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4441A - 통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4441A
KR20230044441A KR1020237005460A KR20237005460A KR20230044441A KR 20230044441 A KR20230044441 A KR 20230044441A KR 1020237005460 A KR1020237005460 A KR 1020237005460A KR 20237005460 A KR20237005460 A KR 20237005460A KR 20230044441 A KR20230044441 A KR 20230044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group
group
information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5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젠샨 자오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44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44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1Wireless traffic scheduling for groups of terminals or u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0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broadcas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layers above the physical layer, e.g. RRC or MAC-CE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40Resource management for direct mode communication, e.g. D2D or side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응용되는 통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제1 통신 그룹의 제1 전송 자원 세트에 기초하여, 제1 통신 그룹 내의 통신 디바이스의 전송 자원을 결정하고, 제1 통신 그룹의 통신 범위 내의 각 통신 그룹 간의 전송 자원 세트가 각각 상이한 단계, 및 제1 통신 그룹 내의 통신 디바이스에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제1 지시 정보는 제1 통신 그룹 내의 통신 디바이스의 전송 자원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면, 각 통신 그룹 간의 전송 자원 세트가 각각 상이하기 때문에, 각 통신 그룹 간의 자원 조정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통신 그룹 간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정보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는, 단말을 상이한 통신 그룹으로 나누고, 각 통신 그룹 내의 단말이 직접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일 영역에 복수의 통신 그룹이 존재하고, 복수의 통신 그룹이 동일한 캐리어를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경우, 각 통신 그룹 간에 상호 간섭이 일어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종래 기술의 통신 그룹 간의 상호 간섭을 해결하기 위한 통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응용되는 통신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제1 전송 자원 세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통신 그룹 내의 통신 디바이스의 전송 자원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통신 그룹 내의 통신 디바이스에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통신 범위 내의 각 통신 그룹 간의 전송 자원 세트가 각각 상이하며,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그룹 내의 통신 디바이스의 전송 자원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의 사전 구성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의 사전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전송 자원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사전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그룹 내의 단말의 수, 상기 제1 통신 그룹 내의 단말의 유형,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서비스 속성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또한
제2 통신 그룹의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전송 자원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사용 가능한 전송 자원을 포함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방송 정보, 시스템 정보,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 또는 제어 시그널링으로 반송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제2 통신 그룹의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동기 신호 및 방송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제2 통신 그룹의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자원 변경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자원 변경 요청은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전송 자원을 요청하거나 취소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자원 변경 요청은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식별 정보,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단말의 수 및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서비스 속성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서비스 속성 파라미터는 데이터 패킷의 크기, 패킷 송신 빈도, 전송 신뢰성, 전송 레이트 및 전송 지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송 자원 세트는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사용 가능한 전송 자원 또는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사용 불가능한 전송 자원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송 자원 세트는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 및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제2 통신 그룹의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응용되는 통신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제1 전송 자원 세트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통신 범위 내의 각 통신 그룹 간의 전송 자원 세트가 각각 상이하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방송 정보, 시스템 정보,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 또는 제어 시그널링으로 반송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자원 변경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사용 가능한 전송 자원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자원 변경 요청은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전송 자원을 요청하거나 취소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자원 변경 요청은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식별 정보,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단말의 수 및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서비스 속성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서비스 속성 파라미터는 데이터 패킷의 크기, 패킷 송신 빈도, 전송 신뢰성, 전송 레이트 및 전송 지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제1 전송 자원 세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통신 그룹의 제2 전송 자원 세트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통신 그룹 내의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제3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통신 그룹 내의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변경된 전송 자원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송 자원 세트는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사용 가능한 전송 자원 또는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사용 불가능한 전송 자원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송 자원 세트는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 및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는 처리 모듈과 송신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를 제공하고,
처리 모듈은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제1 전송 자원 세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통신 그룹 내의 통신 디바이스의 전송 자원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통신 범위 내의 각 통신 그룹 간의 전송 자원 세트가 각각 상이하며,
송신 모듈은 상기 제1 통신 그룹 내의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그룹 내의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전송 자원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처리 모듈은 또한 상기 통신 장치의 사전 구성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통신 장치의 사전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전송 자원 세트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사전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그룹 내의 단말의 수, 상기 제1 통신 그룹 내의 단말의 유형,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서비스 속성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는 또한 수신 모듈을 포함하며,
수신 모듈은 제2 통신 그룹의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사용 가능한 전송 자원을 포함하며,
상기 처리 모듈은 또한 상기 제2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전송 자원 세트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방송 정보, 시스템 정보,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 또는 제어 시그널링으로 반송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수신 모듈은 또한 상기 제2 통신 그룹의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동기 신호 및 방송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제2 통신 그룹의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자원 변경 요청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자원 변경 요청은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전송 자원을 요청하거나 취소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자원 변경 요청은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식별 정보,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단말의 수 및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서비스 속성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서비스 속성 파라미터는 데이터 패킷의 크기, 패킷 송신 빈도, 전송 신뢰성, 전송 레이트 및 전송 지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송 자원 세트는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사용 가능한 전송 자원 또는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사용 불가능한 전송 자원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송 자원 세트는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 및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 형태는 송신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를 제공하고,
송신 모듈은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제1 전송 자원 세트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통신 범위 내의 각 통신 그룹 간의 전송 자원 세트가 각각 상이하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방송 정보, 시스템 정보,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 또는 제어 시그널링으로 반송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는 또한 수신 모듈을 포함하며,
수신 모듈은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자원 변경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자원 변경 요청은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전송 자원을 요청하거나 취소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자원 변경 요청은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정보를 포함한다.
처리 모듈은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사용 가능한 전송 자원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식별 정보,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단말의 수 및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서비스 속성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서비스 속성 파라미터는 데이터 패킷의 크기, 패킷 송신 빈도, 전송 신뢰성, 전송 레이트 및 전송 지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처리 모듈은 또한 상기 제1 전송 자원 세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통신 그룹의 제2 전송 자원 세트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제2 통신 그룹 내의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상기 제3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통신 그룹 내의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변경된 전송 자원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송 자원 세트는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사용 가능한 전송 자원 또는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사용 불가능한 전송 자원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송 자원 세트는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 및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5 양태는 프로세서, 메모리, 송신기 및 수신기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실행하여, 제1 양태 또는 제2 양태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하며,
상기 송신기는 상기 프로세서의 송신 동작을 실행하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프로세서의 수신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제6 양태는 메모리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실행하여, 칩이 탑재된 디바이스에 제1 양태 또는 제2 양태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7 양태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제1 양태 또는 제2 양태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킨다.
