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0537A - 기중 차단기 - Google Patents

기중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0537A
KR20230040537A KR1020210123791A KR20210123791A KR20230040537A KR 20230040537 A KR20230040537 A KR 20230040537A KR 1020210123791 A KR1020210123791 A KR 1020210123791A KR 20210123791 A KR20210123791 A KR 20210123791A KR 20230040537 A KR20230040537 A KR 20230040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prings
movers
length
contact
accommod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3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철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210123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0537A/ko
Priority to EP22870221.3A priority patent/EP4404231A1/en
Priority to PCT/KR2022/013557 priority patent/WO2023043137A1/ko
Priority to CN202280060080.2A priority patent/CN117916840A/zh
Publication of KR20230040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05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1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 H01H1/20Bridging contacts
    • H01H1/2041Rotating bridge
    • H01H1/205Details concerning the elastic mounting of the rotating bridge in the ro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1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 H01H1/2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rigid pivoted member carrying the moving contact
    • H01H1/221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rigid pivoted member carrying the moving contact and a contact pressure spring acting between the pivoted member and a supporting member
    • H01H1/226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rigid pivoted member carrying the moving contact and a contact pressure spring acting between the pivoted member and a supporting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parallel contact ba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0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preventing vibration of contacts, holding contacts together after engagement, or biasing contacts to the open position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중 차단기는, 일측이 개방된 개구부가 구비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는 복수의 가동자; 및 상기 바디부에 수용되고, 상기 복수의 가동자 각각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접압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접압 스프링은, 복수의 제1 접압 스프링; 및 상기 복수의 제1 접압 스프링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접압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접압 스프링은, 상기 복수의 제2 접압 스프링보다 상기 복수의 가동자에 큰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중 차단기{AIR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기중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동자에 의한 통전 및 차단이 용이한 기중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차단기는 송변전 계통이나 선로에서 전력을 수전하는 장치를 개폐하거나 과부하, 단락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한 경우에 전류를 차단시키고, 전력계통과 부하기기를 보호한다.
이러한 종래의 차단기에는 가동자 및 가동자와 접촉하는 고정자가 구비되고, 가동자가 고정자와 접촉하는 경우, 선로에는 전류가 흐르게 되고, 선로에서 안전사고에 의해 대전류가 흐르는 경우, 가동자는 고정자와 분리되어 선로의 전류를 차단시킨다.
최근에 전력계통의 전기용량이 증가됨에 따라, 차단기에는 대전류 통전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대전류가 차단기에서 흐르는 경우, 가동자가 고정자와 접촉하는 접촉면에서 전자반발력이 발생하게 되어, 가동자가 고정자로부터 이탈되어 의도치 않게 선로의 전류를 차단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가동자에 강한 힘을 가해줄 경우, 가동자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선로의 통전시 가동자가 고정자와 접촉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기중 차단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중 차단기는, 일측이 개방된 개구부가 구비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는 복수의 가동자; 및 상기 바디부에 수용되고, 상기 복수의 가동자 각각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접압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접압 스프링은, 복수의 제1 접압 스프링; 및 상기 복수의 제1 접압 스프링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접압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접압 스프링은, 상기 복수의 제2 접압 스프링보다 상기 복수의 가동자에 큰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복수의 접압 스프링이 수용되는 복수의 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수용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접압 스프링을 수용하는 복수의 제1 수용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접압 스프링을 수용하는 복수의 제2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수용부의 길이는 상기 복수의 제1 수용부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의 제1 접압 스프링의 길이는 상기 복수의 제2 접압 스프링의 길이와 동일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접압 스프링은 상기 복수의 제2 수용부의 길이와 상기 복수의 제2 수용부의 길이의 차이만큼 상기 복수의 제2 접압 스프링보다 상기 복수의 수용부로부터 상기 바디부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의 제2 수용부의 길이는 상기 복수의 제1 수용부로부터 멀어질수록 길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의 제1 접압 스프링의 길이는 상기 복수의 제2 접압 스프링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의 제2 접압 스프링의 길이는, 상기 복수의 제1 접압 스프링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짧아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의 제1 접압 스프링의 탄성 계수는 상기 복수의 제2 접압 스프링의 탄성 계수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중 차단기는, 복수의 접압 스프링이 복수의 가동자 중에서 외각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가동자에만 큰 탄성력을 제공하면서도 복수의 가동자 중에서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가동자에는 작은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복수의 접압 스프링 전체에 과도한 힘을 제공하지 않고도 선로의 통전시 가동자가 고정자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가동자 전체에 과도한 힘을 가하지 않게 되어 복수의 가동자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중 차단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중 차단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접압 스프링이 바디부에 수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바디부의 개구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복수의 접압 스프링이 복수의 수용부에 수용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내고, 도 5(b)는 복수의 접압 스프링이 복수의 수용부에 수용된 모습을 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복수의 가동자에 따른 상대적인 전류 밀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복수의 가동자에 따른 통전 전류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8(a)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중 차단기의 복수의 접압 스프링이 복수의 수용부에 수용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내고, 도 8(b)는 복수의 접압 스프링이 복수의 수용부에 수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중 차단기의 복수의 접압 스프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중 차단기의 복수의 접압 스프링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예는 다양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중 차단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중 차단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은 접압 스프링이 바디부에 수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바디부의 개구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중 차단기(100)는 바디부(110), 가동자(120) 및 복수의 접압 스프링(140)을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11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된 복수의 개구부(115)가 구비된다. 이 때, 상기 바디부(110)에는 상기 복수의 개구부(115)가 서로 구획되도록 구획부(113)가 형성된다.
