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0256A - 코아드릴용 코아망치셋 - Google Patents

코아드릴용 코아망치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0256A
KR20230040256A KR1020220049976A KR20220049976A KR20230040256A KR 20230040256 A KR20230040256 A KR 20230040256A KR 1020220049976 A KR1020220049976 A KR 1020220049976A KR 20220049976 A KR20220049976 A KR 20220049976A KR 20230040256 A KR20230040256 A KR 20230040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drill
drill rod
hammer
anv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9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9908B1 (ko
Inventor
신진호
Original Assignee
신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진호 filed Critical 신진호
Publication of KR20230040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0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9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9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1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boring or drilling
    • B28D1/146Too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4Drills for trepan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아드릴용 코아망치셋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코아작업이 완료된 코아드릴을 벽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코아드릴용 코아망치셋에 관한 것으로, 일단은 드릴본체에 삽입되고, 타단에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드릴로드;와, 일단 내측에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타단에 비트가 결합되는 제2드릴로드;로 구성되는 드릴로드; 상기 제1드릴로드 및 상기 제2드릴로드의 사이에 배치되되, 일측면에 상기 제1드릴로드가 나사결합되는 제1결합단이 연장 형성되고, 타측면에 상기 제2드릴로드의 일단이 결합되는 제2결합단이 연장 형성되며, 중단부가 외경 확장되어 단차지게 형성되는 드릴모루; 상기 드릴로드가 삽입되는 내경의 통공을 가지는 원통형 뭉치를 반으로 절개하여 일측을 힌지로 연결시켜 형성되어 상기 제2드릴로드에 삽입되는 코아망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코아드릴작업을 수행한 후, 상기 제2드릴로드에 상기 코아망치를 삽입시켜 상기 드릴모루를 슬라이딩 타격함으로써 벽에 박힌 상기 비트를 벽으로부터 탈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코아드릴용 코아망치셋{CORE HAMMER SET FOR CORE DRILLING}
본 발명은 코아드릴용 코아망치셋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코아작업이 완료된 코아드릴을 벽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코아드릴용 코아망치셋에 관한 것이다.
코아작업이란, 벽 또는 바닥에 설비 배관이나 에어컨 배관이 지나갈 수 있도록 구멍을 뚫는 작업으로서, 코어작업, 천공작업이라고도 한다. 코아작업은 일반적으로 코아드릴을 이용하여 수행되는데, 코아드릴은 드릴본체에 어댑터와 튜브(중간대), 그리고 직접적으로 천공부를 형성하는 비트(날)로 형성된다.
이때, 코아드릴의 비트는 건식, 습식 종류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로 마련될 수 있으며 벽을 천공하고 난 뒤 천공부에 삽입된 상태의 비트를 분리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종래에는 천공부에 삽입된 비트를 분리하기 위하여, 드릴본체를 튜브로부터 분리하고, 튜브의 단부에 코아망치셋을 장착한 후 반동에 의해 비트를 벽으로 부터 분리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작업 시 몽키 스패너 복수 개를 구비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일정 높이 이상에서 코아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 사다리 위에서 드릴본체의 분리 작업을 해야 했으므로 작업자에게 낙상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드릴본체를 튜브로부터 분리한 후 코아망치셋을 설치할 필요없이 비트 분리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000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76577호(드릴 결합용 천공장치) [0002]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92594호(코어비트 분해용 고정장치)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드릴본체의 분리없이 천공작업이 완료된 코아드릴의 비트를 벽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코아드릴용 코아망치셋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코아망치가 드릴로드에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 별도의 해체 및 결합과정 없이 벽으로부터 비트의 인발작업이 가능한 코아드릴용 코아망치셋을 제공하는 것이다.
