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4788A -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4788A
KR20230044788A KR1020210127339A KR20210127339A KR20230044788A KR 20230044788 A KR20230044788 A KR 20230044788A KR 1020210127339 A KR1020210127339 A KR 1020210127339A KR 20210127339 A KR20210127339 A KR 20210127339A KR 20230044788 A KR20230044788 A KR 20230044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housing
area
pattern structure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7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윤철
홍동술
최종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7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4788A/ko
Priority to PCT/KR2022/011578 priority patent/WO2023048394A1/ko
Publication of KR20230044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47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8Carrying enclosures containing additional elements, e.g. case for a laptop and a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 상에 배치된 제1 디스플레이 영역, 상기 제2 하우징 상에 배치된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사이에 위치한 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지지하고, 복합 소재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는 상기 폴딩 영역에 대면하는 패턴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패턴 구조는 날개부 및 상기 날개부에서 연장된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SUPPORTING MEMBER}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하나의 휴대용 전자 장치에 다양한 기능이 통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게임과 같은 엔터테인먼트 기능, 음악/동영상 재생과 같은 멀티미디어 기능, 모바일 뱅킹 등을 위한 통신 및 보안 기능, 일정 관리 및 전자 지갑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소형화되고 있다.
이동통신 서비스가 멀티미디어 서비스 영역까지 확장되면서, 음성 통화나 단문 메시지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사용자가 충분히 이용하기 위해서,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커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크기는 전자 장치의 소형화와 트레이드 오프(trade-off) 관계에 있다.
전자 장치(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는 평면 또는 평면과 곡면을 가진 형태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는 고정된 디스플레이의 구조로 인해 전자 장치의 사이즈보다 큰 화면을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접힐 수 있는(foldable) 또는 말아질 수 있는(rollable)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가 연구되고 있다.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와 무선 통신을 통하여 연결된 특정한 입력 장치(예: 스타일러스 펜)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상기 입력 장치에 의하여 지정된 전자 장치상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전자기 유도(electro magnetic resonance, 이하 EMR이라 함)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 장치로부터 발생하는 자기장을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지지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가 전도성 금속으로 형성된 경우, 입력 장치의 신호 왜곡이 발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입력 장치에 전달되는 전자기파의 왜곡을 감소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를 보호하기 위한 강성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는 패턴 구조가 위치한 부분에서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다만, 본 개시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언급된 과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 상에 배치된 제1 디스플레이 영역, 상기 제2 하우징 상에 배치된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사이에 위치한 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지지하고, 복합 소재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는 상기 폴딩 영역에 대면하는 패턴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패턴 구조는 날개부 및 상기 날개부에서 연장된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 상에 배치된 제1 디스플레이 영역, 상기 제2 하우징 상에 배치된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사이에 위치한 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과 연결된 힌지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지지하고, 복합 소재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는 상기 폴딩 영역과 상기 힌지 모듈 사이에 위치한 패턴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패턴 구조는 날개부 및 상기 날개부에서 연장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의 제2 두께는 상기 지지부의 제1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는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의 폴딩 영역에 대응되는 패턴 구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패턴 구조는 지지부 및 지지부에서 연장된 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패턴 구조의 지지부 및 날개부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는 강성을 유지하면서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는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는, 비도전성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가 비도전성 재료로 형성됨에 따라, 입력 장치에 전달되는 신호의 왜곡이 감소되고, 전자 장치의 무게가 감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접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및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의 개략도이다.
도 7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7b 내지 도 7d는 도 7a의 A-A`면의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8b 내지 도 8c는 도 8a의 B-B`면의 단면도이다.
도 9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C-C`면의 단면도이다.
도 10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의 A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0b 및 도 10c는 도 10a의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다양한 형상의 패턴 구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의 정면도이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접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200)는, 하우징(201), 상기 하우징(201)의 접힘 가능한 부분을 커버하는 힌지 커버(230), 및 상기 하우징(201)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에 배치된 플렉서블(flexible) 또는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240)(이하, 줄여서, "디스플레이"(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240)가 배치된 면을 전자 장치(200)의 전면(예: 제1 전면(210a) 및 제2 전면(220a))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상기 전면의 반대 면을 전자 장치(200)의 후면(예: 제1 후면(210b) 및 제2 후면(220b))으로 정의한다. 