상기 가동자(12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가동자(121)로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의 가동자(121)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 때, 상기 복수의 가동자(121)는 복수의 제1 가동자(121a, 121c) 및 상기 복수의 제1 가동자(121a, 121c)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가동자(121b)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가동자(121)는 구리 재질로 이루어진다. 다만, 상기 복수의 가동자(121)는 구리(Cu) 재질에 한정되지 않고, 전기전도성을 가지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의 가동자(121)에는 고정자(미도시)가 접촉되는 접촉부(12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접촉부(123)는 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다만, 상기 접촉부(123)는 은(Ag) 재질에 한정되지 않고, 전기전도성을 가지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가동자(121)는 상기 바디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디부(110)의 하측에는 회전축(131)이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가동자(121)는 상기 회전축(131)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가동자(121)는 상기 회전축(131)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가동자(121)가 상기 고정자(미도시)에 접촉되거나 상기 고정자(미도시)로부터 이탈된다.
또한, 상기 기중 차단기(100)에는 상기 가동자(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130)이 구비된다. 상기 전류는 상기 접촉부(123), 상기 가동자(120) 및 상기 터미널(130)을 순차적으로 이동된다.
상기 복수의 접압 스프링(1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110)에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접압 스프링(140)은 상기 복수의 가동자(121) 각각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접압 스프링(140)은 복수의 상측 접압 스프링(141) 및 상기 복수의 상측 접압 스프링(141)의 하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하측 접압 스프링(142)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가동자(120)가 상기 고정자(미도시)와 접촉된 경우, 상기 접압 스프링(140)은 상기 가동자(120)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통전에 따른 전기반발력에 의해 상기 가동자(120)가 상기 고정자(미도시)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접압 스프링(140)에 대해서는 이후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는 복수의 접압 스프링이 복수의 수용부에 수용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내고, 도 5(b)는 복수의 접압 스프링이 복수의 수용부에 수용된 모습을 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접압 스프링(141)은 복수의 제1 접압 스프링(141a, 141c) 및 복수의 제2 접압 스프링(141b)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제2 접압 스프링(141b)의 길이는 상기 복수의 제1 접압 스프링(141a, 141c)의 길이와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2 접압 스프링(141b)은 상기 복수의 제1 접압 스프링(141a, 141c) 사이에 배치된다.
이 때, 상기 바디부(110)에는 상기 복수의 접압 스프링(141)이 수용되는 복수의 수용부(115a, 115b, 115c)가 구비된다.