본 발명의 제8 양태는 제1 양태 또는 제2 양태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 정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9 양태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제1 양태 또는 제2 양태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 및 장치는,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응용되고, 제1 통신 그룹의 제1 전송 자원 세트에 기초하여, 제1 통신 그룹 내의 통신 디바이스의 전송 자원을 결정하고, 제1 통신 그룹의 통신 범위 내의 각 통신 그룹 간의 전송 자원 세트 각각 상이하다. 다음으로, 제1 통신 그룹 내의 통신 디바이스에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제1 지시 정보는 제1 통신 그룹 내의 통신 디바이스의 전송 자원을 나타낸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각 통신 그룹 간의 전송 자원 세트가 각각 상이하기 때문에, 각 통신 그룹 간의 자원 조정을 구현하므로, 통신 그룹 간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 또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기술적 해결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의 설명에 필요한 첨부도면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의 첨부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이며, 당업자라면 아무런 창작적인 노력을 하지 않아도 이들 도면을 바탕으로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음은 분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의 사이드링크 통신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일부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의 사이드링크 통신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네트워크 커버리지 외의 사이드링크 통신의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네트워크 커버리지 외의 다른 사이드링크 통신의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다른 통신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의 심볼 정보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 방법의 시그널링 인터랙션 다이어그램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다른 통신 방법의 시그널링 인터랙션 다이어그램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 장치의 구성의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 장치의 구성의 모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전자 디바이스의 구성의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기술적 해결책 및 이점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해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을 첨부 도면과 함께 명확하고 완전히 설명하지만,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부이며, 그 전부는 아니라는 것은 분명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당업자가 창의적인 노력 없이 얻을 수 있는 다른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된다.
사이드링크 통신에서는,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의 네트워크 커버리지에 따라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의 사이드링크 통신, 일부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의 사이드링크 통신, 네트워크 커버리지 외의 사이드링크 통신으로 나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의 사이드링크 통신의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일부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의 사이드링크 통신의 모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네트워크 커버리지 외의 사이드링크 통신의 모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네트워크 커버리지 외의 다른 사이드링크 통신의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의 사이드링크 통신에서는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모든 단말이 동일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커버리지 범위 내에 있고, 상기 단말이 각각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된 시그널링을 수신하여, 동일한 사이드링크 구성에 기초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네트워크 커버리지의 사이드링크 통신의 경우,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의 일부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커버리지 범위 내에 위치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커버리지 범위 내에 위치하는 단말은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구성 시그널링을 수신하여, 기지국의 구성에 따른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네트워크의 커버리지 범위 외에 위치하는 단말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 시그널링을 수신할 수 없으며, 이때 네트워크의 커버리지 범위 외의 단말은 사전 구성(pre-configuration) 정보와 네트워크 커버리지 범위 내의 단말이 송신하는 물리 사이드링크 방송 채널(Physical sidelink broadcast channel, PSBCH)로 전송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사이드링크 구성을 결정하고, 이를 통해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의 커버리지 외의 사이드링크 통신의 경우,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모든 단말이 각각 네트워크 커버리지 범위 외에 위치하기 때문에, 모든 단말이 각각 사전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사이드링크 구성을 결정하고, 이를 통해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의 커버리지 외의 사이드링크 통신의 경우, 복수의 단말을 하나의 통신 그룹으로 나누고, 해당 통신 그룹에 하나의 클러스터 헤더(cluster header, CH)를 설정하면, 해당 클러스터 헤더 단말은 그룹 멤버 단말의 가입, 탈퇴를 판단함과 동시에, 통신 그룹 내의 자원 조정을 수행하여, 그룹 멤버 단말에 전송 자원을 할당하고, 그룹 멤버 단말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클러스터 헤더 단말은 중앙 제어 노드라고도 불릴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 차량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각 단말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상이한 통신 그룹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각 통신 그룹 내의 단말은 D2D 방식으로 직접 통신할 수 있다. 각 통신 그룹 내에는 하나의 클러스터 헤더 단말이 존재할 수 있으며, 해당 클러스터 헤더 단말은 해당 통신 그룹 내의 다른 단말을 제어하고, 예를 들어 다른 단말에 전송 자원을 할당하거나, 단말 간의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러나, 하나의 영역 내에 복수의 통신 그룹이 존재하고, 복수의 통신 그룹이 동일한 캐리어를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면, 각 통신 그룹 간에 상호 간섭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종래 기술에서의 각 통신 그룹 간의 상호 간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통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하나의 시스템의 각 통신 그룹에 상이한 전송 자원을 설정함으로써, 각 통신 그룹 간의 자원 조정을 구현하고, 이를 통해 통신 그룹 간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적용 시나리오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사용 가능한 응용 시나리오는 차량 인터넷 시스템의 응용 시나리오이다. 예시적으로, 복수의 차량은 하나의 통신 그룹을 구성할 수 있고, 각 통신 그룹에 클러스터 헤더 단말로서 하나의 차량을 설치하고, 클러스터 헤더 단말은 그룹 내의 통신 디바이스에 전송 자원을 할당하고, 차량 인터넷 시스템 내에 복수의 통신 그룹이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통신 그룹 간의 자원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의 제2 사용 가능한 응용 시나리오는 차량 내 통신의 응용 시나리오이다. 예시적으로, 차량 내에는 스피커, 오디오, 카메라, 백미러 등 다양한 단말이 포함된다. 여기서, 차량 내의 원격정보 프로세서(telematics box, T-BOX)는 차량 내의 마이크, 오디오 등과 하나의 통신그룹을 구성할 수 있으며, 차체 컨트롤러는 윈도우, 도어, 라이트, 시트 등과 하나의 통신그룹을 구성하고, 차량 내의 중앙제어장치는 마이크, 스피커, 백미러 등과 하나의 통신그룹을 구성하며, 스마트키(PASSIVE Entry Passive Start, PEPS)는 도어락, 키 등과 하나의 통신그룹을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3 사용 가능한 응용 시나리오는 사물 인터넷(IoT)의 응용 시나리오이다. 예시적으로, 스마트 홈 시나리오에서, 가정 또는 실내의 단말은 통신 기능을 가지며, 가정 내의 단말 들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그룹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스마트TV, CPE(consumer premise Equipment)는 하나의 통신그룹을 구성할 수 있다. 동일한 가정 내의 단말은 하나의 통신 그룹을 구성할 수 있으며, 상이한 가정들은 상이한 통신 그룹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4 사용 가능한 응용 시나리오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응용 시나리오이다. 예시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시나리오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다른 전자 디바이스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통신 그룹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머리에 착용된 VR 안경, 손에 쥐어진 게임 핸들, 게임 본체, 스마트 TV는 하나의 통신 그룹을 구성할 수 있고, 손목에 착용된 스포츠 팔찌와 사용자의 스마트폰은 하나의 통신 그룹을 구성할 수 있다. 동일한 사용자가 착용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복수의 통신 그룹에 속할 수 있다.