또한, 전면과 후면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면을 전자 장치(200)의 측면(예: 제1 측면(211a) 및 제2 측면(221a))으로 정의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201)은, 제1 하우징(210), 제1 하우징(210)에 회전할 수 있는 제2 하우징(220), 제1 후면 커버(280), 제2 후면 커버(290) 및 힌지 모듈(예: 도 3의 힌지 모듈(202))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의 하우징(201)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형태 및 결합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형상이나 부품의 조합 및/또는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1 하우징(210)과 제1 후면 커버(28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하우징(220)과 제2 후면 커버(29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하우징(210)은 힌지 모듈(202)에 연결되며, 제1 방향을 향하는 제1 전면(210a), 및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을 향하는 제1 후면(21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220)은 힌지 모듈(202)에 연결되며, 제3 방향을 향하는 제2 전면(220a), 및 상기 제3 방향과 반대인 제4 방향을 향하는 제2 후면(220b)을 포함하며, 상기 힌지 모듈(202)를 중심으로 상기 제1 하우징(21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200)는 접힌(folded) 상태 또는 펼쳐진(unfolded) 상태로 가변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200)는 접힌(folded) 상태에서 상기 제1 전면(210a)이 상기 제2 전면(220a)에 대면할 수 있으며, 펼쳐진(unfolded) 상태에서 상기 제3 방향이 상기 제1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전자 장치(200)가 펼쳐진 상태를 기준으로 방향을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하우징(210)과 제2 하우징(220)은 폴딩 축(A)을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폴딩 축(A)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하우징(210) 및 제2 하우징(220)은 전자 장치(200)의 상태가 펼침 상태인지, 접힌 상태인지, 또는 중간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서로 이루는 각도나 거리가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하우징(220)은, 제1 하우징(210)과 달리, 다양한 센서(예: 전면 카메라)들이 배치되는 센서 영역(224)을 추가로 포함하지만, 이외의 영역에서는 상호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폴딩 축(A)은 평행한 복 수(예: 2 개)의 폴딩 축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폴딩 축(A)의 전자 장치(200)의 길이 방향(Y축 방향)을 따라서 제공되나, 폴딩 축(A)의 방향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는 폭 방향(예: X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폴딩 축(A)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디지털 펜이 삽입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의 제1 하우징(210)의 측면 또는 제2 하우징(220)의 측면에는 상기 디지털 펜이 삽입될 수 있는 홀(223)이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210) 및 제2 하우징(220)의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240)를 지지하기 위해 선택된 크기의 강성을 갖는 금속 재질이나 비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 재질로 형성된 적어도 일부분은 전자 장치(200)의 그라운드 면(ground plane)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인쇄 회로 기판(예: 도 3의 기판부(260))에 형성된 그라운드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 영역(224)은 제2 하우징(220)의 일 코너에 인접하여 소정 영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센서 영역(224)의 배치, 형상, 및 크기는 도시된 예시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 예에서 센서 영역(224)은 제2 하우징(220)의 다른 코너 혹은 상단 코너와 하단 코너 사이의 임의의 영역 또는 제1 하우징(210)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에 내장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부품들(components)이 센서 영역(224)을 통해, 또는 센서 영역(224)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개구(opening)를 통해 전자 장치(200)의 전면에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부품들은 다양한 종류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예를 들어, 전면 카메라, 리시버 또는 근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후면 커버(280)는 상기 전자 장치(200)의 후면에 상기 폴딩 축(A)의 일편에 배치되고,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가장자리(periphery)를 가질 수 있으며, 제1 하우징(210)에 의해 상기 가장자리가 감싸질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제2 후면 커버(290)는 상기 전자 장치(200)의 후면의 상기 폴딩 축(A)의 다른편에 배치되고, 제2 하우징(220)에 의해 그 가장자리가 감싸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후면 커버(280) 및 제2 후면 커버(290)는 상기 폴딩 축(A 축)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제1 후면 커버(280) 및 제2 후면 커버(290)가 반드시 상호 대칭적인 형상을 가지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200)는 다양한 형상의 제1 후면 커버(280) 및 제2 후면 커버(29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후면 커버(280), 제2 후면 커버(290), 제1 하우징(210), 및 제2 하우징(220)은 전자 장치(200)의 다양한 부품들(예: 인쇄 회로 기판, 또는 배터리)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200)의 후면에는 하나 이상의 부품(components)이 배치되거나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후면 커버(280)의 제1 후면 영역(282)을 통해 서브 디스플레이(예: 도 3의 서브 디스플레이(244))의 적어도 일부가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후면 커버(290)의 제2 후면 영역(292)을 통해 하나 이상의 부품 또는 센서가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센서는 근접 센서 및/또는 카메라 모듈(206)(예: 후면 카메라)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영역(224)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개구(opening)를 통해 전자 장치(200)의 전면에 시각적으로 노출된 전면 카메라 또는 제2 후면 커버(290)의 제2 후면 영역(292)을 통해 시각적으로 노출된 카메라 모듈(206)은 하나 또는 복수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 및/또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2개 이상의 렌즈들 (적외선 카메라, 광각 및 망원 렌즈) 및 이미지 센서들이 전자 장치(200)의 한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힌지 커버(230)는, 제1 하우징(210)과 제2 하우징(220) 사이에 배치되어, 내부 부품(예: 도 3의 힌지 모듈(202))을 가릴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힌지 커버(230)는, 상기 전자 장치(200)의 상태(펼침 상태(flat state) 또는 접힌 상태(folded state))에 따라, 제1 하우징(210) 및 제2 하우징(220)의 일부에 의해 가려지거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 장치(200)가 펼침 상태인 경우, 상기 힌지 커버(230)는 제1 하우징(210) 및 제2 하우징(220)에 의해 가려져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 장치(200)가 접힌 상태(예: 완전 접힌 상태(fully folded state))인 경우, 상기 힌지 커버(230)는 제1 하우징(210) 및 제2 하우징(220) 사이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하우징(210) 및 제2 하우징(220)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folded with a certain angle) 중간 상태(intermediate state)인 경우, 힌지 커버(230)는 제1 하우징(210) 및 제2 하우징(220)의 사이에서 외부로 일부 노출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노출되는 영역은 완전히 접힌 상태보다 적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힌지 커버(230)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240)는, 상기 하우징(201)에 의해 형성된 공간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40)는 하우징(201)에 의해 형성되는 리세스(recess) 상에 안착되며, 전자 장치(200)의 전면의 대부분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200)의 전면은 디스플레이(240) 및 디스플레이(240)에 인접한 제1 하우징(210)의 일부 영역 및 제2 하우징(220)의 일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200)의 후면은 제1 후면 커버(280), 제1 후면 커버(280)에 인접한 제1 하우징(210)의 일부 영역, 제2 후면 커버(290) 및 제2 후면 커버(290)에 인접한 제2 하우징(220)의 일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240)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평면 또는 곡면으로 변형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예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240)는 폴딩 영역(243), 폴딩 영역(243)을 기준으로 일측(예: 도 1에 도시된 폴딩 영역(243)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241) 및 타측(예: 도 1에 도시된 폴딩 영역(243)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2)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디스플레이(240)의 영역 구분은 예시적인 것이며, 디스플레이(240)는 구조 또는 기능에 따라 복수 (예를 들어, 4 개 이상 혹은 2 개)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Y축에 평행하게 연장된 폴딩 영역(243) 또는 폴딩 축(A축)에 의해 디스플레이(240)의 영역이 구분될 수 있으나, 다른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240)는 다른 폴딩 영역(예: X 축에 평행한 폴딩 영역) 또는 다른 폴딩 축(예: X 축에 평행한 폴딩 축)을 기준으로 영역이 구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240)는, 터치 감지 회로, 터치의 세기(압력)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 및/또는 자기장 방식의 스타일러스 펜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디지타이저(미도시)와 결합되거나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디스플레이 영역(241)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2)은 폴딩 영역(243)을 중심으로 전체적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미도시)에 따르면,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2)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241)과 달리, 센서 영역(224)의 존재에 따라 컷(cut)된 노치(notch)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외의 영역에서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241)과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241)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2)은 서로 대칭적인 형상을 갖는 부분과, 서로 비대칭적인 형상을 갖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전자 장치(200)의 상태(예: 펼침 상태(flat state, 또는 unfolded state) 및 접힌 상태(folded state))에 따른 제1 하우징(210) 및 제2 하우징(220)의 동작과 디스플레이(240)의 각 영역을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가 펼침 상태(flat state)(예: 도 2)인 경우, 제1 하우징(210) 및 제2 하우징(220)은 실질적으로 180도의 각도를 이루며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40)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241)의 표면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2)의 표면은 서로 180도를 형성하며, 동일한 방향(예: 전자 장치의 전면 방향)을 향할 수 있다. 