상기 복수의 수용부(115a, 115b, 115c)는 복수의 제1 수용부(115a, 115c) 및 복수의 제2 수용부(115b)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제1 수용부(115a, 115c)는 상기 복수의 제1 접압 스프링(141a, 141c)을 수용한다. 이 때, 상기 복수의 제1 접압 스프링(141a, 141c)의 길이는 상기 복수의 제1 수용부(115a)의 길이보다 길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1 접압 스프링(141a, 141c)은 상기 복수의 제1 수용부(115a, 115c)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부(11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1 접압 스프링(141a, 141c)은 상기 복수의 제1 가동자(121a, 121c, 도 1 참조)에 접촉하여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복수의 제2 수용부(115b)는 상기 복수의 제2 접압 스프링(141b)을 수용한다. 이 때, 상기 복수의 제2 접압 스프링(141b)의 길이는 상기 복수의 제2 수용부(115b)의 길이보다 길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2 접압 스프링(141b)은 상기 복수의 제2 수용부(115b)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부(11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2 접압 스프링(141b)은 상기 복수의 제2 가동자(121b, 도 1 참조)에 접촉하여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 때, 상기 복수의 제2 수용부(115b)의 길이는 상기 복수의 제1 수용부(115a, 115c)의 길이보다 길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1 접압 스프링(141a, 141c)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제2 수용부(151b)의 길이와 상기 복수의 제2 수용부(151a, 151c)의 길이의 차이(G)만큼 상기 복수의 제2 접압 스프링(141b)보다 상기 바디부(11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1 접압 스프링(141a, 141c)은 상기 복수의 제2 접압 스프링(141b)에 비하여 상기 복수의 가동자(121, 도 1 참조)에 큰 탄성력을 제공한다.
도 6은 복수의 가동자에 따른 상대적인 전류 밀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7은 복수의 가동자에 따른 통전 전류를 나타내는 표이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좌표는 상기 복수의 가동자(121, 도 1 참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상기 X좌표에 표시된 a는 좌측 외각에 배치된 복수의 제1 가동자(121a)이고, 상기 X좌표에 표시된 c는 우측 외각에 배치된 복수의 제1 가동자(121c)이다. 그리고, Y좌표는 복수의 가동자(121)에 흐르는 상대적인 전류 밀도(Relative current density)를 나타낸다.
이 때, 상기 복수의 가동자(121)는 외각 영역에서 중앙 영역으로 갈수록 상대적인 전류 밀도가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자의 위치는 복수의 가동자(121)를 좌측 외각에서 우측 외각까지 복수의 가동자(121)를 순차적으로 지칭한다. 예를 들면, 가동자의 위치 1은 좌측 외각에 배치된 복수의 제1 가동자(121a, 도 1 참조)를 나타내고, 가동자의 위치 10은 우측 외각에 배치된 복수의 제1 가동자(121c)를 나타낸다. 그리고, 가동자의 위치 2 내지 9는 상기 복수의 제2 가동자(121b)를 나타낸다.
이 때, 상기 복수의 제1 가동자(121a, 121c)의 통전 전류의 크기는 상기 복수의 제2 가동자(121b)의 통전의 크기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통전전류가 100kA에서 150kA로 증가되면, 상기 복수의 제1 가동자(121a, 121c)의 통전 전류의 크기의 증가가 상기 복수의 제2 가동자(121b)의 통전 전류의 크기의 증가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제1 가동자(121a, 121c)의 통전 전류가 상기 복수의 제2 가동자(121b)의 통전 전류보다 크므로, 상기 복수의 제1 가동자(121a, 121c)가 상기 복수의 제2 가동자(121b)에 비하여 전자반발력에 의하여 고정자(미도시)로부터 이탈되는 힘이 더 큰 것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제1 접압 스프링(141a, 141c, 도 5 참조)은, 상기 복수의 제2 접압 스프링(141b, 도 5 참조)보다 상기 복수의 가동자(121)에 큰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복수의 제1 가동자(121a, 121c)가 상기 고정자(미도시)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2 가동자(121b)는 필요 이상으로 상기 복수의 제2 접압 스프링(141b)에 의해 가압되지 않게 되므로, 상기 복수의 가동자(121)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8(a)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중 차단기의 복수의 접압 스프링이 복수의 수용부에 수용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내고, 도 8(b)는 복수의 접압 스프링이 복수의 수용부에 수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중 차단기는 바디부, 가동자 및 복수의 접압 스프링을 포함하고,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수용부(215a, 215b, 215c, 215d, 215e, 215f, 215g, 215h, 215i, 215j)를 중점적으로 살펴본다.