덧붙여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응용 시나리오는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통신 방법은 다른 복수의 통신 그룹을 가지는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제2 통신 그룹의 제2 통신 디바이스를 예로 들어 구체적인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몇 가지 구체적인 실시예는 서로 결합할 수 있으며, 동일하거나 유사한 개념 또는 과정에 대해서는 일부 실시예에서는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실행 주체는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이며,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가 그룹 내의 통신 디바이스의 전송 자원을 어떻게 결정하는지에 관한 구체적인 과정에 관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하며,
단계S101에 있어서, 제1 통신 그룹의 제1 전송 자원 세트에 기초하여, 제1 통신 그룹 내의 통신 디바이스의 전송 자원을 결정한다.
여기서, 제1 통신 그룹의 통신 범위 내의 각 통신 그룹 사이의 전송 자원 세트가 각각 상이하다. 제1 전송 자원 세트는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 및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전송 자원 세트에 기초하여 제1 통신 그룹 내의 통신 디바이스의 전송 자원을 어떻게 결정하는지는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전송 자원 세트는 제1 통신 그룹의 사용 가능한 전송 자원을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전송 자원 세트는 제1 통신 그룹의 사용 불가능한 전송 자원을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송 자원의 유형에 대해서도 제한하지 않고, 통신 방식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전송 자원은 사이드링크 통신 전송 자원일 수도 있고, 다른 유형의 전송 자원일 수도 있다.
또한, 제1 전송 자원 세트는 시간 도메인 정보, 주파수 도메인 정보 및 주기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시간 도메인 정보는 슈퍼프레임 정보, 무선프레임 정보 및 심볼 정보와 같은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시간 도메인 정보는 비트맵 정보에 의해 나타낼 수 있으며, 주파수 도메인 정보는 주파수 도메인의 시작 위치 정보 및 길이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주파수 도메인의 시작 위치 정보 및 길이 정보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크기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주기 정보는 시간 도메인에 할당된 전송 자원의 반복 주기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다음으로, 제1 통신 그룹의 제1 전송 자원 세트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통신 그룹의 제1 전송 자원 세트를 결정하는 정적 방식, 반정적 방식 및 동적 방식의 세 가지 방법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정적 방식을 채택할 경우,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는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의 사전 구성 정보를 직접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는,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의 사전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전송 자원 세트를 결정한다.
여기서, 사전 구성 정보는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사전에 저장된다. 사전 구성 정보는 제1 통신 그룹 내의 단말의 수, 제1 통신 그룹 내의 단말의 유형, 제1 통신 그룹의 서비스 속성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사전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전송 자원 세트를 어떻게 결정하는지를 한정하지 않고, 실제 상황에 따라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의 수 및 단말의 유형과 전송 자원이 대응 관계를 가질 수 있으며,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는 구성 정보를 취득한 후, 사전 구성 정보에 포함되는 제1 통신 그룹 내의 단말의 수 및 단말의 유형에 기초하여, 제1 전송 자원 세트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속성 파라미터와 전송 자원도 대응 관계를 가질 수 있으며,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는 구성 정보를 취득한 후, 사전 구성 정보에 포함되는 제1 통신 그룹 내의 서비스 속성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1 전송 자원 세트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전 구성 정보에는 제1 전송 자원 세트가 직접 포함될 수 있으며,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는 사전 구성 정보로부터 제1 전송 자원 세트를 직접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정적 방식을 채택할 경우, 제2 통신 그룹의 제2 통신 디바이스는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제2 지시 정보는 제1 통신 그룹의 제1 전송 자원 세트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다음으로,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는 제2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전송 자원 세트를 결정한다.
여기서, 제2 통신 그룹의 제2 통신 디바이스는 각 통신 그룹의 마스터 제어 단말이며, 각 통신 그룹을 위해 전송 자원을 할당한다. 제2 지시 정보는 방송정보, 시스템정보 또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으로 반송된다.
예를 들어, 동적 방식을 채택할 경우,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는 제2 통신 그룹의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자원 변경 요청을 송신할 수 있고, 자원 변경 요청은 제1 통신 그룹의 전송 자원을 요청, 변경 또는 취소하는데 사용되며, 자원 변경 요청에는 제1 통신 그룹의 정보가 포함된다. 다음으로, 제2 통신 그룹의 제2 통신 디바이스는 제1 통신 그룹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통신 그룹의 사용 가능한 전송 자원을 결정하고,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제2 지시 정보를 전송하며, 제2 지시 정보는 제1 통신 그룹의 제1 전송 자원 세트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마지막으로,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는 제2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전송 자원 세트를 결정한다.
여기서, 제1 통신 그룹의 정보는 제1 통신 그룹의 식별 정보,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제1 통신 그룹의 단말의 수 및 제1 통신 그룹의 서비스 속성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1 통신 그룹의 서비스 속성 파라미터는 데이터 패킷의 크기, 패킷 송신 빈도, 전송 신뢰성, 전송 레이트 및 전송 지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단계S102에서, 제1 통신 그룹 내의 통신 디바이스에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제1 지시 정보는 제1 통신 그룹 내의 통신 디바이스의 전송 자원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이 단계에서,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는 제1 통신 그룹 내의 통신 디바이스의 전송 자원을 결정한 후, 제1 통신 그룹 내의 통신 디바이스에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제1 통신 그룹 내의 통신 디바이스의 전송 자원을 지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그룹 내의 통신 디바이스에 어떻게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지는 한정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는 방송 정보, 시스템 정보, RRC 시그널링, 제어 시그널링 등을 통해 그룹 내의 통신 디바이스에 사용 가능한 전송 자원을 통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시그널링은 예를 들어 하향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또는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idelink Control Information, SCI)일 수도 있고, RRC 시그널링은 예를 들어 PC5-RRC 시그널링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통신 방법은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응용되며, 제1 통신 그룹의 제1 전송 자원 세트에 기초하여, 제1 통신 그룹 내의 통신 디바이스의 전송 자원을 결정하고, 제1 통신 그룹의 통신 범위 내의 각 통신 그룹 간의 전송 자원 세트가 각각 다르다. 다음으로, 제1 통신 그룹 내의 통신 디바이스에 제1 지시 정보를 전송하고, 제1 지시 정보는 제1 통신 그룹 내의 통신 디바이스의 전송 자원을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면, 각 통신 그룹 간의 전송 자원 세트가 각각 상이하기 때문에, 각 통신 그룹 간의 자원 조정을 구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통신 그룹 간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기초하여, 통신 그룹 내의 단말의 수와 서비스 유형이 알려진 경우, 제1 전송 자원 세트를 정적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는 것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예를 들어, 차량 내의 단거리 통신 시스템에 대해, 해당 차량이 지원하는 무선 통신 기능은 모두 알려진 것이다. 예를 들어 노이즈 저감 기능, 좌석 무선 제어 기능, 무선 점화 기능 등은 모두 동일하거나 다른 통신 그룹에 대응하고 있다. 여기서, 각 통신 그룹 내의 단말의 유형 및 수도 이미 알려져 있으며, 해당 통신 그룹이 전송하는 데이터의 서비스 유형, 데이터 사이즈, 주파수 등도 이미 알려져 있다. 이때, 사전 구성 정보의 방식에 의해 각 통신 그룹에 전송 자원을 할당하고, 대응하는 전송 자원 세트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전 구성에 의해 제1 전송 자원 세트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다른 통신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실행 주체는 제 1 통신 그룹의 제 1 통신 디바이스이며, 해당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하고,
단계S201에 있어서,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의 사전 구성 정보를 취득한다.
