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177Y1 - 코어드릴기구의 코어비트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코어드릴기구의 코어비트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177Y1
KR200237177Y1 KR2020010008746U KR20010008746U KR200237177Y1 KR 200237177 Y1 KR200237177 Y1 KR 200237177Y1 KR 2020010008746 U KR2020010008746 U KR 2020010008746U KR 20010008746 U KR20010008746 U KR 20010008746U KR 200237177 Y1 KR200237177 Y1 KR 2002371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shaft
assembly
cor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87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선
Original Assignee
신한다이야몬드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한다이야몬드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한다이야몬드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087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1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1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177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구축물, 아스팔트, 석재, 암석 등과 구조물 및 난삭석재의 필요부분의 구멍내기 또는 시료의 채취에 적용되는 코어드릴기구에 관한 것으로써,
본 고안은 드릴헤드와 코어비트의 결합의 용이성은 물론 교환에 따른 해체작업이 간편하고 손쉽게 제공되어 작업자의 사용의 편리성이 제공되는 코어드릴기구의 코어비트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 및 효과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코어드릴기구를 형성하는 드릴헤드(200)의 주축(210)에 형성된 결합축(212)의 나사부(213)에 코어비트(300)가 커플링(310)의 연결그립부(311)에 관통 형성된 조립축공(312)의 나사부(313)로 나사 조립되고, 상기 주축(210)의 그립부(211)와 상기 커플링(310)의 연결그립부(311)를 공구로 그리핑하여 나사 분리하도록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310)의 연결그립부(311)는 상기 나사부(313)를 갖지 않는 조립축공(312)으로 형성하고, 상부면으로부터 개구된 복수의 착탈홈(320,320)을 상기 조립축공(312)과 연통 하여 대향방향으로 형성하며,
상기 주축(210)은 상기 착탈홈(320,320)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기(220,220)를 상기 결합축(212)에 돌출 형성하여 끼움 결합되되, 상기 결합돌기(220,220)를 경계로 상기 결합축(212)은 그 하부를 나사부가 없이 형성하여 상기 조립축공(312)에 끼움되도록 하고, 상기 결합축(212)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부(213)에는고정너트(230)를 나사 결합하여 상기 결합돌기(220,220)가 상기 착탈홈(320,320)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너트(230)의 나사회동에 의한 상기 연결그립부(311)의 상부면을 조임 가압으로 상기 결합축(212)이 조립축공(312)에 조립상태가 고정되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코어드릴기구의 코어비트 고정장치{A DEVICE FOR FIXING A CORE BIT OF A CORE DRILL}
본 고안은 콘크리트 구축물, 아스팔트, 석재, 암석 등과 구조물 및 난삭석재의 필요부분의 구멍내기 또는 시료의 채취에 적용되는 코어드릴기구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드릴헤드와 코어비트의 결합의 용이성은 물론 교환에 따른 해체작업이 간편하고 손쉽게 제공되어 작업자의 사용의 편리성이 제공되는 코어드릴기구의 코어비트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어드릴기구는 기 구축된 건축 및 토목용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설물 설치 및 보수작업시에 필요부분에 구멍내기에 사용되거나, 난삭석재, 콘크리트구축물의 강도시험 등을 위한 시료의 채취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코어드릴기구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앵커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하여 구조물 및 난삭석재 등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재(100)에 랙기어(120)가 형성된 지지대(110)가 기립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110)에 드릴헤드(200)가 결합되되, 조정핸들(130)에 연결된 상기 피니언기어(미도시됨)가 상기 랙기어(120)와 치합상태로서 상기 조정핸들(130)의 회전으로 수직의 승강운동이 제공되며, 상기 드릴헤드(200)의 주축(210)에 원통형의 코어비트(300)가 조립 및 해체 가능케 나사식으로 조립되어 구성된다.
