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0228A - 쉴드 클램프 - Google Patents

쉴드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0228A
KR20230040228A KR1020210123565A KR20210123565A KR20230040228A KR 20230040228 A KR20230040228 A KR 20230040228A KR 1020210123565 A KR1020210123565 A KR 1020210123565A KR 20210123565 A KR20210123565 A KR 20210123565A KR 20230040228 A KR20230040228 A KR 20230040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pressing part
pressing
cable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3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6080B1 (ko
Inventor
이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210123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6080B1/ko
Publication of KR20230040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0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Landscapes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쉴드 클램프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쉴드 클램프는: 쉴드 케이블을 축 삽입한 채 둘레면을 가압하도록 링 또는 튜브 형상으로 형성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제 1가압부, 제 1가압부에서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 1가압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져 축 삽입된 쉴드 케이블의 둘레면을 가압하는 제 2가압부, 및 제 2가압부에서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전기 접속을 위해 쉴드 케이블이 삽입되는 상대물의 삽입홀의 내측면과 밀착되도록 링 또는 튜브 형상으로 형성되는 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쉴드 클램프{SHIELD CLAMP}
본 발명은 쉴드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쉴드 케이블을 축 삽입하는 부위의 직경을 달리하는 다단으로 이루어져 상이한 직경의 쉴드 케이블에 대한 적용이 가능하도록 공용화를 실현하고, 쉴드 케이블과 접하는 부위를 다단으로 구성하여 쉴드 클램프의 두께를 줄임으로써 중량과 원가를 줄이고자 하는 쉴드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엔진 뿐만 아니라 모터 구동원을 보조 동력원으로 채택하여 배기가스 저감 및 연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차량이 출시되고 있다.
하이브리드 차량은 모터의 동력을 트랜스미션으로 전달하여 모터 동력만을 이용하는 순수 전기자동차 모드인 EV 주행모드와, 엔진 구동력을 보조 동력원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주행모드 등으로 차량이 주행됨에 따라, 연비 향상 및 배기가스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차량에는 모터와, 모터를 제어하는 MCU와,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고전압 배터리 등을 포함하고 있는 바, 각 구성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고전압 커넥터를 사용하고 있다.
고전압 커넥터의 내부에는 퓨즈가 고정되는데, 퓨즈는 별도의 부품에 조립된 후, 별도의 부품과 함께 고전압 커넥터 내부에 결합된다.
특히, 고전압 커넥터는 전자파 노이즈를 차단하기 위한 차폐 기능을 추가하고, 고전압 케이블로 쉴드(shield) 케이블을 널리 이용하고 있다.
아울러, 쉴드 케이블의 쉴드층이 쉴드 클램프에 의해 밀봉 처리된다.
관련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53271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의 쉴드 클램프는 쉴드 케이블의 둘레면을 가압하는 압착부가 동일 직경으로 이루어져 적용 가능한 쉴드 케이블의 직경에 제한이 있고, 비교적 두꺼운 두께로 인해 부품의 중량과 원가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쉴드 케이블을 축 삽입하는 부위의 직경을 달리하는 다단으로 이루어져 상이한 직경의 쉴드 케이블에 대한 적용이 가능하도록 공용화를 실현하고, 쉴드 케이블과 접하는 부위를 다단으로 구성하여 쉴드 클램프의 두께를 줄임으로써 중량과 원가를 줄이고자 하는 쉴드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쉴드 클램프는: 쉴드 케이블을 축 삽입한 채 둘레면을 가압하도록 링 또는 튜브 형상으로 형성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제 1가압부; 상기 제 1가압부에서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가압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져 축 삽입된 상기 쉴드 케이블의 둘레면을 가압하는 제 2가압부; 및 상기 제 2가압부에서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전기 접속을 위해 상기 쉴드 케이블이 삽입되는 상대물의 삽입홀의 내측면과 밀착되도록 링 또는 튜브 형상으로 형성되는 밀착부를 포함한다.
상기 쉴드 케이블은, 도체로 이루어진 도체선; 상기 도체선을 감싸는 절연체; 상기 절연체의 외부를 감싸는 쉴드층; 및 상기 쉴드층의 외부에 형성되는 외피를 포함한다.