이 단계에서, 사전 구성 정보는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사전에 저장될 수 있고,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가 통신을 수행하기 전에, 메모리로부터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의 사전 구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사전 구성 정보는 제1 통신 그룹 내의 단말의 수, 제1 통신 그룹 내의 단말의 유형, 제1 통신 그룹의 서비스 속성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통신 디바이스는 단말, 예를 들면 휴대전화, 차량 탑재 단말 등일 수도 있고, 구체적인 통신기능을 갖는 다른 디바이스, 예를 들면 차량, 차량 내의 무선 점화 디바이스 등일 수도 있다.
단계S202에 있어서,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의 사전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전송 자원 세트를 결정한다.
이 단계에서,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는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의 사전 구성 정보를 획득한 후,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의 사전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전송 자원 세트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전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어떻게 제1 전송 자원 세트를 결정하는지는 한정되지 않고, 실제 상황에 따라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의 수 및 단말의 유형과 전송 자원이 대응 관계를 가질 수 있으며,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는 구성 정보를 취득한 후, 사전 구성 정보에 포함되는 제1 통신 그룹 내의 단말의 수 및 단말의 유형에 기초하여 제1 전송 자원 세트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속성 파라미터와 전송 자원이 대응 관계를 가지며,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는 구성 정보를 취득한 후, 사전 구성 정보에 포함되는 제1 통신 그룹 내의 서비스 속성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1 전송 자원 세트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전 구성 정보에는 또한 제1 전송 자원 세트가 직접 포함될 수 있으며,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는 사전 구성 정보로부터 제1 전송 자원 세트를 직접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송 자원 세트는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 및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는 사전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를 결정할 수 있으며, 시간 도메인 자원 정보는 슈퍼 프레임, 무선 프레임 또는 심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는 사전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주파수 도메인 자원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은 차량 내의 단거리 통신 시스템을 위해 하나의 무선 프레임 내에 8개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OFDM) 심볼을 포함하는 무선 프레임 내 심볼 정보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8개의 OFDM 심볼은 C링크 심볼과 T링크 심볼로 나뉜다. 여기서, C링크 심볼은 클러스터 헤더 단말이 그룹 내의 통신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링크이고, T링크는 그룹 내의 통신 디바이스가 클러스터 헤더 단말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링크이다. C링크 심볼은 무선 프레임의 시작 위치에 위치하고, T링크 심볼은 무선 프레임의 종료 위치에 위치하며, C링크 심볼과 T링크 심볼 사이에 보호 간격(Guard Period, GP)이 있어, 일반적으로 수신-송신 변환 또는 송신-수신 변환에 사용된다. 2개의 통신 그룹이 있는 경우, 1개의 무선 프레임 내에서, 제1 통신 그룹에 1개의 C링크 심볼과 1개의 T링크 심볼을 할당할 수 있고, 제2 통신 그룹에 2개의 C링크 심볼과 2개의 T링크 심볼을 할당하고, 나머지 1개의 C링크 심볼과 1개의 T링크 심볼은 다른 통신 그룹에 사용되도록 예약되거나,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입하거나, 해당 예약된 전송 자원은 새로운 무선 통신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단계S203에 있어서, 제1 통신 그룹의 제1 전송 자원 세트에 기초하여, 제1 통신 그룹 내의 통신 디바이스의 전송 자원을 결정하고, 제1 통신 그룹의 통신 범위 내의 각 통신 그룹 간의 전송 자원 세트가 각각 상이하다.
단계S204에서, 제1 통신 그룹 내의 통신 디바이스에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제1 지시 정보는 제1 통신 그룹 내의 통신 디바이스의 전송 자원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단계S203-204의 기술적 명사, 기술적 효과, 기술적 특징 및 선택 가능한 실시예는 도 5에 나타낸 단계S101-S102를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가 사전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전송 자원 세트를 결정함으로써,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가 사용 가능한 전송 자원을 결정할 수 있고, 각 통신 그룹이 상이한 전송 자원을 가지며, 각 통신 그룹 간의 자원 조정을 구현하여, 통신 그룹 간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통신 방법에서는, 각 통신 그룹 내의 사전 구성 정보는 사전 구성되어 있으며, 전송 자원이 사전 구성된 후에는 변경할 수 없다. 이 경우, 통신 그룹 내의 단말의 수가 변화하면, 해당 통신 그룹에 필요한 전송 자원도 그에 따라 변화할 수 있으므로, 사전 구성된 전송 자원이 통신 그룹의 통신 요구를 충족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상기 실시예의 기초상에서, 본 발명에서는 사전 구성된 전송 자원이 통신 그룹의 통신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반정적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반정적 방식으로 제1 전송 자원 세트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 방법의 시그널링 인터렉션 다이어그램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S301에 있어서, 제2 통신 그룹의 제2 통신 디바이스는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제2 지시 정보는 제1 통신 그룹의 제1 전송 자원 세트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며, 제1 통신 그룹의 통신 범위 내의 각 통신 그룹 간의 전송 자원 세트가 각각 상이하다.
단계S302에 있어서,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는 제2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전송 자원 세트를 결정한다.