폴딩 영역(243)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24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2)과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가 접힌 상태(folded state)(예: 도 3)인 경우, 제1 하우징(210) 및 제2 하우징(220)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40)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241)의 표면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2)의 표면은 서로 좁은 각도(예: 0도에서 10도 사이)를 형성하며, 서로 마주볼 수 있다. 폴딩 영역(243)은 적어도 일부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가 중간 상태(folded state)(예: 도 3)인 경우, 제1 하우징(210) 및 제2 하우징(220)은 서로 소정의 각도(a certain angle)로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40)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241)의 표면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2)의 표면은 접힌 상태보다 크고 펼침 상태보다 작은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폴딩 영역(243)은 적어도 일부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때의 곡률은 접힌 상태(folded state)인 경우보다 작을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는 하우징(201), 디스플레이(240), 힌지 모듈(202), 배터리(250) 및 기판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1)은, 제1 하우징(210), 제2 하우징(220), 제1 후면 커버(280), 및 제2 후면 커버(29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하우징(201)은 제1 하우징(210), 제2 하우징(220), 힌지 커버(230), 제1 후면 커버(280) 및 제2 후면 커버(2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제1 하우징(210), 제2 하우징(220), 힌지 커버(230), 제1 후면 커버(280) 및 제2 후면 커버(290)의 구성은 도 1 및/또는 도 2의 제1 하우징(210), 제2 하우징(220), 힌지 커버(230), 제1 후면 커버(280) 및 제2 후면 커버(290)의 구성과 전부 또는 일부와 동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210) 및 제2 하우징(220)은 힌지 모듈(202)의 양측으로 결합되도록 서로 조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하우징(210)은 전자 장치(200)의 부품(예: 제1 회로 기판(262) 및/또는 제1 배터리(252))을 지지할 수 있는 제1 지지 영역(212) 및 상기 제1 지지 영역(212)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제1 측벽(2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벽(211)은 전자 장치(200)의 제1 측면(예: 도 2의 제1 측면(211a))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하우징(220)은 전자 장치(200)의 부품(예: 제2 회로 기판(264) 및/또는 제2 배터리(254))을 지지할 수 있는 제2 지지 영역(222) 및 상기 제2 지지 영역(222)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제2 측벽(2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측벽(221)은 전자 장치(200)의 제2 측면(예: 도 2의 제2 측면(221a))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240)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241),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2), 폴딩 영역(243) 및 서브 디스플레이(24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241),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2) 및 폴딩 영역(243)의 구성은 도 1 및/또는 도 2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241),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2) 및 폴딩 영역(243)의 구성과 전부 또는 일부와 동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브 디스플레이(244)는 디스플레이 영역(241, 242)와 다른 방향에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디스플레이(244)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241)의 반대 방향에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디스플레이(244)는 제1 후면 커버(28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배터리(250)(예: 도 1의 배터리(189))는 제1 하우징(210) 내에 배치된 제1 배터리(252) 및 제2 하우징(220) 내에 배치된 제2 배터리(25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배터리(252)는 제1 회로 기판(262) 상에 배치되고, 제2 배터리(254)는 제2 회로 기판(26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기판부(260)는 제1 하우징(210) 내에 배치된 제1 회로 기판(262) 및 제2 하우징(220) 내에 배치된 제2 회로 기판(264)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부(260)는 제1 회로 기판(262)과 제2 회로 기판(264)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회로 기판(266)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요성 회로 기판(266)의 적어도 일부는 힌지 모듈(202)을 가로질러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회로 기판(262)과 제2 회로 기판(264)은, 제1 하우징(210), 제2 하우징(220), 제1 후면 커버(280) 및 제2 후면 커버(29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회로 기판(262)과 제2 회로 기판(264)에는 전자 장치(200)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스피커 모듈(208)(예: 도 1의 오디오 모듈(17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피커 모듈(208)은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피커 모듈(208)은 제1 하우징(210), 제2 하우징(220), 제1 후면 커버(280) 및 제2 후면 커버(29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한 쌍의 하우징(또는, '하우징'이라 함)이 힌지 모듈(또는, '힌지 구조'라 함)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구성에 관해 예시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실시예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한정하지 않음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세개 이상의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하는 실시예의 "한 쌍의 하우징"는 "세개 이상의 하우징 중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두개의 하우징"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 개시된 전자 장치(200)는 폴더블 전자 장치의 외관을 가지고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시된 전자 장치는 바형(bar type), 평판형(plate type) 또는 롤러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롤러블 전자 장치(rollable electronic device)"라 함은, 디스플레이(예: 도 3의 디스플레이(240))의 굽힘 변형이 가능해, 적어도 일부분이 말아지거나(wound or rolled) 하우징(예: 도 1의 하우징(201))의 내부로 수납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롤러블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펼침으로써 또는 디스플레이의 더 넓은 면적을 외부로 노출시킴으로써 화면 표시 영역을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및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의 개략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는 디스플레이(240) 및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제1 하우징(210), 제2 하우징(220), 디스플레이(240)의 구성은 도 1 및/또는 도 3의 디스플레이(240)의 구성과 전부 또는 일부와 동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240)는 시각적인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패널(245) 및 펜 구동 회로(246)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펜 구동 회로(246)는 전자기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펜 구동 회로(246)는 전자 펜의 공진 회로를 공진시킬 수 있으며, 공진에 의하여 전자기 공명 방식(electro-magnetic resonance, EMR) 입력 신호를 방사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상기 전자기 공명 방식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200)에 대한 전자 펜(미도시)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상기 전자 펜에서의 공진에 의한 복수 개의 채널들(예: 전극들)에서의 전위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전위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펜의 위치를 확인할 수도 있다. 