상기 드릴헤드(2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케이스(220) 내에 다수의 감속기어군(미도시됨)에 의해 감속 회전하도록 상기 주축(210)이 축결합되고, 상기 감속기어군은 상기 기어케이스(220)의 상부에 구동모터(250)가 설치되어 이의 구동축(미도시됨)이 상기 감속기어군과 기어결합으로 회전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주축(210)이 감속되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주축(210)은 공구의 그립부(211)가 형성되고 이의 하부에 나사부(213)를 갖는 결합축(212)이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의 코어비트(300)가 커플링(310)의 연결그립부(311)에 관통된 조립축공(312)의 나사부(313)로 나사 체결되어 조립된다.
참고적으로, 상기 코어비트(300)는 상기 조립축공(312)이 관통된 연결그립부(311)를 갖는 커플링(310)과,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통형튜브(410)와 다이아몬드 분말이 소결성형된 절삭팁(511)을 용접 부착한 비트(510)가 분할되어 상호간이 각각의 나사부에 의하여 나사 조립되어 이루는 분할타입과 상기 커플링(310), 원통형튜브(410) 및 비트(510)가 일체로 형성된 일체타입이 주지되고 있다.
이러한 드릴헤드(200)의 주축(210)과 코어비트(300)의 조립에 있어, 상기 코어비트(300)의 조립축공(312)의 나사부(213)는 상기 주축(210)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대응한 반대방향의 나사부로 체결되어 회전에 의해 나사 풀림이 없도록 이루어진다.
다시 말하여, 상기 주축(210)의 회전이 오른쪽 방향이면 이에 대응한 왼 나사로 형성되어 체결되고, 상기 주축(210)의 회전이 왼쪽 방향이면 이에 대응된 오른 나사로 형성되어 체결됨으로서 회전에 의한 코어비트(300)가 주축(210)에서 풀림이 방지되는 것이다.
결국, 이러한 코어비트(300)의 연결그립부(311)의 나사식 결합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주축(21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의 나사결합으로 이루어져서 작업에 의한 사용기간이 길수록 상기 연결그립부(311)의 조립축공(312)과 상기 주축(210)의 결합축(212)에 나사 조임이 견고하게 조임이 되고 습기와 이물질이 침투되어 그 결속력 상태로 굳어지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구멍천공의 다른 작업이 필요시에 상기 코어비트(300)를 다른 사이즈의 것으로 교환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드릴헤드(200)의 주축(210)의 그립부(211)를 공구로 그립핑하고, 또한 상기 코어비트(300)의 연결그립부(311)를 그립핑한 상태에서 상호간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서 해체하여야 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주축(210)의 결합축(212)과 상기 코어비트(300)의 조립축공(312)은 상호간이 나사부(213)(313)의 견고한 나사결합에 의해 굳어진 상태로 결합되어 있어 나사 풀림이 매우 어렵거나 풀리지 않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결국, 작업자는 상기 코어비트(300)의 해체를 위하여 해체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소모되어 사용상의 불편한 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코어비트(300)가 장기간 결속된 상태에서 이러한 결속상태가 이물질에 의해 굳어진 경우에는 작업자가 상기 주축(210)의 그립부(211)를 공구로 그립핑한 상태에서 상기 코어비트(300)의 커풀링(310)의 연결그립부(311)를 망치 등과 같은 타격기구로 타격 하여 무리한 해체작업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무리한 해체작업에 의한 코어비트(300)의 해체는 작업이 매우 어렵고, 자칫 잘못하면 고가의 드릴헤드(200)의 주축(210)에 무리한 힘이 수평방향으로 가해져 손상을 가져오는 경우와, 교체되는 코어비트(300)의 커플링(310)에 손상이 와서 재사용이 불가한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효과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코어비트의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게 하여 코어비트의 교환이 신속하게 진행되어 작업자의 작업 능률의 향상은 물론 사용의 편리성이 제공되는 코어드릴기구의 코어비트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코어비트가 코어드릴기구의 주축에 장기간 조립 사용되어도 적은 노동력으로 신속한 해체가 가능하여 코어드릴기구 및 코어비트의 손상을 방지한 코어드릴기구의 코어비트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코어드릴기구를 형성하는 드릴헤드의 주축에 형성된 결합축의 나사부에 코어비트가 커플링의 연결그립부에 관통 형성된 조립축공의 나사부로 나사 조립되고, 상기 주축의 그립부과 상기 커플링의 연결그립부를 공구로 그리핑하여 나사 분리하도록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의 연결그립부는 상기 나사부를 갖지 않는 조립축공으로 형성하고, 상부면으로부터 개구된 복수의 착탈홈을 상기 조립축공과 연통 하여 