여기서, 제2 지시 정보는 방송 정보, 시스템 정보 또는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으로 반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시스템에는 4개의 통신 그룹, 즉 제1 내지 제4 통신 그룹이 포함되어 있다. 제2 통신 그룹의 제2 통신 디바이스는 시스템 정보를 통해 4개의 통신 그룹의 전송 자원을 나타낸다. 시스템 정보에는 4개의 통신 그룹의 전송 자원 지시 정보에 각각 대응하는 4개의 정보 필드가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통신 그룹의 제1 전송 자원 세트를 나타내는 제2 지시 정보가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송신된다.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는 그룹 내 통신을 수행하기 전에, 우선, 제2 지시 정보로부터 제1 전송 자원 세트를 획득한 후,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는 그룹 내의 통신 디바이스에 해당 전송 자원 세트 내의 전송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는 제2 통신 그룹의 제2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동기 신호 및 방송 정보를 검색할 수 있고,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는 방송 정보로부터 제2 지시 정보를 직접 취득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2 통신 그룹의 제2 통신 디바이스는 시스템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각 통신 그룹의 전송 자원 세트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단계S303에 있어서,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는 제1 통신 그룹의 제1 전송 자원 세트에 기초하여, 제1 통신 그룹 내의 통신 디바이스의 전송 자원을 결정하고, 제1 통신 그룹의 통신 범위 내의 각 통신 그룹 간의 전송 자원 세트가 각각 상이하다.
단계S304에 있어서,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는 제1 통신 그룹 내의 통신 디바이스에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제1 지시 정보는 제1 통신 그룹 내의 통신 디바이스의 전송 자원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단계S303-S304의 기술적 명사, 기술적 효과, 기술적 특징 및 선택 가능한 실시예는 도 5에 나타낸 단계S101-S102를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제2 통신 그룹의 제2 통신 디바이스는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다음으로,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는 제2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전송 자원 세트를 결정한다. 일 통신 그룹의 클러스터 헤더 단말을 통해 각 통신 그룹이 사용 가능한 전송 자원을 방송함으로써, 각 통신 그룹에 전송 자원을 반정적으로 구성할 수 있고, 시스템 정보를 업데이트함으로써 각 통신 그룹의 전송 자원 세트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기초상에서,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통신 그룹의 클러스터 헤더 단말을 모든 통신 그룹의 제어 단말로 하여, 모든 통신 그룹에 동적으로 전송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든 통신 그룹의 제어 단말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 통신 그룹의 제2 통신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는, 차량내 단거리 통신 시스템의 경우, 차량내에는 복수의 통신 그룹이 존재하지만, 각 통신 그룹에는 항상 데이터 전송이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무선 점화 시스템, 콕핏 제어 시스템 등 통신 그룹의 데이터 전송은 이벤트에 의해 트리거되며, 노이즈 저감 시스템 통신 그룹에서는 차량이 점화 상태에 있는 한 항상 운전 중에 있으므로, 실시간으로 차량 내의 노이즈를 저감하는 것이 보장된다. 따라서, 노이즈 저감 시스템 통신 그룹의 클러스터 헤더 단말은 모든 통신 그룹의 제어 단말, 즉 본 발명에서의 제2 통신 그룹의 제2 통신 디바이스로 할 수 있다. 이어서, 노이즈 저감 시스템 통신 그룹은 다른 통신 그룹에 전송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동적 방식으로 제1 전송 자원 세트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다른 통신 방법의 시그널링 인터랙션 다이어그램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S401에 있어서,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가 제2 통신 그룹의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자원 변경 요청을 송신하고, 자원 변경 요청은 제1 통신 그룹의 전송 자원을 요청, 변경 또는 취소하는데 사용되며, 자원 변경 요청에는 제1 통신 그룹의 정보가 포함된다.
여기서, 자원 변경 요청은 제1 통신 그룹의 전송 자원을 요청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고, 또는 제1 통신 그룹의 전송 자원을 변경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는,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가 그룹 내의 통신을 수행하지만 사용 가능한 전송 자원을 결정하지 않은 경우, 제2 통신 그룹의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자원 변경 요청을 송신하여, 제1 통신 그룹의 전송 자원을 요청할 수 있다.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가 그룹 내에서 통신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고 결정한 경우, 제2 통신 그룹의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자원 변경 요청을 송신하고, 제1 통신 그룹의 전송 자원의 취소를 요청할 수 있다.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가 그룹 내의 통신 디바이스의 수가 변화하거나 그룹 내의 전송 자원이 부족하다고 결정한 경우, 제2 통신 그룹의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자원 변경 요청을 송신하여, 제1 통신 그룹의 전송 자원의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가 제2 통신 그룹의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자원 변경 요청을 송신하기 전에,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는 제2 통신 그룹의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액세스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는 제2 통신 그룹의 제2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동기 신호 및 방송 정보를 검색하고, 다음으로,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는 제2 통신 그룹의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할당된 랜덤 액세스 자원으로 제2 통신 그룹의 제2 통신 디바이스의 통신 그룹에 액세스한다.
단계S402에 있어서, 제2 통신 그룹의 제2 통신 디바이스는 제1 통신 그룹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통신 그룹의 사용 가능한 전송 자원을 결정한다.
이 단계에 있어서, 제2 통신 그룹의 제2 통신 디바이스가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자원 변경 요청을 수신한 후, 제1 통신 그룹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통신 그룹의 사용 가능한 전송 자원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통신 그룹의 정보는 제1 통신 그룹의 식별 정보,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제1 통신 그룹의 단말의 수 및 제1 통신 그룹의 서비스 속성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1 통신 그룹의 서비스 속성 파라미터는 데이터 패킷의 크기, 패킷 송신 빈도, 전송 신뢰성, 전송 레이트 및 전송 지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통신 그룹의 사용 가능한 전송 자원을 어떻게 결정할 것인지에 대해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적절한 자원 할당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제2 통신 그룹의 제2 통신 디바이스가 제1 통신 그룹의 사용 가능한 전송 자원을 결정하는 경우에는, 제1 통신 그룹의 사용 가능한 전송 자원을 사용하여 제1 전송 자원 세트를 생성할 수 있고, 제1 통신 그룹의 사용 불가능한 전송 자원을 사용하여 제1 전송 자원 세트를 생성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S403에 있어서, 제2 통신 그룹의 제2 통신 디바이스가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제2 지시 정보는 제1 통신 그룹의 제1 전송 자원 세트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며, 제1 통신 그룹의 통신 범위 내의 각 통신 그룹 간의 전송 자원 세트가 각각 상이하다.
단계S404에 있어서,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는 제2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전송 자원 세트를 결정한다.