코아드릴용 코아망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단은 드릴본체에 삽입되고, 타단에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드릴로드;와, 일단 내측에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타단에 비트가 결합되는 제2드릴로드;로 구성되는 드릴로드; 상기 제1드릴로드 및 상기 제2드릴로드의 사이에 배치되되, 일측면에 상기 제1드릴로드가 나사결합되는 제1결합단이 연장 형성되고, 타측면에 상기 제2드릴로드의 일단이 결합되는 제2결합단이 연장 형성되며, 중단부가 외경 확장되어 단차지게 형성되는 드릴모루; 상기 드릴로드가 삽입되는 내경의 통공을 가지는 원통형 뭉치를 반으로 절개하여 일측을 힌지로 연결시켜 형성되어 상기 제2드릴로드에 삽입되는 코아망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코아드릴작업을 수행한 후, 상기 제2드릴로드에 상기 코아망치를 삽입시켜 상기 드릴모루를 슬라이딩 타격함으로써 벽에 박힌 상기 비트를 벽으로부터 탈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아드릴용 코아망치셋을 본 발명의 요지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인 코아드릴용 코아망치셋의 코아망치는, 접촉 결합되는 부분에 요철결합부를 형성시켜 결합 지지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아드릴용 코아망치셋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인 코아드릴용 코아망치셋의 코아망치는, 일측단부가 단차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드릴모루의 중단부 타측면에 대한 타점을 집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아드릴용 코아망치셋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인 코아드릴용 코아망치셋의 제2결합단은, 상기 드릴모루의 타측면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드릴로드와 동일 직경으로 형성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타측면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드릴로드의 내측에 형성되는 암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삽입 체결되는 삽입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아드릴용 코아망치셋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인 코아드릴용 코아망치셋의 연장부의 외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복수 개의 평탄함몰부가 일정거리 이격 형성되어, 상기 제1드릴로드 및 상기 제2드릴로드에 상기 드릴모루를 체결할 시, 상기 평탄함몰부를 잡아 고정함으로써 강도높은 체결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아드릴용 코아망치셋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제공됨으로써, 드릴본체의 분리가 필요없으므로 별도의 해체 및 결합과정 없이 비트를 벽체로부터 인발할 수 있으며, 그로인해 작업시간 단축 및 작업자의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는 코아드릴용 코아망치셋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코아드릴용 코아망치셋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코아드릴용 코아망치셋의 드릴모루를 상세히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코아드릴용 코아망치셋의 코아망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코아드릴용 코아망치셋의 드릴모루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본 발명인 코아드릴용 코아망치셋은 크게 드릴로드(100), 드릴모루(200), 코아망치(300)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인 코아드릴용 코아망치셋의 드릴로드(100)는 드릴본체(10)에 삽입되며, 단부에는 비트(20)가 결합된다.
이때, 비트(20)는 에어컨이 설치되는 벽체에 배관이 삽입되는 천공을 형성하기 위한 드릴 날로서, 드릴본체(10)로부터 회전력이 발생하면, 드릴로드(100) 또한 함께 회전하게 되며, 이에 드릴로드(100)의 단부에 결합되는 원통형상의 비트(20)가 회전하며 벽에 천공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비트(20)가 단부에 결합되는 드릴로드(100)는 크게 제1드릴로드(110)와 제2드릴로드(120)로 구분 형성된다.
제1드릴로드(110)는 일단은 드릴본체(10)에 삽입되고, 타단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된다.
이때, 제1드릴로드(110)와 드릴본체(10)는 각각 결합부가 마련되어 회전력은 전달되되 드릴본체(10)로부터 제1드릴로드(110)가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드릴로드(120)는 일단 내측에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타단에 비트(20)가 결합된다.
이때, 제1드릴로드(110)와 제2드릴로드(120)의 외경은 같게 형성되거나, 제1드릴로드(110)가 제2드릴로드(12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드릴모루(200)는 제1드릴로드(110)와 제2드릴로드(120)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되되, 일측면에 제1드릴로드(110)가 결합되는 제1결합단(210)이 연장 형성되고, 타측면에 제2드릴로드(120)가 결합되는 제2결합단(220)이 연장 형성된다.
이때, 드릴모루(200)의 중단부는 제1결합단(210) 및 제2결합단(220) 보다 외경이 크게 형성된다.
제1결합단(210)은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제1드릴로드(110)의 타단 외측면에 형성되는 수나사산이 나사체결되며 제1드릴로드(110)와 제1결합단(210)을 결합시킬 수 있다.
제2결합단(220)은 타측 단부에 수나사산이 형성되며, 단부가 제2드릴로드(120)의 일단 내측에 삽입되어 나사체결됨으로써 제2드릴로드(120)와 제2결합단(220)이 결합될 수 있다.