대향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주축은 상기 착탈홈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상기 결합축에 돌출 형성하여 끼움 결합되되, 상기 결합돌기를 경계로 상기 결합축은 그 하부를 나사부가 없이 형성하여 상기 조립축공에 끼움 되도록 하고, 상기 결합축의 상부 나사부에는 고정너트을 나사 결합하여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착탈홈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너트의 나사회동으로 상기 연결그립부의 상부면을 조임 가압으로 상기 결합축이 조립축공에 조립상태가 고정되도록 구성된 코어드릴기구의 코어비트 고정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코어드릴기구의 개괄적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일부 발췌 단면도로서 코어비트의 결합상태도,
도 3은 도 2의 코어비트의 결합상태의 일부 발췌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정면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여주는 일부 발췌 분해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결합과정을 보여주는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드릴헤드 210 : 주축
211 : 그립부 212 : 결합축
213, 313 : 나사부 220 : 결합돌기
230 : 고정너트 310 : 커플링
311 : 연결그립부 312 : 조립축공
320 : 착탈홈 321 : 스토퍼홈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즉, 본 고안은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드릴기구를 형성하는 드릴헤드(200)의 주축(210)에 형성된 결합축(212)의 나사부(213)에 코어비트(300)가 커플링(310)의 연결그립부(311)에 관통 형성된 조립축공(312)의 나사부(313)로 나사 조립되고, 상기 주축(210)의 그립부(211)와 상기 커플링(310)의 연결그립부(311)를 공구로 그리핑하여 나사 분리하도록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310)의 연결그립부(311)는 상기 나사부(313)를 갖지 않는 조립축공(312)으로 형성하고, 상부면으로부터 개구된 복수의 착탈홈(320,320)을 수직방향으로 상기 조립축공(312)과 연통 하여 대향방향으로 형성하며,
상기 주축(210)은 상기 착탈홈(320,320)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기(220,220)를 상기 결합축(212)에 돌출 형성하여 끼움 결합되되, 상기 결합돌기(220,220)를 경계로 상기 결합축(212)은 그 하부를 나사부가 없이 형성하여 상기 조립축공(312)에 끼움 되도록 하고, 상기 결합축(212)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부(213)에는 고정너트(230)를 나사 결합하여 상기 결합돌기(220,220)가 상기 착탈홈(320,320)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너트(230)의 나사회동에 의한 상기 연결그립부(311)의 상부면을 조임 가압으로 상기 결합축(212)이 조립축공(312)에 조립상태가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결합돌기(220,220)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원형봉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유동방지 목적에 기인하여 사각봉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상기 고정너트(230)가 나사부(213)에 나사 결합한 상태에서 나사결합식의 조립이나 용접에 의한 고정도 가능하다.
상기 복수의 착탈홈(320,320)은 상기 연결그립부(311)의 상부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절개되고, 상기 주축(21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수평의 스토퍼홈(321,321)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220,220)가 회전하여 상기 스토퍼홈(321,321)의 끝단에 밀착 회전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너트(230)로 고정하여 상기 커플링(310)의 상부유동을 안전하게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축(212)의 나사부(213)에 나사 결합된 고정너트(230)를 나사 회동하여 상기 그립부(211)의 하단까지 상승 회동한 상태에서 상기 코어비트(300)를 구성하는 커플링(210)의 연결그립부(311)에 관통된 조립축공(312)에 상기 결합축(212)을 끼움 하면서 양방에 돌출된 결합돌기(220,220)를 상기 착탈홈(320,320)에 끼움 하는 상태로 삽입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착탈공(320,320)에 연장된 스토퍼홈(321,321)의 끝단에 안착되도록 상기 커플링(310)을 회동하여 밀착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너트(230)를 다시 나사 회전하여 하강하여 상기 커플링(310)의 연결그립부(311)의 상단을 수직방향에서 나사조임하여 결합축(212)이 상기 조립축공(312)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상태로 조립하게 된다.