단계S405에 있어서,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가 제1 통신 그룹의 제1 전송 자원 세트에 기초하여, 제1 통신 그룹 내의 통신 디바이스의 전송 자원을 결정하고, 제1 통신 그룹의 통신 범위 내의 각 통신 그룹 간의 전송 자원 세트가 각각 상이하다.
단계S406에서,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는 제1 통신 그룹 내의 통신 디바이스에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제1 지시 정보는 제1 통신 그룹 내의 통신 디바이스의 전송 자원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단계S403-S406의 기술적 명사, 기술적 효과, 기술적 특징 및 선택 가능한 실시예는 도 8에 나타낸 단계S301-S304를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S407에 있어서, 제2 통신 그룹의 제2 통신 디바이스는 제1 전송 자원 세트에 기초하여, 제2 통신 그룹의 제2 전송 자원 세트를 업데이트한다.
단계S408에서, 제2 통신 그룹의 제2 통신 디바이스는 제2 통신 그룹의 통신 디바이스에 제3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제3 지시 정보는 제2 통신 그룹 내의 통신 디바이스의 변경된 전송 자원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이 단계에서, 제2 통신 그룹의 제2 통신 디바이스는 제1 통신 그룹을 위해 전송 자원을 할당한 후, 제2 통신 그룹 내의 통신 디바이스가 제1 통신 그룹을 위해 할당한 전송 자원을 사용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제1 전송 자원 세트에 기초하여, 제2 통신 그룹의 제2 전송 자원 세트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일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는, 모든 통신 그룹의 제어 단말은 일 통신 그룹의 클러스터 헤더 단말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통신 그룹에 속하지 않는 외부 단말일 수도 있다. 각 통신 그룹의 클러스터 헤더 단말은 해당 외부 단말에 자원 변경 요청을 송신하고, 할당된 전송 자원을 기반으로 각 통신 그룹 내의 단말에 전송 자원을 할당한다.
본 발명에서는, 동적으로 필요에 따라 각 통신 그룹에 전송 자원을 할당함으로써, 전송 자원이 각 통신 그룹 간에서 유연하게 다중화될 수 있으므로, 자원 사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 방법은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응용되며, 제1 통신 그룹의 제1 전송 자원 세트에 기초하여, 제1 통신 그룹 내의 통신 디바이스의 전송 자원을 결정하고, 제1 통신 그룹의 통신 범위 내의 각 통신 그룹 간의 전송 자원 세트가 각각 상이하다. 다음으로, 제1 통신 그룹 내의 통신 디바이스에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제1 지시 정보는 제1 통신 그룹 내의 통신 디바이스의 전송 자원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면, 각 통신 그룹 간의 전송 자원 세트가 각각 상이하기 때문에, 각 통신 그룹 간의 자원 조정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통신 그룹 간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당업자는 상술한 방법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모든 또는 일부 단계는 실행시 상기 방법의 실시예를 포함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정보와 관련된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매체는 ROM, RAM, 자기디스크, 또는 광디스크 등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를 포함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해당 통신 장치는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 측의 통신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양자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 장치(500)는 처리 모듈(501), 송신 모듈(502) 및 수신 모듈(503)을 포함한다.
처리 모듈은 제1 통신 그룹의 제1 전송 자원 세트를 기반으로, 제1 통신 그룹 내의 통신 디바이스의 전송 자원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제1 통신 그룹의 통신 범위 내의 각 통신 그룹 간의 전송 자원 세트가 각각 상이하며,
송신 모듈은 제1 통신 그룹 내의 통신 디바이스에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제1 지시 정보는 제1 통신 그룹 내의 통신 디바이스의 전송 자원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처리 모듈은 또한 통신 장치의 사전 구성 정보를 획득하고, 통신 장치의 사전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전송 자원 세트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사전 구성 정보는 제1 통신 그룹 내의 단말의 수, 제1 통신 그룹 내의 단말의 유형, 제1 통신 그룹의 서비스 속성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통신 장치는 또한 수신 모듈을 포함하며,
수신 모듈은 제2 통신 그룹의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제2 지시 정보에는 제1 통신 그룹의 사용 가능한 전송 자원이 포함되며,
처리 모듈은 또한 제2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전송 자원 세트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제2 지시 정보는 방송 정보, 시스템 정보,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 또는 제어 시그널링으로 반송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수신 모듈은 또한 제2 통신 그룹의 제2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동기 신호 및 방송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송신 모듈은, 또한 제2 통신 그룹의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자원 변경 요청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자원 변경 요청은 제1 통신 그룹의 전송 자원을 요청, 변경 또는 취소하는데 사용되며, 자원 변경 요청에는 제1 통신 그룹의 정보가 포함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제1 통신 그룹의 정보는 제1 통신 그룹의 식별 정보,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제1 통신 그룹의 단말의 수 및 제1 통신 그룹의 서비스 속성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제1 통신 그룹의 서비스 속성 파라미터는 데이터 패킷의 크기, 패킷 송신 빈도, 전송 신뢰성, 전송 레이트 및 전송 지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제1 전송 자원 세트는 제1 통신 그룹의 사용 가능한 전송 자원 또는 제1 통신 그룹의 사용 불가능한 전송 자원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제1 전송 자원 세트는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 및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 장치는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1통신 그룹의 제1통신 디바이스 측의 통신 방법의 동작을 실행할 수 있으며, 그 구현 원리와 기술적 효과는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해당 통신 장치는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2 통신 그룹의 제2 통신 디바이스 측의 통신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양자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 장치(600)은 송신 모듈(601), 수신 모듈(602) 및 처리 모듈(603)을 포함한다.