상기 전자 펜은, AES(active electrostatic)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그 구현 종류에는 제한이 없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터치 패널의 적어도 하나의 전극과 연관된 커패시턴스(셀프 커패시턴스 또는 뮤추얼 커패시턴스)의 변경에 기반하여 전자 펜의 위치를 검출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300)는 디스플레이(240)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40)는 하우징(201)과 함께, 디스플레이(240)를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300)는 디스플레이(240)에 가해지는 인장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300)는 접착 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240)에 부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300)는 전자 장치(200)의 접힘에 기초하여 휘어질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300)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예: 도 3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241))을 지지하는 제1 영역(301), 제2 디스플레이 영역(예: 도 3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2))을 지지하는 제2 영역(302)) 및 폴딩 영역(예: 도 3의 폴딩 영역(243))을 지지하는 제3 영역(30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301) 및/또는 제2 영역(302)은 실질적으로 평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영역(303)은 제1 영역(301)과 제2 영역(30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3 영역(303)은 패턴 구조(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턴 구조(310)는 홈 또는 관통 홀을 포함하는 리세스(recess)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턴 구조(310)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318)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턴 구조(310)의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240)의 폴딩 영역(243)의 적어도 일부와 대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턴 구조(310)를 포함하는 제3 영역(303)의 유연성은 제1 영역(301) 및/또는 제2 영역(302)의 유연성보다 클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300)는 복합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합 소재는 탄소 섬유강화 플라스틱(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CFRP)일 수 있다. 상기 탄소 섬유강화 플라스틱은 탄소 섬유 및 합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합 소재는 섬유 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합 소재는 유리 섬유강화 플라스틱(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GFRP)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300)는 실질적으로 비 도전성의 재료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300)에 의한 펜 구동 회로(246)에서 생성된 신호의 왜곡이 감소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300)는 복수의 프리프레그(prepreg) 층(304)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리프레그 층(304)은 탄소 섬유강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300)의 프리프레그 층(304)은 섬유 펼침 기술(tow spreading technology)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리프레그 층(304)은 얇은 플라이 프리프레그(thin ply prepreg)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프리프레그 층(304a, 304b, 304c, 304d, 304e, 304f, 304g, 또는 304h)의 두께는 0.1mm 내지 0.2mm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리프레그 층(304)은 복수의 프리프레그 층(304a, 304b, 304c, 304d, 304e, 304f, 304g, 304h)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프리프레그 층(304a, 304b, 304c, 304d, 304e, 304f, 304g, 304h)들은 적어도 하나의 상이한 방향을 따라서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리프레그 층(304)은 각각 단 방향(uni direction)을 따라서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리프레그 층(304b, 304d, 304e, 304g) 및/또는 다양한 방향(multi direction)을 따라서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프리프레그 층(304a, 304c, 304f, 304h)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예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리프레그 층(304b, 304d, 304e, 304g)은 일 방향을 따라서 배열된 섬유(tow)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리프레그 층(304b, 304d, 304e, 304g)은 상이한 단 방향을 따라서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예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제2 프리프레그 층(304a, 304c, 304f, 304h)은 다양한 방향을 따라서 배열된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프리프레그 층(304a, 304c, 304f, 304h)은 직조되어 교차된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리프레그 층(304)은 복수의 프리프레그 층(304a, 304b, 304c, 304d, 304e, 304f, 304g, 304h)들이 상이한 각도로 적층된 구조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리프레그 층(304)은 각각 상이한 방향을 따라서 배열된 복수의 프리프레그 층(304a, 304b, 304c, 304d, 304e, 304f, 304g, 304h)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프리프레그 층(304)들은 대칭되는 방향 또는 비대칭되는 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프리프레그 층(304)들이 상이한 방향을 따라서 배열된 섬유를 포함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300)의 외부에서의 충격에 대한 저항성은 증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이한 방향을 따라서 배열된 섬유를 포함하는 프리프레그 층(304)의 피로 파괴 저항력은 동일한 방향을 따라서 배열된 섬유를 포함하는 프리프레그 층(미도시)의 피로 파괴 저항력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프리프레그 층(304)들이 상이한 방향을 따라서 배열된 섬유를 포함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300)의 방열 효과는 증대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디스플레이(240)와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300)가 별도의 구성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미도시)에서는, 디스플레이(240)는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3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7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7b 내지 도 7d는 도 7a의 A-A`면의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300)는 패턴 구조(3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a, 도 7b, 도 7c 및/또는 도 7d의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300) 및 패턴 구조(310)의 구성은 도 5의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300) 및 패턴 구조(310)의 구성과 전부 또는 일부와 동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패턴 구조(310)는 지지부(320) 및 날개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320)는 디스플레이(예: 도 3의 디스플레이(240))와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예: Z축 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300)의 일부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320)는 전자 장치(200)의 두께 방향(Z 방향)인 제2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날개부(330)는 디스플레이(예: 도 3의 디스플레이(240))의 적어도 일부와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예: X축 방향))으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300)의 일부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날개부(330)는 전자 장치(200)의 폭 방향인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320)는 날개부(330)와 실질적으로 수직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날개부(330)는 지지부(320)에서 폭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로 해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320)는 날개부(330)에서 제2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날개부(330)의 제2 두께(예: 도 10b의 제2 두께(t2))는 지지부(320)의 제1 두께(예: 도 10b의 제1 두께(t1))보다 