코아망치(300)는 드릴로드(100)가 삽입되는 내경의 통공을 가지며, 원통형 뭉치를 반으로 절개하여 일측을 힌지(320)로 연결시킨 형상으로서, 제2드릴로드(120)에 삽입 배치된다.
이때, 절개된 코아망치(300)는 제1단위망치와 제2단위망치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된 원통형의 코아망치(300)는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제1단차부와 제2단차부로 구분할 수 있다.
제1단차부는 제2단차부보다 작은 지름으로 이루어지며, 코아망치(300)의 일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단차부는 제1단차부의 타단에서 돌설 단차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단차부는 제2단차부 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코아망치(300)의 제2단차부에는 절개된 원통형 뭉치를 결합시키기 위한 요철결합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요철결합부(310)는 요철형상으로서, 인입홈과 인입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인입홈은 절개된 원통형의 코아망치(300)에서 제1단위망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인입단은 제2단위망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단위망치에 형성되는 인입홈은 인입단이 삽입되는 홈으로서, 제1단위망치의 절개면에 형성되며, 내측에 삽입되는 인입단의 형상 및 위치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단위망치에 형성되는 인입단은 인입홈에 삽입되는 돌출단으로서, 제2단위망치의 절개면에 형성되고, 반원형상 또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인입단은 제2단위망치의 절개면에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개수 및 형상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제1단위망치와 제2단위망치를 결합시키는 힌지(320)는 제2단차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러한 코아망치(300)는 제2드릴로드(120)에 삽입되므로, 코아망치(300)에 형성되는 내측 통공은 제2드릴로드(120)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인 코아드릴용 코아망치셋은, 코아 드릴 작업을 수행한 후, 제2드릴로드(120)에 코아망치(300)를 삽입시켜 드릴모루(200)를 슬라이딩 타격함으로써 벽에 박힌 비트(20)를 벽으로부터 탈출시킬 수 있다.
실시예로서, 천공부를 형성하고자 하는 벽에 드릴본체(10)를 가동시켜 코아 작업이 수행되면, 드릴로드(100)의 단부에 배치된 비트(20)가 벽에 박히게 된다. 이때, 드릴로드(100)에 코아망치(300)를 결합시키고, 드릴로드(100)의 중단부에 배치되는 드릴모루(200) 방향으로 코아망치(300)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타격함으로써 그 반동으로 벽으로부터 비트(20)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코아드릴용 코아망치셋의 드릴모루(200)는, 제2결합단(220)이 연장부(221)와 삽입부(222)로 구성될 수 있다.
연장부(221)는 드릴모루(200)의 중단부 타측면에 연장 형성되고, 제2드릴로드(120)와 동일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장부(221)의 외측면에는, 둘레방향으로 복수 개의 평탄함몰부(223)가 형성되어, 제1드릴로드(110) 및 제2드릴로드(120)에 드릴모루(200)를 체결할 시 평탄함몰부(223)를 잡아 고정함으로써 보다 강도높은 체결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평탄함몰부(223)는 연장부(221)의 외측면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되, 사각 형상으로 함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은 코아드릴용 코아망치셋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코아작업이 완료된 코아드릴을 벽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코아드릴용 코아망치셋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다양한 변형 예들을 포함하도록 작성된 특허 청구범위 내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드릴본체
20 : 비트
100 : 드릴로드
110 : 제1드릴로드
120 : 제2드릴로드
200 : 드릴모루
210 : 제1결합단
220 : 제2결합단
221 : 연장부
222 : 삽입부
223 : 평탄함몰부
230 : 중단부
300 : 코아망치
310 : 요철결합부
320 : 힌지

Claims (5)

  1. 코아드릴용 코아망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단은 드릴본체에 삽입되고, 타단에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드릴로드;와, 일단 내측에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타단에 비트가 결합되는 제2드릴로드;로 구성되는 드릴로드;
    상기 제1드릴로드 및 상기 제2드릴로드의 사이에 배치되되, 일측면에 상기 제1드릴로드가 나사결합되는 제1결합단이 연장 형성되고, 타측면에 상기 제2드릴로드의 일단이 결합되는 제2결합단이 연장 형성되며, 중단부가 외경 확장되어 단차지게 형성되는 드릴모루;
    상기 드릴로드가 삽입되는 내경의 통공을 가지는 원통형 뭉치를 반으로 절개하여 일측을 힌지로 연결시켜 형성되어 상기 제2드릴로드에 삽입되는 코아망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코아드릴작업을 수행한 후, 상기 제2드릴로드에 상기 코아망치를 삽입시켜 상기 드릴모루를 슬라이딩 타격함으로써 벽에 박힌 상기 비트를 벽으로부터 탈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아드릴용 코아망치셋.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아망치는,
    접촉 결합되는 부분에 요철결합부를 형성시켜 결합 지지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아드릴용 코아망치셋.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아망치는,
    일측단부가 단차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드릴모루의 중단부 타측면에 대한 타점을 집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아드릴용 코아망치셋.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단은,
    상기 드릴모루의 중단부 타측면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드릴로드와 동일 직경으로 형성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타측면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드릴로드의 내측에 형성되는 암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삽입 체결되는 삽입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아드릴용 코아망치셋.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외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복수 개의 평탄함몰부가 일정거리 이격 형성되어,
    상기 제1드릴로드 및 상기 제2드릴로드에 상기 드릴모루를 체결할 시, 상기 평탄함몰부를 잡아 고정함으로써 강도높은 체결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아드릴용 코아망치셋.