송신 모듈(601)은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제2 지시 정보는 제1 통신 그룹의 제1 전송 자원 세트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며, 제1 통신 그룹의 통신 범위 내의 각 통신 그룹 간의 전송 자원 세트가 각각 상이하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제2 지시 정보는 방송 정보, 시스템 정보,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 또는 제어 시그널링으로 반송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통신 장치(600)는 또한 수신 모듈(602)를 포함하며,
수신 모듈(602)은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자원 변경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자원 변경 요청은 제1 통신 그룹의 전송 자원을 요청, 변경 또는 취소하는데 사용되며, 자원 변경 요청에는 제1 통신 그룹의 정보가 포함되며,
처리 모듈(603)은 제1 통신 그룹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통신 그룹의 사용 가능한 전송 자원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제1 통신 그룹의 정보는 제1 통신 그룹의 식별 정보,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제1 통신 그룹의 단말의 수 및 제1 통신 그룹의 서비스 속성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제1 통신 그룹의 서비스 속성 파라미터는 데이터 패킷의 크기, 패킷 송신 빈도, 전송 신뢰성, 전송 레이트 및 전송 지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처리 모듈(603)은 또한 제1 전송 자원 세트를 기반으로 제2 통신 그룹의 제2 전송 자원 세트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되며,
송신 모듈(601)은, 또한 제2 통신 그룹 내의 통신 디바이스에 제3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제3 지시 정보는 제2 통신 그룹 내의 통신 디바이스의 변경된 전송 자원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제1 전송 자원 세트는 제1 통신 그룹의 사용 가능한 전송 자원 또는 제1 통신 그룹의 사용 불가능한 전송 자원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제1 전송 자원 세트는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 및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 장치는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2통신 그룹의 제2통신 디바이스 측의 통신 방법의 동작을 실행할 수 있으며, 그 구현 원리와 기술적 효과는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전자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전자 디바이스는 CPU 등의 프로세서(71), 메모리(72), 수신기(73), 송신기(74)를 포함할 수 있고, 수신기(73)와 송신기(74)는 프로세서(71)에 결합되며, 프로세서(71)는 수신기(73)의 수신 동작을 제어하고, 프로세서(71)는 송신기(74)의 송신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72)는 고속 RAM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고, 비휘발성 메모리 NVM,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디스크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메모리(72)에는 다양한 처리 기능을 완료하고 본 발명 실시예의 방법 단계를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전자 디바이스는 전원(75), 통신 버스(76) 및 통신 포트(7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73)와 송신기(74)는 전자 디바이스의 송수신기에 통합될 수도 있고, 전자 디바이스 상의 독립적인 송수신 안테나일 수도 있다. 통신 버스(76)는 요소 간의 통신 연결을 구현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통신 포트(77)는 전자 디바이스와 다른 주변 기기와의 연결 통신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메모리(72)는 정보를 포함하는 컴퓨터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프로세서(71)가 정보를 실행할 경우, 정보는 프로세서(71)에 상술한 방법 실시예에서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 측의 처리 동작을 실행시키고, 송신기(74)에 상술한 방법 실시예에서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 측의 송신 동작을 실행시키고, 수신기(73)에 상술한 방법 실시예에서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 측의 수신 동작을 실행시키며, 그 구현 원리와 기술 효과는 유사하며,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또는, 프로세서(71)가 정보를 실행하는 경우, 정보는 프로세서(71)에 상술한 방법 실시예에서 제2 통신 그룹의 제2 통신 디바이스 측의 처리 동작을 실행시키고, 송신기(74)에 상술한 방법 실시예에서 제2 통신 그룹의 제2 통신 디바이스 측의 송신 동작을 실행시키고, 수신기(73)에 상술한 방법 실시예에서 제2 통신 그룹의 제2 통신 디바이스 측의 수신 동작을 실행시키며, 그 구현 원리와 기술 효과는 유사하므로, 여기서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상술한 통신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제2 통신 그룹과 적어도 하나의 제1 통신 그룹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프로세서 및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칩을 제공한다. 인터페이스는 프로세서가 처리할 데이터 또는 명령을 입출력하는데 사용된다. 프로세서는 상술한 방법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방법을 실행하는데 사용된다. 해당 칩은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 또는 제2 통신 그룹의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USB 디스크, 모바일 하드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ROM, Read-Only Memory),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 가능한 매체를 포함할 수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구체적으로는 프로그램 정보가 저장되며, 프로그램 정보는 상기 통신 방법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방법의 실시예에서 통신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컴퓨터 상에서 동작할 때 컴퓨터에 상기 방법의 실시예에서 통신 방법을 실행시키는 명령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등의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모두 또는 부분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될 경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로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명령을 포함한다. 컴퓨터에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로딩하여 실행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흐름 또는 기능이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생성된다. 컴퓨터는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컴퓨터 네트워크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장치일 수 있다. 컴퓨터 명령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에 저장되거나, 일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에서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로 전송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컴퓨터 명령은 일 웹사이트, 컴퓨터, 서비스 단말 또는 데이터센터에서 유선(예를 들어 동축케이블, 광섬유, 디지털 가입자선(DSL)) 또는 무선(예를 들어 적외선, 무선, 마이크로파 등)을 통해 다른 웹사이트, 컴퓨터, 서비스 또는 데이터센터로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컴퓨터가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사용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고, 하나 또는 복수의 사용 가능한 매체가 통합된 서비스 단말, 데이터 센터 등의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 가능한 매체는 자기매체(예를 들어 플로피디스크, 하드디스크, 자기테이프), 광매체(예를 들어 DVD), 또는 반도체 매체(예를 들어 솔리드 스테이트 하드디스크(Solid State Disk, SSD)) 등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책을 설명하기 위해서만 사용되며, 이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상기 각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는 상기 각 실시예에 기재된 기술적 해결책을 수정하거나, 그 일부 또는 전부의 기술적 특징을 동등하게 대체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대체는 대응되는 기술적 해결책의 본질을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의 범위에서 벗어나게 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43)

  1.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응용되는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제1 전송 자원 세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통신 그룹 내의 통신 디바이스의 전송 자원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통신 그룹 내의 통신 디바이스에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통신 범위 내의 각 통신 그룹 간의 전송 자원 세트가 각각 상이하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그룹 내의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전송 자원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의 사전 구성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의 사전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전송 자원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그룹 내의 단말의 수, 상기 제1 통신 그룹 내의 단말의 유형, 및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서비스 속성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제2 통신 그룹의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전송 자원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사용 가능한 전송 자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방송 정보, 시스템 정보,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RRC) 시그널링 또는 제어 시그널링으로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그룹의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동기 신호 및 방송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원 변경 요청을 상기 제2 통신 그룹의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원 변경 요청은 제1 통신 그룹의 전송 자원을 요청, 변경 또는 취소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자원 변경 요청은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식별 정보,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단말의 수 및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서비스 속성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서비스 속성 파라미터는 데이터 패킷의 크기, 패킷 송신 빈도, 전송 신뢰성, 전송 레이트 및 전송 지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자원 세트는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사용 가능한 전송 자원 또는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사용 불가능한 전송 자원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자원 세트는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 및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2. 제2 통신 그룹의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응용되는 통신 방법에 있어서,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제1 전송 자원 세트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통신 범위 내의 각 통신 그룹 간의 전송 자원 세트가 각각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방송 정보, 시스템 정보,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 또는 제어 시그널링으로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자원 변경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사용 가능한 전송 자원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원 변경 요청은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전송 자원을 요청, 변경 또는 취소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자원 변경 요청은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식별 정보,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단말의 수 및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서비스 속성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서비스 속성 파라미터는 데이터 패킷의 크기, 패킷 송신 빈도, 전송 신뢰성, 전송 레이트 및 전송 지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자원 세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통신 그룹의 제2 전송 자원 세트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통신 그룹 내의 통신 디바이스에 제3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통신 그룹 내의 통신 디바이스의 변경된 전송 자원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8. 제12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자원 세트는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사용 가능한 전송 자원 또는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사용 불가능한 전송 자원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자원 세트는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 및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20. 제1 통신 그룹의 제1 전송 자원 세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통신 그룹 내의 통신 디바이스의 전송 자원을 결정하고,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통신 범위 내의 각 통신 그룹 간의 전송 자원 세트가 각각 상이하도록 구성된 처리 모듈, 및