얇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턴 구조(310)는 복수의 지지부(320)들 및 복수의 날개부(33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턴 구조(310)는 복수의 지지부(320)들 및 복수의 날개부(330)들에 의하여 형성된 패턴으로 해석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지지부(320)의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예: 도 4의 디스플레이(240))를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320)는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와 대면하는 제1 단부 영역(321) 및 상기 제1 단부 영역(321)의 반대인 제2 단부 영역(3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부 영역(322)은 전자 장치(200)의 내부를 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날개부(330)는 지지부(320)의 제1 단부 영역(321) 또는 제2 단부 영역(322)에서 제1 방향(X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예: 도 7b)에 따르면, 날개부(330)는 지지부(320)의 제1 단부 영역(321)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날개부(330)는 디스플레이(예: 도 4의 디스플레이(240))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날개부(330)는 상기 디스플레이(240)의 적어도 일부와 대면하는 제1 면(330a)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날개부(330)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240)를 지지하는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300)의 면적이 증대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240)에 가해지는 압력(예: 디지털 펜의 펜압)이 분산되는 정도가 증가하여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되고,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300)가 전자 장치(200)의 외부로 시각적으로 노출되는 정도가 감소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턴 구조(310)의 단면의 형상은 "┓"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예: 도 7d)에 따르면, 날개부(330)는 지지부(320)의 제2 단부 영역(322)에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320)의 제1 단부 영역(321)은 디스플레이(예: 도 4의 디스플레이(240))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고, 날개부(330)는 디스플레이(240)와 이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단부 영역(322)에서 연장된 날개부(330)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300)의 제3 영역(303)의 유연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턴 구조(310)의 단면의 형상은 "┛"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예: 도 7c)에 따르면, 패턴 구조(310)는 지지부(320)의 제1 단부 영역(321)에서 연장된 제1 날개부(333)를 포함하는 제1 패턴 구조(311) 및 지지부(320)의 제2 단부 영역(322)에서 연장된 제2 날개부(334)를 포함하는 제2 패턴 구조(3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날개부(330)의 일부는 지지부(320)의 제1 단부 영역(321)에서 연장되고, 다른 일부는 지지부(320)의 제2 단부 영역(322)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패턴 구조(311)와 제2 패턴 구조(312)는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도 7c에서는 제1 패턴 구조(311)와 제2 패턴 구조(312)가 하나씩 번갈아 배열된 구조가 개시되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300)의 유연성, 디스플레이(240)에 가해지는 압력의 분산 및/또는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300)가 전자 장치(200)의 외부로 시각적으로 노출되는 정도는 제1 패턴 구조(311) 및 제2 패턴 구조(312)의 배열 방법에 기초하여 조절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300)의 적어도 일부는 절단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턴 구조(310)는 레이저 가공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패턴 구조(310)는 컴퓨터 수치제어(computer numerical control, CNC))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320)와 날개부(330)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8b 내지 도 8c는 도 8a의 B-B`면의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300)는 패턴 구조(3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a, 도 8b 및/또는 도8c의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300) 및 패턴 구조(310)의 구성은 도 7a, 도 7b, 도 7c 및/또는 도 7d의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300) 및 패턴 구조(310)의 구성과 전부 또는 일부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턴 구조(310)는 지지부(320) 및 날개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패턴 구조(310)는 하나의 날개부(330)에서 연장된 두 개의 지지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날개부(330)는 제3 단부 영역(331) 및 상기 제3 단부 영역(331)의 반대인 제4 단부 영역(332)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320)는 제3 단부 영역(331) 및 제4 단부 영역(332)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지지부(320)들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300)의 강성이 증가되고,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300)의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200))의 외부로의 시인성이 감소될 수 있다.
일 실시예(예: 도 8b)에 따르면, 지지부(320)는 제3 단부 영역(331)에서 제2 방향(+Z 방향)으로 연장된 제3 지지부(325) 및 제4 단부 영역(332)에서 제2 방향(+Z 방향)으로 연장된 제4 지지부(326)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지지부(325) 및/또는 제4 지지부(326)는 디스플레이(예: 도 4의 디스플레이(240))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고, 날개부(330)는 상기 디스플레이(240)와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지지부(325)는 디스플레이(240)와 대면하는 제3 면(325a)을 포함하고, 제4 지지부(326)는 디스플레이(240)를 지지하는 제4 면(326a)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8b의 패턴 구조(310)의 구성은 도 7c의 패턴 구조(310)에서 지지부(320)의 형상이 변경된 구성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예: 도 8c)에 따르면, 지지부(320)는 제3 단부 영역(331)에서 제3 방향(-Z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지지부(323) 및 제4 단부 영역(332)에서 제3 방향(-Z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지지부(32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날개부(330)는 제1 지지부(323) 및 제2 지지부(324)와 함께 디스플레이(예: 도 4의 디스플레이(240))를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8b의 패턴 구조(310)의 구성은 도 7b의 패턴 구조(310)에서 지지부(320)의 형상이 변경된 구성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9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C-C`면의 단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300)는 패턴 구조(3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a 및/또는 도 9b의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300) 및 패턴 구조(310)의 구성은 도 5의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300) 및 패턴 구조(310)의 구성과 전부 또는 일부와 동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패턴 구조(310)는 연장 영역(34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장 영역(340)은 복수의 날개부(330)들과 연결된 패턴 구조(310)의 일부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 영역(340)은 복수의 날개부(330)들 사이에 위치한 패턴 구조(310)의 일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날개부(330)는 복수의 지지부(320)들과 연결되고, 복수의 지지부(320)들과 연결된 날개부(330)가 연장 영역(340)으로 해석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연장 영역(340)은 제1 하우징(예: 도 1의 제1 하우징(210))과 제2 하우징(예: 도 1의 제2 하우징(220))을 열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 영역(340)은 상기 제1 하우징(210)에서 디스플레이(예: 도 1의 디스플레이(240))의 폴딩 영역(예: 도 3의 폴딩 영역(243))을 지나서 상기 제2 하우징(220)까지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 영역(340)은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300)의 제1 영역(301)에서 제3 영역(303)을 지나 제2 영역(302)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하우징(210)에 수용된 부품(예: 제1 배터리(252) 및/또는 제1 회로 기판(262))은 상기 연장 영역(340)을 이용하여 상기 제2 하우징(220)에 수용된 부품(예: 제2 배터리(254) 및/또는 제2 회로 기판(264))과 열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0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의 A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0b 및 도 10c는 도 10a의 단면도이다.