이렇게 조립된 코어비트(300)의 교체 시에는 상기 고정너트(230)를 스패너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풀어 상승시킨 상태에서 상기 커플링(310)을 회전하여 상기 결합돌기(220,220)가 착탈홈(320,320)의 스토퍼홈(321,321)에서 벗어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이탈시키는 간소한 작업으로 해체가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상기 고정너트(230)의 나사 조임이 상기 주축(210)의 회전방향과 전혀 상관이 없게 됨으로서, 상기 코어비트(300)가 종래와 같이 주축(210)에 나사 결합되어 굳어지는 상태가 전혀 없게 되어 해체에 따른 노고의 소모가 매우 적게 되어 작업성이 뛰어나게 되고, 무리한 해체작업이 없어 코어드릴기구나 코어비트(300)의 훼손이 전혀 없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코어비트의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게 하여 코어비트의 교환이 신속하게 진행되어 작업자의 작업 능률의 향상, 편리성이 극대화되는 효과, 코어비트가 코어드릴기구의 주축에 장기간 조립 사용되어도 적은 노동력으로 신속한 해체가 가능하여 무리한 해체작업이 없어 장치의 사용 안전성을 갖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코어드릴기구를 형성하는 드릴헤드(200)의 주축(210)에 형성된 결합축(212)의 나사부(213)에 코어비트(300)가 커플링(310)의 연결그립부(311)에 관통 형성된 조립축공(312)의 나사부(313)로 나사 조립되고, 상기 주축(210)의 그립부(211)와 상기 커플링(310)의 연결그립부(311)를 공구로 그리핑하여 나사 분리하도록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310)의 연결그립부(311)는 상기 나사부(313)를 갖지 않는 조립축공(312)으로 형성하고, 상부면으로부터 개구된 복수의 착탈홈(320,320)을 상기 조립축공(312)과 연통 하여 대향방향으로 형성하며,
    상기 주축(210)은 상기 착탈홈(320,320)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기(220,220)를 상기 결합축(212)에 돌출 형성하여 끼움 결합되되, 상기 결합돌기(220,220)를 경계로 상기 결합축(212)은 그 하부를 나사부가 없이 형성하여 상기 조립축공(312)에 끼움되도록 하고, 상기 결합축(212)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부(213)에는 고정너트(230)를 나사 결합하여 상기 결합돌기(220,220)가 상기 착탈홈(320,320)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너트(230)의 나사회동에 의한 상기 연결그립부(311)의 상부면을 조임 가압으로 상기 결합축(212)이 조립축공(312)에 조립상태가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드릴기구의 코어비트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착탈홈(320,320)은 상기 연결그립부(311)의 상부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절개되고, 상기 주축(21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수평의 스토퍼홈(321,321)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220,220)가 회전하여 상기 스토퍼홈(321,321)의 끝단에 밀착 회전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너트(230)로 고정토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드릴기구의 코어비트 고정장치.