상기 복수의 수용부(215a, 215b, 215c, 215d, 215e, 215f, 215g, 215h, 215i, 215j)는 복수의 제1 수용부(215a, 215j) 및 복수의 제2 수용부(215b, 215c, 215d, 215e, 215f, 215g, 215h, 215i)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제2 수용부의 길이(215b, 215c, 215d, 215e, 215f, 215g, 215h, 215i)는 상기 복수의 제1 수용부(215a, 215j)로부터 멀어질수록 길어지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접압 스프링(241)은 상기 복수의 제1 수용부(215a, 215j)에 수용되는 복수의 제1 접압 스프링(241a, 241j) 및 상기 복수의 제2 수용부의 길이(215b, 215c, 215d, 215e, 215f, 215g, 215h, 215i)에 수용되는 복수의 제2 접압 스프링(241b, 241c, 241d, 241e, 241f, 241g, 241h, 241i)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접압 스프링(241)이 상기 복수의 수용부(215a, 215b, 215c, 215d, 215e, 215f, 215g, 215h, 215i, 215j)에 수용되면, 상기 복수의 접압 스프링(241)이 중앙에서 외각으로 갈수록 더 돌출된다.
즉, 복수의 접압 스프링(241)이 중앙에서 외각으로 갈수록 더 돌출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복수의 가동자(121)가 중앙에서 외각으로 갈수록 더 큰 탄성력을 제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중 차단기의 복수의 접압 스프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중 차단기는 바디부, 가동자 및 복수의 접압 스프링을 포함하고,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접압 스프링(341)을 중점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상기 복수의 접압 스프링(341)은 복수의 수용부에 수용된다.
이 때, 상기 복수의 수용부의 길이는 동일하다.
상기 복수의 접압 스프링(341)은 복수의 제1 접압 스프링(341a, 341j) 및 복수의 제2 접압 스프링(341b, 341c, 341d, 341e, 341f, 341g, 341h, 341i)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복수의 제2 접압 스프링(341b, 341c, 341d, 341e, 341f, 341g, 341h, 341i)의 길이는, 상기 복수의 제1 접압 스프링(341a, 341j)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짧아진다.
즉, 상기 복수의 접압 스프링(341)이 상기 복수의 수용부에 수용되면, 상기 복수의 접압 스프링(341)이 중앙에서 외각으로 갈수록 더 돌출된다.
즉, 복수의 접압 스프링(341)이 중앙에서 외각으로 갈수록 더 돌출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복수의 가동자(121)가 중앙에서 외각으로 갈수록 더 큰 탄성력을 제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중 차단기의 복수의 접압 스프링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중 차단기의 복수의 접압 스프링의 길이는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접압 스프링은 복수의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복수의 수용부의 길이는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접압 스프링은 복수의 제1 접압 스프링 및 상기 복수의 제1 접압 스프링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접압 스프링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복수의 제1 접압 스프링의 탄성 계수는 상기 복수의 제2 접압 스프링의 탄성 계수보다 크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1 접압 스프링은 상기 복수의 제2 접압 스프링에 비하여 복수의 가동자(121)에 더 큰 탄성력을 제공한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제1 접압 스프링의 선경(D)은 상기 복수의 제2 접압 스프링의 선경보다 크게 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접압 스프링의 탄성 계수가 상기 복수의 제2 접압 스프링의 탄성 계수보다 크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제1 접압 스프링의 유효 권수(coil spring winding, C)은 상기 복수의 제2 접압 스프링의 유효 권수(H5)보다 작게 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접압 스프링의 탄성 계수가 상기 복수의 제2 접압 스프링의 탄성 계수보다 크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제1 접압 스프링의 중심경(D1)은 상기 복수의 제2 접압 스프링의 중심경(D2)보다 작다. 여기서, 중심경은 내경과 외경의 중간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1 접압 스프링의 중심경(D1)은 상기 복수의 제2 접압 스프링의 중심경(D2)보다 작게 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접압 스프링의 탄성 계수가 상기 복수의 제2 접압 스프링의 탄성 계수보다 크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기중 차단기
110: 바디부
120: 가동자
140: 복수의 접압 스프링
141a, 141c: 복수의 제1 접압 스프링
141b: 복수의 제2 접압 스프링

Claims (8)

  1. 일측이 개방된 개구부가 구비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는 복수의 가동자; 및
    상기 바디부에 수용되고, 상기 복수의 가동자 각각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접압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접압 스프링은,
    복수의 제1 접압 스프링; 및
    상기 복수의 제1 접압 스프링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접압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접압 스프링은, 상기 복수의 제2 접압 스프링보다 상기 복수의 가동자에 큰 탄성력을 제공하는, 기중 차단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복수의 접압 스프링이 수용되는 복수의 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수용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접압 스프링을 수용하는 복수의 제1 수용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접압 스프링을 수용하는 복수의 제2 수용부를 포함하는, 기중 차단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수용부의 길이는 상기 복수의 제1 수용부의 길이보다 긴, 기중 차단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접압 스프링의 길이는 상기 복수의 제2 접압 스프링의 길이와 동일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접압 스프링은 상기 복수의 제2 수용부의 길이와 상기 복수의 제2 수용부의 길이의 차이만큼 상기 복수의 제2 접압 스프링보다 상기 바디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기중 차단기.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수용부의 길이는 상기 복수의 제1 수용부로부터 멀어질수록 길어지는, 기중 차단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접압 스프링의 길이는 상기 복수의 제2 접압 스프링의 길이보다 긴, 기중 차단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접압 스프링의 길이는, 상기 복수의 제1 접압 스프링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짧아지는, 기중 차단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접압 스프링의 탄성 계수는 상기 복수의 제2 접압 스프링의 탄성 계수보다 큰, 기중 차단기.
