매우 우수한 것이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그 활성이 미미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성물에 의하는 경우 근감소증의 예방 및 개선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혼합조성으로 상승효과가 나타나는 범위를 활용하는 경우, 보다 적은 함량으로 우수한 근감소증 예방 또는 개선효과를 누릴 수 있다. 따라서 세포독성 등의 부작용 문제없이 장기간에 걸치 복용 또는 사용으로 근감소증에 대한 예방 또는 개선효과가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실험예 2 : 기호도 평가]
관능성 평가
M1 내지 M14에 대한 관능성 평가를 위해, 조성물은 차로 제조하여 20 내지 60대 성인남녀 25명을 대상으로 맛, 향 및 종합기호도 평가를 요청하였다.
상기 관능성 평가는 1 내지 10의 지수로 평가를 요청하였으며, 그 점수가 높을수록 기호도가 우수한 것이다. 상기 집계된 맛 및 향에 대한 평가 결과는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종합기호도로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M1 (CE) M2 M3 M4 M5 M6 M7 M8 M9 M10 M11 M12 M13 M14 M15
3 3 6 5 6 3 5 7 8 8 5 6 9 9 7
3 4 6 6 6 4 5 7 7 7 6 7 8 9 7
종합
기호도
3 4 6 6 6 4 6 7 8 8 6 7 9 9 7
(단위 : 지수)
상기 근감소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M1 내지 M15)에 대한 관능성 평가 결과 콩잎 추출물(CE)을 단독으로 포함하는 경우에 비해 산골취 추출물의 바람직한 중량부를 포함하는 M3 내지 M5의 경우 종합 기호도가 소폭 향상됨을 알 수 있었으며, 추가로 쇠비름 추출물(PE) 및 곤달비 추출물(LE)을 더 포함하는 M8 내지 M10의 경우 종합기호도가 7 및 8로 평가되어 콩잎 추출물에 산골취 추출물, 쇠비름 추출물 및 곤달비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경우 그 기호도가 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추가로, 어수리 추출물(HE)를 더 포함하는 M13 및 M14의 경우 종합 기호도 9로 가장 우수한 기호도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천연 추출물의 혼합 구성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즉, 바람직한 중량부의 조성물 구성인 M3 내지 M5, M8 내지 M10, M13 및 M14의 경우 근감소증 예방 또는 개선 효과가 우수할 뿐 아니라, 맛과 향에 대해 높게 평가되면서 기호도 또한 우수한 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콩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MAFbx(muscle atrophy F-box antibody) 발현 억제활성을 나타내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근감소증은 근위축증, 근무력증, 근이영양증, 근경직증, 근긴장저하, 근력약화, 근육퇴행위축 또는 중증 근무력증을 포함하는 것인
    근감소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산골취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근감소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근감소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7. 콩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210127735A 2021-09-28 2021-09-28 콩잎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300451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735A KR20230045186A (ko) 2021-09-28 2021-09-28 콩잎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735A KR20230045186A (ko) 2021-09-28 2021-09-28 콩잎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5186A true KR20230045186A (ko) 2023-04-04

Family

ID=85928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7735A KR20230045186A (ko) 2021-09-28 2021-09-28 콩잎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518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0084A (ko) 2018-07-19 2020-01-3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함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57023B1 (ko) 2020-01-15 2021-05-27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겹달맞이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위축증 또는 근감소증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0084A (ko) 2018-07-19 2020-01-3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함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57023B1 (ko) 2020-01-15 2021-05-27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겹달맞이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위축증 또는 근감소증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4985B1 (ko) 지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줄기세포로부터 근육세포로의 분화 촉진용 조성물, 근력 약화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운동수행 능력 향상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20160144791A (ko)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용 조성물
KR102180223B1 (ko) 괭생이 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210150305A (ko) 두충 추출물 및 녹용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70121532A (ko) 갱년기 증상 또는 골다공증 개선용 조성물
CN104302302A (zh) 包含作为活性成分的蓝靛果忍冬的果实提取物用于预防或改善缺血性脑血管病的药物组合物或保健食品
KR102201312B1 (ko) 인삼 추출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20230372426A1 (en) Composition for relieving woman menopausal symptom comprising a mixed extract of hop and citrus peel and method for treating or alleviating menopausal symptom using the same
KR101525877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노화 방지를 위한 조성물
KR102328808B1 (ko) 맥주효모를 이용한 근감소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487651B1 (ko) 밀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59921A (ko) 오리나무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45186A (ko) 콩잎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JP2015063507A (ja) 老化に起因する網膜障害の抑制剤
KR20230045189A (ko) 로즈마리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30045192A (ko) 라벤더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CN101036516B (zh) 脂肪分解促进剂以及含有其的饮食品和饲料
KR101757841B1 (ko) 바이칼린-아연착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
KR101344564B1 (ko) 마라소스의 주성분인 고추 및 화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611957B1 (ko) 애기우산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45187A (ko) 허브 추출물 및 맥주 효모 분말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70014329A (ko) 당나귀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20190103665A (ko) 삼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KR101712889B1 (ko) 양하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427768B1 (ko) 배초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