KR1020220049976A 2021-09-15 2022-04-22 코아드릴용 코아망치셋 KR1026599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282 2021-09-15
KR20210123282 2021-09-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256A true KR20230040256A (ko) 2023-03-22
KR102659908B1 KR102659908B1 (ko) 2024-04-23

Family

ID=86005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9976A KR102659908B1 (ko) 2021-09-15 2022-04-22 코아드릴용 코아망치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990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177Y1 (ko) * 2001-03-29 2001-10-10 신한다이야몬드공업 주식회사 코어드릴기구의 코어비트 고정장치
KR101076577B1 (ko) 2009-10-16 2011-10-24 정인교 드릴 결합용 천공장치
KR20120034841A (ko) * 2010-10-02 2012-04-13 희 수 황 코어드릴 탈착공구
CN210269263U (zh) * 2019-08-03 2020-04-07 河北正祥市政工程有限公司 一种使用方便的钻芯机
KR20200092594A (ko) 2019-01-25 2020-08-04 김희주 코어비트 분해용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177Y1 (ko) * 2001-03-29 2001-10-10 신한다이야몬드공업 주식회사 코어드릴기구의 코어비트 고정장치
KR101076577B1 (ko) 2009-10-16 2011-10-24 정인교 드릴 결합용 천공장치
KR20120034841A (ko) * 2010-10-02 2012-04-13 희 수 황 코어드릴 탈착공구
KR20200092594A (ko) 2019-01-25 2020-08-04 김희주 코어비트 분해용 고정장치
CN210269263U (zh) * 2019-08-03 2020-04-07 河北正祥市政工程有限公司 一种使用方便的钻芯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9908B1 (ko) 2024-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2222B2 (en) Anchor driver
CN100450679C (zh) 与快速变换装置结合使用将孔锯安装到电钻上的接头
US9592592B2 (en) Anchor driver
US20100303568A1 (en) Drill bit system, assembly, and method for forming holes in materials
JP6461153B2 (ja) 管支持システム及びその周辺装置の改良
EP2653769A2 (en) Torque control bolt for hose clamp
ZA200706364B (en) Sealing plug removal apparatus
US20150016906A1 (en) Drill Bit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Holes in Materials
EP0881011A1 (en) Universal simplified riveter gun
KR20230040256A (ko) 코아드릴용 코아망치셋
KR20180072501A (ko) 전동공구용 앵커 펀치
JP2010189894A (ja) セパレータ切断工具
KR102397373B1 (ko) 천정 앵커볼트 시공과 전산볼트 설치용 치공구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전산볼트 시공방법
CN211439823U (zh) 取管工具
WO2018034986A1 (en) Fastener installation tool adaptor
CA2904314A1 (en) Drill bit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holes in materials
JP2018099754A (ja) 吊りボルト取付装置
JP2023001627A (ja) 引抜工具
KR200381725Y1 (ko) 다용도 펜치
CN111300319B (zh) 拆解工具
CN208215404U (zh) 剪刀切割器
CN211917310U (zh) 一种冲击钻头套筒
US20230330755A1 (en) Tool
CN211541056U (zh) 节流孔管拔取装置
EP4296045A1 (en) Tire repair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