상기 제 1가압부는, 상기 쉴드층을 접하여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가압부는, 상기 외피를 접하여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가압부와 상기 제 2가압부는 내부응력의 집중을 방지하기 위해 전단경사면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가압부와 상기 밀착부는 내부응력의 집중을 방지하기 위해 후단경사면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쉴드 클램프는 종래 기술과 달리 쉴드 케이블을 축 삽입하는 부위의 직경을 달리하는 다단으로 이루어져 상이한 직경의 쉴드 케이블에 대한 적용이 가능하도록 공용화를 실현할 수 있고, 쉴드 케이블과 접하는 부위를 다단으로 구성하여 쉴드 클램프의 두께를 줄임으로써 중량과 원가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쉴드 클램프가 상대물에 설치된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쉴드 클램프가 상대물에서 분리된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쉴드 클램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쉴드 클램프에 쉴드 케이블이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쉴드 클램프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쉴드 클램프가 상대물에 설치된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쉴드 클램프가 상대물에서 분리된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쉴드 클램프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쉴드 클램프에 쉴드 케이블이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쉴드 클램프(100)는 제 1가압부(110), 제 2가압부(120) 및 밀착부(130)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쉴드 클램프(100)는 쉴드 케이블(20)의 일측 가장자리를 축 삽입 후 상대물(10)의 삽입홀(12)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쉴드 클램프(100)는 쉴드 케이블(20)의 둘레면에 밀착되어 물기 등 이물질이 쉴드 케이블(20)의 표면을 따라 상대물(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삽입홀(12)의 내측면에 밀착됨에 따라 물기 등 이물질이 삽입홀(12)을 통해 상대물(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대물(10)은 고전압 커넥터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한편, 제 1가압부(110)는 쉴드 케이블(20)을 축 삽입한 채 둘레면을 가압하도록 링 또는 튜브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 1가압부(110)는 쉴드 케이블(20)의 해당 둘레면을 연속적으로 밀착하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된다. 물론, 제 1가압부(110)는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제 2가압부(120)는 제 1가압부(110)에서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 1가압부(1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져 축 삽입된 쉴드 케이블(20)의 둘레면을 가압한다. 이때, 제 2가압부(120)는 제 1가압부(110)의 직경보다 큰 링 또는 튜브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는 제 1가압부(110)와 제 2가압부(120)에 의해 다단으로 이루어져 각각 쉴드 케이블(20)의 둘레면을 가압하여 밀봉 처리한다.
또한, 밀착부(130)는 제 2가압부(120)에서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전기 접속을 위해 쉴드 케이블(20)이 삽입되는 상대물(10)의 삽입홀(12)의 내측면과 밀착되도록 링 또는 튜브 형상으로 형성된다. 밀착부(130)의 직경은 제 2가압부(12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특히, 밀착부(130)는 제 2가압부(120)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쉴드 케이블(2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래서, 충진재(132)가 밀착부(130)의 내부에 충진되어 쉴드 케이블(20)의 흔들림을 방지한다. 물론, 충진재(13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다양한 절연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이때, 제 1가압부(110), 제 2가압부(120) 및 밀착부(13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다.
특히, 쉴드 케이블(20)은 도체선(22), 절연체(24), 쉴드층(26) 및 외피(28)를 포함한다.
도체선(22)은 쉴드 케이블(20)의 내부 중앙(core)을 따라 배치되고, 도체로 이루어진다.
절연체(24)는 도체선(22)을 감싸는 내피로써,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쉴드층(26)은 절연체(24)의 외부를 편조선(shield braid)으로 감싸서 형성된다.
아울러, 외피(28)는 쉴드층(26)의 외부에 형성되고,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다.
특히, 제 1가압부(110)는 쉴드층(26)의 둘레면을 감싸서 밀착됨에 따라, 이물질이 쉴드층(26)을 따라 상대물(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제 2가압부(120)는 외피(28)를 접하여 가압함으로써, 이물질이 외피(28)를 따라 상대물(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고, 외피(28)의 뒤틀림이나 밀림 등의 변형을 방지한다.
한편, 제 1가압부(110)와 제 2가압부(120)는 연결부위에 내부응력의 집중을 방지하기 위해 전단경사면부(140)에 의해 연결된다.
아울러, 제 2가압부(120)와 밀착부(130)는 연결부위에 내부응력의 집중을 방지하기 위해 후단경사면부(150)에 의해 연결된다.
이때, 전단경사면부(140)와 후단경사면부(150)는 점차적으로 확경되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제 2가압부(120)의 직경이 제 1가압부(1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전단경사면부(140)에 의해 연결됨에 따라, 제 2가압부(120)에 의해, 제 1가압부(110)가 쉴드 케이블(20)의 둘레면을 가압하는 압착력이 향상된다.
아울러, 후단경사면부(150)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삽입홀(12)에 대한 밀착력이 증가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쉴드 클램프(100)는 다단으로 이루어진 제 1가압부(110)와 제 2가압부(120)에 의해 상이한 직경의 쉴드 케이블(20)에 적용이 가능함에 따라 공용화가 가능하고, 제 1가압부(110)와 제 2가압부(120)에 의한 2단 압착 구조로 인해 전단경사면부(140)의 각도가 줄어듦으로써 응력 집중이 최소화되고, 이로 인해 깨짐이나 파손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상대물 12: 삽입홀
20: 쉴드 케이블 22: 도체선
24: 절연체 26: 쉴드층
28: 외피 100: 쉴드 클램프
110: 제 1가압부 120: 제 2가압부
130: 밀착부 140: 전단경사면부
150: 후단경사면부