도 10a, 도 10b 및/또는 도 10c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300)는 패턴 구조(3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a, 도 10b 및/또는 도 10c의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300) 및 패턴 구조(310)의 구성은 도 7a 및/또는 도 7b의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300) 및 패턴 구조(310)으 구성과 전부 또는 일부와 동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300)는 패턴 구조(310)가 위치한 제3 영역(예: 도 5의 제3 영역(303))에서 휘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턴 구조(310)는 휘어지면서 디스플레이(예: 도 3의 디스플레이(240))를 보호하기 위한 강성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지지부(320)의 제1 두께(t1)는 날개부(330)의 제2 두께(t2)보다 두꺼울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날개부(330)의 제2 두께(t2)는 0.02mm 내지 0.18mm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320)의 제1 두께(t1)는 0.1mm 내지 0.2mm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지지부(320)의 제1 폭(w1)은 날개부(320)의 제2 폭(w2)보다 길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날개부(330)의 제2 폭(w2)은 0.05mm 내지 0.25mm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320)의 제1 폭(w1)은 0.1mm 내지 0.5mm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패턴 구조(310)는 복수의 지지부(320)들 및 복수의 날개부(33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턴 구조(310)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패턴 구조(310-1, 310-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패턴 구조(310-1, 310-2, 310-3)들의 간격의 길이인 제3 폭(w3)은 0.05mm 내지 0.25mm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패턴 구조(310-1, 310-2, 310-3)들의 간격의 길이는 패턴 구조(310)의 관통 홀(318)의 제3 폭(w3)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통 홀(318)의 길이(d1)는 5mm 내지 20mm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턴 구조(310)는 브릿지(bridge)(319)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브릿지(319)는 복수의 관통 홀(318)들 사이에 위치한 패턴 구조(310)의 일 부분으로 해석될 수 있다. 상기 브릿지(319)의 제4 폭(w4)은 0.1mm 내지 1.0m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통 홀(318)은 라티스(lattice) 구조로 해석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300)는 프리프레그 층(304)(예: 도 6의 프리프레그 층(304))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320) 및/또는 날개부(330)는 프리프레그 층(304)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프리프레그 층(304a, 304b, 304c, 304d, 304e, 304f, 304g, 304h)은 단 방향(uni direction)을 따라서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섬유(30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리프레그 층(304)은 상이한 방향으로 배열된 섬유(305)를 포함하는 복수의 프리프레그 층(304a, 304b, 304c, 304d, 304e, 304f, 304g, 304h)들을 포함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300)로 전달된 열은 상기 섬유(305)를 따라서 다양한 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다양한 형상의 패턴 구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300)는 제1 영역(301), 제2 영역(302) 및 제3 영역(30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영역(303)은 패턴 구조(3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의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300)의 구성은 도 5의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300)의 구성과 전부 또는 일부와 동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300)는 상이한 모양의 패턴 구조(예: 도 5의 패턴 구조(3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300)의 제3 영역(303)은 위치별로 다르게 형성된 패턴 구조(31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예: 도 11a)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300)는 각각 상이한 형상의 제1 패턴 구조 영역(313a), 제2 패턴 구조 영역(313b) 및 제3 패턴 구조 영역(313c)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패턴 구조 영역(313a)은 제3 영역(303)의 양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패턴 구조 영역(313b) 및 제3 패턴 구조 영역(313c)은 복수의 제1 패턴 구조 영역(313a)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패턴 구조 영역(313a)의 적어도 일부는 힌지 모듈(예: 도 4의 힌지 모듈(202))의 적어도 일부와 대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패턴 구조 영역(313a)에 위치한 패턴 구조(예: 도 5의 패턴 구조(310))는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300)의 유연성을 확보하고, 강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턴 구조 영역(313a)은 도 7d의 패턴 구조(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패턴 구조 영역(313b)은 디스플레이(예: 도 4의 디스플레이(240))의 적어도 일부와 대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패턴 구조 영역(313b)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디스플레이(240)를 보호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300)의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패턴 구조 영역(313b)은 도 8b의 패턴 구조(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패턴 구조 영역(313c)의 적어도 일부는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0))의 부품(예: 도 4의 힌지 모듈(202) 및/또는 도 3의 가요성 회로 기판(266))과 대면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패턴 구조 영역(313c)은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300)의 열 전도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패턴 구조 영역(313c)은 도 9b의 패턴 구조(31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예: 도 11b)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300)는 각각 상이한 형상의 제4 패턴 구조 영역(313d), 제5 패턴 구조 영역(313e) 및 제6 패턴 구조 영역(313f)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6 패턴 구조 영역(313f)은 제4 패턴 구조 영역(313d) 및 제5 패턴 구조 영역(313e)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4 패턴 구조 영역(313d)은 제3 영역(303)의 양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5 패턴 구조 영역(313e)은 복수의 제2 패턴 구조 영역(313b)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4 패턴 구조 영역(313d)의 적어도 일부는 힌지 모듈(예: 도 4의 힌지 모듈(202))의 적어도 일부와 대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4 패턴 구조 영역(313d)에 위치한 패턴 구조(예: 도 5의 패턴 구조(310))는 디스플레이(예: 도 4의 디스플레이(240))에 전달된 압력을 분산시키기 위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패턴 구조 영역(313d)은 도 7b의 패턴 구조(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5 패턴 구조 영역(313e)의 적어도 일부는 제3 영역(예: 도 4의 제3 영역(303))의 외곽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300)의 유연성을 확보하고, 강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 패턴 구조 영역(313e)은 도 7d의 패턴 구조(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6 패턴 구조 영역(313f)의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예: 도 4의 디스플레이(240))의 적어도 일부와 대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패턴 구조 영역(313b)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디스플레이(240)를 보호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300)의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6 패턴 구조 영역(313f)은 도 8c의 패턴 구조(310)를 포함할 수 있다.