    상기 제1 통신 그룹 내의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그룹 내의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전송 자원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또한 상기 통신 장치의 사전 구성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통신 장치의 사전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전송 자원 세트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그룹 내의 단말의 수, 상기 제1 통신 그룹 내의 단말의 유형, 및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서비스 속성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제2 통신 그룹의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사용 가능한 전송 자원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처리 모듈은 또한 상기 제2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전송 자원 세트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방송 정보, 시스템 정보,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 또는 제어 시그널링으로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또한 상기 제2 통신 그룹의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동기 신호 및 방송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6. 제23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또한 상기 제2 통신 그룹의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자원 변경 요청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자원 변경 요청은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전송 자원을 요청, 변경 또는 취소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자원 변경 요청은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식별 정보,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단말의 수 및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서비스 속성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서비스 속성 파라미터는 데이터 패킷의 크기, 패킷 송신 빈도, 전송 신뢰성, 전송 레이트 및 전송 지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9. 제20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자원 세트는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사용 가능한 전송 자원 또는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사용 불가능한 전송 자원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자원 세트는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 및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1.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제1 전송 자원 세트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통신 범위 내의 각 통신 그룹 간의 전송 자원 세트가 각각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방송 정보, 시스템 정보,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 또는 제어 시그널링으로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3.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자원 변경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자원 변경 요청은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전송 자원을 요청, 변경 또는 취소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자원 변경 요청은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 및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사용 가능한 전송 자원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식별 정보,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제1 통신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단말의 수 및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서비스 속성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서비스 속성 파라미터는 데이터 패킷의 크기, 패킷 송신 빈도, 전송 신뢰성, 전송 레이트 및 전송 지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6. 제33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또한 상기 제1 전송 자원 세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통신 그룹의 제2 전송 자원 세트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송신 모듈은 또한 상기 제2 통신 그룹 내의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제3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통신 그룹 내의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변경된 전송 자원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7. 제31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자원 세트는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사용 가능한 전송 자원 또는 상기 제1 통신 그룹의 사용 불가능한 전송 자원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자원 세트는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 및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9. 프로세서, 메모리, 송신기 및 수신기를 구비하는 통신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실행하여, 제1항 내지 제11항 또는 제12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하고,
    상기 송신기는 상기 프로세서의 송신 동작을 실행하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프로세서의 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디바이스.
  40. 컴퓨터 프로그램을 메모리에서 호출하고 실행하여, 칩이 탑재된 디바이스에 제1항 내지 제11항 또는 제12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41.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제1항 내지 제11항 또는 제12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42. 컴퓨터 프로그램 정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정보는 컴퓨터에 제1항 내지 제11항 또는 제12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43. 컴퓨터에 제1항 내지 제11항 또는 제12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37005460A 2020-07-29 2020-07-29 통신 방법 및 장치 KR202300444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20/105614 WO2022021160A1 (zh) 2020-07-29 2020-07-29 通信方法及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4441A true KR20230044441A (ko) 2023-04-04

Family

ID=80037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5460A KR20230044441A (ko) 2020-07-29 2020-07-29 통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189248A1 (ko)
EP (1) EP4192152A4 (ko)
JP (1) JP2023542457A (ko)
KR (1) KR20230044441A (ko)
CN (1) CN115399021A (ko)
WO (1) WO20220211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19464A (zh) * 2022-05-13 2023-11-24 华为技术有限公司 资源确定方法和通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21672B2 (en) * 2016-01-04 2018-07-10 Bank Of America Corporation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available resources via interactive interface
CN109587790A (zh) * 2017-09-29 2019-04-05 华为技术有限公司 资源配置方法及装置
CN116390228A (zh) * 2018-12-04 2023-07-04 华为技术有限公司 确定传输资源的方法和装置
CN111277949B (zh) * 2019-01-25 2021-05-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信息上报方法、资源分配方法、第一终端及第二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21160A1 (zh) 2022-02-03
CN115399021A (zh) 2022-11-25
EP4192152A1 (en) 2023-06-07
US20230189248A1 (en) 2023-06-15
EP4192152A4 (en) 2023-09-13
JP2023542457A (ja) 202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228321A1 (zh) 资源分配方法以及通信设备
CN110636612B (zh) 一种资源分配方法、节点及存储介质
CN109644491B (zh) 数据传输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20190223192A1 (en) Time slot reassignment mechanism for radio access technology coexistence improvement
CN111200798B (zh) 一种v2x消息的传输方法、设备及系统
US20150263833A1 (en) Multi-Hop Peer-To-Peer Communications
US20200187174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Resource Allocation,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190349936A1 (en) Service Data Transmission Method, First Communications Node, and Base Station
US20230164827A1 (en) Communications method and apparatus
US20230189248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mmunication
CN110876193B (zh) 信息传输方法、通信设备及网络设备
CN113766575A (zh) 通信方法及通信设备
US11974363B2 (en)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terminal device
CN113875208B (zh) 一种数据传输方法和通信装置
CN110972280B (zh) 一种资源配置方法、信息发送方法及装置
WO2022021161A1 (zh) 通信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WO2021189231A1 (zh) 通信方法、装置及系统、计算机存储介质
WO2023142120A1 (zh) 通信方法、装置、设备、芯片、存储介质、产品及程序
CN113170350B (zh) 资源确定方法及相关设备
CN113574915B (zh) 一种短距通信方法、装置、芯片系统、终端和存储介质
WO2023024952A1 (zh) 一种通信方法及设备
CN117204080A (zh) 一种应用免授权频谱的通信方法及装置
CN117640714A (zh) 通信方法、设备及存储介质
CN114788311A (zh) 一种侧行链路干扰消除的方法及其装置
CN115553024A (zh) 一种信道占用时间cot的共享方法及其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