Claims (5)

  1. 쉴드 케이블을 축 삽입한 채 둘레면을 가압하도록 링 또는 튜브 형상으로 형성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제 1가압부;
    상기 제 1가압부에서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가압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져 축 삽입된 상기 쉴드 케이블의 둘레면을 가압하는 제 2가압부; 및
    상기 제 2가압부에서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전기 접속을 위해 상기 쉴드 케이블이 삽입되는 상대물의 삽입홀의 내측면과 밀착되도록 링 또는 튜브 형상으로 형성되는 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 클램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 케이블은, 도체로 이루어진 도체선;
    상기 도체선을 감싸는 절연체;
    상기 절연체의 외부를 감싸는 쉴드층; 및
    상기 쉴드층의 외부에 형성되는 외피를 포함하고,
    상기 제 1가압부는, 상기 쉴드층을 접하여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 클램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가압부는, 상기 외피를 접하여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 클램프.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가압부와 상기 제 2가압부는 내부응력의 집중을 방지하기 위해 전단경사면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 클램프.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가압부와 상기 밀착부는 내부응력의 집중을 방지하기 위해 후단경사면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 클램프.
KR1020210123565A 2021-09-15 2021-09-15 쉴드 클램프 KR102576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565A KR102576080B1 (ko) 2021-09-15 2021-09-15 쉴드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565A KR102576080B1 (ko) 2021-09-15 2021-09-15 쉴드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228A true KR20230040228A (ko) 2023-03-22
KR102576080B1 KR102576080B1 (ko) 2023-09-07

Family

ID=86005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3565A KR102576080B1 (ko) 2021-09-15 2021-09-15 쉴드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60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2482A (en) * 1995-01-03 1996-10-08 Wright; John O. Coaxial cable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KR100800788B1 (ko) * 2006-11-08 2008-02-0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실드쉘 접속수단 및 이를 구비한 실드커넥터
KR20140066809A (ko) * 2012-11-22 2014-06-02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고전압 케이블용 쉴드 클램프
KR101439049B1 (ko) * 2013-08-12 2014-09-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쉴드 케이블 접속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2482A (en) * 1995-01-03 1996-10-08 Wright; John O. Coaxial cable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KR100800788B1 (ko) * 2006-11-08 2008-02-0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실드쉘 접속수단 및 이를 구비한 실드커넥터
KR20140066809A (ko) * 2012-11-22 2014-06-02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고전압 케이블용 쉴드 클램프
KR101439049B1 (ko) * 2013-08-12 2014-09-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쉴드 케이블 접속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6080B1 (ko) 2023-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1059B2 (en) Shielded wire
US9033734B2 (en) Connector
JP5886161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構造
US8167653B2 (en) Shield shell
JP6234034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構造
JP3097816B2 (ja) シールド線のシースずれ防止構造
JPH11127515A (ja) シールド電線の端末処理構造及び端末処理方法
JP6053920B2 (ja) コネクタの防水構造
JP2010061891A (ja) コネクタ
JP2019216037A (ja) ワイヤーハーネス、接続端子、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の製造方法
JP2008021646A (ja) ケーブルコネクタ
KR102576080B1 (ko) 쉴드 클램프
WO2016147376A1 (ja) ワイヤハーネス
US10727617B2 (en) Shielded electric cable arrangement and shield housing
JP2011065882A (ja) アウター端子、及びシールドケーブルの組付構造
KR101439049B1 (ko) 쉴드 케이블 접속 장치
CN110571565B (zh) 高压电线接头用快速连接装置
CN112292788B (zh) 线束
JP5908312B2 (ja) 大電流対応シールド付き電線用コネクター
JP2014096275A (ja) シールド付き電線用のコネクター
JP2009054357A (ja) シールド電線の端末接続構造ならびに端子付きシールド電線および端子付きシールド電線の製造方法
KR102524334B1 (ko) 결선 방식이 개선된 고전압 케이블용 커넥터
WO2019004207A1 (ja) シールド付き電線用コネクタ
US11742624B2 (en) High-frequency coaxial electrical connector with shields covering cable conductors and terminals
JPH08250219A (ja) シールドコネクタの編組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