본 발명의 패턴 구조(예: 도 5의 패턴 구조(310)의 배열은 도 11a 및/또는 도 11b에서 개시된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에 위치한 부품(예: 도 3의 힌지 모듈(202) 및/또는 가요성 회로 기판(266))의 형상 또는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패턴 구조(310)가 배열되는 방법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200))는 제1 하우징(예: 도 1의 제1 하우징(210)), 및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 제2 하우징(예: 도 1의 제2 하우징(220))을 포함하는 하우징(예: 도 1의 하우징(201)), 상기 제1 하우징 상에 배치된 제1 디스플레이 영역(예: 도 1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241)), 상기 제2 하우징 상에 배치된 제2 디스플레이 영역(예: 도 1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2)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사이에 위치한 폴딩 영역(예: 도 1의 폴딩 영역(243))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예: 도 1의 디스플레이(240))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지지하고, 복합 소재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예: 도 5의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300))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는 상기 폴딩 영역에 대면하는 패턴 구조(예: 도 5의 패턴 구조(310))를 포함하고, 상기 패턴 구조는 날개부(예: 도 7b의 날개부(330)) 및 상기 날개부에서 돌출된 지지부(예: 도 7b의 지지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복합 소재는 탄소 섬유강화 플라스틱 또는 유리 섬유강화 플라스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을 지지하는 제1 영역(예: 도 5의 제1 영역(301)),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지지하는 제2 영역(예: 도 5의 제2 영역(302))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패턴 구조가 형성된 제3 영역(예: 도 5의 제3 영역(303))을 포함하고, 상기 폴딩 영역은 제3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대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상이한 방향을 따라서 배열된 복수의 프리프레그 층(예: 도 6의 프리프레그 층(304))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와 대면하는 제1 단부 영역(예: 도 7b의 제1 단부 영역(321)) 및 상기 제1 단부 영역의 반대인 제2 단부 영역(예: 도 7b의 제2 단부 영역(322))을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와 평행한 제1 방향(예: X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날개부는 상기 제1 단부 영역에서 연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제1 면(예: 도 7b의 제1 면(330a))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날개부는 제3 단부 영역(예: 도 8c의 제3 단부 영역(331)) 및 상기 제3 단부 영역의 반대인 제4 단부 영역(예: 도 8c의 제4 단부 영역(332))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3 단부 영역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한 제3 방향(예: 도 8c의 -Z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지지부(예: 도 8c의 제1 지지부(323)) 및 상기 제4 단부 영역에서 상기 제3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지지부(예: 도 8c의 제2 지지부(324))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날개부는 상기 제2 단부 영역에서 연장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와 이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날개부는 제3 단부 영역 및 상기 제3 단부 영역의 반대인 제4 단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3 단부 영역에서 연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제3 면(예: 도 8b의 제3 면(325a))을 포함하는 제3 지지부(예: 도 8b의 제3 지지부(325)), 및 상기 제4 단부 영역에서 연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제4 면(예: 도 8b의 제4 면(326a))을 포함하는 제4 지지부(예: 도 8b의 제4 지지부(326))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패턴 구조는 상기 제1 단부 영역에서 연장된 제1 날개부(예: 도 7c의 제1 날개부(333))를 포함하는 제1 패턴 구조(예: 도 7c의 제1 패턴 구조(311)) 및 상기 제2 단부 영역에서 연장된 제2 날개부(예: 도 7c의 제2 날개부(334))를 포함하는 제2 패턴 구조(예: 도 7c의 제2 패턴 구조(31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패턴 구조와 상기 제2 패턴 구조는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패턴 구조는 상기 날개부와 연결된 연장 영역으로서,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과 열적으로 연장 영역(예: 도 9b의 연장 영역(34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패턴 구조의 적어도 일부와 대면하는 힌지 모듈(예: 도 3의 힌지 모듈(20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패턴 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예: 도 10a의 관통 홀(318))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날개부 및 상기 지지부에 의하여 둘러싸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는 펜 구동 회로(예: 도 4의 펜 구동 회로(246))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날개부의 제2 두께(예: 도 10b의 제2 두께(t2))는 상기 지지부의 제1 두께(예: 도 10b의 제1 두께(t1))보다 얇을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200))는 제1 하우징(예: 도 1의 제1 하우징(210)), 및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 제2 하우징(예: 도 1의 제2 하우징(220))을 포함하는 하우징(예: 도 1의 하우징(201)), 상기 제1 하우징 상에 배치된 제1 디스플레이 영역(예: 도 1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241)), 상기 제2 하우징 상에 배치된 제2 디스플레이 영역(예: 도 1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242)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사이에 위치한 폴딩 영역(예: 도 1의 폴딩 영역(243))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예: 도 1의 디스플레이(240)),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과 연결된 힌지 모듈(예: 도 3의 힌지 모듈(202))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지지하고, 복합 소재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예: 도 5의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300))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는 상기 폴딩 영역과 상기 힌지 모듈 사이에 위치한 패턴 구조(예: 도 5의 패턴 구조(310))를 포함하고, 상기 패턴 구조는 날개부(예: 도 7b의 날개부(330)) 및 상기 날개부에서 연장된 지지부(예: 도 7b의 지지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의 제2 두께(예: 도 10b의 제2 두께(t2))는 상기 지지부의 제1 두께(예: 도 10의 제1 두께(t1))보다 얇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복합 소재는 탄소 섬유강화 플라스틱 또는 유리 섬유강화 플라스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상이한 방향을 따라서 배열된 복수의 프리프레그 층(예: 도 6의 프리프레그 층(304))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와 대면하는 제1 단부 영역(예: 도 7b의 제1 단부 영역(321)) 및 상기 제1 단부 영역의 반대인 제2 단부 영역(예: 도 7b의 제2 단부 영역(322))을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제1 단부 영역 또는 상기 제2 단부 영역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와 평행한 제1 방향(예: X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패턴 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예: 도 10a의 관통 홀(318))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날개부 및 상기 지지부에 의하여 둘러싸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개시의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200: 전자 장치
201: 하우징
202: 힌지 모듈
240: 디스플레이
300: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
304: 프리프레그 층
310: 패턴 구조
320: 지지부