KR1020210123791A 2021-09-16 2021-09-16 기중 차단기 KR2023004053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791A KR20230040537A (ko) 2021-09-16 2021-09-16 기중 차단기
EP22870221.3A EP4404231A1 (en) 2021-09-16 2022-09-08 Air circuit breaker
PCT/KR2022/013557 WO2023043137A1 (ko) 2021-09-16 2022-09-08 기중 차단기
CN202280060080.2A CN117916840A (zh) 2021-09-16 2022-09-08 空气断路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791A KR20230040537A (ko) 2021-09-16 2021-09-16 기중 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537A true KR20230040537A (ko) 2023-03-23

Family

ID=85603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3791A KR20230040537A (ko) 2021-09-16 2021-09-16 기중 차단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404231A1 (ko)
KR (1) KR20230040537A (ko)
CN (1) CN117916840A (ko)
WO (1) WO202304313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53911A1 (ja) * 2002-12-09 2004-06-2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気中遮断器
KR100771919B1 (ko) * 2006-10-17 2007-11-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기중차단기의 가동접촉자
KR100881361B1 (ko) * 2007-07-12 2009-02-0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접압 스프링 보호 기구를 갖는 기중 차단기용 가동접촉자
KR101704989B1 (ko) * 2015-04-30 2017-02-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의 가동접촉자
CN210722936U (zh) * 2019-08-30 2020-06-09 德力西电气有限公司 空气断路器的动触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404231A1 (en) 2024-07-24
CN117916840A (zh) 2024-04-19
WO2023043137A1 (ko) 2023-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48519B1 (en) Movable contactor assembly for a current limiting type molded case circuit breaker
EP0399282A2 (en) An automatic magneto-thermal protection switch having a high breaking capacity
US8269127B2 (en) Tulip contacting device for vacuum circuit breaker
US20110068625A1 (en) Dual line active automatic transfer switch
JPH03190032A (ja) 限流装置
KR20230040537A (ko) 기중 차단기
US9136069B2 (en) Mover assembly of circuit breaker
CN109791860B (zh) 电气开关设备及其感测组件
US20210327671A1 (en) Electromagnetic relay
EP2887376B1 (en) Instant trip device of circuit breaker
EP2474993B1 (en) Circuit interruption device and method of assembly
KR100919208B1 (ko) 배선용 차단기
US10497528B2 (en) Multi-finger electrical contact assemblies , circuit breakers, and methods having increased current withstand capabilities
CN107408465A (zh) 用于开关单元的接触滑块单元
KR20180121183A (ko) 고전압 릴레이의 고정 전극
CN220065528U (zh) 一种中途开关结构、中途开关及双极开关
JP2677866B2 (ja) 負荷保護装置
CN209515577U (zh) 双断点断路器结构
KR101013637B1 (ko) 배선용 차단기의 한류장치
US11978605B2 (en) Electromagnetic relay
KR200454586Y1 (ko) 누전차단기용 누전 트립기구 어셈블리
JP2002313194A (ja) 保護装置
JP2010015724A (ja) 回路遮断器の消弧装置
CA2901242A1 (en) Circuit breakers, circuit breaker line power assemblies, and operational methods
KR200473205Y1 (ko) 진공차단기 주회로부의 플렉시블 션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