KR2020010008746U 2001-03-29 2001-03-29 코어드릴기구의 코어비트 고정장치 KR2002371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8746U KR200237177Y1 (ko) 2001-03-29 2001-03-29 코어드릴기구의 코어비트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8746U KR200237177Y1 (ko) 2001-03-29 2001-03-29 코어드릴기구의 코어비트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7177Y1 true KR200237177Y1 (ko) 2001-10-10

Family

ID=73098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8746U KR200237177Y1 (ko) 2001-03-29 2001-03-29 코어드릴기구의 코어비트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177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955B1 (ko) * 2013-11-07 2015-04-09 김동현 석재 가공용 정
KR20160149582A (ko) * 2015-06-18 2016-12-28 김채모 코어드릴용 확장코어비트
KR101769138B1 (ko) * 2016-09-29 2017-08-17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유압 그리핑 시스템
CN107812986A (zh) * 2017-10-31 2018-03-20 合肥凯邦电机有限公司 拆卸用钻头及具有其的钻床组件
KR101925731B1 (ko) * 2017-12-21 2018-12-05 박노환 코어 드릴용 코어 비트의 장착 구조
CN109676466A (zh) * 2019-01-25 2019-04-26 浙江永耀机械科技有限公司 便于拆装的异形晶钻磨抛机上料机构
KR20190076507A (ko) * 2017-12-22 2019-07-02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드릴 지그
KR20230040256A (ko) * 2021-09-15 2023-03-22 신진호 코아드릴용 코아망치셋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955B1 (ko) * 2013-11-07 2015-04-09 김동현 석재 가공용 정
KR20160149582A (ko) * 2015-06-18 2016-12-28 김채모 코어드릴용 확장코어비트
KR101704216B1 (ko) * 2015-06-18 2017-02-07 김채모 코어드릴용 확장코어비트
KR101769138B1 (ko) * 2016-09-29 2017-08-17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유압 그리핑 시스템
CN107812986B (zh) * 2017-10-31 2024-01-30 合肥凯邦电机有限公司 拆卸用钻头及具有其的钻床组件
CN107812986A (zh) * 2017-10-31 2018-03-20 合肥凯邦电机有限公司 拆卸用钻头及具有其的钻床组件
KR101925731B1 (ko) * 2017-12-21 2018-12-05 박노환 코어 드릴용 코어 비트의 장착 구조
KR20190076507A (ko) * 2017-12-22 2019-07-02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드릴 지그
KR102014079B1 (ko) * 2017-12-22 2019-08-26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드릴 지그
CN109676466A (zh) * 2019-01-25 2019-04-26 浙江永耀机械科技有限公司 便于拆装的异形晶钻磨抛机上料机构
CN109676466B (zh) * 2019-01-25 2023-11-07 浙江永耀机械科技有限公司 便于拆装的异形晶钻磨抛机上料机构
KR20230040256A (ko) * 2021-09-15 2023-03-22 신진호 코아드릴용 코아망치셋
KR102659908B1 (ko) 2021-09-15 2024-04-23 신진호 코아드릴용 코아망치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37177Y1 (ko) 코어드릴기구의 코어비트 고정장치
EP1078718B1 (en) Drilling and fastener driving tool
KR200488788Y1 (ko) 건축 및 토목용 철근 결속기구
AU2007231806A1 (en) Moldboard positioning assembly and use thereof
CN110785262B (zh) 用于安装工具系统的安装工具、套件和安装工具系统
KR100758324B1 (ko) 나사부품 체결용 공구
EP0958083A1 (en) Adaptor for rotating tools
CN211101747U (zh) 一种便于安装的快装双金属斜角切割孔锯
KR200371054Y1 (ko) 시멘트 몰탈 교반용 회전체
CN219344638U (zh) 一种反井钻机钻杆拆卸工具
US20030007842A1 (en) Tool for rotating cutting heads
DE10163684B4 (de) Schrauber
CN220768462U (zh) 一种保温板用连接件
KR200244718Y1 (ko) 콘볼트분해공구
JP2757280B2 (ja) Pc鋼棒の緊張装置
KR200179106Y1 (ko) 콘크리트벽과 스라브용 거푸집구조
CN219864088U (zh) 一种模板固定装置
CN220150105U (zh) 一种道桥施工钢筋连接装置
CN214833524U (zh) 一种固定混凝土墙面檩托预埋件的工具式螺杆
CN220226241U (zh) 一种模板夹具
CN217166257U (zh) 切割装置
CN210081646U (zh) 一种便于安装膨胀螺丝的组合工具
CN211867678U (zh) 一种多功能实用型加力杆
JP3041345B2 (ja) コンクリート型枠用コーン部材
KR200399843Y1 (ko) 앵커볼트와 너트 삽입용 홀을 형성하기 위한 드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