330: 날개부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 상에 배치된 제1 디스플레이 영역, 상기 제2 하우징 상에 배치된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사이에 위치한 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지지하고, 복합 소재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는 상기 폴딩 영역에 대면하는 패턴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패턴 구조는 날개부 및 상기 날개부에서 연장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소재는 탄소 섬유강화 플라스틱 또는 유리 섬유강화 플라스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을 지지하는 제1 영역,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지지하는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패턴 구조가 형성된 제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폴딩 영역은 제3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대면하는 전자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상이한 방향을 따라서 배열된 복수의 프리프레그층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와 대면하는 제1 단부 영역 및 상기 제1 단부 영역의 반대인 제2 단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와 평행한 제1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전자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제1 단부 영역에서 연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제1 면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제3 단부 영역 및 상기 제3 단부 영역의 반대인 제4 단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3 단부 영역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한 제3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4 단부 영역에서 상기 제3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제2 단부 영역에서 연장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와 이격된 전자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제3 단부 영역 및 상기 제3 단부 영역의 반대인 제4 단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3 단부 영역에서 연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제3 면을 포함하는 제3 지지부, 및 상기 제4 단부 영역에서 연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제4 면을 포함하는 제4 지지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0.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구조는 상기 제1 단부 영역에서 연장된 제1 날개부를 포함하는 제1 패턴 구조 및 상기 제2 단부 영역에서 연장된 제2 날개부를 포함하는 제2 패턴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패턴 구조와 상기 제2 패턴 구조는 교대로 배열된 전자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구조는 상기 날개부와 연결된 연장 영역으로서,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과 열적으로 연결된 연장 영역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패턴 구조의 적어도 일부와 대면하는 힌지 모듈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날개부 및 상기 지지부에 의하여 둘러싸인 전자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펜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의 제2 두께는 상기 지지부의 제1 두께보다 얇은 전자 장치.
  16.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 상에 배치된 제1 디스플레이 영역, 상기 제2 하우징 상에 배치된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사이에 위치한 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과 연결된 힌지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지지하고, 복합 소재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는 상기 폴딩 영역과 상기 힌지 모듈 사이에 위치한 패턴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패턴 구조는 날개부 및 상기 날개부에서 연장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의 제2 두께는 상기 지지부의 제1 두께보다 얇은 전자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소재는 탄소 섬유강화 플라스틱 또는 유리 섬유강화 플라스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상이한 방향을 따라서 배열된 복수의 프리프레그층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9.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와 대면하는 제1 단부 영역 및 상기 제1 단부 영역의 반대인 제2 단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제1 단부 영역 또는 상기 제2 단부 영역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와 평행한 제1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전자 장치.
  20.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날개부 및 상기 지지부에 의하여 둘러싸인 전자 장치.
KR1020210127339A 2021-09-27 2021-09-27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04478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339A KR20230044788A (ko) 2021-09-27 2021-09-27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CT/KR2022/011578 WO2023048394A1 (ko) 2021-09-27 2022-08-04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339A KR20230044788A (ko) 2021-09-27 2021-09-27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4788A true KR20230044788A (ko) 2023-04-04

Family

ID=85720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7339A KR20230044788A (ko) 2021-09-27 2021-09-27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44788A (ko)
WO (1) WO2023048394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857B1 (ko) * 2014-09-05 2021-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전자기기
KR102392551B1 (ko) * 2018-03-21 2022-05-02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프레임 및 제조 방법
KR20200049925A (ko) * 2018-10-29 2020-05-11 희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지지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58428B1 (ko) * 2018-11-29 2024-04-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15552873A (zh) * 2020-03-20 2022-12-30 阿莫绿色技术有限公司 折叠板及用于制造折叠板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48394A1 (ko) 2023-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53949B2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ual display
KR20210040699A (ko) 접힘 가능한 도전성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85686B1 (ko) 도전성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EP4141613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KR20210152910A (ko) 정전기 유도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078197A (ko) 정전기를 그라운드에 연결시키는 방전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017583A (ko) 폴더블 전자 장치
KR20210000999A (ko) 협소 공간에 설치 가능한 구조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017549A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및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83798B1 (ko) 도전성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20230044788A (ko)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055218A (ko) 안테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전자 장치
US20230180413A1 (en) Display module including cushion laye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module
US20230044193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gitizer
KR20220078966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043500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7365490B2 (ja) シーリング部材を含む電子装置
KR20210123699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4290331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US20230079135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electrostatic induction structure
KR20220127548A (ko) 폴딩 상태를 검출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30032700A (ko) 디지타이저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KR20230011853A (ko) 접힘 가능한 메탈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023145A (ko) 차폐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001314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